『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결과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6-2/3.pdf ·...

13
『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결과 경제조사본부 경제조사2팀 2016. 6.

Transcript of 『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결과ww2.mynewsletter.co.kr/kcplaa/201606-2/3.pdf ·...

  • 『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결과

    경제조사본부 경제조사2팀

    2016. 6.

  • - 1 -

    1 대졸 신입사원 1년 내 퇴사율(27.7%) 증가 추세 지속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박병원)가 전국 306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 를 실시한 결과, 대졸 신입사원의

    1년 내 퇴사율은 27.7%로, 2014년 조사결과(25.2%) 대비 2.5%p 상승

    2014년 조사와 비교하여 퇴사율 상승 추세가 지속되었는데 이는

    300인 미만 기업의 퇴사율 상승(31.6%→32.5%)에 기인

    - 300인 이상 기업의 퇴사율은 감소(11.3%→9.4%)한 반면, 300인 미만

    기업의 퇴사율은 상승(31.6%→32.5%)

    [그림 1] 대졸 신입사원의 채용 후 1년 내 퇴사율(규모별)

  • - 2 -

    2014년 조사와 마찬가지로 300인 미만 기업(32.5%)이 300인 이상

    기업(9.4%)에 비해 1년 내 퇴사율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양자간

    격차(2014년 20.3%p→2016년 23.1%p)역시 확대됨.

    - 300인 이상 기업 취업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300인 이상

    기업 입사자들의 조기퇴사율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1년 내 퇴사와 관련하여 제조업(27.3%)과 비제조업(28.4%)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음.

    대졸 신입사원의 채용 후 1년 내 퇴사율(규모 산업별)(단위 : %)

    구 분규 모 산 업

    전 체300인 이상 기업

    300인 미만 기업 제조업 비제조업

    1년 내 퇴사율9.4

    (11.3)32.5

    (31.6)27.3

    (25.4)28.4

    (24.7)27.7

    (25.2)

    주 : ( )안은 ‘2014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의 결과

  • - 3 -

    21년 내 구간별 퇴사율은 입사 후 9개월까지 감소하나,‘9~12개월’

    에 소폭 증가

    1년 내 구간별 누적 퇴사율을 살펴보면, 1개월 내 퇴사 비율이

    4.6%, 3개월 내 11.4%, 6개월 내 17.5%, 9개월 내 22.2%, 12개월 내

    27.7%로 나타남.

    비누적 개념의 구간별 퇴사율을 3개월 단위로 살펴보면 9개월까지는

    퇴사율이 감소하나, 9~12개월 사이 다시 증가

    - 신입사원들의 경우 어느 정도 회사 생활을 지속하다가 타기업 정기

    공채 시기 등에 맞추어 이동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추정

    ※ 구간별 퇴사율 : 3개월 미만 11.4% (1개월 미만 4.6%, 1개월~3개월 6.8%), 3개월~6개월

    6.1%, 6개월~9개월 4.7%, 9개월~12개월 5.5%

    [그림 2] 대졸 신입사원의 1년 내 구간별 퇴사율(비누적)

  • - 4 -

    300인 미만 기업의 경우 다른 구간은 2014년 조사에 비해 퇴사율이 늘

    어난 반면, 입사 후 1개월 내 퇴사 비율(5.6%)은 2014년(6.1%)에 비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300인 미만 기업 입사자들이 과거보다 입사 후 곧바로 퇴사를

    결정하는 경향이 다소 낮아진 것으로 판단됨.

    [그림 3] 대졸 신입사원의 1년 내 누적 퇴사율(규모별)

    대졸 신입사원의 기간별(누적) 퇴사율(규모 산업별)

    (단위 : %)

    구분규모별 업종별

    전 체300인 이상 기업

    300인 미만 기업 제조업 비제조업

    1개월 1.1(1.4)5.6

    (6.1)5.2

    (5.7)3.6

    (2.6)4.6

    (4.6)

    3개월 3.0(3.3)13.7

    (10.6)12.1(9.9)

    10.0(5.4)

    11.4(8.4)

    6개월 5.3(5.6)20.8

    (15.6)17.4

    (13.9)17.7(9.7)

    17.5(12.5)

    9개월 6.8(8.1)26.5

    (22.3)22.4

    (19.1)22.0

    (15.5)22.2

    (17.9)

    12개월 9.4(11.3)32.5

    (31.6)27.3

    (25.4)28.4

    (24.7)27.7

    (25.2)

    주 : ( )안은 2014년 조사 결과

  • - 5 -

    3 신입사원 조기퇴사의 주된 이유는‘ 조직 및 직무적응 실패 ’

    신입사원의 1년 내 퇴사 이유는 ‘조직 및 직무적응 실패’(49.1%)가

    가장 높았으며, 뒤를 이어 ‘급여 및 복리후생 불만’(20.0%),

    ‘근무지역 및 근무환경에 대한 불만’(15.9%) 순으로 나타남.

    신입사원 퇴사의 주된 이유 3가지는 2012년 조사부터 같은 순위를

    유지

    - 그러나 세부적으로 ‘조직 및 직무적응 실패’의 응답 비율은 2014년

    조사와 비교하여 더욱 올라간(1.5%p↑)반면, ‘급여 및 복리후생 불만’

    (4.2%p↓)과 ‘근무지역 및 근무환경에 대한 불만’(1.4%p↓)의 응답

    비율은 감소

    - 퇴사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신입사원의 조직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 검토 필요

    [그림 4] 대졸 신입사원 1년 내 퇴사이유(규모 산업별)

  • - 6 -

    대졸 신입사원 1년 내 퇴사이유(규모 산업별)(단위 : %)

    구 분규 모 산 업

    전 체300인 이상 기업

    300인 미만 기업

    제조업 비제조업

    조직 및 직무적응 실패 46.3(46.4)50.0

    (48.2)48.9

    (47.9)49.5

    (47.1)49.1

    (47.6)

    급여 및 복리후생 불만 11.0(16.1)23.1

    (27.9)19.9

    (23.8)20.2

    (25.5)20.0

    (24.2)

    근무지역 및 근무환경에 대한 불만 22.0(17.9)13.9

    (17.0)19.9

    (17.5)7.1

    (16.7)15.9

    (17.3)

    공무원 및 공기업 취업 준비 4.9(7.1)4.2

    (3.2)3.2

    (4.7)7.1

    (3.9)4.4

    (4.5)

    진학(유학) 9.8(7.1)2.1

    (1.6)3.6

    (3.1)5.1

    (3.9)4.1

    (3.3)

    기 타 6.1(5.4)6.7

    (2.0)4.5

    (3.2)11.1(2.9)

    6.6(3.1)

    계 100.0(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

    주 : ( )안은 2014년 조사 결과, 복수응답

  • - 7 -

    4신입사원 조기퇴사 대응방안,‘직무역량과 적성을 감안한 현업

    배치’(51.3%)

    신입사원의 조기퇴사를 막기 위한 기업의 대응 방안으로 ‘직무

    역량과 적성을 감안한 현업배치’(51.3%)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뒤를 이어 ‘멘토링 등을 통한 애로사항 파악’(46.0%), ‘비전 제시’(36.3%)

    등을 실시

    - 반면 신입사원의 조기퇴사를 감안하여 ‘더 많은 신입사원을 채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 응답 기업 가운데 5.7%에 불과함.

    300인 미만 기업의 경우 ‘대응방안 없음’의 응답률(14.0%)이 300인

    이상 기업(5.5%)보다 더욱 높게 나타남.

    [그림 5] 대졸 신입사원 조기퇴사를 막기 위한 대응방안

  • - 8 -

    대졸 신입사원 조기퇴사를 막기 위한 대응방안(규모 산업별) 시행율

    (단위 : %)

    구 분규 모 산 업

    전 체300인 이상 기업

    300인 미만 기업

    제조업 비제조업

    직무역량과 적성을 감안한 현업배치 61.8 48.0 52.7 48.7 51.3

    멘토링 등을 통한 애로사항 파악 60.0 41.5 43.2 51.3 46.0

    비전 제시 41.8 34.5 37.2 34.6 36.3

    더 많은 신입사원 채용 5.5 5.8 4.7 7.7 5.7

    기타 1.8 2.9 1.4 5.1 2.7

    대응방안 없음 5.5 14.0 11.5 11.5 11.5

    주 : 복수응답

  • - 9 -

    5 신입사원의 업무수행에 대한 만족도 하향 추세 지속

    대졸 신입사원의 업무수행에 대한 만족도는 계속해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300인 이상 기업과 300인 미만 기업의 신입사원

    업무수행 만족도 격차가 벌어짐.

    신입사원의 업무수행 만족도는 2010년 조사 이후 하락 추세를 지속

    하는 것으로 나타남.

    - ‘90~100점’과 ‘80~89점’, ‘60~69점’은 2014년(5.1%, 30.8%, 15.4%)에

    비해 각각 0.1%p, 3.3%p, 1.6%p 감소한 반면, ‘70~79점’(41.9%),

    ‘50~59점’(6.8%)은 각각 4.8%p, 0.3%p 증가

    - 2014년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신입사원 업무수행 만족도 점수

    ‘70~79’점 구간의 비율이 늘어났으며, 이로 인해 각 점수구간

    중간값을 대표 점수로 가정하여 구한 전체평균 역시 76.0점으로

    2014년 조사결과(76.2점)보다 다소 낮아짐.

    〈표 5〉대졸 신입사원 업무수행 평균점수(중간값 가정 시)

    점수구간 100-90점 89-80점 79-70점 69-60점 59-50점 평균점수중 간 값 95점 85점 75점 65점 55점2016년 비율 5.0% 27.5% 46.7% 13.8% 7.1% 76.0점

    2014년비율 5.1% 30.8% 41.9% 15.4% 6.8% 76.2점

    2012년비율 9.0% 34.9% 37.0% 14.3% 4.8% 77.9점

    2010년비율 5.0% 41.9% 42.5% 8.9% 1.7% 79.0점

    ※ 전체평균 = ∑(각중간값×비율)/100%

  • - 10 -

    [그림 6] 대졸 신입사원 업무수행 만족도

    300인 이상 기업 신입사원의 업무수행 평균점수는 79.8점, 300인 미만

    기업은 74.8점으로 300인 이상 기업 신입사원의 업무수행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

    - 또한 2014년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300인 이상 기업 신입사원 업무

    수행 평균점수(78.5점)와 300인 미만 기업 신입사원의 업무수행

    평균점수(75.2점)와의 격차(2014년 3.3점→2016년 5점)가 더욱 벌어짐.

    〈표 6〉신입사원 업무수행 만족도(규모 산업별)(단위 : %)

    구 분 규 모 산 업 전 체300인 이상 기업 300인 미만 기업 제조업 비제조업90~100점 7.1(7.5)

    4.3(4.0)

    3.9(4.2)

    6.9(7.0)

    5.0(5.1)

    80~89점 41.1(40.0)23.4

    (26.6)26.1

    (28.7)29.9

    (34.8)27.5

    (30.8)

    70~79점 46.4(35.0)46.8

    (45.1)50.3

    (41.9)40.2

    (41.9)46.7

    (41.9)

    60~69점 3.6(15.0)16.8

    (15.6)13.7

    (15.6)13.8

    (15.1)13.8

    (15.4)

    50~59점 1.8(2.5)8.7

    (8.7)5.9

    (9.6)9.1

    (1.2)7.1

    (6.8)

    계 100.0(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100.0

    (100.0)주 : ( )안은 2014년 조사결과

  • - 11 -

    6 능력 중심 채용을 위해‘역량 면접’을 강화

    전체 응답 기업의 93.5%가 능력 중심 채용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구체적 방안으로서 ‘역량 면접’ 실시율이 가장 높게(67.9%)

    나타남.

    뒤를 이어 ‘채용절차 및 선발기준의 자세한 사전 공지’(26.8%),

    ‘업무와 무관한 스펙 미요구’(21.1%) 순으로 나타남.

    - ‘채용절차 및 선발기준의 자세한 사전 공지’와 ‘업무와 무관한 스펙

    미요구’는 300인 이상 기업에서 높게 나타남.

    〈표 7〉능력 중심 채용을 위한 노력 시행율(규모 산업별)

    (단위 : %)

    구 분규 모 산 업

    전 체300인 이상 기업

    300인 미만 기업

    제조업 비제조업

    역량파악 중심의 면접 진행 68.5 67.7 65.4 72.4 67.9

    채용절차 및 선발기준의 자세한 사전 공지 40.7 22.9 27.0 26.4 26.8

    업무와 무관한 스펙 미요구 35.2 17.2 25.2 13.8 21.1

    기타 9.3 7.3 8.2 3.4 7.7

    별다른 노력이 없음 3.7 7.3 6.9 5.7 6.5

    주 : 복수응답

  • - 12 -

    1. 조사목적

    본 조사는 조사시점에서 개별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조기퇴사와 업무수행 만

    족도 등을 파악·분석하여 기업의 신입사원 채용에 있어서 바람직한 방향을 모

    색하기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2. 조사범위 및 대상

    전국의 기업체 가운데 농업, 수렵업, 임업 및 어업부문을 제외한 전 산업(단,

    국가 또는 지방행정기관, 군·경찰 및 국·공립 교육기관은 제외)을 모집단으로

    하여 이 가운데 설문에 응답한 306개 기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3. 조사기간 : 2016년 3월 17일 ∼ 4월 8일

    4. 조사방법

    우편과 이메일을 통한 자계식 조사방법을 원칙으로 하되, 자계식 조사가 불가

    능한 경우에는 타계식 조사방법을 병행하였다.

    5. 회수업체수(단위 : 개소, %)

    구 분 회수업체수전 체 306(100.0)

    산업별제 조 업 198(64.7)비제조업 108(35.3)

    규모별300인 이상 기업 69(22.5)300인 미만 기업 237(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