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F - 3차수정 - 편집 2007금융논단모음집- · 2017. 1. 31. · 은 집필자들의...

307
2007 KIF 금융논단 모음집 2008.3

Transcript of KIF - 3차수정 - 편집 2007금융논단모음집- · 2017. 1. 31. · 은 집필자들의...

2007KIF 융논단 모음집

20083

머 리 말

한국금융연구원은 2004년 9월 이래 매주 발간되는『KIF 주간금융 브리프』를 통해

한 주간의 금융산업 및 금융시장에 대한 분석과 전망 경제현안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

결과를 lsquo논단rsquo lsquo금융포커스rsquo 및 lsquo국제금융이슈rsquo로 구분하여 발표하여 왔다 이 가운데

lsquo논단rsquo은 본 연구원의 연구위원들이 경제 및 금융부문의 현안문제에 대해 현실적인 정책

대안을 개진하거나 개선 방안을 제시한 연구결과물로서 금융업계 학계 정책당국 및

언론으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원에서는 매주 발간되는 lsquo논단rsquo

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공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KIF 금융논단 모음집』을 발간

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되는 2007년『KIF 금융논단 모음집』은 2007년 중『KIF 주간

금융 브리프』에 게재된 lsquo논단rsquo들을 거시경제 금융일반 은행 비은행 및 자본시장

외환 및 국제금융 등 5개의 장으로 재분류하여 모아 놓은 것이다

우선 제 Ⅰ장 거시경제에서는 부동산 문제 금리 정책 수출구조의 변화 주요국 금리

정책의 기조 변화와 시사점 등 거시경제 관련 주요 현안에 관련된 lsquo논단rsquo을 수록하고

있다

Ⅱ장 금융일반은 금융산업의 발전 방향 금융역량 강화 금융지주회사제도 공적자

금 회수 지급결제서비스 MampA 시장 파산제도 주택금융시장 및 주택연금 등 주요

금융정책 관련 현안을 다룬 lsquo논단rsquo으로 구성되어 있다

Ⅲ장 은행에서는 국내 은행의 자본시장 역할 강화 기업금융 활성화 부가가치 제고

소유규제 소액금융 진출 수신구조 변화와 경영 방향 그리고 영업 및 경쟁 관련 제도

개선 문제 등 은행산업과 관련된 주요 현안에 대한 진단과 처방 내용을 담고 있다

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에서는 회사채 시장벤처캐피탈 시장 등의 발전 방안 보험

취약계층 저축은행 역량 강화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체계 대부업제도 개선 중소

기업 관련 어음제도 개선 국내 PEF 과제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주식의 상장 문제 등을

폭 넓게 다루고 있다

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에서는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 원화 및 달러화의 동향 한미

FTA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직접투자 유출입 및 자본수지

동향 글로벌 국부펀드 운용 국제석유자본의 활용 방안 등을 내용으로 하는 lsquo논단rsquo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동안 lsquo논단rsquo을 집필하였던 본 연구원의 연구위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아무

쪼록 본 모음집이 금융회사 임직원 정책 입안자 금융관련 연구자 금융시장 참가자

등 모든 분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다만 이 모음집에 수록된 lsquo논단rsquo

은 집필자들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한국금융연구원의 공식 견해가 아님을 밝혀둔다

끝으로 이 모음집에 함께 싣지 못한 lsquo금융포커스rsquo와 lsquo국제금융이슈rsquo들의 내용은 본

연구원의『KIF 주간금융 브리프』각호를 참고하길 바란다

2008년 3월

한국금융연구원

원장 이 동 걸

목 차

제Ⅰ장 거시경제

수출구조의 변화와 원화강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부동산거품과 그 해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통화량 조절 수단으로서의 금리정책에 대한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주요국의 금리정책 기조 변화와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제Ⅱ장 금융 일반

공적자금회수 전략의 재설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주택관련 정책과 금융시스템 안정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

부동산 버블 금융위기설 그리고 정책의 신뢰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이행실적과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자본시장통합법(안)의 지급결제허용조항 삭제는 매우 바람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전략산업으로서 금융산업의 발전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주택금융시장의 평가 및 향후 운용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기후변화와 금융부문의 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파산제도의 경제적 역할 및 제도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주택연금제도의 정착방안 및 향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우리나라 MampA시장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부실가능성과 대응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금융지주회사제도의 개선과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8

제Ⅲ장 은 행

은행의 부가가치 제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7

은행의 자본시장 역할 강화와 경영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2

금융구조의 변화와 은행의 역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8

기업금융의 활성화를 위해 은행이 나아갈 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

은행산업 경쟁정책관련 법규정 개선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2

은행채에 대한 유가증권 발행공시제도 개선 필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8

자본시장 중심의 기업금융발전과 은행의 리엔지니어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4

국내은행의 경영진 스톡옵션제도 개선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9

유니버설 은행의 역할에 대한 기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4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규제 완화는 필요한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9

은행의 수신구조 변화와 경영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6

소액금융의 성공사례와 국내은행의 진출 시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3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회사채시장의 외부성과 발전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9

대부업제도 개선에 대한 단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5

보험사의 공익성과 보험취약계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1

스톡옵션제도의 현황과 향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7

중소기업 육성지원을 위한 어음제도 개선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2

저축은행의 IT역량 강화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8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3

국내 PEF GP의 현황과 향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8

벤처캐피탈시장의 발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3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주식의 상장과 정책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8

최근 유동성사정 악화의 교훈과 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3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최근 원화의 약세반전에 대한 일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1

한미 FTA로 인한 금융산업의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7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운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2

해외직접투자 및 외국인직접투자 현황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7

국제석유자본의 팽창과 활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2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의 향후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7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과제와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2

미 달러화 위상의 약화요인과 대응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8

최근 자본수지 동향과 정책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5

글로벌 국부펀드 운용에 대한 고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0

제Ⅰ장 거시경제

제Ⅰ장 거시경제 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호(2007108)

수출구조의 변화와 원화강세

李 侖 錫

〈요 약〉

최근 몇 년 간 우리나라의 수출은 수출지역의 다변화 수출산업의 양극

화 상 일본 국과의 수출경쟁 심화 등의 변화를 겪었다 이와 함께 수출

단가는 하락하는 반면 수출물량이 크게 늘어나며 수출액의 증가가 이루어짐

에 따라 수출채산성이 악화되면서 수출기업에 큰 부담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원화강세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우리 수출기업들은 단기 인 수출목표

달성뿐 아니라 장기 인 에서 수출경쟁력을 제고하기 한 노력도 병행

해야 할 것이다

원화가 지속적인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수출은 여전히 호조를 보이고 있다 원화는

2004년부터 현재까지 약 24 정도 절상되었으나 그동안의 수출실적을 보게 되면

2004년에는 31 2005년에 12 그리고 2006년에는 146의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2007년에도 수출은 전년에 비해서는 둔화된 수준이지만 여전히

두 자릿수 증가율인 10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이와 같이 원화절상에

도 불구하고 수출이 잘되는 이유는 무엇이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인가

이하에서는 그간 수출구조의 변화양상과 함께 원화강세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지속적

으로 호조를 보이고 있는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수출지역의 다변화

우선 최근 5년 간의 지역별 수출실적을 보게 되면 미국의 경우 2001년에 전체 수출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1에 육박했으나 5년 후인 2006년에는 13로 낮아졌다 일본

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의 경우에도 11에서 8대로 역시 하락하였다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2001년에 12

에 불과하던 수출비중이 지금은 22에 달하고 있다 또한 유럽에 대한 수출도 16에

서 185로 비중이 높아졌다 종합해보면 5년 사이에 미국과 일본의 비중은 낮아진

대신 중국과 유럽의 수출비중은 상승한 것이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규모도 중국

과 유럽의 경우 5배 가까이 증가한 반면 미국의 경우 흑자규모가 소폭 증가에 그치고

일본의 경우 적자규모가 5년 전에 비해 2배 이상 늘어난 상태이다 또한 중남미와 아

세안 지역과의 무역량과 흑자규모 모두가 증가하는 등 5년 사이 수출지역의 다변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수출지역 변화의 특징 중 하나로 수출대상국 중 동남아 중남미 동구권 국

가들의 부상을 들 수 있다 현재 이들 국가로의 수출은 미국과 일본으로의 수출에 비

해 아무래도 가격을 바탕으로 한 경쟁력으로 승부하는 품목들이 더 많다 따라서 물량

측면에서 크게 늘어난다 해도 몇 년이 지난 뒤에는 중국이나 인도 또는 동남아국가들

의 값싼 제품들에게 시장을 내주어야 할지도 모른다

수출산업의 양극화 상 심화

최근 몇 년 사이 양극화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익숙해진 것 중 하나인데 수출산업에

있어서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우선 중화학제품과 경공업제품 간의 양극화

이다 이는 먼저 수출비중에서 중화학제품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반면 경공

업제품의 비중은 줄어들고 있음을 일컫는 것이다 2001년에 중화학제품과 경공업제품

의 수출비중은 각각 74와 175였지만 2006년에는 각각 80와 8를 기록하고 있

어 경공업제품의 비중이 절반 이상 축소되었다

중화학제품과 경공업제품의 양극화 이외에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양극화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수출실적은 2002년까지 42를

나타냈으나 최근 들어서는 35 내외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또한 수출중소기업 내에

서도 양극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다름 아닌 노동집약적 수출중소기업과 소재부품

중심 수출중소기업 사이의 양극화 현상이다 최근의 수출증가세는 소재부품산업이 크

게 기여하고 있는데 현재 소재부품의 증가율은 완제품의 증가율을 상회하고 있으며

제Ⅰ장 거시경제 5

소재부품산업 내에서도 대기업의 수출증가율은 둔화되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의 수출

증가율은 상승하고 있어 소재부품산업에서 중소기업의 역할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노동집약적 수출중소기업들도 현재의 수출구조에서 벗어나 소재부품 쪽

으로의 수출에 보다 역점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일본의 사례에서 보듯이 소재부품산

업의 육성은 비교적 안정적인 해외수출로 이어져 무역수지의 변동성을 줄이는 역할을

할 것이다

한 일 간 수출경쟁 격화

원화강세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수출은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세 나라 사이의 수출경쟁은 심화되고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은 높은 수출경합도

를 유지하고 있는데 해마다 한일 간 수출경합도지수는 상승하고 있고 한중 간 수

출경합도지수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들어서는 원달러 환율이

보합을 유지한 반면 엔달러 환율은 오히려 상승하여 원엔 환율은 가파르게 하락하

여 왔다 이는 일본과의 수출경쟁력을 더욱 약화시키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무역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한중일 세 나라의 100대 수출상품 가운데 중복

품목 수가 한일 간의 경우 자동차나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45개로 나타나 한

중 간의 29개 일중 간의 26개보다 월등히 많다 한일 간 중복품목 수는 1995년

에는 31개 2000년에는 35개였으나 2005년에는 45개로 크게 증가하여 세계시장에서

한일 간 수출경쟁이 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수출단가는 하락 수출물량은 증

그렇다면 최근 몇 년 간 지속되고 있는 원화강세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호조를 보이

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수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난 이면을 자세히 보면 수출

단가는 하락한 반면 수출물량은 크게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2000년을 기준으로 비

교해봤을 때 수출단가지수는 2006년 10월 현재 62 하락한 반면 수출물량지수는 2

배 이상 늘어났다 이는 수출액의 증가가 수출단가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물량증대에

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따른 결과라는 얘기로 쉽게 말한다면lsquo박리다매(薄利多賣)rsquo식 수출형태를 지속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물론 이는 전 업종에 걸쳐서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며 업종별

로 다소 차이는 있다 그러나 수출 전체적으로 증가요인을 가격요인과 물량요인으로

나누자면 대체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 것이다

지난 몇 년 간 소득교역조건이 상승한 반면 순상품교역조건은 하락하게 된 것도 이

때문이다 순상품교역조건은 수출단가지수를 수입단가지수로 나눈 것으로서 1단위 수

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말하며 소득교역조건은 순상품교역조건에다가 수

출물량지수를 곱한 것으로서 총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말한다 순상품

교역조건의 경우 수입단가상승폭이 수출단가상승폭을 상회하면서 하락하였으나 소득

교역조건이 상승한 것은 수출물량이 크게 늘어난 데 기인한다

이와 같은 상황은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출시장을 공략한 결과를 반영할 수도

있고 시장점유율 유지나 기존의 거래처와 체결했던 장기공급계약 등 불가피한 이유

등으로 인해 수출단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수출물량을 줄일 수 없는 상황의 산물일 수

도 있다 이유가 무엇이든간에 가격경쟁력에 의존하는 수출구조는 수출기업들의 채산

성을 악화시킬 위험이 높고 장기적으로는 수출기업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에 수출구조의 고도화에 보다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2006년 34분기까지 내수

기업의 경상이익률은 80를 기록한 반면 수출기업의 경상이익률은 66에 그친 사

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원화강세는 수출경쟁력 제고의 기회

앞서 언급했듯이 원화강세하에서도 우리 제품의 수출은 호조세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물량공세에 힘입은 바가 크며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따라서 몇

년 안에 중국이나 인도 등의 대형수출국들이 수출시장을 잠식해온다면 우리로서는 현

재와 같은 수출증가세를 유지하기는 힘들 것이다 따라서 지난 몇 년 간 원화가 강세

를 보이면서 우리 기업들의 수출환경이 악화되긴 했지만 보다 어려워진 환경 아래에

서도 단기적인 수출목표의 달성뿐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출제품의 경쟁력향상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 100년이 넘는 중소기업들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며 수출신

제Ⅰ장 거시경제 7

장에 기여하고 있는 이웃 일본의 사례에서 보듯이 우리 수출기업들도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품개발에 힘써야 한다 무역의존도가 70에 달하고 수출이 GDP에서 차

지하는 규모가 38나 되는 우리로서는 수출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지난 40년

동안 세계시장에서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여왔다 60년대초 003

에 불과하던 세계시장 점유율은 지금은 27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그냥 주

어졌던 것이 아니라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낸 것이다 2007년에도 이러한 모습으로 한

국경제가 전진할 수 있도록 모두가 힘써야 할 것이다

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호(2007115)

부동산거품과 그 해법

金 東 煥

〈요 약〉

부동산거품의 원인은 부동산담보 財테크 융자 부동산을 체할 財테크 수단

의 결여 과잉유동성에 있다 1980년 미국이 부동산시장을 진정시키는 데 성공

한 비결은 부동산을 체할 매력 인 財테크 수단으로서 주식과 채권의 상

을 확립한 데 있다 한편 일본은 작스런 리인상으로 부동산거품과 주식거품

이 동시에 붕괴하여 장기불황에 빠지게 되었는데 경제의 기 여건이 튼튼하다

는 자신감이 오히려 거품에 한 인식과 책을 안이하게 만들었다 우리나라

는 경제의 기 여건이 취약한 불황국면에서 부동산과 주식의 거품이 순차

으로 생성붕괴하는 패턴을 따를 가능성이 있어 일본과 달리 장기 복합불황

에 빠질 가능성이 낮다 한편 우리나라의 은행은 일본과 유사하게 부동산담보

財테크 융자 등의 비 이 높은 만큼 거품이 꺼지면 출채권이 연쇄부실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최근 융당국이 LTV-DTI 규제와 동일차주에 한 출

건수 규제를 양 축으로 하여 부동산투기에 기를 박고 융회사의 건 성

확보에 력을 기울이는 정책방향을 제시한 것은 명하다 거품 책의 기본

취지는 시장과 경제를 연착륙(soft-landing)시켜 거품붕괴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

각종 분양시장 규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및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부동

산 보유양도세 등이 도입강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택가격이 좀처럼 꺾이지

않자 부동산 거품론 및 붕괴론 부동산발 경제위기론이 고개를 쳐들며 연말 같지 않았

던 2006년말에 이어 연초 같지 않은 2007년초를 안개 속으로 몰아가고 있다 도대체

제Ⅰ장 거시경제 9

이와 같은 안개의 정체는 무엇이며 이 안개를 걷어내기 위해서는 어떠한 대책이 필요

할 것인가

거품에 한 인식

현재 시장에는 부동산거품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설과 아직 속단하기는 이르다는 설

이 공존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거품은 경제의 기초여건(fundamentals)과 자산가격

간 괴리의 정도로써 측정된다 따라서 이론적 측면에서는 경제의 기초여건에 해당하

는 투자 소비 등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가격만이 고공비행하는 우

리 경제의 현실을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전자가 타당할 수 있다 하지만 거품이 꺼지기

전에는 거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다는 현실론도 만만치 않다 사실 1980년대 후반

에 발생하였다가 1990년에 꺼져버린 일본의 거품은 경제의 기초여건과 무관하였던

바 거품이 형성될 당시 대다수의 일본인들은 경제의 기초여건이 튼튼한 만큼 거품은

없다고 호언장담하였던 것이다

양자 모두 나름대로 설득력 있는 이론적 현실적 근거로 무장하고 있어 그만큼 혼

란스러움도 더해진다 경제의 기초여건이 받쳐주는 가운데 생성붕괴되는 거품은 경

기의 산과 골을 깊게 하는 만큼 충격의 정도는 크지만 회복의 모멘텀을 자극하는 긍정

적 요소도 있다 한편 경제의 기초여건이 취약한 가운데 생성붕괴되는 거품은 경기

의 산과 골을 얕게 하는 만큼 충격의 정도도 작지만 회복의 모멘텀을 찾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거의 모든 경기지표에 적신호가 켜지고 생산과 취업이 구조적으로 미

스매치 현상을 나타내면서 표류하고 있는 듯한 lsquo한국경제號rsquo는 다시 한 번 부동산거

품이라는 높은 파도에 부딪치고 있는 것이다

거품의 원인

기본적으로 부동산은 국토가 좁고 자본축적이 빈약한 우리나라가 세계 10위권의 경

제대국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희소성이란 이름의 무한한 가치를 지니는 자본으로 변

신하는 동시에 기업과 가계에 귀중한 자산형성(이하 財테크) 수단이 되었다 최근의

1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부동산거품 역시 기업과 가계의 財테크 수요가 부동산에 쏠리게 된 데에 직접적으로

기인한다 그런데 이러한 쏠림현상을 부추기는 데에는 적어도 3가지 간접적인 원인이

있다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財테크 융자 부동산을 대체할 財테크 수단의 결여 과잉

유동성이 바로 그것이다

첫째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財테크 융자란 단순히 부동산담보대출을 의미하는 것

은 아니다 왜냐하면 통상적인 담보대출은 기존의 자산을 담보로 하여 부채를 일으키

는 것임에 비해 財테크 융자는 자산과 부채가 상호상승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

하기 때문이다 즉 현재 자산이 없어도 부채를 일으켜 자산을 마련하고 동 자산을 담

보로 또 다른 부채를 일으키며 동 부채를 통해 또 다른 자산을 마련하는 등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財테크 융자는 부동산 이외에도 주식 고가 미술

품 및 골동품 리조트 및 골프 회원권 등의 거품을 조장하는 동시에 거품이 꺼질 경우

연쇄부실을 동반하는 부작용이 있다

둘째 부동산을 대체할 財테크 수단의 결여는 현재의 경기나 자본시장 상황과 밀접

한 관계가 있다 즉 경기전망이 불투명하여 기업의 설비투자나 매출이 저조한 수준에

머물러 있음에 따라 주식이나 채권은 財테크 수단으로서 매력이 없어지고 주가나 발

행주식수가 비교적 높은 우량기업들이 안정주주를 확보하거나 희석화(dilution)를 방

지하기 위해 신주발행에 소극적인 반면 계열사 간 우호지분 보유나 우회증자 등의 방

법을 쓰는 경우가 많아 주식물량 자체가 충분치 않게 된다 이에 따라 財테크 수요는

부동산으로 몰리게 되는 것이다

셋째 앞서 살펴본 두 가지 문제는 나라와 시기마다 조금씩 사정이 다를 수 있지만

과잉유동성 문제는 나라와 시기에 관계없이 부동산거품을 야기하는 공통의 원인이 된

다 예컨대 미국의 연준(FRB)은 2000년대에 들어서 IT거품이 붕괴되기 시작하자 IT

거품 붕괴로 인한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수차례 금리인하를 단행한 바 있었고 그 결

과 과잉공급된 유동성은 자국은 물론 여타 주요 선진국과 신흥국의 부동산시장으로

대거 유입되어 부동산거품을 조장해 왔다 또한 부동산거품은 영국과 미국에서는 소

비붐 중국에서는 투자붐을 일으키면서 석유나 원자재에 대한 투기적 수요로 번지기

까지 하였다 이와 같은 과잉유동성 문제는 과거 일본도 마찬가지였다 1985년 일본

은 플라자합의 이후 엔고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지속적인 저금리정책을 실시하여 내수

제Ⅰ장 거시경제 11

와 수출을 진작시켰고 그 과정에서 과잉공급된 유동성은 국내 부동산시장과 주식시

장을 동시에 과열시킴은 물론 우리나라와 미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주요국의 부

동산시장이나 주식시장을 농락하기도 하였다

거품에 한 책 외국의 사례

부동산거품이 골치를 썩이던 1980년대 미국은 부동산으로 몰리던 단기성 예수금을

뮤추얼펀드나 투자신탁으로 유도하기 위해 수신금리 인하 등의 조치를 취했고 이로

써 주식 및 채권시장을 회복시키고 부동산시장을 진정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성공의

열쇠는 부동산을 대체할 매력적인 財테크 수단으로서 주식과 채권의 위상을 확립한

데 있었다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시장이 진정될 수 있었던 것은 전통산업이

불황의 늪에서 허덕이는 등 경제의 기초여건이 부동산거품을 유지확대하기에 역부

족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시 미국에서는 자본시장이 과열되면서 헤지펀드와 같은

금융 투기세력과 불로소득자가 대거 등장하여 전통산업과 중간소득층이 위축되고 찰

나주의와 경제양극화가 확산되는 등의 부작용도 발생하였다

한편 일본은 1989년 5월부터 1990년 8월까지의 15개월 동안 5차례에 걸쳐 공정할

인율을 25에서 60로 인상했는데 이와 같은 급작스런 금리인상으로 부동산거품

과 주식거품이 동시에 붕괴하여 금융회사와 기업 모두에게 타격을 주고 ldquo잃어버린 10

년rdquo이란 이름의 장기불황에 빠지게 되었다 당시 금리인상은 부동산을 담보로 한 財테크 융자와 유가증권투자 비중이 높았던 은행 이미 해외 부동산이나 주식 등에 대량

투자하여 거액의 환차손을 떠안고 있었던 은행과 기업에 이중의 비용으로 작용하는

독약과도 같은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금리인상이란 극약처방을 내리게

된 것은 거의 전 산업이 활황국면에 놓여 있는 가운데 기업과 가계의 부동산 및 주식

에 대한 투기적 수요가 식을 기미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어떻게 보면 경제의 기초여건

이 튼튼하다는 자신감이 오히려 거품에 대한 인식과 대책을 안이하게 만든 것이다

최근 주요 선진국은 줄줄이 정책금리를 인상하는 등 부동산거품에 대한 경계를 늦

추지 않고 있다 그 때문에 이미 미국 영국 호주 중국의 대도시 지역에서는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과잉공급된 유동성이 부동산시장으로 몰려가는

1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현상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지만 부동산거품을 막기 위해 정책금리를 인상하거나

넘치는 국내 유동성을 해외 부동산 투자로 돌리는 것 역시 바람직하지만은 않다 부동

산거품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금융당국이 금

리인상 대신 LTV-DTI 규제를 택하게 된 배경에는 부동산거품과 그의 붕괴로 10년을

잃어버렸던 반면교사 일본이 있는 것이다

기론과 부동산 책에 한 평가

거품대책에 실패한 일본의 사례로부터 알 수 있듯이 거품은 생성과정보다 붕괴과정

에서 소비와 투자의 위축 개인파산 및 신용불량자의 증가 기업 자금난 및 도산 금

융회사 자산건전성 및 자금중개기능 악화 손실보전과 같은 금융부패의 증가 자살 및

이혼의 증가로 인한 개인과 가정의 파탄 등 수많은 부작용을 낳는다 이것이 부동산발

경제위기론의 실체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미국과 유사하게 경제의 기초여건이 취약

한 불황국면에서 부동산과 주식의 거품이 순차적으로 생성붕괴하는 패턴을 따를 가

능성이 있어 부동산과 주식의 거품이 동시에 생성붕괴되었던 일본과 달리 금융과

실물이 장기 복합불황에 빠질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즉 부동산거품 붕괴가

부동산발 경제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인다

한편 우리나라의 은행은 일본과 유사하게 부동산담보 財테크 융자나 유가증권투자

비중이 높은 만큼 거품이 꺼지면 대출채권이 연쇄부실화되고 유가증권평가손이 발생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최근 금융당국이 LTV-DTI 규제와 동일차주에 대한 대출건

수 규제를 양대 축으로 하여 부동산투기에 쐐기를 박고 금융회사의 건전성 확보에 전

력을 기울이는 정책방향을 제시한 것은 비록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매우 현명한 결정

이라 하겠다 DTI 규제는 소득의 일정 한도(예컨대 40) 이내로 대출을 줄여 부동산

투기와 거품을 막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고 원리금상환 능력을 담보가치가 아닌 실질

소득을 기준으로 평가함으로써 부동산거품 붕괴가 대출채권 부실화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것에 두 번째 목적이 있다 이 때 LTV 규제와 DTI 규제를 동시에 적용하는 것은

담보가치의 일정 한도(예컨대 40) 이내로 대출을 줄이는 LTV 규제만으로는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며 특히 동일차주에 대한 대출건수를 제한하

는 것은 부동산담보 財테크 융자의 연쇄부실을 차단하는 데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제Ⅰ장 거시경제 13

맺음말 거품 책의 본질

흔히들 1997년의 외환위기는 후진국형 금융위기이고 거품붕괴로 인해 초래되는 위

기는 선진국형 금융위기라 한다 역사적으로도 영국 미국과 같은 주요 선진국들은 거

품붕괴를 경험한 이후에야 금융시스템을 선진화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는 거품붕괴

가 선진화의 필요조건이 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거품붕괴를 경험해야만 비로소

선진국 반열에 오를 수 있다는 말이 아니다 오히려 역사는 거품붕괴를 경험한 이들

나라의 전철을 밟지 않거나 거품붕괴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야말로 진정한 선진국이 되는 길임을 교훈으로 남긴다

거품대책의 기본 취지는 거품붕괴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있고 이는 시장과 경제

를 연착륙(soft-landing)시키는 것과 다르지 않다 연착륙이 중요한 까닭은 경제의

기초여건이 취약한 불황국면에서 거품이 붕괴할 경우 회복의 모멘텀 역시 작을 수 있

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혹자는 각종 규제를 철폐완화하는 것에서 회복의 모멘

텀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거품을 만들어 거품이 붕괴되는 것을 막자는 발상

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서 대단히 위험하다 다만 거품대책을 수립실행함에 있어 금

융당국과 금융권이 유념해야 할 것은 빈대(투기 및 거품)를 잡으려다 초가삼간(실수요

및 경기)을 태우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선별(selection)과 미조정(fine-

tuning)은 초가삼간이 타들어 가 시장과 경제가 경착륙(hard-landing)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거품대책의 핵심 개념이다

1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4호(200742)

통화량 조절 수단으로서의 금리정책에 대한 평가

申 龍 相

〈요 약〉

1999년 5월 리 시 방식으로 통화정책을 환한 이후 유동성 조 수단으

로서 리정책의 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는 장기간의

리로 인해 리정책의 효과가 격히 약화된 데에 근본 원인이 있다

한편 리가 장기화된 배경에는 무 높게 설정된 물가안정목표 수 이

자리잡고 있다 이는 경제주체들에게 미래 리기조에 한 잘못된 기 를 형성

하게 함으로써 리 기조가 장기화되는 원인으로 작용하 으며 시 의 유동

성을 정수 으로 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하는 원인으로도 작용하 다

따라서 향후 리정책의 유효성을 확보하기 해서 통화당국은 리향방에

한 시그 링을 분명히 달해야 하며 이에 한 제로 물가안정목표를 합리

인 수 으로 조정하여 리정책의 운신의 폭을 넓히고 시장상황에 따라 선제

이고 기민한 응을 할 수 있는 토 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1979년 이후 총통화(M2)의 연간 공급목표를 정하여 통화량을 관리하는

이른바 통화목표관리방식(monetary targeting)의 통화정책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금융자유화의 확대와 금융시장의 발달로 인해 통화수요 행태가 불

안정해지면서 그 정책유효성의 타당성에 대해 많은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1999년 5월부터 비교적 이론적으로 설명력이 높다고 평가되는 신용중시견해(credit

view)의 입장을 받아들여 콜금리 목표의 변경을 통해 통화량을 간접적으로 규제하는

금리중시 방식으로 통화정책을 전환하였다

제Ⅰ장 거시경제 15

통화정책 전환 이후 콜금리는 통화정책의 운용목표로서 자리잡았으나 콜금리 목표

의 변동이 통화량 및 실물경기에 미치는 영향력이 급속히 약화되면서 콜금리가 통화

정책변수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통화정책 운용방식 변경 이후 유동성 관리수단으로서 금리정책의 유

효성을 분석하여 향후 금리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제언을 하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정책 리의 유동성 조 능력 하

일반적으로 금리와 은행대출 간에는 負(-)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금리를 인상하면 일정시차를 두고 대출이 감소하며 금리를 인하하면 그 반

대의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정상적인 모습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정책금

리와 은행대출 간의 관계에서 분석기간에 따라 매우 불분명한 관계가 도출된다 예를

들어 외환위기 이전 시기를 포함한 분석에서는 양자 간에 負(-)의 상관관계가 존재했

으나 통화정책 운용방식을 변경한 1999년 이후에는 양자의 관계가 이론적인 방향과

괴리되어 금리를 인상(인하)해도 대출과 유동성이 함께 증가(감소)하는 正(+)의 관계

로 반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이런 비이론적 관계가 오히려 더욱 확대되고 있

는데1) 정책금리와 은행대출 간의 인과성검정(Granger causality test)에서도 정책

금리가 은행대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여 히 낮은 리수

이와 같은 시중유동성 조절수단으로서의 금리정책의 無力性은 절대금리수준이 낮

은 경우에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환위기 이후 장기간 초저금리

1) 외환위기 이전 기간을 포함한 경우에는 콜금리 인상 이후 은행대출이 3분기 정도의 시차를 두고 -041 정도의

負(-)의 시차상관계수가 추정되었으나 통화정책 운용목표 변경 이후인 1999년 이후에는 동 관계가 1년 정도 시차를 두고 045의 正(+)의 관계로 반전되었으며 2004년 이후의 분석에서는 090의 높은 동시차상관계수가 추정되었다

1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상황이 지속되면서 최근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절대금리수준이 여전히 낮아2) 금융

자산 수익률이 부동산을 비롯한 실물자산 수익률을 크게 하회함에 따라 대출을 통한

유동성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즉 정책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절대금리수준이 낮은

상황에서는 이를 상회하는 실물자산 수익률로 인해 대출수요의 창출이 지속적으로 발

생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는 외환위기 이전에 기업의 만성적인 자금초과수요

가 금리정책의 유효성을 제약했던 경우와 매우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실제로 1999~2006년 전국 및 서울지역의 주택투자 수익률은 각각 120 151를

기록하여 동 기간의 은행 가중평균 대출금리인 70를 큰 폭으로 상회함으로써 주택

투자 수익률과 가계대출 간 094의 높은 동시차상관관계가 나타나는 등 강한 동행성

을 시현한 것은 이러한 논리를 강하게 뒷받침해 주고 있다3)

통화정책의 선제성 유효성 약화

통화당국은 2005년 10월 이후 5차례에 걸쳐 콜금리 목표를 인상하였음에도 결과적

으로는 시중의 과잉유동성을 흡수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기 어려울 것 같다 이는 시중

유동성이 실물경제활동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조짐이 나타난 시점이 지난 2005

년 14분기이고 2006년 14분기부터 유동성이 적정수준을 넘어 과잉폭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을 고려한다면 통화당국이 2005년 10월부터 정책금

리를 인상하기 시작한 것은 다소 때늦은 면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2) 실질금리의 장기적 균형수준은 이론적으로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시간선호율을 더한 값으로 볼 수 있다

2001~06년 동안 국내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연평균 10 내외였으며 우리나라의 시간선호율은 비록 주관적인 개념이기는 하지만 기존연구에 따르면 4~8 정도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실질기준으로 본다면 적정금리 수준은 5~9 정도이며 실제 대출금리는 여기에 물가상승률과 위험프리미엄을 더한 수준이어야

적절할 것이다

3) 한편 이들 간의 선후행성을 살펴보면 5개월의 시차 이내에서 070 이상의 선후행성을 보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주택투자 수익률 상승으로 가계대출이 증가하고 가계대출로 발생한 유동성이 다시 부동산시장으로 흘러

들어 주택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순환적 구조가 발생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랜저 인과검정(Granger causality test)에서도 가계대출 증가율과 주택투자 수익률 간에는 쌍방 간의 인과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Ⅰ장 거시경제 17

높게 설정된 물가안정목표

이와 같이 유동성관리 차원에서 통화당국이 적절한 정책대응을 하지 못했던 배경에

는 높게 설정된 물가안정목표가 자리잡고 있는 것 같다 글로벌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게 하락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다면 그동안 정책당

국이 통화정책의 기준으로 설정한 중기물가안정목표는 적정수준보다 높은 상태인 것

으로 보인다4) 이와 같이 높게 설정된 물가안정목표는 정책당국으로 하여금 금리인

상에 소극적이고 인하에 대해서는 적극적일 수밖에 없도록 하였다 나아가 경제주체

들에게도 미래 금리기조에 대해 잘못된 기대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저금리기조가 장기

화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시중 유동성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

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리정책의 유효성을 회복하기 해서는

향후 유동성 조절 수단으로서 금리정책의 유효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시장참여자

들의 기대를 정책당국의 의도대로 이끌어가는 것이 정책효과를 높이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정책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시장참여자들이 향후 금리향방에 대해 다른 시각

을 갖고 있다면 그 효과는 무력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리정책의 기대경로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정책당국의 신

뢰성과 시장주도력을 담보로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금리정책은 시의성과 속도

상의 문제로 인해 정책금리 변경에도 불구하고 시장참여자의 기대가 정책당국의 의도

대로 조정되지 않는다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의 교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장상황

에 대한 선제적이고 지속적인 대응을 통해 향후 금리향방에 대한 의사를 분명히 전달

(signalling)하여 실질적으로 경제주체들의 인식과 경제행위의 변화를 유도하는 공시

효과(announcement effects)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금리정책의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정금리수준의 회복이 필요하다 이

4) 실제로 지난 20051~20072월 기간 중 국내 근원물가 및 소비자물가 월평균 상승률은 각각 209 및 245를 기록한 바 있다

1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를 위해서는 물가안정목표 수준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작년말 통

화정책당국은 통화정책 변경의 기준이 되는 중기물가안정목표 수준을 기존 수준인

30plusmn05로 유지하면서 관리대상지표를 근원인플레이션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로

전환하였다 당시에 정책당국은 대상지표를 바꾸는 것 자체가 실질적으로 물가안정목

표를 05p 정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실제로 2005~06년 중에는 국제

유가 및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인해 공급측면의 물가압력 요인을 반영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4p 정도 근원물가 상승률을 상회하고 있어 이러한 주장이 타당한 것처

럼 들렸다 그러나 금년 들어 국제유가가 전년에 비해 하락하고 원자재가격도 안정세

를 보이면서 상황은 역전되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근원물가 상승률보다 낮아지는 현

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결국 물가안정목표 수준을 오히려 상향조정한 결과가 되었다

향후 통화당국이 금리인상에 대해 더욱 소극적일 수밖에 없게 된 근거이다 하루 빨리

통화당국이 물가안정목표 수준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조정하여 이를 통해 금리정책의

운신 폭을 넓힘으로써 현재보다 기민한 금리대응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길 기대

해 본다

제Ⅰ장 거시경제 19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50호(20071224)

주요국의 금리정책 기조 변화와 시사점

宋 在 殷

〈요 약〉

올해 주요국 통화정책의 표 특징은 동반 긴축기조가 완화되었다는 이

다 이는 각국에 아직 과잉유동성의 문제가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용경색

이나 경기침체에 한 우려 등으로 인하여 더 이상 통화긴축이 힘든 상황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과잉유동성의 발생 주요국의 정책 리 동반 인상 최근 리

정책 기조 변화는 각국의 경제상황을 국가요인 심(country-centric)으로만 볼 것

이 아니라 로벌요인 심(global-centric)으로 근해 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

한다 우리나라의 융시장 변동에서도 로벌요인이 차지하는 비 이 증 됨

에 따라 주요국의 동반 정책 리 인상기조 완화는 통화당국의 극 인 정책

운용에 어려움을 더할 것으로 상된다

올해 주요국 통화정책의 대표적 특징은 2004년 하반기 이후 지속되어 온 미국의 정

책금리 인상이 멈추면서 동반 긴축기조가 완화되었다는 점이다 올해 상반기중에는

미국이 정책금리 인상을 멈춘 가운데 다른 주요국들은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하였으

나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가 본격화된 이후에는 미국이 정책금리를 인하하면서 다른

주요국들도 정책금리 인상을 중단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이러한 금리정책 기조의 변화를 이해하고 시사점을 찾기 위해

서는 먼저 작년 주요국들의 동반 정책금리 인상의 근본 원인이었던 글로벌 과잉유동

성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는 현재의 주요국 금리정책의 방향이 기본적으로 아

직 과잉유동성 문제가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인하여

더 이상 긴축하기 힘든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로벌 과잉유동성의 발생과 동반 통화긴축

먼저 과잉유동성이란 경제내에 존재하는 재화와 용역의 거래에 필요한 적정수준을

초과했다고 판단되는 유동성을 말하며 유동성 공급이 증가할 때 물가가 상품의 거래

량과 빈도를 반영하여 적절하게 상승하지 않으면 과잉유동성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주요국에 존재하는 과잉유동성은 각국의 통화정책 등 국가요인 중심(country

-centric)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글로벌요인 중심(global-centric)으로도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 즉 과거 미국의 저금리는 물론 현재에도 진행 중인 석유수출국 및 신흥

경제국들의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에서 발생한 막대한 양의 국제적인 잉여자금을 그

근본적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런 풍부한 자금은 국제금융시장을 통하여 세계 각국의 유동성 팽창을 야기하였

다 물론 각국은 불태화정책(sterilization)을 통하여 이를 억제할 수 있으나 유입된

유동성이 자산시장으로 쏠림으로써 자금시장에서 금리하락이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

황에서는 시중금리 상승을 초래할 이런 정책의 수행에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 일국이

독자적으로 이를 수행하려면 자국 통화의 상대적 강세에 따른 교역조건의 악화를 우

려하지 않을 수 없다

상품시장에서의 통화사용 측면에서 보자면 유동성의 초과공급은 통상 물가상승을

초래하여 유동성 수급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글로벌 물가상승은 상당

기간 시현되지 않았고 과잉유동성이 발생하게 되었다

유동성 팽창에도 불구하고 물가상승이 두드러지지 않았던 원인으로는 먼저 중국이

수출을 통하여 대규모 저가 상품을 세계시장에 공급했던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직접

적으로 중국 상품을 수입하는 국가들의 수입물가 상승을 억제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신흥공업국들이 생산하는 경쟁 상품들과 이러한 제품들을 중간재로 이용하는 상품의

가격상승을 억제하여 글로벌 물가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팽창된 유동성이 부동산이나 주식 등 자산시장에 쏠렸던 것도 일정기간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주식 및 부동산 시장의 호황과 자산가격 상승은 일차

적으로 과잉유동성 발생에 따른 결과이지만 이러한 상황은 자산가격의 지속적인 상

승에 대한 기대를 통해 이들 시장이 계속 대규모 유동성을 흡수하여 일반 물가상승을

제Ⅰ장 거시경제 21

억제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과잉유동성의 발생은 자산가격 거품 붕괴와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를 야기하

게 되었다 또한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한 국제유가도 수입물가 및 생

산비용 측면에서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2004년 이후 시작된 미연준의 정책금리 인상기조는 유동성 팽창과 물가상

승 압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성격이 강했다 특히 당시 미국 경제는 호조를 보이고

있어 통화긴축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높지 않았다

작년 들어 중국과 신흥공업국들의 상품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며 그간 누적된 유가

상승과 과잉유동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이 표출되기 시작했으며 물가불안과 자산가

격 거품에 대한 우려는 주요국 정책금리가 인상기조로 돌아서는 근본 원인이 되었다

또한 유로지역과 일본 등은 자본 유출을 우려하여 미국의 지속적인 정책금리 인상에

따른 국제금리 격차확대를 계속 방관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책 리 동반 인상기조의 완화

올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우려가 제기되기 시작하면서 2월에 미국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3월에는 주요국 주가가 동반 하락하는 등 증시가 불안한 모습을 보

이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의 원인은 과잉유동성에 따른 방만

한 대출 및 작년부터 시작된 주택경기 침체가 근본 원인이지만 미국의 금리인상기조

역시 모기지 금리의 상승을 통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

다 당시 미연준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금융위기로 발전할 것으로는 예상하지

않았으나 부실확대 우려가 주택경기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는 점과 회복이 지연되

고 있는 경기를 고려하여 더 이상 정책금리를 올리지 않게 되었다

한편 2007년 상반기중 유로지역과 중국은 정책금리를 두 차례에 걸쳐 각각 05p

와 045p 인상하였으며 일본 역시 정책금리를 한 차례 025p 인상하는 등 미국

이외의 주요국들은 정책금리 인상기조를 유지하였다 이는 이들 경제가 견조한 성장

을 지속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당시에는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통화당국들

의 과잉유동성과 자산가격 거품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2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하지만 하반기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대규모 환매와 금융기관 파산 사태로 이

어지면서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으로 발전하게 되자 안전자산으로의 자본유입 발생으

로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한 반면 주요국 단기금리들이 급등하였다 사태 발생직후 미

연준은 연방기금금리의 목표를 유지하면서 상한이내에서 이를 안정시키는 데 주력하

는 모습을 보였으나 주택경기의 지나친 침체와 금융시장 전체로의 신용경색 확산을

우려하여 결국 하반기중 세 차례에 걸쳐 1p(525rarr425) 인하하였다

국제금융시장 불안과 미국의 정책금리 인하에 따라 유로지역과 일본은 하반기중 정

책금리를 인상하지 않았고 중국도 9월 중순 이후 이를 중단하고 있다

향후 망 시사

향후 주요국 통화정책의 방향은 과잉유동성 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을 해소하기

위하여 당국이 정책금리를 인상할 여건이 되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이외의 다른 주요국 경제에는 아직 상당한 과잉유동성이 남아 있으며 유가를 포함한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 중국 등 신흥공업국의 수출품 가격상승 등이 계속 물가상승 압

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각국은 통화긴축을 통하여 유동성을 흡수할 필요가 있

는데 실제 정책금리 인상을 단행할지 여부는 무엇보다 경기상황에 달려있다

만약 향후 세계경제가 견조한 성장을 보이게 된다면 주요국 정책금리의 동반 상승

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전망에 따르면 고유가와

미국 주택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내년 세계 및 주요국 경제성장은 소폭 둔화될 것으

로 예상되는데 이렇게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압력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금리

정책의 방향은 전적으로 통화당국이 어디에 가중치를 둘 것인가의 판단에 달려 있다

지금처럼 물가와 경기 전망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어느 일방으로의 정책 필요성이

명백해질 때까지 당분간 각국의 정책금리는 현 수준에서 동결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

리고 앞으로 각국은 자국의 물가와 경기 자산시장 동향 또한 미국의 정책금리의 움

직임에 맞추어 이를 조정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금리차에 따른 자금의 유출입 변화와 환율 문제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우리나라에서 향후 적극적인 통화정책 운용을 더욱 어렵게 할 것이다 즉 유

제Ⅰ장 거시경제 23

동성 팽창에도 불구하고 쏠림현상 등으로 인하여 자금시장에서의 공급 부족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대외적 불확실성까지 증대되어 명확한 통화정책기조 설정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제Ⅱ장 금융 일반

제Ⅱ장 금융 일반 27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호(200711)

공적자금회수 전략의 재설정

金 秉 德

〈요 약〉

공공부문이 지난 10년간 구조조정과 련하여 인수한 후 재까지 보유하고

있는 잔존채권의 처분과 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첫

째 MampA를 통해 매각 가능한 기업에 해서는 시장의 유효경쟁 여건을 검하

는 시간 여유를 가지고 회수극 화에 을 맞출 필요가 있다 한 국가

기간산업의 경우 산업구조의 변화 국민경제 향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인수자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무 투자자로서 연기 PEF의 극

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산회사정리워크아웃 등의 잔여

기업군에 해서는 흐름을 측할 수 있는 기업들을 모아서 유동화증권을

발행하되 필요 시 한 신용보강을 하는 방법을 검토해볼 수 있다 셋째 개인

채권에 해서는 무분별한 제3자 매각은 불법추심 등의 사회 부작용을 발생

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객 으로 회수가능성이 없는 경우는 한 손상각이

필요하다

새해 丁亥년의 날이 밝았다 금년은 외환위기가 발생한 지 10년이 되는 해이다 지

난 10년간 대한민국의 경제체제에는 획기적인 변화가 있었다 자의 또는 타의에 의해

근로자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의 체질이 근본적으로 변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개방

화가 가속화되는 속에서 환율 금리 주가 성장률 등 경제의 펀더멘탈을 반영하는 변

수들도 안정궤도에 재진입한 지 오래다

본고의 주제는 구조조정이 일단락된 오늘의 시점에서 공공부문의 공적자금 회수전

2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략을 재조명해 보는 것이다 돌이켜보면 환란 직후 정부의 역할은 위기상황 극복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조성된 공적자금을 부실 금융회사의 구조조정에 투입하여 금융시

장을 우선적으로 안정시키는 것이 주 역할이었다 강력하고 신속한 구조조정 결과 우

리 경제는 가장 성공적인 위기극복 사례로 칭송받기도 한다 그러나 환란 발생 후 10

년이 지난 오늘에도 구조조정과 관련되어 인수된 채권으로부터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틀(framework)은 10년 전 제정된 법률에 의거하여 환란 직후의 모습 그대로를 보이

고 있다 본고에서는 향후 공공부문이 보유하고 있는 잔여채권의 처리와 관련된 이슈

들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향해야 할 공적자금 회수정책의 보완점을 제시

해 보고자 한다

공공부문 보유 채권의 황

현재 예금보험공사 자산관리공사 산업은행 등 공공부문의 장부에는 구조조정과 관

련되어 인수된 잔존채권들이 상당히 남아 있다 동 채권은 다양한 형태와 특징을 보이

고 있는데 분석의 편의를 위해 이를 채권의 성격에 따라 간단하게 분류해 보도록 하자

첫 번째 부류는 구조조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거나 시장환경이 호전되어 MampA시

장에서 매각할 수 있는 기업들의 채권들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우리금융

지주 서울보증보험 제주은행(이상 예금보험공사 주관) 대우건설 대우인터내셔날

쌍용건설(이상 자산관리공사 주관) 대우조선해양 새한 남선알미늄(이상 산업은행

주관) 대림수산 대우일렉트로닉스 대우정밀 새한미디어(이상 우리은행 주관) 등이

있다 이들 기업의 주식 중 대주주(controlling share) 부분은 MampA시장에서 시가 대

비 0~50 내외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으면서 매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부류는 구조조정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였거나 시장상황이 호전되지 못한 이유

등으로 청산이 진행 중이거나 회사정리 변경안이 추진되거나 기업개선작업(workout)

이 진행 중이거나 MampA를 추진 중이지만 성공여부가 불투명한 기업들의 채권이다

동 채권들은 해당기업의 숫자가 수백 개에 이르면서 다양한 경영환경에 처해 있어서

향후 채권회수의 현금흐름이 불확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셋째 부류는 이상의 기업채권들 이외에 나머지 가계채권 또는 소규모 중소기업의

제Ⅱ장 금융 일반 29

채권이다 동 채권과 관련된 담보물은 경매 또는 공매를 통해서 이미 회수되고 잔존채

권은 대부분 무담보 채권으로서 원금 대비 회수율이 극히 미미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

되는 채권이다

MampA 상 기업채권의 처리 시 유의사항

이들 기업 중 상당수는 구조조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다수의 국내외투자가들

이 경영권 인수를 희망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동 채권에 대한 처리의 기본방향은

ldquo신속성rdquo보다는 ldquo공적자금회수 극대화rdquo의 원칙이 상대적으로 더 강조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돌이켜보면 환란 직후에는 신속한 시장안정이 절실히 필요했고 또한 공적자

금 투입으로 회수된 자금을 재투입함으로써 공적자금투입의 지렛대(leverage)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공적자금회수에 있어서 ldquo신속한 처리rdquo에 우선순위가 두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첫 번째 부류의 채권은 향후 시장상황에 따라 매각 경영권 프리미엄

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이다 따라서 향후 동 채권의 매각전략은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회수극대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회수극대화를 위한 매각전략 선택에 있어서 매각대상 기업이 속해 있는 시장에 적

절한 인수자격을 가진 다수의 유효한 경쟁자들이 존재하는가 여부가 가장 중요한 판

단의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유효한 시장경쟁 요건이 충족되지 못한다고 판

단될 때는 매각 타이밍을 적절히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매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 동일한 산업에 다수의 매각기업이 있는 경우에는 매각에 적절한 시간차를 두어서

시장에 일시에 과도한 매물이 나오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적 제약조건으로 작용하는 관련 법률에 정해져 있는 기금청산

및 구조조정 기업 매각시한을 우선적으로 연장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부실채권정

리기금을 2007년 11월까지 청산하기로 규정한 ldquo금융기관부실자산등의효율적처리및한

국자산공사의설립에관한법rdquo과 우리금융을 2008년 3월까지 매각키로 규정한 ldquo금융지

주회사법rdquo의 개정을 통해 적절한 시간적 여유를 갖는 것이 불가피하다

현재 MampA를 통한 매각대상 기업의 면면을 살펴보면 우리금융을 포함하여 일부

회사들은 국가적 기간산업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될 수도 있다 미국의 경우

3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엑손플로리오(Exon-Florio)법에 의해 경제적 안보를 포함하는 국가안보 차원에서 첨

단기술기업에 대해서는 외국인의 인수에 대해 엄격한 사전적 심사를 하고 있다 우리

의 경우에도 이러한 성격의 기업을 매각하는 경우에는 회수의 극대화 원칙뿐만 아니

라 동 기업 매각으로 인해 초래되는 산업구조의 변화 및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수자를 결정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한편 매각대상 기업의 규모를 살펴보면 시가총액이 1조원을 상회하는 대형기업이

10개 내외인 데 반해 실질적으로 이를 인수할 수 있는 국내자본은 그리 많지 않아서

가장 현금흐름이 양호한 대규모 기업집단의 기업 중에서 출자여력이 5천억을 넘는 기

업은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산업자본계열 기업이 전략적 투자자

(strategic investor)로서 해당기업의 인수주체 역할을 하고 연기금 PEF 등이 재무

적 투자자(financial investor)로 컨소시엄에 참가하여 보완하는 방식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특히 막대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 다변화 측면에

서 대안투자(alternative investments)가 절실히 필요한 연기금이 직접적 방법 또는

PEF 출자 등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MampA시장에서 재무적 투자자로서 적극적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정부당국도 연기금 및 PEF의 MampA시장에서의 참여 활성

화를 위해 규제완화 등 다양한 정책적 배려를 고려해 볼 시점이다

기타 잔여 기업채권 련 고려사항

두 번째 부류인 청산 기업개선작업 회사정리 등 다양한 경영상태에 처해 있는 기

업군은 과거 10년간의 구조조정 기간 중 채권보유기관들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처

리하고자 하였으나 사정이 여의치 못해 남아 있는 잔여 기업군이라 할 수 있다

이들 기업들은 구조조정 또는 회사정리단계 등 다양한 경영환경에 처해 있기 때문

에 이를 처리하는 방법도 다기화될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이를 관리하는 공적 채권

보유기관들의 관리비용 또한 상당히 소모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공적자금회수에

있어서 일정한 매듭을 짓는 의미에서 이들 기업군 중에서 회수 현금흐름이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채권만을 따로 모아서 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

하다 현금흐름이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채권을 대상으로 유동화증권을 발행할 경우

제Ⅱ장 금융 일반 31

공개입찰을 통한 완전매각방식(outright sale)을 통해서 정리하는 방법에 비해 상대

적으로 회수비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완전매각방식을 채택할 경우

해당채권을 매입하려는 매입주체가 매우 적을 뿐더러 수요가 적은 상태에서 매수자들

이 제시하는 할인율은 상당히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자산유동화증권을 발행할 때 필요한 경우 공적기구의 신용보강을 통해 시장에서 소

화시킬 수 있는 선순위채권의 부분을 조절함으로써 우선적으로 회수하고 싶은 공적자

금의 액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개인 신용불량채권 련 고려사항

마지막 부류인 개인 신용불량채권은 무담보인데다가 이미 채권기관이 인수하여 연

체발생 이후 5년 이상 장기간이 경과되어 채권 질이 저하되고 회수가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만약 이러한 개인 신용불량채권을 무리하게 공신력이 없는 제3자에게 매

각할 경우 불법적인 추심행위로 인해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채권

기관들은 채권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파산 면책채권 등 객관적으로 회수가능성이 없

다고 인정되는 채권에 대해 적절한 대손상각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3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5호(2007129)

주택관련 정책과 금융시스템 안정성

李 秉 允

〈요 약〉

집값의 국지 폭등은 경제주체들의 인센티 구조를 왜곡시키고 세 내

(intra-generation) 빈부격차뿐 아니라 세 간(inter-generation) 빈부격차를 확 시

켜 경제 체 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낳게 되므로 집값 안정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간 정부는 집값 안정을 해 지속 으로 정책을 펴왔으

며 이러한 정책은 부분 일 된 원칙하에서 주택정책의 규범을 제시해 왔다

는 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곳에 주택

공 을 늘리고 ldquo살고 싶어하는 곳rdquo 자체도 늘려가는 정책이 좀 더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장기 으로 1가구 1주택자의 양도소득세는 새집을 사는

데 양도차액을 모두 사용했을 경우에는 이연해 주다가 차후에 양도차액을

화했을 때 부과하여 주택이 의 편의는 제공하면서도 불로소득은 차단하는 방안

을 검토해 볼 만하다 한편 DTI 규제는 융시스템의 안정성과 련된 것인 만큼

외를 두지는 말되 그 비율을 히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융감독당국은 융시스템 안정성 확보를 해 주택가격의 연착륙을 도모해

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집값 상승세가 주춤해지고 있다 지난 2003년의 소위 1029 대책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정부의 부동산 안정 대책들이 이제야 효과를 내고 있는 모양이

다 최근에는 시장금리도 상승하고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도 강화되는데다 주택담

보대출 건수도 1인당 1건으로 제한되면서 주택시장으로 가는 돈줄도 마르고 있어 주

제Ⅱ장 금융 일반 33

택가격이 오랜만에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파트 가격 폭등과 이를 막기 위한

대책들 간의 전쟁통에서 벗어나 이제 좀 한숨 돌릴 수 있게 된 만큼 지난 정책을 돌아

보고 앞으로 또 있을지 모르는 전쟁에 대비해 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강남 집값은 왜 올랐나

2007년 1월 15일 국민은행 조사에 의하면 강남구 아파트 한 평당 평균 매매가는

3526만원으로 서울의 25개 구 중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싼 도봉구

(806만원)에 비해서는 무려 44배나 비싸며 2위인 서초구(2677만원)에 비해서도

32나 비싸서 발군의 1위라고 할 수 있다 강남구의 아파트 가격은 21세기를 사는 대

부분의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초미의 관심사이며 이야깃거리이다 우리나라에서 내로

라하는 부자들이라면 적어도 강남에 아파트 한 채 정도는 가지고 있기 마련이고 지방

에서 돈깨나 있다고 자부하는 사람들도 강남 아파트를 마련하기 위해 강남의 복덕방

을 기웃거리는 것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강남구는 2001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

부동산 가격 폭등의 진앙지이고 600조원을 향해 가는 가계신용 폭증을 이끈 장본인이

자 대부분 대한민국 국민들의 선망의 대상이다

강남구 아파트는 그동안 왜 그렇게 올랐고 또 왜 이렇게 비쌀까 부동산가격이 폭

등하는 동안 우리 국민 대부분이 부동산 전문가가 되었기 때문에 이 질문은 정말 모두

다 대답을 알고 있는 하나마나한 질문일지도 모르겠지만 이것부터 한번 찬찬히 살펴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강남은 기본적으로 살기 좋은 곳이다 먼저 우리나라 상업의 중심이 명동 종로 등

강북에서 강남으로 이동하는 바람에 강남에 살면 집과 직장과의 평균 거리가 줄어들

어 생활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여기에 국민들 세금으로 건설되는 사회간접자본도 강

남 그 중에서도 특히 강남구에 집중적으로 건설되어 있다 웬만하면 왕복 8차선 이상

의 시원한 도로들이 사방으로 뚫려 있고 몇 걸음만 가도 여기저기 지하철역이 보인다

지하철 237호선과 분당선이 강남구를 지나며 강남구에는 지하철역이 21개나 된

다 필자가 지하철역의 행정구역 구성을 제대로 잘 몰라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 정도면 가히 서울의 다른 구와는 비교 자체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가 이

3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처럼 많은 사회간접자본을 공짜로 지어줘서 삶의 편의성을 높여 놓고는 집값이 오르

지 않기를 바라는 것은 모순이다

강남은 또 생태하천으로 거듭난 양재천변과 한강변 사이에 위치해 친환경적 주거여

건도 자랑하고 있다 거기에다 각종 백화점 할인점 유명 음식점 문화시설 등이 빽

빽이 들어차 있다 이 정도만 해도 너무나 살고 싶은 동네가 되기에 충분하다 그런데

여기에 또 한가지 교육이 더해진다 집안이 거덜나고 노후대책이 막막해져도 내 자식

좋은 대학 보낼 수 있다면 돈을 아까워하지 않는 것이 우리 부모들이다 그런데 웬만

한 아이 데려다 놔도 철저하게 관리하고 교육해서 좋은 대학 들여보내주는 학교와 학

원들이 몰려 있는 동네가 있다면 그 동네 집값이 어떻게 될까 여기에 부자 커뮤너티

라는 프리미엄까지 얹어지니 수요가 몰리고 다른 지역에 비해 집값이 크게 오른 것이

당연해 보인다 소위 버블세븐 지역들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와 유사한 이유로 가

격이 크게 올랐다고 할 수 있다

집값의 국지 폭등이 야기하는 문제들

다른 부동산도 아닌 인간의 가장 기본적 생활터전인 집의 가격 상승 그것도 지역

별 편차를 극심하게 드러내는 집값 폭등은 엄청난 후유증을 가져온다 자본주의 시장

경제체제의 가장 큰 장점은 경제주체가 각자 자기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했을 때 사회

전체적으로도 가장 바람직한 결과가 나온다는 것이다 또 누구에게나 평등한 기회가

열려 있어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지고 열심히 일하면 누구나 잘살 수 있게 되는 경제시

스템이라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부동산 가격의 국지적 폭등은 이러한 자본주의의 두 가

지 중요한 장점을 사라지게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

지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보다는 집 한번 잘 사고 판 사람이 훨씬 더 많은 부를 축적하

는 인센티브 구조를 가진 경제시스템이 사회 전체적으로 좋은 결과를 낳을 수는 없다

집값의 국지적 폭등은 같은 세대 내(intra-generation) 빈부격차뿐 아니라 이보다

더 문제가 큰 세대 간(inter-generation) 빈부격차를 낳게 되었다 같은 세대 내 빈부

격차의 경우는 부동산 투자를 잘못해 가난해진다는 것이 불합리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남들 다 투자할 때 제대로 투자하지 못한 당사자에게도 어느 정도 책임이 있다고 할

제Ⅱ장 금융 일반 35

수 있다 그러나 윗세대들이 부동산 값을 올려놓아 아래세대가 모두 가난해져 버리는

세대 간 빈부격차의 경우 아무리 노력해도 부모 잘 둔 사람을 따라갈 수 없게 되는 결

과가 초래되어 사회의 활력을 없앤다는 측면에서 더 큰 문제를 야기한다고 하겠다

주택공 정책

집값 폭등에 따른 문제가 이처럼 심각하기 때문에 집값 안정화는 매우 중요한 정책

과제이고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 2003년 1029 대책부터 시작하여 많은 정책을 만들

어 왔다 최근 들어 이러한 정책들이 점차 그 효과를 발휘하고 있고 앞으로도 집값 안

정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필자는 그 대부분의 정책들이 일각의 부정적 시각

과는 달리 일관된 원칙에 따른 바람직한 것들이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필자는 여기

서 지금까지의 정부정책들을 하나하나 끄집어 내어 평가하고 비판할 생각은 없다 다

만 몇 가지 우리가 생각해 볼 만한 과제들에 대해 의견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주택정책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사람들이 살기 원하는 곳에 공급을 늘려주고 그

곳에 공급을 더 이상 늘릴 수 없는 지경이 되면 그 ldquo살기 원하는 곳rdquo 자체를 더 늘려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주택시장을 완전히 시장원리에 맡겨 두면 이러한 문

제는 시장원리에 의해 자연히 해결된다 하지만 인간생활의 기본인 주거문제를 그냥

시장에 내맡길 수는 없는 일이다 특히 주택은 지을 땅이 한정되어 있고 외국에서 수

입도 되지 않아 일반 재화처럼 무한 생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완전히 시장에 맡길 수

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설사 시장에 맡길 수 없더라도 시장원리가 어느 정도 작동하게

하려면 사람들이 원하는 곳에 공급을 늘리고 ldquo원하는 곳rdquo 자체도 늘려주는 정책은 지

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현재 사람들이 가장 살고 싶어 하는 소위 강남권에는 지금보다 주

택공급을 대폭 늘려 금싸라기 땅을 아주 효율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많

은 사람들이 들어가 살고 싶어하는 지역에 엄격한 용적률 규제 등을 두어 주택 수를

줄이는 것은 난센스다 하지만 용적률 규제를 완화하면 강남권 재건축 지역이 또다시

주택가격 폭등을 견인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는 전반적인 주택수급 균형 개발이익환

수제 강화 분양가 상한제 등을 시행해 가면서 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한 걸

3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음 더 나아가 개발이익 환수를 철저히 한다는 전제하에 오히려 강남권에는 용적률 하

한선을 두어 도시의 수용능력(capacity)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주택 수를 늘

리는 것도 생각해 볼 만한 과제이다

주택 련 세 정책

다음으로는 주택관련 세제 문제다 비싼 재산을 가지고 있으면 높은 세금을 내고

소득이 발생하면 세금을 내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최근에 세제가 정비되

기 전까지는 주택관련 세금이 여타 세금에 비해 너무 미약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

의 방식에 큰 문제가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인간의 가장 기본적 생활 유지

를 위한 주택에 대한 세금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최소한 거주용 주택에 대해서는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현재의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된 이후에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제도개선을 도모해 보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먼저 1가구 1주택자에게는 주택 매입가를 기준으로 보유세를 부과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는 생각이다 이렇게 되어야 주택매입 시 주택보유에 따른 세금까지 고려하여 자

금계획을 세울 수 있고 장기 보유의 유인도 생기게 된다 주택 가격이 오르는 것이

집주인의 책임도 아니며 주택가격이 오르더라도 이를 매각하지 않는 이상 주택소유

자의 재산은 변하지 않으므로 시세에 맞춰 보유세를 내는 것보다는 매입가격에 비례

해 보유세를 내는 것이 더 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 물론 집값이 오른 후 그 동네로

이사 오는 사람은 기존 보유자보다는 더 높은 보유세 부담을 안게 될 것이다 또 투자

목적으로 주택을 2채 이상 보유할 경우에는 높은 보유세를 부과해야 할 것이며 재건

축의 경우에는 조합원의 입주도 신규 입주이므로 신규 분양가에 맞추어 보유세를 부

과하면 무분별한 재건축을 억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양도소득세의 경우 물론 주택 매각가가 과거 그 주택의 매입가보다 높으면 소득이

발생한 것이므로 세금을 내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주택은 상업부동산이나 주

식 등 여타 자산과는 달리 기본적인 주거와 관련되는 것인 만큼 조금 다른 기준을 고

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1가구 1주택자의 경우 기존 주택을 팔더라도 다시 주거를

위한 새로운 주택을 구입해야 하는 만큼 기존 주택 매각가와 새 주택 매입가의 차액만

제Ⅱ장 금융 일반 37

이 소득으로 발생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여기에다만 양도소득세를 부과하는 것이 타

당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방식이 양도에 따른 차액으로 발생하는 소득에 과세한다

는 양도소득세의 원래 취지에 더 부합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1가구 1주택

자의 경우에도 나중에 작은 집으로 옮기거나 주택을 구입하지 않아 거주용 주택 가치

의 일부를 현금화함으로써 소득이 발생하거나 자녀에게 상속할 때에는 고율의 세금

을 부과하여 주택에 의한 불로소득을 차단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실제로 소득이

발생한 것이므로 1가구 1주택이라고 해서 세금혜택을 크게 줄 필요는 없을 것이다

현재의 양도소득세 방식은 1가구 1주택자라도 6억원 이상 주택 매각 시에는 양도차

익에 따라 양도세를 부과하는데 양도차익이 매우 커도 주거용 1주택이라는 이유로 공

제를 많이 받아 실제로 양도차익에 대해 제대로 과세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렇다

고 주거용 1주택에 대해 양도세를 과하게 부과하기도 어려운 점이 있다 하지만 1주택

자의 경우 구주택 매각가와 신주택 매입가의 차액에 대해서는 고율 과세하고 주택 상

속과세를 강화하면 주택가격 상승으로 인한 불로소득을 차단하면서도 세금 때문에 1

주택자가 주거용 주택구입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어 일거양득이

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새 주택을 비싸게 주고 샀을 경우에는 재산이 늘어나는 것이므

로 보유세를 많이 내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보유세 및 양도소득세 관련 세제개

편은 주택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으므로 현행 제도가 정착되어 주택가격이 안정되고

또 실거래가 신고가 완전히 정착된 이후에 신중히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주택 련 융정책

마지막으로 주택관련 금융정책과 관련된 것들이다 차주의 상환능력 범위내에서 대

출을 해주어 금융회사의 리스크관리를 도모한다는 취지의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는 2006년 330 대책 때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는 감독당국이 도입하

기 이전에 금융회사들이 리스크관리를 위해 먼저 도입했어야 하는 제도로 도입이 늦

은 감마저 있다 DTI 규제는 금융회사의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지역

및 소득수준 등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하되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금융회사가 비율을

조정해 갈 필요가 있다

3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여기서 유념해야 할 것은 DTI 규제는 금융회사 리스크관리를 위한 것이지 주택시장

의 돈줄을 죄자는 규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금융회사 리스크관리를 위해 DTI 규제는

예외 없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지만 주택시장의 돈줄을 죄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DTI

규제를 강화하면 자금중개라는 금융의 중요한 기능이 위축될 수 있다 자금은 수익률

이 높은 곳으로 흘러가게 마련이다 그동안은 주택시장의 수익률이 높았기 때문에 주

택시장으로 자금이 많이 흘러갔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주택시장으로 자금이 많이 몰

려 문제가 야기된다면 주택시장의 수익률을 떨어뜨리고 주식 등 다른 자산시장의 수

익률을 높이는 정책을 펴서 자금흐름의 방향을 바꾸어 주어야지 자금흐름 자체를 억

누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금융회사가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범위내에

서 금융회사의 자금중개 기능을 위축시키지 않을 만큼의 적정한 DTI 비율을 찾아내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주택가격 안정과 융시스템 안정화

주택가격의 하향 안정화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이지만 아이러니컬한 것은

금융시스템 위기는 주택가격이 상승할 때가 아니라 하락할 때 오게 된다는 점이다 따

라서 정부가 역량을 모아 주택가격 하향 안정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지만 누군가는 이

러한 주택가격의 추세반전이 혹시 금융시스템 위기로 연결될 가능성이 없는지 지속적

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속도조절을 하는 인기없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는 금융감독당국의 역할이다 따라서 금융감독당국은 주택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이것이 크게 늘어난 가계부채에 충격을 주지 않으며 연착륙할 수 있도

록 속도조절을 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그간 주택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아

좌절과 절망을 겪은 국민들이 대다수인 상황에서 주택가격이 너무 빨리 떨어지지 않

고 연착륙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은 매우 인기가 없는 역할일 수도 있다 하지만 어

차피 금융감독이라는 것이 너무 앞서 나가는 것에 제동을 거는 인기 없는 역할을 맡을

수밖에 없는데 그래도 이를 담당하여 묵묵히 제 역할을 수행할 때 우리 금융시스템

나아가 우리 경제가 유지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주택가격은 반

드시 하향 안정화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그 속도는 점진적이어야 한다

제Ⅱ장 금융 일반 39

한양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8호(2007219)

부동산 버블 금융위기설 그리고 정책의 신뢰성

河 駿 坰

〈요 약〉

재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부동산시장의 향배는 양질의 주택이 가진 희소

성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인지 그리고 부동산 련 융긴축 정책이 계속될

것인지의 여부에 달려 있다 이 문제들은 상당 부분 정부정책에 의해 좌우되

는데 최근 제기되고 있는 부동산발 융 기설은 정책의 신뢰성에 의문을 가

지게 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즉 사람들은 정부가 주택가격 하락으로 인한

융 기 가능성 때문에 주택가격의 하방경직성을 추구할 것이라는 기 를 하

게 되는 것이다 재 우리나라 융부문의 건 성을 감안하면 부동산가격이

1~2년 수 으로 하락하더라도 그것이 융 기로 발 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융 기설의 포로가 되어 있다는 념이 확

산됨으로써 정책의 신뢰성을 훼손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 를 불식시키기

해서는 정책당국이 주택가격이 하락하더라도 그 충격을 해당 부문에 국한시킬

수 있는 컨틴 시 랜(contingency plan)을 세워 충분히 처할 능력을 보유하

고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기 가능성에 한 우려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2007년초 부동산 시장은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가 극도로 위축되면서 모두 눈

치를 보고 있는 형국이다 이렇게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것은 사람들이 아직 부동산시

장에 대한 기대를 명확히 형성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과연 부동산가격이 하향안정세

로 접어들었는지 아니면 더욱 폭발적인 상승세로 반전할 것인지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기다리는 것이 최선인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여론조사에서뿐만 아니라 주

4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요 경제연구기관들 사이에서조차 주택가격에 대한 전망은 크게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택가격이 강남지역 주택공급의 희소성을 바탕으로 다시 상승할 것이

라는 의견도 있고 정부의 추가조치에 따라 크게 하락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부동산 버블 단순 버블인가 합리 버블인가

이러한 의견대립은 주택시장 버블의 성격에 대한 판단과도 관련된다 만약 주택시

장 버블이 펀더멘털과는 무관한 단순한 버블이라면 조만간 터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주택시장의 버블이 펀더멘털의 가치상승에 기초한 이른바 lsquo합리적 버블(rational bub-

ble)rsquo이라면 그것은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 예컨대 펀더멘털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동시에 버블이 같은 속도로 커진다면 버블에 투자하는 것이나 펀더멘털에 투자하는

것이나 수익률 면에서는 마찬가지이므로 양자 간에 재정거래(arbitrage) 기회가 사라

진다는 의미에서의 합리성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버블이 존재하는 것이 확실하다고

해도 그 기초가 되는 펀더멘털 가치의 움직임이 어떠한가에 따라 버블의 지속성은 크

게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주택이라는 자산의 펀더멘털은 주택에서 나오는 서비스 즉 교육 문화 교

통 쾌적한 환경 등 주거여건일 것이며 이러한 주거여건의 희소성이 유지되고 더욱

커질 가능성에 대한 기대야말로 인기지역 주택펀더멘털의 상대가치 상승과 버블의 지

속확대 가능성을 뒷받침해 주는 요인일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주택시장 버블이 단순 버블인지 합리적 버블인지 여부는 강남을 비

롯한 주거여건 우수지역의 질 높은 주택의 희소성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인지의 여부

에 달려 있다 만약 질 높은 주택이 앞으로도 계속 희소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하게

되면 버블은 어떤 충격에 의해 일시적으로 줄어들었다가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부풀

어 오르는 패턴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반면에 질 높은 주택의 희소성이 점차 사라질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하게 되면 주택시장의 버블은 축소압력을 받을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41

버블과 융

어떤 요인에 의해 버블의 불씨가 생기기 시작하면 금융이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역

사적 경험이다 버블은 스스로 내생적으로 신용을 창조하기도 한다 일본의 부동산버

블 시기에도 그러했고 1980년대 미국의 저축대부조합이 경쟁적으로 텍사스 지역의 부

동산 투기에 돈을 댈 때도 그러했다 버블의 가능성이 보이는 곳에서는 어김없이 신용

창조가 일어나서 버블을 실현시켜 주었던 것이다 따라서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규제

나 금리정책도 부동산 버블의 크기와 부푸는 속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정부정책의 유인 합성과 융 기설

이상을 종합하면 부동산버블의 지속가능성 여부는 앞으로 질 높은 주택의 희소성이

유지될 것인지 여부 그리고 버블을 억제하는 금융정책이 지속될 것인지 여부에 주로

달려 있다

그런데 정부는 주택공급을 확대하고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건전성 규제를 강화하겠

다고 밝히고 있다 정부의 방침대로라면 버블은 축소되고 부동산가격이 하향안정화되

는 것이 마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시장이 아직도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정책이 지속될 것이라고 믿지 않기 때

문이다 정책에 대한 신뢰는 정부정책의 유인적합성(incentive compatibility)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

유인적합성은 정부가 정말로 부동산가격을 하향안정화시킬 유인이 있느냐의 문제

이다 우선 질 높은 주택의 희소성과 관련해서는 적어도 주택가격의 상승을 예상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강남 등 선호지역 주택의 희소성을 약화시키지 않을 것이

라는 확고한 믿음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들은 선호지역에 거주하는 상당수

정책결정자들의 이해관계를 그 근거로 제시한다 또 정부의 공급확대 정책이 가급적

선호지역을 비껴가는 방향으로 추진되어 온 것도 이러한 믿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선호지역의 희소성을 유지해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논리는 물

론 자의적이고 과장된 것이겠지만 정부가 버블이 꺼지는 것보다는 현상유지를 바랄

4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것이라는 믿음이 상존하는 것이 현실이다

사실 시장으로 하여금 주택가격 하향안정화에 대한 정부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하는

더욱 중요한 요인이 바로 금융위기설이다 최근 제기되고 있는 부동산발 금융위기설

에서는 주택가격의 경착륙이 발생할 경우 가계부채 위기가 발생하고 그것이 금융위기

와 경제위기로 이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사람들은 정부가 이러한 논리를 무시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부동산 가격의 하락을 꺼릴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되는 것

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대가 형성된 것은 지난 몇 년 간 경기부진 속에서 주택가격에 하방경직성

이 나타났다는 사실을 보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정말로 부동산가격 하락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부동산 정책의 신

뢰성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융 기의 가능성

사실 부동산발 금융위기의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 외환위기 이후 국내 은행들의

자본충실도는 크게 개선되었고 여신심사기준 강화 보수적 자금운용 등으로 부실여신

비율도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저축은행권 역시 은행권보다는 충격흡수 능력이 취약하

지만 자본충실도가 크게 개선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주택가격이 1년 전 또는 2년

전 수준으로 되돌아간다고 해도 그것이 금융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부동산발 금융위기설의 포로가 될 것이라는 믿음이 힘을

얻는 것은 만에 하나 부동산가격이 경착륙했을 때 정부가 적절히 대응하기 곤란할 것

이며 그러한 일이 벌어질 수 있는 희박한 가능성조차도 회피하는 것이 정부의 유인적

합성에 맞는 것이라고 시장참가자들이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주

택가격이 사실상 하방경직성을 갖는 것은 당연하며 부동산불패의 신화는 계속될 수

있는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43

융 기설의 포로가 되지 않으려면

따라서 정부가 정책의 신뢰성을 얻기 위해서는 스스로 금융위기설의 포로가 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금융위기를 포함한 모든 가능성에 대해 적절히 대

처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시장이 믿게 해야 한다

만에 하나 주택가격이 폭락하더라도 정부가 그 충격을 부동산시장 내부에만 국한시

킴으로써 충격이 금융위기로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러한 능력을 시장

이 믿어준다면 정부는 금융위기설의 포로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버블은 자본주의 경제에서 끊임없이 발생했고 버블의 붕괴는 금융위기로

연결되곤 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정책당국의 대응방식도 많이 진화해서 버블붕괴

의 충격을 해당 시장에만 국한시키고 금융위기로 전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들이 개발되었다 그 하나의 예가 최종대부자(lender of last resort) 기능이다

최종대부자 기능은 금융위기 시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해서 일시적인 유동성부족으

로 인한 위기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이다 다만 이 기능은 무원칙한 유동성 공급이

아니라 도덕적 해이 방지장치가 수반된 시장안정 장치라는 데 주의할 필요가 있다 최

종대부자 이론의 선구자인 Bagehot이 제시한 ldquo(금융위기 시) 높은 이자율로 자유로이

대부해준다rdquo(lend freely at a high rate)는 원칙을 참고해서 관련 정책당국들이 컨틴

전시 플랜(contingency plan)을 세우는 것도 검토해 볼 만하다

당국이 모든 가능성에 대해서 철저히 대비가 되어 있다는 믿음을 시장에 주게 되면

그 자체로서 금융위기의 우려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4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0호(200735)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이행실적과 평가

朴 宗 奎

〈요 약〉

공 자 상환 책에 따라 공 자 을 상환해온 지 이제 만 4년이 지났다

이 책의 핵심은 자체상환되지 못한 공 자 을 국채로 바꿈으로써 우발채무

를 직 채무로 환한 뒤 이것을 재정을 통해 25년 간 으로 갚아나간다는

것이었다 공 자 을 굳이 국채로 환하는 이유는 재정수지에 압박을 주어

세출삭감과 세입증 를 통한 세 의 채무상환을 유도함으로써 미래세 의

부담을 덜어주기 함이었다 그러나 수많은 논란 끝에 25년을 내다보며 만들

었고 철 한 이행을 해 법까지 만들어 국민에게 약속했던 이 장기계획은

련법 발효 첫해부터 제 로 실행되지 못했다 특히 일반회계 출연부분이 국채

잔액을 이지 못한다는 이유로 심각하게 지연되어 왔는데 이는 그 지 않아

도 불공평하게 과도한 부담을 지게 되어 있는 미래세 의 재정부담을 더더욱

가 시킬 것이다

공적자금의 원활한 상환을 위해 공적자금 상환대책이 마련된 것은 2002년 여름이

었고 이를 토대로『공적자금상환기금법』이 제정되어 시행된 것은 2003년 1월 1일부

터였다 이 법은 2027년 12월 31일까지 효력을 가지도록 정해졌으며 이에 따라 정부

의 공적자금 상환계획도 25년에 걸친 장기계획으로 마련되었다 금융위기 수습을 위

해 조성했던 공적자금을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상환하여 온 것은 이제 만 4년이 조금

지난 셈이다 그리고 내년은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과 부실채권정리기금의 자산

과 부채를 다시 실사하여 2002년에 정했던 상환 스케줄을 재계산하여야 하는 해이기

도 하다

제Ⅱ장 금융 일반 45

『공 자 상환 책』의 주요내용과 의의

2002년 당시의 공적자금 상환대책을 다시 훑어보자면 먼저 상환대상 채무를 2002

년말 기준 97조원으로 평가하였고 그 가운데 예금보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가 자체 상

환할 수 있는 금액을 28조원으로 추산하였다 그리고 자체상환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

되는 나머지 69조원에 대해서는 금융권이 20조원 재정이 49조원씩 분담하여 25년

동안 갚도록 하였다

금융권이 분담할 20조원은 예금보험공사가 부보금융기관으로부터 매년 부보대상예

금 평잔액의 01에 해당하는 특별보험료를 부과하여 조달하도록 하였고 재정이 분

담할 49조원은 공적자금상환기금이 만기도래한 예금보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의 보증

채권을 국채로 바꾸어준 뒤 이를 일반회계로부터 ldquo2002년 현재가치rdquo 기준 2조원씩을

전입 받아 25년 간 상환하도록 하였다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정부가 막대한 잠재적 재정 부담을 더 이

상 회피하지 않고 상환을 시작해 나가겠다는 방침을 확정한 데에 있었다 즉 예금보

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가 자체상환하지 못하는 만기도래 공적자금을 국채로 바꾸어

줌으로써 우발채무를 직접채무로 전환시킨 뒤 이를 25년 동안 재정을 통해 현금으로

상환해나가기로 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핵심 골자였다

『공 자 상환계획』의 이행과정

공적자금상환계획은 25년을 내다보면서 만든 장기 재정계획이었으며 필자가 아는

한 우리나라 정부수립 이래 지금까지 25년이란 장구한 세월을 염두에 두고 세웠던

장기 재정계획은 역사상 이것이 처음이었다 이 계획의 실행 첫해인 2003년에는 예정

대로 2조원을 일반회계에서 전입하여 상환자금으로 충당하였다 그러나 공적자금상환

기금법이 발효된 이후 그 법에 따라 처음으로 편성한 2004년 예산에서는 일반회계로

부터의 전입금이 당초 예정된 2조 1천억원이 아니라 2천 5백억원밖에 출연되지 않았

다 25년 간에 걸친 공적자금상환계획의 실행이 관련법 발효 첫해부터 심각한 차질을

빚기 시작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2005년 예산을 편성하는 2004년말에는 당초 예정

4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된 2조 3천억원보다 1조원이 적은 1조 3천억원만이 예산에 반영되었다

아무리 중요한 계획이라도 반드시 정해진 일정을 밟아 정확하게 달성해야 할 필요

는 없을지 모른다 너무 융통성이 없는 것보다 어느 정도 융통성이 있는 편이 오히려

나을 수 있다고 본다 금연 결심을 사흘이 안 돼 포기한다든지 초등학교 학생의 방학

계획이 하루도 못가 어긋나기 시작한다든지 하는 일들은 흔히 있는 일로서 얼마든지

이해해 줄 수 있는 문제다

그러나 초등학생이 색연필로 그린 동그라미 겨울방학 계획표가 아닌 다음에야 한

국가의 장기 재정계획이 시행되자마자 중대한 차질을 겪었다는 사실은 놀랍고도 부끄

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 나라의 중앙정부가 수많은 논란 끝에 25년을 내다보며 만

들었고 철저한 이행을 위해 법까지 만들어 국민에게 약속하였던 장기계획이 시행 첫

해부터 제대로 지켜지지 못한 것이다

ldquo25년 장기계획rdquo의 시행 첫해부터 빚어진 차질

그 결과 2004년과 2005년의 일반회계 출연금은 예정보다 대폭 줄어들어 출연금 부

족분이 2조 8천억원에 달하였다 그러자 2006년에는 당초 필요액 2조 4천억원보다 6

천억원이 더 많은 3조원을 예산에 반영하였고 여기에 전년도 세계잉여금 중 일부를

보태어 총 3조 3818억원을 일반회계로부터 전입 받았다 그러나 2006년말에 편성된

2007년 예산에서는 일반회계 전입금이 200억원에 불과하여 당초 필요액 3조 2천억원

에 비하면 거의 하나마나한 수준까지 대폭 줄어들어 버렸다

재정에서 분담하겠다고 했던 49조원은 그것이 더 이상 우발채무가 아니고 정부의

명시적인 직접채무로 보겠다는 의미였다 정부가 갚아야 할지 갚지 않아도 될지를 알

수 없는 미정(未定)의 상태가 아니라 정부가 갚아야 할 돈으로 간주하겠다는 얘기였

다 물론 상황에 따라 회수자금이 예상보다 더 커지거나 작아질 가능성은 분명히 있

는 것이고 특별보험료로 조달하게 될 특별기여금의 규모도 가변적일 것이므로 재정

에서 최종적으로 갚아야 할 규모도 달라질 가능성도 분명히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변

동은 공적자금상환기금법에서 정한 바대로 5년마다 한 번씩 재평가를 거쳐 조정해 나

가기로 하였다 즉 재평가를 해야 하는 2008년 이전까지는 일단 상환대책을 예정대

제Ⅱ장 금융 일반 47

로 추진하겠다는 대국민(對國民) 약속을 한 것이고 그러한 약속은 이행되었어야만 했

었다고 본다

공 자 상환계획의 기본정신

물론 만기도래한 공적자금을 차환(roll-over)발행함으로써 영원히 정부의 우발채

무로 남겨둘 수도 있었다 2002년 공적자금 상환계획을 마련할 당시 공적자금을 계속

우발채무로 남겨둔다 해서 문제가 될 게 뭐냐는 주장도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공적자금의 국채전환을 통해 우발채무를 직접채무로 바꾸어 놓아야 했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어느 시대 어느 나라 정부이건 우발채무를 갚으려는 목적으로 예산을 줄이거

나 세금을 더 걷으려 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적자금이 우발채무로 남아있어

서는 상환이 계속 미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그 경우 엄청난 규모의 공적자금이 국가부

채도 아니고 국가부채가 아닌 것도 아닌 어정쩡하고 애매모호한 상태로 무한정 남게

된다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한국은행의 통안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상황을 원치 않는다면 공적자금을 국가채무로 공식화함으로써 재정

수지에 직접적인 압박을 주어야 했고 그렇게 함으로써 정부에게 공적자금 상환을 위

한 예산 삭감과 세금 증가의 대국민(對國民) 명분을 주어야 했다 결국 공적자금을

국채로 전환하여야 했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공적자금을 나라 빚으로 공식화함으로써

예산도 줄이고 필요에 따라 세금도 더 거두면서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가급적 현세

대에 의해 공적자금이 상환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이는 물론 미래세대의 부담을 가

급적 경감시켜 주기 위함이었다 이것이 공적자금 상환계획의 가장 핵심적인 기본정

신이었던 것이다

정부와 여야 정치권의 이해 불충분

25년 간의 공적자금 상환계획이 첫해부터 순탄치 못한 굴곡을 거치게 된 가장 근본

적인 이유는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이러한 기본정신에 대해 정부와 여야 정치권의 이

해가 불충분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일반회계로부터 공적자금 상환자금을 출연

4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받는 문제를 놓고 국회에서 벌어졌던 격렬하고도 흥미진진한 논쟁은 국회 재경위 및

예결위 회의록 곳곳에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것을 검색해 보면 우선 2004년의

예산에서는 기획예산처와 여당의 강한 반대로 당초 2조 1천억원으로 계획되었던 일반

회계 출연이 110로 줄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2005년 예산에서 2조 3천억원으로

예정되었던 출연금 중 1조원이 줄어든 것은 야당의 반대 때문이었으며 2007년 예산에

서 당초 예정된 3조 2천억원의 일반회계 출연이 200억원으로 줄어든 것은 부실채권

정리기금의 자체회수금액이 늘어나 일반회계 대신 거기서 3조원을 출연 받는 것으로

대체하였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이 기획예산처 여당 야당이 번갈아 가며 25년 장기

재정계획의 차질에 기여한 것은 공적자금상환계획의 기본정신인 미래세대의 부담경

감뿐 아니라 정부 및 국가의 권위 그리고 정치권의 체면과 後代의 평가를 위하여 안

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일반회계 출연의 의미

공적자금 상환을 위한 일반회계의 출연을 기획예산처와 여당 그리고 야당이 번갈

아 가며 반대하였던 가장 중요한 논거는 국채발행을 통한 공적자금 상환은 곧 lsquo빚을

내 빚을 갚는 것rsquo으로서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는 논리였다 이 논리는 그 자체로서

는 옳은 지적이었다 만기도래한 공적자금을 국채로 바꾸어 준 단계에서 이미 국가부

채는 그만큼 늘어났으며 이 부분을 다른 국채를 발행하여 상환하든지 말든지 국가부

채규모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정부예산을 통합재정기준으로 파악할 경우

국가채무 상환자금을 일반회계에서 출연을 받든 공공자금관리기금으로부터 예수를

받든 하등의 차이가 없다 회계처리상 어떤 항목에서 적자를 발생시키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문제는 정부회계 가운데 어느 곳에서 적자를 발생시키는 것이 재정운용

상 압박을 주어 세출삭감이나 증세를 통한 정부부채 감축에 나서도록 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이냐 하는 점이다 재정당국에게 그와 같은 압박을 주는 데에 있어서 단연 일반

회계가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 필자의 판단이며 공적자금상환기금법에 일반회계로

부터의 출연을 받도록 정해놓은 것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었다고 생각된다

제Ⅱ장 금융 일반 49

미래세 부담경감을 한 인식과 노력이 필요

만약 새로운 빚이 생기는 것을 막았다면 정부와 정치권이 납세자들을 위해 유익한

일을 했다고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공적자금을 국채로 전환시켜준 부분은 이미 생겨

난 빚이었기 때문에 지금 갚지 않으면 미래로 넘어갈 수밖에 없는 사안이다 국민의

부담이 늘어나는 것을 막고 싶었다면 어떻게 해서든 다른 곳의 예산을 삭감해 놓거나

세원확대를 통해 세수를 늘여 놓아야 했었다 그런 성과 없이 단지 국채잔액을 감소시

키지 못한다는 이유로 공적자금 상환을 위한 일반회계 출연을 지연시켜온 것은 미래

세대의 부담을 그만큼 더 늘여 놓은 것밖에는 다른 의미가 없다

또한 공적자금상환기금법의 기본정신이 현세대의 상환을 촉진시키고 미래세대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라면 2007년처럼 자체 회수금액이 예상보다 늘어나더라도 일반회

계 출연은 예정대로 집행함으로써 미래세대의 부담을 자체 회수금액 증가분만큼 줄여

놓았어야 옳았다고 판단된다 여건이 예상보다 호전됨에 따른 수입은 현세대의 정부

지출을 유지시키는 데에 사용하기보다는 미래세대의 부담경감을 위해 사용했어야 했

다는 의미이다

그렇지 않아도 현행의 공적자금 상환계획은 미래세대의 부담을 경감시켜주려는 의

도와는 달리 미래세대에게 오히려 불공평하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도록 설계되어 있

다 이를테면 지금의 20대 이하 미성년자들이 전체 부담의 절반에 가까운 44를 지

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현행의 계획이 이런 문제를 안고 있을 뿐 아니라 실행 초기부

터 정부와 정치권의 이해 불충분으로 난항을 겪어왔다 투표권이 없다는 이유 때문에

미성년 세대에 대한 배려를 이런 식으로밖에 하지 않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한다 지

금부터 20~30년 뒤 지금의 미성년자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2003년 이후 작년까지의

국회 의사록을 읽으면서 어떤 느낌을 갖게 될지 그들로부터 현세대는 어떤 대접을 받

게 될지 심히 걱정될 따름이다

5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2호(2007319)

자본시장통합법(안)의 지급결제허용조항 삭제는 매우 바람직

金 資 峯

〈요 약〉

최근 증권사의 지 결제허용조항 삭제를 핵심으로 하는 자본시장통합법 수

정안이 발의되었다 이는 결제 험과 자본시장의 장기 인 발 을 고려할 때

매우 바람직하다 장기자 시장인 자본시장을 제 로 발 시키는 데 있어서

표 인 단기유동성인 증권사 고객 탁 에 지 결제기능을 허용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오히려 지 결제허용은 결제 험을 크게 증가시킬 우려가

있고 증권사에 실질 으로 은행업무를 허용하는 결과를 래하고 이해상충

을 야기할 수 있다 한 외환 기 이후 축 된 귀 한 융원칙들을 훼손하

는 문제 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 융시스템의 안 성을 훼손하지 않도록 지

결제는 반드시 은행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우려를 반 한 수정안 발의는 큰 지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14일「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일명 자본시장통합법) 수정안

이 발의되었다 이를 계기로 자본시장통합법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형성되고 있다

제대로 된 자본시장 즉 장기자금시장을 갖고 있지 못한 국내 금융시장의 현 단계

를 고려해 볼 때 투자은행의 발전은 절실하다 자본시장통합법의 추진을 보면서 많

은 사람들이 법 추진에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던 이유는 바로 그러한 절실함 때문이었

다 다만 지급결제허용 등 일부 불요불급할 뿐 아니라 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조항에 대하여 많은 금융전문가들의 우려가 지속되어 왔다

이제 수정안이 발의된 상황을 맞이하여 증권사에 대한 지급결제허용의 득실을 살

제Ⅱ장 금융 일반 51

펴보고자 하며 본연의 자본시장 활성화와 금융투자회사의 발전을 통하여 금융선진화

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지 결제제도의 역할과 요성

결제시스템 참가자에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이유는 지급결제시스템이 금융시

스템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력 때문이다 예외 없는 세계적인 추세는 은행을 매개로

하지 않는 증권사의 결제시스템 직접 참가는 허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전통적으

로 외부겸영을 채택하고 있는 영국 미국 캐나다 등뿐 아니라 조건부 내부겸영을 채

택하고 있는 독일 프랑스 등이 모두 그렇다 상대적으로 증권사에 우호적인 캐나다의

경우에도 증권사의 직접 참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외환위기에서 보았듯이 금융시스템 안전성의 훼손은 파괴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

으며 이에 따라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금융투자회사의 결

제시스템 참가 여부는 특정 업권의 이해를 위하여 결정될 사안이 아니다 기억하고 있

듯이 지난 1996년 자본자유화가 좋은 의도를 내걸고 추진되었으나 이를 계기로 단

기유동성자금이 크게 유입되었고 이에 따라 자금시장의 급격한 단기화현상이 빚어짐

으로써 만기불일치(maturity mismatch) 문제가 크게 심화되었고 결국 급속한 자금

이탈은 외환위기의 원인으로 작용한 바 있다

국내 증권시장 위탁자금은 변동성이 매우 큰 대표적인 단기성 자금이다 특히 현재

국내 주식시장은 1997~98년 당시의 자금시장에 비하여 국제적인 유동성위험에 더 크

게 노출되고 있다는 점에서 지금은 지급결제 참가허용이 아니라 오히려 지급결제 원

칙과 시스템의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한 시기로 보인다

지 결제참가 주장의 요건은 거의 완료상태

증권사의 지급결제참가 허용 주장의 논거는 수수료절감 이용자 편의성 CMA활성

화 자본시장발전 등이었으나 이제 이러한 논거는 대부분 해소되고 있으며 사실 지급

결제참가 필요성과는 무관해 보인다 직접적으로 통합법의 영향 때문인지는 분명하지

5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않으나 최근 은행들은 각종 수수료를 크게 인하하고 있다 이 수수료인하는 기존에

이미 상대적으로 큰 수수료혜택을 받고 있던 증권사에는 추가적인 인하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용자편의성은 증권사가 전자금융에 대한 투자를 통해 스스로 해결해

야 할 사항이었는데 최근에는 그러한 방향으로 크게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까닭으로

은행 가상계좌(virtual account)로 인한 고객 불편은 크게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CMA잔고는 최근 10조원을 넘어서고 계좌 수는 약 165만개에 이르는 등 지급결제참가

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활성화되고 있다

국내 자본시장발전의 가장 큰 핵심은 장기자금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것인데 이는

증권에 내재한 위험을 분석하고 상품화하는 능력에 의해 가능한 것이며 대표적인 단

기유동성인 위탁계좌자금에 대한 지급결제허용과는 전혀 무관하다 예금보험이 적용

되고 있고 이자율지급이 허용되고 있는 위탁계좌에 지급결제참가를 허용할 경우 고객

예탁금은 실질적인 은행예금이 됨으로써 사실상 은행법이 무력화되는 black-hole을

야기하고 금산분리원칙이 더 이상 지켜질 수 없게 될 수 있다는 점은 이제 모두에게

인식되고 있다 또한 증권사에 대한 지급결제허용은 위험을 적극적으로 상품화하고자

하는 투자은행 동기를 약화시킴으로써 자본시장발전에 역행할 수 있다는 점 역시 널

리 인식되고 있다

증권사가 지급결제참가 허용을 요구하기 위해 제시하는 또 하나의 논거로 지급결제

는 은행의 고유업무가 아니라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는데 이는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

다 즉 이러한 주장을 그대로 증권사에 적용할 경우 그 의미하는 바는 위탁계좌를

통한 자금의 수취는 증권사의 고유업무이지만 중개업(위탁매매)은 고유업무가 아니라

는 주장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증권사의 중개업을 위탁계좌와 따로 떼어 구분할 수

없듯이 지급결제업무는 은행의 예금업무와 따로 떼어 구분할 수 없는 것이다

자본시장통합법은 고객예탁금에 한국은행의 최종대부자 기능을 적용하고자 하는데

이는 증권사의 지급결제서비스를 위해서는 예탁금이 예금의 지위를 얻어야 한다는 역

설을 보이는 셈이 된다 이는 지급결제가 예금수취업무와 따로 떼어 구분될 수 없으며

은행의 고유업무임을 통합법 스스로가 입증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제Ⅱ장 금융 일반 53

지 결제참가의 조건

특정 금융회사의 지급결제참가 여부는 그 금융회사가 지급결제를 고유업무로 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결제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의 보유 여부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

다 그리고 지급결제업무를 고유업무로 영위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예금수취 여부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고객예탁금이 예금이라고 볼 수는 없다 물론 예탁금이 예금이면

은행업인가를 받든지 아니면 미국 등 해외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예탁금을 은행에 예치

시켜야 할 것이다

결제위험을 충분히 관리할 수 있기 위해서는 대표기관이 유동성을 제대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하는데 증시 상황에 크게 좌우되는 고객예탁금은 본질상 관리가 어려울 뿐

아니라 최근(2003년) 대표기관의 현금유동성이 영(zero)으로 떨어지는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대표기관의 위험관리능력을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상황이다

향후 과제

그간 증권업은 위탁매매 등 단순중개업을 중심으로 한 업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지속적인 성장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증권사가 투자은행으로 발

전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대형화 및 전문화 노력을 크게 경주하여야 할 것이다 업무구

조에 있어서 대형증권사일수록 소형증권사에 비하여 위탁매매 등 단순업무가 투자은

행업무 비중보다 더 크다는 사실은 투자은행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여

러 가지 과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2005년 현재 대형증권사의 위탁매매비중은 66

투자은행업무비중은 38 반면 소형증권사의 경우 각각 41 98이다 이러한 상

황에서 과연 투자은행으로의 발전을 위해 지급결제업무 허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쉽

게 지지를 얻을 수 있을까

증권사의 지급결제시스템 참여는 득(효율성 제고)보다 실(시스템 리스크 증가 금산

분리원칙 훼손 투자은행동기 감소 증권산업 구조조정 지연 등)이 많을 것으로 판단

되므로 허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점에서 최근 발의된 수정안은 큰 지지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5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고객예탁금에 대한 예금지위 부여는 궁극적으로 은행업무를 허용하는 결과를 낳을

뿐 아니라 금산분리원칙의 무력화를 초래하고 더 나아가 이해상충과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캐나다를 포함하여 겸업주의(외부겸영 혹

은 조건부 내부겸영)를 표방하고 있는 해외 모든 선진국에서도 증권사가 결제시스템

에 직접 참가하는 예는 없으며 예금수취기관만이 참여한다

따라서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을 훼손하지 않도록 지급결제는 반드시 은행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우려를 반영한 수정안 발의는 큰 지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제Ⅱ장 금융 일반 55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5호(200749)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과 시사점

具 本 星

〈요 약〉

지 까지 이루어진 우리나라 융정책은 융산업의 제도개 에 을 두

어 융시장의 안정성 신뢰도 제고에 기여하 다 그러나 향후 제도개

심의 융정책은 진 으로 융역량 강화 심의 정책을 병행하여 보완

될 필요가 있다 융역량 강화 심의 융정책은 경제주체의 융자산 축

과 융시장의 자산 리서비스 역량을 형성하고 확충하는 데 있다 향후 국내

융산업 개인의 융역량을 강화하기 해서는 장기 인 계획에 의거하

여 민 력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 사회경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

도록 소득 는 소외계층을 한 융자산 축 에 한 지원도 요구된다

끝으로 융역량의 강화는 개별 경제주체의 융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운 될 때 융산업 거시경제의 발 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외환위기로 인해 촉발된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구조개혁이 이루어진 지도 벌써 10년째

로 들어서고 있다 그동안의 금융정책은 주로 부실금융회사의 처리 금융회사의 합병

법률회계제도 개편 공시강화 감독제도 개선 등 제도적 기반의 개혁(institutional

reform)에 초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은 금융회사 및 금융시장의 구조

적 취약성을 극복함으로써 금융산업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이

와 같이 제도적 기반 개혁에 초점을 둔 금융정책은 금융선진국의 경우에도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필수적인 개혁이라는 점에서 향후에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5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반면 영국 및 호주 캐나다 등의 경우 금융정책은 법률 개편 등과 같은 제도적 기반

의 개혁과 더불어 개인 금융자산의 확충 및 금융회사의 금융서비스 확충 등 금융역량

(financial capability) 강화에 초점을 둔 정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금융역

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은 주로 신세대와 은퇴세대 가족 종업원 등 개별 금융주체

의 상황을 감안하여 금융자산의 축적을 도모함으로써 개인 또는 가계의 전 생애에 걸

친 재무안정성을 확보하려는 정책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증권시장 안정화 목적의 주식수요기반 확대를 위한 각종 정책이나

최근 들어 확대되고 있는 금융교육 등이 금융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 밀접히 관련되

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금융정책이 아직까지 제도적 기반 개혁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금융역량 강화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적 관심을 확대

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이하에서 영국을 비롯한 금융선진국의 금융

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 추세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국내 금융산업에 대한 시사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융역량 강화 심 융정책의 특징

일반적으로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은 개인 및 가계 종업원의 자발적인

금융자산 축적을 도모하고 금융회사에 의한 금융자산의 관리와 관련된 서비스 기능을

확충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우선 개인 및 가계 또는 종업원의 금융자산 축적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의 목적은

금융자산 축적을 위한 각종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친 금융자산 축적을 유

도하고 궁극적으로 금융주체가 자기책임 하에 생애에 걸친 금융자산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즉 금융주체별 상황을 감안하여 전 생애에 걸쳐

요구되는 경제주체별 재무관리(money advice) 기능 강화를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들이 차세대를 위해 가입하는 장기저축에 대해 세

제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청소년들이 사회진출 시기에 최소한의 금융자산을 가질 수 있

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직업을 갖고 있는 세대의 경우에는 주택금융에 대한 기본지식

을 습득하거나 기업연금을 통한 은퇴설계를 도모할 수 있도록 기업으로 하여금 다양

제Ⅱ장 금융 일반 57

한 정보를 제공하고 연수기회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도 이에 해당된다 장년기 또는 은

퇴세대의 경우에는 은퇴자금의 축적을 도모할 수 있는 연금제도의 개혁을 촉진하는

정책이 주로 해당된다

특히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저소득층이나 금융소외계층에 대해서도 금융자산 축적

이나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access)을 높일 수 있도록 정부가 직접적으로 지원하

는 것도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저소득층의 저축에 대

해 정부가 직접 매칭펀드(matching fund)를 제공함으로써 자립할 수 있는 자금을 마

련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저소득층 자녀의 경우에는 일반가계와 차별화하여 성년이

될 때까지 인출할 수 없는 특별보조금을 제공함으로써 저소득계층에 속한 신세대의

금융자산 축적 지원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처럼 금융자산의 축적에 초점을 둔 금

융역량 강화 정책은 소득분배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융역량 강화의 방향

금융자산과 관련된 서비스 기능 측면에서 금융정책은 개인의 금융자산 축적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금융회사의 참여 및 책

임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정부는 개인들의 금융자산 축적을 위해 저축이나 투자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신세대에 대한 금융교육을 교과과정에 포함시키거나 각종 정보제공 및 홍보활동을 주

도하여야 한다 또한 금융회사는 청소년들이 적극적으로 금융서비스 제공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함으로써 금융활동에 대한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예

컨대 주당 1시간씩 학교지점을 개설하고 은행직원의 감독 하에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창구업무를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은행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것도 이

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정부는 개인들의 금융자산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인금

융자산관리와 관련된 서비스 기반을 평가하고 이를 확충하는 데 금융회사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개인금융자산관리의 경우 주로 상위고객을 중심으로 금

융서비스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일반가계가 자산관리서비스에 대한 자문이나 조언을

5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구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을 통해 온

라인프로그램(on-line tools)을 제공하거나 금융자산관리서비스에 대한 평가기준이나

지침을 마련하여 인증제도를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금융기관의 자

산관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금융회사의 참여를 확대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금

융회사들이 자발적으로 개인들의 금융자산관리를 위한 정보 및 자료를 제공토록 함으

로써 사회적 기여도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융회사 간 협력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금융자산관리와 관련된 공공활동의 강화는 궁극적으로 자문서비스나

기업연금서비스 연금관리 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창출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

익성 제고에도 유리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금융자산관리에 대한 관심 증대는 금융자

산관리업무와 관련된 고용기반의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은 금융주체가 스스로 금융 수요를 파악하고

자발적으로 금융자산 축적에 대한 책임을 담당할 수 있도록 민관이 공동으로 노력하

는 정책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영국의 아동신탁기금(child trust fund)제도는 모든

신생아에 대해 정부가 기본자금(seed money)을 제공하고 18세에 이를 때까지 부모들

이 기부하는 연간 일정한도 내의 기여금에 대해 세제혜택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입학

시기에 일정 규모의 금융자산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즉 금융자산의 축적을 통해 사

회안전망 기능을 강화하고 금융업에 대한 국민인식을 높임으로써 금융시장 및 금융산

업의 심화를 위한 정책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다고 하겠다

국내 융정책에 한 시사

지금까지 국내 금융산업의 경우 금융역량 강화를 위한 금융정책은 금융시장의 상황

을 고려하여 한시적으로 도입되거나 각종 유예조항을 허용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운영

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또한 금융자산 축적에 대한 유인이 투자수익률을 높이는

형태로 유지됨에 따라 세제혜택을 확대하는 데도 제한적이거나 장기적으로 운영되기

곤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향후 금융역량 강화 정책은 국내의 고령화 추세와 은퇴세

대의 확대 가족형태의 변화 등을 감안할 때 금융주체에 의해 자발적으로 금융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정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경제주체의 금융역량

제Ⅱ장 금융 일반 59

이 제고될수록 공적연금의 적정화 또는 사회경제기반의 안정화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금융제도 개혁의 지속과 더불어 금융역량 강

화를 위한 정책수행은 시기적으로 가장 긴요한 과제에 해당된다

향후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의 도입에 있어서 고려해야 될 요인은 정책의

장기적(long-term) 측면 경제주체의 책임 측면 사회경제적 기능 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금융역량 강화 계획은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계획에 의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

다 금융역량의 강화는 경제주체의 장기적 재무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다 이에

따라 일시적인 경기변동이나 개별상황에 따라 관련 제도의 내용이나 범위가 변경될

경우에 금융자산의 축적에 따른 기대효과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 예컨대 세제혜택의

기준을 자주 변경하거나 만기이전의 계약해지에 대한 유예조항을 도입하는 형태는 그

기대효과를 낮출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금융역량은 국내 가계의 금융자산 금융

세제의 형태 연금 및 퇴직금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세대별(generation) 금

융수요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종합적인 계획에 따라 장기제도(long-term

initiative)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금융역량은 경제주체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이루어져야 그 기대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금융역량의 개발 및 확충은 경제주체 스스로 생애에 걸쳐 요구

되는 금융자산의 축적을 도모하는 데 있다 따라서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정책은 경제

주체들이 그 비용을 적극적으로 담당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융역량

의 축적을 위해서는 민간금융회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역량

의 강화는 장기적으로 민간금융회사에게 성장 및 수익기반의 확대 기회를 제공할 것

이라는 점에서 민간금융회사의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금융교육이나

금융서비스의 제공 등에 있어서 민간금융회사는 자금수취 기능에서 탈피하여 금융서

비스 제공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 또는 여건을 마련하는 데 노력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교저축의 경우 지나치게 저축형 상품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운영형

태도 투자형 상품을 부가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볼 때 신세대를 중심으로 금융역량에 대한 기회를 최

대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신세대를 위한 금융자산의 축적은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질

6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수 있다는 점에서 참여기회를 최대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능은 궁극적으로

차세대의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정책이라는 점에서 계층 간 차별화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부에 의한 금융역량 확충은 공공서비스라는 측면에서

저소득계층이나 소외계층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융자

산의 축적이나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금

융자산의 축적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61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8호(2007430)

전략산업으로서 금융산업의 발전 방향

朴 在 夏

〈요 약〉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도약하기 해서는 기존 통산업과 아울러 융

산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국내 융

산업은 융 기 이후 수익성과 건 성이 크게 제고되었으나 아직까지 많은

면에서 취약성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융허 로서 우리나라의 상을 확고

히 정립하는 동시에 국내 융기 의 활발한 외 진출을 통하여 융강국으

로 발돋움하기 해서는 융 련 규제의 극 완화 융 문인력의 양성

융감독제도의 선진화 자율 인 구조조정을 통한 융산업의 경쟁력 강화

그리고 각종 제도 생활여건의 개선 등이 시 히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정

부가 계획하고 있는 융허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기 해서는 련법안의

입법화를 조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신성장 동력산업으로서 서비스업 특

히 금융산업의 육성이 시급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정부도 이와 같은 필요성을

인식하여 2003년 12월 ldquo금융허브 추진전략rdquo을 확정하고 이의 실현을 위한 정책적 노

력을 다각도로 경주해 왔으며 최근에는 금융허브정책을 일관되고 강력하게 추진하기

위해 관련 법률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융산업의 육성 필요성

우리경제는 10년 전 금융위기를 경험한 이후 국내외 경제환경의 어려움 속에서도

6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현재 세계 5위의 외환보유고를 기록하고 있으며 1인당 GNI도

작년말 1만 8천달러를 넘어선 데 이어 금년말에는 2만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1995년 이후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1만달러대에 묶여 선진

국과의 격차는 줄지 않고 있는 반면 중국 인도 등 후발국의 추격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또한 기업의 설비투자와 민간소비가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수

출위주의 제조업과 내수위주의 서비스업 간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부동산 경기의 장

기과열과 급락 우려 등으로 경제의 지속적 성장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는 등 어

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으로 우리나라가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의 선진경제로 도약하

기 위해서는 조선 자동차 철강 등 전통산업에만 의존하는 산업구조의 한계를 극복하

고 기존 제조업의 첨단화와 더불어 금융물류 등 서비스부문을 적극적으로 육성하

여야 한다는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되고 있다 특히 서비스업 분야 중에서 금융산업은

실물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클 뿐 아니라 그 자체가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서

비스 산업이라는 점에서 전략적 육성 필요성이 큰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2006년 중 금융산업이 창출한 부가가치는 637조원으로서 부가가치율(부가가치산출

액)이 710에 달하여 제조업의 221나 전체산업 평균 385를 크게 상회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특히 1997년 이후 제조업의 부가가치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반면 금융산업의 부가가치는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산업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다

정부의 융허 정책 추진성과

정부도 금융산업을 향후 우리나라의 선진국 도약을 위한 전략산업으로 육성해야 한

다는 필요성을 인식하여 참여정부 초기부터 동북아 금융허브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

해 오고 있다 즉 정부는 2003년 12월 국정과제회의에서『동북아 금융허브 추진전

략』을 확정한 후 2007년까지 금융허브 기반구축 2010년까지 자산운용업 중심의

ldquo특화금융허브rdquo 완성 그리고 2015년까지 아시아 지역 3대 금융허브로 발전한다는 목

제Ⅱ장 금융 일반 63

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05년에는 한국

투자공사를 출범시켜 외환보유액과 연기금 등 공공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동시에 해외 유수 자산운용회사의 국내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금융산업 경쟁력의 핵심인 금융전문인력 양성 및 수요공급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금

융대학원을 개원하고 금융전문 인력센터를 운영하여 금융시장 수요에 부합하는 인력

을 배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금융전문대학원 설립을 계기로 정부 금융회사

권역별 연수기관이 합심하여 산학협동 교육 프로그램 마련 및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인력센터의 네트워크망을 구축하여 기관 간 정보를 공유하

고 인력수급 DB 구축 및 수급 전망 보고서 발간을 통하여 금융인력의 효율적 수급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정부는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동북아 금융허브전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우

리 금융산업의 선진화와 국제화를 달성함으로써 금융산업이 실물경제의 지속적 성장

을 견인할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금융산업 전반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우리나라의 국

가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마련한다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

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융산업의 황과 과제

금융위기 이후 국내 금융산업의 수익성과 건전성은 획기적으로 강화되었다 참고로

지난해 국내 은행의 총자산순이익률은 112로서 선진국과 비교해서도 매우 높은 수

익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BIS자기자본비율도 1232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주택

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대출 급증세에도 불구하고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090에 머물

러 건전성 측면에서도 매우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한편 주식시장에서는 소득수

준의 향상 고령화 추세 등의 사회현상에 힘입어 적립식펀드를 중심으로 장기투자가

활성화되고 기관투자자의 비중이 증가하는 등 증시저변이 튼튼해지면서 주가지수가

사상 최초로 1500을 돌파하고 상장시가총액이 800조원을 넘어섰다

또한 전 세계적인 금융기관의 겸업화대형화 추세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도 금융위

기 이후 금융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부실금융기관 처리 등을 목적으로 금융기관의 대

6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형화 및 겸업화가 빠르게 추진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고객수요의 다양화에 대응하

여 고객에게 종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한 인수합병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국내 금융시장이 매력적인 투자처로 인식되면서 외국금융기관의 국

내 진출과 함께 외국기업이 국내 금융시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는 등 전반적으로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력이 크게 강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긍정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타 선진국 특히 기존의 금융허브

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국가와 비교하면 금융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은 아직

도 매우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금융자산이 명목GNI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금융연관비율은 2001년 이후 62~65배 정도로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어 미국(90배) 영국(118배) 일본(118배) 등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전체 고용규모 중에서 차지하는 금융산업의 비중도 2006년말 기준

326로서 미국(49) 영국(40)보다 크게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국내 금융산

업의 고용효과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선진국에 비해 금융규제의 과다 및 감독분야의 취약성도 금융선진화를 가로

막는 제약 조건 중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참고로 Heritage Foundation의 조사결

과에 따르면 금융기관이 특정 국가에서 얼마나 자유롭게 영업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지를 반영하는 경제자유도 지표가 세계 36위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규제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금융감독의 상시감시체제가 일

부 도입되었으나 효율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있어 정기검사 위주로 금융감독체제를 운

영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금융감독의 적시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평

가된다

특히 새로운 금융환경에 부합하는 금융전문인력의 부족도 국내 금융산업 발전을 가

로막는 문제점 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과거부터 금융억압이 강하여

위험관리를 고도화하거나 금융기법을 습득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고

급 금융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특히 원활한 영어구사능력을 보유하

고 있으면서 금융기술을 보유한 인력의 수는 더욱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10년간 국내 금융기관의 건전성과 경쟁력이 크게 강화되었음에도 불구

하고 아직까지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외 금융시장에서 선진 금융기관과 대

제Ⅱ장 금융 일반 65

등하게 경쟁하고 있는 금융기관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등 국내 금융산업이 해결해야

할 문제는 산적해 있다고 할 수 있다

략산업으로서 융산업의 발 방향

향후 우리나라 금융산업이 지향해야 할 비전은 동북아 금융허브로서의 위상을 확고

히 정립하는 동시에 국내 금융기관들이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에 활발히 진

출하여 역내의 금융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우리 금융산업

의 역량을 강화하고 법규제감독세제생활환경 등 모든 면에서 외국의 금융허

브에 필적할 수 있는 여건을 구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무엇보다 먼저 금융규제를 선

진국 수준으로 완화하고 효율적인 금융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금융자유화 및 선진화

정책을 추진하여 국내 금융시장의 매력도를 지속적으로 제고함으로써 세계 유수의 금

융기관이 국내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융시장의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규제 시스

템을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도록 최대한 빨리 자유화해야 한다 한편 금융자유화

및 개방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감독을 선진화하

여야 하며 이를 위해 금융감독시스템의 상시감시 및 부문검사 강화 위험관리에 기초

한 동태적인 감독시스템으로의 전환 등이 필요하다 또한 감독기관과 함께 회계법인

자율규제기관 등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분식회계 소비자보호 불공정 행위 등을 지속

적으로 적출하고 검사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국내외 금융기관들간의 경쟁

을 지속적으로 촉진하고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금융산업의 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금융산업의 겸업화 대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세계적 투자은

행들과 경쟁할 수 있는 국내 금융기관을 육성하여야 한다 특히 금융허브 수립을 위해

핵심사항 중 하나인 금융 전문인력의 양성에 주력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금융대학원

권역별 연수기관 및 연구소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활용하고 해외 연수기관과의 정보

공유 및 인력 교환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한편 금융산업을 전략적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금융허브정책과 함께 국

6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내 금융기관의 해외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가 동북아 금융허

브 및 동북아 금융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국내 금융기관들이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장치를 마련하고 금

융기관 스스로도 해외에 진출하여 현지화 노력을 통해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

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가 추진 중인 금융허브정책을 체계적으로 강력히 지원하기 위해서

는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관련법안을 조속히 입법화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싱

가포르는 1999년 중앙은행(MAS)법에 금융산업개발기금(FSDF) 조항을 신설하고 금

융허브 촉진을 위한 기금 설립을 법제화하였으며 최근 두바이는 두바이 국제금융센

터(DIFC) 육성을 위해 DIFC법을 제정하여 DIFC 내에서만 적용되는 독립된 사법제도

및 금융감독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향후 금융중심지조성

안의 입법을 기반으로 금융시장에 대한 전문성과 행정능력 및 법적 권한을 갖춘 일원

화된 정책기구를 원활히 운영하는 한편 국내외 금융기관의 애로사항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고자 하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뒷받침된다면 동북아 금융허브 목표가

요원한 것만은 아닐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67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20호(2007514)

주택금융시장의 평가 및 향후 운용 방향

姜 鍾 萬

〈요 약〉

최근 미국의 서 라임 모기지 부실 향으로 국내 주택 융시장의 부실 가

능성에 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국내 축은행과 상호 융 등 비은행

권을 심으로 이러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데 이는 이들 융회사들의 주택담

보 출이 은행권에 비해 높은 담보인정비율과 출 리를 용하고 있고 주

택담보 출 연체율도 은행권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축은행 여신

문사의 총자산 비 주택담보 출 비 과 이들 융회사의 주택담보 출이

체 주택담보 출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 이 매우 낮기 때문에 주택담보 출

부실로 인한 이들 융회사의 산 가능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체 주택 융

시장의 교란 가능성도 매우 낮다 한 지속 인 주택담보 출 련 제도의 개

선으로 주택담보 출 형태가 고정 리부 장기 분할상환방식으로 환되고 있어

향후 부실화 가능성은 더욱 낮아질 망이다

2006년 하반기에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급증함에 따라 국내 주택금융

시장도 비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부실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최근에

는 정부의 지속적인 주택가격안정정책에 따라 주택가격이 하향 안정되고 금리가 상승

함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의 부실이 우려되고 있다

21세기 들어 주택담보대출 등 소비자금융이 우리나라 은행대출의 상당 부분을 점유

하게 된 이후 금리변동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부실 가능성은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내

재된 문제로서 금융환경변화에 따라 수시로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

주택금융시장의 현황을 다시 한 번 짚어보고 향후 운용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6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미국의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발생

2006년 하반기에 미국의 주택시장에서 주택가격이 하향 안정되고 서브프라임 모기

지 연체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모기지 금융회사의 파산을 유발하여 미국 금융시장의

불안이 우려되었다 이러한 미국 주택금융시장의 불안문제가 보도되면서 국내에서는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의 부실과 이로 인한 금융시장의 불안 가능성을 언론 등이 제기

하였다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일반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소비자에 대한 주택금융으로

2001년 이후 주택가격 상승과 저금리 기조에 힘입어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특히 서

브프라임 모기지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Hybrid ARM(Adjustable Rate Mortgage)

은 신용도가 낮은 소비자의 주택구입을 촉진하기 위한 주택금융상품으로 주택가격이

하향 안정되는 경우 부실이 예견되고 있었다 Hybrid ARM은 자금력이 충분하지 못

한 고객을 유인하기 위해 대출 초기 2년간에는 낮은 고정금리를 적용하고 이후에는

높은 변동금리를 적용하는 변형된 주택금융 신상품이다

그런데 작년에 주택가격이 안정되고 금리가 상승추세를 유지함에 따라 44분기에

서브프라임 모기지와 변동금리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계절조정 연체율은 각각 1333

와 1444로 전 분기 대비 77bp와 122bp가 상승하였다 이러한 연체율의 급등현상은

프라임 모기지의 연체율 257(13bp 상승)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으로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로 인한 주택금융시장의 교란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미국 주택금융시장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고

이로 인한 모기지 금융회사의 파산은 미국 주택금융시장의 구조개선에 기여하였다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모기지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말 현재 137에 불과하

고 프라임 모기지 등의 연체율이 안정세를 유지하여 주택금융시장은 조속히 안정을

회복하였다 또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 증가로 모기지 금융회사들은 주택금융의

원칙을 보다 엄격히 준수하여 차입자의 소득을 기준으로 한 채무상환능력 평가를 강

화하고 LTV 100 대출 등을 금지함으로써 주택금융시장의 정상화가 촉진되었다

제Ⅱ장 금융 일반 69

국내 주택 융의 부실 가능성

우리나라 주택금융시장이 2002년 이후 빠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은행의 자산운용

중에서 주택담보대출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시중 유동성 증가 저금리 추세 등으

로 인하여 수도권 등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이 급등하면서 주택담보대출도 급속도로

증가하여 은행 주택담보대출의 잔액과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말 83

조원 237에서 2007년 4월말 218조원 316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주택담보대출이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주택시장의 버블발생 주택담

보대출의 부실 가능성 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소득수준 등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주택가격은 부동산시장에 버블이 발생하였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또한 미국 등 주요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 주택금융은 만기가 3년 이내 단기이고 대출금리가 변동금리

이어서 가계는 원금상환 위험과 금리위험을 부담하고 있다 즉 가계는 주기적으로 원

금을 상환하여야 하며 금리 상승 시에는 이자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금리가

상승하거나 경기침체로 가계의 소득이 충분히 증가하지 못할 경우에는 가계의 채무상

환능력이 저하되어 가계대출의 연체가 우려되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가격과 주택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당국의 꾸준한 노력에 힘입어

국내 주택금융시장의 불안요인은 상당히 해소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의 담보인정비

율(LTV) 규제가 시행되어 은행의 평균 LTV는 50 이하로 주택가격 하락으로 인한

주택담보대출의 부실 가능성은 매우 낮다 또한 금융감독원의 주택담보대출 여신심사

체계 선진화와 주택담보대출 모범규준이 금년 3월부터 시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주

택담보대출 시에 차입자의 부채상환능력을 고려하게 되어 차입자의 소득감소로 인한

부실 가능성도 상당히 낮아지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조건도 상당히 개선되어 주택담보대출 부실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의 만기는 3년 이내 단기에서 10년 이상으로 장기화되고 있으며 대출형

태는 변동금리부 일시상환방식에서 고정금리부 분할상환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다만 저축은행은 LTV가 60 이상이고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9로 은행 등에 비

해 매우 높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총자산 대비 44 총대출

대비 52로 낮아 개별 저축은행의 부실 가능성은 있을 수 있으나 저축은행 전체의

부실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7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주택 융의 향후 운용 방향

향후 우리나라 주택금융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서는 고정금리부 주택금융의 확대

주택금융을 위한 자금조달수단으로서 MBS 발행의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 그 동안 고

정금리부 주택금융 비중이 꾸준히 상승하여 왔으나 주택금융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

기 위해서는 고정금리부 주택금융이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은행의 금융채 발행

액은 2005년 44조원 2006년 59조원 2007년 26조원으로 증가하여 주택담보대출을

위한 자금조달원의 다양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은행은 보유한 주택담보

대출채권을 유동화한 MBS 발행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제Ⅱ장 금융 일반 71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3호(200764)

기후변화와 금융부문의 과제

李 侖 錫

〈요 약〉

기후변화에 따른 효과에 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응은

아직 미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세계의 주요 국가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와 련된 융사업을 차 확 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생되어 나오는 이슈들이 단순히 단기 일회 과학 상이 아닌

장기 지속 사회경제 문제들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융회사 사이의

경쟁이 심화되고 수익원이 약화되고 있는 시 에서 기후변화를 비롯한 환경

련 부문으로 사업을 확 하는 것이 이른바 블루오션 을 향한 항해길일지도

모른다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적 협의체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 Intergovern

-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이 최근 발표한 제4차 평가보고서에 의하면

21세기 말경에는 전 세계의 평균기온이 현재보다 약 2~4degC 상승할 것이라고 한다 이

와 같은 기온상승으로 그린랜드(Greenland)지역의 빙하가 녹고 해수면이 상승하며

식생대가 이동하는 등의 변화가 예측되고 있다

기후 변화는 단순히 기온상승을 통한 생태계의 변화만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자

연재해 질병역학의 변화 등 주변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심각성은 우리

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지구환경문제를 다루기 위한

국제기구인 유엔환경계획(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에 따르면

2040년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규모가 연간 1조달러를 상회할 것이라고

7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다 이처럼 기후변화에 따른 파급효과가 실로 막대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국의 대응은 아직 미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금융부문의 과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금융회사들

의 대응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기후변화의 특징과 효과

기후변화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따지기에 앞서 최근 기후변화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자 우선 무엇보다도 전반적인 이상고온 현상의 심화를 들 수 있다 유럽에서는

이상고온으로 인해 2003년도에만 5만 명이 사망하였으며 2005년에는 지구에서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래 최고수준의 기온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고온현상으로 인해 가뭄

피해지역은 35년 전과 비교했을 때 2배로 늘어났으며 집중호우일수도 증가하여 대규

모 하천지역의 홍수피해도 급증하고 있다 열대성태풍(cyclone)의 출현횟수도 이전보

다 잦아지고 있으며 대서양 허리케인의 세기도 해마다 강해지고 있다 두 번째로는 극

한적인 자연재해 현상의 발생횟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

다 2003년 유럽에 닥쳤던 무더위는 2060년에 가서는 흔히 나타나게 되고 심지어

2080년이 되면 2003년의 무더위는 lsquo평균보다 서늘한rsquo 기온 정도로 취급당하게 될 것

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자연적인 재해로 인한 파급효과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

을 참고해 볼 필요가 있다 먼저 세계 인구의 14 가량이 현재 해안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개인자산 중 약 7조달러가 해안지역에 집중되어 있다고 한다 또

한 인구 천만 이상의 메가도시(megacity) 상위 16개 중 12개가 해안지역에 분포되어

있어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태풍 및 홍수피해 등으로 이들 지역은 막대한 경

제적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2005년 미국의 카트리나 태풍피해로 인해 뉴올리언

스시 전체가 도시기능을 상실한 예를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해안지역의 위험 증대와 함께 식수난에 따른 피해도 심각하다 기온상승에 따른 식

수 수요증대로 인해 식수난이 가중되고 가뭄때문에 작물생산이 감소하며 에너지수요

증가로 전력부족과 에너지가격의 상승이 나타날 전망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73

주요국의 환경 련 융사업의 확

세계의 주요 국가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 전반과 관련하여 금융사업을 점

차 확대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우선 미국의 경우 주정부와 민간차원의 환경문

제 인식확산에 힘입어 은행들도 환경관련사업 비중을 늘리고 있다 Citi은행의 경우

지난 5월 8일 총 500억달러 규모의 환경관련 금융사업 계획을 발표하였는데 온실가

스 축소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대체에너지나 친환경기술 개발기업에 대한 투자와 소

매사업 및 자산관리사업 부문에서의 환경중시 경영방침 등이 주된 내용이다 또한

BOA와 JP Morgan Chase의 경우에도 친환경 설비투자 및 배출권 사업에 대한 투자

환경중시 상품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자금지원 친환경 지점 설치 등을 주요 내용으

로 하는 금융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유럽의 은행들 역시 환경대책사업에 대한 저리융자 사회책임투자(SRI) 펀드의 조

성 및 이산화탄소(CO2) 배출권거래 등의 형태로 환경관련 금융을 강화하고 있다 일

본의 경우에도 도쿄미쓰비시UFJ은행이 풍력발전 바이오매스발전 등 신에너지 개발

사업에 대한 대출비중을 늘리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쿄미쓰비시UFJ은행은 지방은

행들과의 상호제휴를 통해 풍력발전시설이나 재활용시설기업의 기술력 및 채산성 등

에 관한 심사기법과 해당기업에 대한 정보 등을 공유함으로써 광범위한 거래처들의

자금수요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이런 점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후변화 련 투자확 필요성

이와 같은 해외의 적극적인 대응전략에 비해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기업들

에 대한 투자가 미미한 실정이다 일례로 한 풍력발전업체의 경우 국내투자자금모집

에 어려움을 겪어 초기 투자비용의 70 정도를 해외에서 빌려왔다고 한다 처음에는

국내 몇몇 금융회사들이 관심을 보이는 듯 했지만 결국 투자하는 데는 실패한 것이다

풍력발전과 같이 친환경적인 기업에 자금지원을 해줄 경우 기업은 전력생산에 따른

수익창출뿐 아니라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에 따른 부수적인 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

7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기업의 입장에서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게 되고 금융회사는 신규 수익원의

확보와 이미지 및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와 관련된 업

종에 대한 대출이나 투자는 여러모로 혜택을 가져다 준다

일례로 한 에어컨용 냉매 제조업체의 경우 제조과정에서 이산화탄소에 비해 1200

배의 온실효과를 가진 기체인 수소불화탄소(HFC)를 해외기술이전을 받아 더 이상 배

출하지 않게 됨에 따라 유엔으로부터 인정받은 배출권을 해외에 판매하여 연간 100억

원 이상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 문제를 단순히 과학적인

현상이나 윤리적인 문제가 아닌 기업들의 수익성 관점에서 접근하더라도 충분히 관심

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런 점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가 올 7월

부터 2000억원 규모의 탄소펀드를 설립하기로 발표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며 온실가

스 배출규모 세계 10위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 입장으로서는 오히려 다소 늦은 감

이 없지 않다

장기 인 에서의 기후변화 문제 인식제고

금융회사들이 기후변화 문제를 어느 정도 기정사실화되어 있는 문제로 본다면 이를

외면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이에 대한 적응능력을 키워나가는 방향으로 접근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기후변화가 속성상 장기적으로 서서히 느껴지는 현상이므로

금융회사들은 기후변화 관련 비즈니스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는 듯하다 이는 단기

적인 경영성과를 달성하는 데 있어 그다지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

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앞서 지적했듯이 선진국의 주요 금융기관들을 비롯한 세계

적인 추세는 금융기관들도 기후변화 문제가 자신의 이익 및 영업목표와 직결되어 있

다는 점을 깨닫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기

후변화로 인해 파생되어 나오는 이슈들이 단순히 단기적 일회적 과학현상이 아닌 장

기적 지속적 사회경제적 문제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인 것으

로 판단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금융회사들도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기후변화가 미칠 파급효

과를 고려하여 이에 필요한 장기 전략의 수립 조직의 정비를 통한 관련사업의 강화

제Ⅱ장 금융 일반 75

및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을 하루빨리 서둘러야 할 것이다 따라서 금융회사 사이의 경

쟁이 심화되고 수익원이 약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기후변화를 비롯한 환경관련 부

문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것은 어쩌면 금융회사들에게 이른바 lsquo블루오션rsquo을 향한 항해

길일지도 모른다 노아가 대홍수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대홍수를 예언한

하늘의 뜻에 귀를 기울일 줄 아는 겸손함과 혜안뿐 아니라 방주를 건립하는 작업을 실

행에 옮기는 결단력을 동시에 가졌기 때문이다

7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2호(200786)

파산제도의 경제적 역할 및 제도개선 방향

李 淳 豪

〈요 약〉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 기 이후 개인 산제도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나

개인소비자의 갱생을 돕기 한 여러 가지 다른 제도의 이용자는 어들고 있다

올바른 산제도는 회생가능한 채무자의 자력갱생을 도와 여러 가지 사회복지

비용을 이고 노동력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지만 산제도의 남용은 도덕

해이 발생과 소명의식의 하와 같은 문제 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독일 랑스

미국은 1980년 부터 과채무와 개인 산문제에 직면하여 개인 산제도를

정비하기 시작하 다 독일은 채무자가 채무변제를 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

다는 사실을 증명한 후 산을 신청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 다 한 랑

스는 과채무 원회를 도입하여 일원화된 체계에서 산문제를 취 하 으며

미국은 산 면책 에 신용상담과 신용채무 리 교육을 받도록 하여 산

남용을 방지하도록 하 다 각국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 은 산 이 에

채무자 스스로 변제 갱생을 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도록 유인체계를 세워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개인 및 가계의 신용위험은 줄어들었지만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수가 2006년말 기준으로 28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

며 최근 신용등급이 낮아 제도권 금융기관보다는 고리의 사금융을 이용할 수밖에 없

는 금융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어 잠재적 파산자의 수는 앞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

측된다 또한 최근 주식시장의 활황으로 저축은행 등으로부터 주식을 매입하기 위한

제Ⅱ장 금융 일반 77

자금을 대출받는 경우가 늘어나는 등 개인 및 가계 신용의 리스크가 커져 개인 소비자

의 파산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우리나라에 개인 소비자의 갱생을 도와주는 개인파산제도는 1962년 도입되었으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첫 신청자가 나왔으며 이후 신청자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

며 2006년 한 해 동안 법원의 개인파산 신청건수는 2005년에 비해 216 급증한 12만

2608건에 이르렀다 이 수치를 근거로 인구 1000명당 파산건수를 계산해 보면 우리

나라의 경우 26명으로 미국(50명)과 프랑스(30명)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지만 독

일(15명) 영국(20명) 네덜란드(09명) 및 벨기에(09명) 등 대부분의 선진국에 비

해서는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자신의 힘으로 감당할 수 없는 과채무 및 다중채무자의 경우 개인회생 및

개인워크아웃 등 자력갱생을 돕기 위한 제도(再建型 제도)의 이용자는 줄어드는 반면

淸算型 제도인 개인파산 및 면책으로 손쉽게 과채무를 해소하려는 사람의 수는 늘어

나고 있다 이는 재건형 제도와 청산형 제도 간에 서로 대체관계에 있어 개인 소비자

가 여러 가지 제도절차 중 하나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파

산의 경제적 역할과 다른 나라의 제도에 관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파산제도에 대

한 시사점과 재건형 제도와 청산형 제도 간의 올바른 관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산제도의 목

파산제도의 중요한 목적은 지불불능에 처한 (과)채무자의 보호와 채권자의 권리 보

호라는 두 가지 상반된 목표를 조화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과채무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금융거래 질서를 유지하며 국민경제적 기반과 사회적 연대의식이 허물어지

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채무자의 신용불량 및 과채무 문제를 방치할 경우 채권추심을 회피하기 위해 도피

함으로써 가정이 파탄날 수가 있고 채무변제금을 마련하기 위해 강도 등 강력 범죄를

저지르거나 최후의 수단인 자살로 이어지는 등 사회문제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파

산제도는 과채무 문제를 안고 있는 채무자에게 소외계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돕고

사회경제활동에 다시 복귀하여 이바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즉 개인 소비

7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자의 과채무 문제를 해소해 줌으로써 소외계층으로 전락했을 경우 발생할지도 모를

사회복지비용을 감소시키고 범죄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채무자에게 노동시장에 참여

할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과채무 문제로 인하여 발생할지도 모르는 경제 전체적인 생

산성의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파산제도가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채무자의 갱생만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파산 및 면책을 쉽게 허용할 경우 채무

자가 도덕적으로 해이해져 파산을 남용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개인 소

비자가 파산을 선택하는 이유는 파산으로 얻는 편익이 파산에 따른 비용보다 큰 경제

적 이유도 있을 수 있으나 주변에 파산자가 늘어나면서 파산에 대한 사회적 汚名의식

(social stigma)이 저하되는 사회적도덕적 이유가 최근 우리나라에서 파산신청이

급증하고 있는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인 것으로 판단된다 채무자의 도덕적 해이와 관

련하여 미국의 경우를 예로 들면 개인파산은 경기 침체기보다 오히려 확장기에 크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경기침체기인 1978sim1982년과 1990sim1992년 사이에 개인파

산은 각각 20와 37 증가한 반면 경기확장기인 1982sim1990년과 1992sim1997년 사

이에 개인파산은 각각 106와 80 증가하였다 이는 소비자 신용증가에 의한 과다소

비형 파산의 비중이 높음을 시사하며 특히 90년대 중반 이후 개인파산건수가 급증한

이유로서 신용카드 이용증가 파산에 대한 사회적 汚名의식의 저하 및 차압금지재산

액을 증가시켜 채무자의 권리보호를 강화한 1994년 도산법 개정 등을 들고 있는 연구

가 많이 있다 이와 같이 파산을 쉽게 허용할 경우 채권자의 권리는 심각하게 침해될

수 있으며 신용 공여수준이 사회적 최적수준보다 낮은 수준에서 결정되고 채권자가

불법추심 등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결과를 낳는 등 금융질서가 문란해지게 될 것이다

채무자뿐만 아니라 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는 논의의 근간이 되는 정신은

자유롭게 맺어진 계약은 반드시 실행되도록 법사회 제도가 강제해야 한다는 원칙

(pacta sunt servanda agreements must be fulfilled)을 파산제도 또한 지켜야 한

다는 것이다

따라서 올바른 파산제도는 채무자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면서 채무자 보호와 채권

자 권리 보호라는 두 가지의 목적을 조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제Ⅱ장 금융 일반 79

해외 각국의 산제도 특징

미국 및 유럽의 여러 나라는 언어 종교 법체계 정치구조 경제 사회 및 역사적인

배경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었지만 1970년대 말과 1980

년대 초반에 소비자 금융에 대한 규제완화로 소비자 신용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1980

년대와 1990년대에 개인 소비자의 과채무와 개인파산의 심화라는 공통의 문제에 처하

게 됨에 따라 개인파산제도를 정비하기 시작하였다

1994년에 제정되고 1999년에 시행한 독일 파산법(Insonvenzordnung 1994)의 가

장 중요한 개선 사항은 개인 소비자가 법원에 파산을 신청하려면 스스로 채무변제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는 것을 증명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요구 조건을 충족

하기 위하여 모든 파산 신청자는 채권자들과 채무조정 및 변제계획에 대한 협상 시 도

움을 받고 추후에 이러한 사실을 증명해 줄 공인된 기관을 우선적으로 찾아가게 되었

다 이런 채무상담은 주로 소비자협회(Verbraucherzentrale Bundesverband)나 등

록된 채무상담센터(Schuldnerberatung) 등에서 담당하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는 1989년에 파산법을 정비하였는데 가장 큰 특징은 개인 소비자 파

산을 담당할 과채무위원회(Commission des surendettments)를 도입하여 일원화된

체계 내에서 소비자 파산을 취급한다는 점이다 과채무위원회는 행정위원회인데 파

산을 원하는 모든 소비자는 과채무위원회에 신청서를 내게 되고 동 위원회는 심사 후

지원대상으로 승인이 되면 우선 채무변제계획 수립 등을 위해 채무자를 돕게 된다 이

과정에서 채권자나 채무자의 권리와 관계된 사항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 법원에

요청하여 법원 명령하에 시행하게 된다 채무변제계획을 수립하여 채무를 변제할 수

없는 소비자의 경우는 법원으로 보내 파산하게 한다

미국의 경우는 1978년 정기적 수입이 있는 급여 생활자의 갱생을 돕기 위한 재건형

(再建型) 제도(Chapter 13)를 도입하였으나 약 70 정도가 보다 쉽고 빠르며 무조건

적인 채무해소를 위하여 파산(Chapter 7)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파산남용을 막기 위한 장치를 도입하기 위하여 2005년에 파산법을 개정하였다 2005

년 개정 파산법에서 마련한 파산남용 방지책으로 중요한 것은 파산신청 이전에 신용

상담(Credit Counseling)을 반드시 거치도록 하였고 면책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신용

및 채무관리에 관한 교육을 받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8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맺음말

개인파산제도는 개인의 존엄성 회복과 사회복지의 증진 및 금융질서의 확립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제도이다 파산제도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는 미국 프랑스 및 독일의 사례에서 얻은 시사점과 같이 개인워크아웃제도나 개인회

생제도 등의 재건형 제도가 청산형 제도인 파산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고 파산은 최

후의 수단으로 이용되도록 해야 한다 즉 개인워크아웃제도나 개인회생제도의 미비점

을 보완함으로써 파산 이전에 개인 소비자 스스로 채무 변제 및 자력갱생을 위해 최선

의 노력을 다하도록 하는 유인체계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81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3호(2007820)

주택연금제도의 정착방안 및 향후과제

李 碩 晧

〈요 약〉

고령층의 노후생활 안정에 있어 실질 으로 한 축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부수

인 효과도 잖게 기 되는 공 보증 주택연 제도가 정착되기 해서는 다음

과 같은 과제들을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고령층 수요자의 실질 요구에

부합하는 상품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상품구성의 다양화 노력을 지속 으로 경주

해야 할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해서는 특히 주택연 과 련된 리스크 평가

리기법의 지속 인 연구 개발이 병행되어야 하고 이를 담당할 문인력

의 양성이 필요하다 한 동 제도에 한 홍보 교육과 아울러 매과정 등

에서 고령층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되지 않도록 하기 한 각종 장치들의 마

련이 필요하다 한편 장기 으로 주택연 시장 확 에 따른 소요자 을 원활

히 공 하기 해 주택연 채권의 유동화방안을 사 에 마련하고 련된 연구

를 지속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택연 과 련된 향후 과제

로서 농 에 거주하는 고령층을 한 효율 인 주택연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지난 2년여 동안의 산고 끝에 마련된 공적보증 주택연금이 출시된 지 이제 한달여

가 지났다 아직 걸음마도 채 떼지 못한 현 시점에서 제도 시행에 대해 전반적인 평가

를 내린다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는 실제 가입대상이 되고 있는 고령층

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대에 걸쳐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주택연금과 관련하여 그 실질

적인 정착 방안 및 향후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려고 한다

8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주택연 제도의 도입배경 황

현재 우리나라는 급격한 출산율 저하 및 의학발달 등에 따른 수명 연장으로 세계에

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2000년에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전체인구의 72에 해당하는 339만명을 넘어섬에 따라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

며 지금부터 불과 11년 후인 2018년에는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

만 이처럼 빠른 고령화 속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퇴직정년의 단축 핵가족

화의 진전 등 사회구조적 변화 공사적 연금시스템의 미흡 등으로 노후소득보장 대

책이 상당히 부족함에 따라 고령자들의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

러한 측면에서 고령자의 보유주택자산을 효과적으로 월 소득화하여 고령가구가 안정

된 주거생활 및 노후생활을 동시에 도모하도록 하는 주택연금제도는 고령자의 노후생

활 보장에 실질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주택연금제도의 공적보증기관이자 제도를 주관하고

있는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시행 한 달여만인 2007년 8월 13일 현재 5천여건의

주택연금 관련 상담이 접수되었고 실제 가입신청서를 낸 것이 180여건에 이르고 있

어 당초 기대했던 것보다 관심과 수요가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최근 한 시중은

행에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에 따르면 퇴직잠재자의 409 및 실제 퇴직자의 355

이상이 주택연금에 가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제도가 구체적으

로 마련되지 않았던 지난해 주택금융공사에서 실시한 조사결과보다 20p 가량 증가

한 수치이다

주택연 제도 시행의 기 효과

주택연금제도의 시행으로 기대되는 효과로는 무엇보다도 고령자의 개인복지 향상

을 들 수 있다 아울러 부수적으로 내수경기 회복 및 부동산시장 안정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정부의 재정부담 경감 등이 기대된다

우선 주택연금이 고령자 개인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살펴보면 고령자가 은

퇴 이후 평균여명까지 생존할 경우 소득보다 의료비를 포함한 노후지출이 크게 늘어

제Ⅱ장 금융 일반 83

나 고령층에게 주택연금 상품의 이용은 노후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초적인 생활비

및 의료비를 충당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

면 시가 3억원의 주택을 담보로 65세에 주택연금에 가입한 고령자는 기대여명 동안

총 1억 8678만원을 수령하게 되는데 이는 동 고령자가 실질적으로 필요한 노후소득

의 42정도에 해당되는 금액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개인자산축적 국민연금

및 개인연금 등을 통한 노후준비를 충분히 하지 못한 고령자의 경우 그들의 노후 리

스크 부담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어 주택연금 이용이 보다 효과적인 소득보전 수단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고령세대의 노후생활 안정에 있어 실질적 역할을 담당하는 이러한 주택연금제도의

도입은 또한 최근 몇 년 사이 저축률을 높이는 대신 소비지출을 크게 줄이고 있는 것

으로 알려진 40~50대 중장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을 줄여 그들의 소비지출을

이끌어냄으로써 내수경기 회복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주택연금

제도의 시행으로 사회 전체적인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의 재정 지원으로

고령층의 복지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저비용 고효율의 예산운용이 가능하며 부수적

으로 부동산시장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고령자가 보유한 자

산을 활용하여 스스로 복지를 확대한다는 점에서 국가의 복지예산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절감된 예산은 다른 생산적인 부문에 투입이 가능하여질 것이다 또한 주

택연금시장의 발달은 주택가치에 관한 정보의 투명성을 높임으로써 부동산시장의 안

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주택연 제도의 정착방안 향후과제

이처럼 고령화시대의 노후생활 안정에 있어 실질적인 한 축을 담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수적인 효과도 적잖게 기대되는 공적보증 주택연금제도가 빠른 시일내에 활

성화되고 정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시판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언급하기엔 다소 이른감이

있지만 상품 구성의 다양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대출금 지급방법을 보다 다양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현행 공

8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적보증 주택연금의 대출금 지급방식은 매달 같은 금액을 평생동안 지급하는 종신지급

방식을 원칙으로 하는 한편 신용한도설정방법(특별한 경우에 한하여 대출한도의 30

인출 가능)과 정기금지급방법을 혼합한 종신혼합방식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고령

층으로 갈수록 의료비 등 예기치 못한 거액의 자금이 일시에 필요한 경우가 적잖게 발

생하고 실제로 1980년대 후반 도입된 미국의 공적보증 주택연금인 HECM(Home Equity

Conversion Mortgage)도 신용한도설정방법이 가장 선호되는 방식임을 감안할 때 신

용한도설정방법에서 신용한도의 확대 및 전면 적용을 고려함으로써 고령층의 자금수

요에 대한 융통성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상품구성과 관련된 여타

부문에서도 향후 소비자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기울이며 고령층 수요자의 실질적 요구

에 부합하는 상품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상품구성의 다양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

해야 할 것이다

한편 주택연금은 상품의 특성상 장수위험(longevity risk) 금리위험(interest rate

risk) 주택가격변동위험(house appreciation risk) 등 다양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데 사실상 이러한 위험들로 인하여 위에서 언급한 상품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데에 여

러 가지 한계가 있으며 특히 공적보증 주택연금의 경우 동 위험들이 실제 손실로 이

어질 경우 그 부담을 궁극적으로 국민이 부담하게 된다는 우려 또한 존재한다 더구

나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이러한 주택연금의 리스크와 관련된 통계자료의 축적이 부

족하고 정형화된 관리기법 및 전문인력이 전무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주택

연금의 상품 구성이 보다 다양화되고 빠른 시일 내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주택연금과 관련된 리스크 평가관리기법의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병행되어야 하

고 이를 담당할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주택연금제도의 활성화 및 정착을 위해서는 또한 동 제도의 이점과 이용방법 등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시급할 것으로 여겨진다 특

히 국내의 경우 주택연금제도가 정착하는 데에 있어 주 걸림돌 중의 하나가 주택상속

에 대한 관행 및 부담이라는 점에서 교육 및 홍보활동을 주택연금의 대상이 되는 고령

자에 국한하기보다는 미래의 수요자이며 부모의 주택연금 구입관련 의사결정에 일정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젊은 세대에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주택에

대한 국민의식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주거의 개념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홍

제Ⅱ장 금융 일반 85

보활동 전개 및 이러한 의식변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사회경제적 제반 여건이 마련

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고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직접적인 홍보 및 교육활동과 아울

러 미국의 HECM 홍보 전략과 같이 노인복지관련 업무(예 노인복지회관 노인대학

등)에 종사하는 전문직 종사자들을 통한 간접적인 홍보 전략도 효과적일 것으로 여겨

진다

주택연금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간과해선 안 될 또 다른 중요한 사안으

로 판매과정 등에서 소비자인 고령층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

에 이와 관련된 분쟁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의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주택연금의 경우 신개념의 상품으로서 상품구조가 간단치 않을 뿐더

러 소비층이 이러한 신금융상품 및 금융지식에 덜 익숙한 고령층이라는 점에서 제도

시행 과정에서 불완전판매 및 동 상품과 관련된 유사 금융사기 등으로 인해 고령층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당할 우려가 있다 우리보다 먼저 주택연금제도를 시행하고 있

는 미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주택연금의 소비층이 상대적으로 금융지식에 덜 익숙한

고령자임을 악용하여 특히 주택연금과 관련된 금융사기 등이 적잖게 발생함에 따라

이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핫라인(부조리신고센터)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주택연금제도의 안정적인 정착

차원에서 불완전판매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일선 담당자에 대한 철저한 교육지도와

함께 전문상담사 제도의 시행 부조리신고센터 운영 등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병행되

어야 할 것이다

한편 주택연금은 대출자의 측면에서 보면 대출이 종료될 때까지 장기간 동안 자금

의 회수 없이 계속적으로 차입자에게 대출을 실행하여야 하는 일종의 유동성 리스크

가 따르는 상품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출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으로서 주택연금채

권의 유동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지나 이러한 주택연금채권의 유동화

를 시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주택연금은

대출상환기일 또는 대출종료일이 사망 이사 등 미확정기일인 관계로 현금흐름 예측

이 어렵고 모기지론과 비교할 때 모기지론은 대출채권이 일시에 발생하나 주택연금

은 매월 일정금액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므로 유동화시키는 시점에 풀(pool) 구성이 쉽

지 않다 특히 시행기간이 상당부분 경과한 후 주택연금 상품의 충분한 공급이 이루어

8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져야만 상품의 풀(pool) 구성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대출종료확률 등 유동화를 위한 기

초자료가 충분히 축적되므로 단기적으로는 유동화에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주택연금 시장 확대에 따른 소요자금을 원활히 공급하기 위한 제도적 장

치로서 주택연금채권의 유동화방안을 사전에 마련하고 관련된 연구를 지속해야 할 필

요가 있을 것이다

주택연금과 관련된 향후 과제로서 농촌에 거주하는 고령층을 위한 효율적인 주택연

금 상품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공적보증 주택연

금제도의 경우 농촌에 소재한 주택도 대상이 되고 있긴 하지만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고령층의 노후 생활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만한 가치의 주택이 많지 않다는

점이 문제이다 사실 농촌부문이 대도시 등에 비해 고령화가 보다 급격히 진행되고 있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계청의 lsquo고령자통계rsquo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은 1970년에는 도시 21 농촌 42이었는데 2000년에는 도시 55 농촌

147 2005년에는 도시 72 농촌 186로 농촌의 고령화가 도시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반면 노후 생활에 대한 대비는 보다 열악하여 정작 주택연금제

도가 필요한 곳이 농촌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농촌

의 특수성을 고려한 농촌형 공적보증 주택연금 상품의 개발이 시급한데 농촌의 경우

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농지를 농가와 결합하거나 또는 농지만을 담보로 상

품구성을 하는 방식이 그 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끝으로 주택연금제도가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어가고 있는 현 상황하에

서 고령자의 노후생활 보장의 효자로 빠른 시일 내에 자리매김하길 기대해 본다

제Ⅱ장 금융 일반 87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5호(200793)

우리나라 MampA시장 전망과 시사점

余 垠 姃

〈요 약〉

최근 MampA거래 규모가 세계 으로 증세를 보이는 등 세계 MampA시장은

2000년 이후 최 활황기를 맞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MampA거래 규모가

증가하고는 있으나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미미한 수 에 이르고 있다 재

외환 기 이후 구조조정 목 의 MampA가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고 국내 경제

가 안정 성장 단계에 어들면서 기업환경 반에 걸친 다각 변화가 진

행 이다 이에 처하여 기업들의 수익원 다각화 규모의 경제 실 을 한

형화 등 경쟁력 제고를 한 략 MampA시장이 활발히 개될 것으로 상

된다 향후 국내 기업들의 MampA 수요 증 에 비하여 투자은행 육성을 통한

MampA 개 기능 강화 PEF 련 규제의 완화 융기 기업의 해외 진출

련 제도 정비 등 정책 과제를 선결하는 것이 요하다고 여겨진다

최근 MampA거래 규모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세를 보이는 등 세계 MampA시장은 2000

년 이후 최대 활황기를 맞고 있다 90년대 중반 연간 1조 달러에 달했던 세계 MampA거

래 규모가 2000년에는 3조달러까지 확대되었으나 IT버블 붕괴 등으로 2001년 이후

위축되었다가 2003년 하반기부터 다시 증가세를 시현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

는 MampA거래 규모가 증가하고는 있으나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다 본고

에서는 국내외 MampA거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 경제와 기업에 대한 시사점 및

우리나라 MampA시장의 미래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8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세계 MampA시장의 동향과 특징

세계경제의 견실한 성장세에 힘입어 기업들의 수익성이 제고되고 저금리 기조 및

외환보유액 증대 등으로 글로벌 유동성이 급증하면서 MampA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2006년 중 전세계 MampA 규모는 전년대비 102 증가한 26조달러로 미국 주식시장

의 시가총액 대비 135 수준이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전세계 MampA거래가 다음과 같

은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국경간(cross-border) MampA거래

가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PEF의 활발한 움직임에 힘입어 적대적 MampA의 비중이 확

대되고 있다 국경간 MampA는 2005년중 전년대비 652 증가한 데 이어 2006년중에

는 전년대비 197 늘어난 1조 435억달러를 기록하였다1) 적대적 MampA 또한 2006년

중 1849억달러에 달해 전년대비 66나 증가하였다 이러한 적대적 MampA의 확대는

PEF의 활동 증가에 주로 기인하는데 2006년중 PEF가 주도한 MampA는 전년대비

1237 증가한 5172억달러로 전체 MampA거래의 198를 차지하였다 둘째 동종업종

간(horizontal) MampA가 성행하고 있으며 특히 금융업종간 MampA가 높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 세계 MampA의 약 68는 동일산업내(intra-industry)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데 이는 비용 절감 및 시너지 효과 이외에 시장점유율 제고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도

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재원 조달 측면에서는 보유현금지급 및 차입

매수(LBO)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경기 호황의 지속으로 기업들의 수

익성이 개선되면서 상당수 기업들의 자기자본대비 부채비율이 낮아져 레버리지를 이

용한 기업인수(LBO)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MampA시장의 황과 특징

반면 우리나라의 MampA거래는 이와 같은 세계 MampA의 추세 및 특징과 비교해 볼 때

여러 가지 상이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먼저 실질적인 MampA 규모면에서 2006년 기준

으로 전년대비 112 증가한 208조원을 기록하여 규모가 확대되고는 있으나 미국

영국 등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2) 2005년 기준으로(단 프랑스

1) 전체 MampA 대비 국경간 MampA 비중은 2005년 369에서 2006년 400로 상승하였다

제Ⅱ장 금융 일반 89

는 2004년) 주식시가총액 대비 MampA 비중을 살펴보면 영국 99 독일 94 프랑스

74 미국 69인 데 비해 우리나라는 29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MampA거래의 특

징을 살펴보면 첫째 국내 기업의 해외 MampA가 매우 부진한 것을 알 수 있다 공정거

래위원회에 신고된 실질적 국내 기업의 해외 기업 인수건은 2004년 2건 2006년 4건

에 불과하다 전체 MampA 중 국제 MampA 비중(금액기준)은 약 40로 세계 평균과 비슷

한 수준이나 이는 대부분 외국 기업의 국내 기업 인수로 국내 기업의 해외 기업 인수

는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둘째 세계 MampA가 동종업종간의 결합이 주를 이루는

데 비해 우리나라의 MampA는 2000년 이후 이종업종간(vertical) MampA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시장지배력 강화 목적의 대형화 추구보다는 사업의 다각화에 초점이 맞춰

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우리나라 MampA의 경우 적대적 MampA의 비중이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적대적 MampA에 대한 법적규제3)가 철폐된 1997년 이후 국내에서 시

도된 적대적 MampA는 25건이며 그 중 겨우 10건만이 인수에 성공했을 뿐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MampA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

나 무엇보다도 외환위기 이전까지 기업지배권시장(market for corporate control)이

발달하지 못한 점과 MampA와 같은 중요한 기업 의사결정에 주주 이외에 경영자 및 근

로자 등의 이해관계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lsquo이해관계자 자본주의rsquo(stakeholder

capitalism)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 등이 상대적으로 MampA 활성화를 제약하였다

또한 과거 수출주도형 제조업 중심의 성장 전략을 추진함에 따라 금융부문은 설비투

자를 위한 자금동원이라는 비교적 단순한 기능에 국한되어 상대적으로 낙후되었다

금융부문의 낙후성은 MampA거래의 재원 조달이나 중개 역할 수행을 어렵게 만들어

MampA 시장의 외연적인 확대를 제약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도 외환위기 이후

MampA가 기업 특히 부실기업 구조조정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점차적으로 증

가하는 추세에 있다

2) 실질적인 기업결합이란 주식 취득합병 및 영업양수는 포함하되 임원 겸임 및 회사 설립의 경우는 제외한 것을 의미하며 참고로 기업결합건수는 543건으로 2005년의 478건에 비해 136 증가하였다

3) 1997년 1월 증권거래법 개정 이전에는 주식대량소유제한제도로 인하여 누구든지 상장법인이 발행한 주식에 대해서 상장 당시 총 발행주식의 100분의 10 이상을 소유한 주주는 그 소유비율 그 이외의 자는 100분의 10을 초과해서 소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적대적 MampA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9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향후 MampA시장 망

외환위기 이후 시작되었던 금융 및 기업 구조조정 차원의 MampA는 부실기업의 재무

구조 개선 경영투명성 제고 건전성 및 수익성 개선 등으로 미루어 보아 마무리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국내 경제가 안정적 성장 단계에 접어들면서 시장포

화도 증가 기업간 경쟁 심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구조 및 수요의 변화 등 기업

환경 전반에 걸친 변화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주변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여 기업들의

수익원 다각화 규모의 경제 실현을 위한 대형화 등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적 MampA

시장이 활발히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글로벌 기업들이 하나 더 높은 단계

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서는 전략적 MampA가 필요하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4)

특히 시장지배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국내 기업간 수평적 결합 및 적대적 MampA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금액기준 국내 상위 10대의 기업결합 사례를 살펴보았

을 때 기업경쟁력 제고 및 시장지배력 강화 목적의 동종업종간 MampA가 일부에서 나타

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전 세계적으로 적대적 MampA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고 국내 PEF의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경영효율성 제고를 위한 적대적 MampA시장

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국내 기업의 외국 기업 인수 사례가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국내

기업의 양호한 수익 현금흐름 원화 절상 등의 요인을 고려할 때 해외 기업 MampA 유

인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5) 따라서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시도로 국경간 MampA

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해외 진출 지역의 경우 선진국시장보다는 신흥 시장국으로

의 진출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신흥 시장국은 선점 효과가 크기 때문에

신규회사 설립보다는 단시간 내에 현지화가 가능한 국경간 MampA를 통한 진출을 적극

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 및 원자재 분야의 MampA가 급격히 증가하는 세계적 추세에 비추어 볼 때 국

내 기업의 해외 MampA 진출 분야가 다양해지고 규모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MampA를

4) 지난해 3250억달러 규모였던 아시아 MampA시장으로의 지속적인 자금유입도 이러한 MampA 활성화에 긍정적인 유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5)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식시가총액 대비 MampA 비율이 비슷한 일본과 비교해도 국내 기업의 외국 기업 인수 비중은 현저히 낮은 실정인데다 현재 기업 수익이 양호하며 내부유보가 증가하고 원화가치가 절상됨에 따라 국내 기업의 해외 MampA 유인은 향상된 상황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91

통해 에너지나 원자재 확보에 나설 수 있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MampA를 비롯한 해외 진출은 국내 기업에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

의 MampA시장 관련 정보 수집 중개 기능 등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해외 진출 시 대

형 MampA거래가 빈번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인프라 정비 및 정책 과제

발굴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MampA 활성화를 한 정책 과제

향후 MampA에 대한 기업의 전략적 유인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공격과 방어

수단 간에 균형이 유지되는 방향으로 MampA 관련 제도를 보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

다고 여겨진다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전후 MampA 활성화를 위해 관련 규제를 완화하였

으나 이후 외국자본에 의한 국내 기업들의 적대적 MampA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방어

수단 강화에 초점을 맞춰 양 수단 간에 균형 유지를 중시해 왔다고 할 수 있다6)

2006년 상법개정안의 경우에는 경영권 방어 수단을 추가로 제공하는 동시에 MampA 대

가의 유연화 방안도 포함하고 있어 공격과 방어 수단 간의 균형 추구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7) 장기적으로는 국내 기업들의 MampA를 통한 성장 전략을 적극 뒷받침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공격과 방어 수단이 활용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필요

가 있다 특히 인수기업이 다양한 공격 및 자금 조달 수단을 통해 MampA를 시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대규모 적대적 MampA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

하다 이와 더불어 기업 합병 및 회사 분할 절차의 간소화 등을 통해 MampA가 촉진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음으로 기업간 MampA의 중개주선 또는 대리업무를 수행하는 투자은행의 육성

이 필요하다 투자은행 육성을 위해 금융 전문인력 확보 투자은행 서비스의 전문성

6) 주식대량소유제한제도 폐지(1997년) 의무공개매수제도 폐지(1998년) 등으로 MampA에 대한 공격 수단을 강화

하는 한편 5 보고제도 강화(2005년) 공개매수기간 중 주식발행 허용(2005년)으로 MampA에 대한 방어 수단도 강화하였다

7) 강제상환 및 강제전환 주식 주식매수권부 주식 종류주식의 다양화 등을 도입함으로써 기업들에 추가적인

경영권 방어 수단을 제공하는 한편 MampA대가로 합병회사의 주식을 전혀 교부하지 않고 금전 기타 재산 또는 모회사의 주식을 제공하는 합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삼각합병 등을 가능케 하여 MampA의 활성화를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9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제고 기업 신용평가 체제의 개선 등의 과제가 선결되어야 하겠다 향후 자본시장통합

법의 발효로 투자은행 기능이 대폭 강화된 대형 투자금융회사가 출현할 수 있는 계기

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PEF가 활성화되면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의 자금은 물론 시중의 풍부한 유동

성이 MampA시장으로 채널링되는 효과를 통해 국내에서도 대형 MampA가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책당국은 PEF의 활성화를 위한 제반 여건의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현재 금지되어 있는 재간접투자펀드(fund of funds) 관련 제도

를 도입하여 상대적으로 안전 선호 경향이 강한 대형 자금의 유입을 유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투자목적회사(SPC)에 대한 투자자를 PEF만으로 제약하는 규정을 완

화하여 기관투자자 및 전략적 투자자의 SPC 투자를 허용함으로써 자금 조달 및 운용

구조를 다양화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해외 PEF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

는 국내 PEF의 자산운용 관련 규정을 점진적으로 완화할 필요도 있다

마지막으로 금융기관 및 기업의 해외 진출 관련 제도의 정비가 필요한데 지난 4월

에 발표된 정부의 금융회사 해외 진출 지원 방안에 포함된 규제 완화가 이루어지면 해

외 진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회에서 심의 중인 법안은 금융지주회사

법 개정안이며 PEF와 관련해서는 간투법 및 보험업법을 해외 점포와 관련해서는 외

국환거래규정을 개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추가적인 규제 완화 사항도 관계부처간

협의를 통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국내 금융기관의 해외 MampA 원활화를 위해 관련 법

령(금산법 외국환거래법 등)의 개정이 그 한 예가 될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9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8호(2007101)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부실가능성과 대응방향

申 龍 相

〈요 약〉

주택경기 침체로 인한 미분양 물량 증가와 소 지방건설사의 잇따른 부도

로 PF 부실발 융 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정 융권에서의 PF 부실

우려는 그 규모가 작고 타 융권으로의 확산고리도 미약하여 융권 체의

부실로 이될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상승국면에 있는 국내경기가

축은행의 PF 부실로 인해 속히 둔화될 가능성은 아주 낮다

다만 기 가능성이 지속 으로 제기되는 에 유념하여 PF 련 2차 생

상품 규모를 정확히 악하여 불확실성으로 인한 일말의 시장불안을 조속히

해소할 필요가 있다 한 건설사의 도덕 해이나 다른 형태의 거품을 유발

하지 않으면서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를 반 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한 규제방

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한편 건설사들도 악화된 건설사업 여건 주택경기

축에 비하여 당분간 분양시기 조 사업 포트폴리오 다양화 무리한 사

업확장 자제 등 보수 의 경 략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부실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는 가운데 PF 비중

이 상대적으로 높은 저축은행의 부실과 이로 인한 금융불안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

기되고 있다 특히 미분양주택의 급증과 중소 건설사의 부도가 잇따르면서 한국판 서

브프라임 부실 사태로 발전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런 우려의 실상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업권별 대응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9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부동산 PF 증

PF란 유전개발이나 공장건설과 같은 대형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에 대해 금융회사

가 신용이나 담보보다는 프로젝트의 미래 수익성을 기초로 대출을 해주는 금융기법이

다 부동산 개발사업의 경우에는 금융회사가 사업완료 이후 발생할 미래 현금흐름(주

로 분양대금)을 담보로 토지 매입자금이나 건설자금을 시행사에 대출해 주는 방식으

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부동산 PF는 2004년 이후 주택가격의 본격적인 상승과 금융회사의 대출경

쟁으로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금융회사는 PF의 높은 위험성을 이유로 건설 시행사에

고금리를 부가할 수 있었다 특히 저축은행과 지방은행들은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지방 중소형 시행사들에 대해 프로젝트 리스크 등의 명목으로 별도의 수수

료를 요구하며 기업대출금리보다 높은 연 10대의 금리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

다 한편 시행사 입장에서는 주택가격 상승기에 높은 자금조달비용을 분양가에 전가

할 수 있어 큰 이익을 확보할 수 있었다

경기 침체와 지방 소건설사의 부실

그러나 2006년말 이후 부동산시장이 침체에 빠지면서 현금동원능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 지방 건설사들이 PF 상환에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금년 들어 시공능력

전국 200위 내 4개사가 최종 부도처리되었으며 상당수 중소 건설사들이 경영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급증하고 있는데다 완공

아파트의 입주지연으로 기 분양 잔금이 회수되지 않고 있는 것이 유동성 위기의 직접

적인 원인이다 이와 같은 지방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자금경색으로 중소 건설사들은

영업이익 흑자에도 불구하고 부도가 나는 이른바 lsquo흑자부도 위기rsquo로 내몰리고 있다

더욱이 주택사업에 집중한 중소 지방건설사들은 주택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한 이

러한 위기를 벗어날 특별한 대안이 없다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여기에 과거에

무리하게 확장한 사업들로 인해 PF 우발채무가 급증하고 있어 향후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이는 미분양 물량 증가와 대금회수 지연으로 부도난

시행사의 부채를 대신 갚아야 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95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시장 축과 PF 출 리 상승

한편 PF 대출금리가 상승하고 있는 것도 큰 문제이다 PF 대출금리 상승은 최근

PF 부실화 가능성과 함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시장의 위축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최근 금융감독당국이 종금계정을 통해 매입한 은행의 모든 기업어음(CP)을 유

가증권이 아닌 대출로 유권해석을 내릴 것으로 알려지면서 ABCP의 금리상승과 신규

발행 위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동안 유가증권 투자로 분류되

어 오던 종금계정 ABCP가 대출로 회계처리되면 은행들은 035~038의 신보 및 기

보의 출연료와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설정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를 회피하기 위해

ABCP 신규매입은 차치하고 기존에 매입한 ABCP마저 매각 처분해야 하기 때문이다

PF ABCP는 전통적인 PF와는 달리 주로 3개월 만기의 단기 유동화증권이다 만기

가 단기인데다 CD금리에 연동되어 그동안 5~6대의 저금리 발행이 가능함에 따라

주로 공기가 2~3년인 장기 건설사업의 현금흐름을 8~10번 정도의 차환발행을 통해

조달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와 같이 저리의 자금조달이 가능함에 따라 지난 3~4년

간 건설업계의 자금조달수단으로서 큰 인기를 끌었는데 실제로 주택가격이 급등한

2006년에 발행이 급증하였다 그러나 향후 금융감독당국의 유권해석으로 ABCP를 통

한 자금조달이 위축될 경우 건설업계의 자금조달경로가 전통적인 2~3년 만기의 PF

로 다시 이동하면서 10대 전후수준으로 대출금리의 상승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축은행의 PF 연체율 고정이하여신비율

건설경기 침체와 대출금리 상승으로 시행사 및 시공사의 유동성 위기가 현재화되면

서 총대출에서 상대적으로 PF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부터 PF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

고 있다 업권별 PF 규모는 은행이 저축은행보다 크지만 은행의 경우 대형 시공사를

지급보증인으로 세우고 있는데다 전문평가기관을 통해 사업성 검토가 이루어져 상대

적으로 부실위험이 낮은 반면 사업조건이 잘 갖추어지지 않아 은행대출이 막혀있는

상태에서 엄밀한 대출심사없이 브리지론 형태로 이루어진 저축은행 PF는 그만큼 연

체나 부도위험이 높다

9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PF 부실의 이 가능성

PF를 기초자산으로 발행한 유동화증권을 포함하여 PF와 관련한 대출채권 규모는

우리나라 금융권 총자산이나 국내 GDP 규모에 비해 크지 않은 상황이다 PF가 부실

화되면 유동화증권 및 유동화증권에 투자한 타금융권 금융회사들도 손실을 입을 수

있다 미국의 경우 그 규모가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이 부

실화되면서 이를 기초자산으로 발행한 주택저당채권(MBS)과 이를 대상으로 다시 2

차 3차에 걸쳐 재유동화한 부채담보부채권(CDO)에 투자한 타금융권 금융회사들이

부실화된 것과 같은 이유이다 그러나 전반적인 경기둔화와 맞물린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와는 달리 상승국면에 있는 국내경기가 PF 부실로 급속히 위축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저축은행 등의 PF 부실이 타금융권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낮은 것으로 판단된

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미국의 경우와 달리 대부분 1차 유동화에 그치고

있고 최근 급증한 ABCP의 경우에도 은행이 80 가까이 매입약정(지급보증)을 하고

있어 저축은행의 PF가 부실화되더라도 투자자들의 원금회수에는 문제가 없어 타금융

권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과 달리 재유동화시장이 발달하지 못한 데에는 파생상품시장

자체가 상대적으로 미비한 측면도 있지만 PF를 제공하는 국내 금융회사들의 재유동

화 유인 자체가 크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실제로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대

출을 제공하는 모기지 전문회사는 예금을 취급하지 않는 여신전문회사여서 모기지대

출을 위한 자금조달을 자산유동화를 통해 자본시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지만

우리나라 저축은행의 경우에는 예금을 통해 대출자금의 90 정도를 조달하고 있어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유인이 크지 않은 상황이다

PF 유동화시장을 둘러싼 불확실성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PF발 금융불안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데는

유동화물량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법에 따라 발행된 유동

제Ⅱ장 금융 일반 97

화증권 물량은 장부에 직접 계상되지 않는 부외거래(off-balance sheet engagement)

로 취급됨에 따라 규모가 얼마인지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운데

다 감독당국의 감시도 쉽지 않은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결국 유동화의 규모가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유동화구조가 안고 있는 잠재적 불확실성이 이러한 이유로

필요 이상으로 확대 재생산되면서 PF발 금융위기설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응 방향

따라서 정책당국은 일말의 불안감으로 작용하고 있는 PF 관련 2차 파생상품시장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여 불확실성으로 인한 시장불안을 조속히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

미국의 경우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규모가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전체 금융

권 나아가 세계 금융시장 불안으로 연결되었던 것은 2차 파생상품시장을 통해 재유

동화된 CDO 부실규모가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던 데에 일부 기인하였음을 기억할 필

요가 있을 것이다 더불어 정책당국은 지방 건설경기가 일시에 붕괴되지 않도록 수도

권과 지방간 차별적 규제완화방안을 마련하되 건설사의 도덕적 해이나 또 다른 형태

의 거품유발로 발전되지 않도록 규제완화방안을 보다 정교하게 정비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 건설사들의 부도는 부실규모가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자금경

색으로 인한 것임을 고려한다면 금융회사들이 너무 경직적인 잣대를 적용한 측면도

있다 따라서 최근 건설사 부도가 대부분 흑자부도였음을 고려하여 긴급자금지원 등

의 융통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으며 최종 부도처리 시점에서는 좀 더 신중한 판단을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건설사들도 분양가 상한제 분양원가 공개 등 강화된 정부의 부동산규제 SOC

예산 축소 대출금리 상승 등 악화된 건설사업 여건과 주택경기 위축에 대비하여 당분

간 분양시기 조절 사업 포트폴리오 다양화 무리한 사업확장 자제 등 보수적 관점에

서 내실경영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9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3호(2007115)

금융지주회사제도의 개선과 전망

李 建 範

〈요 약〉

융지주회사제도는 도입 이후 우리나라 융의 변화를 추동하는 핵심 인

제도로 자리잡고 있다 번 법개정은 융지주회사제도의 법 안정성을 확보

하고 해외진출을 지원하며 지배구조의 효율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 된다 향후

융지주회사의 발 을 해서는 융지주회사들이 최근의 규모확장에 부응

하는 내실경 을 다지며 지배구조의 확립에 최선을 다하고 모방 경 보다

는 자신의 역량에 부응하는 비 을 설정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책 인 측면에서는 소유정책 등 융정책의 안정 인 운 과 융지주회사

이외의 융그룹에 한 감독강화가 필요하다

지난 8월에 개정된 금융지주회사법이 11월 4일에 시행을 맞이하게 되었고 금융지주

회사법 시행령 개정안이 입법예고되었다 이와 같이 금융지주회사 관련 법제가 개선

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금융회사들은 금융지주회사제도를 통하여 경영상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금융지주회사 제도변화의 내용 금융지주회사의 현

황 향후 금융지주회사의 지향점 등을 살펴본다

융지주회사법의 개정 필요성

2000년 12월 금융지주회사법 제정 이후 2001년 우리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2003

년 한국투자금융지주 2005년 하나금융지주 등 4개의 금융지주회사가 설립되어 운영

제Ⅱ장 금융 일반 99

중에 있다 또한 금융지주회사제도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로 금융지주회사로의

전환에 관심을 갖는 회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금융지주회사제도가 국내 금융

회사의 겸업화대형화의 주요 수단으로 정착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금융지주회사제도는 투명하고 효율적인 지배구조의 운용 자회사에 대한 통합관리

다양한 업종 종사에 따른 리스크 분산 및 다각화 효과 교차판매 및 비용절감 등 그룹

전체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금융지주회사 형태를 이용한 금융그룹

의 형성은 기존의 자회사 방식에 의한 금융겸업화에 비하여 유연한 합병전략의 추진

상이한 금융업종간 통합의 마찰적 비용절감 등 조직 구조상의 유리한 점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금융사의 획기적인 변화를 추동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도입되었어도 기존의 권역별 전업주의의 유지라는 우

리나라 금융법체제와 일부 상충되는 점이 발견되는 등 법적 미비점 및 규제 해석상의

모호성으로 인하여 일부 혼란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금융국제화 추세에 따른 금

융지주회사제도의 보완 필요성도 꾸준히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제도 도입 취지에 부

합하게 금융지주회사법 및 제반 규정들을 개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된 것도 사실

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지난 8월 국회에서 금융지주회사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11월 4일부터 개정법이 시행되게 되었다

융지주회사제도의 주요 변화

개정법과 시행령 개정안의 주요한 변화를 살펴보면 지주회사의 설립 및 인가와 관

련하여 법적 미비점이 보완되고 불필요한 규제가 개선되었다 우선 삼성에버랜드의

금융지주회사법 위반과 관련하여 문제가 되었던 미인가 금융지주회사의 위법상태 해

소절차 및 시정조치권이 신설되었다 또한 지주회사 인가대상 회사를 자산총액규모

1천억원 이상으로 규정하여 소규모 지주회사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였다 그리고 경영

능력 규모 건전성 등의 요건을 갖춘 외국 금융회사의 국내 금융지주회사 설립도 허

용하였다

다음으로 금융지주회사 해외진출 관련 규제가 대폭 완화되었다 금융지주회사의 자

회사로 외국 금융회사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고 외국자회사 주식소유 의무기준이

10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완화되었으며 외국 손자회사의 업종제한을 폐지하여 외국 손자회사의 영위업종이 자

회사와 동일업종이 아니어도 편입할 수 있게 되었다

세 번째로 완전자회사의 경우 일정 요건에 해당하면 사외이사 설치의무를 면제하여

지배구조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임원 사외이사 감사위

원회 위원의 자격요건을 강화하였다

융지주회사법 개정의 기 효과

이번 금융지주회사법의 개정은 금융지주회사제도와 관련된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

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금융지주회사법은 금융지주회사의 정의

로 lsquo지배rsquo기준과 lsquo주된 사업rsquo기준을 공히 사용하며 인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개정전

법률에서는 의도하지 않고 금융지주회사가 되었으나 인가를 받지 않은 법인에 대한

해소조항이 명확하지 않은 법적 미비점이 있었다 그러나 법개정에 따라서 이러한 문

제는 해소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번 금융지주회사법의 개정은 해외진출을 추진하는 금융지주회사들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경쟁격화와 수익성

악화 위험 주변 신흥공업국의 높은 경제성장 동북아금융허브로의 도약을 위한 호의

적인 금융정책환경 등으로 해외진출을 추진하는 금융회사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대형 금융회사들의 대다수가 금융지주회사 형태를 취하고 있고 대형은행도

지주사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외 사업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데 있

어서 장애요인이 제거된 것은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금융회사들은 국내외에서 자신

의 경영역량에 맞춰 사업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금융지주회사 임원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의 자격요건이 은행법 등에서

의 규정과 일치하도록 개정되었는데 이는 자회사인 은행 보험사의 임원 자격요건에

미달하여도 금융지주회사의 임원이 될 수 있었던 법적 미비점을 개선한 것으로 내부

통제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완전자회사의 사외이사 설치의무 면

제 조항이 신설된 것은 그동안 지주회사의 자회사 관리라는 규정과 개별법에서 사외

이사의 감시의무 상에 존재하였던 지배구조상의 모호성을 제거하여 그룹전체 경영의

일관성 유지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제Ⅱ장 금융 일반 101

융지주회사제도 보완의 미비

반면 이번 금융지주회사법 개정에서 그동안 금융지주회사 산하 금융회사간 시너지

창출을 도울 수 있는 제도개선 사항이 포함되지 않은 것은 아쉬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금융지주회사제도가 지향할 점은 금융지주회사가 대형화 및 겸업화를 통한 긍정적

인 측면을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금융지주회사는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는

동시에 겸업화에서의 비용시너지와 수익시너지를 실질적으로 제고할 수 있어야 한다

비용시너지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자회사간 공동시설을 이용한 업무위탁을 고려한다

든지 공동으로 설립한 IT자회사와 금융자회사간 거래에 대한 세제상의 불이익을 해

소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주회사 그룹 내 회사간 공동의 마케팅이나

거래에 대해서 공정거래법상의 부당행위 적용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나 증권업무 수

행에서 지주회사 내의 은행 투자업무 부서와 증권사가 공통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지장이 되지 않도록 수수료 배분 규정을 완화하는 것도 겸업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너지 효과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업주의 법률체제가 유지되고 있고 경제적으로 실

질적인 단일체라고 할 수 있는 금융지주회사 그룹회사에 대해서도 엄격한 전업주의

규제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공정거래법상의 불공정 행위에 대한 엄격

한 법 적용도 수익시너지를 제고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비용시너지 및

수익시너지를 제고함으로써 금융경쟁력을 강화하고 소비자 편익을 증대시키는 금융그룹

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규정상의 모순점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려운 것은 금융지주회사법뿐만 아

니라 개별 금융법 공정거래와 관련된 규정 각종 조세와 관련된 규정 등 여러 부처나

부서가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향후에는 금융지주회사 운영과 관련하여 시너지효과

를 제고할 수 있는 개정이 이루어져서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명실상부하게 금융의 겸업

화와 대형화의 긍정적인 측면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융지주회사의 황

우리나라에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도입된 것은 금융의 겸업화와 대형화를 적극적으

10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로 추진하기 위한 것도 있었으나 금융구조조정을 원활히 수행하는 것도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제도 도입 이후 금융지주회사는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새

로운 이정표를 세울 만큼 놀라운 변신을 시도하고 있으며 겸업화와 대형화의 놀라운

실적을 보이고 있다

우선 금융지주회사는 인수 합병을 통하여 동종은행 및 여타 금융회사를 지주회사

산하의 금융회사로 편입하여 규모를 크게 확대하였다 또한 설립초기 은행위주의 금

융지주회사는 주력은행인 은행의 자산 비중이 95 이상을 상회하였으나 최근 증권

자산운용 여신금융전문회사 등으로 사업포트폴리오를 확장하여 은행업의 비중이 80

로 크게 낮아진 금융지주회사도 출현하였다 이러한 금융지주회사의 도약으로 인하여

현재 미전환된 은행업계의 선두권 은행들이 금융지주회사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으

며 외국계 은행의 국내자회사인 은행도 이번 법개정을 계기로 금융지주회사로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같이 국내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도입된지 8년도 안되어 국내 금융산업의 변화

를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금융정보 공유 지배구조상의 특례 사업조정의 용이점 등

제도상의 유인이 작용한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금융지주회사들이 이전의 보수적인

경영행태를 벗어나 새로운 시도를 통해 변화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

는 금융지주회사들이 이러한 변화의 모멘텀을 유지하면서 금융혁신을 추진하는 주체

로 작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융지주회사 운 정책의 방향

첫째 금융지주회사 경영진은 외적성장과 함께 내부 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은행위주의 지주회사의 경우 최근 은행자산의 증가세와 더불어

활발한 인수 합병을 통하여 규모를 확대하였다 물론 아직도 우리나라의 대형 금융회

사의 규모가 국제적 금융회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수준이지만 최근의 빠른 성

장세는 향후 오히려 경영상의 문제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특히 이질적 기업문화를

가진 회사간의 통합 다양한 고객층의 새로운 편입 등은 기존의 단일업종 금융회사 경

영에 익숙한 경영진에게는 새로운 도전이다 또한 향후 금융지주회사가 증가하고 경

제Ⅱ장 금융 일반 103

쟁이 격화될 경우 현재 지주회사제도를 조기 도입한 선점효과가 사라질 가능성이 높

다 따라서 금융회사 경영진은 내부경영의 효율성을 다지고 시너지 효과를 제고할 필

요가 있다

둘째 현재 금융지주회사를 경영하고 있는 회사나 향후 금융지주회사제도를 도입하

고자 하는 회사는 효율적인 지배구조를 확립하는 데 최선을 다할 필요가 있다 지주회

사제도는 본래 소유구조 및 지배구조를 오히려 더 복잡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어서 일

부 나라에서 장기간 금지되기도 하였다 차단벽이 있어서 겸업화를 안전한 방식으로

도입할 수 있는 등 유리한 점이 있어서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도입되었지만 지배구조의

복잡성이 경영상의 혼란을 초래한다면 제도도입의 취지가 퇴색할 것이다 효율적인

지배구조를 위해서는 이사회제도의 확립 경영진의 책임경영 공정한 경영권 승계계

획의 수립 경영진의 의사소통 원활화 등이 필수적이다 특히 모회사와 자회사 경영진

의 업무분담 자회사 경영진들의 그룹차원의 성과평가는 경영전략의 수립과 실천 자

회사간 시너지창출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금융지주회사는 각자 금융그룹의 역량을 고려하여 비전을 설정하고 비전달성

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할 필요가 있다 금융그룹화의 추세 속에서 겸업화하고

대형화하는 것이 종합금융그룹화 또는 금융슈퍼마켓 형성 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

다 고객 상품 지역 등 다각화를 추진하는 지평(level)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회사별

로 강점이 있는 분야를 공략하면서 성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동산관련 대출 신용카

드 대란 중소기업대출 등 금융분야의 쏠림현상(herd behavior)은 자신의 강점을 발

휘하기보다는 모방경영을 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적인 금

융회사 중에는 종합금융그룹으로 활동하는 회사도 있지만 단일 사업으로 전세계에서

활동하는 회사도 존재한다 금융지주회사가 추구하는 비전이 무엇인지를 판단하고 사

업포트폴리오의 구성이나 지역적 다변화가 이러한 비전을 추구하는 데 적합한지를 판

단하면서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넷째 향후 금융지주회사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금융회사 소유정책 등

금융정책의 안정적 운용이 필요하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겸업화의 효과를 살리기

위해서 필요한 조치들은 조속히 시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한미 FTA 자본시장

통합법 등 급변하는 규제환경 속에서 우리나라 금융지주회사들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

10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협하는 추가적인 제도변경은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기금 등이 비금융주력자

즉 산업자본의 개념에 포함되는 불합리는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은행소유규

제와 직접적으로 연계된 은행을 포함한 금융지주회사 소유제한의 경우 대외개방이

확대되고 해외투자자 보호장치가 강화된 상태에서 소유제한이 크게 완화된다면 국내

의 산업자본보다는 오히려 해외의 금융회사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 등의

타겟이 될 확률이 높으며 안정적인 경영을 방해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안정적이고 예측가능한 금융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금융지주회사 이외의 금융그룹에 대한 통합감독을 실시하는 등 금융그룹

에 대한 감독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금융그룹화의 진전은 세계적인 추세인 금융의 겸

업화 대형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의 이면에는 대형기관이 갖

는 대마불사(too big to fail)의 사회적 위험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금융그룹화는 크게

세 가지로 진행되었다 이는 금융지주회사 대규모기업집단의 금융회사들 대형 금융

회사들의 자회사 방식 계열화 등인데 금융지주회사를 제외하고는 연결감독이나 통합

리스크관리 감독이 실시되고 있지 않다 향후 금융부문의 경쟁은 금융통합화의 영향

으로 은행업 보험업 증권업 등 업권간 경쟁과 함께 종합금융그룹화된 금융그룹간 경

쟁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건전한 경쟁의 추구와 함께 금융시스템의 안정을 위해

서도 금융지주회사 이외의 금융그룹에 대한 통합감독을 조속히 시행해야 할 것이다

제Ⅲ장 은 행

제Ⅲ장 은 행 107

딜로이트컨설팅 코리아 전무(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7호(2007212)

은행의 부가가치 제고

金 愚 珍

〈요 약〉

은행의 수익성 분석에 있어서 ROA 당기순이익 등의 재무지표는 자의 이

고 일회성 요인을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 이 있는 반면 경제 부가가치

(EVA)는 주주가치를 비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은행의 EVA는 세후순 업이익이 자기자본 조달비용을 상회하기 시작한 2001년

부터 개선되어 왔으나 2004년 고 이후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외환 기 이 부터 국내 은행산업의 부실이 잠재해 있었고 최근 들어 이익규

모는 증가하고 있지만 충 이익은 정체하는 등의 상을 잘 설명하고 있다

한편 EVA를 활용하여 국내 은행산업의 수익성 결정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

국내은행이 부가가치를 제고하고 지속성장을 견인하기 해서는 안정 업

기반 구축 부외자산에 의한 성장 확 균형 지배구조의 연속성 확보 등의 과제

를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은행의 수익성을 분석할 때는 ROA ROE 등 재무지표(financial ratio)

를 주로 이용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내은행의 비경상적 이익이 크게 증가하면서 일

회성 요인의 당기순이익 기여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국내 은행

산업이 사상 최대실적을 거듭 갱신하면서 GDP 대비 이익규모가 네덜란드 스페인

미국 등 금융선진국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를 두고 우리나라 은행의 경쟁력 수

준이 이들 국가보다 높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는 재무지표의 경우 자의적이

고 일회성요인이 강하게 반영될 수 있어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10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런 관점에서 은행산업의 경우에도 과거 제조업에서 많이 이용하던 EVA(Economic

Value Added 경제적 부가가치)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1980년대 후반 미국의

경영컨설팅회사인 Stern Stewart가 개발한 EVA는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순가치의

증가분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세후순영업이익에서 투입된 자본에 대한 자본비용을 차

감한 것을 말한다 EVA는 자본비용 이상의 이익을 실현하는 것을 기업재무의 목표로

설정함으로써 주주가치의 극대화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고는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EVA를 측정해 보고 이를 다양한 수익성 지표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은행의 부가가치 제고에 요구되는 실천방안을 제시한다

국내은행의 EVA 추이 시사

국내은행의 EVA는 세후순영업이익이 자기자본 조달비용을 상회하기 시작한 2001

년부터 개선되어 왔으나 2004년 고점 이후 다시 하락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EVA

와 당기순이익간 관계를 살펴보면 흥미 있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1993년부터 외환위기 발생 전인 1996년까지 국내 일반은행은 흑자를 시현하고 있

었다 순이익 개념으로 볼 때 우리나라 은행은 체계적 위험이 없는 것처럼 보였으나

동 기간 중 EVA는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를 나타내었다 이른바 세후순영업이익이 자

기자본 조달비용에 못 미침에 따라 비즈니스 자체의 영속성(going concern)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었다

반면 1997년부터 대우사태가 마무리되던 2000년까지 국내 일반은행들은 대규모 적자

를 기록하였고 이로 인해 은행의 존망이 불투명하게 보였다 그러나 EVA 측면에서

볼 때 국내 은행들의 경영성과는 위기 이전보다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된 상황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일시적인 충당금적립 부담으로 은행이 위태롭게 보였지만 영업이

익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턴어라운드에 대한 기대가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기간을 살펴보면 2004년 이후 당기순이익은 증가율이

둔화되는 반면 EVA는 이미 감소추세로 전환하였다 이는 외형상 국내은행의 당기순

이익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과 관련된 실질적인 수익은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Ⅲ장 은 행 109

은행별로 보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의 연도별 EVA 추이는 동일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별로 보면 2000년 이전에는 지방은행이 시중은행보다 EVA 변

동성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지방은행의 영업성과가 시중은행에 비해 견고하지 못

하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2000년 이후에는 지방은행의 EVA 변동성이 시중은행에 비

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다음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첫째 시

중은행들은 동 기간 중 공격적인 영업으로 자산규모를 크게 확대했던 데 비해 지방은

행의 영업력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말해준다 둘째 지방은행은 EVA 변동성이 낮

게 유지됨에 따라 안정적 성장을 유지하고 있었던 반면 시중은행의 경우 EVA 변동성

이 확대되고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요망된다 최근 들어 시중은행간 경쟁이 격화되면

서 예대마진 축소압력이 높아지고 있는데 EVA 변동성 확대는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

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현재 추이대로 진행된다면 국내은행의 EVA 수준이

감소추세로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은행들

은 성장전략의 대안 마련이 요구된다 하겠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

TSR(Total Shareholder Return 총주주수익률)은 투자에 대한 수익인 주가수익률

과 배당수익률의 합으로 정의되며 가장 핵심적인 주주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주요 경영지표와 TSR 사이의 관계를 확인해 봄으로써 EVA가 주주가치 극대화 정도

를 얼마나 반영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국내은행(1993~2005년)을 대상으로 분석

해 본 결과 기존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EVA가 당기순이익 ROA ROE보다 주주가

치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VA 결정요인 분석 결과 EVA는 자기자본총자산과 음(-)의 관계를 총수신

총자산 및 총자산의 로그값과는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EVA가 영업이익

을 중시하기 때문에 수신증가율이나 자산증가율과는 양의 값을 가지게 되고 또한 자

본비용을 고려하기 때문에 자기자본비율과는 음의 관계를 가지는 데 기인한다 한편

판매관리비용률 및 무수익여신비율과는 음(-)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은행들이 부가가치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안정된 영업이익 흐름을 유지하고

11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비용측면의 효율성을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비이자이익총이익 변

수는 양(+)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가치제고를 위해서 비이자이익의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국내 상위 5대 은행의 비이자이익 비중과 누적(cumulative) EVA

를 보면 일반적으로 비이자이익 비중이 높은 은행이 경제적 부가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부가가치 제고 방안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는 국내은행이 부가가치를 제고하고 지속성장을 견인하기 위

해 어떠한 전략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인지를 시사해 준다 본고는 안정적 영업기반 구

축 부외자산에 의한 성장 확대균형 지배구조의 연속성 확보 등의 경영과제를 제시

한다

국내 은행산업의 충당금전입액 변동성은 일부 금융후진국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수

준에 있다 미국계 자산 상위 5대 은행보다 20배 유럽계 자산 상위 5대 은행보다

200배나 높은 변동성을 노정하고 있으며 심지어 금융구조조정이 완료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는 일본보다 거의 2배에 가까운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다 영업이익의 안정성

이 확보된 상황이 아니면 충당금적립전이익 규모만으로 은행의 성장성을 평가하는 데

무리가 있다 선진은행들은 경기 사이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이익의 변동성을 최소

화시키면서 수익기반을 안정적으로 확대시켜 나간다 앞서 보았듯이 은행의 성장은

부가가치를 제고시키지만 그 성장이 안정적이지 못하면 사상누각에 불과하다

과거에는 특정 회계연도에 이익이 급증하더라도 20를 훨씬 상회하는 여신증가율

을 동반함에 따라 1~2년 후 은행의 수익성이 크게 훼손되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따라

서 국내은행들이 안정적 성장기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금과 같은 양적 성장보다는

판매 중심의 영업문화를 정착시켜 수수료수익을 제고시킴으로써 수익구조의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물론 수익구조의 안정화는 추진하되 비이자수익 확대라는 경영

전략의 변화과정에서 이익성장의 모멘텀이 약화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겠다

수익구조가 안정되면 가격변수의 변동성으로 인해 수익성이 급변하는 가능성을 최소

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Ⅲ장 은 행 111

비용을 통제함으로써 이익을 창출하는 성장구조는 한계가 있으며 지속성장을 위해

서는 인력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해외은행들은 많은 인력을 고용

함으로써 판매관리비용률은 높지만 대차대조표상 자산규모의 3~4배에 달하는 부외자

산의 운용을 통해 절대적인 수익규모를 크게 창출한다 즉 해외은행들은 인적역량의

제고와 판매 중심의 영업문화 형성을 통하여 자본시장상품을 판매하는 세일즈조직을

강력하게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비용-고수익 구조를 창출하고 있다 반면 국내

은행은 비용효율성 제고를 위해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규모의 인력감축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재무성과의 개선은 이루어졌으나 은행의 지속성장에 한계를 보이는 축소균형

이 이루어지고 있다

앞서 제시한 전략들은 투자비용은 당장 소요되고 수익창출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다 임기가 짧은 은행 경영진이 이와 같은 중장기전략을 추진하려는 유인이 작

은 것은 당연할 수 있다 최고경영진이 조직의 바람직한 변화방향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도 경영의 연속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여건은 이들로 하여금 단기실적주의

관행을 넘어서는 비즈니스 포트폴리오의 구축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

에서도 CEO 재임기간이 길수록 국내은행의 EVA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은행 경영진

이 경영을 잘할 경우 임기를 크게 늘려주는 등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11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3호(2007326)

은행의 자본시장 역할 강화와 경영과제

具 本 星

〈요 약〉

지난 해 하반기 이후 통화정책 부동산정책 주택 융정책이 지속 으로 강화

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2001년 이후 지속되어 온 단기 심 유동성 심

실물자산 심의 자 흐름에 한 변화를 래하여 자본시장으로의 자 흐름을

진함으로써 융시스템의 구조 환을 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특히 은행업무와 투자업무 간 겸 의 매제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은행의 증권업무 확 는 통합 보완 계를 진시킬 것으로 보이는데 표

인 사례는 MMDA와 MMF의 체 계 기업 융과 투자은행업무의 통합 증권

화와 출업무의 보완 계 등이 있다 이처럼 시 은 은행이 자본시장에

한 역할을 반 으로 강화해야 할 시기라 할 수 있다 향후 은행의 자본시

장에 한 역할 강화는 융투자업무를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증권투자업무에 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 투자업무와 은행업무의 시 지

창출을 한 조직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자산 리서비스 퇴직연 시장

에 한 역량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지난 해 하반기 이후 통화정책 부동산정책 주택금융정책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통화정책은 지준율 인상이나 대출한도 조정을 통해 유동성 통제를 강화하고 있

고 부동산정책은 주로 주택가격의 안정화를 통한 주택수요의 안정을 유도하고 있다

주택금융정책은 주로 총부채비율규제를 중심으로 선제적 및 예비적 건전성 관리를 강

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은 그동안 저금리환경과 주택수요를 중심으로 늘어난 대출

제Ⅲ장 은 행 113

수요를 안정화시킴으로써 금융시장의 새로운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증권

사를 중심으로 한 CMA의 확대와 해외펀드에 대한 관심 증대 등 가계자산의 포트폴리

오 형태가 변화하는 경향을 감안할 때 금융시장의 변화가 가속화될 가능성도 있다

본고는 새로운 금융정책 기조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금융시장의 환경을 조망해보

고 이러한 변화된 환경에 대응한 은행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새로운 금융환

경은 2001년 이후 지속되어 온 단기 중심 유동성 중심 실물자산 중심의 자금흐름에

대한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금융시스템의 구조적 전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은

행경영에 대한 시사점도 살펴본다

자본시장을 통한 자 흐름의 진

거시유동성의 적정화 부동산가격의 안정화 주택금융의 건전화에 초점을 둔 3대

정책이 금융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각각 다음과 같다

우선 유동성조절 정책은 단기자산 위주의 관리에서 투자수익률 제고 목적의 장기자

산에 대한 수요를 점진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부동산가격의 안정화는 실

물자산에 대한 수요를 금융수요로 전환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동안

실물자산이 가계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부동산가격의 상승에 따라 급속히 높아졌

다는 점에서 금융자산에 대한 관심이 확대될 수 있다 끝으로 주택금융의 건전화는 주

택대출의 상환을 촉진함에 따라 장기적으로 금융자산 축적에 대한 유인을 높임으로써

투자서비스의 확충 및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즉 2006년 하반기

이후 이루어지고 있는 금융정책은 궁극적으로 금융시장으로의 자금유입을 촉진하고

장기자산의 축적이나 투자서비스에 대한 유인을 높임으로써 자본시장이나 자산운용

시장으로의 자금흐름을 촉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과 증권투자업무 간 겸 겸업 진

또한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흐름 확대는 은행업무 기반을 고려해 볼 때 은행의 유가

증권에 대한 투자유인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은행 및 가계의 부동산에 대한 직간접

11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운용비중이 완화됨에 따라 채권 또는 파생상품 등에 대한 투자기회를 확대시킬 수 있

기 때문이다 또한 기업들의 경우 대출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에 비해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이 확대될수록 자본시장의 자산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 이 외에 자본시장 관

련 상품의 혁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은행자금이 투자자금으로 전환되는 현상이 확대될

수 있다 이처럼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흐름 확대는 은행 입장에서 볼 때 겸업 또는 겸

영을 통한 투자업무 확대에 대한 유인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은행의 투자업무 확 경쟁-보완-통합의 계

은행의 증권투자업무 확대는 주로 내부겸영 형태의 통합방식이나 자회사 형태의 영

미식 형태 등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내부겸영 형태는 주로 유니버설뱅킹 시스템을

채택하는 경우에 활용되는 반면 자회사 형태는 주로 규제감독에 의한 내부겸영을 제

한받거나 증권업무의 독립성이 보장되는 경우에 활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 방

식의 실질적인 차이는 경제적 측면에서 없을 뿐만 아니라 은행의 증권투자업무 확대

에 대한 제한도 점차 완화되는 추세라 할 수 있다 은행의 증권투자업무 확대에 대한

규제완화는 주로 파생금융상품의 매매 또는 투자 자산관리업무 투자자문업무 등을

중심으로 겸영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투자업무의 겸영 확대는 그동안 은행

과 증권사의 업종 간 통합서비스를 확대시키고 업무 및 서비스 측면의 보완관계에 따

른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은행업무와 증권투자업무 간 통합서비스에 대한 유인을 높이는 것으로써

MMDA와 MMF의 대체관계를 들 수 있다 MMDA와 MMF는 은행과 증권사의 대표적

인 단기 판매상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두 상품은 주로 단기수익률의 차이에 따라 자

금이동이 활발한 상품에 해당된다 국내의 경우 두 상품의 상관관계는 2006년 이전에

정(+)의 관계를 보였으나 그 이후 음(-)의 관계가 두드러지는 등 대체적 성격이 강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은 가계의 단기수익률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진 데 따

른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은행의 경우 수신기반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자본시장에서의

증권투자서비스 기반을 확보할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최근 국내 증권사의 주력상품으로 부상하고 있는 CMA의 경우도 보완

제Ⅲ장 은 행 115

통합의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된다 1977년 Merrill Lynch가 처음 CMA를 도입했을

때 Bank One과의 제휴를 통해 지급결제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증권업무와 은행업무

간 보완관계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현재 Merrill Lynch는 자회사인 Merrill Lynch

Bank와 Merrill Lynch Bank amp Trust를 통한 예금계좌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타 대

형은행과 경쟁하고 있다 Smith Barney가 Citibank 및 Master카드사와 제휴하여 통

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업금융(corporate banking CB)과 투자은행(investment banking IB) 업

무의 통합 현상을 들 수 있다 Chase 은행의 경우 기업금융 부문에서 선두였으나 주식

인수업무를 통한 종합기업금융서비스 제공을 위해 JP Morgan을 인수함으로써 CB와

IB의 수익기여도가 전체의 약 25(2005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Citigroup의 경우

에도 Smith Barney를 통한 주식 및 채권인수에 대한 시장지배력 확보를 통해 CB와

IB의 수익이 전체 수익의 약 22를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궁극적으로 은행과

증권투자업무 통합에 대한 유인을 전반적으로 강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대출시장과 CLO 및 CDO 등 증권유동화시장의 보완관계도 들 수 있다 유

럽의 CDO시장은 2001년 약 30조유로에 불과하였으나 2006년에는 약 90조유로로 급

성장세를 시현하고 있다 이러한 CDO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EU의 기업여신도 2001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CDO시장의 활성화는 은행의 기업대출 확대

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은행의 대출업무는 증권시장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은행과 증권업무는 경쟁 및 대체관계 보완관계 등을 통해 자본시장의 발전

을 도모해 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그동안 국내 자본시장에 대한 은행의 역할은

자산이나 자본규모에 비해 수익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이었다 예컨대 은행계

증권사의 자산 및 자본규모는 전체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MampA 또는 위

탁매매업무에 대한 시장점유율은 약 25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규모와 점유율 간

차이는 자본시장에 대한 은행권의 적극적인 역할이 상대적으로 취약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금융시장의 전반적인 환경이 자본시장이나 자산운용시장

을 중심으로 자금흐름이 촉진되고 금융시스템의 구조적 전환이 촉진될 수 있다는 점

에서 은행은 자본시장에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11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자본시장에 한 은행의 역할 확 방향

은행의 자본시장에 대한 역할 확대는 크게 금융투자업무의 시너지 창출 기업금융

에 대한 통합체계 마련 자산관리서비스의 확대 등을 통해 은행의 자산운용 및 자산관

리서비스 역할을 높여 성장엔진으로 활용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은행이나 은

행그룹은 금융투자업무에 대한 시장규모를 확대하는 경영을 함으로써 자본시장을 통

한 수익기반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은행은 투자업무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 자회사 또는 내부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확

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형은행의 경우 투자은행 업무 또는 자기매매 업무의 취

약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자본증대 또는 업무기반의 확대를 위해 금융그룹 차원의 적

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증권투자업무의 규모의 경제 확보는 은행의 여

신 외환 및 파생금융 PB 업무 등의 사업시너지 창출에도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직적 측면에서도 여신업무와 투자은행 업무를 연계할 수 있는 조직의 확대

또는 전략적 제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지주회사의 경우 은행의 기업대출 업무와

IPO 또는 MampA 등 투자은행업무의 시너지를 높일 수 있도록 관련 조직을 강화해야 한

다 중소형 은행의 경우 증권사 또는 자산운용사와의 포괄적 또는 장기제휴 관계를 통

해 기업금융기반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자산관리서비스의 경우 재산보호형 업무와 재산증식형 업무 연계계좌와 CMA 기

능의 복합화 랩어카운트와 재산신탁 또는 PB업무 등을 병행하는 전략을 통해 금융투

자서비스 시장에서의 업무범위(coverage)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재

산보호에 초점을 둔 PB업무와 재산증식에 초점을 둔 WM(wealth management)업무

는 경쟁관계 또는 시장잠식 측면보다는 상품서비스 기반뿐만 아니라 고객기반을 확

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완과 시장창출의 긍정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자산

관리서비스를 통한 금융투자업무 기반 확대는 새로운 투자서비스 시장을 창출하고 관

련 서비스에 대한 역량을 심화시킬 수 있는 기회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특히 은행들은 퇴직연금 시장에 대한 시장지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관련 역량을 조

기에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퇴직연금은 금융자산에 대한 수요 장기자산에 대

한 수요 세제혜택 등으로 인해 자본시장의 핵심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

제Ⅲ장 은 행 117

직까지 국내 퇴직연금시장은 미국 및 영국 등에 비해 미약한 수준에 불과하나 기업금

융 신탁서비스 투자 및 조사업무 포트폴리오 관리업무 등에 있어서 사업시너지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은행의 금융투자업무 확대는 자본시장의 성장기회 통합형 금융시스템으

로의 전환 수익다각화 등의 측면에서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효과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11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9호(200757)

금융구조의 변화와 은행의 역할

李 建 範

〈요 약〉

개인과 기업이 외환 기 이후 변화된 융행태를 유지하고 안 자산 선호에

따라 나타났던 은행 은행상품의 우월성이 사라지며 증권화와 같은 융 신

이 개방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 으로 가시화된다고 할 때 은행은 자산규모

의 상 축소에 따라 역할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은행

들이 1990년 이후 미국 은행들과 같이 융환경 변화에 극 응하여 차

조표 상의 업무 개선은 물론이고 부외(off-balance sheet)거래를 활성화한다면

경제 내에서 은행의 역할은 계속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금융산업은 외환위기 이전과 크게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금

융자금의 흐름도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은행의 위상이 크게 높아진 현재

의 상태가 계속 유지될 것인가 향후 어떠한 금융환경 변화가 예상되고 은행은 어떻

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외환위기 이후 긴 구조조정기를 보내고 안정 성장기에 접어

든 은행들이 향후 장기전략 수립 시에 고려할 점을 살펴보도록 하자

융구조의 변화와 은행

국민경제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금융활동들이 상호 간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

으며 금융활동이 실물활동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데에 자금순환

제Ⅲ장 은 행 119

표가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지난달 발표된 2006년 자금순환동향에 따르면 우

리나라의 금융연관비율(금융자산잔액명목GNI)은 818로 2000년 이후 최대의 상승

폭을 보였는데 미국(973) 일본(1223)에 비하여 낮지만 이들 나라가 8배를 넘어선

시점이 각각 1990년대 후반 초반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전보다는 격차가 줄어들

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금융연관표를 통해 지난 30년간의 기업 및 개인의 금융행태를 살펴볼 때 외환

위기 이후 몇 가지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여전

히 기업이 자금부족부문이고 개인이 자금잉여부문이기는 하지만 경제규모에 대한 기

업부문의 자금부족 비율((조달-운용)GNI)이나 개인부문의 자금여유 비율((운용-조

달)GNI)이 이전에 비하여 크게 하락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추세는 미국에서도 관

찰되는 것으로 미국과 같이 개인이 자금부족부문이 되거나 기업이 자금공급부문이 될

정도에 이르지 않았지만 개인부문이 자금을 공급하고 기업부문은 자금을 사용하는 것

과 같은 전통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개인이나 기업 모두 자금의 공급자이며 동시에 이

용자가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 하나 주목할 것은 외환위기 이후에도 금융부문의 비금융부문에 대한 자금공급에

서 유가증권보다는 대출금의 비중이 크고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미

국에서는 유가증권과 대출금의 비중이 1990년대 중반 역전되어 유가증권의 비중이 높

아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유가증권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은행을 중심으로 한 대출금의 비중이 높다는 것은 이러한 증권화 추세와 다른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은행의 위상은 날로 강화되고 있다 작년을 기준으로 볼 때 총

자산 자기자본 및 직원수에서 외환위기 이후 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이전에 비하여

크게 높아졌다 은행의 수가 점차 줄어 든 것을 고려할 때 상위 은행들이 우리나라 금

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은행 대출은

개인에 대한 대출이 늘어나면서 기업대출의 비중 특히 대기업의 비율이 크게 하락하

였다

외환위기 이후 개인과 기업의 금융행태 변화의 원동력은 무엇이며 정보통신 등 기

술발전이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 향후 금융구조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그리고 위에

12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서 살펴본 은행의 위상 강화 경향은 향후에도 지속 가능한 것일까

융행태 변화와 향후 융구조 변화의 방향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특징적인 재무구조 변화는 부채비율이 이전에 비하여 크게

하락하였으며 자금조달도 내부 외부자금 중 내부자금 의존도가 크게 증대되었으며

투자의 현금흐름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졌다는 점이다 물론 부채비율 200 이하 유

지 등 정책적인 측면도 있지만 외환위기 시 겪었던 기업도산에 따른 파산비용의 인식

도 기업의 부채비율 하락에 일조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업투자가 자체 현금흐름

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과 위험증가에 대비하여 현금보유비율을 높인 것도

기업의 재무행태를 변화시킨 요인이다

한편 개인부문은 경제 내 자금공급자 역할뿐만 아니라 자금수요자로서의 역할도 크

게 강화되었는데 물론 주택대출을 중심으로 부채를 증가시켰지만 이러한 변화는 내구

소비재 교육지출 등 개인의 자금 수요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과 개인의 이러한 금융행태 변화는 경제 내 큰 쇼크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과거

로 회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경우 대기업의 내부자금 조달 비율이 높

은 상태에서 부채비율이 이전의 상태로 급증하기는 어렵다 반면 현금보유비율이 높

은 상태에서 기업부문의 자금 운용 규모 확대는 향후 은행권의 주요 수익원이 될 수

있다 개인의 경우에도 소비의 비가역성 개인부문 부채의 급격한 축소에 따른 위험

등으로 인하여 자금조달이 급격히 변화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러한 기업과 개인부문의 금융행태 변화와는 달리 자금공급에서 현재와 같은

은행의 역할이 지속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외환위기 이후 비은행금융기관의

대폭적인 역할 축소에 따른 자금이동 안전지향의 개인 금융자산 운용 등은 외환위기

와 같은 충격에 대응하고자 하는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환위기의

충격에서 벗어나고 대체적인 금융상품을 제공하는 금융주체가 등장하며 개인 및 기업

의 자산운용에서 위험선호가 다양화될 경우 현재와 같은 은행우위의 상태는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은행의 핵심예금 비중 감소 금융세계화의 진전에 따른

외국 금융기관의 진출 확대 자본시장 육성정책의 시행 등을 감안하면 은행의 대차대

제Ⅲ장 은 행 121

조표상의 규모증대로 나타나는 대출증가 추세가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정보통신기술의 혁신이 결제비용의 절감 후선업무와 같은 비숙련노동의 컴

퓨터로의 대체 등 하드웨어적인 것뿐만 아니라 선진금융과 같이 정보를 습득하고 분

석하는 능력의 향상으로 나타날 경우 증권화(securitization)가 진전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기술의 혁신은 기존 금융업무의 분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데 이는 전문화의 효

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금융업무를 재편할 것이다 즉 투자상품을 상품제조와 판매

로 분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출생성(origination) 위험관리(risk processing) 서비

스(servicing) 자금모집(funding) 등으로 구성되는 대출업무 중 자금모집(funding)

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정보투명성이 제고되고 위험측정이 가능한 모든

대출 대상은 증권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럴 경우 은행은 최종적인 자금공급자는 아니

지만 자금공급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이와 같은 금융환경 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은행의 위상을 지킨

미국 은행들에 대해 살펴보자

미국 은행의 수익구조 변화와 의미

미국에서 1990년대 초반 대공황 이후 최대의 은행위기가 닥쳐 은행의 역할이 크게

줄어들자 은행의 쇠락에 대한 우려가 컸었다 특히 은행의 대차대조표를 통해 공급되

는 자금의 중요성이 크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우려는 심각하게 받아들여

졌다 그러나 10여년이 지난 지금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기업부문 전체의 자금공급에

서 은행의 비중 금융권 수익에서 은행의 비중 GDP에의 기여도 등 은행부문이 경제

에서 기여하는 역할이 줄어들었다는 증거는 없다(FDIC 2004)

한편 은행은 증권화가 어려운 분야에서는 전통적인 강점을 살려서 우월성을 유지하

고 있다 미국에서 은행의 비금융부문에 대한 자금공급의 비중은 줄었지만 기업자금

공급의 비중은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 구성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단기자금대출(short term non-mortgage business loans)의 비중은 줄고 사업부동

산 담보대출(loans collateralized by business real estate)의 비중은 크게 늘어났다

즉 사업부동산 담보대출은 증권화가 어렵고 은행의 우월성을 유지할 수 있는 부문이

12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기업자금 대출에서 은행의 지위를 유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부문에서는 기존의 강점을 살려 경쟁력을 유지하였지만 그 이

외의 분야에서는 금융환경 변화에 대해 은행권이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전체적인 경쟁

력을 유지하였는데 이것은 은행의 수익구조를 살펴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2006년 미국 상업은행 전체의 영업수익 중 비이자이익의 비중은 433이다 1980

년대 후반까지 30를 밑돌던 은행의 비이자이익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초반부터이다 이 시기는 미국 내 증권화가 크게 확대되는 시기이기도 한데

은행은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대차대조표상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손익계

산서에는 나타나는 활동을 강화한 것이다 즉 2001년부터 Call Report 공개요건 강화

때문에 은행 비이자이익의 항목을 세분화해서 살펴볼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재분류

하여 다시 살펴보자 작년 말 비이자이익 항목 중 전통적인 비이자이익(예금계정 서비

스 신탁서비스 등)부분이 약 326 투자은행트레이딩보험업무 등 비은행업무

가 164 신용의 상품화(증권화관련 수익 외부에서 자금조달된 자산에 대한 서비스)

관련 이익이 164 기타 자회사(unconsolidated subsidiary)수익데이타처리유

동성지원서비스(liquidity provision) 등 기타항목이 346이다

즉 미국 은행들의 수익구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은행이 대차대조표상 업무

를 통해 나타나는 상대적 중요성 감소에 대응하여 비은행업무로의 다각화 및 증권화

를 통해 적극적인 대처를 하여 은행 수익을 유지하였다는 것이다

은행의 장기 이고 극 인 응 필요

우리나라의 금융구조에서 개인과 기업이 외환위기 이후 변화된 행태를 유지하고

안전자산 선호에 따라 나타났던 은행 및 은행상품의 우월성이 사라진다고 할 때 그리

고 증권화와 같은 금융혁신이 개방화와 정보통신기술 발전으로 가시화된다고 할 때

은행의 적극적인 변화 노력이 없다면 은행은 자산규모의 상대적 축소에 따라 역할이

축소될 것이다

제Ⅲ장 은 행 123

반면 금융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대차대조표상 영업의 개선은 물론이고 금융환

경 변화에 대응하는 부외(off-balance sheet)거래를 활성화한다면 경제 내에서 은행

의 커다란 역할을 계속 유지할 것이다 최근 은행의 저원가성 핵심예금(core deposit)

이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는 등 경제의 안정화에 따라 은행의 상대적 우월성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더욱이 향후 금융환경은 ldquo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rdquo 등 자

본시장 규율체계의 대폭적 변화 한미 FTA 타결에 따른 금융시장의 개방 규제완화를

명분으로 한 금산분리 원칙에 대한 재고 가능성 등 정책변화에 따른 리스크 상승의 가

능성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정책들의 복합적인 효과가 은행 경영에 유리하다고 단언

하기는 어렵다

금융산업 내 은행의 비중이 매우 커진 현시점에서 은행의 장래를 걱정하는 것이 무

리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은행 경영관행을 고집할 경우 은행의 위상 약화가

예상되는 상황이므로 은행의 장기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

다 금융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경제 내에서 높은 위상을 유지한 미국 은행의 경

험은 은행(banking)이 쇠락(declining)하지 않고 진화(evolving)할 수 있는 것을 보

여주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12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22호(2007528)

기업금융의 활성화를 위해 은행이 나아갈 길

金 炳 淵

〈요 약〉

IMF 융 기 이후 기업 융 축 상의 지속으로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동력

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한편 외국의 은행들은 기업 융 활성

화를 하여 노력해 온 결과 기업 융의 패러다임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그 결과 기업 융시장의 지식집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고 기업고객의 융

니즈를 방 으로 충족시키는 형태로 기업 융서비스가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외국 기업 융시장의 한 발달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기업

융시장의 여건은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고 기업

융이 르네상스를 이룩하기 해서는 먼 우리나라 융시장의 취약 을

조속히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사업조직으로서 융지

주회사를 만들어 본격 인 투자은행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업

융에 한 모든 업무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기업 융의 활성화 필요성

IMF 금융위기 이후 BIS자본비율 준수 기업신용위험 증대 부동산가격 하락 등의

요인이 겹치면서 은행의 기업금융(특히 대기업금융) 기피현상이 일어나게 되었다 그

결과 대기업 대출의 비중은 계속 감소하고 회사채 투자 및 회사채 지급보증도 거의 증

가하지 않음에 따라 은행의 대기업금융은 겨우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으로 위축되었

다 한편 중소기업대출의 경우 신용보증기금의 보증한도 증액 및 부동산담보에 힘입

어 간신히 과거의 활력을 유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외부여건이 바뀔 경우 은행의 중소

제Ⅲ장 은 행 125

기업금융도 한계에 다다를 가능성이 높다

한편 대기업은 IMF 금융위기 이후 IT 및 통신 등 몇개 분야 이외에는 설비투자를

거의 확장시키지 않았고 그것도 외부차입보다는 내부자본에 의존함으로써 기업금융

의 위축을 부채질하였다 우리나라 대기업은 산업구조상 대부분 현금창출능력이 뛰어

난 단계(cash-cow)인 성숙산업에 위치하고 있는 반면 해외자원개발이나 신규사업 및

설비 증설에는 소극적이어서 사실상 외부차입의 필요성이 크게 줄어든 것이 이러한

결과를 초래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업들의 미래 차세대 성장산업에 대한 소극적

인 투자는 향후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동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면에서 큰 우려를 낳

게 하는 요인이다

이와 같은 우리나라의 기업금융 위축은 은행의 기업금융 기피현상과 더불어 기업가

정신의 실종에 모두 연유한다고 할 수 있으므로 기업금융의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해

서는 은행은 기업금융 기피현상을 초래할 수 있는 여러 제도적 및 관행적 요인들을 제

거함과 아울러 기업의 신규투자 및 기업가정신을 고양시키는 환경 조성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기업 융에 있어서 은행이 착하는 딜 마

은행들이 위축된 기업금융을 활성화하고 기업금융의 주도권을 다시 탈환하려고 할

때 일반적으로 다음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여섯 가지 딜레마에 봉착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는 은행과 기업의 조직문화 차이이다 기업들은 도전적으로 사업기회를 추구

하는 정신(entrepreneurship)이 필요한 반면 은행은 신중하게 위험부담을 일정한 수

준으로 줄이려고 하는 신용문화가 필요한데 양자 간에 조화가 어렵다 이러한 신용문

화는 은행이 지원해줄 수 있는 프로젝트의 성격 및 범위를 결정하게 되는데 기업의 입

장에서 볼 때 은행의 서비스는 항상 불만족한 수준에 그치게 된다

두 번째는 기업과 은행의 인센티브 차이에서 비롯된다 기업은 사업추구에 따른 초

과이윤에 관심이 있는 반면 은행은 사업이 잘못되었을 경우의 손실가능성에 주목하게

된다 즉 초과이윤이 있을 경우 은행은 일정 금액의 몫만 챙기고 나머지는 고스란히

12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기업의 몫으로 돌아가게 되는 반면 손실이 있을 경우 때에 따라서 기업과 비슷한 부

담을 하게 되어 어떻게 보면 불평등 계약이 되는 셈이다 그러므로 기업과 은행 간에

는 항상 엇박자가 날 가능성이 높으며 프라이싱에 있어서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 그

러므로 기업의 입장에서 볼 때 상당히 매력 있는 사업의 기회가 있는 프로젝트에서 은

행을 동반자로 삼기가 어렵게 된다

셋째는 은행이 기업금융을 취급하는 데 있어서 언제나 담보부족의 갈증에 시달리게

되는 점이다 이는 전술한 인센티브 차이와 후술하는 정보비대칭성에서 기인하는 채

권보전을 위한 자구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갈증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

는 마땅한 담보를 발견하기 어렵다 그래서 담보가 부족한 경우에는 많은 적격 기업들

이 금융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기 쉬우며 기업의 입장에서는 과도하게 담보에 집착하는

은행을 동반자로 삼는 것을 기피하게 된다

넷째는 기업금융을 취급함에 있어서 신용평가의 어려움이다 기업의 신용평가는 개

인과 달리 각 기업의 독특한 특수성을 충분히 감안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 통계적

방법에 의존해서 신용평가를 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전통적으로 신용평가 시 은행이

크게 의존해온 재무제표는 상당히 후행적인 것으로서 과거의 환경변화가 어떻게 신용

위험으로 발전하였는가 또는 향후의 환경변화가 어떻게 기업의 사업위험에 영향을 미

칠 것인가에 대해서 아무 시사하는 바가 없다 재무제표의 자료에만 크게 의존할 경우

돈이 별로 필요하지 않는 기업만이 좋은 평가를 받게 된다

다섯째는 정보의 비대칭성 극복이다 기업금융이 어려운 점은 기업과 은행 간에

심각한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그것은 양자 간에 사업의 기회 및 위험

에 대한 지식 및 정보의 차이 밀착모니터링의 한계 기업경영의 투명성 부족 인센티

브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정보의 비대칭성은 은행으로 하여금 기업금융에 대

해 과도하게 신중하고 수세적인 자세를 취하게 되며 담보에 많이 의존하는 기업금융

행태를 발전시키게 한다

마지막으로 은행은 지급결제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감독당국에서 규정한 리스크 부

담의 한계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기업금융(특히 중소기업금융)은 가계금융에 비해 보

다 많은 불확실성에 노출되어 있으며 또한 담보나 신용평가면에서 채권보전상 열악한

위치에 놓여 있다 또한 금액규모가 커 편중여신에 대한 제한에도 얽매여 있다 그 결

제Ⅲ장 은 행 127

과 어떤 일정 성격 형태 또는 규모의 기업금융에 대해서는 원활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은행 및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점점 이와 같은 딜레마를 확대시키려는 경향

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은행대출보다는 회사채가 회사채보다는 주식발행이

더욱 매력 있는 금융수단으로 각광을 받게 되어 기업금융시장에서 은행대출의 설자리

가 점점 좁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은행의 기업금융은 기존의 좁은 울타리 영역에서 벗

어나 회사채 및 주식의 영역에까지 나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은행의 기업 융 한계 극복 방안

은행과 기업 간의 문화 및 인센티브 차이는 은행이 기존의 상업은행업무에만 국한

할 경우 극복하기 어려운 과제이므로 그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하기 위해서 은행은 투

자은행업무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증권 및 은행의 분리원칙에 의거 투자은행

업무는 금융지주회사의 우산하에서만 추진할 수 있으므로 기업금융을 활성화하기 위

해서는 금융지주회사를 설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업은행업무와 투자은행업

무 간에 충분한 시너지가 발생하지 않으면 기업금융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어려우므로

소매금융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업금융 플라자를 만들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일반 기업대출업무 회사채 및 주식인수업무 벤처캐피탈업무 기업구조조정업무 벌처

펀드 중소기업 지분금융(equity finance) 기업공제금융업무(business cooperatives)

사모펀드업무 사모사채업무 등 기업금융에 관한 모든 것을 취급하도록 하는 것이 필

요하다 단 각 업무별로 충분한 방화벽(fire-wall)을 만들어 이해상충 문제가 발생하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담보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국은행들이 사용하는 자산담보부대출(asset

based lending)방식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기업의 원재료 재고자산 및

받을채권 등 각종 자산을 담보로 하여 대출하는 방식이다 재고자산의 경우 이를 특별

창고에의 위탁 및 기업물류센터의 통제 등을 통해 재고자산을 기초로 창고증권을 발행

함으로써 이를 담보로 재고금융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받을채권금융의 경우 팩토링

과 같이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식이거나 은행을 통하여 채권추심을 하도록 하는 방법

12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또는 양도담보계약 등을 통하여 담보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신용평가의 어려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신용평가모델에 향후 사업전

망 및 사업위험도 고려하는 기업가치평가모델을 접목할 필요가 있다 상장기업에 있

어서 주가의 변동상황에 따라 신용위험을 평가하는 KMV모델은 비록 그것이 블랙박

스모델로 제한적인 신용정보만 제공하는 것이지만 일종의 신용평가모델에 기업가치

평가모델을 접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장에 대한 리서치 기능을 확대함과

아울러 금융서비스의 실제 대상인 고객 지역 및 상품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모니터링 및 정보수집비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기

업경영컨설팅 서비스를 통해 기업경영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으며 순환보직의 제한

기업전담제 모니터링의 강화 장기거래관계의 형성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은행의 지급결제업무 취급에 따른 리스크부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금융지주회사 우산하에서의 투자은행업무를 도입함과 동시에 지주회사 내의 사업에

있어서도 궁극적으로 자금의 조달과 운용을 분리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세계 기업 융의 패러다임 서비스형태의 변화

세계적으로 은행의 기업금융서비스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업금융의 한계를 극복하

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기업금융에 있어서 두 가지의 중요한 패러

다임의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그 하나는 기업금융의 세 축-대출 회사채금융 및 주

식금융(equity financing)-의 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출의 경우 증권

화를 통해 유동화함으로써 회사채의 성격을 강하게 띄게 되었으며 대출지원 시 프로

젝트의 이자뿐만 아니라 그 수익의 일정부분 몫에 참여하는 부분적인 주식금융의 성격

을 띄는 방향으로 상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기업구조조정 및 MampA 시장

에 있어서는 대출금융과 주식금융이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볼 수 있다

다른 하나는 기업금융업이 단순한 자금중개업에서 벗어나 자문서비스 및 컨설팅사

업의 비중을 높이면서 지식산업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업금융이 점차 단순한 신용

위험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기업이 당면하고 있는 사업기회 및 사업위험에 대한 지

제Ⅲ장 은 행 129

식과 더불어 전반적 기업경영관리 및 상거래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활

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패러다임의 변화는 기업금융서비스 제공형태에 있어서 중요한 변화를 초

래하고 있다 기업금융시장에서 기회 및 위험에 대한 지식이 집적됨에 따라 기업금융

서비스는 이들을 활용하여 기업금융니즈를 충족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방향으로 재편되고 있다 그 결과 기업금융서비스는 고객이 원하는 어떠한 형태의 서

비스(ldquoWe will do everything you needrdquo)도 제공하는 즉 全方位的 서비스제공 방식

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는 단순한 자금지원의 영역에서 벗어나 사업재편 규모의 경제 및 범위의 경제

향유 자본 및 부채구조의 재설계 기술 및 RampD 활동지원 HR문제 등 경영의 전 과

정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것도 내부활동의 지원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상

거래활동 및 전략적 활동 등 기업의 외부거래와 관련된 활동까지 그 지원의 범위가 확

대되고 있다

기업의 전략적 활동지원 사항 중 우리에게 생소한 두 가지 서비스만 살펴 보자 한

가지는 ldquo경쟁우위 플랫폼제공 서비스rdquo로서 이는 은행의 기반시설인 네트워크 정보

및 데이타베이스 및 IT 등을 활용하여 중소기업들과 중소금융기관이 대기업 및 대형

금융기관과 경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Platform)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다

른 한가지는 ldquoRolls-Ups 서비스rdquo로서 이는 소형기업들을 한데 모아 새로운 회사를

만들어 공동구매 공동판매 공동 연구조사 브랜드파워 생성 등을 통해서 통합된 기

업가치를 제고하는 방식을 말한다 세계시장에서 한때 우리나라 MP3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았는데 미국 대기업인 애플사의 대량구매를 통한 원가절감전략으로

인해 지배적인 위치를 빼앗긴 점을 생각하면 위의 2가지 서비스가 우리나라에 가능했

다면 상황은 달라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기업 융시장의 취약

위에서 논의한 바대로 선진 외국의 기업금융시장은 현저한 발달을 이루었음에 비추어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여건은 다음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이 아직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13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첫째 우리나라 기업금융시장에서는 사업 및 신용정보의 생성 및 확산이 제대로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는 오랫동안 부동산담보대출 및 정부의 지원에 의존하는 타

성에 의해 사업 및 신용정보 분석에 바탕을 둔 금융이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기 때

문이다

둘째 자금용도 및 상환자원별로 금융지원이 이루어지는 여신관행이 정착되어 있지

못하다 그 결과 대출상품 개발능력이 취약하여 상품이 고객니즈 및 상환능력별로 세

분화 내지 디자인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관행이 대출취급 및 사후관리 과정에서 사

업정보 및 신용정보를 생성하고 확산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셋째 부동산 이외의 담보가 활성화될 수 있는 제도 및 관행이 정착되지 못하고 있

다 외국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자산담보부대출(asset based lending) 등도 아직 우리

나라 금융시장에서 발을 붙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부동산담보 여력이 고갈되고 정

부의 지원이 끊겼을 때에는 기업금융을 확장할 수 있는 여지가 많지 않다

넷째 자본형성 기능 및 기회가 부족하다 새로운 사업기회가 있을 때 서로 자본을

모아 이에 투자하는 사회적 자본형성(capital formation) 기능이 매우 취약하다 IMF

금융위기 이후 벤처캐피탈 PEF 등 자본형성의 제도적 여건이 마련되었으나 사업기

회발굴 및 창출능력이 부족하고 시장의 신뢰를 얻지 못하여 아직 자본형성기능을 제

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풀뿌리 금융기관이 부족한 점도 기업금융시장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다 그 결과 금융서비스에 있어서의 전문화 및 다양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

한 기업의 라이프사이클별로 또는 전문분야별로 전담금융기관이 생성되지 못하고 있

으며 금융산업에 있어서 대형화와 전문화의 상승작용도 일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여섯째 금융기관 간 계열화 및 연계화가 부족하다 계열화 및 연계화가 되어 있을

수록 금융기관 간 분업화 및 상호작용에 의하여 금융시장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계열화 및 연계화는 소형금융기관과 대형금융기관 간 그리고 금융기관과 금융보조기

관 간 자금조달기관과 자금운용기관 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풀뿌리 금융기관의 부

족 이로 인한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금융보조기관(예 신용평가기관 정보수집 및

제공기관 IT업체 상권 및 기술발전추이 조사업체 백-오피스기능 제공업체 MampA

및 기업구조조정 전문업체 채권추심업체 등)의 미발달 자금조달기능 및 운용기능의

미분화 등이 계열화 및 연계화를 저해하는 요소로 지적될 수 있다

제Ⅲ장 은 행 131

우리나라 기업 융의 활성화 방안

우리나라 기업금융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술한 우리나라 기업금융시장의

여러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사업 및 신용정보의 생성 및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서 자금용도 및 상환자원별

대출취급 및 사후관리가 관행으로 정착되어야 하며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밀착경영 시장에 대한 리서치기능 확대 기업경영의 컨설팅기능 확대

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사업위험의 지식 및 정보의 생성을 돕기 위해서

기업매매중개업(business broker) 등을 육성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자산담보부 대출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자금용도별 대출취급관행을 정착시킴

과 아울러 법령 및 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재고자산 및 받을채권을 담보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재고자산 판매대금의 입금 및 받을채권의 대금추

심을 은행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환자원의 외부유출을 막고 자산담보부

대출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풀뿌리 금융기관이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은행의 각 점포를 소은행화하고

점포의 경영을 고객 상품 지역별 밀착경영1)을 하도록 특화함으로써 풀뿌리 금융기

관이 갖는 전문성 및 다양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자본형성기능이 취약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벤처캐피탈 PEF 및 기업의

IPO를 지원하는 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기업의 라이프사이클별로 금융지원을 해줄 수

있도록 각 점포를 특화해서 미국의 벤처캐피탈 파이낸스 컴퍼니(finance company)

및 소은행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위와 같이 우리나라 기업금융시장의 취약성을 보완하는 방안을 강구함과 아울러 다

른 한편으로는 사업조직으로서 금융지주회사를 만들어 본격적인 투자은행업무를 수

행할 수 있도록 하고 기업금융 플라자를 만들어 기업금융에 관한 모든 업무가 원-스

톱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체제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전술한 바

와 같은 전방위적 기업니즈 충족 및 금융지식 집적속도의 가속화를 통해서 우리나라

기업금융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1) 한국금융연구원『주간금융브리프』15권 49호 2006년 12월 16일

13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6호(2007625)

은행산업 경쟁정책관련 법규정 개선방안

李 秉 允

〈요 약〉

일반기업의 합병에 한 경쟁심사 시 공정 는 경쟁제한성 여부와 합병

에 따른 효율성 증 효과를 모두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은행합병의 경우

산법에 따르면 허가 당국인 감 가 은행합병의 실질 경쟁제한성 여부

를 공정 와 의하게 되어 있는 반면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 효과

를 검토해야 하는지 여부 그리고 어느 기 에서 이를 검토해야 하는지에 해

언 하지 않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 효과

분석은 감독기 인 융감독당국이 문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공정

가 은행합병의 경쟁제한성 여부를 단하여 감 에 제시하면 감 가

효율성 증 효과까지 고려하여 합병허가를 하고 여기에 공정 가 이의가 있

을 경우 소송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한편 융회사

불공정거래행 규제와 련하여서는 공정 와 감 간 복규제 가능성이

해소되어야 하며 감 의 경우 규제 근거가 되는 구체 법령이 없는 상태

이므로 이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에서 일반적으로 경쟁은 선(善)이다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

해질수록 기업은 경쟁에서 낙오되지 않기 위해 기술개발을 통해 품질을 개선하고 상

품을 남보다 싸게 팔려고 노력하게 되어 소비자들은 값싸고 품질 좋은 상품을 소비할

수 있게 됨으로써 후생이 증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능력이 떨어지는 기업은 도태되

고 시장에는 항상 더 능력이 있는 기업만 살아남게 됨으로써 경쟁은 자본주의 시장경

제Ⅲ장 은 행 133

제 시스템을 자정(自靜)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경쟁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를 유지

시켜 주고 여기에 활력을 불어넣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어느 나라나 경쟁을 실질적으로 촉진하는 것을 경제정책의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고 있고 이를 담당하는 정부기관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한 법과 제도를 운영하

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이러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경쟁과 관련된 공정위의 정책은 크게 시장지배적 지위남용 금지 기업결합 제한

부당한 공동행위 제한 및 불공정거래행위 금지 등으로 나뉠 수 있으며 이는 모든 산업

의 모든 기업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정위의 경쟁관련정책

은 은행 등 금융회사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은행합병이 늘어남에 따라 은

행에 대한 경쟁정책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이와 관련된

법규정이 제대로 정비되어 있는지 한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이 중 특히

기업결합 제한과 불공정거래행위 금지와 관련된 법규정에는 다소 개선할 점이 있는

것으로 보여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해법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

은행합병 시 경쟁심사 련

한 기업이 어떤 기업과 합병을 하려면 동 기업은 공정위에 경쟁심사를 의뢰해야 하

고 공정위는 두 기업의 결합에 경쟁제한성이 있지는 않은지 면밀히 검토한 후 허가 여

부를 결정하게 된다 lsquo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이하 공정거래법)rsquo은 ldquo일정한 거

래분야에서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rdquo 기업결합을 금지(제7조 제1항)하고 있어 lsquo경

쟁의 실질적 제한 여부rsquo가 기업결합 심사의 가장 핵심적인 판단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동법 제7조 제4항에서는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추

정하는 조건들을 나열하고 있고 보다 더 자세한 사항은 동법 제7조 제5항에 의거하여

lsquo기업결합심사기준rsquo을 만들어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동법 제7조 제2항에 따르면 lsquo당해 기업결합 외의 방법으로는 달성하기 어려

운 효율성 증대효과가 경쟁제한으로 인한 폐해보다 큰 경우rsquo에는 제7조 제1항의 규정

을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업결합 심사의 최종 판단기준은 경쟁제

13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에 따른 폐해와 효율성 증대에 따른 이익을 결합한 전반적인 경쟁효과라고 할 수 있

다 즉 당해 기업결합이 경쟁제한성이 있어도 기업결합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가 더

크다면 이를 허가할 수 있는 것이다 공정위는 이러한 기준으로 경쟁심사를 수행하여

기업결합 허가 여부를 결정하며 만일 기업결합이 불허될 경우 당해 기업은 이에 대해

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하지만 은행합병의 경우에는 일반기업과 조금 다른 허가 절차를 가지고 있다 여타

산업의 다른 기업들과는 달리 은행을 비롯한 금융회사들은 특별히 이들을 감독하는

기관이 따로 존재하며 이에 따라 은행합병의 경우 공정위가 아니라 은행을 감독하는

금융감독위원회(이하 금감위)가 허가권을 가지고 있다 이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마

찬가지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기업결합 시 경쟁제한성 여부를 따지는 기관은 공

정위이므로 금감위는 은행합병을 허가할 때 그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서는 공정위와

협의하게 되어있다 이는 lsquo금융산업의구조개선에관한법률(이하 금산법)rsquo 제4조 제4항

에 명시되어 있다 이에 기초하여 lsquo은행업인가지침rsquo상 은행합병의 인가기준에lsquo합병

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경쟁제한성 검토결과가 적정할 것rsquo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법규정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작은 것부터 언급하자면 법에는

금감위가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 공정위와 lsquo협의rsquo하라고 되어 있는데 lsquo은행업인가지

침rsquo에 따르면 공정위의 경쟁제한성 검토결과가 적정해야 합병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

다 법에서 lsquo협의rsquo하라고 한 뜻은 아마도 공정위가 경쟁전문가이지만 은행합병에 따른

경쟁제한성이나 효율성 등에 대해서는 감독당국인 금감위가 더 전문성이 있을 수 있

으므로 두 기관이 실질적으로 협의하여 결정하라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그런데 lsquo지침rsquo에서는 법에서 제시한 lsquo협의rsquo의 정신은 사라지고 공정위의 결정

을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이 문제를 바로잡으려면 법

에 금감위가 은행합병 심사를 할 때 경쟁제한성과 관련하여서는 공정위의 심사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하든지 아니면 지침에 법에서 제시한 lsquo협의rsquo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다음 문제는 공정위의 경쟁심사와 관련된 것이다 앞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일반기

업에 대해 공정위가 경쟁심사를 할 때에는 lsquo경쟁제한성rsquo 여부와 lsquo효율성 증대rsquo 효과를

동시에 고려하도록 되어 있다 즉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기업결합의 경쟁제한성에

제Ⅲ장 은 행 135

따른 폐해가 있더라도 효율성 증대효과가 더 클 경우 기업결합을 허가해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금산법에는 금감위가 은행합병이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지

여부만을 공정위와 협의하여야 한다고 되어있다 공정거래법에 보면 제7조 제1항에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기업결합은 금지한다고 되어 있지만 제7조 제2항에는 기

업결합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가 더 크면 제7조 제1항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되

어 있다 즉 경쟁의 실질적 제한여부를 검토하는 것은 효율성 증대효과를 검토하는 것

과는 별개의 것이며 공정거래법에 따르면 양자를 모두 검토하여 어느 효과가 더 큰지

헤아려 보아야 한다고 되어있다 따라서 경쟁심사는 경쟁제한성 여부와 효율성 증대

효과를 모두 검토하여야 완결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금산법에서는 은행합

병이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지 여부 즉 경쟁제한성에 대해서만 공정위와 협의하

도록 되어 있어서 은행합병의 효율성 증대효과에 대해서는 누가 검토해야 하는 것인

지 또한 경쟁제한성의 효과와 효율성 증대효과 중 어느 것이 더 큰지에 대한 판단을

누가 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 물론 금산법 제4조 제3항에서 금

감위가 은행합병을 심사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적시함으로써 효율성 증대효과

분석은 금감위가 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공정위의 경쟁심사가

효율성 증대효과 분석까지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법규정이 명확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금산법에 의거하여 은행합병이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지 여부

에 대해 공정위가 판단할 때 일반 기업합병에 대한 경쟁심사처럼 은행합병에 따른 효

율성 증대효과도 함께 검토하는 것이라고 확대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이는 앞

에서 살펴본 것처럼 공정거래법 제7조를 놓고 보았을 때 맞지 않는 해석이다 공정위

가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까지 검토하여 경쟁심사를 완결하려면 이러한 내

용을 포함하여 금산법상의 규정을 좀 더 엄밀하게 수정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법규정을 떠나서 은행경영이나 은행산업에 대한 지식 등 전문성을 놓고 볼 때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는 공정위보다는 직접 감독을 담당하는 금감위가 더

잘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오히려 금산법은 현행대로 유지하여 공정위는

은행합병의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서만 판단하고 그 결과를 금감위에 보내면 금감위

가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를 검토하여 경쟁제한성과 효율성 증대효과 중

13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어느 것이 더 큰지 판단 최종 합병허가를 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해 보인다

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은행합병을 허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특이하게

경쟁당국(법무성 반독점국)과 은행감독당국이 각각 독자적으로 은행합병에 대한 경쟁

심사를 하고 경쟁당국이 경쟁심사 결과를 은행감독당국에 제시하면 은행감독당국이

이를 참고하여 은행합병 허가를 하게 된다 이 때 경쟁당국이 경쟁제한성이 높다고 판

단하는데도 은행감독당국이 은행합병을 허가하면 이에 대해 경쟁당국이 소송을 제기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금산법에서는 금감위가 은행합병의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 공정위와 협의하게 되어 있지만 협의 후 공정위가 경쟁제한성이 있다고 판단했

음에도 불구하고 금감위가 합병을 허가했을 때(물론 은행업지침상 합병을 허가하기는

어렵겠지만) 공정위가 취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따라서 우리나

라의 경우에도 이러한 경우에 대한 절차를 마련해 두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즉

공정위는 은행합병의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서 판단하고 그 결과를 금감위에 주면

금감위가 은행합병의 효율성 증대효과까지 고려하여 합병허가 여부를 결정하고 만일

공정위가 경쟁제한성이 심하다고 보는데도 금감위가 합병을 허가할 경우에는 공정위

가 이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여 최종적으로는 법원이 판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절

차상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불공정거래행 규제 련

다음으로는 불공정거래행위 금지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모든 기업의 불공정

거래행위에 대해서는 공정거래법 제5장에 의거하여 공정위가 규제 및 제재를 하고 있

다 공정거래법 제5장은 불공정거래행위의 내용 및 공정위의 제재 등에 대해 구체적

으로 적시하고 있다 그러나「금융감독기구의설치등에관한법률」 제1조에 따르면 금

감위와 금감원이 lsquo건전한 신용질서와 공정한 금융거래관행을 확립하고 예금자 및 투

자자 등 금융수요자를 보호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에 기여rsquo해야 한다고 되어 있어

이에 근거하여 금융감독당국도 금융회사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해 규제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금융감독기구의설치등에관한법률」에는 제1조의 내용을 구체적으

로 실현할 법조항이 없어 금융감독당국은 각종 규정 및 시행세칙 등에 근거하여 금융

제Ⅲ장 은 행 137

회사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해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두 가지이다 먼저 금융회사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공

정위와 금감위의 중복규제 가능성이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그간 몇 번의 문제 제

기가 있어 왔고 최근에 공정위와 금감위가 상호협의를 통해 규제하기로 하는 등 문제

해결에 진전이 있어 왔지만 아직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떤 식으로든

이러한 중복규제 가능성은 해소되어야 할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금융감독당국에 의

한 금융회사 불공정거래행위 규제의 경우 앞서 지적한 것처럼 법에 선언적 의미의 조

항만 있을 뿐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법조항이 없어 제대로 된 규제를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중복규제 문제와는 별도로 금융감독당국이 소비자보호를 위해 불공

정거래 행위에 대한 규제를 제대로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그 근간이 될 수 있는

법규정을 정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맺는말

외환위기 이후 최근까지 우리나라 은행산업에서는 은행의 숫자가 절반 이하로 줄어

들 정도로 많은 합병이 있어 왔다 그리고 앞으로도 은행 대형화 추세에 따라 합병이

더 일어날 수도 있으며 이미 은행이 많이 대형화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앞으로 일어날

은행합병은 은행산업의 경쟁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은행합병 시 경쟁심사와 관련한 법규정이 명확하게 정비되

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물론 선진국들처럼 은행합병 심사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일도

시급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 이전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법규정부터 명확하게 정비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13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인하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9호(2007716)

은행채에 대한 유가증권 발행공시제도 개선 필요

韓 在 濬

〈요 약〉

정부는 은행채 공모 시 유가증권 발행신고서 제출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증권

거래법 시행령을 입법 고하 다 취지는 발행공시를 통하여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며 융업 간 규제의 형평성을 도모하기 한 것 등이다 그러나 은행

채가 수신업무의 연장선상에서 수시로 발행되고 있는 을 고려해 볼 때 공시

제도의 엄격한 용은 발행 시성 하 추가비용 부담 등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추후 용과정에서 투자자 보호의 취지는 보 하되 수신업무의 특성

자본시장 활성화 측면을 고려하여 련 차를 간소화하는 보완책이 마련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난 7월 3일 자본시장통합법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자본시장통합법은 증권산업과

자본시장을 발전시키는 한편 금융 투자자 및 소비자의 권익 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예

상되고 있다 한편 지난 5월에는 그동안 발행공시가 면제되던 은행채에 대한 발행공

시제도 도입을 주요 골자로 하는 증권거래법 시행령 개정안이 입법예고된 바 있다

은행채 발행이란 은행이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이다 은행은 일반적으

로 대출재원을 불특정 다수로부터의 예금수수로 조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예

금모집만으로 부족한 재원은 CD나 채권 발행을 통하여 조달하기도 한다 실제 은행채

를 통한 수신조달 비중은 2001년 40에 불과하였지만 2007년 3월말 현재 167로

급증하였다

제Ⅲ장 은 행 139

유가증권 발행신고서 제출은 자본시장에서 은행채를 매입하는 투자자에 대한 정보

공시의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은행채 발행에 대한 발행공시제도 적용은 자본시장통

합법이 추구하는 투자자보호 선진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파악될 수 있다

그러나 동 절차의 도입이 은행 수신업무의 적시성 및 채권시장 활성화와 다소 마찰

의 소지가 있다는 우려도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유가증권 발행신고서

제출의 의의와 은행채 및 은행업무의 특수성을 살펴보고 발행공시제도 적용과 관련하

여 보완책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유가증권 발행공시제도

증권거래법은 유가증권을 모집매출하고자 하는 기업의 경우 금감위에 유가증권

발행신고서를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투자자에게 발행기업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공시의 일환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절차간소화 차원에서 유가증권을 계

속반복적으로 발행하는 발행인에 대하여서는 일정기간의 모집매출 예정물량을

일괄하여 사전에 신고하고 실제 발행 시에는 발행금액 가격 등 모집조건을 기재한 추

가서류만 제출하도록 하는 일괄신고서제도도 도입되어 있다 다만 국채 지방채 및

특수법인이 발행하는 유가증권은 동 신고서 제출이 면제되고 있다

한편 은행채는 현재까지는 특수법인이 발행하는 유가증권으로 취급되어 발행신고

의무가 면제되어 왔었는데 앞으로는 여타 금융채와 동일하게 발행공시 의무를 지게

된 것이다 현재 은행채 이외의 금융채가 일괄신고서제도를 통하여 발행되고 있는 점

에 미루어 은행들도 향후 발행공시 의무화가 본격적으로 적용될 경우 일괄신고서제도

를 택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정부가 은행채에 대하여 발행공시제도를 적용하려는 데는 일반적으로 아래

의 세가지 이유가 제시되고 있다 첫째는 은행채에 대한 정보를 투자자에게 제공함으

로써 자본시장의 투자자를 보호하려는 것이다 둘째는 종금사와 여신전문사가 발행하

는 금융채에는 유가증권신고 절차가 적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은행의 금융채(은행채)

만 면제하는 것은 형평성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셋째는 은행채를 통한 과도한 차입이

시중유동성 확대를 초래하고 있어 이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14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은행채 발행증가 원인

최근 3년간 국내은행의 은행채 발행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그 수치는 2003년말에

745조원이던 것이 2007년 3월말에는 1451조원으로 늘어났다 따라서 정부가 투자

자보호를 강화하려는 것은 당연한 현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은행채 발행이 증가한 데는 저금리환경에서의 정기예금 수요 기반 약화 등

으로 수신증가세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대출의 높은 증가세를 따라가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 2006년만을 보더라도 대출은 전년 대비 169 증가한 반면에 예금은

31 증가하는 데 그쳤다 따라서 은행들은 부족한 수신을 은행채 발행으로 충당해

온 것이다 이러한 은행채 발행에 따른 시중유동성 확대의 근본적인 원인은 주택담보

대출이 증가할 수 있었던 저금리환경을 지적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것이다 한편

2007년 중에도 은행예금의 CMA 등으로의 이탈로 은행채 발행이 증가세를 지속할 것

으로 보인다

또한 은행예금 중 단기물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주택담보대출의 만기가 최근 급격히

장기화되고 있는 데 따른 여수신 간의 만기불일치 심화 해소 차원에서도 은행채 발행

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장기대출채권이 늘어날 경우 자산부채관리(ALM)차원에서

는 동 채권을 매각하거나 장기의 부채로 자금조달방법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장기대출채권 매각수단인 MBS발행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기자금 조달수단으로서의 CD나 정기예금은 그 활용에 한계가 있어 은행

채 발행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CD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할인물 발행만이 허용되

고 있어 장기물 발행 유인이 낮을 수밖에 없는 데다 저금리기조하에서 정기예금 수요

기반도 약화되어 있어 은행채가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상한 것으로 보인다

은행업무의 특수성

우리나라의 은행법 제2조는 은행업을 ldquo예금의 수입 유가증권 기타 채무증서의 발

행에 의하여 불특정다수인으로부터 채무를 부담함으로써 조달한 자금을 대출하는 것

을 업으로 행하는 것rd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은행채 발행도 예금의 수취나 CD를

제Ⅲ장 은 행 141

발행하는 것과 같이 수신업무의 연장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1)

한편 은행은 그 업무 수행과정에서 고객의 예금인출 또는 거액 대출 등이 발생할

경우 지급준비금 수준 유지 또는 자금과부족 충당 필요 등으로 수시로 수신을 유치하

여야 한다 단기에 부족한 수신을 유치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특판정기예금의 경우

고금리 제시가 불가피한 데다 한번 상승시킨 예금금리를 추후에 인하하기가 쉽지 않

아 경영수지 악화의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CD나 은행채는 시장금리 수준에서 탄력

적 자금조달이 가능하다는 점과 최근 기관투자가들의 장기물 선호와 맞물려 그 발행

규모가 늘어나고 있다

현재 국내은행들은 1년 미만의 단기자금은 CD로 1sim3년 만기의 장기자금은 은행

채로 조달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이표식 CD가 허용됨에 따라 3년 내외물 CD발행이

많은 반면 우리나라는 이표식이 허용되지 않아 은행채가 선호되는 면이 있다

미국의 투자자 보호와 공시제도 간의 조화 사례

채권시장에서 은행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투자자보호 목적의 공시 강화

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보호목적으로 감독절차가 지나치게

강화 내지 복잡화될 경우 자본시장 활성화에 역행될 소지도 있다 이로 인해 선진국의

경우 투자자보호 관련 규정을 일부 완화해주고 있어 본고에서는 미국의 두 가지 사례

를 소개함으로써 향후 은행채 발행공시제도에 필요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번째는 미국의 Regulation D에서 규정하는 적격투자자(accredited investor) 개

념의 도입이다 미국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회사채 발행에 대하여 발행공시제

도 적용을 면제해 주고 있다 일본 정부도 특정투자가를 대상으로 한 회사채 발행에

대해서는 유사한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적격투자자 범주에는 기관투

자가뿐만 아니라 일반개인도 연간소득이 20만달러 이상인 경우 포함되어 있다 이는

자본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스스로 시장정보를 획득할 능력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투자자의 경우 보호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 엄밀히 말하면 수신 성격의 은행채 발행은 CD와 마찬가지로 지준부과 대상에 포함될 필요가 있으나 현재 은행채는 지준부과 대상에서 빠져 있다

14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에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발행공시제도 적용 면제대상을 모집인 50인 이하 또는

총 발행금액 20억원 이하인 사모발행으로 한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본시장

통합법이 추구하는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미국 일본 등과 같은 적격투자자 개

념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 사례는 미국의 경우 은행채 발행에 대해서는 일반 유가증권 발행과 달리 별

도의 기준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은행이 발행하는 유가증권 관련 공시는

SEC(증권거래위원회)가 아닌 OCC(통화감독청)가 주관하고 있다 이는 미국에서는 은

행에 대한 포괄적인 감독권은 OCC에 증권시장의 감독권은 SEC에 귀속되고 있기 때

문이다 한편 OCC는 유가증권신고 절차는 원칙적으로 SEC에 준하는 수준으로 규제

하고 있으나 비전환사채(non-convertible bond)인 은행채에 대해서는 적격투자자 대

상 발행 등 5가지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모집제안서(offering document)와 부속서류

를 사후제출하는 것으로 유가증권발행 신고절차를 대신하고 있다2) 이에 따라 전국규

모 미국은행들은 수신목적의 은행채 발행과 관련된 유가증권신고절차 의무를 사실상

면제받고 있다

정책제언

자본시장통합법은 자본시장의 경쟁력 강화가 그 최종 목적일 것이다 한편 자본시

장 활성화와 투자자보호는 상호 상충되는 면을 지니고 있다 이상적인 방안은 두 목적

간의 비교평가를 통하여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즉 각 제도 도입 시 사안별로 투자

자와 발행자 간의 정보의 비대칭성 정도 투자자별 보호 필요성을 비교평가하여야

한다

금융기관의 경우 일반회사와 달리 감독당국이 경영현황을 정기적으로 감독공시

하고 있어서 금융채발행과 관련되어 투자자와의 정보비대칭 정도가 적은 상황이다

더구나 채권의 경우 주식과 달리 기관을 대상으로 주로 발행되고 있어 투자자 보호의

2) OCC의 12 CFR section 166조의 5가지 요건 (1) 미 증권거래법에 의거하여 상장된 회사 (2) 적격투자자

(accredited investors) 대상 발행 (3) 발행금액이 미화 25만달러 이상 (4) 투자적격 등급 채권 (5) 채권 발행 시 투자자에게 offering document(발행조건 판매채널 경영현황 포함)와 Call Report(은행 경영 관련 보고서) 제공

제Ⅲ장 은 행 143

실익도 상대적으로 낮다 반면 채권시장은 주식시장보다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하

고 있어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련절차를 간소화해야 할 필요성이 오히려 높다 따라서

발행공시 절차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수신업무의 연장선상에서 수시로 발행되어야 할

금융채 발행의 적시성을 잃게 된다면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향후 은행의 은행채 발행 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현행 일괄신고서제도의

경우 기 승인범위 내의 채권발행에도 건별로 추가서류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매

발행 시마다 이사회 소집 및 기관장의 서명을 요구하고 있어 그 절차가 번잡하다 특

히 은행채의 경우 그 발행이 여타 금융채보다 빈번하여 동 절차를 준수토록 하는 것은

발행절차를 지나치게 번잡하게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국내은행이 발행하는 은행채

가운데 후순위채나 신종자본증권이 아닌 수신 목적의 금융채에 대해서는 관련절차를

보다 간소화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한편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미국과 일본에서 채택되고 있는 적격투자자 개념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채권시장의 발행유통을 촉진시키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도 또 다른 시급한 과제로 판단된다

14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30호(2007723)

자본시장 중심의 기업금융발전과 은행의 리엔지니어링

具 本 星

〈요 약〉

융구조개 을 통해 융시스템의 안정화 건 성이 회복된 데 힘입어

자본시장의 성장 발 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본시장 심으로 기업 융이

환되고 있다 자본시장형 기업 융은 투자기회 확 와 투자자의 참여를 진

할 수 있도록 투자 험을 분산하거나 결합하고 연계할 수 있는 복합 융을

통해 발 된다 이를 비하여 은행은 자본시장형 상품을 극 활용하여 계

융 투자 융업무를 확 하는 략 리엔지니어링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해 상품 리자로서의 생산역량을 강화하고 그룹이나 제휴기 과의 공동마

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기능 형태의 조직 인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한 감독 측면에서는 기업정보의 공유 사모방식의 자 조달에 있어서 업종

간 차이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

자본시장의 성장은 융시스템 발 의 필수단계

대기업 및 수출기업의 수익호조에 따라 국내기업의 자금조달이 은행권으로부터 계

속 이탈되고 있다 2001년 이후 대기업에 대한 부채비율 규제에 따라 회사채 상환이

확대되고 내부자금에 의한 설비투자가 증가하면서 금융기관에 대한 제조업의 차입의

존도가 급격히 낮아져 왔다 이러한 은행권으로부터의 이탈현상은 대기업뿐만 아니라

우량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 우량 자영업자에까지 급속히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성장기업이나 SOHO 기술기업 및 소기업의 경우에도 금융기관에 대한 차입

제Ⅲ장 은 행 145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으며 벤처캐피탈이나 사모펀드 등 비정형 금융회사를 통해 자금

조달을 다양화하고 있다 상품측면에서도 대출형에 비해 자본형복합형(mezzanine)

자금조달에 대한 유인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국내기업의 자금조달 행태

및 유인이 이미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금융시스템으로 상당히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

고 있다고 하겠다

본고는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금융시스템의 성장 및 발전에 따른 은행권의 기업금융

운용방향을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자본시장형 기업 융시스템의 핵심은 복합화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시스템의 성장 및 발전은 투자기회 및 투자자의 참여를 촉진시

킬 수 있는 복합형 신상품(hybrid financing) 개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금융상

품의 복합화는 일반적으로 투자위험의 결합(pooling) 분리(stripping) 및 연계(bundl

-ing)를 의미한다 투자위험의 결합은 다양한 투자자산을 묶음으로써 투자위험을 분

산시키거나 완화하는 형태로서 신용파생상품(CDO 또는 CLO) 자산담보부증권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 분리를 통한 신금융상품은 구조화금융 개발에 주로 활용되며 장

기투자위험을 제거하거나 자금조달 기반을 확대하는 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위험선

호의 차별화에도 활용된다 연계상품은 투자위험의 완화보다는 기업의 자금조달 기회

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여신형 및 자본형 자금조달을 병행하는 형태로서 일반대출과

주식의 병행발행 대출과 후순위사모사채의 동시인수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복합화 방식에 의한 신상품 개발은 기존의 간접금융 형태로 이루어진 자산에

대한 위험의 완화 또는 분산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간접금융과 직접금융시장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증권화는 기존 대출채권의 신용위험을 줄여줄 뿐만 아

니라 신규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투자자 입장에서는 위험

-수익 간 상충관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투자기회가 확대된다는 점에서 자본

시장의 저변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간접형 금융회사는 복합화를 활용하여

기업과의 관계금융을 확대시킬 수 있으므로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으로의 전환에 적극

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14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계 융 진을 한 리엔지니어링 강화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으로의 전환과 복합화에 대비하여 은행은 기업금융의 리엔지

니어링을 추진할 수 있는 여건과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과거에 기업금융의 리엔지니

어링은 여신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대출자산의 매각이나 여신만기의 재조정 등에 중점

을 두었었다 그러나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에 대비한 리엔지니어링은 자본시장의 상품

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업과의 관계금융을 강화하는 데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또

한 복합화에 의한 리엔지니어링은 기업금융서비스의 형태 및 범위를 다양화할 뿐만

아니라 기업금융을 통한 수익기반을 유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업무영역 확보에도 유

리할 것이다

상품 리자조직의 마련 인력의 확충 긴요

은행은 기업금융의 리엔지니어링을 촉진하기 위해 상품관리자(product manager)

조직을 마련하고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상품관리자조직은 여신형 자금조달과 증권형

자금조달에 관하여 영업측면뿐만 아니라 전사적 위험관리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관리

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권한과 인력을 갖춘 조직을 의미한다 특히 상

품관리자조직은 기업의 자금조달 수요 여신전략 및 여신포트폴리오 위험관리를 총괄

하는 종합기업금융서비스를 기획할 뿐만 아니라 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상품관리자조직의 상위 의결기관은 전문은행의 경우 CFO 또는 여신담당 임원

CRO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로 운영될 수 있다 금융그룹의 경우 증권자회사 및 은행

자회사의 투자업무 담당임원이 참여하는 형태로 운영되거나 증권자회사의 투자은행

담당임원 중심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품관리자조직은 기업고객에 대한 종

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계업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은행의 기업금

융과 증권사의 투자금융 업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권한과 역량을 가질 수 있

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품관리자조직에 속한 일선 영업지점에 있는 상위

RM이나 대기업 담당 RM과의 의사소통채널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능적으로 조직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제Ⅲ장 은 행 147

공동제휴 마 에 의한 시 지 창출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은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복합화를 촉진하는 형태로 진행되

어 왔다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중반 이후 Section 20에 의해 허용된 자회사를 통해

인수업무를 확대해 왔고 일본의 경우에도 1992년 금융개혁법이 자회사를 통한 인수

업무를 허용함에 따라 여신업무와 인수업무의 결합이 확대되어 왔다 이러한 결합현

상은 1987년 규제완화를 통해 상업은행의 인수업무를 허용한 캐나다의 경우에도 마찬

가지이다

여신업무와 인수업무의 결합은 이해상충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

보호를 위한 마케팅이나 서비스 측면의 제약이 상당히 많았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여신 및 인수의 결합에 따른 이해상충 문제는 전반적으로 완화되고 있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다 이는 투자자에 의한 감시기능이 확대되고 내부통제시스템에 대한

감독강화 등 제도적 개선에 따른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여신업무와 인수업무의 결합

은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을 낮추고 기업에 대한 정보창출 유인을 높여 관계금융의 확

대와 건전성 제고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복합화를 통해 기업금융서비스가 확대될 수 있도록 이해상충에 대한 적절한

통제장치가 확보된다면 그룹 내 또는 제휴기관 간 공동마케팅이나 공동인수를 적극

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향후 은행의 종합기업금융서비스는 여신본부와 증권자회

사 또는 자회사의 투자금융부서 간에 효율적인 협력체제가 구축될 때 상품 및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은행들이 공동마케팅이나 제휴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상품중심의 기업금융서비스 조직을 부가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은행의 정보생산자 역할은 계속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

한편 정보생산 측면에서 은행은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유

지할 필요가 있다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복합화를 추진할 수 있

14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는 상품개발 기능에 있으나 이러한 기능은 간접금융시장의 여신자산을 활용할 경우

에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글로벌 금융그룹의 기업금융과 투

자금융 간 결합이나 유럽을 중심으로 한 신용파생상품의 급속한 성장은 은행의 중소

기업대출 확대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반면 은행의 기업금

융서비스가 단기운영자금 대출이나 소규모기업에 국한될 경우에 자본시장과의 연계

성 확보도 제한될 소지가 있다 특히 은행이 초기 정보생산에만 주력하거나 투자자로

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서비스를 통한 시너지 창출은

제약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에 대비한 전략적 리엔지니어링의

성패는 상품공장(product factory)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업고

객 기반을 얼마나 지속적으로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하겠다

규제 감독의 유연성을 높일 필요

기업금융의 복합화 촉진을 위해 규제 및 감독 측면에서도 탄력적으로 접근할 필요

가 있다 신상품 개발을 위한 업종 간 협력 및 연계활동을 강화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

서 조직체계와 상관없이 관련 기업에 대한 정보공유나 제휴마케팅을 위한 정보공유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모형태의 복합상품 개발이 확대될 수 있도록 사모시장에

대한 업종 간 업무영역 또는 규제수준의 차이는 점진적으로 해소할 필요가 있을 것이

다 예컨대 사모방식 자금조달의 경우 자기자본 대비 일정비율 한도 내에서 인수형 업

무를 허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제Ⅲ장 은 행 149

딜로이트컨설팅 코리아 전무(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1호(2007730)

국내은행의 경영진 스톡옵션제도 개선방안

金 愚 珍

〈요 약〉

외국과 다른 국내 융풍토하에서 스톡옵션이 경 진에 한 합한 보상

수단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특히 스톡옵션은 높은 버리지 특성 때문에

행사가격이 지나치게 낮게 설정되어 있거나 경 성과와 무 하게 부여수량이

확정되는 경우 보상수 을 지나치게 높일 수 있다 국내은행이 경쟁우 를 확보

하기 해서는 경 진 보상수 이 로벌 스탠더드까지 지속 으로 개선되어

야 하나 경 진 인센티 제고는 총 보상패키지에서 단기성과 이 차지하는

비 을 높임으로써 우선 으로 해결하고 스톡옵션제도의 범 한 용은

장기 에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구체 으로는 스톡옵션 부여

시 이나 부여방식 변경 사외이사 감사에 한 스톡옵션 부여 제한 스톡

옵션 부여에 한 심사 공시 강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스톡옵션제도는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있는 상황에서 기업 소유자가 아닌 경영자

가 자발적으로 기업 가치를 증대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스톡옵션제도는

자금력이 부족한 기업의 우수인재 유치 소유경영분리 기업의 대리인 비용 축소 등

긍정적 측면에서 기업발전에 기여하였으나 제도 도입 과정에서 자신의 성과와 무관

하게 대규모 스톡옵션을 받아가는 사례도 발생하였다 스톡옵션제도가 오용될 경우

단기 주가부양을 위해 외형위주의 경영에 주력하고 위험도 높은 투자 등 무리한 경영

을 할 소지가 있고 스톡옵션을 부여받기 위해 성과목표 수준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주

가관리 및 회계조작의 유인이 증대된다

15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더욱이 은행의 경우 주가회복은 공적자금 투입에 의한 구조조정 효과에 힘입은 바

크므로 최근의 스톡옵션 행사는 외부적 요인에 크게 기인한다 또한 많은 경영진들

이 성과와 관계없이 단임에 그치고 있어 경영진 재임시기와 스톡옵션 행사시기 간에

시차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본인의 경영성과와 무관하게 퇴임 후 스톡옵션으로 크

게 보상받는 사례가 발생한다 즉 경영진의 장기재임을 전제로 하여 장기성과급의 일

환으로 스톡옵션제도가 운영되어야 하나 장기재임이라는 전제 자체가 성립되지 못함

으로써 근본취지가 퇴색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은행의 스톡옵션제도 관련 이슈를 살펴보고

추가적으로 제도개선이 필요한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행 스톡옵션제도의 문제

대리자 이론(agency theory)에 따르면 CEO의 복지(welfare) 수준과 주주의 부

(wealth)를 연결시켜 주는 보상정책은 CEO의 다른 행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적

사회적 비용과 편익을 적절하게 조정시켜 줌으로써 CEO로 하여금 주주가치에 부합하

는 행동을 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따라서 장기 재임하는 CEO의 경우 스톡옵션

과 경영성과 간 연계가 높을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장기재임 관행이 확립되지

못함에 따라 스톡옵션과 경영성과 간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특히 행사가격이 지

나치게 낮게 설정되어 있거나 경영성과와 무관하게 부여수량이 확정되어 있는 경우

스톡옵션을 통한 보상수준이 지나치게 높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은행의 경우 대부분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을 도입하였으나 목

표치를 쉽게 달성할 수 있도록 설정함에 따라 성과가 탁월하지 못한 경우에도 스톡옵

션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즉 해당 기업이 이미 달성하였거나 현재 충족하고 있는

수준을 목표치로 설정하여 성과연동형식으로 운영하는 사례가 있으며 경영진의 성과

목표치도 경영진의 역량이나 노력보다는 시장 상황이나 여건에 좌우되는 값을 설정하

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나 고정이하여신비율 등 은행의 건

전성지표는 적정 수준으로 통제되어야 할 은행경영의 필수요소인 만큼 경영진의 성과

평가 지표로 활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Ⅲ장 은 행 151

또한 스톡옵션 부여의 적정성을 심사하고 견제해야 할 사외이사 감사 등이 스톡옵

션을 받는 사례도 다수 발생하여 경영진의 보상체계가 주주가치와 부합되지 않는 방

향으로 설계될 가능성이 있다 국내은행의 경우 감사 및 사외이사에 대한 스톡옵션 부

여가 증권사나 보험사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특별한 대주주가 없어 주

주에 의한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지주회사 은행 등의 경우 감시기능 강화가 필요함

을 역설적으로 말해 주고 있다 또한 주주총회에서 스톡옵션 부여의 적정성에 대하여

심도 있는 검토도 이루어지지 않는 등 스톡옵션 부여에 대한 주주의 통제장치가 미흡

하다 미국의 경우 사외이사 및 감사에 대한 스톡옵션 부여를 법으로 제한하고 있지는

않으나 사외이사가 직접 기업가치 상승에 기여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지급되

는 사례는 많지 않다

현재 사업보고서에 스톡옵션 부여 현황이 명시되고 있으나 사업보고서에 기재된

내용만으로는 스톡옵션 행사로 인한 향후 주가 영향을 쉽게 파악하기 곤란하다 또한

스톡옵션 부여 및 행사 내용에 대하여 수시 공시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있으나 공시

내용이 투자자(또는 주주)가 참고할 만한 수준이 되지 못해 시장의 감시기능도 약한

상황이다

제도개선의 기본방향

경영진의 장기재임 풍토가 확립되지 못한 국내 금융여건하에서 스톡옵션의 행사로

본인의 성과와 무관하게 과다한 보상을 받는다면 사회적 비난에 직면할 수 있다 이는

스톡옵션의 본질상 레버리지가 매우 크고 주식가치의 변화분 중에서 경영자의 능력과

무관한 부분을 분리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데 기인한다 따라서 장기성과가 경영진의

인센티브체계에 반영될 수 있도록 단순한 형태의 스톡옵션을 지양하고 스톡옵션의 부

여시기 및 방법 종류 등을 다양화함으로써 지금보다 정교한 스톡옵션이 설계되어야

한다

경영진에게 부여하는 스톡옵션의 경우 무엇보다도 전체 보상 패키지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비중을 제대로 고려해야 한다 기본급과 보너스 형태의 단기성과급 그리고 스

톡옵션으로 구성되는 보상체계의 구성요소 간 균형 감각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비교

15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적 안정적 성장을 추구하는 은행산업의 경우 스톡옵션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을 필요

는 없을 것이다 반면에 은행이라도 특정 사업부문이 실패하여 내부구조개혁을 단행

해야 한다면 경영진에게 많은 규모의 스톡옵션을 부여함으로써 성과향상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개별 금융회사가 처한 환경변수에 따라서 임직원에 대한 보상패키지가 결정되

어야 하고 스톡옵션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사

회 산하의 보상위원회(compensation committee) 역할이 중요하다 보상위원회는 외

부전문가의 조언 등을 바탕으로 경영진의 보상체계를 결정하고 이를 공시할 책임이

있다 공시 과정에서도 법적 기준을 충족시키는 데 그치지 말고 경영진의 보상체계 전

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특히 스톡옵션의 경우 부여근거에 대하여 주주 및 투

자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 필요가 있다 영미식 지배구조를 채택한 선

진 금융회사의 경우 복잡한 수식보다는 단순한 그림과 차트를 활용하여 경영진 보상

체계를 사업보고서에 설명하고 있다

구체 인 개선방안

국내 은행산업에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CEO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어 있지 못하다

스톡옵션은 시장에서 능력이 검증된 CEO에 대하여 영입 이후 과거의 평균 경영실적

이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유인하는 보상방식이다 그동안 부임초기부터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방식이 관행적으로 실시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연임 또는 중임되는 시점부

터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초 선임기간 동안의 높은

경영성과를 바탕으로 스톡옵션 행사가격이 산정될 것이므로 도덕적 해이의 발생가능

성이 매우 낮다

국내 스톡옵션 운영상 문제점 중 하나는 경영진의 단기업적주의 지향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스톡옵션의 성과지급이 주가에 연동됨으로써 지급규모가 주가에

따라 크게 변동되는 불확실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스톡옵션을 부여하더라도 부여 시

점의 주가를 기준으로 일정비율 이상으로 행사가격을 정하거나 행사가격을 정기적으

로 일정비율 상향조정하는 할증스톡옵션(premium stock option)도 고려할 필요가 있

제Ⅲ장 은 행 153

다 또한 스톡옵션의 단점을 줄이면서 스톡옵션 대상자와 주주의 이해관계를 일치시

킬 수 있는 주식보상(stock grant)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

감사와 사외이사에 대한 스톡옵션 부여는 경영진에 대한 스톡옵션 부여 관련 감시

기능을 위축시킬 수 있으므로 가급적 명확하게 경영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지 않는

한 스톡옵션 부여를 자제토록 권고하고 스톡옵션이 아닌 다른 형태의 성과보상 도입

을 고려해야 한다 감사 사외이사와 같이 성과측정이 용이하지 않은 직급에 대해서는

현금 주식부여 방식 등이 더 적합한 보상체계라고 판단된다

스톡옵션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톡옵션 부여대상이 아닌 사외이사로 구성

된 보상위원회에서 스톡옵션 부여의 적정성을 심도 있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는 주

주 추천 전문가로 구성된 스톡옵션 부여 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이의 심사를 거치도

록 하며 심사위원회의 심사결과를 주주총회에 함께 보고토록 하는 방안도 가능할 것

이다 사업보고서 제출 시 스톡옵션 잔여 주식수 및 잔여주식 가중평균 행사가격(고정

형)을 보고하도록 하고 이를 금감원 및 거래소 공시시스템을 통해 공표하도록 유도해

야 한다 스톡옵션 부여사실을 공시할 때 해당 스톡옵션의 공정가치 스톡옵션 피부여

자의 현 직위(대표이사 사외이사 감사 등) 스톡옵션 피부여자별 보수 대비 스톡옵

션 공정가치의 비중 등이 공시되도록 제도개선이 요구된다

15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7호(2007917)

유니버설 은행의 역할에 대한 기대

金 資 峯

〈요 약〉

유니버설 은행은 크게 유럽식 내부겸 과 미국식 외부겸 (지주회사방식)으로

나뉘는데 수익성과 건 성의 측면에서 체계 으로 외부겸 이 더 우월한 결과

를 낳는다 따라서 융 빅뱅을 해서는 증권사 심의 형화와 내부겸

확 보다는 지주회사를 통한 은행과 증권사 간 결합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겸업의 상과 범 등은 융산업 건 성이 훼손되지 않는 가

운데 결합 상 간 험분산효과 여부 등 상호보완성을 분석하고 이에 기 하

여 결정되어야 한다

최근 유니버설 은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자본시장의 발전을 위한 수단으

로서 유니버설 은행의 활성화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유니버설 은행은 은행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증권업

무의 효율화 및 자본시장 빅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금융시장의 상품개발

및 위험관리 능력이 충분하지 않은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유니버설 은행은 시너지효과

를 낳는 등 편익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유니버설 은행의 정의

유니버설 은행은 은행업과 증권업을 동시에 영위하는 은행을 지칭한다 Saunders

제Ⅲ장 은 행 155

amp Walter(1994)1)에 의하면 유니버설 은행이 영위하는 업무범위는 여수신업무 외환

업무 증권인수 매매중개 자산관리 및 보험업 등을 포괄한다 전통적인 유니버설

은행(classic universal bank)은 19세기 중엽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스칸디나비

아국가에서 비롯되었다 이들은 당시에 이미 증권업무와 예금업무를 겸영하였다

Anglo-Saxon의 전통에서는 미국의 1920년대를 제외하고는 은행업과 증권업의 겸영

은 허용되지 않았다 미국에서는 1864년 은행법(National Banking Act of 1864)과

1933년 Glass-Steagall 법에 의하여 은행업과 증권업의 분리 및 금융자본과 산업자

본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9년 Gramm-Leach-Bliley법의 제정으로 자회사 고유업무 범위의 제한

이 없는 가운데 은행업과 증권업의 겸업은 지주회사제도를 통해 가능해졌다 지주회

사는 그 자체가 새로운 유형의 투자은행(new type of universal bank)이 되었다 전통

적인 유니버설 은행은 은행업과 증권업을 동일한 금융기관에서 내부겸영(in-house)

을 통해 제공하는 반면 새로운 유형의 유니버설 은행은 다양한 고유업무를 각기 다른

자회사를 통해 제공한다 특히 전통적인 유형에서는 업무조직은 하나로 결합되지만

업무기능은 방화벽(firewall)에 의해 분리되며 새로운 유형의 업무조직은 서로 다른

법인(legal entity)로 분리되지만 업무기능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다

외국의 사례

유니버설 은행의 형태는 국가별로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이론적으로 가장 완벽한 형

태의 유니버설 은행은 은행 증권 보험 및 기타 금융업을 완전히 통합(full integration)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이러한 예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이론적인

유형에 가장 가깝다고 평가받는 독일의 경우 은행증권업을 내부겸영하는 상업은행

이 보험 모기지은행 등을 자회사로 거느린 형태를 지닌다 독일과 같은 유형을 채택

하고 있는 나라로는 프랑스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이 있다 영국의 경우에는 은행이

증권 보험 등 자회사를 거느리는 방식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지주회사가 은행 증권

보험업 자회사를 거느리는 방식이다

1) Saunders A and Ingo WalterldquoUniversal Banking in the United Statesrdquo Oxford Univ Press 1994

15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국내의 겸업 황

현재 국내 겸업화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체 금융권역 즉 은행업 증권

업 보험업 등 가운데 겸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가 없다2) 또한 2000년 금융지주회

사법이 제정됨으로써 지주회사를 이용한 겸업이 업무 비중의 제한 없이 허용되었다

이는 국내에서도 전통적 유형뿐만 아니라 새로운 유형의 유니버설 은행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물론 국내에서는 여전히 금융기관간 전업주의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대출의 겸영

은 허용하지만 예금의 겸영은 허용하지 않는 것이나 은행의 유가증권 매매업무를 일

부 한정하는 것 등이 바로 그러한 전업주의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2009년 시행예정인 자본시장통합법은 증권사(금융투자회사)로 하여금 지급

결제업무를 겸영하도록 허용함으로써 금융기관간 고유업무 겸영의 범위를 더욱 확대

하였다 지급결제업무의 겸영으로 예금업무겸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증권사의 은행업

내부겸영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전업주의는 사실상 부정된다

이와 같이 겸업이 급속히 확대되는 상황에서 내부겸영과 외부겸영 가운데 어느 방

식이 수익성과 건전성의 측면에서 더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겸업

방식은 금융기관간 경쟁구조 시스템안정성 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내부겸 과 외부겸 의 비교

내부겸영과 외부겸영 즉 유럽식과 미국식의 두 유니버설 은행의 유형은 수익성 및

건전성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2007년 7월 자기자본(tier one capital) 기준으로

두 유형을 대표하는 상위 50개 은행을 각각 선택하여 건전성을 나타내는 자산대비 자

기자본 비율을 보면 유럽식은 379인 데 반해 미국식은 701로 거의 두 배에 이른

다 영업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소득대비 비용비율(cost to income ratio)은 유럽식이

585이며 미국식은 5347이다 ROA의 경우 유럽식은 평균 082인데 미국식은

197로 두 배 이상이다 BIS비율은 유럽식 은행의 경우 115인데 미국식에서는

2) 손상호「금융겸업화의 바람직한 방향」『주간금융브리프』 한국금융연구원 20061

제Ⅲ장 은 행 157

142이다 ROE의 경우 유럽식은 155인데 미국식은 175이다

더미변수 분석을 이용한 추정결과 지주회사방식이 ROA에 미치는 영향의 추정치는

027 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외부겸영방식은 내부겸영방식에 비하여 체계

적으로 더 높은 이익률을 실현시킨다는 것이다

왜 이와 같은 체계적인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가 유니버설 은행의 가장 큰 장점은

범위의 경제이다 유럽식과 미국식은 모두 범위의 경제효과를 창출한다 하지만 그

크기에 있어서는 차이가 존재한다

그 이유는 우선 내부겸영의 경우 업무부문간 상호의존성이 높아 각 부문의 전문성

이 상대적으로 낮다 특히 투자은행업에 대한 혁신성이 외부겸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게 된다 이에 따라 대출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의 약화를 야기하고 투자은행

부문의 증권인수에 대한 인센티브를 약화시키는 역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모니터링

이 약화되는 경우 기업은 예정된 투자계획보다는 다른 목적의 지대(private rents) 추

구 유인을 갖게 되어 이해상충을 야기할 수 있다 결국 유니버설 은행의 경쟁력을 크

게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외부겸영 방식에서는 부문간 독립성이 높고 혁신성과 전문성에 기초한

다양한 금융상품이 제공된다 또한 방화벽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독일식의 경우에

비해 은행업과 증권업이 독립된 법인(자회사)으로 구분되는 조직구성 원리에 의해 업

무장벽과 시너지효과간 상충문제를 야기함이 없이 이해상충의 여지가 보다 명확히 해

소된다 동시에 외부겸영은 지주회사를 통해 하나의 지붕효과(one roof effect)를 발

휘함으로써 외부겸영과 마찬가지의 범위의 경제효과를 실현한다

정책 시사

이러한 분석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무엇일까

우선 최근 국내에서는 자본시장통합법을 계기로 전업주의와 겸업주의(지주회사제도

와 내부겸영이 동시에 나타난 형태)가 혼재된 상황인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이

다 금융산업 건전성 규제원칙이 훼손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가운데 지주회사제도의

장점은 살리고 내부겸영의 문제점을 최소화시키는 방향으로 정리가 될 필요가 있다

15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둘째 내부겸영을 추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하며 겸영하고자

하는 업무영역 간 상호 보완성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은행업과 증권업은 업무

성격에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은행업은 신용을 인수(credit underwriting)하며 증권

업은 위험을 인수(risk underwriting)한다 두 인수업무의 위험에 대한 태도는 상당히

다르므로 두 업무의 단순한 결합은 그 자체가 큰 의미를 갖기는 힘들다 상호보완성

의 크기를 추정함으로써 결합이 위험분산효과를 낳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주회사방식의 상대적 우월성은 자본시장 빅뱅을 위해서는 은행의 역할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증권사들만의 결합은 단순위탁

업무 지급결제 및 예금업무(CMA) 등 retail서비스로의 편중 등 유럽식 내부겸영의 문

제점을 반복할 수 있다 다만 금산분리원칙과 관련 증권자회사 지분에 대한 원칙을 설

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증권자회사의 신규설립이 더 바람직할 수 있

다 또한 증권시장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미국지주회사제도의 경과규정처럼

한시적으로 지주회사의 일정 수준 증권 중개업허용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은행과 증권의 외부겸영방식 결합은 은행의 네트워크에 주목해야 하고 지주

회사는 그 자신 유니버설 은행으로서 위상을 잡아야 한다 1920년대 미국은행들이 증

권업겸영으로 증권서비스 수수료가 기존 증권사에 비해 14로 감소한 것은 바로 네트

워크효과에 따른 것이며 이 효과가 지주회사방식의 성과를 결정한다

제Ⅲ장 은 행 159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0호(20071015)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규제 완화는 필요한가

李 秉 允

〈요 약〉

최근 외국자본의 국내은행 소유가 늘어나면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규제를

완화하자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시장에서 자원배분과 기업구조조정

의 주체인 은행을 그 상인 기업이 소유할 경우 효율 자원배분이 해될

뿐 아니라 기업간 불공정경쟁 이해 계자들간 이해상충 문제까지 발생하

는 등 폐해가 커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미국

등 선진국도 법으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제한하고 있고 세계 100 은행을

조사해 본 결과 산업자본 최 주주 지분이 우리나라에서 한도로 규정하고 있

는 4 미만인 은행이 83나 되었다 즉 실 으로 산업자본이 선진 은행들

의 주인이 되는 사례는 매우 다고 할 수 있다 그 다면 외국자본이나 산업

자본 이외에 우리나라 은행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자본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안으로는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으로 규모가 커질 것으로 기 되는 융자본

을 들 수 있다 재 우리나라 재벌들이 계열기업을 융그룹과 일반기업그룹

으로 분할하면 분리된 융그룹도 은행의 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ldquo비금융주력자는 제15조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금융기관의 의결권있는 발행주

식 총수의 100분의 4(지방금융기관의 경우에는 100분의 15)를 초과하여 금융기관의

주식을 보유할 수 없다rdquo

우리나라 은행법 제16조의 2 제1항의 내용이다 여기서 ldquo금융기관rdquo이란 은행을 지

16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칭하는데 바로 이 규정 때문에 우리나라 기업은 돈이 아무리 많아도 은행주식을 사서

은행의 주인이 될 수 없다

최근 들어 이 법조항을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 제기되고

있는 정도가 아니라 그러한 방향이 당연하고도 바람직한 것인 것처럼 얘기되고 있다

우리 기업이 은행을 소유하지 못하도록 하는 반시장적 규제 때문에 엉뚱하게 외국자

본들이 우리나라 은행을 가져가고 있으니 외국자본에 우리 은행들을 더 빼앗기기 전

에 어서 이 법을 고쳐 ldquo우리나라 사람인rdquo 기업들이 은행을 갖게 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법으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제한하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터인데

단지 대안이 없다는 이유로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해주자고 주장하는

것은 좀 무리가 있어 보인다 이러한 주장을 하기 전에 먼저 왜 이러한 법조항이 생겼

는지 그 이유를 꼼꼼히 따져보고 또 금융이 잘 발달된 선진국들은 어떤 상황인지 자세

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은행 인수 주체로 산업자본 이외에는 전혀 대안이 없

는지도 깊이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들을 따져보고 나서야 과연 산업자본

이 은행을 소유해도 좋은지 아닌지 결론을 맺을 수 있을 것이다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불허 이유

왜 하필 은행일까 우리나라에서 재벌들은 모든 업종에 거의 다 진출해 있다고 해

도 과언이 아니다 자동차 컴퓨터 반도체 의류 백화점 할인점 영화 아파트 보

험회사 증권회사 호텔 패밀리레스토랑 등등 재벌이 진출하지 않은 산업을 찾기가

어렵다 그런데 오직 하나 은행만은 재벌이 진출하지 못하고 있고 아예 재벌이 진출

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막고 있다 도대체 왜 그랬을까

그 첫 번째 이유는 은행이 시장경제시스템에서 자원배분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하기 때문이다 은행은 대출을 해주기 전에 미리 기업의 신용 및 사업전망을 평가하여

가장 생산성이 높은 사업부터 대출해 줌으로써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또 대

출받은 기업에 대해서는 사후에 철저히 감시를 하고 부실 가능성이 보이면 돈을 떼이

기 전에 자금을 회수하는 등 부실기업에 대한 상시적 기업구조조정의 역할도 수행한

다 우리나라가 1997년말 금융위기를 맞게 된 것은 은행이 이와 같은 역할을 제대로

제Ⅲ장 은 행 161

수행하지 않았던 데에도 큰 원인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당시 은행들이 기업에 대

한 평가를 제대로 하지도 않고 부실한 기업에 대규모 대출을 해주고 사후관리도 제대

로 하지 않아 엄청난 부실이 누적되었는데 이것이 금융위기 발발의 한 원인을 제공한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효율적 자원배분과 상시적 기업구조조정의 주체인 은행을 그 대상인

산업자본이 소유하거나 지배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특정 기업이 소유한 은행이 그

기업이나 경쟁기업 또는 잠재적 경쟁자인 수많은 기업에 대한 대출 시 제대로 된 사전

심사나 사후 모니터링을 할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효율적 자원

배분이 저해되어 자원이 낭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지 못하게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은행이라는 회사의 특성

때문이다 은행은 자기 돈보다는 주로 남의 돈으로 사업을 하는 회사다 2005년말 기

준으로 우리나라 제조업의 평균 자기자본비율은 498에 달하는 반면 국제결제은행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 BIS)이 은행의 안정적 경영을 위해 권고하는

자기자본비율 기준은 위험자산 대비 8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은행이 망해도 대주

주의 부담은 제조업에 비해 훨씬 적어 은행은 기본적으로 위험사업을 추구할 가능성

이 높다 그런데 은행이 부실해지면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해쳐 경제전반에 엄청난 악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은행의 주주뿐 아니라 은행고객과 나아가 모든 국민에게 비용

부담을 가져오기 때문에 은행은 오히려 제조업체보다 훨씬 더 안정적으로 경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은행을 소유경영하는 사람은 제조업체를 소유경영하는 사람보다 안

정 경영을 추구하는 성향이 훨씬 더 높아야 하는데 제조업체 등 산업자본은 일반적으

로 높은 위험을 부담하면서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성장을 도모하는 특징

이 있어 이들이 은행을 소유경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지 못하게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중요한 것은 불공정경쟁의 방지이다 기업이 은행을 소유하면 은행을 소유하지 못

한 기업과의 경쟁에서 근본적으로 우위를 점하게 되어 공정경쟁에 문제가 생기게 된

다 은행은 수많은 기업에 대출을 해주면서 기업정보를 얻게 되므로 정보의 집중처라

고 할 수 있다 또 기업이 소유한 은행은 그 기업의 자금조달의 원천이고 적대적 MampA

위협이 있을 때 백기사가 되어줄 수도 있다 이러한 은행을 소유한 기업과 그렇지 않

16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은 기업간의 공정경쟁은 애시 당초 생각하기 어렵다

또한 산업자본이 소유한 은행은 보유자산을 계열기업을 위해 운용함으로써 지배대

주주와 소액주주고객 간 이해상충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금융회사를 매개로 한 계열기업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는 대기업집단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이해상충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다른 나라의 사례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산업자본의 은행 소유는 폐해가 너무 많아 불허하는 것이 바

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렇더라도 소유를 규제하는 것은 자본주의 경제에서

문제가 있으므로 소유는 허용하되 금융감독을 철저히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주

장이 있다 하지만 첨단 금융기법의 등장으로 금융감독을 회피하는 다양한 우회지원

방법이 나오고 있어 대주주의 불공정 행위를 금융감독만으로 규제하는 것은 효과적이

지 않고(ineffective) 또 이러한 모든 우회지원 방법들을 완벽하게 감독하려면 비용

도 많이 들어 효율적이지도 않다(inefficient)고 할 수 있다

하물며 금융감독에 관한 한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고 할 수 있는 미국의 경우

에도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게 한 후 금융감독을 통해 폐해를 방지하는 방식을 사

용하지 않고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법으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원천적으로 규제하

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미국에서 은행을 지배하는 회사는 은행이 아닌 회사

주식을 신규 취득할 수 없고 설립 2년 후에는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이외의 회사 지분

소유도 금지되며 은행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업무 이외의 업무 영위도 금지된다(12

USC sect1843 (a) (1)(2) 12 USC sect1843 (c)(8)) 즉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미국 이외에 다른 나라들의 경우에는 법으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금지하는 나라

도 있고 그렇지 않은 나라도 있다 하지만 실제로 은행들의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대체

로 산업자본이 은행의 주인인 경우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세계 100대 은행의 주

주 현황을 분석해 본 결과 산업자본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우리나라에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한도인 4 미만인 은행이 83개에 달하였다 즉 대부분 세계 유수 은행들의

제Ⅲ장 은 행 163

경우 산업자본 지분이 미미한 실정이었다 또한 4 이상 은행지분을 가지고 있는 산

업자본들도 대부분 투자회사나 정부계 펀드 등인 경우가 많아 제조업 등을 영위하는

기업이 은행을 소유한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허용 주장 논거

지금까지 알아본 바와 같이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는 폐해가 많아 바람직하지 않고

실제로 선진 은행들의 사례도 극히 미미하여 현실적으로도 잘 일어나지 않는 일이라

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허용하자는 주장이 꾸

준히 나오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만 유독 은산분리를 완화해야 할 뚜렷한 이

유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은산분리 완화를 주장하는 쪽의 논리는 다

소 빈곤해 보인다 우리나라 은행을 자꾸 외국자본이 가지고 가는데 산업자본 이외에

는 국내자본의 대안이 없으니 돈을 많이 쌓아두고 있는 산업자본이 은행을 인수할 수

있게 해주자는 것이 은산분리 완화를 주장하는 쪽 논리의 요지이다 은행을 인수하려

는 주체가 정말 은행을 잘 경영해서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발전 나아가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따지기보다는 그냥 은행을 인수할 돈이 있으니 은행을 주자

는 것은 논리로서는 너무 미약하다

또 우리나라 대기업집단이 세계적인 기업을 많이 만들어 냈으니 은행을 인수하면

분명히 세계적인 은행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하는 주장도 일부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대기업집단은 증권회사나 보험사 등 금융회사를 이미 가지고 있지만 이들 금융회사를

세계적인 기업으로 키우지는 못하였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금융회

사를 재벌의 지배구조 유지라는 목적으로 사용한 것도 한 몫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증권회사나 보험회사는 잘 경영하지 못했지만 은행은 다를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먼저 기존에 가지고 있는 증권회사나 보험회사를 세계적인 금융기업으

로 키워 능력을 검증받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외국자본에 우리나라 은행이 자꾸 넘어가는 것이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물론 은행

을 전문적으로 경영하는 자본이 아닌 외국계 펀드가 은행의 주인이 되는 것은 문제가

16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지속적으로 은행을 경영할 목적으로 들어오는 세계적인

은행자본의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실 안

하지만 역시 국가 경제의 중추인 은행을 외국자본에 완전히 내맡긴다는 것은 무언

가 찜찜하다고 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폐해가 많은 줄 알면서 산업자본에 은행소유의

길을 터주는 것도 국가 백년대계를 생각할 때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선택이다 한번

소유권이 넘어가면 다시는 돌이킬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한번 줘봐서 문제가

생기면 다시 회수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따라서 외국자본도 아니고 산업자본

도 아닌 대안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먼저 생각해 봐야 하는 것은 은행에 꼭 주인을 찾아주어야 하느냐 하는 문제이다

세계적인 민간 상업은행들의 경우 민간 대주주가 완전히 소유하고 주인행세를 하는

곳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주인이 없더라도 경영지배권 시장이 활성화되고 지배구

조가 개선되면 은행경영에 큰 문제가 없는 만큼 굳이 주인을 찾아줘야 한다는 강박관

념을 가지고 주인자격이 없는 주체에게 은행을 넘길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그래도 꼭 은행에 주인을 찾아주어야 하겠다면 산업자본이 들어가지 않은

순수 금융자본의 은행 인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아직은 그 규모가 작지만 자본시장

통합법 시행 등으로 비은행 금융회사의 규모가 커질 경우 순수하게 금융회사로만 이

루어진 금융그룹이 출현할 수 있으며 이들이 은행을 소유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현실적인 대안은 기존의 재벌들이 소유지배구조를 개선하여 금융그룹과 일

반기업그룹으로 그룹내 기업들을 분할한 후 그 중 금융그룹이 은행을 인수하는 방안

이다 기존의 재벌가(家)가 그룹내 모든 기업을 지배하려는 생각만 조금 바꾸면 금융

그룹과 일반기업그룹으로 분리가 가능하고 분리된 금융그룹이 알짜 기업인 은행을 인

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은산분리는 절대불변의 법칙인가 언제쯤 우리는 은산분리 완화를 논할 수 있

을까 주인 없는 은행들이 계속 부실해지고 외국자본이 경영하는 은행은 외국자본이

세계적인 은행자본인데도 계속 문제가 발생하며 재벌계열 금융회사들이 세계적인 금

제Ⅲ장 은 행 165

융회사로 발돋움해 가고 재벌의 지배구조가 개선되어 계열 금융회사를 다른 회사 지

배를 위해 쓸 위험성이 사라지면 그때 가서 은산분리 완화문제를 다시 고민해 봐도

늦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우리나라 금융감독의 수준도 지금보다는 크게 향상

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16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46호(20071126)

은행의 수신구조 변화와 경영방향

具 本 星

〈요 약〉

2006년 하반기 이후 이탈로 인해 은행권의 수신기반이 계속 취약해지

는 한편 시장성 의 비 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신이탈 수신구조의

변화로 인한 자 조달 비용의 상승과 유동성 험의 확 고객기반의 약화에

비하여 은행권은 새로운 경 기조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성장성 지표에

비해 수익성지표의 안정화에 을 둔 경 이 강화되어야 한다 한 시장성

자 조달에 한 리를 강화함으로써 융시장의 변동성 증 에 따른 사후

유동성 험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고객 계 측면에서 고객만족도

신뢰도를 회복할 수 있도록 서비스활동을 강화하고 복합 의 개발도 모색

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수신기반의 약화가 여신 험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도록 상환 험을 감안한 여신정책을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은행수신의 이탈 지속

안전자산 선호에 따른 수신기반의 안정화와 주택담보대출 및 중소기업대출에 의한

자산증가세에 힘입어 국내 은행산업의 경영성과는 글로벌 수준에 못지않는 우수한 수

준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2006년 하반기 이후 증권사의 CMA와 주식형펀드로의 자

금이탈이 가속화 되면서 은행권의 수신기반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수신기반의 약화가 핵심예금의 이탈(deposit disintermediation)에 의한 것이라는 점

에서 경영측면의 취약성도 나타나고 있다

제Ⅲ장 은 행 167

이하에서는 은행권 수신기반의 약화와 구조변화에 따른 은행경영의 취약요인을 살펴

보고 향후 경영위험에 미칠 영향을 평가한 후 은행권의 경영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은행의 단기수신 감소와 시장성 수신의 확

은행의 예금이탈에 따라 만기 6개월 미만 단기자금에서 은행권의 예수금이 차지하

는 비중이 크게 하락하고 있다 2004년 이후 증가세를 보였던 은행권의 예수금은 요

구불 및 저축성예금의 감소로 인해 2007년 상반기까지 2006년말 대비 약 1p 하락하

였다 또한 전체 은행권 수신에서 CD 및 금융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2006년말 241

에서 2007년 상반기 267로 26p 상승하였다 이는 전통적 예수기반인 저축성 예

금에서 단기금융시장이나 채권시장을 통한 시장성 수신으로의 전환 또는 대체가 확대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수의 예금자를 통한 자금조달 비중이 축소되고 비은행중개

기관(non-bank intermediary)을 통한 수신이 확대되는 등 자금조달의 기반이 바뀌

고 있다고 할 것이다

수신기반 약화는 비용상승과 고객 계의 약화를 래

국내은행의 수신구조 변화는 아직까지 구조적인 추세인지 평가하기 어려운 상황이

다 그러나 MMF 또는 CMA 등과 같은 수익형 또는 금리연동형 단기수신상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고 수익률에 민감한 형태가 지속될 경우 구조적으로 정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은행권의 수신이탈이 주식형펀드 또는 해외펀드로 전환된

경우 단기수익률에 대한 기대감에도 기인하고 있어서 수신기반이 자본시장 상황에 따

라 좌우될 수도 있다

국내은행의 수신구조 변화에 따른 효과는 크게 비용과의 관계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비용측면은 불특정 다수로부터의 자금조달이 시장성 자금조달로 전환됨에 따라

자금조달비용의 변동성이 높아질 가능성이다 또한 단기금융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이

확대됨에 따라 자금시장의 상황에 따른 자금조달의 기회도 변화될 수 있다 저축성 예

금의 경우 시장성 예금에 비해 금리민감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예금인출에 대한 유인

16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유동성 확보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시장성 예

금은 만기구조가 일정한 반면 만기에 일시적으로 발행규모가 증대된다는 점에서 발행

비용의 증가 또는 차환발행의 여부에 따라 유동성의 급격한 변동을 초래할 수 있다

이처럼 국내은행권의 수신구조 변화가 지속될 경우 국내은행의 유동성 위험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관계측면의 이슈는 고객이탈 현상에 따른 고객가치의 하락을 들 수 있다 MMF계좌

로의 이동이 연계계좌 또는 스윙(swing)계좌를 통해 이탈할 경우 고객과의 대면이나

접촉이 일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증권사 또는 자산운용사 온라인채널을 통

해 자금이탈이 초래될 경우 은행과 고객간에 형성된 밀착관계는 지속적으로 약화될

수밖에 없다 고객관계의 약화는 중장기적으로 고객유치에 따른 비용을 증대시킬 뿐

만 아니라 고객정보에 대한 접근기회를 제한함으로써 교차판매나 종합금융서비스 등

과 같은 관계형 서비스를 제약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시장성 수신의 경우 은행

과의 관계에 비해 수익률이나 시장상황에 따라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장기

관계의 형성이 제약될 수밖에 없다

앞으로 장기적으로 볼 때 은행의 수신기반 약화는 고객가치를 하락시킴으로써 장기

적으로 수신안정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 결국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수신구조의

변화는 은행권의 자금조달 비용의 상승뿐만 아니라 조달기회의 확보 조달기반의 안

정성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수신구조의 변화와 수신기반의 약화는

은행의 경영방향에 따라 안정성 성장성 수익성 및 건전성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초

래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수익성 리에 을 둔 경 기조

은행권의 수신기반 약화는 안전자산 선호와 저금리에 의한 유동성으로 인해 지난

수년간 수신확보에 대한 유인이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점에서 은행경영에 상당한 어려

움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예수금 기반의 안정화에 힘입어 가계대출 및 중소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높은 자산증가율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점도 은행권의 성장전략

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특히 지준율 및 재할인율의 재조정을 통해 시

제Ⅲ장 은 행 169

장유동성에 대한 적극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은행권의 유동성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반의 변화 기

조를 완화하기 위한 상품 및 서비스 측면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도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수신기반의 약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 시장유동성의 관리 강화 서

비스 개선 등은 은행권의 수익성 유지 또는 확보에 두어야 한다 수익성 중심의 경영

은 자산성장률이나 여신증가율 등 성장성 지표에 비해 순이자마진의 유지 자기자본

이익률(ROE)의 안정화 수익변동성의 축소 부실여신비율의 안정화 등 수익성 지표

를 중시하는 경영기조라 할 수 있다

안정 성장기조가 핵심

성장전략 측면의 경우 은행권의 수신기반 약화에도 불구하고 과다한 성장전략의 추

구는 경영위험을 높일 수 있다 국내은행의 자산성장률은 2000년sim2006년 중 평균

88에 이르렀으나 저축성예금의 성장률도 61를 시현함으로써 안정적인 순이자마

진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신기반의 약화로 자금조달비용이 상승할 경우 여신

성장률이나 이자부자산의 증가율을 적정화할 필요가 있다 만일 단기수신이 감소하는

가운데 이자부자산의 증가율이 급격히 늘어날 경우 순이자마진의 하락을 초래하거나

고위험 자산에 대한 대출을 확대함으로써 건전성을 오히려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수신기반의 약화에 대응한 성장전략은 안정적인 성장기조를 유지하거나 순이자

마진 또는 장기연체율을 고려한 성장률을 유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성장률의

안정화는 장기적으로 건전성의 추가 훼손이나 위험자산 증대에 대한 유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건전성 유지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유동성 기반의 강화가 요

CD 및 단기금융채 등 시장성 수신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예금성 수신에 비

해 자금조달 시장의 상황에 따라 자금조달 기회나 비용이 변동할 여지가 높은 것이 일

반적이다 그동안 국내 금융시장은 자금의 단기화와 기업부문의 현금자산 증대에 힘

17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입어 거액수신이나 단기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이 매우 용이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단기금융시장의 유동성이 위축되거나 대외환경이 변화될 경우 추가 자금조달이나 기

존 자금의 차환발행이 지연될 수도 있다 이처럼 예금성 수신에 비해 시장성 수신의

비중이 증대될수록 은행의 만기별 또는 자금조달 비중이 증대되는 특정시기를 고려하

여 유동성 대책을 마련 선제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즉 시기별 자금조달 수준과

시기를 고려한 중기차원의 유동성 관리가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자금조달

에 대한 중기계획을 재검토하고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ALM관리가 강화

되어야 한다 한편 은행권의 자금조달이 특정 시기에 집중되거나 자금공급기반의 위

축이 전반적으로 확산되는 경우에 대비한 거시건전성(macro-prudence) 측면의 시장

모니터링도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은행권의 시장성 수신기반은 주로 증권사의 MMF 또

는 CMA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금흐름의 변화로 초래될 수 있는 시장충격이나

유동성 위축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고객 심 경 을 다시 강화할 필요

자산성장률의 안정화 또는 수익성 지표의 관리 유동성에 대한 선제적 관리 등은

자산운용 측면의 후속조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기반 약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예

금의 상품매력도와 은행서비스의 경쟁력이 계속 취약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예금의

상품매력도 하락은 주로 투자수익률과 예금금리의 차이가 확대된 데도 원인이 있으

나 은행서비스의 경쟁력 하락은 우량고객이나 상위고객을 중심으로 한 선별적 관리

(cherry-picking)기조에도 부분적으로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고객(retail

customers)의 개발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거나 자본비용 또는 규제비용에 미치는 동태

적 효과를 충분히 감안하지 않았던 점에서 기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은행권의

예수기반이 편리성이나 안전성 선호에 의해 창출될 수 있었으나 실질적인 은행고객

의 충성도는 오히려 약화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은행권은 예금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단

예금상품의 수익률은 원칙적으로 비은행권의 투자상품에 비해 낮을 수밖에 없다는 점

에서 직접적인 수익률 경쟁에 비해 서비스경쟁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고

제Ⅲ장 은 행 171

객서비스의 확충이나 고객만족에 초점을 둔 경영을 강화함으로써 은행에 대한 고객신

뢰도를 회복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다소 미진했던 영업기반을 재점검하

고 고객밀착관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혹은 단기자금의 이탈을 부분적으로 내부화

할 수 있는 예금상품개발도 고려될 수 있다 일정기간 일정금액 이상을 유지하는 예금

에 대해 보장서비스와 이체서비스 환전서비스 스윙서비스 등을 묶어서 제공하는 한

편 필요 시 계좌유지수수료를 부과하는 프리미엄예금(premium deposit) 상품의 도입

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프리미엄예금은 일정 수준의 단기자금을 유치하고 예금에

의한 새로운 고객관계를 형성하는 계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신건 성의 리도 병행될 필요

은행권의 수신기반 약화는 수신금리의 상승을 초래함으로써 여신금리의 인상을 초

래할 수 있다 특히 은행권의 유동성이 축소되거나 유동성 위험이 증대될 경우 여신금

리의 급격한 상승이 초래될 소지도 있다 또한 통화정책 기조의 강화에 따라 시장금리

의 상승압력이 지속될 경우 여신금리의 상승은 불가피하게 진행될 수도 있다 특히 국

내 은행산업의 경우 그동안 풍부한 시장유동성으로 인해 여신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

되어 왔던 점을 감안할 때 여신금리의 상승은 급격한 상환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은행권의 수신기반 약화가 장기화될 경우 여신건전성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초래

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여신위험을 적절히 조절해 나갈 필요가 있다 급격한 대출

회수나 자산축소 현상이 초래되지 않는 한 기업별 신용도나 재무수준 업종별 특성이

나 경기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여신정책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특히 기존 여

신에 대한 여신조건이나 기준의 경우 상환부담을 감안하여 적절히 재조정해 나갈 필

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수신위축으로 인한 부채위험이 여신부문의 자산위험을 증가시

키지 않도록 여신정책을 적절히 조율할 필요가 있다

17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맺음말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은행권의 수신 또는 자금이탈 현상은 자본시장 여건의 급

격한 개선에도 기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식시장이나 이자율 수준의 변동에 따라 완

화될 여지도 있다 그러나 장기금융이나 투자서비스에 의해 촉발된 자금이탈은 장기

간에 걸쳐 구조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으므로 중장기에 걸친 경영개선 노력은 지속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한편 글로벌 금융시장의 유동성 축소는 국내 은행권의 유동성 위축과 맞물려 유동

성 위험을 증폭시킬 소지가 있다 예를 들어 외화자금의 조달기회가 제한되거나 발행

프리미엄의 상승으로 인해 차환발행이 연기되거나 지연될 경우 국내 단기자금시장이

나 채권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유인을 높임으로써 은행권의 금융채발행을 증가시킬 가

능성도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은행권의 수신이탈에 따른 유동성 위험은 대외여

건에 의해서도 심화될 수 있다는 점을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앞으로 은행권의

수신이탈 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경영과제는 대내적 위험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뿐만

아니라 대외적 여건 변화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기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

다 당분간 은행권은 비상경영을 지속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제Ⅲ장 은 행 17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51호(20071231)

소액금융의 성공사례와 국내은행의 진출 시 고려사항

李 淳 豪

〈요 약〉

재 우리나라의 빈곤층은 높은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계속 늘어나고 있어

소득층 지원에 한 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신용 소득층의 자활

을 돕기 한 소액 융에 한 제도권 융기 의 심이 매우 크다 소액 융

기 의 성공사례를 통해서 소액 융의 성공 여부는 상업 원리에 의해 수익

성을 확보하여 지속가능한 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으며 소

액 융이 은행의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재 국내의 몇

개 은행이 소액 융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상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향후 은행

의 소액 융시장 진출 시 어떤 장 이 있으며 어떤 에서 유의하여야 하는

지에 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실질 GDP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실업률 또한 외환위기 이

후 최고조에 달했던 1998년의 7에 비해 현저히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빈곤층은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Alfred Marshall은 자신의 저서『경제원론(Principles

of Economics)』에서 경제학은 인간을 연구하는 학문인데 가난이 인간의 육체적 정

신적 도덕적 질병 등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는 모든 악의 주요한 요인이며 따라서 가

난의 원인을 구명하고 이를 해소하는 것은 경제학의 중요한 연구대상이라고 하였다

가난을 구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나 빈곤층으로 하여금 소규모 사업체를 창

업하여 운영하게 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식되므로 이를 돕기 위한 다양

한 수단 중의 하나로 소액금융(microfinanc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액금

17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융은 방글라데시의 Muhammad Yunus가 설립한 Grameen Bank in Bangladesh의

성공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몇 개의 NGO가 소액신용

(microcredit)을 제공하고 있으나 재원조달 등에 한계가 있어 제도권 금융기관의 소

액금융시장 진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몇 개 은행에서는 이미 소액금융업

을 시작했거나 검토 중에 있다 본고에서는 은행이 소액금융업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진출 시 유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외국의 소액 융 성공사례 성공요인

일반적으로 소액금융은 자활의지가 강하고 창업 아이디어는 있으나 낮은 신용도로

제도권 금융기관으로부터 창업자금을 대출받지 못하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금

융업으로서 한계수준 밖의 저신용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시혜성 지원과는 구분이 되

어야 한다

지난 20여년 동안 많은 소액금융기관(MFI microfinance institution)이 인도네시

아 방글라데시 볼리비아 페루 멕시코 등 저개발국에서 설립되어 소득창출을 위한

저소득층의 창업을 성공적으로 지원하였는데 볼리비아의 BancoSol Bank Rakyat

Indonesia(BRI)의 Unit Desa 프로그램과 Grameen Bank in Bangladesh 등의 성공

사례는 소액금융이 수익을 내면서 지속적으로 성장 가능한 금융업이 될 수 있다는 것

을 보여준다

BancoSol의 자산은 2006년 261 성장하여 164백만달러에 달하고 연체율은

315로 볼리비아 전 은행의 평균 연체율인 86에 비해 현저히 낮으며 대출원금 상

환율은 995를 지속적으로 상회하고 있다 BRI의 소액금융 프로그램인 Unit Desa

는 1996~1997년 동안 250만명에 17억달러를 대출하여 17억달러의 수익을 보았다

Grameen Bank in Bangladesh의 성공사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더라도 너무나 잘

알려져 있다 Grameen Bank의 2005년말 대출잔액은 43억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대출원금 상환율은 99(2005년말) 자기자본이익률(ROE return on equity)이 2004

년말 현재 90를 보이는 등 높은 수익성과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1998년 이후에

는 외부 기부금 등의 도움 없이 예금 등의 자체 자금조달에 의하여 운영되고 있다

제Ⅲ장 은 행 175

위의 성공사례에서 보듯이 소액금융이 저신용 저소득층의 창업을 지원하여 가난문

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대출

원금의 상환율을 100에 가깝게 유지해야 한다는 원칙을 반드시 고수하여 지속가능

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건전성 규제를 받는 은행이 소액금융시장에 지금까지 진출하

지 못한 이유는 대출금 상환을 위한 사후관리 비용 및 소액 다수의 대출 형태에 따

른 고정비용이 큰 이유뿐만 아니라 저신용 저소득층의 상환능력에 대한 믿음이 부족

했던 점도 있다 그런데 전세계를 대상으로 소액금융이 거둔 성공의 일차적 의미는

저신용 저소득층의 상환의지 및 능력이 통념에 비해 훨씬 높다는 점을 입증한 것이

다1) 지금까지의 전 세계 소액금융기관의 성공사례는 소액금융이 은행의 공공성 확보

나 사회적 책임 강화 차원에서 시혜성 지원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새로운 수익원으로

자리잡을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은행의 소액 융업 진출 시 고려사항

은행이 소액금융업을 영위할 경우 장점으로는 우선 은행이 여러 가지의 건전성 규

제를 받고 있어 투명성 수익성 및 효율성을 추구하게 되므로 지속가능성이 확보된다

는 것이다 또한 전국에 걸쳐 지점을 갖고 있는 등 기본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많

은 사람에게 혜택을 줄 수 있으며 선진 금융기법에 대한 know-how가 축적되어 있

으므로 대출 시 사업능력 등의 평가에 있어 유리하다 은행 수신을 사용할 경우 상대

적으로 기부금 등에 의존하는 NGO에 비해 기금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소액금융업에 있어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은행이 소액금융업에 진출하기 위해

서는 다음의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선 소액금융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특정 경

영자의 의지나 비전에 의해 일회적 사안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사업 모델이 될 수

있도록 확정한 후에 진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리 수준은 대출에 따른 비용을 충분히 충당할

정도로 높은 금리를 부과하여야 할 것이다 저신용 저소득층에 대한 대출은 엄격한 사

업성 심사 및 사후관리를 통해 성공확률을 높임으로써 신용위험을 낮출 수는 있으나

1) 박종현ldquo해외의 대안금융 마이크로 파이낸스를 중심으로rdquo시장경제와 사회안전망 포럼 2007

17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관리비용이 높으므로 정부보조가 없을 경우 일반 대출금리보다 높은 금리가 부과되어

야 할 것이다 이 경우 고금리로 인하여 은행의 평판이 나빠지는 위험이 있으므로 은

행이 직접 진출하기보다는 소액금융 전문기관을 자회사로 설립하거나 소액금융 전문

기관에 업무를 위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소액금융은 전통적인 은행업무와는 상이하므로 소액금융 전문가를 우선 확보

하여야 하고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소액금융 담당자의 성과

급을 포함한 급여의 지급체계도 소액금융의 전문성을 고려해서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회계보고 및 건전성 감독에 관한 사항에 소액금융의 특수성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감독당국과 사전 협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맺음말

소액금융은 사회양극화로 인한 저소득층의 자활을 돕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전

세계에서 거둔 많은 성공사례는 소액금융이 수익모델로서 지속가능하다는 점을 보여

준다 소액금융은 대체로 초기단계에서는 정부재정 및 기부금 등으로 자금을 조달하

고 가난구제 등의 공익성에 초점을 맞춘 비영리 단체에 의해 영위되며 점차 시장규모

가 커짐에 따라 재정자립 및 상업적 원리에 의해 영위되는 금융기관의 면모를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은행도 소액금융으로부터 충분히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향후 은행이 소액금융시장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Ⅳ장 비은행 자본시장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79

동국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호(2007122)

회사채시장의 외부성과 발전방안

姜 京 勳

〈요 약〉

우리나라 회사채시장의 여러 가지 문제 은 그동안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

하고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데 그 원인의 하나는 이러한 문제들이 서로 긴

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은 동태 외부성과 정태 네트워

크 외부성 등 채권시장의 외부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 외부성이

존재할 경우 시장실패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정부의 개입이 합리화될 수 있

는데 시장에 여러 종류의 외부성이 존재하고 이 외부성 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경우에 정부의 입장에서는 보다 주도면 한 육성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요즘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이슈는 단연 부동산문제이다 더욱이 올해말 대선을 앞

두고 부동산문제는 경제뿐 아니라 사회정치문제로까지 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러한 상황에서 회사채시장의 발전방안이라는 어느 면에서 고색창연한 주제를 이야기

하는 것은 한가롭게 보일지도 모른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은 주택가격에 무주택

자 등 서민들이 신음하고 이처럼 급등한 주택가격이 급락하여 가계발 금융위기가 초

래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회사채시장 발전의 기초를 다지자

는 주장이 귀에 들어오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러나 긴박한 과제는 긴박한 과제대로 해결하는 한편 아직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

는 시장을 조성하는 일 역시 간과해서는 안된다 더욱이 시중의 풍부한 유동성이 부동

산시장으로 집중된 데에는 자본시장이 원활하게 기능하지 못한 책임도 있다 주식시

장뿐 아니라 회사채시장 특히 고수익채권시장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면 시중의 부동자

18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금을 충분히 흡수하여 부동산문제가 요즘처럼 심각해지지는 않을 수 있었을 것이다

이 외에도 회사채시장의 순기능은 다양하다 잘 발달된 회사채시장이 없을 경우 기

업들은 높은 자금조달비용을 지급해야 하며 설비투자도 단기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회사채시장이 훌륭한 투자수단의 제공처가 되며 효율적인 회사

채시장은 시장에서 종합되는 다양한 정보의 원천으로 기능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와

같이 다양한 순기능을 가지고 있는 회사채시장을 육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어려움을 회사채시장에 존재하는 외부성(externality)과 연관

시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회사채시장의 발전과제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자 한다

회사채시장의 황 문제

2006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전체 채권 발행잔액은 7791조원에 이르렀다 채권종류

별 잔액은 국채가 2579조원(전체의 331)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통

안채 1584조원(203) 금융채 1473조원(189) 특수채 1024조원(131) 회사채

1012조원(130) 등의 순이다

회사채의 경우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중 대규모로 발행되었으나 1999년 대우사

태와 2003년 카드사태를 거치면서 발행이 위축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회사채

가 전체 채권 발행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99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였다 전

체 채권시장에서 회사채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00년 15 수준에서 계속 낮아

져 최근에는 5에도 훨씬 못 미치고 있다

정부는 외환위기 이후 회사채시장의 선진화를 위해 시장의 규제완화 시장하부구조

의 개선 신상품 도입 채권수요기반 확충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채권시장 개선방

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개선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회사

채시장은 여전히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회사채 발행시장의 양극화 현상을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 신용등급이 높은

기업과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 간 회사채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여건의 양극화 현상은

최근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 자금조달의 주요 창구로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1

서 회사채시장의 기능을 크게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회사채 발행유통시장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볼 때 채권수요의 80 이상이

투신사 및 은행에 편중되어 있어 수요기반이 취약하고 시장심도(market depth)가 낮

다 외국인 투자자의 채권보유 비중도 2005년말 062에 불과하여 채권시장 개방을

통한 회사채 수요촉진 효과는 아직까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채권 딜러기능 촉진을 위한 지속적인 제도 개선에도 불구하고 채권딜러들이 시장조

성자(market maker)로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어 채권 발행 및 유통시장 부

진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시장상황의 변화에 따라 수익률과 거래량이

급변하는 등 시장안정성(market stability)이 부족한 것도 지적되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무보증사채의 발행절차도 지나치게 간소화되어 투자자 보호보다는 발행자

편의에 무게가 두어짐에 따라 회사채시장 발전에 장애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회사채시장의 거래가 대부분 장외거래임에도 불구하고 정보전달 등과 관련한

시장조직이 정비되지 않아 거래상대방을 탐색해야 하는 등 시장효율성이 극대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채권수익률 등 회사채 관련 정보의 집중이 미흡하고 정보

의 실시간 공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시장참가자가 시장의 통계를 기초로 투자판

단을 하기 어려우며 축적된 통계자료가 부족하여 체계적인 금리예측도 어려운 실정

이다

신용평가 부문에 있어서도 신용평가의 질적 개선을 위한 내부통제장치 및 평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신용평가회사의 평가 결과에 대

한 시장의 신뢰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신용평가회사의 부실평가에 대한 제재조치의

실효성 확보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회사채시장의 외부성

이처럼 우리나라의 회사채시장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동안 회사채

시장을 육성하려는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제점들이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 것은 이들 문제점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수요기반의 확충을 위해서는 회사채시장의 발전이 필수적인데 투자자의

18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입장에서 보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시장에 투자하고 싶지 않게 된다 또한 회사채

딜러는 정확하게 발행자의 신용위험을 평가하고 회사채의 가격을 산출하기 위해서 많

은 투자를 할 필요가 있는데 만일 회사채 발행물량이 많지 않다면 이와 같은 투자를

할 유인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는 발행자 신용위험 및 회사채 가격설

정 기능이 취약한 딜러를 통하여 회사채를 발행하는 것이 불리한데 이는 투자자들이

이와 같은 딜러를 통해 발행된 회사채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거나 이에 따라 추가적인

위험 프리미엄을 요구하게 되기 때문이다 결국 회사채시장의 수요 공급 중개 등 제

측면의 문제점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회사채시장을 발전시키려는 정부의 입장에서

는 이들을 모두 한꺼번에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봉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ldquo닭이냐 달걀이냐의 문제(chicken or egg problem)rdquo로 설명될

수도 있다 예컨대 회사채 딜러들이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결국 다양한 투자자들이

필요한데 투자자들을 시장으로 모으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가격이 산출되고 다양한

회사채가 거래되는 시장이 존재해야 한다 이와 같은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하는

문제는 채권시장의 외부성에 기인하는데 이러한 외부성은 투자자와 공급자 또는 중개

인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주고 받을 때 더욱 확대된다

여기서 회사채시장에 존재하는 외부성의 동태적 성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회사

채 발행 주관 및 인수 경험이 많은 딜러는 학습효과(learning by doing)를 통하여 보

다 높은 위험측정 및 가격설정 능력을 보유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외부성 이외에 다른 성격의 외부성도 회사채시장에 존재한다 정

태적 성격의 네트워크 외부성이 그것인데 이는 어느 한 소비자의 효용이 그 상품에 대

한 다른 소비자의 소비행위에 따라서 긍정적 영향을 받는 것을 말한다 회사채시장과

관련해서는 투자자들이 회사채가 다양한 것을 더 선호한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

서 시장에 나와 있는 회사채의 종류가 많을수록 그 회사채들의 가치는 상승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외부성은 동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한 시점에 존재하는 회사

채의 종류가 그 회사채들의 가치를 결정할 뿐이다

시장에 외부성이 존재할 경우 경제학 이론에 따르면 시장실패(market failure)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정부의 개입이 합리화될 수 있다 그런데 시장에 여러 종류의 외

부성이 존재하고 이 외부성 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경우에 정부의 입장에서는 보다 주

도면밀한 육성책이 필요하게 된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3

회사채시장의 발 방안

회사채시장에 여러 가지 외부성이 존재하고 외부성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날 경우

외부성에 대한 분석은 회사채시장의 문제점 및 이의 해결과 장기적인 발전방안과 관

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회사채시장의 여러 문제들이 서로 연결

되어 있기 때문에 lsquo궁극적인 원인rsquo 등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시사점이 주어질 수 있으

며 발전방안과 관련하여서도 왜 과거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던 과제들이 아직

도 해결되지 않고 있는가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가 제공될 수 있다

회사채시장의 육성에 관한 여러 보고서를 보면 다양한 과제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문제는 이러한 과제들이 오래 전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는 점이다 결국 오랫

동안 제기되어 왔던 과제들이 제대로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사실 자체도 하나의 균형

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이 글은 이와 같은 균형상태-또는 정책의 답보상태

-가 회사채시장의 외부성에 기인하고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물

론 이러한 사실이 회사채시장을 발전시키는 데 뾰족한 묘책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지

만 여러 가지 정책과제들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자 회사채시장을 육성하는 데 필요한 정책과제들은 크

게 인프라 개선 수요기반 확충 증권회사의 인수 및 딜러기능 강화 발행조건절차

의 개선 기업 특히 중소기업의 회사채 발행 지원 등으로 대별될 수 있다 각 카테고

리별로 다양한 추진과제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과제들이 서로 연계되어 있어서

함께 추진될 필요가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그런데 여기서 어떤 과제는 단기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반하여 어떠한 과제

들의 달성에는 긴 시간이 필요한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법제도를 정

비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시간이 별로 소요되지 않을 수 있으나 딜러기능 강화나 수요

기반 확충 등의 과제들은 쉽게 달성되기 어렵다 앞에서의 외부성에 대한 분석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정책과제의 수행 시기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즉 외부성을 창출

하는 과제들은 우선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으며 주로 외부성을 향유하는 부문과 관

련된 과제들은 나중에 시행될 수도 있다

한편 회사채시장의 육성을 위한 과제들과 관련하여 외부성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보

18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다 분명해지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발행절차의 개선 문제를 생각해 보자 회사채 발

행기업의 편의를 위하여 발행절차를 보다 단순화하고 규제를 완화할 경우 회사채 발

행을 늘리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는 도덕적 해이 문제나 역선택 등의 문제를 야기

하기 쉽다 장기적으로는 회사채시장의 기능을 오히려 떨어뜨릴 우려가 있는데 이는

발행과정을 통한 딜러의 경험 축적과 이에 따른 학습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

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회사채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발행절차를 오히려 엄격하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에 대한 단기적인 보완책으로 발행기업에 대한 지원을 보다 강화하

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례는 다른 과제들의 경우에도 비슷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회사채 발

행을 장려하기 위한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되 회사채시장이 효율적으로 작동하

는 데 필요한 제도인프라는 발행자 편의보다는 시장기능의 확충 차원에서 단기적으

로 고통이 따르더라도 오히려 엄격하게 정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회사

채시장의 육성과 관련한 제반 과제들을 1) 회사채 발행 지원 및 수요기반 확충 2) 제

도인프라 정비의 범주로 나누어 2)의 과제들을 포괄적이고 조속히 추진하는 한편 1)

과 관련한 재정적 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이보다 구체적인 정책적 시사점 즉 세부과제별로 왜 제대로 시행이 되지 않고 쉽

게 해결되지 않는지에 대한 해답은 여기서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더욱 세부적이고 현실적인 외부성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5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6호(200725)

대부업제도 개선에 대한 단상

鄭 燦 宇

〈요 약〉

부업은 독자 인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나 고객 융서비스 측면에서

는 서민 융기 과 첩되어 차별성이 크지 않다 따라서 부업제도 개선은

한편으로는 융소비자 보호강화와 부업 양성화를 한 환경조성에 힘쓰되

다른 한편으로는 서민 융기 의 소액신용 출을 활성화함으로써 부시장

을 체하도록 기본방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 형 부업체가 큰 수익

을 내고 있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체계 인 신용평가시스템을 구축하면 과거

와는 달리 소액신용 출이 안정 인 수익원으로 거듭날 가능성이 큰 만큼 이에

한 서민 융기 의 이 바뀔 필요가 있다 한편 서민 융기 의 소액신

용 출이 활성화되면 부업체의 고 리 부과로 인한 문제 이 상당 부분 해소

될 것이므로 리상한 하향조정은 서두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상위 20 가구의 평균소득을 하위 20 가구의 평균소

득으로 나눈 값인 소득 5분위 배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서민들의 생활이 나

아지기보다는 더 힘들어지는 양상이다 그 결과 2000년에 329건에 불과했던 개인파

산 신청건수가 2006년에는 12만건을 넘어섰다 또한 신용도가 낮아서 제도권 금융기

관에서 돈을 빌리기 어려운 계층 소위 금융소외계층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경제력

약화와 이에 따른 금융소외현상은 자연스럽게 대부시장의 성장으로 연결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대부업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금리상한 이상의 고금리와 불법 추심행위로

고통 받는 사례가 빈번해지면서 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치권 일

18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각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부업법을 개편함과 더불어 현재의

금리상한 66를 대폭 낮추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이자제한법을 부활하려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부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부업제도의 개

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시장 황

우선 대부시장을 공급측면에서 보면 2006년말 현재 지방자치단체에 등록된 대부업

체는 16786개사로 전년 동월에 비해 2500개사 이상 증가하였다 이는 2005년 9월

개정 대부업법 시행으로 불법업체에 대한 처벌규정이 강화되고 대부업체의 범위가 넓

어진 결과로 보인다 대부업은 1) 기업대상의 어음할인 또는 담보대출 2) 건설시행사

등에 대한 지분투자 및 단기금융 3) 자동차 등 비부동산 물건을 담보로 한 대출 4)

저신용계층에 대한 후순위 부동산 담보대출 5) 저신용계층에 대한 소액신용대출 등

의 금융서비스를 대부분 1년 이내의 단기로 제공하는 업무를 한다 여기서 서민 등 저

신용계층에 대한 금융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은 3) 4) 그리고 5)이며 이 가운데 4)와

5)의 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위의 금융서비스를 바탕으로 대부업체도 5개군

으로 분류 가능하며 4)와 5)를 주력 상품으로 제공하는 소매대부업체가 대부업제도

의 개선방안의 주 대상이 된다 1)과 2)를 제공하는 대부업체는 양성화 여부와 관계없

이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특정계층을 대상으로 영업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등록업체의 제출 자료를 바탕으로 4)와 5)에 해당하는 소매대부시장 규모를

산정할 경우 수조원대에 불과하나 세금 문제 등으로 인한 허위자료 제출 가능성 음성

업체의 존재 등을 감안하면 최소 10조원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시장의 최근 특

징 중 하나는 업체간 양극화이다 외국계 업체를 중심으로 대형업체는 점유율이 높아

지고 큰 수익을 내고 있는 데 반해 중소형업체는 상대적으로 수익을 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광고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신용이 양호한 고객이

대형업체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수요측면에서는 금융감독원의 설문조사 분석결과 2006년초 기준으로 기존 대출금

상환목적이 41로 용도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계생활 자금목적이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7

36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 서민의 어려운 경제여건이 대부시장 이용의 근본 원

인임을 알 수 있다 1인당 평균 이용액은 950만원으로 2005년의 설문조사에 비해 50

만원 정도 증가하였고 1인당 평균 이용업체수는 21개로 나타났다 한편 이용고객의

40 이상이 2004년 이후의 신규이용자이고 60 이상이 채무불이행자가 아닌 것으로

나타나 제도권 금융기관을 이용하지 못하는 금융소외계층이 대부시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여기에는 대형대부업체를 중심으로 채무불이행자에 대한 신규대출

을 취급하지 않는 대부업계 관행도 일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금리상한을 초

과하는 계약을 체결한 고객이 75에 달하고 불법추심을 경험한 고객도 40에 이르러

대부업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대부업체의 불법영업이 여전함을 알 수 있다

부시장 평가

외환위기 이후 서민층의 경제력 약화와 신용불량자 급증 등으로 제도권 금융시장을

사용할 수 없는 계층이 늘어나면서 대부시장의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또한 제

도권 금융시장을 이용하고 있는 금융소비자의 상당수도 금융회사로부터 자금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한 부분을 메우기 위한 수단으로 대부시장을 동시에 이용하고 있는 것으

로 보인다 한편 대부업의 양성화와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대부업법 시행에도 불구

하고 음성대부업체의 수가 과다하고 이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금

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대부업법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인식수준이 낮은 것도 금리상

한의 실효성을 낮추고 음성대부업체로 인한 피해를 확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

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대부시장의 과도한 성장을 막고 대부업법 제정 취지의 실효

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대부업제도 전반에 걸친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부시장의 차별성

대부업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기에 앞서 금융서비스 고객 그

리고 시장규모 측면에서 제도 금융권과 대부업의 차별성 존재 여부를 먼저 검토할 필

요가 있다 대부업의 차별성이 존재한다면 이를 감안하여 대부업이 독자적인 금융업

18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으로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대부시장의 차별성이 약하거나 존재하더라도 제도 금융권이

금융서비스 측면에서 대부시장을 대체할 수 있다면 정책의 방향은 대부업보다는 해당

제도 금융권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시장규모 측면에서는 서민금융기관의 하나인 신협의 여신규모가 2006년 11월말

잔액기준으로 14조 9000억원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최소 1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

는 소매대부시장은 독자성이 존재한다 금융서비스 측면에서 보면 저신용계층에 대한

부동산 후순위 담보대출과 소액신용대출은 신협 새마을금고 농수협 지역조합 저축

은행 등 서민금융기관도 취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부업체는 서민금융기관과 차별성이

크지 않다 마지막으로 고객측면에서는 서민 영세상공인 저신용 중소기업 등 저신용

계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이 또한 서민금융기관과 차별성이 크지 않다 종합하

면 대부업은 시장규모측면에서는 제도권 금융기관과 차별성이 있으나 고객 및 금융서

비스 측면에서는 서민금융기관과 중첩되어 차별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부업제도 개선을 한 정책방향

대부업의 차별성이 크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여 두 가지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마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는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와 대부업의 양성화를 위한

환경조성에 중점을 두고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단 대부업 양성화 정책이 대부

시장의 과도한 성장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개선방안 마련에 있어 주의를 기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구체적인 감독지침 마련 대형 대부업체에 대한 감독강화 등 대부업에 대

한 감독의 효율성을 높이는 감독체계 구축도 필요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대부시장의 발호를 방지하고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근본적인

방안으로 서민금융기관의 소액신용대출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제도권 금융회사가

신용대출을 취급하지 않는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는 서민금융기관의 소액신용대출이

라는 대부시장의 대체시장이 존재한다 문제는 저축은행은 과거 소액신용대출의 부실

경험으로 소액신용 신규대출이 거의 중단된 상태이고 신협과 새마을금고 농수협 단

위조합도 취급규모가 매우 작다는 데 있다 소액신용대출이 활성화된다면 대부시장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9

규모가 지금보다 훨씬 줄어들 것이고 고금리로 인한 서민들의 피해도 상당 부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적인 지원도 필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소액신용

대출에 대한 서민금융기관의 자세가 변해야 한다

소액신용대출은 서민금융기관의 주 고객층인 서민을 대상으로 한 상품이기 때문에

수요의 지속성이 보장된다 물론 경제력이 낮은 서민층의 신용위험이 높은 것은 사실

이나 신용평가 방식의 개선과 신용도에 따른 금리차별화로 상쇄가 가능하다 저축은

행을 제외한 지역 서민금융기관들은 규모의 영세성으로 독자적인 전산시스템을 구축

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소액신용대출을 취급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이들은 중앙회 전산망을 통해 소액신용대출을 위한 신용평가시스템을 구축하면 된다

금융산업이 위험을 관리함으로써 수익을 일으키는 분야라는 것을 감안하면 신용위험

이 높은 고객을 대상으로 영업을 영위하는 것이 불리한 것만은 아닌 것이다 무엇보다

도 현재는 신용불량자 문제가 완전히 드러난 상황이기 때문에 저축은행을 포함하여

서민금융기관이 소액신용대출을 재개하더라도 과거와는 달리 잠재 신용불량자에 의

한 부실화 가능성이 매우 낮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소액신용대출이 서민금융기관

의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거듭날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일부 외국계 대형대

부업체가 고객층의 평균 신용등급이 서민금융기관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큰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시사한다

리상한 조정에 하여

현재 대부시장은 상품 고객 지역별로 분할되어 있어 정보의 비대칭성이 심하다

또 많은 제도권 금융기관이 대부업체의 신원조회기록만 있어도 해당 고객에 대한 대

출을 거부하는 등 대부시장과 제도권 금융시장이 분리되어 있다 이로 인해 대부업체

는 우량고객에 대해서도 독점력 행사가 가능하여 이를 바탕으로 고금리 부과를 통한

이윤 획득이 가능한 상황이다 이와 같이 대부업체의 이윤 획득이 구조적으로 가능한

상황에서 대부금리에 대한 규제가 없다면 대부시장 이용자가 자신의 신용도에 비해

과도한 고금리를 부담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정부의 금리상한 규제는 정당한 것으

로 보인다

19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그런데 금리상한이 너무 낮으면 대부업체가 영업정지와 벌금 등 위법에 따른 예상

손실을 감안하더라도 금리상한을 위반할 인센티브가 커진다 과거 당 연구원의 방문

조사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인 일부 대형대부업체를 제외하면 대부업체들의 평균 조

달금리가 20 이상이고 영업비용도 대출잔액 대비 167에 달하는데다 연체율도

30에 이르러 현행 금리상한을 높다고 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금리상한을 낮출 경우 양성화되어 있는 대부업체의 음성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등록 대부업체에 의해서도 현재의 금리상한을 벗어나는 고금리 부과가 이루어지

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의 이용자 조사에 따르면 양성 대부업체의 평균

대부금리도 160를 상회한다고 한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면 금리상한을 하향 조정

하는 것보다 금리상한의 실효성을 높이는 것이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보다 시급한

일일 것이다 물론 신용이 충분함에도 대부업체에 의해 60대의 고금리로 대출을 받

는 고객이 상당수에 달한다 한국신용정보에 고객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대부업체 이

용고객의 60는 신용등급 7등급 이상이라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그러나 이들의

비중은 서민금융기관의 소액신용대출이 활성화되면 자연스럽게 낮아질 것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1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9호(2007226)

보험사의 공익성과 보험취약계층

李 碩 晧

〈요 약〉

최근 세계 으로 융회사를 비롯한 기업의 공익성에 한 논의가 확산

되고 기업의 지속 인 성장을 한 장기 경 략 차원에서도 그 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보험사들도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장학 지원

문화사업 지원 사회복지시설 지원 등 각종 사회공헌활동을 극 으로 개

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보험사가 그들이 하고 있는 본연의 업 행 와

직 으로 연 되는 부문에서 사회 책임 공익성을 제고하는 것이야말

로 다른 어느 부문에서보다 선행되어야 할 과제일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보험

사의 경우엔 다른 어떤 기업보다도 이러한 본연의 업행 와 련된 공익

역할 사회 책임이 시된다 할 수 있다 소득층 장애인 등 보험취

약계층에 한 문제를 극 이고 성실하게 개선하려는 보험사의 자발 인

노력 실천이 이에 해당하는 표 과제일 것이다

최근 금융회사들이 지나치게 수익성을 추구하면서 영업행위 과정에서 서민 등 금융

소외 계층을 외면하고 있어 금융의 공익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금융회사

중 특히 보험사의 사회적 책임 및 공익성을 제고하기 위한 과제로서 일반적인 사회공

헌활동이 아닌 본연의 영업행위와 직접 연관된 과제를 장애인 저소득층 등 보험취약

계층에 대한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19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융회사의 공익성 사회 책임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금융회사를 비롯한 기업의 공익성 및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

가 확산되고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장기적 경영전략 차원에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세계적인 마케팅 전문가인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의 Philip Kotler 교수는 ldquo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 기업들은 투자대상에서 제외되

고 국제거래에서 불이익을 당하는 등 세계무대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없으며 세계적

으로 존경받는 일류기업들은 모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충실하게 이행하고 있다rdquo고

말하며 기업의 공익성 및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들

어 은행 보험사를 비롯한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거스를 수 없는 전 세계적 흐름에 부

응하여 사회봉사단 운영 장학금 지원 문화사업 지원 사회복지시설 지원 등 각종 사

회공헌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가고 있어 바람직한 현상으로 여겨진다

은행 보험사 등 금융회사의 공익성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lsquo소극

적 공익성rsquo으로 일반 국민에게 피해를 주지 않음으로써 공익에 기여하는 것인데 건

전경영을 통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종사자의 도덕성 강화 등을 통해 소

비자를 보호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둘째 lsquo중립적 공익성rsquo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새로

운 수익원 창출로 수익성과 공익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으로 경제적 약자에 대한 금

융기능 강화 및 저소득층을 위한 금융상품 개발 등이 대표적 예이다 세 번째는 lsquo적극

적 공익성rsquo인데 공익재단 설립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기부 등 금융회사 수익의 일부

를 사회에 환원하는 것 등이 이에 포함된다

최근 국내에서 보험사를 비롯하여 많은 기업들이 사회봉사단 운영 장학금 지원

문화사업 지원 등의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은 세 번째인 lsquo적극적 공익성rsquo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lsquo적극적 공익성rsquo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lsquo중립적 공익성rsquo이라 생각된다 금융회사가 그들이 영위하고 있는 금융사업 행위와 직

접적 연관성이 있는 부문에서 사회적 책임 및 공익성을 제고하는 것이야말로 그 어느

다른 부문에서보다 선행되어야 할 과제가 아닌가 사료된다 특히 보험사의 경우엔 다

른 어떤 기업보다도 본연의 영업행위와 관련된 사회적 책임 및 공익적 역할이 중시된

다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논의될 장애인 저소득층 등 보험취약계층에 대한 보험사의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3

책임과 역할은 보험사의 이러한 lsquo중립적 공익성rsquo과 관련하여 추구해야 할 대표적인 과

제일 것이다1)

소득층의 보험가입

최근 발간되는 lsquo보험사의 발전방안rsquo을 주제로 하는 보고서나 언론보도의 첫 구절을

보면 lsquo국내 보험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rsquo라는 문구가 공통적

으로 자주 등장한다 그래서 보험사들이 해외진출 신상품 개발 등을 통해 새로운 성

장동력을 찾는 것이 시급하다고들 말한다 실제로 최근 생명보험협회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가구의 생명보험가입률이 거의 90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소득별 가입률로 살펴보면 연간 가구소득이 3600만원 이상인 가구의

가입률이 90~93에 달하고 있는 반면 1200만원 미만인 가구의 가입률은 35에 머

물고 있는 실정인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한편 연간 가구소득 1200만원 미만 및

2400만원~3600만원 미만인 가구의 857가 생명보험 가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저소득층의 경우 보험에 대한 수요 및 욕구는 중산층 및

고소득층과 별반 다르지 않은 반면 주로 경제적 이유로 인해 보험가입률이 저조한 가

운데 각종 위험사고의 발생 시 받는 충격은 훨씬 크고 심각하다는 점에서 정작 보험

이 필요한 계층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 아직까지는 미흡한 면이 많이 있지만 정부

및 민간차원에서 저소득층 및 빈곤층을 위한 각종 지원제도 및 사회공헌활동이 시행

되고 있다 이처럼 저소득층 및 빈곤층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도 중요하지만 이와 아

울러 보험이라는 간접적 수단을 통해 이들이 각종 중대 질병이나 가장의 사망 등에 대

비하여 스스로 미래의 경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또한 효율적인 지

원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국민건강보험

등과 같은 사회보험만으로는 분명히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공익성

1) 재래시장 상인 고위험 직종 종사자 등 다른 보험취약계층도 있지만 본고에서는 대표적 보험취약계층인 저소득층 장애인의 보험가입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19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과 아울러 수익성을 추구해야 하는 민영보험사에게 모든 것을 떠안으라고 할 수도 없

을 것이다

Microinsurance

그렇다면 민영보험사의 역할 정부지원 사회공헌기금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안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국내에서는 생소하지만 중국 인도 인

도네시아 등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국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microinsurance를 한

번쯤 고려해 봄 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microinsurance는 저소득층 및 빈곤층만을 타

깃으로 하여 이들로 하여금 미래에 발생할지 모르는 중대질병 사망 장례 등 각종 위

험에 대처하게 하여주는 보험으로 은행부문에 있어서의 microcredit 또는 대안금융과

대응되는 개념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microinsurance는 사회보장제도를 제대로 갖

추지 못하고 있고 경제수준이 낮은 개발도상국 또는 저개발국에서 주로 시행하고 있

는 제도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도 여전히 저소득층 및 빈곤층의 수가 적지 않고 더

군다나 최근 들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소득 격차가 점차 더 벌어지는 등 사회적

및 경제적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저소득층 및

빈곤층이야말로 실질적으로 보험을 필요로 하는 계층인 점을 감안할 때 한번쯤 도입

을 고려해 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Microinsurance는 여러 가지의 형태가 있을 수 있는데 개인보다는 그룹단위 형태

가 많다 민영보험사가 상품개발 판매채널 등 전반적인 사업을 주관하는 형태가 있는

반면 많은 경우 대안금융을 담당하는 MFI(Microfinance Institution)가 주관 또는

개입하고 있고 이는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 요건으로 여겨지고 있다 무

엇보다도 MFI의 경우 피보험자에 대해 누구보다도 잘 알 것이므로 민영보험사와 MFI

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협조가 잘 유지된다면 가입자의 도덕적 해이도 상당부분 막

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여기에 대안금융에서와 같은 사회공헌기금 등 각종 사회적

기여가 결합된다면 더욱 효율적인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microinsurance가 시행되기 위해선 대안금융기관의 활성화가 전제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5

한편 microinsurance는 저소득층 및 빈곤층을 위한 보험이므로 어떻게 하면 운영

비용 사업비용 수익마진폭 등을 줄여 저소득층 및 빈곤층의 실질적인 보험수요를 충

족할 수 있는 상품을 가능한 한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느냐 하는 것이 사업성공의 관

건일 것이다 수익성의 잣대만을 내세우는 일반적 기업의 자세가 아닌 사회적 책임

및 공익성을 인식하는 보험사의 자세가 요구되는 부분이 바로 여기이며 이러한 공익

성의 중요성에 대한 보험사의 자발적 인식이야말로 microinsurance사업 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열쇠일 것이다

Prudential AIG Allianz 등 주요 선진국 보험사의 경우 개발도상국가 및 저개발

국에서 이러한 microinsurance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는데 물론 수익성도 고려

하겠지만 무엇보다도 보험사의 공익성 차원에서 수행하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을 것

이다 최근 국내의 경우 사회연대은행이 민간기업의 지원을 통해 민영보험사와 저소

득층 자녀들을 위한 보험을 계약하여 시행하고 있는데 lsquo공부방보험rsquo이 그것이다 전국

에 소재한 공부방의 화재 시설소유(관리)자 배상 음식물 배상 가스 배상 공부방 내

활동 중 아동 구내치료비 보상 등을 주 계약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것 또한

microinsurance의 한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 보험가입 문제

우리 사회의 또 하나의 대표적인 보험취약계층으로 장애인을 들 수 있다 최근 한

국장애인재활협회의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노후 보장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다고 응답한 장애인이 139에 지나지 않아 이를 위한 보완 차원에서

라도 장애인 보험가입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 개선책이 시급한 시점이다

최근 몇 년 간 장애인전용보험 도입 가입심사기준 완화 등 장애인의 보험가입에

대한 차별 및 제한을 줄이고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일련의 시도가 있어왔지만 여전

히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보험 모집 및 인수 과정 등에서 합리적 근거가 없는 부당

한 가입 제한 등의 차별 행위가 여전히 존재하여 장애인의 보험가입이 활성화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차별 행위 등과 관련하여

감독당국이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보험사에 대한 행정지도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져

19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있다

지난 2001년 이후 장애인에 대한 보험가입 차별을 개선한다는 취지하에 개발판

매되고 있는 장애인전용보험의 경우 판매실적이 극히 저조하다 보험사측은 장애인전

용보험의 판매실적이 저조한 이유로 단순히 수요가 많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

제로는 수익성을 중시하는 보험사들이 장애인의 보험사고율이 높다는 입증되지 않은

이유로 소극적인 판매 자세를 취하고 있거나 여전히 보험 모집 및 인수 과정 등에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장애인전용보험은

일반 보험상품에 비해 상품의 종류 및 판매회사 수가 적어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은 장

애인의 다양한 보험수요를 충족하기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장애인 가입자에 대한 위험률이 통계적의학적으로 집계연구되어 있지 않은

현 상황에서는 보험사 입장에서도 모든 일반 보험상품에서 비장애인 가입자와 완전히

동일한 심사기준을 적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과도적으로라도 장애

인의 보험가입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기존의 장애인전용보험을 활성화시킬 필요

가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 장애인전용보험에 대한 홍보 및 일선 보험사 임직원에 대

한 교육지도 등을 강화하고 상품의 종류 및 판매회사 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장애인의 보험가입이 실질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는 장애

인전용보험의 확대보다도 장애인의 일반 보험상품 가입 시 차별을 개선하는 것이 보

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 영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처럼 장애인에 대한 보

험가입 차별을 금지하고 위반 시 제재하는 것을 명시하는 관련 법제정이 시급한 것으

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보험취약계층과 관련된 새로운 제도의 도

입 법적제도적 장치의 보완 등보다도 중요한 것은 보험사 스스로가 장애인 저소

득층 등 보험취약계층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이들에 대한 보험인수 시

수익성의 잣대만을 내세우려는 자세에서 탈피하려는 인식의 전환일 것이다 장애인

저소득층 등 보험취약계층에 대한 문제를 적극적이고 성실하게 개선하려는 보험사의

이러한 자발적인 노력이야말로 최근 보험사들 사이에서 가시화되고 있는lsquo적극적 공

익성rsquo형태인 사회공헌활동에 선행되어야 할 과제일 것으로 사료된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7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7호(2007423)

스톡옵션제도의 현황과 향후과제

具 廷 翰

〈요 약〉

스톡옵션은 기업의 경 과 소유의 분리에서 발생하는 경 자와 주주 간의

이해상충 문제를 해결하고 경 자로 하여 자발 으로 기업가치를 증 시키

도록 하기 해 도입된 제도이다 스톡옵션에는 고정부스톡옵션과 성과연동

형 스톡옵션이 있는데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은 주가상승이 경 자의 성과를

정확하게 반 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경 자의 성과지표를 활용하도록 설계

된 스톡옵션이다 경 자는 스톡옵션을 통해 본인의 성과와 상 없는 요인들

에 의해 주가가 상승함에 따라 이익을 향유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단기실

주의 기업경 스톡옵션을 부여 받지 못한 임직원의 상 박탈감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한계 을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해서 개별 회사는

경 자의 성과를 제 로 반 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개발하고 차 스톡옵션

을 부여받는 임직원의 범 를 확 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최근 일부 회사의 경영진에 대한 스톡옵션부여가 과도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

기되면서 스톡옵션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스톡옵션제도는 경영자에게 인

센티브를 제공하여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고 경영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취지에서 도입

되었다 그러나 스톡옵션제도가 경영자의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제공이라는 본래의 의

도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몇 가지 한계

점도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스톡옵션제도의 본래 목적 및 한계점과 이를 극복하

기 위한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19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스톡옵션제도의 목

스톡옵션제도는 기업의 경영과 소유의 분리에서 발생하는 경영자와 주주 간의 이해

상충을 방지하고 경영자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기업가치를 증대시키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만약 스톡옵션과 같은 성과보상시스템이 없다면 주주는 경영자가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여 경영을 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해야 하는 대리인 비용을 지불

해야 한다 그러나 경영자에게 스톡옵션을 부여하게 되면 경영자를 주주화하여 이러

한 모니터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온다 회사의 성장을 통한 주가상승으로

주주들이 얻는 이익을 회사의 임직원들이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주주

와 경영진의 이해관계를 일치시켜 대리인문제를 부분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스톡옵션제도는 대리인 문제의 해소뿐만 아니라 회사 경영능력이 뛰어난 우수한 인

재를 확보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자금력이 부족한 벤처기업의 경

우 주가상승폭이 클 수 있어 스톡옵션을 통해 저비용으로 우수인력을 유치하는 데 효

율적일 수 있다 공격적인 경영을 통해 회사의 성장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는 창업초기

기업의 경우 스톡옵션제도는 효과적일 수 있다

스톡옵션 부여로 회사에 우호적인 임직원을 많이 확보함으로써 적대적 MampA로부터

자사의 경영권 방어가 가능해져 안정적 경영을 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스톡옵션을 부여받은 임직원은 주가상승 시 권리행사를 통해 고수익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회사에 대한 임직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스톡옵션의 종류와 성과측정의 한계

스톡옵션은 크게 고정부스톡옵션과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

부스톡옵션은 부여시점에서 행사가격 행사가능수량 등이 확정되는 것이므로 설계가

단순하여 이해하기 쉽고 관리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정부스톡옵션

을 부여할 경우 경기호조 등에 따른 전반적인 주가상승과 같이 경영자의 실적과 무관

한 주가상승분만큼의 이익을 더 향유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톡옵션 본래의 취

지가 경영자의 장기적인 성과에 연동된 보상제도임에도 불구하고 행사가능시점에서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9

일시에 스톡옵션을 행사할 경우 주식의 장기보유를 유도할 수 없고 주가에도 부정적

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은 경영자의 성과에 연동하여 행사가격 효력발생수량 효력발

생기간 등이 조정되는 스톡옵션을 의미한다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은 고정부스톡옵션

에 비해 경영자의 성과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경영자의 성과와 관련이 없는 주

가상승에 따른 이익향유를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주주의 이익 증대를 단순히 절

대적인 주가상승만으로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주주들이 다른 경쟁기업에 투자

하지 않고 특정 기업에 투자한 점과 그 기회비용을 고려할 때 투자한 기업의 주가상승

이 경쟁기업의 주가상승보다 커야만 경영자의 성과로 인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과

연동형 스톡옵션에는 경쟁사의 주가상승 산업평균 주가상승률 등 다양한 성과지표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에서 성과지표의 설정이 스톡옵션 설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만약 성과지표가 경영자의 장기적인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면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의 장점을 살릴 수 없을 것이다

스톡옵션 부여 황 문제

우리나라는 1996년 증권거래법을 개정하여 스톡옵션을 부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하였고 기타 관련 법규들을 개정하여 1997년 3월부터 스톡옵션제도를 실행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환경이 마련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스톡옵션부여는 2002년 이후 대체적

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2007년 1월부터 3월 21일까지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의

스톡옵션 부여 규모는 총 767만주로 전년 동기의 1287만주에 비해 40 가량 감소하

였다 특히 2006년 이후 일부 대기업이 스톡옵션을 더 이상 부여하지 않음에 따라 급

격한 감소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들어서는 부여주식 수 기준으로 은행의

스톡옵션 부여가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은행의 경우 성과연동형 스

톡옵션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성과지표로 ROE BIS 비율 당기순이익 산업평균 주

가상승률 경쟁사의 주가상승률 등 다양한 성과지표를 활용하고 있으며 스톡옵션 부

여 수량도 근무기간에 연동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주가상승이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는 하나의 지표로 사용될 수는 있으나 스톡옵션을

20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부여받은 경영자의 성과를 정확히 반영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성

과연동형 스톡옵션의 경우 보다 정밀하게 실적에 따라 보상해 줄 수 있지만 성과연동

형 스톡옵션을 부여한다고 하더라도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를 단기에 호전시킬 수 있

다면 단기실적 위주의 경영을 예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스톡옵션은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는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므로 주요 임직

원을 대상으로 부여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므로 경영진과 핵심인력에 대해 스톡옵

션을 부여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러나 회사의 주가상승이 전적으로 스톡옵션을 부

여받은 임직원의 몫이 아닌 만큼 회사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데 기여했다고 느끼지만

스톡옵션을 받지 못한 임직원의 상대적 박탈감이 클 경우 근로의욕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향후과제

스톡옵션제도는 성과보상을 통해 대리인 비용을 줄이고 경영자의 성과에 부합하는

보상을 통해 안정적인 경영을 도모한다는 취지에서 훌륭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

나 스톡옵션이 경영자의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는 데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있고 이로

인해 미국 및 우리나라 일부 기업에서는 적극적으로 스톡옵션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스톡옵션제도가 도입된 근본적인 배경과 취지를 감안할 때 스톡옵션제도를 당

장 폐지해야 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또한 스톡옵션제도보다 더 나은 제도를 고안해내

는 것도 단기간 내에 이루어지기 힘들 것으로 보이므로 스톡옵션제도의 한계점을 보

완하여 보다 완전한 성과보상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성과

보상시스템은 성과에 합당한 보상이 수반되어 경영의 질을 향상시키고 훌륭한 경영자

를 많이 배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준다는 측면에서 그 필요성이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고정부스톡옵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영자의 장기적인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선결해야 할 과제로 남는다 경영자의 성과는 개별 회사의 특성 업종의 특성 직위

및 업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기업은 스톡옵션을 부여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1

할 임직원의 성과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여 이를 반영한 스톡옵션

을 설계함으로써 스톡옵션이 지니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

이다

마지막으로 스톡옵션이 일부 임직원에 집중하여 부여되는 경향이 있는데 스톡옵션

제도 도입초기에는 최고경영자와 핵심인력에 한정하여 스톡옵션을 부여하더라도 그

범위를 점차 확대하여 스톡옵션을 부여받지 못한 임직원의 상대적 박탈감을 줄여 나

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전체 스톡옵션 부여수량을 고정시킨다 하더라도 스톡옵

션 부여대상을 확대함으로써 임직원의 주인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회사

의 발전에 유익할 것이기 때문이다

20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5호(2007618)

중소기업 육성지원을 위한 어음제도 개선방안

金 東 煥

〈요 약〉

그동안 어음제도 개선을 한 정부의 부단한 노력으로 어음교환 어음결제

비 은 지속 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어음발행 규모

는 은행 출 규모를 크게 상회하고 있고 어음제도 자체는 물론 어음 체수단

에도 지 않은 문제가 남아있다 어음에는 결제기간 장기화 고의부도 연쇄

부도 가능성 등 거래의 공정성과 융시스템의 안정성을 해하는 문제가 있는

반면 신용을 창출하고 기업간 계를 강화하는 등 거래의 효율성을 높이는

순기능도 존재한다 따라서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어음제도 폐지론에 해

서는 신 을 기할 필요가 있다 소기업이 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명실상부

한 성장동력으로 거듭나도록 하기 해서는 어음제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동 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장표어음 사용을 축소함과 아울러 어음

체수단 이용을 확 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안에는 어음

발행 등록제 실시 당좌개설 요건 강화 어음발행인에 한 신용 조사평가

변조 부도에 한 제재 강화 등이 포함된다

문제의 제기

중소기업은 일국 경제의 경쟁력과 성숙도를 반영하는 거울이다 선진국치고 중소기

업 기반이 튼튼하지 않은 나라는 어디에도 없으며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대등한 입장

에서 상호 경쟁협력하지 않는 나라치고 선진국이 되는 경우를 찾아볼 수도 없기 때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3

문이다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중소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자는 구호가 수십년

이어지고 있지만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대기업 등쌀이나 어음제도의 폐해 때문에 기

업하기 어렵다는 푸념이 끊이지 않고 은행이나 대기업은 대차대조표도 믿을 수 없는

데 어떻게 신용대출이나 현금거래를 할 수 있겠는가 언성을 높인다 이러한 분위기에

서는 중소기업에 거는 기대가 너무도 버겁고 중소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

자는 구호도 무색해진다

하지만 어음제도나 대기업이 없는 선진국 역시 한군데도 없음을 감안할 때 현재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의 볼멘소리는 어음제도의 폐해나 대기업의 횡포에 전적으로 기

인하는 것이라 단정하기도 어려운 것이 아닐까 본고에서는 어음제도를 포함한 우리

나라 중소기업금융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육성

하기 위한 어음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소기업 융의 특징과 문제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은 재무정보의 신뢰성이 낮고 비대칭성이 높아 정확한 신용평

가가 곤란하다 그렇기 때문에 은행들은 신용평가에 입각한 신용대출보다 담보보증

대출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담보보증대출은 은행의 신용평가 기회와

능력을 상실시켜 성장가능성 있는 중소기업의 선별을 곤란하게 하고 대기업 위주의

경제구조 즉 경제의 양극화 내지 이중구조를 심화시키는 부작용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이 영위하는 업종들은 경기에 매우 민감한바 은행들은

경기침체기에 자금공급을 크게 줄여 신용경색을 부추기는 경향이 있고 특히 위험회

피 성향이 높은 은행들은 대출의 상당 부분을 단기로 운용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안정

적 자금조달 및 장기 설비투자에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중소기업

-대기업 간 중소기업-중견기업 간 교섭력의 격차는 기업간신용(어음 외상매출채권

등)을 불공정하게 하여 중소기업의 성장을 가로막고 경제의 양극화를 조장하는 중요

한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20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어음제도 이용 황

어음은 중소기업금융 내지 기업간신용의 대표적인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 순기능을

가지고 있는 반면 남발에 따른 연쇄부도나 고의부도 교섭력 격차에 따른 금융비용

전가 등의 부작용도 수반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동안 정부는 어음제도의 부작용을 최

소화하고 어음대체수단의 이용을 장려하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해 왔다 그 결과 일평

균 약속어음 교환규모는 rsquo00년 158조원에서 rsquo06년말 81조원으로 크게 감소하고 중

소기업의 판매대금에서 차지하는 어음결제 비중도 rsquo97년 595에서 rsquo05년 283(현

금성 결제비중 717)로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rsquo06년말 현재

어음발행 잔액은 약 446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바 이는 은행의 중소기

업대출 잔액(rsquo06년말 약 300조원)에 비해 무려 100조원을 상회하는 규모에 해당한다

어음을 발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은행에 당좌예금을 개설해야 하는데 rsquo07년 4월말

현재 당좌개설 업체는 약 14만개에 달하며 이 중 28는 법인사업자 72는 개인사업

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14만개 업체 가운데 약 2만개 업체를 표본 추출하여 매출액

및 신용등급별로 구분해 보면 전체의 36가 연간 30억원 미만의 매출실적을 올리고

있고 전체의 163가 CCC등급 이하의 신용을 취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어

음결제 현황을 금액별로 살펴보면 전체의 96 정도가 1억원 이하의 소액어음으로 구

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어음제도의 순기능을 향수하는 자의 상

당수가 중소기업인 동시에 어음제도의 부작용으로 신음하는 자의 상당수 역시 중소기

업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어음제도와 련된 문제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어음제도가 개선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문제점들은 좀처

럼 시정되지 않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어음제도의 부작용 때문에 등장하여 이용이 권

장되고 있는 어음대체수단에도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우선 어음제도 자체의 문제점을 몇 가지 열거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용력이

약한 기업이 결제능력 이상으로 어음을 남발하거나 고의로 부도를 내는 것에 대한 통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5

제수단이 취약하여 판매중소기업 등 어음소지인의 피해가 크다 어음은 수표와 달리

부도 시 형사처벌 대상이 되지 않고 민사상의 책임만 부담하면 되기 때문이다 둘째

어음 회수기일은 rsquo04년 1359일로부터 rsquo06년 34분기 현재 1203일로 줄곧 단축되고

있기는 하나 여전히 장기에 머무르고 있다 참고로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의 실태조

사(rsquo06 12) 역시 어음제도의 문제점으로 ldquo결제기간 장기화(543)rdquo ldquo고의부도rdquo(258)

ldquo금융비용 전가rdquo(199) 등을 지적하고 있다 셋째 어음은 복수 기업간 배서양도

가 가능하여 연쇄부도의 위험이 상존한다 넷째 결제기간 장기화 연쇄부도는 결제위

험을 확대하여 지급결제시스템의 안전성을 훼손할 수 있다 다섯째 어음발행 통계가

잡히지 않고 있어 결제위험 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한편 어음대체수단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외상매출채권의 경우 법인

세 공제혜택이 있지만 적용대상이 제한되어 어음을 대체하는 효과 역시 제한적이다

둘째 전자어음은 분실도난의 위험이 없고 위변조가 불가능하다는 점 등 많은 장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명거래에 따른 거래노출 우려로 활성화에 제약이 있고 전

자어음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인 인센티브도 부족한 편이다 셋째 매출채권보

험의 경우 가입대상 및 한도가 제한되어 그 효과가 일부 기업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

다 넷째 기업구매 자금대출의 경우 사실상 수혜자는 구매기업이지만 구매기업이 추

심에 응하지 않거나 비협조적일 경우 판매기업에 대금지급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지연

될 가능성이 있다 다섯째 기업구매전용카드나 네트워크론의 경우 구매기업 및 금융

기관의 적극적 참여가 필수적이나 총액한도대출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인센티브가 미

흡하여 제도 확산에 한계가 있다

어음제도의 비용-편익 분석

어음에는 결제기간 장기화 고의부도 및 연쇄부도 가능성 등 거래의 공정성과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어음제도는 폐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어음에는 신용을 창출하고 기업간 관계를 강화하는 등

거래의 효율성을 높이는 순기능도 존재한다 따라서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어음제

도 폐지론에 대해서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는바 이는 어음제도를 폐지하더라도 외

20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상거래가 뿌리 뽑히지 않는다면 어음의 순기능만 사라지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어음제도를 당장 폐지하기보다는 비용과 편익을 비교 형량한 후 문

제점을 개선하는 것이 급선무일 수도 있다

최근 VAR(Vector-Auto Regression) 모델을 이용하여 어음제도가 중소기업 생산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어음사용(교환)이 한 단위(1조원) 증가할 때 단기적

으로 002~003만큼의 생산지수 상승효과가 발생한 반면 장기적으로는 -003~-005

만큼의 생산지수 하락효과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어음사용의 증가에 따른 긍

정적 효과(편익)는 제한적인 데 비해 그 부정적 효과(비용)는 장기적이고 보다 광범위

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여기서 어음사용이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는 단기는 주

로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이 비교적 타이트한 경기변동기에 해당하는데 경기변동기에

는 어음이 구매기업과 납품기업 간 매개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생산활동을

유지 혹은 촉진시켜 주는 효과를 낳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어음발

행 규모는 사회적 최적 수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바 상기 비용-편익 분

석결과는 점진적으로 어음(특히 장표어음) 발행규모를 축소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 주

고 있다

어음제도 개선방안

중소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명실상부한 성장동력으로 거듭나도록 하기 위

해서는 어음제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동 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장표

어음 사용을 축소함과 아울러 어음대체수단 이용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우선 어음제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부적격자의 어음발행이나 고의부

도 등을 억제할 수 있도록 당좌거래 기간을 연장하고 개인사업자(복식부기 의무자)의

경우 사업용계좌 개설은행에서만 당좌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당좌개설 요건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당좌개설 시(또는 정기적으로) 외부 신용조사기관 등에 의해

신용을 조사평가받도록 하여 일정 등급 이상을 유지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장표어음

발행 금액이나 만기 측면에서 우대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는 전자어음을 발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7

행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음용지 교부 시 은행 전체의 사용량 미사용

량을 감안하여 신규용지를 교부토록 함으로써 어음의 남발을 미연에 방지하고 위변

조 부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어음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인터넷뱅킹 등을 이용하여 금융결제원 어

음정보시스템에 어음발행 내역을 등록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격 신용등급 기

업이 발행한 어음을 대상으로 할인어음유동화 제도를 도입하여 선순위채권은 시장에

서 투자자에게 매각하여 어음 양도대금으로 중소기업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은행은

유동화를 통해 신용위험을 경감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미국에서는

외상매출채권을 대상으로 한 팩토링이 활성화되면서 어음 사용빈도가 감소하고 있지

만 어음발행 등록제를 채택하여 어음거래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한편 장표어음 사용을 축소하기 위해서는 현금성 결제수단인 기업구매자금대출 네

트워크론 등 네트워크금융을 활성화 내지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법인

세소득세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 네트워크금융 운용실적 우수업체에 대한 하도급

서면심사 면제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동시에 불공정거래에 관여하는 구매기업이나

금융기관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금융기관 및 정부는 중소기업이 하

청거래선을 다각화하거나 독자적 또는 중소기업 공동으로 국내외 구매판매선을 구

축하고 신제품 개발능력과 기회를 확대하며 지적재산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형태의 네트워크금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세제상 인센티브를 대폭 늘려 전자어음

제도를 활성화하고 매출채권보험의 가입대상을 중소기업 전체로 확대하거나 최고보

험한도를 상향조정하는 것 역시 장표어음 축소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금융결제원으로 하여금 어음 및 어음대체 결제수단에 대한 통계를 통합

관리하도록 하고 어음대체 결제수단에 대한 총괄안내 홈페이지를 구축운영하여 어

음대체수단을 적극 홍보하거나 금융기관 직원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어음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장표어음 사용을 축소하기 위한 방안에

해당한다

20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28호(200779)

저축은행의 IT역량 강화방안

鄭 燦 宇

〈요 약〉

소형 융기 도 선진 IT역량을 갖추지 못하면 도태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서 규모의 세성으로 IT투자 여력이 부족한 소형 축은행은 공동의 통합

산망을 구축함으로써 투자비용을 감하고 원가성 자 을 유치할 수 있

는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형 축은행은 비용부담 외에도 경

략 변화에 한 신속한 응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통합 산망 가입에 극

이지 않으며 여타 미가입 축은행도 시스템에 한 불만 투자비용에

한 착시 상으로 인해 IT통합에 미온 이다 통합시스템을 확 강화하

기 해서는 통합시스템에 한 비 을 명확히 설정하고 동 시스템이 축은

행 체의 공동 결제시스템으로서 첨단 융기법의 도입 보 채 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고객의 니즈가 다양해지면서 금융기법도 복잡화되고 있으며 그 결과 최근 금융기

관의 경쟁력은 IT시스템의 수월성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다 동 부문의 경쟁력

이 뒷받침되지 않는 금융기관은 신상품의 개발과 고객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금융서

비스의 제공이 어려운 상황이 된 것이다 그런데 저축은행 업계의 경우 소수의 대형회

사만이 선진화된 금융기법을 도입할 수 있는 수준의 IT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독자

전산망을 지닌 대부분의 중소형 회사는 규모의 영세성으로 이러한 수준의 IT시스템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리고 앞으로도 선진 IT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대규모 투자를 감

행할 여력을 가진 저축은행의 수는 크게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축은행 업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9

계의 경쟁력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IT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대부분의 저축은행이 규모의 영세성을 지닌 상황에서 저축은

행의 IT역량을 강화하는 현실적인 방안으로서 IT통합의 타당성을 살피고 구체적인 실

행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T통합의 필요성

금융산업의 선진화가 진행되면서 거래시스템의 개선 목적보다는 경영정보의 수집

분석이나 리스크관리 등 경영효율성 측면에서 IT시스템 투자수요가 갈수록 증가하

고 있다 그 결과 소형 금융기관도 선진 IT역량을 갖추지 못하는 경우 경쟁에서 낙후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도래하여 소형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IT시스템 투자가 경영

의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개연성이 커지고 있다 저축은행의 경우에도 중장기적으로

대형 금융기관과 경쟁이 가능한 수준의 선진금융기법에 기반을 둔 경영효율성을 확보

하는 데 필요한 IT시스템 투자는 개별 저축은행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비용이 수

반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은행과는 달리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하여 대규모

전산투자가 어려운 개별 저축은행은 공동의 통합전산망을 구축함으로써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IT통합의 또 다른 장점은 전 저축은행을 하나의 망으로 연결하여 소비자의 편의성

을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이다 2006년말 현재 저축은행 예수금의 90 이상이 정기예

금으로 자금조달에서 보통예금과 같은 저원가성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한 형편

이다 이로 인해 여신금리를 높게 운용할 수밖에 없어 상대적으로 높은 리스크를 부담

하는 것이 불가피한 형편이다 만약 IT통합을 통해 고객의 입장에서 저축은행 업계 전

체를 하나의 기관처럼 인식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는 전국 점포망을 가진

대형 금융기관과 수신시장에서 경쟁하면서 저비용의 결제성 자금을 유치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따라서 지금부터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저축은행 업계 전체의 공동 IT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표준화된 거래시스템을 통해 적어도 소비자 편의성 면

에서는 모든 저축은행을 하나로 연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신용정보

21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시스템 등 표준화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한 정보의 공유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표준 신용리스크 관리시스템의 구축 등 선진화된 금융기법을 도입하고 이에 따른 IT

투자비용의 분담과 기타 인적물적 자원의 공유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IT 통합의 장애요인

1999년 4개사를 대상으로 통합전산망을 처음 개통한 이래 2007년 1월말 현재 중앙

회가 운영 중에 있는 통합금융정보시스템(IFIS)에 가입하고 있는 저축은행은 65개사

로 전체의 59에 불과한 반면 대형 저축은행들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IT시스템을 운

영하고 있는 저축은행은 45개사에 달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IT통합이 순조롭지 않은 데에는 여러 요인이 있다 우선 자체적인 전산

시스템 운영에 큰 어려움이 없는 대형 저축은행은 통합전산망에 가입하는 것보다 개

별 전산망을 운용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들에게는 통합

전산망 가입에 따른 분담금 외에도 기존에 투자된 전산장비에 대한 감가상각이 종료

되지 않은 것이 직접적인 비용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저축은행 고객들

의 경우 인터넷뱅킹이나 텔레뱅킹 등 전자금융에 대한 수요가 활발하지 않은 것도

개별 저축은행의 입장에서 볼 때 통합전산망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기 어려운 요인

이다

또한 비용 측면 외에도 1) 신상품 개발 등 개별 저축은행의 경영전략에 대한 신속한

대응의 어려움 2) 영업전략 및 노하우 등 기밀누설의 가능성 3) 중앙회 소속의 전산

직원 등에 의한 금융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대형 저축은행들이 통합전산망에 적극적으

로 가입하고 있지 않은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통합의 장애요인을 전 저축은행으로 확대해 살펴보면 최근 중앙회가 회원 저축은

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및 경영자면담조사 결과 통합전산시스템이 활성화되

지 않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두 가지로 나타났다 먼저 동 시스템의 효율성이 회원 저

축은행들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 저축은행 중 통합전산시스템의 만족도가 개별 전산시스템과 큰 차이가 없

거나 못하다는 답변이 717를 차지했으며 개별 저축은행의 요구를 충족하는 데에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1

애로가 있다는 답변이 904에 달하였다 또한 통합전산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이라

고 할 수 있는 비용절감에 대해서도 응답 저축은행의 70가 통합에 따른 비용절감 효

과가 미미하거나 없다고 답하였다

또 다른 원인은 개별 저축은행들이 현재 자신이 운영 중인 IT시스템만을 기준으로

통합 IT시스템의 경제적 효과를 판단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저축은

행은 거래처리를 위한 계정계시스템 및 고객데이터 중심의 정보계시스템을 중심으로

IT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즉 선진금융기법 도입을 위해서는 불가

피하게 점차 규모가 커질 것이 자명한 미래의 IT시스템 투자를 기준으로 비용효과를

판단하지 않기 때문에 통합 IT시스템의 장점이 크게 부각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같은 시각의 편중은 IT시스템 통합이 이루어지더라도 운영의 주체인 중앙회가

선진 금융기법 도입이라는 미래의 요구를 적절히 수용하고 적시에 구현할 수 있는 역

량을 갖출 수 있는지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것도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통합 IT시스템 확 방안

저축은행이 여러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통합 IT시스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더욱 심도 있게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통합 IT시스템에 대한

중장기 비전을 명확히 정립하고 통합시스템이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개별 저축은

행에 도움이 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축은행의 양극화가 진행되

면서 개별 저축은행 간 이질감이 확대되는 것을 감안하면 향후 업계의 공감대 형성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따라서 통합 IT시스템을 확대하여 궁극적으로 전 저축은행

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동 시스템이 전 저축은행의 공동 인프라로

서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비전을 명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으로 개별 저축은행 간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주된 업무영역의 범위 또

한 이질성이 커지는 것이 불가피하더라도 서민금융 즉 은행여신의 한계시장으로서의

개인 및 중소기업에 대한 여신은 모든 저축은행의 공통분모로 남게 될 것으로 예상된

다 또한 결제성자금의 수신비중 증대도 향후 개별 저축은행의 주 업무영역에 관계없

이 공통된 주요 과제로 남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은행 등 대형금융기관 수준

21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의 편의성을 갖춘 전자금융서비스에 대한 필요성 또한 공통 이해의 영역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저축은행 업계의 통합 IT시스템이 중장기적으로 서민금융의 표준

인프라로서 기능하는 한편 저축은행 업계의 공동 결제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통합 IT시스템의 확대를 위한 또 하나의 요건이다

한편 리스크 측정 및 분석 등은 중장기적으로 통합 IT시스템이 가장 큰 부가가치

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이다 그리고 고도의 통계적 분석기법에 기초한 신용리스크 관

리시스템과 시장리스크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지관리하기 위한 인적물적자원

의 확보는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에도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통합 IT시스

템이 리스크의 측정 및 분석 등에서 첨단 금융기법의 도입과 보급을 위한 채널로서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것도 동 시스템의 확대를 위해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통합 IT시스템이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고 개별 저축은행에 대한 신뢰성

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의 개발 및 유지보수를 위한 전문

가집단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앙회 소속 혹은 저축은행 공동출자의 서민금융

연구소와 같은 전문가조직을 설립하고 동 조직이 선진금융기법을 연구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통합 IT시스템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IT 통합의 시너

지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4호(2007827)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李 載 演

〈요 약〉

최근 10여년간 가맹 수수료 수 을 둘러싸고 가맹 과 신용카드사 간에

마찰이 지속되어 왔다 그 이 까지 큰 문제없이 유지되어 오던 가맹 수수

료에 해 분쟁이 발생하는 것은 신용카드 활성화 정책에 따라 카드 사용이

크게 확 되었으나 수수료율 조정이 뒤따라가지 못하 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과도한 마 비용 축소를 통해 가맹 수수료율을 인하할 여력

을 확보하는 한편 형가맹 과 소형가맹 간의 수수료율 격차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 한 장기 으로 여 법상의 신용카드 거 수수료 부담

지 조항을 완화하도록 검토할 필요가 있다 사회 비용 축소를 해서는 체

크카드 비 번호방식 직불카드의 활성화도 필요하며 특히 직불카드는 은

행의 핵심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소형 신용카드 가맹점들을 중심으로 가맹점 수수료율이 높다는 불만이 높아

지고 있다 반면 신용카드사들은 누적손실을 감안하거나 평균적인 가맹점 수수료율을

감안할 때 현행 수수료율이 그렇게 높지 않다는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가맹점 수수료

율에 대한 불만은 정치권으로도 확산되어 일부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가맹점간 수수료

차별금지 등을 위한 여전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우

리나라의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체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가맹점 수수료 체계의

개선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21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가맹 수수료 체계 황

우리나라 신용카드의 기본(표준)가맹점 수수료는 1980년대 신용카드업이 국내에 정

착하기 시작한 초창기에 재무부가 업종별로 결정하여 왔으며 그 영향이 현재까지 지

속되고 있다 당시 기본수수료율은 국세청에서 업종별로 부과하는 ldquo소득표준율rdquo ldquo위

험부담rdquo 및 ldquo공익성 및 서민생활 밀접 업종rdquo 등을 고려하여 책정되었다 이에 따라 재

무부는 국민편의 업종 등에는 낮은 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유흥 및 호화사치 업종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수료율을 적용하여 당시 가맹점 기본수수료율이 업종에 따라 3

4 5 수준으로 각각 달랐다

이러한 가맹점 기본수수료율은 1999년까지 그대로 유지되어 오다가 금융위기에 따

른 가맹점의 매출감소 및 중산층 생활안정 필요성 정부의 신용카드 활성화 정책에 따

른 가맹점 반발 완화 등을 위해 수수료율이 25 이상인 업종에 대해 일률적으로 10

씩 인하됨으로써 주요 가맹점 수수료율은 각각 27 36 45가 되었으며 이후

약간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새롭게 나타난 대형할인매장이나 신용카드 활성화 조치 이후 신용카드를 받

기 시작한 종합병원 등과 같은 업종들에 대해서는 신용카드사에 대한 수익기여도 및

반발 완화를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수료율이 적용되었다

신용카드사는 이러한 기본수수료율을 기준으로 가맹점별로 매출액 불량매출발생

률 카드회사에 대한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차등 적용하는 수수료의 슬라이딩제를 마

케팅 차원에서 적용하고 있다

가맹 수수료율 련 주요 이슈

최근 가맹점들이 1980년대 이후 큰 변화없이 유지되어온 가맹점 수수료율에 대해

반발하는 것은 과거에 카드를 받지 않던 상점들이 신용카드의 사실상 결제의무화로

인해 불가피하게 카드를 받게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 신용카드를 받지 않아왔던 상점들은 주로 높은 가맹점 수수료율이 적용되며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5

이윤율이 낮은 소규모 상점인 경우가 많은데 가맹점 수수료율 조정 없이 카드결제를

사실상 의무화하면서 반발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가맹점들이 수수료율이

높을 경우 신용카드를 받지 않을 수 있었으므로 높은 수수료율 수준이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그러나 카드회원에 대한 부가서비스 확대 및 신용카드 활성화조치에 의해 고객의

카드선호가 높아지고 카드결제도 사실상 의무화되어 소규모 상점들도 카드를 받지 않

을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소형가맹점들을 중심으로 높은 가맹점 수수료 및 업

종간 격차가 큰 가맹점 수수료 체계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신용카드사의 입장에서도 영세가맹점의 경우 가맹점 수수료율이 높음에도 불구하

고 가맹점 수수료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으며 건당 거래규모가 낮아 역마

진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아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금리 인하와 대손비율 하락 등으로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여력이 발생하였으

나 협상력이 강한 대형 가맹점에 대한 수수료 및 회원 관련 서비스 수수료가 우선적으

로 인하됨에 따라 소형 가맹점들의 반발이 제기된 것으로 판단된다

대형마트에 대한 수수료율은 신용카드사간 경쟁에 따라 평균가맹점 수수료율(2006

년 기준 233)보다 크게 낮은 15대로 인하되었으며 이로 인해 소형 가맹점 수수료

에 대한 인하 여력이 약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대형마트는 2006년 카드사를 통한 카

드거래 중 취급건수 기준 165 취급거래액 기준 136를 각각 차지할 정도로 거래

규모가 크므로 이들 대형마트를 통한 카드사의 수수료 수익을 고려할 때 낮은 가맹점

수수료율을 적용하여도 높은 수익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맹점 수수료율 책정 시 발생원가를 그대로 적용한다면 대형 가맹점의 경우 거래

건당 규모가 큰 관계로 업무처리 및 관리비용이 낮아 낮은 수수료율 적용이 가능한 반

면 소형 가맹점에는 상당히 높은 수수료율이 책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카드사간

경쟁에 따른 대형마트에 대한 수수료율 인하는 가맹점 간 수수료율 격차를 확대하였

으며 소형 가맹점으로부터 반발을 일으키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신용카드사는 카드네트워크의 유지를 위해 수수료율 책정 시 카드회원과 가맹점의

균형과 함께 중소형 가맹점과 대형 가맹점 간의 균형도 고려하여야 하나 가맹점의 이

탈이 어려운 시장구조 하에서 이를 소홀히 한 것으로 보인다

21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신용카드사는 카드회원의 편의를 위해 소형부터 대형 가맹점까지 다양하게 구성된

가맹점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소형 가맹점이 이탈하지 않도록 대

형 가맹점과 소형 가맹점 간의 수수료율 격차를 너무 크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

므로 소형 가맹점에 대한 수수료율을 낮춰주어야 한다

또한 가맹점이 수수료율 수준에 불만을 가질 경우 가맹점 계약을 해지하면 되나 우

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중소형가맹점들의 가맹점 수수료율에 대한 불만이 높아짐에 따라 가맹점

수수료율에 대한 원가공개를 요구하기에 이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개선방안

먼저 가맹점간 수수료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과당경쟁에 따라 발생하는 과도한 마

케팅 비용을 감축함으로써 인하 여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카드영업비용에서 마케

팅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카드사별로 차이가 있으나 20~40이며 최근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마케팅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회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발생되는 비용으로 항공마일리지 적립비용 포인트 적립비용 외에 회원의

놀이공원 극장 주유소 등의 이용 시 할인제공으로부터 발생되는 비용으로 구성된다

신용카드사들의 마케팅 비용 축소는 카드회원의 과도한 신용카드 선호를 낮출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는 조세투명성 강화를 위해 상점들로 하여금 사실상 신용카드 가맹점가입

및 신용카드 결제를 강제하고 있으나 이를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현재

정부는 일정규모 이상의 사업자에 대해 신용카드 가맹점 가입을 유도하고 미가입 시

에는 세무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사실상 가맹점 가입을 강제하고 있다 또한 여전법 19

조 1항은 가맹점으로 하여금 신용카드 거래를 거절할 수 없으며 3항에서는 가맹점으

로 하여금 가맹점 수수료를 카드회원에게 부담시키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용카드 거절금지 및 부담금지의 경우 다른 나라에서는 비자 매스터 카드 등

신용카드네트워크사의 규정에 의해 금지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중장기적으로 신용카드의 거절 및 부담 금지 조항의 완화를 검토할 필요가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7

있다 이 조항을 완화할 경우 조세투명성 퇴보와 무자료거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간이과세자인 영세가맹점 또는 소액결제에 한하여 실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신용카드 거래로부터 발생되는 거래비용 축소를 위해 체크카드 및 비밀번호방식 직

불카드 이용의 활성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들 카드는 결제 시 지정된 예금계좌로

부터 대금이 즉시 인출됨에 따라 자금조달비용 대손비용 채권회수비용 연체관리비

용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과소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비밀번호방식 직불카드 결제는 체크카드와 달리 금융결제원 직불카드 공동

망을 통해 이루어지며 현재 가맹점 수수료율이 최저 1에서 최고 2 수준이어서 여

타 지급결제수단보다 저렴하다 비밀번호방식의 직불카드는 현재 사용규모가 축소되

고 있으나 이를 활성화할 경우 요구불예금 축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은행들의 저리

자금조달에도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21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신한경제연구소 소장(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1호(20071022)

국내 PEF GP의 현황과 향후과제

林 炳 喆

〈요 약〉

국내 PEF가 앞으로 더 큰 성장세를 보일 수 있을지 여부는 이제부터 향후

수년간 PEF들이 어떠한 성과를 보여 수 있는가에 의해 가름될 것이다 따라

서 PEF의 모든 투자결정을 주도하면서 성과에 결정 인 향을 미치는 GP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요하다 GP들은 자신들의 문성을 높이는 한편 투자성

과를 보여 으로써 LP와의 신뢰를 구축하는 노력을 극 개해야 한다 한편

최근 개인 는 외국법인이 국내 PEF에 GP로 등록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앞

으로 불필요한 논란의 소지를 없애기 해 GP에 한 최소 자격요건을 두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향후 PEF 산업의 발 을 해서는 능력있는 GP들이

다수 출 하여 선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한 GP 솎아내기는 결국 시장

에서 LP들에 의해 주도되어야 할 것이다

올해 말이면 국내에 바이아웃형 사모투자전문회사(이하 PEF Private Equity

Fund) 제도가 도입된 지 만 3년이 된다 국내 PEF의 규모를 살펴보면 2007년 8월말

현재 총 출자약정액이 7조 7000억원을 상회하고 출자이행액도 3조 5000억원에 육

박한다 아직 제도도입 초기인 점을 감안하면 그 간 매우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

고 있다고 평가된다 다만 기업을 인수한 후 인수기업의 가치를 제고하여 되팔음으로

써 투자자산을 회수하는 바이아웃형 PEF의 특성상 국내 PEF가 앞으로 더 큰 성장세

를 보일 수 있을지는 이제부터 2~4년간 PEF들이 어떠한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가에

의해 판가름될 것이다 따라서 PEF의 모든 투자결정을 주도하면서 성과에 결정적인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9

영향을 미치는 무한책임사원(이하 GP General Partners)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

한 때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내 PEF의 현황을 GP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국내 PEF

의 성장을 위해 GP에게 요구되는 과제와 GP의 선별과정에서 유한책임사원(이하 LP

Limited Partners)이 유념해야 할 이슈 등을 간략히 논해 보고자 한다

국내 PEF GP 황

PEF 제도가 도입된 2004년 12월부터 2007년 8월말까지 총 42개의 PEF가 금감위

에 등록되었다 이 중에서 이미 해산된 3개를 제외하면 현재 39개의 PEF가 활동 중이

다 이들 PEF의 GP로 30여개의 기관이 활발히 참여하고 있는데 이들을 세 부류로 대

분해 보면 금융회사 금융회사의 자회사 독립계회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GP로 참여하고 있는 금융회사를 살펴보면 제도도입 초기에는 주로 은행 증권

사 및 자산운용회사를 중심으로 GP참여가 이루어지다가 제도 완화와 함께 창투사 신

기술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 등으로 확대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산업은행 기업은

행 농협 등 은행과 대우증권 우리투자증권 SK증권 등 증권사 그리고 미래에셋맵

스자산운용 서울자산운용 KTB네트워크 솔로몬상호저축은행 등을 들 수 있다 이

들 금융회사들은 조직 내에 PEF 전담부서를 두고 GP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17~18개사의 금융회사가 23~24개 국내 PEF의 GP로 참여하고 있어 전체 국내 PEF

의 약 23 이상의 금융회사가 GP로 참여하고 있는 PEF로 분류된다

다음으로 PEF의 운용을 위해 금융회사에서 분사하여 독립법인으로 설립된 금융회

사의 자회사인 GP를 들 수 있는데 신한PE 우리PE 맥쿼리코리아오퍼튜니티즈운용

등이 이 부류에 속한다 현재 4~5개사가 PEF에 GP로 참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독

립적인 GP가 13~14개의 국내 PEF에 GP로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특정 금융회사 또

는 금융그룹에 속하지 않고 PEF운용을 전문으로 하는 독립회사들이다 HampQ AP

MBK파트너스 보고인베스트먼트 웅진캐피탈 등 10여개사가 현재 활동 중이다

22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PEF의 운용구조와 GP의 요성

PEF의 운용과 관련된 최종 의사결정은 GP가 담당한다 따라서 LP들이 출자한 자

금의 운용을 책임지고 있는 GP의 역할은 PEF의 성과도출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하

다 자금모집 투자대상의 선정 투자방식의 설계 인수기업의 가치 제고 투자회수

전략의 수립 및 이행 등 PEF 투자활동의 각 단계에 있어 GP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산업 전반은 물론 인수대상 기업들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LP들의 입장에서 보면 PEF의 투자활동에 대한 GP의 전문성과 역량은 LP들이 PEF에

대한 투자결정을 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작용한다 미국 등 선진국 PEF

의 경우 LP들이 자신의 돈을 맡길 GP를 선정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은 전문성

과거 투자실적 신뢰성 등에 기초한 GP의 명성(reputation)이라고 알려진다

현재 국내에서 활동 중인 GP들은 국내 PEF산업이 아직 초기에 있는 만큼 자신들의

전문성과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모회사 또는 과거

유사경력 등에 힘입어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국내 PEF들의

투자가 더욱 본격화되고 투자성과의 실현도 점차 가시화되기 시작한다면 국내 PEF

및 GP간의 차별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향후 시장에서 잠재적 LP들의

선호가 일부 GP들로 쏠리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GP로서의 경쟁력 강화를 한 핵심과제

국내 PEF들의 투자집행이 아직 현재 진행형인 상황에서 국내 GP들간의 성과 차별

화를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일 것이다 따라서 성과에 대한 부분은 논외로 한다 하더라

도 GP로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음과 같은 이슈의 중요성은 강조되어야 한다

우선 GP가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경쟁력 요소는 전문성이다 기업을 인수한 후 기

업가치를 높이고 이를 되팔아 투자수익을 추구하는 PEF의 활동영역은 고도의 전문성

을 요구하는 전문분야이다 따라서 PEF는 타 간접투자기구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영

역을 가진 하나의 전문산업으로 인식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PEF의 운

용을 주도하는 GP의 전문성 제고는 아무리 강조되어도 모자랄 것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1

전문성과 더불어 강조되어야 할 또 다른 요소는 연속성이다 PEF의 투자활동은 통

상 5~10년이라는 상당히 긴 기간동안 이루어진다 따라서 GP로 참여하는 기관의 구

성원이 하나의 딜을 처음부터 끝까지 마무리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같은 기간동안 근무

의 연속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물론 GP로서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서도 스태프 멤버들

의 근무의 연속성은 충족되어야 할 전제조건일 것이다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경우

임직원들의 순환 근무가 일반적인 상황인데 GP업무를 수행하는 PEF 담당 부서의 경

우 업무의 특성을 고려하여 순환배치원칙의 적용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GP는 기존 LP는 물론 시장의 잠재 LP들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LP들의 GP에 대한 신뢰는 GP의 전문성과 역량에 대한 믿음 투자활동 과정에

서의 긴밀한 협조와 관계 유지 GP의 투명한 투자집행 등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장

기간에 걸쳐 형성된다 금융회사의 GP 참여가 활발한 우리나라의 경우 LP들의 GP에

대한 신뢰형성과 관련하여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이해상충 방지체제의 중요

성이다 기존에 금융업무를 영위하고 있는 금융회사가 PEF의 GP일 경우 PEF의 투자

활동 과정에서 금융회사의 기존 업무와 이해상충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PEF 담당부서와 타 업무부서와의 이해상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화벽을 설

치하고 GP로서 의사결정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한편 이를 LP들이 확

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GP 련 일부 제도 보완이 필요

최근 시장에서는 기관이 아닌 개인이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국내 PEF의 GP

로 등록하려는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물론 현재 개인이 PEF의 GP가

되는 데에 아무런 법적 제약은 없는 상태이다 다만 PEF 업무의 특성상 개인이 투자

대상의 물색 투자구조의 설계 인수기업의 가치 제고 재매각 등 일련의 투자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전문성을 갖기는 쉽지 않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PEF 투자활

동의 위험을 개인이 감당하고 무한책임을 진다는 것 자체가 무리라고 볼 수도 있다

한편 국내에 법인으로 존속하지 않는 외국계 법인이 국내 PEF의 공동 GP로 등록하

려는 시도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경우에도 현행법에 해외소재 외국기업

22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 국내 PEF에 GP로 참여하는 경우와 관련된 조항이 없어 논란의 소지가 존재한다

다만 국내에 존재하지 않는 외국기업에 대한 감독권행사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국소재 법인의 GP 등록은 현행 PEF 관련 법규의 제정취지에도 부

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행법에 GP의 최소 자격요건규정 등을 두어

불필요한 논란의 소지를 없애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GP 솎아내기를 한 LP의 역할

GP의 전문성과 능력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PEF 산업이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발

전하기 위해서는 능력있는 GP들이 다수 출현하여 산업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어야 한

다 이를 위해서는 시장에서 GP를 솎아내는 작업이 꾸준히 진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의 주체는 결국 LP들이 될 수밖에 없다 제도적으로 GP의 최소 자격요건을 두는

것은 GP 솎아내기의 출발점은 될 수 있지만 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다 따라서 LP들이

자신들의 자금을 맡기는 GP를 선정함에 있어 GP가 쌓아 온 명성(reputation)을 중시

하는 시장의 관행이 정착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관행은 국내 GP들이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면서도 자신들의 전문성을 높이고 LP와의 신뢰를 쌓으려는 노력을 꾸준히 전개

하고자 하는 유인을 제공할 것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2호(20071029)

벤처캐피탈시장의 발전과제

具 廷 翰

〈요 약〉

미래의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주도할 원동력이라는 면에서 벤처기업 육성이

요하다 벤처기업은 자 조달에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으므로 벤처기

업의 육성을 해서는 벤처캐피탈시장의 활성화가 요하다 벤처버블 붕괴

이후 정부의 다양한 노력으로 벤처캐피탈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장

기 으로 자생력을 확보하기 해서는 기 투자가의 시장참여 확 기 기업

에 한 투자 확 MampA 활성화를 통한 투자자 회수수단의 다양화가 선결

되어야 할 것이다 투자자 회수수단의 다양화는 자 선순환구조의 정착

기기업에 한 투자 확 를 유도하기 해 필요하고 기 투자가의 시장참

여 확 를 유도하기 해서는 모태펀드의 심사 선별능력이 좋은 평 을

유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고기술 보유기업과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은 과거 대기업 위주의 경제성장 한계를 극

복하고 미래의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주도할 원동력이라는 점에서 이들 산업의 육성

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업들은 규모의 영세성 낮은 인지도 등으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정부는 여러 가지 조치를 통해 벤처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 보완작업을 추진해 왔으

나 아직 벤처캐피탈시장에서 민간중심의 시장이 형성되었다고 보기 힘들다 현재 벤

처캐피탈시장에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가운데 장기적으로 시장의 효율성 제고 및

시장발전을 위해 민간중심의 자생력을 키우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22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본고는 벤처캐피탈시장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시장발전을 위한 향후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벤처캐피탈시장의 형성과 정부의 역할

정부는 고위험 정보 비대칭으로 인해 은행으로부터 자금조달이 어려운 중소벤처

기업에 대해 지분투자 형식으로 자금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벤처캐피탈의 필요성을 인

식하였고 1986년 5월「중소기업창업지원법」을 제정하여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

자업무를 주도적으로 담당할 창업투자회사의 설립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동년 12월

에는「신기술사업금융지원에관한법률」을 제정하여 신기술 및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신기술사업금융업자를 육성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

였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정부는 지식정보기술의 중요성 고용창출의 필요성 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서 벤처기업의 중요성을 감안하여「벤처기업육성을위한특별조치법」을

제정하였고 적극적인 벤처기업 육성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벤처기업에 대한 지나친

관심과 기대로 벤처기업 투자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벤처버블이 발생하였다

2000년 하반기 벤처버블이 붕괴된 이후 벤처투자가 급속히 축소됨에 따라 2004년

12월 정부는「벤처기업 활성화대책」을 발표하였고 그후 벤처캐피탈시장은 뚜렷한 회

복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2005년 4월 개정된「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에 근

거하여 한국모태펀드가 설립되었고 2009년까지 총 1조원 규모가 정부재정 및 기금을

통해 조성되어 30년간 운용되도록 하였다 모태펀드는 벤처캐피탈 회사가 설립한 투

자조합에 출자하는 재간접펀드(Fund of funds)로서 그 규모나 공공성이 강한 성격상

향후 벤처캐피탈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2006년 들어 정부는 벤처캐피탈시장의 안정적인 성장기반 확충을 위해 시장중심의

벤처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벤처캐피탈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는 등 꾸준히

벤처캐피탈시장을 보완함에 따라 동 시장은 최근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5

벤처캐피탈시장 황

현재 벤처캐피탈은 신기술금융회사와 창업투자회사의 이원화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2000년 벤처캐피탈의 신규투자 규모가 2조원을 상회하였으나 벤처버블 붕괴

이후 벤처캐피탈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면서 신규투자실적은 2004년 7770억원으로 축

소되었다 그러나 2004년 12월 정부의「벤처기업 활성화대책」이후 그 규모는 2005

년 2006년에 각각 9577억원 1조231억원으로 대폭 확대되었다

2006년 창업투자회사의 업력별 신규투자 비중을 살펴보면 창업 3년 이내 기업에

대한 투자비중은 303 3년sim7년 기업에 대한 비중은 508 7년 초과 기업에 대한

비중은 189로 창업초기기업에 대한 투자보다 창업중기기업에 대한 투자비중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말 운영 중인 350개 투자조합에서 납입기준으로 정부 및

지자체가 출자자로서 차지하는 비중은 244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기금과

기관투자가를 합한 비중은 292로 미국 유럽의 50를 상회하는 수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캐피탈의 투자자금 회수시장은 크게 코스닥시장 IPO와 MampA로 나눌 수 있는데

국내 벤처캐피탈의 MampA를 통한 투자자금 회수는 10 정도 수준에 머물러 있어 자금

회수를 위해 대부분 코스닥시장 IPO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의 경우

2006년 건수 기준으로 MampA를 활용한 투자자금 회수 비중이 85 수준으로 우리나라

와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06년 동안 미국에서 벤처캐피탈 지원을 받은 기

업의 평균 IPO 금액은 09억달러이고 동기간 벤처캐피탈 지원을 받은 기업의 평균

MampA 거래금액은 11억달러를 기록하여 규모면에서도 MampA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캐피탈시장에서의 문제

앞서 현황에서 나타났던 벤처캐피탈시장의 문제점은 크게 투자자금 형성단계 투자

단계 투자자금 회수단계로 구분하여 표현할 수 있다

투자자금 형성단계에서는 기관투자가의 비중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관투자가

가 투자조합에 출자를 확대하면 투자조합의 자금운용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로 시장의

22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건전성을 제고할 수 있고 시장에서는 안정적인 투자재원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

으나 현재 국내 금융회사들의 벤처투자 규모는 선진국에 비해 저조한 편이다

투자단계에서의 문제점으로는 투자조합의 짧은 만기로 인해 초기기업에 대한 투자

유인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미국의 경우 투자조합의 평균 존속기간이 10년

정도인 반면 우리나라는 평균 5년 정도이다 초기기업의 경우 투자자금 회수를 위한

IPO까지 상당 기간이 소요됨에 따라 자금회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초기기업에 대한

투자유인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초기기업은 사업의 성공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으

므로 벤처캐피탈이 초기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기피하고자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투자자금 회수단계에서의 문제점은 투자자금 회수수단이 대부분 코스닥시장 IPO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국내 벤처캐피탈의 한정된 투자자금 회수수단은 원활한 자

금회수로 자금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벤처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자금의 선순환 구조

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금 회수수단의 다양화는 시장의 안정적 성장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향후 과제

침체되었던 벤처캐피탈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은 최근의 회복세를 감안

할 때 성공적이었던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서 정부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에 따라 장기적으로 민간 주도의 자생력을 제고하여 시장이 안정적인 단

계로 진입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직접적인 시장개입을 확대하기보

다는 제도관행의 개선을 통해 민간부문의 참여 확대를 도모하고 시장실패가 지속적

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문에서 정부의 역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창업초기기업

에 대한 투자는 리스크가 크고 자금회수의 불확실성이 높아 민간부문의 자발적 시장

참여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시장실패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초

기기업에 대한 벤처캐피탈시장에서 정부의 지속적인 역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투자조합의 평균 만기가 5년으로 짧음에 따라 투자자금 회수를 위해 주된

투자대상이 창업 중기 또는 후기 기업으로 집중될 수 있다 2005년 6월 정부의「벤처

활성화 보완대책」에서 창업 3년 미만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조합에 대해 모태펀드의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7

출자비율을 높이는 등 초기기업 투자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

러나 근본적으로 자금회수에 대한 리스크가 큰 초기기업에 대한 민간부문의 자발적

투자 확대는 한계가 있으므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더불어 투자자금 회수수단의

다양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금년 6월 정부는「제2단계 기업환경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하여 상호저축은행이 일

정 한도 내에서 벤처펀드에 출자 가능하게 하였고 은행보험사도 금감위 승인 후 벤

처펀드의 15 이상 지분을 보유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였다 이에 따라 금융회사

들의 벤처투자가 어느 정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관투자가의 벤처캐피탈시장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제도적 개선과 더불어 향후 모태펀드의 역할이 중

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모태펀드가 심사 및 선별능력에서 좋은 평판을 유지한다면 경

기후퇴기에도 모태펀드의 투자가 시그널로 작용하여 기관투자가의 벤처캐피탈시장

참여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자금 회수수단의 다양화는 벤처캐피탈시장의 자생력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데

이를 위한 방안으로 MampA 활성화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의 높은 경영권 프리미엄

적대적 MampA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이 MampA 활성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와 더불

어 기업들이 기술력을 갖춘 벤처기업에 대한 MampA를 통해 기술을 확보하는 것보다 해

당 기업의 핵심인력을 유치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어 MampA를 저해할 소

지가 있다 따라서 핵심기술에 대한 특허권 강화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이러한 관행

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22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44호(20071112)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주식의 상장과 정책과제

姜 鍾 萬

〈요 약〉

최근 논의되고 있는 거래소 주식의 상장은 세계 인 추세로 거래소의 지배

구조 개선 국제화 성장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 된다 하지만 상장

후 주주이익을 한 과도한 수익성 추구로 거래소의 공익성이 훼손되고 거래

소가 수행하는 매매체결기능과 청산기능 간의 이해상충으로 과도한 사회 비용

이 발생할 수 있다 재 원가를 고려하지 않고 독 으로 결정되는 거래소

수수료가 상장 후 정수 에서 결정되기 해서는 시장효율화 원회 제도의

개선 수수료 체계의 개편 등 수수료 결정과정에 한 근본 인 개선이 필요하

다 한 매매체결기능과 청산기능 간의 이해상충 문제를 해소하고 동북아지역

청산업무의 연계체계 구축에 비하기 해 청산기 을 설립하여 청산기능을

거래소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그리고 자연독 특성이 강한 청산업무와

결제업무의 공익성을 확보하기 해 청산기 과 결제기 의 소유구조는 이용

자 주로 조정하여 리인비용을 최소화하고 이들 기 에 한 융감독 강화

와 함께 외부기 에 의한 경 감시기능 도입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한국증권선물거래소(ldquo거래소rdquo) 주식의 상장 문제가 대두되면서 거래소의 공익

성 확보 및 증권 관련 기관의 적절성 효율성 등에 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자본

시장통합법 제정에 따라 우리나라 증권업은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

다 하지만 증권 관련 인프라가 국제기준에 미흡한 부분이 있고 운영효율성도 낮아

국내 증권시장의 선진화를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9

거래소 주식의 상장과 관련된 공익성 확보방안과 청산기능 결제기능 등 증권 관련 인

프라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거래소 주식의 상장 필요성 문제

증권거래소 선물거래소 코스닥증권시장 등 국내 거래소를 통합할 때 해외 거래소

와 연계를 촉진하고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거래소 소유구조를 회원제에서 주식

회사로 전환하였다 그 다음 주식회사의 제도적 이점을 적극 활용하려면 거래소 주식

의 상장이 필요하고 이는 세계적인 추세에도 부합한다

일반적으로 거래소 주식의 상장은 거래소의 소유지배구조 개선 국제화 및 성장기

반 구축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주식이 상장되면 외부주주 등에 의한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 촉진되어 거래소의 비용효율성 제고에 기여한다 또한 중장기적으로

거래소 수수료의 적정화를 통한 증권거래비용의 최소화와 이용자 편익의 극대화 등을

촉진하여 거래소가 국제 경쟁력이 있는 자본시장 인프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장 이후 기존주주와 달리 거래소 업무와 직접 관련이 없는 소액주주 및

외국인주주의 영향으로 거래소가 주주이익 극대화를 위해 과도하게 수익성을 지향한

다면 증권 관련 인프라로서 거래소의 공익성이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거래소는

법률상 증권매매체결 등에 관한 독점기관이므로 과도한 수익성 지향은 독점이익 발생

을 촉진하게 된다 더구나 독점적 특성을 갖는 증권거래의 청산기능 결제기능 등이

상장 이전에 적절히 조정되지 않는다면 향후 이들 기능에 관한 관련기관 간 분쟁으로

과도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해 거래소는 증권의 매매체결 및 청산업

무를 증권예탁결제원은 결제업무를 독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증권거래량 급증과

증권거래의 국제화 추세에 따라 다자간 차감제도와 청산기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

어 세계적으로 청산기관은 독립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청산기관은 증권거래에서 집중거래상대방(Central Counter Party) 기능과 청산기

능을 수행하고 있다 청산기능은 유가증권 매매거래 이후의 매매확인 차감 등 최종적

으로 인수 및 인도할 증권과 대금을 확정하는 절차로서 매매체결과 결제의 중간과정

23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다 또한 청산기관은 증권거래의 매도자 및 매수자에 대한 거래상대방으로서 결제

이행을 보증하고 증권거래와 관련된 신용위험을 인수한다

따라서 시장의 유동성 확대를 모색하는 거래소의 매매체결기능과 달리 청산기능은

시장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중시하므로 두 기능 간에는 이해상충 문제가 발생하게 된

다 그런데 우리나라 거래소는 매매체결기능과 청산기능을 독점적으로 함께 수행함에

따라 수수료 체계의 불분명성과 두 기능 간의 이해상충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거래소 독 이익의 억제 공익성 확보

현재 거래소 수수료는 재정경제부에 설치된 시장효율화위원회의 심의 후 거래소 이

사회에서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수수료 결정에 관한 공익성은 외견상 어느 정도 확보

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소 협회 등 이해관계기관의 대표자가 시장효율화위원회 위원

의 과반수를 차지하여 이해관계자들의 수수료 결정에 대한 영향력은 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거래소 수수료는 거래소의 주된 수익원으로 수수료 결정은 거래소의 수익 확보와

증권투자자의 증권거래비용 최소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미국 증권거래소의

수수료는 거래주식 수를 기준으로 책정되어 주가등락으로 인한 수수료 수입의 변동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거래소의 수수료는 거래금액을 기준으로 부과되어

주식거래 관련 인프라 구축 및 운용의 실질비용과 관계없이 주가 상승에 따라 수수료

가 증가한다 즉 현재 거래소 수수료는 독점적인 이점을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원가를

고려하지 않으며 거래소의 독점이익 발생을 유발하고 있는 것이다

거래소 주식의 상장 이후에는 수수료 결정에 관한 거래소의 영향력이 증대되어 독

점이익 발생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거래소와 유사하게 독점적 특

성을 갖는 결제기관 수수료에 대한 분석은 증권관련 인프라의 독점이익 발생이 과도

함을 시사하고 있다 2004년 분석에 의하면 유럽 결제기관의 결제비용은 미국의 35

배 내지 9배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사적영리를 추구하는 독점적 민간기관

인 유럽 결제기관들이 공익위주로 운영되는 미국 결제기관에 비해 수익성 확보를 위

하여 높은 결제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31

따라서 거래소 주식의 상장 이후에는 거래소의 공익성 유지와 관련하여 수수료가

적정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도록 시장효율화위원회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거래소의 독점이익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증권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한 실질비용에

근거하여 수수료를 결정하여야 하며 거래주식 수 또는 거래 건수를 기준으로 수수료

를 책정하는 수수료 체계의 근본적인 개편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거래소 주식이 상장되면 거래소 회원이 아닌 일반투자자나 외국인투자자들은

주주로 참여하기 때문에 거래소 지배구조에 근본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일반주주가

거래소의 주요주주가 되는 경우에 거래소 경영진은 주주이익 극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거래소의 독점이익 추구 성향은 강화될 것이다 따라서 거래소의 공익성 확보를 위해

주주구성 변화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독점이익 추구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청산 결제 기능의 개편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관련 법률에 의해 증권의 매매체결기능 및 청산기능은

거래소가 결제기능은 증권예탁결제원이 수행하도록 명시되어 청산기능과 결제기능

에 관한 논쟁은 정리되었다 거래소와 증권예탁결제원 간의 2006년 합의에 따르면 청

산기능은 증권 매매거래의 확인 채무인수 차감 결제증권 및 결제금액의 확정 결제

이행보증 결제불이행 처리 및 결제청구를 의미하며 결제기능은 증권 매매거래에 따

른 증권인도와 대금 지급 및 결제이행과 불이행 결과의 통지 등으로 정의하였다

하지만 거래소는 증권예탁결제원의 대주주이므로 향후 거래소 주식이 상장된 이후

에는 거래소의 증권예탁결제원에 대해 영향력 행사로 분쟁이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

즉 일반주주가 지배하는 거래소가 증권예탁결제원에 대해 부적절한 지배권을 행사하

면 예탁기능의 공익성이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거래소의 증권예탁결제원에 대한 영

향력을 축소시키기 위해 거래소가 보유하고 있는 증권예탁결제원 지분은 사전에 정리

되어야 할 것이다

거래소가 매매체결기능과 청산기능을 모두 수행할 때 발생하는 두 기능 간의 이해

상충 가능성은 상장 이후에 더욱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거래소 주식의 상장과 관련하

23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여 청산기능은 거래소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더구나 동북아지역 거래소간 업무연계

를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증권거래 관련 각국 청산업무의 통합 또는 업

무연계 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거래소 청산기관 결제기관 등 증권관련 인프라의 구축 방법으로는 수직적 구조와

수평적 구조가 있다 수직적 구조에서는 청산기관과 결제기관이 거래소 또는 지주회

사의 자회사로 수평적 구조에서는 거래소 등으로부터 독립된 기관으로 존재한다 독

일 금융당국의 연구에 의하면 수직적 구조는 국제화된 금융시장에서 거래소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 위험을 완화할 수 있으나 거래소 수수료와 청산 및 결제 수수료 결

정과정을 불투명하게 하여 증권거래 관련 시스템의 운영효율성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영국 독일 등 유럽 국가들은 증권의 청산과 결제 기관들을 각각 별도로 설립하여

이들 업무를 분리하고 있다 일본도 청산기관을 설립하여 도쿄 거래소 등 거래소들이

자체적으로 수행하던 주식매매 관련 청산업무를 2003년 1월부터 거래소로부터 분리

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선진국 사례를 감안하여 독립된 청산기관을 설립하여 청

산기능을 거래소로부터 독립시키고 동북아지역 청산업무의 연계체제 구축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산업무와 결제업무는 업무의 특성상 규모의 경제효과가 크므로 자연독점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청산기관과 결제기관의 소유구조를 이용자 위주로 개편함으로써

주주와 경영자 간의 대리인 비용은 최소화하고 업무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긴밀한 상

호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이들 기관의 독점이익 발생을 억제하고 공익성

을 제고하기 위해 금융감독 강화와 함께 외부기관에 의한 경영감시기능 도입도 검토

할 필요가 있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3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9호(20071217)

최근 유동성사정 악화의 교훈과 과제

金 東 煥

〈요 약〉

자산가격 거품의 형성과 붕괴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성 과부족 상은 시장

이 자율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다만 자본시장에 한

신뢰의 손상이 신용경색으로 확산되는 최근의 융사정을 감안할 때 은행과

융당국은 차 한 시 과제인 유동성 리에 만 을 기해야 하며 비은

행 융회사에 지 결제 업무를 허용하는 문제에 해서도 신 을 기할 필요가

있다 향후 본격 으로 개될 투자의 시 에는 은행으로 하여 자본시장의

주요 이어가 되도록 유도하고 수요 시형 유동성 리 방안을 강구하도록

독려할 필요가 있다 개별 은행 차원에서 해결되지 못한 유동성문제는 앙은

행이 RP거래 상 증권을 확 하는 등의 수단을 통해 처리하면 된다

유동성 문제 발단의 배경

올해 벽두부터 유동성 문제로 시끄럽던 경제가 세밑까지 유동성 문제로 뒤숭숭하

다 부동산버블 논쟁을 불러일으킨 과잉유동성에서 시작하여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유동성 축소 내지 신용경색 심화에 이르기까지 유동성의 과부족으로 인한 여러 가지

부작용이 일파만파로 확산되면서 금융시장을 동요시키고 서민들의 이마에까지 깊은

주름살을 남기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번의 유동성 사태를 세계 대공황의 전조(前兆)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호들갑을 떠는 이들도 간혹 눈에 띄어 연말의 들뜬 분위기를

차분히 가라앉히고 있다

23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기억에 새롭겠지만 올해초 금융당국은 LTVDTI 규제 동일차주에 대한 대출건수

규제를 통해 부동산투기에 쐐기를 박고 금융회사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정책

금리 대신 지급준비율을 인상하여 과잉공급된 유동성을 흡수하되 대출금리 인상을 가

능한 억제하여 소비와 투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전력을 기울임

으로써 과잉유동성 문제로 불거진 부동산버블 논쟁에 종지부를 찍은 바 있다 그 결과

부동산시장은 안정을 되찾았고 부동산으로 몰리던 시중자금은 자연스럽게 주식과 펀

드시장으로 이동하면서 ldquo투자의 시대rdquo의 서막을 올리는 데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연

10 이상의 부동산가격 상승률을 시현하던 미국영국호주 등 선진국의 연이은 정

책금리 인상은 기대했던 부동산시장의 연착륙 대신 서브프라임 사태와 글로벌 신용경

색 현상을 촉발하여 새롭게 열린 투자의 시대에 암울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본고

에서는 유동성 문제 뒤에 가리어진 몇 가지 중요한 이슈들을 살펴보고 향후의 과제에

대해 논한다

시장의 자율조 기능은 실패하고 있나

일 년이 채 지나기도 전에 천당(과잉유동성)과 지옥(신용경색)을 경험하고 있는 작

금의 경제현실을 두고 혹자는 머니게임의 장으로 전락해 버린 자본주의 시장의 한계

와 실패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일부 금융회사의 투자실패가 대규모 외부불경제를 낳

아 글로벌 마켓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는 만큼 각국 재무성 및 중앙은행의 정책 공조를

통한 시장개입이 필요함을 주장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2000년대 IT거

품 붕괴rarr정책금리 인하rarr과잉유동성rarr부동산거품rarr정책금리 인상rarr부동산가격 하락

rarr서브프라임 사태rarr신용경색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가격조정 과정을 시장의 한계나

실패로 규정하기에는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다 오히려 금리인하 등을 통해 실패한 투

자자를 구제하는 방식의 시장개입은 거대 자본가를 보호하고자 하는 중상주의적 사고

(思考)와 다를 바 없을 뿐만 아니라 투자자의 자기책임 원칙을 훼손하고 정상적인 가

격조절 기능을 왜곡하여 오랜 기간 시장을 실패하게 하는 또 다른 원인이 될 수도 있

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35

자산가격 버블 인 우려는 없는가

서브프라임 사태 등의 여파와 부동산투기 근절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정책의지 등

에 힘입어 부동산 투자에 대한 매력은 크게 떨어지고 있다 또한 시중자금이 주식 등

증권으로 대거 편입되어 투자의 시대가 막을 올렸다고는 하나 종전과 같은 투자열풍

이 지속될 모멘텀은 약화되고 있다 자본시장이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는 한 증권은 유

동성을 흡수하는 블랙 홀(black hole)에 지나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

이다 이렇듯 부동산과 증권이 재테크 수단으로서 매력을 상실하고 있는 가운데 글로

벌 신용경색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적어도 당분간 자산가격 버블을 걱정할 필요는 없

어 보인다 오히려 현 단계에서는 버블붕괴와 인플레가 동시에 진행되지 않도록 위기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등장한다 왜냐하면 원유 및 원자재에 대한

투기적 수요로 코스트 푸쉬형 인플레이션이 진전될 가능성이 큰 가운데 신용경색과

버블붕괴로 인해 소비와 투자 등 총수요가 크게 위축될 경우에는 경기가 스태그플레

이션 국면을 거쳐 ldquo잃어버린 10년rdquo 동안 일본이 경험했던 디플레이션 국면으로 급격

히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통법은 정 로 시행되어야 하는가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글로벌 투자은행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떨어지고 주식이나

채권에 대한 투자열이 식어감에 따라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 일정에도 차질이 생기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자본시장통합법은 예정대로 시행될 필

요가 있다 왜냐하면 서브프라임 사태는 진정한 매매(true sale)나 도산격리(bankruptcy

remote) 원칙을 무시한 채 신용파생상품에 의존하는 왜곡된 자산유동화가 결국은 금

융회사의 건전성 및 유동성은 물론 투자자 보호에도 한계가 있음을 교훈으로 남기고

있으며 자본시장통합법의 기본취지는 원칙을 중시하는 포괄주의 규제개혁을 통해 자

본시장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투자자보호를 강화하여 자본시장의 신뢰성을 높임으

로써 자본시장을 한층 업그레이드 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다만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의 손상이 신용경색 현상으로 확산되는 최근의 금융사정

23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을 감안할 때 증권사 등 비은행금융회사에 지급결제 업무를 허용하는 사안에 대해서

는 신중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은행으로부터 비은행금융회사로 이전

되는 예수금은 기업과 산업에 대한 대출재원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예수금이 줄어들

게 되는 은행 역시 그만큼 대출여력을 상실할 것이며 이 때 발생하는 은행-비은행금

융회사간 예수금 유치를 위한 금리인상 경쟁은 이들 금융회사의 경영을 압박하는 소

모전으로 변질되어 신규대출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작금의 신용

경색 현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비은행금융회사에 대한 지급결제

업무 허용은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을 훼손하고 나아가 체계적 위험(systemic risk)을

확산시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체계적 위험이란 하나의 사건(쇼크)이 금융시스템

에 대한 신뢰를 손상시킴으로써 실물경제에 심각한 정도의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

능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은행 심 경제시스템은 여 히 유효한가

최근 신용경색 현상이 심화되고 시장금리가 치솟아 금융시장이 동요하는 것은 유동

성관리에 실패한 은행들이 금융채와 CD를 대량 발행한 데에 기인한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은행들은 수익을 올리는 데에만 급급한 나머지 자금중개와 사회

적 책임투자(SRI) 등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소홀하였다는 비판을 받아 온 터였

다 이와 같은 비판들은 은행중심 경제시스템이 경제의 은행의존도를 높이고 자본시

장의 발전을 저해하여 은행의 자금중개기능 약화가 곧장 실물경제 침체로 이어지고

실물경제 침체가 (은행의 자산건전성 및 수익성을 악화시켜) 또다시 자금중개기능 약

화로 악순환하는 구조적 취약성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자 자본시장통합법을

예정대로 시행해서 금융투자회사를 중심으로 자본시장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당위론

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이와 같은 비판이 은행중심(또는 관계지향형) 경제

시스템이냐 아니면 자본시장중심(또는 시장지향형) 경제시스템이냐 하는 양자택일식

논의로 비약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은행중심 경제시

스템의 장기협력적 특성과 자본시장중심 경제시스템의 단기경쟁적 특성을 동시에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37

살리기 위해 자본시장을 확대 발전시키되 은행으로 하여금 자본시장의 주요 플레이어

가 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는 일본으로 하여금 잃어버린

10년의 장기불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했던 힘의 원천이기도 하다

유동성 리는 어떤 방향으로 해야 하는가

주지하다시피 최근 은행들이 금융채와 CD를 대량 발행한 까닭은 증권사의 CMA 등

으로 핵심예금이 빠져나간 가운데 유동성비율 규제로 콜자금 차입이 곤란했기 때문이

다 이와 같은 예금이탈 추세가 앞으로 언제까지 지속될지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국내

외 투자환경(주식 채권 및 펀드시장 상황)에 따라 단기 시중자금의 유출입 규모가 크

게 변동할 것이 분명한 만큼 은행들은 유동성관리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유념해야 할 것은 유동성관리의 초점이 유동성 공급의 과부족 규모를 최소화하는 데

있으며 과부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어디까지나 유동성 수요에 있다는 점이다 다

시 말하여 이는 수요중시형 유동성관리가 필요함을 의미하는바 공급계획에만 초점을

맞춰 자금을 조달하는 것은 쓰지도 못할 실탄을 잔뜩 창고에 쌓아두는 것과 마찬가지

로 유동성관리 비용(기회비용 포함)만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서브프라임 사태로 투자환경이 불투명해졌지만 투자의 시대는 이제부터 시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투자의 시대의 특징은 위험(risk)과 수익(return) 기회가 공존하

고 투자 대상이 되는 자산의 가격이 큰 폭으로 변동하며 그때마다 유동성의 과부족

상태가 반복된다는 점에 있다 그만큼 투자의 시대에는 자산가격의 일일 변동에 일희

일비하지 않는 다소 모험적인 경영마인드가 요구되는 동시에 위험을 철저히 관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전술한 수요중시형 유동성관리는 투자의 시대에 적합한 자산부채

관리(ALM)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수요중시형 유동성관리는 필요한 만큼의

자금이 필요한 시점에 조달될 수 있는 부채구조 수요자의 요구에 즉시 대응하여 원금

이 확실하게 보장되는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산구조를 필수요소로 하기 때문이

다 물론 개별 은행의 수요중시형 유동성관리로 커버되지 않는 유동성의 과부족은 지

급결제시스템의 최종 책임자인 중앙은행이 해결해야 할 몫인바 차제에 중앙은행은

은행이 발행한 금융채를 RP거래의 대상으로 포함하여 시중유동성과 금리를 조절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만하다

23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맺음말

외환위기는 국내 금융회사로 하여금 위험과 수익의 존재와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그 이후의 금융구조조정은 국내 금융회사의 건전성과 수익

성을 개선시키고 금융산업을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국내 금융회사들은

외환위기와 구조조정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지나치게 위험을 회피하려 하

는 보수적 성향이 몸에 배어 단기 안전자산과 소매금융을 선호하는 대신 위험투자와

장기 기업금융을 회피하여 실물산업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

게다가 현재 우리 금융산업은 수익구조나 비즈니스 모델 등의 측면에서는 개선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고 실물산업 역시 성장동력을 잃고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샌드위

치 신세가 되어가고 있다 작금의 유동성 문제는 우리경제가 당면한 이와 같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는바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금융회사와 금융당국의 지혜가 필

요하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1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1호(2007312)

최근 원화의 약세반전에 대한 일고

朴 海 植

〈요 약〉

2000년 이후 원화는 지속 으로 상되었다가 최근 원화환율이 상승세로

반 되면서 이를 세 환으로 해석하려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원화의 약세

반 을 세 환이라기보다는 일시 인 조정의 결과로 해석하는 것이 훨씬

타당하다고 본다 2000년 이후 원화강세를 주도하 던 요인들이 그 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상수지 자가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

로벌 달러화 약세기조가 국면 환까지 이끌어낼 가능성이 낮아 보이며 국

내 외환시장의 달러화 공 우 도 로벌 유동성이 크게 축되지 않는 상태

에서 소폭 감소에 그칠 망이다 따라서 원화는 재의 조정국면을 거치고

나면 다시 완만한 강세로 환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최근 원화환율의 동향

2000년 이후 원화의 대미 달러 환율(연평균 기준)은 2001년을 제외하고는 2006년

까지 7년 간 하락세를 지속하였다 2000년중에 전년대비 498 하락한 원달러 환율

은 이듬해 전년대비 1413 상승하였으나 그 후 하락세로 반전되어 2005년중에는 전

년대비 1046 하락함으로써 최대 낙폭을 기록하였다 2006년중에도 원달러 환율은

하락세를 지속하여 전년대비 675 하락하였다

이러한 원화의 대미 달러 절상기조로 원화가 상대적으로 큰 폭 절상되어 원화가 아

시아 주요 수출경쟁국 통화에 대해서도 절상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원화의 대미 달

24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러 절상폭이 가장 컸던 2005년중에 원화는 일본 엔화 대만 달러화 싱가포르 달러화

태국 바트화 등에 대해서도 각각 1236 673 894 1048 절상되었다 아시

아 주요 수출경쟁국 통화에 대한 원화의 절상추세는 2006년중에도 지속되어 이들 통

화에 대한 절상률이 평균 약 402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2007년에 들어서면서 원화의 절상기조가 주춤하는 모습을 보여 향후 원화

의 약세전환에 대한 기대가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연초 925원대에서 출발한 원달

러 환율은 2월말 현재 935~940원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처럼 원달러 환율이

상승세로 반전된 가운데 엔달러 환율이 하락세를 유지(2007년 2월말 현재 -063)

하자 시장일각에서는 지난해 908나 하락한 원엔 환율이 더 이상 떨어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국 경상수지 자의 지속 여부

지난 수년 간 원화강세를 이끌어 왔던 배경으로는 단연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

자에 따른 글로벌 달러화 약세를 꼽을 수 있다 따라서 미국 경상수지 적자의 지속 여

부는 원화의 향방을 가늠하는 데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1980년대 초

반부터 지속(1991년 제외)되었던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2006년 6월말 GDP 대비

66까지 확대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는 앞으로도 계속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의 근거로는 먼저 미국경제가 감내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적자규모가 예상외로 매

우 높을 것이라는 분석을 들 수 있다 일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국내지출이 국내소득을

상회할 때 발생하기 때문에 경상수지 적자의 지속 가능성은 두 변수 간의 차이를 외국

자본이 계속 보전할 수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국제자본시장에서 미 달러화

표시 자산에 대한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 미국 경상수지 적자의 역전이 불가피한 상황

이 발생할 수 있다 과거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의 역전을 경험한 멕시코(1994년) 아

시아 국가(1997년) 등에서도 외국자본의 유입이 크게 감소하면서 경상수지 적자가 역

전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미국에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경우와는 다른 특이한 현상이 발견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3

2002~2005년중 미국이 기록한 246조달러의 누적 경상수지 적자에서 85(021조

달러)만이 순대외부채 증가분에 의해 보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국제경제연구

소(IIE)는 나머지 915(225조달러)를 미국이 해외에서 차입한 자금을 외국에 재투

자하여 얻은 자본이득으로 보전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의 근거로 동 연구소는 미

국이 순채무국으로 전환된 지 1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소득수지 흑자기조를 꾸준

히 유지하고 있는 점을 들고 있다

2001~2005년 기간 중 미국의 해외주식투자는 269조달러 증가(직접투자=121조달

러 기타 주식투자=148조달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경제연구소는 이 중에서 상

당부분이 해외차입자금의 재투자를 통해 외국에서 발생한 자본이득 증가분으로 구성

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미국이 경상수지 적자 보전을 위해 해외에서 차입

한 자금의 외국 재투자를 통해 벌어들인 자본이득이 차입자금을 상회하는 한 현재와

같은 경상수지 적자기조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에도 지금과 같이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

로 보는 또 다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미국의 경우 경상수지 적

자가 조정국면에 들어서게 되면 경제성장이 완만하게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보

다 구체적으로 미국의 GDP 대비 경상수지 적자가 1p 감소할 때 향후 3년 간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연간 015p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이 같은 추정치에 근거

할 때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현재의 절반 수준(GDP 대비 33)으로 축소될 경우

향후 3년 간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연간 05p씩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미국의 경제성장세 둔화는 수입수요 감소를 통해 경상수지 적자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전세계 GDP의 약 13을 차지하는 미국경제의 위축은 세계경제의 성

장세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는 미국의 수출실적이 개선될 수 있는 여

지가 그만큼 줄어듦을 의미하므로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오히려 확대될 수도 있음

을 시사한다 이 경우 글로벌 달러화 약세기조가 보다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어 원화강

세가 현재보다 훨씬 장기화될 수도 있다

1) Freund C and F Warnock Current Account Deficits in Industrial Countries The Bigger They Are The Harder They Fall NBER Working Paper No11823 2005

24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엔캐리 트 이드의 격한 청산 여부

2000년 이후의 원화강세를 주도하였던 또 하나의 대표적 요인으로는 국내 외환시

장의 달러화 공급우위가 있다 지난 수년 간 저금리기조 등에 힘입어 글로벌 유동성이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으로의 자금유입이 크

게 늘어났다 올해에도 대규모 투자자금이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으로 유입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제금융연구소(IIF)는 2007년중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으로의 민

간자본 순유입이 2005년과 2006년에 비해 각각 80와 66 감소한 4687억달러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감소폭에도 불구하고 동 규모는 여전히 2004년의 3488억달

러를 1000억달러 이상 상회하는 높은 수준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캐리 트레이드의 급격한 청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주지하다시피 엔화차입을 통한 캐리 트레이드(엔캐리 트레이드)는 글로벌 유동성 증

가를 촉진시킨 주요수단이 되었다 Bloomberg 통신에 의하면 국제자본시장에 유입된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은 약 3000억~1조달러로 추정된다 따라서 엔캐리 트레이드의

급격한 청산은 글로벌 유동성 위축을 통해 국내 외환시장의 달러화 수급에 지대한 영

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캐리 트레이드의 불

확실성을 들 수 있다 캐리 트레이드의 불확실성은 캐리자금이 유입된 자산시장의 가

격변동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경우 그 상당부분이 주식

시장에 유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세계증시의 가격변동성이 증가하면 엔캐

리 트레이드의 청산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중국의 금융긴축으

로 인해 아시아 주요국의 주가가 동반 폭락한 것을 보고 엔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신호

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하지만 금번 중국발 주가폭락을 계기로 앞으로 엔캐리 트레이드가 대거 청산될 것

으로 보는 시각은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중국정부의 긴축정책에도 불구하고 중국

경제는 견조한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단기금융시장이 미발달된 상

황에서 금융긴축의 실효성이 의심시되고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 및 위안화 저평가 등

은 해외부문으로부터의 통화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금융긴축의 효과를 제약할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5

가능성이 높다 또한 중국정부가 올해의 목표성장률을 작년의 성장률(107)을 훨씬

하회하는 80로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이 역시 큰 의미를 부여하기가 어렵다 작년의

목표성장률도 80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중국의 주식시장은 안

정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부에서는 중국보다는 미국발 세계증시의 불안정성을 우려하기도 한다 이러한 우

려의 배경에는 서브 프라임(sub-prime) 모기지대출의 연체율 급증에 따른 미국주가

의 폭락이 있다 그러나 동 문제가 미국경제 및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규모가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전체 모기지대출 잔액의 7~8) 주로 저소득층에 제공되기 때문에 대규모 소비위축

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캐리 트레이드의 불확실성과 더불어 캐리비용의 상승도 엔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일본의 초저금리에 따른 저렴한 엔화차입비용은 엔캐리 트레이

드가 전세계적으로 성행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특히 엔캐리 트레이드는 2004년부터

크게 확산되었다 일본 중앙은행이 양적완화정책을 실시하였던 사이(2001~2006년)

에 일본금리가 제로금리 수준에 머물러 있었던 반면에 미국은 2004년부터 통화긴축

기조로 선회한 이후 연속적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2007년 2월 일본이 양적완화정책 중단 이후 두 번째로 금리를 인상하면서

캐리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엔캐리 트레이드가 본격적인 청산단계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망은 다소 이른 감이 없지 않다 2005년 엔캐

리 트레이드가 한창 성행할 때에 미일 간 금리차는 400p이었으나 현재는 이보다

높은 475p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향후 일본의 추가 금리인상과 미국의 금리인하가

기대되고 있기는 하나 각각 한차례씩만 실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어서 양국

간 금리차가 400p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종합해 볼 때 엔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은 국제금융시장에서 가장 큰 잠재적 불안요

인임이 분명하다 또한 최근에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은 엔캐리 트레이드 참여자들의

위험선호도를 크게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향후 엔캐리

트레이드가 추가로 확대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그렇다고 해서 캐리 트레이드의 불

확실성과 캐리비용이 기존의 엔캐리 트레이드의 대규모 청산을 일으킬 만큼 증대된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24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맺음말

결론적으로 최근의 원화의 약세반전을 대세전환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고 본다 2000년 이후의 원화강세를 주도하였던 요인들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

다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기조가 깨지기는 힘들어 보이며 글로벌 유동성도 크게 위축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의 일시적 조정국면을 거치고 나면 원화는 다시

강세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다만 원화의 절상폭은 과거에 비해 많이 완화될

전망이다 글로벌 유동성 증대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던 엔캐리 트레이드가 추가로

확대되지 않는 가운데 기존의 엔캐리 트레이드가 일부 청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7

한양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6호(2007416)

한미 FTA로 인한 금융산업의 변화

河 駿 坰

〈요 약〉

한미 FTA로 인해 우리나라 융부문은 부분 인 개방 확 제도의 정비

규제의 투명성 강화 미국 진출 환경 개선 등의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개방 확 는 일부 융부수 서비스업에 국한되므로 그 직 효과는 매우

제한 일 것으로 보인다 제도 정비는 소비자보호를 강화하고 규제 감독의

투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기 되는데 이는 장기 으로 시

장원리의 작동을 진함으로써 국내 융산업에서 경쟁을 심화시킬 것이다

한편 한미 양국 융감독당국 간에 반 신뢰도가 높아지고 양국 간 애로

사항 의채 이 구축됨으로써 우리나라 융회사들의 미국 진출에 보다 유

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우리 융산업에서는 제도의 선진화

에 걸맞은 인력의 문화가 가장 실한 과제로 두될 망인데 미국 진출

을 통한 문인력 양성을 좀 더 극 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미 FTA가 타결되면서 금융부문에서도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이제 FTA

로 인해 금융부문에서 어떠한 변화가 일어날지 차분히 가늠해볼 때이다 이번 FTA를

통해 우리나라 금융부문은 부분적인 개방 확대 제도의 정비 미국 진출 환경 개선 등

의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가 우리 금융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 또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알아보자

24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추가 개방분야의 범 는 매우 제한

우선 한미 FTA를 통해 금융부문에서 추가로 개방되는 분야는 보험중개업 및 일부

보험부수 서비스업 등의 국경간거래이다

보험중개업의 경우 비대면 방식을 전제로 국경간거래가 허용되는데 비대면 방식을

유지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거래확대를 기대하기 어렵다 현재에도 허용되고 있는 국

제교역 관련 보험 생명보험 장기 손해보험 등의 비대면 방식 국경간거래의 경우 그

거래규모는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예컨대 생명보험 역외보험료 송금실적은 2005년

34억원으로 국내 생명보험 시장의 01 미만이며 손해보험의 전체 역외보험료 송금

실적은 2005년 1432억원(대부분 수출입 관련)으로 국내 손해보험 시장의 06 수준

에 불과한데 이 중에서도 일부분만이 국경간거래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현

행법에서도 보험중개사는 국내법에 명시된 자격요건을 충족하면 국내에 주재하면서

중개행위를 할 수 있는데 비대면 방식을 유지하는 한 굳이 국경간거래를 통해 거래를

시도할 가능성이 적다

다음으로 보험부수 서비스업 중 위험평가와 컨설팅의 경우에는 현재 명확한 법규정

없이 허용되던 거래를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FTA로 인한 거래규모의

실질적 확대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들 분야에서는 지금까지 명확한 관련 규정이 없

었는데 FTA를 계기로 등록요건이 신설되므로 오히려 규제가 강화되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

보험부수 서비스 중 계리 및 손해사정 서비스의 국경간거래도 사실상 자연인의 국

내 방문이 수반되어야 거래확대가 가능하므로 현재에도 허용되고 있는 상업적 주재를

통한 개방과 큰 차이는 없을 것이다 이들 분야에서는 현재 국내법에서 규정된 자격제

한과 유사한 기준을 부과하는 조건으로 국경간거래가 허용되므로 더더욱 큰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일부 법규제의 정비가 상

다음으로 한미 FTA가 법규제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그간 제도정비가 미비했던

부분을 중심으로 일부 법령과 규정의 정비가 예상된다 이와 관련한 협상타결내용과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9

그 영향을 알아보자

우선 금융정보의 해외 위탁처리가 허용되는데 이는 개인정보보호 등을 위한 금융

감독을 전제로 2년 유예 후 가능해진다 이와 관련해서 금융정보처리 해외위탁과 관

련한 사전 허용기준 및 사후 감독규정이 마련될 예정이다 아울러 한미 양국 감독당국

간 정보교환을 위한 근거가 마련되면서 당국 간 협조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 우체국보험에 대한 감독이 강화됨으로써 우체국보험에 주어진 특혜가 축소되는

데 이에 따라 금감위와 정보통신부와의 협의를 강화하기 위한 절차가 마련될 것이 예

상된다

한편 앞에서 언급한 일부 분야에서의 국경간거래 확대에 따라 국경간거래 공급자의

등록요구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법규 정비가 있을 전망인데 이를 통해 건전성 감독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 신금융상품은 국내법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되고 신상품 승인 요건

이나 기간 등의 측면에서 투명성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는 국내 규제 관행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촉매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임시 세이프가드의 관철은 국내 금융시장의 안

정성과 관련한 우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상의 제도적 변화들은 전반적으로 금융규제가 글로벌 스탠다드에 가까워지고 투

명해지는 데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규제가 투명해지면 시장원리의 작동이 더

욱 원활해지면서 중장기적으로는 금융회사들 사이의 경쟁이 심화될 것이며 미국 금융

회사들의 국내 진출도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융회사들의 미국 진출 확 가능성

한편 한미 FTA로 인한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미국 진출 확대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이 논의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우리 금융부문이 미국에 비해 경쟁력이 약

하므로 수세적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볼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또 미국 주법에 규정

된 미국 주재 외국 금융회사들에 대한 규제와 관련해서는 연방제라는 미국 정치제도

의 특성상 FTA를 통해 이를 우리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바꾸기가 어렵다는 현실적 제

약요소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25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신뢰 증진을 통해 미국 진출에 유리한 환경 조성

그러나 미국의 외국 금융회사들에 대한 규제는 명시적 법규뿐만 아니라 감독당국과

금융회사 간의 신뢰 그리고 그 밖에 외국 금융회사 본국 금융제도의 적절성 등의 부수적

정보에도 많이 의존한다 미국 감독당국이 외국 금융회사들을 모국(home country)에

따라 다르게 분류하고 이에 근거해서 감독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

다 미국 FRB의 경우에도 주요 28개국을 적절한 금융감독이 이루어지는 국가들로 분

류한 후 이 사실을 감독에 반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 28개국에 이미 포함되어 있

지만 한미 FTA로 인해 금융규제가 투명해지면 명문화되지 않는 ldquo신뢰rdquo의 수준이 높

아짐으로써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미국 영업에 보다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미국 진출 애로 해결을 한 정부 간 의채 구축

또 한미 FTA 금융협상에서 미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영업 관련 애로

사항 해결을 위해 양국 정부 간에 정기적 협의채널을 확보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번 FTA 금융협상에서도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애로사항 중 세 가지가 해결의 실

마리를 찾았다고 한다 은행업의 경우 뉴욕주에 진출한 우리나라 은행들에 대한 자산

유지의무비율이 폐지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는데 이는 우리 은행들이 미국에서 영업하

는 데 따르는 자산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미국시장에서 우리 은행들의 위

험도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보험업의 경우에도 미국 측

은 재보험 담보요건을 완화하는 법 개정을 2007년 중에 추진하기로 하였다 증권업과

관련해서는 미국 현지법인 직원 자격요건을 완화하고 자격을 상호 인정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이 밖에도 더 많은 애로사항들이 양국 정부 간에 정기적으로 논의될 것이 예상되는

데 한미 FTA를 통해 설치되는 금융서비스위원회와 보험 실무작업반 회의는 미국 측

의 약속을 모니터링하고 새로운 애로를 해결하는 데 매우 유용한 채널이 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채널을 금융회사들이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이다 협의채널의 유용성은

궁극적으로 금융회사들의 관심 정도에 달려 있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1

제도 선진화에 걸맞은 인력의 문화가 필요

이상에서 한미 FTA로 인한 개방분야 확대의 직접적인 충격은 작을지라도 규제감

독의 투명화와 경쟁심화가 예상된다는 점 그리고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미국 진출 용

이성을 높일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었다는 점 등이 주목할 만하다

금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와 인력 두 가지가 모두 뒷받침되어야 한다

전문인력의 확보는 국내 금융부문의 변화에 대한 수용능력(absorptive capacity)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면서 동시에 우리나라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이다 따라

서 FTA로 제도의 선진화가 촉진될 것이 기대되는 지금 우리 금융산업에서는 인력의

전문화가 가장 절실한 요구사항으로 대두될 전망이다

미국시장 진출을 통한 문인력 양성을

금융전문인력 양성의 가시적 성과를 위해서는 시장에서의 경쟁을 통한 훈련이 뒷받

침되어야 한다 한미 FTA로 미국 진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더욱 많

은 금융인력을 미국시장에 내보내어 이들로 하여금 전문역량을 쌓도록 훈련시켜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미국 현지법인이나 지점도 단순히 재미교포를 상대로

하는 틈새시장에 안주하거나 연락사무소 역할을 하는 데 머물지 말고 전문인력 양성

의 장을 제공하고 장기적으로는 미국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

다 필요하다면 현지법인을 사서라도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게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

요가 있다

25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21호(2007521)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운용방안

金 秉 德

〈요 약〉

세계 인 유동성 과잉상태에서 각국은 투자 상을 다변화하여 수익률을

극 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민연 도 변하는 자본시장 환경하

에서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험조정 수익률을 제고하기 해 향후 수십

년간 수백조원의 해외투자 자산을 증가시킬 것으로 망된다 우리나라가 아

시아의 융허 로 도약하기 해서는 이 기회를 선진 융 노하우를 국내로

이 시키는 데 있어 략 지렛 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서 국민

연 이 해외 융회사의 인수 는 지분투자를 통해 동 회사를 해외투자의

기지로 이용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략 투자기회

를 극 화하기 해서는 국민연 의 자산운용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자산운용

조직도 독립 인 투자 문회사로 재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전 세계적인 유동성 과잉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막대한 자금으로 무장한 사모투자

펀드(PEF)들은 국제적 MampA시장에서 메가 딜(mega deal)을 성사시키고 있다 고유

가로 엄청난 부를 축적한 산유국가들도 과거에는 오일머니를 선진국 은행 또는 국채

등의 우량자산 중심으로 투자하다가 이제는 헤지펀드 및 사모펀드투자 등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다 중국을 필두로 하는 신흥시장국의 높은

성장과 더불어 국경 없이 드나드는 풍부한 유동성으로 인해 각국의 주식시장은 최고

치를 경신하는 등 글로벌 자본 시장은 행복감(euphoria)에 충만해 있다

국내자본의 해외투자도 과거와는 많이 다른 양상이다 국내 개인부문 유동성의 상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3

당부분이 해외투자로 다변화되고 있다 해외 주식시장 및 부동산시장의 호황으로 해

외 주식형펀드 및 해외 리츠재간접펀드의 수탁고가 꾸준히 증가하여 2007년 4월말

각각 20조원 6조원 내외에 이르고 있다 투자 대상도 단순한 주식투자뿐만 아니라

부동산 인프라 미술품 원자재 곡물 와인 등 수익이 예상되는 곳이라면 세계의 구

석구석까지 대한민국의 자금이 찾아다니고 있다 투자를 업으로 하는 금융회사뿐만이

아니라 개인들도 삼삼오오 짝을 지어 직접 해외의 투자처를 찾아다니는 현상까지 발

생하고 있다 과히 글로벌 자본시장의 전쟁에서 우리 국민도 더 이상 방관자로 남아

있지 않는 상황이다

이러한 전 세계적인 투자의 다변화는 풍부한 유동성에 기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이

다 한편 국내의 공공부문의 자금도 해외투자를 통한 투자 다변화가 필연적이다 본고

에서는 국내 공공부문 중에서 가장 자금 잉여가 많은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해외투자

와 관련된 현황 및 이슈들을 살펴보고 향후 지향해야 할 투자정책의 보완점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국민연 해외투자 증가의 필연성

최근 국민연금법 개정과 관련하여 갹출금 및 급부율을 조정하여 연금재정을 안정화

시키는 법안이 국회에서 활발히 논의되는 반면 한편으로는 국민연금의 자산운용과 관

련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소외된 느낌이다 현행 제도하에서 국민연금의 기금적립금은

2035년에는 17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계되는데 단순 계산으로 연 1p의 자산운용

수익률의 제고는 17조원의 추가수입을 의미하며 매년 1p 수익률이 제고된다고 가정

할 때 복리의 마술에 의해 수십 년 후에는 기금적립금에 수백조원의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국민연금의 자산운용 시스템을 자본시장의 환경변화에 맞게 재조정하는

것이 시급하다

우선 국민연금의 향후 해외부문 증가는 필연적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국내

자본시장 대비 기금적립금의 규모가 과다하여 국내시장에서만으로는 시장중립적인

운용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국내시장과 상관관계가 낮은 다양한 해외투자 대상으

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함으로써 기금 전체의 위험조정 수익률을 제고할 수 있기 때

25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문이다

실제로 기금운용위원회에서 의결된 5년 단위의 국민연금 중기자산배분계획안에서

도 해외투자의 비중을 2006년말 현재 91(해외주식 07 해외채권 84)에서 2011

년 말에는 15 내외까지 증대시키되 특히 해외채권의 비중을 5 이내로 줄이고 해외

주식의 비중은 1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동 중기계획안이 충실히 이행된다면 2011년 말에는 국민연금의 적립금은 350

조원 내외에 이르고 이 중 해외투자는 52조원 내외가 될 전망이다 단순계산으로

2035년에 적립금이 1700조원에 이르고 이 중에서 해외투자의 비중이 20 내외라고

가정할 경우 해외투자 금액은 340조원에 이를 것이다 실로 막대한 금액이다

해외투자 증가와 융허 육성의 지렛

현재 국민연금의 해외투자는 대부분 선진국의 우량채권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해외

주식도 인덱스중심의 수동적(passive)투자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중장기자산

배분 목표대로 해외투자가 증가할 경우 향후 십여 년간 매년 수조원 이상의 외국 주식

매입이 진행될 전망이다 결국 향후 해외주식 투자의 방향도 수동적 투자에서 투자대

상 시장을 신흥국가 등으로 다변화하고 투자방식도 적극적(active)투자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만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필자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확대를 우리나라가 아시아의 금융

허브로 발전하는 데 전략적인 지렛대(strategic leverage)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이다 아시아 금융허브의 선점을 위해 경쟁하고 있는 홍콩 싱가폴 상하이 동경 등

과 우리나라를 비교할 때 언어 지리적 위치 노동 유연성 국민적 개방성 등의 측면

에서 우리나라가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는 요소들은 별로 없다 단지 국민연금을 포함

하여 향후 급속히 고령화되는 국내의 베이비 붐 세대가 축적한 막대한 자산이 국내외

금융시장에 투자될 것이라는 점이 유일한 상대적 강점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이 해외투자를 확대하고 투자대상을 다변화할 때 유수의 국내외

투자은행 자산운용사 등을 이용하게 될 것이다 무릇 모든 계약의 관계는 협상력

(bargaining power)을 보유하는 ldquo갑rdquo측과 이에 가급적 순응하고 요구를 순응하는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5

ldquo을rdquo측 간에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자금을 주고 자산운용을 위탁하는 국민연금이

협상의 주도권을 갖는 ldquo갑rdquo측에 해당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해외 금융회사의 위

탁 또는 자문 서비스를 통해서 막대한 금액을 투자함에 있어서 협상의 주도권을 가진

국민연금이 상대방으로부터 원하는 것을 최대한 확보하려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단순히 투자자산의 수익률 확보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자산운용업 및 금융

산업의 실질적인 노하우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 데 밑거름이 되어야 한다는 것

이다 말하자면 우리보다 선진 기법을 가진 외국 금융회사들을 이용하여 해외투자를

확대하되 이번 기회를 그들의 노하우를 완전히 국내 금융산업으로 이식시킬 수 있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향후 십수년간 막대한 금액을 해외에 투자함에 있어

서 이는 실제로 엄청난 도약의 발판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회를 허비할 경우 우리

나라가 아시아의 금융허브로 도약하는 것은 요원하게 될 것이다

체투자 극 MampA시장에의 참여

30년 정도의 중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좀 더 적극적인 발상을 한다면 향후 수백조

원의 해외투자를 위해서 타 금융회사와의 컨소시엄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적절한 규

모의 해외 투자은행이나 금융회사를 인수하거나 지분 투자하여 동 회사를 국민연금의

해외투자의 전초기지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 세계적으

로 손꼽히는 막대한 자금을 운용해야 하는 입장에서 이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전략

적 사고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대체투자 등의 방법을 통해 국내외적 MampA 시장에

도 적극 참여해야 할 것이다

혹자는 국민연금의 부채측면을 고려하여 기금적립금은 채권위주의 안정적이고 현

금화가 용이한 자산에만 투자해야 한다는 조심스러운 우려를 하기도 한다 물론 모든

국민의 노후 생활자금이니 부채구조를 고려하여 자산운용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

러나 강조하고 싶은 것은 막대한 적립금의 일부분이 분산투자 차원에서 해외투자 및

대체투자로 전환되는 과정이고 동 투자를 실행함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과 기회를 활

용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국민연금의 부채 구조를 고려할 때 다양한 해외자산

및 대체투자자산이 자산 부채 간의 듀레이션 매칭 측면에서 문제가 될 가능성은 크지

25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않다고 판단된다 관건은 취득자산의 질이 문제이지 질 좋은 자산은 다양한 방법으로

유동화가 가능하고 시장에서의 매각도 용이하다 수십년 후에 본격화될 연금의 급부

금 구조에 지레 겁을 먹고 그때까지 투자기회를 최대한 활용치 않는 것은 어설픈 핑계

에 불과하며 결국 탓할 것은 자산운용 주체의 전략적 사고와 노하우 부족이라고밖에

할 수 없다

국민연금이 해외투자와 관련된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산운용 조직의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와 같은 극도로 강조된 비전문가 위주의 기금운용위

원회에서는 전략적 투자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불가능

하다 선진 자산운용위원회를 벤치마크하여 위원수를 10여명 내외로 줄이고 상설화하

되 독립적인 성과평가체제하에서 위원들의 권한범위가 부문별로 명확히 규정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기금운용조직은 독립적 투자전문회사를 설립하여 전액 위탁

운용하는 방안이 민간방식의 투자기법을 활용하여 투자기회를 극대화하는 데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7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4호(2007611)

해외직접투자 및 외국인직접투자 현황과 시사점

李 圭 馥

〈요 약〉

해외직 투자는 외환시장뿐 아니라 실물경제에도 큰 향을 수 있는 요

한 요소로 우리나라는 최근 외환수 조 을 한 해외직 투자 증 를 추구

하고 있는 동시에 국내투자 부진에 한 안으로 외국인 직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 투자나 외국인직 투자 규모는 아직 다른

OECD국가들에 비하여 매우 은 수 인데 특히 안정 인 국제수지 선진기

술이나 경 노하우 습득 등을 하여 외국인직 투자를 진시킬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경제에 정 인 향을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부품 소재 서비

스 산업들을 유치하기 해서는 외국인투자자에 한 우 조치 강화보다 연구

생산 등에 한 집 효과를 극 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과 아울러 신

개발기술이 시장에서 신속하고 정하게 평가되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 한 해외직 투자의 경우 외환수 리 등을 하여 규모

를 늘릴 필요성이 있으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하여 리스크가 높은 지역

이나 산업으로의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한 리스크 리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해외직접투자는 기업의 생산요소 중 자본 경영능력 기술 상표 등을 해외 현지국

으로 이전하여 이것들을 현지의 생산요소인 노동 및 토지와 결합하여 제품을 생산 판

매하는 기업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직접투자의 유출입은 자본의 이동에 의하여 외

환 및 금융시장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투자나 무역의 증감 등을 통하여 실물경제에

25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환위기 이전에는 외국인직접투자(외국인의 국내투자)보다 해외

직접투자(내국인의 해외투자) 규모가 더 컸으나 외환위기 이후 정부의 외국인직접투

자 활성화와 함께 수지가 반전되었다 2006년 이후에는 외환수급 조절 차원에서 해외

직접투자를 촉진하여 다시 해외직접투자 규모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올해에도 외환수급 조절을 위한 해외직접투자 규모 증대

를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동시에 국내투자 부진에 대한 대안으로서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정책들을 시행 중에 있다

이하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와 외국인직접투자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

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외국인직 투자는 감소세인 반면 해외직 투자는 증가세를 기록

한국은행이 집계한 자본수지 내역을 토대로 GDP 대비 해외직접투자와 외국인직접

투자 규모를 살펴보면 외국인직접투자는 1999년 GDP 대비 21를 기록한 이후 전반

적인 감소 추세를 기록하여 2006년에는 04를 기록하였다 반면에 해외직접투자는

199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2002년 GDP 대비 048를 저점으로 늘어나기

시작하여 2006년에는 외국인직접투자 순유입액의 약 2배 정도인 GDP 대비 08까

지 증가하였다

산업자원부에서 집계되는 자료를 토대로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외국

인직접투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으로의 투자가 늘어났으며 최

근 정부의 노력과 함께 소재 부품산업으로의 투자비중이 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규

모는 크지 않은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미주지역보다 유로지역으로부터의 투자가 늘어

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수출입은행에서 집계되는 해외직접투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서비스업보다는 제조업 중심으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와

북미로의 투자가 가장 많으나 최근에는 유럽 중남미 아프리카 등으로의 투자가 늘어

나고 있는 추세이다 규모 면에서는 외국인직접투자가 해외직접투자보다 전반적으로

대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9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GDP 비 직 투자 규모

사실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는 외국인직접투자나 해외직접투자의

규모가 적어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은 상태여서 전반적으로 규모를 우선

확대할 필요가 있다 2003sim2005년 동안 우리나라는 GDP 대비 연평균 06의 해외

직접투자 순유출을 기록하고 GDP 대비 08의 외국인직접투자 순유입을 기록한 데

비해 같은 기간 동안 OECD 국가들은 GDP 대비 연평균 24의 해외직접투자 순유

출과 GDP 대비 18의 외국인직접투자 순유입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

나라의 경우 외국인직접투자의 증대는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아직 성장여력이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인직접투자는 진보된 기술이전 선진 경

영노하우 전수 등을 통하여 국내경제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

으로 예상된다

또한 거시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다른 종류의 해외자본 유입보다 매우 안정적인 자금

의 성격을 가진 외국인직접투자의 규모 확대는 매우 중요하다 여러 나라의 외환 위기

에서 경험하였듯이 주식 채권 등에 대한 투자는 매우 변동성이 높고 투기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어 외환위기의 발생 원인이 되거나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반면에 외국인직접투자는 신흥시장국들 사이에서 변동성이 적

고 안정적인 투자 형태로 선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본흐름(Capital Flows)의 변

동성과 경제성장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자본흐름의 안정은 국내경제의 안정으로 이어져 국내 경제성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주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외국인투자자에 한 우 조치 강화보다는 투자여건 조성에 노력해야

외국인직접투자 유치가 절실하기는 하나 문제는 각국 정부들이 외국인직접투자의

장점을 인식하면서 규제개혁 세제혜택 등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한 우대조치를 강화하

는 등 투자를 유치하려는 경쟁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쟁 속에서 우리나라에게 필요한 양질의 외국인투자를 유치하기

26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내의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1) 세제혜

택 보조금지급 등을 외국인투자에게 제공하는 정책은 외국인직접투자의 규모를 증가

시키기는 하였으나 자국 경제의 생산성이나 효율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노동시장의 유연성 국내 인프라의 질 기업의 경영환경 등

외국인투자자에게 우호적인 국내환경을 이유로 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가 경제의 발

전에 더욱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우리나라는 고부가가치의 부품 소재 산업 등에 관한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

함으로 국내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이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고부가가치의 부품 소

재 서비스산업 및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 등은 여러 기업들이 자유롭게 경쟁하며 제품

의 품질 향상 등을 이룩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에 대한 국내 기업육성 해외 여러 나라로부터의 동시투자 유치 등 연구 및 생산

에 대한 집적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부품 소재 산업의

경우 신개발기술이 올바르게 평가를 받을 수 있고 그에 해당하는 적절한 보상을 얻을

수 있는 시장형성도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즉 지적재산권 보장과 함께 기술거래나

MampA 등의 활성화를 통하여 새로운 기술개발들이 시장에서 신속하고 적정하게 평가

받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험 리를 고려한 해외직 투자 확 필요

한편 우리나라는 현재 주식이나 채권시장에서의 외국인투자자금 유입 급증으로 인

하여 외환시장 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해외투자를 통한 외환수급 및 환율안정을 위한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정부는 해외직접투자의 경우 자원 및 에너지

개발 해외 인프라 금융산업 등을 중심으로 해외직접투자 촉진과 해외 부동산투자 규

제완화 등을 실시할 것을 올해 초 발표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진출하기를 원하는

산업은 선진국뿐 아니라 중국 등 신흥시장국들도 최근 축적된 외환보유고 등을 바탕

으로 활발히 진출하고 있는 업종들로 양질의 투자처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심화됨

1) Does Foreign Direct Investment Help Emerging Economies Anil Kumar Economic Letter FRB Dallas Vol2 No1 January 2007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1

에 따라 가치 있는 기업이나 지역의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자원 및 에너지 개발투자는 좀 더 리스크가 큰 초기단계의 투자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으며 최근 제조업의 경우 이미 투자가 많이 이루어진 중국을 대체하여 동남

아 국가 등으로의 투자가 관심을 끌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최근 해외직접투자는 리

스크가 높은 국가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신흥

성장잠재국으로의 진출은 미시장 개척이나 생산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반면 인프라의 부족 숙련노동자의 부족 정책의 불확실성 등의 리스크를 감안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관심투자대상국가의 정책 투자환경 변화 적정 진출시점 등에 대한 정보

인프라를 강화하여 신속한 정보수집과 이에 따른 적정한 가치측정 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신흥시장국 또는 자원개발 등 리스크가 높은 국가나 산업으로의 진

출과 함께 기술습득 선진 인프라 사용 등을 목적으로 하는 선진국으로의 투자촉진을

통한 리스크 분산 등 투자포트폴리오 조절에 의한 리스크관리 강화 역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6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7호(200772)

국제석유자본의 팽창과 활용방안

宋 在 殷

〈요 약〉

2002년 이후 고유가로 엄청난 자 을 벌어들인 석유수출국들이 오일머니

사용패턴을 소비지출 심에서 해외투자 심으로 바꿈에 따라 오일머니를

활용하기 한 우리의 응 한 건설수주와 같은 기존의 통 방식에서

벗어나 융자본의 활용이라는 에 을 두고 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생겼다 특히 아랍산유국들의 경우 과거에는 미국 등의 은행에 석유자본을

치하거나 우량자산을 구입하는 방식으로 운용하 으나 이번 유가 상승기

에는 투자 다변화를 통해 아시아 경제권에도 상당한 심을 보이고 있다 이

제는 이러한 다변화를 단순한 투자자 유치의 기회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보

다 극 이고 장기 인 안목에서 우리 융기 들이 로벌 융기 으로

발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를 해 말 이시아 등에서 추진되고

있는 이슬람 융허 구축 움직임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

며 다양한 경로로 국제석유자본에 근하기 한 융기 간 정보연구 네

트워크 구축과 정보수집 등에 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단된다

미국 경상수지 적자의 지속적 증가에 따른 국제불균형 심화에 대한 논의 등에 있어

중국 및 아시아 신흥경제국가들의 경상수지 흑자에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작년 한 해에만 총 5700억달러 이상으로 추산되는 석유수출국가들의 경상수지 흑자

는 상대적으로 덜 조명을 받고 있다

하지만 석유수출국가들의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는 현재 국제금융시장 최대의 본원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3

적 자금공급원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아랍산유국

들의 지나친 경상수지 흑자는 작년 IMF회의에서 문제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는 결국 석유수출국가들의 해외순자산 및 외환보유고

의 증가 즉 국제석유자본의 팽창을 의미한다 더욱이 현재의 고유가기조가 상당기간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국제석유자본의 팽창도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과거 고유가 기간과 비교하여 이번 국제석유자본 팽창의 특성을 소개하

고 아랍산유국들의 경우를 중심으로 이의 적절한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오일머니 활용패턴 변화 해외투자 성향 증가

물론 이번 국제석유자본 팽창은 무엇보다 2002년 이후 고유가와 이에 따른 석유수

출액 증가에서 비롯한 것이다 2002년 평균 유가(두바이유 기준)가 배럴 당 26달러일

당시 3000억달러 수준이던 석유수출국가들의 석유수출은 작년 평균 유가가 배럴당

62달러 가까이 상승함에 따라 약 9700억달러까지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지난 5년간 총 1조 4000억달러에 달하는 국제석유자본의 급격한 팽창은 석

유수출 수입 증가만이 아니라 석유수출국가들의 상품 및 서비스 수입 성향이 감소한

것에도 기인한다 2002년 당시 석유수출국가들의 경상수지 흑자가 총 880억달러였던

점을 감안하면 이 기간 석유수출액 대비 경상수지 흑자비율은 29에서 60까지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이는 1990년대에 저유가로 타격을 입었던 석유수출국가들이 그 교훈으로부터 이번

고유가기간에는 소비지출 대신 저축에 신경을 쓰고 있으며 이렇게 저축된 자금이 해

외투자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 이들 국가의 GDP 대비 저축률은 지

난 5년간 11p 증가하였는데 같은 기간 국내투자의 비중은 거의 변하지 않았고 해외

저축을 의미하는 경상수지 흑자의 비중만 상승하였다

26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석유수출국 해외투자 지역 유형 다변화

이번 국제석유자본 팽창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석유자본의 운용 가운데 BIS 회

원은행 및 미국과 독일 금융시장의 거래상대방 자료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이 과

거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는 사실이다 BIS에 따르면 1978sim82년 당시 석유수출국

가들의 총투자가용자금 가운데 이러한 자료에 포착되는 부분은 절반 정도였으며 이

후 저유가기간 동안에는 이들의 투자자금 운용내역 거의 전부가 동일한 자료를 통해

파악 가능하였다 그러나 1999sim2005년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규명할 수 있는 부분은

30정도로 대폭 하락하였다

이러한 공식적인 거래상대방 자료로 파악할 수 없는 투자형태로는 첫째 미국이나

독일 이외의 지역에 대한 투자(BIS 회원은행 예치는 제외) 둘째 역외금융센터를 이

용한 미국이나 독일에 대한 우회 투자 셋째 미국이나 독일에서 투자자 정보를 공개

하지 않는 헤지펀드 및 사모펀드에 대한 투자 등 세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국제

석유자본의 흐름 중 이러한 형태의 투자들이 증가했다는 것은 결국 석유수출국가들의

해외투자가 다양한 지역 및 유형으로 분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석유수출국가들의 해외투자 다변화는 과거 미국과 유럽의 은행 예치 및 우량자산

구입을 중심으로 극히 보수적으로 자금을 운용하던 아랍산유국들이 보다 적극적인 투

자에 나선 데에 따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IIF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걸프협력회의

(GCC)의 해외자산 증가분 5400억달러 가운데 주식투자(383)의 비중이 채권

(326)이나 은행예금(67) 등 다른 자산에 대한 투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아시아에도 적어도 600억달러 글로벌 투자자들에 의한 재투자를 고려하면

이를 훨씬 상회하는 자금이 투자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융산업 로벌화를 한 국제석유자본의 활용

과거 유가상승과 중동경기 활황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 상품수출 및 건설수주에 집

중되어 왔다 물론 아랍산유국들의 수입소비성향이 이전에 비하여 낮아졌다고는 하지

만 비중이나 규모 면에서 석유수출대금의 상당 부분이 수입을 통하여 해외로 환류되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5

고 있는 만큼 이러한 관점은 여전히 유효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아랍산유국들의 저축성향이 증대되고 이를 통해 발생한 투자자금 운용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게 됨에 따라 우리도 이에 대응하여 이러한 자금을 활용하는 방

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에 있어 우리 경제에 필요한 외자공급이 불충분하다

고 할 수 없는 현재 상황에서는 과거의 산업자금 유치활동과는 다른 새로운 방안이 요

구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 국제석유자본에 대한 관점은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글로벌화에 유

용한 금융자본이라는 시각에 기반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랍산유국의 역외금융센터 및 펀드 선택을 주의 깊게 연구하는 한편 궁극적으로

는 글로벌 금융기관처럼 우리나라 금융기관들도 국제석유자본의 운용에 참여할 수 있

는 방안을 찾아보아야 한다 지금 당장 중동의 금융센터에서 글로벌 금융기관들과 직

접 경쟁하는 것은 무리겠지만 이를 염두에 두면서 중동 금융센터는 물론 각종 틈새시

장으로의 진출을 통해 인지도 및 경험을 쌓아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동 석유자

본이 아시아 경제에 진출을 시작한 현재의 상황은 우리나라 금융기관들이 그러한 틈

새시장을 발견하는 데 좋은 기회일 것이다

이러한 중동 금융시장 진출에 대하여 이미 일부 금융기관에서 연구를 시작하고 있

으나 이러한 작업의 초기비용을 생각하면 금융기관 간 정보교환 및 연구 네트워크

구축은 물론 정보수집 등에 대한 정부차원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융기관들의 중동 금융시장 진출은 대규모 금융자본 활용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호황을 보이고 있으나 거품붕괴 위험 역시 존재하는 중동지역 투자를 위한 정보의 수

집분석에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슬람 융에의 참여를 검토할 필요

국제석유자본에 접근하는 구체적인 방안의 하나로는 lsquo이슬람 금융rsquo에의 참여를 들

수 있을 것이다 lsquo이슬람 금융rsquo은 이슬람 율법에 의해 인가받은 금융상품을 개발판

매하는 것으로서 이슬람 투자자들은 이런 상품에 대해 상당히 높은 충성도를 보이고

있으며 그 규모는 총 4500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6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러한 lsquo이슬람 금융rsquo은 원래 선진국 금융기관들에 의하여 개발되어 런던 금융시장

등에서 거래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말레이시아나 바레인 등에서 해당지역 종교적 배

경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이들 국가는 자국 금융시장을 lsquo이슬람 금융허

브rsquo로 육성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중이다

우리나라 금융기관들이 이러한 움직임을 활용하여 lsquo이슬람 금융rsquo에 참여할 수 있다

면 이에 유입되는 중동 석유자본을 직접 운용하는 경험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지도 축적 및 이슬람 친화적 이미지 구축을 통해 향후 중동 금융시장에 직접 진출하

는 데에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인민은행은 이미 이슬람 금융의 감독기구인 lsquo이슬람금융서비스위원회rsquo에 찬조

회원으로 가입하여 자국 은행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일본은행 역시 가입을 서

두르고 있다 또한 일본국제협력은행은 lsquo이슬람 채권rsquo 발행을 통해 말레이시아의 lsquo이

슬람 금융허브rsquo에 참여하기 위하여 미쓰이스미토모은행과 더불어 공동연구를 추진하

고 있다

시기를 놓친다면 미래에도 우리 경제의 중동 석유자본 이용은 글로벌 금융회사들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형태가 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앞서 강조한 금융기관들의 협력 및

정부의 지원 아래 lsquo이슬람 금융rsquo 참여에 대한 신속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

단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7

한양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6호(2007910)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의 향후 전망과 시사점

河 駿 坰

〈요 약〉

미국의 서 라임 모기지 부실화 문제는 출구조를 감안할 때 미국의

폭 인 리인하가 없는 한 2008년 하반기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세계

융시장은 주요국 앙은행들의 정책공조로 인해 통제할 수 없을 정도의

기로까지는 가지 않겠지만 험에 한 재평가와 함께 안 자산 선호경향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조정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고수익-고 험 자산에 한 선호가 약화되는 과정을 겪을

가능성이 많지만 서 라임으로 인한 직 피해는 제한 일 것이다 정책

당국은 서 라임 사태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과잉 유동성과 험 리 소홀

이라는 우리 경제의 문제 이 더 커지기 에 이를 방하는 지혜가 필요하

다 서 라임으로 인해 융시장이 지나친 혼란에 빠지는 것은 막아야 하겠

지만 그것이 유동성 리와 건 성 감독을 소홀히 하는 빌미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부실문제가 전세계 금융시장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서도 이미 주가 금리 환율 등 주요 경제변수들이 뉴스에 민감하게 움직이면서 변동

성이 매우 커졌다 이 사태가 앞으로 얼마나 오랫동안 어느 정도의 강도로 지속될 것

인지가 초미의 관심사이다

26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서 라임 사태의 근본 원인은 리와 방만한 출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의 향배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대출

구조와 문제의 증폭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은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이 쉽게 주택을 구입할 수 있도록 보통 대출 시점부터 2년까지는 낮은 고

정금리를 적용하되 2년이 지난 후에는 변동금리로 갈아타게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모기지 브로커들은 저신용자들에게 ldquo만약 2년 후에 원리금을 갚기 어렵게 되면 집을

팔아서 돈을 갚으면 된다 집값이 오를 것이기 때문에 중도상환 수수료를 내더라도 남

는 장사이다rdquo는 식으로 대출을 권유하였고 이에 따라 많은 저신용자들이 내집마련의

꿈을 실현하고 자본이득을 올리기 위해 주택을 구입하게 되었다 이렇게 늘어난 주택

수요는 주택가격을 더욱 올리는 힘으로 작용하였고 이는 다시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급증을 야기하는 거품생성구조가 만들어졌던 것이다

이러한 거품이 지속될 수 있으려면 저금리가 유지되는 가운데 집값이 계속 올라야

한다 실증분석을 해 보면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다른 자산가격의

경우에서처럼 금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주택과 같이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

한 자산의 가격은 금리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2004년 가을부터 2006년

여름까지 17차례에 걸쳐 진행된 미국의 금리인상은 집값 상승추세를 꺾고 모기지 차

입자들의 이자부담을 늘려 거품을 가라앉힘과 동시에 서브프라임의 잠재적 부실을 드

러내게 된 것이다

모기지 리와 서 라임 연체율 사이의 시차 계와 사태의 장기화 가능성

결국 서브프라임 부실문제가 얼마나 지속될 것인지는 이러한 금리인상의 부정적 영

향이 얼마나 오래 갈 것인지에 달려 있다 앞서 살펴본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구조를

감안하면 오늘 부실화되는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2년 전에 대출되었던 것이 대부분이

다 즉 지난 2년 동안에는 낮은 고정금리가 적용되어 왔기 때문에 어떻게든 버틸 수

있었지만 고정금리 기간이 끝나고 실세금리에 연동된 변동금리로 갈아타게 되면서 원

리금 상환부담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진 대출들이 부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9

이렇게 단순하게 계산해도 서브프라임 모기지 금리의 인상과 모기지 연체율의 상승

사이에는 2년 정도의 시차가 있게 된다 즉 오늘 금리를 올리면 오늘 나간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2년 후에 부실화되는 것이다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에서도 모기지

금리와 연체율은 6~9분기 정도의 시차를 갖는다 즉 2007년에 문제가 된 서브프라

임 모기지 부실은 대부분 2005년을 전후해서 나간 대출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2006년에 나갔던 서브프라임 모기지들은 2008년에 부실화될 가능

성이 크다 그러면 2007년에 나간 대출은 어떠한가 올해 초에 미국 금융당국이 문제

를 인식하고 서브프라임 대출지침을 통해 대출조건을 강화하였기 때문에 올해 초 이

후에 나간 모기지의 부실화 가능성은 크게 낮아졌다 따라서 2006년에 이루어진 모기

지의 부실이 드러나게 되는 2008년 하반기까지 문제가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미 연 의 리정책과 서 라임 사태의 향배

그런데 여기서 주의할 것은 오늘 나간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2년 후에 부실화되는

것은 오늘 올린 금리가 2년 후에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더 올라서 변동금

리 전환 시 부담이 대폭 늘어나는 지급충격(payment shock)이 있고 주택경기가 계속

지지부진해서 집을 팔아 원리금과 중도상환 수수료를 내기 곤란한 경우에 발생한다는

점이다 주택경기도 상당 부분 금리의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면 결국 앞으로 서브프라

임 모기지의 부실화 추이는 미국의 금리정책 추이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만약 미 연준이 2001년 가을처럼 금리를 대폭 인하한다면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은 크게 줄어들 것이고 미국의 주택경기도 살아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미 연준이 주택경기를 되살릴 만큼 대폭적으로 금리를 인하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과거에 위험관리를 소홀히 하면서 과잉유동성을 이용하여 고수익을 추구했던

사람들에게 투자실패에 대한 보상을 해주는 것은 도덕적 해이를 부추길 뿐만 아니라

시장경제원리와도 맞지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다소의 조정비용이 따르더라도 지난

수년 간 저금리와 과잉유동성으로 인해 부풀어 오른 거품들을 걷어내는 것은 장기적

으로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시각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연준의 금리 인하는 만약 현실화되더라도 그 폭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27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것은 미국의 주택가격이 과거의 폭등기로 돌아가기보다는 연착륙할 가능성이 크고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문제도 금리 인하로 손쉽게 해결되기보다는 잠재적 부실이 대

부분 드러날 때까지 지속될 것임을 시사한다

서 라임 사태와 세계 융시장의 혼란

그러면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도 2008년 하반기까지 지속될 것인가 금융시장 불안

은 주로 서브프라임 모기지를 담보로 해서 발행된 파생금융상품들에서 비롯된다 헤

지펀드들을 비롯한 많은 투자자들이 이 파생상품들에 투자했다가 손실을 보고 특히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서브프라임 관련 상품을 사들인 투자자들이 파산하면서 상당한

혼란이 발생한 것이다 아울러 일부 펀드에 환매요청이 몰려 국지적인 유동성 위기까

지 발생하면서 세계 금융시장이 불안해진 것이다

그런데 유동성 위기에 대해서는 각국 중앙은행들이 정책공조를 통해 신속히 대응하

고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즉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주어진 금리 하에서 충분히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유동성으로 인한 위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서브프라임 관련 파생상품에 투자한 금융회사나

펀드들의 손실과 간헐적 파산은 수개월 이상 지속될 수 있을지라도 유동성 위기의 연

쇄적인 확산 가능성은 매우 낮다

이러한 모습은 과거 대공황 시기와 크게 대조된다 대공황 시기에는 금본위제가 존속

하고 있었고 주요국 금융당국 사이의 정책공조도 부족했다 그래서 미국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지자 유럽 국가들은 뉴욕에 예치해 놓았던 금을 대거 인출해 갔고 통화량이

줄면서 공황은 더욱 악화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금본위제가 폐기된 지 오래인

데다가 미국 달러가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 각국 금융당국 사이의 협력도

1920년대 말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서브프

라임 사태로 금융위기가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확산되는 상황은 생각하기 어렵다

결국 세계 금융시장도 파국으로 달려가기보다는 지난 수년간의 고위험-고수익 추

구 관행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는 국면을 맞이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금융변수들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위험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지는 방향으로 조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1

서 라임 사태의 시사 - 험 리의 강화

한편 우리나라 금융기관들은 서브프라임 관련 상품에 투자를 많이 하지 않아 직접

적인 손실은 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세계 금융시장이 조정을 겪는 과정에서 우리

금융시장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는 있을 것이다 즉 국내에서도 주가 금리 환

율 등 주요 경제변수들의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고수익-고위험 추구 경향이 약화될 것

이다

그러면 우리나라 주택시장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에서는 주택경기가 하락하더라도

LTV나 DTI 같은 건전성 규제들로 인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같은 일이 벌어질

가능성은 낮다 또 미국에서는 많은 저신용자들이 서브프라임 대출을 받을 수 있었지

만 우리나라의 저신용자들은 아마도 카드사태의 후유증에 시달리느라 주택시장에 뛰

어들 여력이 없었을 것이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 그

렇다고 이를 남의 문제로 돌릴 일은 아니다 과잉 유동성과 위험관리 소홀이라는 우리

경제의 문제점이 더 커지기 전에 서브프라임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문제를 예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서브프라임으로 인해 금융시장이 지나친 혼란에 빠지는 것은 막아

야 하겠지만 그것이 유동성 관리와 건전성 감독을 소홀히 하는 빌미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27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9호(2007108)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과제와 전략

徐 丙 昊

〈요 약〉

최근 경제의 성장 융회사간 경쟁격화에 따른 수익성 약화를 극복하

기 해 국내 융회사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한 국내 기업과

개인 고객들의 해외투자가 증하면서 이들 수요도 해외진출을 독려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선진 융기법과 인사 리 리스크 리 시

스템 등을 습득하고 로벌 투자자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국내 융시장

에서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일도 융회사가 해외진출을 하는 요한 과제

의 하나라고 사료된다 이를 해서는 로벌 투자자들과 선진 융회사들이

집한 융 선진지역으로의 진출을 확 해야 한다 한 업형태에 있어서

는 진출지역의 규제상황과 국내 시장에서의 종합 융그룹화 추세를 감안하

여 이종업종으로의 진출도 고려해야 한다고 단된다 해외진출은 회사의 운

명이 걸린 사안이다 선택에 앞서 정말로 해외진출이 필요한지 그리고

필요하다면 어떠한 장기 비 을 제시할 것인지에 한 신 한 근이 필요

할 것이다

국제화 추세에 부응하여 국내 금융시장을 본격적으로 개방하면서 해외 금융회사들

의 국내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종합 금융회사의 탄생에 일조하는 금융지

주회사법 도입과 자본시장통합법 통과로 국내 금융회사들은 업무장벽을 초월한 무한

경쟁에 돌입하였다 이러한 국내 금융시장의 경쟁 격화는 금융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하고 금융회사들의 경영 효율성 및 투명성을 제고했다는 점에서 긍정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3

적인 역할을 했으나 동시에 국내 금융회사들의 수익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

기도 하였다

최근 국내 금융회사들은 금융시장의 경쟁격화와 국내 경제의 저성장에 직면하여 해

외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포화된 국내시장에서 제로섬(zero-sum) 경쟁으로 수

익성을 약화시키는 것보다 해외로 진출하여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하는 것이 장기적으

로 안정적 성장을 담보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또한 중국과 베트남 등 인근 아시

아 국가들의 경제성장률이 국내 경제성장률을 상회하면서 국내 금융시장보다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시장들을 선점하지 않으면 향후 기회가 없어질 수

도 있다는 위기감도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을 독려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향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 과제

들을 점검하고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 현황을 평가한 후 해외진출을 위한 다양

한 전략들을 간략히 제시하고자 한다

해외진출을 한 과제

국내 금융회사 해외진출의 첫 번째 과제는 신시장 개척을 통한 고객기반 확충과 고

성장 국가들의 금융시장 선점이다 국내 경제의 저성장과 국내 시장의 경쟁격화는 금

융회사들의 이익창출능력을 저하시키고 있으며 따라서 해외진출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엔진을 마련해야 한다

두 번째 과제는 국내 고객들의 수요를 만족시킴으로써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국내 금융회사들의 기업 고객들은 생산비 절감과 현지 마

케팅 등을 목적으로 해외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이 해외에 대규모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대출 회사채 발행 해외 IPO 등 다양한 자금조달 방식을 이용해야 하

며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기업 고객들의 이탈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

다 또한 개인 고객들도 최근 직간접적으로 해외투자를 늘리고 있다 가령 이들을

대상으로 해외펀드를 설정운용하거나 현지 대출을 제공하거나 현지 보험을 판매한

다면 고객 만족도를 높여 국내 시장에서의 지배력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과제는 글로벌 금융회사들의 선진 금융기법을 습득하고 해외 투자자 네트

27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최근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사태로 일부 헤지펀드와 투자

은행들이 부실해질 가능성이 커졌으나 금융시장에서 인수 MampA 중개자문 기업 구

조조정 등 투자은행 업무만큼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는 없다 최근 통과된 자본시장통

합법도 토종 글로벌 투자은행을 육성하기 위해 제정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이

러한 투자환경의 조성에 부응하기 위해서라도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노하우를 습득해

야 한다

해외진출 황과 평가

역사적으로 국내 금융업은 내수산업으로 분류되고 있을 정도로 해외사업 비중이 작

았는데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해외사업 비중이 오히려 더 작아지게 되었다 아직까지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 규모는 극히 미미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통계도 정확하

게 집계되지 않지만 2006년 국내은행의 총수익 중 해외수익의 비중이 32라는 사

실에서 해외진출 규모가 어느 정도 작은지를 유추할 수 있다

1997년 190개에 이르렀던 국내은행의 해외점포 수는 외환위기를 거치며 1998년말

127개로 급감하였으며 신용카드 부실사태를 겪은 2002년말에는 96개까지 감소하였

다 최근 해외진출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점포수를 확충하고 있으나 2006년말 현재

국내은행의 전체 해외점포 수는 111개로서 외환위기 이전의 584에 지나지 않는다

국내 은행은 외환위기 이전부터 외환거래 및 단순대출 업무의 수행을 위해 다수의

국가에 진출하였는데 최근에는 중국시장으로의 진출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

다 가령 2007년 금감위에서 인가한 국내은행의 해외점포를 살펴보면 중국관련 인가

가 지점 1곳 사무소 1곳 현지법인 3곳을 포함하여 6건에 이른다 이는 중국시장의

성장잠재력이 워낙 크고 국내 경제와의 연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 유사성까

지 갖추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부 은행들은 홍콩에 투자은행을 설립

하였는데 이는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에 대비하여 글로벌 투자은행으로 변신하겠다

는 의지의 표명이라고 판단된다

국내 증권사는 중국 동남아 호주 남미 등 다양한 지역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영

업형태 면에서는 아직 해외 IPO나 국제 MampA보다는 자기자본투자(PI)에 집중하고 있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5

다 유가증권 인수업무나 MampA 중개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지에서의 투자자 네

트워크가 필요한데 아직 해외진출의 역사가 짧기 때문에 네트워크 민감도가 비교적

낮은 자기자본투자에 집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자산운용사는 국내 펀드의 해외 판매보다는 주로 국내 고객들에게 판매한 해

외 펀드의 운용을 목적으로 해외진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지역적으로는 싱가포르 베

트남 등 동남아에 편중된 모습이다 이는 선진국의 경우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의 상품

에 비해 경쟁력을 갖추기 힘들 뿐만 아니라 국내 소비자들이 아직 안정적인 선진국 펀

드보다는 고위험고수익의 이들 지역 펀드를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보험사들도 글로벌 보험사들의 거친 도전으로 인하여 국내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지자 해외진출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특히 세계 최대의 보험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시장 진출에 적극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제2금융권에서도 구조조정의 마무리로 대형업체들이 출현하면서 해외진출이

증가하고 있다 저축은행은 국내 PF사업 기회가 줄어들면서 동남아 개발사업에 참여

하고 있으며 대기업 계열 캐피탈회사는 계열사 기반을 활용하여 리스 및 할부금융에

특화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최근 대부분의 국내 금융회사들은 아시아지역의 고성장 개발도상국들을 집중 공략

하고 있는데 이는 신규 수익원을 확보하면서 해당지역으로의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일부 국내 금

융회사들은 중앙아시아와 남미 등 국내 수요는 적지만 자원이 풍부하여 향후 성장가

능성이 높은 곳으로도 진출하고 있다 이들 지역의 경우 문화적 이질감은 있을 수 있

으나 국내 금융회사들이 금융기법의 경쟁우위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

다고 판단된다

대다수의 국내 금융회사들은 해외에서도 국내와 유사한 영업형태를 고수하고 있는

데 이는 상대적으로 비교우위가 있는 부문에 전념함으로써 현지 시장에서의 경쟁력

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동종업종으로 진출한다고 하여 취급상품까지 같

아서는 경쟁력이 없으므로 현지 수요에 맞는 상품을 개발하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한

다고 판단된다

27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해외진출을 한 략

금융회사에는 은행 증권 자산운용 보험 여신금융 등 다수의 상이한 회사들이 포

함되며 같은 업종이라도 회사의 규모나 영업방식 등에 따라 차이점이 크기 때문에 국

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전략을 일반화하여 제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해

외진출의 다양한 진출 과제와 전략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국내 금융회사들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논의하기로 한다

첫째 국내 금융회사들은 해외진출 과제 중 하나인 선진 금융기법 습득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선진국의 글로벌 금융허브 진출을 확대하는 전략도 병행할 필

요가 있다 금융시장의 개방이 점차 확대되면서 국내 금융시장에서도 글로벌 금융회

사들과 경쟁해야 하며 따라서 이들에게 뒤지지 않는 리스크관리 등의 금융기법을 습

득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최근 투자은행의 설립을 촉진하는 자본시장통합법이 통과

되면서 국내 투자은행 시장의 향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

는 글로벌 투자은행들과의 경쟁에 대비하여 글로벌 투자자 네트워크도 확립해야 하는

시점이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투자기법 리스크 관리기법 고객관리 및 인사관리 시스템 등

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금융투자회사들의 본사가 있는 금융 중심지로

진출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며 특히 자금력이 풍부한 해외 투자자 네트워크를 구축

하기 위해서는 런던과 뉴욕 등의 글로벌 금융허브에서 수련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토종 글로벌 투자은행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국내 금융회사들의 조직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글로벌 투자은행을 육성하기 위한 조직문화

가 어떠한 것인지를 깨닫기 위해서라도 그들의 주된 무대에서 현장체험을 해야 한다

고 판단된다

둘째 국내 금융회사들은 진출지역의 규제상황과 국내 시장에서의 종합 금융그룹화

추세를 감안하여 이종업종으로의 해외진출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가령 상업은행의

경우 동종업종으로 진출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우선 각 나라마다 상

업은행 업무는 규제산업이기 때문에 해외자본이 진입하는 데 있어서 규제 사항이 많

다 현지 은행을 인수하려고 해도 지분인수에 제한이 있는 국가들이 많으며 허가절차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7

와 감독규제도 매우 까다롭다 게다가 상업은행 업무의 경우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는 고객 편리성을 충분히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점망을 비롯한 대규모 투

자가 따라야 하기 때문에 재무적으로 부담이 된다 뿐만 아니라 상업은행의 고객 성향

을 정확히 파악하고 신규상품들을 제작판매하기 위해서는 현지인들과의 언어적 문

화적 교감이 필수적이며 따라서 현지화를 위해 긴 시간과 높은 비용을 감수해야 한

다 이는 일부 증권사나 보험사 업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과거 스위스 Credit Suisse은행의 미국 First Boston 투자은행 인수와 최근 미국

Citi은행의 일본 Nikko Cordial 증권사 인수에서 보듯이 이종업종으로의 해외진출로

범위의 경제를 달성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특히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으로 금융권

역간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므로 이종업종의 해외진출을 통해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해외진출에 있어서 금융회사들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 현

재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은 시대적 추세인 것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본고

에서도 해외진출의 과제와 전략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해외진출은 대규모 투자를 동

반하는 중대한 결정사항으로서 잘못된 판단으로 금융회사의 운명이 갈릴 수가 있으므

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우선 해외진출이 해당회사에 꼭 필요한지를 객관적으로 검토해 보아야 한다 가령

회사의 규모나 인적자산이 부족하고 해외사업을 통한 뚜렷한 시너지 효과를 찾기 어

렵다면 해외진출보다는 재무적 해외투자가 적합하다 또한 해외진출을 결정한 이후에

도 Citigroup의 장기광역형 HSBC의 중기 센터집중형 Nordea의 단기 지역맹주형

UBS의 유니버설 뱅킹형 BSCH의 소매금융형 Macquarie의 틈새시장형 등 각종 진

출 유형들을 참고로 하여 회사의 장기적 비전을 설정1)해야 진출지역과 영업형태 등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 박동창서병호「국내은행의 해외진출 전략」『KIF Bullets』제37호

27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5호(20071119)

미 달러화 위상의 약화요인과 대응방안

朴 海 植

〈요 약〉

지난 5~6년간 로벌 외환시장에서 미 달러화는 약세기조를 지속해 왔다

그런데 특히 올해 들어 미 달러화의 상 약화에 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이는 올해 발생한 로벌 융불안이 가장 안 한 투자처로 인식되어 왔던 미국

융시장에서 발되면서 미 달러화에 한 신뢰도가 크게 약화되어 달러화

리사이클링 붕괴에 따른 미 달러화의 락 가능성이 과거보다 더 높아졌기

때문으로 본다 이에 더해 수익성을 강조하는 국부펀드가 가세하면서 미 달러

화 자산에 한 수요가 격히 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미 달

러화가 락하게 되면 로벌 융시장이 크게 요동칠 수 있어 국내 융기

기업들의 험 리 강화가 요망된다 정책당국도 외환보유액의 통화다

변화 아시아 통화통합 논의에 한 극 인 참여 등을 통해 미 달러화 가치

락 이에 따른 미 달러화의 상 약화에 꾸 히 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지난 수십년간 전세계 무역 및 금융거래의 기축통화로 군림해 왔던 미 달러화의 위

상이 커다란 위기를 맞고 있다 그동안 미 달러화는 1999년의 유로화 출범 등 많은 난

관에도 불구하고 준비통화결제통화개입통화로서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

서 그 위상을 꿋꿋하게 지켜왔다 그러나 최근 미 달러화가 기축통화로서의 위상을 더

이상 지탱하기 어려울 수도 있음을 예고하는 징후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린스

펀(Greenspan) 前 미 연준(FRB) 의장도 미 달러화 주도의 국제통화체제에 대해 부정

적인 견해를 밝힌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고에서는 미 달러

화 위상의 저하요인들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9

로벌 미 달러화 약세의 지속

지속적인 글로벌 미 달러화의 약세는 기축통화로서의 위상에 가장 큰 타격을 입힌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미 FRB가 7대 교역상대국 통화를 대상으로 무역가중치를 이

용하여 추산하는 미 달러화의 주요 환율지수(major currency index)1)를 보면 미 달

러화는 이미 브레튼우즈체제 붕괴 이후의 최저치(1995년)를 하향 돌파하였다 이로써

2007년 10월 현재 미 달러화는 2000년대 들어 최고치를 기록하였던 2002년 2월대비

약 34(7393)나 하락하였다 교역상대국 통화의 범위를 26개로 확대하여 추산한 미

달러화의 확대환율지수(broad currency index)2)에서도 비슷한 추세가 발견된다 이

에 따르면 미 달러화는 2002년 2월부터 약세로 전환되어 2007년 10월 현재 약 23

하락한 9980을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미 달러화 약세가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됨에 따라 각국 중앙은행의

준비자산에서 미 달러화의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 통화다변화 움직임이 미 달러화 약세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

다 유로화가 출범한 1999년부터 미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되기 직전인 2001년까지 전

세계 외환보유액의 미 달러화 자산 비중은 70대를 꾸준히 유지하였다 그러나 미 달

러화가 약세로 전환된 2002년부터 미 달러화 자산 비중은 하락하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65를 하회하고 있다 반면에 유로화의 비중은 15~16대에서 25를 상회하는 수준으

로 확대되었으며 엔화의 비중도 유로화 비중보다는 낮지만 과거보다 많이 높아졌다

미 달러화는 준비통화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결제통화로서의 기능도 위협받고 있

다 이러한 움직임은 주로 미 달러화로 결제하는 원자재 수출국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가격의 큰 폭 상승에도 불구하고 미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

자 원자재 수출대금을 자국통화로 환산할 경우 원자재 수출을 통한 소득증대효과가

그만큼 크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올해말부터

양자간 무역의 결제통화를 미 달러화에서 자국통화로 변경하기로 합의하였다 원유

1) 미 달러화의 주요 환율지수는 유로화 호주 달러화 영국 파운드화 캐나다 달러화 일본 엔화 스웨덴 크로나화 및 스위스 프랑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국가는 미국 수출의 약 55를 차지한다

2) 미 달러화의 확대환율지수에 포함된 국가들은 미국 수출의 약 90를 차지한다 이들 국가들은 7대 교역상대국에다 한국 중국 인도 동남아 국가 등의 아시아 국가들과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베네주엘라 등의 중남미 국가들의 통화를 더해 구성하고 있다

28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수출국들도 미 달러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수출대금을 유로화로 결제할 것이라고 경

고한 바 있다3)

미 달러화 페그(peg)제를 운용하는 국가들도 글로벌 미 달러화 약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국가들이 페그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글

로벌 미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국통화의 절상압력을 흡수하기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

하게 되는데 이 때에 불태화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통화증발에 따른 물가불

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현상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과잉유동성 문제를 초

래하여 경제체질이 악화될 수 있다4) 따라서 지금과 같이 글로벌 미 달러화 약세가

오랜 기간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미 달러화 페그제를 포기하거나 페그통화를 다른 통

화로 바꾸는 국가가 나온다고 하더라도 놀랄만한 일은 아니라고 본다5)

미 달러화에 한 신뢰도 약화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부실문제를 계기로 미 달러화에 대한 신뢰도가 약화된 것도

미 달러화의 위상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동안 미 달러화 자산이 안전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각국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

중 많은 부분이 미 국채로 구성되어 있거나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때마다 미 달

러화 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 등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올해 글로벌 금융시장의 가장 큰 불안요인이 되었던 서브프라임 부실문제가 가장 안

전한 투자처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 왔던 미국에서 촉발되면서 안전자산으로서 미 달

러화의 입지가 많이 손상되었다

더욱 심각한 것은 투자자들 사이에 미 달러화 자산이 더 이상 안전자산이 아니라는

인식이 빠르게 확산될 경우 달러화 리사이클링(dollar recycling) 구조가 와해될 수

있다는 데에 있다6) 달러화 리사이클링이란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로 인해 해외로 유

3) 김은지「굿바이 달러패권시대」『Economy21』 2007년 10월 29일

4) 중국이 미 달러화 약세에 따른 위안화 절상압력으로 인해 해외부문에서 유동성이 크게 증가하면서 경기과열 및 자산가격 버블을 경험하고 있는 것은 이를 증명한다

5) 실제로 최근 홍콩 통화당국은 미 달러화에 페그된 통화위원회제도(currency board system)를 유지하기 위해 약 2주간 100억 홍콩 달러(1조 20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외환시장에 투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홍콩 통화당국이 페그통화를 현행 미 달러화에서 중국 위안화로 변경할지도 모른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1

출된 미 달러화가 외국인의 미 달러화 자산 매입을 통해 미국으로 다시 유입되는 구조

를 말한다7) 이 구조하에서 외국인의 미 달러화 자산 매입은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에 따른 미 달러화 절하압력을 상당부분 완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따라서 달러화

리사이클링 구조가 붕괴되면 미 달러화 가치의 추가 하락이 불가피하여 기축통화로서

미 달러화의 위상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

아직도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달러화 리사이클링 구조가 쉽게 붕괴되지는 않을 것으

로 전망한다 이의 근거로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최근에 각국 중앙은행의 미 달러화 자

산 보유비중이 하락하기는 하였으나 그 속도가 완만하다는 점이 지적되곤 한다 또한

신흥시장경제 주도의 견조한 세계경제 성장세가 미 달러화 약세를 동반한다면 미국의

경상수지 불균형이 예상외로 빠르게 해소되어 더 이상 달러화 리사이클링 붕괴에 대

해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2006

년말에 GDP 대비 65를 기록하였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GDP 대비 55로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사태가 국제투자자들의 투자패턴에 몰고 온 변

화를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신용경

색 악화 및 세계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

됨에 따라 국제투자자들의 위험회피성향이 크게 높아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는 국제

투자자금이 위험자산에서 안전자산으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런데 올

해 외국인의 대미 투자패턴을 살펴보면 안전자산으로서 미 달러화 자산의 역할이 많

이 약화되었다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 지난 5월부터 미 유가증권에 대한 외국인의

순매수세가 줄어들기 시작하여 8월에는 아예 순매도세(349억달러)로 돌아섰기 때문

이다 서브프라임 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좀처럼 제거되지 않

고 있어 미 유가증권에 대한 외국인의 이러한 투자패턴 변화는 쉽게 바뀔 것 같지 않

아 보인다

6) 권순우「팍스 달러리움(Pax Dollarium)의 미래 진단과 전망」『SERI 경제 포커스』 제163호 2007년 10월 15일

7)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2000년대 초반에 GDP 대비 3~4 수준에서 2006년 중에 GDP 대비 65 수준으로 높아지는 과정에서 미국의 매년 해외부채 증가분은 4000억~5000억달러에서 9000억달러에 근접하는 수준까지 확대되었다

28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수익성 주의 국부펀드 등장

수익성을 강조하는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8)의 등장도 기축통화로서 미

달러화의 역할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동안 국부펀드는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단기성 투자행태를 보여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수익성 위주의 장기투자를 선호하는

국부펀드가 늘어나고 있다 중동 산유국 중심의 원자재 수출국들은 자원고갈에 따른

미래세대의 소득원천을 보전하기 위해 원자재 수출로 벌어들인 소득으로 별도의 기금

을 설립하여 수익성 위주의 장기투자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아시아지역에서도

국제수지 흑자 증대로 외환보유액이 급증하자 이를 활용한 국부펀드 설립을 통해 안

전성유동성을 강조하는 전통적 운용전략에서 벗어나 수익성 위주로 자산을 운용하

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자본의 흐름이 미 달러화 자산에서 신흥

시장국 통화표시 자산을 포함한 非달러화 자산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재 운용 중이거나 설립예정중인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아직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기 때문에 국부펀드 등장에 따른 대체효과9)가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

한적일 수 있다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추정기관에 따라 상이한데 2007년 상반기 현

재 최저 15조달러에서 최고 34조달러로 추정된다 따라서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대체적으로 PEF(2조달러)와 헤지펀드(14조달러)의 자산규모보다 큰 것으로 파악된

다 그러나 PEF와 헤지펀드를 제외한 다른 기관투자자들의 자산규모와 비교할 때 국

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전세계 은행자

산(635조달러)의 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투자펀드(210조달러) 연기금(179

조달러) 보험사 자산(160조달러)의 15~20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8) 국부펀드는 국가가 보유한 공적기금(public funds)을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투자하여 운용하는 투자수단(investment vehicle)으로서 국가투자기금(state investment fund)을 의미한다 국부펀드는 헤지펀드 PEF

연기금 등과 비교해 수익성을 중시하는 기금운용이나 투자자산 선택 등에서 유사한 점이 있으나 소유권이 민간이 아닌 국가에 있다는 데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국부펀드의 재원조달은 국가가 보유한 국내자산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현존하는 대부분의 국부펀드는 외화자산에 의존하여 재원을 조달한다 국부펀

드는 재원에 따라 상품펀드(commodity fund)와 非상품펀드(non-commoditiy fund)로 구분한다 상품펀드의 재원은 정부소유 국가기관의 원자재수출대금 또는 민간기업의 원자재수출소득에 대한 세금 등 정부의 외화수입으로 구성되며 非상품펀드는 국제수지 흑자 등으로 축적된 외환보유액이나 공적연금기금 재정잉여자금

등에서 조달한 자금을 재원으로 활용한다

9) 국부펀드의 수익성 위주 자산운용에 따른 대체효과는 국부펀드 자금이 안전자산rarr 위험자산 선진국시장 rarr 신흥금융시장 미 달러화 자산 rarr 非달러화 자산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3

그럼에도 국부펀드의 등장이 미 달러화의 위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

는 이유는 국부펀드의 성장잠재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IMF는 각국 경상수지

추세를 바탕으로 2012년에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10조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

다10) Deutsch Bank는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2012년과 2017년에 각각 5조달러와

10조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11) Morgan Stanley는 2012년에 87조달러

2022년에는 전세계 외화보유액을 2배 이상 상회하는 277조달러로 예상하였다12) 이

러한 성장성과 더불어 국부펀드의 非달러화 자산에 대한 투자확대가 민간자금의 군집

행위(herd behavior)를 촉발하게 되면 국부펀드 등장에 따른 대체효과가 더욱 확대되

어 국제자본의 미 달러화 자산에서 非달러화 자산으로의 이동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미 달러화 가치가 급락하고 국제적 위상이 약화되는 것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맺음말

지난 5~6년간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미 달러화가 약세를 지속해왔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올해 들어서 미 달러화의 위상 약화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이는 올해 발

생한 글로벌 금융불안이 그동안 가장 안전하다고 인식되었던 미국 금융시장에서 촉발

되면서 미 달러화 가치의 급락 가능성이 과거보다 높아졌기 때문으로 본다 미국의 대

규모 경상수지 적자를 지탱해 왔던 달러화 리사이클링 구조가 미 달러화에 대한 신뢰

도가 약화되면서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이에 더해 중국투

자공사의 출범 등 수익성을 강조하는 국부펀드가 가세하면서 미 달러화 자산에 대한

수요가 크게 줄어들 수 있다는 염려도 있다

이처럼 미 달러화 가치의 급락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국내 금융기관 및 기업들

은 위험관리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부의 해외투자 활성화 조치로 해외로

유출되는 투자자금이 늘어나고 있는데 미 달러화가 급락하게 되면 글로벌 금융시장

10) Simon JohnsonldquoThe Rise of Sovereign Wealth Fundsrdquo Finance and Development Vol44 No3 IMF

September 2007

11) Deutsch BankldquoSovereign Wealth Funds-State Investments on the Riserdquo September 10 2007

12) 신원섭박용진「세계 국부펀드의 확대 배경과 향후 전망」『해외경제정보』 제2007-70호 한국은행 2007년 10월 2일

28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 크게 요동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정책당국도 미 달러화 급락 및

그에 따른 위상 추락에 대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 기업들의 결제통화 다변화뿐만 아니

라 외환보유액의 통화다변화 및 아시아 통화통합 논의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등은 정

책당국이 취할 수 있는 위험관리방안이라고 본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5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7호(2007123)

최근 자본수지 동향과 정책과제

李 圭 馥

〈요 약〉

최근 자본수지 동향을 살펴보면 해외투자 활성화로 자본유출이 증가하 음

에도 불구하고 단기외채가 증하며 흑자를 지속해 왔다 한편 외 요인인

미국 서 라임 사태로 인한 신용경색 우려가 가시화될 때마다 안 자산 선

호경향이 나타나며 자본수지는 단기 으로 자를 기록하기도 하 다 이러

한 신용경색 우려에 따른 단기 인 자본유출은 환율의 변동성을 높일 것으로

보이나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큰 충격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오히려

환율 상승은 경상수지 개선에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단기자 유

입에 응하여 실시되었던 장기 해외투자 활성화는 자본유출입 시기상 엇

갈리는 면이 있다는 해외투자의 불확실성은 높아진 반면 국가간 경쟁은

매우 심화된 상태라는 등을 고려할 때 향후 해외투자는 완 의 조 이 필

요할 것으로 보이며 투자결정도 좀 더 신 할 필요가 있다 한 기투자된 부

동산 해외펀드 등에 해서도 리스크 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외환위기 이후 계속적인 경상수지 및 자본수지의 동시 흑자로 인해 외환의 초과공

급 상태가 지속되어 원달러 환율을 크게 하락시켰고 이는 상품수지 흑자폭의 감소

서비스수지 적자폭의 확대 등으로 이어져 경상수지 흑자축소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외환시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해외투자 활성화 방안1) 등으로 외화유

출을 유도하여 환율하락세를 둔화 또는 상승세로 전환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1) 예를 들어 2007년 1월 정부는 외환의 초과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차원에서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해외 간접투자 및 해외 부동산투자 활성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28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단기외채를 중심으로 큰 폭의 자본유입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전반적인 자본수지는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최근 정부 및 한국은행은 여러 가지 단기외

채 억제방안들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단기외채 규모가 커짐에 따라 글로벌 투자자들이 우리나라 경제에 대하여 불안정한

상황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신용경색에 대한 우려 등으로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최근 우리나라 자본수지의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는 한편 정부의

해외투자정책방향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고자 한다

해외투자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단기외채 증에 의한 자본수지 흑자

자본수지는 2006년에 이어 2007년에도 단기차입 증가에 따라 흑자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해외투자 활성화 등으로 인하여 해외직접투자와 해외포트폴리오투자가

크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단기외채 증가를 주원인으로 기타투자수지가 크게 증가

하며 자본수지 흑자가 유지2)되고 있는 상황이다 단기외채의 급증은 원화절상 기대심

리와 외은지점의 적극적인 이윤추구 전략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작년부터 늘어나기 시작한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올해도 정부의 해외투자 활성화 정

책에 힘입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내국인 해외직접투자는

2006년 283억달러(전년대비 659) 2007년(1sim10월) 511억달러(전년동기대비 942)

가 증가하였고 내국인의 해외포트폴리오투자는 2006년 1190억달러(전년대비 1115)

2007년(1sim10월) 2114억달러(전년동기대비 1175)가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2006년부터의 해외부동산 투자요건 완화 올해 해외펀드의 이자소득에 대

한 비과세 등 정부의 해외투자 활성화정책은 매우 유효하였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05년 5억달러에 불과였던 부동산투자는 2006년 15억달러 2007년(9월까지) 23억달

러로 그 규모가 급증하였다3) 또한 해외펀드 설정액도 2006년말 26조원 정도에서

2007년 8월말 58조원으로 크게 늘어났다

2) 2006년 우리나라 자본수지는 1862억달러(기타투자수지는 4768억달러 유입초를 기록)의 유입초를 기록하였으며 2007년 10월까지 자본수지흑자는 652억달러(기타투자수지 3900억달러 유입초)로 집계되었다

3) 신고기준 수출입은행 자료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7

최근 자본수지에 영향을 준 주된 대내적 요인이 해외투자활성화와 단기외채 급증이

었다면 대외적인 요인은 서브프라임 부실사태로 인한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신용경색

을 들 수 있다 신용경색 우려가 가시화될 때마다 안전자산 선호경향이 강화되면서 우

리나라를 비롯한 신흥시장국에서의 자금유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올해 2월 및

8~10월에 우리나라가 자본수지적자를 기록한 것은 주로 이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신용경색으로 인한 단기 인 자 유출은 우려할 수 이 아닐 것

이러한 신용경색으로 인한 단기적인 자금유출 현상은 환율의 변동성을 높일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큰 충격을 가져올 것으로는 예상되지 않는다 우리나

라는 2600억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액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단기외채비율(총외채

대비 단기외채 비중)이나 유동외채비율(유동외채 대비 외환보유액 비중)은 모두 IMF

기준에 따르면 안정수준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4) 현재 외환보유액 수준은 단기외

채를 모두 갚고도 주식 및 채권시장에 들어온 외국인 투자자금의 약 30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단기외채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외은지점 부채는 상당부분 파생상

품의 거래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향후 자금유입과 매치되어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오히려 단기적인 자금유출이 환율의 상승을 가져오는 경우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예

상보다 개선될 가능성도 있다 환율상승은 수출증가율 수출기업의 채산성을 예상보

다 개선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해외소비나 여행 수요를 감축시킬 가능성도 있어 이 경

우 경상수지는 예상보다 나아질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5)

4) 2007년 6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단기외채비율은 530 유동외채비율은 659로 IMF에 따르면 단기외채비율은 60까지가 안정수준이고 유동외채비율은 100까지가 안정수준이다

5) 내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흑자폭이 감소하는 반면 서비스수지 적자폭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어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적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대부분 연구기관들이 예측하고 있다 서비스수지는 북경올림픽 미국 비자면제 등의 환경변화로 인해 적자폭 확대가 예상된다 한편 수출증가율은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2007년보다는 세계경제성장세 둔화와 함께 증가율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수입증가율은 고유가로 인한 원자재 수입금액 증가 내수경기 확대에 의한 소비재와 자본재에 대한 수요 증가 등으로 수출증가율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8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향후 해외투자 정책은 완 을 조 하고 신 을 기할 필요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외화유출에 따른 환율안정 효과 외에도 시장확대에 따른 투자

위험 분산효과 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등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의 국제금융

시장의 불안이 단기간에 끝나기보다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고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한 미국 및 세계성장세의 둔화정도가 아직 불확실한 상

황이므로 단기적으로는 향후 해외투자전략에 대하여 좀 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즉 단기적인 자본수지 흑자규모 축소를 위해서는 단기외채 억제에 집중할 필요가 있

으며 중장기 해외투자는 외화유출보다는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관점에서 완급을 조절

할 필요가 있다 비록 외환보유액이라는 완충장치가 있긴 하나 단기로 유입되는 자금

들을 가지고 장기로 유출되는 자금을 상쇄하는 데에는 시기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

으며 이는 향후 환율의 변동성을 확대시킬 가능성이 높다

특히 국제금융시장의 높은 불확실성 외에 이제 우리나라가 진출하려는 금융 등 전

략적인 산업 및 기업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중국 등 신흥시장국들도 막대한 보유외화

자산을 이용하여 활발히 진출하고 있어 자칫 고평가된 부분에 투자할 위험이 매우 높

은 상황이다 최근에는 국가간 해외직접투자 경쟁이 심화되면서 리스크가 높은 국가

나 산업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투자기업들은 합

리적인 수익성 평가 후 감내할 만한 수준의 리스크 범위 내에서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해외직접투자의 경우에는 국내투자와의 보완관계 등 긍정적인 면까지 고려하

여 전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부동산 해외펀드 등 기투자부분에 한 리스크 리 강화가 필요

한편 국제금융 및 실물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된 상태이기 때문에 최근 활성화 정

책의 영향으로 이제 막 해외에 투자한 기업이나 개인들은 투자여건의 변화를 고려하

여 기투자분에 대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2007년 들어 투자목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9

적 해외부동산취득 한도를 늘리면서 개인 및 중소기업 중심(2007년 상반기 중 주체별

부동산업 투자비중은 중소기업 736 개인 115 대기업 149였음)으로 부동산업

진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진출 국가들의 부동산경기 변화에 대한 리스크 관

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해외펀드 투자가 크게 증가하였는데 아직도 국내

자산운용사들의 해외투자펀드는 특정국가 특정시장 등에 대한 쏠림현상이 높은 편이

다 따라서 투자지역이나 투자대상물 등의 다양화를 통해 투자자들의 위험을 적절히

분산시키는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9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8호(20071210)

글로벌 국부펀드 운용에 대한 고찰

朴 海 植

〈요 약〉

최근 원자재 수출국 아시아 신흥시장국을 심으로 국부펀드의 설립이

늘어나고 투자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에 한 국제 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부펀드는 높은 성장잠재력을 바탕으로 험자산에 한 수요를 진하여

미 달러화를 비롯한 안 자산 주의 국제자본의 흐름에 지 않은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로벌 융시장이 불안해지고 융

보호주의가 확산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반면에 국부펀드는 미 서

라임 사태로 발된 로벌 신용경색 완화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실제로 다

수의 로벌 융기 들은 국부펀드의 자 을 활용해 악화된 재무건 성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재 로벌 신용경색으

로 해외자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융기 기업들은 국부펀드

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고 정부도 이에 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단된다

최근 원자재 수출국 및 아시아 신흥시장국을 중심으로 국부펀드의 설립이 늘어나고

투자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올해 9월 중국이

2000억달러의 투자자금을 외환보유액으로부터 조달하는 중국투자공사(China Invest

-ment Corporation CIC)를 출범시킨 것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40개 이상의 국부

펀드가 활동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11월에는 UAE의 ADIA(Abu Dhabi Investment

Authority)가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Citigroup의 자본확충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91

을 위해 75억달러를 투자하면서 국부펀드가 글로벌 신용경색을 완화할 수 있는 자금

공급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고에서는 각국의 국부펀드 설립배경 및 현황을 살펴보

고 국부펀드 확대에 따른 예상효과 및 운용상의 주요 쟁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국부펀드의 정의 설립목

국부펀드는 국가가 보유한 공적기금을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투자하여 운용하는 투

자주체로서 국가투자기금을 의미한다 국부펀드는 헤지펀드 PEF 연기금 등과 비교

해 수익성을 중시하는 운용목적이나 투자자산 선택 등에서 유사한 점이 있지만 소유

권이 민간이 아닌 국가에 있다는 데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국부펀드의 재원조달

은 국가가 보유한 국내자산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대부분의 국부펀드는 외

화자산에 의존하여 재원을 조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부펀드는 펀드의 재원에 따라 상품펀드(commodity fund)와 비상품

펀드(non-commoditiy fund)로 분류한다 상품펀드의 재원은 국가기관의 원자재 수

출대금 또는 민간기업의 원자재 수출소득에 대한 세금 등 정부의 외화수입으로 구성

된다 반면에 비상품펀드는 국제수지 흑자 등으로 축적된 외환보유액이나 공적연금기

금 재정잉여자금 등에서 조달한 자금을 재원으로 한다

상품펀드는 다시 설립목적에 따라 안정화기금과 저축기금으로 구분하는데 안정화

기금은 정부재정의 안정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는 기금으로 원자재가격의 높은 변동성

에 따른 위험을 보전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즉 원자재가격이 높은 시기에 발생하는

정부의 재정흑자를 안정화기금으로 축적하고 원자재가격이 낮은 시기에는 축적된 자

금을 이용하여 정부의 재정적자를 보전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안정화기금의 자산

운용은 수익성보다는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단기투자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저축기금은 자원의 유한성에 따른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설립된 기금으로 기

금축적을 통해 미래세대의 소득을 보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자재수출을 통해

얻은 소득은 단기적으로 안정화기금을 통해 정부의 안정적 재정운용에 도움이 되나

장기적으로는 그 국가의 자원고갈 위험이 증대되는 것이므로 미래소득의 원천을 위협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원고갈에 따른 미래세대의 소득손실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별

29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도의 기금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1) 저축기금의 자산운용은 설립목적에 따라 안정화기

금과는 달리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단기투자보다는 수익성 위주의 장기투자를 중시

한다

저축기금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상품펀드를 운용하는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정치

적인 이유 등으로 안정화기금의 비중이 저축기금의 비중을 절대적으로 압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기금과 저축기금을 동시에 운용하는 신흥시장국에서는 원자재 수출

대금의 90가 안정화기금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10만이 저축기금으로 유입되는 것

으로 추정되고 있다2) 그러나 상품펀드를 운용하는 국가들 사이에서 저축기금의 필요

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 향후 저축기금의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비상품펀드의 설립은 아시아 신흥시장국을 중심으로 적극 추진되고 있는데 국

제수지 흑자 지속을 배경으로 한 외환보유액의 급증이 주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1996

년말에 2550억달러를 기록하였던 아시아지역의 외환보유액은 2006년말 현재 23조

달러로 1996년말 대비 10배 가량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외환보유액 규모가 외채지

급과 급격한 외화유출에 대비하고도 남을 만큼 과도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실제

로 Greenspan-Guidotti Rule에 따르면 아시아지역을 포함한 신흥시장국의 외환보유

액 중 잉여준비자산은 2000년 3000억달러에서 2006년에는 약 2조달러로 확대되었

다3)4)

이처럼 잉여준비자산이 확대되면서 외환보유액 관리비용이 증대됨에 따라 안전

성유동성을 강조하는 전통적 운용전략에서 벗어나 수익성 위주로 운용하려는 움직

임이 확산되고 있다5) 외환보유액은 외화자산 투자수익률이 국내자산 투자수익률을

1) 특히 원유수출국의 경우 기술발전과 환경오염 우려에 따른 대체에너지 개발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별도기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2) Johnson-Calari J Managing Commodity Revenues and Windfall Profits Investment Income Funds

in J Johnson-Calari and M Rietveld eds Sovereign Wealth Management Central Banking Publications 2007

3) Greenspan-Guidotti Rule에서는 잔존만기 1년 이하의 외채를 초과하는 외환보유액을 잉여준비자산으로 정

의한다

4) Summers L H Opportunities in an Era of Large and Growing Official Wealth in J Johnson-Calari and M Rietveld eds Sovereign Wealth Management Central Banking Publications 2007

5) 일본에서도 외환보유액을 이용한 비상품펀드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인데 Morgan Stanley는 향후 2~3년 내에

비상품펀드가 설립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본의 외환보유액은 9110억달러인데 Greenspan-Guidotti Rule을 적용할 때 잉여준비자산은 7000억달러에 상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Morgan Stanley Why Japan Should Have Its Own Sovereign Wealth Fund July 5 2007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93

하회할 때 기회비용이 발생하는데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외환보유액 운용은 수익률

이 저조하여 기회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외환보유액 규모가 크면 클수록 중앙은행의

시장위험(환위험과 금리위험)에 대한 노출이 확대되어 중앙은행의 재무건전성이 악화

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외환보유액이 완벽하게 불태화(sterilize)되지 않을 경우 물가

및 환율안정 등의 중앙은행의 통화정책목표 달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완벽한 불태화

하에서도 불태화 채권 발행 등의 비용이 발생한다

외환보유액을 재원으로 하는 신흥시장국의 비상품펀드 설립 움직임에는 현재의 국

제수지 흑자기조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인식이 저변에 깔려있는 것으로 판단된

다 일반적으로 신흥시장국은 자본희소(capital scarce)국가이기 때문에 만성적 경상

수지 적자국이며 선진국은 만성적 경상수지 흑자국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신흥시장국

의 경상수지는 1999년 이전까지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였으나 1999년부터 흑자로

반전되어 현재까지도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신흥시장국 정책당국자들은 이러한

경상수지 흑자기조를 국면전환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국부펀드의 성장 망과 향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추정기관에 따라 상이한데 이들을 종합해 보면 2007년 상

반기 현재 최저 15조달러에서 최고 34조달러로 추정된다6) 이는 대체적으로 PEF

(2조달러)나 헤지펀드(14조달러)보다 큰 규모이다 그러나 PEF와 헤지펀드를 제외한

다른 기관투자자들의 자산규모와 비교할 때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아직 미미한 수준

이다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전 세계 은행자산(635조달러)의 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투자펀드(210조달러) 연기금(179조달러) 보험사 자산(160조달러)의 15~20

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국부펀드의 자산운용은 개별 펀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한다 노르웨이의 GPFG

(Government Pension Fund-Global)와 같이 연기금 형태의 자산운용전략을 채택하

6) Deutsch Bank는 2007년 상반기 현재 국부펀드가 실제 운용 중인 자산규모는 31조달러 정도이며 향후 설립

예정 중인 국부펀드를 포함하면 34조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IMF와 Morgan Stanley는 현재 운용 또는 설립 예정 중인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를 각각 최대 29조달러와 25조달러로 추정하였으며 미 재무부는 15조~25조달러로 추정하였다

29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고 있는 국부펀드가 존재하는 반면에 PEF와 같이 특정 외국기업에 대한 지분을 인수

하여 경영권에 참여하는 국부펀드도 있다7) 국부펀드의 투자대상도 펀드에 따라 다르

기는 하나 대부분의 경우 외환보유액보다 자유로워 국채 회사채 주식 부동산 파생

금융상품 해외직접투자 등 매우 다양하다 이처럼 투자대상범위나 통화에 대한 제약

이 별로 없다는 면에서 국부펀드는 헤지펀드와 비슷하나 장기투자도 실행한다는 점에

서 헤지펀드와 차별된다

한편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아직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

의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은 성장잠재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본다 IMF

Deutsch Bank Morgan Stanley 등은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2012년에 5조~87조

달러 2017년에 10조~175조달러 2022년에 277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

다 이처럼 높은 성장세를 바탕으로 국부펀드가 수익성 위주로 자산운용을 본격화할

경우 국제자본의 흐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수익성 위주의 자산

운용은 국부펀드 자금이 안전자산 rarr 위험자산 선진국시장 rarr 신흥금융시장 미 달러

화 자산 rarr 非달러화 자산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체효과는 국부펀드의 이

동이 민간자금의 군집행위를 동반할 경우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

려가 있다 국부펀드가 장기투자의 형태를 취하기도 하지만 국가가 소유한 펀드라는

점에서 정치적인 입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장기투자 비중을 크게 확대하기가 현실

적으로 어렵다는 주장이 있다 또한 국부펀드는 자신이 직접 자금을 운용하거나 외부

기관에 위탁하여 운용하는데 수익성을 강조하는 성격상 외부 위탁운용기관이 단기성

투기자금 형태의 헤지펀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국부펀드의 자금운용이 단기투자

에 집중될 경우 글로벌 금융시장의 안정성은 위협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본다

국부펀드의 자금이동과 관련된 루머가 시장참여자들의 심리를 자극하여 글로벌 금

융시장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존재한다 대부분의 국부펀드는

7) 2006년에 싱가포르 정부의 투자회사인 Temasek은 태국 통신기업인 Shin Corp의 지분을 인수한 바 있는데 이를 두고 태국에서는 국내 기간산업에 대한 외국자본의 침투 우려가 제기되었다 2007년 5월 중국정부는 외환보유액의 일부를 이용하여 뉴욕 소재 PEF인 Blackstone 지분의 일부(30억달러 상당)를 인수하였다 같은 해

6월에는 중국의 국유상업은행 중 하나인 중국개발은행(China Development Bank)이 싱가포르의 Temasek과 함께 Barclays의 지분을 인수하였으며 Barclays의 ABN Amro 인수 시 190억달러의 추가지분을 매입하기로 합의하였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95

자산운용 및 투자정책과 관련된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으며 각국 금융당국의 직접

적인 규제를 받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규제도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

다 이처럼 투명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장참여자들은 국부펀드의 움직임에 대한 작

은 루머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

다8)

국부펀드로 인해 글로벌 금융시장에 보호주의의 물결이 거세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는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데 국부펀드가 상업적 목적이 아니

라 전략적 차원에서 특정 국가의 기간산업에 대한 경영권 확보 기업인수 등에 참여할

경우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논리에 근거한다 주요 선진국들은 외국인직접

투자(FDI)의 유입을 허용하고 있으나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FDI에 대해서는 규제를 하고 있다 국부펀드 소유주의 70~80가 시장개방의 정도가

낮은 개도국인 점을 고려할 때 국부펀드가 비경제적인 이유로 투자를 확대할 경우 선

진국들이 상호주의(reciprocity)에 입각하여 보호주의를 강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9)

국부펀드 운용과 련된 주요쟁

국부펀드 운용과 관련하여 주요쟁점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국

가자산을 손실위험이 높은 수익성 위주로 운용하는 것이 과연 옳은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국부펀드의 투자손실이 국부손실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부펀드가

수익성이 높은 고위험 자산에 투자를 집중하기에는 정치적인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외환보유액을 재원으로 하는 비상품펀드의 경우 불태화 과정에서 외환보유액의 대부

분을 부채발행을 통해 보전(debt-finance)하기 때문에 투자손실이 발생하면 국가재

정이 악화되고 국민의 세금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상품펀드의 경우도 투자수익은 자

8) 국부펀드는 투명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매우 다양한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자들의 부정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9) 국부펀드는 막대한 자금력을 통한 국제금융시장 교란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

어 원자재가격이 하락할 경우 원자재 수출국들은 국부펀드를 이용하여 가격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국부펀드는 미디어 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public opinion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첨단기술 기간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하여 선진 노하우를 쉽게 얻어갈 수도 있다

29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원고갈에 따른 기회비용이기 때문에 투자손실이 발생하면 기회비용이 늘어나 국가 전

체 차원에서 비효율성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국부펀드가 장기투자 형태로 운용될 경우 수익성 위주 투자전략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1946~2004년 기간에 미국

을 대상으로 수익성 위주의 투자와 안전성 위주의 투자에 대한 손실확률을 추정한 연

구에 의하면 투자기간이 장기화될수록 수익성 위주 투자의 손실확률이 안전성 위주

투자의 손실확률을 하회한다 예를 들어 투자기간 10년을 기준으로 할 때 채권형(채권

100) 투자의 손실확률은 37로 추정되나 주식형(주식 100) 투자와 혼합형(주식

60 채권 40) 투자의 손실확률은 각각 이보다 낮은 133와 125로 추정된다10)

다음으로 국부펀드를 수익성 위주로 운용할 때 중앙은행이 직접 할 것인지 아니면

별도의 독립기구를 설립하여 위탁운용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도 주요쟁점 중 하나이다

그런데 이와 관련해서는 독립기구를 통해 위탁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우

세하다 이의 배경으로는 중앙은행이 국부펀드를 직접 운용하게 되면 대리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중앙은행이 수익성 위주로 자산을 직접 운용

하면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서는 국민의 이해를 얻기가 어렵고 중앙은행의 신뢰도에

도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공격적인 자산운용을 기피하고 전통적인 자산운용에 집

착하려는 경향이 커질 것이라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운용이 불투명하게 이루어져 왔다는 점도 국부펀

드의 운용을 독립적인 기구에 전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이유로 제시된다 또한 중

앙은행은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전통적 자산운용에 익숙한 반면 중앙은행이 수익성

위주의 자산운용경험이 풍부한 금융전문인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중앙은행

의 직접적인 운용을 제약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 문제는 우수한 금융전문인력의 신

규채용을 통해 해결 가능하나 중앙은행이 글로벌 금융기관에 버금가는 경쟁력 있는

보수유인체계를 갖출 수 있을지가 의문시된다

마지막으로 국부펀드의 투명성과 관련된 이슈도 주요쟁점 사항으로 남아있다 특히

10) 또한 손실확률기간 중에 발생하는 투자손실률도 혼합형 투자가 가장 낮고 채권형 투자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투자기간 10년을 기준으로 할 때 혼합형 주식형 채권형 투자의 손실률은 각각 -23 -24

-77로 추정된다 Summers L H Opportunities in an Era of Large and Growing Official Wealth in J Johnson-Calari and M Rietveld eds Sovereign Wealth Management Central Banking Publications 2007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97

이와 관련된 논의는 중국투자공사의 출범 이후 국제적으로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국제적인 행동규범이 나오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또한

펀드의 투명성은 비단 국부펀드뿐만 아니라 헤지펀드 사모펀드 연기금 등에 모두 걸

려있는 문제로 국부펀드에만 해당하는 어떤 장치를 마련하기는 힘들 것으로 여겨진다

맺음말

이상에서는 국부펀드의 현황 설립배경 잠재위험 운용상의 주요쟁점 등을 정리하

였다 그런데 기존의 문헌에서는 국부펀드의 부정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없

지 않다 앞서 언급한 내용 중 수익성 위주의 자산운용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

안정성 가능성 투명성 부족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금융보호주의 확산 우려 등이 바로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부펀드는 글로벌 신용경색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안이 될 수 있는

순기능도 있으며 실제로 Citigroup 이외에 다수의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국부펀드의

자금을 활용하여 미 서브프라임 MBS 및 CDO 투자에서 입은 손실을 만회하려는 움직

임을 보이고 있다11) 우리나라에서도 글로벌 신용경색의 여파로 국내 금융기관 및 기

업들의 해외자금조달이 어려워지자 금리가 폭등하는 등 금융시장이 크게 동요하고 있

다 따라서 국내 금융기관 및 기업들은 외화자금난 해소를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국

부펀드 자금의 활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도 국내 금융시장의 안정회복을 위

해 이러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11) 일부에서는 미 서브프라임 사태에 따른 글로벌 금융기관들의 자본잠식규모가 2000억달러를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하면서 이로 인해 금융기관들의 여신창출능력이 2조달러 이상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자료판매 코너

총판 정부간행물 판매센타(02-394-0337)

지 역 서 명 화 번 호 치

서 울

본사 직 서 (02) 734 - 6818한국언론재단빌딩

wwwgpcbookscokr

교보문고(본 ) (02) 397 - 3628화문사거리

wwwkyobobookcokr

풍문고(본 ) (02) 399 - 5632종각

wwwypbookscokr

(강남 ) (02) 6282 - 1353 강남고속버스터미

리 로 을 지 (02) 757 - 8991을지로 입구

wwwlibrocokr

서 울 문 고

(반디 앤 루디스)(02) 6002 - 6071 삼성역(무역센터내)

부 산

도 서 (051) 816 - 9500 서면로타리

동 보 서 (051) 803 - 8000 태화백화

주 삼 복 서 (062) 222 - 0258 도청

인터넷서

yes 24 wwwyes24com

알라딘 wwwaladdincokr

코 외에 교보문고 풍문고는 각 지방 분 에서도 매 입니다

손상호(손상호)

약력

) 한국 융연구원

주요논

-

-

-

-

2007년도 KIF 융논단 모음집

2008년 3월 7일 인 쇄

2008년 3월 13일 발 행

발 행 인 이 동 걸

발 행 처 한 국 융 연 구 원 서울시 구 명동 1가 4-1 은행회 5678층

화 3705-6300 FAX 3705-6309

httpwwwkifrekr wmasterkifrekr

등록 제1-1838(1995 1 28)

ISBN 89-503-0375-2 93320 값15100 원

머 리 말

한국금융연구원은 2004년 9월 이래 매주 발간되는『KIF 주간금융 브리프』를 통해

한 주간의 금융산업 및 금융시장에 대한 분석과 전망 경제현안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

결과를 lsquo논단rsquo lsquo금융포커스rsquo 및 lsquo국제금융이슈rsquo로 구분하여 발표하여 왔다 이 가운데

lsquo논단rsquo은 본 연구원의 연구위원들이 경제 및 금융부문의 현안문제에 대해 현실적인 정책

대안을 개진하거나 개선 방안을 제시한 연구결과물로서 금융업계 학계 정책당국 및

언론으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원에서는 매주 발간되는 lsquo논단rsquo

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공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KIF 금융논단 모음집』을 발간

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되는 2007년『KIF 금융논단 모음집』은 2007년 중『KIF 주간

금융 브리프』에 게재된 lsquo논단rsquo들을 거시경제 금융일반 은행 비은행 및 자본시장

외환 및 국제금융 등 5개의 장으로 재분류하여 모아 놓은 것이다

우선 제 Ⅰ장 거시경제에서는 부동산 문제 금리 정책 수출구조의 변화 주요국 금리

정책의 기조 변화와 시사점 등 거시경제 관련 주요 현안에 관련된 lsquo논단rsquo을 수록하고

있다

Ⅱ장 금융일반은 금융산업의 발전 방향 금융역량 강화 금융지주회사제도 공적자

금 회수 지급결제서비스 MampA 시장 파산제도 주택금융시장 및 주택연금 등 주요

금융정책 관련 현안을 다룬 lsquo논단rsquo으로 구성되어 있다

Ⅲ장 은행에서는 국내 은행의 자본시장 역할 강화 기업금융 활성화 부가가치 제고

소유규제 소액금융 진출 수신구조 변화와 경영 방향 그리고 영업 및 경쟁 관련 제도

개선 문제 등 은행산업과 관련된 주요 현안에 대한 진단과 처방 내용을 담고 있다

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에서는 회사채 시장벤처캐피탈 시장 등의 발전 방안 보험

취약계층 저축은행 역량 강화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체계 대부업제도 개선 중소

기업 관련 어음제도 개선 국내 PEF 과제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주식의 상장 문제 등을

폭 넓게 다루고 있다

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에서는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 원화 및 달러화의 동향 한미

FTA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직접투자 유출입 및 자본수지

동향 글로벌 국부펀드 운용 국제석유자본의 활용 방안 등을 내용으로 하는 lsquo논단rsquo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동안 lsquo논단rsquo을 집필하였던 본 연구원의 연구위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아무

쪼록 본 모음집이 금융회사 임직원 정책 입안자 금융관련 연구자 금융시장 참가자

등 모든 분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다만 이 모음집에 수록된 lsquo논단rsquo

은 집필자들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한국금융연구원의 공식 견해가 아님을 밝혀둔다

끝으로 이 모음집에 함께 싣지 못한 lsquo금융포커스rsquo와 lsquo국제금융이슈rsquo들의 내용은 본

연구원의『KIF 주간금융 브리프』각호를 참고하길 바란다

2008년 3월

한국금융연구원

원장 이 동 걸

목 차

제Ⅰ장 거시경제

수출구조의 변화와 원화강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부동산거품과 그 해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통화량 조절 수단으로서의 금리정책에 대한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주요국의 금리정책 기조 변화와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제Ⅱ장 금융 일반

공적자금회수 전략의 재설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주택관련 정책과 금융시스템 안정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

부동산 버블 금융위기설 그리고 정책의 신뢰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이행실적과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자본시장통합법(안)의 지급결제허용조항 삭제는 매우 바람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전략산업으로서 금융산업의 발전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주택금융시장의 평가 및 향후 운용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기후변화와 금융부문의 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파산제도의 경제적 역할 및 제도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주택연금제도의 정착방안 및 향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우리나라 MampA시장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부실가능성과 대응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금융지주회사제도의 개선과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8

제Ⅲ장 은 행

은행의 부가가치 제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7

은행의 자본시장 역할 강화와 경영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2

금융구조의 변화와 은행의 역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8

기업금융의 활성화를 위해 은행이 나아갈 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

은행산업 경쟁정책관련 법규정 개선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2

은행채에 대한 유가증권 발행공시제도 개선 필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8

자본시장 중심의 기업금융발전과 은행의 리엔지니어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4

국내은행의 경영진 스톡옵션제도 개선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9

유니버설 은행의 역할에 대한 기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4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규제 완화는 필요한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9

은행의 수신구조 변화와 경영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6

소액금융의 성공사례와 국내은행의 진출 시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3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회사채시장의 외부성과 발전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9

대부업제도 개선에 대한 단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5

보험사의 공익성과 보험취약계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1

스톡옵션제도의 현황과 향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7

중소기업 육성지원을 위한 어음제도 개선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2

저축은행의 IT역량 강화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8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3

국내 PEF GP의 현황과 향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8

벤처캐피탈시장의 발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3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주식의 상장과 정책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8

최근 유동성사정 악화의 교훈과 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3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최근 원화의 약세반전에 대한 일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1

한미 FTA로 인한 금융산업의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7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운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2

해외직접투자 및 외국인직접투자 현황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7

국제석유자본의 팽창과 활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2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의 향후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7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과제와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2

미 달러화 위상의 약화요인과 대응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8

최근 자본수지 동향과 정책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5

글로벌 국부펀드 운용에 대한 고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0

제Ⅰ장 거시경제

제Ⅰ장 거시경제 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호(2007108)

수출구조의 변화와 원화강세

李 侖 錫

〈요 약〉

최근 몇 년 간 우리나라의 수출은 수출지역의 다변화 수출산업의 양극

화 상 일본 국과의 수출경쟁 심화 등의 변화를 겪었다 이와 함께 수출

단가는 하락하는 반면 수출물량이 크게 늘어나며 수출액의 증가가 이루어짐

에 따라 수출채산성이 악화되면서 수출기업에 큰 부담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원화강세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우리 수출기업들은 단기 인 수출목표

달성뿐 아니라 장기 인 에서 수출경쟁력을 제고하기 한 노력도 병행

해야 할 것이다

원화가 지속적인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수출은 여전히 호조를 보이고 있다 원화는

2004년부터 현재까지 약 24 정도 절상되었으나 그동안의 수출실적을 보게 되면

2004년에는 31 2005년에 12 그리고 2006년에는 146의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2007년에도 수출은 전년에 비해서는 둔화된 수준이지만 여전히

두 자릿수 증가율인 10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이와 같이 원화절상에

도 불구하고 수출이 잘되는 이유는 무엇이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인가

이하에서는 그간 수출구조의 변화양상과 함께 원화강세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지속적

으로 호조를 보이고 있는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수출지역의 다변화

우선 최근 5년 간의 지역별 수출실적을 보게 되면 미국의 경우 2001년에 전체 수출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1에 육박했으나 5년 후인 2006년에는 13로 낮아졌다 일본

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의 경우에도 11에서 8대로 역시 하락하였다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2001년에 12

에 불과하던 수출비중이 지금은 22에 달하고 있다 또한 유럽에 대한 수출도 16에

서 185로 비중이 높아졌다 종합해보면 5년 사이에 미국과 일본의 비중은 낮아진

대신 중국과 유럽의 수출비중은 상승한 것이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규모도 중국

과 유럽의 경우 5배 가까이 증가한 반면 미국의 경우 흑자규모가 소폭 증가에 그치고

일본의 경우 적자규모가 5년 전에 비해 2배 이상 늘어난 상태이다 또한 중남미와 아

세안 지역과의 무역량과 흑자규모 모두가 증가하는 등 5년 사이 수출지역의 다변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수출지역 변화의 특징 중 하나로 수출대상국 중 동남아 중남미 동구권 국

가들의 부상을 들 수 있다 현재 이들 국가로의 수출은 미국과 일본으로의 수출에 비

해 아무래도 가격을 바탕으로 한 경쟁력으로 승부하는 품목들이 더 많다 따라서 물량

측면에서 크게 늘어난다 해도 몇 년이 지난 뒤에는 중국이나 인도 또는 동남아국가들

의 값싼 제품들에게 시장을 내주어야 할지도 모른다

수출산업의 양극화 상 심화

최근 몇 년 사이 양극화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익숙해진 것 중 하나인데 수출산업에

있어서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우선 중화학제품과 경공업제품 간의 양극화

이다 이는 먼저 수출비중에서 중화학제품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반면 경공

업제품의 비중은 줄어들고 있음을 일컫는 것이다 2001년에 중화학제품과 경공업제품

의 수출비중은 각각 74와 175였지만 2006년에는 각각 80와 8를 기록하고 있

어 경공업제품의 비중이 절반 이상 축소되었다

중화학제품과 경공업제품의 양극화 이외에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양극화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수출실적은 2002년까지 42를

나타냈으나 최근 들어서는 35 내외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또한 수출중소기업 내에

서도 양극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다름 아닌 노동집약적 수출중소기업과 소재부품

중심 수출중소기업 사이의 양극화 현상이다 최근의 수출증가세는 소재부품산업이 크

게 기여하고 있는데 현재 소재부품의 증가율은 완제품의 증가율을 상회하고 있으며

제Ⅰ장 거시경제 5

소재부품산업 내에서도 대기업의 수출증가율은 둔화되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의 수출

증가율은 상승하고 있어 소재부품산업에서 중소기업의 역할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노동집약적 수출중소기업들도 현재의 수출구조에서 벗어나 소재부품 쪽

으로의 수출에 보다 역점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일본의 사례에서 보듯이 소재부품산

업의 육성은 비교적 안정적인 해외수출로 이어져 무역수지의 변동성을 줄이는 역할을

할 것이다

한 일 간 수출경쟁 격화

원화강세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수출은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세 나라 사이의 수출경쟁은 심화되고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은 높은 수출경합도

를 유지하고 있는데 해마다 한일 간 수출경합도지수는 상승하고 있고 한중 간 수

출경합도지수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들어서는 원달러 환율이

보합을 유지한 반면 엔달러 환율은 오히려 상승하여 원엔 환율은 가파르게 하락하

여 왔다 이는 일본과의 수출경쟁력을 더욱 약화시키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무역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한중일 세 나라의 100대 수출상품 가운데 중복

품목 수가 한일 간의 경우 자동차나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45개로 나타나 한

중 간의 29개 일중 간의 26개보다 월등히 많다 한일 간 중복품목 수는 1995년

에는 31개 2000년에는 35개였으나 2005년에는 45개로 크게 증가하여 세계시장에서

한일 간 수출경쟁이 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수출단가는 하락 수출물량은 증

그렇다면 최근 몇 년 간 지속되고 있는 원화강세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호조를 보이

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수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난 이면을 자세히 보면 수출

단가는 하락한 반면 수출물량은 크게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2000년을 기준으로 비

교해봤을 때 수출단가지수는 2006년 10월 현재 62 하락한 반면 수출물량지수는 2

배 이상 늘어났다 이는 수출액의 증가가 수출단가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물량증대에

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따른 결과라는 얘기로 쉽게 말한다면lsquo박리다매(薄利多賣)rsquo식 수출형태를 지속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물론 이는 전 업종에 걸쳐서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며 업종별

로 다소 차이는 있다 그러나 수출 전체적으로 증가요인을 가격요인과 물량요인으로

나누자면 대체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 것이다

지난 몇 년 간 소득교역조건이 상승한 반면 순상품교역조건은 하락하게 된 것도 이

때문이다 순상품교역조건은 수출단가지수를 수입단가지수로 나눈 것으로서 1단위 수

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말하며 소득교역조건은 순상품교역조건에다가 수

출물량지수를 곱한 것으로서 총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말한다 순상품

교역조건의 경우 수입단가상승폭이 수출단가상승폭을 상회하면서 하락하였으나 소득

교역조건이 상승한 것은 수출물량이 크게 늘어난 데 기인한다

이와 같은 상황은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출시장을 공략한 결과를 반영할 수도

있고 시장점유율 유지나 기존의 거래처와 체결했던 장기공급계약 등 불가피한 이유

등으로 인해 수출단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수출물량을 줄일 수 없는 상황의 산물일 수

도 있다 이유가 무엇이든간에 가격경쟁력에 의존하는 수출구조는 수출기업들의 채산

성을 악화시킬 위험이 높고 장기적으로는 수출기업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에 수출구조의 고도화에 보다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2006년 34분기까지 내수

기업의 경상이익률은 80를 기록한 반면 수출기업의 경상이익률은 66에 그친 사

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원화강세는 수출경쟁력 제고의 기회

앞서 언급했듯이 원화강세하에서도 우리 제품의 수출은 호조세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물량공세에 힘입은 바가 크며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따라서 몇

년 안에 중국이나 인도 등의 대형수출국들이 수출시장을 잠식해온다면 우리로서는 현

재와 같은 수출증가세를 유지하기는 힘들 것이다 따라서 지난 몇 년 간 원화가 강세

를 보이면서 우리 기업들의 수출환경이 악화되긴 했지만 보다 어려워진 환경 아래에

서도 단기적인 수출목표의 달성뿐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출제품의 경쟁력향상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 100년이 넘는 중소기업들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며 수출신

제Ⅰ장 거시경제 7

장에 기여하고 있는 이웃 일본의 사례에서 보듯이 우리 수출기업들도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품개발에 힘써야 한다 무역의존도가 70에 달하고 수출이 GDP에서 차

지하는 규모가 38나 되는 우리로서는 수출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지난 40년

동안 세계시장에서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여왔다 60년대초 003

에 불과하던 세계시장 점유율은 지금은 27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그냥 주

어졌던 것이 아니라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낸 것이다 2007년에도 이러한 모습으로 한

국경제가 전진할 수 있도록 모두가 힘써야 할 것이다

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호(2007115)

부동산거품과 그 해법

金 東 煥

〈요 약〉

부동산거품의 원인은 부동산담보 財테크 융자 부동산을 체할 財테크 수단

의 결여 과잉유동성에 있다 1980년 미국이 부동산시장을 진정시키는 데 성공

한 비결은 부동산을 체할 매력 인 財테크 수단으로서 주식과 채권의 상

을 확립한 데 있다 한편 일본은 작스런 리인상으로 부동산거품과 주식거품

이 동시에 붕괴하여 장기불황에 빠지게 되었는데 경제의 기 여건이 튼튼하다

는 자신감이 오히려 거품에 한 인식과 책을 안이하게 만들었다 우리나라

는 경제의 기 여건이 취약한 불황국면에서 부동산과 주식의 거품이 순차

으로 생성붕괴하는 패턴을 따를 가능성이 있어 일본과 달리 장기 복합불황

에 빠질 가능성이 낮다 한편 우리나라의 은행은 일본과 유사하게 부동산담보

財테크 융자 등의 비 이 높은 만큼 거품이 꺼지면 출채권이 연쇄부실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최근 융당국이 LTV-DTI 규제와 동일차주에 한 출

건수 규제를 양 축으로 하여 부동산투기에 기를 박고 융회사의 건 성

확보에 력을 기울이는 정책방향을 제시한 것은 명하다 거품 책의 기본

취지는 시장과 경제를 연착륙(soft-landing)시켜 거품붕괴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

각종 분양시장 규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및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부동

산 보유양도세 등이 도입강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택가격이 좀처럼 꺾이지

않자 부동산 거품론 및 붕괴론 부동산발 경제위기론이 고개를 쳐들며 연말 같지 않았

던 2006년말에 이어 연초 같지 않은 2007년초를 안개 속으로 몰아가고 있다 도대체

제Ⅰ장 거시경제 9

이와 같은 안개의 정체는 무엇이며 이 안개를 걷어내기 위해서는 어떠한 대책이 필요

할 것인가

거품에 한 인식

현재 시장에는 부동산거품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설과 아직 속단하기는 이르다는 설

이 공존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거품은 경제의 기초여건(fundamentals)과 자산가격

간 괴리의 정도로써 측정된다 따라서 이론적 측면에서는 경제의 기초여건에 해당하

는 투자 소비 등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가격만이 고공비행하는 우

리 경제의 현실을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전자가 타당할 수 있다 하지만 거품이 꺼지기

전에는 거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다는 현실론도 만만치 않다 사실 1980년대 후반

에 발생하였다가 1990년에 꺼져버린 일본의 거품은 경제의 기초여건과 무관하였던

바 거품이 형성될 당시 대다수의 일본인들은 경제의 기초여건이 튼튼한 만큼 거품은

없다고 호언장담하였던 것이다

양자 모두 나름대로 설득력 있는 이론적 현실적 근거로 무장하고 있어 그만큼 혼

란스러움도 더해진다 경제의 기초여건이 받쳐주는 가운데 생성붕괴되는 거품은 경

기의 산과 골을 깊게 하는 만큼 충격의 정도는 크지만 회복의 모멘텀을 자극하는 긍정

적 요소도 있다 한편 경제의 기초여건이 취약한 가운데 생성붕괴되는 거품은 경기

의 산과 골을 얕게 하는 만큼 충격의 정도도 작지만 회복의 모멘텀을 찾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거의 모든 경기지표에 적신호가 켜지고 생산과 취업이 구조적으로 미

스매치 현상을 나타내면서 표류하고 있는 듯한 lsquo한국경제號rsquo는 다시 한 번 부동산거

품이라는 높은 파도에 부딪치고 있는 것이다

거품의 원인

기본적으로 부동산은 국토가 좁고 자본축적이 빈약한 우리나라가 세계 10위권의 경

제대국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희소성이란 이름의 무한한 가치를 지니는 자본으로 변

신하는 동시에 기업과 가계에 귀중한 자산형성(이하 財테크) 수단이 되었다 최근의

1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부동산거품 역시 기업과 가계의 財테크 수요가 부동산에 쏠리게 된 데에 직접적으로

기인한다 그런데 이러한 쏠림현상을 부추기는 데에는 적어도 3가지 간접적인 원인이

있다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財테크 융자 부동산을 대체할 財테크 수단의 결여 과잉

유동성이 바로 그것이다

첫째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財테크 융자란 단순히 부동산담보대출을 의미하는 것

은 아니다 왜냐하면 통상적인 담보대출은 기존의 자산을 담보로 하여 부채를 일으키

는 것임에 비해 財테크 융자는 자산과 부채가 상호상승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

하기 때문이다 즉 현재 자산이 없어도 부채를 일으켜 자산을 마련하고 동 자산을 담

보로 또 다른 부채를 일으키며 동 부채를 통해 또 다른 자산을 마련하는 등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財테크 융자는 부동산 이외에도 주식 고가 미술

품 및 골동품 리조트 및 골프 회원권 등의 거품을 조장하는 동시에 거품이 꺼질 경우

연쇄부실을 동반하는 부작용이 있다

둘째 부동산을 대체할 財테크 수단의 결여는 현재의 경기나 자본시장 상황과 밀접

한 관계가 있다 즉 경기전망이 불투명하여 기업의 설비투자나 매출이 저조한 수준에

머물러 있음에 따라 주식이나 채권은 財테크 수단으로서 매력이 없어지고 주가나 발

행주식수가 비교적 높은 우량기업들이 안정주주를 확보하거나 희석화(dilution)를 방

지하기 위해 신주발행에 소극적인 반면 계열사 간 우호지분 보유나 우회증자 등의 방

법을 쓰는 경우가 많아 주식물량 자체가 충분치 않게 된다 이에 따라 財테크 수요는

부동산으로 몰리게 되는 것이다

셋째 앞서 살펴본 두 가지 문제는 나라와 시기마다 조금씩 사정이 다를 수 있지만

과잉유동성 문제는 나라와 시기에 관계없이 부동산거품을 야기하는 공통의 원인이 된

다 예컨대 미국의 연준(FRB)은 2000년대에 들어서 IT거품이 붕괴되기 시작하자 IT

거품 붕괴로 인한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수차례 금리인하를 단행한 바 있었고 그 결

과 과잉공급된 유동성은 자국은 물론 여타 주요 선진국과 신흥국의 부동산시장으로

대거 유입되어 부동산거품을 조장해 왔다 또한 부동산거품은 영국과 미국에서는 소

비붐 중국에서는 투자붐을 일으키면서 석유나 원자재에 대한 투기적 수요로 번지기

까지 하였다 이와 같은 과잉유동성 문제는 과거 일본도 마찬가지였다 1985년 일본

은 플라자합의 이후 엔고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지속적인 저금리정책을 실시하여 내수

제Ⅰ장 거시경제 11

와 수출을 진작시켰고 그 과정에서 과잉공급된 유동성은 국내 부동산시장과 주식시

장을 동시에 과열시킴은 물론 우리나라와 미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주요국의 부

동산시장이나 주식시장을 농락하기도 하였다

거품에 한 책 외국의 사례

부동산거품이 골치를 썩이던 1980년대 미국은 부동산으로 몰리던 단기성 예수금을

뮤추얼펀드나 투자신탁으로 유도하기 위해 수신금리 인하 등의 조치를 취했고 이로

써 주식 및 채권시장을 회복시키고 부동산시장을 진정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성공의

열쇠는 부동산을 대체할 매력적인 財테크 수단으로서 주식과 채권의 위상을 확립한

데 있었다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시장이 진정될 수 있었던 것은 전통산업이

불황의 늪에서 허덕이는 등 경제의 기초여건이 부동산거품을 유지확대하기에 역부

족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시 미국에서는 자본시장이 과열되면서 헤지펀드와 같은

금융 투기세력과 불로소득자가 대거 등장하여 전통산업과 중간소득층이 위축되고 찰

나주의와 경제양극화가 확산되는 등의 부작용도 발생하였다

한편 일본은 1989년 5월부터 1990년 8월까지의 15개월 동안 5차례에 걸쳐 공정할

인율을 25에서 60로 인상했는데 이와 같은 급작스런 금리인상으로 부동산거품

과 주식거품이 동시에 붕괴하여 금융회사와 기업 모두에게 타격을 주고 ldquo잃어버린 10

년rdquo이란 이름의 장기불황에 빠지게 되었다 당시 금리인상은 부동산을 담보로 한 財테크 융자와 유가증권투자 비중이 높았던 은행 이미 해외 부동산이나 주식 등에 대량

투자하여 거액의 환차손을 떠안고 있었던 은행과 기업에 이중의 비용으로 작용하는

독약과도 같은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금리인상이란 극약처방을 내리게

된 것은 거의 전 산업이 활황국면에 놓여 있는 가운데 기업과 가계의 부동산 및 주식

에 대한 투기적 수요가 식을 기미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어떻게 보면 경제의 기초여건

이 튼튼하다는 자신감이 오히려 거품에 대한 인식과 대책을 안이하게 만든 것이다

최근 주요 선진국은 줄줄이 정책금리를 인상하는 등 부동산거품에 대한 경계를 늦

추지 않고 있다 그 때문에 이미 미국 영국 호주 중국의 대도시 지역에서는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과잉공급된 유동성이 부동산시장으로 몰려가는

1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현상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지만 부동산거품을 막기 위해 정책금리를 인상하거나

넘치는 국내 유동성을 해외 부동산 투자로 돌리는 것 역시 바람직하지만은 않다 부동

산거품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금융당국이 금

리인상 대신 LTV-DTI 규제를 택하게 된 배경에는 부동산거품과 그의 붕괴로 10년을

잃어버렸던 반면교사 일본이 있는 것이다

기론과 부동산 책에 한 평가

거품대책에 실패한 일본의 사례로부터 알 수 있듯이 거품은 생성과정보다 붕괴과정

에서 소비와 투자의 위축 개인파산 및 신용불량자의 증가 기업 자금난 및 도산 금

융회사 자산건전성 및 자금중개기능 악화 손실보전과 같은 금융부패의 증가 자살 및

이혼의 증가로 인한 개인과 가정의 파탄 등 수많은 부작용을 낳는다 이것이 부동산발

경제위기론의 실체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미국과 유사하게 경제의 기초여건이 취약

한 불황국면에서 부동산과 주식의 거품이 순차적으로 생성붕괴하는 패턴을 따를 가

능성이 있어 부동산과 주식의 거품이 동시에 생성붕괴되었던 일본과 달리 금융과

실물이 장기 복합불황에 빠질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즉 부동산거품 붕괴가

부동산발 경제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인다

한편 우리나라의 은행은 일본과 유사하게 부동산담보 財테크 융자나 유가증권투자

비중이 높은 만큼 거품이 꺼지면 대출채권이 연쇄부실화되고 유가증권평가손이 발생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최근 금융당국이 LTV-DTI 규제와 동일차주에 대한 대출건

수 규제를 양대 축으로 하여 부동산투기에 쐐기를 박고 금융회사의 건전성 확보에 전

력을 기울이는 정책방향을 제시한 것은 비록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매우 현명한 결정

이라 하겠다 DTI 규제는 소득의 일정 한도(예컨대 40) 이내로 대출을 줄여 부동산

투기와 거품을 막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고 원리금상환 능력을 담보가치가 아닌 실질

소득을 기준으로 평가함으로써 부동산거품 붕괴가 대출채권 부실화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것에 두 번째 목적이 있다 이 때 LTV 규제와 DTI 규제를 동시에 적용하는 것은

담보가치의 일정 한도(예컨대 40) 이내로 대출을 줄이는 LTV 규제만으로는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며 특히 동일차주에 대한 대출건수를 제한하

는 것은 부동산담보 財테크 융자의 연쇄부실을 차단하는 데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제Ⅰ장 거시경제 13

맺음말 거품 책의 본질

흔히들 1997년의 외환위기는 후진국형 금융위기이고 거품붕괴로 인해 초래되는 위

기는 선진국형 금융위기라 한다 역사적으로도 영국 미국과 같은 주요 선진국들은 거

품붕괴를 경험한 이후에야 금융시스템을 선진화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는 거품붕괴

가 선진화의 필요조건이 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거품붕괴를 경험해야만 비로소

선진국 반열에 오를 수 있다는 말이 아니다 오히려 역사는 거품붕괴를 경험한 이들

나라의 전철을 밟지 않거나 거품붕괴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야말로 진정한 선진국이 되는 길임을 교훈으로 남긴다

거품대책의 기본 취지는 거품붕괴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있고 이는 시장과 경제

를 연착륙(soft-landing)시키는 것과 다르지 않다 연착륙이 중요한 까닭은 경제의

기초여건이 취약한 불황국면에서 거품이 붕괴할 경우 회복의 모멘텀 역시 작을 수 있

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혹자는 각종 규제를 철폐완화하는 것에서 회복의 모멘

텀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거품을 만들어 거품이 붕괴되는 것을 막자는 발상

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서 대단히 위험하다 다만 거품대책을 수립실행함에 있어 금

융당국과 금융권이 유념해야 할 것은 빈대(투기 및 거품)를 잡으려다 초가삼간(실수요

및 경기)을 태우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선별(selection)과 미조정(fine-

tuning)은 초가삼간이 타들어 가 시장과 경제가 경착륙(hard-landing)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거품대책의 핵심 개념이다

1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4호(200742)

통화량 조절 수단으로서의 금리정책에 대한 평가

申 龍 相

〈요 약〉

1999년 5월 리 시 방식으로 통화정책을 환한 이후 유동성 조 수단으

로서 리정책의 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는 장기간의

리로 인해 리정책의 효과가 격히 약화된 데에 근본 원인이 있다

한편 리가 장기화된 배경에는 무 높게 설정된 물가안정목표 수 이

자리잡고 있다 이는 경제주체들에게 미래 리기조에 한 잘못된 기 를 형성

하게 함으로써 리 기조가 장기화되는 원인으로 작용하 으며 시 의 유동

성을 정수 으로 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하는 원인으로도 작용하 다

따라서 향후 리정책의 유효성을 확보하기 해서 통화당국은 리향방에

한 시그 링을 분명히 달해야 하며 이에 한 제로 물가안정목표를 합리

인 수 으로 조정하여 리정책의 운신의 폭을 넓히고 시장상황에 따라 선제

이고 기민한 응을 할 수 있는 토 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1979년 이후 총통화(M2)의 연간 공급목표를 정하여 통화량을 관리하는

이른바 통화목표관리방식(monetary targeting)의 통화정책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금융자유화의 확대와 금융시장의 발달로 인해 통화수요 행태가 불

안정해지면서 그 정책유효성의 타당성에 대해 많은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1999년 5월부터 비교적 이론적으로 설명력이 높다고 평가되는 신용중시견해(credit

view)의 입장을 받아들여 콜금리 목표의 변경을 통해 통화량을 간접적으로 규제하는

금리중시 방식으로 통화정책을 전환하였다

제Ⅰ장 거시경제 15

통화정책 전환 이후 콜금리는 통화정책의 운용목표로서 자리잡았으나 콜금리 목표

의 변동이 통화량 및 실물경기에 미치는 영향력이 급속히 약화되면서 콜금리가 통화

정책변수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통화정책 운용방식 변경 이후 유동성 관리수단으로서 금리정책의 유

효성을 분석하여 향후 금리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제언을 하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정책 리의 유동성 조 능력 하

일반적으로 금리와 은행대출 간에는 負(-)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금리를 인상하면 일정시차를 두고 대출이 감소하며 금리를 인하하면 그 반

대의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정상적인 모습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정책금

리와 은행대출 간의 관계에서 분석기간에 따라 매우 불분명한 관계가 도출된다 예를

들어 외환위기 이전 시기를 포함한 분석에서는 양자 간에 負(-)의 상관관계가 존재했

으나 통화정책 운용방식을 변경한 1999년 이후에는 양자의 관계가 이론적인 방향과

괴리되어 금리를 인상(인하)해도 대출과 유동성이 함께 증가(감소)하는 正(+)의 관계

로 반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이런 비이론적 관계가 오히려 더욱 확대되고 있

는데1) 정책금리와 은행대출 간의 인과성검정(Granger causality test)에서도 정책

금리가 은행대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여 히 낮은 리수

이와 같은 시중유동성 조절수단으로서의 금리정책의 無力性은 절대금리수준이 낮

은 경우에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환위기 이후 장기간 초저금리

1) 외환위기 이전 기간을 포함한 경우에는 콜금리 인상 이후 은행대출이 3분기 정도의 시차를 두고 -041 정도의

負(-)의 시차상관계수가 추정되었으나 통화정책 운용목표 변경 이후인 1999년 이후에는 동 관계가 1년 정도 시차를 두고 045의 正(+)의 관계로 반전되었으며 2004년 이후의 분석에서는 090의 높은 동시차상관계수가 추정되었다

1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상황이 지속되면서 최근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절대금리수준이 여전히 낮아2) 금융

자산 수익률이 부동산을 비롯한 실물자산 수익률을 크게 하회함에 따라 대출을 통한

유동성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즉 정책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절대금리수준이 낮은

상황에서는 이를 상회하는 실물자산 수익률로 인해 대출수요의 창출이 지속적으로 발

생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는 외환위기 이전에 기업의 만성적인 자금초과수요

가 금리정책의 유효성을 제약했던 경우와 매우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실제로 1999~2006년 전국 및 서울지역의 주택투자 수익률은 각각 120 151를

기록하여 동 기간의 은행 가중평균 대출금리인 70를 큰 폭으로 상회함으로써 주택

투자 수익률과 가계대출 간 094의 높은 동시차상관관계가 나타나는 등 강한 동행성

을 시현한 것은 이러한 논리를 강하게 뒷받침해 주고 있다3)

통화정책의 선제성 유효성 약화

통화당국은 2005년 10월 이후 5차례에 걸쳐 콜금리 목표를 인상하였음에도 결과적

으로는 시중의 과잉유동성을 흡수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기 어려울 것 같다 이는 시중

유동성이 실물경제활동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조짐이 나타난 시점이 지난 2005

년 14분기이고 2006년 14분기부터 유동성이 적정수준을 넘어 과잉폭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을 고려한다면 통화당국이 2005년 10월부터 정책금

리를 인상하기 시작한 것은 다소 때늦은 면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2) 실질금리의 장기적 균형수준은 이론적으로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시간선호율을 더한 값으로 볼 수 있다

2001~06년 동안 국내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연평균 10 내외였으며 우리나라의 시간선호율은 비록 주관적인 개념이기는 하지만 기존연구에 따르면 4~8 정도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실질기준으로 본다면 적정금리 수준은 5~9 정도이며 실제 대출금리는 여기에 물가상승률과 위험프리미엄을 더한 수준이어야

적절할 것이다

3) 한편 이들 간의 선후행성을 살펴보면 5개월의 시차 이내에서 070 이상의 선후행성을 보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주택투자 수익률 상승으로 가계대출이 증가하고 가계대출로 발생한 유동성이 다시 부동산시장으로 흘러

들어 주택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순환적 구조가 발생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랜저 인과검정(Granger causality test)에서도 가계대출 증가율과 주택투자 수익률 간에는 쌍방 간의 인과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Ⅰ장 거시경제 17

높게 설정된 물가안정목표

이와 같이 유동성관리 차원에서 통화당국이 적절한 정책대응을 하지 못했던 배경에

는 높게 설정된 물가안정목표가 자리잡고 있는 것 같다 글로벌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게 하락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다면 그동안 정책당

국이 통화정책의 기준으로 설정한 중기물가안정목표는 적정수준보다 높은 상태인 것

으로 보인다4) 이와 같이 높게 설정된 물가안정목표는 정책당국으로 하여금 금리인

상에 소극적이고 인하에 대해서는 적극적일 수밖에 없도록 하였다 나아가 경제주체

들에게도 미래 금리기조에 대해 잘못된 기대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저금리기조가 장기

화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시중 유동성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

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리정책의 유효성을 회복하기 해서는

향후 유동성 조절 수단으로서 금리정책의 유효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시장참여자

들의 기대를 정책당국의 의도대로 이끌어가는 것이 정책효과를 높이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정책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시장참여자들이 향후 금리향방에 대해 다른 시각

을 갖고 있다면 그 효과는 무력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리정책의 기대경로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정책당국의 신

뢰성과 시장주도력을 담보로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금리정책은 시의성과 속도

상의 문제로 인해 정책금리 변경에도 불구하고 시장참여자의 기대가 정책당국의 의도

대로 조정되지 않는다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의 교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장상황

에 대한 선제적이고 지속적인 대응을 통해 향후 금리향방에 대한 의사를 분명히 전달

(signalling)하여 실질적으로 경제주체들의 인식과 경제행위의 변화를 유도하는 공시

효과(announcement effects)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금리정책의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정금리수준의 회복이 필요하다 이

4) 실제로 지난 20051~20072월 기간 중 국내 근원물가 및 소비자물가 월평균 상승률은 각각 209 및 245를 기록한 바 있다

1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를 위해서는 물가안정목표 수준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작년말 통

화정책당국은 통화정책 변경의 기준이 되는 중기물가안정목표 수준을 기존 수준인

30plusmn05로 유지하면서 관리대상지표를 근원인플레이션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로

전환하였다 당시에 정책당국은 대상지표를 바꾸는 것 자체가 실질적으로 물가안정목

표를 05p 정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실제로 2005~06년 중에는 국제

유가 및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인해 공급측면의 물가압력 요인을 반영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4p 정도 근원물가 상승률을 상회하고 있어 이러한 주장이 타당한 것처

럼 들렸다 그러나 금년 들어 국제유가가 전년에 비해 하락하고 원자재가격도 안정세

를 보이면서 상황은 역전되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근원물가 상승률보다 낮아지는 현

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결국 물가안정목표 수준을 오히려 상향조정한 결과가 되었다

향후 통화당국이 금리인상에 대해 더욱 소극적일 수밖에 없게 된 근거이다 하루 빨리

통화당국이 물가안정목표 수준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조정하여 이를 통해 금리정책의

운신 폭을 넓힘으로써 현재보다 기민한 금리대응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길 기대

해 본다

제Ⅰ장 거시경제 19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50호(20071224)

주요국의 금리정책 기조 변화와 시사점

宋 在 殷

〈요 약〉

올해 주요국 통화정책의 표 특징은 동반 긴축기조가 완화되었다는 이

다 이는 각국에 아직 과잉유동성의 문제가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용경색

이나 경기침체에 한 우려 등으로 인하여 더 이상 통화긴축이 힘든 상황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과잉유동성의 발생 주요국의 정책 리 동반 인상 최근 리

정책 기조 변화는 각국의 경제상황을 국가요인 심(country-centric)으로만 볼 것

이 아니라 로벌요인 심(global-centric)으로 근해 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

한다 우리나라의 융시장 변동에서도 로벌요인이 차지하는 비 이 증 됨

에 따라 주요국의 동반 정책 리 인상기조 완화는 통화당국의 극 인 정책

운용에 어려움을 더할 것으로 상된다

올해 주요국 통화정책의 대표적 특징은 2004년 하반기 이후 지속되어 온 미국의 정

책금리 인상이 멈추면서 동반 긴축기조가 완화되었다는 점이다 올해 상반기중에는

미국이 정책금리 인상을 멈춘 가운데 다른 주요국들은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하였으

나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가 본격화된 이후에는 미국이 정책금리를 인하하면서 다른

주요국들도 정책금리 인상을 중단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이러한 금리정책 기조의 변화를 이해하고 시사점을 찾기 위해

서는 먼저 작년 주요국들의 동반 정책금리 인상의 근본 원인이었던 글로벌 과잉유동

성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는 현재의 주요국 금리정책의 방향이 기본적으로 아

직 과잉유동성 문제가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인하여

더 이상 긴축하기 힘든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로벌 과잉유동성의 발생과 동반 통화긴축

먼저 과잉유동성이란 경제내에 존재하는 재화와 용역의 거래에 필요한 적정수준을

초과했다고 판단되는 유동성을 말하며 유동성 공급이 증가할 때 물가가 상품의 거래

량과 빈도를 반영하여 적절하게 상승하지 않으면 과잉유동성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주요국에 존재하는 과잉유동성은 각국의 통화정책 등 국가요인 중심(country

-centric)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글로벌요인 중심(global-centric)으로도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 즉 과거 미국의 저금리는 물론 현재에도 진행 중인 석유수출국 및 신흥

경제국들의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에서 발생한 막대한 양의 국제적인 잉여자금을 그

근본적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런 풍부한 자금은 국제금융시장을 통하여 세계 각국의 유동성 팽창을 야기하였

다 물론 각국은 불태화정책(sterilization)을 통하여 이를 억제할 수 있으나 유입된

유동성이 자산시장으로 쏠림으로써 자금시장에서 금리하락이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

황에서는 시중금리 상승을 초래할 이런 정책의 수행에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 일국이

독자적으로 이를 수행하려면 자국 통화의 상대적 강세에 따른 교역조건의 악화를 우

려하지 않을 수 없다

상품시장에서의 통화사용 측면에서 보자면 유동성의 초과공급은 통상 물가상승을

초래하여 유동성 수급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글로벌 물가상승은 상당

기간 시현되지 않았고 과잉유동성이 발생하게 되었다

유동성 팽창에도 불구하고 물가상승이 두드러지지 않았던 원인으로는 먼저 중국이

수출을 통하여 대규모 저가 상품을 세계시장에 공급했던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직접

적으로 중국 상품을 수입하는 국가들의 수입물가 상승을 억제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신흥공업국들이 생산하는 경쟁 상품들과 이러한 제품들을 중간재로 이용하는 상품의

가격상승을 억제하여 글로벌 물가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팽창된 유동성이 부동산이나 주식 등 자산시장에 쏠렸던 것도 일정기간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주식 및 부동산 시장의 호황과 자산가격 상승은 일차

적으로 과잉유동성 발생에 따른 결과이지만 이러한 상황은 자산가격의 지속적인 상

승에 대한 기대를 통해 이들 시장이 계속 대규모 유동성을 흡수하여 일반 물가상승을

제Ⅰ장 거시경제 21

억제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과잉유동성의 발생은 자산가격 거품 붕괴와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를 야기하

게 되었다 또한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한 국제유가도 수입물가 및 생

산비용 측면에서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2004년 이후 시작된 미연준의 정책금리 인상기조는 유동성 팽창과 물가상

승 압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성격이 강했다 특히 당시 미국 경제는 호조를 보이고

있어 통화긴축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높지 않았다

작년 들어 중국과 신흥공업국들의 상품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며 그간 누적된 유가

상승과 과잉유동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이 표출되기 시작했으며 물가불안과 자산가

격 거품에 대한 우려는 주요국 정책금리가 인상기조로 돌아서는 근본 원인이 되었다

또한 유로지역과 일본 등은 자본 유출을 우려하여 미국의 지속적인 정책금리 인상에

따른 국제금리 격차확대를 계속 방관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책 리 동반 인상기조의 완화

올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우려가 제기되기 시작하면서 2월에 미국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3월에는 주요국 주가가 동반 하락하는 등 증시가 불안한 모습을 보

이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의 원인은 과잉유동성에 따른 방만

한 대출 및 작년부터 시작된 주택경기 침체가 근본 원인이지만 미국의 금리인상기조

역시 모기지 금리의 상승을 통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

다 당시 미연준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금융위기로 발전할 것으로는 예상하지

않았으나 부실확대 우려가 주택경기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는 점과 회복이 지연되

고 있는 경기를 고려하여 더 이상 정책금리를 올리지 않게 되었다

한편 2007년 상반기중 유로지역과 중국은 정책금리를 두 차례에 걸쳐 각각 05p

와 045p 인상하였으며 일본 역시 정책금리를 한 차례 025p 인상하는 등 미국

이외의 주요국들은 정책금리 인상기조를 유지하였다 이는 이들 경제가 견조한 성장

을 지속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당시에는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통화당국들

의 과잉유동성과 자산가격 거품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2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하지만 하반기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대규모 환매와 금융기관 파산 사태로 이

어지면서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으로 발전하게 되자 안전자산으로의 자본유입 발생으

로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한 반면 주요국 단기금리들이 급등하였다 사태 발생직후 미

연준은 연방기금금리의 목표를 유지하면서 상한이내에서 이를 안정시키는 데 주력하

는 모습을 보였으나 주택경기의 지나친 침체와 금융시장 전체로의 신용경색 확산을

우려하여 결국 하반기중 세 차례에 걸쳐 1p(525rarr425) 인하하였다

국제금융시장 불안과 미국의 정책금리 인하에 따라 유로지역과 일본은 하반기중 정

책금리를 인상하지 않았고 중국도 9월 중순 이후 이를 중단하고 있다

향후 망 시사

향후 주요국 통화정책의 방향은 과잉유동성 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을 해소하기

위하여 당국이 정책금리를 인상할 여건이 되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이외의 다른 주요국 경제에는 아직 상당한 과잉유동성이 남아 있으며 유가를 포함한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 중국 등 신흥공업국의 수출품 가격상승 등이 계속 물가상승 압

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각국은 통화긴축을 통하여 유동성을 흡수할 필요가 있

는데 실제 정책금리 인상을 단행할지 여부는 무엇보다 경기상황에 달려있다

만약 향후 세계경제가 견조한 성장을 보이게 된다면 주요국 정책금리의 동반 상승

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전망에 따르면 고유가와

미국 주택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내년 세계 및 주요국 경제성장은 소폭 둔화될 것으

로 예상되는데 이렇게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압력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금리

정책의 방향은 전적으로 통화당국이 어디에 가중치를 둘 것인가의 판단에 달려 있다

지금처럼 물가와 경기 전망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어느 일방으로의 정책 필요성이

명백해질 때까지 당분간 각국의 정책금리는 현 수준에서 동결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

리고 앞으로 각국은 자국의 물가와 경기 자산시장 동향 또한 미국의 정책금리의 움

직임에 맞추어 이를 조정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금리차에 따른 자금의 유출입 변화와 환율 문제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우리나라에서 향후 적극적인 통화정책 운용을 더욱 어렵게 할 것이다 즉 유

제Ⅰ장 거시경제 23

동성 팽창에도 불구하고 쏠림현상 등으로 인하여 자금시장에서의 공급 부족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대외적 불확실성까지 증대되어 명확한 통화정책기조 설정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제Ⅱ장 금융 일반

제Ⅱ장 금융 일반 27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호(200711)

공적자금회수 전략의 재설정

金 秉 德

〈요 약〉

공공부문이 지난 10년간 구조조정과 련하여 인수한 후 재까지 보유하고

있는 잔존채권의 처분과 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첫

째 MampA를 통해 매각 가능한 기업에 해서는 시장의 유효경쟁 여건을 검하

는 시간 여유를 가지고 회수극 화에 을 맞출 필요가 있다 한 국가

기간산업의 경우 산업구조의 변화 국민경제 향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인수자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무 투자자로서 연기 PEF의 극

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산회사정리워크아웃 등의 잔여

기업군에 해서는 흐름을 측할 수 있는 기업들을 모아서 유동화증권을

발행하되 필요 시 한 신용보강을 하는 방법을 검토해볼 수 있다 셋째 개인

채권에 해서는 무분별한 제3자 매각은 불법추심 등의 사회 부작용을 발생

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객 으로 회수가능성이 없는 경우는 한 손상각이

필요하다

새해 丁亥년의 날이 밝았다 금년은 외환위기가 발생한 지 10년이 되는 해이다 지

난 10년간 대한민국의 경제체제에는 획기적인 변화가 있었다 자의 또는 타의에 의해

근로자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의 체질이 근본적으로 변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개방

화가 가속화되는 속에서 환율 금리 주가 성장률 등 경제의 펀더멘탈을 반영하는 변

수들도 안정궤도에 재진입한 지 오래다

본고의 주제는 구조조정이 일단락된 오늘의 시점에서 공공부문의 공적자금 회수전

2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략을 재조명해 보는 것이다 돌이켜보면 환란 직후 정부의 역할은 위기상황 극복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조성된 공적자금을 부실 금융회사의 구조조정에 투입하여 금융시

장을 우선적으로 안정시키는 것이 주 역할이었다 강력하고 신속한 구조조정 결과 우

리 경제는 가장 성공적인 위기극복 사례로 칭송받기도 한다 그러나 환란 발생 후 10

년이 지난 오늘에도 구조조정과 관련되어 인수된 채권으로부터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틀(framework)은 10년 전 제정된 법률에 의거하여 환란 직후의 모습 그대로를 보이

고 있다 본고에서는 향후 공공부문이 보유하고 있는 잔여채권의 처리와 관련된 이슈

들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향해야 할 공적자금 회수정책의 보완점을 제시

해 보고자 한다

공공부문 보유 채권의 황

현재 예금보험공사 자산관리공사 산업은행 등 공공부문의 장부에는 구조조정과 관

련되어 인수된 잔존채권들이 상당히 남아 있다 동 채권은 다양한 형태와 특징을 보이

고 있는데 분석의 편의를 위해 이를 채권의 성격에 따라 간단하게 분류해 보도록 하자

첫 번째 부류는 구조조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거나 시장환경이 호전되어 MampA시

장에서 매각할 수 있는 기업들의 채권들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우리금융

지주 서울보증보험 제주은행(이상 예금보험공사 주관) 대우건설 대우인터내셔날

쌍용건설(이상 자산관리공사 주관) 대우조선해양 새한 남선알미늄(이상 산업은행

주관) 대림수산 대우일렉트로닉스 대우정밀 새한미디어(이상 우리은행 주관) 등이

있다 이들 기업의 주식 중 대주주(controlling share) 부분은 MampA시장에서 시가 대

비 0~50 내외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으면서 매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부류는 구조조정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였거나 시장상황이 호전되지 못한 이유

등으로 청산이 진행 중이거나 회사정리 변경안이 추진되거나 기업개선작업(workout)

이 진행 중이거나 MampA를 추진 중이지만 성공여부가 불투명한 기업들의 채권이다

동 채권들은 해당기업의 숫자가 수백 개에 이르면서 다양한 경영환경에 처해 있어서

향후 채권회수의 현금흐름이 불확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셋째 부류는 이상의 기업채권들 이외에 나머지 가계채권 또는 소규모 중소기업의

제Ⅱ장 금융 일반 29

채권이다 동 채권과 관련된 담보물은 경매 또는 공매를 통해서 이미 회수되고 잔존채

권은 대부분 무담보 채권으로서 원금 대비 회수율이 극히 미미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

되는 채권이다

MampA 상 기업채권의 처리 시 유의사항

이들 기업 중 상당수는 구조조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다수의 국내외투자가들

이 경영권 인수를 희망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동 채권에 대한 처리의 기본방향은

ldquo신속성rdquo보다는 ldquo공적자금회수 극대화rdquo의 원칙이 상대적으로 더 강조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돌이켜보면 환란 직후에는 신속한 시장안정이 절실히 필요했고 또한 공적자

금 투입으로 회수된 자금을 재투입함으로써 공적자금투입의 지렛대(leverage)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공적자금회수에 있어서 ldquo신속한 처리rdquo에 우선순위가 두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첫 번째 부류의 채권은 향후 시장상황에 따라 매각 경영권 프리미엄

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이다 따라서 향후 동 채권의 매각전략은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회수극대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회수극대화를 위한 매각전략 선택에 있어서 매각대상 기업이 속해 있는 시장에 적

절한 인수자격을 가진 다수의 유효한 경쟁자들이 존재하는가 여부가 가장 중요한 판

단의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유효한 시장경쟁 요건이 충족되지 못한다고 판

단될 때는 매각 타이밍을 적절히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매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 동일한 산업에 다수의 매각기업이 있는 경우에는 매각에 적절한 시간차를 두어서

시장에 일시에 과도한 매물이 나오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적 제약조건으로 작용하는 관련 법률에 정해져 있는 기금청산

및 구조조정 기업 매각시한을 우선적으로 연장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부실채권정

리기금을 2007년 11월까지 청산하기로 규정한 ldquo금융기관부실자산등의효율적처리및한

국자산공사의설립에관한법rdquo과 우리금융을 2008년 3월까지 매각키로 규정한 ldquo금융지

주회사법rdquo의 개정을 통해 적절한 시간적 여유를 갖는 것이 불가피하다

현재 MampA를 통한 매각대상 기업의 면면을 살펴보면 우리금융을 포함하여 일부

회사들은 국가적 기간산업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될 수도 있다 미국의 경우

3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엑손플로리오(Exon-Florio)법에 의해 경제적 안보를 포함하는 국가안보 차원에서 첨

단기술기업에 대해서는 외국인의 인수에 대해 엄격한 사전적 심사를 하고 있다 우리

의 경우에도 이러한 성격의 기업을 매각하는 경우에는 회수의 극대화 원칙뿐만 아니

라 동 기업 매각으로 인해 초래되는 산업구조의 변화 및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수자를 결정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한편 매각대상 기업의 규모를 살펴보면 시가총액이 1조원을 상회하는 대형기업이

10개 내외인 데 반해 실질적으로 이를 인수할 수 있는 국내자본은 그리 많지 않아서

가장 현금흐름이 양호한 대규모 기업집단의 기업 중에서 출자여력이 5천억을 넘는 기

업은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산업자본계열 기업이 전략적 투자자

(strategic investor)로서 해당기업의 인수주체 역할을 하고 연기금 PEF 등이 재무

적 투자자(financial investor)로 컨소시엄에 참가하여 보완하는 방식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특히 막대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 다변화 측면에

서 대안투자(alternative investments)가 절실히 필요한 연기금이 직접적 방법 또는

PEF 출자 등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MampA시장에서 재무적 투자자로서 적극적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정부당국도 연기금 및 PEF의 MampA시장에서의 참여 활성

화를 위해 규제완화 등 다양한 정책적 배려를 고려해 볼 시점이다

기타 잔여 기업채권 련 고려사항

두 번째 부류인 청산 기업개선작업 회사정리 등 다양한 경영상태에 처해 있는 기

업군은 과거 10년간의 구조조정 기간 중 채권보유기관들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처

리하고자 하였으나 사정이 여의치 못해 남아 있는 잔여 기업군이라 할 수 있다

이들 기업들은 구조조정 또는 회사정리단계 등 다양한 경영환경에 처해 있기 때문

에 이를 처리하는 방법도 다기화될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이를 관리하는 공적 채권

보유기관들의 관리비용 또한 상당히 소모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공적자금회수에

있어서 일정한 매듭을 짓는 의미에서 이들 기업군 중에서 회수 현금흐름이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채권만을 따로 모아서 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

하다 현금흐름이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채권을 대상으로 유동화증권을 발행할 경우

제Ⅱ장 금융 일반 31

공개입찰을 통한 완전매각방식(outright sale)을 통해서 정리하는 방법에 비해 상대

적으로 회수비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완전매각방식을 채택할 경우

해당채권을 매입하려는 매입주체가 매우 적을 뿐더러 수요가 적은 상태에서 매수자들

이 제시하는 할인율은 상당히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자산유동화증권을 발행할 때 필요한 경우 공적기구의 신용보강을 통해 시장에서 소

화시킬 수 있는 선순위채권의 부분을 조절함으로써 우선적으로 회수하고 싶은 공적자

금의 액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개인 신용불량채권 련 고려사항

마지막 부류인 개인 신용불량채권은 무담보인데다가 이미 채권기관이 인수하여 연

체발생 이후 5년 이상 장기간이 경과되어 채권 질이 저하되고 회수가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만약 이러한 개인 신용불량채권을 무리하게 공신력이 없는 제3자에게 매

각할 경우 불법적인 추심행위로 인해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채권

기관들은 채권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파산 면책채권 등 객관적으로 회수가능성이 없

다고 인정되는 채권에 대해 적절한 대손상각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3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5호(2007129)

주택관련 정책과 금융시스템 안정성

李 秉 允

〈요 약〉

집값의 국지 폭등은 경제주체들의 인센티 구조를 왜곡시키고 세 내

(intra-generation) 빈부격차뿐 아니라 세 간(inter-generation) 빈부격차를 확 시

켜 경제 체 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낳게 되므로 집값 안정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간 정부는 집값 안정을 해 지속 으로 정책을 펴왔으

며 이러한 정책은 부분 일 된 원칙하에서 주택정책의 규범을 제시해 왔다

는 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곳에 주택

공 을 늘리고 ldquo살고 싶어하는 곳rdquo 자체도 늘려가는 정책이 좀 더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장기 으로 1가구 1주택자의 양도소득세는 새집을 사는

데 양도차액을 모두 사용했을 경우에는 이연해 주다가 차후에 양도차액을

화했을 때 부과하여 주택이 의 편의는 제공하면서도 불로소득은 차단하는 방안

을 검토해 볼 만하다 한편 DTI 규제는 융시스템의 안정성과 련된 것인 만큼

외를 두지는 말되 그 비율을 히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융감독당국은 융시스템 안정성 확보를 해 주택가격의 연착륙을 도모해

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집값 상승세가 주춤해지고 있다 지난 2003년의 소위 1029 대책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정부의 부동산 안정 대책들이 이제야 효과를 내고 있는 모양이

다 최근에는 시장금리도 상승하고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도 강화되는데다 주택담

보대출 건수도 1인당 1건으로 제한되면서 주택시장으로 가는 돈줄도 마르고 있어 주

제Ⅱ장 금융 일반 33

택가격이 오랜만에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파트 가격 폭등과 이를 막기 위한

대책들 간의 전쟁통에서 벗어나 이제 좀 한숨 돌릴 수 있게 된 만큼 지난 정책을 돌아

보고 앞으로 또 있을지 모르는 전쟁에 대비해 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강남 집값은 왜 올랐나

2007년 1월 15일 국민은행 조사에 의하면 강남구 아파트 한 평당 평균 매매가는

3526만원으로 서울의 25개 구 중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싼 도봉구

(806만원)에 비해서는 무려 44배나 비싸며 2위인 서초구(2677만원)에 비해서도

32나 비싸서 발군의 1위라고 할 수 있다 강남구의 아파트 가격은 21세기를 사는 대

부분의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초미의 관심사이며 이야깃거리이다 우리나라에서 내로

라하는 부자들이라면 적어도 강남에 아파트 한 채 정도는 가지고 있기 마련이고 지방

에서 돈깨나 있다고 자부하는 사람들도 강남 아파트를 마련하기 위해 강남의 복덕방

을 기웃거리는 것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강남구는 2001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

부동산 가격 폭등의 진앙지이고 600조원을 향해 가는 가계신용 폭증을 이끈 장본인이

자 대부분 대한민국 국민들의 선망의 대상이다

강남구 아파트는 그동안 왜 그렇게 올랐고 또 왜 이렇게 비쌀까 부동산가격이 폭

등하는 동안 우리 국민 대부분이 부동산 전문가가 되었기 때문에 이 질문은 정말 모두

다 대답을 알고 있는 하나마나한 질문일지도 모르겠지만 이것부터 한번 찬찬히 살펴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강남은 기본적으로 살기 좋은 곳이다 먼저 우리나라 상업의 중심이 명동 종로 등

강북에서 강남으로 이동하는 바람에 강남에 살면 집과 직장과의 평균 거리가 줄어들

어 생활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여기에 국민들 세금으로 건설되는 사회간접자본도 강

남 그 중에서도 특히 강남구에 집중적으로 건설되어 있다 웬만하면 왕복 8차선 이상

의 시원한 도로들이 사방으로 뚫려 있고 몇 걸음만 가도 여기저기 지하철역이 보인다

지하철 237호선과 분당선이 강남구를 지나며 강남구에는 지하철역이 21개나 된

다 필자가 지하철역의 행정구역 구성을 제대로 잘 몰라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 정도면 가히 서울의 다른 구와는 비교 자체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가 이

3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처럼 많은 사회간접자본을 공짜로 지어줘서 삶의 편의성을 높여 놓고는 집값이 오르

지 않기를 바라는 것은 모순이다

강남은 또 생태하천으로 거듭난 양재천변과 한강변 사이에 위치해 친환경적 주거여

건도 자랑하고 있다 거기에다 각종 백화점 할인점 유명 음식점 문화시설 등이 빽

빽이 들어차 있다 이 정도만 해도 너무나 살고 싶은 동네가 되기에 충분하다 그런데

여기에 또 한가지 교육이 더해진다 집안이 거덜나고 노후대책이 막막해져도 내 자식

좋은 대학 보낼 수 있다면 돈을 아까워하지 않는 것이 우리 부모들이다 그런데 웬만

한 아이 데려다 놔도 철저하게 관리하고 교육해서 좋은 대학 들여보내주는 학교와 학

원들이 몰려 있는 동네가 있다면 그 동네 집값이 어떻게 될까 여기에 부자 커뮤너티

라는 프리미엄까지 얹어지니 수요가 몰리고 다른 지역에 비해 집값이 크게 오른 것이

당연해 보인다 소위 버블세븐 지역들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와 유사한 이유로 가

격이 크게 올랐다고 할 수 있다

집값의 국지 폭등이 야기하는 문제들

다른 부동산도 아닌 인간의 가장 기본적 생활터전인 집의 가격 상승 그것도 지역

별 편차를 극심하게 드러내는 집값 폭등은 엄청난 후유증을 가져온다 자본주의 시장

경제체제의 가장 큰 장점은 경제주체가 각자 자기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했을 때 사회

전체적으로도 가장 바람직한 결과가 나온다는 것이다 또 누구에게나 평등한 기회가

열려 있어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지고 열심히 일하면 누구나 잘살 수 있게 되는 경제시

스템이라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부동산 가격의 국지적 폭등은 이러한 자본주의의 두 가

지 중요한 장점을 사라지게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

지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보다는 집 한번 잘 사고 판 사람이 훨씬 더 많은 부를 축적하

는 인센티브 구조를 가진 경제시스템이 사회 전체적으로 좋은 결과를 낳을 수는 없다

집값의 국지적 폭등은 같은 세대 내(intra-generation) 빈부격차뿐 아니라 이보다

더 문제가 큰 세대 간(inter-generation) 빈부격차를 낳게 되었다 같은 세대 내 빈부

격차의 경우는 부동산 투자를 잘못해 가난해진다는 것이 불합리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남들 다 투자할 때 제대로 투자하지 못한 당사자에게도 어느 정도 책임이 있다고 할

제Ⅱ장 금융 일반 35

수 있다 그러나 윗세대들이 부동산 값을 올려놓아 아래세대가 모두 가난해져 버리는

세대 간 빈부격차의 경우 아무리 노력해도 부모 잘 둔 사람을 따라갈 수 없게 되는 결

과가 초래되어 사회의 활력을 없앤다는 측면에서 더 큰 문제를 야기한다고 하겠다

주택공 정책

집값 폭등에 따른 문제가 이처럼 심각하기 때문에 집값 안정화는 매우 중요한 정책

과제이고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 2003년 1029 대책부터 시작하여 많은 정책을 만들

어 왔다 최근 들어 이러한 정책들이 점차 그 효과를 발휘하고 있고 앞으로도 집값 안

정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필자는 그 대부분의 정책들이 일각의 부정적 시각

과는 달리 일관된 원칙에 따른 바람직한 것들이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필자는 여기

서 지금까지의 정부정책들을 하나하나 끄집어 내어 평가하고 비판할 생각은 없다 다

만 몇 가지 우리가 생각해 볼 만한 과제들에 대해 의견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주택정책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사람들이 살기 원하는 곳에 공급을 늘려주고 그

곳에 공급을 더 이상 늘릴 수 없는 지경이 되면 그 ldquo살기 원하는 곳rdquo 자체를 더 늘려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주택시장을 완전히 시장원리에 맡겨 두면 이러한 문

제는 시장원리에 의해 자연히 해결된다 하지만 인간생활의 기본인 주거문제를 그냥

시장에 내맡길 수는 없는 일이다 특히 주택은 지을 땅이 한정되어 있고 외국에서 수

입도 되지 않아 일반 재화처럼 무한 생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완전히 시장에 맡길 수

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설사 시장에 맡길 수 없더라도 시장원리가 어느 정도 작동하게

하려면 사람들이 원하는 곳에 공급을 늘리고 ldquo원하는 곳rdquo 자체도 늘려주는 정책은 지

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현재 사람들이 가장 살고 싶어 하는 소위 강남권에는 지금보다 주

택공급을 대폭 늘려 금싸라기 땅을 아주 효율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많

은 사람들이 들어가 살고 싶어하는 지역에 엄격한 용적률 규제 등을 두어 주택 수를

줄이는 것은 난센스다 하지만 용적률 규제를 완화하면 강남권 재건축 지역이 또다시

주택가격 폭등을 견인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는 전반적인 주택수급 균형 개발이익환

수제 강화 분양가 상한제 등을 시행해 가면서 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한 걸

3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음 더 나아가 개발이익 환수를 철저히 한다는 전제하에 오히려 강남권에는 용적률 하

한선을 두어 도시의 수용능력(capacity)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주택 수를 늘

리는 것도 생각해 볼 만한 과제이다

주택 련 세 정책

다음으로는 주택관련 세제 문제다 비싼 재산을 가지고 있으면 높은 세금을 내고

소득이 발생하면 세금을 내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최근에 세제가 정비되

기 전까지는 주택관련 세금이 여타 세금에 비해 너무 미약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

의 방식에 큰 문제가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인간의 가장 기본적 생활 유지

를 위한 주택에 대한 세금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최소한 거주용 주택에 대해서는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현재의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된 이후에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제도개선을 도모해 보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먼저 1가구 1주택자에게는 주택 매입가를 기준으로 보유세를 부과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는 생각이다 이렇게 되어야 주택매입 시 주택보유에 따른 세금까지 고려하여 자

금계획을 세울 수 있고 장기 보유의 유인도 생기게 된다 주택 가격이 오르는 것이

집주인의 책임도 아니며 주택가격이 오르더라도 이를 매각하지 않는 이상 주택소유

자의 재산은 변하지 않으므로 시세에 맞춰 보유세를 내는 것보다는 매입가격에 비례

해 보유세를 내는 것이 더 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 물론 집값이 오른 후 그 동네로

이사 오는 사람은 기존 보유자보다는 더 높은 보유세 부담을 안게 될 것이다 또 투자

목적으로 주택을 2채 이상 보유할 경우에는 높은 보유세를 부과해야 할 것이며 재건

축의 경우에는 조합원의 입주도 신규 입주이므로 신규 분양가에 맞추어 보유세를 부

과하면 무분별한 재건축을 억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양도소득세의 경우 물론 주택 매각가가 과거 그 주택의 매입가보다 높으면 소득이

발생한 것이므로 세금을 내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주택은 상업부동산이나 주

식 등 여타 자산과는 달리 기본적인 주거와 관련되는 것인 만큼 조금 다른 기준을 고

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1가구 1주택자의 경우 기존 주택을 팔더라도 다시 주거를

위한 새로운 주택을 구입해야 하는 만큼 기존 주택 매각가와 새 주택 매입가의 차액만

제Ⅱ장 금융 일반 37

이 소득으로 발생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여기에다만 양도소득세를 부과하는 것이 타

당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방식이 양도에 따른 차액으로 발생하는 소득에 과세한다

는 양도소득세의 원래 취지에 더 부합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1가구 1주택

자의 경우에도 나중에 작은 집으로 옮기거나 주택을 구입하지 않아 거주용 주택 가치

의 일부를 현금화함으로써 소득이 발생하거나 자녀에게 상속할 때에는 고율의 세금

을 부과하여 주택에 의한 불로소득을 차단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실제로 소득이

발생한 것이므로 1가구 1주택이라고 해서 세금혜택을 크게 줄 필요는 없을 것이다

현재의 양도소득세 방식은 1가구 1주택자라도 6억원 이상 주택 매각 시에는 양도차

익에 따라 양도세를 부과하는데 양도차익이 매우 커도 주거용 1주택이라는 이유로 공

제를 많이 받아 실제로 양도차익에 대해 제대로 과세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렇다

고 주거용 1주택에 대해 양도세를 과하게 부과하기도 어려운 점이 있다 하지만 1주택

자의 경우 구주택 매각가와 신주택 매입가의 차액에 대해서는 고율 과세하고 주택 상

속과세를 강화하면 주택가격 상승으로 인한 불로소득을 차단하면서도 세금 때문에 1

주택자가 주거용 주택구입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어 일거양득이

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새 주택을 비싸게 주고 샀을 경우에는 재산이 늘어나는 것이므

로 보유세를 많이 내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보유세 및 양도소득세 관련 세제개

편은 주택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으므로 현행 제도가 정착되어 주택가격이 안정되고

또 실거래가 신고가 완전히 정착된 이후에 신중히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주택 련 융정책

마지막으로 주택관련 금융정책과 관련된 것들이다 차주의 상환능력 범위내에서 대

출을 해주어 금융회사의 리스크관리를 도모한다는 취지의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는 2006년 330 대책 때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는 감독당국이 도입하

기 이전에 금융회사들이 리스크관리를 위해 먼저 도입했어야 하는 제도로 도입이 늦

은 감마저 있다 DTI 규제는 금융회사의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지역

및 소득수준 등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하되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금융회사가 비율을

조정해 갈 필요가 있다

3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여기서 유념해야 할 것은 DTI 규제는 금융회사 리스크관리를 위한 것이지 주택시장

의 돈줄을 죄자는 규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금융회사 리스크관리를 위해 DTI 규제는

예외 없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지만 주택시장의 돈줄을 죄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DTI

규제를 강화하면 자금중개라는 금융의 중요한 기능이 위축될 수 있다 자금은 수익률

이 높은 곳으로 흘러가게 마련이다 그동안은 주택시장의 수익률이 높았기 때문에 주

택시장으로 자금이 많이 흘러갔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주택시장으로 자금이 많이 몰

려 문제가 야기된다면 주택시장의 수익률을 떨어뜨리고 주식 등 다른 자산시장의 수

익률을 높이는 정책을 펴서 자금흐름의 방향을 바꾸어 주어야지 자금흐름 자체를 억

누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금융회사가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범위내에

서 금융회사의 자금중개 기능을 위축시키지 않을 만큼의 적정한 DTI 비율을 찾아내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주택가격 안정과 융시스템 안정화

주택가격의 하향 안정화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이지만 아이러니컬한 것은

금융시스템 위기는 주택가격이 상승할 때가 아니라 하락할 때 오게 된다는 점이다 따

라서 정부가 역량을 모아 주택가격 하향 안정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지만 누군가는 이

러한 주택가격의 추세반전이 혹시 금융시스템 위기로 연결될 가능성이 없는지 지속적

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속도조절을 하는 인기없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는 금융감독당국의 역할이다 따라서 금융감독당국은 주택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이것이 크게 늘어난 가계부채에 충격을 주지 않으며 연착륙할 수 있도

록 속도조절을 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그간 주택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아

좌절과 절망을 겪은 국민들이 대다수인 상황에서 주택가격이 너무 빨리 떨어지지 않

고 연착륙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은 매우 인기가 없는 역할일 수도 있다 하지만 어

차피 금융감독이라는 것이 너무 앞서 나가는 것에 제동을 거는 인기 없는 역할을 맡을

수밖에 없는데 그래도 이를 담당하여 묵묵히 제 역할을 수행할 때 우리 금융시스템

나아가 우리 경제가 유지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주택가격은 반

드시 하향 안정화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그 속도는 점진적이어야 한다

제Ⅱ장 금융 일반 39

한양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8호(2007219)

부동산 버블 금융위기설 그리고 정책의 신뢰성

河 駿 坰

〈요 약〉

재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부동산시장의 향배는 양질의 주택이 가진 희소

성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인지 그리고 부동산 련 융긴축 정책이 계속될

것인지의 여부에 달려 있다 이 문제들은 상당 부분 정부정책에 의해 좌우되

는데 최근 제기되고 있는 부동산발 융 기설은 정책의 신뢰성에 의문을 가

지게 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즉 사람들은 정부가 주택가격 하락으로 인한

융 기 가능성 때문에 주택가격의 하방경직성을 추구할 것이라는 기 를 하

게 되는 것이다 재 우리나라 융부문의 건 성을 감안하면 부동산가격이

1~2년 수 으로 하락하더라도 그것이 융 기로 발 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융 기설의 포로가 되어 있다는 념이 확

산됨으로써 정책의 신뢰성을 훼손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 를 불식시키기

해서는 정책당국이 주택가격이 하락하더라도 그 충격을 해당 부문에 국한시킬

수 있는 컨틴 시 랜(contingency plan)을 세워 충분히 처할 능력을 보유하

고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기 가능성에 한 우려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2007년초 부동산 시장은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가 극도로 위축되면서 모두 눈

치를 보고 있는 형국이다 이렇게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것은 사람들이 아직 부동산시

장에 대한 기대를 명확히 형성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과연 부동산가격이 하향안정세

로 접어들었는지 아니면 더욱 폭발적인 상승세로 반전할 것인지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기다리는 것이 최선인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여론조사에서뿐만 아니라 주

4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요 경제연구기관들 사이에서조차 주택가격에 대한 전망은 크게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택가격이 강남지역 주택공급의 희소성을 바탕으로 다시 상승할 것이

라는 의견도 있고 정부의 추가조치에 따라 크게 하락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부동산 버블 단순 버블인가 합리 버블인가

이러한 의견대립은 주택시장 버블의 성격에 대한 판단과도 관련된다 만약 주택시

장 버블이 펀더멘털과는 무관한 단순한 버블이라면 조만간 터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주택시장의 버블이 펀더멘털의 가치상승에 기초한 이른바 lsquo합리적 버블(rational bub-

ble)rsquo이라면 그것은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 예컨대 펀더멘털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동시에 버블이 같은 속도로 커진다면 버블에 투자하는 것이나 펀더멘털에 투자하는

것이나 수익률 면에서는 마찬가지이므로 양자 간에 재정거래(arbitrage) 기회가 사라

진다는 의미에서의 합리성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버블이 존재하는 것이 확실하다고

해도 그 기초가 되는 펀더멘털 가치의 움직임이 어떠한가에 따라 버블의 지속성은 크

게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주택이라는 자산의 펀더멘털은 주택에서 나오는 서비스 즉 교육 문화 교

통 쾌적한 환경 등 주거여건일 것이며 이러한 주거여건의 희소성이 유지되고 더욱

커질 가능성에 대한 기대야말로 인기지역 주택펀더멘털의 상대가치 상승과 버블의 지

속확대 가능성을 뒷받침해 주는 요인일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주택시장 버블이 단순 버블인지 합리적 버블인지 여부는 강남을 비

롯한 주거여건 우수지역의 질 높은 주택의 희소성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인지의 여부

에 달려 있다 만약 질 높은 주택이 앞으로도 계속 희소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하게

되면 버블은 어떤 충격에 의해 일시적으로 줄어들었다가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부풀

어 오르는 패턴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반면에 질 높은 주택의 희소성이 점차 사라질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하게 되면 주택시장의 버블은 축소압력을 받을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41

버블과 융

어떤 요인에 의해 버블의 불씨가 생기기 시작하면 금융이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역

사적 경험이다 버블은 스스로 내생적으로 신용을 창조하기도 한다 일본의 부동산버

블 시기에도 그러했고 1980년대 미국의 저축대부조합이 경쟁적으로 텍사스 지역의 부

동산 투기에 돈을 댈 때도 그러했다 버블의 가능성이 보이는 곳에서는 어김없이 신용

창조가 일어나서 버블을 실현시켜 주었던 것이다 따라서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규제

나 금리정책도 부동산 버블의 크기와 부푸는 속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정부정책의 유인 합성과 융 기설

이상을 종합하면 부동산버블의 지속가능성 여부는 앞으로 질 높은 주택의 희소성이

유지될 것인지 여부 그리고 버블을 억제하는 금융정책이 지속될 것인지 여부에 주로

달려 있다

그런데 정부는 주택공급을 확대하고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건전성 규제를 강화하겠

다고 밝히고 있다 정부의 방침대로라면 버블은 축소되고 부동산가격이 하향안정화되

는 것이 마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시장이 아직도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정책이 지속될 것이라고 믿지 않기 때

문이다 정책에 대한 신뢰는 정부정책의 유인적합성(incentive compatibility)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

유인적합성은 정부가 정말로 부동산가격을 하향안정화시킬 유인이 있느냐의 문제

이다 우선 질 높은 주택의 희소성과 관련해서는 적어도 주택가격의 상승을 예상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강남 등 선호지역 주택의 희소성을 약화시키지 않을 것이

라는 확고한 믿음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들은 선호지역에 거주하는 상당수

정책결정자들의 이해관계를 그 근거로 제시한다 또 정부의 공급확대 정책이 가급적

선호지역을 비껴가는 방향으로 추진되어 온 것도 이러한 믿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선호지역의 희소성을 유지해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논리는 물

론 자의적이고 과장된 것이겠지만 정부가 버블이 꺼지는 것보다는 현상유지를 바랄

4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것이라는 믿음이 상존하는 것이 현실이다

사실 시장으로 하여금 주택가격 하향안정화에 대한 정부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하는

더욱 중요한 요인이 바로 금융위기설이다 최근 제기되고 있는 부동산발 금융위기설

에서는 주택가격의 경착륙이 발생할 경우 가계부채 위기가 발생하고 그것이 금융위기

와 경제위기로 이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사람들은 정부가 이러한 논리를 무시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부동산 가격의 하락을 꺼릴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되는 것

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대가 형성된 것은 지난 몇 년 간 경기부진 속에서 주택가격에 하방경직성

이 나타났다는 사실을 보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정말로 부동산가격 하락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부동산 정책의 신

뢰성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융 기의 가능성

사실 부동산발 금융위기의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 외환위기 이후 국내 은행들의

자본충실도는 크게 개선되었고 여신심사기준 강화 보수적 자금운용 등으로 부실여신

비율도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저축은행권 역시 은행권보다는 충격흡수 능력이 취약하

지만 자본충실도가 크게 개선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주택가격이 1년 전 또는 2년

전 수준으로 되돌아간다고 해도 그것이 금융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부동산발 금융위기설의 포로가 될 것이라는 믿음이 힘을

얻는 것은 만에 하나 부동산가격이 경착륙했을 때 정부가 적절히 대응하기 곤란할 것

이며 그러한 일이 벌어질 수 있는 희박한 가능성조차도 회피하는 것이 정부의 유인적

합성에 맞는 것이라고 시장참가자들이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주

택가격이 사실상 하방경직성을 갖는 것은 당연하며 부동산불패의 신화는 계속될 수

있는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43

융 기설의 포로가 되지 않으려면

따라서 정부가 정책의 신뢰성을 얻기 위해서는 스스로 금융위기설의 포로가 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금융위기를 포함한 모든 가능성에 대해 적절히 대

처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시장이 믿게 해야 한다

만에 하나 주택가격이 폭락하더라도 정부가 그 충격을 부동산시장 내부에만 국한시

킴으로써 충격이 금융위기로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러한 능력을 시장

이 믿어준다면 정부는 금융위기설의 포로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버블은 자본주의 경제에서 끊임없이 발생했고 버블의 붕괴는 금융위기로

연결되곤 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정책당국의 대응방식도 많이 진화해서 버블붕괴

의 충격을 해당 시장에만 국한시키고 금융위기로 전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들이 개발되었다 그 하나의 예가 최종대부자(lender of last resort) 기능이다

최종대부자 기능은 금융위기 시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해서 일시적인 유동성부족으

로 인한 위기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이다 다만 이 기능은 무원칙한 유동성 공급이

아니라 도덕적 해이 방지장치가 수반된 시장안정 장치라는 데 주의할 필요가 있다 최

종대부자 이론의 선구자인 Bagehot이 제시한 ldquo(금융위기 시) 높은 이자율로 자유로이

대부해준다rdquo(lend freely at a high rate)는 원칙을 참고해서 관련 정책당국들이 컨틴

전시 플랜(contingency plan)을 세우는 것도 검토해 볼 만하다

당국이 모든 가능성에 대해서 철저히 대비가 되어 있다는 믿음을 시장에 주게 되면

그 자체로서 금융위기의 우려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4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0호(200735)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이행실적과 평가

朴 宗 奎

〈요 약〉

공 자 상환 책에 따라 공 자 을 상환해온 지 이제 만 4년이 지났다

이 책의 핵심은 자체상환되지 못한 공 자 을 국채로 바꿈으로써 우발채무

를 직 채무로 환한 뒤 이것을 재정을 통해 25년 간 으로 갚아나간다는

것이었다 공 자 을 굳이 국채로 환하는 이유는 재정수지에 압박을 주어

세출삭감과 세입증 를 통한 세 의 채무상환을 유도함으로써 미래세 의

부담을 덜어주기 함이었다 그러나 수많은 논란 끝에 25년을 내다보며 만들

었고 철 한 이행을 해 법까지 만들어 국민에게 약속했던 이 장기계획은

련법 발효 첫해부터 제 로 실행되지 못했다 특히 일반회계 출연부분이 국채

잔액을 이지 못한다는 이유로 심각하게 지연되어 왔는데 이는 그 지 않아

도 불공평하게 과도한 부담을 지게 되어 있는 미래세 의 재정부담을 더더욱

가 시킬 것이다

공적자금의 원활한 상환을 위해 공적자금 상환대책이 마련된 것은 2002년 여름이

었고 이를 토대로『공적자금상환기금법』이 제정되어 시행된 것은 2003년 1월 1일부

터였다 이 법은 2027년 12월 31일까지 효력을 가지도록 정해졌으며 이에 따라 정부

의 공적자금 상환계획도 25년에 걸친 장기계획으로 마련되었다 금융위기 수습을 위

해 조성했던 공적자금을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상환하여 온 것은 이제 만 4년이 조금

지난 셈이다 그리고 내년은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과 부실채권정리기금의 자산

과 부채를 다시 실사하여 2002년에 정했던 상환 스케줄을 재계산하여야 하는 해이기

도 하다

제Ⅱ장 금융 일반 45

『공 자 상환 책』의 주요내용과 의의

2002년 당시의 공적자금 상환대책을 다시 훑어보자면 먼저 상환대상 채무를 2002

년말 기준 97조원으로 평가하였고 그 가운데 예금보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가 자체 상

환할 수 있는 금액을 28조원으로 추산하였다 그리고 자체상환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

되는 나머지 69조원에 대해서는 금융권이 20조원 재정이 49조원씩 분담하여 25년

동안 갚도록 하였다

금융권이 분담할 20조원은 예금보험공사가 부보금융기관으로부터 매년 부보대상예

금 평잔액의 01에 해당하는 특별보험료를 부과하여 조달하도록 하였고 재정이 분

담할 49조원은 공적자금상환기금이 만기도래한 예금보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의 보증

채권을 국채로 바꾸어준 뒤 이를 일반회계로부터 ldquo2002년 현재가치rdquo 기준 2조원씩을

전입 받아 25년 간 상환하도록 하였다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정부가 막대한 잠재적 재정 부담을 더 이

상 회피하지 않고 상환을 시작해 나가겠다는 방침을 확정한 데에 있었다 즉 예금보

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가 자체상환하지 못하는 만기도래 공적자금을 국채로 바꾸어

줌으로써 우발채무를 직접채무로 전환시킨 뒤 이를 25년 동안 재정을 통해 현금으로

상환해나가기로 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핵심 골자였다

『공 자 상환계획』의 이행과정

공적자금상환계획은 25년을 내다보면서 만든 장기 재정계획이었으며 필자가 아는

한 우리나라 정부수립 이래 지금까지 25년이란 장구한 세월을 염두에 두고 세웠던

장기 재정계획은 역사상 이것이 처음이었다 이 계획의 실행 첫해인 2003년에는 예정

대로 2조원을 일반회계에서 전입하여 상환자금으로 충당하였다 그러나 공적자금상환

기금법이 발효된 이후 그 법에 따라 처음으로 편성한 2004년 예산에서는 일반회계로

부터의 전입금이 당초 예정된 2조 1천억원이 아니라 2천 5백억원밖에 출연되지 않았

다 25년 간에 걸친 공적자금상환계획의 실행이 관련법 발효 첫해부터 심각한 차질을

빚기 시작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2005년 예산을 편성하는 2004년말에는 당초 예정

4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된 2조 3천억원보다 1조원이 적은 1조 3천억원만이 예산에 반영되었다

아무리 중요한 계획이라도 반드시 정해진 일정을 밟아 정확하게 달성해야 할 필요

는 없을지 모른다 너무 융통성이 없는 것보다 어느 정도 융통성이 있는 편이 오히려

나을 수 있다고 본다 금연 결심을 사흘이 안 돼 포기한다든지 초등학교 학생의 방학

계획이 하루도 못가 어긋나기 시작한다든지 하는 일들은 흔히 있는 일로서 얼마든지

이해해 줄 수 있는 문제다

그러나 초등학생이 색연필로 그린 동그라미 겨울방학 계획표가 아닌 다음에야 한

국가의 장기 재정계획이 시행되자마자 중대한 차질을 겪었다는 사실은 놀랍고도 부끄

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 나라의 중앙정부가 수많은 논란 끝에 25년을 내다보며 만

들었고 철저한 이행을 위해 법까지 만들어 국민에게 약속하였던 장기계획이 시행 첫

해부터 제대로 지켜지지 못한 것이다

ldquo25년 장기계획rdquo의 시행 첫해부터 빚어진 차질

그 결과 2004년과 2005년의 일반회계 출연금은 예정보다 대폭 줄어들어 출연금 부

족분이 2조 8천억원에 달하였다 그러자 2006년에는 당초 필요액 2조 4천억원보다 6

천억원이 더 많은 3조원을 예산에 반영하였고 여기에 전년도 세계잉여금 중 일부를

보태어 총 3조 3818억원을 일반회계로부터 전입 받았다 그러나 2006년말에 편성된

2007년 예산에서는 일반회계 전입금이 200억원에 불과하여 당초 필요액 3조 2천억원

에 비하면 거의 하나마나한 수준까지 대폭 줄어들어 버렸다

재정에서 분담하겠다고 했던 49조원은 그것이 더 이상 우발채무가 아니고 정부의

명시적인 직접채무로 보겠다는 의미였다 정부가 갚아야 할지 갚지 않아도 될지를 알

수 없는 미정(未定)의 상태가 아니라 정부가 갚아야 할 돈으로 간주하겠다는 얘기였

다 물론 상황에 따라 회수자금이 예상보다 더 커지거나 작아질 가능성은 분명히 있

는 것이고 특별보험료로 조달하게 될 특별기여금의 규모도 가변적일 것이므로 재정

에서 최종적으로 갚아야 할 규모도 달라질 가능성도 분명히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변

동은 공적자금상환기금법에서 정한 바대로 5년마다 한 번씩 재평가를 거쳐 조정해 나

가기로 하였다 즉 재평가를 해야 하는 2008년 이전까지는 일단 상환대책을 예정대

제Ⅱ장 금융 일반 47

로 추진하겠다는 대국민(對國民) 약속을 한 것이고 그러한 약속은 이행되었어야만 했

었다고 본다

공 자 상환계획의 기본정신

물론 만기도래한 공적자금을 차환(roll-over)발행함으로써 영원히 정부의 우발채

무로 남겨둘 수도 있었다 2002년 공적자금 상환계획을 마련할 당시 공적자금을 계속

우발채무로 남겨둔다 해서 문제가 될 게 뭐냐는 주장도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공적자금의 국채전환을 통해 우발채무를 직접채무로 바꾸어 놓아야 했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어느 시대 어느 나라 정부이건 우발채무를 갚으려는 목적으로 예산을 줄이거

나 세금을 더 걷으려 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적자금이 우발채무로 남아있어

서는 상환이 계속 미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그 경우 엄청난 규모의 공적자금이 국가부

채도 아니고 국가부채가 아닌 것도 아닌 어정쩡하고 애매모호한 상태로 무한정 남게

된다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한국은행의 통안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상황을 원치 않는다면 공적자금을 국가채무로 공식화함으로써 재정

수지에 직접적인 압박을 주어야 했고 그렇게 함으로써 정부에게 공적자금 상환을 위

한 예산 삭감과 세금 증가의 대국민(對國民) 명분을 주어야 했다 결국 공적자금을

국채로 전환하여야 했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공적자금을 나라 빚으로 공식화함으로써

예산도 줄이고 필요에 따라 세금도 더 거두면서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가급적 현세

대에 의해 공적자금이 상환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이는 물론 미래세대의 부담을 가

급적 경감시켜 주기 위함이었다 이것이 공적자금 상환계획의 가장 핵심적인 기본정

신이었던 것이다

정부와 여야 정치권의 이해 불충분

25년 간의 공적자금 상환계획이 첫해부터 순탄치 못한 굴곡을 거치게 된 가장 근본

적인 이유는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이러한 기본정신에 대해 정부와 여야 정치권의 이

해가 불충분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일반회계로부터 공적자금 상환자금을 출연

4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받는 문제를 놓고 국회에서 벌어졌던 격렬하고도 흥미진진한 논쟁은 국회 재경위 및

예결위 회의록 곳곳에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것을 검색해 보면 우선 2004년의

예산에서는 기획예산처와 여당의 강한 반대로 당초 2조 1천억원으로 계획되었던 일반

회계 출연이 110로 줄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2005년 예산에서 2조 3천억원으로

예정되었던 출연금 중 1조원이 줄어든 것은 야당의 반대 때문이었으며 2007년 예산에

서 당초 예정된 3조 2천억원의 일반회계 출연이 200억원으로 줄어든 것은 부실채권

정리기금의 자체회수금액이 늘어나 일반회계 대신 거기서 3조원을 출연 받는 것으로

대체하였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이 기획예산처 여당 야당이 번갈아 가며 25년 장기

재정계획의 차질에 기여한 것은 공적자금상환계획의 기본정신인 미래세대의 부담경

감뿐 아니라 정부 및 국가의 권위 그리고 정치권의 체면과 後代의 평가를 위하여 안

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일반회계 출연의 의미

공적자금 상환을 위한 일반회계의 출연을 기획예산처와 여당 그리고 야당이 번갈

아 가며 반대하였던 가장 중요한 논거는 국채발행을 통한 공적자금 상환은 곧 lsquo빚을

내 빚을 갚는 것rsquo으로서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는 논리였다 이 논리는 그 자체로서

는 옳은 지적이었다 만기도래한 공적자금을 국채로 바꾸어 준 단계에서 이미 국가부

채는 그만큼 늘어났으며 이 부분을 다른 국채를 발행하여 상환하든지 말든지 국가부

채규모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정부예산을 통합재정기준으로 파악할 경우

국가채무 상환자금을 일반회계에서 출연을 받든 공공자금관리기금으로부터 예수를

받든 하등의 차이가 없다 회계처리상 어떤 항목에서 적자를 발생시키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문제는 정부회계 가운데 어느 곳에서 적자를 발생시키는 것이 재정운용

상 압박을 주어 세출삭감이나 증세를 통한 정부부채 감축에 나서도록 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이냐 하는 점이다 재정당국에게 그와 같은 압박을 주는 데에 있어서 단연 일반

회계가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 필자의 판단이며 공적자금상환기금법에 일반회계로

부터의 출연을 받도록 정해놓은 것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었다고 생각된다

제Ⅱ장 금융 일반 49

미래세 부담경감을 한 인식과 노력이 필요

만약 새로운 빚이 생기는 것을 막았다면 정부와 정치권이 납세자들을 위해 유익한

일을 했다고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공적자금을 국채로 전환시켜준 부분은 이미 생겨

난 빚이었기 때문에 지금 갚지 않으면 미래로 넘어갈 수밖에 없는 사안이다 국민의

부담이 늘어나는 것을 막고 싶었다면 어떻게 해서든 다른 곳의 예산을 삭감해 놓거나

세원확대를 통해 세수를 늘여 놓아야 했었다 그런 성과 없이 단지 국채잔액을 감소시

키지 못한다는 이유로 공적자금 상환을 위한 일반회계 출연을 지연시켜온 것은 미래

세대의 부담을 그만큼 더 늘여 놓은 것밖에는 다른 의미가 없다

또한 공적자금상환기금법의 기본정신이 현세대의 상환을 촉진시키고 미래세대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라면 2007년처럼 자체 회수금액이 예상보다 늘어나더라도 일반회

계 출연은 예정대로 집행함으로써 미래세대의 부담을 자체 회수금액 증가분만큼 줄여

놓았어야 옳았다고 판단된다 여건이 예상보다 호전됨에 따른 수입은 현세대의 정부

지출을 유지시키는 데에 사용하기보다는 미래세대의 부담경감을 위해 사용했어야 했

다는 의미이다

그렇지 않아도 현행의 공적자금 상환계획은 미래세대의 부담을 경감시켜주려는 의

도와는 달리 미래세대에게 오히려 불공평하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도록 설계되어 있

다 이를테면 지금의 20대 이하 미성년자들이 전체 부담의 절반에 가까운 44를 지

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현행의 계획이 이런 문제를 안고 있을 뿐 아니라 실행 초기부

터 정부와 정치권의 이해 불충분으로 난항을 겪어왔다 투표권이 없다는 이유 때문에

미성년 세대에 대한 배려를 이런 식으로밖에 하지 않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한다 지

금부터 20~30년 뒤 지금의 미성년자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2003년 이후 작년까지의

국회 의사록을 읽으면서 어떤 느낌을 갖게 될지 그들로부터 현세대는 어떤 대접을 받

게 될지 심히 걱정될 따름이다

5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2호(2007319)

자본시장통합법(안)의 지급결제허용조항 삭제는 매우 바람직

金 資 峯

〈요 약〉

최근 증권사의 지 결제허용조항 삭제를 핵심으로 하는 자본시장통합법 수

정안이 발의되었다 이는 결제 험과 자본시장의 장기 인 발 을 고려할 때

매우 바람직하다 장기자 시장인 자본시장을 제 로 발 시키는 데 있어서

표 인 단기유동성인 증권사 고객 탁 에 지 결제기능을 허용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오히려 지 결제허용은 결제 험을 크게 증가시킬 우려가

있고 증권사에 실질 으로 은행업무를 허용하는 결과를 래하고 이해상충

을 야기할 수 있다 한 외환 기 이후 축 된 귀 한 융원칙들을 훼손하

는 문제 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 융시스템의 안 성을 훼손하지 않도록 지

결제는 반드시 은행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우려를 반 한 수정안 발의는 큰 지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14일「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일명 자본시장통합법) 수정안

이 발의되었다 이를 계기로 자본시장통합법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형성되고 있다

제대로 된 자본시장 즉 장기자금시장을 갖고 있지 못한 국내 금융시장의 현 단계

를 고려해 볼 때 투자은행의 발전은 절실하다 자본시장통합법의 추진을 보면서 많

은 사람들이 법 추진에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던 이유는 바로 그러한 절실함 때문이었

다 다만 지급결제허용 등 일부 불요불급할 뿐 아니라 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조항에 대하여 많은 금융전문가들의 우려가 지속되어 왔다

이제 수정안이 발의된 상황을 맞이하여 증권사에 대한 지급결제허용의 득실을 살

제Ⅱ장 금융 일반 51

펴보고자 하며 본연의 자본시장 활성화와 금융투자회사의 발전을 통하여 금융선진화

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지 결제제도의 역할과 요성

결제시스템 참가자에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이유는 지급결제시스템이 금융시

스템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력 때문이다 예외 없는 세계적인 추세는 은행을 매개로

하지 않는 증권사의 결제시스템 직접 참가는 허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전통적으

로 외부겸영을 채택하고 있는 영국 미국 캐나다 등뿐 아니라 조건부 내부겸영을 채

택하고 있는 독일 프랑스 등이 모두 그렇다 상대적으로 증권사에 우호적인 캐나다의

경우에도 증권사의 직접 참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외환위기에서 보았듯이 금융시스템 안전성의 훼손은 파괴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

으며 이에 따라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금융투자회사의 결

제시스템 참가 여부는 특정 업권의 이해를 위하여 결정될 사안이 아니다 기억하고 있

듯이 지난 1996년 자본자유화가 좋은 의도를 내걸고 추진되었으나 이를 계기로 단

기유동성자금이 크게 유입되었고 이에 따라 자금시장의 급격한 단기화현상이 빚어짐

으로써 만기불일치(maturity mismatch) 문제가 크게 심화되었고 결국 급속한 자금

이탈은 외환위기의 원인으로 작용한 바 있다

국내 증권시장 위탁자금은 변동성이 매우 큰 대표적인 단기성 자금이다 특히 현재

국내 주식시장은 1997~98년 당시의 자금시장에 비하여 국제적인 유동성위험에 더 크

게 노출되고 있다는 점에서 지금은 지급결제 참가허용이 아니라 오히려 지급결제 원

칙과 시스템의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한 시기로 보인다

지 결제참가 주장의 요건은 거의 완료상태

증권사의 지급결제참가 허용 주장의 논거는 수수료절감 이용자 편의성 CMA활성

화 자본시장발전 등이었으나 이제 이러한 논거는 대부분 해소되고 있으며 사실 지급

결제참가 필요성과는 무관해 보인다 직접적으로 통합법의 영향 때문인지는 분명하지

5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않으나 최근 은행들은 각종 수수료를 크게 인하하고 있다 이 수수료인하는 기존에

이미 상대적으로 큰 수수료혜택을 받고 있던 증권사에는 추가적인 인하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용자편의성은 증권사가 전자금융에 대한 투자를 통해 스스로 해결해

야 할 사항이었는데 최근에는 그러한 방향으로 크게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까닭으로

은행 가상계좌(virtual account)로 인한 고객 불편은 크게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CMA잔고는 최근 10조원을 넘어서고 계좌 수는 약 165만개에 이르는 등 지급결제참가

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활성화되고 있다

국내 자본시장발전의 가장 큰 핵심은 장기자금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것인데 이는

증권에 내재한 위험을 분석하고 상품화하는 능력에 의해 가능한 것이며 대표적인 단

기유동성인 위탁계좌자금에 대한 지급결제허용과는 전혀 무관하다 예금보험이 적용

되고 있고 이자율지급이 허용되고 있는 위탁계좌에 지급결제참가를 허용할 경우 고객

예탁금은 실질적인 은행예금이 됨으로써 사실상 은행법이 무력화되는 black-hole을

야기하고 금산분리원칙이 더 이상 지켜질 수 없게 될 수 있다는 점은 이제 모두에게

인식되고 있다 또한 증권사에 대한 지급결제허용은 위험을 적극적으로 상품화하고자

하는 투자은행 동기를 약화시킴으로써 자본시장발전에 역행할 수 있다는 점 역시 널

리 인식되고 있다

증권사가 지급결제참가 허용을 요구하기 위해 제시하는 또 하나의 논거로 지급결제

는 은행의 고유업무가 아니라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는데 이는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

다 즉 이러한 주장을 그대로 증권사에 적용할 경우 그 의미하는 바는 위탁계좌를

통한 자금의 수취는 증권사의 고유업무이지만 중개업(위탁매매)은 고유업무가 아니라

는 주장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증권사의 중개업을 위탁계좌와 따로 떼어 구분할 수

없듯이 지급결제업무는 은행의 예금업무와 따로 떼어 구분할 수 없는 것이다

자본시장통합법은 고객예탁금에 한국은행의 최종대부자 기능을 적용하고자 하는데

이는 증권사의 지급결제서비스를 위해서는 예탁금이 예금의 지위를 얻어야 한다는 역

설을 보이는 셈이 된다 이는 지급결제가 예금수취업무와 따로 떼어 구분될 수 없으며

은행의 고유업무임을 통합법 스스로가 입증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제Ⅱ장 금융 일반 53

지 결제참가의 조건

특정 금융회사의 지급결제참가 여부는 그 금융회사가 지급결제를 고유업무로 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결제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의 보유 여부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

다 그리고 지급결제업무를 고유업무로 영위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예금수취 여부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고객예탁금이 예금이라고 볼 수는 없다 물론 예탁금이 예금이면

은행업인가를 받든지 아니면 미국 등 해외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예탁금을 은행에 예치

시켜야 할 것이다

결제위험을 충분히 관리할 수 있기 위해서는 대표기관이 유동성을 제대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하는데 증시 상황에 크게 좌우되는 고객예탁금은 본질상 관리가 어려울 뿐

아니라 최근(2003년) 대표기관의 현금유동성이 영(zero)으로 떨어지는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대표기관의 위험관리능력을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상황이다

향후 과제

그간 증권업은 위탁매매 등 단순중개업을 중심으로 한 업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지속적인 성장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증권사가 투자은행으로 발

전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대형화 및 전문화 노력을 크게 경주하여야 할 것이다 업무구

조에 있어서 대형증권사일수록 소형증권사에 비하여 위탁매매 등 단순업무가 투자은

행업무 비중보다 더 크다는 사실은 투자은행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여

러 가지 과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2005년 현재 대형증권사의 위탁매매비중은 66

투자은행업무비중은 38 반면 소형증권사의 경우 각각 41 98이다 이러한 상

황에서 과연 투자은행으로의 발전을 위해 지급결제업무 허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쉽

게 지지를 얻을 수 있을까

증권사의 지급결제시스템 참여는 득(효율성 제고)보다 실(시스템 리스크 증가 금산

분리원칙 훼손 투자은행동기 감소 증권산업 구조조정 지연 등)이 많을 것으로 판단

되므로 허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점에서 최근 발의된 수정안은 큰 지지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5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고객예탁금에 대한 예금지위 부여는 궁극적으로 은행업무를 허용하는 결과를 낳을

뿐 아니라 금산분리원칙의 무력화를 초래하고 더 나아가 이해상충과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캐나다를 포함하여 겸업주의(외부겸영 혹

은 조건부 내부겸영)를 표방하고 있는 해외 모든 선진국에서도 증권사가 결제시스템

에 직접 참가하는 예는 없으며 예금수취기관만이 참여한다

따라서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을 훼손하지 않도록 지급결제는 반드시 은행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우려를 반영한 수정안 발의는 큰 지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제Ⅱ장 금융 일반 55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5호(200749)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과 시사점

具 本 星

〈요 약〉

지 까지 이루어진 우리나라 융정책은 융산업의 제도개 에 을 두

어 융시장의 안정성 신뢰도 제고에 기여하 다 그러나 향후 제도개

심의 융정책은 진 으로 융역량 강화 심의 정책을 병행하여 보완

될 필요가 있다 융역량 강화 심의 융정책은 경제주체의 융자산 축

과 융시장의 자산 리서비스 역량을 형성하고 확충하는 데 있다 향후 국내

융산업 개인의 융역량을 강화하기 해서는 장기 인 계획에 의거하

여 민 력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 사회경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

도록 소득 는 소외계층을 한 융자산 축 에 한 지원도 요구된다

끝으로 융역량의 강화는 개별 경제주체의 융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운 될 때 융산업 거시경제의 발 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외환위기로 인해 촉발된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구조개혁이 이루어진 지도 벌써 10년째

로 들어서고 있다 그동안의 금융정책은 주로 부실금융회사의 처리 금융회사의 합병

법률회계제도 개편 공시강화 감독제도 개선 등 제도적 기반의 개혁(institutional

reform)에 초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은 금융회사 및 금융시장의 구조

적 취약성을 극복함으로써 금융산업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이

와 같이 제도적 기반 개혁에 초점을 둔 금융정책은 금융선진국의 경우에도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필수적인 개혁이라는 점에서 향후에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5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반면 영국 및 호주 캐나다 등의 경우 금융정책은 법률 개편 등과 같은 제도적 기반

의 개혁과 더불어 개인 금융자산의 확충 및 금융회사의 금융서비스 확충 등 금융역량

(financial capability) 강화에 초점을 둔 정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금융역

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은 주로 신세대와 은퇴세대 가족 종업원 등 개별 금융주체

의 상황을 감안하여 금융자산의 축적을 도모함으로써 개인 또는 가계의 전 생애에 걸

친 재무안정성을 확보하려는 정책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증권시장 안정화 목적의 주식수요기반 확대를 위한 각종 정책이나

최근 들어 확대되고 있는 금융교육 등이 금융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 밀접히 관련되

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금융정책이 아직까지 제도적 기반 개혁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금융역량 강화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적 관심을 확대

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이하에서 영국을 비롯한 금융선진국의 금융

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 추세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국내 금융산업에 대한 시사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융역량 강화 심 융정책의 특징

일반적으로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은 개인 및 가계 종업원의 자발적인

금융자산 축적을 도모하고 금융회사에 의한 금융자산의 관리와 관련된 서비스 기능을

확충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우선 개인 및 가계 또는 종업원의 금융자산 축적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의 목적은

금융자산 축적을 위한 각종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친 금융자산 축적을 유

도하고 궁극적으로 금융주체가 자기책임 하에 생애에 걸친 금융자산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즉 금융주체별 상황을 감안하여 전 생애에 걸쳐

요구되는 경제주체별 재무관리(money advice) 기능 강화를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들이 차세대를 위해 가입하는 장기저축에 대해 세

제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청소년들이 사회진출 시기에 최소한의 금융자산을 가질 수 있

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직업을 갖고 있는 세대의 경우에는 주택금융에 대한 기본지식

을 습득하거나 기업연금을 통한 은퇴설계를 도모할 수 있도록 기업으로 하여금 다양

제Ⅱ장 금융 일반 57

한 정보를 제공하고 연수기회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도 이에 해당된다 장년기 또는 은

퇴세대의 경우에는 은퇴자금의 축적을 도모할 수 있는 연금제도의 개혁을 촉진하는

정책이 주로 해당된다

특히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저소득층이나 금융소외계층에 대해서도 금융자산 축적

이나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access)을 높일 수 있도록 정부가 직접적으로 지원하

는 것도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저소득층의 저축에 대

해 정부가 직접 매칭펀드(matching fund)를 제공함으로써 자립할 수 있는 자금을 마

련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저소득층 자녀의 경우에는 일반가계와 차별화하여 성년이

될 때까지 인출할 수 없는 특별보조금을 제공함으로써 저소득계층에 속한 신세대의

금융자산 축적 지원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처럼 금융자산의 축적에 초점을 둔 금

융역량 강화 정책은 소득분배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융역량 강화의 방향

금융자산과 관련된 서비스 기능 측면에서 금융정책은 개인의 금융자산 축적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금융회사의 참여 및 책

임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정부는 개인들의 금융자산 축적을 위해 저축이나 투자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신세대에 대한 금융교육을 교과과정에 포함시키거나 각종 정보제공 및 홍보활동을 주

도하여야 한다 또한 금융회사는 청소년들이 적극적으로 금융서비스 제공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함으로써 금융활동에 대한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예

컨대 주당 1시간씩 학교지점을 개설하고 은행직원의 감독 하에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창구업무를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은행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것도 이

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정부는 개인들의 금융자산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인금

융자산관리와 관련된 서비스 기반을 평가하고 이를 확충하는 데 금융회사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개인금융자산관리의 경우 주로 상위고객을 중심으로 금

융서비스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일반가계가 자산관리서비스에 대한 자문이나 조언을

5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구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을 통해 온

라인프로그램(on-line tools)을 제공하거나 금융자산관리서비스에 대한 평가기준이나

지침을 마련하여 인증제도를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금융기관의 자

산관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금융회사의 참여를 확대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금

융회사들이 자발적으로 개인들의 금융자산관리를 위한 정보 및 자료를 제공토록 함으

로써 사회적 기여도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융회사 간 협력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금융자산관리와 관련된 공공활동의 강화는 궁극적으로 자문서비스나

기업연금서비스 연금관리 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창출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

익성 제고에도 유리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금융자산관리에 대한 관심 증대는 금융자

산관리업무와 관련된 고용기반의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은 금융주체가 스스로 금융 수요를 파악하고

자발적으로 금융자산 축적에 대한 책임을 담당할 수 있도록 민관이 공동으로 노력하

는 정책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영국의 아동신탁기금(child trust fund)제도는 모든

신생아에 대해 정부가 기본자금(seed money)을 제공하고 18세에 이를 때까지 부모들

이 기부하는 연간 일정한도 내의 기여금에 대해 세제혜택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입학

시기에 일정 규모의 금융자산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즉 금융자산의 축적을 통해 사

회안전망 기능을 강화하고 금융업에 대한 국민인식을 높임으로써 금융시장 및 금융산

업의 심화를 위한 정책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다고 하겠다

국내 융정책에 한 시사

지금까지 국내 금융산업의 경우 금융역량 강화를 위한 금융정책은 금융시장의 상황

을 고려하여 한시적으로 도입되거나 각종 유예조항을 허용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운영

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또한 금융자산 축적에 대한 유인이 투자수익률을 높이는

형태로 유지됨에 따라 세제혜택을 확대하는 데도 제한적이거나 장기적으로 운영되기

곤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향후 금융역량 강화 정책은 국내의 고령화 추세와 은퇴세

대의 확대 가족형태의 변화 등을 감안할 때 금융주체에 의해 자발적으로 금융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정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경제주체의 금융역량

제Ⅱ장 금융 일반 59

이 제고될수록 공적연금의 적정화 또는 사회경제기반의 안정화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금융제도 개혁의 지속과 더불어 금융역량 강

화를 위한 정책수행은 시기적으로 가장 긴요한 과제에 해당된다

향후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의 도입에 있어서 고려해야 될 요인은 정책의

장기적(long-term) 측면 경제주체의 책임 측면 사회경제적 기능 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금융역량 강화 계획은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계획에 의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

다 금융역량의 강화는 경제주체의 장기적 재무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다 이에

따라 일시적인 경기변동이나 개별상황에 따라 관련 제도의 내용이나 범위가 변경될

경우에 금융자산의 축적에 따른 기대효과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 예컨대 세제혜택의

기준을 자주 변경하거나 만기이전의 계약해지에 대한 유예조항을 도입하는 형태는 그

기대효과를 낮출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금융역량은 국내 가계의 금융자산 금융

세제의 형태 연금 및 퇴직금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세대별(generation) 금

융수요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종합적인 계획에 따라 장기제도(long-term

initiative)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금융역량은 경제주체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이루어져야 그 기대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금융역량의 개발 및 확충은 경제주체 스스로 생애에 걸쳐 요구

되는 금융자산의 축적을 도모하는 데 있다 따라서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정책은 경제

주체들이 그 비용을 적극적으로 담당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융역량

의 축적을 위해서는 민간금융회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역량

의 강화는 장기적으로 민간금융회사에게 성장 및 수익기반의 확대 기회를 제공할 것

이라는 점에서 민간금융회사의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금융교육이나

금융서비스의 제공 등에 있어서 민간금융회사는 자금수취 기능에서 탈피하여 금융서

비스 제공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 또는 여건을 마련하는 데 노력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교저축의 경우 지나치게 저축형 상품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운영형

태도 투자형 상품을 부가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볼 때 신세대를 중심으로 금융역량에 대한 기회를 최

대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신세대를 위한 금융자산의 축적은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질

6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수 있다는 점에서 참여기회를 최대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능은 궁극적으로

차세대의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정책이라는 점에서 계층 간 차별화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부에 의한 금융역량 확충은 공공서비스라는 측면에서

저소득계층이나 소외계층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융자

산의 축적이나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금

융자산의 축적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61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8호(2007430)

전략산업으로서 금융산업의 발전 방향

朴 在 夏

〈요 약〉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도약하기 해서는 기존 통산업과 아울러 융

산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국내 융

산업은 융 기 이후 수익성과 건 성이 크게 제고되었으나 아직까지 많은

면에서 취약성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융허 로서 우리나라의 상을 확고

히 정립하는 동시에 국내 융기 의 활발한 외 진출을 통하여 융강국으

로 발돋움하기 해서는 융 련 규제의 극 완화 융 문인력의 양성

융감독제도의 선진화 자율 인 구조조정을 통한 융산업의 경쟁력 강화

그리고 각종 제도 생활여건의 개선 등이 시 히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정

부가 계획하고 있는 융허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기 해서는 련법안의

입법화를 조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신성장 동력산업으로서 서비스업 특

히 금융산업의 육성이 시급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정부도 이와 같은 필요성을

인식하여 2003년 12월 ldquo금융허브 추진전략rdquo을 확정하고 이의 실현을 위한 정책적 노

력을 다각도로 경주해 왔으며 최근에는 금융허브정책을 일관되고 강력하게 추진하기

위해 관련 법률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융산업의 육성 필요성

우리경제는 10년 전 금융위기를 경험한 이후 국내외 경제환경의 어려움 속에서도

6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현재 세계 5위의 외환보유고를 기록하고 있으며 1인당 GNI도

작년말 1만 8천달러를 넘어선 데 이어 금년말에는 2만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1995년 이후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1만달러대에 묶여 선진

국과의 격차는 줄지 않고 있는 반면 중국 인도 등 후발국의 추격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또한 기업의 설비투자와 민간소비가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수

출위주의 제조업과 내수위주의 서비스업 간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부동산 경기의 장

기과열과 급락 우려 등으로 경제의 지속적 성장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는 등 어

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으로 우리나라가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의 선진경제로 도약하

기 위해서는 조선 자동차 철강 등 전통산업에만 의존하는 산업구조의 한계를 극복하

고 기존 제조업의 첨단화와 더불어 금융물류 등 서비스부문을 적극적으로 육성하

여야 한다는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되고 있다 특히 서비스업 분야 중에서 금융산업은

실물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클 뿐 아니라 그 자체가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서

비스 산업이라는 점에서 전략적 육성 필요성이 큰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2006년 중 금융산업이 창출한 부가가치는 637조원으로서 부가가치율(부가가치산출

액)이 710에 달하여 제조업의 221나 전체산업 평균 385를 크게 상회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특히 1997년 이후 제조업의 부가가치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반면 금융산업의 부가가치는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산업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다

정부의 융허 정책 추진성과

정부도 금융산업을 향후 우리나라의 선진국 도약을 위한 전략산업으로 육성해야 한

다는 필요성을 인식하여 참여정부 초기부터 동북아 금융허브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

해 오고 있다 즉 정부는 2003년 12월 국정과제회의에서『동북아 금융허브 추진전

략』을 확정한 후 2007년까지 금융허브 기반구축 2010년까지 자산운용업 중심의

ldquo특화금융허브rdquo 완성 그리고 2015년까지 아시아 지역 3대 금융허브로 발전한다는 목

제Ⅱ장 금융 일반 63

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05년에는 한국

투자공사를 출범시켜 외환보유액과 연기금 등 공공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동시에 해외 유수 자산운용회사의 국내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금융산업 경쟁력의 핵심인 금융전문인력 양성 및 수요공급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금

융대학원을 개원하고 금융전문 인력센터를 운영하여 금융시장 수요에 부합하는 인력

을 배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금융전문대학원 설립을 계기로 정부 금융회사

권역별 연수기관이 합심하여 산학협동 교육 프로그램 마련 및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인력센터의 네트워크망을 구축하여 기관 간 정보를 공유하

고 인력수급 DB 구축 및 수급 전망 보고서 발간을 통하여 금융인력의 효율적 수급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정부는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동북아 금융허브전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우

리 금융산업의 선진화와 국제화를 달성함으로써 금융산업이 실물경제의 지속적 성장

을 견인할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금융산업 전반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우리나라의 국

가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마련한다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

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융산업의 황과 과제

금융위기 이후 국내 금융산업의 수익성과 건전성은 획기적으로 강화되었다 참고로

지난해 국내 은행의 총자산순이익률은 112로서 선진국과 비교해서도 매우 높은 수

익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BIS자기자본비율도 1232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주택

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대출 급증세에도 불구하고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090에 머물

러 건전성 측면에서도 매우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한편 주식시장에서는 소득수

준의 향상 고령화 추세 등의 사회현상에 힘입어 적립식펀드를 중심으로 장기투자가

활성화되고 기관투자자의 비중이 증가하는 등 증시저변이 튼튼해지면서 주가지수가

사상 최초로 1500을 돌파하고 상장시가총액이 800조원을 넘어섰다

또한 전 세계적인 금융기관의 겸업화대형화 추세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도 금융위

기 이후 금융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부실금융기관 처리 등을 목적으로 금융기관의 대

6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형화 및 겸업화가 빠르게 추진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고객수요의 다양화에 대응하

여 고객에게 종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한 인수합병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국내 금융시장이 매력적인 투자처로 인식되면서 외국금융기관의 국

내 진출과 함께 외국기업이 국내 금융시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는 등 전반적으로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력이 크게 강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긍정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타 선진국 특히 기존의 금융허브

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국가와 비교하면 금융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은 아직

도 매우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금융자산이 명목GNI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금융연관비율은 2001년 이후 62~65배 정도로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어 미국(90배) 영국(118배) 일본(118배) 등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전체 고용규모 중에서 차지하는 금융산업의 비중도 2006년말 기준

326로서 미국(49) 영국(40)보다 크게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국내 금융산

업의 고용효과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선진국에 비해 금융규제의 과다 및 감독분야의 취약성도 금융선진화를 가로

막는 제약 조건 중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참고로 Heritage Foundation의 조사결

과에 따르면 금융기관이 특정 국가에서 얼마나 자유롭게 영업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지를 반영하는 경제자유도 지표가 세계 36위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규제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금융감독의 상시감시체제가 일

부 도입되었으나 효율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있어 정기검사 위주로 금융감독체제를 운

영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금융감독의 적시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평

가된다

특히 새로운 금융환경에 부합하는 금융전문인력의 부족도 국내 금융산업 발전을 가

로막는 문제점 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과거부터 금융억압이 강하여

위험관리를 고도화하거나 금융기법을 습득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고

급 금융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특히 원활한 영어구사능력을 보유하

고 있으면서 금융기술을 보유한 인력의 수는 더욱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10년간 국내 금융기관의 건전성과 경쟁력이 크게 강화되었음에도 불구

하고 아직까지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외 금융시장에서 선진 금융기관과 대

제Ⅱ장 금융 일반 65

등하게 경쟁하고 있는 금융기관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등 국내 금융산업이 해결해야

할 문제는 산적해 있다고 할 수 있다

략산업으로서 융산업의 발 방향

향후 우리나라 금융산업이 지향해야 할 비전은 동북아 금융허브로서의 위상을 확고

히 정립하는 동시에 국내 금융기관들이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에 활발히 진

출하여 역내의 금융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우리 금융산업

의 역량을 강화하고 법규제감독세제생활환경 등 모든 면에서 외국의 금융허

브에 필적할 수 있는 여건을 구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무엇보다 먼저 금융규제를 선

진국 수준으로 완화하고 효율적인 금융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금융자유화 및 선진화

정책을 추진하여 국내 금융시장의 매력도를 지속적으로 제고함으로써 세계 유수의 금

융기관이 국내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융시장의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규제 시스

템을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도록 최대한 빨리 자유화해야 한다 한편 금융자유화

및 개방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감독을 선진화하

여야 하며 이를 위해 금융감독시스템의 상시감시 및 부문검사 강화 위험관리에 기초

한 동태적인 감독시스템으로의 전환 등이 필요하다 또한 감독기관과 함께 회계법인

자율규제기관 등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분식회계 소비자보호 불공정 행위 등을 지속

적으로 적출하고 검사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국내외 금융기관들간의 경쟁

을 지속적으로 촉진하고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금융산업의 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금융산업의 겸업화 대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세계적 투자은

행들과 경쟁할 수 있는 국내 금융기관을 육성하여야 한다 특히 금융허브 수립을 위해

핵심사항 중 하나인 금융 전문인력의 양성에 주력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금융대학원

권역별 연수기관 및 연구소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활용하고 해외 연수기관과의 정보

공유 및 인력 교환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한편 금융산업을 전략적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금융허브정책과 함께 국

6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내 금융기관의 해외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가 동북아 금융허

브 및 동북아 금융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국내 금융기관들이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장치를 마련하고 금

융기관 스스로도 해외에 진출하여 현지화 노력을 통해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

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가 추진 중인 금융허브정책을 체계적으로 강력히 지원하기 위해서

는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관련법안을 조속히 입법화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싱

가포르는 1999년 중앙은행(MAS)법에 금융산업개발기금(FSDF) 조항을 신설하고 금

융허브 촉진을 위한 기금 설립을 법제화하였으며 최근 두바이는 두바이 국제금융센

터(DIFC) 육성을 위해 DIFC법을 제정하여 DIFC 내에서만 적용되는 독립된 사법제도

및 금융감독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향후 금융중심지조성

안의 입법을 기반으로 금융시장에 대한 전문성과 행정능력 및 법적 권한을 갖춘 일원

화된 정책기구를 원활히 운영하는 한편 국내외 금융기관의 애로사항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고자 하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뒷받침된다면 동북아 금융허브 목표가

요원한 것만은 아닐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67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20호(2007514)

주택금융시장의 평가 및 향후 운용 방향

姜 鍾 萬

〈요 약〉

최근 미국의 서 라임 모기지 부실 향으로 국내 주택 융시장의 부실 가

능성에 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국내 축은행과 상호 융 등 비은행

권을 심으로 이러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데 이는 이들 융회사들의 주택담

보 출이 은행권에 비해 높은 담보인정비율과 출 리를 용하고 있고 주

택담보 출 연체율도 은행권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축은행 여신

문사의 총자산 비 주택담보 출 비 과 이들 융회사의 주택담보 출이

체 주택담보 출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 이 매우 낮기 때문에 주택담보 출

부실로 인한 이들 융회사의 산 가능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체 주택 융

시장의 교란 가능성도 매우 낮다 한 지속 인 주택담보 출 련 제도의 개

선으로 주택담보 출 형태가 고정 리부 장기 분할상환방식으로 환되고 있어

향후 부실화 가능성은 더욱 낮아질 망이다

2006년 하반기에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급증함에 따라 국내 주택금융

시장도 비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부실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최근에

는 정부의 지속적인 주택가격안정정책에 따라 주택가격이 하향 안정되고 금리가 상승

함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의 부실이 우려되고 있다

21세기 들어 주택담보대출 등 소비자금융이 우리나라 은행대출의 상당 부분을 점유

하게 된 이후 금리변동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부실 가능성은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내

재된 문제로서 금융환경변화에 따라 수시로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

주택금융시장의 현황을 다시 한 번 짚어보고 향후 운용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6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미국의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발생

2006년 하반기에 미국의 주택시장에서 주택가격이 하향 안정되고 서브프라임 모기

지 연체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모기지 금융회사의 파산을 유발하여 미국 금융시장의

불안이 우려되었다 이러한 미국 주택금융시장의 불안문제가 보도되면서 국내에서는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의 부실과 이로 인한 금융시장의 불안 가능성을 언론 등이 제기

하였다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일반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소비자에 대한 주택금융으로

2001년 이후 주택가격 상승과 저금리 기조에 힘입어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특히 서

브프라임 모기지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Hybrid ARM(Adjustable Rate Mortgage)

은 신용도가 낮은 소비자의 주택구입을 촉진하기 위한 주택금융상품으로 주택가격이

하향 안정되는 경우 부실이 예견되고 있었다 Hybrid ARM은 자금력이 충분하지 못

한 고객을 유인하기 위해 대출 초기 2년간에는 낮은 고정금리를 적용하고 이후에는

높은 변동금리를 적용하는 변형된 주택금융 신상품이다

그런데 작년에 주택가격이 안정되고 금리가 상승추세를 유지함에 따라 44분기에

서브프라임 모기지와 변동금리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계절조정 연체율은 각각 1333

와 1444로 전 분기 대비 77bp와 122bp가 상승하였다 이러한 연체율의 급등현상은

프라임 모기지의 연체율 257(13bp 상승)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으로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로 인한 주택금융시장의 교란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미국 주택금융시장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고

이로 인한 모기지 금융회사의 파산은 미국 주택금융시장의 구조개선에 기여하였다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모기지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말 현재 137에 불과하

고 프라임 모기지 등의 연체율이 안정세를 유지하여 주택금융시장은 조속히 안정을

회복하였다 또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 증가로 모기지 금융회사들은 주택금융의

원칙을 보다 엄격히 준수하여 차입자의 소득을 기준으로 한 채무상환능력 평가를 강

화하고 LTV 100 대출 등을 금지함으로써 주택금융시장의 정상화가 촉진되었다

제Ⅱ장 금융 일반 69

국내 주택 융의 부실 가능성

우리나라 주택금융시장이 2002년 이후 빠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은행의 자산운용

중에서 주택담보대출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시중 유동성 증가 저금리 추세 등으

로 인하여 수도권 등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이 급등하면서 주택담보대출도 급속도로

증가하여 은행 주택담보대출의 잔액과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말 83

조원 237에서 2007년 4월말 218조원 316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주택담보대출이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주택시장의 버블발생 주택담

보대출의 부실 가능성 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소득수준 등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주택가격은 부동산시장에 버블이 발생하였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또한 미국 등 주요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 주택금융은 만기가 3년 이내 단기이고 대출금리가 변동금리

이어서 가계는 원금상환 위험과 금리위험을 부담하고 있다 즉 가계는 주기적으로 원

금을 상환하여야 하며 금리 상승 시에는 이자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금리가

상승하거나 경기침체로 가계의 소득이 충분히 증가하지 못할 경우에는 가계의 채무상

환능력이 저하되어 가계대출의 연체가 우려되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가격과 주택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당국의 꾸준한 노력에 힘입어

국내 주택금융시장의 불안요인은 상당히 해소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의 담보인정비

율(LTV) 규제가 시행되어 은행의 평균 LTV는 50 이하로 주택가격 하락으로 인한

주택담보대출의 부실 가능성은 매우 낮다 또한 금융감독원의 주택담보대출 여신심사

체계 선진화와 주택담보대출 모범규준이 금년 3월부터 시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주

택담보대출 시에 차입자의 부채상환능력을 고려하게 되어 차입자의 소득감소로 인한

부실 가능성도 상당히 낮아지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조건도 상당히 개선되어 주택담보대출 부실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의 만기는 3년 이내 단기에서 10년 이상으로 장기화되고 있으며 대출형

태는 변동금리부 일시상환방식에서 고정금리부 분할상환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다만 저축은행은 LTV가 60 이상이고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9로 은행 등에 비

해 매우 높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총자산 대비 44 총대출

대비 52로 낮아 개별 저축은행의 부실 가능성은 있을 수 있으나 저축은행 전체의

부실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7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주택 융의 향후 운용 방향

향후 우리나라 주택금융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서는 고정금리부 주택금융의 확대

주택금융을 위한 자금조달수단으로서 MBS 발행의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 그 동안 고

정금리부 주택금융 비중이 꾸준히 상승하여 왔으나 주택금융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

기 위해서는 고정금리부 주택금융이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은행의 금융채 발행

액은 2005년 44조원 2006년 59조원 2007년 26조원으로 증가하여 주택담보대출을

위한 자금조달원의 다양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은행은 보유한 주택담보

대출채권을 유동화한 MBS 발행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제Ⅱ장 금융 일반 71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3호(200764)

기후변화와 금융부문의 과제

李 侖 錫

〈요 약〉

기후변화에 따른 효과에 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응은

아직 미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세계의 주요 국가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와 련된 융사업을 차 확 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생되어 나오는 이슈들이 단순히 단기 일회 과학 상이 아닌

장기 지속 사회경제 문제들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융회사 사이의

경쟁이 심화되고 수익원이 약화되고 있는 시 에서 기후변화를 비롯한 환경

련 부문으로 사업을 확 하는 것이 이른바 블루오션 을 향한 항해길일지도

모른다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적 협의체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 Intergovern

-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이 최근 발표한 제4차 평가보고서에 의하면

21세기 말경에는 전 세계의 평균기온이 현재보다 약 2~4degC 상승할 것이라고 한다 이

와 같은 기온상승으로 그린랜드(Greenland)지역의 빙하가 녹고 해수면이 상승하며

식생대가 이동하는 등의 변화가 예측되고 있다

기후 변화는 단순히 기온상승을 통한 생태계의 변화만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자

연재해 질병역학의 변화 등 주변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심각성은 우리

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지구환경문제를 다루기 위한

국제기구인 유엔환경계획(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에 따르면

2040년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규모가 연간 1조달러를 상회할 것이라고

7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다 이처럼 기후변화에 따른 파급효과가 실로 막대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국의 대응은 아직 미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금융부문의 과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금융회사들

의 대응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기후변화의 특징과 효과

기후변화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따지기에 앞서 최근 기후변화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자 우선 무엇보다도 전반적인 이상고온 현상의 심화를 들 수 있다 유럽에서는

이상고온으로 인해 2003년도에만 5만 명이 사망하였으며 2005년에는 지구에서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래 최고수준의 기온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고온현상으로 인해 가뭄

피해지역은 35년 전과 비교했을 때 2배로 늘어났으며 집중호우일수도 증가하여 대규

모 하천지역의 홍수피해도 급증하고 있다 열대성태풍(cyclone)의 출현횟수도 이전보

다 잦아지고 있으며 대서양 허리케인의 세기도 해마다 강해지고 있다 두 번째로는 극

한적인 자연재해 현상의 발생횟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

다 2003년 유럽에 닥쳤던 무더위는 2060년에 가서는 흔히 나타나게 되고 심지어

2080년이 되면 2003년의 무더위는 lsquo평균보다 서늘한rsquo 기온 정도로 취급당하게 될 것

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자연적인 재해로 인한 파급효과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

을 참고해 볼 필요가 있다 먼저 세계 인구의 14 가량이 현재 해안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개인자산 중 약 7조달러가 해안지역에 집중되어 있다고 한다 또

한 인구 천만 이상의 메가도시(megacity) 상위 16개 중 12개가 해안지역에 분포되어

있어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태풍 및 홍수피해 등으로 이들 지역은 막대한 경

제적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2005년 미국의 카트리나 태풍피해로 인해 뉴올리언

스시 전체가 도시기능을 상실한 예를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해안지역의 위험 증대와 함께 식수난에 따른 피해도 심각하다 기온상승에 따른 식

수 수요증대로 인해 식수난이 가중되고 가뭄때문에 작물생산이 감소하며 에너지수요

증가로 전력부족과 에너지가격의 상승이 나타날 전망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73

주요국의 환경 련 융사업의 확

세계의 주요 국가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 전반과 관련하여 금융사업을 점

차 확대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우선 미국의 경우 주정부와 민간차원의 환경문

제 인식확산에 힘입어 은행들도 환경관련사업 비중을 늘리고 있다 Citi은행의 경우

지난 5월 8일 총 500억달러 규모의 환경관련 금융사업 계획을 발표하였는데 온실가

스 축소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대체에너지나 친환경기술 개발기업에 대한 투자와 소

매사업 및 자산관리사업 부문에서의 환경중시 경영방침 등이 주된 내용이다 또한

BOA와 JP Morgan Chase의 경우에도 친환경 설비투자 및 배출권 사업에 대한 투자

환경중시 상품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자금지원 친환경 지점 설치 등을 주요 내용으

로 하는 금융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유럽의 은행들 역시 환경대책사업에 대한 저리융자 사회책임투자(SRI) 펀드의 조

성 및 이산화탄소(CO2) 배출권거래 등의 형태로 환경관련 금융을 강화하고 있다 일

본의 경우에도 도쿄미쓰비시UFJ은행이 풍력발전 바이오매스발전 등 신에너지 개발

사업에 대한 대출비중을 늘리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쿄미쓰비시UFJ은행은 지방은

행들과의 상호제휴를 통해 풍력발전시설이나 재활용시설기업의 기술력 및 채산성 등

에 관한 심사기법과 해당기업에 대한 정보 등을 공유함으로써 광범위한 거래처들의

자금수요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이런 점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후변화 련 투자확 필요성

이와 같은 해외의 적극적인 대응전략에 비해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기업들

에 대한 투자가 미미한 실정이다 일례로 한 풍력발전업체의 경우 국내투자자금모집

에 어려움을 겪어 초기 투자비용의 70 정도를 해외에서 빌려왔다고 한다 처음에는

국내 몇몇 금융회사들이 관심을 보이는 듯 했지만 결국 투자하는 데는 실패한 것이다

풍력발전과 같이 친환경적인 기업에 자금지원을 해줄 경우 기업은 전력생산에 따른

수익창출뿐 아니라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에 따른 부수적인 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

7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기업의 입장에서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게 되고 금융회사는 신규 수익원의

확보와 이미지 및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와 관련된 업

종에 대한 대출이나 투자는 여러모로 혜택을 가져다 준다

일례로 한 에어컨용 냉매 제조업체의 경우 제조과정에서 이산화탄소에 비해 1200

배의 온실효과를 가진 기체인 수소불화탄소(HFC)를 해외기술이전을 받아 더 이상 배

출하지 않게 됨에 따라 유엔으로부터 인정받은 배출권을 해외에 판매하여 연간 100억

원 이상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 문제를 단순히 과학적인

현상이나 윤리적인 문제가 아닌 기업들의 수익성 관점에서 접근하더라도 충분히 관심

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런 점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가 올 7월

부터 2000억원 규모의 탄소펀드를 설립하기로 발표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며 온실가

스 배출규모 세계 10위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 입장으로서는 오히려 다소 늦은 감

이 없지 않다

장기 인 에서의 기후변화 문제 인식제고

금융회사들이 기후변화 문제를 어느 정도 기정사실화되어 있는 문제로 본다면 이를

외면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이에 대한 적응능력을 키워나가는 방향으로 접근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기후변화가 속성상 장기적으로 서서히 느껴지는 현상이므로

금융회사들은 기후변화 관련 비즈니스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는 듯하다 이는 단기

적인 경영성과를 달성하는 데 있어 그다지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

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앞서 지적했듯이 선진국의 주요 금융기관들을 비롯한 세계

적인 추세는 금융기관들도 기후변화 문제가 자신의 이익 및 영업목표와 직결되어 있

다는 점을 깨닫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기

후변화로 인해 파생되어 나오는 이슈들이 단순히 단기적 일회적 과학현상이 아닌 장

기적 지속적 사회경제적 문제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인 것으

로 판단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금융회사들도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기후변화가 미칠 파급효

과를 고려하여 이에 필요한 장기 전략의 수립 조직의 정비를 통한 관련사업의 강화

제Ⅱ장 금융 일반 75

및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을 하루빨리 서둘러야 할 것이다 따라서 금융회사 사이의 경

쟁이 심화되고 수익원이 약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기후변화를 비롯한 환경관련 부

문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것은 어쩌면 금융회사들에게 이른바 lsquo블루오션rsquo을 향한 항해

길일지도 모른다 노아가 대홍수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대홍수를 예언한

하늘의 뜻에 귀를 기울일 줄 아는 겸손함과 혜안뿐 아니라 방주를 건립하는 작업을 실

행에 옮기는 결단력을 동시에 가졌기 때문이다

7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2호(200786)

파산제도의 경제적 역할 및 제도개선 방향

李 淳 豪

〈요 약〉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 기 이후 개인 산제도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나

개인소비자의 갱생을 돕기 한 여러 가지 다른 제도의 이용자는 어들고 있다

올바른 산제도는 회생가능한 채무자의 자력갱생을 도와 여러 가지 사회복지

비용을 이고 노동력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지만 산제도의 남용은 도덕

해이 발생과 소명의식의 하와 같은 문제 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독일 랑스

미국은 1980년 부터 과채무와 개인 산문제에 직면하여 개인 산제도를

정비하기 시작하 다 독일은 채무자가 채무변제를 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

다는 사실을 증명한 후 산을 신청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 다 한 랑

스는 과채무 원회를 도입하여 일원화된 체계에서 산문제를 취 하 으며

미국은 산 면책 에 신용상담과 신용채무 리 교육을 받도록 하여 산

남용을 방지하도록 하 다 각국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 은 산 이 에

채무자 스스로 변제 갱생을 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도록 유인체계를 세워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개인 및 가계의 신용위험은 줄어들었지만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수가 2006년말 기준으로 28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

며 최근 신용등급이 낮아 제도권 금융기관보다는 고리의 사금융을 이용할 수밖에 없

는 금융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어 잠재적 파산자의 수는 앞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

측된다 또한 최근 주식시장의 활황으로 저축은행 등으로부터 주식을 매입하기 위한

제Ⅱ장 금융 일반 77

자금을 대출받는 경우가 늘어나는 등 개인 및 가계 신용의 리스크가 커져 개인 소비자

의 파산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우리나라에 개인 소비자의 갱생을 도와주는 개인파산제도는 1962년 도입되었으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첫 신청자가 나왔으며 이후 신청자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

며 2006년 한 해 동안 법원의 개인파산 신청건수는 2005년에 비해 216 급증한 12만

2608건에 이르렀다 이 수치를 근거로 인구 1000명당 파산건수를 계산해 보면 우리

나라의 경우 26명으로 미국(50명)과 프랑스(30명)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지만 독

일(15명) 영국(20명) 네덜란드(09명) 및 벨기에(09명) 등 대부분의 선진국에 비

해서는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자신의 힘으로 감당할 수 없는 과채무 및 다중채무자의 경우 개인회생 및

개인워크아웃 등 자력갱생을 돕기 위한 제도(再建型 제도)의 이용자는 줄어드는 반면

淸算型 제도인 개인파산 및 면책으로 손쉽게 과채무를 해소하려는 사람의 수는 늘어

나고 있다 이는 재건형 제도와 청산형 제도 간에 서로 대체관계에 있어 개인 소비자

가 여러 가지 제도절차 중 하나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파

산의 경제적 역할과 다른 나라의 제도에 관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파산제도에 대

한 시사점과 재건형 제도와 청산형 제도 간의 올바른 관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산제도의 목

파산제도의 중요한 목적은 지불불능에 처한 (과)채무자의 보호와 채권자의 권리 보

호라는 두 가지 상반된 목표를 조화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과채무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금융거래 질서를 유지하며 국민경제적 기반과 사회적 연대의식이 허물어지

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채무자의 신용불량 및 과채무 문제를 방치할 경우 채권추심을 회피하기 위해 도피

함으로써 가정이 파탄날 수가 있고 채무변제금을 마련하기 위해 강도 등 강력 범죄를

저지르거나 최후의 수단인 자살로 이어지는 등 사회문제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파

산제도는 과채무 문제를 안고 있는 채무자에게 소외계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돕고

사회경제활동에 다시 복귀하여 이바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즉 개인 소비

7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자의 과채무 문제를 해소해 줌으로써 소외계층으로 전락했을 경우 발생할지도 모를

사회복지비용을 감소시키고 범죄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채무자에게 노동시장에 참여

할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과채무 문제로 인하여 발생할지도 모르는 경제 전체적인 생

산성의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파산제도가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채무자의 갱생만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파산 및 면책을 쉽게 허용할 경우 채무

자가 도덕적으로 해이해져 파산을 남용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개인 소

비자가 파산을 선택하는 이유는 파산으로 얻는 편익이 파산에 따른 비용보다 큰 경제

적 이유도 있을 수 있으나 주변에 파산자가 늘어나면서 파산에 대한 사회적 汚名의식

(social stigma)이 저하되는 사회적도덕적 이유가 최근 우리나라에서 파산신청이

급증하고 있는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인 것으로 판단된다 채무자의 도덕적 해이와 관

련하여 미국의 경우를 예로 들면 개인파산은 경기 침체기보다 오히려 확장기에 크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경기침체기인 1978sim1982년과 1990sim1992년 사이에 개인파

산은 각각 20와 37 증가한 반면 경기확장기인 1982sim1990년과 1992sim1997년 사

이에 개인파산은 각각 106와 80 증가하였다 이는 소비자 신용증가에 의한 과다소

비형 파산의 비중이 높음을 시사하며 특히 90년대 중반 이후 개인파산건수가 급증한

이유로서 신용카드 이용증가 파산에 대한 사회적 汚名의식의 저하 및 차압금지재산

액을 증가시켜 채무자의 권리보호를 강화한 1994년 도산법 개정 등을 들고 있는 연구

가 많이 있다 이와 같이 파산을 쉽게 허용할 경우 채권자의 권리는 심각하게 침해될

수 있으며 신용 공여수준이 사회적 최적수준보다 낮은 수준에서 결정되고 채권자가

불법추심 등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결과를 낳는 등 금융질서가 문란해지게 될 것이다

채무자뿐만 아니라 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는 논의의 근간이 되는 정신은

자유롭게 맺어진 계약은 반드시 실행되도록 법사회 제도가 강제해야 한다는 원칙

(pacta sunt servanda agreements must be fulfilled)을 파산제도 또한 지켜야 한

다는 것이다

따라서 올바른 파산제도는 채무자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면서 채무자 보호와 채권

자 권리 보호라는 두 가지의 목적을 조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제Ⅱ장 금융 일반 79

해외 각국의 산제도 특징

미국 및 유럽의 여러 나라는 언어 종교 법체계 정치구조 경제 사회 및 역사적인

배경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었지만 1970년대 말과 1980

년대 초반에 소비자 금융에 대한 규제완화로 소비자 신용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1980

년대와 1990년대에 개인 소비자의 과채무와 개인파산의 심화라는 공통의 문제에 처하

게 됨에 따라 개인파산제도를 정비하기 시작하였다

1994년에 제정되고 1999년에 시행한 독일 파산법(Insonvenzordnung 1994)의 가

장 중요한 개선 사항은 개인 소비자가 법원에 파산을 신청하려면 스스로 채무변제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는 것을 증명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요구 조건을 충족

하기 위하여 모든 파산 신청자는 채권자들과 채무조정 및 변제계획에 대한 협상 시 도

움을 받고 추후에 이러한 사실을 증명해 줄 공인된 기관을 우선적으로 찾아가게 되었

다 이런 채무상담은 주로 소비자협회(Verbraucherzentrale Bundesverband)나 등

록된 채무상담센터(Schuldnerberatung) 등에서 담당하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는 1989년에 파산법을 정비하였는데 가장 큰 특징은 개인 소비자 파

산을 담당할 과채무위원회(Commission des surendettments)를 도입하여 일원화된

체계 내에서 소비자 파산을 취급한다는 점이다 과채무위원회는 행정위원회인데 파

산을 원하는 모든 소비자는 과채무위원회에 신청서를 내게 되고 동 위원회는 심사 후

지원대상으로 승인이 되면 우선 채무변제계획 수립 등을 위해 채무자를 돕게 된다 이

과정에서 채권자나 채무자의 권리와 관계된 사항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 법원에

요청하여 법원 명령하에 시행하게 된다 채무변제계획을 수립하여 채무를 변제할 수

없는 소비자의 경우는 법원으로 보내 파산하게 한다

미국의 경우는 1978년 정기적 수입이 있는 급여 생활자의 갱생을 돕기 위한 재건형

(再建型) 제도(Chapter 13)를 도입하였으나 약 70 정도가 보다 쉽고 빠르며 무조건

적인 채무해소를 위하여 파산(Chapter 7)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파산남용을 막기 위한 장치를 도입하기 위하여 2005년에 파산법을 개정하였다 2005

년 개정 파산법에서 마련한 파산남용 방지책으로 중요한 것은 파산신청 이전에 신용

상담(Credit Counseling)을 반드시 거치도록 하였고 면책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신용

및 채무관리에 관한 교육을 받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8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맺음말

개인파산제도는 개인의 존엄성 회복과 사회복지의 증진 및 금융질서의 확립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제도이다 파산제도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는 미국 프랑스 및 독일의 사례에서 얻은 시사점과 같이 개인워크아웃제도나 개인회

생제도 등의 재건형 제도가 청산형 제도인 파산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고 파산은 최

후의 수단으로 이용되도록 해야 한다 즉 개인워크아웃제도나 개인회생제도의 미비점

을 보완함으로써 파산 이전에 개인 소비자 스스로 채무 변제 및 자력갱생을 위해 최선

의 노력을 다하도록 하는 유인체계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81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3호(2007820)

주택연금제도의 정착방안 및 향후과제

李 碩 晧

〈요 약〉

고령층의 노후생활 안정에 있어 실질 으로 한 축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부수

인 효과도 잖게 기 되는 공 보증 주택연 제도가 정착되기 해서는 다음

과 같은 과제들을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고령층 수요자의 실질 요구에

부합하는 상품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상품구성의 다양화 노력을 지속 으로 경주

해야 할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해서는 특히 주택연 과 련된 리스크 평가

리기법의 지속 인 연구 개발이 병행되어야 하고 이를 담당할 문인력

의 양성이 필요하다 한 동 제도에 한 홍보 교육과 아울러 매과정 등

에서 고령층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되지 않도록 하기 한 각종 장치들의 마

련이 필요하다 한편 장기 으로 주택연 시장 확 에 따른 소요자 을 원활

히 공 하기 해 주택연 채권의 유동화방안을 사 에 마련하고 련된 연구

를 지속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택연 과 련된 향후 과제

로서 농 에 거주하는 고령층을 한 효율 인 주택연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지난 2년여 동안의 산고 끝에 마련된 공적보증 주택연금이 출시된 지 이제 한달여

가 지났다 아직 걸음마도 채 떼지 못한 현 시점에서 제도 시행에 대해 전반적인 평가

를 내린다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는 실제 가입대상이 되고 있는 고령층

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대에 걸쳐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주택연금과 관련하여 그 실질

적인 정착 방안 및 향후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려고 한다

8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주택연 제도의 도입배경 황

현재 우리나라는 급격한 출산율 저하 및 의학발달 등에 따른 수명 연장으로 세계에

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2000년에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전체인구의 72에 해당하는 339만명을 넘어섬에 따라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

며 지금부터 불과 11년 후인 2018년에는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

만 이처럼 빠른 고령화 속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퇴직정년의 단축 핵가족

화의 진전 등 사회구조적 변화 공사적 연금시스템의 미흡 등으로 노후소득보장 대

책이 상당히 부족함에 따라 고령자들의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

러한 측면에서 고령자의 보유주택자산을 효과적으로 월 소득화하여 고령가구가 안정

된 주거생활 및 노후생활을 동시에 도모하도록 하는 주택연금제도는 고령자의 노후생

활 보장에 실질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주택연금제도의 공적보증기관이자 제도를 주관하고

있는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시행 한 달여만인 2007년 8월 13일 현재 5천여건의

주택연금 관련 상담이 접수되었고 실제 가입신청서를 낸 것이 180여건에 이르고 있

어 당초 기대했던 것보다 관심과 수요가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최근 한 시중은

행에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에 따르면 퇴직잠재자의 409 및 실제 퇴직자의 355

이상이 주택연금에 가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제도가 구체적으

로 마련되지 않았던 지난해 주택금융공사에서 실시한 조사결과보다 20p 가량 증가

한 수치이다

주택연 제도 시행의 기 효과

주택연금제도의 시행으로 기대되는 효과로는 무엇보다도 고령자의 개인복지 향상

을 들 수 있다 아울러 부수적으로 내수경기 회복 및 부동산시장 안정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정부의 재정부담 경감 등이 기대된다

우선 주택연금이 고령자 개인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살펴보면 고령자가 은

퇴 이후 평균여명까지 생존할 경우 소득보다 의료비를 포함한 노후지출이 크게 늘어

제Ⅱ장 금융 일반 83

나 고령층에게 주택연금 상품의 이용은 노후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초적인 생활비

및 의료비를 충당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

면 시가 3억원의 주택을 담보로 65세에 주택연금에 가입한 고령자는 기대여명 동안

총 1억 8678만원을 수령하게 되는데 이는 동 고령자가 실질적으로 필요한 노후소득

의 42정도에 해당되는 금액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개인자산축적 국민연금

및 개인연금 등을 통한 노후준비를 충분히 하지 못한 고령자의 경우 그들의 노후 리

스크 부담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어 주택연금 이용이 보다 효과적인 소득보전 수단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고령세대의 노후생활 안정에 있어 실질적 역할을 담당하는 이러한 주택연금제도의

도입은 또한 최근 몇 년 사이 저축률을 높이는 대신 소비지출을 크게 줄이고 있는 것

으로 알려진 40~50대 중장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을 줄여 그들의 소비지출을

이끌어냄으로써 내수경기 회복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주택연금

제도의 시행으로 사회 전체적인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의 재정 지원으로

고령층의 복지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저비용 고효율의 예산운용이 가능하며 부수적

으로 부동산시장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고령자가 보유한 자

산을 활용하여 스스로 복지를 확대한다는 점에서 국가의 복지예산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절감된 예산은 다른 생산적인 부문에 투입이 가능하여질 것이다 또한 주

택연금시장의 발달은 주택가치에 관한 정보의 투명성을 높임으로써 부동산시장의 안

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주택연 제도의 정착방안 향후과제

이처럼 고령화시대의 노후생활 안정에 있어 실질적인 한 축을 담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수적인 효과도 적잖게 기대되는 공적보증 주택연금제도가 빠른 시일내에 활

성화되고 정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시판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언급하기엔 다소 이른감이

있지만 상품 구성의 다양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대출금 지급방법을 보다 다양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현행 공

8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적보증 주택연금의 대출금 지급방식은 매달 같은 금액을 평생동안 지급하는 종신지급

방식을 원칙으로 하는 한편 신용한도설정방법(특별한 경우에 한하여 대출한도의 30

인출 가능)과 정기금지급방법을 혼합한 종신혼합방식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고령

층으로 갈수록 의료비 등 예기치 못한 거액의 자금이 일시에 필요한 경우가 적잖게 발

생하고 실제로 1980년대 후반 도입된 미국의 공적보증 주택연금인 HECM(Home Equity

Conversion Mortgage)도 신용한도설정방법이 가장 선호되는 방식임을 감안할 때 신

용한도설정방법에서 신용한도의 확대 및 전면 적용을 고려함으로써 고령층의 자금수

요에 대한 융통성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상품구성과 관련된 여타

부문에서도 향후 소비자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기울이며 고령층 수요자의 실질적 요구

에 부합하는 상품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상품구성의 다양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

해야 할 것이다

한편 주택연금은 상품의 특성상 장수위험(longevity risk) 금리위험(interest rate

risk) 주택가격변동위험(house appreciation risk) 등 다양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데 사실상 이러한 위험들로 인하여 위에서 언급한 상품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데에 여

러 가지 한계가 있으며 특히 공적보증 주택연금의 경우 동 위험들이 실제 손실로 이

어질 경우 그 부담을 궁극적으로 국민이 부담하게 된다는 우려 또한 존재한다 더구

나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이러한 주택연금의 리스크와 관련된 통계자료의 축적이 부

족하고 정형화된 관리기법 및 전문인력이 전무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주택

연금의 상품 구성이 보다 다양화되고 빠른 시일 내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주택연금과 관련된 리스크 평가관리기법의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병행되어야 하

고 이를 담당할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주택연금제도의 활성화 및 정착을 위해서는 또한 동 제도의 이점과 이용방법 등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시급할 것으로 여겨진다 특

히 국내의 경우 주택연금제도가 정착하는 데에 있어 주 걸림돌 중의 하나가 주택상속

에 대한 관행 및 부담이라는 점에서 교육 및 홍보활동을 주택연금의 대상이 되는 고령

자에 국한하기보다는 미래의 수요자이며 부모의 주택연금 구입관련 의사결정에 일정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젊은 세대에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주택에

대한 국민의식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주거의 개념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홍

제Ⅱ장 금융 일반 85

보활동 전개 및 이러한 의식변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사회경제적 제반 여건이 마련

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고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직접적인 홍보 및 교육활동과 아울

러 미국의 HECM 홍보 전략과 같이 노인복지관련 업무(예 노인복지회관 노인대학

등)에 종사하는 전문직 종사자들을 통한 간접적인 홍보 전략도 효과적일 것으로 여겨

진다

주택연금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간과해선 안 될 또 다른 중요한 사안으

로 판매과정 등에서 소비자인 고령층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

에 이와 관련된 분쟁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의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주택연금의 경우 신개념의 상품으로서 상품구조가 간단치 않을 뿐더

러 소비층이 이러한 신금융상품 및 금융지식에 덜 익숙한 고령층이라는 점에서 제도

시행 과정에서 불완전판매 및 동 상품과 관련된 유사 금융사기 등으로 인해 고령층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당할 우려가 있다 우리보다 먼저 주택연금제도를 시행하고 있

는 미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주택연금의 소비층이 상대적으로 금융지식에 덜 익숙한

고령자임을 악용하여 특히 주택연금과 관련된 금융사기 등이 적잖게 발생함에 따라

이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핫라인(부조리신고센터)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주택연금제도의 안정적인 정착

차원에서 불완전판매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일선 담당자에 대한 철저한 교육지도와

함께 전문상담사 제도의 시행 부조리신고센터 운영 등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병행되

어야 할 것이다

한편 주택연금은 대출자의 측면에서 보면 대출이 종료될 때까지 장기간 동안 자금

의 회수 없이 계속적으로 차입자에게 대출을 실행하여야 하는 일종의 유동성 리스크

가 따르는 상품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출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으로서 주택연금채

권의 유동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지나 이러한 주택연금채권의 유동화

를 시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주택연금은

대출상환기일 또는 대출종료일이 사망 이사 등 미확정기일인 관계로 현금흐름 예측

이 어렵고 모기지론과 비교할 때 모기지론은 대출채권이 일시에 발생하나 주택연금

은 매월 일정금액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므로 유동화시키는 시점에 풀(pool) 구성이 쉽

지 않다 특히 시행기간이 상당부분 경과한 후 주택연금 상품의 충분한 공급이 이루어

8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져야만 상품의 풀(pool) 구성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대출종료확률 등 유동화를 위한 기

초자료가 충분히 축적되므로 단기적으로는 유동화에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주택연금 시장 확대에 따른 소요자금을 원활히 공급하기 위한 제도적 장

치로서 주택연금채권의 유동화방안을 사전에 마련하고 관련된 연구를 지속해야 할 필

요가 있을 것이다

주택연금과 관련된 향후 과제로서 농촌에 거주하는 고령층을 위한 효율적인 주택연

금 상품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공적보증 주택연

금제도의 경우 농촌에 소재한 주택도 대상이 되고 있긴 하지만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고령층의 노후 생활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만한 가치의 주택이 많지 않다는

점이 문제이다 사실 농촌부문이 대도시 등에 비해 고령화가 보다 급격히 진행되고 있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계청의 lsquo고령자통계rsquo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은 1970년에는 도시 21 농촌 42이었는데 2000년에는 도시 55 농촌

147 2005년에는 도시 72 농촌 186로 농촌의 고령화가 도시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반면 노후 생활에 대한 대비는 보다 열악하여 정작 주택연금제

도가 필요한 곳이 농촌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농촌

의 특수성을 고려한 농촌형 공적보증 주택연금 상품의 개발이 시급한데 농촌의 경우

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농지를 농가와 결합하거나 또는 농지만을 담보로 상

품구성을 하는 방식이 그 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끝으로 주택연금제도가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어가고 있는 현 상황하에

서 고령자의 노후생활 보장의 효자로 빠른 시일 내에 자리매김하길 기대해 본다

제Ⅱ장 금융 일반 87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5호(200793)

우리나라 MampA시장 전망과 시사점

余 垠 姃

〈요 약〉

최근 MampA거래 규모가 세계 으로 증세를 보이는 등 세계 MampA시장은

2000년 이후 최 활황기를 맞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MampA거래 규모가

증가하고는 있으나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미미한 수 에 이르고 있다 재

외환 기 이후 구조조정 목 의 MampA가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고 국내 경제

가 안정 성장 단계에 어들면서 기업환경 반에 걸친 다각 변화가 진

행 이다 이에 처하여 기업들의 수익원 다각화 규모의 경제 실 을 한

형화 등 경쟁력 제고를 한 략 MampA시장이 활발히 개될 것으로 상

된다 향후 국내 기업들의 MampA 수요 증 에 비하여 투자은행 육성을 통한

MampA 개 기능 강화 PEF 련 규제의 완화 융기 기업의 해외 진출

련 제도 정비 등 정책 과제를 선결하는 것이 요하다고 여겨진다

최근 MampA거래 규모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세를 보이는 등 세계 MampA시장은 2000

년 이후 최대 활황기를 맞고 있다 90년대 중반 연간 1조 달러에 달했던 세계 MampA거

래 규모가 2000년에는 3조달러까지 확대되었으나 IT버블 붕괴 등으로 2001년 이후

위축되었다가 2003년 하반기부터 다시 증가세를 시현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

는 MampA거래 규모가 증가하고는 있으나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다 본고

에서는 국내외 MampA거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 경제와 기업에 대한 시사점 및

우리나라 MampA시장의 미래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8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세계 MampA시장의 동향과 특징

세계경제의 견실한 성장세에 힘입어 기업들의 수익성이 제고되고 저금리 기조 및

외환보유액 증대 등으로 글로벌 유동성이 급증하면서 MampA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2006년 중 전세계 MampA 규모는 전년대비 102 증가한 26조달러로 미국 주식시장

의 시가총액 대비 135 수준이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전세계 MampA거래가 다음과 같

은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국경간(cross-border) MampA거래

가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PEF의 활발한 움직임에 힘입어 적대적 MampA의 비중이 확

대되고 있다 국경간 MampA는 2005년중 전년대비 652 증가한 데 이어 2006년중에

는 전년대비 197 늘어난 1조 435억달러를 기록하였다1) 적대적 MampA 또한 2006년

중 1849억달러에 달해 전년대비 66나 증가하였다 이러한 적대적 MampA의 확대는

PEF의 활동 증가에 주로 기인하는데 2006년중 PEF가 주도한 MampA는 전년대비

1237 증가한 5172억달러로 전체 MampA거래의 198를 차지하였다 둘째 동종업종

간(horizontal) MampA가 성행하고 있으며 특히 금융업종간 MampA가 높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 세계 MampA의 약 68는 동일산업내(intra-industry)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데 이는 비용 절감 및 시너지 효과 이외에 시장점유율 제고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도

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재원 조달 측면에서는 보유현금지급 및 차입

매수(LBO)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경기 호황의 지속으로 기업들의 수

익성이 개선되면서 상당수 기업들의 자기자본대비 부채비율이 낮아져 레버리지를 이

용한 기업인수(LBO)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MampA시장의 황과 특징

반면 우리나라의 MampA거래는 이와 같은 세계 MampA의 추세 및 특징과 비교해 볼 때

여러 가지 상이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먼저 실질적인 MampA 규모면에서 2006년 기준

으로 전년대비 112 증가한 208조원을 기록하여 규모가 확대되고는 있으나 미국

영국 등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2) 2005년 기준으로(단 프랑스

1) 전체 MampA 대비 국경간 MampA 비중은 2005년 369에서 2006년 400로 상승하였다

제Ⅱ장 금융 일반 89

는 2004년) 주식시가총액 대비 MampA 비중을 살펴보면 영국 99 독일 94 프랑스

74 미국 69인 데 비해 우리나라는 29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MampA거래의 특

징을 살펴보면 첫째 국내 기업의 해외 MampA가 매우 부진한 것을 알 수 있다 공정거

래위원회에 신고된 실질적 국내 기업의 해외 기업 인수건은 2004년 2건 2006년 4건

에 불과하다 전체 MampA 중 국제 MampA 비중(금액기준)은 약 40로 세계 평균과 비슷

한 수준이나 이는 대부분 외국 기업의 국내 기업 인수로 국내 기업의 해외 기업 인수

는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둘째 세계 MampA가 동종업종간의 결합이 주를 이루는

데 비해 우리나라의 MampA는 2000년 이후 이종업종간(vertical) MampA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시장지배력 강화 목적의 대형화 추구보다는 사업의 다각화에 초점이 맞춰

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우리나라 MampA의 경우 적대적 MampA의 비중이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적대적 MampA에 대한 법적규제3)가 철폐된 1997년 이후 국내에서 시

도된 적대적 MampA는 25건이며 그 중 겨우 10건만이 인수에 성공했을 뿐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MampA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

나 무엇보다도 외환위기 이전까지 기업지배권시장(market for corporate control)이

발달하지 못한 점과 MampA와 같은 중요한 기업 의사결정에 주주 이외에 경영자 및 근

로자 등의 이해관계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lsquo이해관계자 자본주의rsquo(stakeholder

capitalism)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 등이 상대적으로 MampA 활성화를 제약하였다

또한 과거 수출주도형 제조업 중심의 성장 전략을 추진함에 따라 금융부문은 설비투

자를 위한 자금동원이라는 비교적 단순한 기능에 국한되어 상대적으로 낙후되었다

금융부문의 낙후성은 MampA거래의 재원 조달이나 중개 역할 수행을 어렵게 만들어

MampA 시장의 외연적인 확대를 제약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도 외환위기 이후

MampA가 기업 특히 부실기업 구조조정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점차적으로 증

가하는 추세에 있다

2) 실질적인 기업결합이란 주식 취득합병 및 영업양수는 포함하되 임원 겸임 및 회사 설립의 경우는 제외한 것을 의미하며 참고로 기업결합건수는 543건으로 2005년의 478건에 비해 136 증가하였다

3) 1997년 1월 증권거래법 개정 이전에는 주식대량소유제한제도로 인하여 누구든지 상장법인이 발행한 주식에 대해서 상장 당시 총 발행주식의 100분의 10 이상을 소유한 주주는 그 소유비율 그 이외의 자는 100분의 10을 초과해서 소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적대적 MampA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9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향후 MampA시장 망

외환위기 이후 시작되었던 금융 및 기업 구조조정 차원의 MampA는 부실기업의 재무

구조 개선 경영투명성 제고 건전성 및 수익성 개선 등으로 미루어 보아 마무리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국내 경제가 안정적 성장 단계에 접어들면서 시장포

화도 증가 기업간 경쟁 심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구조 및 수요의 변화 등 기업

환경 전반에 걸친 변화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주변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여 기업들의

수익원 다각화 규모의 경제 실현을 위한 대형화 등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적 MampA

시장이 활발히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글로벌 기업들이 하나 더 높은 단계

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서는 전략적 MampA가 필요하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4)

특히 시장지배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국내 기업간 수평적 결합 및 적대적 MampA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금액기준 국내 상위 10대의 기업결합 사례를 살펴보았

을 때 기업경쟁력 제고 및 시장지배력 강화 목적의 동종업종간 MampA가 일부에서 나타

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전 세계적으로 적대적 MampA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고 국내 PEF의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경영효율성 제고를 위한 적대적 MampA시장

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국내 기업의 외국 기업 인수 사례가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국내

기업의 양호한 수익 현금흐름 원화 절상 등의 요인을 고려할 때 해외 기업 MampA 유

인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5) 따라서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시도로 국경간 MampA

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해외 진출 지역의 경우 선진국시장보다는 신흥 시장국으로

의 진출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신흥 시장국은 선점 효과가 크기 때문에

신규회사 설립보다는 단시간 내에 현지화가 가능한 국경간 MampA를 통한 진출을 적극

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 및 원자재 분야의 MampA가 급격히 증가하는 세계적 추세에 비추어 볼 때 국

내 기업의 해외 MampA 진출 분야가 다양해지고 규모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MampA를

4) 지난해 3250억달러 규모였던 아시아 MampA시장으로의 지속적인 자금유입도 이러한 MampA 활성화에 긍정적인 유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5)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식시가총액 대비 MampA 비율이 비슷한 일본과 비교해도 국내 기업의 외국 기업 인수 비중은 현저히 낮은 실정인데다 현재 기업 수익이 양호하며 내부유보가 증가하고 원화가치가 절상됨에 따라 국내 기업의 해외 MampA 유인은 향상된 상황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91

통해 에너지나 원자재 확보에 나설 수 있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MampA를 비롯한 해외 진출은 국내 기업에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

의 MampA시장 관련 정보 수집 중개 기능 등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해외 진출 시 대

형 MampA거래가 빈번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인프라 정비 및 정책 과제

발굴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MampA 활성화를 한 정책 과제

향후 MampA에 대한 기업의 전략적 유인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공격과 방어

수단 간에 균형이 유지되는 방향으로 MampA 관련 제도를 보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

다고 여겨진다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전후 MampA 활성화를 위해 관련 규제를 완화하였

으나 이후 외국자본에 의한 국내 기업들의 적대적 MampA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방어

수단 강화에 초점을 맞춰 양 수단 간에 균형 유지를 중시해 왔다고 할 수 있다6)

2006년 상법개정안의 경우에는 경영권 방어 수단을 추가로 제공하는 동시에 MampA 대

가의 유연화 방안도 포함하고 있어 공격과 방어 수단 간의 균형 추구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7) 장기적으로는 국내 기업들의 MampA를 통한 성장 전략을 적극 뒷받침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공격과 방어 수단이 활용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필요

가 있다 특히 인수기업이 다양한 공격 및 자금 조달 수단을 통해 MampA를 시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대규모 적대적 MampA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

하다 이와 더불어 기업 합병 및 회사 분할 절차의 간소화 등을 통해 MampA가 촉진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음으로 기업간 MampA의 중개주선 또는 대리업무를 수행하는 투자은행의 육성

이 필요하다 투자은행 육성을 위해 금융 전문인력 확보 투자은행 서비스의 전문성

6) 주식대량소유제한제도 폐지(1997년) 의무공개매수제도 폐지(1998년) 등으로 MampA에 대한 공격 수단을 강화

하는 한편 5 보고제도 강화(2005년) 공개매수기간 중 주식발행 허용(2005년)으로 MampA에 대한 방어 수단도 강화하였다

7) 강제상환 및 강제전환 주식 주식매수권부 주식 종류주식의 다양화 등을 도입함으로써 기업들에 추가적인

경영권 방어 수단을 제공하는 한편 MampA대가로 합병회사의 주식을 전혀 교부하지 않고 금전 기타 재산 또는 모회사의 주식을 제공하는 합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삼각합병 등을 가능케 하여 MampA의 활성화를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9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제고 기업 신용평가 체제의 개선 등의 과제가 선결되어야 하겠다 향후 자본시장통합

법의 발효로 투자은행 기능이 대폭 강화된 대형 투자금융회사가 출현할 수 있는 계기

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PEF가 활성화되면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의 자금은 물론 시중의 풍부한 유동

성이 MampA시장으로 채널링되는 효과를 통해 국내에서도 대형 MampA가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책당국은 PEF의 활성화를 위한 제반 여건의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현재 금지되어 있는 재간접투자펀드(fund of funds) 관련 제도

를 도입하여 상대적으로 안전 선호 경향이 강한 대형 자금의 유입을 유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투자목적회사(SPC)에 대한 투자자를 PEF만으로 제약하는 규정을 완

화하여 기관투자자 및 전략적 투자자의 SPC 투자를 허용함으로써 자금 조달 및 운용

구조를 다양화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해외 PEF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

는 국내 PEF의 자산운용 관련 규정을 점진적으로 완화할 필요도 있다

마지막으로 금융기관 및 기업의 해외 진출 관련 제도의 정비가 필요한데 지난 4월

에 발표된 정부의 금융회사 해외 진출 지원 방안에 포함된 규제 완화가 이루어지면 해

외 진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회에서 심의 중인 법안은 금융지주회사

법 개정안이며 PEF와 관련해서는 간투법 및 보험업법을 해외 점포와 관련해서는 외

국환거래규정을 개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추가적인 규제 완화 사항도 관계부처간

협의를 통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국내 금융기관의 해외 MampA 원활화를 위해 관련 법

령(금산법 외국환거래법 등)의 개정이 그 한 예가 될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9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8호(2007101)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부실가능성과 대응방향

申 龍 相

〈요 약〉

주택경기 침체로 인한 미분양 물량 증가와 소 지방건설사의 잇따른 부도

로 PF 부실발 융 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정 융권에서의 PF 부실

우려는 그 규모가 작고 타 융권으로의 확산고리도 미약하여 융권 체의

부실로 이될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상승국면에 있는 국내경기가

축은행의 PF 부실로 인해 속히 둔화될 가능성은 아주 낮다

다만 기 가능성이 지속 으로 제기되는 에 유념하여 PF 련 2차 생

상품 규모를 정확히 악하여 불확실성으로 인한 일말의 시장불안을 조속히

해소할 필요가 있다 한 건설사의 도덕 해이나 다른 형태의 거품을 유발

하지 않으면서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를 반 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한 규제방

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한편 건설사들도 악화된 건설사업 여건 주택경기

축에 비하여 당분간 분양시기 조 사업 포트폴리오 다양화 무리한 사

업확장 자제 등 보수 의 경 략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부실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는 가운데 PF 비중

이 상대적으로 높은 저축은행의 부실과 이로 인한 금융불안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

기되고 있다 특히 미분양주택의 급증과 중소 건설사의 부도가 잇따르면서 한국판 서

브프라임 부실 사태로 발전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런 우려의 실상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업권별 대응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9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부동산 PF 증

PF란 유전개발이나 공장건설과 같은 대형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에 대해 금융회사

가 신용이나 담보보다는 프로젝트의 미래 수익성을 기초로 대출을 해주는 금융기법이

다 부동산 개발사업의 경우에는 금융회사가 사업완료 이후 발생할 미래 현금흐름(주

로 분양대금)을 담보로 토지 매입자금이나 건설자금을 시행사에 대출해 주는 방식으

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부동산 PF는 2004년 이후 주택가격의 본격적인 상승과 금융회사의 대출경

쟁으로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금융회사는 PF의 높은 위험성을 이유로 건설 시행사에

고금리를 부가할 수 있었다 특히 저축은행과 지방은행들은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지방 중소형 시행사들에 대해 프로젝트 리스크 등의 명목으로 별도의 수수

료를 요구하며 기업대출금리보다 높은 연 10대의 금리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

다 한편 시행사 입장에서는 주택가격 상승기에 높은 자금조달비용을 분양가에 전가

할 수 있어 큰 이익을 확보할 수 있었다

경기 침체와 지방 소건설사의 부실

그러나 2006년말 이후 부동산시장이 침체에 빠지면서 현금동원능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 지방 건설사들이 PF 상환에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금년 들어 시공능력

전국 200위 내 4개사가 최종 부도처리되었으며 상당수 중소 건설사들이 경영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급증하고 있는데다 완공

아파트의 입주지연으로 기 분양 잔금이 회수되지 않고 있는 것이 유동성 위기의 직접

적인 원인이다 이와 같은 지방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자금경색으로 중소 건설사들은

영업이익 흑자에도 불구하고 부도가 나는 이른바 lsquo흑자부도 위기rsquo로 내몰리고 있다

더욱이 주택사업에 집중한 중소 지방건설사들은 주택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한 이

러한 위기를 벗어날 특별한 대안이 없다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여기에 과거에

무리하게 확장한 사업들로 인해 PF 우발채무가 급증하고 있어 향후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이는 미분양 물량 증가와 대금회수 지연으로 부도난

시행사의 부채를 대신 갚아야 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95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시장 축과 PF 출 리 상승

한편 PF 대출금리가 상승하고 있는 것도 큰 문제이다 PF 대출금리 상승은 최근

PF 부실화 가능성과 함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시장의 위축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최근 금융감독당국이 종금계정을 통해 매입한 은행의 모든 기업어음(CP)을 유

가증권이 아닌 대출로 유권해석을 내릴 것으로 알려지면서 ABCP의 금리상승과 신규

발행 위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동안 유가증권 투자로 분류되

어 오던 종금계정 ABCP가 대출로 회계처리되면 은행들은 035~038의 신보 및 기

보의 출연료와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설정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를 회피하기 위해

ABCP 신규매입은 차치하고 기존에 매입한 ABCP마저 매각 처분해야 하기 때문이다

PF ABCP는 전통적인 PF와는 달리 주로 3개월 만기의 단기 유동화증권이다 만기

가 단기인데다 CD금리에 연동되어 그동안 5~6대의 저금리 발행이 가능함에 따라

주로 공기가 2~3년인 장기 건설사업의 현금흐름을 8~10번 정도의 차환발행을 통해

조달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와 같이 저리의 자금조달이 가능함에 따라 지난 3~4년

간 건설업계의 자금조달수단으로서 큰 인기를 끌었는데 실제로 주택가격이 급등한

2006년에 발행이 급증하였다 그러나 향후 금융감독당국의 유권해석으로 ABCP를 통

한 자금조달이 위축될 경우 건설업계의 자금조달경로가 전통적인 2~3년 만기의 PF

로 다시 이동하면서 10대 전후수준으로 대출금리의 상승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축은행의 PF 연체율 고정이하여신비율

건설경기 침체와 대출금리 상승으로 시행사 및 시공사의 유동성 위기가 현재화되면

서 총대출에서 상대적으로 PF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부터 PF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

고 있다 업권별 PF 규모는 은행이 저축은행보다 크지만 은행의 경우 대형 시공사를

지급보증인으로 세우고 있는데다 전문평가기관을 통해 사업성 검토가 이루어져 상대

적으로 부실위험이 낮은 반면 사업조건이 잘 갖추어지지 않아 은행대출이 막혀있는

상태에서 엄밀한 대출심사없이 브리지론 형태로 이루어진 저축은행 PF는 그만큼 연

체나 부도위험이 높다

9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PF 부실의 이 가능성

PF를 기초자산으로 발행한 유동화증권을 포함하여 PF와 관련한 대출채권 규모는

우리나라 금융권 총자산이나 국내 GDP 규모에 비해 크지 않은 상황이다 PF가 부실

화되면 유동화증권 및 유동화증권에 투자한 타금융권 금융회사들도 손실을 입을 수

있다 미국의 경우 그 규모가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이 부

실화되면서 이를 기초자산으로 발행한 주택저당채권(MBS)과 이를 대상으로 다시 2

차 3차에 걸쳐 재유동화한 부채담보부채권(CDO)에 투자한 타금융권 금융회사들이

부실화된 것과 같은 이유이다 그러나 전반적인 경기둔화와 맞물린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와는 달리 상승국면에 있는 국내경기가 PF 부실로 급속히 위축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저축은행 등의 PF 부실이 타금융권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낮은 것으로 판단된

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미국의 경우와 달리 대부분 1차 유동화에 그치고

있고 최근 급증한 ABCP의 경우에도 은행이 80 가까이 매입약정(지급보증)을 하고

있어 저축은행의 PF가 부실화되더라도 투자자들의 원금회수에는 문제가 없어 타금융

권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과 달리 재유동화시장이 발달하지 못한 데에는 파생상품시장

자체가 상대적으로 미비한 측면도 있지만 PF를 제공하는 국내 금융회사들의 재유동

화 유인 자체가 크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실제로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대

출을 제공하는 모기지 전문회사는 예금을 취급하지 않는 여신전문회사여서 모기지대

출을 위한 자금조달을 자산유동화를 통해 자본시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지만

우리나라 저축은행의 경우에는 예금을 통해 대출자금의 90 정도를 조달하고 있어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유인이 크지 않은 상황이다

PF 유동화시장을 둘러싼 불확실성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PF발 금융불안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데는

유동화물량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법에 따라 발행된 유동

제Ⅱ장 금융 일반 97

화증권 물량은 장부에 직접 계상되지 않는 부외거래(off-balance sheet engagement)

로 취급됨에 따라 규모가 얼마인지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운데

다 감독당국의 감시도 쉽지 않은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결국 유동화의 규모가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유동화구조가 안고 있는 잠재적 불확실성이 이러한 이유로

필요 이상으로 확대 재생산되면서 PF발 금융위기설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응 방향

따라서 정책당국은 일말의 불안감으로 작용하고 있는 PF 관련 2차 파생상품시장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여 불확실성으로 인한 시장불안을 조속히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

미국의 경우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규모가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전체 금융

권 나아가 세계 금융시장 불안으로 연결되었던 것은 2차 파생상품시장을 통해 재유

동화된 CDO 부실규모가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던 데에 일부 기인하였음을 기억할 필

요가 있을 것이다 더불어 정책당국은 지방 건설경기가 일시에 붕괴되지 않도록 수도

권과 지방간 차별적 규제완화방안을 마련하되 건설사의 도덕적 해이나 또 다른 형태

의 거품유발로 발전되지 않도록 규제완화방안을 보다 정교하게 정비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 건설사들의 부도는 부실규모가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자금경

색으로 인한 것임을 고려한다면 금융회사들이 너무 경직적인 잣대를 적용한 측면도

있다 따라서 최근 건설사 부도가 대부분 흑자부도였음을 고려하여 긴급자금지원 등

의 융통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으며 최종 부도처리 시점에서는 좀 더 신중한 판단을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건설사들도 분양가 상한제 분양원가 공개 등 강화된 정부의 부동산규제 SOC

예산 축소 대출금리 상승 등 악화된 건설사업 여건과 주택경기 위축에 대비하여 당분

간 분양시기 조절 사업 포트폴리오 다양화 무리한 사업확장 자제 등 보수적 관점에

서 내실경영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9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3호(2007115)

금융지주회사제도의 개선과 전망

李 建 範

〈요 약〉

융지주회사제도는 도입 이후 우리나라 융의 변화를 추동하는 핵심 인

제도로 자리잡고 있다 번 법개정은 융지주회사제도의 법 안정성을 확보

하고 해외진출을 지원하며 지배구조의 효율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 된다 향후

융지주회사의 발 을 해서는 융지주회사들이 최근의 규모확장에 부응

하는 내실경 을 다지며 지배구조의 확립에 최선을 다하고 모방 경 보다

는 자신의 역량에 부응하는 비 을 설정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책 인 측면에서는 소유정책 등 융정책의 안정 인 운 과 융지주회사

이외의 융그룹에 한 감독강화가 필요하다

지난 8월에 개정된 금융지주회사법이 11월 4일에 시행을 맞이하게 되었고 금융지주

회사법 시행령 개정안이 입법예고되었다 이와 같이 금융지주회사 관련 법제가 개선

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금융회사들은 금융지주회사제도를 통하여 경영상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금융지주회사 제도변화의 내용 금융지주회사의 현

황 향후 금융지주회사의 지향점 등을 살펴본다

융지주회사법의 개정 필요성

2000년 12월 금융지주회사법 제정 이후 2001년 우리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2003

년 한국투자금융지주 2005년 하나금융지주 등 4개의 금융지주회사가 설립되어 운영

제Ⅱ장 금융 일반 99

중에 있다 또한 금융지주회사제도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로 금융지주회사로의

전환에 관심을 갖는 회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금융지주회사제도가 국내 금융

회사의 겸업화대형화의 주요 수단으로 정착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금융지주회사제도는 투명하고 효율적인 지배구조의 운용 자회사에 대한 통합관리

다양한 업종 종사에 따른 리스크 분산 및 다각화 효과 교차판매 및 비용절감 등 그룹

전체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금융지주회사 형태를 이용한 금융그룹

의 형성은 기존의 자회사 방식에 의한 금융겸업화에 비하여 유연한 합병전략의 추진

상이한 금융업종간 통합의 마찰적 비용절감 등 조직 구조상의 유리한 점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금융사의 획기적인 변화를 추동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도입되었어도 기존의 권역별 전업주의의 유지라는 우

리나라 금융법체제와 일부 상충되는 점이 발견되는 등 법적 미비점 및 규제 해석상의

모호성으로 인하여 일부 혼란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금융국제화 추세에 따른 금

융지주회사제도의 보완 필요성도 꾸준히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제도 도입 취지에 부

합하게 금융지주회사법 및 제반 규정들을 개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된 것도 사실

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지난 8월 국회에서 금융지주회사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11월 4일부터 개정법이 시행되게 되었다

융지주회사제도의 주요 변화

개정법과 시행령 개정안의 주요한 변화를 살펴보면 지주회사의 설립 및 인가와 관

련하여 법적 미비점이 보완되고 불필요한 규제가 개선되었다 우선 삼성에버랜드의

금융지주회사법 위반과 관련하여 문제가 되었던 미인가 금융지주회사의 위법상태 해

소절차 및 시정조치권이 신설되었다 또한 지주회사 인가대상 회사를 자산총액규모

1천억원 이상으로 규정하여 소규모 지주회사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였다 그리고 경영

능력 규모 건전성 등의 요건을 갖춘 외국 금융회사의 국내 금융지주회사 설립도 허

용하였다

다음으로 금융지주회사 해외진출 관련 규제가 대폭 완화되었다 금융지주회사의 자

회사로 외국 금융회사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고 외국자회사 주식소유 의무기준이

10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완화되었으며 외국 손자회사의 업종제한을 폐지하여 외국 손자회사의 영위업종이 자

회사와 동일업종이 아니어도 편입할 수 있게 되었다

세 번째로 완전자회사의 경우 일정 요건에 해당하면 사외이사 설치의무를 면제하여

지배구조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임원 사외이사 감사위

원회 위원의 자격요건을 강화하였다

융지주회사법 개정의 기 효과

이번 금융지주회사법의 개정은 금융지주회사제도와 관련된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

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금융지주회사법은 금융지주회사의 정의

로 lsquo지배rsquo기준과 lsquo주된 사업rsquo기준을 공히 사용하며 인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개정전

법률에서는 의도하지 않고 금융지주회사가 되었으나 인가를 받지 않은 법인에 대한

해소조항이 명확하지 않은 법적 미비점이 있었다 그러나 법개정에 따라서 이러한 문

제는 해소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번 금융지주회사법의 개정은 해외진출을 추진하는 금융지주회사들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경쟁격화와 수익성

악화 위험 주변 신흥공업국의 높은 경제성장 동북아금융허브로의 도약을 위한 호의

적인 금융정책환경 등으로 해외진출을 추진하는 금융회사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대형 금융회사들의 대다수가 금융지주회사 형태를 취하고 있고 대형은행도

지주사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외 사업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데 있

어서 장애요인이 제거된 것은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금융회사들은 국내외에서 자신

의 경영역량에 맞춰 사업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금융지주회사 임원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의 자격요건이 은행법 등에서

의 규정과 일치하도록 개정되었는데 이는 자회사인 은행 보험사의 임원 자격요건에

미달하여도 금융지주회사의 임원이 될 수 있었던 법적 미비점을 개선한 것으로 내부

통제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완전자회사의 사외이사 설치의무 면

제 조항이 신설된 것은 그동안 지주회사의 자회사 관리라는 규정과 개별법에서 사외

이사의 감시의무 상에 존재하였던 지배구조상의 모호성을 제거하여 그룹전체 경영의

일관성 유지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제Ⅱ장 금융 일반 101

융지주회사제도 보완의 미비

반면 이번 금융지주회사법 개정에서 그동안 금융지주회사 산하 금융회사간 시너지

창출을 도울 수 있는 제도개선 사항이 포함되지 않은 것은 아쉬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금융지주회사제도가 지향할 점은 금융지주회사가 대형화 및 겸업화를 통한 긍정적

인 측면을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금융지주회사는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는

동시에 겸업화에서의 비용시너지와 수익시너지를 실질적으로 제고할 수 있어야 한다

비용시너지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자회사간 공동시설을 이용한 업무위탁을 고려한다

든지 공동으로 설립한 IT자회사와 금융자회사간 거래에 대한 세제상의 불이익을 해

소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주회사 그룹 내 회사간 공동의 마케팅이나

거래에 대해서 공정거래법상의 부당행위 적용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나 증권업무 수

행에서 지주회사 내의 은행 투자업무 부서와 증권사가 공통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지장이 되지 않도록 수수료 배분 규정을 완화하는 것도 겸업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너지 효과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업주의 법률체제가 유지되고 있고 경제적으로 실

질적인 단일체라고 할 수 있는 금융지주회사 그룹회사에 대해서도 엄격한 전업주의

규제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공정거래법상의 불공정 행위에 대한 엄격

한 법 적용도 수익시너지를 제고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비용시너지 및

수익시너지를 제고함으로써 금융경쟁력을 강화하고 소비자 편익을 증대시키는 금융그룹

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규정상의 모순점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려운 것은 금융지주회사법뿐만 아

니라 개별 금융법 공정거래와 관련된 규정 각종 조세와 관련된 규정 등 여러 부처나

부서가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향후에는 금융지주회사 운영과 관련하여 시너지효과

를 제고할 수 있는 개정이 이루어져서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명실상부하게 금융의 겸업

화와 대형화의 긍정적인 측면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융지주회사의 황

우리나라에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도입된 것은 금융의 겸업화와 대형화를 적극적으

10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로 추진하기 위한 것도 있었으나 금융구조조정을 원활히 수행하는 것도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제도 도입 이후 금융지주회사는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새

로운 이정표를 세울 만큼 놀라운 변신을 시도하고 있으며 겸업화와 대형화의 놀라운

실적을 보이고 있다

우선 금융지주회사는 인수 합병을 통하여 동종은행 및 여타 금융회사를 지주회사

산하의 금융회사로 편입하여 규모를 크게 확대하였다 또한 설립초기 은행위주의 금

융지주회사는 주력은행인 은행의 자산 비중이 95 이상을 상회하였으나 최근 증권

자산운용 여신금융전문회사 등으로 사업포트폴리오를 확장하여 은행업의 비중이 80

로 크게 낮아진 금융지주회사도 출현하였다 이러한 금융지주회사의 도약으로 인하여

현재 미전환된 은행업계의 선두권 은행들이 금융지주회사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으

며 외국계 은행의 국내자회사인 은행도 이번 법개정을 계기로 금융지주회사로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같이 국내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도입된지 8년도 안되어 국내 금융산업의 변화

를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금융정보 공유 지배구조상의 특례 사업조정의 용이점 등

제도상의 유인이 작용한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금융지주회사들이 이전의 보수적인

경영행태를 벗어나 새로운 시도를 통해 변화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

는 금융지주회사들이 이러한 변화의 모멘텀을 유지하면서 금융혁신을 추진하는 주체

로 작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융지주회사 운 정책의 방향

첫째 금융지주회사 경영진은 외적성장과 함께 내부 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은행위주의 지주회사의 경우 최근 은행자산의 증가세와 더불어

활발한 인수 합병을 통하여 규모를 확대하였다 물론 아직도 우리나라의 대형 금융회

사의 규모가 국제적 금융회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수준이지만 최근의 빠른 성

장세는 향후 오히려 경영상의 문제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특히 이질적 기업문화를

가진 회사간의 통합 다양한 고객층의 새로운 편입 등은 기존의 단일업종 금융회사 경

영에 익숙한 경영진에게는 새로운 도전이다 또한 향후 금융지주회사가 증가하고 경

제Ⅱ장 금융 일반 103

쟁이 격화될 경우 현재 지주회사제도를 조기 도입한 선점효과가 사라질 가능성이 높

다 따라서 금융회사 경영진은 내부경영의 효율성을 다지고 시너지 효과를 제고할 필

요가 있다

둘째 현재 금융지주회사를 경영하고 있는 회사나 향후 금융지주회사제도를 도입하

고자 하는 회사는 효율적인 지배구조를 확립하는 데 최선을 다할 필요가 있다 지주회

사제도는 본래 소유구조 및 지배구조를 오히려 더 복잡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어서 일

부 나라에서 장기간 금지되기도 하였다 차단벽이 있어서 겸업화를 안전한 방식으로

도입할 수 있는 등 유리한 점이 있어서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도입되었지만 지배구조의

복잡성이 경영상의 혼란을 초래한다면 제도도입의 취지가 퇴색할 것이다 효율적인

지배구조를 위해서는 이사회제도의 확립 경영진의 책임경영 공정한 경영권 승계계

획의 수립 경영진의 의사소통 원활화 등이 필수적이다 특히 모회사와 자회사 경영진

의 업무분담 자회사 경영진들의 그룹차원의 성과평가는 경영전략의 수립과 실천 자

회사간 시너지창출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금융지주회사는 각자 금융그룹의 역량을 고려하여 비전을 설정하고 비전달성

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할 필요가 있다 금융그룹화의 추세 속에서 겸업화하고

대형화하는 것이 종합금융그룹화 또는 금융슈퍼마켓 형성 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

다 고객 상품 지역 등 다각화를 추진하는 지평(level)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회사별

로 강점이 있는 분야를 공략하면서 성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동산관련 대출 신용카

드 대란 중소기업대출 등 금융분야의 쏠림현상(herd behavior)은 자신의 강점을 발

휘하기보다는 모방경영을 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적인 금

융회사 중에는 종합금융그룹으로 활동하는 회사도 있지만 단일 사업으로 전세계에서

활동하는 회사도 존재한다 금융지주회사가 추구하는 비전이 무엇인지를 판단하고 사

업포트폴리오의 구성이나 지역적 다변화가 이러한 비전을 추구하는 데 적합한지를 판

단하면서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넷째 향후 금융지주회사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금융회사 소유정책 등

금융정책의 안정적 운용이 필요하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겸업화의 효과를 살리기

위해서 필요한 조치들은 조속히 시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한미 FTA 자본시장

통합법 등 급변하는 규제환경 속에서 우리나라 금융지주회사들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

10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협하는 추가적인 제도변경은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기금 등이 비금융주력자

즉 산업자본의 개념에 포함되는 불합리는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은행소유규

제와 직접적으로 연계된 은행을 포함한 금융지주회사 소유제한의 경우 대외개방이

확대되고 해외투자자 보호장치가 강화된 상태에서 소유제한이 크게 완화된다면 국내

의 산업자본보다는 오히려 해외의 금융회사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 등의

타겟이 될 확률이 높으며 안정적인 경영을 방해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안정적이고 예측가능한 금융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금융지주회사 이외의 금융그룹에 대한 통합감독을 실시하는 등 금융그룹

에 대한 감독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금융그룹화의 진전은 세계적인 추세인 금융의 겸

업화 대형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의 이면에는 대형기관이 갖

는 대마불사(too big to fail)의 사회적 위험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금융그룹화는 크게

세 가지로 진행되었다 이는 금융지주회사 대규모기업집단의 금융회사들 대형 금융

회사들의 자회사 방식 계열화 등인데 금융지주회사를 제외하고는 연결감독이나 통합

리스크관리 감독이 실시되고 있지 않다 향후 금융부문의 경쟁은 금융통합화의 영향

으로 은행업 보험업 증권업 등 업권간 경쟁과 함께 종합금융그룹화된 금융그룹간 경

쟁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건전한 경쟁의 추구와 함께 금융시스템의 안정을 위해

서도 금융지주회사 이외의 금융그룹에 대한 통합감독을 조속히 시행해야 할 것이다

제Ⅲ장 은 행

제Ⅲ장 은 행 107

딜로이트컨설팅 코리아 전무(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7호(2007212)

은행의 부가가치 제고

金 愚 珍

〈요 약〉

은행의 수익성 분석에 있어서 ROA 당기순이익 등의 재무지표는 자의 이

고 일회성 요인을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 이 있는 반면 경제 부가가치

(EVA)는 주주가치를 비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은행의 EVA는 세후순 업이익이 자기자본 조달비용을 상회하기 시작한 2001년

부터 개선되어 왔으나 2004년 고 이후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외환 기 이 부터 국내 은행산업의 부실이 잠재해 있었고 최근 들어 이익규

모는 증가하고 있지만 충 이익은 정체하는 등의 상을 잘 설명하고 있다

한편 EVA를 활용하여 국내 은행산업의 수익성 결정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

국내은행이 부가가치를 제고하고 지속성장을 견인하기 해서는 안정 업

기반 구축 부외자산에 의한 성장 확 균형 지배구조의 연속성 확보 등의 과제

를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은행의 수익성을 분석할 때는 ROA ROE 등 재무지표(financial ratio)

를 주로 이용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내은행의 비경상적 이익이 크게 증가하면서 일

회성 요인의 당기순이익 기여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국내 은행

산업이 사상 최대실적을 거듭 갱신하면서 GDP 대비 이익규모가 네덜란드 스페인

미국 등 금융선진국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를 두고 우리나라 은행의 경쟁력 수

준이 이들 국가보다 높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는 재무지표의 경우 자의적이

고 일회성요인이 강하게 반영될 수 있어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10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런 관점에서 은행산업의 경우에도 과거 제조업에서 많이 이용하던 EVA(Economic

Value Added 경제적 부가가치)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1980년대 후반 미국의

경영컨설팅회사인 Stern Stewart가 개발한 EVA는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순가치의

증가분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세후순영업이익에서 투입된 자본에 대한 자본비용을 차

감한 것을 말한다 EVA는 자본비용 이상의 이익을 실현하는 것을 기업재무의 목표로

설정함으로써 주주가치의 극대화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고는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EVA를 측정해 보고 이를 다양한 수익성 지표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은행의 부가가치 제고에 요구되는 실천방안을 제시한다

국내은행의 EVA 추이 시사

국내은행의 EVA는 세후순영업이익이 자기자본 조달비용을 상회하기 시작한 2001

년부터 개선되어 왔으나 2004년 고점 이후 다시 하락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EVA

와 당기순이익간 관계를 살펴보면 흥미 있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1993년부터 외환위기 발생 전인 1996년까지 국내 일반은행은 흑자를 시현하고 있

었다 순이익 개념으로 볼 때 우리나라 은행은 체계적 위험이 없는 것처럼 보였으나

동 기간 중 EVA는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를 나타내었다 이른바 세후순영업이익이 자

기자본 조달비용에 못 미침에 따라 비즈니스 자체의 영속성(going concern)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었다

반면 1997년부터 대우사태가 마무리되던 2000년까지 국내 일반은행들은 대규모 적자

를 기록하였고 이로 인해 은행의 존망이 불투명하게 보였다 그러나 EVA 측면에서

볼 때 국내 은행들의 경영성과는 위기 이전보다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된 상황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일시적인 충당금적립 부담으로 은행이 위태롭게 보였지만 영업이

익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턴어라운드에 대한 기대가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기간을 살펴보면 2004년 이후 당기순이익은 증가율이

둔화되는 반면 EVA는 이미 감소추세로 전환하였다 이는 외형상 국내은행의 당기순

이익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과 관련된 실질적인 수익은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Ⅲ장 은 행 109

은행별로 보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의 연도별 EVA 추이는 동일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별로 보면 2000년 이전에는 지방은행이 시중은행보다 EVA 변

동성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지방은행의 영업성과가 시중은행에 비해 견고하지 못

하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2000년 이후에는 지방은행의 EVA 변동성이 시중은행에 비

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다음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첫째 시

중은행들은 동 기간 중 공격적인 영업으로 자산규모를 크게 확대했던 데 비해 지방은

행의 영업력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말해준다 둘째 지방은행은 EVA 변동성이 낮

게 유지됨에 따라 안정적 성장을 유지하고 있었던 반면 시중은행의 경우 EVA 변동성

이 확대되고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요망된다 최근 들어 시중은행간 경쟁이 격화되면

서 예대마진 축소압력이 높아지고 있는데 EVA 변동성 확대는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

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현재 추이대로 진행된다면 국내은행의 EVA 수준이

감소추세로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은행들

은 성장전략의 대안 마련이 요구된다 하겠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

TSR(Total Shareholder Return 총주주수익률)은 투자에 대한 수익인 주가수익률

과 배당수익률의 합으로 정의되며 가장 핵심적인 주주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주요 경영지표와 TSR 사이의 관계를 확인해 봄으로써 EVA가 주주가치 극대화 정도

를 얼마나 반영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국내은행(1993~2005년)을 대상으로 분석

해 본 결과 기존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EVA가 당기순이익 ROA ROE보다 주주가

치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VA 결정요인 분석 결과 EVA는 자기자본총자산과 음(-)의 관계를 총수신

총자산 및 총자산의 로그값과는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EVA가 영업이익

을 중시하기 때문에 수신증가율이나 자산증가율과는 양의 값을 가지게 되고 또한 자

본비용을 고려하기 때문에 자기자본비율과는 음의 관계를 가지는 데 기인한다 한편

판매관리비용률 및 무수익여신비율과는 음(-)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은행들이 부가가치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안정된 영업이익 흐름을 유지하고

11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비용측면의 효율성을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비이자이익총이익 변

수는 양(+)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가치제고를 위해서 비이자이익의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국내 상위 5대 은행의 비이자이익 비중과 누적(cumulative) EVA

를 보면 일반적으로 비이자이익 비중이 높은 은행이 경제적 부가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부가가치 제고 방안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는 국내은행이 부가가치를 제고하고 지속성장을 견인하기 위

해 어떠한 전략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인지를 시사해 준다 본고는 안정적 영업기반 구

축 부외자산에 의한 성장 확대균형 지배구조의 연속성 확보 등의 경영과제를 제시

한다

국내 은행산업의 충당금전입액 변동성은 일부 금융후진국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수

준에 있다 미국계 자산 상위 5대 은행보다 20배 유럽계 자산 상위 5대 은행보다

200배나 높은 변동성을 노정하고 있으며 심지어 금융구조조정이 완료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는 일본보다 거의 2배에 가까운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다 영업이익의 안정성

이 확보된 상황이 아니면 충당금적립전이익 규모만으로 은행의 성장성을 평가하는 데

무리가 있다 선진은행들은 경기 사이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이익의 변동성을 최소

화시키면서 수익기반을 안정적으로 확대시켜 나간다 앞서 보았듯이 은행의 성장은

부가가치를 제고시키지만 그 성장이 안정적이지 못하면 사상누각에 불과하다

과거에는 특정 회계연도에 이익이 급증하더라도 20를 훨씬 상회하는 여신증가율

을 동반함에 따라 1~2년 후 은행의 수익성이 크게 훼손되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따라

서 국내은행들이 안정적 성장기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금과 같은 양적 성장보다는

판매 중심의 영업문화를 정착시켜 수수료수익을 제고시킴으로써 수익구조의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물론 수익구조의 안정화는 추진하되 비이자수익 확대라는 경영

전략의 변화과정에서 이익성장의 모멘텀이 약화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겠다

수익구조가 안정되면 가격변수의 변동성으로 인해 수익성이 급변하는 가능성을 최소

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Ⅲ장 은 행 111

비용을 통제함으로써 이익을 창출하는 성장구조는 한계가 있으며 지속성장을 위해

서는 인력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해외은행들은 많은 인력을 고용

함으로써 판매관리비용률은 높지만 대차대조표상 자산규모의 3~4배에 달하는 부외자

산의 운용을 통해 절대적인 수익규모를 크게 창출한다 즉 해외은행들은 인적역량의

제고와 판매 중심의 영업문화 형성을 통하여 자본시장상품을 판매하는 세일즈조직을

강력하게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비용-고수익 구조를 창출하고 있다 반면 국내

은행은 비용효율성 제고를 위해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규모의 인력감축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재무성과의 개선은 이루어졌으나 은행의 지속성장에 한계를 보이는 축소균형

이 이루어지고 있다

앞서 제시한 전략들은 투자비용은 당장 소요되고 수익창출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다 임기가 짧은 은행 경영진이 이와 같은 중장기전략을 추진하려는 유인이 작

은 것은 당연할 수 있다 최고경영진이 조직의 바람직한 변화방향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도 경영의 연속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여건은 이들로 하여금 단기실적주의

관행을 넘어서는 비즈니스 포트폴리오의 구축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

에서도 CEO 재임기간이 길수록 국내은행의 EVA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은행 경영진

이 경영을 잘할 경우 임기를 크게 늘려주는 등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11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3호(2007326)

은행의 자본시장 역할 강화와 경영과제

具 本 星

〈요 약〉

지난 해 하반기 이후 통화정책 부동산정책 주택 융정책이 지속 으로 강화

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2001년 이후 지속되어 온 단기 심 유동성 심

실물자산 심의 자 흐름에 한 변화를 래하여 자본시장으로의 자 흐름을

진함으로써 융시스템의 구조 환을 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특히 은행업무와 투자업무 간 겸 의 매제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은행의 증권업무 확 는 통합 보완 계를 진시킬 것으로 보이는데 표

인 사례는 MMDA와 MMF의 체 계 기업 융과 투자은행업무의 통합 증권

화와 출업무의 보완 계 등이 있다 이처럼 시 은 은행이 자본시장에

한 역할을 반 으로 강화해야 할 시기라 할 수 있다 향후 은행의 자본시

장에 한 역할 강화는 융투자업무를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증권투자업무에 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 투자업무와 은행업무의 시 지

창출을 한 조직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자산 리서비스 퇴직연 시장

에 한 역량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지난 해 하반기 이후 통화정책 부동산정책 주택금융정책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통화정책은 지준율 인상이나 대출한도 조정을 통해 유동성 통제를 강화하고 있

고 부동산정책은 주로 주택가격의 안정화를 통한 주택수요의 안정을 유도하고 있다

주택금융정책은 주로 총부채비율규제를 중심으로 선제적 및 예비적 건전성 관리를 강

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은 그동안 저금리환경과 주택수요를 중심으로 늘어난 대출

제Ⅲ장 은 행 113

수요를 안정화시킴으로써 금융시장의 새로운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증권

사를 중심으로 한 CMA의 확대와 해외펀드에 대한 관심 증대 등 가계자산의 포트폴리

오 형태가 변화하는 경향을 감안할 때 금융시장의 변화가 가속화될 가능성도 있다

본고는 새로운 금융정책 기조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금융시장의 환경을 조망해보

고 이러한 변화된 환경에 대응한 은행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새로운 금융환

경은 2001년 이후 지속되어 온 단기 중심 유동성 중심 실물자산 중심의 자금흐름에

대한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금융시스템의 구조적 전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은

행경영에 대한 시사점도 살펴본다

자본시장을 통한 자 흐름의 진

거시유동성의 적정화 부동산가격의 안정화 주택금융의 건전화에 초점을 둔 3대

정책이 금융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각각 다음과 같다

우선 유동성조절 정책은 단기자산 위주의 관리에서 투자수익률 제고 목적의 장기자

산에 대한 수요를 점진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부동산가격의 안정화는 실

물자산에 대한 수요를 금융수요로 전환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동안

실물자산이 가계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부동산가격의 상승에 따라 급속히 높아졌

다는 점에서 금융자산에 대한 관심이 확대될 수 있다 끝으로 주택금융의 건전화는 주

택대출의 상환을 촉진함에 따라 장기적으로 금융자산 축적에 대한 유인을 높임으로써

투자서비스의 확충 및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즉 2006년 하반기

이후 이루어지고 있는 금융정책은 궁극적으로 금융시장으로의 자금유입을 촉진하고

장기자산의 축적이나 투자서비스에 대한 유인을 높임으로써 자본시장이나 자산운용

시장으로의 자금흐름을 촉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과 증권투자업무 간 겸 겸업 진

또한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흐름 확대는 은행업무 기반을 고려해 볼 때 은행의 유가

증권에 대한 투자유인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은행 및 가계의 부동산에 대한 직간접

11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운용비중이 완화됨에 따라 채권 또는 파생상품 등에 대한 투자기회를 확대시킬 수 있

기 때문이다 또한 기업들의 경우 대출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에 비해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이 확대될수록 자본시장의 자산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 이 외에 자본시장 관

련 상품의 혁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은행자금이 투자자금으로 전환되는 현상이 확대될

수 있다 이처럼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흐름 확대는 은행 입장에서 볼 때 겸업 또는 겸

영을 통한 투자업무 확대에 대한 유인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은행의 투자업무 확 경쟁-보완-통합의 계

은행의 증권투자업무 확대는 주로 내부겸영 형태의 통합방식이나 자회사 형태의 영

미식 형태 등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내부겸영 형태는 주로 유니버설뱅킹 시스템을

채택하는 경우에 활용되는 반면 자회사 형태는 주로 규제감독에 의한 내부겸영을 제

한받거나 증권업무의 독립성이 보장되는 경우에 활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 방

식의 실질적인 차이는 경제적 측면에서 없을 뿐만 아니라 은행의 증권투자업무 확대

에 대한 제한도 점차 완화되는 추세라 할 수 있다 은행의 증권투자업무 확대에 대한

규제완화는 주로 파생금융상품의 매매 또는 투자 자산관리업무 투자자문업무 등을

중심으로 겸영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투자업무의 겸영 확대는 그동안 은행

과 증권사의 업종 간 통합서비스를 확대시키고 업무 및 서비스 측면의 보완관계에 따

른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은행업무와 증권투자업무 간 통합서비스에 대한 유인을 높이는 것으로써

MMDA와 MMF의 대체관계를 들 수 있다 MMDA와 MMF는 은행과 증권사의 대표적

인 단기 판매상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두 상품은 주로 단기수익률의 차이에 따라 자

금이동이 활발한 상품에 해당된다 국내의 경우 두 상품의 상관관계는 2006년 이전에

정(+)의 관계를 보였으나 그 이후 음(-)의 관계가 두드러지는 등 대체적 성격이 강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은 가계의 단기수익률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진 데 따

른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은행의 경우 수신기반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자본시장에서의

증권투자서비스 기반을 확보할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최근 국내 증권사의 주력상품으로 부상하고 있는 CMA의 경우도 보완

제Ⅲ장 은 행 115

통합의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된다 1977년 Merrill Lynch가 처음 CMA를 도입했을

때 Bank One과의 제휴를 통해 지급결제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증권업무와 은행업무

간 보완관계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현재 Merrill Lynch는 자회사인 Merrill Lynch

Bank와 Merrill Lynch Bank amp Trust를 통한 예금계좌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타 대

형은행과 경쟁하고 있다 Smith Barney가 Citibank 및 Master카드사와 제휴하여 통

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업금융(corporate banking CB)과 투자은행(investment banking IB) 업

무의 통합 현상을 들 수 있다 Chase 은행의 경우 기업금융 부문에서 선두였으나 주식

인수업무를 통한 종합기업금융서비스 제공을 위해 JP Morgan을 인수함으로써 CB와

IB의 수익기여도가 전체의 약 25(2005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Citigroup의 경우

에도 Smith Barney를 통한 주식 및 채권인수에 대한 시장지배력 확보를 통해 CB와

IB의 수익이 전체 수익의 약 22를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궁극적으로 은행과

증권투자업무 통합에 대한 유인을 전반적으로 강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대출시장과 CLO 및 CDO 등 증권유동화시장의 보완관계도 들 수 있다 유

럽의 CDO시장은 2001년 약 30조유로에 불과하였으나 2006년에는 약 90조유로로 급

성장세를 시현하고 있다 이러한 CDO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EU의 기업여신도 2001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CDO시장의 활성화는 은행의 기업대출 확대

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은행의 대출업무는 증권시장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은행과 증권업무는 경쟁 및 대체관계 보완관계 등을 통해 자본시장의 발전

을 도모해 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그동안 국내 자본시장에 대한 은행의 역할은

자산이나 자본규모에 비해 수익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이었다 예컨대 은행계

증권사의 자산 및 자본규모는 전체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MampA 또는 위

탁매매업무에 대한 시장점유율은 약 25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규모와 점유율 간

차이는 자본시장에 대한 은행권의 적극적인 역할이 상대적으로 취약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금융시장의 전반적인 환경이 자본시장이나 자산운용시장

을 중심으로 자금흐름이 촉진되고 금융시스템의 구조적 전환이 촉진될 수 있다는 점

에서 은행은 자본시장에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11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자본시장에 한 은행의 역할 확 방향

은행의 자본시장에 대한 역할 확대는 크게 금융투자업무의 시너지 창출 기업금융

에 대한 통합체계 마련 자산관리서비스의 확대 등을 통해 은행의 자산운용 및 자산관

리서비스 역할을 높여 성장엔진으로 활용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은행이나 은

행그룹은 금융투자업무에 대한 시장규모를 확대하는 경영을 함으로써 자본시장을 통

한 수익기반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은행은 투자업무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 자회사 또는 내부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확

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형은행의 경우 투자은행 업무 또는 자기매매 업무의 취

약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자본증대 또는 업무기반의 확대를 위해 금융그룹 차원의 적

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증권투자업무의 규모의 경제 확보는 은행의 여

신 외환 및 파생금융 PB 업무 등의 사업시너지 창출에도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직적 측면에서도 여신업무와 투자은행 업무를 연계할 수 있는 조직의 확대

또는 전략적 제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지주회사의 경우 은행의 기업대출 업무와

IPO 또는 MampA 등 투자은행업무의 시너지를 높일 수 있도록 관련 조직을 강화해야 한

다 중소형 은행의 경우 증권사 또는 자산운용사와의 포괄적 또는 장기제휴 관계를 통

해 기업금융기반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자산관리서비스의 경우 재산보호형 업무와 재산증식형 업무 연계계좌와 CMA 기

능의 복합화 랩어카운트와 재산신탁 또는 PB업무 등을 병행하는 전략을 통해 금융투

자서비스 시장에서의 업무범위(coverage)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재

산보호에 초점을 둔 PB업무와 재산증식에 초점을 둔 WM(wealth management)업무

는 경쟁관계 또는 시장잠식 측면보다는 상품서비스 기반뿐만 아니라 고객기반을 확

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완과 시장창출의 긍정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자산

관리서비스를 통한 금융투자업무 기반 확대는 새로운 투자서비스 시장을 창출하고 관

련 서비스에 대한 역량을 심화시킬 수 있는 기회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특히 은행들은 퇴직연금 시장에 대한 시장지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관련 역량을 조

기에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퇴직연금은 금융자산에 대한 수요 장기자산에 대

한 수요 세제혜택 등으로 인해 자본시장의 핵심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

제Ⅲ장 은 행 117

직까지 국내 퇴직연금시장은 미국 및 영국 등에 비해 미약한 수준에 불과하나 기업금

융 신탁서비스 투자 및 조사업무 포트폴리오 관리업무 등에 있어서 사업시너지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은행의 금융투자업무 확대는 자본시장의 성장기회 통합형 금융시스템으

로의 전환 수익다각화 등의 측면에서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효과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11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9호(200757)

금융구조의 변화와 은행의 역할

李 建 範

〈요 약〉

개인과 기업이 외환 기 이후 변화된 융행태를 유지하고 안 자산 선호에

따라 나타났던 은행 은행상품의 우월성이 사라지며 증권화와 같은 융 신

이 개방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 으로 가시화된다고 할 때 은행은 자산규모

의 상 축소에 따라 역할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은행

들이 1990년 이후 미국 은행들과 같이 융환경 변화에 극 응하여 차

조표 상의 업무 개선은 물론이고 부외(off-balance sheet)거래를 활성화한다면

경제 내에서 은행의 역할은 계속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금융산업은 외환위기 이전과 크게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금

융자금의 흐름도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은행의 위상이 크게 높아진 현재

의 상태가 계속 유지될 것인가 향후 어떠한 금융환경 변화가 예상되고 은행은 어떻

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외환위기 이후 긴 구조조정기를 보내고 안정 성장기에 접어

든 은행들이 향후 장기전략 수립 시에 고려할 점을 살펴보도록 하자

융구조의 변화와 은행

국민경제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금융활동들이 상호 간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

으며 금융활동이 실물활동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데에 자금순환

제Ⅲ장 은 행 119

표가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지난달 발표된 2006년 자금순환동향에 따르면 우

리나라의 금융연관비율(금융자산잔액명목GNI)은 818로 2000년 이후 최대의 상승

폭을 보였는데 미국(973) 일본(1223)에 비하여 낮지만 이들 나라가 8배를 넘어선

시점이 각각 1990년대 후반 초반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전보다는 격차가 줄어들

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금융연관표를 통해 지난 30년간의 기업 및 개인의 금융행태를 살펴볼 때 외환

위기 이후 몇 가지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여전

히 기업이 자금부족부문이고 개인이 자금잉여부문이기는 하지만 경제규모에 대한 기

업부문의 자금부족 비율((조달-운용)GNI)이나 개인부문의 자금여유 비율((운용-조

달)GNI)이 이전에 비하여 크게 하락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추세는 미국에서도 관

찰되는 것으로 미국과 같이 개인이 자금부족부문이 되거나 기업이 자금공급부문이 될

정도에 이르지 않았지만 개인부문이 자금을 공급하고 기업부문은 자금을 사용하는 것

과 같은 전통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개인이나 기업 모두 자금의 공급자이며 동시에 이

용자가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 하나 주목할 것은 외환위기 이후에도 금융부문의 비금융부문에 대한 자금공급에

서 유가증권보다는 대출금의 비중이 크고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미

국에서는 유가증권과 대출금의 비중이 1990년대 중반 역전되어 유가증권의 비중이 높

아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유가증권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은행을 중심으로 한 대출금의 비중이 높다는 것은 이러한 증권화 추세와 다른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은행의 위상은 날로 강화되고 있다 작년을 기준으로 볼 때 총

자산 자기자본 및 직원수에서 외환위기 이후 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이전에 비하여

크게 높아졌다 은행의 수가 점차 줄어 든 것을 고려할 때 상위 은행들이 우리나라 금

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은행 대출은

개인에 대한 대출이 늘어나면서 기업대출의 비중 특히 대기업의 비율이 크게 하락하

였다

외환위기 이후 개인과 기업의 금융행태 변화의 원동력은 무엇이며 정보통신 등 기

술발전이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 향후 금융구조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그리고 위에

12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서 살펴본 은행의 위상 강화 경향은 향후에도 지속 가능한 것일까

융행태 변화와 향후 융구조 변화의 방향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특징적인 재무구조 변화는 부채비율이 이전에 비하여 크게

하락하였으며 자금조달도 내부 외부자금 중 내부자금 의존도가 크게 증대되었으며

투자의 현금흐름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졌다는 점이다 물론 부채비율 200 이하 유

지 등 정책적인 측면도 있지만 외환위기 시 겪었던 기업도산에 따른 파산비용의 인식

도 기업의 부채비율 하락에 일조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업투자가 자체 현금흐름

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과 위험증가에 대비하여 현금보유비율을 높인 것도

기업의 재무행태를 변화시킨 요인이다

한편 개인부문은 경제 내 자금공급자 역할뿐만 아니라 자금수요자로서의 역할도 크

게 강화되었는데 물론 주택대출을 중심으로 부채를 증가시켰지만 이러한 변화는 내구

소비재 교육지출 등 개인의 자금 수요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과 개인의 이러한 금융행태 변화는 경제 내 큰 쇼크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과거

로 회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경우 대기업의 내부자금 조달 비율이 높

은 상태에서 부채비율이 이전의 상태로 급증하기는 어렵다 반면 현금보유비율이 높

은 상태에서 기업부문의 자금 운용 규모 확대는 향후 은행권의 주요 수익원이 될 수

있다 개인의 경우에도 소비의 비가역성 개인부문 부채의 급격한 축소에 따른 위험

등으로 인하여 자금조달이 급격히 변화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러한 기업과 개인부문의 금융행태 변화와는 달리 자금공급에서 현재와 같은

은행의 역할이 지속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외환위기 이후 비은행금융기관의

대폭적인 역할 축소에 따른 자금이동 안전지향의 개인 금융자산 운용 등은 외환위기

와 같은 충격에 대응하고자 하는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환위기의

충격에서 벗어나고 대체적인 금융상품을 제공하는 금융주체가 등장하며 개인 및 기업

의 자산운용에서 위험선호가 다양화될 경우 현재와 같은 은행우위의 상태는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은행의 핵심예금 비중 감소 금융세계화의 진전에 따른

외국 금융기관의 진출 확대 자본시장 육성정책의 시행 등을 감안하면 은행의 대차대

제Ⅲ장 은 행 121

조표상의 규모증대로 나타나는 대출증가 추세가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정보통신기술의 혁신이 결제비용의 절감 후선업무와 같은 비숙련노동의 컴

퓨터로의 대체 등 하드웨어적인 것뿐만 아니라 선진금융과 같이 정보를 습득하고 분

석하는 능력의 향상으로 나타날 경우 증권화(securitization)가 진전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기술의 혁신은 기존 금융업무의 분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데 이는 전문화의 효

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금융업무를 재편할 것이다 즉 투자상품을 상품제조와 판매

로 분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출생성(origination) 위험관리(risk processing) 서비

스(servicing) 자금모집(funding) 등으로 구성되는 대출업무 중 자금모집(funding)

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정보투명성이 제고되고 위험측정이 가능한 모든

대출 대상은 증권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럴 경우 은행은 최종적인 자금공급자는 아니

지만 자금공급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이와 같은 금융환경 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은행의 위상을 지킨

미국 은행들에 대해 살펴보자

미국 은행의 수익구조 변화와 의미

미국에서 1990년대 초반 대공황 이후 최대의 은행위기가 닥쳐 은행의 역할이 크게

줄어들자 은행의 쇠락에 대한 우려가 컸었다 특히 은행의 대차대조표를 통해 공급되

는 자금의 중요성이 크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우려는 심각하게 받아들여

졌다 그러나 10여년이 지난 지금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기업부문 전체의 자금공급에

서 은행의 비중 금융권 수익에서 은행의 비중 GDP에의 기여도 등 은행부문이 경제

에서 기여하는 역할이 줄어들었다는 증거는 없다(FDIC 2004)

한편 은행은 증권화가 어려운 분야에서는 전통적인 강점을 살려서 우월성을 유지하

고 있다 미국에서 은행의 비금융부문에 대한 자금공급의 비중은 줄었지만 기업자금

공급의 비중은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 구성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단기자금대출(short term non-mortgage business loans)의 비중은 줄고 사업부동

산 담보대출(loans collateralized by business real estate)의 비중은 크게 늘어났다

즉 사업부동산 담보대출은 증권화가 어렵고 은행의 우월성을 유지할 수 있는 부문이

12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기업자금 대출에서 은행의 지위를 유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부문에서는 기존의 강점을 살려 경쟁력을 유지하였지만 그 이

외의 분야에서는 금융환경 변화에 대해 은행권이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전체적인 경쟁

력을 유지하였는데 이것은 은행의 수익구조를 살펴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2006년 미국 상업은행 전체의 영업수익 중 비이자이익의 비중은 433이다 1980

년대 후반까지 30를 밑돌던 은행의 비이자이익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초반부터이다 이 시기는 미국 내 증권화가 크게 확대되는 시기이기도 한데

은행은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대차대조표상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손익계

산서에는 나타나는 활동을 강화한 것이다 즉 2001년부터 Call Report 공개요건 강화

때문에 은행 비이자이익의 항목을 세분화해서 살펴볼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재분류

하여 다시 살펴보자 작년 말 비이자이익 항목 중 전통적인 비이자이익(예금계정 서비

스 신탁서비스 등)부분이 약 326 투자은행트레이딩보험업무 등 비은행업무

가 164 신용의 상품화(증권화관련 수익 외부에서 자금조달된 자산에 대한 서비스)

관련 이익이 164 기타 자회사(unconsolidated subsidiary)수익데이타처리유

동성지원서비스(liquidity provision) 등 기타항목이 346이다

즉 미국 은행들의 수익구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은행이 대차대조표상 업무

를 통해 나타나는 상대적 중요성 감소에 대응하여 비은행업무로의 다각화 및 증권화

를 통해 적극적인 대처를 하여 은행 수익을 유지하였다는 것이다

은행의 장기 이고 극 인 응 필요

우리나라의 금융구조에서 개인과 기업이 외환위기 이후 변화된 행태를 유지하고

안전자산 선호에 따라 나타났던 은행 및 은행상품의 우월성이 사라진다고 할 때 그리

고 증권화와 같은 금융혁신이 개방화와 정보통신기술 발전으로 가시화된다고 할 때

은행의 적극적인 변화 노력이 없다면 은행은 자산규모의 상대적 축소에 따라 역할이

축소될 것이다

제Ⅲ장 은 행 123

반면 금융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대차대조표상 영업의 개선은 물론이고 금융환

경 변화에 대응하는 부외(off-balance sheet)거래를 활성화한다면 경제 내에서 은행

의 커다란 역할을 계속 유지할 것이다 최근 은행의 저원가성 핵심예금(core deposit)

이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는 등 경제의 안정화에 따라 은행의 상대적 우월성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더욱이 향후 금융환경은 ldquo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rdquo 등 자

본시장 규율체계의 대폭적 변화 한미 FTA 타결에 따른 금융시장의 개방 규제완화를

명분으로 한 금산분리 원칙에 대한 재고 가능성 등 정책변화에 따른 리스크 상승의 가

능성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정책들의 복합적인 효과가 은행 경영에 유리하다고 단언

하기는 어렵다

금융산업 내 은행의 비중이 매우 커진 현시점에서 은행의 장래를 걱정하는 것이 무

리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은행 경영관행을 고집할 경우 은행의 위상 약화가

예상되는 상황이므로 은행의 장기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

다 금융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경제 내에서 높은 위상을 유지한 미국 은행의 경

험은 은행(banking)이 쇠락(declining)하지 않고 진화(evolving)할 수 있는 것을 보

여주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12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22호(2007528)

기업금융의 활성화를 위해 은행이 나아갈 길

金 炳 淵

〈요 약〉

IMF 융 기 이후 기업 융 축 상의 지속으로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동력

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한편 외국의 은행들은 기업 융 활성

화를 하여 노력해 온 결과 기업 융의 패러다임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그 결과 기업 융시장의 지식집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고 기업고객의 융

니즈를 방 으로 충족시키는 형태로 기업 융서비스가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외국 기업 융시장의 한 발달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기업

융시장의 여건은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고 기업

융이 르네상스를 이룩하기 해서는 먼 우리나라 융시장의 취약 을

조속히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사업조직으로서 융지

주회사를 만들어 본격 인 투자은행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업

융에 한 모든 업무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기업 융의 활성화 필요성

IMF 금융위기 이후 BIS자본비율 준수 기업신용위험 증대 부동산가격 하락 등의

요인이 겹치면서 은행의 기업금융(특히 대기업금융) 기피현상이 일어나게 되었다 그

결과 대기업 대출의 비중은 계속 감소하고 회사채 투자 및 회사채 지급보증도 거의 증

가하지 않음에 따라 은행의 대기업금융은 겨우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으로 위축되었

다 한편 중소기업대출의 경우 신용보증기금의 보증한도 증액 및 부동산담보에 힘입

어 간신히 과거의 활력을 유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외부여건이 바뀔 경우 은행의 중소

제Ⅲ장 은 행 125

기업금융도 한계에 다다를 가능성이 높다

한편 대기업은 IMF 금융위기 이후 IT 및 통신 등 몇개 분야 이외에는 설비투자를

거의 확장시키지 않았고 그것도 외부차입보다는 내부자본에 의존함으로써 기업금융

의 위축을 부채질하였다 우리나라 대기업은 산업구조상 대부분 현금창출능력이 뛰어

난 단계(cash-cow)인 성숙산업에 위치하고 있는 반면 해외자원개발이나 신규사업 및

설비 증설에는 소극적이어서 사실상 외부차입의 필요성이 크게 줄어든 것이 이러한

결과를 초래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업들의 미래 차세대 성장산업에 대한 소극적

인 투자는 향후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동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면에서 큰 우려를 낳

게 하는 요인이다

이와 같은 우리나라의 기업금융 위축은 은행의 기업금융 기피현상과 더불어 기업가

정신의 실종에 모두 연유한다고 할 수 있으므로 기업금융의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해

서는 은행은 기업금융 기피현상을 초래할 수 있는 여러 제도적 및 관행적 요인들을 제

거함과 아울러 기업의 신규투자 및 기업가정신을 고양시키는 환경 조성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기업 융에 있어서 은행이 착하는 딜 마

은행들이 위축된 기업금융을 활성화하고 기업금융의 주도권을 다시 탈환하려고 할

때 일반적으로 다음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여섯 가지 딜레마에 봉착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는 은행과 기업의 조직문화 차이이다 기업들은 도전적으로 사업기회를 추구

하는 정신(entrepreneurship)이 필요한 반면 은행은 신중하게 위험부담을 일정한 수

준으로 줄이려고 하는 신용문화가 필요한데 양자 간에 조화가 어렵다 이러한 신용문

화는 은행이 지원해줄 수 있는 프로젝트의 성격 및 범위를 결정하게 되는데 기업의 입

장에서 볼 때 은행의 서비스는 항상 불만족한 수준에 그치게 된다

두 번째는 기업과 은행의 인센티브 차이에서 비롯된다 기업은 사업추구에 따른 초

과이윤에 관심이 있는 반면 은행은 사업이 잘못되었을 경우의 손실가능성에 주목하게

된다 즉 초과이윤이 있을 경우 은행은 일정 금액의 몫만 챙기고 나머지는 고스란히

12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기업의 몫으로 돌아가게 되는 반면 손실이 있을 경우 때에 따라서 기업과 비슷한 부

담을 하게 되어 어떻게 보면 불평등 계약이 되는 셈이다 그러므로 기업과 은행 간에

는 항상 엇박자가 날 가능성이 높으며 프라이싱에 있어서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 그

러므로 기업의 입장에서 볼 때 상당히 매력 있는 사업의 기회가 있는 프로젝트에서 은

행을 동반자로 삼기가 어렵게 된다

셋째는 은행이 기업금융을 취급하는 데 있어서 언제나 담보부족의 갈증에 시달리게

되는 점이다 이는 전술한 인센티브 차이와 후술하는 정보비대칭성에서 기인하는 채

권보전을 위한 자구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갈증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

는 마땅한 담보를 발견하기 어렵다 그래서 담보가 부족한 경우에는 많은 적격 기업들

이 금융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기 쉬우며 기업의 입장에서는 과도하게 담보에 집착하는

은행을 동반자로 삼는 것을 기피하게 된다

넷째는 기업금융을 취급함에 있어서 신용평가의 어려움이다 기업의 신용평가는 개

인과 달리 각 기업의 독특한 특수성을 충분히 감안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 통계적

방법에 의존해서 신용평가를 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전통적으로 신용평가 시 은행이

크게 의존해온 재무제표는 상당히 후행적인 것으로서 과거의 환경변화가 어떻게 신용

위험으로 발전하였는가 또는 향후의 환경변화가 어떻게 기업의 사업위험에 영향을 미

칠 것인가에 대해서 아무 시사하는 바가 없다 재무제표의 자료에만 크게 의존할 경우

돈이 별로 필요하지 않는 기업만이 좋은 평가를 받게 된다

다섯째는 정보의 비대칭성 극복이다 기업금융이 어려운 점은 기업과 은행 간에

심각한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그것은 양자 간에 사업의 기회 및 위험

에 대한 지식 및 정보의 차이 밀착모니터링의 한계 기업경영의 투명성 부족 인센티

브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정보의 비대칭성은 은행으로 하여금 기업금융에 대

해 과도하게 신중하고 수세적인 자세를 취하게 되며 담보에 많이 의존하는 기업금융

행태를 발전시키게 한다

마지막으로 은행은 지급결제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감독당국에서 규정한 리스크 부

담의 한계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기업금융(특히 중소기업금융)은 가계금융에 비해 보

다 많은 불확실성에 노출되어 있으며 또한 담보나 신용평가면에서 채권보전상 열악한

위치에 놓여 있다 또한 금액규모가 커 편중여신에 대한 제한에도 얽매여 있다 그 결

제Ⅲ장 은 행 127

과 어떤 일정 성격 형태 또는 규모의 기업금융에 대해서는 원활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은행 및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점점 이와 같은 딜레마를 확대시키려는 경향

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은행대출보다는 회사채가 회사채보다는 주식발행이

더욱 매력 있는 금융수단으로 각광을 받게 되어 기업금융시장에서 은행대출의 설자리

가 점점 좁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은행의 기업금융은 기존의 좁은 울타리 영역에서 벗

어나 회사채 및 주식의 영역에까지 나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은행의 기업 융 한계 극복 방안

은행과 기업 간의 문화 및 인센티브 차이는 은행이 기존의 상업은행업무에만 국한

할 경우 극복하기 어려운 과제이므로 그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하기 위해서 은행은 투

자은행업무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증권 및 은행의 분리원칙에 의거 투자은행

업무는 금융지주회사의 우산하에서만 추진할 수 있으므로 기업금융을 활성화하기 위

해서는 금융지주회사를 설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업은행업무와 투자은행업

무 간에 충분한 시너지가 발생하지 않으면 기업금융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어려우므로

소매금융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업금융 플라자를 만들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일반 기업대출업무 회사채 및 주식인수업무 벤처캐피탈업무 기업구조조정업무 벌처

펀드 중소기업 지분금융(equity finance) 기업공제금융업무(business cooperatives)

사모펀드업무 사모사채업무 등 기업금융에 관한 모든 것을 취급하도록 하는 것이 필

요하다 단 각 업무별로 충분한 방화벽(fire-wall)을 만들어 이해상충 문제가 발생하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담보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국은행들이 사용하는 자산담보부대출(asset

based lending)방식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기업의 원재료 재고자산 및

받을채권 등 각종 자산을 담보로 하여 대출하는 방식이다 재고자산의 경우 이를 특별

창고에의 위탁 및 기업물류센터의 통제 등을 통해 재고자산을 기초로 창고증권을 발행

함으로써 이를 담보로 재고금융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받을채권금융의 경우 팩토링

과 같이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식이거나 은행을 통하여 채권추심을 하도록 하는 방법

12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또는 양도담보계약 등을 통하여 담보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신용평가의 어려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신용평가모델에 향후 사업전

망 및 사업위험도 고려하는 기업가치평가모델을 접목할 필요가 있다 상장기업에 있

어서 주가의 변동상황에 따라 신용위험을 평가하는 KMV모델은 비록 그것이 블랙박

스모델로 제한적인 신용정보만 제공하는 것이지만 일종의 신용평가모델에 기업가치

평가모델을 접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장에 대한 리서치 기능을 확대함과

아울러 금융서비스의 실제 대상인 고객 지역 및 상품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모니터링 및 정보수집비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기

업경영컨설팅 서비스를 통해 기업경영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으며 순환보직의 제한

기업전담제 모니터링의 강화 장기거래관계의 형성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은행의 지급결제업무 취급에 따른 리스크부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금융지주회사 우산하에서의 투자은행업무를 도입함과 동시에 지주회사 내의 사업에

있어서도 궁극적으로 자금의 조달과 운용을 분리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세계 기업 융의 패러다임 서비스형태의 변화

세계적으로 은행의 기업금융서비스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업금융의 한계를 극복하

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기업금융에 있어서 두 가지의 중요한 패러

다임의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그 하나는 기업금융의 세 축-대출 회사채금융 및 주

식금융(equity financing)-의 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출의 경우 증권

화를 통해 유동화함으로써 회사채의 성격을 강하게 띄게 되었으며 대출지원 시 프로

젝트의 이자뿐만 아니라 그 수익의 일정부분 몫에 참여하는 부분적인 주식금융의 성격

을 띄는 방향으로 상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기업구조조정 및 MampA 시장

에 있어서는 대출금융과 주식금융이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볼 수 있다

다른 하나는 기업금융업이 단순한 자금중개업에서 벗어나 자문서비스 및 컨설팅사

업의 비중을 높이면서 지식산업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업금융이 점차 단순한 신용

위험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기업이 당면하고 있는 사업기회 및 사업위험에 대한 지

제Ⅲ장 은 행 129

식과 더불어 전반적 기업경영관리 및 상거래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활

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패러다임의 변화는 기업금융서비스 제공형태에 있어서 중요한 변화를 초

래하고 있다 기업금융시장에서 기회 및 위험에 대한 지식이 집적됨에 따라 기업금융

서비스는 이들을 활용하여 기업금융니즈를 충족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방향으로 재편되고 있다 그 결과 기업금융서비스는 고객이 원하는 어떠한 형태의 서

비스(ldquoWe will do everything you needrdquo)도 제공하는 즉 全方位的 서비스제공 방식

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는 단순한 자금지원의 영역에서 벗어나 사업재편 규모의 경제 및 범위의 경제

향유 자본 및 부채구조의 재설계 기술 및 RampD 활동지원 HR문제 등 경영의 전 과

정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것도 내부활동의 지원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상

거래활동 및 전략적 활동 등 기업의 외부거래와 관련된 활동까지 그 지원의 범위가 확

대되고 있다

기업의 전략적 활동지원 사항 중 우리에게 생소한 두 가지 서비스만 살펴 보자 한

가지는 ldquo경쟁우위 플랫폼제공 서비스rdquo로서 이는 은행의 기반시설인 네트워크 정보

및 데이타베이스 및 IT 등을 활용하여 중소기업들과 중소금융기관이 대기업 및 대형

금융기관과 경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Platform)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다

른 한가지는 ldquoRolls-Ups 서비스rdquo로서 이는 소형기업들을 한데 모아 새로운 회사를

만들어 공동구매 공동판매 공동 연구조사 브랜드파워 생성 등을 통해서 통합된 기

업가치를 제고하는 방식을 말한다 세계시장에서 한때 우리나라 MP3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았는데 미국 대기업인 애플사의 대량구매를 통한 원가절감전략으로

인해 지배적인 위치를 빼앗긴 점을 생각하면 위의 2가지 서비스가 우리나라에 가능했

다면 상황은 달라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기업 융시장의 취약

위에서 논의한 바대로 선진 외국의 기업금융시장은 현저한 발달을 이루었음에 비추어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여건은 다음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이 아직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13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첫째 우리나라 기업금융시장에서는 사업 및 신용정보의 생성 및 확산이 제대로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는 오랫동안 부동산담보대출 및 정부의 지원에 의존하는 타

성에 의해 사업 및 신용정보 분석에 바탕을 둔 금융이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기 때

문이다

둘째 자금용도 및 상환자원별로 금융지원이 이루어지는 여신관행이 정착되어 있지

못하다 그 결과 대출상품 개발능력이 취약하여 상품이 고객니즈 및 상환능력별로 세

분화 내지 디자인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관행이 대출취급 및 사후관리 과정에서 사

업정보 및 신용정보를 생성하고 확산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셋째 부동산 이외의 담보가 활성화될 수 있는 제도 및 관행이 정착되지 못하고 있

다 외국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자산담보부대출(asset based lending) 등도 아직 우리

나라 금융시장에서 발을 붙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부동산담보 여력이 고갈되고 정

부의 지원이 끊겼을 때에는 기업금융을 확장할 수 있는 여지가 많지 않다

넷째 자본형성 기능 및 기회가 부족하다 새로운 사업기회가 있을 때 서로 자본을

모아 이에 투자하는 사회적 자본형성(capital formation) 기능이 매우 취약하다 IMF

금융위기 이후 벤처캐피탈 PEF 등 자본형성의 제도적 여건이 마련되었으나 사업기

회발굴 및 창출능력이 부족하고 시장의 신뢰를 얻지 못하여 아직 자본형성기능을 제

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풀뿌리 금융기관이 부족한 점도 기업금융시장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다 그 결과 금융서비스에 있어서의 전문화 및 다양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

한 기업의 라이프사이클별로 또는 전문분야별로 전담금융기관이 생성되지 못하고 있

으며 금융산업에 있어서 대형화와 전문화의 상승작용도 일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여섯째 금융기관 간 계열화 및 연계화가 부족하다 계열화 및 연계화가 되어 있을

수록 금융기관 간 분업화 및 상호작용에 의하여 금융시장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계열화 및 연계화는 소형금융기관과 대형금융기관 간 그리고 금융기관과 금융보조기

관 간 자금조달기관과 자금운용기관 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풀뿌리 금융기관의 부

족 이로 인한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금융보조기관(예 신용평가기관 정보수집 및

제공기관 IT업체 상권 및 기술발전추이 조사업체 백-오피스기능 제공업체 MampA

및 기업구조조정 전문업체 채권추심업체 등)의 미발달 자금조달기능 및 운용기능의

미분화 등이 계열화 및 연계화를 저해하는 요소로 지적될 수 있다

제Ⅲ장 은 행 131

우리나라 기업 융의 활성화 방안

우리나라 기업금융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술한 우리나라 기업금융시장의

여러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사업 및 신용정보의 생성 및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서 자금용도 및 상환자원별

대출취급 및 사후관리가 관행으로 정착되어야 하며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밀착경영 시장에 대한 리서치기능 확대 기업경영의 컨설팅기능 확대

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사업위험의 지식 및 정보의 생성을 돕기 위해서

기업매매중개업(business broker) 등을 육성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자산담보부 대출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자금용도별 대출취급관행을 정착시킴

과 아울러 법령 및 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재고자산 및 받을채권을 담보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재고자산 판매대금의 입금 및 받을채권의 대금추

심을 은행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환자원의 외부유출을 막고 자산담보부

대출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풀뿌리 금융기관이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은행의 각 점포를 소은행화하고

점포의 경영을 고객 상품 지역별 밀착경영1)을 하도록 특화함으로써 풀뿌리 금융기

관이 갖는 전문성 및 다양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자본형성기능이 취약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벤처캐피탈 PEF 및 기업의

IPO를 지원하는 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기업의 라이프사이클별로 금융지원을 해줄 수

있도록 각 점포를 특화해서 미국의 벤처캐피탈 파이낸스 컴퍼니(finance company)

및 소은행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위와 같이 우리나라 기업금융시장의 취약성을 보완하는 방안을 강구함과 아울러 다

른 한편으로는 사업조직으로서 금융지주회사를 만들어 본격적인 투자은행업무를 수

행할 수 있도록 하고 기업금융 플라자를 만들어 기업금융에 관한 모든 업무가 원-스

톱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체제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전술한 바

와 같은 전방위적 기업니즈 충족 및 금융지식 집적속도의 가속화를 통해서 우리나라

기업금융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1) 한국금융연구원『주간금융브리프』15권 49호 2006년 12월 16일

13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6호(2007625)

은행산업 경쟁정책관련 법규정 개선방안

李 秉 允

〈요 약〉

일반기업의 합병에 한 경쟁심사 시 공정 는 경쟁제한성 여부와 합병

에 따른 효율성 증 효과를 모두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은행합병의 경우

산법에 따르면 허가 당국인 감 가 은행합병의 실질 경쟁제한성 여부

를 공정 와 의하게 되어 있는 반면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 효과

를 검토해야 하는지 여부 그리고 어느 기 에서 이를 검토해야 하는지에 해

언 하지 않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 효과

분석은 감독기 인 융감독당국이 문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공정

가 은행합병의 경쟁제한성 여부를 단하여 감 에 제시하면 감 가

효율성 증 효과까지 고려하여 합병허가를 하고 여기에 공정 가 이의가 있

을 경우 소송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한편 융회사

불공정거래행 규제와 련하여서는 공정 와 감 간 복규제 가능성이

해소되어야 하며 감 의 경우 규제 근거가 되는 구체 법령이 없는 상태

이므로 이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에서 일반적으로 경쟁은 선(善)이다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

해질수록 기업은 경쟁에서 낙오되지 않기 위해 기술개발을 통해 품질을 개선하고 상

품을 남보다 싸게 팔려고 노력하게 되어 소비자들은 값싸고 품질 좋은 상품을 소비할

수 있게 됨으로써 후생이 증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능력이 떨어지는 기업은 도태되

고 시장에는 항상 더 능력이 있는 기업만 살아남게 됨으로써 경쟁은 자본주의 시장경

제Ⅲ장 은 행 133

제 시스템을 자정(自靜)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경쟁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를 유지

시켜 주고 여기에 활력을 불어넣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어느 나라나 경쟁을 실질적으로 촉진하는 것을 경제정책의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고 있고 이를 담당하는 정부기관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한 법과 제도를 운영하

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이러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경쟁과 관련된 공정위의 정책은 크게 시장지배적 지위남용 금지 기업결합 제한

부당한 공동행위 제한 및 불공정거래행위 금지 등으로 나뉠 수 있으며 이는 모든 산업

의 모든 기업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정위의 경쟁관련정책

은 은행 등 금융회사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은행합병이 늘어남에 따라 은

행에 대한 경쟁정책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이와 관련된

법규정이 제대로 정비되어 있는지 한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이 중 특히

기업결합 제한과 불공정거래행위 금지와 관련된 법규정에는 다소 개선할 점이 있는

것으로 보여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해법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

은행합병 시 경쟁심사 련

한 기업이 어떤 기업과 합병을 하려면 동 기업은 공정위에 경쟁심사를 의뢰해야 하

고 공정위는 두 기업의 결합에 경쟁제한성이 있지는 않은지 면밀히 검토한 후 허가 여

부를 결정하게 된다 lsquo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이하 공정거래법)rsquo은 ldquo일정한 거

래분야에서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rdquo 기업결합을 금지(제7조 제1항)하고 있어 lsquo경

쟁의 실질적 제한 여부rsquo가 기업결합 심사의 가장 핵심적인 판단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동법 제7조 제4항에서는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추

정하는 조건들을 나열하고 있고 보다 더 자세한 사항은 동법 제7조 제5항에 의거하여

lsquo기업결합심사기준rsquo을 만들어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동법 제7조 제2항에 따르면 lsquo당해 기업결합 외의 방법으로는 달성하기 어려

운 효율성 증대효과가 경쟁제한으로 인한 폐해보다 큰 경우rsquo에는 제7조 제1항의 규정

을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업결합 심사의 최종 판단기준은 경쟁제

13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에 따른 폐해와 효율성 증대에 따른 이익을 결합한 전반적인 경쟁효과라고 할 수 있

다 즉 당해 기업결합이 경쟁제한성이 있어도 기업결합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가 더

크다면 이를 허가할 수 있는 것이다 공정위는 이러한 기준으로 경쟁심사를 수행하여

기업결합 허가 여부를 결정하며 만일 기업결합이 불허될 경우 당해 기업은 이에 대해

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하지만 은행합병의 경우에는 일반기업과 조금 다른 허가 절차를 가지고 있다 여타

산업의 다른 기업들과는 달리 은행을 비롯한 금융회사들은 특별히 이들을 감독하는

기관이 따로 존재하며 이에 따라 은행합병의 경우 공정위가 아니라 은행을 감독하는

금융감독위원회(이하 금감위)가 허가권을 가지고 있다 이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마

찬가지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기업결합 시 경쟁제한성 여부를 따지는 기관은 공

정위이므로 금감위는 은행합병을 허가할 때 그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서는 공정위와

협의하게 되어있다 이는 lsquo금융산업의구조개선에관한법률(이하 금산법)rsquo 제4조 제4항

에 명시되어 있다 이에 기초하여 lsquo은행업인가지침rsquo상 은행합병의 인가기준에lsquo합병

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경쟁제한성 검토결과가 적정할 것rsquo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법규정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작은 것부터 언급하자면 법에는

금감위가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 공정위와 lsquo협의rsquo하라고 되어 있는데 lsquo은행업인가지

침rsquo에 따르면 공정위의 경쟁제한성 검토결과가 적정해야 합병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

다 법에서 lsquo협의rsquo하라고 한 뜻은 아마도 공정위가 경쟁전문가이지만 은행합병에 따른

경쟁제한성이나 효율성 등에 대해서는 감독당국인 금감위가 더 전문성이 있을 수 있

으므로 두 기관이 실질적으로 협의하여 결정하라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그런데 lsquo지침rsquo에서는 법에서 제시한 lsquo협의rsquo의 정신은 사라지고 공정위의 결정

을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이 문제를 바로잡으려면 법

에 금감위가 은행합병 심사를 할 때 경쟁제한성과 관련하여서는 공정위의 심사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하든지 아니면 지침에 법에서 제시한 lsquo협의rsquo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다음 문제는 공정위의 경쟁심사와 관련된 것이다 앞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일반기

업에 대해 공정위가 경쟁심사를 할 때에는 lsquo경쟁제한성rsquo 여부와 lsquo효율성 증대rsquo 효과를

동시에 고려하도록 되어 있다 즉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기업결합의 경쟁제한성에

제Ⅲ장 은 행 135

따른 폐해가 있더라도 효율성 증대효과가 더 클 경우 기업결합을 허가해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금산법에는 금감위가 은행합병이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지

여부만을 공정위와 협의하여야 한다고 되어있다 공정거래법에 보면 제7조 제1항에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기업결합은 금지한다고 되어 있지만 제7조 제2항에는 기

업결합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가 더 크면 제7조 제1항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되

어 있다 즉 경쟁의 실질적 제한여부를 검토하는 것은 효율성 증대효과를 검토하는 것

과는 별개의 것이며 공정거래법에 따르면 양자를 모두 검토하여 어느 효과가 더 큰지

헤아려 보아야 한다고 되어있다 따라서 경쟁심사는 경쟁제한성 여부와 효율성 증대

효과를 모두 검토하여야 완결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금산법에서는 은행합

병이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지 여부 즉 경쟁제한성에 대해서만 공정위와 협의하

도록 되어 있어서 은행합병의 효율성 증대효과에 대해서는 누가 검토해야 하는 것인

지 또한 경쟁제한성의 효과와 효율성 증대효과 중 어느 것이 더 큰지에 대한 판단을

누가 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 물론 금산법 제4조 제3항에서 금

감위가 은행합병을 심사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적시함으로써 효율성 증대효과

분석은 금감위가 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공정위의 경쟁심사가

효율성 증대효과 분석까지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법규정이 명확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금산법에 의거하여 은행합병이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지 여부

에 대해 공정위가 판단할 때 일반 기업합병에 대한 경쟁심사처럼 은행합병에 따른 효

율성 증대효과도 함께 검토하는 것이라고 확대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이는 앞

에서 살펴본 것처럼 공정거래법 제7조를 놓고 보았을 때 맞지 않는 해석이다 공정위

가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까지 검토하여 경쟁심사를 완결하려면 이러한 내

용을 포함하여 금산법상의 규정을 좀 더 엄밀하게 수정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법규정을 떠나서 은행경영이나 은행산업에 대한 지식 등 전문성을 놓고 볼 때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는 공정위보다는 직접 감독을 담당하는 금감위가 더

잘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오히려 금산법은 현행대로 유지하여 공정위는

은행합병의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서만 판단하고 그 결과를 금감위에 보내면 금감위

가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를 검토하여 경쟁제한성과 효율성 증대효과 중

13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어느 것이 더 큰지 판단 최종 합병허가를 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해 보인다

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은행합병을 허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특이하게

경쟁당국(법무성 반독점국)과 은행감독당국이 각각 독자적으로 은행합병에 대한 경쟁

심사를 하고 경쟁당국이 경쟁심사 결과를 은행감독당국에 제시하면 은행감독당국이

이를 참고하여 은행합병 허가를 하게 된다 이 때 경쟁당국이 경쟁제한성이 높다고 판

단하는데도 은행감독당국이 은행합병을 허가하면 이에 대해 경쟁당국이 소송을 제기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금산법에서는 금감위가 은행합병의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 공정위와 협의하게 되어 있지만 협의 후 공정위가 경쟁제한성이 있다고 판단했

음에도 불구하고 금감위가 합병을 허가했을 때(물론 은행업지침상 합병을 허가하기는

어렵겠지만) 공정위가 취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따라서 우리나

라의 경우에도 이러한 경우에 대한 절차를 마련해 두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즉

공정위는 은행합병의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서 판단하고 그 결과를 금감위에 주면

금감위가 은행합병의 효율성 증대효과까지 고려하여 합병허가 여부를 결정하고 만일

공정위가 경쟁제한성이 심하다고 보는데도 금감위가 합병을 허가할 경우에는 공정위

가 이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여 최종적으로는 법원이 판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절

차상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불공정거래행 규제 련

다음으로는 불공정거래행위 금지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모든 기업의 불공정

거래행위에 대해서는 공정거래법 제5장에 의거하여 공정위가 규제 및 제재를 하고 있

다 공정거래법 제5장은 불공정거래행위의 내용 및 공정위의 제재 등에 대해 구체적

으로 적시하고 있다 그러나「금융감독기구의설치등에관한법률」 제1조에 따르면 금

감위와 금감원이 lsquo건전한 신용질서와 공정한 금융거래관행을 확립하고 예금자 및 투

자자 등 금융수요자를 보호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에 기여rsquo해야 한다고 되어 있어

이에 근거하여 금융감독당국도 금융회사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해 규제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금융감독기구의설치등에관한법률」에는 제1조의 내용을 구체적으

로 실현할 법조항이 없어 금융감독당국은 각종 규정 및 시행세칙 등에 근거하여 금융

제Ⅲ장 은 행 137

회사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해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두 가지이다 먼저 금융회사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공

정위와 금감위의 중복규제 가능성이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그간 몇 번의 문제 제

기가 있어 왔고 최근에 공정위와 금감위가 상호협의를 통해 규제하기로 하는 등 문제

해결에 진전이 있어 왔지만 아직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떤 식으로든

이러한 중복규제 가능성은 해소되어야 할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금융감독당국에 의

한 금융회사 불공정거래행위 규제의 경우 앞서 지적한 것처럼 법에 선언적 의미의 조

항만 있을 뿐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법조항이 없어 제대로 된 규제를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중복규제 문제와는 별도로 금융감독당국이 소비자보호를 위해 불공

정거래 행위에 대한 규제를 제대로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그 근간이 될 수 있는

법규정을 정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맺는말

외환위기 이후 최근까지 우리나라 은행산업에서는 은행의 숫자가 절반 이하로 줄어

들 정도로 많은 합병이 있어 왔다 그리고 앞으로도 은행 대형화 추세에 따라 합병이

더 일어날 수도 있으며 이미 은행이 많이 대형화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앞으로 일어날

은행합병은 은행산업의 경쟁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은행합병 시 경쟁심사와 관련한 법규정이 명확하게 정비되

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물론 선진국들처럼 은행합병 심사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일도

시급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 이전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법규정부터 명확하게 정비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13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인하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9호(2007716)

은행채에 대한 유가증권 발행공시제도 개선 필요

韓 在 濬

〈요 약〉

정부는 은행채 공모 시 유가증권 발행신고서 제출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증권

거래법 시행령을 입법 고하 다 취지는 발행공시를 통하여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며 융업 간 규제의 형평성을 도모하기 한 것 등이다 그러나 은행

채가 수신업무의 연장선상에서 수시로 발행되고 있는 을 고려해 볼 때 공시

제도의 엄격한 용은 발행 시성 하 추가비용 부담 등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추후 용과정에서 투자자 보호의 취지는 보 하되 수신업무의 특성

자본시장 활성화 측면을 고려하여 련 차를 간소화하는 보완책이 마련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난 7월 3일 자본시장통합법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자본시장통합법은 증권산업과

자본시장을 발전시키는 한편 금융 투자자 및 소비자의 권익 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예

상되고 있다 한편 지난 5월에는 그동안 발행공시가 면제되던 은행채에 대한 발행공

시제도 도입을 주요 골자로 하는 증권거래법 시행령 개정안이 입법예고된 바 있다

은행채 발행이란 은행이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이다 은행은 일반적으

로 대출재원을 불특정 다수로부터의 예금수수로 조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예

금모집만으로 부족한 재원은 CD나 채권 발행을 통하여 조달하기도 한다 실제 은행채

를 통한 수신조달 비중은 2001년 40에 불과하였지만 2007년 3월말 현재 167로

급증하였다

제Ⅲ장 은 행 139

유가증권 발행신고서 제출은 자본시장에서 은행채를 매입하는 투자자에 대한 정보

공시의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은행채 발행에 대한 발행공시제도 적용은 자본시장통

합법이 추구하는 투자자보호 선진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파악될 수 있다

그러나 동 절차의 도입이 은행 수신업무의 적시성 및 채권시장 활성화와 다소 마찰

의 소지가 있다는 우려도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유가증권 발행신고서

제출의 의의와 은행채 및 은행업무의 특수성을 살펴보고 발행공시제도 적용과 관련하

여 보완책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유가증권 발행공시제도

증권거래법은 유가증권을 모집매출하고자 하는 기업의 경우 금감위에 유가증권

발행신고서를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투자자에게 발행기업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공시의 일환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절차간소화 차원에서 유가증권을 계

속반복적으로 발행하는 발행인에 대하여서는 일정기간의 모집매출 예정물량을

일괄하여 사전에 신고하고 실제 발행 시에는 발행금액 가격 등 모집조건을 기재한 추

가서류만 제출하도록 하는 일괄신고서제도도 도입되어 있다 다만 국채 지방채 및

특수법인이 발행하는 유가증권은 동 신고서 제출이 면제되고 있다

한편 은행채는 현재까지는 특수법인이 발행하는 유가증권으로 취급되어 발행신고

의무가 면제되어 왔었는데 앞으로는 여타 금융채와 동일하게 발행공시 의무를 지게

된 것이다 현재 은행채 이외의 금융채가 일괄신고서제도를 통하여 발행되고 있는 점

에 미루어 은행들도 향후 발행공시 의무화가 본격적으로 적용될 경우 일괄신고서제도

를 택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정부가 은행채에 대하여 발행공시제도를 적용하려는 데는 일반적으로 아래

의 세가지 이유가 제시되고 있다 첫째는 은행채에 대한 정보를 투자자에게 제공함으

로써 자본시장의 투자자를 보호하려는 것이다 둘째는 종금사와 여신전문사가 발행하

는 금융채에는 유가증권신고 절차가 적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은행의 금융채(은행채)

만 면제하는 것은 형평성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셋째는 은행채를 통한 과도한 차입이

시중유동성 확대를 초래하고 있어 이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14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은행채 발행증가 원인

최근 3년간 국내은행의 은행채 발행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그 수치는 2003년말에

745조원이던 것이 2007년 3월말에는 1451조원으로 늘어났다 따라서 정부가 투자

자보호를 강화하려는 것은 당연한 현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은행채 발행이 증가한 데는 저금리환경에서의 정기예금 수요 기반 약화 등

으로 수신증가세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대출의 높은 증가세를 따라가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 2006년만을 보더라도 대출은 전년 대비 169 증가한 반면에 예금은

31 증가하는 데 그쳤다 따라서 은행들은 부족한 수신을 은행채 발행으로 충당해

온 것이다 이러한 은행채 발행에 따른 시중유동성 확대의 근본적인 원인은 주택담보

대출이 증가할 수 있었던 저금리환경을 지적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것이다 한편

2007년 중에도 은행예금의 CMA 등으로의 이탈로 은행채 발행이 증가세를 지속할 것

으로 보인다

또한 은행예금 중 단기물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주택담보대출의 만기가 최근 급격히

장기화되고 있는 데 따른 여수신 간의 만기불일치 심화 해소 차원에서도 은행채 발행

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장기대출채권이 늘어날 경우 자산부채관리(ALM)차원에서

는 동 채권을 매각하거나 장기의 부채로 자금조달방법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장기대출채권 매각수단인 MBS발행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기자금 조달수단으로서의 CD나 정기예금은 그 활용에 한계가 있어 은행

채 발행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CD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할인물 발행만이 허용되

고 있어 장기물 발행 유인이 낮을 수밖에 없는 데다 저금리기조하에서 정기예금 수요

기반도 약화되어 있어 은행채가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상한 것으로 보인다

은행업무의 특수성

우리나라의 은행법 제2조는 은행업을 ldquo예금의 수입 유가증권 기타 채무증서의 발

행에 의하여 불특정다수인으로부터 채무를 부담함으로써 조달한 자금을 대출하는 것

을 업으로 행하는 것rd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은행채 발행도 예금의 수취나 CD를

제Ⅲ장 은 행 141

발행하는 것과 같이 수신업무의 연장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1)

한편 은행은 그 업무 수행과정에서 고객의 예금인출 또는 거액 대출 등이 발생할

경우 지급준비금 수준 유지 또는 자금과부족 충당 필요 등으로 수시로 수신을 유치하

여야 한다 단기에 부족한 수신을 유치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특판정기예금의 경우

고금리 제시가 불가피한 데다 한번 상승시킨 예금금리를 추후에 인하하기가 쉽지 않

아 경영수지 악화의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CD나 은행채는 시장금리 수준에서 탄력

적 자금조달이 가능하다는 점과 최근 기관투자가들의 장기물 선호와 맞물려 그 발행

규모가 늘어나고 있다

현재 국내은행들은 1년 미만의 단기자금은 CD로 1sim3년 만기의 장기자금은 은행

채로 조달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이표식 CD가 허용됨에 따라 3년 내외물 CD발행이

많은 반면 우리나라는 이표식이 허용되지 않아 은행채가 선호되는 면이 있다

미국의 투자자 보호와 공시제도 간의 조화 사례

채권시장에서 은행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투자자보호 목적의 공시 강화

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보호목적으로 감독절차가 지나치게

강화 내지 복잡화될 경우 자본시장 활성화에 역행될 소지도 있다 이로 인해 선진국의

경우 투자자보호 관련 규정을 일부 완화해주고 있어 본고에서는 미국의 두 가지 사례

를 소개함으로써 향후 은행채 발행공시제도에 필요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번째는 미국의 Regulation D에서 규정하는 적격투자자(accredited investor) 개

념의 도입이다 미국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회사채 발행에 대하여 발행공시제

도 적용을 면제해 주고 있다 일본 정부도 특정투자가를 대상으로 한 회사채 발행에

대해서는 유사한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적격투자자 범주에는 기관투

자가뿐만 아니라 일반개인도 연간소득이 20만달러 이상인 경우 포함되어 있다 이는

자본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스스로 시장정보를 획득할 능력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투자자의 경우 보호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 엄밀히 말하면 수신 성격의 은행채 발행은 CD와 마찬가지로 지준부과 대상에 포함될 필요가 있으나 현재 은행채는 지준부과 대상에서 빠져 있다

14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에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발행공시제도 적용 면제대상을 모집인 50인 이하 또는

총 발행금액 20억원 이하인 사모발행으로 한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본시장

통합법이 추구하는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미국 일본 등과 같은 적격투자자 개

념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 사례는 미국의 경우 은행채 발행에 대해서는 일반 유가증권 발행과 달리 별

도의 기준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은행이 발행하는 유가증권 관련 공시는

SEC(증권거래위원회)가 아닌 OCC(통화감독청)가 주관하고 있다 이는 미국에서는 은

행에 대한 포괄적인 감독권은 OCC에 증권시장의 감독권은 SEC에 귀속되고 있기 때

문이다 한편 OCC는 유가증권신고 절차는 원칙적으로 SEC에 준하는 수준으로 규제

하고 있으나 비전환사채(non-convertible bond)인 은행채에 대해서는 적격투자자 대

상 발행 등 5가지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모집제안서(offering document)와 부속서류

를 사후제출하는 것으로 유가증권발행 신고절차를 대신하고 있다2) 이에 따라 전국규

모 미국은행들은 수신목적의 은행채 발행과 관련된 유가증권신고절차 의무를 사실상

면제받고 있다

정책제언

자본시장통합법은 자본시장의 경쟁력 강화가 그 최종 목적일 것이다 한편 자본시

장 활성화와 투자자보호는 상호 상충되는 면을 지니고 있다 이상적인 방안은 두 목적

간의 비교평가를 통하여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즉 각 제도 도입 시 사안별로 투자

자와 발행자 간의 정보의 비대칭성 정도 투자자별 보호 필요성을 비교평가하여야

한다

금융기관의 경우 일반회사와 달리 감독당국이 경영현황을 정기적으로 감독공시

하고 있어서 금융채발행과 관련되어 투자자와의 정보비대칭 정도가 적은 상황이다

더구나 채권의 경우 주식과 달리 기관을 대상으로 주로 발행되고 있어 투자자 보호의

2) OCC의 12 CFR section 166조의 5가지 요건 (1) 미 증권거래법에 의거하여 상장된 회사 (2) 적격투자자

(accredited investors) 대상 발행 (3) 발행금액이 미화 25만달러 이상 (4) 투자적격 등급 채권 (5) 채권 발행 시 투자자에게 offering document(발행조건 판매채널 경영현황 포함)와 Call Report(은행 경영 관련 보고서) 제공

제Ⅲ장 은 행 143

실익도 상대적으로 낮다 반면 채권시장은 주식시장보다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하

고 있어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련절차를 간소화해야 할 필요성이 오히려 높다 따라서

발행공시 절차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수신업무의 연장선상에서 수시로 발행되어야 할

금융채 발행의 적시성을 잃게 된다면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향후 은행의 은행채 발행 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현행 일괄신고서제도의

경우 기 승인범위 내의 채권발행에도 건별로 추가서류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매

발행 시마다 이사회 소집 및 기관장의 서명을 요구하고 있어 그 절차가 번잡하다 특

히 은행채의 경우 그 발행이 여타 금융채보다 빈번하여 동 절차를 준수토록 하는 것은

발행절차를 지나치게 번잡하게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국내은행이 발행하는 은행채

가운데 후순위채나 신종자본증권이 아닌 수신 목적의 금융채에 대해서는 관련절차를

보다 간소화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한편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미국과 일본에서 채택되고 있는 적격투자자 개념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채권시장의 발행유통을 촉진시키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도 또 다른 시급한 과제로 판단된다

14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30호(2007723)

자본시장 중심의 기업금융발전과 은행의 리엔지니어링

具 本 星

〈요 약〉

융구조개 을 통해 융시스템의 안정화 건 성이 회복된 데 힘입어

자본시장의 성장 발 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본시장 심으로 기업 융이

환되고 있다 자본시장형 기업 융은 투자기회 확 와 투자자의 참여를 진

할 수 있도록 투자 험을 분산하거나 결합하고 연계할 수 있는 복합 융을

통해 발 된다 이를 비하여 은행은 자본시장형 상품을 극 활용하여 계

융 투자 융업무를 확 하는 략 리엔지니어링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해 상품 리자로서의 생산역량을 강화하고 그룹이나 제휴기 과의 공동마

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기능 형태의 조직 인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한 감독 측면에서는 기업정보의 공유 사모방식의 자 조달에 있어서 업종

간 차이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

자본시장의 성장은 융시스템 발 의 필수단계

대기업 및 수출기업의 수익호조에 따라 국내기업의 자금조달이 은행권으로부터 계

속 이탈되고 있다 2001년 이후 대기업에 대한 부채비율 규제에 따라 회사채 상환이

확대되고 내부자금에 의한 설비투자가 증가하면서 금융기관에 대한 제조업의 차입의

존도가 급격히 낮아져 왔다 이러한 은행권으로부터의 이탈현상은 대기업뿐만 아니라

우량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 우량 자영업자에까지 급속히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성장기업이나 SOHO 기술기업 및 소기업의 경우에도 금융기관에 대한 차입

제Ⅲ장 은 행 145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으며 벤처캐피탈이나 사모펀드 등 비정형 금융회사를 통해 자금

조달을 다양화하고 있다 상품측면에서도 대출형에 비해 자본형복합형(mezzanine)

자금조달에 대한 유인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국내기업의 자금조달 행태

및 유인이 이미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금융시스템으로 상당히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

고 있다고 하겠다

본고는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금융시스템의 성장 및 발전에 따른 은행권의 기업금융

운용방향을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자본시장형 기업 융시스템의 핵심은 복합화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시스템의 성장 및 발전은 투자기회 및 투자자의 참여를 촉진시

킬 수 있는 복합형 신상품(hybrid financing) 개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금융상

품의 복합화는 일반적으로 투자위험의 결합(pooling) 분리(stripping) 및 연계(bundl

-ing)를 의미한다 투자위험의 결합은 다양한 투자자산을 묶음으로써 투자위험을 분

산시키거나 완화하는 형태로서 신용파생상품(CDO 또는 CLO) 자산담보부증권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 분리를 통한 신금융상품은 구조화금융 개발에 주로 활용되며 장

기투자위험을 제거하거나 자금조달 기반을 확대하는 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위험선

호의 차별화에도 활용된다 연계상품은 투자위험의 완화보다는 기업의 자금조달 기회

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여신형 및 자본형 자금조달을 병행하는 형태로서 일반대출과

주식의 병행발행 대출과 후순위사모사채의 동시인수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복합화 방식에 의한 신상품 개발은 기존의 간접금융 형태로 이루어진 자산에

대한 위험의 완화 또는 분산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간접금융과 직접금융시장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증권화는 기존 대출채권의 신용위험을 줄여줄 뿐만 아

니라 신규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투자자 입장에서는 위험

-수익 간 상충관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투자기회가 확대된다는 점에서 자본

시장의 저변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간접형 금융회사는 복합화를 활용하여

기업과의 관계금융을 확대시킬 수 있으므로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으로의 전환에 적극

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14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계 융 진을 한 리엔지니어링 강화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으로의 전환과 복합화에 대비하여 은행은 기업금융의 리엔지

니어링을 추진할 수 있는 여건과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과거에 기업금융의 리엔지니

어링은 여신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대출자산의 매각이나 여신만기의 재조정 등에 중점

을 두었었다 그러나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에 대비한 리엔지니어링은 자본시장의 상품

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업과의 관계금융을 강화하는 데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또

한 복합화에 의한 리엔지니어링은 기업금융서비스의 형태 및 범위를 다양화할 뿐만

아니라 기업금융을 통한 수익기반을 유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업무영역 확보에도 유

리할 것이다

상품 리자조직의 마련 인력의 확충 긴요

은행은 기업금융의 리엔지니어링을 촉진하기 위해 상품관리자(product manager)

조직을 마련하고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상품관리자조직은 여신형 자금조달과 증권형

자금조달에 관하여 영업측면뿐만 아니라 전사적 위험관리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관리

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권한과 인력을 갖춘 조직을 의미한다 특히 상

품관리자조직은 기업의 자금조달 수요 여신전략 및 여신포트폴리오 위험관리를 총괄

하는 종합기업금융서비스를 기획할 뿐만 아니라 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상품관리자조직의 상위 의결기관은 전문은행의 경우 CFO 또는 여신담당 임원

CRO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로 운영될 수 있다 금융그룹의 경우 증권자회사 및 은행

자회사의 투자업무 담당임원이 참여하는 형태로 운영되거나 증권자회사의 투자은행

담당임원 중심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품관리자조직은 기업고객에 대한 종

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계업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은행의 기업금

융과 증권사의 투자금융 업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권한과 역량을 가질 수 있

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품관리자조직에 속한 일선 영업지점에 있는 상위

RM이나 대기업 담당 RM과의 의사소통채널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능적으로 조직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제Ⅲ장 은 행 147

공동제휴 마 에 의한 시 지 창출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은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복합화를 촉진하는 형태로 진행되

어 왔다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중반 이후 Section 20에 의해 허용된 자회사를 통해

인수업무를 확대해 왔고 일본의 경우에도 1992년 금융개혁법이 자회사를 통한 인수

업무를 허용함에 따라 여신업무와 인수업무의 결합이 확대되어 왔다 이러한 결합현

상은 1987년 규제완화를 통해 상업은행의 인수업무를 허용한 캐나다의 경우에도 마찬

가지이다

여신업무와 인수업무의 결합은 이해상충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

보호를 위한 마케팅이나 서비스 측면의 제약이 상당히 많았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여신 및 인수의 결합에 따른 이해상충 문제는 전반적으로 완화되고 있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다 이는 투자자에 의한 감시기능이 확대되고 내부통제시스템에 대한

감독강화 등 제도적 개선에 따른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여신업무와 인수업무의 결합

은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을 낮추고 기업에 대한 정보창출 유인을 높여 관계금융의 확

대와 건전성 제고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복합화를 통해 기업금융서비스가 확대될 수 있도록 이해상충에 대한 적절한

통제장치가 확보된다면 그룹 내 또는 제휴기관 간 공동마케팅이나 공동인수를 적극

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향후 은행의 종합기업금융서비스는 여신본부와 증권자회

사 또는 자회사의 투자금융부서 간에 효율적인 협력체제가 구축될 때 상품 및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은행들이 공동마케팅이나 제휴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상품중심의 기업금융서비스 조직을 부가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은행의 정보생산자 역할은 계속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

한편 정보생산 측면에서 은행은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유

지할 필요가 있다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복합화를 추진할 수 있

14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는 상품개발 기능에 있으나 이러한 기능은 간접금융시장의 여신자산을 활용할 경우

에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글로벌 금융그룹의 기업금융과 투

자금융 간 결합이나 유럽을 중심으로 한 신용파생상품의 급속한 성장은 은행의 중소

기업대출 확대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반면 은행의 기업금

융서비스가 단기운영자금 대출이나 소규모기업에 국한될 경우에 자본시장과의 연계

성 확보도 제한될 소지가 있다 특히 은행이 초기 정보생산에만 주력하거나 투자자로

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서비스를 통한 시너지 창출은

제약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에 대비한 전략적 리엔지니어링의

성패는 상품공장(product factory)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업고

객 기반을 얼마나 지속적으로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하겠다

규제 감독의 유연성을 높일 필요

기업금융의 복합화 촉진을 위해 규제 및 감독 측면에서도 탄력적으로 접근할 필요

가 있다 신상품 개발을 위한 업종 간 협력 및 연계활동을 강화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

서 조직체계와 상관없이 관련 기업에 대한 정보공유나 제휴마케팅을 위한 정보공유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모형태의 복합상품 개발이 확대될 수 있도록 사모시장에

대한 업종 간 업무영역 또는 규제수준의 차이는 점진적으로 해소할 필요가 있을 것이

다 예컨대 사모방식 자금조달의 경우 자기자본 대비 일정비율 한도 내에서 인수형 업

무를 허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제Ⅲ장 은 행 149

딜로이트컨설팅 코리아 전무(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1호(2007730)

국내은행의 경영진 스톡옵션제도 개선방안

金 愚 珍

〈요 약〉

외국과 다른 국내 융풍토하에서 스톡옵션이 경 진에 한 합한 보상

수단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특히 스톡옵션은 높은 버리지 특성 때문에

행사가격이 지나치게 낮게 설정되어 있거나 경 성과와 무 하게 부여수량이

확정되는 경우 보상수 을 지나치게 높일 수 있다 국내은행이 경쟁우 를 확보

하기 해서는 경 진 보상수 이 로벌 스탠더드까지 지속 으로 개선되어

야 하나 경 진 인센티 제고는 총 보상패키지에서 단기성과 이 차지하는

비 을 높임으로써 우선 으로 해결하고 스톡옵션제도의 범 한 용은

장기 에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구체 으로는 스톡옵션 부여

시 이나 부여방식 변경 사외이사 감사에 한 스톡옵션 부여 제한 스톡

옵션 부여에 한 심사 공시 강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스톡옵션제도는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있는 상황에서 기업 소유자가 아닌 경영자

가 자발적으로 기업 가치를 증대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스톡옵션제도는

자금력이 부족한 기업의 우수인재 유치 소유경영분리 기업의 대리인 비용 축소 등

긍정적 측면에서 기업발전에 기여하였으나 제도 도입 과정에서 자신의 성과와 무관

하게 대규모 스톡옵션을 받아가는 사례도 발생하였다 스톡옵션제도가 오용될 경우

단기 주가부양을 위해 외형위주의 경영에 주력하고 위험도 높은 투자 등 무리한 경영

을 할 소지가 있고 스톡옵션을 부여받기 위해 성과목표 수준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주

가관리 및 회계조작의 유인이 증대된다

15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더욱이 은행의 경우 주가회복은 공적자금 투입에 의한 구조조정 효과에 힘입은 바

크므로 최근의 스톡옵션 행사는 외부적 요인에 크게 기인한다 또한 많은 경영진들

이 성과와 관계없이 단임에 그치고 있어 경영진 재임시기와 스톡옵션 행사시기 간에

시차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본인의 경영성과와 무관하게 퇴임 후 스톡옵션으로 크

게 보상받는 사례가 발생한다 즉 경영진의 장기재임을 전제로 하여 장기성과급의 일

환으로 스톡옵션제도가 운영되어야 하나 장기재임이라는 전제 자체가 성립되지 못함

으로써 근본취지가 퇴색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은행의 스톡옵션제도 관련 이슈를 살펴보고

추가적으로 제도개선이 필요한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행 스톡옵션제도의 문제

대리자 이론(agency theory)에 따르면 CEO의 복지(welfare) 수준과 주주의 부

(wealth)를 연결시켜 주는 보상정책은 CEO의 다른 행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적

사회적 비용과 편익을 적절하게 조정시켜 줌으로써 CEO로 하여금 주주가치에 부합하

는 행동을 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따라서 장기 재임하는 CEO의 경우 스톡옵션

과 경영성과 간 연계가 높을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장기재임 관행이 확립되지

못함에 따라 스톡옵션과 경영성과 간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특히 행사가격이 지

나치게 낮게 설정되어 있거나 경영성과와 무관하게 부여수량이 확정되어 있는 경우

스톡옵션을 통한 보상수준이 지나치게 높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은행의 경우 대부분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을 도입하였으나 목

표치를 쉽게 달성할 수 있도록 설정함에 따라 성과가 탁월하지 못한 경우에도 스톡옵

션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즉 해당 기업이 이미 달성하였거나 현재 충족하고 있는

수준을 목표치로 설정하여 성과연동형식으로 운영하는 사례가 있으며 경영진의 성과

목표치도 경영진의 역량이나 노력보다는 시장 상황이나 여건에 좌우되는 값을 설정하

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나 고정이하여신비율 등 은행의 건

전성지표는 적정 수준으로 통제되어야 할 은행경영의 필수요소인 만큼 경영진의 성과

평가 지표로 활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Ⅲ장 은 행 151

또한 스톡옵션 부여의 적정성을 심사하고 견제해야 할 사외이사 감사 등이 스톡옵

션을 받는 사례도 다수 발생하여 경영진의 보상체계가 주주가치와 부합되지 않는 방

향으로 설계될 가능성이 있다 국내은행의 경우 감사 및 사외이사에 대한 스톡옵션 부

여가 증권사나 보험사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특별한 대주주가 없어 주

주에 의한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지주회사 은행 등의 경우 감시기능 강화가 필요함

을 역설적으로 말해 주고 있다 또한 주주총회에서 스톡옵션 부여의 적정성에 대하여

심도 있는 검토도 이루어지지 않는 등 스톡옵션 부여에 대한 주주의 통제장치가 미흡

하다 미국의 경우 사외이사 및 감사에 대한 스톡옵션 부여를 법으로 제한하고 있지는

않으나 사외이사가 직접 기업가치 상승에 기여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지급되

는 사례는 많지 않다

현재 사업보고서에 스톡옵션 부여 현황이 명시되고 있으나 사업보고서에 기재된

내용만으로는 스톡옵션 행사로 인한 향후 주가 영향을 쉽게 파악하기 곤란하다 또한

스톡옵션 부여 및 행사 내용에 대하여 수시 공시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있으나 공시

내용이 투자자(또는 주주)가 참고할 만한 수준이 되지 못해 시장의 감시기능도 약한

상황이다

제도개선의 기본방향

경영진의 장기재임 풍토가 확립되지 못한 국내 금융여건하에서 스톡옵션의 행사로

본인의 성과와 무관하게 과다한 보상을 받는다면 사회적 비난에 직면할 수 있다 이는

스톡옵션의 본질상 레버리지가 매우 크고 주식가치의 변화분 중에서 경영자의 능력과

무관한 부분을 분리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데 기인한다 따라서 장기성과가 경영진의

인센티브체계에 반영될 수 있도록 단순한 형태의 스톡옵션을 지양하고 스톡옵션의 부

여시기 및 방법 종류 등을 다양화함으로써 지금보다 정교한 스톡옵션이 설계되어야

한다

경영진에게 부여하는 스톡옵션의 경우 무엇보다도 전체 보상 패키지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비중을 제대로 고려해야 한다 기본급과 보너스 형태의 단기성과급 그리고 스

톡옵션으로 구성되는 보상체계의 구성요소 간 균형 감각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비교

15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적 안정적 성장을 추구하는 은행산업의 경우 스톡옵션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을 필요

는 없을 것이다 반면에 은행이라도 특정 사업부문이 실패하여 내부구조개혁을 단행

해야 한다면 경영진에게 많은 규모의 스톡옵션을 부여함으로써 성과향상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개별 금융회사가 처한 환경변수에 따라서 임직원에 대한 보상패키지가 결정되

어야 하고 스톡옵션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사

회 산하의 보상위원회(compensation committee) 역할이 중요하다 보상위원회는 외

부전문가의 조언 등을 바탕으로 경영진의 보상체계를 결정하고 이를 공시할 책임이

있다 공시 과정에서도 법적 기준을 충족시키는 데 그치지 말고 경영진의 보상체계 전

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특히 스톡옵션의 경우 부여근거에 대하여 주주 및 투

자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 필요가 있다 영미식 지배구조를 채택한 선

진 금융회사의 경우 복잡한 수식보다는 단순한 그림과 차트를 활용하여 경영진 보상

체계를 사업보고서에 설명하고 있다

구체 인 개선방안

국내 은행산업에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CEO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어 있지 못하다

스톡옵션은 시장에서 능력이 검증된 CEO에 대하여 영입 이후 과거의 평균 경영실적

이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유인하는 보상방식이다 그동안 부임초기부터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방식이 관행적으로 실시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연임 또는 중임되는 시점부

터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초 선임기간 동안의 높은

경영성과를 바탕으로 스톡옵션 행사가격이 산정될 것이므로 도덕적 해이의 발생가능

성이 매우 낮다

국내 스톡옵션 운영상 문제점 중 하나는 경영진의 단기업적주의 지향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스톡옵션의 성과지급이 주가에 연동됨으로써 지급규모가 주가에

따라 크게 변동되는 불확실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스톡옵션을 부여하더라도 부여 시

점의 주가를 기준으로 일정비율 이상으로 행사가격을 정하거나 행사가격을 정기적으

로 일정비율 상향조정하는 할증스톡옵션(premium stock option)도 고려할 필요가 있

제Ⅲ장 은 행 153

다 또한 스톡옵션의 단점을 줄이면서 스톡옵션 대상자와 주주의 이해관계를 일치시

킬 수 있는 주식보상(stock grant)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

감사와 사외이사에 대한 스톡옵션 부여는 경영진에 대한 스톡옵션 부여 관련 감시

기능을 위축시킬 수 있으므로 가급적 명확하게 경영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지 않는

한 스톡옵션 부여를 자제토록 권고하고 스톡옵션이 아닌 다른 형태의 성과보상 도입

을 고려해야 한다 감사 사외이사와 같이 성과측정이 용이하지 않은 직급에 대해서는

현금 주식부여 방식 등이 더 적합한 보상체계라고 판단된다

스톡옵션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톡옵션 부여대상이 아닌 사외이사로 구성

된 보상위원회에서 스톡옵션 부여의 적정성을 심도 있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는 주

주 추천 전문가로 구성된 스톡옵션 부여 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이의 심사를 거치도

록 하며 심사위원회의 심사결과를 주주총회에 함께 보고토록 하는 방안도 가능할 것

이다 사업보고서 제출 시 스톡옵션 잔여 주식수 및 잔여주식 가중평균 행사가격(고정

형)을 보고하도록 하고 이를 금감원 및 거래소 공시시스템을 통해 공표하도록 유도해

야 한다 스톡옵션 부여사실을 공시할 때 해당 스톡옵션의 공정가치 스톡옵션 피부여

자의 현 직위(대표이사 사외이사 감사 등) 스톡옵션 피부여자별 보수 대비 스톡옵

션 공정가치의 비중 등이 공시되도록 제도개선이 요구된다

15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7호(2007917)

유니버설 은행의 역할에 대한 기대

金 資 峯

〈요 약〉

유니버설 은행은 크게 유럽식 내부겸 과 미국식 외부겸 (지주회사방식)으로

나뉘는데 수익성과 건 성의 측면에서 체계 으로 외부겸 이 더 우월한 결과

를 낳는다 따라서 융 빅뱅을 해서는 증권사 심의 형화와 내부겸

확 보다는 지주회사를 통한 은행과 증권사 간 결합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겸업의 상과 범 등은 융산업 건 성이 훼손되지 않는 가

운데 결합 상 간 험분산효과 여부 등 상호보완성을 분석하고 이에 기 하

여 결정되어야 한다

최근 유니버설 은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자본시장의 발전을 위한 수단으

로서 유니버설 은행의 활성화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유니버설 은행은 은행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증권업

무의 효율화 및 자본시장 빅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금융시장의 상품개발

및 위험관리 능력이 충분하지 않은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유니버설 은행은 시너지효과

를 낳는 등 편익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유니버설 은행의 정의

유니버설 은행은 은행업과 증권업을 동시에 영위하는 은행을 지칭한다 Saunders

제Ⅲ장 은 행 155

amp Walter(1994)1)에 의하면 유니버설 은행이 영위하는 업무범위는 여수신업무 외환

업무 증권인수 매매중개 자산관리 및 보험업 등을 포괄한다 전통적인 유니버설

은행(classic universal bank)은 19세기 중엽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스칸디나비

아국가에서 비롯되었다 이들은 당시에 이미 증권업무와 예금업무를 겸영하였다

Anglo-Saxon의 전통에서는 미국의 1920년대를 제외하고는 은행업과 증권업의 겸영

은 허용되지 않았다 미국에서는 1864년 은행법(National Banking Act of 1864)과

1933년 Glass-Steagall 법에 의하여 은행업과 증권업의 분리 및 금융자본과 산업자

본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9년 Gramm-Leach-Bliley법의 제정으로 자회사 고유업무 범위의 제한

이 없는 가운데 은행업과 증권업의 겸업은 지주회사제도를 통해 가능해졌다 지주회

사는 그 자체가 새로운 유형의 투자은행(new type of universal bank)이 되었다 전통

적인 유니버설 은행은 은행업과 증권업을 동일한 금융기관에서 내부겸영(in-house)

을 통해 제공하는 반면 새로운 유형의 유니버설 은행은 다양한 고유업무를 각기 다른

자회사를 통해 제공한다 특히 전통적인 유형에서는 업무조직은 하나로 결합되지만

업무기능은 방화벽(firewall)에 의해 분리되며 새로운 유형의 업무조직은 서로 다른

법인(legal entity)로 분리되지만 업무기능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다

외국의 사례

유니버설 은행의 형태는 국가별로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이론적으로 가장 완벽한 형

태의 유니버설 은행은 은행 증권 보험 및 기타 금융업을 완전히 통합(full integration)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이러한 예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이론적인

유형에 가장 가깝다고 평가받는 독일의 경우 은행증권업을 내부겸영하는 상업은행

이 보험 모기지은행 등을 자회사로 거느린 형태를 지닌다 독일과 같은 유형을 채택

하고 있는 나라로는 프랑스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이 있다 영국의 경우에는 은행이

증권 보험 등 자회사를 거느리는 방식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지주회사가 은행 증권

보험업 자회사를 거느리는 방식이다

1) Saunders A and Ingo WalterldquoUniversal Banking in the United Statesrdquo Oxford Univ Press 1994

15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국내의 겸업 황

현재 국내 겸업화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체 금융권역 즉 은행업 증권

업 보험업 등 가운데 겸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가 없다2) 또한 2000년 금융지주회

사법이 제정됨으로써 지주회사를 이용한 겸업이 업무 비중의 제한 없이 허용되었다

이는 국내에서도 전통적 유형뿐만 아니라 새로운 유형의 유니버설 은행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물론 국내에서는 여전히 금융기관간 전업주의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대출의 겸영

은 허용하지만 예금의 겸영은 허용하지 않는 것이나 은행의 유가증권 매매업무를 일

부 한정하는 것 등이 바로 그러한 전업주의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2009년 시행예정인 자본시장통합법은 증권사(금융투자회사)로 하여금 지급

결제업무를 겸영하도록 허용함으로써 금융기관간 고유업무 겸영의 범위를 더욱 확대

하였다 지급결제업무의 겸영으로 예금업무겸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증권사의 은행업

내부겸영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전업주의는 사실상 부정된다

이와 같이 겸업이 급속히 확대되는 상황에서 내부겸영과 외부겸영 가운데 어느 방

식이 수익성과 건전성의 측면에서 더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겸업

방식은 금융기관간 경쟁구조 시스템안정성 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내부겸 과 외부겸 의 비교

내부겸영과 외부겸영 즉 유럽식과 미국식의 두 유니버설 은행의 유형은 수익성 및

건전성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2007년 7월 자기자본(tier one capital) 기준으로

두 유형을 대표하는 상위 50개 은행을 각각 선택하여 건전성을 나타내는 자산대비 자

기자본 비율을 보면 유럽식은 379인 데 반해 미국식은 701로 거의 두 배에 이른

다 영업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소득대비 비용비율(cost to income ratio)은 유럽식이

585이며 미국식은 5347이다 ROA의 경우 유럽식은 평균 082인데 미국식은

197로 두 배 이상이다 BIS비율은 유럽식 은행의 경우 115인데 미국식에서는

2) 손상호「금융겸업화의 바람직한 방향」『주간금융브리프』 한국금융연구원 20061

제Ⅲ장 은 행 157

142이다 ROE의 경우 유럽식은 155인데 미국식은 175이다

더미변수 분석을 이용한 추정결과 지주회사방식이 ROA에 미치는 영향의 추정치는

027 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외부겸영방식은 내부겸영방식에 비하여 체계

적으로 더 높은 이익률을 실현시킨다는 것이다

왜 이와 같은 체계적인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가 유니버설 은행의 가장 큰 장점은

범위의 경제이다 유럽식과 미국식은 모두 범위의 경제효과를 창출한다 하지만 그

크기에 있어서는 차이가 존재한다

그 이유는 우선 내부겸영의 경우 업무부문간 상호의존성이 높아 각 부문의 전문성

이 상대적으로 낮다 특히 투자은행업에 대한 혁신성이 외부겸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게 된다 이에 따라 대출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의 약화를 야기하고 투자은행

부문의 증권인수에 대한 인센티브를 약화시키는 역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모니터링

이 약화되는 경우 기업은 예정된 투자계획보다는 다른 목적의 지대(private rents) 추

구 유인을 갖게 되어 이해상충을 야기할 수 있다 결국 유니버설 은행의 경쟁력을 크

게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외부겸영 방식에서는 부문간 독립성이 높고 혁신성과 전문성에 기초한

다양한 금융상품이 제공된다 또한 방화벽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독일식의 경우에

비해 은행업과 증권업이 독립된 법인(자회사)으로 구분되는 조직구성 원리에 의해 업

무장벽과 시너지효과간 상충문제를 야기함이 없이 이해상충의 여지가 보다 명확히 해

소된다 동시에 외부겸영은 지주회사를 통해 하나의 지붕효과(one roof effect)를 발

휘함으로써 외부겸영과 마찬가지의 범위의 경제효과를 실현한다

정책 시사

이러한 분석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무엇일까

우선 최근 국내에서는 자본시장통합법을 계기로 전업주의와 겸업주의(지주회사제도

와 내부겸영이 동시에 나타난 형태)가 혼재된 상황인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이

다 금융산업 건전성 규제원칙이 훼손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가운데 지주회사제도의

장점은 살리고 내부겸영의 문제점을 최소화시키는 방향으로 정리가 될 필요가 있다

15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둘째 내부겸영을 추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하며 겸영하고자

하는 업무영역 간 상호 보완성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은행업과 증권업은 업무

성격에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은행업은 신용을 인수(credit underwriting)하며 증권

업은 위험을 인수(risk underwriting)한다 두 인수업무의 위험에 대한 태도는 상당히

다르므로 두 업무의 단순한 결합은 그 자체가 큰 의미를 갖기는 힘들다 상호보완성

의 크기를 추정함으로써 결합이 위험분산효과를 낳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주회사방식의 상대적 우월성은 자본시장 빅뱅을 위해서는 은행의 역할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증권사들만의 결합은 단순위탁

업무 지급결제 및 예금업무(CMA) 등 retail서비스로의 편중 등 유럽식 내부겸영의 문

제점을 반복할 수 있다 다만 금산분리원칙과 관련 증권자회사 지분에 대한 원칙을 설

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증권자회사의 신규설립이 더 바람직할 수 있

다 또한 증권시장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미국지주회사제도의 경과규정처럼

한시적으로 지주회사의 일정 수준 증권 중개업허용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은행과 증권의 외부겸영방식 결합은 은행의 네트워크에 주목해야 하고 지주

회사는 그 자신 유니버설 은행으로서 위상을 잡아야 한다 1920년대 미국은행들이 증

권업겸영으로 증권서비스 수수료가 기존 증권사에 비해 14로 감소한 것은 바로 네트

워크효과에 따른 것이며 이 효과가 지주회사방식의 성과를 결정한다

제Ⅲ장 은 행 159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0호(20071015)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규제 완화는 필요한가

李 秉 允

〈요 약〉

최근 외국자본의 국내은행 소유가 늘어나면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규제를

완화하자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시장에서 자원배분과 기업구조조정

의 주체인 은행을 그 상인 기업이 소유할 경우 효율 자원배분이 해될

뿐 아니라 기업간 불공정경쟁 이해 계자들간 이해상충 문제까지 발생하

는 등 폐해가 커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미국

등 선진국도 법으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제한하고 있고 세계 100 은행을

조사해 본 결과 산업자본 최 주주 지분이 우리나라에서 한도로 규정하고 있

는 4 미만인 은행이 83나 되었다 즉 실 으로 산업자본이 선진 은행들

의 주인이 되는 사례는 매우 다고 할 수 있다 그 다면 외국자본이나 산업

자본 이외에 우리나라 은행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자본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안으로는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으로 규모가 커질 것으로 기 되는 융자본

을 들 수 있다 재 우리나라 재벌들이 계열기업을 융그룹과 일반기업그룹

으로 분할하면 분리된 융그룹도 은행의 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ldquo비금융주력자는 제15조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금융기관의 의결권있는 발행주

식 총수의 100분의 4(지방금융기관의 경우에는 100분의 15)를 초과하여 금융기관의

주식을 보유할 수 없다rdquo

우리나라 은행법 제16조의 2 제1항의 내용이다 여기서 ldquo금융기관rdquo이란 은행을 지

16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칭하는데 바로 이 규정 때문에 우리나라 기업은 돈이 아무리 많아도 은행주식을 사서

은행의 주인이 될 수 없다

최근 들어 이 법조항을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 제기되고

있는 정도가 아니라 그러한 방향이 당연하고도 바람직한 것인 것처럼 얘기되고 있다

우리 기업이 은행을 소유하지 못하도록 하는 반시장적 규제 때문에 엉뚱하게 외국자

본들이 우리나라 은행을 가져가고 있으니 외국자본에 우리 은행들을 더 빼앗기기 전

에 어서 이 법을 고쳐 ldquo우리나라 사람인rdquo 기업들이 은행을 갖게 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법으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제한하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터인데

단지 대안이 없다는 이유로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해주자고 주장하는

것은 좀 무리가 있어 보인다 이러한 주장을 하기 전에 먼저 왜 이러한 법조항이 생겼

는지 그 이유를 꼼꼼히 따져보고 또 금융이 잘 발달된 선진국들은 어떤 상황인지 자세

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은행 인수 주체로 산업자본 이외에는 전혀 대안이 없

는지도 깊이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들을 따져보고 나서야 과연 산업자본

이 은행을 소유해도 좋은지 아닌지 결론을 맺을 수 있을 것이다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불허 이유

왜 하필 은행일까 우리나라에서 재벌들은 모든 업종에 거의 다 진출해 있다고 해

도 과언이 아니다 자동차 컴퓨터 반도체 의류 백화점 할인점 영화 아파트 보

험회사 증권회사 호텔 패밀리레스토랑 등등 재벌이 진출하지 않은 산업을 찾기가

어렵다 그런데 오직 하나 은행만은 재벌이 진출하지 못하고 있고 아예 재벌이 진출

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막고 있다 도대체 왜 그랬을까

그 첫 번째 이유는 은행이 시장경제시스템에서 자원배분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하기 때문이다 은행은 대출을 해주기 전에 미리 기업의 신용 및 사업전망을 평가하여

가장 생산성이 높은 사업부터 대출해 줌으로써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또 대

출받은 기업에 대해서는 사후에 철저히 감시를 하고 부실 가능성이 보이면 돈을 떼이

기 전에 자금을 회수하는 등 부실기업에 대한 상시적 기업구조조정의 역할도 수행한

다 우리나라가 1997년말 금융위기를 맞게 된 것은 은행이 이와 같은 역할을 제대로

제Ⅲ장 은 행 161

수행하지 않았던 데에도 큰 원인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당시 은행들이 기업에 대

한 평가를 제대로 하지도 않고 부실한 기업에 대규모 대출을 해주고 사후관리도 제대

로 하지 않아 엄청난 부실이 누적되었는데 이것이 금융위기 발발의 한 원인을 제공한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효율적 자원배분과 상시적 기업구조조정의 주체인 은행을 그 대상인

산업자본이 소유하거나 지배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특정 기업이 소유한 은행이 그

기업이나 경쟁기업 또는 잠재적 경쟁자인 수많은 기업에 대한 대출 시 제대로 된 사전

심사나 사후 모니터링을 할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효율적 자원

배분이 저해되어 자원이 낭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지 못하게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은행이라는 회사의 특성

때문이다 은행은 자기 돈보다는 주로 남의 돈으로 사업을 하는 회사다 2005년말 기

준으로 우리나라 제조업의 평균 자기자본비율은 498에 달하는 반면 국제결제은행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 BIS)이 은행의 안정적 경영을 위해 권고하는

자기자본비율 기준은 위험자산 대비 8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은행이 망해도 대주

주의 부담은 제조업에 비해 훨씬 적어 은행은 기본적으로 위험사업을 추구할 가능성

이 높다 그런데 은행이 부실해지면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해쳐 경제전반에 엄청난 악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은행의 주주뿐 아니라 은행고객과 나아가 모든 국민에게 비용

부담을 가져오기 때문에 은행은 오히려 제조업체보다 훨씬 더 안정적으로 경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은행을 소유경영하는 사람은 제조업체를 소유경영하는 사람보다 안

정 경영을 추구하는 성향이 훨씬 더 높아야 하는데 제조업체 등 산업자본은 일반적으

로 높은 위험을 부담하면서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성장을 도모하는 특징

이 있어 이들이 은행을 소유경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지 못하게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중요한 것은 불공정경쟁의 방지이다 기업이 은행을 소유하면 은행을 소유하지 못

한 기업과의 경쟁에서 근본적으로 우위를 점하게 되어 공정경쟁에 문제가 생기게 된

다 은행은 수많은 기업에 대출을 해주면서 기업정보를 얻게 되므로 정보의 집중처라

고 할 수 있다 또 기업이 소유한 은행은 그 기업의 자금조달의 원천이고 적대적 MampA

위협이 있을 때 백기사가 되어줄 수도 있다 이러한 은행을 소유한 기업과 그렇지 않

16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은 기업간의 공정경쟁은 애시 당초 생각하기 어렵다

또한 산업자본이 소유한 은행은 보유자산을 계열기업을 위해 운용함으로써 지배대

주주와 소액주주고객 간 이해상충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금융회사를 매개로 한 계열기업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는 대기업집단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이해상충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다른 나라의 사례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산업자본의 은행 소유는 폐해가 너무 많아 불허하는 것이 바

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렇더라도 소유를 규제하는 것은 자본주의 경제에서

문제가 있으므로 소유는 허용하되 금융감독을 철저히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주

장이 있다 하지만 첨단 금융기법의 등장으로 금융감독을 회피하는 다양한 우회지원

방법이 나오고 있어 대주주의 불공정 행위를 금융감독만으로 규제하는 것은 효과적이

지 않고(ineffective) 또 이러한 모든 우회지원 방법들을 완벽하게 감독하려면 비용

도 많이 들어 효율적이지도 않다(inefficient)고 할 수 있다

하물며 금융감독에 관한 한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고 할 수 있는 미국의 경우

에도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게 한 후 금융감독을 통해 폐해를 방지하는 방식을 사

용하지 않고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법으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원천적으로 규제하

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미국에서 은행을 지배하는 회사는 은행이 아닌 회사

주식을 신규 취득할 수 없고 설립 2년 후에는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이외의 회사 지분

소유도 금지되며 은행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업무 이외의 업무 영위도 금지된다(12

USC sect1843 (a) (1)(2) 12 USC sect1843 (c)(8)) 즉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미국 이외에 다른 나라들의 경우에는 법으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금지하는 나라

도 있고 그렇지 않은 나라도 있다 하지만 실제로 은행들의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대체

로 산업자본이 은행의 주인인 경우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세계 100대 은행의 주

주 현황을 분석해 본 결과 산업자본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우리나라에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한도인 4 미만인 은행이 83개에 달하였다 즉 대부분 세계 유수 은행들의

제Ⅲ장 은 행 163

경우 산업자본 지분이 미미한 실정이었다 또한 4 이상 은행지분을 가지고 있는 산

업자본들도 대부분 투자회사나 정부계 펀드 등인 경우가 많아 제조업 등을 영위하는

기업이 은행을 소유한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허용 주장 논거

지금까지 알아본 바와 같이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는 폐해가 많아 바람직하지 않고

실제로 선진 은행들의 사례도 극히 미미하여 현실적으로도 잘 일어나지 않는 일이라

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허용하자는 주장이 꾸

준히 나오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만 유독 은산분리를 완화해야 할 뚜렷한 이

유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은산분리 완화를 주장하는 쪽의 논리는 다

소 빈곤해 보인다 우리나라 은행을 자꾸 외국자본이 가지고 가는데 산업자본 이외에

는 국내자본의 대안이 없으니 돈을 많이 쌓아두고 있는 산업자본이 은행을 인수할 수

있게 해주자는 것이 은산분리 완화를 주장하는 쪽 논리의 요지이다 은행을 인수하려

는 주체가 정말 은행을 잘 경영해서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발전 나아가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따지기보다는 그냥 은행을 인수할 돈이 있으니 은행을 주자

는 것은 논리로서는 너무 미약하다

또 우리나라 대기업집단이 세계적인 기업을 많이 만들어 냈으니 은행을 인수하면

분명히 세계적인 은행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하는 주장도 일부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대기업집단은 증권회사나 보험사 등 금융회사를 이미 가지고 있지만 이들 금융회사를

세계적인 기업으로 키우지는 못하였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금융회

사를 재벌의 지배구조 유지라는 목적으로 사용한 것도 한 몫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증권회사나 보험회사는 잘 경영하지 못했지만 은행은 다를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먼저 기존에 가지고 있는 증권회사나 보험회사를 세계적인 금융기업으

로 키워 능력을 검증받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외국자본에 우리나라 은행이 자꾸 넘어가는 것이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물론 은행

을 전문적으로 경영하는 자본이 아닌 외국계 펀드가 은행의 주인이 되는 것은 문제가

16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지속적으로 은행을 경영할 목적으로 들어오는 세계적인

은행자본의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실 안

하지만 역시 국가 경제의 중추인 은행을 외국자본에 완전히 내맡긴다는 것은 무언

가 찜찜하다고 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폐해가 많은 줄 알면서 산업자본에 은행소유의

길을 터주는 것도 국가 백년대계를 생각할 때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선택이다 한번

소유권이 넘어가면 다시는 돌이킬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한번 줘봐서 문제가

생기면 다시 회수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따라서 외국자본도 아니고 산업자본

도 아닌 대안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먼저 생각해 봐야 하는 것은 은행에 꼭 주인을 찾아주어야 하느냐 하는 문제이다

세계적인 민간 상업은행들의 경우 민간 대주주가 완전히 소유하고 주인행세를 하는

곳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주인이 없더라도 경영지배권 시장이 활성화되고 지배구

조가 개선되면 은행경영에 큰 문제가 없는 만큼 굳이 주인을 찾아줘야 한다는 강박관

념을 가지고 주인자격이 없는 주체에게 은행을 넘길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그래도 꼭 은행에 주인을 찾아주어야 하겠다면 산업자본이 들어가지 않은

순수 금융자본의 은행 인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아직은 그 규모가 작지만 자본시장

통합법 시행 등으로 비은행 금융회사의 규모가 커질 경우 순수하게 금융회사로만 이

루어진 금융그룹이 출현할 수 있으며 이들이 은행을 소유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현실적인 대안은 기존의 재벌들이 소유지배구조를 개선하여 금융그룹과 일

반기업그룹으로 그룹내 기업들을 분할한 후 그 중 금융그룹이 은행을 인수하는 방안

이다 기존의 재벌가(家)가 그룹내 모든 기업을 지배하려는 생각만 조금 바꾸면 금융

그룹과 일반기업그룹으로 분리가 가능하고 분리된 금융그룹이 알짜 기업인 은행을 인

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은산분리는 절대불변의 법칙인가 언제쯤 우리는 은산분리 완화를 논할 수 있

을까 주인 없는 은행들이 계속 부실해지고 외국자본이 경영하는 은행은 외국자본이

세계적인 은행자본인데도 계속 문제가 발생하며 재벌계열 금융회사들이 세계적인 금

제Ⅲ장 은 행 165

융회사로 발돋움해 가고 재벌의 지배구조가 개선되어 계열 금융회사를 다른 회사 지

배를 위해 쓸 위험성이 사라지면 그때 가서 은산분리 완화문제를 다시 고민해 봐도

늦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우리나라 금융감독의 수준도 지금보다는 크게 향상

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16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46호(20071126)

은행의 수신구조 변화와 경영방향

具 本 星

〈요 약〉

2006년 하반기 이후 이탈로 인해 은행권의 수신기반이 계속 취약해지

는 한편 시장성 의 비 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신이탈 수신구조의

변화로 인한 자 조달 비용의 상승과 유동성 험의 확 고객기반의 약화에

비하여 은행권은 새로운 경 기조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성장성 지표에

비해 수익성지표의 안정화에 을 둔 경 이 강화되어야 한다 한 시장성

자 조달에 한 리를 강화함으로써 융시장의 변동성 증 에 따른 사후

유동성 험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고객 계 측면에서 고객만족도

신뢰도를 회복할 수 있도록 서비스활동을 강화하고 복합 의 개발도 모색

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수신기반의 약화가 여신 험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도록 상환 험을 감안한 여신정책을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은행수신의 이탈 지속

안전자산 선호에 따른 수신기반의 안정화와 주택담보대출 및 중소기업대출에 의한

자산증가세에 힘입어 국내 은행산업의 경영성과는 글로벌 수준에 못지않는 우수한 수

준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2006년 하반기 이후 증권사의 CMA와 주식형펀드로의 자

금이탈이 가속화 되면서 은행권의 수신기반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수신기반의 약화가 핵심예금의 이탈(deposit disintermediation)에 의한 것이라는 점

에서 경영측면의 취약성도 나타나고 있다

제Ⅲ장 은 행 167

이하에서는 은행권 수신기반의 약화와 구조변화에 따른 은행경영의 취약요인을 살펴

보고 향후 경영위험에 미칠 영향을 평가한 후 은행권의 경영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은행의 단기수신 감소와 시장성 수신의 확

은행의 예금이탈에 따라 만기 6개월 미만 단기자금에서 은행권의 예수금이 차지하

는 비중이 크게 하락하고 있다 2004년 이후 증가세를 보였던 은행권의 예수금은 요

구불 및 저축성예금의 감소로 인해 2007년 상반기까지 2006년말 대비 약 1p 하락하

였다 또한 전체 은행권 수신에서 CD 및 금융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2006년말 241

에서 2007년 상반기 267로 26p 상승하였다 이는 전통적 예수기반인 저축성 예

금에서 단기금융시장이나 채권시장을 통한 시장성 수신으로의 전환 또는 대체가 확대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수의 예금자를 통한 자금조달 비중이 축소되고 비은행중개

기관(non-bank intermediary)을 통한 수신이 확대되는 등 자금조달의 기반이 바뀌

고 있다고 할 것이다

수신기반 약화는 비용상승과 고객 계의 약화를 래

국내은행의 수신구조 변화는 아직까지 구조적인 추세인지 평가하기 어려운 상황이

다 그러나 MMF 또는 CMA 등과 같은 수익형 또는 금리연동형 단기수신상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고 수익률에 민감한 형태가 지속될 경우 구조적으로 정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은행권의 수신이탈이 주식형펀드 또는 해외펀드로 전환된

경우 단기수익률에 대한 기대감에도 기인하고 있어서 수신기반이 자본시장 상황에 따

라 좌우될 수도 있다

국내은행의 수신구조 변화에 따른 효과는 크게 비용과의 관계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비용측면은 불특정 다수로부터의 자금조달이 시장성 자금조달로 전환됨에 따라

자금조달비용의 변동성이 높아질 가능성이다 또한 단기금융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이

확대됨에 따라 자금시장의 상황에 따른 자금조달의 기회도 변화될 수 있다 저축성 예

금의 경우 시장성 예금에 비해 금리민감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예금인출에 대한 유인

16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유동성 확보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시장성 예

금은 만기구조가 일정한 반면 만기에 일시적으로 발행규모가 증대된다는 점에서 발행

비용의 증가 또는 차환발행의 여부에 따라 유동성의 급격한 변동을 초래할 수 있다

이처럼 국내은행권의 수신구조 변화가 지속될 경우 국내은행의 유동성 위험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관계측면의 이슈는 고객이탈 현상에 따른 고객가치의 하락을 들 수 있다 MMF계좌

로의 이동이 연계계좌 또는 스윙(swing)계좌를 통해 이탈할 경우 고객과의 대면이나

접촉이 일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증권사 또는 자산운용사 온라인채널을 통

해 자금이탈이 초래될 경우 은행과 고객간에 형성된 밀착관계는 지속적으로 약화될

수밖에 없다 고객관계의 약화는 중장기적으로 고객유치에 따른 비용을 증대시킬 뿐

만 아니라 고객정보에 대한 접근기회를 제한함으로써 교차판매나 종합금융서비스 등

과 같은 관계형 서비스를 제약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시장성 수신의 경우 은행

과의 관계에 비해 수익률이나 시장상황에 따라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장기

관계의 형성이 제약될 수밖에 없다

앞으로 장기적으로 볼 때 은행의 수신기반 약화는 고객가치를 하락시킴으로써 장기

적으로 수신안정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 결국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수신구조의

변화는 은행권의 자금조달 비용의 상승뿐만 아니라 조달기회의 확보 조달기반의 안

정성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수신구조의 변화와 수신기반의 약화는

은행의 경영방향에 따라 안정성 성장성 수익성 및 건전성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초

래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수익성 리에 을 둔 경 기조

은행권의 수신기반 약화는 안전자산 선호와 저금리에 의한 유동성으로 인해 지난

수년간 수신확보에 대한 유인이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점에서 은행경영에 상당한 어려

움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예수금 기반의 안정화에 힘입어 가계대출 및 중소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높은 자산증가율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점도 은행권의 성장전략

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특히 지준율 및 재할인율의 재조정을 통해 시

제Ⅲ장 은 행 169

장유동성에 대한 적극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은행권의 유동성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반의 변화 기

조를 완화하기 위한 상품 및 서비스 측면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도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수신기반의 약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 시장유동성의 관리 강화 서

비스 개선 등은 은행권의 수익성 유지 또는 확보에 두어야 한다 수익성 중심의 경영

은 자산성장률이나 여신증가율 등 성장성 지표에 비해 순이자마진의 유지 자기자본

이익률(ROE)의 안정화 수익변동성의 축소 부실여신비율의 안정화 등 수익성 지표

를 중시하는 경영기조라 할 수 있다

안정 성장기조가 핵심

성장전략 측면의 경우 은행권의 수신기반 약화에도 불구하고 과다한 성장전략의 추

구는 경영위험을 높일 수 있다 국내은행의 자산성장률은 2000년sim2006년 중 평균

88에 이르렀으나 저축성예금의 성장률도 61를 시현함으로써 안정적인 순이자마

진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신기반의 약화로 자금조달비용이 상승할 경우 여신

성장률이나 이자부자산의 증가율을 적정화할 필요가 있다 만일 단기수신이 감소하는

가운데 이자부자산의 증가율이 급격히 늘어날 경우 순이자마진의 하락을 초래하거나

고위험 자산에 대한 대출을 확대함으로써 건전성을 오히려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수신기반의 약화에 대응한 성장전략은 안정적인 성장기조를 유지하거나 순이자

마진 또는 장기연체율을 고려한 성장률을 유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성장률의

안정화는 장기적으로 건전성의 추가 훼손이나 위험자산 증대에 대한 유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건전성 유지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유동성 기반의 강화가 요

CD 및 단기금융채 등 시장성 수신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예금성 수신에 비

해 자금조달 시장의 상황에 따라 자금조달 기회나 비용이 변동할 여지가 높은 것이 일

반적이다 그동안 국내 금융시장은 자금의 단기화와 기업부문의 현금자산 증대에 힘

17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입어 거액수신이나 단기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이 매우 용이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단기금융시장의 유동성이 위축되거나 대외환경이 변화될 경우 추가 자금조달이나 기

존 자금의 차환발행이 지연될 수도 있다 이처럼 예금성 수신에 비해 시장성 수신의

비중이 증대될수록 은행의 만기별 또는 자금조달 비중이 증대되는 특정시기를 고려하

여 유동성 대책을 마련 선제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즉 시기별 자금조달 수준과

시기를 고려한 중기차원의 유동성 관리가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자금조달

에 대한 중기계획을 재검토하고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ALM관리가 강화

되어야 한다 한편 은행권의 자금조달이 특정 시기에 집중되거나 자금공급기반의 위

축이 전반적으로 확산되는 경우에 대비한 거시건전성(macro-prudence) 측면의 시장

모니터링도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은행권의 시장성 수신기반은 주로 증권사의 MMF 또

는 CMA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금흐름의 변화로 초래될 수 있는 시장충격이나

유동성 위축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고객 심 경 을 다시 강화할 필요

자산성장률의 안정화 또는 수익성 지표의 관리 유동성에 대한 선제적 관리 등은

자산운용 측면의 후속조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기반 약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예

금의 상품매력도와 은행서비스의 경쟁력이 계속 취약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예금의

상품매력도 하락은 주로 투자수익률과 예금금리의 차이가 확대된 데도 원인이 있으

나 은행서비스의 경쟁력 하락은 우량고객이나 상위고객을 중심으로 한 선별적 관리

(cherry-picking)기조에도 부분적으로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고객(retail

customers)의 개발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거나 자본비용 또는 규제비용에 미치는 동태

적 효과를 충분히 감안하지 않았던 점에서 기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은행권의

예수기반이 편리성이나 안전성 선호에 의해 창출될 수 있었으나 실질적인 은행고객

의 충성도는 오히려 약화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은행권은 예금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단

예금상품의 수익률은 원칙적으로 비은행권의 투자상품에 비해 낮을 수밖에 없다는 점

에서 직접적인 수익률 경쟁에 비해 서비스경쟁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고

제Ⅲ장 은 행 171

객서비스의 확충이나 고객만족에 초점을 둔 경영을 강화함으로써 은행에 대한 고객신

뢰도를 회복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다소 미진했던 영업기반을 재점검하

고 고객밀착관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혹은 단기자금의 이탈을 부분적으로 내부화

할 수 있는 예금상품개발도 고려될 수 있다 일정기간 일정금액 이상을 유지하는 예금

에 대해 보장서비스와 이체서비스 환전서비스 스윙서비스 등을 묶어서 제공하는 한

편 필요 시 계좌유지수수료를 부과하는 프리미엄예금(premium deposit) 상품의 도입

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프리미엄예금은 일정 수준의 단기자금을 유치하고 예금에

의한 새로운 고객관계를 형성하는 계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신건 성의 리도 병행될 필요

은행권의 수신기반 약화는 수신금리의 상승을 초래함으로써 여신금리의 인상을 초

래할 수 있다 특히 은행권의 유동성이 축소되거나 유동성 위험이 증대될 경우 여신금

리의 급격한 상승이 초래될 소지도 있다 또한 통화정책 기조의 강화에 따라 시장금리

의 상승압력이 지속될 경우 여신금리의 상승은 불가피하게 진행될 수도 있다 특히 국

내 은행산업의 경우 그동안 풍부한 시장유동성으로 인해 여신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

되어 왔던 점을 감안할 때 여신금리의 상승은 급격한 상환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은행권의 수신기반 약화가 장기화될 경우 여신건전성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초래

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여신위험을 적절히 조절해 나갈 필요가 있다 급격한 대출

회수나 자산축소 현상이 초래되지 않는 한 기업별 신용도나 재무수준 업종별 특성이

나 경기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여신정책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특히 기존 여

신에 대한 여신조건이나 기준의 경우 상환부담을 감안하여 적절히 재조정해 나갈 필

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수신위축으로 인한 부채위험이 여신부문의 자산위험을 증가시

키지 않도록 여신정책을 적절히 조율할 필요가 있다

17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맺음말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은행권의 수신 또는 자금이탈 현상은 자본시장 여건의 급

격한 개선에도 기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식시장이나 이자율 수준의 변동에 따라 완

화될 여지도 있다 그러나 장기금융이나 투자서비스에 의해 촉발된 자금이탈은 장기

간에 걸쳐 구조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으므로 중장기에 걸친 경영개선 노력은 지속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한편 글로벌 금융시장의 유동성 축소는 국내 은행권의 유동성 위축과 맞물려 유동

성 위험을 증폭시킬 소지가 있다 예를 들어 외화자금의 조달기회가 제한되거나 발행

프리미엄의 상승으로 인해 차환발행이 연기되거나 지연될 경우 국내 단기자금시장이

나 채권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유인을 높임으로써 은행권의 금융채발행을 증가시킬 가

능성도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은행권의 수신이탈에 따른 유동성 위험은 대외여

건에 의해서도 심화될 수 있다는 점을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앞으로 은행권의

수신이탈 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경영과제는 대내적 위험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뿐만

아니라 대외적 여건 변화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기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

다 당분간 은행권은 비상경영을 지속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제Ⅲ장 은 행 17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51호(20071231)

소액금융의 성공사례와 국내은행의 진출 시 고려사항

李 淳 豪

〈요 약〉

재 우리나라의 빈곤층은 높은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계속 늘어나고 있어

소득층 지원에 한 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신용 소득층의 자활

을 돕기 한 소액 융에 한 제도권 융기 의 심이 매우 크다 소액 융

기 의 성공사례를 통해서 소액 융의 성공 여부는 상업 원리에 의해 수익

성을 확보하여 지속가능한 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으며 소

액 융이 은행의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재 국내의 몇

개 은행이 소액 융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상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향후 은행

의 소액 융시장 진출 시 어떤 장 이 있으며 어떤 에서 유의하여야 하는

지에 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실질 GDP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실업률 또한 외환위기 이

후 최고조에 달했던 1998년의 7에 비해 현저히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빈곤층은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Alfred Marshall은 자신의 저서『경제원론(Principles

of Economics)』에서 경제학은 인간을 연구하는 학문인데 가난이 인간의 육체적 정

신적 도덕적 질병 등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는 모든 악의 주요한 요인이며 따라서 가

난의 원인을 구명하고 이를 해소하는 것은 경제학의 중요한 연구대상이라고 하였다

가난을 구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나 빈곤층으로 하여금 소규모 사업체를 창

업하여 운영하게 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식되므로 이를 돕기 위한 다양

한 수단 중의 하나로 소액금융(microfinanc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액금

17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융은 방글라데시의 Muhammad Yunus가 설립한 Grameen Bank in Bangladesh의

성공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몇 개의 NGO가 소액신용

(microcredit)을 제공하고 있으나 재원조달 등에 한계가 있어 제도권 금융기관의 소

액금융시장 진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몇 개 은행에서는 이미 소액금융업

을 시작했거나 검토 중에 있다 본고에서는 은행이 소액금융업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진출 시 유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외국의 소액 융 성공사례 성공요인

일반적으로 소액금융은 자활의지가 강하고 창업 아이디어는 있으나 낮은 신용도로

제도권 금융기관으로부터 창업자금을 대출받지 못하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금

융업으로서 한계수준 밖의 저신용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시혜성 지원과는 구분이 되

어야 한다

지난 20여년 동안 많은 소액금융기관(MFI microfinance institution)이 인도네시

아 방글라데시 볼리비아 페루 멕시코 등 저개발국에서 설립되어 소득창출을 위한

저소득층의 창업을 성공적으로 지원하였는데 볼리비아의 BancoSol Bank Rakyat

Indonesia(BRI)의 Unit Desa 프로그램과 Grameen Bank in Bangladesh 등의 성공

사례는 소액금융이 수익을 내면서 지속적으로 성장 가능한 금융업이 될 수 있다는 것

을 보여준다

BancoSol의 자산은 2006년 261 성장하여 164백만달러에 달하고 연체율은

315로 볼리비아 전 은행의 평균 연체율인 86에 비해 현저히 낮으며 대출원금 상

환율은 995를 지속적으로 상회하고 있다 BRI의 소액금융 프로그램인 Unit Desa

는 1996~1997년 동안 250만명에 17억달러를 대출하여 17억달러의 수익을 보았다

Grameen Bank in Bangladesh의 성공사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더라도 너무나 잘

알려져 있다 Grameen Bank의 2005년말 대출잔액은 43억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대출원금 상환율은 99(2005년말) 자기자본이익률(ROE return on equity)이 2004

년말 현재 90를 보이는 등 높은 수익성과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1998년 이후에

는 외부 기부금 등의 도움 없이 예금 등의 자체 자금조달에 의하여 운영되고 있다

제Ⅲ장 은 행 175

위의 성공사례에서 보듯이 소액금융이 저신용 저소득층의 창업을 지원하여 가난문

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대출

원금의 상환율을 100에 가깝게 유지해야 한다는 원칙을 반드시 고수하여 지속가능

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건전성 규제를 받는 은행이 소액금융시장에 지금까지 진출하

지 못한 이유는 대출금 상환을 위한 사후관리 비용 및 소액 다수의 대출 형태에 따

른 고정비용이 큰 이유뿐만 아니라 저신용 저소득층의 상환능력에 대한 믿음이 부족

했던 점도 있다 그런데 전세계를 대상으로 소액금융이 거둔 성공의 일차적 의미는

저신용 저소득층의 상환의지 및 능력이 통념에 비해 훨씬 높다는 점을 입증한 것이

다1) 지금까지의 전 세계 소액금융기관의 성공사례는 소액금융이 은행의 공공성 확보

나 사회적 책임 강화 차원에서 시혜성 지원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새로운 수익원으로

자리잡을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은행의 소액 융업 진출 시 고려사항

은행이 소액금융업을 영위할 경우 장점으로는 우선 은행이 여러 가지의 건전성 규

제를 받고 있어 투명성 수익성 및 효율성을 추구하게 되므로 지속가능성이 확보된다

는 것이다 또한 전국에 걸쳐 지점을 갖고 있는 등 기본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많

은 사람에게 혜택을 줄 수 있으며 선진 금융기법에 대한 know-how가 축적되어 있

으므로 대출 시 사업능력 등의 평가에 있어 유리하다 은행 수신을 사용할 경우 상대

적으로 기부금 등에 의존하는 NGO에 비해 기금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소액금융업에 있어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은행이 소액금융업에 진출하기 위해

서는 다음의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선 소액금융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특정 경

영자의 의지나 비전에 의해 일회적 사안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사업 모델이 될 수

있도록 확정한 후에 진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리 수준은 대출에 따른 비용을 충분히 충당할

정도로 높은 금리를 부과하여야 할 것이다 저신용 저소득층에 대한 대출은 엄격한 사

업성 심사 및 사후관리를 통해 성공확률을 높임으로써 신용위험을 낮출 수는 있으나

1) 박종현ldquo해외의 대안금융 마이크로 파이낸스를 중심으로rdquo시장경제와 사회안전망 포럼 2007

17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관리비용이 높으므로 정부보조가 없을 경우 일반 대출금리보다 높은 금리가 부과되어

야 할 것이다 이 경우 고금리로 인하여 은행의 평판이 나빠지는 위험이 있으므로 은

행이 직접 진출하기보다는 소액금융 전문기관을 자회사로 설립하거나 소액금융 전문

기관에 업무를 위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소액금융은 전통적인 은행업무와는 상이하므로 소액금융 전문가를 우선 확보

하여야 하고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소액금융 담당자의 성과

급을 포함한 급여의 지급체계도 소액금융의 전문성을 고려해서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회계보고 및 건전성 감독에 관한 사항에 소액금융의 특수성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감독당국과 사전 협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맺음말

소액금융은 사회양극화로 인한 저소득층의 자활을 돕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전

세계에서 거둔 많은 성공사례는 소액금융이 수익모델로서 지속가능하다는 점을 보여

준다 소액금융은 대체로 초기단계에서는 정부재정 및 기부금 등으로 자금을 조달하

고 가난구제 등의 공익성에 초점을 맞춘 비영리 단체에 의해 영위되며 점차 시장규모

가 커짐에 따라 재정자립 및 상업적 원리에 의해 영위되는 금융기관의 면모를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은행도 소액금융으로부터 충분히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향후 은행이 소액금융시장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Ⅳ장 비은행 자본시장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79

동국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호(2007122)

회사채시장의 외부성과 발전방안

姜 京 勳

〈요 약〉

우리나라 회사채시장의 여러 가지 문제 은 그동안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

하고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데 그 원인의 하나는 이러한 문제들이 서로 긴

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은 동태 외부성과 정태 네트워

크 외부성 등 채권시장의 외부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 외부성이

존재할 경우 시장실패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정부의 개입이 합리화될 수 있

는데 시장에 여러 종류의 외부성이 존재하고 이 외부성 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경우에 정부의 입장에서는 보다 주도면 한 육성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요즘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이슈는 단연 부동산문제이다 더욱이 올해말 대선을 앞

두고 부동산문제는 경제뿐 아니라 사회정치문제로까지 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러한 상황에서 회사채시장의 발전방안이라는 어느 면에서 고색창연한 주제를 이야기

하는 것은 한가롭게 보일지도 모른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은 주택가격에 무주택

자 등 서민들이 신음하고 이처럼 급등한 주택가격이 급락하여 가계발 금융위기가 초

래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회사채시장 발전의 기초를 다지자

는 주장이 귀에 들어오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러나 긴박한 과제는 긴박한 과제대로 해결하는 한편 아직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

는 시장을 조성하는 일 역시 간과해서는 안된다 더욱이 시중의 풍부한 유동성이 부동

산시장으로 집중된 데에는 자본시장이 원활하게 기능하지 못한 책임도 있다 주식시

장뿐 아니라 회사채시장 특히 고수익채권시장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면 시중의 부동자

18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금을 충분히 흡수하여 부동산문제가 요즘처럼 심각해지지는 않을 수 있었을 것이다

이 외에도 회사채시장의 순기능은 다양하다 잘 발달된 회사채시장이 없을 경우 기

업들은 높은 자금조달비용을 지급해야 하며 설비투자도 단기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회사채시장이 훌륭한 투자수단의 제공처가 되며 효율적인 회사

채시장은 시장에서 종합되는 다양한 정보의 원천으로 기능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와

같이 다양한 순기능을 가지고 있는 회사채시장을 육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어려움을 회사채시장에 존재하는 외부성(externality)과 연관

시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회사채시장의 발전과제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자 한다

회사채시장의 황 문제

2006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전체 채권 발행잔액은 7791조원에 이르렀다 채권종류

별 잔액은 국채가 2579조원(전체의 331)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통

안채 1584조원(203) 금융채 1473조원(189) 특수채 1024조원(131) 회사채

1012조원(130) 등의 순이다

회사채의 경우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중 대규모로 발행되었으나 1999년 대우사

태와 2003년 카드사태를 거치면서 발행이 위축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회사채

가 전체 채권 발행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99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였다 전

체 채권시장에서 회사채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00년 15 수준에서 계속 낮아

져 최근에는 5에도 훨씬 못 미치고 있다

정부는 외환위기 이후 회사채시장의 선진화를 위해 시장의 규제완화 시장하부구조

의 개선 신상품 도입 채권수요기반 확충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채권시장 개선방

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개선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회사

채시장은 여전히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회사채 발행시장의 양극화 현상을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 신용등급이 높은

기업과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 간 회사채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여건의 양극화 현상은

최근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 자금조달의 주요 창구로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1

서 회사채시장의 기능을 크게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회사채 발행유통시장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볼 때 채권수요의 80 이상이

투신사 및 은행에 편중되어 있어 수요기반이 취약하고 시장심도(market depth)가 낮

다 외국인 투자자의 채권보유 비중도 2005년말 062에 불과하여 채권시장 개방을

통한 회사채 수요촉진 효과는 아직까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채권 딜러기능 촉진을 위한 지속적인 제도 개선에도 불구하고 채권딜러들이 시장조

성자(market maker)로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어 채권 발행 및 유통시장 부

진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시장상황의 변화에 따라 수익률과 거래량이

급변하는 등 시장안정성(market stability)이 부족한 것도 지적되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무보증사채의 발행절차도 지나치게 간소화되어 투자자 보호보다는 발행자

편의에 무게가 두어짐에 따라 회사채시장 발전에 장애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회사채시장의 거래가 대부분 장외거래임에도 불구하고 정보전달 등과 관련한

시장조직이 정비되지 않아 거래상대방을 탐색해야 하는 등 시장효율성이 극대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채권수익률 등 회사채 관련 정보의 집중이 미흡하고 정보

의 실시간 공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시장참가자가 시장의 통계를 기초로 투자판

단을 하기 어려우며 축적된 통계자료가 부족하여 체계적인 금리예측도 어려운 실정

이다

신용평가 부문에 있어서도 신용평가의 질적 개선을 위한 내부통제장치 및 평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신용평가회사의 평가 결과에 대

한 시장의 신뢰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신용평가회사의 부실평가에 대한 제재조치의

실효성 확보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회사채시장의 외부성

이처럼 우리나라의 회사채시장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동안 회사채

시장을 육성하려는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제점들이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 것은 이들 문제점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수요기반의 확충을 위해서는 회사채시장의 발전이 필수적인데 투자자의

18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입장에서 보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시장에 투자하고 싶지 않게 된다 또한 회사채

딜러는 정확하게 발행자의 신용위험을 평가하고 회사채의 가격을 산출하기 위해서 많

은 투자를 할 필요가 있는데 만일 회사채 발행물량이 많지 않다면 이와 같은 투자를

할 유인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는 발행자 신용위험 및 회사채 가격설

정 기능이 취약한 딜러를 통하여 회사채를 발행하는 것이 불리한데 이는 투자자들이

이와 같은 딜러를 통해 발행된 회사채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거나 이에 따라 추가적인

위험 프리미엄을 요구하게 되기 때문이다 결국 회사채시장의 수요 공급 중개 등 제

측면의 문제점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회사채시장을 발전시키려는 정부의 입장에서

는 이들을 모두 한꺼번에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봉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ldquo닭이냐 달걀이냐의 문제(chicken or egg problem)rdquo로 설명될

수도 있다 예컨대 회사채 딜러들이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결국 다양한 투자자들이

필요한데 투자자들을 시장으로 모으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가격이 산출되고 다양한

회사채가 거래되는 시장이 존재해야 한다 이와 같은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하는

문제는 채권시장의 외부성에 기인하는데 이러한 외부성은 투자자와 공급자 또는 중개

인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주고 받을 때 더욱 확대된다

여기서 회사채시장에 존재하는 외부성의 동태적 성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회사

채 발행 주관 및 인수 경험이 많은 딜러는 학습효과(learning by doing)를 통하여 보

다 높은 위험측정 및 가격설정 능력을 보유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외부성 이외에 다른 성격의 외부성도 회사채시장에 존재한다 정

태적 성격의 네트워크 외부성이 그것인데 이는 어느 한 소비자의 효용이 그 상품에 대

한 다른 소비자의 소비행위에 따라서 긍정적 영향을 받는 것을 말한다 회사채시장과

관련해서는 투자자들이 회사채가 다양한 것을 더 선호한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

서 시장에 나와 있는 회사채의 종류가 많을수록 그 회사채들의 가치는 상승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외부성은 동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한 시점에 존재하는 회사

채의 종류가 그 회사채들의 가치를 결정할 뿐이다

시장에 외부성이 존재할 경우 경제학 이론에 따르면 시장실패(market failure)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정부의 개입이 합리화될 수 있다 그런데 시장에 여러 종류의 외

부성이 존재하고 이 외부성 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경우에 정부의 입장에서는 보다 주

도면밀한 육성책이 필요하게 된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3

회사채시장의 발 방안

회사채시장에 여러 가지 외부성이 존재하고 외부성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날 경우

외부성에 대한 분석은 회사채시장의 문제점 및 이의 해결과 장기적인 발전방안과 관

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회사채시장의 여러 문제들이 서로 연결

되어 있기 때문에 lsquo궁극적인 원인rsquo 등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시사점이 주어질 수 있으

며 발전방안과 관련하여서도 왜 과거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던 과제들이 아직

도 해결되지 않고 있는가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가 제공될 수 있다

회사채시장의 육성에 관한 여러 보고서를 보면 다양한 과제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문제는 이러한 과제들이 오래 전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는 점이다 결국 오랫

동안 제기되어 왔던 과제들이 제대로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사실 자체도 하나의 균형

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이 글은 이와 같은 균형상태-또는 정책의 답보상태

-가 회사채시장의 외부성에 기인하고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물

론 이러한 사실이 회사채시장을 발전시키는 데 뾰족한 묘책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지

만 여러 가지 정책과제들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자 회사채시장을 육성하는 데 필요한 정책과제들은 크

게 인프라 개선 수요기반 확충 증권회사의 인수 및 딜러기능 강화 발행조건절차

의 개선 기업 특히 중소기업의 회사채 발행 지원 등으로 대별될 수 있다 각 카테고

리별로 다양한 추진과제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과제들이 서로 연계되어 있어서

함께 추진될 필요가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그런데 여기서 어떤 과제는 단기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반하여 어떠한 과제

들의 달성에는 긴 시간이 필요한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법제도를 정

비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시간이 별로 소요되지 않을 수 있으나 딜러기능 강화나 수요

기반 확충 등의 과제들은 쉽게 달성되기 어렵다 앞에서의 외부성에 대한 분석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정책과제의 수행 시기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즉 외부성을 창출

하는 과제들은 우선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으며 주로 외부성을 향유하는 부문과 관

련된 과제들은 나중에 시행될 수도 있다

한편 회사채시장의 육성을 위한 과제들과 관련하여 외부성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보

18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다 분명해지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발행절차의 개선 문제를 생각해 보자 회사채 발

행기업의 편의를 위하여 발행절차를 보다 단순화하고 규제를 완화할 경우 회사채 발

행을 늘리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는 도덕적 해이 문제나 역선택 등의 문제를 야기

하기 쉽다 장기적으로는 회사채시장의 기능을 오히려 떨어뜨릴 우려가 있는데 이는

발행과정을 통한 딜러의 경험 축적과 이에 따른 학습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

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회사채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발행절차를 오히려 엄격하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에 대한 단기적인 보완책으로 발행기업에 대한 지원을 보다 강화하

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례는 다른 과제들의 경우에도 비슷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회사채 발

행을 장려하기 위한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되 회사채시장이 효율적으로 작동하

는 데 필요한 제도인프라는 발행자 편의보다는 시장기능의 확충 차원에서 단기적으

로 고통이 따르더라도 오히려 엄격하게 정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회사

채시장의 육성과 관련한 제반 과제들을 1) 회사채 발행 지원 및 수요기반 확충 2) 제

도인프라 정비의 범주로 나누어 2)의 과제들을 포괄적이고 조속히 추진하는 한편 1)

과 관련한 재정적 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이보다 구체적인 정책적 시사점 즉 세부과제별로 왜 제대로 시행이 되지 않고 쉽

게 해결되지 않는지에 대한 해답은 여기서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더욱 세부적이고 현실적인 외부성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5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6호(200725)

대부업제도 개선에 대한 단상

鄭 燦 宇

〈요 약〉

부업은 독자 인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나 고객 융서비스 측면에서

는 서민 융기 과 첩되어 차별성이 크지 않다 따라서 부업제도 개선은

한편으로는 융소비자 보호강화와 부업 양성화를 한 환경조성에 힘쓰되

다른 한편으로는 서민 융기 의 소액신용 출을 활성화함으로써 부시장

을 체하도록 기본방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 형 부업체가 큰 수익

을 내고 있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체계 인 신용평가시스템을 구축하면 과거

와는 달리 소액신용 출이 안정 인 수익원으로 거듭날 가능성이 큰 만큼 이에

한 서민 융기 의 이 바뀔 필요가 있다 한편 서민 융기 의 소액신

용 출이 활성화되면 부업체의 고 리 부과로 인한 문제 이 상당 부분 해소

될 것이므로 리상한 하향조정은 서두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상위 20 가구의 평균소득을 하위 20 가구의 평균소

득으로 나눈 값인 소득 5분위 배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서민들의 생활이 나

아지기보다는 더 힘들어지는 양상이다 그 결과 2000년에 329건에 불과했던 개인파

산 신청건수가 2006년에는 12만건을 넘어섰다 또한 신용도가 낮아서 제도권 금융기

관에서 돈을 빌리기 어려운 계층 소위 금융소외계층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경제력

약화와 이에 따른 금융소외현상은 자연스럽게 대부시장의 성장으로 연결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대부업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금리상한 이상의 고금리와 불법 추심행위로

고통 받는 사례가 빈번해지면서 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치권 일

18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각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부업법을 개편함과 더불어 현재의

금리상한 66를 대폭 낮추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이자제한법을 부활하려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부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부업제도의 개

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시장 황

우선 대부시장을 공급측면에서 보면 2006년말 현재 지방자치단체에 등록된 대부업

체는 16786개사로 전년 동월에 비해 2500개사 이상 증가하였다 이는 2005년 9월

개정 대부업법 시행으로 불법업체에 대한 처벌규정이 강화되고 대부업체의 범위가 넓

어진 결과로 보인다 대부업은 1) 기업대상의 어음할인 또는 담보대출 2) 건설시행사

등에 대한 지분투자 및 단기금융 3) 자동차 등 비부동산 물건을 담보로 한 대출 4)

저신용계층에 대한 후순위 부동산 담보대출 5) 저신용계층에 대한 소액신용대출 등

의 금융서비스를 대부분 1년 이내의 단기로 제공하는 업무를 한다 여기서 서민 등 저

신용계층에 대한 금융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은 3) 4) 그리고 5)이며 이 가운데 4)와

5)의 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위의 금융서비스를 바탕으로 대부업체도 5개군

으로 분류 가능하며 4)와 5)를 주력 상품으로 제공하는 소매대부업체가 대부업제도

의 개선방안의 주 대상이 된다 1)과 2)를 제공하는 대부업체는 양성화 여부와 관계없

이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특정계층을 대상으로 영업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등록업체의 제출 자료를 바탕으로 4)와 5)에 해당하는 소매대부시장 규모를

산정할 경우 수조원대에 불과하나 세금 문제 등으로 인한 허위자료 제출 가능성 음성

업체의 존재 등을 감안하면 최소 10조원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시장의 최근 특

징 중 하나는 업체간 양극화이다 외국계 업체를 중심으로 대형업체는 점유율이 높아

지고 큰 수익을 내고 있는 데 반해 중소형업체는 상대적으로 수익을 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광고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신용이 양호한 고객이

대형업체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수요측면에서는 금융감독원의 설문조사 분석결과 2006년초 기준으로 기존 대출금

상환목적이 41로 용도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계생활 자금목적이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7

36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 서민의 어려운 경제여건이 대부시장 이용의 근본 원

인임을 알 수 있다 1인당 평균 이용액은 950만원으로 2005년의 설문조사에 비해 50

만원 정도 증가하였고 1인당 평균 이용업체수는 21개로 나타났다 한편 이용고객의

40 이상이 2004년 이후의 신규이용자이고 60 이상이 채무불이행자가 아닌 것으로

나타나 제도권 금융기관을 이용하지 못하는 금융소외계층이 대부시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여기에는 대형대부업체를 중심으로 채무불이행자에 대한 신규대출

을 취급하지 않는 대부업계 관행도 일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금리상한을 초

과하는 계약을 체결한 고객이 75에 달하고 불법추심을 경험한 고객도 40에 이르러

대부업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대부업체의 불법영업이 여전함을 알 수 있다

부시장 평가

외환위기 이후 서민층의 경제력 약화와 신용불량자 급증 등으로 제도권 금융시장을

사용할 수 없는 계층이 늘어나면서 대부시장의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또한 제

도권 금융시장을 이용하고 있는 금융소비자의 상당수도 금융회사로부터 자금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한 부분을 메우기 위한 수단으로 대부시장을 동시에 이용하고 있는 것으

로 보인다 한편 대부업의 양성화와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대부업법 시행에도 불구

하고 음성대부업체의 수가 과다하고 이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금

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대부업법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인식수준이 낮은 것도 금리상

한의 실효성을 낮추고 음성대부업체로 인한 피해를 확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

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대부시장의 과도한 성장을 막고 대부업법 제정 취지의 실효

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대부업제도 전반에 걸친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부시장의 차별성

대부업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기에 앞서 금융서비스 고객 그

리고 시장규모 측면에서 제도 금융권과 대부업의 차별성 존재 여부를 먼저 검토할 필

요가 있다 대부업의 차별성이 존재한다면 이를 감안하여 대부업이 독자적인 금융업

18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으로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대부시장의 차별성이 약하거나 존재하더라도 제도 금융권이

금융서비스 측면에서 대부시장을 대체할 수 있다면 정책의 방향은 대부업보다는 해당

제도 금융권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시장규모 측면에서는 서민금융기관의 하나인 신협의 여신규모가 2006년 11월말

잔액기준으로 14조 9000억원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최소 1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

는 소매대부시장은 독자성이 존재한다 금융서비스 측면에서 보면 저신용계층에 대한

부동산 후순위 담보대출과 소액신용대출은 신협 새마을금고 농수협 지역조합 저축

은행 등 서민금융기관도 취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부업체는 서민금융기관과 차별성이

크지 않다 마지막으로 고객측면에서는 서민 영세상공인 저신용 중소기업 등 저신용

계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이 또한 서민금융기관과 차별성이 크지 않다 종합하

면 대부업은 시장규모측면에서는 제도권 금융기관과 차별성이 있으나 고객 및 금융서

비스 측면에서는 서민금융기관과 중첩되어 차별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부업제도 개선을 한 정책방향

대부업의 차별성이 크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여 두 가지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마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는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와 대부업의 양성화를 위한

환경조성에 중점을 두고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단 대부업 양성화 정책이 대부

시장의 과도한 성장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개선방안 마련에 있어 주의를 기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구체적인 감독지침 마련 대형 대부업체에 대한 감독강화 등 대부업에 대

한 감독의 효율성을 높이는 감독체계 구축도 필요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대부시장의 발호를 방지하고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근본적인

방안으로 서민금융기관의 소액신용대출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제도권 금융회사가

신용대출을 취급하지 않는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는 서민금융기관의 소액신용대출이

라는 대부시장의 대체시장이 존재한다 문제는 저축은행은 과거 소액신용대출의 부실

경험으로 소액신용 신규대출이 거의 중단된 상태이고 신협과 새마을금고 농수협 단

위조합도 취급규모가 매우 작다는 데 있다 소액신용대출이 활성화된다면 대부시장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9

규모가 지금보다 훨씬 줄어들 것이고 고금리로 인한 서민들의 피해도 상당 부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적인 지원도 필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소액신용

대출에 대한 서민금융기관의 자세가 변해야 한다

소액신용대출은 서민금융기관의 주 고객층인 서민을 대상으로 한 상품이기 때문에

수요의 지속성이 보장된다 물론 경제력이 낮은 서민층의 신용위험이 높은 것은 사실

이나 신용평가 방식의 개선과 신용도에 따른 금리차별화로 상쇄가 가능하다 저축은

행을 제외한 지역 서민금융기관들은 규모의 영세성으로 독자적인 전산시스템을 구축

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소액신용대출을 취급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이들은 중앙회 전산망을 통해 소액신용대출을 위한 신용평가시스템을 구축하면 된다

금융산업이 위험을 관리함으로써 수익을 일으키는 분야라는 것을 감안하면 신용위험

이 높은 고객을 대상으로 영업을 영위하는 것이 불리한 것만은 아닌 것이다 무엇보다

도 현재는 신용불량자 문제가 완전히 드러난 상황이기 때문에 저축은행을 포함하여

서민금융기관이 소액신용대출을 재개하더라도 과거와는 달리 잠재 신용불량자에 의

한 부실화 가능성이 매우 낮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소액신용대출이 서민금융기관

의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거듭날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일부 외국계 대형대

부업체가 고객층의 평균 신용등급이 서민금융기관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큰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시사한다

리상한 조정에 하여

현재 대부시장은 상품 고객 지역별로 분할되어 있어 정보의 비대칭성이 심하다

또 많은 제도권 금융기관이 대부업체의 신원조회기록만 있어도 해당 고객에 대한 대

출을 거부하는 등 대부시장과 제도권 금융시장이 분리되어 있다 이로 인해 대부업체

는 우량고객에 대해서도 독점력 행사가 가능하여 이를 바탕으로 고금리 부과를 통한

이윤 획득이 가능한 상황이다 이와 같이 대부업체의 이윤 획득이 구조적으로 가능한

상황에서 대부금리에 대한 규제가 없다면 대부시장 이용자가 자신의 신용도에 비해

과도한 고금리를 부담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정부의 금리상한 규제는 정당한 것으

로 보인다

19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그런데 금리상한이 너무 낮으면 대부업체가 영업정지와 벌금 등 위법에 따른 예상

손실을 감안하더라도 금리상한을 위반할 인센티브가 커진다 과거 당 연구원의 방문

조사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인 일부 대형대부업체를 제외하면 대부업체들의 평균 조

달금리가 20 이상이고 영업비용도 대출잔액 대비 167에 달하는데다 연체율도

30에 이르러 현행 금리상한을 높다고 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금리상한을 낮출 경우 양성화되어 있는 대부업체의 음성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등록 대부업체에 의해서도 현재의 금리상한을 벗어나는 고금리 부과가 이루어지

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의 이용자 조사에 따르면 양성 대부업체의 평균

대부금리도 160를 상회한다고 한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면 금리상한을 하향 조정

하는 것보다 금리상한의 실효성을 높이는 것이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보다 시급한

일일 것이다 물론 신용이 충분함에도 대부업체에 의해 60대의 고금리로 대출을 받

는 고객이 상당수에 달한다 한국신용정보에 고객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대부업체 이

용고객의 60는 신용등급 7등급 이상이라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그러나 이들의

비중은 서민금융기관의 소액신용대출이 활성화되면 자연스럽게 낮아질 것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1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9호(2007226)

보험사의 공익성과 보험취약계층

李 碩 晧

〈요 약〉

최근 세계 으로 융회사를 비롯한 기업의 공익성에 한 논의가 확산

되고 기업의 지속 인 성장을 한 장기 경 략 차원에서도 그 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보험사들도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장학 지원

문화사업 지원 사회복지시설 지원 등 각종 사회공헌활동을 극 으로 개

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보험사가 그들이 하고 있는 본연의 업 행 와

직 으로 연 되는 부문에서 사회 책임 공익성을 제고하는 것이야말

로 다른 어느 부문에서보다 선행되어야 할 과제일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보험

사의 경우엔 다른 어떤 기업보다도 이러한 본연의 업행 와 련된 공익

역할 사회 책임이 시된다 할 수 있다 소득층 장애인 등 보험취

약계층에 한 문제를 극 이고 성실하게 개선하려는 보험사의 자발 인

노력 실천이 이에 해당하는 표 과제일 것이다

최근 금융회사들이 지나치게 수익성을 추구하면서 영업행위 과정에서 서민 등 금융

소외 계층을 외면하고 있어 금융의 공익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금융회사

중 특히 보험사의 사회적 책임 및 공익성을 제고하기 위한 과제로서 일반적인 사회공

헌활동이 아닌 본연의 영업행위와 직접 연관된 과제를 장애인 저소득층 등 보험취약

계층에 대한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19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융회사의 공익성 사회 책임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금융회사를 비롯한 기업의 공익성 및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

가 확산되고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장기적 경영전략 차원에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세계적인 마케팅 전문가인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의 Philip Kotler 교수는 ldquo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 기업들은 투자대상에서 제외되

고 국제거래에서 불이익을 당하는 등 세계무대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없으며 세계적

으로 존경받는 일류기업들은 모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충실하게 이행하고 있다rdquo고

말하며 기업의 공익성 및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들

어 은행 보험사를 비롯한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거스를 수 없는 전 세계적 흐름에 부

응하여 사회봉사단 운영 장학금 지원 문화사업 지원 사회복지시설 지원 등 각종 사

회공헌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가고 있어 바람직한 현상으로 여겨진다

은행 보험사 등 금융회사의 공익성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lsquo소극

적 공익성rsquo으로 일반 국민에게 피해를 주지 않음으로써 공익에 기여하는 것인데 건

전경영을 통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종사자의 도덕성 강화 등을 통해 소

비자를 보호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둘째 lsquo중립적 공익성rsquo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새로

운 수익원 창출로 수익성과 공익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으로 경제적 약자에 대한 금

융기능 강화 및 저소득층을 위한 금융상품 개발 등이 대표적 예이다 세 번째는 lsquo적극

적 공익성rsquo인데 공익재단 설립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기부 등 금융회사 수익의 일부

를 사회에 환원하는 것 등이 이에 포함된다

최근 국내에서 보험사를 비롯하여 많은 기업들이 사회봉사단 운영 장학금 지원

문화사업 지원 등의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은 세 번째인 lsquo적극적 공익성rsquo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lsquo적극적 공익성rsquo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lsquo중립적 공익성rsquo이라 생각된다 금융회사가 그들이 영위하고 있는 금융사업 행위와 직

접적 연관성이 있는 부문에서 사회적 책임 및 공익성을 제고하는 것이야말로 그 어느

다른 부문에서보다 선행되어야 할 과제가 아닌가 사료된다 특히 보험사의 경우엔 다

른 어떤 기업보다도 본연의 영업행위와 관련된 사회적 책임 및 공익적 역할이 중시된

다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논의될 장애인 저소득층 등 보험취약계층에 대한 보험사의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3

책임과 역할은 보험사의 이러한 lsquo중립적 공익성rsquo과 관련하여 추구해야 할 대표적인 과

제일 것이다1)

소득층의 보험가입

최근 발간되는 lsquo보험사의 발전방안rsquo을 주제로 하는 보고서나 언론보도의 첫 구절을

보면 lsquo국내 보험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rsquo라는 문구가 공통적

으로 자주 등장한다 그래서 보험사들이 해외진출 신상품 개발 등을 통해 새로운 성

장동력을 찾는 것이 시급하다고들 말한다 실제로 최근 생명보험협회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가구의 생명보험가입률이 거의 90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소득별 가입률로 살펴보면 연간 가구소득이 3600만원 이상인 가구의

가입률이 90~93에 달하고 있는 반면 1200만원 미만인 가구의 가입률은 35에 머

물고 있는 실정인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한편 연간 가구소득 1200만원 미만 및

2400만원~3600만원 미만인 가구의 857가 생명보험 가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저소득층의 경우 보험에 대한 수요 및 욕구는 중산층 및

고소득층과 별반 다르지 않은 반면 주로 경제적 이유로 인해 보험가입률이 저조한 가

운데 각종 위험사고의 발생 시 받는 충격은 훨씬 크고 심각하다는 점에서 정작 보험

이 필요한 계층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 아직까지는 미흡한 면이 많이 있지만 정부

및 민간차원에서 저소득층 및 빈곤층을 위한 각종 지원제도 및 사회공헌활동이 시행

되고 있다 이처럼 저소득층 및 빈곤층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도 중요하지만 이와 아

울러 보험이라는 간접적 수단을 통해 이들이 각종 중대 질병이나 가장의 사망 등에 대

비하여 스스로 미래의 경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또한 효율적인 지

원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국민건강보험

등과 같은 사회보험만으로는 분명히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공익성

1) 재래시장 상인 고위험 직종 종사자 등 다른 보험취약계층도 있지만 본고에서는 대표적 보험취약계층인 저소득층 장애인의 보험가입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19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과 아울러 수익성을 추구해야 하는 민영보험사에게 모든 것을 떠안으라고 할 수도 없

을 것이다

Microinsurance

그렇다면 민영보험사의 역할 정부지원 사회공헌기금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안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국내에서는 생소하지만 중국 인도 인

도네시아 등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국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microinsurance를 한

번쯤 고려해 봄 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microinsurance는 저소득층 및 빈곤층만을 타

깃으로 하여 이들로 하여금 미래에 발생할지 모르는 중대질병 사망 장례 등 각종 위

험에 대처하게 하여주는 보험으로 은행부문에 있어서의 microcredit 또는 대안금융과

대응되는 개념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microinsurance는 사회보장제도를 제대로 갖

추지 못하고 있고 경제수준이 낮은 개발도상국 또는 저개발국에서 주로 시행하고 있

는 제도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도 여전히 저소득층 및 빈곤층의 수가 적지 않고 더

군다나 최근 들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소득 격차가 점차 더 벌어지는 등 사회적

및 경제적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저소득층 및

빈곤층이야말로 실질적으로 보험을 필요로 하는 계층인 점을 감안할 때 한번쯤 도입

을 고려해 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Microinsurance는 여러 가지의 형태가 있을 수 있는데 개인보다는 그룹단위 형태

가 많다 민영보험사가 상품개발 판매채널 등 전반적인 사업을 주관하는 형태가 있는

반면 많은 경우 대안금융을 담당하는 MFI(Microfinance Institution)가 주관 또는

개입하고 있고 이는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 요건으로 여겨지고 있다 무

엇보다도 MFI의 경우 피보험자에 대해 누구보다도 잘 알 것이므로 민영보험사와 MFI

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협조가 잘 유지된다면 가입자의 도덕적 해이도 상당부분 막

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여기에 대안금융에서와 같은 사회공헌기금 등 각종 사회적

기여가 결합된다면 더욱 효율적인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microinsurance가 시행되기 위해선 대안금융기관의 활성화가 전제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5

한편 microinsurance는 저소득층 및 빈곤층을 위한 보험이므로 어떻게 하면 운영

비용 사업비용 수익마진폭 등을 줄여 저소득층 및 빈곤층의 실질적인 보험수요를 충

족할 수 있는 상품을 가능한 한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느냐 하는 것이 사업성공의 관

건일 것이다 수익성의 잣대만을 내세우는 일반적 기업의 자세가 아닌 사회적 책임

및 공익성을 인식하는 보험사의 자세가 요구되는 부분이 바로 여기이며 이러한 공익

성의 중요성에 대한 보험사의 자발적 인식이야말로 microinsurance사업 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열쇠일 것이다

Prudential AIG Allianz 등 주요 선진국 보험사의 경우 개발도상국가 및 저개발

국에서 이러한 microinsurance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는데 물론 수익성도 고려

하겠지만 무엇보다도 보험사의 공익성 차원에서 수행하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을 것

이다 최근 국내의 경우 사회연대은행이 민간기업의 지원을 통해 민영보험사와 저소

득층 자녀들을 위한 보험을 계약하여 시행하고 있는데 lsquo공부방보험rsquo이 그것이다 전국

에 소재한 공부방의 화재 시설소유(관리)자 배상 음식물 배상 가스 배상 공부방 내

활동 중 아동 구내치료비 보상 등을 주 계약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것 또한

microinsurance의 한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 보험가입 문제

우리 사회의 또 하나의 대표적인 보험취약계층으로 장애인을 들 수 있다 최근 한

국장애인재활협회의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노후 보장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다고 응답한 장애인이 139에 지나지 않아 이를 위한 보완 차원에서

라도 장애인 보험가입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 개선책이 시급한 시점이다

최근 몇 년 간 장애인전용보험 도입 가입심사기준 완화 등 장애인의 보험가입에

대한 차별 및 제한을 줄이고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일련의 시도가 있어왔지만 여전

히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보험 모집 및 인수 과정 등에서 합리적 근거가 없는 부당

한 가입 제한 등의 차별 행위가 여전히 존재하여 장애인의 보험가입이 활성화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차별 행위 등과 관련하여

감독당국이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보험사에 대한 행정지도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져

19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있다

지난 2001년 이후 장애인에 대한 보험가입 차별을 개선한다는 취지하에 개발판

매되고 있는 장애인전용보험의 경우 판매실적이 극히 저조하다 보험사측은 장애인전

용보험의 판매실적이 저조한 이유로 단순히 수요가 많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

제로는 수익성을 중시하는 보험사들이 장애인의 보험사고율이 높다는 입증되지 않은

이유로 소극적인 판매 자세를 취하고 있거나 여전히 보험 모집 및 인수 과정 등에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장애인전용보험은

일반 보험상품에 비해 상품의 종류 및 판매회사 수가 적어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은 장

애인의 다양한 보험수요를 충족하기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장애인 가입자에 대한 위험률이 통계적의학적으로 집계연구되어 있지 않은

현 상황에서는 보험사 입장에서도 모든 일반 보험상품에서 비장애인 가입자와 완전히

동일한 심사기준을 적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과도적으로라도 장애

인의 보험가입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기존의 장애인전용보험을 활성화시킬 필요

가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 장애인전용보험에 대한 홍보 및 일선 보험사 임직원에 대

한 교육지도 등을 강화하고 상품의 종류 및 판매회사 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장애인의 보험가입이 실질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는 장애

인전용보험의 확대보다도 장애인의 일반 보험상품 가입 시 차별을 개선하는 것이 보

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 영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처럼 장애인에 대한 보

험가입 차별을 금지하고 위반 시 제재하는 것을 명시하는 관련 법제정이 시급한 것으

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보험취약계층과 관련된 새로운 제도의 도

입 법적제도적 장치의 보완 등보다도 중요한 것은 보험사 스스로가 장애인 저소

득층 등 보험취약계층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이들에 대한 보험인수 시

수익성의 잣대만을 내세우려는 자세에서 탈피하려는 인식의 전환일 것이다 장애인

저소득층 등 보험취약계층에 대한 문제를 적극적이고 성실하게 개선하려는 보험사의

이러한 자발적인 노력이야말로 최근 보험사들 사이에서 가시화되고 있는lsquo적극적 공

익성rsquo형태인 사회공헌활동에 선행되어야 할 과제일 것으로 사료된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7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7호(2007423)

스톡옵션제도의 현황과 향후과제

具 廷 翰

〈요 약〉

스톡옵션은 기업의 경 과 소유의 분리에서 발생하는 경 자와 주주 간의

이해상충 문제를 해결하고 경 자로 하여 자발 으로 기업가치를 증 시키

도록 하기 해 도입된 제도이다 스톡옵션에는 고정부스톡옵션과 성과연동

형 스톡옵션이 있는데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은 주가상승이 경 자의 성과를

정확하게 반 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경 자의 성과지표를 활용하도록 설계

된 스톡옵션이다 경 자는 스톡옵션을 통해 본인의 성과와 상 없는 요인들

에 의해 주가가 상승함에 따라 이익을 향유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단기실

주의 기업경 스톡옵션을 부여 받지 못한 임직원의 상 박탈감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한계 을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해서 개별 회사는

경 자의 성과를 제 로 반 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개발하고 차 스톡옵션

을 부여받는 임직원의 범 를 확 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최근 일부 회사의 경영진에 대한 스톡옵션부여가 과도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

기되면서 스톡옵션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스톡옵션제도는 경영자에게 인

센티브를 제공하여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고 경영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취지에서 도입

되었다 그러나 스톡옵션제도가 경영자의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제공이라는 본래의 의

도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몇 가지 한계

점도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스톡옵션제도의 본래 목적 및 한계점과 이를 극복하

기 위한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19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스톡옵션제도의 목

스톡옵션제도는 기업의 경영과 소유의 분리에서 발생하는 경영자와 주주 간의 이해

상충을 방지하고 경영자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기업가치를 증대시키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만약 스톡옵션과 같은 성과보상시스템이 없다면 주주는 경영자가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여 경영을 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해야 하는 대리인 비용을 지불

해야 한다 그러나 경영자에게 스톡옵션을 부여하게 되면 경영자를 주주화하여 이러

한 모니터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온다 회사의 성장을 통한 주가상승으로

주주들이 얻는 이익을 회사의 임직원들이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주주

와 경영진의 이해관계를 일치시켜 대리인문제를 부분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스톡옵션제도는 대리인 문제의 해소뿐만 아니라 회사 경영능력이 뛰어난 우수한 인

재를 확보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자금력이 부족한 벤처기업의 경

우 주가상승폭이 클 수 있어 스톡옵션을 통해 저비용으로 우수인력을 유치하는 데 효

율적일 수 있다 공격적인 경영을 통해 회사의 성장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는 창업초기

기업의 경우 스톡옵션제도는 효과적일 수 있다

스톡옵션 부여로 회사에 우호적인 임직원을 많이 확보함으로써 적대적 MampA로부터

자사의 경영권 방어가 가능해져 안정적 경영을 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스톡옵션을 부여받은 임직원은 주가상승 시 권리행사를 통해 고수익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회사에 대한 임직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스톡옵션의 종류와 성과측정의 한계

스톡옵션은 크게 고정부스톡옵션과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

부스톡옵션은 부여시점에서 행사가격 행사가능수량 등이 확정되는 것이므로 설계가

단순하여 이해하기 쉽고 관리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정부스톡옵션

을 부여할 경우 경기호조 등에 따른 전반적인 주가상승과 같이 경영자의 실적과 무관

한 주가상승분만큼의 이익을 더 향유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톡옵션 본래의 취

지가 경영자의 장기적인 성과에 연동된 보상제도임에도 불구하고 행사가능시점에서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9

일시에 스톡옵션을 행사할 경우 주식의 장기보유를 유도할 수 없고 주가에도 부정적

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은 경영자의 성과에 연동하여 행사가격 효력발생수량 효력발

생기간 등이 조정되는 스톡옵션을 의미한다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은 고정부스톡옵션

에 비해 경영자의 성과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경영자의 성과와 관련이 없는 주

가상승에 따른 이익향유를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주주의 이익 증대를 단순히 절

대적인 주가상승만으로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주주들이 다른 경쟁기업에 투자

하지 않고 특정 기업에 투자한 점과 그 기회비용을 고려할 때 투자한 기업의 주가상승

이 경쟁기업의 주가상승보다 커야만 경영자의 성과로 인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과

연동형 스톡옵션에는 경쟁사의 주가상승 산업평균 주가상승률 등 다양한 성과지표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에서 성과지표의 설정이 스톡옵션 설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만약 성과지표가 경영자의 장기적인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면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의 장점을 살릴 수 없을 것이다

스톡옵션 부여 황 문제

우리나라는 1996년 증권거래법을 개정하여 스톡옵션을 부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하였고 기타 관련 법규들을 개정하여 1997년 3월부터 스톡옵션제도를 실행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환경이 마련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스톡옵션부여는 2002년 이후 대체적

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2007년 1월부터 3월 21일까지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의

스톡옵션 부여 규모는 총 767만주로 전년 동기의 1287만주에 비해 40 가량 감소하

였다 특히 2006년 이후 일부 대기업이 스톡옵션을 더 이상 부여하지 않음에 따라 급

격한 감소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들어서는 부여주식 수 기준으로 은행의

스톡옵션 부여가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은행의 경우 성과연동형 스

톡옵션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성과지표로 ROE BIS 비율 당기순이익 산업평균 주

가상승률 경쟁사의 주가상승률 등 다양한 성과지표를 활용하고 있으며 스톡옵션 부

여 수량도 근무기간에 연동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주가상승이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는 하나의 지표로 사용될 수는 있으나 스톡옵션을

20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부여받은 경영자의 성과를 정확히 반영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성

과연동형 스톡옵션의 경우 보다 정밀하게 실적에 따라 보상해 줄 수 있지만 성과연동

형 스톡옵션을 부여한다고 하더라도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를 단기에 호전시킬 수 있

다면 단기실적 위주의 경영을 예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스톡옵션은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는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므로 주요 임직

원을 대상으로 부여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므로 경영진과 핵심인력에 대해 스톡옵

션을 부여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러나 회사의 주가상승이 전적으로 스톡옵션을 부

여받은 임직원의 몫이 아닌 만큼 회사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데 기여했다고 느끼지만

스톡옵션을 받지 못한 임직원의 상대적 박탈감이 클 경우 근로의욕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향후과제

스톡옵션제도는 성과보상을 통해 대리인 비용을 줄이고 경영자의 성과에 부합하는

보상을 통해 안정적인 경영을 도모한다는 취지에서 훌륭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

나 스톡옵션이 경영자의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는 데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있고 이로

인해 미국 및 우리나라 일부 기업에서는 적극적으로 스톡옵션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스톡옵션제도가 도입된 근본적인 배경과 취지를 감안할 때 스톡옵션제도를 당

장 폐지해야 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또한 스톡옵션제도보다 더 나은 제도를 고안해내

는 것도 단기간 내에 이루어지기 힘들 것으로 보이므로 스톡옵션제도의 한계점을 보

완하여 보다 완전한 성과보상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성과

보상시스템은 성과에 합당한 보상이 수반되어 경영의 질을 향상시키고 훌륭한 경영자

를 많이 배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준다는 측면에서 그 필요성이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고정부스톡옵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영자의 장기적인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선결해야 할 과제로 남는다 경영자의 성과는 개별 회사의 특성 업종의 특성 직위

및 업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기업은 스톡옵션을 부여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1

할 임직원의 성과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여 이를 반영한 스톡옵션

을 설계함으로써 스톡옵션이 지니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

이다

마지막으로 스톡옵션이 일부 임직원에 집중하여 부여되는 경향이 있는데 스톡옵션

제도 도입초기에는 최고경영자와 핵심인력에 한정하여 스톡옵션을 부여하더라도 그

범위를 점차 확대하여 스톡옵션을 부여받지 못한 임직원의 상대적 박탈감을 줄여 나

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전체 스톡옵션 부여수량을 고정시킨다 하더라도 스톡옵

션 부여대상을 확대함으로써 임직원의 주인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회사

의 발전에 유익할 것이기 때문이다

20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5호(2007618)

중소기업 육성지원을 위한 어음제도 개선방안

金 東 煥

〈요 약〉

그동안 어음제도 개선을 한 정부의 부단한 노력으로 어음교환 어음결제

비 은 지속 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어음발행 규모

는 은행 출 규모를 크게 상회하고 있고 어음제도 자체는 물론 어음 체수단

에도 지 않은 문제가 남아있다 어음에는 결제기간 장기화 고의부도 연쇄

부도 가능성 등 거래의 공정성과 융시스템의 안정성을 해하는 문제가 있는

반면 신용을 창출하고 기업간 계를 강화하는 등 거래의 효율성을 높이는

순기능도 존재한다 따라서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어음제도 폐지론에 해

서는 신 을 기할 필요가 있다 소기업이 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명실상부

한 성장동력으로 거듭나도록 하기 해서는 어음제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동 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장표어음 사용을 축소함과 아울러 어음

체수단 이용을 확 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안에는 어음

발행 등록제 실시 당좌개설 요건 강화 어음발행인에 한 신용 조사평가

변조 부도에 한 제재 강화 등이 포함된다

문제의 제기

중소기업은 일국 경제의 경쟁력과 성숙도를 반영하는 거울이다 선진국치고 중소기

업 기반이 튼튼하지 않은 나라는 어디에도 없으며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대등한 입장

에서 상호 경쟁협력하지 않는 나라치고 선진국이 되는 경우를 찾아볼 수도 없기 때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3

문이다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중소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자는 구호가 수십년

이어지고 있지만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대기업 등쌀이나 어음제도의 폐해 때문에 기

업하기 어렵다는 푸념이 끊이지 않고 은행이나 대기업은 대차대조표도 믿을 수 없는

데 어떻게 신용대출이나 현금거래를 할 수 있겠는가 언성을 높인다 이러한 분위기에

서는 중소기업에 거는 기대가 너무도 버겁고 중소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

자는 구호도 무색해진다

하지만 어음제도나 대기업이 없는 선진국 역시 한군데도 없음을 감안할 때 현재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의 볼멘소리는 어음제도의 폐해나 대기업의 횡포에 전적으로 기

인하는 것이라 단정하기도 어려운 것이 아닐까 본고에서는 어음제도를 포함한 우리

나라 중소기업금융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육성

하기 위한 어음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소기업 융의 특징과 문제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은 재무정보의 신뢰성이 낮고 비대칭성이 높아 정확한 신용평

가가 곤란하다 그렇기 때문에 은행들은 신용평가에 입각한 신용대출보다 담보보증

대출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담보보증대출은 은행의 신용평가 기회와

능력을 상실시켜 성장가능성 있는 중소기업의 선별을 곤란하게 하고 대기업 위주의

경제구조 즉 경제의 양극화 내지 이중구조를 심화시키는 부작용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이 영위하는 업종들은 경기에 매우 민감한바 은행들은

경기침체기에 자금공급을 크게 줄여 신용경색을 부추기는 경향이 있고 특히 위험회

피 성향이 높은 은행들은 대출의 상당 부분을 단기로 운용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안정

적 자금조달 및 장기 설비투자에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중소기업

-대기업 간 중소기업-중견기업 간 교섭력의 격차는 기업간신용(어음 외상매출채권

등)을 불공정하게 하여 중소기업의 성장을 가로막고 경제의 양극화를 조장하는 중요

한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20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어음제도 이용 황

어음은 중소기업금융 내지 기업간신용의 대표적인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 순기능을

가지고 있는 반면 남발에 따른 연쇄부도나 고의부도 교섭력 격차에 따른 금융비용

전가 등의 부작용도 수반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동안 정부는 어음제도의 부작용을 최

소화하고 어음대체수단의 이용을 장려하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해 왔다 그 결과 일평

균 약속어음 교환규모는 rsquo00년 158조원에서 rsquo06년말 81조원으로 크게 감소하고 중

소기업의 판매대금에서 차지하는 어음결제 비중도 rsquo97년 595에서 rsquo05년 283(현

금성 결제비중 717)로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rsquo06년말 현재

어음발행 잔액은 약 446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바 이는 은행의 중소기

업대출 잔액(rsquo06년말 약 300조원)에 비해 무려 100조원을 상회하는 규모에 해당한다

어음을 발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은행에 당좌예금을 개설해야 하는데 rsquo07년 4월말

현재 당좌개설 업체는 약 14만개에 달하며 이 중 28는 법인사업자 72는 개인사업

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14만개 업체 가운데 약 2만개 업체를 표본 추출하여 매출액

및 신용등급별로 구분해 보면 전체의 36가 연간 30억원 미만의 매출실적을 올리고

있고 전체의 163가 CCC등급 이하의 신용을 취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어

음결제 현황을 금액별로 살펴보면 전체의 96 정도가 1억원 이하의 소액어음으로 구

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어음제도의 순기능을 향수하는 자의 상

당수가 중소기업인 동시에 어음제도의 부작용으로 신음하는 자의 상당수 역시 중소기

업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어음제도와 련된 문제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어음제도가 개선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문제점들은 좀처

럼 시정되지 않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어음제도의 부작용 때문에 등장하여 이용이 권

장되고 있는 어음대체수단에도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우선 어음제도 자체의 문제점을 몇 가지 열거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용력이

약한 기업이 결제능력 이상으로 어음을 남발하거나 고의로 부도를 내는 것에 대한 통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5

제수단이 취약하여 판매중소기업 등 어음소지인의 피해가 크다 어음은 수표와 달리

부도 시 형사처벌 대상이 되지 않고 민사상의 책임만 부담하면 되기 때문이다 둘째

어음 회수기일은 rsquo04년 1359일로부터 rsquo06년 34분기 현재 1203일로 줄곧 단축되고

있기는 하나 여전히 장기에 머무르고 있다 참고로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의 실태조

사(rsquo06 12) 역시 어음제도의 문제점으로 ldquo결제기간 장기화(543)rdquo ldquo고의부도rdquo(258)

ldquo금융비용 전가rdquo(199) 등을 지적하고 있다 셋째 어음은 복수 기업간 배서양도

가 가능하여 연쇄부도의 위험이 상존한다 넷째 결제기간 장기화 연쇄부도는 결제위

험을 확대하여 지급결제시스템의 안전성을 훼손할 수 있다 다섯째 어음발행 통계가

잡히지 않고 있어 결제위험 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한편 어음대체수단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외상매출채권의 경우 법인

세 공제혜택이 있지만 적용대상이 제한되어 어음을 대체하는 효과 역시 제한적이다

둘째 전자어음은 분실도난의 위험이 없고 위변조가 불가능하다는 점 등 많은 장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명거래에 따른 거래노출 우려로 활성화에 제약이 있고 전

자어음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인 인센티브도 부족한 편이다 셋째 매출채권보

험의 경우 가입대상 및 한도가 제한되어 그 효과가 일부 기업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

다 넷째 기업구매 자금대출의 경우 사실상 수혜자는 구매기업이지만 구매기업이 추

심에 응하지 않거나 비협조적일 경우 판매기업에 대금지급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지연

될 가능성이 있다 다섯째 기업구매전용카드나 네트워크론의 경우 구매기업 및 금융

기관의 적극적 참여가 필수적이나 총액한도대출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인센티브가 미

흡하여 제도 확산에 한계가 있다

어음제도의 비용-편익 분석

어음에는 결제기간 장기화 고의부도 및 연쇄부도 가능성 등 거래의 공정성과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어음제도는 폐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어음에는 신용을 창출하고 기업간 관계를 강화하는 등

거래의 효율성을 높이는 순기능도 존재한다 따라서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어음제

도 폐지론에 대해서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는바 이는 어음제도를 폐지하더라도 외

20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상거래가 뿌리 뽑히지 않는다면 어음의 순기능만 사라지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어음제도를 당장 폐지하기보다는 비용과 편익을 비교 형량한 후 문

제점을 개선하는 것이 급선무일 수도 있다

최근 VAR(Vector-Auto Regression) 모델을 이용하여 어음제도가 중소기업 생산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어음사용(교환)이 한 단위(1조원) 증가할 때 단기적

으로 002~003만큼의 생산지수 상승효과가 발생한 반면 장기적으로는 -003~-005

만큼의 생산지수 하락효과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어음사용의 증가에 따른 긍

정적 효과(편익)는 제한적인 데 비해 그 부정적 효과(비용)는 장기적이고 보다 광범위

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여기서 어음사용이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는 단기는 주

로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이 비교적 타이트한 경기변동기에 해당하는데 경기변동기에

는 어음이 구매기업과 납품기업 간 매개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생산활동을

유지 혹은 촉진시켜 주는 효과를 낳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어음발

행 규모는 사회적 최적 수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바 상기 비용-편익 분

석결과는 점진적으로 어음(특히 장표어음) 발행규모를 축소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 주

고 있다

어음제도 개선방안

중소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명실상부한 성장동력으로 거듭나도록 하기 위

해서는 어음제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동 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장표

어음 사용을 축소함과 아울러 어음대체수단 이용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우선 어음제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부적격자의 어음발행이나 고의부

도 등을 억제할 수 있도록 당좌거래 기간을 연장하고 개인사업자(복식부기 의무자)의

경우 사업용계좌 개설은행에서만 당좌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당좌개설 요건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당좌개설 시(또는 정기적으로) 외부 신용조사기관 등에 의해

신용을 조사평가받도록 하여 일정 등급 이상을 유지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장표어음

발행 금액이나 만기 측면에서 우대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는 전자어음을 발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7

행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음용지 교부 시 은행 전체의 사용량 미사용

량을 감안하여 신규용지를 교부토록 함으로써 어음의 남발을 미연에 방지하고 위변

조 부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어음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인터넷뱅킹 등을 이용하여 금융결제원 어

음정보시스템에 어음발행 내역을 등록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격 신용등급 기

업이 발행한 어음을 대상으로 할인어음유동화 제도를 도입하여 선순위채권은 시장에

서 투자자에게 매각하여 어음 양도대금으로 중소기업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은행은

유동화를 통해 신용위험을 경감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미국에서는

외상매출채권을 대상으로 한 팩토링이 활성화되면서 어음 사용빈도가 감소하고 있지

만 어음발행 등록제를 채택하여 어음거래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한편 장표어음 사용을 축소하기 위해서는 현금성 결제수단인 기업구매자금대출 네

트워크론 등 네트워크금융을 활성화 내지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법인

세소득세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 네트워크금융 운용실적 우수업체에 대한 하도급

서면심사 면제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동시에 불공정거래에 관여하는 구매기업이나

금융기관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금융기관 및 정부는 중소기업이 하

청거래선을 다각화하거나 독자적 또는 중소기업 공동으로 국내외 구매판매선을 구

축하고 신제품 개발능력과 기회를 확대하며 지적재산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형태의 네트워크금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세제상 인센티브를 대폭 늘려 전자어음

제도를 활성화하고 매출채권보험의 가입대상을 중소기업 전체로 확대하거나 최고보

험한도를 상향조정하는 것 역시 장표어음 축소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금융결제원으로 하여금 어음 및 어음대체 결제수단에 대한 통계를 통합

관리하도록 하고 어음대체 결제수단에 대한 총괄안내 홈페이지를 구축운영하여 어

음대체수단을 적극 홍보하거나 금융기관 직원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어음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장표어음 사용을 축소하기 위한 방안에

해당한다

20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28호(200779)

저축은행의 IT역량 강화방안

鄭 燦 宇

〈요 약〉

소형 융기 도 선진 IT역량을 갖추지 못하면 도태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서 규모의 세성으로 IT투자 여력이 부족한 소형 축은행은 공동의 통합

산망을 구축함으로써 투자비용을 감하고 원가성 자 을 유치할 수 있

는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형 축은행은 비용부담 외에도 경

략 변화에 한 신속한 응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통합 산망 가입에 극

이지 않으며 여타 미가입 축은행도 시스템에 한 불만 투자비용에

한 착시 상으로 인해 IT통합에 미온 이다 통합시스템을 확 강화하

기 해서는 통합시스템에 한 비 을 명확히 설정하고 동 시스템이 축은

행 체의 공동 결제시스템으로서 첨단 융기법의 도입 보 채 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고객의 니즈가 다양해지면서 금융기법도 복잡화되고 있으며 그 결과 최근 금융기

관의 경쟁력은 IT시스템의 수월성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다 동 부문의 경쟁력

이 뒷받침되지 않는 금융기관은 신상품의 개발과 고객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금융서

비스의 제공이 어려운 상황이 된 것이다 그런데 저축은행 업계의 경우 소수의 대형회

사만이 선진화된 금융기법을 도입할 수 있는 수준의 IT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독자

전산망을 지닌 대부분의 중소형 회사는 규모의 영세성으로 이러한 수준의 IT시스템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리고 앞으로도 선진 IT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대규모 투자를 감

행할 여력을 가진 저축은행의 수는 크게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축은행 업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9

계의 경쟁력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IT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대부분의 저축은행이 규모의 영세성을 지닌 상황에서 저축은

행의 IT역량을 강화하는 현실적인 방안으로서 IT통합의 타당성을 살피고 구체적인 실

행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T통합의 필요성

금융산업의 선진화가 진행되면서 거래시스템의 개선 목적보다는 경영정보의 수집

분석이나 리스크관리 등 경영효율성 측면에서 IT시스템 투자수요가 갈수록 증가하

고 있다 그 결과 소형 금융기관도 선진 IT역량을 갖추지 못하는 경우 경쟁에서 낙후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도래하여 소형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IT시스템 투자가 경영

의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개연성이 커지고 있다 저축은행의 경우에도 중장기적으로

대형 금융기관과 경쟁이 가능한 수준의 선진금융기법에 기반을 둔 경영효율성을 확보

하는 데 필요한 IT시스템 투자는 개별 저축은행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비용이 수

반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은행과는 달리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하여 대규모

전산투자가 어려운 개별 저축은행은 공동의 통합전산망을 구축함으로써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IT통합의 또 다른 장점은 전 저축은행을 하나의 망으로 연결하여 소비자의 편의성

을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이다 2006년말 현재 저축은행 예수금의 90 이상이 정기예

금으로 자금조달에서 보통예금과 같은 저원가성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한 형편

이다 이로 인해 여신금리를 높게 운용할 수밖에 없어 상대적으로 높은 리스크를 부담

하는 것이 불가피한 형편이다 만약 IT통합을 통해 고객의 입장에서 저축은행 업계 전

체를 하나의 기관처럼 인식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는 전국 점포망을 가진

대형 금융기관과 수신시장에서 경쟁하면서 저비용의 결제성 자금을 유치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따라서 지금부터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저축은행 업계 전체의 공동 IT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표준화된 거래시스템을 통해 적어도 소비자 편의성 면

에서는 모든 저축은행을 하나로 연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신용정보

21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시스템 등 표준화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한 정보의 공유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표준 신용리스크 관리시스템의 구축 등 선진화된 금융기법을 도입하고 이에 따른 IT

투자비용의 분담과 기타 인적물적 자원의 공유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IT 통합의 장애요인

1999년 4개사를 대상으로 통합전산망을 처음 개통한 이래 2007년 1월말 현재 중앙

회가 운영 중에 있는 통합금융정보시스템(IFIS)에 가입하고 있는 저축은행은 65개사

로 전체의 59에 불과한 반면 대형 저축은행들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IT시스템을 운

영하고 있는 저축은행은 45개사에 달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IT통합이 순조롭지 않은 데에는 여러 요인이 있다 우선 자체적인 전산

시스템 운영에 큰 어려움이 없는 대형 저축은행은 통합전산망에 가입하는 것보다 개

별 전산망을 운용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들에게는 통합

전산망 가입에 따른 분담금 외에도 기존에 투자된 전산장비에 대한 감가상각이 종료

되지 않은 것이 직접적인 비용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저축은행 고객들

의 경우 인터넷뱅킹이나 텔레뱅킹 등 전자금융에 대한 수요가 활발하지 않은 것도

개별 저축은행의 입장에서 볼 때 통합전산망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기 어려운 요인

이다

또한 비용 측면 외에도 1) 신상품 개발 등 개별 저축은행의 경영전략에 대한 신속한

대응의 어려움 2) 영업전략 및 노하우 등 기밀누설의 가능성 3) 중앙회 소속의 전산

직원 등에 의한 금융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대형 저축은행들이 통합전산망에 적극적으

로 가입하고 있지 않은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통합의 장애요인을 전 저축은행으로 확대해 살펴보면 최근 중앙회가 회원 저축은

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및 경영자면담조사 결과 통합전산시스템이 활성화되

지 않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두 가지로 나타났다 먼저 동 시스템의 효율성이 회원 저

축은행들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 저축은행 중 통합전산시스템의 만족도가 개별 전산시스템과 큰 차이가 없

거나 못하다는 답변이 717를 차지했으며 개별 저축은행의 요구를 충족하는 데에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1

애로가 있다는 답변이 904에 달하였다 또한 통합전산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이라

고 할 수 있는 비용절감에 대해서도 응답 저축은행의 70가 통합에 따른 비용절감 효

과가 미미하거나 없다고 답하였다

또 다른 원인은 개별 저축은행들이 현재 자신이 운영 중인 IT시스템만을 기준으로

통합 IT시스템의 경제적 효과를 판단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저축은

행은 거래처리를 위한 계정계시스템 및 고객데이터 중심의 정보계시스템을 중심으로

IT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즉 선진금융기법 도입을 위해서는 불가

피하게 점차 규모가 커질 것이 자명한 미래의 IT시스템 투자를 기준으로 비용효과를

판단하지 않기 때문에 통합 IT시스템의 장점이 크게 부각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같은 시각의 편중은 IT시스템 통합이 이루어지더라도 운영의 주체인 중앙회가

선진 금융기법 도입이라는 미래의 요구를 적절히 수용하고 적시에 구현할 수 있는 역

량을 갖출 수 있는지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것도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통합 IT시스템 확 방안

저축은행이 여러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통합 IT시스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더욱 심도 있게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통합 IT시스템에 대한

중장기 비전을 명확히 정립하고 통합시스템이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개별 저축은

행에 도움이 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축은행의 양극화가 진행되

면서 개별 저축은행 간 이질감이 확대되는 것을 감안하면 향후 업계의 공감대 형성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따라서 통합 IT시스템을 확대하여 궁극적으로 전 저축은행

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동 시스템이 전 저축은행의 공동 인프라로

서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비전을 명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으로 개별 저축은행 간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주된 업무영역의 범위 또

한 이질성이 커지는 것이 불가피하더라도 서민금융 즉 은행여신의 한계시장으로서의

개인 및 중소기업에 대한 여신은 모든 저축은행의 공통분모로 남게 될 것으로 예상된

다 또한 결제성자금의 수신비중 증대도 향후 개별 저축은행의 주 업무영역에 관계없

이 공통된 주요 과제로 남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은행 등 대형금융기관 수준

21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의 편의성을 갖춘 전자금융서비스에 대한 필요성 또한 공통 이해의 영역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저축은행 업계의 통합 IT시스템이 중장기적으로 서민금융의 표준

인프라로서 기능하는 한편 저축은행 업계의 공동 결제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통합 IT시스템의 확대를 위한 또 하나의 요건이다

한편 리스크 측정 및 분석 등은 중장기적으로 통합 IT시스템이 가장 큰 부가가치

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이다 그리고 고도의 통계적 분석기법에 기초한 신용리스크 관

리시스템과 시장리스크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지관리하기 위한 인적물적자원

의 확보는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에도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통합 IT시스

템이 리스크의 측정 및 분석 등에서 첨단 금융기법의 도입과 보급을 위한 채널로서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것도 동 시스템의 확대를 위해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통합 IT시스템이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고 개별 저축은행에 대한 신뢰성

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의 개발 및 유지보수를 위한 전문

가집단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앙회 소속 혹은 저축은행 공동출자의 서민금융

연구소와 같은 전문가조직을 설립하고 동 조직이 선진금융기법을 연구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통합 IT시스템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IT 통합의 시너

지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4호(2007827)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李 載 演

〈요 약〉

최근 10여년간 가맹 수수료 수 을 둘러싸고 가맹 과 신용카드사 간에

마찰이 지속되어 왔다 그 이 까지 큰 문제없이 유지되어 오던 가맹 수수

료에 해 분쟁이 발생하는 것은 신용카드 활성화 정책에 따라 카드 사용이

크게 확 되었으나 수수료율 조정이 뒤따라가지 못하 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과도한 마 비용 축소를 통해 가맹 수수료율을 인하할 여력

을 확보하는 한편 형가맹 과 소형가맹 간의 수수료율 격차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 한 장기 으로 여 법상의 신용카드 거 수수료 부담

지 조항을 완화하도록 검토할 필요가 있다 사회 비용 축소를 해서는 체

크카드 비 번호방식 직불카드의 활성화도 필요하며 특히 직불카드는 은

행의 핵심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소형 신용카드 가맹점들을 중심으로 가맹점 수수료율이 높다는 불만이 높아

지고 있다 반면 신용카드사들은 누적손실을 감안하거나 평균적인 가맹점 수수료율을

감안할 때 현행 수수료율이 그렇게 높지 않다는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가맹점 수수료

율에 대한 불만은 정치권으로도 확산되어 일부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가맹점간 수수료

차별금지 등을 위한 여전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우

리나라의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체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가맹점 수수료 체계의

개선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21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가맹 수수료 체계 황

우리나라 신용카드의 기본(표준)가맹점 수수료는 1980년대 신용카드업이 국내에 정

착하기 시작한 초창기에 재무부가 업종별로 결정하여 왔으며 그 영향이 현재까지 지

속되고 있다 당시 기본수수료율은 국세청에서 업종별로 부과하는 ldquo소득표준율rdquo ldquo위

험부담rdquo 및 ldquo공익성 및 서민생활 밀접 업종rdquo 등을 고려하여 책정되었다 이에 따라 재

무부는 국민편의 업종 등에는 낮은 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유흥 및 호화사치 업종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수료율을 적용하여 당시 가맹점 기본수수료율이 업종에 따라 3

4 5 수준으로 각각 달랐다

이러한 가맹점 기본수수료율은 1999년까지 그대로 유지되어 오다가 금융위기에 따

른 가맹점의 매출감소 및 중산층 생활안정 필요성 정부의 신용카드 활성화 정책에 따

른 가맹점 반발 완화 등을 위해 수수료율이 25 이상인 업종에 대해 일률적으로 10

씩 인하됨으로써 주요 가맹점 수수료율은 각각 27 36 45가 되었으며 이후

약간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새롭게 나타난 대형할인매장이나 신용카드 활성화 조치 이후 신용카드를 받

기 시작한 종합병원 등과 같은 업종들에 대해서는 신용카드사에 대한 수익기여도 및

반발 완화를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수료율이 적용되었다

신용카드사는 이러한 기본수수료율을 기준으로 가맹점별로 매출액 불량매출발생

률 카드회사에 대한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차등 적용하는 수수료의 슬라이딩제를 마

케팅 차원에서 적용하고 있다

가맹 수수료율 련 주요 이슈

최근 가맹점들이 1980년대 이후 큰 변화없이 유지되어온 가맹점 수수료율에 대해

반발하는 것은 과거에 카드를 받지 않던 상점들이 신용카드의 사실상 결제의무화로

인해 불가피하게 카드를 받게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 신용카드를 받지 않아왔던 상점들은 주로 높은 가맹점 수수료율이 적용되며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5

이윤율이 낮은 소규모 상점인 경우가 많은데 가맹점 수수료율 조정 없이 카드결제를

사실상 의무화하면서 반발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가맹점들이 수수료율이

높을 경우 신용카드를 받지 않을 수 있었으므로 높은 수수료율 수준이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그러나 카드회원에 대한 부가서비스 확대 및 신용카드 활성화조치에 의해 고객의

카드선호가 높아지고 카드결제도 사실상 의무화되어 소규모 상점들도 카드를 받지 않

을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소형가맹점들을 중심으로 높은 가맹점 수수료 및 업

종간 격차가 큰 가맹점 수수료 체계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신용카드사의 입장에서도 영세가맹점의 경우 가맹점 수수료율이 높음에도 불구하

고 가맹점 수수료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으며 건당 거래규모가 낮아 역마

진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아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금리 인하와 대손비율 하락 등으로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여력이 발생하였으

나 협상력이 강한 대형 가맹점에 대한 수수료 및 회원 관련 서비스 수수료가 우선적으

로 인하됨에 따라 소형 가맹점들의 반발이 제기된 것으로 판단된다

대형마트에 대한 수수료율은 신용카드사간 경쟁에 따라 평균가맹점 수수료율(2006

년 기준 233)보다 크게 낮은 15대로 인하되었으며 이로 인해 소형 가맹점 수수료

에 대한 인하 여력이 약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대형마트는 2006년 카드사를 통한 카

드거래 중 취급건수 기준 165 취급거래액 기준 136를 각각 차지할 정도로 거래

규모가 크므로 이들 대형마트를 통한 카드사의 수수료 수익을 고려할 때 낮은 가맹점

수수료율을 적용하여도 높은 수익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맹점 수수료율 책정 시 발생원가를 그대로 적용한다면 대형 가맹점의 경우 거래

건당 규모가 큰 관계로 업무처리 및 관리비용이 낮아 낮은 수수료율 적용이 가능한 반

면 소형 가맹점에는 상당히 높은 수수료율이 책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카드사간

경쟁에 따른 대형마트에 대한 수수료율 인하는 가맹점 간 수수료율 격차를 확대하였

으며 소형 가맹점으로부터 반발을 일으키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신용카드사는 카드네트워크의 유지를 위해 수수료율 책정 시 카드회원과 가맹점의

균형과 함께 중소형 가맹점과 대형 가맹점 간의 균형도 고려하여야 하나 가맹점의 이

탈이 어려운 시장구조 하에서 이를 소홀히 한 것으로 보인다

21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신용카드사는 카드회원의 편의를 위해 소형부터 대형 가맹점까지 다양하게 구성된

가맹점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소형 가맹점이 이탈하지 않도록 대

형 가맹점과 소형 가맹점 간의 수수료율 격차를 너무 크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

므로 소형 가맹점에 대한 수수료율을 낮춰주어야 한다

또한 가맹점이 수수료율 수준에 불만을 가질 경우 가맹점 계약을 해지하면 되나 우

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중소형가맹점들의 가맹점 수수료율에 대한 불만이 높아짐에 따라 가맹점

수수료율에 대한 원가공개를 요구하기에 이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개선방안

먼저 가맹점간 수수료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과당경쟁에 따라 발생하는 과도한 마

케팅 비용을 감축함으로써 인하 여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카드영업비용에서 마케

팅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카드사별로 차이가 있으나 20~40이며 최근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마케팅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회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발생되는 비용으로 항공마일리지 적립비용 포인트 적립비용 외에 회원의

놀이공원 극장 주유소 등의 이용 시 할인제공으로부터 발생되는 비용으로 구성된다

신용카드사들의 마케팅 비용 축소는 카드회원의 과도한 신용카드 선호를 낮출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는 조세투명성 강화를 위해 상점들로 하여금 사실상 신용카드 가맹점가입

및 신용카드 결제를 강제하고 있으나 이를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현재

정부는 일정규모 이상의 사업자에 대해 신용카드 가맹점 가입을 유도하고 미가입 시

에는 세무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사실상 가맹점 가입을 강제하고 있다 또한 여전법 19

조 1항은 가맹점으로 하여금 신용카드 거래를 거절할 수 없으며 3항에서는 가맹점으

로 하여금 가맹점 수수료를 카드회원에게 부담시키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용카드 거절금지 및 부담금지의 경우 다른 나라에서는 비자 매스터 카드 등

신용카드네트워크사의 규정에 의해 금지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중장기적으로 신용카드의 거절 및 부담 금지 조항의 완화를 검토할 필요가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7

있다 이 조항을 완화할 경우 조세투명성 퇴보와 무자료거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간이과세자인 영세가맹점 또는 소액결제에 한하여 실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신용카드 거래로부터 발생되는 거래비용 축소를 위해 체크카드 및 비밀번호방식 직

불카드 이용의 활성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들 카드는 결제 시 지정된 예금계좌로

부터 대금이 즉시 인출됨에 따라 자금조달비용 대손비용 채권회수비용 연체관리비

용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과소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비밀번호방식 직불카드 결제는 체크카드와 달리 금융결제원 직불카드 공동

망을 통해 이루어지며 현재 가맹점 수수료율이 최저 1에서 최고 2 수준이어서 여

타 지급결제수단보다 저렴하다 비밀번호방식의 직불카드는 현재 사용규모가 축소되

고 있으나 이를 활성화할 경우 요구불예금 축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은행들의 저리

자금조달에도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21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신한경제연구소 소장(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1호(20071022)

국내 PEF GP의 현황과 향후과제

林 炳 喆

〈요 약〉

국내 PEF가 앞으로 더 큰 성장세를 보일 수 있을지 여부는 이제부터 향후

수년간 PEF들이 어떠한 성과를 보여 수 있는가에 의해 가름될 것이다 따라

서 PEF의 모든 투자결정을 주도하면서 성과에 결정 인 향을 미치는 GP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요하다 GP들은 자신들의 문성을 높이는 한편 투자성

과를 보여 으로써 LP와의 신뢰를 구축하는 노력을 극 개해야 한다 한편

최근 개인 는 외국법인이 국내 PEF에 GP로 등록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앞

으로 불필요한 논란의 소지를 없애기 해 GP에 한 최소 자격요건을 두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향후 PEF 산업의 발 을 해서는 능력있는 GP들이

다수 출 하여 선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한 GP 솎아내기는 결국 시장

에서 LP들에 의해 주도되어야 할 것이다

올해 말이면 국내에 바이아웃형 사모투자전문회사(이하 PEF Private Equity

Fund) 제도가 도입된 지 만 3년이 된다 국내 PEF의 규모를 살펴보면 2007년 8월말

현재 총 출자약정액이 7조 7000억원을 상회하고 출자이행액도 3조 5000억원에 육

박한다 아직 제도도입 초기인 점을 감안하면 그 간 매우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

고 있다고 평가된다 다만 기업을 인수한 후 인수기업의 가치를 제고하여 되팔음으로

써 투자자산을 회수하는 바이아웃형 PEF의 특성상 국내 PEF가 앞으로 더 큰 성장세

를 보일 수 있을지는 이제부터 2~4년간 PEF들이 어떠한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가에

의해 판가름될 것이다 따라서 PEF의 모든 투자결정을 주도하면서 성과에 결정적인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9

영향을 미치는 무한책임사원(이하 GP General Partners)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

한 때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내 PEF의 현황을 GP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국내 PEF

의 성장을 위해 GP에게 요구되는 과제와 GP의 선별과정에서 유한책임사원(이하 LP

Limited Partners)이 유념해야 할 이슈 등을 간략히 논해 보고자 한다

국내 PEF GP 황

PEF 제도가 도입된 2004년 12월부터 2007년 8월말까지 총 42개의 PEF가 금감위

에 등록되었다 이 중에서 이미 해산된 3개를 제외하면 현재 39개의 PEF가 활동 중이

다 이들 PEF의 GP로 30여개의 기관이 활발히 참여하고 있는데 이들을 세 부류로 대

분해 보면 금융회사 금융회사의 자회사 독립계회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GP로 참여하고 있는 금융회사를 살펴보면 제도도입 초기에는 주로 은행 증권

사 및 자산운용회사를 중심으로 GP참여가 이루어지다가 제도 완화와 함께 창투사 신

기술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 등으로 확대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산업은행 기업은

행 농협 등 은행과 대우증권 우리투자증권 SK증권 등 증권사 그리고 미래에셋맵

스자산운용 서울자산운용 KTB네트워크 솔로몬상호저축은행 등을 들 수 있다 이

들 금융회사들은 조직 내에 PEF 전담부서를 두고 GP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17~18개사의 금융회사가 23~24개 국내 PEF의 GP로 참여하고 있어 전체 국내 PEF

의 약 23 이상의 금융회사가 GP로 참여하고 있는 PEF로 분류된다

다음으로 PEF의 운용을 위해 금융회사에서 분사하여 독립법인으로 설립된 금융회

사의 자회사인 GP를 들 수 있는데 신한PE 우리PE 맥쿼리코리아오퍼튜니티즈운용

등이 이 부류에 속한다 현재 4~5개사가 PEF에 GP로 참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독

립적인 GP가 13~14개의 국내 PEF에 GP로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특정 금융회사 또

는 금융그룹에 속하지 않고 PEF운용을 전문으로 하는 독립회사들이다 HampQ AP

MBK파트너스 보고인베스트먼트 웅진캐피탈 등 10여개사가 현재 활동 중이다

22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PEF의 운용구조와 GP의 요성

PEF의 운용과 관련된 최종 의사결정은 GP가 담당한다 따라서 LP들이 출자한 자

금의 운용을 책임지고 있는 GP의 역할은 PEF의 성과도출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하

다 자금모집 투자대상의 선정 투자방식의 설계 인수기업의 가치 제고 투자회수

전략의 수립 및 이행 등 PEF 투자활동의 각 단계에 있어 GP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산업 전반은 물론 인수대상 기업들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LP들의 입장에서 보면 PEF의 투자활동에 대한 GP의 전문성과 역량은 LP들이 PEF에

대한 투자결정을 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작용한다 미국 등 선진국 PEF

의 경우 LP들이 자신의 돈을 맡길 GP를 선정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은 전문성

과거 투자실적 신뢰성 등에 기초한 GP의 명성(reputation)이라고 알려진다

현재 국내에서 활동 중인 GP들은 국내 PEF산업이 아직 초기에 있는 만큼 자신들의

전문성과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모회사 또는 과거

유사경력 등에 힘입어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국내 PEF들의

투자가 더욱 본격화되고 투자성과의 실현도 점차 가시화되기 시작한다면 국내 PEF

및 GP간의 차별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향후 시장에서 잠재적 LP들의

선호가 일부 GP들로 쏠리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GP로서의 경쟁력 강화를 한 핵심과제

국내 PEF들의 투자집행이 아직 현재 진행형인 상황에서 국내 GP들간의 성과 차별

화를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일 것이다 따라서 성과에 대한 부분은 논외로 한다 하더라

도 GP로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음과 같은 이슈의 중요성은 강조되어야 한다

우선 GP가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경쟁력 요소는 전문성이다 기업을 인수한 후 기

업가치를 높이고 이를 되팔아 투자수익을 추구하는 PEF의 활동영역은 고도의 전문성

을 요구하는 전문분야이다 따라서 PEF는 타 간접투자기구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영

역을 가진 하나의 전문산업으로 인식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PEF의 운

용을 주도하는 GP의 전문성 제고는 아무리 강조되어도 모자랄 것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1

전문성과 더불어 강조되어야 할 또 다른 요소는 연속성이다 PEF의 투자활동은 통

상 5~10년이라는 상당히 긴 기간동안 이루어진다 따라서 GP로 참여하는 기관의 구

성원이 하나의 딜을 처음부터 끝까지 마무리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같은 기간동안 근무

의 연속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물론 GP로서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서도 스태프 멤버들

의 근무의 연속성은 충족되어야 할 전제조건일 것이다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경우

임직원들의 순환 근무가 일반적인 상황인데 GP업무를 수행하는 PEF 담당 부서의 경

우 업무의 특성을 고려하여 순환배치원칙의 적용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GP는 기존 LP는 물론 시장의 잠재 LP들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LP들의 GP에 대한 신뢰는 GP의 전문성과 역량에 대한 믿음 투자활동 과정에

서의 긴밀한 협조와 관계 유지 GP의 투명한 투자집행 등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장

기간에 걸쳐 형성된다 금융회사의 GP 참여가 활발한 우리나라의 경우 LP들의 GP에

대한 신뢰형성과 관련하여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이해상충 방지체제의 중요

성이다 기존에 금융업무를 영위하고 있는 금융회사가 PEF의 GP일 경우 PEF의 투자

활동 과정에서 금융회사의 기존 업무와 이해상충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PEF 담당부서와 타 업무부서와의 이해상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화벽을 설

치하고 GP로서 의사결정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한편 이를 LP들이 확

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GP 련 일부 제도 보완이 필요

최근 시장에서는 기관이 아닌 개인이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국내 PEF의 GP

로 등록하려는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물론 현재 개인이 PEF의 GP가

되는 데에 아무런 법적 제약은 없는 상태이다 다만 PEF 업무의 특성상 개인이 투자

대상의 물색 투자구조의 설계 인수기업의 가치 제고 재매각 등 일련의 투자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전문성을 갖기는 쉽지 않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PEF 투자활

동의 위험을 개인이 감당하고 무한책임을 진다는 것 자체가 무리라고 볼 수도 있다

한편 국내에 법인으로 존속하지 않는 외국계 법인이 국내 PEF의 공동 GP로 등록하

려는 시도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경우에도 현행법에 해외소재 외국기업

22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 국내 PEF에 GP로 참여하는 경우와 관련된 조항이 없어 논란의 소지가 존재한다

다만 국내에 존재하지 않는 외국기업에 대한 감독권행사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국소재 법인의 GP 등록은 현행 PEF 관련 법규의 제정취지에도 부

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행법에 GP의 최소 자격요건규정 등을 두어

불필요한 논란의 소지를 없애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GP 솎아내기를 한 LP의 역할

GP의 전문성과 능력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PEF 산업이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발

전하기 위해서는 능력있는 GP들이 다수 출현하여 산업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어야 한

다 이를 위해서는 시장에서 GP를 솎아내는 작업이 꾸준히 진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의 주체는 결국 LP들이 될 수밖에 없다 제도적으로 GP의 최소 자격요건을 두는

것은 GP 솎아내기의 출발점은 될 수 있지만 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다 따라서 LP들이

자신들의 자금을 맡기는 GP를 선정함에 있어 GP가 쌓아 온 명성(reputation)을 중시

하는 시장의 관행이 정착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관행은 국내 GP들이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면서도 자신들의 전문성을 높이고 LP와의 신뢰를 쌓으려는 노력을 꾸준히 전개

하고자 하는 유인을 제공할 것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2호(20071029)

벤처캐피탈시장의 발전과제

具 廷 翰

〈요 약〉

미래의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주도할 원동력이라는 면에서 벤처기업 육성이

요하다 벤처기업은 자 조달에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으므로 벤처기

업의 육성을 해서는 벤처캐피탈시장의 활성화가 요하다 벤처버블 붕괴

이후 정부의 다양한 노력으로 벤처캐피탈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장

기 으로 자생력을 확보하기 해서는 기 투자가의 시장참여 확 기 기업

에 한 투자 확 MampA 활성화를 통한 투자자 회수수단의 다양화가 선결

되어야 할 것이다 투자자 회수수단의 다양화는 자 선순환구조의 정착

기기업에 한 투자 확 를 유도하기 해 필요하고 기 투자가의 시장참

여 확 를 유도하기 해서는 모태펀드의 심사 선별능력이 좋은 평 을

유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고기술 보유기업과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은 과거 대기업 위주의 경제성장 한계를 극

복하고 미래의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주도할 원동력이라는 점에서 이들 산업의 육성

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업들은 규모의 영세성 낮은 인지도 등으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정부는 여러 가지 조치를 통해 벤처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 보완작업을 추진해 왔으

나 아직 벤처캐피탈시장에서 민간중심의 시장이 형성되었다고 보기 힘들다 현재 벤

처캐피탈시장에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가운데 장기적으로 시장의 효율성 제고 및

시장발전을 위해 민간중심의 자생력을 키우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22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본고는 벤처캐피탈시장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시장발전을 위한 향후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벤처캐피탈시장의 형성과 정부의 역할

정부는 고위험 정보 비대칭으로 인해 은행으로부터 자금조달이 어려운 중소벤처

기업에 대해 지분투자 형식으로 자금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벤처캐피탈의 필요성을 인

식하였고 1986년 5월「중소기업창업지원법」을 제정하여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

자업무를 주도적으로 담당할 창업투자회사의 설립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동년 12월

에는「신기술사업금융지원에관한법률」을 제정하여 신기술 및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신기술사업금융업자를 육성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

였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정부는 지식정보기술의 중요성 고용창출의 필요성 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서 벤처기업의 중요성을 감안하여「벤처기업육성을위한특별조치법」을

제정하였고 적극적인 벤처기업 육성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벤처기업에 대한 지나친

관심과 기대로 벤처기업 투자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벤처버블이 발생하였다

2000년 하반기 벤처버블이 붕괴된 이후 벤처투자가 급속히 축소됨에 따라 2004년

12월 정부는「벤처기업 활성화대책」을 발표하였고 그후 벤처캐피탈시장은 뚜렷한 회

복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2005년 4월 개정된「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에 근

거하여 한국모태펀드가 설립되었고 2009년까지 총 1조원 규모가 정부재정 및 기금을

통해 조성되어 30년간 운용되도록 하였다 모태펀드는 벤처캐피탈 회사가 설립한 투

자조합에 출자하는 재간접펀드(Fund of funds)로서 그 규모나 공공성이 강한 성격상

향후 벤처캐피탈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2006년 들어 정부는 벤처캐피탈시장의 안정적인 성장기반 확충을 위해 시장중심의

벤처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벤처캐피탈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는 등 꾸준히

벤처캐피탈시장을 보완함에 따라 동 시장은 최근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5

벤처캐피탈시장 황

현재 벤처캐피탈은 신기술금융회사와 창업투자회사의 이원화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2000년 벤처캐피탈의 신규투자 규모가 2조원을 상회하였으나 벤처버블 붕괴

이후 벤처캐피탈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면서 신규투자실적은 2004년 7770억원으로 축

소되었다 그러나 2004년 12월 정부의「벤처기업 활성화대책」이후 그 규모는 2005

년 2006년에 각각 9577억원 1조231억원으로 대폭 확대되었다

2006년 창업투자회사의 업력별 신규투자 비중을 살펴보면 창업 3년 이내 기업에

대한 투자비중은 303 3년sim7년 기업에 대한 비중은 508 7년 초과 기업에 대한

비중은 189로 창업초기기업에 대한 투자보다 창업중기기업에 대한 투자비중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말 운영 중인 350개 투자조합에서 납입기준으로 정부 및

지자체가 출자자로서 차지하는 비중은 244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기금과

기관투자가를 합한 비중은 292로 미국 유럽의 50를 상회하는 수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캐피탈의 투자자금 회수시장은 크게 코스닥시장 IPO와 MampA로 나눌 수 있는데

국내 벤처캐피탈의 MampA를 통한 투자자금 회수는 10 정도 수준에 머물러 있어 자금

회수를 위해 대부분 코스닥시장 IPO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의 경우

2006년 건수 기준으로 MampA를 활용한 투자자금 회수 비중이 85 수준으로 우리나라

와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06년 동안 미국에서 벤처캐피탈 지원을 받은 기

업의 평균 IPO 금액은 09억달러이고 동기간 벤처캐피탈 지원을 받은 기업의 평균

MampA 거래금액은 11억달러를 기록하여 규모면에서도 MampA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캐피탈시장에서의 문제

앞서 현황에서 나타났던 벤처캐피탈시장의 문제점은 크게 투자자금 형성단계 투자

단계 투자자금 회수단계로 구분하여 표현할 수 있다

투자자금 형성단계에서는 기관투자가의 비중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관투자가

가 투자조합에 출자를 확대하면 투자조합의 자금운용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로 시장의

22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건전성을 제고할 수 있고 시장에서는 안정적인 투자재원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

으나 현재 국내 금융회사들의 벤처투자 규모는 선진국에 비해 저조한 편이다

투자단계에서의 문제점으로는 투자조합의 짧은 만기로 인해 초기기업에 대한 투자

유인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미국의 경우 투자조합의 평균 존속기간이 10년

정도인 반면 우리나라는 평균 5년 정도이다 초기기업의 경우 투자자금 회수를 위한

IPO까지 상당 기간이 소요됨에 따라 자금회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초기기업에 대한

투자유인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초기기업은 사업의 성공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으

므로 벤처캐피탈이 초기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기피하고자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투자자금 회수단계에서의 문제점은 투자자금 회수수단이 대부분 코스닥시장 IPO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국내 벤처캐피탈의 한정된 투자자금 회수수단은 원활한 자

금회수로 자금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벤처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자금의 선순환 구조

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금 회수수단의 다양화는 시장의 안정적 성장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향후 과제

침체되었던 벤처캐피탈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은 최근의 회복세를 감안

할 때 성공적이었던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서 정부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에 따라 장기적으로 민간 주도의 자생력을 제고하여 시장이 안정적인 단

계로 진입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직접적인 시장개입을 확대하기보

다는 제도관행의 개선을 통해 민간부문의 참여 확대를 도모하고 시장실패가 지속적

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문에서 정부의 역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창업초기기업

에 대한 투자는 리스크가 크고 자금회수의 불확실성이 높아 민간부문의 자발적 시장

참여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시장실패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초

기기업에 대한 벤처캐피탈시장에서 정부의 지속적인 역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투자조합의 평균 만기가 5년으로 짧음에 따라 투자자금 회수를 위해 주된

투자대상이 창업 중기 또는 후기 기업으로 집중될 수 있다 2005년 6월 정부의「벤처

활성화 보완대책」에서 창업 3년 미만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조합에 대해 모태펀드의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7

출자비율을 높이는 등 초기기업 투자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

러나 근본적으로 자금회수에 대한 리스크가 큰 초기기업에 대한 민간부문의 자발적

투자 확대는 한계가 있으므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더불어 투자자금 회수수단의

다양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금년 6월 정부는「제2단계 기업환경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하여 상호저축은행이 일

정 한도 내에서 벤처펀드에 출자 가능하게 하였고 은행보험사도 금감위 승인 후 벤

처펀드의 15 이상 지분을 보유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였다 이에 따라 금융회사

들의 벤처투자가 어느 정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관투자가의 벤처캐피탈시장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제도적 개선과 더불어 향후 모태펀드의 역할이 중

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모태펀드가 심사 및 선별능력에서 좋은 평판을 유지한다면 경

기후퇴기에도 모태펀드의 투자가 시그널로 작용하여 기관투자가의 벤처캐피탈시장

참여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자금 회수수단의 다양화는 벤처캐피탈시장의 자생력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데

이를 위한 방안으로 MampA 활성화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의 높은 경영권 프리미엄

적대적 MampA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이 MampA 활성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와 더불

어 기업들이 기술력을 갖춘 벤처기업에 대한 MampA를 통해 기술을 확보하는 것보다 해

당 기업의 핵심인력을 유치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어 MampA를 저해할 소

지가 있다 따라서 핵심기술에 대한 특허권 강화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이러한 관행

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22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44호(20071112)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주식의 상장과 정책과제

姜 鍾 萬

〈요 약〉

최근 논의되고 있는 거래소 주식의 상장은 세계 인 추세로 거래소의 지배

구조 개선 국제화 성장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 된다 하지만 상장

후 주주이익을 한 과도한 수익성 추구로 거래소의 공익성이 훼손되고 거래

소가 수행하는 매매체결기능과 청산기능 간의 이해상충으로 과도한 사회 비용

이 발생할 수 있다 재 원가를 고려하지 않고 독 으로 결정되는 거래소

수수료가 상장 후 정수 에서 결정되기 해서는 시장효율화 원회 제도의

개선 수수료 체계의 개편 등 수수료 결정과정에 한 근본 인 개선이 필요하

다 한 매매체결기능과 청산기능 간의 이해상충 문제를 해소하고 동북아지역

청산업무의 연계체계 구축에 비하기 해 청산기 을 설립하여 청산기능을

거래소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그리고 자연독 특성이 강한 청산업무와

결제업무의 공익성을 확보하기 해 청산기 과 결제기 의 소유구조는 이용

자 주로 조정하여 리인비용을 최소화하고 이들 기 에 한 융감독 강화

와 함께 외부기 에 의한 경 감시기능 도입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한국증권선물거래소(ldquo거래소rdquo) 주식의 상장 문제가 대두되면서 거래소의 공익

성 확보 및 증권 관련 기관의 적절성 효율성 등에 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자본

시장통합법 제정에 따라 우리나라 증권업은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

다 하지만 증권 관련 인프라가 국제기준에 미흡한 부분이 있고 운영효율성도 낮아

국내 증권시장의 선진화를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9

거래소 주식의 상장과 관련된 공익성 확보방안과 청산기능 결제기능 등 증권 관련 인

프라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거래소 주식의 상장 필요성 문제

증권거래소 선물거래소 코스닥증권시장 등 국내 거래소를 통합할 때 해외 거래소

와 연계를 촉진하고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거래소 소유구조를 회원제에서 주식

회사로 전환하였다 그 다음 주식회사의 제도적 이점을 적극 활용하려면 거래소 주식

의 상장이 필요하고 이는 세계적인 추세에도 부합한다

일반적으로 거래소 주식의 상장은 거래소의 소유지배구조 개선 국제화 및 성장기

반 구축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주식이 상장되면 외부주주 등에 의한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 촉진되어 거래소의 비용효율성 제고에 기여한다 또한 중장기적으로

거래소 수수료의 적정화를 통한 증권거래비용의 최소화와 이용자 편익의 극대화 등을

촉진하여 거래소가 국제 경쟁력이 있는 자본시장 인프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장 이후 기존주주와 달리 거래소 업무와 직접 관련이 없는 소액주주 및

외국인주주의 영향으로 거래소가 주주이익 극대화를 위해 과도하게 수익성을 지향한

다면 증권 관련 인프라로서 거래소의 공익성이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거래소는

법률상 증권매매체결 등에 관한 독점기관이므로 과도한 수익성 지향은 독점이익 발생

을 촉진하게 된다 더구나 독점적 특성을 갖는 증권거래의 청산기능 결제기능 등이

상장 이전에 적절히 조정되지 않는다면 향후 이들 기능에 관한 관련기관 간 분쟁으로

과도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해 거래소는 증권의 매매체결 및 청산업

무를 증권예탁결제원은 결제업무를 독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증권거래량 급증과

증권거래의 국제화 추세에 따라 다자간 차감제도와 청산기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

어 세계적으로 청산기관은 독립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청산기관은 증권거래에서 집중거래상대방(Central Counter Party) 기능과 청산기

능을 수행하고 있다 청산기능은 유가증권 매매거래 이후의 매매확인 차감 등 최종적

으로 인수 및 인도할 증권과 대금을 확정하는 절차로서 매매체결과 결제의 중간과정

23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다 또한 청산기관은 증권거래의 매도자 및 매수자에 대한 거래상대방으로서 결제

이행을 보증하고 증권거래와 관련된 신용위험을 인수한다

따라서 시장의 유동성 확대를 모색하는 거래소의 매매체결기능과 달리 청산기능은

시장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중시하므로 두 기능 간에는 이해상충 문제가 발생하게 된

다 그런데 우리나라 거래소는 매매체결기능과 청산기능을 독점적으로 함께 수행함에

따라 수수료 체계의 불분명성과 두 기능 간의 이해상충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거래소 독 이익의 억제 공익성 확보

현재 거래소 수수료는 재정경제부에 설치된 시장효율화위원회의 심의 후 거래소 이

사회에서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수수료 결정에 관한 공익성은 외견상 어느 정도 확보

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소 협회 등 이해관계기관의 대표자가 시장효율화위원회 위원

의 과반수를 차지하여 이해관계자들의 수수료 결정에 대한 영향력은 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거래소 수수료는 거래소의 주된 수익원으로 수수료 결정은 거래소의 수익 확보와

증권투자자의 증권거래비용 최소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미국 증권거래소의

수수료는 거래주식 수를 기준으로 책정되어 주가등락으로 인한 수수료 수입의 변동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거래소의 수수료는 거래금액을 기준으로 부과되어

주식거래 관련 인프라 구축 및 운용의 실질비용과 관계없이 주가 상승에 따라 수수료

가 증가한다 즉 현재 거래소 수수료는 독점적인 이점을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원가를

고려하지 않으며 거래소의 독점이익 발생을 유발하고 있는 것이다

거래소 주식의 상장 이후에는 수수료 결정에 관한 거래소의 영향력이 증대되어 독

점이익 발생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거래소와 유사하게 독점적 특

성을 갖는 결제기관 수수료에 대한 분석은 증권관련 인프라의 독점이익 발생이 과도

함을 시사하고 있다 2004년 분석에 의하면 유럽 결제기관의 결제비용은 미국의 35

배 내지 9배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사적영리를 추구하는 독점적 민간기관

인 유럽 결제기관들이 공익위주로 운영되는 미국 결제기관에 비해 수익성 확보를 위

하여 높은 결제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31

따라서 거래소 주식의 상장 이후에는 거래소의 공익성 유지와 관련하여 수수료가

적정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도록 시장효율화위원회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거래소의 독점이익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증권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한 실질비용에

근거하여 수수료를 결정하여야 하며 거래주식 수 또는 거래 건수를 기준으로 수수료

를 책정하는 수수료 체계의 근본적인 개편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거래소 주식이 상장되면 거래소 회원이 아닌 일반투자자나 외국인투자자들은

주주로 참여하기 때문에 거래소 지배구조에 근본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일반주주가

거래소의 주요주주가 되는 경우에 거래소 경영진은 주주이익 극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거래소의 독점이익 추구 성향은 강화될 것이다 따라서 거래소의 공익성 확보를 위해

주주구성 변화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독점이익 추구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청산 결제 기능의 개편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관련 법률에 의해 증권의 매매체결기능 및 청산기능은

거래소가 결제기능은 증권예탁결제원이 수행하도록 명시되어 청산기능과 결제기능

에 관한 논쟁은 정리되었다 거래소와 증권예탁결제원 간의 2006년 합의에 따르면 청

산기능은 증권 매매거래의 확인 채무인수 차감 결제증권 및 결제금액의 확정 결제

이행보증 결제불이행 처리 및 결제청구를 의미하며 결제기능은 증권 매매거래에 따

른 증권인도와 대금 지급 및 결제이행과 불이행 결과의 통지 등으로 정의하였다

하지만 거래소는 증권예탁결제원의 대주주이므로 향후 거래소 주식이 상장된 이후

에는 거래소의 증권예탁결제원에 대해 영향력 행사로 분쟁이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

즉 일반주주가 지배하는 거래소가 증권예탁결제원에 대해 부적절한 지배권을 행사하

면 예탁기능의 공익성이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거래소의 증권예탁결제원에 대한 영

향력을 축소시키기 위해 거래소가 보유하고 있는 증권예탁결제원 지분은 사전에 정리

되어야 할 것이다

거래소가 매매체결기능과 청산기능을 모두 수행할 때 발생하는 두 기능 간의 이해

상충 가능성은 상장 이후에 더욱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거래소 주식의 상장과 관련하

23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여 청산기능은 거래소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더구나 동북아지역 거래소간 업무연계

를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증권거래 관련 각국 청산업무의 통합 또는 업

무연계 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거래소 청산기관 결제기관 등 증권관련 인프라의 구축 방법으로는 수직적 구조와

수평적 구조가 있다 수직적 구조에서는 청산기관과 결제기관이 거래소 또는 지주회

사의 자회사로 수평적 구조에서는 거래소 등으로부터 독립된 기관으로 존재한다 독

일 금융당국의 연구에 의하면 수직적 구조는 국제화된 금융시장에서 거래소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 위험을 완화할 수 있으나 거래소 수수료와 청산 및 결제 수수료 결

정과정을 불투명하게 하여 증권거래 관련 시스템의 운영효율성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영국 독일 등 유럽 국가들은 증권의 청산과 결제 기관들을 각각 별도로 설립하여

이들 업무를 분리하고 있다 일본도 청산기관을 설립하여 도쿄 거래소 등 거래소들이

자체적으로 수행하던 주식매매 관련 청산업무를 2003년 1월부터 거래소로부터 분리

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선진국 사례를 감안하여 독립된 청산기관을 설립하여 청

산기능을 거래소로부터 독립시키고 동북아지역 청산업무의 연계체제 구축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산업무와 결제업무는 업무의 특성상 규모의 경제효과가 크므로 자연독점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청산기관과 결제기관의 소유구조를 이용자 위주로 개편함으로써

주주와 경영자 간의 대리인 비용은 최소화하고 업무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긴밀한 상

호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이들 기관의 독점이익 발생을 억제하고 공익성

을 제고하기 위해 금융감독 강화와 함께 외부기관에 의한 경영감시기능 도입도 검토

할 필요가 있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3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9호(20071217)

최근 유동성사정 악화의 교훈과 과제

金 東 煥

〈요 약〉

자산가격 거품의 형성과 붕괴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성 과부족 상은 시장

이 자율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다만 자본시장에 한

신뢰의 손상이 신용경색으로 확산되는 최근의 융사정을 감안할 때 은행과

융당국은 차 한 시 과제인 유동성 리에 만 을 기해야 하며 비은

행 융회사에 지 결제 업무를 허용하는 문제에 해서도 신 을 기할 필요가

있다 향후 본격 으로 개될 투자의 시 에는 은행으로 하여 자본시장의

주요 이어가 되도록 유도하고 수요 시형 유동성 리 방안을 강구하도록

독려할 필요가 있다 개별 은행 차원에서 해결되지 못한 유동성문제는 앙은

행이 RP거래 상 증권을 확 하는 등의 수단을 통해 처리하면 된다

유동성 문제 발단의 배경

올해 벽두부터 유동성 문제로 시끄럽던 경제가 세밑까지 유동성 문제로 뒤숭숭하

다 부동산버블 논쟁을 불러일으킨 과잉유동성에서 시작하여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유동성 축소 내지 신용경색 심화에 이르기까지 유동성의 과부족으로 인한 여러 가지

부작용이 일파만파로 확산되면서 금융시장을 동요시키고 서민들의 이마에까지 깊은

주름살을 남기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번의 유동성 사태를 세계 대공황의 전조(前兆)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호들갑을 떠는 이들도 간혹 눈에 띄어 연말의 들뜬 분위기를

차분히 가라앉히고 있다

23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기억에 새롭겠지만 올해초 금융당국은 LTVDTI 규제 동일차주에 대한 대출건수

규제를 통해 부동산투기에 쐐기를 박고 금융회사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정책

금리 대신 지급준비율을 인상하여 과잉공급된 유동성을 흡수하되 대출금리 인상을 가

능한 억제하여 소비와 투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전력을 기울임

으로써 과잉유동성 문제로 불거진 부동산버블 논쟁에 종지부를 찍은 바 있다 그 결과

부동산시장은 안정을 되찾았고 부동산으로 몰리던 시중자금은 자연스럽게 주식과 펀

드시장으로 이동하면서 ldquo투자의 시대rdquo의 서막을 올리는 데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연

10 이상의 부동산가격 상승률을 시현하던 미국영국호주 등 선진국의 연이은 정

책금리 인상은 기대했던 부동산시장의 연착륙 대신 서브프라임 사태와 글로벌 신용경

색 현상을 촉발하여 새롭게 열린 투자의 시대에 암울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본고

에서는 유동성 문제 뒤에 가리어진 몇 가지 중요한 이슈들을 살펴보고 향후의 과제에

대해 논한다

시장의 자율조 기능은 실패하고 있나

일 년이 채 지나기도 전에 천당(과잉유동성)과 지옥(신용경색)을 경험하고 있는 작

금의 경제현실을 두고 혹자는 머니게임의 장으로 전락해 버린 자본주의 시장의 한계

와 실패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일부 금융회사의 투자실패가 대규모 외부불경제를 낳

아 글로벌 마켓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는 만큼 각국 재무성 및 중앙은행의 정책 공조를

통한 시장개입이 필요함을 주장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2000년대 IT거

품 붕괴rarr정책금리 인하rarr과잉유동성rarr부동산거품rarr정책금리 인상rarr부동산가격 하락

rarr서브프라임 사태rarr신용경색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가격조정 과정을 시장의 한계나

실패로 규정하기에는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다 오히려 금리인하 등을 통해 실패한 투

자자를 구제하는 방식의 시장개입은 거대 자본가를 보호하고자 하는 중상주의적 사고

(思考)와 다를 바 없을 뿐만 아니라 투자자의 자기책임 원칙을 훼손하고 정상적인 가

격조절 기능을 왜곡하여 오랜 기간 시장을 실패하게 하는 또 다른 원인이 될 수도 있

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35

자산가격 버블 인 우려는 없는가

서브프라임 사태 등의 여파와 부동산투기 근절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정책의지 등

에 힘입어 부동산 투자에 대한 매력은 크게 떨어지고 있다 또한 시중자금이 주식 등

증권으로 대거 편입되어 투자의 시대가 막을 올렸다고는 하나 종전과 같은 투자열풍

이 지속될 모멘텀은 약화되고 있다 자본시장이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는 한 증권은 유

동성을 흡수하는 블랙 홀(black hole)에 지나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

이다 이렇듯 부동산과 증권이 재테크 수단으로서 매력을 상실하고 있는 가운데 글로

벌 신용경색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적어도 당분간 자산가격 버블을 걱정할 필요는 없

어 보인다 오히려 현 단계에서는 버블붕괴와 인플레가 동시에 진행되지 않도록 위기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등장한다 왜냐하면 원유 및 원자재에 대한

투기적 수요로 코스트 푸쉬형 인플레이션이 진전될 가능성이 큰 가운데 신용경색과

버블붕괴로 인해 소비와 투자 등 총수요가 크게 위축될 경우에는 경기가 스태그플레

이션 국면을 거쳐 ldquo잃어버린 10년rdquo 동안 일본이 경험했던 디플레이션 국면으로 급격

히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통법은 정 로 시행되어야 하는가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글로벌 투자은행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떨어지고 주식이나

채권에 대한 투자열이 식어감에 따라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 일정에도 차질이 생기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자본시장통합법은 예정대로 시행될 필

요가 있다 왜냐하면 서브프라임 사태는 진정한 매매(true sale)나 도산격리(bankruptcy

remote) 원칙을 무시한 채 신용파생상품에 의존하는 왜곡된 자산유동화가 결국은 금

융회사의 건전성 및 유동성은 물론 투자자 보호에도 한계가 있음을 교훈으로 남기고

있으며 자본시장통합법의 기본취지는 원칙을 중시하는 포괄주의 규제개혁을 통해 자

본시장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투자자보호를 강화하여 자본시장의 신뢰성을 높임으

로써 자본시장을 한층 업그레이드 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다만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의 손상이 신용경색 현상으로 확산되는 최근의 금융사정

23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을 감안할 때 증권사 등 비은행금융회사에 지급결제 업무를 허용하는 사안에 대해서

는 신중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은행으로부터 비은행금융회사로 이전

되는 예수금은 기업과 산업에 대한 대출재원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예수금이 줄어들

게 되는 은행 역시 그만큼 대출여력을 상실할 것이며 이 때 발생하는 은행-비은행금

융회사간 예수금 유치를 위한 금리인상 경쟁은 이들 금융회사의 경영을 압박하는 소

모전으로 변질되어 신규대출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작금의 신용

경색 현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비은행금융회사에 대한 지급결제

업무 허용은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을 훼손하고 나아가 체계적 위험(systemic risk)을

확산시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체계적 위험이란 하나의 사건(쇼크)이 금융시스템

에 대한 신뢰를 손상시킴으로써 실물경제에 심각한 정도의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

능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은행 심 경제시스템은 여 히 유효한가

최근 신용경색 현상이 심화되고 시장금리가 치솟아 금융시장이 동요하는 것은 유동

성관리에 실패한 은행들이 금융채와 CD를 대량 발행한 데에 기인한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은행들은 수익을 올리는 데에만 급급한 나머지 자금중개와 사회

적 책임투자(SRI) 등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소홀하였다는 비판을 받아 온 터였

다 이와 같은 비판들은 은행중심 경제시스템이 경제의 은행의존도를 높이고 자본시

장의 발전을 저해하여 은행의 자금중개기능 약화가 곧장 실물경제 침체로 이어지고

실물경제 침체가 (은행의 자산건전성 및 수익성을 악화시켜) 또다시 자금중개기능 약

화로 악순환하는 구조적 취약성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자 자본시장통합법을

예정대로 시행해서 금융투자회사를 중심으로 자본시장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당위론

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이와 같은 비판이 은행중심(또는 관계지향형) 경제

시스템이냐 아니면 자본시장중심(또는 시장지향형) 경제시스템이냐 하는 양자택일식

논의로 비약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은행중심 경제시

스템의 장기협력적 특성과 자본시장중심 경제시스템의 단기경쟁적 특성을 동시에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37

살리기 위해 자본시장을 확대 발전시키되 은행으로 하여금 자본시장의 주요 플레이어

가 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는 일본으로 하여금 잃어버린

10년의 장기불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했던 힘의 원천이기도 하다

유동성 리는 어떤 방향으로 해야 하는가

주지하다시피 최근 은행들이 금융채와 CD를 대량 발행한 까닭은 증권사의 CMA 등

으로 핵심예금이 빠져나간 가운데 유동성비율 규제로 콜자금 차입이 곤란했기 때문이

다 이와 같은 예금이탈 추세가 앞으로 언제까지 지속될지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국내

외 투자환경(주식 채권 및 펀드시장 상황)에 따라 단기 시중자금의 유출입 규모가 크

게 변동할 것이 분명한 만큼 은행들은 유동성관리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유념해야 할 것은 유동성관리의 초점이 유동성 공급의 과부족 규모를 최소화하는 데

있으며 과부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어디까지나 유동성 수요에 있다는 점이다 다

시 말하여 이는 수요중시형 유동성관리가 필요함을 의미하는바 공급계획에만 초점을

맞춰 자금을 조달하는 것은 쓰지도 못할 실탄을 잔뜩 창고에 쌓아두는 것과 마찬가지

로 유동성관리 비용(기회비용 포함)만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서브프라임 사태로 투자환경이 불투명해졌지만 투자의 시대는 이제부터 시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투자의 시대의 특징은 위험(risk)과 수익(return) 기회가 공존하

고 투자 대상이 되는 자산의 가격이 큰 폭으로 변동하며 그때마다 유동성의 과부족

상태가 반복된다는 점에 있다 그만큼 투자의 시대에는 자산가격의 일일 변동에 일희

일비하지 않는 다소 모험적인 경영마인드가 요구되는 동시에 위험을 철저히 관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전술한 수요중시형 유동성관리는 투자의 시대에 적합한 자산부채

관리(ALM)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수요중시형 유동성관리는 필요한 만큼의

자금이 필요한 시점에 조달될 수 있는 부채구조 수요자의 요구에 즉시 대응하여 원금

이 확실하게 보장되는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산구조를 필수요소로 하기 때문이

다 물론 개별 은행의 수요중시형 유동성관리로 커버되지 않는 유동성의 과부족은 지

급결제시스템의 최종 책임자인 중앙은행이 해결해야 할 몫인바 차제에 중앙은행은

은행이 발행한 금융채를 RP거래의 대상으로 포함하여 시중유동성과 금리를 조절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만하다

23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맺음말

외환위기는 국내 금융회사로 하여금 위험과 수익의 존재와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그 이후의 금융구조조정은 국내 금융회사의 건전성과 수익

성을 개선시키고 금융산업을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국내 금융회사들은

외환위기와 구조조정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지나치게 위험을 회피하려 하

는 보수적 성향이 몸에 배어 단기 안전자산과 소매금융을 선호하는 대신 위험투자와

장기 기업금융을 회피하여 실물산업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

게다가 현재 우리 금융산업은 수익구조나 비즈니스 모델 등의 측면에서는 개선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고 실물산업 역시 성장동력을 잃고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샌드위

치 신세가 되어가고 있다 작금의 유동성 문제는 우리경제가 당면한 이와 같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는바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금융회사와 금융당국의 지혜가 필

요하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1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1호(2007312)

최근 원화의 약세반전에 대한 일고

朴 海 植

〈요 약〉

2000년 이후 원화는 지속 으로 상되었다가 최근 원화환율이 상승세로

반 되면서 이를 세 환으로 해석하려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원화의 약세

반 을 세 환이라기보다는 일시 인 조정의 결과로 해석하는 것이 훨씬

타당하다고 본다 2000년 이후 원화강세를 주도하 던 요인들이 그 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상수지 자가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

로벌 달러화 약세기조가 국면 환까지 이끌어낼 가능성이 낮아 보이며 국

내 외환시장의 달러화 공 우 도 로벌 유동성이 크게 축되지 않는 상태

에서 소폭 감소에 그칠 망이다 따라서 원화는 재의 조정국면을 거치고

나면 다시 완만한 강세로 환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최근 원화환율의 동향

2000년 이후 원화의 대미 달러 환율(연평균 기준)은 2001년을 제외하고는 2006년

까지 7년 간 하락세를 지속하였다 2000년중에 전년대비 498 하락한 원달러 환율

은 이듬해 전년대비 1413 상승하였으나 그 후 하락세로 반전되어 2005년중에는 전

년대비 1046 하락함으로써 최대 낙폭을 기록하였다 2006년중에도 원달러 환율은

하락세를 지속하여 전년대비 675 하락하였다

이러한 원화의 대미 달러 절상기조로 원화가 상대적으로 큰 폭 절상되어 원화가 아

시아 주요 수출경쟁국 통화에 대해서도 절상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원화의 대미 달

24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러 절상폭이 가장 컸던 2005년중에 원화는 일본 엔화 대만 달러화 싱가포르 달러화

태국 바트화 등에 대해서도 각각 1236 673 894 1048 절상되었다 아시

아 주요 수출경쟁국 통화에 대한 원화의 절상추세는 2006년중에도 지속되어 이들 통

화에 대한 절상률이 평균 약 402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2007년에 들어서면서 원화의 절상기조가 주춤하는 모습을 보여 향후 원화

의 약세전환에 대한 기대가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연초 925원대에서 출발한 원달

러 환율은 2월말 현재 935~940원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처럼 원달러 환율이

상승세로 반전된 가운데 엔달러 환율이 하락세를 유지(2007년 2월말 현재 -063)

하자 시장일각에서는 지난해 908나 하락한 원엔 환율이 더 이상 떨어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국 경상수지 자의 지속 여부

지난 수년 간 원화강세를 이끌어 왔던 배경으로는 단연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

자에 따른 글로벌 달러화 약세를 꼽을 수 있다 따라서 미국 경상수지 적자의 지속 여

부는 원화의 향방을 가늠하는 데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1980년대 초

반부터 지속(1991년 제외)되었던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2006년 6월말 GDP 대비

66까지 확대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는 앞으로도 계속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의 근거로는 먼저 미국경제가 감내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적자규모가 예상외로 매

우 높을 것이라는 분석을 들 수 있다 일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국내지출이 국내소득을

상회할 때 발생하기 때문에 경상수지 적자의 지속 가능성은 두 변수 간의 차이를 외국

자본이 계속 보전할 수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국제자본시장에서 미 달러화

표시 자산에 대한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 미국 경상수지 적자의 역전이 불가피한 상황

이 발생할 수 있다 과거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의 역전을 경험한 멕시코(1994년) 아

시아 국가(1997년) 등에서도 외국자본의 유입이 크게 감소하면서 경상수지 적자가 역

전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미국에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경우와는 다른 특이한 현상이 발견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3

2002~2005년중 미국이 기록한 246조달러의 누적 경상수지 적자에서 85(021조

달러)만이 순대외부채 증가분에 의해 보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국제경제연구

소(IIE)는 나머지 915(225조달러)를 미국이 해외에서 차입한 자금을 외국에 재투

자하여 얻은 자본이득으로 보전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의 근거로 동 연구소는 미

국이 순채무국으로 전환된 지 1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소득수지 흑자기조를 꾸준

히 유지하고 있는 점을 들고 있다

2001~2005년 기간 중 미국의 해외주식투자는 269조달러 증가(직접투자=121조달

러 기타 주식투자=148조달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경제연구소는 이 중에서 상

당부분이 해외차입자금의 재투자를 통해 외국에서 발생한 자본이득 증가분으로 구성

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미국이 경상수지 적자 보전을 위해 해외에서 차입

한 자금의 외국 재투자를 통해 벌어들인 자본이득이 차입자금을 상회하는 한 현재와

같은 경상수지 적자기조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에도 지금과 같이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

로 보는 또 다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미국의 경우 경상수지 적

자가 조정국면에 들어서게 되면 경제성장이 완만하게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보

다 구체적으로 미국의 GDP 대비 경상수지 적자가 1p 감소할 때 향후 3년 간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연간 015p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이 같은 추정치에 근거

할 때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현재의 절반 수준(GDP 대비 33)으로 축소될 경우

향후 3년 간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연간 05p씩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미국의 경제성장세 둔화는 수입수요 감소를 통해 경상수지 적자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전세계 GDP의 약 13을 차지하는 미국경제의 위축은 세계경제의 성

장세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는 미국의 수출실적이 개선될 수 있는 여

지가 그만큼 줄어듦을 의미하므로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오히려 확대될 수도 있음

을 시사한다 이 경우 글로벌 달러화 약세기조가 보다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어 원화강

세가 현재보다 훨씬 장기화될 수도 있다

1) Freund C and F Warnock Current Account Deficits in Industrial Countries The Bigger They Are The Harder They Fall NBER Working Paper No11823 2005

24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엔캐리 트 이드의 격한 청산 여부

2000년 이후의 원화강세를 주도하였던 또 하나의 대표적 요인으로는 국내 외환시

장의 달러화 공급우위가 있다 지난 수년 간 저금리기조 등에 힘입어 글로벌 유동성이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으로의 자금유입이 크

게 늘어났다 올해에도 대규모 투자자금이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으로 유입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제금융연구소(IIF)는 2007년중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으로의 민

간자본 순유입이 2005년과 2006년에 비해 각각 80와 66 감소한 4687억달러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감소폭에도 불구하고 동 규모는 여전히 2004년의 3488억달

러를 1000억달러 이상 상회하는 높은 수준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캐리 트레이드의 급격한 청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주지하다시피 엔화차입을 통한 캐리 트레이드(엔캐리 트레이드)는 글로벌 유동성 증

가를 촉진시킨 주요수단이 되었다 Bloomberg 통신에 의하면 국제자본시장에 유입된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은 약 3000억~1조달러로 추정된다 따라서 엔캐리 트레이드의

급격한 청산은 글로벌 유동성 위축을 통해 국내 외환시장의 달러화 수급에 지대한 영

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캐리 트레이드의 불

확실성을 들 수 있다 캐리 트레이드의 불확실성은 캐리자금이 유입된 자산시장의 가

격변동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경우 그 상당부분이 주식

시장에 유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세계증시의 가격변동성이 증가하면 엔캐

리 트레이드의 청산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중국의 금융긴축으

로 인해 아시아 주요국의 주가가 동반 폭락한 것을 보고 엔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신호

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하지만 금번 중국발 주가폭락을 계기로 앞으로 엔캐리 트레이드가 대거 청산될 것

으로 보는 시각은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중국정부의 긴축정책에도 불구하고 중국

경제는 견조한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단기금융시장이 미발달된 상

황에서 금융긴축의 실효성이 의심시되고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 및 위안화 저평가 등

은 해외부문으로부터의 통화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금융긴축의 효과를 제약할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5

가능성이 높다 또한 중국정부가 올해의 목표성장률을 작년의 성장률(107)을 훨씬

하회하는 80로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이 역시 큰 의미를 부여하기가 어렵다 작년의

목표성장률도 80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중국의 주식시장은 안

정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부에서는 중국보다는 미국발 세계증시의 불안정성을 우려하기도 한다 이러한 우

려의 배경에는 서브 프라임(sub-prime) 모기지대출의 연체율 급증에 따른 미국주가

의 폭락이 있다 그러나 동 문제가 미국경제 및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규모가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전체 모기지대출 잔액의 7~8) 주로 저소득층에 제공되기 때문에 대규모 소비위축

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캐리 트레이드의 불확실성과 더불어 캐리비용의 상승도 엔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일본의 초저금리에 따른 저렴한 엔화차입비용은 엔캐리 트레이

드가 전세계적으로 성행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특히 엔캐리 트레이드는 2004년부터

크게 확산되었다 일본 중앙은행이 양적완화정책을 실시하였던 사이(2001~2006년)

에 일본금리가 제로금리 수준에 머물러 있었던 반면에 미국은 2004년부터 통화긴축

기조로 선회한 이후 연속적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2007년 2월 일본이 양적완화정책 중단 이후 두 번째로 금리를 인상하면서

캐리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엔캐리 트레이드가 본격적인 청산단계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망은 다소 이른 감이 없지 않다 2005년 엔캐

리 트레이드가 한창 성행할 때에 미일 간 금리차는 400p이었으나 현재는 이보다

높은 475p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향후 일본의 추가 금리인상과 미국의 금리인하가

기대되고 있기는 하나 각각 한차례씩만 실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어서 양국

간 금리차가 400p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종합해 볼 때 엔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은 국제금융시장에서 가장 큰 잠재적 불안요

인임이 분명하다 또한 최근에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은 엔캐리 트레이드 참여자들의

위험선호도를 크게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향후 엔캐리

트레이드가 추가로 확대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그렇다고 해서 캐리 트레이드의 불

확실성과 캐리비용이 기존의 엔캐리 트레이드의 대규모 청산을 일으킬 만큼 증대된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24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맺음말

결론적으로 최근의 원화의 약세반전을 대세전환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고 본다 2000년 이후의 원화강세를 주도하였던 요인들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

다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기조가 깨지기는 힘들어 보이며 글로벌 유동성도 크게 위축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의 일시적 조정국면을 거치고 나면 원화는 다시

강세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다만 원화의 절상폭은 과거에 비해 많이 완화될

전망이다 글로벌 유동성 증대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던 엔캐리 트레이드가 추가로

확대되지 않는 가운데 기존의 엔캐리 트레이드가 일부 청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7

한양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6호(2007416)

한미 FTA로 인한 금융산업의 변화

河 駿 坰

〈요 약〉

한미 FTA로 인해 우리나라 융부문은 부분 인 개방 확 제도의 정비

규제의 투명성 강화 미국 진출 환경 개선 등의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개방 확 는 일부 융부수 서비스업에 국한되므로 그 직 효과는 매우

제한 일 것으로 보인다 제도 정비는 소비자보호를 강화하고 규제 감독의

투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기 되는데 이는 장기 으로 시

장원리의 작동을 진함으로써 국내 융산업에서 경쟁을 심화시킬 것이다

한편 한미 양국 융감독당국 간에 반 신뢰도가 높아지고 양국 간 애로

사항 의채 이 구축됨으로써 우리나라 융회사들의 미국 진출에 보다 유

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우리 융산업에서는 제도의 선진화

에 걸맞은 인력의 문화가 가장 실한 과제로 두될 망인데 미국 진출

을 통한 문인력 양성을 좀 더 극 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미 FTA가 타결되면서 금융부문에서도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이제 FTA

로 인해 금융부문에서 어떠한 변화가 일어날지 차분히 가늠해볼 때이다 이번 FTA를

통해 우리나라 금융부문은 부분적인 개방 확대 제도의 정비 미국 진출 환경 개선 등

의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가 우리 금융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 또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알아보자

24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추가 개방분야의 범 는 매우 제한

우선 한미 FTA를 통해 금융부문에서 추가로 개방되는 분야는 보험중개업 및 일부

보험부수 서비스업 등의 국경간거래이다

보험중개업의 경우 비대면 방식을 전제로 국경간거래가 허용되는데 비대면 방식을

유지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거래확대를 기대하기 어렵다 현재에도 허용되고 있는 국

제교역 관련 보험 생명보험 장기 손해보험 등의 비대면 방식 국경간거래의 경우 그

거래규모는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예컨대 생명보험 역외보험료 송금실적은 2005년

34억원으로 국내 생명보험 시장의 01 미만이며 손해보험의 전체 역외보험료 송금

실적은 2005년 1432억원(대부분 수출입 관련)으로 국내 손해보험 시장의 06 수준

에 불과한데 이 중에서도 일부분만이 국경간거래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현

행법에서도 보험중개사는 국내법에 명시된 자격요건을 충족하면 국내에 주재하면서

중개행위를 할 수 있는데 비대면 방식을 유지하는 한 굳이 국경간거래를 통해 거래를

시도할 가능성이 적다

다음으로 보험부수 서비스업 중 위험평가와 컨설팅의 경우에는 현재 명확한 법규정

없이 허용되던 거래를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FTA로 인한 거래규모의

실질적 확대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들 분야에서는 지금까지 명확한 관련 규정이 없

었는데 FTA를 계기로 등록요건이 신설되므로 오히려 규제가 강화되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

보험부수 서비스 중 계리 및 손해사정 서비스의 국경간거래도 사실상 자연인의 국

내 방문이 수반되어야 거래확대가 가능하므로 현재에도 허용되고 있는 상업적 주재를

통한 개방과 큰 차이는 없을 것이다 이들 분야에서는 현재 국내법에서 규정된 자격제

한과 유사한 기준을 부과하는 조건으로 국경간거래가 허용되므로 더더욱 큰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일부 법규제의 정비가 상

다음으로 한미 FTA가 법규제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그간 제도정비가 미비했던

부분을 중심으로 일부 법령과 규정의 정비가 예상된다 이와 관련한 협상타결내용과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9

그 영향을 알아보자

우선 금융정보의 해외 위탁처리가 허용되는데 이는 개인정보보호 등을 위한 금융

감독을 전제로 2년 유예 후 가능해진다 이와 관련해서 금융정보처리 해외위탁과 관

련한 사전 허용기준 및 사후 감독규정이 마련될 예정이다 아울러 한미 양국 감독당국

간 정보교환을 위한 근거가 마련되면서 당국 간 협조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 우체국보험에 대한 감독이 강화됨으로써 우체국보험에 주어진 특혜가 축소되는

데 이에 따라 금감위와 정보통신부와의 협의를 강화하기 위한 절차가 마련될 것이 예

상된다

한편 앞에서 언급한 일부 분야에서의 국경간거래 확대에 따라 국경간거래 공급자의

등록요구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법규 정비가 있을 전망인데 이를 통해 건전성 감독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 신금융상품은 국내법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되고 신상품 승인 요건

이나 기간 등의 측면에서 투명성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는 국내 규제 관행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촉매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임시 세이프가드의 관철은 국내 금융시장의 안

정성과 관련한 우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상의 제도적 변화들은 전반적으로 금융규제가 글로벌 스탠다드에 가까워지고 투

명해지는 데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규제가 투명해지면 시장원리의 작동이 더

욱 원활해지면서 중장기적으로는 금융회사들 사이의 경쟁이 심화될 것이며 미국 금융

회사들의 국내 진출도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융회사들의 미국 진출 확 가능성

한편 한미 FTA로 인한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미국 진출 확대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이 논의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우리 금융부문이 미국에 비해 경쟁력이 약

하므로 수세적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볼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또 미국 주법에 규정

된 미국 주재 외국 금융회사들에 대한 규제와 관련해서는 연방제라는 미국 정치제도

의 특성상 FTA를 통해 이를 우리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바꾸기가 어렵다는 현실적 제

약요소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25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신뢰 증진을 통해 미국 진출에 유리한 환경 조성

그러나 미국의 외국 금융회사들에 대한 규제는 명시적 법규뿐만 아니라 감독당국과

금융회사 간의 신뢰 그리고 그 밖에 외국 금융회사 본국 금융제도의 적절성 등의 부수적

정보에도 많이 의존한다 미국 감독당국이 외국 금융회사들을 모국(home country)에

따라 다르게 분류하고 이에 근거해서 감독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

다 미국 FRB의 경우에도 주요 28개국을 적절한 금융감독이 이루어지는 국가들로 분

류한 후 이 사실을 감독에 반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 28개국에 이미 포함되어 있

지만 한미 FTA로 인해 금융규제가 투명해지면 명문화되지 않는 ldquo신뢰rdquo의 수준이 높

아짐으로써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미국 영업에 보다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미국 진출 애로 해결을 한 정부 간 의채 구축

또 한미 FTA 금융협상에서 미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영업 관련 애로

사항 해결을 위해 양국 정부 간에 정기적 협의채널을 확보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번 FTA 금융협상에서도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애로사항 중 세 가지가 해결의 실

마리를 찾았다고 한다 은행업의 경우 뉴욕주에 진출한 우리나라 은행들에 대한 자산

유지의무비율이 폐지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는데 이는 우리 은행들이 미국에서 영업하

는 데 따르는 자산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미국시장에서 우리 은행들의 위

험도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보험업의 경우에도 미국 측

은 재보험 담보요건을 완화하는 법 개정을 2007년 중에 추진하기로 하였다 증권업과

관련해서는 미국 현지법인 직원 자격요건을 완화하고 자격을 상호 인정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이 밖에도 더 많은 애로사항들이 양국 정부 간에 정기적으로 논의될 것이 예상되는

데 한미 FTA를 통해 설치되는 금융서비스위원회와 보험 실무작업반 회의는 미국 측

의 약속을 모니터링하고 새로운 애로를 해결하는 데 매우 유용한 채널이 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채널을 금융회사들이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이다 협의채널의 유용성은

궁극적으로 금융회사들의 관심 정도에 달려 있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1

제도 선진화에 걸맞은 인력의 문화가 필요

이상에서 한미 FTA로 인한 개방분야 확대의 직접적인 충격은 작을지라도 규제감

독의 투명화와 경쟁심화가 예상된다는 점 그리고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미국 진출 용

이성을 높일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었다는 점 등이 주목할 만하다

금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와 인력 두 가지가 모두 뒷받침되어야 한다

전문인력의 확보는 국내 금융부문의 변화에 대한 수용능력(absorptive capacity)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면서 동시에 우리나라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이다 따라

서 FTA로 제도의 선진화가 촉진될 것이 기대되는 지금 우리 금융산업에서는 인력의

전문화가 가장 절실한 요구사항으로 대두될 전망이다

미국시장 진출을 통한 문인력 양성을

금융전문인력 양성의 가시적 성과를 위해서는 시장에서의 경쟁을 통한 훈련이 뒷받

침되어야 한다 한미 FTA로 미국 진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더욱 많

은 금융인력을 미국시장에 내보내어 이들로 하여금 전문역량을 쌓도록 훈련시켜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미국 현지법인이나 지점도 단순히 재미교포를 상대로

하는 틈새시장에 안주하거나 연락사무소 역할을 하는 데 머물지 말고 전문인력 양성

의 장을 제공하고 장기적으로는 미국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

다 필요하다면 현지법인을 사서라도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게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

요가 있다

25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21호(2007521)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운용방안

金 秉 德

〈요 약〉

세계 인 유동성 과잉상태에서 각국은 투자 상을 다변화하여 수익률을

극 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민연 도 변하는 자본시장 환경하

에서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험조정 수익률을 제고하기 해 향후 수십

년간 수백조원의 해외투자 자산을 증가시킬 것으로 망된다 우리나라가 아

시아의 융허 로 도약하기 해서는 이 기회를 선진 융 노하우를 국내로

이 시키는 데 있어 략 지렛 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서 국민

연 이 해외 융회사의 인수 는 지분투자를 통해 동 회사를 해외투자의

기지로 이용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략 투자기회

를 극 화하기 해서는 국민연 의 자산운용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자산운용

조직도 독립 인 투자 문회사로 재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전 세계적인 유동성 과잉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막대한 자금으로 무장한 사모투자

펀드(PEF)들은 국제적 MampA시장에서 메가 딜(mega deal)을 성사시키고 있다 고유

가로 엄청난 부를 축적한 산유국가들도 과거에는 오일머니를 선진국 은행 또는 국채

등의 우량자산 중심으로 투자하다가 이제는 헤지펀드 및 사모펀드투자 등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다 중국을 필두로 하는 신흥시장국의 높은

성장과 더불어 국경 없이 드나드는 풍부한 유동성으로 인해 각국의 주식시장은 최고

치를 경신하는 등 글로벌 자본 시장은 행복감(euphoria)에 충만해 있다

국내자본의 해외투자도 과거와는 많이 다른 양상이다 국내 개인부문 유동성의 상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3

당부분이 해외투자로 다변화되고 있다 해외 주식시장 및 부동산시장의 호황으로 해

외 주식형펀드 및 해외 리츠재간접펀드의 수탁고가 꾸준히 증가하여 2007년 4월말

각각 20조원 6조원 내외에 이르고 있다 투자 대상도 단순한 주식투자뿐만 아니라

부동산 인프라 미술품 원자재 곡물 와인 등 수익이 예상되는 곳이라면 세계의 구

석구석까지 대한민국의 자금이 찾아다니고 있다 투자를 업으로 하는 금융회사뿐만이

아니라 개인들도 삼삼오오 짝을 지어 직접 해외의 투자처를 찾아다니는 현상까지 발

생하고 있다 과히 글로벌 자본시장의 전쟁에서 우리 국민도 더 이상 방관자로 남아

있지 않는 상황이다

이러한 전 세계적인 투자의 다변화는 풍부한 유동성에 기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이

다 한편 국내의 공공부문의 자금도 해외투자를 통한 투자 다변화가 필연적이다 본고

에서는 국내 공공부문 중에서 가장 자금 잉여가 많은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해외투자

와 관련된 현황 및 이슈들을 살펴보고 향후 지향해야 할 투자정책의 보완점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국민연 해외투자 증가의 필연성

최근 국민연금법 개정과 관련하여 갹출금 및 급부율을 조정하여 연금재정을 안정화

시키는 법안이 국회에서 활발히 논의되는 반면 한편으로는 국민연금의 자산운용과 관

련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소외된 느낌이다 현행 제도하에서 국민연금의 기금적립금은

2035년에는 17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계되는데 단순 계산으로 연 1p의 자산운용

수익률의 제고는 17조원의 추가수입을 의미하며 매년 1p 수익률이 제고된다고 가정

할 때 복리의 마술에 의해 수십 년 후에는 기금적립금에 수백조원의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국민연금의 자산운용 시스템을 자본시장의 환경변화에 맞게 재조정하는

것이 시급하다

우선 국민연금의 향후 해외부문 증가는 필연적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국내

자본시장 대비 기금적립금의 규모가 과다하여 국내시장에서만으로는 시장중립적인

운용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국내시장과 상관관계가 낮은 다양한 해외투자 대상으

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함으로써 기금 전체의 위험조정 수익률을 제고할 수 있기 때

25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문이다

실제로 기금운용위원회에서 의결된 5년 단위의 국민연금 중기자산배분계획안에서

도 해외투자의 비중을 2006년말 현재 91(해외주식 07 해외채권 84)에서 2011

년 말에는 15 내외까지 증대시키되 특히 해외채권의 비중을 5 이내로 줄이고 해외

주식의 비중은 1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동 중기계획안이 충실히 이행된다면 2011년 말에는 국민연금의 적립금은 350

조원 내외에 이르고 이 중 해외투자는 52조원 내외가 될 전망이다 단순계산으로

2035년에 적립금이 1700조원에 이르고 이 중에서 해외투자의 비중이 20 내외라고

가정할 경우 해외투자 금액은 340조원에 이를 것이다 실로 막대한 금액이다

해외투자 증가와 융허 육성의 지렛

현재 국민연금의 해외투자는 대부분 선진국의 우량채권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해외

주식도 인덱스중심의 수동적(passive)투자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중장기자산

배분 목표대로 해외투자가 증가할 경우 향후 십여 년간 매년 수조원 이상의 외국 주식

매입이 진행될 전망이다 결국 향후 해외주식 투자의 방향도 수동적 투자에서 투자대

상 시장을 신흥국가 등으로 다변화하고 투자방식도 적극적(active)투자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만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필자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확대를 우리나라가 아시아의 금융

허브로 발전하는 데 전략적인 지렛대(strategic leverage)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이다 아시아 금융허브의 선점을 위해 경쟁하고 있는 홍콩 싱가폴 상하이 동경 등

과 우리나라를 비교할 때 언어 지리적 위치 노동 유연성 국민적 개방성 등의 측면

에서 우리나라가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는 요소들은 별로 없다 단지 국민연금을 포함

하여 향후 급속히 고령화되는 국내의 베이비 붐 세대가 축적한 막대한 자산이 국내외

금융시장에 투자될 것이라는 점이 유일한 상대적 강점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이 해외투자를 확대하고 투자대상을 다변화할 때 유수의 국내외

투자은행 자산운용사 등을 이용하게 될 것이다 무릇 모든 계약의 관계는 협상력

(bargaining power)을 보유하는 ldquo갑rdquo측과 이에 가급적 순응하고 요구를 순응하는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5

ldquo을rdquo측 간에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자금을 주고 자산운용을 위탁하는 국민연금이

협상의 주도권을 갖는 ldquo갑rdquo측에 해당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해외 금융회사의 위

탁 또는 자문 서비스를 통해서 막대한 금액을 투자함에 있어서 협상의 주도권을 가진

국민연금이 상대방으로부터 원하는 것을 최대한 확보하려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단순히 투자자산의 수익률 확보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자산운용업 및 금융

산업의 실질적인 노하우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 데 밑거름이 되어야 한다는 것

이다 말하자면 우리보다 선진 기법을 가진 외국 금융회사들을 이용하여 해외투자를

확대하되 이번 기회를 그들의 노하우를 완전히 국내 금융산업으로 이식시킬 수 있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향후 십수년간 막대한 금액을 해외에 투자함에 있어

서 이는 실제로 엄청난 도약의 발판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회를 허비할 경우 우리

나라가 아시아의 금융허브로 도약하는 것은 요원하게 될 것이다

체투자 극 MampA시장에의 참여

30년 정도의 중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좀 더 적극적인 발상을 한다면 향후 수백조

원의 해외투자를 위해서 타 금융회사와의 컨소시엄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적절한 규

모의 해외 투자은행이나 금융회사를 인수하거나 지분 투자하여 동 회사를 국민연금의

해외투자의 전초기지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 세계적으

로 손꼽히는 막대한 자금을 운용해야 하는 입장에서 이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전략

적 사고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대체투자 등의 방법을 통해 국내외적 MampA 시장에

도 적극 참여해야 할 것이다

혹자는 국민연금의 부채측면을 고려하여 기금적립금은 채권위주의 안정적이고 현

금화가 용이한 자산에만 투자해야 한다는 조심스러운 우려를 하기도 한다 물론 모든

국민의 노후 생활자금이니 부채구조를 고려하여 자산운용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

러나 강조하고 싶은 것은 막대한 적립금의 일부분이 분산투자 차원에서 해외투자 및

대체투자로 전환되는 과정이고 동 투자를 실행함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과 기회를 활

용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국민연금의 부채 구조를 고려할 때 다양한 해외자산

및 대체투자자산이 자산 부채 간의 듀레이션 매칭 측면에서 문제가 될 가능성은 크지

25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않다고 판단된다 관건은 취득자산의 질이 문제이지 질 좋은 자산은 다양한 방법으로

유동화가 가능하고 시장에서의 매각도 용이하다 수십년 후에 본격화될 연금의 급부

금 구조에 지레 겁을 먹고 그때까지 투자기회를 최대한 활용치 않는 것은 어설픈 핑계

에 불과하며 결국 탓할 것은 자산운용 주체의 전략적 사고와 노하우 부족이라고밖에

할 수 없다

국민연금이 해외투자와 관련된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산운용 조직의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와 같은 극도로 강조된 비전문가 위주의 기금운용위

원회에서는 전략적 투자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불가능

하다 선진 자산운용위원회를 벤치마크하여 위원수를 10여명 내외로 줄이고 상설화하

되 독립적인 성과평가체제하에서 위원들의 권한범위가 부문별로 명확히 규정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기금운용조직은 독립적 투자전문회사를 설립하여 전액 위탁

운용하는 방안이 민간방식의 투자기법을 활용하여 투자기회를 극대화하는 데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7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4호(2007611)

해외직접투자 및 외국인직접투자 현황과 시사점

李 圭 馥

〈요 약〉

해외직 투자는 외환시장뿐 아니라 실물경제에도 큰 향을 수 있는 요

한 요소로 우리나라는 최근 외환수 조 을 한 해외직 투자 증 를 추구

하고 있는 동시에 국내투자 부진에 한 안으로 외국인 직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 투자나 외국인직 투자 규모는 아직 다른

OECD국가들에 비하여 매우 은 수 인데 특히 안정 인 국제수지 선진기

술이나 경 노하우 습득 등을 하여 외국인직 투자를 진시킬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경제에 정 인 향을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부품 소재 서비

스 산업들을 유치하기 해서는 외국인투자자에 한 우 조치 강화보다 연구

생산 등에 한 집 효과를 극 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과 아울러 신

개발기술이 시장에서 신속하고 정하게 평가되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 한 해외직 투자의 경우 외환수 리 등을 하여 규모

를 늘릴 필요성이 있으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하여 리스크가 높은 지역

이나 산업으로의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한 리스크 리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해외직접투자는 기업의 생산요소 중 자본 경영능력 기술 상표 등을 해외 현지국

으로 이전하여 이것들을 현지의 생산요소인 노동 및 토지와 결합하여 제품을 생산 판

매하는 기업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직접투자의 유출입은 자본의 이동에 의하여 외

환 및 금융시장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투자나 무역의 증감 등을 통하여 실물경제에

25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환위기 이전에는 외국인직접투자(외국인의 국내투자)보다 해외

직접투자(내국인의 해외투자) 규모가 더 컸으나 외환위기 이후 정부의 외국인직접투

자 활성화와 함께 수지가 반전되었다 2006년 이후에는 외환수급 조절 차원에서 해외

직접투자를 촉진하여 다시 해외직접투자 규모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올해에도 외환수급 조절을 위한 해외직접투자 규모 증대

를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동시에 국내투자 부진에 대한 대안으로서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정책들을 시행 중에 있다

이하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와 외국인직접투자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

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외국인직 투자는 감소세인 반면 해외직 투자는 증가세를 기록

한국은행이 집계한 자본수지 내역을 토대로 GDP 대비 해외직접투자와 외국인직접

투자 규모를 살펴보면 외국인직접투자는 1999년 GDP 대비 21를 기록한 이후 전반

적인 감소 추세를 기록하여 2006년에는 04를 기록하였다 반면에 해외직접투자는

199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2002년 GDP 대비 048를 저점으로 늘어나기

시작하여 2006년에는 외국인직접투자 순유입액의 약 2배 정도인 GDP 대비 08까

지 증가하였다

산업자원부에서 집계되는 자료를 토대로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외국

인직접투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으로의 투자가 늘어났으며 최

근 정부의 노력과 함께 소재 부품산업으로의 투자비중이 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규

모는 크지 않은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미주지역보다 유로지역으로부터의 투자가 늘어

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수출입은행에서 집계되는 해외직접투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서비스업보다는 제조업 중심으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와

북미로의 투자가 가장 많으나 최근에는 유럽 중남미 아프리카 등으로의 투자가 늘어

나고 있는 추세이다 규모 면에서는 외국인직접투자가 해외직접투자보다 전반적으로

대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9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GDP 비 직 투자 규모

사실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는 외국인직접투자나 해외직접투자의

규모가 적어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은 상태여서 전반적으로 규모를 우선

확대할 필요가 있다 2003sim2005년 동안 우리나라는 GDP 대비 연평균 06의 해외

직접투자 순유출을 기록하고 GDP 대비 08의 외국인직접투자 순유입을 기록한 데

비해 같은 기간 동안 OECD 국가들은 GDP 대비 연평균 24의 해외직접투자 순유

출과 GDP 대비 18의 외국인직접투자 순유입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

나라의 경우 외국인직접투자의 증대는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아직 성장여력이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인직접투자는 진보된 기술이전 선진 경

영노하우 전수 등을 통하여 국내경제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

으로 예상된다

또한 거시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다른 종류의 해외자본 유입보다 매우 안정적인 자금

의 성격을 가진 외국인직접투자의 규모 확대는 매우 중요하다 여러 나라의 외환 위기

에서 경험하였듯이 주식 채권 등에 대한 투자는 매우 변동성이 높고 투기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어 외환위기의 발생 원인이 되거나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반면에 외국인직접투자는 신흥시장국들 사이에서 변동성이 적

고 안정적인 투자 형태로 선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본흐름(Capital Flows)의 변

동성과 경제성장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자본흐름의 안정은 국내경제의 안정으로 이어져 국내 경제성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주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외국인투자자에 한 우 조치 강화보다는 투자여건 조성에 노력해야

외국인직접투자 유치가 절실하기는 하나 문제는 각국 정부들이 외국인직접투자의

장점을 인식하면서 규제개혁 세제혜택 등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한 우대조치를 강화하

는 등 투자를 유치하려는 경쟁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쟁 속에서 우리나라에게 필요한 양질의 외국인투자를 유치하기

26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내의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1) 세제혜

택 보조금지급 등을 외국인투자에게 제공하는 정책은 외국인직접투자의 규모를 증가

시키기는 하였으나 자국 경제의 생산성이나 효율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노동시장의 유연성 국내 인프라의 질 기업의 경영환경 등

외국인투자자에게 우호적인 국내환경을 이유로 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가 경제의 발

전에 더욱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우리나라는 고부가가치의 부품 소재 산업 등에 관한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

함으로 국내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이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고부가가치의 부품 소

재 서비스산업 및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 등은 여러 기업들이 자유롭게 경쟁하며 제품

의 품질 향상 등을 이룩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에 대한 국내 기업육성 해외 여러 나라로부터의 동시투자 유치 등 연구 및 생산

에 대한 집적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부품 소재 산업의

경우 신개발기술이 올바르게 평가를 받을 수 있고 그에 해당하는 적절한 보상을 얻을

수 있는 시장형성도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즉 지적재산권 보장과 함께 기술거래나

MampA 등의 활성화를 통하여 새로운 기술개발들이 시장에서 신속하고 적정하게 평가

받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험 리를 고려한 해외직 투자 확 필요

한편 우리나라는 현재 주식이나 채권시장에서의 외국인투자자금 유입 급증으로 인

하여 외환시장 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해외투자를 통한 외환수급 및 환율안정을 위한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정부는 해외직접투자의 경우 자원 및 에너지

개발 해외 인프라 금융산업 등을 중심으로 해외직접투자 촉진과 해외 부동산투자 규

제완화 등을 실시할 것을 올해 초 발표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진출하기를 원하는

산업은 선진국뿐 아니라 중국 등 신흥시장국들도 최근 축적된 외환보유고 등을 바탕

으로 활발히 진출하고 있는 업종들로 양질의 투자처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심화됨

1) Does Foreign Direct Investment Help Emerging Economies Anil Kumar Economic Letter FRB Dallas Vol2 No1 January 2007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1

에 따라 가치 있는 기업이나 지역의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자원 및 에너지 개발투자는 좀 더 리스크가 큰 초기단계의 투자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으며 최근 제조업의 경우 이미 투자가 많이 이루어진 중국을 대체하여 동남

아 국가 등으로의 투자가 관심을 끌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최근 해외직접투자는 리

스크가 높은 국가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신흥

성장잠재국으로의 진출은 미시장 개척이나 생산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반면 인프라의 부족 숙련노동자의 부족 정책의 불확실성 등의 리스크를 감안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관심투자대상국가의 정책 투자환경 변화 적정 진출시점 등에 대한 정보

인프라를 강화하여 신속한 정보수집과 이에 따른 적정한 가치측정 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신흥시장국 또는 자원개발 등 리스크가 높은 국가나 산업으로의 진

출과 함께 기술습득 선진 인프라 사용 등을 목적으로 하는 선진국으로의 투자촉진을

통한 리스크 분산 등 투자포트폴리오 조절에 의한 리스크관리 강화 역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6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7호(200772)

국제석유자본의 팽창과 활용방안

宋 在 殷

〈요 약〉

2002년 이후 고유가로 엄청난 자 을 벌어들인 석유수출국들이 오일머니

사용패턴을 소비지출 심에서 해외투자 심으로 바꿈에 따라 오일머니를

활용하기 한 우리의 응 한 건설수주와 같은 기존의 통 방식에서

벗어나 융자본의 활용이라는 에 을 두고 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생겼다 특히 아랍산유국들의 경우 과거에는 미국 등의 은행에 석유자본을

치하거나 우량자산을 구입하는 방식으로 운용하 으나 이번 유가 상승기

에는 투자 다변화를 통해 아시아 경제권에도 상당한 심을 보이고 있다 이

제는 이러한 다변화를 단순한 투자자 유치의 기회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보

다 극 이고 장기 인 안목에서 우리 융기 들이 로벌 융기 으로

발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를 해 말 이시아 등에서 추진되고

있는 이슬람 융허 구축 움직임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

며 다양한 경로로 국제석유자본에 근하기 한 융기 간 정보연구 네

트워크 구축과 정보수집 등에 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단된다

미국 경상수지 적자의 지속적 증가에 따른 국제불균형 심화에 대한 논의 등에 있어

중국 및 아시아 신흥경제국가들의 경상수지 흑자에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작년 한 해에만 총 5700억달러 이상으로 추산되는 석유수출국가들의 경상수지 흑자

는 상대적으로 덜 조명을 받고 있다

하지만 석유수출국가들의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는 현재 국제금융시장 최대의 본원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3

적 자금공급원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아랍산유국

들의 지나친 경상수지 흑자는 작년 IMF회의에서 문제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는 결국 석유수출국가들의 해외순자산 및 외환보유고

의 증가 즉 국제석유자본의 팽창을 의미한다 더욱이 현재의 고유가기조가 상당기간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국제석유자본의 팽창도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과거 고유가 기간과 비교하여 이번 국제석유자본 팽창의 특성을 소개하

고 아랍산유국들의 경우를 중심으로 이의 적절한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오일머니 활용패턴 변화 해외투자 성향 증가

물론 이번 국제석유자본 팽창은 무엇보다 2002년 이후 고유가와 이에 따른 석유수

출액 증가에서 비롯한 것이다 2002년 평균 유가(두바이유 기준)가 배럴 당 26달러일

당시 3000억달러 수준이던 석유수출국가들의 석유수출은 작년 평균 유가가 배럴당

62달러 가까이 상승함에 따라 약 9700억달러까지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지난 5년간 총 1조 4000억달러에 달하는 국제석유자본의 급격한 팽창은 석

유수출 수입 증가만이 아니라 석유수출국가들의 상품 및 서비스 수입 성향이 감소한

것에도 기인한다 2002년 당시 석유수출국가들의 경상수지 흑자가 총 880억달러였던

점을 감안하면 이 기간 석유수출액 대비 경상수지 흑자비율은 29에서 60까지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이는 1990년대에 저유가로 타격을 입었던 석유수출국가들이 그 교훈으로부터 이번

고유가기간에는 소비지출 대신 저축에 신경을 쓰고 있으며 이렇게 저축된 자금이 해

외투자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 이들 국가의 GDP 대비 저축률은 지

난 5년간 11p 증가하였는데 같은 기간 국내투자의 비중은 거의 변하지 않았고 해외

저축을 의미하는 경상수지 흑자의 비중만 상승하였다

26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석유수출국 해외투자 지역 유형 다변화

이번 국제석유자본 팽창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석유자본의 운용 가운데 BIS 회

원은행 및 미국과 독일 금융시장의 거래상대방 자료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이 과

거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는 사실이다 BIS에 따르면 1978sim82년 당시 석유수출국

가들의 총투자가용자금 가운데 이러한 자료에 포착되는 부분은 절반 정도였으며 이

후 저유가기간 동안에는 이들의 투자자금 운용내역 거의 전부가 동일한 자료를 통해

파악 가능하였다 그러나 1999sim2005년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규명할 수 있는 부분은

30정도로 대폭 하락하였다

이러한 공식적인 거래상대방 자료로 파악할 수 없는 투자형태로는 첫째 미국이나

독일 이외의 지역에 대한 투자(BIS 회원은행 예치는 제외) 둘째 역외금융센터를 이

용한 미국이나 독일에 대한 우회 투자 셋째 미국이나 독일에서 투자자 정보를 공개

하지 않는 헤지펀드 및 사모펀드에 대한 투자 등 세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국제

석유자본의 흐름 중 이러한 형태의 투자들이 증가했다는 것은 결국 석유수출국가들의

해외투자가 다양한 지역 및 유형으로 분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석유수출국가들의 해외투자 다변화는 과거 미국과 유럽의 은행 예치 및 우량자산

구입을 중심으로 극히 보수적으로 자금을 운용하던 아랍산유국들이 보다 적극적인 투

자에 나선 데에 따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IIF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걸프협력회의

(GCC)의 해외자산 증가분 5400억달러 가운데 주식투자(383)의 비중이 채권

(326)이나 은행예금(67) 등 다른 자산에 대한 투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아시아에도 적어도 600억달러 글로벌 투자자들에 의한 재투자를 고려하면

이를 훨씬 상회하는 자금이 투자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융산업 로벌화를 한 국제석유자본의 활용

과거 유가상승과 중동경기 활황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 상품수출 및 건설수주에 집

중되어 왔다 물론 아랍산유국들의 수입소비성향이 이전에 비하여 낮아졌다고는 하지

만 비중이나 규모 면에서 석유수출대금의 상당 부분이 수입을 통하여 해외로 환류되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5

고 있는 만큼 이러한 관점은 여전히 유효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아랍산유국들의 저축성향이 증대되고 이를 통해 발생한 투자자금 운용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게 됨에 따라 우리도 이에 대응하여 이러한 자금을 활용하는 방

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에 있어 우리 경제에 필요한 외자공급이 불충분하다

고 할 수 없는 현재 상황에서는 과거의 산업자금 유치활동과는 다른 새로운 방안이 요

구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 국제석유자본에 대한 관점은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글로벌화에 유

용한 금융자본이라는 시각에 기반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랍산유국의 역외금융센터 및 펀드 선택을 주의 깊게 연구하는 한편 궁극적으로

는 글로벌 금융기관처럼 우리나라 금융기관들도 국제석유자본의 운용에 참여할 수 있

는 방안을 찾아보아야 한다 지금 당장 중동의 금융센터에서 글로벌 금융기관들과 직

접 경쟁하는 것은 무리겠지만 이를 염두에 두면서 중동 금융센터는 물론 각종 틈새시

장으로의 진출을 통해 인지도 및 경험을 쌓아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동 석유자

본이 아시아 경제에 진출을 시작한 현재의 상황은 우리나라 금융기관들이 그러한 틈

새시장을 발견하는 데 좋은 기회일 것이다

이러한 중동 금융시장 진출에 대하여 이미 일부 금융기관에서 연구를 시작하고 있

으나 이러한 작업의 초기비용을 생각하면 금융기관 간 정보교환 및 연구 네트워크

구축은 물론 정보수집 등에 대한 정부차원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융기관들의 중동 금융시장 진출은 대규모 금융자본 활용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호황을 보이고 있으나 거품붕괴 위험 역시 존재하는 중동지역 투자를 위한 정보의 수

집분석에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슬람 융에의 참여를 검토할 필요

국제석유자본에 접근하는 구체적인 방안의 하나로는 lsquo이슬람 금융rsquo에의 참여를 들

수 있을 것이다 lsquo이슬람 금융rsquo은 이슬람 율법에 의해 인가받은 금융상품을 개발판

매하는 것으로서 이슬람 투자자들은 이런 상품에 대해 상당히 높은 충성도를 보이고

있으며 그 규모는 총 4500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6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러한 lsquo이슬람 금융rsquo은 원래 선진국 금융기관들에 의하여 개발되어 런던 금융시장

등에서 거래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말레이시아나 바레인 등에서 해당지역 종교적 배

경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이들 국가는 자국 금융시장을 lsquo이슬람 금융허

브rsquo로 육성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중이다

우리나라 금융기관들이 이러한 움직임을 활용하여 lsquo이슬람 금융rsquo에 참여할 수 있다

면 이에 유입되는 중동 석유자본을 직접 운용하는 경험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지도 축적 및 이슬람 친화적 이미지 구축을 통해 향후 중동 금융시장에 직접 진출하

는 데에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인민은행은 이미 이슬람 금융의 감독기구인 lsquo이슬람금융서비스위원회rsquo에 찬조

회원으로 가입하여 자국 은행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일본은행 역시 가입을 서

두르고 있다 또한 일본국제협력은행은 lsquo이슬람 채권rsquo 발행을 통해 말레이시아의 lsquo이

슬람 금융허브rsquo에 참여하기 위하여 미쓰이스미토모은행과 더불어 공동연구를 추진하

고 있다

시기를 놓친다면 미래에도 우리 경제의 중동 석유자본 이용은 글로벌 금융회사들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형태가 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앞서 강조한 금융기관들의 협력 및

정부의 지원 아래 lsquo이슬람 금융rsquo 참여에 대한 신속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

단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7

한양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6호(2007910)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의 향후 전망과 시사점

河 駿 坰

〈요 약〉

미국의 서 라임 모기지 부실화 문제는 출구조를 감안할 때 미국의

폭 인 리인하가 없는 한 2008년 하반기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세계

융시장은 주요국 앙은행들의 정책공조로 인해 통제할 수 없을 정도의

기로까지는 가지 않겠지만 험에 한 재평가와 함께 안 자산 선호경향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조정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고수익-고 험 자산에 한 선호가 약화되는 과정을 겪을

가능성이 많지만 서 라임으로 인한 직 피해는 제한 일 것이다 정책

당국은 서 라임 사태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과잉 유동성과 험 리 소홀

이라는 우리 경제의 문제 이 더 커지기 에 이를 방하는 지혜가 필요하

다 서 라임으로 인해 융시장이 지나친 혼란에 빠지는 것은 막아야 하겠

지만 그것이 유동성 리와 건 성 감독을 소홀히 하는 빌미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부실문제가 전세계 금융시장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서도 이미 주가 금리 환율 등 주요 경제변수들이 뉴스에 민감하게 움직이면서 변동

성이 매우 커졌다 이 사태가 앞으로 얼마나 오랫동안 어느 정도의 강도로 지속될 것

인지가 초미의 관심사이다

26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서 라임 사태의 근본 원인은 리와 방만한 출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의 향배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대출

구조와 문제의 증폭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은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이 쉽게 주택을 구입할 수 있도록 보통 대출 시점부터 2년까지는 낮은 고

정금리를 적용하되 2년이 지난 후에는 변동금리로 갈아타게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모기지 브로커들은 저신용자들에게 ldquo만약 2년 후에 원리금을 갚기 어렵게 되면 집을

팔아서 돈을 갚으면 된다 집값이 오를 것이기 때문에 중도상환 수수료를 내더라도 남

는 장사이다rdquo는 식으로 대출을 권유하였고 이에 따라 많은 저신용자들이 내집마련의

꿈을 실현하고 자본이득을 올리기 위해 주택을 구입하게 되었다 이렇게 늘어난 주택

수요는 주택가격을 더욱 올리는 힘으로 작용하였고 이는 다시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급증을 야기하는 거품생성구조가 만들어졌던 것이다

이러한 거품이 지속될 수 있으려면 저금리가 유지되는 가운데 집값이 계속 올라야

한다 실증분석을 해 보면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다른 자산가격의

경우에서처럼 금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주택과 같이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

한 자산의 가격은 금리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2004년 가을부터 2006년

여름까지 17차례에 걸쳐 진행된 미국의 금리인상은 집값 상승추세를 꺾고 모기지 차

입자들의 이자부담을 늘려 거품을 가라앉힘과 동시에 서브프라임의 잠재적 부실을 드

러내게 된 것이다

모기지 리와 서 라임 연체율 사이의 시차 계와 사태의 장기화 가능성

결국 서브프라임 부실문제가 얼마나 지속될 것인지는 이러한 금리인상의 부정적 영

향이 얼마나 오래 갈 것인지에 달려 있다 앞서 살펴본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구조를

감안하면 오늘 부실화되는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2년 전에 대출되었던 것이 대부분이

다 즉 지난 2년 동안에는 낮은 고정금리가 적용되어 왔기 때문에 어떻게든 버틸 수

있었지만 고정금리 기간이 끝나고 실세금리에 연동된 변동금리로 갈아타게 되면서 원

리금 상환부담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진 대출들이 부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9

이렇게 단순하게 계산해도 서브프라임 모기지 금리의 인상과 모기지 연체율의 상승

사이에는 2년 정도의 시차가 있게 된다 즉 오늘 금리를 올리면 오늘 나간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2년 후에 부실화되는 것이다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에서도 모기지

금리와 연체율은 6~9분기 정도의 시차를 갖는다 즉 2007년에 문제가 된 서브프라

임 모기지 부실은 대부분 2005년을 전후해서 나간 대출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2006년에 나갔던 서브프라임 모기지들은 2008년에 부실화될 가능

성이 크다 그러면 2007년에 나간 대출은 어떠한가 올해 초에 미국 금융당국이 문제

를 인식하고 서브프라임 대출지침을 통해 대출조건을 강화하였기 때문에 올해 초 이

후에 나간 모기지의 부실화 가능성은 크게 낮아졌다 따라서 2006년에 이루어진 모기

지의 부실이 드러나게 되는 2008년 하반기까지 문제가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미 연 의 리정책과 서 라임 사태의 향배

그런데 여기서 주의할 것은 오늘 나간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2년 후에 부실화되는

것은 오늘 올린 금리가 2년 후에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더 올라서 변동금

리 전환 시 부담이 대폭 늘어나는 지급충격(payment shock)이 있고 주택경기가 계속

지지부진해서 집을 팔아 원리금과 중도상환 수수료를 내기 곤란한 경우에 발생한다는

점이다 주택경기도 상당 부분 금리의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면 결국 앞으로 서브프라

임 모기지의 부실화 추이는 미국의 금리정책 추이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만약 미 연준이 2001년 가을처럼 금리를 대폭 인하한다면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은 크게 줄어들 것이고 미국의 주택경기도 살아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미 연준이 주택경기를 되살릴 만큼 대폭적으로 금리를 인하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과거에 위험관리를 소홀히 하면서 과잉유동성을 이용하여 고수익을 추구했던

사람들에게 투자실패에 대한 보상을 해주는 것은 도덕적 해이를 부추길 뿐만 아니라

시장경제원리와도 맞지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다소의 조정비용이 따르더라도 지난

수년 간 저금리와 과잉유동성으로 인해 부풀어 오른 거품들을 걷어내는 것은 장기적

으로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시각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연준의 금리 인하는 만약 현실화되더라도 그 폭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27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것은 미국의 주택가격이 과거의 폭등기로 돌아가기보다는 연착륙할 가능성이 크고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문제도 금리 인하로 손쉽게 해결되기보다는 잠재적 부실이 대

부분 드러날 때까지 지속될 것임을 시사한다

서 라임 사태와 세계 융시장의 혼란

그러면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도 2008년 하반기까지 지속될 것인가 금융시장 불안

은 주로 서브프라임 모기지를 담보로 해서 발행된 파생금융상품들에서 비롯된다 헤

지펀드들을 비롯한 많은 투자자들이 이 파생상품들에 투자했다가 손실을 보고 특히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서브프라임 관련 상품을 사들인 투자자들이 파산하면서 상당한

혼란이 발생한 것이다 아울러 일부 펀드에 환매요청이 몰려 국지적인 유동성 위기까

지 발생하면서 세계 금융시장이 불안해진 것이다

그런데 유동성 위기에 대해서는 각국 중앙은행들이 정책공조를 통해 신속히 대응하

고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즉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주어진 금리 하에서 충분히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유동성으로 인한 위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서브프라임 관련 파생상품에 투자한 금융회사나

펀드들의 손실과 간헐적 파산은 수개월 이상 지속될 수 있을지라도 유동성 위기의 연

쇄적인 확산 가능성은 매우 낮다

이러한 모습은 과거 대공황 시기와 크게 대조된다 대공황 시기에는 금본위제가 존속

하고 있었고 주요국 금융당국 사이의 정책공조도 부족했다 그래서 미국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지자 유럽 국가들은 뉴욕에 예치해 놓았던 금을 대거 인출해 갔고 통화량이

줄면서 공황은 더욱 악화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금본위제가 폐기된 지 오래인

데다가 미국 달러가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 각국 금융당국 사이의 협력도

1920년대 말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서브프

라임 사태로 금융위기가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확산되는 상황은 생각하기 어렵다

결국 세계 금융시장도 파국으로 달려가기보다는 지난 수년간의 고위험-고수익 추

구 관행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는 국면을 맞이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금융변수들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위험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지는 방향으로 조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1

서 라임 사태의 시사 - 험 리의 강화

한편 우리나라 금융기관들은 서브프라임 관련 상품에 투자를 많이 하지 않아 직접

적인 손실은 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세계 금융시장이 조정을 겪는 과정에서 우리

금융시장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는 있을 것이다 즉 국내에서도 주가 금리 환

율 등 주요 경제변수들의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고수익-고위험 추구 경향이 약화될 것

이다

그러면 우리나라 주택시장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에서는 주택경기가 하락하더라도

LTV나 DTI 같은 건전성 규제들로 인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같은 일이 벌어질

가능성은 낮다 또 미국에서는 많은 저신용자들이 서브프라임 대출을 받을 수 있었지

만 우리나라의 저신용자들은 아마도 카드사태의 후유증에 시달리느라 주택시장에 뛰

어들 여력이 없었을 것이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 그

렇다고 이를 남의 문제로 돌릴 일은 아니다 과잉 유동성과 위험관리 소홀이라는 우리

경제의 문제점이 더 커지기 전에 서브프라임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문제를 예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서브프라임으로 인해 금융시장이 지나친 혼란에 빠지는 것은 막아

야 하겠지만 그것이 유동성 관리와 건전성 감독을 소홀히 하는 빌미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27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9호(2007108)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과제와 전략

徐 丙 昊

〈요 약〉

최근 경제의 성장 융회사간 경쟁격화에 따른 수익성 약화를 극복하

기 해 국내 융회사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한 국내 기업과

개인 고객들의 해외투자가 증하면서 이들 수요도 해외진출을 독려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선진 융기법과 인사 리 리스크 리 시

스템 등을 습득하고 로벌 투자자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국내 융시장

에서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일도 융회사가 해외진출을 하는 요한 과제

의 하나라고 사료된다 이를 해서는 로벌 투자자들과 선진 융회사들이

집한 융 선진지역으로의 진출을 확 해야 한다 한 업형태에 있어서

는 진출지역의 규제상황과 국내 시장에서의 종합 융그룹화 추세를 감안하

여 이종업종으로의 진출도 고려해야 한다고 단된다 해외진출은 회사의 운

명이 걸린 사안이다 선택에 앞서 정말로 해외진출이 필요한지 그리고

필요하다면 어떠한 장기 비 을 제시할 것인지에 한 신 한 근이 필요

할 것이다

국제화 추세에 부응하여 국내 금융시장을 본격적으로 개방하면서 해외 금융회사들

의 국내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종합 금융회사의 탄생에 일조하는 금융지

주회사법 도입과 자본시장통합법 통과로 국내 금융회사들은 업무장벽을 초월한 무한

경쟁에 돌입하였다 이러한 국내 금융시장의 경쟁 격화는 금융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하고 금융회사들의 경영 효율성 및 투명성을 제고했다는 점에서 긍정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3

적인 역할을 했으나 동시에 국내 금융회사들의 수익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

기도 하였다

최근 국내 금융회사들은 금융시장의 경쟁격화와 국내 경제의 저성장에 직면하여 해

외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포화된 국내시장에서 제로섬(zero-sum) 경쟁으로 수

익성을 약화시키는 것보다 해외로 진출하여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하는 것이 장기적으

로 안정적 성장을 담보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또한 중국과 베트남 등 인근 아시

아 국가들의 경제성장률이 국내 경제성장률을 상회하면서 국내 금융시장보다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시장들을 선점하지 않으면 향후 기회가 없어질 수

도 있다는 위기감도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을 독려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향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 과제

들을 점검하고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 현황을 평가한 후 해외진출을 위한 다양

한 전략들을 간략히 제시하고자 한다

해외진출을 한 과제

국내 금융회사 해외진출의 첫 번째 과제는 신시장 개척을 통한 고객기반 확충과 고

성장 국가들의 금융시장 선점이다 국내 경제의 저성장과 국내 시장의 경쟁격화는 금

융회사들의 이익창출능력을 저하시키고 있으며 따라서 해외진출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엔진을 마련해야 한다

두 번째 과제는 국내 고객들의 수요를 만족시킴으로써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국내 금융회사들의 기업 고객들은 생산비 절감과 현지 마

케팅 등을 목적으로 해외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이 해외에 대규모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대출 회사채 발행 해외 IPO 등 다양한 자금조달 방식을 이용해야 하

며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기업 고객들의 이탈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

다 또한 개인 고객들도 최근 직간접적으로 해외투자를 늘리고 있다 가령 이들을

대상으로 해외펀드를 설정운용하거나 현지 대출을 제공하거나 현지 보험을 판매한

다면 고객 만족도를 높여 국내 시장에서의 지배력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과제는 글로벌 금융회사들의 선진 금융기법을 습득하고 해외 투자자 네트

27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최근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사태로 일부 헤지펀드와 투자

은행들이 부실해질 가능성이 커졌으나 금융시장에서 인수 MampA 중개자문 기업 구

조조정 등 투자은행 업무만큼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는 없다 최근 통과된 자본시장통

합법도 토종 글로벌 투자은행을 육성하기 위해 제정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이

러한 투자환경의 조성에 부응하기 위해서라도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노하우를 습득해

야 한다

해외진출 황과 평가

역사적으로 국내 금융업은 내수산업으로 분류되고 있을 정도로 해외사업 비중이 작

았는데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해외사업 비중이 오히려 더 작아지게 되었다 아직까지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 규모는 극히 미미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통계도 정확하

게 집계되지 않지만 2006년 국내은행의 총수익 중 해외수익의 비중이 32라는 사

실에서 해외진출 규모가 어느 정도 작은지를 유추할 수 있다

1997년 190개에 이르렀던 국내은행의 해외점포 수는 외환위기를 거치며 1998년말

127개로 급감하였으며 신용카드 부실사태를 겪은 2002년말에는 96개까지 감소하였

다 최근 해외진출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점포수를 확충하고 있으나 2006년말 현재

국내은행의 전체 해외점포 수는 111개로서 외환위기 이전의 584에 지나지 않는다

국내 은행은 외환위기 이전부터 외환거래 및 단순대출 업무의 수행을 위해 다수의

국가에 진출하였는데 최근에는 중국시장으로의 진출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

다 가령 2007년 금감위에서 인가한 국내은행의 해외점포를 살펴보면 중국관련 인가

가 지점 1곳 사무소 1곳 현지법인 3곳을 포함하여 6건에 이른다 이는 중국시장의

성장잠재력이 워낙 크고 국내 경제와의 연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 유사성까

지 갖추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부 은행들은 홍콩에 투자은행을 설립

하였는데 이는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에 대비하여 글로벌 투자은행으로 변신하겠다

는 의지의 표명이라고 판단된다

국내 증권사는 중국 동남아 호주 남미 등 다양한 지역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영

업형태 면에서는 아직 해외 IPO나 국제 MampA보다는 자기자본투자(PI)에 집중하고 있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5

다 유가증권 인수업무나 MampA 중개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지에서의 투자자 네

트워크가 필요한데 아직 해외진출의 역사가 짧기 때문에 네트워크 민감도가 비교적

낮은 자기자본투자에 집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자산운용사는 국내 펀드의 해외 판매보다는 주로 국내 고객들에게 판매한 해

외 펀드의 운용을 목적으로 해외진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지역적으로는 싱가포르 베

트남 등 동남아에 편중된 모습이다 이는 선진국의 경우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의 상품

에 비해 경쟁력을 갖추기 힘들 뿐만 아니라 국내 소비자들이 아직 안정적인 선진국 펀

드보다는 고위험고수익의 이들 지역 펀드를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보험사들도 글로벌 보험사들의 거친 도전으로 인하여 국내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지자 해외진출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특히 세계 최대의 보험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시장 진출에 적극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제2금융권에서도 구조조정의 마무리로 대형업체들이 출현하면서 해외진출이

증가하고 있다 저축은행은 국내 PF사업 기회가 줄어들면서 동남아 개발사업에 참여

하고 있으며 대기업 계열 캐피탈회사는 계열사 기반을 활용하여 리스 및 할부금융에

특화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최근 대부분의 국내 금융회사들은 아시아지역의 고성장 개발도상국들을 집중 공략

하고 있는데 이는 신규 수익원을 확보하면서 해당지역으로의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일부 국내 금

융회사들은 중앙아시아와 남미 등 국내 수요는 적지만 자원이 풍부하여 향후 성장가

능성이 높은 곳으로도 진출하고 있다 이들 지역의 경우 문화적 이질감은 있을 수 있

으나 국내 금융회사들이 금융기법의 경쟁우위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

다고 판단된다

대다수의 국내 금융회사들은 해외에서도 국내와 유사한 영업형태를 고수하고 있는

데 이는 상대적으로 비교우위가 있는 부문에 전념함으로써 현지 시장에서의 경쟁력

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동종업종으로 진출한다고 하여 취급상품까지 같

아서는 경쟁력이 없으므로 현지 수요에 맞는 상품을 개발하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한

다고 판단된다

27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해외진출을 한 략

금융회사에는 은행 증권 자산운용 보험 여신금융 등 다수의 상이한 회사들이 포

함되며 같은 업종이라도 회사의 규모나 영업방식 등에 따라 차이점이 크기 때문에 국

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전략을 일반화하여 제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해

외진출의 다양한 진출 과제와 전략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국내 금융회사들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논의하기로 한다

첫째 국내 금융회사들은 해외진출 과제 중 하나인 선진 금융기법 습득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선진국의 글로벌 금융허브 진출을 확대하는 전략도 병행할 필

요가 있다 금융시장의 개방이 점차 확대되면서 국내 금융시장에서도 글로벌 금융회

사들과 경쟁해야 하며 따라서 이들에게 뒤지지 않는 리스크관리 등의 금융기법을 습

득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최근 투자은행의 설립을 촉진하는 자본시장통합법이 통과

되면서 국내 투자은행 시장의 향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

는 글로벌 투자은행들과의 경쟁에 대비하여 글로벌 투자자 네트워크도 확립해야 하는

시점이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투자기법 리스크 관리기법 고객관리 및 인사관리 시스템 등

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금융투자회사들의 본사가 있는 금융 중심지로

진출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며 특히 자금력이 풍부한 해외 투자자 네트워크를 구축

하기 위해서는 런던과 뉴욕 등의 글로벌 금융허브에서 수련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토종 글로벌 투자은행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국내 금융회사들의 조직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글로벌 투자은행을 육성하기 위한 조직문화

가 어떠한 것인지를 깨닫기 위해서라도 그들의 주된 무대에서 현장체험을 해야 한다

고 판단된다

둘째 국내 금융회사들은 진출지역의 규제상황과 국내 시장에서의 종합 금융그룹화

추세를 감안하여 이종업종으로의 해외진출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가령 상업은행의

경우 동종업종으로 진출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우선 각 나라마다 상

업은행 업무는 규제산업이기 때문에 해외자본이 진입하는 데 있어서 규제 사항이 많

다 현지 은행을 인수하려고 해도 지분인수에 제한이 있는 국가들이 많으며 허가절차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7

와 감독규제도 매우 까다롭다 게다가 상업은행 업무의 경우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는 고객 편리성을 충분히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점망을 비롯한 대규모 투

자가 따라야 하기 때문에 재무적으로 부담이 된다 뿐만 아니라 상업은행의 고객 성향

을 정확히 파악하고 신규상품들을 제작판매하기 위해서는 현지인들과의 언어적 문

화적 교감이 필수적이며 따라서 현지화를 위해 긴 시간과 높은 비용을 감수해야 한

다 이는 일부 증권사나 보험사 업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과거 스위스 Credit Suisse은행의 미국 First Boston 투자은행 인수와 최근 미국

Citi은행의 일본 Nikko Cordial 증권사 인수에서 보듯이 이종업종으로의 해외진출로

범위의 경제를 달성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특히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으로 금융권

역간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므로 이종업종의 해외진출을 통해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해외진출에 있어서 금융회사들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 현

재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은 시대적 추세인 것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본고

에서도 해외진출의 과제와 전략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해외진출은 대규모 투자를 동

반하는 중대한 결정사항으로서 잘못된 판단으로 금융회사의 운명이 갈릴 수가 있으므

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우선 해외진출이 해당회사에 꼭 필요한지를 객관적으로 검토해 보아야 한다 가령

회사의 규모나 인적자산이 부족하고 해외사업을 통한 뚜렷한 시너지 효과를 찾기 어

렵다면 해외진출보다는 재무적 해외투자가 적합하다 또한 해외진출을 결정한 이후에

도 Citigroup의 장기광역형 HSBC의 중기 센터집중형 Nordea의 단기 지역맹주형

UBS의 유니버설 뱅킹형 BSCH의 소매금융형 Macquarie의 틈새시장형 등 각종 진

출 유형들을 참고로 하여 회사의 장기적 비전을 설정1)해야 진출지역과 영업형태 등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 박동창서병호「국내은행의 해외진출 전략」『KIF Bullets』제37호

27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5호(20071119)

미 달러화 위상의 약화요인과 대응방안

朴 海 植

〈요 약〉

지난 5~6년간 로벌 외환시장에서 미 달러화는 약세기조를 지속해 왔다

그런데 특히 올해 들어 미 달러화의 상 약화에 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이는 올해 발생한 로벌 융불안이 가장 안 한 투자처로 인식되어 왔던 미국

융시장에서 발되면서 미 달러화에 한 신뢰도가 크게 약화되어 달러화

리사이클링 붕괴에 따른 미 달러화의 락 가능성이 과거보다 더 높아졌기

때문으로 본다 이에 더해 수익성을 강조하는 국부펀드가 가세하면서 미 달러

화 자산에 한 수요가 격히 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미 달

러화가 락하게 되면 로벌 융시장이 크게 요동칠 수 있어 국내 융기

기업들의 험 리 강화가 요망된다 정책당국도 외환보유액의 통화다

변화 아시아 통화통합 논의에 한 극 인 참여 등을 통해 미 달러화 가치

락 이에 따른 미 달러화의 상 약화에 꾸 히 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지난 수십년간 전세계 무역 및 금융거래의 기축통화로 군림해 왔던 미 달러화의 위

상이 커다란 위기를 맞고 있다 그동안 미 달러화는 1999년의 유로화 출범 등 많은 난

관에도 불구하고 준비통화결제통화개입통화로서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

서 그 위상을 꿋꿋하게 지켜왔다 그러나 최근 미 달러화가 기축통화로서의 위상을 더

이상 지탱하기 어려울 수도 있음을 예고하는 징후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린스

펀(Greenspan) 前 미 연준(FRB) 의장도 미 달러화 주도의 국제통화체제에 대해 부정

적인 견해를 밝힌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고에서는 미 달러

화 위상의 저하요인들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9

로벌 미 달러화 약세의 지속

지속적인 글로벌 미 달러화의 약세는 기축통화로서의 위상에 가장 큰 타격을 입힌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미 FRB가 7대 교역상대국 통화를 대상으로 무역가중치를 이

용하여 추산하는 미 달러화의 주요 환율지수(major currency index)1)를 보면 미 달

러화는 이미 브레튼우즈체제 붕괴 이후의 최저치(1995년)를 하향 돌파하였다 이로써

2007년 10월 현재 미 달러화는 2000년대 들어 최고치를 기록하였던 2002년 2월대비

약 34(7393)나 하락하였다 교역상대국 통화의 범위를 26개로 확대하여 추산한 미

달러화의 확대환율지수(broad currency index)2)에서도 비슷한 추세가 발견된다 이

에 따르면 미 달러화는 2002년 2월부터 약세로 전환되어 2007년 10월 현재 약 23

하락한 9980을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미 달러화 약세가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됨에 따라 각국 중앙은행의

준비자산에서 미 달러화의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 통화다변화 움직임이 미 달러화 약세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

다 유로화가 출범한 1999년부터 미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되기 직전인 2001년까지 전

세계 외환보유액의 미 달러화 자산 비중은 70대를 꾸준히 유지하였다 그러나 미 달

러화가 약세로 전환된 2002년부터 미 달러화 자산 비중은 하락하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65를 하회하고 있다 반면에 유로화의 비중은 15~16대에서 25를 상회하는 수준으

로 확대되었으며 엔화의 비중도 유로화 비중보다는 낮지만 과거보다 많이 높아졌다

미 달러화는 준비통화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결제통화로서의 기능도 위협받고 있

다 이러한 움직임은 주로 미 달러화로 결제하는 원자재 수출국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가격의 큰 폭 상승에도 불구하고 미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

자 원자재 수출대금을 자국통화로 환산할 경우 원자재 수출을 통한 소득증대효과가

그만큼 크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올해말부터

양자간 무역의 결제통화를 미 달러화에서 자국통화로 변경하기로 합의하였다 원유

1) 미 달러화의 주요 환율지수는 유로화 호주 달러화 영국 파운드화 캐나다 달러화 일본 엔화 스웨덴 크로나화 및 스위스 프랑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국가는 미국 수출의 약 55를 차지한다

2) 미 달러화의 확대환율지수에 포함된 국가들은 미국 수출의 약 90를 차지한다 이들 국가들은 7대 교역상대국에다 한국 중국 인도 동남아 국가 등의 아시아 국가들과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베네주엘라 등의 중남미 국가들의 통화를 더해 구성하고 있다

28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수출국들도 미 달러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수출대금을 유로화로 결제할 것이라고 경

고한 바 있다3)

미 달러화 페그(peg)제를 운용하는 국가들도 글로벌 미 달러화 약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국가들이 페그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글

로벌 미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국통화의 절상압력을 흡수하기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

하게 되는데 이 때에 불태화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통화증발에 따른 물가불

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현상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과잉유동성 문제를 초

래하여 경제체질이 악화될 수 있다4) 따라서 지금과 같이 글로벌 미 달러화 약세가

오랜 기간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미 달러화 페그제를 포기하거나 페그통화를 다른 통

화로 바꾸는 국가가 나온다고 하더라도 놀랄만한 일은 아니라고 본다5)

미 달러화에 한 신뢰도 약화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부실문제를 계기로 미 달러화에 대한 신뢰도가 약화된 것도

미 달러화의 위상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동안 미 달러화 자산이 안전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각국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

중 많은 부분이 미 국채로 구성되어 있거나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때마다 미 달

러화 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 등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올해 글로벌 금융시장의 가장 큰 불안요인이 되었던 서브프라임 부실문제가 가장 안

전한 투자처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 왔던 미국에서 촉발되면서 안전자산으로서 미 달

러화의 입지가 많이 손상되었다

더욱 심각한 것은 투자자들 사이에 미 달러화 자산이 더 이상 안전자산이 아니라는

인식이 빠르게 확산될 경우 달러화 리사이클링(dollar recycling) 구조가 와해될 수

있다는 데에 있다6) 달러화 리사이클링이란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로 인해 해외로 유

3) 김은지「굿바이 달러패권시대」『Economy21』 2007년 10월 29일

4) 중국이 미 달러화 약세에 따른 위안화 절상압력으로 인해 해외부문에서 유동성이 크게 증가하면서 경기과열 및 자산가격 버블을 경험하고 있는 것은 이를 증명한다

5) 실제로 최근 홍콩 통화당국은 미 달러화에 페그된 통화위원회제도(currency board system)를 유지하기 위해 약 2주간 100억 홍콩 달러(1조 20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외환시장에 투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홍콩 통화당국이 페그통화를 현행 미 달러화에서 중국 위안화로 변경할지도 모른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1

출된 미 달러화가 외국인의 미 달러화 자산 매입을 통해 미국으로 다시 유입되는 구조

를 말한다7) 이 구조하에서 외국인의 미 달러화 자산 매입은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에 따른 미 달러화 절하압력을 상당부분 완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따라서 달러화

리사이클링 구조가 붕괴되면 미 달러화 가치의 추가 하락이 불가피하여 기축통화로서

미 달러화의 위상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

아직도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달러화 리사이클링 구조가 쉽게 붕괴되지는 않을 것으

로 전망한다 이의 근거로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최근에 각국 중앙은행의 미 달러화 자

산 보유비중이 하락하기는 하였으나 그 속도가 완만하다는 점이 지적되곤 한다 또한

신흥시장경제 주도의 견조한 세계경제 성장세가 미 달러화 약세를 동반한다면 미국의

경상수지 불균형이 예상외로 빠르게 해소되어 더 이상 달러화 리사이클링 붕괴에 대

해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2006

년말에 GDP 대비 65를 기록하였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GDP 대비 55로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사태가 국제투자자들의 투자패턴에 몰고 온 변

화를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신용경

색 악화 및 세계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

됨에 따라 국제투자자들의 위험회피성향이 크게 높아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는 국제

투자자금이 위험자산에서 안전자산으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런데 올

해 외국인의 대미 투자패턴을 살펴보면 안전자산으로서 미 달러화 자산의 역할이 많

이 약화되었다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 지난 5월부터 미 유가증권에 대한 외국인의

순매수세가 줄어들기 시작하여 8월에는 아예 순매도세(349억달러)로 돌아섰기 때문

이다 서브프라임 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좀처럼 제거되지 않

고 있어 미 유가증권에 대한 외국인의 이러한 투자패턴 변화는 쉽게 바뀔 것 같지 않

아 보인다

6) 권순우「팍스 달러리움(Pax Dollarium)의 미래 진단과 전망」『SERI 경제 포커스』 제163호 2007년 10월 15일

7)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2000년대 초반에 GDP 대비 3~4 수준에서 2006년 중에 GDP 대비 65 수준으로 높아지는 과정에서 미국의 매년 해외부채 증가분은 4000억~5000억달러에서 9000억달러에 근접하는 수준까지 확대되었다

28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수익성 주의 국부펀드 등장

수익성을 강조하는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8)의 등장도 기축통화로서 미

달러화의 역할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동안 국부펀드는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단기성 투자행태를 보여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수익성 위주의 장기투자를 선호하는

국부펀드가 늘어나고 있다 중동 산유국 중심의 원자재 수출국들은 자원고갈에 따른

미래세대의 소득원천을 보전하기 위해 원자재 수출로 벌어들인 소득으로 별도의 기금

을 설립하여 수익성 위주의 장기투자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아시아지역에서도

국제수지 흑자 증대로 외환보유액이 급증하자 이를 활용한 국부펀드 설립을 통해 안

전성유동성을 강조하는 전통적 운용전략에서 벗어나 수익성 위주로 자산을 운용하

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자본의 흐름이 미 달러화 자산에서 신흥

시장국 통화표시 자산을 포함한 非달러화 자산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재 운용 중이거나 설립예정중인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아직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기 때문에 국부펀드 등장에 따른 대체효과9)가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

한적일 수 있다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추정기관에 따라 상이한데 2007년 상반기 현

재 최저 15조달러에서 최고 34조달러로 추정된다 따라서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대체적으로 PEF(2조달러)와 헤지펀드(14조달러)의 자산규모보다 큰 것으로 파악된

다 그러나 PEF와 헤지펀드를 제외한 다른 기관투자자들의 자산규모와 비교할 때 국

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전세계 은행자

산(635조달러)의 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투자펀드(210조달러) 연기금(179

조달러) 보험사 자산(160조달러)의 15~20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8) 국부펀드는 국가가 보유한 공적기금(public funds)을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투자하여 운용하는 투자수단(investment vehicle)으로서 국가투자기금(state investment fund)을 의미한다 국부펀드는 헤지펀드 PEF

연기금 등과 비교해 수익성을 중시하는 기금운용이나 투자자산 선택 등에서 유사한 점이 있으나 소유권이 민간이 아닌 국가에 있다는 데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국부펀드의 재원조달은 국가가 보유한 국내자산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현존하는 대부분의 국부펀드는 외화자산에 의존하여 재원을 조달한다 국부펀

드는 재원에 따라 상품펀드(commodity fund)와 非상품펀드(non-commoditiy fund)로 구분한다 상품펀드의 재원은 정부소유 국가기관의 원자재수출대금 또는 민간기업의 원자재수출소득에 대한 세금 등 정부의 외화수입으로 구성되며 非상품펀드는 국제수지 흑자 등으로 축적된 외환보유액이나 공적연금기금 재정잉여자금

등에서 조달한 자금을 재원으로 활용한다

9) 국부펀드의 수익성 위주 자산운용에 따른 대체효과는 국부펀드 자금이 안전자산rarr 위험자산 선진국시장 rarr 신흥금융시장 미 달러화 자산 rarr 非달러화 자산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3

그럼에도 국부펀드의 등장이 미 달러화의 위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

는 이유는 국부펀드의 성장잠재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IMF는 각국 경상수지

추세를 바탕으로 2012년에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10조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

다10) Deutsch Bank는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2012년과 2017년에 각각 5조달러와

10조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11) Morgan Stanley는 2012년에 87조달러

2022년에는 전세계 외화보유액을 2배 이상 상회하는 277조달러로 예상하였다12) 이

러한 성장성과 더불어 국부펀드의 非달러화 자산에 대한 투자확대가 민간자금의 군집

행위(herd behavior)를 촉발하게 되면 국부펀드 등장에 따른 대체효과가 더욱 확대되

어 국제자본의 미 달러화 자산에서 非달러화 자산으로의 이동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미 달러화 가치가 급락하고 국제적 위상이 약화되는 것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맺음말

지난 5~6년간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미 달러화가 약세를 지속해왔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올해 들어서 미 달러화의 위상 약화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이는 올해 발

생한 글로벌 금융불안이 그동안 가장 안전하다고 인식되었던 미국 금융시장에서 촉발

되면서 미 달러화 가치의 급락 가능성이 과거보다 높아졌기 때문으로 본다 미국의 대

규모 경상수지 적자를 지탱해 왔던 달러화 리사이클링 구조가 미 달러화에 대한 신뢰

도가 약화되면서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이에 더해 중국투

자공사의 출범 등 수익성을 강조하는 국부펀드가 가세하면서 미 달러화 자산에 대한

수요가 크게 줄어들 수 있다는 염려도 있다

이처럼 미 달러화 가치의 급락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국내 금융기관 및 기업들

은 위험관리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부의 해외투자 활성화 조치로 해외로

유출되는 투자자금이 늘어나고 있는데 미 달러화가 급락하게 되면 글로벌 금융시장

10) Simon JohnsonldquoThe Rise of Sovereign Wealth Fundsrdquo Finance and Development Vol44 No3 IMF

September 2007

11) Deutsch BankldquoSovereign Wealth Funds-State Investments on the Riserdquo September 10 2007

12) 신원섭박용진「세계 국부펀드의 확대 배경과 향후 전망」『해외경제정보』 제2007-70호 한국은행 2007년 10월 2일

28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 크게 요동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정책당국도 미 달러화 급락 및

그에 따른 위상 추락에 대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 기업들의 결제통화 다변화뿐만 아니

라 외환보유액의 통화다변화 및 아시아 통화통합 논의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등은 정

책당국이 취할 수 있는 위험관리방안이라고 본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5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7호(2007123)

최근 자본수지 동향과 정책과제

李 圭 馥

〈요 약〉

최근 자본수지 동향을 살펴보면 해외투자 활성화로 자본유출이 증가하 음

에도 불구하고 단기외채가 증하며 흑자를 지속해 왔다 한편 외 요인인

미국 서 라임 사태로 인한 신용경색 우려가 가시화될 때마다 안 자산 선

호경향이 나타나며 자본수지는 단기 으로 자를 기록하기도 하 다 이러

한 신용경색 우려에 따른 단기 인 자본유출은 환율의 변동성을 높일 것으로

보이나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큰 충격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오히려

환율 상승은 경상수지 개선에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단기자 유

입에 응하여 실시되었던 장기 해외투자 활성화는 자본유출입 시기상 엇

갈리는 면이 있다는 해외투자의 불확실성은 높아진 반면 국가간 경쟁은

매우 심화된 상태라는 등을 고려할 때 향후 해외투자는 완 의 조 이 필

요할 것으로 보이며 투자결정도 좀 더 신 할 필요가 있다 한 기투자된 부

동산 해외펀드 등에 해서도 리스크 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외환위기 이후 계속적인 경상수지 및 자본수지의 동시 흑자로 인해 외환의 초과공

급 상태가 지속되어 원달러 환율을 크게 하락시켰고 이는 상품수지 흑자폭의 감소

서비스수지 적자폭의 확대 등으로 이어져 경상수지 흑자축소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외환시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해외투자 활성화 방안1) 등으로 외화유

출을 유도하여 환율하락세를 둔화 또는 상승세로 전환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1) 예를 들어 2007년 1월 정부는 외환의 초과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차원에서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해외 간접투자 및 해외 부동산투자 활성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28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단기외채를 중심으로 큰 폭의 자본유입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전반적인 자본수지는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최근 정부 및 한국은행은 여러 가지 단기외

채 억제방안들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단기외채 규모가 커짐에 따라 글로벌 투자자들이 우리나라 경제에 대하여 불안정한

상황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신용경색에 대한 우려 등으로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최근 우리나라 자본수지의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는 한편 정부의

해외투자정책방향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고자 한다

해외투자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단기외채 증에 의한 자본수지 흑자

자본수지는 2006년에 이어 2007년에도 단기차입 증가에 따라 흑자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해외투자 활성화 등으로 인하여 해외직접투자와 해외포트폴리오투자가

크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단기외채 증가를 주원인으로 기타투자수지가 크게 증가

하며 자본수지 흑자가 유지2)되고 있는 상황이다 단기외채의 급증은 원화절상 기대심

리와 외은지점의 적극적인 이윤추구 전략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작년부터 늘어나기 시작한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올해도 정부의 해외투자 활성화 정

책에 힘입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내국인 해외직접투자는

2006년 283억달러(전년대비 659) 2007년(1sim10월) 511억달러(전년동기대비 942)

가 증가하였고 내국인의 해외포트폴리오투자는 2006년 1190억달러(전년대비 1115)

2007년(1sim10월) 2114억달러(전년동기대비 1175)가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2006년부터의 해외부동산 투자요건 완화 올해 해외펀드의 이자소득에 대

한 비과세 등 정부의 해외투자 활성화정책은 매우 유효하였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05년 5억달러에 불과였던 부동산투자는 2006년 15억달러 2007년(9월까지) 23억달

러로 그 규모가 급증하였다3) 또한 해외펀드 설정액도 2006년말 26조원 정도에서

2007년 8월말 58조원으로 크게 늘어났다

2) 2006년 우리나라 자본수지는 1862억달러(기타투자수지는 4768억달러 유입초를 기록)의 유입초를 기록하였으며 2007년 10월까지 자본수지흑자는 652억달러(기타투자수지 3900억달러 유입초)로 집계되었다

3) 신고기준 수출입은행 자료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7

최근 자본수지에 영향을 준 주된 대내적 요인이 해외투자활성화와 단기외채 급증이

었다면 대외적인 요인은 서브프라임 부실사태로 인한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신용경색

을 들 수 있다 신용경색 우려가 가시화될 때마다 안전자산 선호경향이 강화되면서 우

리나라를 비롯한 신흥시장국에서의 자금유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올해 2월 및

8~10월에 우리나라가 자본수지적자를 기록한 것은 주로 이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신용경색으로 인한 단기 인 자 유출은 우려할 수 이 아닐 것

이러한 신용경색으로 인한 단기적인 자금유출 현상은 환율의 변동성을 높일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큰 충격을 가져올 것으로는 예상되지 않는다 우리나

라는 2600억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액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단기외채비율(총외채

대비 단기외채 비중)이나 유동외채비율(유동외채 대비 외환보유액 비중)은 모두 IMF

기준에 따르면 안정수준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4) 현재 외환보유액 수준은 단기외

채를 모두 갚고도 주식 및 채권시장에 들어온 외국인 투자자금의 약 30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단기외채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외은지점 부채는 상당부분 파생상

품의 거래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향후 자금유입과 매치되어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오히려 단기적인 자금유출이 환율의 상승을 가져오는 경우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예

상보다 개선될 가능성도 있다 환율상승은 수출증가율 수출기업의 채산성을 예상보

다 개선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해외소비나 여행 수요를 감축시킬 가능성도 있어 이 경

우 경상수지는 예상보다 나아질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5)

4) 2007년 6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단기외채비율은 530 유동외채비율은 659로 IMF에 따르면 단기외채비율은 60까지가 안정수준이고 유동외채비율은 100까지가 안정수준이다

5) 내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흑자폭이 감소하는 반면 서비스수지 적자폭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어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적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대부분 연구기관들이 예측하고 있다 서비스수지는 북경올림픽 미국 비자면제 등의 환경변화로 인해 적자폭 확대가 예상된다 한편 수출증가율은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2007년보다는 세계경제성장세 둔화와 함께 증가율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수입증가율은 고유가로 인한 원자재 수입금액 증가 내수경기 확대에 의한 소비재와 자본재에 대한 수요 증가 등으로 수출증가율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8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향후 해외투자 정책은 완 을 조 하고 신 을 기할 필요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외화유출에 따른 환율안정 효과 외에도 시장확대에 따른 투자

위험 분산효과 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등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의 국제금융

시장의 불안이 단기간에 끝나기보다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고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한 미국 및 세계성장세의 둔화정도가 아직 불확실한 상

황이므로 단기적으로는 향후 해외투자전략에 대하여 좀 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즉 단기적인 자본수지 흑자규모 축소를 위해서는 단기외채 억제에 집중할 필요가 있

으며 중장기 해외투자는 외화유출보다는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관점에서 완급을 조절

할 필요가 있다 비록 외환보유액이라는 완충장치가 있긴 하나 단기로 유입되는 자금

들을 가지고 장기로 유출되는 자금을 상쇄하는 데에는 시기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

으며 이는 향후 환율의 변동성을 확대시킬 가능성이 높다

특히 국제금융시장의 높은 불확실성 외에 이제 우리나라가 진출하려는 금융 등 전

략적인 산업 및 기업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중국 등 신흥시장국들도 막대한 보유외화

자산을 이용하여 활발히 진출하고 있어 자칫 고평가된 부분에 투자할 위험이 매우 높

은 상황이다 최근에는 국가간 해외직접투자 경쟁이 심화되면서 리스크가 높은 국가

나 산업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투자기업들은 합

리적인 수익성 평가 후 감내할 만한 수준의 리스크 범위 내에서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해외직접투자의 경우에는 국내투자와의 보완관계 등 긍정적인 면까지 고려하

여 전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부동산 해외펀드 등 기투자부분에 한 리스크 리 강화가 필요

한편 국제금융 및 실물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된 상태이기 때문에 최근 활성화 정

책의 영향으로 이제 막 해외에 투자한 기업이나 개인들은 투자여건의 변화를 고려하

여 기투자분에 대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2007년 들어 투자목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9

적 해외부동산취득 한도를 늘리면서 개인 및 중소기업 중심(2007년 상반기 중 주체별

부동산업 투자비중은 중소기업 736 개인 115 대기업 149였음)으로 부동산업

진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진출 국가들의 부동산경기 변화에 대한 리스크 관

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해외펀드 투자가 크게 증가하였는데 아직도 국내

자산운용사들의 해외투자펀드는 특정국가 특정시장 등에 대한 쏠림현상이 높은 편이

다 따라서 투자지역이나 투자대상물 등의 다양화를 통해 투자자들의 위험을 적절히

분산시키는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9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8호(20071210)

글로벌 국부펀드 운용에 대한 고찰

朴 海 植

〈요 약〉

최근 원자재 수출국 아시아 신흥시장국을 심으로 국부펀드의 설립이

늘어나고 투자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에 한 국제 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부펀드는 높은 성장잠재력을 바탕으로 험자산에 한 수요를 진하여

미 달러화를 비롯한 안 자산 주의 국제자본의 흐름에 지 않은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로벌 융시장이 불안해지고 융

보호주의가 확산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반면에 국부펀드는 미 서

라임 사태로 발된 로벌 신용경색 완화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실제로 다

수의 로벌 융기 들은 국부펀드의 자 을 활용해 악화된 재무건 성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재 로벌 신용경색으

로 해외자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융기 기업들은 국부펀드

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고 정부도 이에 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단된다

최근 원자재 수출국 및 아시아 신흥시장국을 중심으로 국부펀드의 설립이 늘어나고

투자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올해 9월 중국이

2000억달러의 투자자금을 외환보유액으로부터 조달하는 중국투자공사(China Invest

-ment Corporation CIC)를 출범시킨 것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40개 이상의 국부

펀드가 활동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11월에는 UAE의 ADIA(Abu Dhabi Investment

Authority)가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Citigroup의 자본확충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91

을 위해 75억달러를 투자하면서 국부펀드가 글로벌 신용경색을 완화할 수 있는 자금

공급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고에서는 각국의 국부펀드 설립배경 및 현황을 살펴보

고 국부펀드 확대에 따른 예상효과 및 운용상의 주요 쟁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국부펀드의 정의 설립목

국부펀드는 국가가 보유한 공적기금을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투자하여 운용하는 투

자주체로서 국가투자기금을 의미한다 국부펀드는 헤지펀드 PEF 연기금 등과 비교

해 수익성을 중시하는 운용목적이나 투자자산 선택 등에서 유사한 점이 있지만 소유

권이 민간이 아닌 국가에 있다는 데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국부펀드의 재원조달

은 국가가 보유한 국내자산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대부분의 국부펀드는 외

화자산에 의존하여 재원을 조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부펀드는 펀드의 재원에 따라 상품펀드(commodity fund)와 비상품

펀드(non-commoditiy fund)로 분류한다 상품펀드의 재원은 국가기관의 원자재 수

출대금 또는 민간기업의 원자재 수출소득에 대한 세금 등 정부의 외화수입으로 구성

된다 반면에 비상품펀드는 국제수지 흑자 등으로 축적된 외환보유액이나 공적연금기

금 재정잉여자금 등에서 조달한 자금을 재원으로 한다

상품펀드는 다시 설립목적에 따라 안정화기금과 저축기금으로 구분하는데 안정화

기금은 정부재정의 안정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는 기금으로 원자재가격의 높은 변동성

에 따른 위험을 보전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즉 원자재가격이 높은 시기에 발생하는

정부의 재정흑자를 안정화기금으로 축적하고 원자재가격이 낮은 시기에는 축적된 자

금을 이용하여 정부의 재정적자를 보전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안정화기금의 자산

운용은 수익성보다는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단기투자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저축기금은 자원의 유한성에 따른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설립된 기금으로 기

금축적을 통해 미래세대의 소득을 보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자재수출을 통해

얻은 소득은 단기적으로 안정화기금을 통해 정부의 안정적 재정운용에 도움이 되나

장기적으로는 그 국가의 자원고갈 위험이 증대되는 것이므로 미래소득의 원천을 위협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원고갈에 따른 미래세대의 소득손실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별

29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도의 기금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1) 저축기금의 자산운용은 설립목적에 따라 안정화기

금과는 달리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단기투자보다는 수익성 위주의 장기투자를 중시

한다

저축기금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상품펀드를 운용하는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정치

적인 이유 등으로 안정화기금의 비중이 저축기금의 비중을 절대적으로 압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기금과 저축기금을 동시에 운용하는 신흥시장국에서는 원자재 수출

대금의 90가 안정화기금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10만이 저축기금으로 유입되는 것

으로 추정되고 있다2) 그러나 상품펀드를 운용하는 국가들 사이에서 저축기금의 필요

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 향후 저축기금의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비상품펀드의 설립은 아시아 신흥시장국을 중심으로 적극 추진되고 있는데 국

제수지 흑자 지속을 배경으로 한 외환보유액의 급증이 주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1996

년말에 2550억달러를 기록하였던 아시아지역의 외환보유액은 2006년말 현재 23조

달러로 1996년말 대비 10배 가량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외환보유액 규모가 외채지

급과 급격한 외화유출에 대비하고도 남을 만큼 과도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실제

로 Greenspan-Guidotti Rule에 따르면 아시아지역을 포함한 신흥시장국의 외환보유

액 중 잉여준비자산은 2000년 3000억달러에서 2006년에는 약 2조달러로 확대되었

다3)4)

이처럼 잉여준비자산이 확대되면서 외환보유액 관리비용이 증대됨에 따라 안전

성유동성을 강조하는 전통적 운용전략에서 벗어나 수익성 위주로 운용하려는 움직

임이 확산되고 있다5) 외환보유액은 외화자산 투자수익률이 국내자산 투자수익률을

1) 특히 원유수출국의 경우 기술발전과 환경오염 우려에 따른 대체에너지 개발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별도기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2) Johnson-Calari J Managing Commodity Revenues and Windfall Profits Investment Income Funds

in J Johnson-Calari and M Rietveld eds Sovereign Wealth Management Central Banking Publications 2007

3) Greenspan-Guidotti Rule에서는 잔존만기 1년 이하의 외채를 초과하는 외환보유액을 잉여준비자산으로 정

의한다

4) Summers L H Opportunities in an Era of Large and Growing Official Wealth in J Johnson-Calari and M Rietveld eds Sovereign Wealth Management Central Banking Publications 2007

5) 일본에서도 외환보유액을 이용한 비상품펀드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인데 Morgan Stanley는 향후 2~3년 내에

비상품펀드가 설립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본의 외환보유액은 9110억달러인데 Greenspan-Guidotti Rule을 적용할 때 잉여준비자산은 7000억달러에 상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Morgan Stanley Why Japan Should Have Its Own Sovereign Wealth Fund July 5 2007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93

하회할 때 기회비용이 발생하는데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외환보유액 운용은 수익률

이 저조하여 기회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외환보유액 규모가 크면 클수록 중앙은행의

시장위험(환위험과 금리위험)에 대한 노출이 확대되어 중앙은행의 재무건전성이 악화

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외환보유액이 완벽하게 불태화(sterilize)되지 않을 경우 물가

및 환율안정 등의 중앙은행의 통화정책목표 달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완벽한 불태화

하에서도 불태화 채권 발행 등의 비용이 발생한다

외환보유액을 재원으로 하는 신흥시장국의 비상품펀드 설립 움직임에는 현재의 국

제수지 흑자기조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인식이 저변에 깔려있는 것으로 판단된

다 일반적으로 신흥시장국은 자본희소(capital scarce)국가이기 때문에 만성적 경상

수지 적자국이며 선진국은 만성적 경상수지 흑자국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신흥시장국

의 경상수지는 1999년 이전까지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였으나 1999년부터 흑자로

반전되어 현재까지도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신흥시장국 정책당국자들은 이러한

경상수지 흑자기조를 국면전환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국부펀드의 성장 망과 향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추정기관에 따라 상이한데 이들을 종합해 보면 2007년 상

반기 현재 최저 15조달러에서 최고 34조달러로 추정된다6) 이는 대체적으로 PEF

(2조달러)나 헤지펀드(14조달러)보다 큰 규모이다 그러나 PEF와 헤지펀드를 제외한

다른 기관투자자들의 자산규모와 비교할 때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아직 미미한 수준

이다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전 세계 은행자산(635조달러)의 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투자펀드(210조달러) 연기금(179조달러) 보험사 자산(160조달러)의 15~20

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국부펀드의 자산운용은 개별 펀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한다 노르웨이의 GPFG

(Government Pension Fund-Global)와 같이 연기금 형태의 자산운용전략을 채택하

6) Deutsch Bank는 2007년 상반기 현재 국부펀드가 실제 운용 중인 자산규모는 31조달러 정도이며 향후 설립

예정 중인 국부펀드를 포함하면 34조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IMF와 Morgan Stanley는 현재 운용 또는 설립 예정 중인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를 각각 최대 29조달러와 25조달러로 추정하였으며 미 재무부는 15조~25조달러로 추정하였다

29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고 있는 국부펀드가 존재하는 반면에 PEF와 같이 특정 외국기업에 대한 지분을 인수

하여 경영권에 참여하는 국부펀드도 있다7) 국부펀드의 투자대상도 펀드에 따라 다르

기는 하나 대부분의 경우 외환보유액보다 자유로워 국채 회사채 주식 부동산 파생

금융상품 해외직접투자 등 매우 다양하다 이처럼 투자대상범위나 통화에 대한 제약

이 별로 없다는 면에서 국부펀드는 헤지펀드와 비슷하나 장기투자도 실행한다는 점에

서 헤지펀드와 차별된다

한편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아직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

의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은 성장잠재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본다 IMF

Deutsch Bank Morgan Stanley 등은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2012년에 5조~87조

달러 2017년에 10조~175조달러 2022년에 277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

다 이처럼 높은 성장세를 바탕으로 국부펀드가 수익성 위주로 자산운용을 본격화할

경우 국제자본의 흐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수익성 위주의 자산

운용은 국부펀드 자금이 안전자산 rarr 위험자산 선진국시장 rarr 신흥금융시장 미 달러

화 자산 rarr 非달러화 자산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체효과는 국부펀드의 이

동이 민간자금의 군집행위를 동반할 경우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

려가 있다 국부펀드가 장기투자의 형태를 취하기도 하지만 국가가 소유한 펀드라는

점에서 정치적인 입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장기투자 비중을 크게 확대하기가 현실

적으로 어렵다는 주장이 있다 또한 국부펀드는 자신이 직접 자금을 운용하거나 외부

기관에 위탁하여 운용하는데 수익성을 강조하는 성격상 외부 위탁운용기관이 단기성

투기자금 형태의 헤지펀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국부펀드의 자금운용이 단기투자

에 집중될 경우 글로벌 금융시장의 안정성은 위협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본다

국부펀드의 자금이동과 관련된 루머가 시장참여자들의 심리를 자극하여 글로벌 금

융시장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존재한다 대부분의 국부펀드는

7) 2006년에 싱가포르 정부의 투자회사인 Temasek은 태국 통신기업인 Shin Corp의 지분을 인수한 바 있는데 이를 두고 태국에서는 국내 기간산업에 대한 외국자본의 침투 우려가 제기되었다 2007년 5월 중국정부는 외환보유액의 일부를 이용하여 뉴욕 소재 PEF인 Blackstone 지분의 일부(30억달러 상당)를 인수하였다 같은 해

6월에는 중국의 국유상업은행 중 하나인 중국개발은행(China Development Bank)이 싱가포르의 Temasek과 함께 Barclays의 지분을 인수하였으며 Barclays의 ABN Amro 인수 시 190억달러의 추가지분을 매입하기로 합의하였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95

자산운용 및 투자정책과 관련된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으며 각국 금융당국의 직접

적인 규제를 받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규제도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

다 이처럼 투명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장참여자들은 국부펀드의 움직임에 대한 작

은 루머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

다8)

국부펀드로 인해 글로벌 금융시장에 보호주의의 물결이 거세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는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데 국부펀드가 상업적 목적이 아니

라 전략적 차원에서 특정 국가의 기간산업에 대한 경영권 확보 기업인수 등에 참여할

경우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논리에 근거한다 주요 선진국들은 외국인직접

투자(FDI)의 유입을 허용하고 있으나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FDI에 대해서는 규제를 하고 있다 국부펀드 소유주의 70~80가 시장개방의 정도가

낮은 개도국인 점을 고려할 때 국부펀드가 비경제적인 이유로 투자를 확대할 경우 선

진국들이 상호주의(reciprocity)에 입각하여 보호주의를 강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9)

국부펀드 운용과 련된 주요쟁

국부펀드 운용과 관련하여 주요쟁점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국

가자산을 손실위험이 높은 수익성 위주로 운용하는 것이 과연 옳은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국부펀드의 투자손실이 국부손실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부펀드가

수익성이 높은 고위험 자산에 투자를 집중하기에는 정치적인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외환보유액을 재원으로 하는 비상품펀드의 경우 불태화 과정에서 외환보유액의 대부

분을 부채발행을 통해 보전(debt-finance)하기 때문에 투자손실이 발생하면 국가재

정이 악화되고 국민의 세금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상품펀드의 경우도 투자수익은 자

8) 국부펀드는 투명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매우 다양한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자들의 부정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9) 국부펀드는 막대한 자금력을 통한 국제금융시장 교란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

어 원자재가격이 하락할 경우 원자재 수출국들은 국부펀드를 이용하여 가격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국부펀드는 미디어 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public opinion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첨단기술 기간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하여 선진 노하우를 쉽게 얻어갈 수도 있다

29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원고갈에 따른 기회비용이기 때문에 투자손실이 발생하면 기회비용이 늘어나 국가 전

체 차원에서 비효율성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국부펀드가 장기투자 형태로 운용될 경우 수익성 위주 투자전략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1946~2004년 기간에 미국

을 대상으로 수익성 위주의 투자와 안전성 위주의 투자에 대한 손실확률을 추정한 연

구에 의하면 투자기간이 장기화될수록 수익성 위주 투자의 손실확률이 안전성 위주

투자의 손실확률을 하회한다 예를 들어 투자기간 10년을 기준으로 할 때 채권형(채권

100) 투자의 손실확률은 37로 추정되나 주식형(주식 100) 투자와 혼합형(주식

60 채권 40) 투자의 손실확률은 각각 이보다 낮은 133와 125로 추정된다10)

다음으로 국부펀드를 수익성 위주로 운용할 때 중앙은행이 직접 할 것인지 아니면

별도의 독립기구를 설립하여 위탁운용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도 주요쟁점 중 하나이다

그런데 이와 관련해서는 독립기구를 통해 위탁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우

세하다 이의 배경으로는 중앙은행이 국부펀드를 직접 운용하게 되면 대리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중앙은행이 수익성 위주로 자산을 직접 운용

하면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서는 국민의 이해를 얻기가 어렵고 중앙은행의 신뢰도에

도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공격적인 자산운용을 기피하고 전통적인 자산운용에 집

착하려는 경향이 커질 것이라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운용이 불투명하게 이루어져 왔다는 점도 국부펀

드의 운용을 독립적인 기구에 전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이유로 제시된다 또한 중

앙은행은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전통적 자산운용에 익숙한 반면 중앙은행이 수익성

위주의 자산운용경험이 풍부한 금융전문인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중앙은행

의 직접적인 운용을 제약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 문제는 우수한 금융전문인력의 신

규채용을 통해 해결 가능하나 중앙은행이 글로벌 금융기관에 버금가는 경쟁력 있는

보수유인체계를 갖출 수 있을지가 의문시된다

마지막으로 국부펀드의 투명성과 관련된 이슈도 주요쟁점 사항으로 남아있다 특히

10) 또한 손실확률기간 중에 발생하는 투자손실률도 혼합형 투자가 가장 낮고 채권형 투자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투자기간 10년을 기준으로 할 때 혼합형 주식형 채권형 투자의 손실률은 각각 -23 -24

-77로 추정된다 Summers L H Opportunities in an Era of Large and Growing Official Wealth in J Johnson-Calari and M Rietveld eds Sovereign Wealth Management Central Banking Publications 2007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97

이와 관련된 논의는 중국투자공사의 출범 이후 국제적으로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국제적인 행동규범이 나오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또한

펀드의 투명성은 비단 국부펀드뿐만 아니라 헤지펀드 사모펀드 연기금 등에 모두 걸

려있는 문제로 국부펀드에만 해당하는 어떤 장치를 마련하기는 힘들 것으로 여겨진다

맺음말

이상에서는 국부펀드의 현황 설립배경 잠재위험 운용상의 주요쟁점 등을 정리하

였다 그런데 기존의 문헌에서는 국부펀드의 부정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없

지 않다 앞서 언급한 내용 중 수익성 위주의 자산운용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

안정성 가능성 투명성 부족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금융보호주의 확산 우려 등이 바로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부펀드는 글로벌 신용경색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안이 될 수 있는

순기능도 있으며 실제로 Citigroup 이외에 다수의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국부펀드의

자금을 활용하여 미 서브프라임 MBS 및 CDO 투자에서 입은 손실을 만회하려는 움직

임을 보이고 있다11) 우리나라에서도 글로벌 신용경색의 여파로 국내 금융기관 및 기

업들의 해외자금조달이 어려워지자 금리가 폭등하는 등 금융시장이 크게 동요하고 있

다 따라서 국내 금융기관 및 기업들은 외화자금난 해소를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국

부펀드 자금의 활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도 국내 금융시장의 안정회복을 위

해 이러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11) 일부에서는 미 서브프라임 사태에 따른 글로벌 금융기관들의 자본잠식규모가 2000억달러를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하면서 이로 인해 금융기관들의 여신창출능력이 2조달러 이상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자료판매 코너

총판 정부간행물 판매센타(02-394-0337)

지 역 서 명 화 번 호 치

서 울

본사 직 서 (02) 734 - 6818한국언론재단빌딩

wwwgpcbookscokr

교보문고(본 ) (02) 397 - 3628화문사거리

wwwkyobobookcokr

풍문고(본 ) (02) 399 - 5632종각

wwwypbookscokr

(강남 ) (02) 6282 - 1353 강남고속버스터미

리 로 을 지 (02) 757 - 8991을지로 입구

wwwlibrocokr

서 울 문 고

(반디 앤 루디스)(02) 6002 - 6071 삼성역(무역센터내)

부 산

도 서 (051) 816 - 9500 서면로타리

동 보 서 (051) 803 - 8000 태화백화

주 삼 복 서 (062) 222 - 0258 도청

인터넷서

yes 24 wwwyes24com

알라딘 wwwaladdincokr

코 외에 교보문고 풍문고는 각 지방 분 에서도 매 입니다

손상호(손상호)

약력

) 한국 융연구원

주요논

-

-

-

-

2007년도 KIF 융논단 모음집

2008년 3월 7일 인 쇄

2008년 3월 13일 발 행

발 행 인 이 동 걸

발 행 처 한 국 융 연 구 원 서울시 구 명동 1가 4-1 은행회 5678층

화 3705-6300 FAX 3705-6309

httpwwwkifrekr wmasterkifrekr

등록 제1-1838(1995 1 28)

ISBN 89-503-0375-2 93320 값15100 원

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에서는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 원화 및 달러화의 동향 한미

FTA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직접투자 유출입 및 자본수지

동향 글로벌 국부펀드 운용 국제석유자본의 활용 방안 등을 내용으로 하는 lsquo논단rsquo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동안 lsquo논단rsquo을 집필하였던 본 연구원의 연구위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아무

쪼록 본 모음집이 금융회사 임직원 정책 입안자 금융관련 연구자 금융시장 참가자

등 모든 분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다만 이 모음집에 수록된 lsquo논단rsquo

은 집필자들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한국금융연구원의 공식 견해가 아님을 밝혀둔다

끝으로 이 모음집에 함께 싣지 못한 lsquo금융포커스rsquo와 lsquo국제금융이슈rsquo들의 내용은 본

연구원의『KIF 주간금융 브리프』각호를 참고하길 바란다

2008년 3월

한국금융연구원

원장 이 동 걸

목 차

제Ⅰ장 거시경제

수출구조의 변화와 원화강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부동산거품과 그 해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통화량 조절 수단으로서의 금리정책에 대한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주요국의 금리정책 기조 변화와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제Ⅱ장 금융 일반

공적자금회수 전략의 재설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주택관련 정책과 금융시스템 안정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

부동산 버블 금융위기설 그리고 정책의 신뢰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이행실적과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자본시장통합법(안)의 지급결제허용조항 삭제는 매우 바람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전략산업으로서 금융산업의 발전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주택금융시장의 평가 및 향후 운용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기후변화와 금융부문의 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파산제도의 경제적 역할 및 제도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주택연금제도의 정착방안 및 향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우리나라 MampA시장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부실가능성과 대응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금융지주회사제도의 개선과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8

제Ⅲ장 은 행

은행의 부가가치 제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7

은행의 자본시장 역할 강화와 경영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2

금융구조의 변화와 은행의 역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8

기업금융의 활성화를 위해 은행이 나아갈 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

은행산업 경쟁정책관련 법규정 개선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2

은행채에 대한 유가증권 발행공시제도 개선 필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8

자본시장 중심의 기업금융발전과 은행의 리엔지니어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4

국내은행의 경영진 스톡옵션제도 개선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9

유니버설 은행의 역할에 대한 기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4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규제 완화는 필요한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9

은행의 수신구조 변화와 경영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6

소액금융의 성공사례와 국내은행의 진출 시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3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회사채시장의 외부성과 발전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9

대부업제도 개선에 대한 단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5

보험사의 공익성과 보험취약계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1

스톡옵션제도의 현황과 향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7

중소기업 육성지원을 위한 어음제도 개선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2

저축은행의 IT역량 강화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8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3

국내 PEF GP의 현황과 향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8

벤처캐피탈시장의 발전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3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주식의 상장과 정책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8

최근 유동성사정 악화의 교훈과 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3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최근 원화의 약세반전에 대한 일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1

한미 FTA로 인한 금융산업의 변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7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운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2

해외직접투자 및 외국인직접투자 현황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7

국제석유자본의 팽창과 활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2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의 향후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7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과제와 전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2

미 달러화 위상의 약화요인과 대응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8

최근 자본수지 동향과 정책과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5

글로벌 국부펀드 운용에 대한 고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0

제Ⅰ장 거시경제

제Ⅰ장 거시경제 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호(2007108)

수출구조의 변화와 원화강세

李 侖 錫

〈요 약〉

최근 몇 년 간 우리나라의 수출은 수출지역의 다변화 수출산업의 양극

화 상 일본 국과의 수출경쟁 심화 등의 변화를 겪었다 이와 함께 수출

단가는 하락하는 반면 수출물량이 크게 늘어나며 수출액의 증가가 이루어짐

에 따라 수출채산성이 악화되면서 수출기업에 큰 부담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원화강세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우리 수출기업들은 단기 인 수출목표

달성뿐 아니라 장기 인 에서 수출경쟁력을 제고하기 한 노력도 병행

해야 할 것이다

원화가 지속적인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수출은 여전히 호조를 보이고 있다 원화는

2004년부터 현재까지 약 24 정도 절상되었으나 그동안의 수출실적을 보게 되면

2004년에는 31 2005년에 12 그리고 2006년에는 146의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2007년에도 수출은 전년에 비해서는 둔화된 수준이지만 여전히

두 자릿수 증가율인 10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이와 같이 원화절상에

도 불구하고 수출이 잘되는 이유는 무엇이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인가

이하에서는 그간 수출구조의 변화양상과 함께 원화강세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지속적

으로 호조를 보이고 있는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수출지역의 다변화

우선 최근 5년 간의 지역별 수출실적을 보게 되면 미국의 경우 2001년에 전체 수출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1에 육박했으나 5년 후인 2006년에는 13로 낮아졌다 일본

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의 경우에도 11에서 8대로 역시 하락하였다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2001년에 12

에 불과하던 수출비중이 지금은 22에 달하고 있다 또한 유럽에 대한 수출도 16에

서 185로 비중이 높아졌다 종합해보면 5년 사이에 미국과 일본의 비중은 낮아진

대신 중국과 유럽의 수출비중은 상승한 것이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규모도 중국

과 유럽의 경우 5배 가까이 증가한 반면 미국의 경우 흑자규모가 소폭 증가에 그치고

일본의 경우 적자규모가 5년 전에 비해 2배 이상 늘어난 상태이다 또한 중남미와 아

세안 지역과의 무역량과 흑자규모 모두가 증가하는 등 5년 사이 수출지역의 다변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수출지역 변화의 특징 중 하나로 수출대상국 중 동남아 중남미 동구권 국

가들의 부상을 들 수 있다 현재 이들 국가로의 수출은 미국과 일본으로의 수출에 비

해 아무래도 가격을 바탕으로 한 경쟁력으로 승부하는 품목들이 더 많다 따라서 물량

측면에서 크게 늘어난다 해도 몇 년이 지난 뒤에는 중국이나 인도 또는 동남아국가들

의 값싼 제품들에게 시장을 내주어야 할지도 모른다

수출산업의 양극화 상 심화

최근 몇 년 사이 양극화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익숙해진 것 중 하나인데 수출산업에

있어서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우선 중화학제품과 경공업제품 간의 양극화

이다 이는 먼저 수출비중에서 중화학제품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반면 경공

업제품의 비중은 줄어들고 있음을 일컫는 것이다 2001년에 중화학제품과 경공업제품

의 수출비중은 각각 74와 175였지만 2006년에는 각각 80와 8를 기록하고 있

어 경공업제품의 비중이 절반 이상 축소되었다

중화학제품과 경공업제품의 양극화 이외에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양극화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수출실적은 2002년까지 42를

나타냈으나 최근 들어서는 35 내외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또한 수출중소기업 내에

서도 양극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다름 아닌 노동집약적 수출중소기업과 소재부품

중심 수출중소기업 사이의 양극화 현상이다 최근의 수출증가세는 소재부품산업이 크

게 기여하고 있는데 현재 소재부품의 증가율은 완제품의 증가율을 상회하고 있으며

제Ⅰ장 거시경제 5

소재부품산업 내에서도 대기업의 수출증가율은 둔화되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의 수출

증가율은 상승하고 있어 소재부품산업에서 중소기업의 역할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노동집약적 수출중소기업들도 현재의 수출구조에서 벗어나 소재부품 쪽

으로의 수출에 보다 역점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일본의 사례에서 보듯이 소재부품산

업의 육성은 비교적 안정적인 해외수출로 이어져 무역수지의 변동성을 줄이는 역할을

할 것이다

한 일 간 수출경쟁 격화

원화강세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수출은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세 나라 사이의 수출경쟁은 심화되고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은 높은 수출경합도

를 유지하고 있는데 해마다 한일 간 수출경합도지수는 상승하고 있고 한중 간 수

출경합도지수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들어서는 원달러 환율이

보합을 유지한 반면 엔달러 환율은 오히려 상승하여 원엔 환율은 가파르게 하락하

여 왔다 이는 일본과의 수출경쟁력을 더욱 약화시키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무역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한중일 세 나라의 100대 수출상품 가운데 중복

품목 수가 한일 간의 경우 자동차나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45개로 나타나 한

중 간의 29개 일중 간의 26개보다 월등히 많다 한일 간 중복품목 수는 1995년

에는 31개 2000년에는 35개였으나 2005년에는 45개로 크게 증가하여 세계시장에서

한일 간 수출경쟁이 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수출단가는 하락 수출물량은 증

그렇다면 최근 몇 년 간 지속되고 있는 원화강세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호조를 보이

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수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난 이면을 자세히 보면 수출

단가는 하락한 반면 수출물량은 크게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2000년을 기준으로 비

교해봤을 때 수출단가지수는 2006년 10월 현재 62 하락한 반면 수출물량지수는 2

배 이상 늘어났다 이는 수출액의 증가가 수출단가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물량증대에

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따른 결과라는 얘기로 쉽게 말한다면lsquo박리다매(薄利多賣)rsquo식 수출형태를 지속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물론 이는 전 업종에 걸쳐서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며 업종별

로 다소 차이는 있다 그러나 수출 전체적으로 증가요인을 가격요인과 물량요인으로

나누자면 대체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 것이다

지난 몇 년 간 소득교역조건이 상승한 반면 순상품교역조건은 하락하게 된 것도 이

때문이다 순상품교역조건은 수출단가지수를 수입단가지수로 나눈 것으로서 1단위 수

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말하며 소득교역조건은 순상품교역조건에다가 수

출물량지수를 곱한 것으로서 총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말한다 순상품

교역조건의 경우 수입단가상승폭이 수출단가상승폭을 상회하면서 하락하였으나 소득

교역조건이 상승한 것은 수출물량이 크게 늘어난 데 기인한다

이와 같은 상황은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출시장을 공략한 결과를 반영할 수도

있고 시장점유율 유지나 기존의 거래처와 체결했던 장기공급계약 등 불가피한 이유

등으로 인해 수출단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수출물량을 줄일 수 없는 상황의 산물일 수

도 있다 이유가 무엇이든간에 가격경쟁력에 의존하는 수출구조는 수출기업들의 채산

성을 악화시킬 위험이 높고 장기적으로는 수출기업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에 수출구조의 고도화에 보다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2006년 34분기까지 내수

기업의 경상이익률은 80를 기록한 반면 수출기업의 경상이익률은 66에 그친 사

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원화강세는 수출경쟁력 제고의 기회

앞서 언급했듯이 원화강세하에서도 우리 제품의 수출은 호조세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물량공세에 힘입은 바가 크며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따라서 몇

년 안에 중국이나 인도 등의 대형수출국들이 수출시장을 잠식해온다면 우리로서는 현

재와 같은 수출증가세를 유지하기는 힘들 것이다 따라서 지난 몇 년 간 원화가 강세

를 보이면서 우리 기업들의 수출환경이 악화되긴 했지만 보다 어려워진 환경 아래에

서도 단기적인 수출목표의 달성뿐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출제품의 경쟁력향상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 100년이 넘는 중소기업들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며 수출신

제Ⅰ장 거시경제 7

장에 기여하고 있는 이웃 일본의 사례에서 보듯이 우리 수출기업들도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품개발에 힘써야 한다 무역의존도가 70에 달하고 수출이 GDP에서 차

지하는 규모가 38나 되는 우리로서는 수출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지난 40년

동안 세계시장에서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여왔다 60년대초 003

에 불과하던 세계시장 점유율은 지금은 27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그냥 주

어졌던 것이 아니라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낸 것이다 2007년에도 이러한 모습으로 한

국경제가 전진할 수 있도록 모두가 힘써야 할 것이다

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호(2007115)

부동산거품과 그 해법

金 東 煥

〈요 약〉

부동산거품의 원인은 부동산담보 財테크 융자 부동산을 체할 財테크 수단

의 결여 과잉유동성에 있다 1980년 미국이 부동산시장을 진정시키는 데 성공

한 비결은 부동산을 체할 매력 인 財테크 수단으로서 주식과 채권의 상

을 확립한 데 있다 한편 일본은 작스런 리인상으로 부동산거품과 주식거품

이 동시에 붕괴하여 장기불황에 빠지게 되었는데 경제의 기 여건이 튼튼하다

는 자신감이 오히려 거품에 한 인식과 책을 안이하게 만들었다 우리나라

는 경제의 기 여건이 취약한 불황국면에서 부동산과 주식의 거품이 순차

으로 생성붕괴하는 패턴을 따를 가능성이 있어 일본과 달리 장기 복합불황

에 빠질 가능성이 낮다 한편 우리나라의 은행은 일본과 유사하게 부동산담보

財테크 융자 등의 비 이 높은 만큼 거품이 꺼지면 출채권이 연쇄부실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최근 융당국이 LTV-DTI 규제와 동일차주에 한 출

건수 규제를 양 축으로 하여 부동산투기에 기를 박고 융회사의 건 성

확보에 력을 기울이는 정책방향을 제시한 것은 명하다 거품 책의 기본

취지는 시장과 경제를 연착륙(soft-landing)시켜 거품붕괴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

각종 분양시장 규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및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부동

산 보유양도세 등이 도입강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택가격이 좀처럼 꺾이지

않자 부동산 거품론 및 붕괴론 부동산발 경제위기론이 고개를 쳐들며 연말 같지 않았

던 2006년말에 이어 연초 같지 않은 2007년초를 안개 속으로 몰아가고 있다 도대체

제Ⅰ장 거시경제 9

이와 같은 안개의 정체는 무엇이며 이 안개를 걷어내기 위해서는 어떠한 대책이 필요

할 것인가

거품에 한 인식

현재 시장에는 부동산거품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설과 아직 속단하기는 이르다는 설

이 공존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거품은 경제의 기초여건(fundamentals)과 자산가격

간 괴리의 정도로써 측정된다 따라서 이론적 측면에서는 경제의 기초여건에 해당하

는 투자 소비 등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가격만이 고공비행하는 우

리 경제의 현실을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전자가 타당할 수 있다 하지만 거품이 꺼지기

전에는 거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다는 현실론도 만만치 않다 사실 1980년대 후반

에 발생하였다가 1990년에 꺼져버린 일본의 거품은 경제의 기초여건과 무관하였던

바 거품이 형성될 당시 대다수의 일본인들은 경제의 기초여건이 튼튼한 만큼 거품은

없다고 호언장담하였던 것이다

양자 모두 나름대로 설득력 있는 이론적 현실적 근거로 무장하고 있어 그만큼 혼

란스러움도 더해진다 경제의 기초여건이 받쳐주는 가운데 생성붕괴되는 거품은 경

기의 산과 골을 깊게 하는 만큼 충격의 정도는 크지만 회복의 모멘텀을 자극하는 긍정

적 요소도 있다 한편 경제의 기초여건이 취약한 가운데 생성붕괴되는 거품은 경기

의 산과 골을 얕게 하는 만큼 충격의 정도도 작지만 회복의 모멘텀을 찾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거의 모든 경기지표에 적신호가 켜지고 생산과 취업이 구조적으로 미

스매치 현상을 나타내면서 표류하고 있는 듯한 lsquo한국경제號rsquo는 다시 한 번 부동산거

품이라는 높은 파도에 부딪치고 있는 것이다

거품의 원인

기본적으로 부동산은 국토가 좁고 자본축적이 빈약한 우리나라가 세계 10위권의 경

제대국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희소성이란 이름의 무한한 가치를 지니는 자본으로 변

신하는 동시에 기업과 가계에 귀중한 자산형성(이하 財테크) 수단이 되었다 최근의

1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부동산거품 역시 기업과 가계의 財테크 수요가 부동산에 쏠리게 된 데에 직접적으로

기인한다 그런데 이러한 쏠림현상을 부추기는 데에는 적어도 3가지 간접적인 원인이

있다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財테크 융자 부동산을 대체할 財테크 수단의 결여 과잉

유동성이 바로 그것이다

첫째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財테크 융자란 단순히 부동산담보대출을 의미하는 것

은 아니다 왜냐하면 통상적인 담보대출은 기존의 자산을 담보로 하여 부채를 일으키

는 것임에 비해 財테크 융자는 자산과 부채가 상호상승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

하기 때문이다 즉 현재 자산이 없어도 부채를 일으켜 자산을 마련하고 동 자산을 담

보로 또 다른 부채를 일으키며 동 부채를 통해 또 다른 자산을 마련하는 등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財테크 융자는 부동산 이외에도 주식 고가 미술

품 및 골동품 리조트 및 골프 회원권 등의 거품을 조장하는 동시에 거품이 꺼질 경우

연쇄부실을 동반하는 부작용이 있다

둘째 부동산을 대체할 財테크 수단의 결여는 현재의 경기나 자본시장 상황과 밀접

한 관계가 있다 즉 경기전망이 불투명하여 기업의 설비투자나 매출이 저조한 수준에

머물러 있음에 따라 주식이나 채권은 財테크 수단으로서 매력이 없어지고 주가나 발

행주식수가 비교적 높은 우량기업들이 안정주주를 확보하거나 희석화(dilution)를 방

지하기 위해 신주발행에 소극적인 반면 계열사 간 우호지분 보유나 우회증자 등의 방

법을 쓰는 경우가 많아 주식물량 자체가 충분치 않게 된다 이에 따라 財테크 수요는

부동산으로 몰리게 되는 것이다

셋째 앞서 살펴본 두 가지 문제는 나라와 시기마다 조금씩 사정이 다를 수 있지만

과잉유동성 문제는 나라와 시기에 관계없이 부동산거품을 야기하는 공통의 원인이 된

다 예컨대 미국의 연준(FRB)은 2000년대에 들어서 IT거품이 붕괴되기 시작하자 IT

거품 붕괴로 인한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수차례 금리인하를 단행한 바 있었고 그 결

과 과잉공급된 유동성은 자국은 물론 여타 주요 선진국과 신흥국의 부동산시장으로

대거 유입되어 부동산거품을 조장해 왔다 또한 부동산거품은 영국과 미국에서는 소

비붐 중국에서는 투자붐을 일으키면서 석유나 원자재에 대한 투기적 수요로 번지기

까지 하였다 이와 같은 과잉유동성 문제는 과거 일본도 마찬가지였다 1985년 일본

은 플라자합의 이후 엔고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지속적인 저금리정책을 실시하여 내수

제Ⅰ장 거시경제 11

와 수출을 진작시켰고 그 과정에서 과잉공급된 유동성은 국내 부동산시장과 주식시

장을 동시에 과열시킴은 물론 우리나라와 미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주요국의 부

동산시장이나 주식시장을 농락하기도 하였다

거품에 한 책 외국의 사례

부동산거품이 골치를 썩이던 1980년대 미국은 부동산으로 몰리던 단기성 예수금을

뮤추얼펀드나 투자신탁으로 유도하기 위해 수신금리 인하 등의 조치를 취했고 이로

써 주식 및 채권시장을 회복시키고 부동산시장을 진정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성공의

열쇠는 부동산을 대체할 매력적인 財테크 수단으로서 주식과 채권의 위상을 확립한

데 있었다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시장이 진정될 수 있었던 것은 전통산업이

불황의 늪에서 허덕이는 등 경제의 기초여건이 부동산거품을 유지확대하기에 역부

족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시 미국에서는 자본시장이 과열되면서 헤지펀드와 같은

금융 투기세력과 불로소득자가 대거 등장하여 전통산업과 중간소득층이 위축되고 찰

나주의와 경제양극화가 확산되는 등의 부작용도 발생하였다

한편 일본은 1989년 5월부터 1990년 8월까지의 15개월 동안 5차례에 걸쳐 공정할

인율을 25에서 60로 인상했는데 이와 같은 급작스런 금리인상으로 부동산거품

과 주식거품이 동시에 붕괴하여 금융회사와 기업 모두에게 타격을 주고 ldquo잃어버린 10

년rdquo이란 이름의 장기불황에 빠지게 되었다 당시 금리인상은 부동산을 담보로 한 財테크 융자와 유가증권투자 비중이 높았던 은행 이미 해외 부동산이나 주식 등에 대량

투자하여 거액의 환차손을 떠안고 있었던 은행과 기업에 이중의 비용으로 작용하는

독약과도 같은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금리인상이란 극약처방을 내리게

된 것은 거의 전 산업이 활황국면에 놓여 있는 가운데 기업과 가계의 부동산 및 주식

에 대한 투기적 수요가 식을 기미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어떻게 보면 경제의 기초여건

이 튼튼하다는 자신감이 오히려 거품에 대한 인식과 대책을 안이하게 만든 것이다

최근 주요 선진국은 줄줄이 정책금리를 인상하는 등 부동산거품에 대한 경계를 늦

추지 않고 있다 그 때문에 이미 미국 영국 호주 중국의 대도시 지역에서는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과잉공급된 유동성이 부동산시장으로 몰려가는

1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현상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지만 부동산거품을 막기 위해 정책금리를 인상하거나

넘치는 국내 유동성을 해외 부동산 투자로 돌리는 것 역시 바람직하지만은 않다 부동

산거품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금융당국이 금

리인상 대신 LTV-DTI 규제를 택하게 된 배경에는 부동산거품과 그의 붕괴로 10년을

잃어버렸던 반면교사 일본이 있는 것이다

기론과 부동산 책에 한 평가

거품대책에 실패한 일본의 사례로부터 알 수 있듯이 거품은 생성과정보다 붕괴과정

에서 소비와 투자의 위축 개인파산 및 신용불량자의 증가 기업 자금난 및 도산 금

융회사 자산건전성 및 자금중개기능 악화 손실보전과 같은 금융부패의 증가 자살 및

이혼의 증가로 인한 개인과 가정의 파탄 등 수많은 부작용을 낳는다 이것이 부동산발

경제위기론의 실체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미국과 유사하게 경제의 기초여건이 취약

한 불황국면에서 부동산과 주식의 거품이 순차적으로 생성붕괴하는 패턴을 따를 가

능성이 있어 부동산과 주식의 거품이 동시에 생성붕괴되었던 일본과 달리 금융과

실물이 장기 복합불황에 빠질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즉 부동산거품 붕괴가

부동산발 경제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인다

한편 우리나라의 은행은 일본과 유사하게 부동산담보 財테크 융자나 유가증권투자

비중이 높은 만큼 거품이 꺼지면 대출채권이 연쇄부실화되고 유가증권평가손이 발생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최근 금융당국이 LTV-DTI 규제와 동일차주에 대한 대출건

수 규제를 양대 축으로 하여 부동산투기에 쐐기를 박고 금융회사의 건전성 확보에 전

력을 기울이는 정책방향을 제시한 것은 비록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매우 현명한 결정

이라 하겠다 DTI 규제는 소득의 일정 한도(예컨대 40) 이내로 대출을 줄여 부동산

투기와 거품을 막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고 원리금상환 능력을 담보가치가 아닌 실질

소득을 기준으로 평가함으로써 부동산거품 붕괴가 대출채권 부실화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것에 두 번째 목적이 있다 이 때 LTV 규제와 DTI 규제를 동시에 적용하는 것은

담보가치의 일정 한도(예컨대 40) 이내로 대출을 줄이는 LTV 규제만으로는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며 특히 동일차주에 대한 대출건수를 제한하

는 것은 부동산담보 財테크 융자의 연쇄부실을 차단하는 데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제Ⅰ장 거시경제 13

맺음말 거품 책의 본질

흔히들 1997년의 외환위기는 후진국형 금융위기이고 거품붕괴로 인해 초래되는 위

기는 선진국형 금융위기라 한다 역사적으로도 영국 미국과 같은 주요 선진국들은 거

품붕괴를 경험한 이후에야 금융시스템을 선진화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는 거품붕괴

가 선진화의 필요조건이 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거품붕괴를 경험해야만 비로소

선진국 반열에 오를 수 있다는 말이 아니다 오히려 역사는 거품붕괴를 경험한 이들

나라의 전철을 밟지 않거나 거품붕괴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야말로 진정한 선진국이 되는 길임을 교훈으로 남긴다

거품대책의 기본 취지는 거품붕괴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있고 이는 시장과 경제

를 연착륙(soft-landing)시키는 것과 다르지 않다 연착륙이 중요한 까닭은 경제의

기초여건이 취약한 불황국면에서 거품이 붕괴할 경우 회복의 모멘텀 역시 작을 수 있

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혹자는 각종 규제를 철폐완화하는 것에서 회복의 모멘

텀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거품을 만들어 거품이 붕괴되는 것을 막자는 발상

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서 대단히 위험하다 다만 거품대책을 수립실행함에 있어 금

융당국과 금융권이 유념해야 할 것은 빈대(투기 및 거품)를 잡으려다 초가삼간(실수요

및 경기)을 태우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선별(selection)과 미조정(fine-

tuning)은 초가삼간이 타들어 가 시장과 경제가 경착륙(hard-landing)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거품대책의 핵심 개념이다

1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4호(200742)

통화량 조절 수단으로서의 금리정책에 대한 평가

申 龍 相

〈요 약〉

1999년 5월 리 시 방식으로 통화정책을 환한 이후 유동성 조 수단으

로서 리정책의 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는 장기간의

리로 인해 리정책의 효과가 격히 약화된 데에 근본 원인이 있다

한편 리가 장기화된 배경에는 무 높게 설정된 물가안정목표 수 이

자리잡고 있다 이는 경제주체들에게 미래 리기조에 한 잘못된 기 를 형성

하게 함으로써 리 기조가 장기화되는 원인으로 작용하 으며 시 의 유동

성을 정수 으로 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하는 원인으로도 작용하 다

따라서 향후 리정책의 유효성을 확보하기 해서 통화당국은 리향방에

한 시그 링을 분명히 달해야 하며 이에 한 제로 물가안정목표를 합리

인 수 으로 조정하여 리정책의 운신의 폭을 넓히고 시장상황에 따라 선제

이고 기민한 응을 할 수 있는 토 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1979년 이후 총통화(M2)의 연간 공급목표를 정하여 통화량을 관리하는

이른바 통화목표관리방식(monetary targeting)의 통화정책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금융자유화의 확대와 금융시장의 발달로 인해 통화수요 행태가 불

안정해지면서 그 정책유효성의 타당성에 대해 많은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1999년 5월부터 비교적 이론적으로 설명력이 높다고 평가되는 신용중시견해(credit

view)의 입장을 받아들여 콜금리 목표의 변경을 통해 통화량을 간접적으로 규제하는

금리중시 방식으로 통화정책을 전환하였다

제Ⅰ장 거시경제 15

통화정책 전환 이후 콜금리는 통화정책의 운용목표로서 자리잡았으나 콜금리 목표

의 변동이 통화량 및 실물경기에 미치는 영향력이 급속히 약화되면서 콜금리가 통화

정책변수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통화정책 운용방식 변경 이후 유동성 관리수단으로서 금리정책의 유

효성을 분석하여 향후 금리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제언을 하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정책 리의 유동성 조 능력 하

일반적으로 금리와 은행대출 간에는 負(-)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금리를 인상하면 일정시차를 두고 대출이 감소하며 금리를 인하하면 그 반

대의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정상적인 모습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정책금

리와 은행대출 간의 관계에서 분석기간에 따라 매우 불분명한 관계가 도출된다 예를

들어 외환위기 이전 시기를 포함한 분석에서는 양자 간에 負(-)의 상관관계가 존재했

으나 통화정책 운용방식을 변경한 1999년 이후에는 양자의 관계가 이론적인 방향과

괴리되어 금리를 인상(인하)해도 대출과 유동성이 함께 증가(감소)하는 正(+)의 관계

로 반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이런 비이론적 관계가 오히려 더욱 확대되고 있

는데1) 정책금리와 은행대출 간의 인과성검정(Granger causality test)에서도 정책

금리가 은행대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여 히 낮은 리수

이와 같은 시중유동성 조절수단으로서의 금리정책의 無力性은 절대금리수준이 낮

은 경우에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환위기 이후 장기간 초저금리

1) 외환위기 이전 기간을 포함한 경우에는 콜금리 인상 이후 은행대출이 3분기 정도의 시차를 두고 -041 정도의

負(-)의 시차상관계수가 추정되었으나 통화정책 운용목표 변경 이후인 1999년 이후에는 동 관계가 1년 정도 시차를 두고 045의 正(+)의 관계로 반전되었으며 2004년 이후의 분석에서는 090의 높은 동시차상관계수가 추정되었다

1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상황이 지속되면서 최근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절대금리수준이 여전히 낮아2) 금융

자산 수익률이 부동산을 비롯한 실물자산 수익률을 크게 하회함에 따라 대출을 통한

유동성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즉 정책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절대금리수준이 낮은

상황에서는 이를 상회하는 실물자산 수익률로 인해 대출수요의 창출이 지속적으로 발

생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는 외환위기 이전에 기업의 만성적인 자금초과수요

가 금리정책의 유효성을 제약했던 경우와 매우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실제로 1999~2006년 전국 및 서울지역의 주택투자 수익률은 각각 120 151를

기록하여 동 기간의 은행 가중평균 대출금리인 70를 큰 폭으로 상회함으로써 주택

투자 수익률과 가계대출 간 094의 높은 동시차상관관계가 나타나는 등 강한 동행성

을 시현한 것은 이러한 논리를 강하게 뒷받침해 주고 있다3)

통화정책의 선제성 유효성 약화

통화당국은 2005년 10월 이후 5차례에 걸쳐 콜금리 목표를 인상하였음에도 결과적

으로는 시중의 과잉유동성을 흡수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기 어려울 것 같다 이는 시중

유동성이 실물경제활동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조짐이 나타난 시점이 지난 2005

년 14분기이고 2006년 14분기부터 유동성이 적정수준을 넘어 과잉폭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을 고려한다면 통화당국이 2005년 10월부터 정책금

리를 인상하기 시작한 것은 다소 때늦은 면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2) 실질금리의 장기적 균형수준은 이론적으로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에 시간선호율을 더한 값으로 볼 수 있다

2001~06년 동안 국내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연평균 10 내외였으며 우리나라의 시간선호율은 비록 주관적인 개념이기는 하지만 기존연구에 따르면 4~8 정도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실질기준으로 본다면 적정금리 수준은 5~9 정도이며 실제 대출금리는 여기에 물가상승률과 위험프리미엄을 더한 수준이어야

적절할 것이다

3) 한편 이들 간의 선후행성을 살펴보면 5개월의 시차 이내에서 070 이상의 선후행성을 보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주택투자 수익률 상승으로 가계대출이 증가하고 가계대출로 발생한 유동성이 다시 부동산시장으로 흘러

들어 주택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순환적 구조가 발생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랜저 인과검정(Granger causality test)에서도 가계대출 증가율과 주택투자 수익률 간에는 쌍방 간의 인과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Ⅰ장 거시경제 17

높게 설정된 물가안정목표

이와 같이 유동성관리 차원에서 통화당국이 적절한 정책대응을 하지 못했던 배경에

는 높게 설정된 물가안정목표가 자리잡고 있는 것 같다 글로벌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게 하락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다면 그동안 정책당

국이 통화정책의 기준으로 설정한 중기물가안정목표는 적정수준보다 높은 상태인 것

으로 보인다4) 이와 같이 높게 설정된 물가안정목표는 정책당국으로 하여금 금리인

상에 소극적이고 인하에 대해서는 적극적일 수밖에 없도록 하였다 나아가 경제주체

들에게도 미래 금리기조에 대해 잘못된 기대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저금리기조가 장기

화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시중 유동성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

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리정책의 유효성을 회복하기 해서는

향후 유동성 조절 수단으로서 금리정책의 유효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시장참여자

들의 기대를 정책당국의 의도대로 이끌어가는 것이 정책효과를 높이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정책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시장참여자들이 향후 금리향방에 대해 다른 시각

을 갖고 있다면 그 효과는 무력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리정책의 기대경로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정책당국의 신

뢰성과 시장주도력을 담보로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금리정책은 시의성과 속도

상의 문제로 인해 정책금리 변경에도 불구하고 시장참여자의 기대가 정책당국의 의도

대로 조정되지 않는다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의 교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장상황

에 대한 선제적이고 지속적인 대응을 통해 향후 금리향방에 대한 의사를 분명히 전달

(signalling)하여 실질적으로 경제주체들의 인식과 경제행위의 변화를 유도하는 공시

효과(announcement effects)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금리정책의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정금리수준의 회복이 필요하다 이

4) 실제로 지난 20051~20072월 기간 중 국내 근원물가 및 소비자물가 월평균 상승률은 각각 209 및 245를 기록한 바 있다

1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를 위해서는 물가안정목표 수준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작년말 통

화정책당국은 통화정책 변경의 기준이 되는 중기물가안정목표 수준을 기존 수준인

30plusmn05로 유지하면서 관리대상지표를 근원인플레이션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로

전환하였다 당시에 정책당국은 대상지표를 바꾸는 것 자체가 실질적으로 물가안정목

표를 05p 정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실제로 2005~06년 중에는 국제

유가 및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인해 공급측면의 물가압력 요인을 반영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4p 정도 근원물가 상승률을 상회하고 있어 이러한 주장이 타당한 것처

럼 들렸다 그러나 금년 들어 국제유가가 전년에 비해 하락하고 원자재가격도 안정세

를 보이면서 상황은 역전되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근원물가 상승률보다 낮아지는 현

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결국 물가안정목표 수준을 오히려 상향조정한 결과가 되었다

향후 통화당국이 금리인상에 대해 더욱 소극적일 수밖에 없게 된 근거이다 하루 빨리

통화당국이 물가안정목표 수준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조정하여 이를 통해 금리정책의

운신 폭을 넓힘으로써 현재보다 기민한 금리대응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길 기대

해 본다

제Ⅰ장 거시경제 19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50호(20071224)

주요국의 금리정책 기조 변화와 시사점

宋 在 殷

〈요 약〉

올해 주요국 통화정책의 표 특징은 동반 긴축기조가 완화되었다는 이

다 이는 각국에 아직 과잉유동성의 문제가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용경색

이나 경기침체에 한 우려 등으로 인하여 더 이상 통화긴축이 힘든 상황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과잉유동성의 발생 주요국의 정책 리 동반 인상 최근 리

정책 기조 변화는 각국의 경제상황을 국가요인 심(country-centric)으로만 볼 것

이 아니라 로벌요인 심(global-centric)으로 근해 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

한다 우리나라의 융시장 변동에서도 로벌요인이 차지하는 비 이 증 됨

에 따라 주요국의 동반 정책 리 인상기조 완화는 통화당국의 극 인 정책

운용에 어려움을 더할 것으로 상된다

올해 주요국 통화정책의 대표적 특징은 2004년 하반기 이후 지속되어 온 미국의 정

책금리 인상이 멈추면서 동반 긴축기조가 완화되었다는 점이다 올해 상반기중에는

미국이 정책금리 인상을 멈춘 가운데 다른 주요국들은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하였으

나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가 본격화된 이후에는 미국이 정책금리를 인하하면서 다른

주요국들도 정책금리 인상을 중단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이러한 금리정책 기조의 변화를 이해하고 시사점을 찾기 위해

서는 먼저 작년 주요국들의 동반 정책금리 인상의 근본 원인이었던 글로벌 과잉유동

성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는 현재의 주요국 금리정책의 방향이 기본적으로 아

직 과잉유동성 문제가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인하여

더 이상 긴축하기 힘든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로벌 과잉유동성의 발생과 동반 통화긴축

먼저 과잉유동성이란 경제내에 존재하는 재화와 용역의 거래에 필요한 적정수준을

초과했다고 판단되는 유동성을 말하며 유동성 공급이 증가할 때 물가가 상품의 거래

량과 빈도를 반영하여 적절하게 상승하지 않으면 과잉유동성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주요국에 존재하는 과잉유동성은 각국의 통화정책 등 국가요인 중심(country

-centric)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글로벌요인 중심(global-centric)으로도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 즉 과거 미국의 저금리는 물론 현재에도 진행 중인 석유수출국 및 신흥

경제국들의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에서 발생한 막대한 양의 국제적인 잉여자금을 그

근본적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런 풍부한 자금은 국제금융시장을 통하여 세계 각국의 유동성 팽창을 야기하였

다 물론 각국은 불태화정책(sterilization)을 통하여 이를 억제할 수 있으나 유입된

유동성이 자산시장으로 쏠림으로써 자금시장에서 금리하락이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

황에서는 시중금리 상승을 초래할 이런 정책의 수행에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 일국이

독자적으로 이를 수행하려면 자국 통화의 상대적 강세에 따른 교역조건의 악화를 우

려하지 않을 수 없다

상품시장에서의 통화사용 측면에서 보자면 유동성의 초과공급은 통상 물가상승을

초래하여 유동성 수급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글로벌 물가상승은 상당

기간 시현되지 않았고 과잉유동성이 발생하게 되었다

유동성 팽창에도 불구하고 물가상승이 두드러지지 않았던 원인으로는 먼저 중국이

수출을 통하여 대규모 저가 상품을 세계시장에 공급했던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직접

적으로 중국 상품을 수입하는 국가들의 수입물가 상승을 억제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신흥공업국들이 생산하는 경쟁 상품들과 이러한 제품들을 중간재로 이용하는 상품의

가격상승을 억제하여 글로벌 물가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팽창된 유동성이 부동산이나 주식 등 자산시장에 쏠렸던 것도 일정기간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주식 및 부동산 시장의 호황과 자산가격 상승은 일차

적으로 과잉유동성 발생에 따른 결과이지만 이러한 상황은 자산가격의 지속적인 상

승에 대한 기대를 통해 이들 시장이 계속 대규모 유동성을 흡수하여 일반 물가상승을

제Ⅰ장 거시경제 21

억제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과잉유동성의 발생은 자산가격 거품 붕괴와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를 야기하

게 되었다 또한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한 국제유가도 수입물가 및 생

산비용 측면에서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2004년 이후 시작된 미연준의 정책금리 인상기조는 유동성 팽창과 물가상

승 압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성격이 강했다 특히 당시 미국 경제는 호조를 보이고

있어 통화긴축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높지 않았다

작년 들어 중국과 신흥공업국들의 상품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며 그간 누적된 유가

상승과 과잉유동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이 표출되기 시작했으며 물가불안과 자산가

격 거품에 대한 우려는 주요국 정책금리가 인상기조로 돌아서는 근본 원인이 되었다

또한 유로지역과 일본 등은 자본 유출을 우려하여 미국의 지속적인 정책금리 인상에

따른 국제금리 격차확대를 계속 방관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책 리 동반 인상기조의 완화

올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우려가 제기되기 시작하면서 2월에 미국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3월에는 주요국 주가가 동반 하락하는 등 증시가 불안한 모습을 보

이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의 원인은 과잉유동성에 따른 방만

한 대출 및 작년부터 시작된 주택경기 침체가 근본 원인이지만 미국의 금리인상기조

역시 모기지 금리의 상승을 통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

다 당시 미연준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금융위기로 발전할 것으로는 예상하지

않았으나 부실확대 우려가 주택경기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는 점과 회복이 지연되

고 있는 경기를 고려하여 더 이상 정책금리를 올리지 않게 되었다

한편 2007년 상반기중 유로지역과 중국은 정책금리를 두 차례에 걸쳐 각각 05p

와 045p 인상하였으며 일본 역시 정책금리를 한 차례 025p 인상하는 등 미국

이외의 주요국들은 정책금리 인상기조를 유지하였다 이는 이들 경제가 견조한 성장

을 지속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당시에는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통화당국들

의 과잉유동성과 자산가격 거품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2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하지만 하반기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대규모 환매와 금융기관 파산 사태로 이

어지면서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으로 발전하게 되자 안전자산으로의 자본유입 발생으

로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한 반면 주요국 단기금리들이 급등하였다 사태 발생직후 미

연준은 연방기금금리의 목표를 유지하면서 상한이내에서 이를 안정시키는 데 주력하

는 모습을 보였으나 주택경기의 지나친 침체와 금융시장 전체로의 신용경색 확산을

우려하여 결국 하반기중 세 차례에 걸쳐 1p(525rarr425) 인하하였다

국제금융시장 불안과 미국의 정책금리 인하에 따라 유로지역과 일본은 하반기중 정

책금리를 인상하지 않았고 중국도 9월 중순 이후 이를 중단하고 있다

향후 망 시사

향후 주요국 통화정책의 방향은 과잉유동성 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을 해소하기

위하여 당국이 정책금리를 인상할 여건이 되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이외의 다른 주요국 경제에는 아직 상당한 과잉유동성이 남아 있으며 유가를 포함한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 중국 등 신흥공업국의 수출품 가격상승 등이 계속 물가상승 압

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각국은 통화긴축을 통하여 유동성을 흡수할 필요가 있

는데 실제 정책금리 인상을 단행할지 여부는 무엇보다 경기상황에 달려있다

만약 향후 세계경제가 견조한 성장을 보이게 된다면 주요국 정책금리의 동반 상승

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전망에 따르면 고유가와

미국 주택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내년 세계 및 주요국 경제성장은 소폭 둔화될 것으

로 예상되는데 이렇게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압력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금리

정책의 방향은 전적으로 통화당국이 어디에 가중치를 둘 것인가의 판단에 달려 있다

지금처럼 물가와 경기 전망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어느 일방으로의 정책 필요성이

명백해질 때까지 당분간 각국의 정책금리는 현 수준에서 동결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

리고 앞으로 각국은 자국의 물가와 경기 자산시장 동향 또한 미국의 정책금리의 움

직임에 맞추어 이를 조정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금리차에 따른 자금의 유출입 변화와 환율 문제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우리나라에서 향후 적극적인 통화정책 운용을 더욱 어렵게 할 것이다 즉 유

제Ⅰ장 거시경제 23

동성 팽창에도 불구하고 쏠림현상 등으로 인하여 자금시장에서의 공급 부족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대외적 불확실성까지 증대되어 명확한 통화정책기조 설정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제Ⅱ장 금융 일반

제Ⅱ장 금융 일반 27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호(200711)

공적자금회수 전략의 재설정

金 秉 德

〈요 약〉

공공부문이 지난 10년간 구조조정과 련하여 인수한 후 재까지 보유하고

있는 잔존채권의 처분과 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첫

째 MampA를 통해 매각 가능한 기업에 해서는 시장의 유효경쟁 여건을 검하

는 시간 여유를 가지고 회수극 화에 을 맞출 필요가 있다 한 국가

기간산업의 경우 산업구조의 변화 국민경제 향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인수자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무 투자자로서 연기 PEF의 극

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산회사정리워크아웃 등의 잔여

기업군에 해서는 흐름을 측할 수 있는 기업들을 모아서 유동화증권을

발행하되 필요 시 한 신용보강을 하는 방법을 검토해볼 수 있다 셋째 개인

채권에 해서는 무분별한 제3자 매각은 불법추심 등의 사회 부작용을 발생

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객 으로 회수가능성이 없는 경우는 한 손상각이

필요하다

새해 丁亥년의 날이 밝았다 금년은 외환위기가 발생한 지 10년이 되는 해이다 지

난 10년간 대한민국의 경제체제에는 획기적인 변화가 있었다 자의 또는 타의에 의해

근로자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의 체질이 근본적으로 변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개방

화가 가속화되는 속에서 환율 금리 주가 성장률 등 경제의 펀더멘탈을 반영하는 변

수들도 안정궤도에 재진입한 지 오래다

본고의 주제는 구조조정이 일단락된 오늘의 시점에서 공공부문의 공적자금 회수전

2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략을 재조명해 보는 것이다 돌이켜보면 환란 직후 정부의 역할은 위기상황 극복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조성된 공적자금을 부실 금융회사의 구조조정에 투입하여 금융시

장을 우선적으로 안정시키는 것이 주 역할이었다 강력하고 신속한 구조조정 결과 우

리 경제는 가장 성공적인 위기극복 사례로 칭송받기도 한다 그러나 환란 발생 후 10

년이 지난 오늘에도 구조조정과 관련되어 인수된 채권으로부터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틀(framework)은 10년 전 제정된 법률에 의거하여 환란 직후의 모습 그대로를 보이

고 있다 본고에서는 향후 공공부문이 보유하고 있는 잔여채권의 처리와 관련된 이슈

들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향해야 할 공적자금 회수정책의 보완점을 제시

해 보고자 한다

공공부문 보유 채권의 황

현재 예금보험공사 자산관리공사 산업은행 등 공공부문의 장부에는 구조조정과 관

련되어 인수된 잔존채권들이 상당히 남아 있다 동 채권은 다양한 형태와 특징을 보이

고 있는데 분석의 편의를 위해 이를 채권의 성격에 따라 간단하게 분류해 보도록 하자

첫 번째 부류는 구조조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거나 시장환경이 호전되어 MampA시

장에서 매각할 수 있는 기업들의 채권들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우리금융

지주 서울보증보험 제주은행(이상 예금보험공사 주관) 대우건설 대우인터내셔날

쌍용건설(이상 자산관리공사 주관) 대우조선해양 새한 남선알미늄(이상 산업은행

주관) 대림수산 대우일렉트로닉스 대우정밀 새한미디어(이상 우리은행 주관) 등이

있다 이들 기업의 주식 중 대주주(controlling share) 부분은 MampA시장에서 시가 대

비 0~50 내외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으면서 매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부류는 구조조정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였거나 시장상황이 호전되지 못한 이유

등으로 청산이 진행 중이거나 회사정리 변경안이 추진되거나 기업개선작업(workout)

이 진행 중이거나 MampA를 추진 중이지만 성공여부가 불투명한 기업들의 채권이다

동 채권들은 해당기업의 숫자가 수백 개에 이르면서 다양한 경영환경에 처해 있어서

향후 채권회수의 현금흐름이 불확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셋째 부류는 이상의 기업채권들 이외에 나머지 가계채권 또는 소규모 중소기업의

제Ⅱ장 금융 일반 29

채권이다 동 채권과 관련된 담보물은 경매 또는 공매를 통해서 이미 회수되고 잔존채

권은 대부분 무담보 채권으로서 원금 대비 회수율이 극히 미미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

되는 채권이다

MampA 상 기업채권의 처리 시 유의사항

이들 기업 중 상당수는 구조조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다수의 국내외투자가들

이 경영권 인수를 희망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동 채권에 대한 처리의 기본방향은

ldquo신속성rdquo보다는 ldquo공적자금회수 극대화rdquo의 원칙이 상대적으로 더 강조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돌이켜보면 환란 직후에는 신속한 시장안정이 절실히 필요했고 또한 공적자

금 투입으로 회수된 자금을 재투입함으로써 공적자금투입의 지렛대(leverage)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공적자금회수에 있어서 ldquo신속한 처리rdquo에 우선순위가 두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첫 번째 부류의 채권은 향후 시장상황에 따라 매각 경영권 프리미엄

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이다 따라서 향후 동 채권의 매각전략은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회수극대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회수극대화를 위한 매각전략 선택에 있어서 매각대상 기업이 속해 있는 시장에 적

절한 인수자격을 가진 다수의 유효한 경쟁자들이 존재하는가 여부가 가장 중요한 판

단의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유효한 시장경쟁 요건이 충족되지 못한다고 판

단될 때는 매각 타이밍을 적절히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매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 동일한 산업에 다수의 매각기업이 있는 경우에는 매각에 적절한 시간차를 두어서

시장에 일시에 과도한 매물이 나오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적 제약조건으로 작용하는 관련 법률에 정해져 있는 기금청산

및 구조조정 기업 매각시한을 우선적으로 연장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부실채권정

리기금을 2007년 11월까지 청산하기로 규정한 ldquo금융기관부실자산등의효율적처리및한

국자산공사의설립에관한법rdquo과 우리금융을 2008년 3월까지 매각키로 규정한 ldquo금융지

주회사법rdquo의 개정을 통해 적절한 시간적 여유를 갖는 것이 불가피하다

현재 MampA를 통한 매각대상 기업의 면면을 살펴보면 우리금융을 포함하여 일부

회사들은 국가적 기간산업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될 수도 있다 미국의 경우

3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엑손플로리오(Exon-Florio)법에 의해 경제적 안보를 포함하는 국가안보 차원에서 첨

단기술기업에 대해서는 외국인의 인수에 대해 엄격한 사전적 심사를 하고 있다 우리

의 경우에도 이러한 성격의 기업을 매각하는 경우에는 회수의 극대화 원칙뿐만 아니

라 동 기업 매각으로 인해 초래되는 산업구조의 변화 및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수자를 결정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한편 매각대상 기업의 규모를 살펴보면 시가총액이 1조원을 상회하는 대형기업이

10개 내외인 데 반해 실질적으로 이를 인수할 수 있는 국내자본은 그리 많지 않아서

가장 현금흐름이 양호한 대규모 기업집단의 기업 중에서 출자여력이 5천억을 넘는 기

업은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산업자본계열 기업이 전략적 투자자

(strategic investor)로서 해당기업의 인수주체 역할을 하고 연기금 PEF 등이 재무

적 투자자(financial investor)로 컨소시엄에 참가하여 보완하는 방식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특히 막대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 다변화 측면에

서 대안투자(alternative investments)가 절실히 필요한 연기금이 직접적 방법 또는

PEF 출자 등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MampA시장에서 재무적 투자자로서 적극적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정부당국도 연기금 및 PEF의 MampA시장에서의 참여 활성

화를 위해 규제완화 등 다양한 정책적 배려를 고려해 볼 시점이다

기타 잔여 기업채권 련 고려사항

두 번째 부류인 청산 기업개선작업 회사정리 등 다양한 경영상태에 처해 있는 기

업군은 과거 10년간의 구조조정 기간 중 채권보유기관들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처

리하고자 하였으나 사정이 여의치 못해 남아 있는 잔여 기업군이라 할 수 있다

이들 기업들은 구조조정 또는 회사정리단계 등 다양한 경영환경에 처해 있기 때문

에 이를 처리하는 방법도 다기화될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이를 관리하는 공적 채권

보유기관들의 관리비용 또한 상당히 소모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공적자금회수에

있어서 일정한 매듭을 짓는 의미에서 이들 기업군 중에서 회수 현금흐름이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채권만을 따로 모아서 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

하다 현금흐름이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채권을 대상으로 유동화증권을 발행할 경우

제Ⅱ장 금융 일반 31

공개입찰을 통한 완전매각방식(outright sale)을 통해서 정리하는 방법에 비해 상대

적으로 회수비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완전매각방식을 채택할 경우

해당채권을 매입하려는 매입주체가 매우 적을 뿐더러 수요가 적은 상태에서 매수자들

이 제시하는 할인율은 상당히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자산유동화증권을 발행할 때 필요한 경우 공적기구의 신용보강을 통해 시장에서 소

화시킬 수 있는 선순위채권의 부분을 조절함으로써 우선적으로 회수하고 싶은 공적자

금의 액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개인 신용불량채권 련 고려사항

마지막 부류인 개인 신용불량채권은 무담보인데다가 이미 채권기관이 인수하여 연

체발생 이후 5년 이상 장기간이 경과되어 채권 질이 저하되고 회수가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만약 이러한 개인 신용불량채권을 무리하게 공신력이 없는 제3자에게 매

각할 경우 불법적인 추심행위로 인해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채권

기관들은 채권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파산 면책채권 등 객관적으로 회수가능성이 없

다고 인정되는 채권에 대해 적절한 대손상각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3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5호(2007129)

주택관련 정책과 금융시스템 안정성

李 秉 允

〈요 약〉

집값의 국지 폭등은 경제주체들의 인센티 구조를 왜곡시키고 세 내

(intra-generation) 빈부격차뿐 아니라 세 간(inter-generation) 빈부격차를 확 시

켜 경제 체 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낳게 되므로 집값 안정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간 정부는 집값 안정을 해 지속 으로 정책을 펴왔으

며 이러한 정책은 부분 일 된 원칙하에서 주택정책의 규범을 제시해 왔다

는 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곳에 주택

공 을 늘리고 ldquo살고 싶어하는 곳rdquo 자체도 늘려가는 정책이 좀 더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장기 으로 1가구 1주택자의 양도소득세는 새집을 사는

데 양도차액을 모두 사용했을 경우에는 이연해 주다가 차후에 양도차액을

화했을 때 부과하여 주택이 의 편의는 제공하면서도 불로소득은 차단하는 방안

을 검토해 볼 만하다 한편 DTI 규제는 융시스템의 안정성과 련된 것인 만큼

외를 두지는 말되 그 비율을 히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융감독당국은 융시스템 안정성 확보를 해 주택가격의 연착륙을 도모해

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집값 상승세가 주춤해지고 있다 지난 2003년의 소위 1029 대책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정부의 부동산 안정 대책들이 이제야 효과를 내고 있는 모양이

다 최근에는 시장금리도 상승하고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도 강화되는데다 주택담

보대출 건수도 1인당 1건으로 제한되면서 주택시장으로 가는 돈줄도 마르고 있어 주

제Ⅱ장 금융 일반 33

택가격이 오랜만에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파트 가격 폭등과 이를 막기 위한

대책들 간의 전쟁통에서 벗어나 이제 좀 한숨 돌릴 수 있게 된 만큼 지난 정책을 돌아

보고 앞으로 또 있을지 모르는 전쟁에 대비해 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강남 집값은 왜 올랐나

2007년 1월 15일 국민은행 조사에 의하면 강남구 아파트 한 평당 평균 매매가는

3526만원으로 서울의 25개 구 중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싼 도봉구

(806만원)에 비해서는 무려 44배나 비싸며 2위인 서초구(2677만원)에 비해서도

32나 비싸서 발군의 1위라고 할 수 있다 강남구의 아파트 가격은 21세기를 사는 대

부분의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초미의 관심사이며 이야깃거리이다 우리나라에서 내로

라하는 부자들이라면 적어도 강남에 아파트 한 채 정도는 가지고 있기 마련이고 지방

에서 돈깨나 있다고 자부하는 사람들도 강남 아파트를 마련하기 위해 강남의 복덕방

을 기웃거리는 것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강남구는 2001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

부동산 가격 폭등의 진앙지이고 600조원을 향해 가는 가계신용 폭증을 이끈 장본인이

자 대부분 대한민국 국민들의 선망의 대상이다

강남구 아파트는 그동안 왜 그렇게 올랐고 또 왜 이렇게 비쌀까 부동산가격이 폭

등하는 동안 우리 국민 대부분이 부동산 전문가가 되었기 때문에 이 질문은 정말 모두

다 대답을 알고 있는 하나마나한 질문일지도 모르겠지만 이것부터 한번 찬찬히 살펴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강남은 기본적으로 살기 좋은 곳이다 먼저 우리나라 상업의 중심이 명동 종로 등

강북에서 강남으로 이동하는 바람에 강남에 살면 집과 직장과의 평균 거리가 줄어들

어 생활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여기에 국민들 세금으로 건설되는 사회간접자본도 강

남 그 중에서도 특히 강남구에 집중적으로 건설되어 있다 웬만하면 왕복 8차선 이상

의 시원한 도로들이 사방으로 뚫려 있고 몇 걸음만 가도 여기저기 지하철역이 보인다

지하철 237호선과 분당선이 강남구를 지나며 강남구에는 지하철역이 21개나 된

다 필자가 지하철역의 행정구역 구성을 제대로 잘 몰라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 정도면 가히 서울의 다른 구와는 비교 자체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가 이

3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처럼 많은 사회간접자본을 공짜로 지어줘서 삶의 편의성을 높여 놓고는 집값이 오르

지 않기를 바라는 것은 모순이다

강남은 또 생태하천으로 거듭난 양재천변과 한강변 사이에 위치해 친환경적 주거여

건도 자랑하고 있다 거기에다 각종 백화점 할인점 유명 음식점 문화시설 등이 빽

빽이 들어차 있다 이 정도만 해도 너무나 살고 싶은 동네가 되기에 충분하다 그런데

여기에 또 한가지 교육이 더해진다 집안이 거덜나고 노후대책이 막막해져도 내 자식

좋은 대학 보낼 수 있다면 돈을 아까워하지 않는 것이 우리 부모들이다 그런데 웬만

한 아이 데려다 놔도 철저하게 관리하고 교육해서 좋은 대학 들여보내주는 학교와 학

원들이 몰려 있는 동네가 있다면 그 동네 집값이 어떻게 될까 여기에 부자 커뮤너티

라는 프리미엄까지 얹어지니 수요가 몰리고 다른 지역에 비해 집값이 크게 오른 것이

당연해 보인다 소위 버블세븐 지역들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와 유사한 이유로 가

격이 크게 올랐다고 할 수 있다

집값의 국지 폭등이 야기하는 문제들

다른 부동산도 아닌 인간의 가장 기본적 생활터전인 집의 가격 상승 그것도 지역

별 편차를 극심하게 드러내는 집값 폭등은 엄청난 후유증을 가져온다 자본주의 시장

경제체제의 가장 큰 장점은 경제주체가 각자 자기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했을 때 사회

전체적으로도 가장 바람직한 결과가 나온다는 것이다 또 누구에게나 평등한 기회가

열려 있어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지고 열심히 일하면 누구나 잘살 수 있게 되는 경제시

스템이라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부동산 가격의 국지적 폭등은 이러한 자본주의의 두 가

지 중요한 장점을 사라지게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

지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보다는 집 한번 잘 사고 판 사람이 훨씬 더 많은 부를 축적하

는 인센티브 구조를 가진 경제시스템이 사회 전체적으로 좋은 결과를 낳을 수는 없다

집값의 국지적 폭등은 같은 세대 내(intra-generation) 빈부격차뿐 아니라 이보다

더 문제가 큰 세대 간(inter-generation) 빈부격차를 낳게 되었다 같은 세대 내 빈부

격차의 경우는 부동산 투자를 잘못해 가난해진다는 것이 불합리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남들 다 투자할 때 제대로 투자하지 못한 당사자에게도 어느 정도 책임이 있다고 할

제Ⅱ장 금융 일반 35

수 있다 그러나 윗세대들이 부동산 값을 올려놓아 아래세대가 모두 가난해져 버리는

세대 간 빈부격차의 경우 아무리 노력해도 부모 잘 둔 사람을 따라갈 수 없게 되는 결

과가 초래되어 사회의 활력을 없앤다는 측면에서 더 큰 문제를 야기한다고 하겠다

주택공 정책

집값 폭등에 따른 문제가 이처럼 심각하기 때문에 집값 안정화는 매우 중요한 정책

과제이고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 2003년 1029 대책부터 시작하여 많은 정책을 만들

어 왔다 최근 들어 이러한 정책들이 점차 그 효과를 발휘하고 있고 앞으로도 집값 안

정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필자는 그 대부분의 정책들이 일각의 부정적 시각

과는 달리 일관된 원칙에 따른 바람직한 것들이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필자는 여기

서 지금까지의 정부정책들을 하나하나 끄집어 내어 평가하고 비판할 생각은 없다 다

만 몇 가지 우리가 생각해 볼 만한 과제들에 대해 의견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주택정책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사람들이 살기 원하는 곳에 공급을 늘려주고 그

곳에 공급을 더 이상 늘릴 수 없는 지경이 되면 그 ldquo살기 원하는 곳rdquo 자체를 더 늘려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주택시장을 완전히 시장원리에 맡겨 두면 이러한 문

제는 시장원리에 의해 자연히 해결된다 하지만 인간생활의 기본인 주거문제를 그냥

시장에 내맡길 수는 없는 일이다 특히 주택은 지을 땅이 한정되어 있고 외국에서 수

입도 되지 않아 일반 재화처럼 무한 생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완전히 시장에 맡길 수

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설사 시장에 맡길 수 없더라도 시장원리가 어느 정도 작동하게

하려면 사람들이 원하는 곳에 공급을 늘리고 ldquo원하는 곳rdquo 자체도 늘려주는 정책은 지

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현재 사람들이 가장 살고 싶어 하는 소위 강남권에는 지금보다 주

택공급을 대폭 늘려 금싸라기 땅을 아주 효율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많

은 사람들이 들어가 살고 싶어하는 지역에 엄격한 용적률 규제 등을 두어 주택 수를

줄이는 것은 난센스다 하지만 용적률 규제를 완화하면 강남권 재건축 지역이 또다시

주택가격 폭등을 견인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는 전반적인 주택수급 균형 개발이익환

수제 강화 분양가 상한제 등을 시행해 가면서 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한 걸

3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음 더 나아가 개발이익 환수를 철저히 한다는 전제하에 오히려 강남권에는 용적률 하

한선을 두어 도시의 수용능력(capacity)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주택 수를 늘

리는 것도 생각해 볼 만한 과제이다

주택 련 세 정책

다음으로는 주택관련 세제 문제다 비싼 재산을 가지고 있으면 높은 세금을 내고

소득이 발생하면 세금을 내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최근에 세제가 정비되

기 전까지는 주택관련 세금이 여타 세금에 비해 너무 미약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

의 방식에 큰 문제가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인간의 가장 기본적 생활 유지

를 위한 주택에 대한 세금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최소한 거주용 주택에 대해서는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현재의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된 이후에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제도개선을 도모해 보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먼저 1가구 1주택자에게는 주택 매입가를 기준으로 보유세를 부과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는 생각이다 이렇게 되어야 주택매입 시 주택보유에 따른 세금까지 고려하여 자

금계획을 세울 수 있고 장기 보유의 유인도 생기게 된다 주택 가격이 오르는 것이

집주인의 책임도 아니며 주택가격이 오르더라도 이를 매각하지 않는 이상 주택소유

자의 재산은 변하지 않으므로 시세에 맞춰 보유세를 내는 것보다는 매입가격에 비례

해 보유세를 내는 것이 더 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 물론 집값이 오른 후 그 동네로

이사 오는 사람은 기존 보유자보다는 더 높은 보유세 부담을 안게 될 것이다 또 투자

목적으로 주택을 2채 이상 보유할 경우에는 높은 보유세를 부과해야 할 것이며 재건

축의 경우에는 조합원의 입주도 신규 입주이므로 신규 분양가에 맞추어 보유세를 부

과하면 무분별한 재건축을 억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양도소득세의 경우 물론 주택 매각가가 과거 그 주택의 매입가보다 높으면 소득이

발생한 것이므로 세금을 내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주택은 상업부동산이나 주

식 등 여타 자산과는 달리 기본적인 주거와 관련되는 것인 만큼 조금 다른 기준을 고

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1가구 1주택자의 경우 기존 주택을 팔더라도 다시 주거를

위한 새로운 주택을 구입해야 하는 만큼 기존 주택 매각가와 새 주택 매입가의 차액만

제Ⅱ장 금융 일반 37

이 소득으로 발생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여기에다만 양도소득세를 부과하는 것이 타

당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방식이 양도에 따른 차액으로 발생하는 소득에 과세한다

는 양도소득세의 원래 취지에 더 부합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1가구 1주택

자의 경우에도 나중에 작은 집으로 옮기거나 주택을 구입하지 않아 거주용 주택 가치

의 일부를 현금화함으로써 소득이 발생하거나 자녀에게 상속할 때에는 고율의 세금

을 부과하여 주택에 의한 불로소득을 차단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실제로 소득이

발생한 것이므로 1가구 1주택이라고 해서 세금혜택을 크게 줄 필요는 없을 것이다

현재의 양도소득세 방식은 1가구 1주택자라도 6억원 이상 주택 매각 시에는 양도차

익에 따라 양도세를 부과하는데 양도차익이 매우 커도 주거용 1주택이라는 이유로 공

제를 많이 받아 실제로 양도차익에 대해 제대로 과세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렇다

고 주거용 1주택에 대해 양도세를 과하게 부과하기도 어려운 점이 있다 하지만 1주택

자의 경우 구주택 매각가와 신주택 매입가의 차액에 대해서는 고율 과세하고 주택 상

속과세를 강화하면 주택가격 상승으로 인한 불로소득을 차단하면서도 세금 때문에 1

주택자가 주거용 주택구입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어 일거양득이

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새 주택을 비싸게 주고 샀을 경우에는 재산이 늘어나는 것이므

로 보유세를 많이 내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보유세 및 양도소득세 관련 세제개

편은 주택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으므로 현행 제도가 정착되어 주택가격이 안정되고

또 실거래가 신고가 완전히 정착된 이후에 신중히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주택 련 융정책

마지막으로 주택관련 금융정책과 관련된 것들이다 차주의 상환능력 범위내에서 대

출을 해주어 금융회사의 리스크관리를 도모한다는 취지의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는 2006년 330 대책 때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는 감독당국이 도입하

기 이전에 금융회사들이 리스크관리를 위해 먼저 도입했어야 하는 제도로 도입이 늦

은 감마저 있다 DTI 규제는 금융회사의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지역

및 소득수준 등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하되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금융회사가 비율을

조정해 갈 필요가 있다

3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여기서 유념해야 할 것은 DTI 규제는 금융회사 리스크관리를 위한 것이지 주택시장

의 돈줄을 죄자는 규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금융회사 리스크관리를 위해 DTI 규제는

예외 없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지만 주택시장의 돈줄을 죄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DTI

규제를 강화하면 자금중개라는 금융의 중요한 기능이 위축될 수 있다 자금은 수익률

이 높은 곳으로 흘러가게 마련이다 그동안은 주택시장의 수익률이 높았기 때문에 주

택시장으로 자금이 많이 흘러갔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주택시장으로 자금이 많이 몰

려 문제가 야기된다면 주택시장의 수익률을 떨어뜨리고 주식 등 다른 자산시장의 수

익률을 높이는 정책을 펴서 자금흐름의 방향을 바꾸어 주어야지 자금흐름 자체를 억

누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금융회사가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범위내에

서 금융회사의 자금중개 기능을 위축시키지 않을 만큼의 적정한 DTI 비율을 찾아내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주택가격 안정과 융시스템 안정화

주택가격의 하향 안정화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이지만 아이러니컬한 것은

금융시스템 위기는 주택가격이 상승할 때가 아니라 하락할 때 오게 된다는 점이다 따

라서 정부가 역량을 모아 주택가격 하향 안정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지만 누군가는 이

러한 주택가격의 추세반전이 혹시 금융시스템 위기로 연결될 가능성이 없는지 지속적

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속도조절을 하는 인기없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는 금융감독당국의 역할이다 따라서 금융감독당국은 주택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이것이 크게 늘어난 가계부채에 충격을 주지 않으며 연착륙할 수 있도

록 속도조절을 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그간 주택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아

좌절과 절망을 겪은 국민들이 대다수인 상황에서 주택가격이 너무 빨리 떨어지지 않

고 연착륙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은 매우 인기가 없는 역할일 수도 있다 하지만 어

차피 금융감독이라는 것이 너무 앞서 나가는 것에 제동을 거는 인기 없는 역할을 맡을

수밖에 없는데 그래도 이를 담당하여 묵묵히 제 역할을 수행할 때 우리 금융시스템

나아가 우리 경제가 유지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주택가격은 반

드시 하향 안정화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그 속도는 점진적이어야 한다

제Ⅱ장 금융 일반 39

한양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8호(2007219)

부동산 버블 금융위기설 그리고 정책의 신뢰성

河 駿 坰

〈요 약〉

재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부동산시장의 향배는 양질의 주택이 가진 희소

성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인지 그리고 부동산 련 융긴축 정책이 계속될

것인지의 여부에 달려 있다 이 문제들은 상당 부분 정부정책에 의해 좌우되

는데 최근 제기되고 있는 부동산발 융 기설은 정책의 신뢰성에 의문을 가

지게 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즉 사람들은 정부가 주택가격 하락으로 인한

융 기 가능성 때문에 주택가격의 하방경직성을 추구할 것이라는 기 를 하

게 되는 것이다 재 우리나라 융부문의 건 성을 감안하면 부동산가격이

1~2년 수 으로 하락하더라도 그것이 융 기로 발 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융 기설의 포로가 되어 있다는 념이 확

산됨으로써 정책의 신뢰성을 훼손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 를 불식시키기

해서는 정책당국이 주택가격이 하락하더라도 그 충격을 해당 부문에 국한시킬

수 있는 컨틴 시 랜(contingency plan)을 세워 충분히 처할 능력을 보유하

고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기 가능성에 한 우려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2007년초 부동산 시장은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가 극도로 위축되면서 모두 눈

치를 보고 있는 형국이다 이렇게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것은 사람들이 아직 부동산시

장에 대한 기대를 명확히 형성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과연 부동산가격이 하향안정세

로 접어들었는지 아니면 더욱 폭발적인 상승세로 반전할 것인지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기다리는 것이 최선인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여론조사에서뿐만 아니라 주

4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요 경제연구기관들 사이에서조차 주택가격에 대한 전망은 크게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택가격이 강남지역 주택공급의 희소성을 바탕으로 다시 상승할 것이

라는 의견도 있고 정부의 추가조치에 따라 크게 하락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부동산 버블 단순 버블인가 합리 버블인가

이러한 의견대립은 주택시장 버블의 성격에 대한 판단과도 관련된다 만약 주택시

장 버블이 펀더멘털과는 무관한 단순한 버블이라면 조만간 터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주택시장의 버블이 펀더멘털의 가치상승에 기초한 이른바 lsquo합리적 버블(rational bub-

ble)rsquo이라면 그것은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 예컨대 펀더멘털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동시에 버블이 같은 속도로 커진다면 버블에 투자하는 것이나 펀더멘털에 투자하는

것이나 수익률 면에서는 마찬가지이므로 양자 간에 재정거래(arbitrage) 기회가 사라

진다는 의미에서의 합리성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버블이 존재하는 것이 확실하다고

해도 그 기초가 되는 펀더멘털 가치의 움직임이 어떠한가에 따라 버블의 지속성은 크

게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주택이라는 자산의 펀더멘털은 주택에서 나오는 서비스 즉 교육 문화 교

통 쾌적한 환경 등 주거여건일 것이며 이러한 주거여건의 희소성이 유지되고 더욱

커질 가능성에 대한 기대야말로 인기지역 주택펀더멘털의 상대가치 상승과 버블의 지

속확대 가능성을 뒷받침해 주는 요인일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주택시장 버블이 단순 버블인지 합리적 버블인지 여부는 강남을 비

롯한 주거여건 우수지역의 질 높은 주택의 희소성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인지의 여부

에 달려 있다 만약 질 높은 주택이 앞으로도 계속 희소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하게

되면 버블은 어떤 충격에 의해 일시적으로 줄어들었다가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부풀

어 오르는 패턴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반면에 질 높은 주택의 희소성이 점차 사라질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하게 되면 주택시장의 버블은 축소압력을 받을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41

버블과 융

어떤 요인에 의해 버블의 불씨가 생기기 시작하면 금융이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역

사적 경험이다 버블은 스스로 내생적으로 신용을 창조하기도 한다 일본의 부동산버

블 시기에도 그러했고 1980년대 미국의 저축대부조합이 경쟁적으로 텍사스 지역의 부

동산 투기에 돈을 댈 때도 그러했다 버블의 가능성이 보이는 곳에서는 어김없이 신용

창조가 일어나서 버블을 실현시켜 주었던 것이다 따라서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규제

나 금리정책도 부동산 버블의 크기와 부푸는 속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정부정책의 유인 합성과 융 기설

이상을 종합하면 부동산버블의 지속가능성 여부는 앞으로 질 높은 주택의 희소성이

유지될 것인지 여부 그리고 버블을 억제하는 금융정책이 지속될 것인지 여부에 주로

달려 있다

그런데 정부는 주택공급을 확대하고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건전성 규제를 강화하겠

다고 밝히고 있다 정부의 방침대로라면 버블은 축소되고 부동산가격이 하향안정화되

는 것이 마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시장이 아직도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정책이 지속될 것이라고 믿지 않기 때

문이다 정책에 대한 신뢰는 정부정책의 유인적합성(incentive compatibility)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

유인적합성은 정부가 정말로 부동산가격을 하향안정화시킬 유인이 있느냐의 문제

이다 우선 질 높은 주택의 희소성과 관련해서는 적어도 주택가격의 상승을 예상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강남 등 선호지역 주택의 희소성을 약화시키지 않을 것이

라는 확고한 믿음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들은 선호지역에 거주하는 상당수

정책결정자들의 이해관계를 그 근거로 제시한다 또 정부의 공급확대 정책이 가급적

선호지역을 비껴가는 방향으로 추진되어 온 것도 이러한 믿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선호지역의 희소성을 유지해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논리는 물

론 자의적이고 과장된 것이겠지만 정부가 버블이 꺼지는 것보다는 현상유지를 바랄

4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것이라는 믿음이 상존하는 것이 현실이다

사실 시장으로 하여금 주택가격 하향안정화에 대한 정부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하는

더욱 중요한 요인이 바로 금융위기설이다 최근 제기되고 있는 부동산발 금융위기설

에서는 주택가격의 경착륙이 발생할 경우 가계부채 위기가 발생하고 그것이 금융위기

와 경제위기로 이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사람들은 정부가 이러한 논리를 무시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부동산 가격의 하락을 꺼릴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되는 것

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대가 형성된 것은 지난 몇 년 간 경기부진 속에서 주택가격에 하방경직성

이 나타났다는 사실을 보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정말로 부동산가격 하락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부동산 정책의 신

뢰성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융 기의 가능성

사실 부동산발 금융위기의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 외환위기 이후 국내 은행들의

자본충실도는 크게 개선되었고 여신심사기준 강화 보수적 자금운용 등으로 부실여신

비율도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저축은행권 역시 은행권보다는 충격흡수 능력이 취약하

지만 자본충실도가 크게 개선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주택가격이 1년 전 또는 2년

전 수준으로 되돌아간다고 해도 그것이 금융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부동산발 금융위기설의 포로가 될 것이라는 믿음이 힘을

얻는 것은 만에 하나 부동산가격이 경착륙했을 때 정부가 적절히 대응하기 곤란할 것

이며 그러한 일이 벌어질 수 있는 희박한 가능성조차도 회피하는 것이 정부의 유인적

합성에 맞는 것이라고 시장참가자들이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주

택가격이 사실상 하방경직성을 갖는 것은 당연하며 부동산불패의 신화는 계속될 수

있는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43

융 기설의 포로가 되지 않으려면

따라서 정부가 정책의 신뢰성을 얻기 위해서는 스스로 금융위기설의 포로가 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금융위기를 포함한 모든 가능성에 대해 적절히 대

처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시장이 믿게 해야 한다

만에 하나 주택가격이 폭락하더라도 정부가 그 충격을 부동산시장 내부에만 국한시

킴으로써 충격이 금융위기로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러한 능력을 시장

이 믿어준다면 정부는 금융위기설의 포로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버블은 자본주의 경제에서 끊임없이 발생했고 버블의 붕괴는 금융위기로

연결되곤 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정책당국의 대응방식도 많이 진화해서 버블붕괴

의 충격을 해당 시장에만 국한시키고 금융위기로 전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들이 개발되었다 그 하나의 예가 최종대부자(lender of last resort) 기능이다

최종대부자 기능은 금융위기 시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해서 일시적인 유동성부족으

로 인한 위기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이다 다만 이 기능은 무원칙한 유동성 공급이

아니라 도덕적 해이 방지장치가 수반된 시장안정 장치라는 데 주의할 필요가 있다 최

종대부자 이론의 선구자인 Bagehot이 제시한 ldquo(금융위기 시) 높은 이자율로 자유로이

대부해준다rdquo(lend freely at a high rate)는 원칙을 참고해서 관련 정책당국들이 컨틴

전시 플랜(contingency plan)을 세우는 것도 검토해 볼 만하다

당국이 모든 가능성에 대해서 철저히 대비가 되어 있다는 믿음을 시장에 주게 되면

그 자체로서 금융위기의 우려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4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0호(200735)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이행실적과 평가

朴 宗 奎

〈요 약〉

공 자 상환 책에 따라 공 자 을 상환해온 지 이제 만 4년이 지났다

이 책의 핵심은 자체상환되지 못한 공 자 을 국채로 바꿈으로써 우발채무

를 직 채무로 환한 뒤 이것을 재정을 통해 25년 간 으로 갚아나간다는

것이었다 공 자 을 굳이 국채로 환하는 이유는 재정수지에 압박을 주어

세출삭감과 세입증 를 통한 세 의 채무상환을 유도함으로써 미래세 의

부담을 덜어주기 함이었다 그러나 수많은 논란 끝에 25년을 내다보며 만들

었고 철 한 이행을 해 법까지 만들어 국민에게 약속했던 이 장기계획은

련법 발효 첫해부터 제 로 실행되지 못했다 특히 일반회계 출연부분이 국채

잔액을 이지 못한다는 이유로 심각하게 지연되어 왔는데 이는 그 지 않아

도 불공평하게 과도한 부담을 지게 되어 있는 미래세 의 재정부담을 더더욱

가 시킬 것이다

공적자금의 원활한 상환을 위해 공적자금 상환대책이 마련된 것은 2002년 여름이

었고 이를 토대로『공적자금상환기금법』이 제정되어 시행된 것은 2003년 1월 1일부

터였다 이 법은 2027년 12월 31일까지 효력을 가지도록 정해졌으며 이에 따라 정부

의 공적자금 상환계획도 25년에 걸친 장기계획으로 마련되었다 금융위기 수습을 위

해 조성했던 공적자금을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상환하여 온 것은 이제 만 4년이 조금

지난 셈이다 그리고 내년은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과 부실채권정리기금의 자산

과 부채를 다시 실사하여 2002년에 정했던 상환 스케줄을 재계산하여야 하는 해이기

도 하다

제Ⅱ장 금융 일반 45

『공 자 상환 책』의 주요내용과 의의

2002년 당시의 공적자금 상환대책을 다시 훑어보자면 먼저 상환대상 채무를 2002

년말 기준 97조원으로 평가하였고 그 가운데 예금보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가 자체 상

환할 수 있는 금액을 28조원으로 추산하였다 그리고 자체상환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

되는 나머지 69조원에 대해서는 금융권이 20조원 재정이 49조원씩 분담하여 25년

동안 갚도록 하였다

금융권이 분담할 20조원은 예금보험공사가 부보금융기관으로부터 매년 부보대상예

금 평잔액의 01에 해당하는 특별보험료를 부과하여 조달하도록 하였고 재정이 분

담할 49조원은 공적자금상환기금이 만기도래한 예금보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의 보증

채권을 국채로 바꾸어준 뒤 이를 일반회계로부터 ldquo2002년 현재가치rdquo 기준 2조원씩을

전입 받아 25년 간 상환하도록 하였다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정부가 막대한 잠재적 재정 부담을 더 이

상 회피하지 않고 상환을 시작해 나가겠다는 방침을 확정한 데에 있었다 즉 예금보

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가 자체상환하지 못하는 만기도래 공적자금을 국채로 바꾸어

줌으로써 우발채무를 직접채무로 전환시킨 뒤 이를 25년 동안 재정을 통해 현금으로

상환해나가기로 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핵심 골자였다

『공 자 상환계획』의 이행과정

공적자금상환계획은 25년을 내다보면서 만든 장기 재정계획이었으며 필자가 아는

한 우리나라 정부수립 이래 지금까지 25년이란 장구한 세월을 염두에 두고 세웠던

장기 재정계획은 역사상 이것이 처음이었다 이 계획의 실행 첫해인 2003년에는 예정

대로 2조원을 일반회계에서 전입하여 상환자금으로 충당하였다 그러나 공적자금상환

기금법이 발효된 이후 그 법에 따라 처음으로 편성한 2004년 예산에서는 일반회계로

부터의 전입금이 당초 예정된 2조 1천억원이 아니라 2천 5백억원밖에 출연되지 않았

다 25년 간에 걸친 공적자금상환계획의 실행이 관련법 발효 첫해부터 심각한 차질을

빚기 시작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2005년 예산을 편성하는 2004년말에는 당초 예정

4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된 2조 3천억원보다 1조원이 적은 1조 3천억원만이 예산에 반영되었다

아무리 중요한 계획이라도 반드시 정해진 일정을 밟아 정확하게 달성해야 할 필요

는 없을지 모른다 너무 융통성이 없는 것보다 어느 정도 융통성이 있는 편이 오히려

나을 수 있다고 본다 금연 결심을 사흘이 안 돼 포기한다든지 초등학교 학생의 방학

계획이 하루도 못가 어긋나기 시작한다든지 하는 일들은 흔히 있는 일로서 얼마든지

이해해 줄 수 있는 문제다

그러나 초등학생이 색연필로 그린 동그라미 겨울방학 계획표가 아닌 다음에야 한

국가의 장기 재정계획이 시행되자마자 중대한 차질을 겪었다는 사실은 놀랍고도 부끄

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 나라의 중앙정부가 수많은 논란 끝에 25년을 내다보며 만

들었고 철저한 이행을 위해 법까지 만들어 국민에게 약속하였던 장기계획이 시행 첫

해부터 제대로 지켜지지 못한 것이다

ldquo25년 장기계획rdquo의 시행 첫해부터 빚어진 차질

그 결과 2004년과 2005년의 일반회계 출연금은 예정보다 대폭 줄어들어 출연금 부

족분이 2조 8천억원에 달하였다 그러자 2006년에는 당초 필요액 2조 4천억원보다 6

천억원이 더 많은 3조원을 예산에 반영하였고 여기에 전년도 세계잉여금 중 일부를

보태어 총 3조 3818억원을 일반회계로부터 전입 받았다 그러나 2006년말에 편성된

2007년 예산에서는 일반회계 전입금이 200억원에 불과하여 당초 필요액 3조 2천억원

에 비하면 거의 하나마나한 수준까지 대폭 줄어들어 버렸다

재정에서 분담하겠다고 했던 49조원은 그것이 더 이상 우발채무가 아니고 정부의

명시적인 직접채무로 보겠다는 의미였다 정부가 갚아야 할지 갚지 않아도 될지를 알

수 없는 미정(未定)의 상태가 아니라 정부가 갚아야 할 돈으로 간주하겠다는 얘기였

다 물론 상황에 따라 회수자금이 예상보다 더 커지거나 작아질 가능성은 분명히 있

는 것이고 특별보험료로 조달하게 될 특별기여금의 규모도 가변적일 것이므로 재정

에서 최종적으로 갚아야 할 규모도 달라질 가능성도 분명히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변

동은 공적자금상환기금법에서 정한 바대로 5년마다 한 번씩 재평가를 거쳐 조정해 나

가기로 하였다 즉 재평가를 해야 하는 2008년 이전까지는 일단 상환대책을 예정대

제Ⅱ장 금융 일반 47

로 추진하겠다는 대국민(對國民) 약속을 한 것이고 그러한 약속은 이행되었어야만 했

었다고 본다

공 자 상환계획의 기본정신

물론 만기도래한 공적자금을 차환(roll-over)발행함으로써 영원히 정부의 우발채

무로 남겨둘 수도 있었다 2002년 공적자금 상환계획을 마련할 당시 공적자금을 계속

우발채무로 남겨둔다 해서 문제가 될 게 뭐냐는 주장도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공적자금의 국채전환을 통해 우발채무를 직접채무로 바꾸어 놓아야 했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어느 시대 어느 나라 정부이건 우발채무를 갚으려는 목적으로 예산을 줄이거

나 세금을 더 걷으려 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적자금이 우발채무로 남아있어

서는 상환이 계속 미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그 경우 엄청난 규모의 공적자금이 국가부

채도 아니고 국가부채가 아닌 것도 아닌 어정쩡하고 애매모호한 상태로 무한정 남게

된다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한국은행의 통안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상황을 원치 않는다면 공적자금을 국가채무로 공식화함으로써 재정

수지에 직접적인 압박을 주어야 했고 그렇게 함으로써 정부에게 공적자금 상환을 위

한 예산 삭감과 세금 증가의 대국민(對國民) 명분을 주어야 했다 결국 공적자금을

국채로 전환하여야 했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공적자금을 나라 빚으로 공식화함으로써

예산도 줄이고 필요에 따라 세금도 더 거두면서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가급적 현세

대에 의해 공적자금이 상환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이는 물론 미래세대의 부담을 가

급적 경감시켜 주기 위함이었다 이것이 공적자금 상환계획의 가장 핵심적인 기본정

신이었던 것이다

정부와 여야 정치권의 이해 불충분

25년 간의 공적자금 상환계획이 첫해부터 순탄치 못한 굴곡을 거치게 된 가장 근본

적인 이유는 공적자금 상환대책의 이러한 기본정신에 대해 정부와 여야 정치권의 이

해가 불충분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일반회계로부터 공적자금 상환자금을 출연

4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받는 문제를 놓고 국회에서 벌어졌던 격렬하고도 흥미진진한 논쟁은 국회 재경위 및

예결위 회의록 곳곳에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것을 검색해 보면 우선 2004년의

예산에서는 기획예산처와 여당의 강한 반대로 당초 2조 1천억원으로 계획되었던 일반

회계 출연이 110로 줄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2005년 예산에서 2조 3천억원으로

예정되었던 출연금 중 1조원이 줄어든 것은 야당의 반대 때문이었으며 2007년 예산에

서 당초 예정된 3조 2천억원의 일반회계 출연이 200억원으로 줄어든 것은 부실채권

정리기금의 자체회수금액이 늘어나 일반회계 대신 거기서 3조원을 출연 받는 것으로

대체하였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이 기획예산처 여당 야당이 번갈아 가며 25년 장기

재정계획의 차질에 기여한 것은 공적자금상환계획의 기본정신인 미래세대의 부담경

감뿐 아니라 정부 및 국가의 권위 그리고 정치권의 체면과 後代의 평가를 위하여 안

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일반회계 출연의 의미

공적자금 상환을 위한 일반회계의 출연을 기획예산처와 여당 그리고 야당이 번갈

아 가며 반대하였던 가장 중요한 논거는 국채발행을 통한 공적자금 상환은 곧 lsquo빚을

내 빚을 갚는 것rsquo으로서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는 논리였다 이 논리는 그 자체로서

는 옳은 지적이었다 만기도래한 공적자금을 국채로 바꾸어 준 단계에서 이미 국가부

채는 그만큼 늘어났으며 이 부분을 다른 국채를 발행하여 상환하든지 말든지 국가부

채규모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정부예산을 통합재정기준으로 파악할 경우

국가채무 상환자금을 일반회계에서 출연을 받든 공공자금관리기금으로부터 예수를

받든 하등의 차이가 없다 회계처리상 어떤 항목에서 적자를 발생시키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문제는 정부회계 가운데 어느 곳에서 적자를 발생시키는 것이 재정운용

상 압박을 주어 세출삭감이나 증세를 통한 정부부채 감축에 나서도록 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이냐 하는 점이다 재정당국에게 그와 같은 압박을 주는 데에 있어서 단연 일반

회계가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 필자의 판단이며 공적자금상환기금법에 일반회계로

부터의 출연을 받도록 정해놓은 것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었다고 생각된다

제Ⅱ장 금융 일반 49

미래세 부담경감을 한 인식과 노력이 필요

만약 새로운 빚이 생기는 것을 막았다면 정부와 정치권이 납세자들을 위해 유익한

일을 했다고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공적자금을 국채로 전환시켜준 부분은 이미 생겨

난 빚이었기 때문에 지금 갚지 않으면 미래로 넘어갈 수밖에 없는 사안이다 국민의

부담이 늘어나는 것을 막고 싶었다면 어떻게 해서든 다른 곳의 예산을 삭감해 놓거나

세원확대를 통해 세수를 늘여 놓아야 했었다 그런 성과 없이 단지 국채잔액을 감소시

키지 못한다는 이유로 공적자금 상환을 위한 일반회계 출연을 지연시켜온 것은 미래

세대의 부담을 그만큼 더 늘여 놓은 것밖에는 다른 의미가 없다

또한 공적자금상환기금법의 기본정신이 현세대의 상환을 촉진시키고 미래세대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라면 2007년처럼 자체 회수금액이 예상보다 늘어나더라도 일반회

계 출연은 예정대로 집행함으로써 미래세대의 부담을 자체 회수금액 증가분만큼 줄여

놓았어야 옳았다고 판단된다 여건이 예상보다 호전됨에 따른 수입은 현세대의 정부

지출을 유지시키는 데에 사용하기보다는 미래세대의 부담경감을 위해 사용했어야 했

다는 의미이다

그렇지 않아도 현행의 공적자금 상환계획은 미래세대의 부담을 경감시켜주려는 의

도와는 달리 미래세대에게 오히려 불공평하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도록 설계되어 있

다 이를테면 지금의 20대 이하 미성년자들이 전체 부담의 절반에 가까운 44를 지

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현행의 계획이 이런 문제를 안고 있을 뿐 아니라 실행 초기부

터 정부와 정치권의 이해 불충분으로 난항을 겪어왔다 투표권이 없다는 이유 때문에

미성년 세대에 대한 배려를 이런 식으로밖에 하지 않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한다 지

금부터 20~30년 뒤 지금의 미성년자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2003년 이후 작년까지의

국회 의사록을 읽으면서 어떤 느낌을 갖게 될지 그들로부터 현세대는 어떤 대접을 받

게 될지 심히 걱정될 따름이다

5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2호(2007319)

자본시장통합법(안)의 지급결제허용조항 삭제는 매우 바람직

金 資 峯

〈요 약〉

최근 증권사의 지 결제허용조항 삭제를 핵심으로 하는 자본시장통합법 수

정안이 발의되었다 이는 결제 험과 자본시장의 장기 인 발 을 고려할 때

매우 바람직하다 장기자 시장인 자본시장을 제 로 발 시키는 데 있어서

표 인 단기유동성인 증권사 고객 탁 에 지 결제기능을 허용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오히려 지 결제허용은 결제 험을 크게 증가시킬 우려가

있고 증권사에 실질 으로 은행업무를 허용하는 결과를 래하고 이해상충

을 야기할 수 있다 한 외환 기 이후 축 된 귀 한 융원칙들을 훼손하

는 문제 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 융시스템의 안 성을 훼손하지 않도록 지

결제는 반드시 은행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우려를 반 한 수정안 발의는 큰 지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14일「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일명 자본시장통합법) 수정안

이 발의되었다 이를 계기로 자본시장통합법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형성되고 있다

제대로 된 자본시장 즉 장기자금시장을 갖고 있지 못한 국내 금융시장의 현 단계

를 고려해 볼 때 투자은행의 발전은 절실하다 자본시장통합법의 추진을 보면서 많

은 사람들이 법 추진에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던 이유는 바로 그러한 절실함 때문이었

다 다만 지급결제허용 등 일부 불요불급할 뿐 아니라 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조항에 대하여 많은 금융전문가들의 우려가 지속되어 왔다

이제 수정안이 발의된 상황을 맞이하여 증권사에 대한 지급결제허용의 득실을 살

제Ⅱ장 금융 일반 51

펴보고자 하며 본연의 자본시장 활성화와 금융투자회사의 발전을 통하여 금융선진화

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지 결제제도의 역할과 요성

결제시스템 참가자에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이유는 지급결제시스템이 금융시

스템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력 때문이다 예외 없는 세계적인 추세는 은행을 매개로

하지 않는 증권사의 결제시스템 직접 참가는 허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전통적으

로 외부겸영을 채택하고 있는 영국 미국 캐나다 등뿐 아니라 조건부 내부겸영을 채

택하고 있는 독일 프랑스 등이 모두 그렇다 상대적으로 증권사에 우호적인 캐나다의

경우에도 증권사의 직접 참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외환위기에서 보았듯이 금융시스템 안전성의 훼손은 파괴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

으며 이에 따라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금융투자회사의 결

제시스템 참가 여부는 특정 업권의 이해를 위하여 결정될 사안이 아니다 기억하고 있

듯이 지난 1996년 자본자유화가 좋은 의도를 내걸고 추진되었으나 이를 계기로 단

기유동성자금이 크게 유입되었고 이에 따라 자금시장의 급격한 단기화현상이 빚어짐

으로써 만기불일치(maturity mismatch) 문제가 크게 심화되었고 결국 급속한 자금

이탈은 외환위기의 원인으로 작용한 바 있다

국내 증권시장 위탁자금은 변동성이 매우 큰 대표적인 단기성 자금이다 특히 현재

국내 주식시장은 1997~98년 당시의 자금시장에 비하여 국제적인 유동성위험에 더 크

게 노출되고 있다는 점에서 지금은 지급결제 참가허용이 아니라 오히려 지급결제 원

칙과 시스템의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한 시기로 보인다

지 결제참가 주장의 요건은 거의 완료상태

증권사의 지급결제참가 허용 주장의 논거는 수수료절감 이용자 편의성 CMA활성

화 자본시장발전 등이었으나 이제 이러한 논거는 대부분 해소되고 있으며 사실 지급

결제참가 필요성과는 무관해 보인다 직접적으로 통합법의 영향 때문인지는 분명하지

5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않으나 최근 은행들은 각종 수수료를 크게 인하하고 있다 이 수수료인하는 기존에

이미 상대적으로 큰 수수료혜택을 받고 있던 증권사에는 추가적인 인하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용자편의성은 증권사가 전자금융에 대한 투자를 통해 스스로 해결해

야 할 사항이었는데 최근에는 그러한 방향으로 크게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까닭으로

은행 가상계좌(virtual account)로 인한 고객 불편은 크게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CMA잔고는 최근 10조원을 넘어서고 계좌 수는 약 165만개에 이르는 등 지급결제참가

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활성화되고 있다

국내 자본시장발전의 가장 큰 핵심은 장기자금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것인데 이는

증권에 내재한 위험을 분석하고 상품화하는 능력에 의해 가능한 것이며 대표적인 단

기유동성인 위탁계좌자금에 대한 지급결제허용과는 전혀 무관하다 예금보험이 적용

되고 있고 이자율지급이 허용되고 있는 위탁계좌에 지급결제참가를 허용할 경우 고객

예탁금은 실질적인 은행예금이 됨으로써 사실상 은행법이 무력화되는 black-hole을

야기하고 금산분리원칙이 더 이상 지켜질 수 없게 될 수 있다는 점은 이제 모두에게

인식되고 있다 또한 증권사에 대한 지급결제허용은 위험을 적극적으로 상품화하고자

하는 투자은행 동기를 약화시킴으로써 자본시장발전에 역행할 수 있다는 점 역시 널

리 인식되고 있다

증권사가 지급결제참가 허용을 요구하기 위해 제시하는 또 하나의 논거로 지급결제

는 은행의 고유업무가 아니라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는데 이는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

다 즉 이러한 주장을 그대로 증권사에 적용할 경우 그 의미하는 바는 위탁계좌를

통한 자금의 수취는 증권사의 고유업무이지만 중개업(위탁매매)은 고유업무가 아니라

는 주장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증권사의 중개업을 위탁계좌와 따로 떼어 구분할 수

없듯이 지급결제업무는 은행의 예금업무와 따로 떼어 구분할 수 없는 것이다

자본시장통합법은 고객예탁금에 한국은행의 최종대부자 기능을 적용하고자 하는데

이는 증권사의 지급결제서비스를 위해서는 예탁금이 예금의 지위를 얻어야 한다는 역

설을 보이는 셈이 된다 이는 지급결제가 예금수취업무와 따로 떼어 구분될 수 없으며

은행의 고유업무임을 통합법 스스로가 입증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제Ⅱ장 금융 일반 53

지 결제참가의 조건

특정 금융회사의 지급결제참가 여부는 그 금융회사가 지급결제를 고유업무로 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결제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의 보유 여부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

다 그리고 지급결제업무를 고유업무로 영위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예금수취 여부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고객예탁금이 예금이라고 볼 수는 없다 물론 예탁금이 예금이면

은행업인가를 받든지 아니면 미국 등 해외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예탁금을 은행에 예치

시켜야 할 것이다

결제위험을 충분히 관리할 수 있기 위해서는 대표기관이 유동성을 제대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하는데 증시 상황에 크게 좌우되는 고객예탁금은 본질상 관리가 어려울 뿐

아니라 최근(2003년) 대표기관의 현금유동성이 영(zero)으로 떨어지는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대표기관의 위험관리능력을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상황이다

향후 과제

그간 증권업은 위탁매매 등 단순중개업을 중심으로 한 업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지속적인 성장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증권사가 투자은행으로 발

전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대형화 및 전문화 노력을 크게 경주하여야 할 것이다 업무구

조에 있어서 대형증권사일수록 소형증권사에 비하여 위탁매매 등 단순업무가 투자은

행업무 비중보다 더 크다는 사실은 투자은행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여

러 가지 과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2005년 현재 대형증권사의 위탁매매비중은 66

투자은행업무비중은 38 반면 소형증권사의 경우 각각 41 98이다 이러한 상

황에서 과연 투자은행으로의 발전을 위해 지급결제업무 허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쉽

게 지지를 얻을 수 있을까

증권사의 지급결제시스템 참여는 득(효율성 제고)보다 실(시스템 리스크 증가 금산

분리원칙 훼손 투자은행동기 감소 증권산업 구조조정 지연 등)이 많을 것으로 판단

되므로 허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점에서 최근 발의된 수정안은 큰 지지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5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고객예탁금에 대한 예금지위 부여는 궁극적으로 은행업무를 허용하는 결과를 낳을

뿐 아니라 금산분리원칙의 무력화를 초래하고 더 나아가 이해상충과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캐나다를 포함하여 겸업주의(외부겸영 혹

은 조건부 내부겸영)를 표방하고 있는 해외 모든 선진국에서도 증권사가 결제시스템

에 직접 참가하는 예는 없으며 예금수취기관만이 참여한다

따라서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을 훼손하지 않도록 지급결제는 반드시 은행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우려를 반영한 수정안 발의는 큰 지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제Ⅱ장 금융 일반 55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5호(200749)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과 시사점

具 本 星

〈요 약〉

지 까지 이루어진 우리나라 융정책은 융산업의 제도개 에 을 두

어 융시장의 안정성 신뢰도 제고에 기여하 다 그러나 향후 제도개

심의 융정책은 진 으로 융역량 강화 심의 정책을 병행하여 보완

될 필요가 있다 융역량 강화 심의 융정책은 경제주체의 융자산 축

과 융시장의 자산 리서비스 역량을 형성하고 확충하는 데 있다 향후 국내

융산업 개인의 융역량을 강화하기 해서는 장기 인 계획에 의거하

여 민 력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 사회경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

도록 소득 는 소외계층을 한 융자산 축 에 한 지원도 요구된다

끝으로 융역량의 강화는 개별 경제주체의 융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운 될 때 융산업 거시경제의 발 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외환위기로 인해 촉발된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구조개혁이 이루어진 지도 벌써 10년째

로 들어서고 있다 그동안의 금융정책은 주로 부실금융회사의 처리 금융회사의 합병

법률회계제도 개편 공시강화 감독제도 개선 등 제도적 기반의 개혁(institutional

reform)에 초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은 금융회사 및 금융시장의 구조

적 취약성을 극복함으로써 금융산업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이

와 같이 제도적 기반 개혁에 초점을 둔 금융정책은 금융선진국의 경우에도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필수적인 개혁이라는 점에서 향후에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5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반면 영국 및 호주 캐나다 등의 경우 금융정책은 법률 개편 등과 같은 제도적 기반

의 개혁과 더불어 개인 금융자산의 확충 및 금융회사의 금융서비스 확충 등 금융역량

(financial capability) 강화에 초점을 둔 정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금융역

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은 주로 신세대와 은퇴세대 가족 종업원 등 개별 금융주체

의 상황을 감안하여 금융자산의 축적을 도모함으로써 개인 또는 가계의 전 생애에 걸

친 재무안정성을 확보하려는 정책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증권시장 안정화 목적의 주식수요기반 확대를 위한 각종 정책이나

최근 들어 확대되고 있는 금융교육 등이 금융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 밀접히 관련되

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금융정책이 아직까지 제도적 기반 개혁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금융역량 강화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적 관심을 확대

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이하에서 영국을 비롯한 금융선진국의 금융

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 추세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국내 금융산업에 대한 시사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융역량 강화 심 융정책의 특징

일반적으로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은 개인 및 가계 종업원의 자발적인

금융자산 축적을 도모하고 금융회사에 의한 금융자산의 관리와 관련된 서비스 기능을

확충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우선 개인 및 가계 또는 종업원의 금융자산 축적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의 목적은

금융자산 축적을 위한 각종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친 금융자산 축적을 유

도하고 궁극적으로 금융주체가 자기책임 하에 생애에 걸친 금융자산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즉 금융주체별 상황을 감안하여 전 생애에 걸쳐

요구되는 경제주체별 재무관리(money advice) 기능 강화를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들이 차세대를 위해 가입하는 장기저축에 대해 세

제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청소년들이 사회진출 시기에 최소한의 금융자산을 가질 수 있

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직업을 갖고 있는 세대의 경우에는 주택금융에 대한 기본지식

을 습득하거나 기업연금을 통한 은퇴설계를 도모할 수 있도록 기업으로 하여금 다양

제Ⅱ장 금융 일반 57

한 정보를 제공하고 연수기회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도 이에 해당된다 장년기 또는 은

퇴세대의 경우에는 은퇴자금의 축적을 도모할 수 있는 연금제도의 개혁을 촉진하는

정책이 주로 해당된다

특히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저소득층이나 금융소외계층에 대해서도 금융자산 축적

이나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access)을 높일 수 있도록 정부가 직접적으로 지원하

는 것도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저소득층의 저축에 대

해 정부가 직접 매칭펀드(matching fund)를 제공함으로써 자립할 수 있는 자금을 마

련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저소득층 자녀의 경우에는 일반가계와 차별화하여 성년이

될 때까지 인출할 수 없는 특별보조금을 제공함으로써 저소득계층에 속한 신세대의

금융자산 축적 지원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처럼 금융자산의 축적에 초점을 둔 금

융역량 강화 정책은 소득분배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융역량 강화의 방향

금융자산과 관련된 서비스 기능 측면에서 금융정책은 개인의 금융자산 축적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금융회사의 참여 및 책

임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정부는 개인들의 금융자산 축적을 위해 저축이나 투자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신세대에 대한 금융교육을 교과과정에 포함시키거나 각종 정보제공 및 홍보활동을 주

도하여야 한다 또한 금융회사는 청소년들이 적극적으로 금융서비스 제공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함으로써 금융활동에 대한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예

컨대 주당 1시간씩 학교지점을 개설하고 은행직원의 감독 하에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창구업무를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은행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것도 이

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정부는 개인들의 금융자산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인금

융자산관리와 관련된 서비스 기반을 평가하고 이를 확충하는 데 금융회사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개인금융자산관리의 경우 주로 상위고객을 중심으로 금

융서비스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일반가계가 자산관리서비스에 대한 자문이나 조언을

5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구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을 통해 온

라인프로그램(on-line tools)을 제공하거나 금융자산관리서비스에 대한 평가기준이나

지침을 마련하여 인증제도를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금융기관의 자

산관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금융회사의 참여를 확대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금

융회사들이 자발적으로 개인들의 금융자산관리를 위한 정보 및 자료를 제공토록 함으

로써 사회적 기여도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융회사 간 협력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금융자산관리와 관련된 공공활동의 강화는 궁극적으로 자문서비스나

기업연금서비스 연금관리 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창출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

익성 제고에도 유리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금융자산관리에 대한 관심 증대는 금융자

산관리업무와 관련된 고용기반의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은 금융주체가 스스로 금융 수요를 파악하고

자발적으로 금융자산 축적에 대한 책임을 담당할 수 있도록 민관이 공동으로 노력하

는 정책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영국의 아동신탁기금(child trust fund)제도는 모든

신생아에 대해 정부가 기본자금(seed money)을 제공하고 18세에 이를 때까지 부모들

이 기부하는 연간 일정한도 내의 기여금에 대해 세제혜택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입학

시기에 일정 규모의 금융자산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즉 금융자산의 축적을 통해 사

회안전망 기능을 강화하고 금융업에 대한 국민인식을 높임으로써 금융시장 및 금융산

업의 심화를 위한 정책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다고 하겠다

국내 융정책에 한 시사

지금까지 국내 금융산업의 경우 금융역량 강화를 위한 금융정책은 금융시장의 상황

을 고려하여 한시적으로 도입되거나 각종 유예조항을 허용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운영

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또한 금융자산 축적에 대한 유인이 투자수익률을 높이는

형태로 유지됨에 따라 세제혜택을 확대하는 데도 제한적이거나 장기적으로 운영되기

곤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향후 금융역량 강화 정책은 국내의 고령화 추세와 은퇴세

대의 확대 가족형태의 변화 등을 감안할 때 금융주체에 의해 자발적으로 금융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정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경제주체의 금융역량

제Ⅱ장 금융 일반 59

이 제고될수록 공적연금의 적정화 또는 사회경제기반의 안정화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금융제도 개혁의 지속과 더불어 금융역량 강

화를 위한 정책수행은 시기적으로 가장 긴요한 과제에 해당된다

향후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금융정책의 도입에 있어서 고려해야 될 요인은 정책의

장기적(long-term) 측면 경제주체의 책임 측면 사회경제적 기능 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금융역량 강화 계획은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계획에 의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

다 금융역량의 강화는 경제주체의 장기적 재무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다 이에

따라 일시적인 경기변동이나 개별상황에 따라 관련 제도의 내용이나 범위가 변경될

경우에 금융자산의 축적에 따른 기대효과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 예컨대 세제혜택의

기준을 자주 변경하거나 만기이전의 계약해지에 대한 유예조항을 도입하는 형태는 그

기대효과를 낮출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금융역량은 국내 가계의 금융자산 금융

세제의 형태 연금 및 퇴직금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세대별(generation) 금

융수요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종합적인 계획에 따라 장기제도(long-term

initiative)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금융역량은 경제주체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이루어져야 그 기대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금융역량의 개발 및 확충은 경제주체 스스로 생애에 걸쳐 요구

되는 금융자산의 축적을 도모하는 데 있다 따라서 금융역량 강화 중심의 정책은 경제

주체들이 그 비용을 적극적으로 담당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융역량

의 축적을 위해서는 민간금융회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금융역량

의 강화는 장기적으로 민간금융회사에게 성장 및 수익기반의 확대 기회를 제공할 것

이라는 점에서 민간금융회사의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금융교육이나

금융서비스의 제공 등에 있어서 민간금융회사는 자금수취 기능에서 탈피하여 금융서

비스 제공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 또는 여건을 마련하는 데 노력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교저축의 경우 지나치게 저축형 상품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운영형

태도 투자형 상품을 부가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볼 때 신세대를 중심으로 금융역량에 대한 기회를 최

대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신세대를 위한 금융자산의 축적은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질

6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수 있다는 점에서 참여기회를 최대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능은 궁극적으로

차세대의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정책이라는 점에서 계층 간 차별화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부에 의한 금융역량 확충은 공공서비스라는 측면에서

저소득계층이나 소외계층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융자

산의 축적이나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금

융자산의 축적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61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8호(2007430)

전략산업으로서 금융산업의 발전 방향

朴 在 夏

〈요 약〉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도약하기 해서는 기존 통산업과 아울러 융

산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국내 융

산업은 융 기 이후 수익성과 건 성이 크게 제고되었으나 아직까지 많은

면에서 취약성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융허 로서 우리나라의 상을 확고

히 정립하는 동시에 국내 융기 의 활발한 외 진출을 통하여 융강국으

로 발돋움하기 해서는 융 련 규제의 극 완화 융 문인력의 양성

융감독제도의 선진화 자율 인 구조조정을 통한 융산업의 경쟁력 강화

그리고 각종 제도 생활여건의 개선 등이 시 히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정

부가 계획하고 있는 융허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기 해서는 련법안의

입법화를 조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신성장 동력산업으로서 서비스업 특

히 금융산업의 육성이 시급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정부도 이와 같은 필요성을

인식하여 2003년 12월 ldquo금융허브 추진전략rdquo을 확정하고 이의 실현을 위한 정책적 노

력을 다각도로 경주해 왔으며 최근에는 금융허브정책을 일관되고 강력하게 추진하기

위해 관련 법률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융산업의 육성 필요성

우리경제는 10년 전 금융위기를 경험한 이후 국내외 경제환경의 어려움 속에서도

6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현재 세계 5위의 외환보유고를 기록하고 있으며 1인당 GNI도

작년말 1만 8천달러를 넘어선 데 이어 금년말에는 2만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1995년 이후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1만달러대에 묶여 선진

국과의 격차는 줄지 않고 있는 반면 중국 인도 등 후발국의 추격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또한 기업의 설비투자와 민간소비가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수

출위주의 제조업과 내수위주의 서비스업 간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부동산 경기의 장

기과열과 급락 우려 등으로 경제의 지속적 성장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는 등 어

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으로 우리나라가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의 선진경제로 도약하

기 위해서는 조선 자동차 철강 등 전통산업에만 의존하는 산업구조의 한계를 극복하

고 기존 제조업의 첨단화와 더불어 금융물류 등 서비스부문을 적극적으로 육성하

여야 한다는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되고 있다 특히 서비스업 분야 중에서 금융산업은

실물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클 뿐 아니라 그 자체가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서

비스 산업이라는 점에서 전략적 육성 필요성이 큰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2006년 중 금융산업이 창출한 부가가치는 637조원으로서 부가가치율(부가가치산출

액)이 710에 달하여 제조업의 221나 전체산업 평균 385를 크게 상회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특히 1997년 이후 제조업의 부가가치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반면 금융산업의 부가가치는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산업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다

정부의 융허 정책 추진성과

정부도 금융산업을 향후 우리나라의 선진국 도약을 위한 전략산업으로 육성해야 한

다는 필요성을 인식하여 참여정부 초기부터 동북아 금융허브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

해 오고 있다 즉 정부는 2003년 12월 국정과제회의에서『동북아 금융허브 추진전

략』을 확정한 후 2007년까지 금융허브 기반구축 2010년까지 자산운용업 중심의

ldquo특화금융허브rdquo 완성 그리고 2015년까지 아시아 지역 3대 금융허브로 발전한다는 목

제Ⅱ장 금융 일반 63

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05년에는 한국

투자공사를 출범시켜 외환보유액과 연기금 등 공공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동시에 해외 유수 자산운용회사의 국내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금융산업 경쟁력의 핵심인 금융전문인력 양성 및 수요공급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금

융대학원을 개원하고 금융전문 인력센터를 운영하여 금융시장 수요에 부합하는 인력

을 배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금융전문대학원 설립을 계기로 정부 금융회사

권역별 연수기관이 합심하여 산학협동 교육 프로그램 마련 및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인력센터의 네트워크망을 구축하여 기관 간 정보를 공유하

고 인력수급 DB 구축 및 수급 전망 보고서 발간을 통하여 금융인력의 효율적 수급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정부는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동북아 금융허브전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우

리 금융산업의 선진화와 국제화를 달성함으로써 금융산업이 실물경제의 지속적 성장

을 견인할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금융산업 전반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우리나라의 국

가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마련한다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

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융산업의 황과 과제

금융위기 이후 국내 금융산업의 수익성과 건전성은 획기적으로 강화되었다 참고로

지난해 국내 은행의 총자산순이익률은 112로서 선진국과 비교해서도 매우 높은 수

익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BIS자기자본비율도 1232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주택

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대출 급증세에도 불구하고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090에 머물

러 건전성 측면에서도 매우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한편 주식시장에서는 소득수

준의 향상 고령화 추세 등의 사회현상에 힘입어 적립식펀드를 중심으로 장기투자가

활성화되고 기관투자자의 비중이 증가하는 등 증시저변이 튼튼해지면서 주가지수가

사상 최초로 1500을 돌파하고 상장시가총액이 800조원을 넘어섰다

또한 전 세계적인 금융기관의 겸업화대형화 추세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도 금융위

기 이후 금융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부실금융기관 처리 등을 목적으로 금융기관의 대

6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형화 및 겸업화가 빠르게 추진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고객수요의 다양화에 대응하

여 고객에게 종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한 인수합병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국내 금융시장이 매력적인 투자처로 인식되면서 외국금융기관의 국

내 진출과 함께 외국기업이 국내 금융시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는 등 전반적으로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력이 크게 강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긍정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타 선진국 특히 기존의 금융허브

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국가와 비교하면 금융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은 아직

도 매우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금융자산이 명목GNI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금융연관비율은 2001년 이후 62~65배 정도로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어 미국(90배) 영국(118배) 일본(118배) 등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전체 고용규모 중에서 차지하는 금융산업의 비중도 2006년말 기준

326로서 미국(49) 영국(40)보다 크게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국내 금융산

업의 고용효과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쳐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선진국에 비해 금융규제의 과다 및 감독분야의 취약성도 금융선진화를 가로

막는 제약 조건 중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참고로 Heritage Foundation의 조사결

과에 따르면 금융기관이 특정 국가에서 얼마나 자유롭게 영업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지를 반영하는 경제자유도 지표가 세계 36위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규제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금융감독의 상시감시체제가 일

부 도입되었으나 효율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있어 정기검사 위주로 금융감독체제를 운

영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금융감독의 적시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평

가된다

특히 새로운 금융환경에 부합하는 금융전문인력의 부족도 국내 금융산업 발전을 가

로막는 문제점 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과거부터 금융억압이 강하여

위험관리를 고도화하거나 금융기법을 습득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고

급 금융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특히 원활한 영어구사능력을 보유하

고 있으면서 금융기술을 보유한 인력의 수는 더욱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10년간 국내 금융기관의 건전성과 경쟁력이 크게 강화되었음에도 불구

하고 아직까지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외 금융시장에서 선진 금융기관과 대

제Ⅱ장 금융 일반 65

등하게 경쟁하고 있는 금융기관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등 국내 금융산업이 해결해야

할 문제는 산적해 있다고 할 수 있다

략산업으로서 융산업의 발 방향

향후 우리나라 금융산업이 지향해야 할 비전은 동북아 금융허브로서의 위상을 확고

히 정립하는 동시에 국내 금융기관들이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에 활발히 진

출하여 역내의 금융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우리 금융산업

의 역량을 강화하고 법규제감독세제생활환경 등 모든 면에서 외국의 금융허

브에 필적할 수 있는 여건을 구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무엇보다 먼저 금융규제를 선

진국 수준으로 완화하고 효율적인 금융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금융자유화 및 선진화

정책을 추진하여 국내 금융시장의 매력도를 지속적으로 제고함으로써 세계 유수의 금

융기관이 국내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융시장의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규제 시스

템을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도록 최대한 빨리 자유화해야 한다 한편 금융자유화

및 개방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감독을 선진화하

여야 하며 이를 위해 금융감독시스템의 상시감시 및 부문검사 강화 위험관리에 기초

한 동태적인 감독시스템으로의 전환 등이 필요하다 또한 감독기관과 함께 회계법인

자율규제기관 등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분식회계 소비자보호 불공정 행위 등을 지속

적으로 적출하고 검사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국내외 금융기관들간의 경쟁

을 지속적으로 촉진하고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금융산업의 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금융산업의 겸업화 대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세계적 투자은

행들과 경쟁할 수 있는 국내 금융기관을 육성하여야 한다 특히 금융허브 수립을 위해

핵심사항 중 하나인 금융 전문인력의 양성에 주력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금융대학원

권역별 연수기관 및 연구소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활용하고 해외 연수기관과의 정보

공유 및 인력 교환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한편 금융산업을 전략적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금융허브정책과 함께 국

6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내 금융기관의 해외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가 동북아 금융허

브 및 동북아 금융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국내 금융기관들이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장치를 마련하고 금

융기관 스스로도 해외에 진출하여 현지화 노력을 통해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

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가 추진 중인 금융허브정책을 체계적으로 강력히 지원하기 위해서

는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관련법안을 조속히 입법화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싱

가포르는 1999년 중앙은행(MAS)법에 금융산업개발기금(FSDF) 조항을 신설하고 금

융허브 촉진을 위한 기금 설립을 법제화하였으며 최근 두바이는 두바이 국제금융센

터(DIFC) 육성을 위해 DIFC법을 제정하여 DIFC 내에서만 적용되는 독립된 사법제도

및 금융감독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향후 금융중심지조성

안의 입법을 기반으로 금융시장에 대한 전문성과 행정능력 및 법적 권한을 갖춘 일원

화된 정책기구를 원활히 운영하는 한편 국내외 금융기관의 애로사항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고자 하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뒷받침된다면 동북아 금융허브 목표가

요원한 것만은 아닐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67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20호(2007514)

주택금융시장의 평가 및 향후 운용 방향

姜 鍾 萬

〈요 약〉

최근 미국의 서 라임 모기지 부실 향으로 국내 주택 융시장의 부실 가

능성에 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국내 축은행과 상호 융 등 비은행

권을 심으로 이러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데 이는 이들 융회사들의 주택담

보 출이 은행권에 비해 높은 담보인정비율과 출 리를 용하고 있고 주

택담보 출 연체율도 은행권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축은행 여신

문사의 총자산 비 주택담보 출 비 과 이들 융회사의 주택담보 출이

체 주택담보 출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 이 매우 낮기 때문에 주택담보 출

부실로 인한 이들 융회사의 산 가능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체 주택 융

시장의 교란 가능성도 매우 낮다 한 지속 인 주택담보 출 련 제도의 개

선으로 주택담보 출 형태가 고정 리부 장기 분할상환방식으로 환되고 있어

향후 부실화 가능성은 더욱 낮아질 망이다

2006년 하반기에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급증함에 따라 국내 주택금융

시장도 비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부실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최근에

는 정부의 지속적인 주택가격안정정책에 따라 주택가격이 하향 안정되고 금리가 상승

함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의 부실이 우려되고 있다

21세기 들어 주택담보대출 등 소비자금융이 우리나라 은행대출의 상당 부분을 점유

하게 된 이후 금리변동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부실 가능성은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내

재된 문제로서 금융환경변화에 따라 수시로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

주택금융시장의 현황을 다시 한 번 짚어보고 향후 운용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6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미국의 서 라임 모기지 부실 발생

2006년 하반기에 미국의 주택시장에서 주택가격이 하향 안정되고 서브프라임 모기

지 연체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모기지 금융회사의 파산을 유발하여 미국 금융시장의

불안이 우려되었다 이러한 미국 주택금융시장의 불안문제가 보도되면서 국내에서는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의 부실과 이로 인한 금융시장의 불안 가능성을 언론 등이 제기

하였다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일반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소비자에 대한 주택금융으로

2001년 이후 주택가격 상승과 저금리 기조에 힘입어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특히 서

브프라임 모기지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Hybrid ARM(Adjustable Rate Mortgage)

은 신용도가 낮은 소비자의 주택구입을 촉진하기 위한 주택금융상품으로 주택가격이

하향 안정되는 경우 부실이 예견되고 있었다 Hybrid ARM은 자금력이 충분하지 못

한 고객을 유인하기 위해 대출 초기 2년간에는 낮은 고정금리를 적용하고 이후에는

높은 변동금리를 적용하는 변형된 주택금융 신상품이다

그런데 작년에 주택가격이 안정되고 금리가 상승추세를 유지함에 따라 44분기에

서브프라임 모기지와 변동금리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계절조정 연체율은 각각 1333

와 1444로 전 분기 대비 77bp와 122bp가 상승하였다 이러한 연체율의 급등현상은

프라임 모기지의 연체율 257(13bp 상승)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으로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로 인한 주택금융시장의 교란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미국 주택금융시장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고

이로 인한 모기지 금융회사의 파산은 미국 주택금융시장의 구조개선에 기여하였다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모기지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말 현재 137에 불과하

고 프라임 모기지 등의 연체율이 안정세를 유지하여 주택금융시장은 조속히 안정을

회복하였다 또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 증가로 모기지 금융회사들은 주택금융의

원칙을 보다 엄격히 준수하여 차입자의 소득을 기준으로 한 채무상환능력 평가를 강

화하고 LTV 100 대출 등을 금지함으로써 주택금융시장의 정상화가 촉진되었다

제Ⅱ장 금융 일반 69

국내 주택 융의 부실 가능성

우리나라 주택금융시장이 2002년 이후 빠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은행의 자산운용

중에서 주택담보대출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시중 유동성 증가 저금리 추세 등으

로 인하여 수도권 등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이 급등하면서 주택담보대출도 급속도로

증가하여 은행 주택담보대출의 잔액과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말 83

조원 237에서 2007년 4월말 218조원 316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주택담보대출이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주택시장의 버블발생 주택담

보대출의 부실 가능성 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소득수준 등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주택가격은 부동산시장에 버블이 발생하였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또한 미국 등 주요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 주택금융은 만기가 3년 이내 단기이고 대출금리가 변동금리

이어서 가계는 원금상환 위험과 금리위험을 부담하고 있다 즉 가계는 주기적으로 원

금을 상환하여야 하며 금리 상승 시에는 이자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금리가

상승하거나 경기침체로 가계의 소득이 충분히 증가하지 못할 경우에는 가계의 채무상

환능력이 저하되어 가계대출의 연체가 우려되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가격과 주택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당국의 꾸준한 노력에 힘입어

국내 주택금융시장의 불안요인은 상당히 해소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의 담보인정비

율(LTV) 규제가 시행되어 은행의 평균 LTV는 50 이하로 주택가격 하락으로 인한

주택담보대출의 부실 가능성은 매우 낮다 또한 금융감독원의 주택담보대출 여신심사

체계 선진화와 주택담보대출 모범규준이 금년 3월부터 시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주

택담보대출 시에 차입자의 부채상환능력을 고려하게 되어 차입자의 소득감소로 인한

부실 가능성도 상당히 낮아지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조건도 상당히 개선되어 주택담보대출 부실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의 만기는 3년 이내 단기에서 10년 이상으로 장기화되고 있으며 대출형

태는 변동금리부 일시상환방식에서 고정금리부 분할상환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다만 저축은행은 LTV가 60 이상이고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9로 은행 등에 비

해 매우 높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총자산 대비 44 총대출

대비 52로 낮아 개별 저축은행의 부실 가능성은 있을 수 있으나 저축은행 전체의

부실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7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주택 융의 향후 운용 방향

향후 우리나라 주택금융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서는 고정금리부 주택금융의 확대

주택금융을 위한 자금조달수단으로서 MBS 발행의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 그 동안 고

정금리부 주택금융 비중이 꾸준히 상승하여 왔으나 주택금융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

기 위해서는 고정금리부 주택금융이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은행의 금융채 발행

액은 2005년 44조원 2006년 59조원 2007년 26조원으로 증가하여 주택담보대출을

위한 자금조달원의 다양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은행은 보유한 주택담보

대출채권을 유동화한 MBS 발행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제Ⅱ장 금융 일반 71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3호(200764)

기후변화와 금융부문의 과제

李 侖 錫

〈요 약〉

기후변화에 따른 효과에 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응은

아직 미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세계의 주요 국가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와 련된 융사업을 차 확 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생되어 나오는 이슈들이 단순히 단기 일회 과학 상이 아닌

장기 지속 사회경제 문제들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융회사 사이의

경쟁이 심화되고 수익원이 약화되고 있는 시 에서 기후변화를 비롯한 환경

련 부문으로 사업을 확 하는 것이 이른바 블루오션 을 향한 항해길일지도

모른다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적 협의체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 Intergovern

-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이 최근 발표한 제4차 평가보고서에 의하면

21세기 말경에는 전 세계의 평균기온이 현재보다 약 2~4degC 상승할 것이라고 한다 이

와 같은 기온상승으로 그린랜드(Greenland)지역의 빙하가 녹고 해수면이 상승하며

식생대가 이동하는 등의 변화가 예측되고 있다

기후 변화는 단순히 기온상승을 통한 생태계의 변화만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자

연재해 질병역학의 변화 등 주변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심각성은 우리

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지구환경문제를 다루기 위한

국제기구인 유엔환경계획(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에 따르면

2040년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규모가 연간 1조달러를 상회할 것이라고

7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다 이처럼 기후변화에 따른 파급효과가 실로 막대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국의 대응은 아직 미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금융부문의 과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금융회사들

의 대응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기후변화의 특징과 효과

기후변화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따지기에 앞서 최근 기후변화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자 우선 무엇보다도 전반적인 이상고온 현상의 심화를 들 수 있다 유럽에서는

이상고온으로 인해 2003년도에만 5만 명이 사망하였으며 2005년에는 지구에서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래 최고수준의 기온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고온현상으로 인해 가뭄

피해지역은 35년 전과 비교했을 때 2배로 늘어났으며 집중호우일수도 증가하여 대규

모 하천지역의 홍수피해도 급증하고 있다 열대성태풍(cyclone)의 출현횟수도 이전보

다 잦아지고 있으며 대서양 허리케인의 세기도 해마다 강해지고 있다 두 번째로는 극

한적인 자연재해 현상의 발생횟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

다 2003년 유럽에 닥쳤던 무더위는 2060년에 가서는 흔히 나타나게 되고 심지어

2080년이 되면 2003년의 무더위는 lsquo평균보다 서늘한rsquo 기온 정도로 취급당하게 될 것

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자연적인 재해로 인한 파급효과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

을 참고해 볼 필요가 있다 먼저 세계 인구의 14 가량이 현재 해안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개인자산 중 약 7조달러가 해안지역에 집중되어 있다고 한다 또

한 인구 천만 이상의 메가도시(megacity) 상위 16개 중 12개가 해안지역에 분포되어

있어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태풍 및 홍수피해 등으로 이들 지역은 막대한 경

제적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2005년 미국의 카트리나 태풍피해로 인해 뉴올리언

스시 전체가 도시기능을 상실한 예를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해안지역의 위험 증대와 함께 식수난에 따른 피해도 심각하다 기온상승에 따른 식

수 수요증대로 인해 식수난이 가중되고 가뭄때문에 작물생산이 감소하며 에너지수요

증가로 전력부족과 에너지가격의 상승이 나타날 전망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73

주요국의 환경 련 융사업의 확

세계의 주요 국가들은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문제 전반과 관련하여 금융사업을 점

차 확대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우선 미국의 경우 주정부와 민간차원의 환경문

제 인식확산에 힘입어 은행들도 환경관련사업 비중을 늘리고 있다 Citi은행의 경우

지난 5월 8일 총 500억달러 규모의 환경관련 금융사업 계획을 발표하였는데 온실가

스 축소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대체에너지나 친환경기술 개발기업에 대한 투자와 소

매사업 및 자산관리사업 부문에서의 환경중시 경영방침 등이 주된 내용이다 또한

BOA와 JP Morgan Chase의 경우에도 친환경 설비투자 및 배출권 사업에 대한 투자

환경중시 상품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자금지원 친환경 지점 설치 등을 주요 내용으

로 하는 금융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유럽의 은행들 역시 환경대책사업에 대한 저리융자 사회책임투자(SRI) 펀드의 조

성 및 이산화탄소(CO2) 배출권거래 등의 형태로 환경관련 금융을 강화하고 있다 일

본의 경우에도 도쿄미쓰비시UFJ은행이 풍력발전 바이오매스발전 등 신에너지 개발

사업에 대한 대출비중을 늘리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쿄미쓰비시UFJ은행은 지방은

행들과의 상호제휴를 통해 풍력발전시설이나 재활용시설기업의 기술력 및 채산성 등

에 관한 심사기법과 해당기업에 대한 정보 등을 공유함으로써 광범위한 거래처들의

자금수요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이런 점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후변화 련 투자확 필요성

이와 같은 해외의 적극적인 대응전략에 비해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기업들

에 대한 투자가 미미한 실정이다 일례로 한 풍력발전업체의 경우 국내투자자금모집

에 어려움을 겪어 초기 투자비용의 70 정도를 해외에서 빌려왔다고 한다 처음에는

국내 몇몇 금융회사들이 관심을 보이는 듯 했지만 결국 투자하는 데는 실패한 것이다

풍력발전과 같이 친환경적인 기업에 자금지원을 해줄 경우 기업은 전력생산에 따른

수익창출뿐 아니라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에 따른 부수적인 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

7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기업의 입장에서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게 되고 금융회사는 신규 수익원의

확보와 이미지 및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와 관련된 업

종에 대한 대출이나 투자는 여러모로 혜택을 가져다 준다

일례로 한 에어컨용 냉매 제조업체의 경우 제조과정에서 이산화탄소에 비해 1200

배의 온실효과를 가진 기체인 수소불화탄소(HFC)를 해외기술이전을 받아 더 이상 배

출하지 않게 됨에 따라 유엔으로부터 인정받은 배출권을 해외에 판매하여 연간 100억

원 이상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 문제를 단순히 과학적인

현상이나 윤리적인 문제가 아닌 기업들의 수익성 관점에서 접근하더라도 충분히 관심

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런 점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가 올 7월

부터 2000억원 규모의 탄소펀드를 설립하기로 발표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며 온실가

스 배출규모 세계 10위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 입장으로서는 오히려 다소 늦은 감

이 없지 않다

장기 인 에서의 기후변화 문제 인식제고

금융회사들이 기후변화 문제를 어느 정도 기정사실화되어 있는 문제로 본다면 이를

외면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이에 대한 적응능력을 키워나가는 방향으로 접근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기후변화가 속성상 장기적으로 서서히 느껴지는 현상이므로

금융회사들은 기후변화 관련 비즈니스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는 듯하다 이는 단기

적인 경영성과를 달성하는 데 있어 그다지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

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앞서 지적했듯이 선진국의 주요 금융기관들을 비롯한 세계

적인 추세는 금융기관들도 기후변화 문제가 자신의 이익 및 영업목표와 직결되어 있

다는 점을 깨닫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기

후변화로 인해 파생되어 나오는 이슈들이 단순히 단기적 일회적 과학현상이 아닌 장

기적 지속적 사회경제적 문제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인 것으

로 판단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금융회사들도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기후변화가 미칠 파급효

과를 고려하여 이에 필요한 장기 전략의 수립 조직의 정비를 통한 관련사업의 강화

제Ⅱ장 금융 일반 75

및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을 하루빨리 서둘러야 할 것이다 따라서 금융회사 사이의 경

쟁이 심화되고 수익원이 약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기후변화를 비롯한 환경관련 부

문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것은 어쩌면 금융회사들에게 이른바 lsquo블루오션rsquo을 향한 항해

길일지도 모른다 노아가 대홍수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대홍수를 예언한

하늘의 뜻에 귀를 기울일 줄 아는 겸손함과 혜안뿐 아니라 방주를 건립하는 작업을 실

행에 옮기는 결단력을 동시에 가졌기 때문이다

7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2호(200786)

파산제도의 경제적 역할 및 제도개선 방향

李 淳 豪

〈요 약〉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 기 이후 개인 산제도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나

개인소비자의 갱생을 돕기 한 여러 가지 다른 제도의 이용자는 어들고 있다

올바른 산제도는 회생가능한 채무자의 자력갱생을 도와 여러 가지 사회복지

비용을 이고 노동력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지만 산제도의 남용은 도덕

해이 발생과 소명의식의 하와 같은 문제 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독일 랑스

미국은 1980년 부터 과채무와 개인 산문제에 직면하여 개인 산제도를

정비하기 시작하 다 독일은 채무자가 채무변제를 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

다는 사실을 증명한 후 산을 신청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 다 한 랑

스는 과채무 원회를 도입하여 일원화된 체계에서 산문제를 취 하 으며

미국은 산 면책 에 신용상담과 신용채무 리 교육을 받도록 하여 산

남용을 방지하도록 하 다 각국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 은 산 이 에

채무자 스스로 변제 갱생을 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도록 유인체계를 세워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개인 및 가계의 신용위험은 줄어들었지만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수가 2006년말 기준으로 28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

며 최근 신용등급이 낮아 제도권 금융기관보다는 고리의 사금융을 이용할 수밖에 없

는 금융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어 잠재적 파산자의 수는 앞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

측된다 또한 최근 주식시장의 활황으로 저축은행 등으로부터 주식을 매입하기 위한

제Ⅱ장 금융 일반 77

자금을 대출받는 경우가 늘어나는 등 개인 및 가계 신용의 리스크가 커져 개인 소비자

의 파산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우리나라에 개인 소비자의 갱생을 도와주는 개인파산제도는 1962년 도입되었으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첫 신청자가 나왔으며 이후 신청자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

며 2006년 한 해 동안 법원의 개인파산 신청건수는 2005년에 비해 216 급증한 12만

2608건에 이르렀다 이 수치를 근거로 인구 1000명당 파산건수를 계산해 보면 우리

나라의 경우 26명으로 미국(50명)과 프랑스(30명)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지만 독

일(15명) 영국(20명) 네덜란드(09명) 및 벨기에(09명) 등 대부분의 선진국에 비

해서는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자신의 힘으로 감당할 수 없는 과채무 및 다중채무자의 경우 개인회생 및

개인워크아웃 등 자력갱생을 돕기 위한 제도(再建型 제도)의 이용자는 줄어드는 반면

淸算型 제도인 개인파산 및 면책으로 손쉽게 과채무를 해소하려는 사람의 수는 늘어

나고 있다 이는 재건형 제도와 청산형 제도 간에 서로 대체관계에 있어 개인 소비자

가 여러 가지 제도절차 중 하나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파

산의 경제적 역할과 다른 나라의 제도에 관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파산제도에 대

한 시사점과 재건형 제도와 청산형 제도 간의 올바른 관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산제도의 목

파산제도의 중요한 목적은 지불불능에 처한 (과)채무자의 보호와 채권자의 권리 보

호라는 두 가지 상반된 목표를 조화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과채무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금융거래 질서를 유지하며 국민경제적 기반과 사회적 연대의식이 허물어지

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채무자의 신용불량 및 과채무 문제를 방치할 경우 채권추심을 회피하기 위해 도피

함으로써 가정이 파탄날 수가 있고 채무변제금을 마련하기 위해 강도 등 강력 범죄를

저지르거나 최후의 수단인 자살로 이어지는 등 사회문제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파

산제도는 과채무 문제를 안고 있는 채무자에게 소외계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돕고

사회경제활동에 다시 복귀하여 이바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즉 개인 소비

7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자의 과채무 문제를 해소해 줌으로써 소외계층으로 전락했을 경우 발생할지도 모를

사회복지비용을 감소시키고 범죄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채무자에게 노동시장에 참여

할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과채무 문제로 인하여 발생할지도 모르는 경제 전체적인 생

산성의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파산제도가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채무자의 갱생만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파산 및 면책을 쉽게 허용할 경우 채무

자가 도덕적으로 해이해져 파산을 남용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개인 소

비자가 파산을 선택하는 이유는 파산으로 얻는 편익이 파산에 따른 비용보다 큰 경제

적 이유도 있을 수 있으나 주변에 파산자가 늘어나면서 파산에 대한 사회적 汚名의식

(social stigma)이 저하되는 사회적도덕적 이유가 최근 우리나라에서 파산신청이

급증하고 있는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인 것으로 판단된다 채무자의 도덕적 해이와 관

련하여 미국의 경우를 예로 들면 개인파산은 경기 침체기보다 오히려 확장기에 크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경기침체기인 1978sim1982년과 1990sim1992년 사이에 개인파

산은 각각 20와 37 증가한 반면 경기확장기인 1982sim1990년과 1992sim1997년 사

이에 개인파산은 각각 106와 80 증가하였다 이는 소비자 신용증가에 의한 과다소

비형 파산의 비중이 높음을 시사하며 특히 90년대 중반 이후 개인파산건수가 급증한

이유로서 신용카드 이용증가 파산에 대한 사회적 汚名의식의 저하 및 차압금지재산

액을 증가시켜 채무자의 권리보호를 강화한 1994년 도산법 개정 등을 들고 있는 연구

가 많이 있다 이와 같이 파산을 쉽게 허용할 경우 채권자의 권리는 심각하게 침해될

수 있으며 신용 공여수준이 사회적 최적수준보다 낮은 수준에서 결정되고 채권자가

불법추심 등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결과를 낳는 등 금융질서가 문란해지게 될 것이다

채무자뿐만 아니라 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는 논의의 근간이 되는 정신은

자유롭게 맺어진 계약은 반드시 실행되도록 법사회 제도가 강제해야 한다는 원칙

(pacta sunt servanda agreements must be fulfilled)을 파산제도 또한 지켜야 한

다는 것이다

따라서 올바른 파산제도는 채무자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면서 채무자 보호와 채권

자 권리 보호라는 두 가지의 목적을 조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제Ⅱ장 금융 일반 79

해외 각국의 산제도 특징

미국 및 유럽의 여러 나라는 언어 종교 법체계 정치구조 경제 사회 및 역사적인

배경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었지만 1970년대 말과 1980

년대 초반에 소비자 금융에 대한 규제완화로 소비자 신용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1980

년대와 1990년대에 개인 소비자의 과채무와 개인파산의 심화라는 공통의 문제에 처하

게 됨에 따라 개인파산제도를 정비하기 시작하였다

1994년에 제정되고 1999년에 시행한 독일 파산법(Insonvenzordnung 1994)의 가

장 중요한 개선 사항은 개인 소비자가 법원에 파산을 신청하려면 스스로 채무변제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는 것을 증명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요구 조건을 충족

하기 위하여 모든 파산 신청자는 채권자들과 채무조정 및 변제계획에 대한 협상 시 도

움을 받고 추후에 이러한 사실을 증명해 줄 공인된 기관을 우선적으로 찾아가게 되었

다 이런 채무상담은 주로 소비자협회(Verbraucherzentrale Bundesverband)나 등

록된 채무상담센터(Schuldnerberatung) 등에서 담당하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는 1989년에 파산법을 정비하였는데 가장 큰 특징은 개인 소비자 파

산을 담당할 과채무위원회(Commission des surendettments)를 도입하여 일원화된

체계 내에서 소비자 파산을 취급한다는 점이다 과채무위원회는 행정위원회인데 파

산을 원하는 모든 소비자는 과채무위원회에 신청서를 내게 되고 동 위원회는 심사 후

지원대상으로 승인이 되면 우선 채무변제계획 수립 등을 위해 채무자를 돕게 된다 이

과정에서 채권자나 채무자의 권리와 관계된 사항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 법원에

요청하여 법원 명령하에 시행하게 된다 채무변제계획을 수립하여 채무를 변제할 수

없는 소비자의 경우는 법원으로 보내 파산하게 한다

미국의 경우는 1978년 정기적 수입이 있는 급여 생활자의 갱생을 돕기 위한 재건형

(再建型) 제도(Chapter 13)를 도입하였으나 약 70 정도가 보다 쉽고 빠르며 무조건

적인 채무해소를 위하여 파산(Chapter 7)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파산남용을 막기 위한 장치를 도입하기 위하여 2005년에 파산법을 개정하였다 2005

년 개정 파산법에서 마련한 파산남용 방지책으로 중요한 것은 파산신청 이전에 신용

상담(Credit Counseling)을 반드시 거치도록 하였고 면책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신용

및 채무관리에 관한 교육을 받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8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맺음말

개인파산제도는 개인의 존엄성 회복과 사회복지의 증진 및 금융질서의 확립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제도이다 파산제도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는 미국 프랑스 및 독일의 사례에서 얻은 시사점과 같이 개인워크아웃제도나 개인회

생제도 등의 재건형 제도가 청산형 제도인 파산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고 파산은 최

후의 수단으로 이용되도록 해야 한다 즉 개인워크아웃제도나 개인회생제도의 미비점

을 보완함으로써 파산 이전에 개인 소비자 스스로 채무 변제 및 자력갱생을 위해 최선

의 노력을 다하도록 하는 유인체계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81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3호(2007820)

주택연금제도의 정착방안 및 향후과제

李 碩 晧

〈요 약〉

고령층의 노후생활 안정에 있어 실질 으로 한 축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부수

인 효과도 잖게 기 되는 공 보증 주택연 제도가 정착되기 해서는 다음

과 같은 과제들을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고령층 수요자의 실질 요구에

부합하는 상품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상품구성의 다양화 노력을 지속 으로 경주

해야 할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해서는 특히 주택연 과 련된 리스크 평가

리기법의 지속 인 연구 개발이 병행되어야 하고 이를 담당할 문인력

의 양성이 필요하다 한 동 제도에 한 홍보 교육과 아울러 매과정 등

에서 고령층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되지 않도록 하기 한 각종 장치들의 마

련이 필요하다 한편 장기 으로 주택연 시장 확 에 따른 소요자 을 원활

히 공 하기 해 주택연 채권의 유동화방안을 사 에 마련하고 련된 연구

를 지속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택연 과 련된 향후 과제

로서 농 에 거주하는 고령층을 한 효율 인 주택연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지난 2년여 동안의 산고 끝에 마련된 공적보증 주택연금이 출시된 지 이제 한달여

가 지났다 아직 걸음마도 채 떼지 못한 현 시점에서 제도 시행에 대해 전반적인 평가

를 내린다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는 실제 가입대상이 되고 있는 고령층

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대에 걸쳐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주택연금과 관련하여 그 실질

적인 정착 방안 및 향후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려고 한다

8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주택연 제도의 도입배경 황

현재 우리나라는 급격한 출산율 저하 및 의학발달 등에 따른 수명 연장으로 세계에

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2000년에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전체인구의 72에 해당하는 339만명을 넘어섬에 따라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

며 지금부터 불과 11년 후인 2018년에는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

만 이처럼 빠른 고령화 속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퇴직정년의 단축 핵가족

화의 진전 등 사회구조적 변화 공사적 연금시스템의 미흡 등으로 노후소득보장 대

책이 상당히 부족함에 따라 고령자들의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

러한 측면에서 고령자의 보유주택자산을 효과적으로 월 소득화하여 고령가구가 안정

된 주거생활 및 노후생활을 동시에 도모하도록 하는 주택연금제도는 고령자의 노후생

활 보장에 실질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주택연금제도의 공적보증기관이자 제도를 주관하고

있는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시행 한 달여만인 2007년 8월 13일 현재 5천여건의

주택연금 관련 상담이 접수되었고 실제 가입신청서를 낸 것이 180여건에 이르고 있

어 당초 기대했던 것보다 관심과 수요가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최근 한 시중은

행에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에 따르면 퇴직잠재자의 409 및 실제 퇴직자의 355

이상이 주택연금에 가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제도가 구체적으

로 마련되지 않았던 지난해 주택금융공사에서 실시한 조사결과보다 20p 가량 증가

한 수치이다

주택연 제도 시행의 기 효과

주택연금제도의 시행으로 기대되는 효과로는 무엇보다도 고령자의 개인복지 향상

을 들 수 있다 아울러 부수적으로 내수경기 회복 및 부동산시장 안정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정부의 재정부담 경감 등이 기대된다

우선 주택연금이 고령자 개인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살펴보면 고령자가 은

퇴 이후 평균여명까지 생존할 경우 소득보다 의료비를 포함한 노후지출이 크게 늘어

제Ⅱ장 금융 일반 83

나 고령층에게 주택연금 상품의 이용은 노후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초적인 생활비

및 의료비를 충당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

면 시가 3억원의 주택을 담보로 65세에 주택연금에 가입한 고령자는 기대여명 동안

총 1억 8678만원을 수령하게 되는데 이는 동 고령자가 실질적으로 필요한 노후소득

의 42정도에 해당되는 금액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개인자산축적 국민연금

및 개인연금 등을 통한 노후준비를 충분히 하지 못한 고령자의 경우 그들의 노후 리

스크 부담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어 주택연금 이용이 보다 효과적인 소득보전 수단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고령세대의 노후생활 안정에 있어 실질적 역할을 담당하는 이러한 주택연금제도의

도입은 또한 최근 몇 년 사이 저축률을 높이는 대신 소비지출을 크게 줄이고 있는 것

으로 알려진 40~50대 중장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을 줄여 그들의 소비지출을

이끌어냄으로써 내수경기 회복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주택연금

제도의 시행으로 사회 전체적인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의 재정 지원으로

고령층의 복지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저비용 고효율의 예산운용이 가능하며 부수적

으로 부동산시장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고령자가 보유한 자

산을 활용하여 스스로 복지를 확대한다는 점에서 국가의 복지예산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절감된 예산은 다른 생산적인 부문에 투입이 가능하여질 것이다 또한 주

택연금시장의 발달은 주택가치에 관한 정보의 투명성을 높임으로써 부동산시장의 안

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주택연 제도의 정착방안 향후과제

이처럼 고령화시대의 노후생활 안정에 있어 실질적인 한 축을 담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수적인 효과도 적잖게 기대되는 공적보증 주택연금제도가 빠른 시일내에 활

성화되고 정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시판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언급하기엔 다소 이른감이

있지만 상품 구성의 다양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대출금 지급방법을 보다 다양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현행 공

8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적보증 주택연금의 대출금 지급방식은 매달 같은 금액을 평생동안 지급하는 종신지급

방식을 원칙으로 하는 한편 신용한도설정방법(특별한 경우에 한하여 대출한도의 30

인출 가능)과 정기금지급방법을 혼합한 종신혼합방식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고령

층으로 갈수록 의료비 등 예기치 못한 거액의 자금이 일시에 필요한 경우가 적잖게 발

생하고 실제로 1980년대 후반 도입된 미국의 공적보증 주택연금인 HECM(Home Equity

Conversion Mortgage)도 신용한도설정방법이 가장 선호되는 방식임을 감안할 때 신

용한도설정방법에서 신용한도의 확대 및 전면 적용을 고려함으로써 고령층의 자금수

요에 대한 융통성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상품구성과 관련된 여타

부문에서도 향후 소비자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기울이며 고령층 수요자의 실질적 요구

에 부합하는 상품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상품구성의 다양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

해야 할 것이다

한편 주택연금은 상품의 특성상 장수위험(longevity risk) 금리위험(interest rate

risk) 주택가격변동위험(house appreciation risk) 등 다양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데 사실상 이러한 위험들로 인하여 위에서 언급한 상품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데에 여

러 가지 한계가 있으며 특히 공적보증 주택연금의 경우 동 위험들이 실제 손실로 이

어질 경우 그 부담을 궁극적으로 국민이 부담하게 된다는 우려 또한 존재한다 더구

나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이러한 주택연금의 리스크와 관련된 통계자료의 축적이 부

족하고 정형화된 관리기법 및 전문인력이 전무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주택

연금의 상품 구성이 보다 다양화되고 빠른 시일 내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주택연금과 관련된 리스크 평가관리기법의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병행되어야 하

고 이를 담당할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주택연금제도의 활성화 및 정착을 위해서는 또한 동 제도의 이점과 이용방법 등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시급할 것으로 여겨진다 특

히 국내의 경우 주택연금제도가 정착하는 데에 있어 주 걸림돌 중의 하나가 주택상속

에 대한 관행 및 부담이라는 점에서 교육 및 홍보활동을 주택연금의 대상이 되는 고령

자에 국한하기보다는 미래의 수요자이며 부모의 주택연금 구입관련 의사결정에 일정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젊은 세대에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주택에

대한 국민의식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주거의 개념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홍

제Ⅱ장 금융 일반 85

보활동 전개 및 이러한 의식변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사회경제적 제반 여건이 마련

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고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직접적인 홍보 및 교육활동과 아울

러 미국의 HECM 홍보 전략과 같이 노인복지관련 업무(예 노인복지회관 노인대학

등)에 종사하는 전문직 종사자들을 통한 간접적인 홍보 전략도 효과적일 것으로 여겨

진다

주택연금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간과해선 안 될 또 다른 중요한 사안으

로 판매과정 등에서 소비자인 고령층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

에 이와 관련된 분쟁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의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주택연금의 경우 신개념의 상품으로서 상품구조가 간단치 않을 뿐더

러 소비층이 이러한 신금융상품 및 금융지식에 덜 익숙한 고령층이라는 점에서 제도

시행 과정에서 불완전판매 및 동 상품과 관련된 유사 금융사기 등으로 인해 고령층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당할 우려가 있다 우리보다 먼저 주택연금제도를 시행하고 있

는 미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주택연금의 소비층이 상대적으로 금융지식에 덜 익숙한

고령자임을 악용하여 특히 주택연금과 관련된 금융사기 등이 적잖게 발생함에 따라

이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핫라인(부조리신고센터)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주택연금제도의 안정적인 정착

차원에서 불완전판매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일선 담당자에 대한 철저한 교육지도와

함께 전문상담사 제도의 시행 부조리신고센터 운영 등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병행되

어야 할 것이다

한편 주택연금은 대출자의 측면에서 보면 대출이 종료될 때까지 장기간 동안 자금

의 회수 없이 계속적으로 차입자에게 대출을 실행하여야 하는 일종의 유동성 리스크

가 따르는 상품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출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으로서 주택연금채

권의 유동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지나 이러한 주택연금채권의 유동화

를 시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주택연금은

대출상환기일 또는 대출종료일이 사망 이사 등 미확정기일인 관계로 현금흐름 예측

이 어렵고 모기지론과 비교할 때 모기지론은 대출채권이 일시에 발생하나 주택연금

은 매월 일정금액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므로 유동화시키는 시점에 풀(pool) 구성이 쉽

지 않다 특히 시행기간이 상당부분 경과한 후 주택연금 상품의 충분한 공급이 이루어

8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져야만 상품의 풀(pool) 구성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대출종료확률 등 유동화를 위한 기

초자료가 충분히 축적되므로 단기적으로는 유동화에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주택연금 시장 확대에 따른 소요자금을 원활히 공급하기 위한 제도적 장

치로서 주택연금채권의 유동화방안을 사전에 마련하고 관련된 연구를 지속해야 할 필

요가 있을 것이다

주택연금과 관련된 향후 과제로서 농촌에 거주하는 고령층을 위한 효율적인 주택연

금 상품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공적보증 주택연

금제도의 경우 농촌에 소재한 주택도 대상이 되고 있긴 하지만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고령층의 노후 생활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만한 가치의 주택이 많지 않다는

점이 문제이다 사실 농촌부문이 대도시 등에 비해 고령화가 보다 급격히 진행되고 있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계청의 lsquo고령자통계rsquo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은 1970년에는 도시 21 농촌 42이었는데 2000년에는 도시 55 농촌

147 2005년에는 도시 72 농촌 186로 농촌의 고령화가 도시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반면 노후 생활에 대한 대비는 보다 열악하여 정작 주택연금제

도가 필요한 곳이 농촌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농촌

의 특수성을 고려한 농촌형 공적보증 주택연금 상품의 개발이 시급한데 농촌의 경우

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농지를 농가와 결합하거나 또는 농지만을 담보로 상

품구성을 하는 방식이 그 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끝으로 주택연금제도가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어가고 있는 현 상황하에

서 고령자의 노후생활 보장의 효자로 빠른 시일 내에 자리매김하길 기대해 본다

제Ⅱ장 금융 일반 87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5호(200793)

우리나라 MampA시장 전망과 시사점

余 垠 姃

〈요 약〉

최근 MampA거래 규모가 세계 으로 증세를 보이는 등 세계 MampA시장은

2000년 이후 최 활황기를 맞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MampA거래 규모가

증가하고는 있으나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미미한 수 에 이르고 있다 재

외환 기 이후 구조조정 목 의 MampA가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고 국내 경제

가 안정 성장 단계에 어들면서 기업환경 반에 걸친 다각 변화가 진

행 이다 이에 처하여 기업들의 수익원 다각화 규모의 경제 실 을 한

형화 등 경쟁력 제고를 한 략 MampA시장이 활발히 개될 것으로 상

된다 향후 국내 기업들의 MampA 수요 증 에 비하여 투자은행 육성을 통한

MampA 개 기능 강화 PEF 련 규제의 완화 융기 기업의 해외 진출

련 제도 정비 등 정책 과제를 선결하는 것이 요하다고 여겨진다

최근 MampA거래 규모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세를 보이는 등 세계 MampA시장은 2000

년 이후 최대 활황기를 맞고 있다 90년대 중반 연간 1조 달러에 달했던 세계 MampA거

래 규모가 2000년에는 3조달러까지 확대되었으나 IT버블 붕괴 등으로 2001년 이후

위축되었다가 2003년 하반기부터 다시 증가세를 시현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

는 MampA거래 규모가 증가하고는 있으나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다 본고

에서는 국내외 MampA거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 경제와 기업에 대한 시사점 및

우리나라 MampA시장의 미래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8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세계 MampA시장의 동향과 특징

세계경제의 견실한 성장세에 힘입어 기업들의 수익성이 제고되고 저금리 기조 및

외환보유액 증대 등으로 글로벌 유동성이 급증하면서 MampA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2006년 중 전세계 MampA 규모는 전년대비 102 증가한 26조달러로 미국 주식시장

의 시가총액 대비 135 수준이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전세계 MampA거래가 다음과 같

은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국경간(cross-border) MampA거래

가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PEF의 활발한 움직임에 힘입어 적대적 MampA의 비중이 확

대되고 있다 국경간 MampA는 2005년중 전년대비 652 증가한 데 이어 2006년중에

는 전년대비 197 늘어난 1조 435억달러를 기록하였다1) 적대적 MampA 또한 2006년

중 1849억달러에 달해 전년대비 66나 증가하였다 이러한 적대적 MampA의 확대는

PEF의 활동 증가에 주로 기인하는데 2006년중 PEF가 주도한 MampA는 전년대비

1237 증가한 5172억달러로 전체 MampA거래의 198를 차지하였다 둘째 동종업종

간(horizontal) MampA가 성행하고 있으며 특히 금융업종간 MampA가 높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 세계 MampA의 약 68는 동일산업내(intra-industry)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데 이는 비용 절감 및 시너지 효과 이외에 시장점유율 제고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도

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재원 조달 측면에서는 보유현금지급 및 차입

매수(LBO)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경기 호황의 지속으로 기업들의 수

익성이 개선되면서 상당수 기업들의 자기자본대비 부채비율이 낮아져 레버리지를 이

용한 기업인수(LBO)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MampA시장의 황과 특징

반면 우리나라의 MampA거래는 이와 같은 세계 MampA의 추세 및 특징과 비교해 볼 때

여러 가지 상이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먼저 실질적인 MampA 규모면에서 2006년 기준

으로 전년대비 112 증가한 208조원을 기록하여 규모가 확대되고는 있으나 미국

영국 등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2) 2005년 기준으로(단 프랑스

1) 전체 MampA 대비 국경간 MampA 비중은 2005년 369에서 2006년 400로 상승하였다

제Ⅱ장 금융 일반 89

는 2004년) 주식시가총액 대비 MampA 비중을 살펴보면 영국 99 독일 94 프랑스

74 미국 69인 데 비해 우리나라는 29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MampA거래의 특

징을 살펴보면 첫째 국내 기업의 해외 MampA가 매우 부진한 것을 알 수 있다 공정거

래위원회에 신고된 실질적 국내 기업의 해외 기업 인수건은 2004년 2건 2006년 4건

에 불과하다 전체 MampA 중 국제 MampA 비중(금액기준)은 약 40로 세계 평균과 비슷

한 수준이나 이는 대부분 외국 기업의 국내 기업 인수로 국내 기업의 해외 기업 인수

는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둘째 세계 MampA가 동종업종간의 결합이 주를 이루는

데 비해 우리나라의 MampA는 2000년 이후 이종업종간(vertical) MampA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시장지배력 강화 목적의 대형화 추구보다는 사업의 다각화에 초점이 맞춰

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우리나라 MampA의 경우 적대적 MampA의 비중이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적대적 MampA에 대한 법적규제3)가 철폐된 1997년 이후 국내에서 시

도된 적대적 MampA는 25건이며 그 중 겨우 10건만이 인수에 성공했을 뿐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MampA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

나 무엇보다도 외환위기 이전까지 기업지배권시장(market for corporate control)이

발달하지 못한 점과 MampA와 같은 중요한 기업 의사결정에 주주 이외에 경영자 및 근

로자 등의 이해관계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lsquo이해관계자 자본주의rsquo(stakeholder

capitalism)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 등이 상대적으로 MampA 활성화를 제약하였다

또한 과거 수출주도형 제조업 중심의 성장 전략을 추진함에 따라 금융부문은 설비투

자를 위한 자금동원이라는 비교적 단순한 기능에 국한되어 상대적으로 낙후되었다

금융부문의 낙후성은 MampA거래의 재원 조달이나 중개 역할 수행을 어렵게 만들어

MampA 시장의 외연적인 확대를 제약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도 외환위기 이후

MampA가 기업 특히 부실기업 구조조정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점차적으로 증

가하는 추세에 있다

2) 실질적인 기업결합이란 주식 취득합병 및 영업양수는 포함하되 임원 겸임 및 회사 설립의 경우는 제외한 것을 의미하며 참고로 기업결합건수는 543건으로 2005년의 478건에 비해 136 증가하였다

3) 1997년 1월 증권거래법 개정 이전에는 주식대량소유제한제도로 인하여 누구든지 상장법인이 발행한 주식에 대해서 상장 당시 총 발행주식의 100분의 10 이상을 소유한 주주는 그 소유비율 그 이외의 자는 100분의 10을 초과해서 소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적대적 MampA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9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향후 MampA시장 망

외환위기 이후 시작되었던 금융 및 기업 구조조정 차원의 MampA는 부실기업의 재무

구조 개선 경영투명성 제고 건전성 및 수익성 개선 등으로 미루어 보아 마무리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국내 경제가 안정적 성장 단계에 접어들면서 시장포

화도 증가 기업간 경쟁 심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구조 및 수요의 변화 등 기업

환경 전반에 걸친 변화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주변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여 기업들의

수익원 다각화 규모의 경제 실현을 위한 대형화 등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적 MampA

시장이 활발히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글로벌 기업들이 하나 더 높은 단계

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서는 전략적 MampA가 필요하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4)

특히 시장지배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국내 기업간 수평적 결합 및 적대적 MampA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금액기준 국내 상위 10대의 기업결합 사례를 살펴보았

을 때 기업경쟁력 제고 및 시장지배력 강화 목적의 동종업종간 MampA가 일부에서 나타

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전 세계적으로 적대적 MampA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고 국내 PEF의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경영효율성 제고를 위한 적대적 MampA시장

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국내 기업의 외국 기업 인수 사례가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국내

기업의 양호한 수익 현금흐름 원화 절상 등의 요인을 고려할 때 해외 기업 MampA 유

인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5) 따라서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시도로 국경간 MampA

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해외 진출 지역의 경우 선진국시장보다는 신흥 시장국으로

의 진출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신흥 시장국은 선점 효과가 크기 때문에

신규회사 설립보다는 단시간 내에 현지화가 가능한 국경간 MampA를 통한 진출을 적극

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 및 원자재 분야의 MampA가 급격히 증가하는 세계적 추세에 비추어 볼 때 국

내 기업의 해외 MampA 진출 분야가 다양해지고 규모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MampA를

4) 지난해 3250억달러 규모였던 아시아 MampA시장으로의 지속적인 자금유입도 이러한 MampA 활성화에 긍정적인 유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5)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식시가총액 대비 MampA 비율이 비슷한 일본과 비교해도 국내 기업의 외국 기업 인수 비중은 현저히 낮은 실정인데다 현재 기업 수익이 양호하며 내부유보가 증가하고 원화가치가 절상됨에 따라 국내 기업의 해외 MampA 유인은 향상된 상황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91

통해 에너지나 원자재 확보에 나설 수 있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MampA를 비롯한 해외 진출은 국내 기업에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

의 MampA시장 관련 정보 수집 중개 기능 등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해외 진출 시 대

형 MampA거래가 빈번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인프라 정비 및 정책 과제

발굴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MampA 활성화를 한 정책 과제

향후 MampA에 대한 기업의 전략적 유인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공격과 방어

수단 간에 균형이 유지되는 방향으로 MampA 관련 제도를 보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

다고 여겨진다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전후 MampA 활성화를 위해 관련 규제를 완화하였

으나 이후 외국자본에 의한 국내 기업들의 적대적 MampA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방어

수단 강화에 초점을 맞춰 양 수단 간에 균형 유지를 중시해 왔다고 할 수 있다6)

2006년 상법개정안의 경우에는 경영권 방어 수단을 추가로 제공하는 동시에 MampA 대

가의 유연화 방안도 포함하고 있어 공격과 방어 수단 간의 균형 추구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7) 장기적으로는 국내 기업들의 MampA를 통한 성장 전략을 적극 뒷받침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공격과 방어 수단이 활용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필요

가 있다 특히 인수기업이 다양한 공격 및 자금 조달 수단을 통해 MampA를 시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대규모 적대적 MampA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

하다 이와 더불어 기업 합병 및 회사 분할 절차의 간소화 등을 통해 MampA가 촉진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음으로 기업간 MampA의 중개주선 또는 대리업무를 수행하는 투자은행의 육성

이 필요하다 투자은행 육성을 위해 금융 전문인력 확보 투자은행 서비스의 전문성

6) 주식대량소유제한제도 폐지(1997년) 의무공개매수제도 폐지(1998년) 등으로 MampA에 대한 공격 수단을 강화

하는 한편 5 보고제도 강화(2005년) 공개매수기간 중 주식발행 허용(2005년)으로 MampA에 대한 방어 수단도 강화하였다

7) 강제상환 및 강제전환 주식 주식매수권부 주식 종류주식의 다양화 등을 도입함으로써 기업들에 추가적인

경영권 방어 수단을 제공하는 한편 MampA대가로 합병회사의 주식을 전혀 교부하지 않고 금전 기타 재산 또는 모회사의 주식을 제공하는 합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삼각합병 등을 가능케 하여 MampA의 활성화를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9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제고 기업 신용평가 체제의 개선 등의 과제가 선결되어야 하겠다 향후 자본시장통합

법의 발효로 투자은행 기능이 대폭 강화된 대형 투자금융회사가 출현할 수 있는 계기

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PEF가 활성화되면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의 자금은 물론 시중의 풍부한 유동

성이 MampA시장으로 채널링되는 효과를 통해 국내에서도 대형 MampA가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책당국은 PEF의 활성화를 위한 제반 여건의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현재 금지되어 있는 재간접투자펀드(fund of funds) 관련 제도

를 도입하여 상대적으로 안전 선호 경향이 강한 대형 자금의 유입을 유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투자목적회사(SPC)에 대한 투자자를 PEF만으로 제약하는 규정을 완

화하여 기관투자자 및 전략적 투자자의 SPC 투자를 허용함으로써 자금 조달 및 운용

구조를 다양화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해외 PEF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

는 국내 PEF의 자산운용 관련 규정을 점진적으로 완화할 필요도 있다

마지막으로 금융기관 및 기업의 해외 진출 관련 제도의 정비가 필요한데 지난 4월

에 발표된 정부의 금융회사 해외 진출 지원 방안에 포함된 규제 완화가 이루어지면 해

외 진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회에서 심의 중인 법안은 금융지주회사

법 개정안이며 PEF와 관련해서는 간투법 및 보험업법을 해외 점포와 관련해서는 외

국환거래규정을 개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추가적인 규제 완화 사항도 관계부처간

협의를 통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국내 금융기관의 해외 MampA 원활화를 위해 관련 법

령(금산법 외국환거래법 등)의 개정이 그 한 예가 될 것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9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8호(2007101)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부실가능성과 대응방향

申 龍 相

〈요 약〉

주택경기 침체로 인한 미분양 물량 증가와 소 지방건설사의 잇따른 부도

로 PF 부실발 융 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정 융권에서의 PF 부실

우려는 그 규모가 작고 타 융권으로의 확산고리도 미약하여 융권 체의

부실로 이될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상승국면에 있는 국내경기가

축은행의 PF 부실로 인해 속히 둔화될 가능성은 아주 낮다

다만 기 가능성이 지속 으로 제기되는 에 유념하여 PF 련 2차 생

상품 규모를 정확히 악하여 불확실성으로 인한 일말의 시장불안을 조속히

해소할 필요가 있다 한 건설사의 도덕 해이나 다른 형태의 거품을 유발

하지 않으면서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를 반 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한 규제방

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한편 건설사들도 악화된 건설사업 여건 주택경기

축에 비하여 당분간 분양시기 조 사업 포트폴리오 다양화 무리한 사

업확장 자제 등 보수 의 경 략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부실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는 가운데 PF 비중

이 상대적으로 높은 저축은행의 부실과 이로 인한 금융불안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

기되고 있다 특히 미분양주택의 급증과 중소 건설사의 부도가 잇따르면서 한국판 서

브프라임 부실 사태로 발전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런 우려의 실상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업권별 대응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9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부동산 PF 증

PF란 유전개발이나 공장건설과 같은 대형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에 대해 금융회사

가 신용이나 담보보다는 프로젝트의 미래 수익성을 기초로 대출을 해주는 금융기법이

다 부동산 개발사업의 경우에는 금융회사가 사업완료 이후 발생할 미래 현금흐름(주

로 분양대금)을 담보로 토지 매입자금이나 건설자금을 시행사에 대출해 주는 방식으

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부동산 PF는 2004년 이후 주택가격의 본격적인 상승과 금융회사의 대출경

쟁으로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금융회사는 PF의 높은 위험성을 이유로 건설 시행사에

고금리를 부가할 수 있었다 특히 저축은행과 지방은행들은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지방 중소형 시행사들에 대해 프로젝트 리스크 등의 명목으로 별도의 수수

료를 요구하며 기업대출금리보다 높은 연 10대의 금리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

다 한편 시행사 입장에서는 주택가격 상승기에 높은 자금조달비용을 분양가에 전가

할 수 있어 큰 이익을 확보할 수 있었다

경기 침체와 지방 소건설사의 부실

그러나 2006년말 이후 부동산시장이 침체에 빠지면서 현금동원능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 지방 건설사들이 PF 상환에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금년 들어 시공능력

전국 200위 내 4개사가 최종 부도처리되었으며 상당수 중소 건설사들이 경영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급증하고 있는데다 완공

아파트의 입주지연으로 기 분양 잔금이 회수되지 않고 있는 것이 유동성 위기의 직접

적인 원인이다 이와 같은 지방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자금경색으로 중소 건설사들은

영업이익 흑자에도 불구하고 부도가 나는 이른바 lsquo흑자부도 위기rsquo로 내몰리고 있다

더욱이 주택사업에 집중한 중소 지방건설사들은 주택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한 이

러한 위기를 벗어날 특별한 대안이 없다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여기에 과거에

무리하게 확장한 사업들로 인해 PF 우발채무가 급증하고 있어 향후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이는 미분양 물량 증가와 대금회수 지연으로 부도난

시행사의 부채를 대신 갚아야 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제Ⅱ장 금융 일반 95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시장 축과 PF 출 리 상승

한편 PF 대출금리가 상승하고 있는 것도 큰 문제이다 PF 대출금리 상승은 최근

PF 부실화 가능성과 함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시장의 위축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최근 금융감독당국이 종금계정을 통해 매입한 은행의 모든 기업어음(CP)을 유

가증권이 아닌 대출로 유권해석을 내릴 것으로 알려지면서 ABCP의 금리상승과 신규

발행 위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동안 유가증권 투자로 분류되

어 오던 종금계정 ABCP가 대출로 회계처리되면 은행들은 035~038의 신보 및 기

보의 출연료와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설정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를 회피하기 위해

ABCP 신규매입은 차치하고 기존에 매입한 ABCP마저 매각 처분해야 하기 때문이다

PF ABCP는 전통적인 PF와는 달리 주로 3개월 만기의 단기 유동화증권이다 만기

가 단기인데다 CD금리에 연동되어 그동안 5~6대의 저금리 발행이 가능함에 따라

주로 공기가 2~3년인 장기 건설사업의 현금흐름을 8~10번 정도의 차환발행을 통해

조달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와 같이 저리의 자금조달이 가능함에 따라 지난 3~4년

간 건설업계의 자금조달수단으로서 큰 인기를 끌었는데 실제로 주택가격이 급등한

2006년에 발행이 급증하였다 그러나 향후 금융감독당국의 유권해석으로 ABCP를 통

한 자금조달이 위축될 경우 건설업계의 자금조달경로가 전통적인 2~3년 만기의 PF

로 다시 이동하면서 10대 전후수준으로 대출금리의 상승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축은행의 PF 연체율 고정이하여신비율

건설경기 침체와 대출금리 상승으로 시행사 및 시공사의 유동성 위기가 현재화되면

서 총대출에서 상대적으로 PF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부터 PF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

고 있다 업권별 PF 규모는 은행이 저축은행보다 크지만 은행의 경우 대형 시공사를

지급보증인으로 세우고 있는데다 전문평가기관을 통해 사업성 검토가 이루어져 상대

적으로 부실위험이 낮은 반면 사업조건이 잘 갖추어지지 않아 은행대출이 막혀있는

상태에서 엄밀한 대출심사없이 브리지론 형태로 이루어진 저축은행 PF는 그만큼 연

체나 부도위험이 높다

9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PF 부실의 이 가능성

PF를 기초자산으로 발행한 유동화증권을 포함하여 PF와 관련한 대출채권 규모는

우리나라 금융권 총자산이나 국내 GDP 규모에 비해 크지 않은 상황이다 PF가 부실

화되면 유동화증권 및 유동화증권에 투자한 타금융권 금융회사들도 손실을 입을 수

있다 미국의 경우 그 규모가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이 부

실화되면서 이를 기초자산으로 발행한 주택저당채권(MBS)과 이를 대상으로 다시 2

차 3차에 걸쳐 재유동화한 부채담보부채권(CDO)에 투자한 타금융권 금융회사들이

부실화된 것과 같은 이유이다 그러나 전반적인 경기둔화와 맞물린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와는 달리 상승국면에 있는 국내경기가 PF 부실로 급속히 위축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저축은행 등의 PF 부실이 타금융권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낮은 것으로 판단된

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미국의 경우와 달리 대부분 1차 유동화에 그치고

있고 최근 급증한 ABCP의 경우에도 은행이 80 가까이 매입약정(지급보증)을 하고

있어 저축은행의 PF가 부실화되더라도 투자자들의 원금회수에는 문제가 없어 타금융

권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과 달리 재유동화시장이 발달하지 못한 데에는 파생상품시장

자체가 상대적으로 미비한 측면도 있지만 PF를 제공하는 국내 금융회사들의 재유동

화 유인 자체가 크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실제로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대

출을 제공하는 모기지 전문회사는 예금을 취급하지 않는 여신전문회사여서 모기지대

출을 위한 자금조달을 자산유동화를 통해 자본시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지만

우리나라 저축은행의 경우에는 예금을 통해 대출자금의 90 정도를 조달하고 있어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유인이 크지 않은 상황이다

PF 유동화시장을 둘러싼 불확실성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PF발 금융불안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데는

유동화물량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법에 따라 발행된 유동

제Ⅱ장 금융 일반 97

화증권 물량은 장부에 직접 계상되지 않는 부외거래(off-balance sheet engagement)

로 취급됨에 따라 규모가 얼마인지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운데

다 감독당국의 감시도 쉽지 않은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결국 유동화의 규모가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유동화구조가 안고 있는 잠재적 불확실성이 이러한 이유로

필요 이상으로 확대 재생산되면서 PF발 금융위기설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응 방향

따라서 정책당국은 일말의 불안감으로 작용하고 있는 PF 관련 2차 파생상품시장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여 불확실성으로 인한 시장불안을 조속히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

미국의 경우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규모가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전체 금융

권 나아가 세계 금융시장 불안으로 연결되었던 것은 2차 파생상품시장을 통해 재유

동화된 CDO 부실규모가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던 데에 일부 기인하였음을 기억할 필

요가 있을 것이다 더불어 정책당국은 지방 건설경기가 일시에 붕괴되지 않도록 수도

권과 지방간 차별적 규제완화방안을 마련하되 건설사의 도덕적 해이나 또 다른 형태

의 거품유발로 발전되지 않도록 규제완화방안을 보다 정교하게 정비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 건설사들의 부도는 부실규모가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자금경

색으로 인한 것임을 고려한다면 금융회사들이 너무 경직적인 잣대를 적용한 측면도

있다 따라서 최근 건설사 부도가 대부분 흑자부도였음을 고려하여 긴급자금지원 등

의 융통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으며 최종 부도처리 시점에서는 좀 더 신중한 판단을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건설사들도 분양가 상한제 분양원가 공개 등 강화된 정부의 부동산규제 SOC

예산 축소 대출금리 상승 등 악화된 건설사업 여건과 주택경기 위축에 대비하여 당분

간 분양시기 조절 사업 포트폴리오 다양화 무리한 사업확장 자제 등 보수적 관점에

서 내실경영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9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3호(2007115)

금융지주회사제도의 개선과 전망

李 建 範

〈요 약〉

융지주회사제도는 도입 이후 우리나라 융의 변화를 추동하는 핵심 인

제도로 자리잡고 있다 번 법개정은 융지주회사제도의 법 안정성을 확보

하고 해외진출을 지원하며 지배구조의 효율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 된다 향후

융지주회사의 발 을 해서는 융지주회사들이 최근의 규모확장에 부응

하는 내실경 을 다지며 지배구조의 확립에 최선을 다하고 모방 경 보다

는 자신의 역량에 부응하는 비 을 설정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책 인 측면에서는 소유정책 등 융정책의 안정 인 운 과 융지주회사

이외의 융그룹에 한 감독강화가 필요하다

지난 8월에 개정된 금융지주회사법이 11월 4일에 시행을 맞이하게 되었고 금융지주

회사법 시행령 개정안이 입법예고되었다 이와 같이 금융지주회사 관련 법제가 개선

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금융회사들은 금융지주회사제도를 통하여 경영상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금융지주회사 제도변화의 내용 금융지주회사의 현

황 향후 금융지주회사의 지향점 등을 살펴본다

융지주회사법의 개정 필요성

2000년 12월 금융지주회사법 제정 이후 2001년 우리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2003

년 한국투자금융지주 2005년 하나금융지주 등 4개의 금융지주회사가 설립되어 운영

제Ⅱ장 금융 일반 99

중에 있다 또한 금융지주회사제도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로 금융지주회사로의

전환에 관심을 갖는 회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금융지주회사제도가 국내 금융

회사의 겸업화대형화의 주요 수단으로 정착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금융지주회사제도는 투명하고 효율적인 지배구조의 운용 자회사에 대한 통합관리

다양한 업종 종사에 따른 리스크 분산 및 다각화 효과 교차판매 및 비용절감 등 그룹

전체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금융지주회사 형태를 이용한 금융그룹

의 형성은 기존의 자회사 방식에 의한 금융겸업화에 비하여 유연한 합병전략의 추진

상이한 금융업종간 통합의 마찰적 비용절감 등 조직 구조상의 유리한 점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금융사의 획기적인 변화를 추동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도입되었어도 기존의 권역별 전업주의의 유지라는 우

리나라 금융법체제와 일부 상충되는 점이 발견되는 등 법적 미비점 및 규제 해석상의

모호성으로 인하여 일부 혼란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금융국제화 추세에 따른 금

융지주회사제도의 보완 필요성도 꾸준히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제도 도입 취지에 부

합하게 금융지주회사법 및 제반 규정들을 개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된 것도 사실

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지난 8월 국회에서 금융지주회사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11월 4일부터 개정법이 시행되게 되었다

융지주회사제도의 주요 변화

개정법과 시행령 개정안의 주요한 변화를 살펴보면 지주회사의 설립 및 인가와 관

련하여 법적 미비점이 보완되고 불필요한 규제가 개선되었다 우선 삼성에버랜드의

금융지주회사법 위반과 관련하여 문제가 되었던 미인가 금융지주회사의 위법상태 해

소절차 및 시정조치권이 신설되었다 또한 지주회사 인가대상 회사를 자산총액규모

1천억원 이상으로 규정하여 소규모 지주회사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였다 그리고 경영

능력 규모 건전성 등의 요건을 갖춘 외국 금융회사의 국내 금융지주회사 설립도 허

용하였다

다음으로 금융지주회사 해외진출 관련 규제가 대폭 완화되었다 금융지주회사의 자

회사로 외국 금융회사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고 외국자회사 주식소유 의무기준이

10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완화되었으며 외국 손자회사의 업종제한을 폐지하여 외국 손자회사의 영위업종이 자

회사와 동일업종이 아니어도 편입할 수 있게 되었다

세 번째로 완전자회사의 경우 일정 요건에 해당하면 사외이사 설치의무를 면제하여

지배구조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임원 사외이사 감사위

원회 위원의 자격요건을 강화하였다

융지주회사법 개정의 기 효과

이번 금융지주회사법의 개정은 금융지주회사제도와 관련된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

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금융지주회사법은 금융지주회사의 정의

로 lsquo지배rsquo기준과 lsquo주된 사업rsquo기준을 공히 사용하며 인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개정전

법률에서는 의도하지 않고 금융지주회사가 되었으나 인가를 받지 않은 법인에 대한

해소조항이 명확하지 않은 법적 미비점이 있었다 그러나 법개정에 따라서 이러한 문

제는 해소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번 금융지주회사법의 개정은 해외진출을 추진하는 금융지주회사들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경쟁격화와 수익성

악화 위험 주변 신흥공업국의 높은 경제성장 동북아금융허브로의 도약을 위한 호의

적인 금융정책환경 등으로 해외진출을 추진하는 금융회사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대형 금융회사들의 대다수가 금융지주회사 형태를 취하고 있고 대형은행도

지주사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외 사업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데 있

어서 장애요인이 제거된 것은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금융회사들은 국내외에서 자신

의 경영역량에 맞춰 사업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금융지주회사 임원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의 자격요건이 은행법 등에서

의 규정과 일치하도록 개정되었는데 이는 자회사인 은행 보험사의 임원 자격요건에

미달하여도 금융지주회사의 임원이 될 수 있었던 법적 미비점을 개선한 것으로 내부

통제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완전자회사의 사외이사 설치의무 면

제 조항이 신설된 것은 그동안 지주회사의 자회사 관리라는 규정과 개별법에서 사외

이사의 감시의무 상에 존재하였던 지배구조상의 모호성을 제거하여 그룹전체 경영의

일관성 유지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제Ⅱ장 금융 일반 101

융지주회사제도 보완의 미비

반면 이번 금융지주회사법 개정에서 그동안 금융지주회사 산하 금융회사간 시너지

창출을 도울 수 있는 제도개선 사항이 포함되지 않은 것은 아쉬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금융지주회사제도가 지향할 점은 금융지주회사가 대형화 및 겸업화를 통한 긍정적

인 측면을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금융지주회사는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는

동시에 겸업화에서의 비용시너지와 수익시너지를 실질적으로 제고할 수 있어야 한다

비용시너지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자회사간 공동시설을 이용한 업무위탁을 고려한다

든지 공동으로 설립한 IT자회사와 금융자회사간 거래에 대한 세제상의 불이익을 해

소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주회사 그룹 내 회사간 공동의 마케팅이나

거래에 대해서 공정거래법상의 부당행위 적용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나 증권업무 수

행에서 지주회사 내의 은행 투자업무 부서와 증권사가 공통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지장이 되지 않도록 수수료 배분 규정을 완화하는 것도 겸업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너지 효과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업주의 법률체제가 유지되고 있고 경제적으로 실

질적인 단일체라고 할 수 있는 금융지주회사 그룹회사에 대해서도 엄격한 전업주의

규제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공정거래법상의 불공정 행위에 대한 엄격

한 법 적용도 수익시너지를 제고하는 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비용시너지 및

수익시너지를 제고함으로써 금융경쟁력을 강화하고 소비자 편익을 증대시키는 금융그룹

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규정상의 모순점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려운 것은 금융지주회사법뿐만 아

니라 개별 금융법 공정거래와 관련된 규정 각종 조세와 관련된 규정 등 여러 부처나

부서가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향후에는 금융지주회사 운영과 관련하여 시너지효과

를 제고할 수 있는 개정이 이루어져서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명실상부하게 금융의 겸업

화와 대형화의 긍정적인 측면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융지주회사의 황

우리나라에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도입된 것은 금융의 겸업화와 대형화를 적극적으

10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로 추진하기 위한 것도 있었으나 금융구조조정을 원활히 수행하는 것도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제도 도입 이후 금융지주회사는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새

로운 이정표를 세울 만큼 놀라운 변신을 시도하고 있으며 겸업화와 대형화의 놀라운

실적을 보이고 있다

우선 금융지주회사는 인수 합병을 통하여 동종은행 및 여타 금융회사를 지주회사

산하의 금융회사로 편입하여 규모를 크게 확대하였다 또한 설립초기 은행위주의 금

융지주회사는 주력은행인 은행의 자산 비중이 95 이상을 상회하였으나 최근 증권

자산운용 여신금융전문회사 등으로 사업포트폴리오를 확장하여 은행업의 비중이 80

로 크게 낮아진 금융지주회사도 출현하였다 이러한 금융지주회사의 도약으로 인하여

현재 미전환된 은행업계의 선두권 은행들이 금융지주회사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으

며 외국계 은행의 국내자회사인 은행도 이번 법개정을 계기로 금융지주회사로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같이 국내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도입된지 8년도 안되어 국내 금융산업의 변화

를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금융정보 공유 지배구조상의 특례 사업조정의 용이점 등

제도상의 유인이 작용한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금융지주회사들이 이전의 보수적인

경영행태를 벗어나 새로운 시도를 통해 변화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

는 금융지주회사들이 이러한 변화의 모멘텀을 유지하면서 금융혁신을 추진하는 주체

로 작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융지주회사 운 정책의 방향

첫째 금융지주회사 경영진은 외적성장과 함께 내부 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은행위주의 지주회사의 경우 최근 은행자산의 증가세와 더불어

활발한 인수 합병을 통하여 규모를 확대하였다 물론 아직도 우리나라의 대형 금융회

사의 규모가 국제적 금융회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수준이지만 최근의 빠른 성

장세는 향후 오히려 경영상의 문제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특히 이질적 기업문화를

가진 회사간의 통합 다양한 고객층의 새로운 편입 등은 기존의 단일업종 금융회사 경

영에 익숙한 경영진에게는 새로운 도전이다 또한 향후 금융지주회사가 증가하고 경

제Ⅱ장 금융 일반 103

쟁이 격화될 경우 현재 지주회사제도를 조기 도입한 선점효과가 사라질 가능성이 높

다 따라서 금융회사 경영진은 내부경영의 효율성을 다지고 시너지 효과를 제고할 필

요가 있다

둘째 현재 금융지주회사를 경영하고 있는 회사나 향후 금융지주회사제도를 도입하

고자 하는 회사는 효율적인 지배구조를 확립하는 데 최선을 다할 필요가 있다 지주회

사제도는 본래 소유구조 및 지배구조를 오히려 더 복잡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어서 일

부 나라에서 장기간 금지되기도 하였다 차단벽이 있어서 겸업화를 안전한 방식으로

도입할 수 있는 등 유리한 점이 있어서 금융지주회사제도가 도입되었지만 지배구조의

복잡성이 경영상의 혼란을 초래한다면 제도도입의 취지가 퇴색할 것이다 효율적인

지배구조를 위해서는 이사회제도의 확립 경영진의 책임경영 공정한 경영권 승계계

획의 수립 경영진의 의사소통 원활화 등이 필수적이다 특히 모회사와 자회사 경영진

의 업무분담 자회사 경영진들의 그룹차원의 성과평가는 경영전략의 수립과 실천 자

회사간 시너지창출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금융지주회사는 각자 금융그룹의 역량을 고려하여 비전을 설정하고 비전달성

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할 필요가 있다 금융그룹화의 추세 속에서 겸업화하고

대형화하는 것이 종합금융그룹화 또는 금융슈퍼마켓 형성 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

다 고객 상품 지역 등 다각화를 추진하는 지평(level)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회사별

로 강점이 있는 분야를 공략하면서 성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동산관련 대출 신용카

드 대란 중소기업대출 등 금융분야의 쏠림현상(herd behavior)은 자신의 강점을 발

휘하기보다는 모방경영을 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적인 금

융회사 중에는 종합금융그룹으로 활동하는 회사도 있지만 단일 사업으로 전세계에서

활동하는 회사도 존재한다 금융지주회사가 추구하는 비전이 무엇인지를 판단하고 사

업포트폴리오의 구성이나 지역적 다변화가 이러한 비전을 추구하는 데 적합한지를 판

단하면서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넷째 향후 금융지주회사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금융회사 소유정책 등

금융정책의 안정적 운용이 필요하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겸업화의 효과를 살리기

위해서 필요한 조치들은 조속히 시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한미 FTA 자본시장

통합법 등 급변하는 규제환경 속에서 우리나라 금융지주회사들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

10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협하는 추가적인 제도변경은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기금 등이 비금융주력자

즉 산업자본의 개념에 포함되는 불합리는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은행소유규

제와 직접적으로 연계된 은행을 포함한 금융지주회사 소유제한의 경우 대외개방이

확대되고 해외투자자 보호장치가 강화된 상태에서 소유제한이 크게 완화된다면 국내

의 산업자본보다는 오히려 해외의 금융회사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 등의

타겟이 될 확률이 높으며 안정적인 경영을 방해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안정적이고 예측가능한 금융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금융지주회사 이외의 금융그룹에 대한 통합감독을 실시하는 등 금융그룹

에 대한 감독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금융그룹화의 진전은 세계적인 추세인 금융의 겸

업화 대형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의 이면에는 대형기관이 갖

는 대마불사(too big to fail)의 사회적 위험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금융그룹화는 크게

세 가지로 진행되었다 이는 금융지주회사 대규모기업집단의 금융회사들 대형 금융

회사들의 자회사 방식 계열화 등인데 금융지주회사를 제외하고는 연결감독이나 통합

리스크관리 감독이 실시되고 있지 않다 향후 금융부문의 경쟁은 금융통합화의 영향

으로 은행업 보험업 증권업 등 업권간 경쟁과 함께 종합금융그룹화된 금융그룹간 경

쟁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건전한 경쟁의 추구와 함께 금융시스템의 안정을 위해

서도 금융지주회사 이외의 금융그룹에 대한 통합감독을 조속히 시행해야 할 것이다

제Ⅲ장 은 행

제Ⅲ장 은 행 107

딜로이트컨설팅 코리아 전무(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7호(2007212)

은행의 부가가치 제고

金 愚 珍

〈요 약〉

은행의 수익성 분석에 있어서 ROA 당기순이익 등의 재무지표는 자의 이

고 일회성 요인을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 이 있는 반면 경제 부가가치

(EVA)는 주주가치를 비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은행의 EVA는 세후순 업이익이 자기자본 조달비용을 상회하기 시작한 2001년

부터 개선되어 왔으나 2004년 고 이후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외환 기 이 부터 국내 은행산업의 부실이 잠재해 있었고 최근 들어 이익규

모는 증가하고 있지만 충 이익은 정체하는 등의 상을 잘 설명하고 있다

한편 EVA를 활용하여 국내 은행산업의 수익성 결정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

국내은행이 부가가치를 제고하고 지속성장을 견인하기 해서는 안정 업

기반 구축 부외자산에 의한 성장 확 균형 지배구조의 연속성 확보 등의 과제

를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은행의 수익성을 분석할 때는 ROA ROE 등 재무지표(financial ratio)

를 주로 이용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내은행의 비경상적 이익이 크게 증가하면서 일

회성 요인의 당기순이익 기여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국내 은행

산업이 사상 최대실적을 거듭 갱신하면서 GDP 대비 이익규모가 네덜란드 스페인

미국 등 금융선진국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를 두고 우리나라 은행의 경쟁력 수

준이 이들 국가보다 높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는 재무지표의 경우 자의적이

고 일회성요인이 강하게 반영될 수 있어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10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런 관점에서 은행산업의 경우에도 과거 제조업에서 많이 이용하던 EVA(Economic

Value Added 경제적 부가가치)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1980년대 후반 미국의

경영컨설팅회사인 Stern Stewart가 개발한 EVA는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순가치의

증가분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세후순영업이익에서 투입된 자본에 대한 자본비용을 차

감한 것을 말한다 EVA는 자본비용 이상의 이익을 실현하는 것을 기업재무의 목표로

설정함으로써 주주가치의 극대화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고는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EVA를 측정해 보고 이를 다양한 수익성 지표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은행의 부가가치 제고에 요구되는 실천방안을 제시한다

국내은행의 EVA 추이 시사

국내은행의 EVA는 세후순영업이익이 자기자본 조달비용을 상회하기 시작한 2001

년부터 개선되어 왔으나 2004년 고점 이후 다시 하락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EVA

와 당기순이익간 관계를 살펴보면 흥미 있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1993년부터 외환위기 발생 전인 1996년까지 국내 일반은행은 흑자를 시현하고 있

었다 순이익 개념으로 볼 때 우리나라 은행은 체계적 위험이 없는 것처럼 보였으나

동 기간 중 EVA는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를 나타내었다 이른바 세후순영업이익이 자

기자본 조달비용에 못 미침에 따라 비즈니스 자체의 영속성(going concern)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었다

반면 1997년부터 대우사태가 마무리되던 2000년까지 국내 일반은행들은 대규모 적자

를 기록하였고 이로 인해 은행의 존망이 불투명하게 보였다 그러나 EVA 측면에서

볼 때 국내 은행들의 경영성과는 위기 이전보다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된 상황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일시적인 충당금적립 부담으로 은행이 위태롭게 보였지만 영업이

익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턴어라운드에 대한 기대가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기간을 살펴보면 2004년 이후 당기순이익은 증가율이

둔화되는 반면 EVA는 이미 감소추세로 전환하였다 이는 외형상 국내은행의 당기순

이익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과 관련된 실질적인 수익은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Ⅲ장 은 행 109

은행별로 보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의 연도별 EVA 추이는 동일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별로 보면 2000년 이전에는 지방은행이 시중은행보다 EVA 변

동성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지방은행의 영업성과가 시중은행에 비해 견고하지 못

하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2000년 이후에는 지방은행의 EVA 변동성이 시중은행에 비

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다음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첫째 시

중은행들은 동 기간 중 공격적인 영업으로 자산규모를 크게 확대했던 데 비해 지방은

행의 영업력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말해준다 둘째 지방은행은 EVA 변동성이 낮

게 유지됨에 따라 안정적 성장을 유지하고 있었던 반면 시중은행의 경우 EVA 변동성

이 확대되고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요망된다 최근 들어 시중은행간 경쟁이 격화되면

서 예대마진 축소압력이 높아지고 있는데 EVA 변동성 확대는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

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현재 추이대로 진행된다면 국내은행의 EVA 수준이

감소추세로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은행들

은 성장전략의 대안 마련이 요구된다 하겠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

TSR(Total Shareholder Return 총주주수익률)은 투자에 대한 수익인 주가수익률

과 배당수익률의 합으로 정의되며 가장 핵심적인 주주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주요 경영지표와 TSR 사이의 관계를 확인해 봄으로써 EVA가 주주가치 극대화 정도

를 얼마나 반영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국내은행(1993~2005년)을 대상으로 분석

해 본 결과 기존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EVA가 당기순이익 ROA ROE보다 주주가

치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VA 결정요인 분석 결과 EVA는 자기자본총자산과 음(-)의 관계를 총수신

총자산 및 총자산의 로그값과는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EVA가 영업이익

을 중시하기 때문에 수신증가율이나 자산증가율과는 양의 값을 가지게 되고 또한 자

본비용을 고려하기 때문에 자기자본비율과는 음의 관계를 가지는 데 기인한다 한편

판매관리비용률 및 무수익여신비율과는 음(-)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은행들이 부가가치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안정된 영업이익 흐름을 유지하고

11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비용측면의 효율성을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비이자이익총이익 변

수는 양(+)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가치제고를 위해서 비이자이익의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국내 상위 5대 은행의 비이자이익 비중과 누적(cumulative) EVA

를 보면 일반적으로 비이자이익 비중이 높은 은행이 경제적 부가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부가가치 제고 방안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는 국내은행이 부가가치를 제고하고 지속성장을 견인하기 위

해 어떠한 전략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인지를 시사해 준다 본고는 안정적 영업기반 구

축 부외자산에 의한 성장 확대균형 지배구조의 연속성 확보 등의 경영과제를 제시

한다

국내 은행산업의 충당금전입액 변동성은 일부 금융후진국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수

준에 있다 미국계 자산 상위 5대 은행보다 20배 유럽계 자산 상위 5대 은행보다

200배나 높은 변동성을 노정하고 있으며 심지어 금융구조조정이 완료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는 일본보다 거의 2배에 가까운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다 영업이익의 안정성

이 확보된 상황이 아니면 충당금적립전이익 규모만으로 은행의 성장성을 평가하는 데

무리가 있다 선진은행들은 경기 사이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이익의 변동성을 최소

화시키면서 수익기반을 안정적으로 확대시켜 나간다 앞서 보았듯이 은행의 성장은

부가가치를 제고시키지만 그 성장이 안정적이지 못하면 사상누각에 불과하다

과거에는 특정 회계연도에 이익이 급증하더라도 20를 훨씬 상회하는 여신증가율

을 동반함에 따라 1~2년 후 은행의 수익성이 크게 훼손되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따라

서 국내은행들이 안정적 성장기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금과 같은 양적 성장보다는

판매 중심의 영업문화를 정착시켜 수수료수익을 제고시킴으로써 수익구조의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물론 수익구조의 안정화는 추진하되 비이자수익 확대라는 경영

전략의 변화과정에서 이익성장의 모멘텀이 약화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겠다

수익구조가 안정되면 가격변수의 변동성으로 인해 수익성이 급변하는 가능성을 최소

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Ⅲ장 은 행 111

비용을 통제함으로써 이익을 창출하는 성장구조는 한계가 있으며 지속성장을 위해

서는 인력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해외은행들은 많은 인력을 고용

함으로써 판매관리비용률은 높지만 대차대조표상 자산규모의 3~4배에 달하는 부외자

산의 운용을 통해 절대적인 수익규모를 크게 창출한다 즉 해외은행들은 인적역량의

제고와 판매 중심의 영업문화 형성을 통하여 자본시장상품을 판매하는 세일즈조직을

강력하게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비용-고수익 구조를 창출하고 있다 반면 국내

은행은 비용효율성 제고를 위해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규모의 인력감축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재무성과의 개선은 이루어졌으나 은행의 지속성장에 한계를 보이는 축소균형

이 이루어지고 있다

앞서 제시한 전략들은 투자비용은 당장 소요되고 수익창출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다 임기가 짧은 은행 경영진이 이와 같은 중장기전략을 추진하려는 유인이 작

은 것은 당연할 수 있다 최고경영진이 조직의 바람직한 변화방향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도 경영의 연속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여건은 이들로 하여금 단기실적주의

관행을 넘어서는 비즈니스 포트폴리오의 구축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

에서도 CEO 재임기간이 길수록 국내은행의 EVA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은행 경영진

이 경영을 잘할 경우 임기를 크게 늘려주는 등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11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13호(2007326)

은행의 자본시장 역할 강화와 경영과제

具 本 星

〈요 약〉

지난 해 하반기 이후 통화정책 부동산정책 주택 융정책이 지속 으로 강화

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2001년 이후 지속되어 온 단기 심 유동성 심

실물자산 심의 자 흐름에 한 변화를 래하여 자본시장으로의 자 흐름을

진함으로써 융시스템의 구조 환을 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특히 은행업무와 투자업무 간 겸 의 매제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은행의 증권업무 확 는 통합 보완 계를 진시킬 것으로 보이는데 표

인 사례는 MMDA와 MMF의 체 계 기업 융과 투자은행업무의 통합 증권

화와 출업무의 보완 계 등이 있다 이처럼 시 은 은행이 자본시장에

한 역할을 반 으로 강화해야 할 시기라 할 수 있다 향후 은행의 자본시

장에 한 역할 강화는 융투자업무를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증권투자업무에 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 투자업무와 은행업무의 시 지

창출을 한 조직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자산 리서비스 퇴직연 시장

에 한 역량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지난 해 하반기 이후 통화정책 부동산정책 주택금융정책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통화정책은 지준율 인상이나 대출한도 조정을 통해 유동성 통제를 강화하고 있

고 부동산정책은 주로 주택가격의 안정화를 통한 주택수요의 안정을 유도하고 있다

주택금융정책은 주로 총부채비율규제를 중심으로 선제적 및 예비적 건전성 관리를 강

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은 그동안 저금리환경과 주택수요를 중심으로 늘어난 대출

제Ⅲ장 은 행 113

수요를 안정화시킴으로써 금융시장의 새로운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증권

사를 중심으로 한 CMA의 확대와 해외펀드에 대한 관심 증대 등 가계자산의 포트폴리

오 형태가 변화하는 경향을 감안할 때 금융시장의 변화가 가속화될 가능성도 있다

본고는 새로운 금융정책 기조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금융시장의 환경을 조망해보

고 이러한 변화된 환경에 대응한 은행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새로운 금융환

경은 2001년 이후 지속되어 온 단기 중심 유동성 중심 실물자산 중심의 자금흐름에

대한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금융시스템의 구조적 전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은

행경영에 대한 시사점도 살펴본다

자본시장을 통한 자 흐름의 진

거시유동성의 적정화 부동산가격의 안정화 주택금융의 건전화에 초점을 둔 3대

정책이 금융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각각 다음과 같다

우선 유동성조절 정책은 단기자산 위주의 관리에서 투자수익률 제고 목적의 장기자

산에 대한 수요를 점진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부동산가격의 안정화는 실

물자산에 대한 수요를 금융수요로 전환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동안

실물자산이 가계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부동산가격의 상승에 따라 급속히 높아졌

다는 점에서 금융자산에 대한 관심이 확대될 수 있다 끝으로 주택금융의 건전화는 주

택대출의 상환을 촉진함에 따라 장기적으로 금융자산 축적에 대한 유인을 높임으로써

투자서비스의 확충 및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즉 2006년 하반기

이후 이루어지고 있는 금융정책은 궁극적으로 금융시장으로의 자금유입을 촉진하고

장기자산의 축적이나 투자서비스에 대한 유인을 높임으로써 자본시장이나 자산운용

시장으로의 자금흐름을 촉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과 증권투자업무 간 겸 겸업 진

또한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흐름 확대는 은행업무 기반을 고려해 볼 때 은행의 유가

증권에 대한 투자유인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은행 및 가계의 부동산에 대한 직간접

11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운용비중이 완화됨에 따라 채권 또는 파생상품 등에 대한 투자기회를 확대시킬 수 있

기 때문이다 또한 기업들의 경우 대출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에 비해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이 확대될수록 자본시장의 자산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 이 외에 자본시장 관

련 상품의 혁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은행자금이 투자자금으로 전환되는 현상이 확대될

수 있다 이처럼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흐름 확대는 은행 입장에서 볼 때 겸업 또는 겸

영을 통한 투자업무 확대에 대한 유인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은행의 투자업무 확 경쟁-보완-통합의 계

은행의 증권투자업무 확대는 주로 내부겸영 형태의 통합방식이나 자회사 형태의 영

미식 형태 등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내부겸영 형태는 주로 유니버설뱅킹 시스템을

채택하는 경우에 활용되는 반면 자회사 형태는 주로 규제감독에 의한 내부겸영을 제

한받거나 증권업무의 독립성이 보장되는 경우에 활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 방

식의 실질적인 차이는 경제적 측면에서 없을 뿐만 아니라 은행의 증권투자업무 확대

에 대한 제한도 점차 완화되는 추세라 할 수 있다 은행의 증권투자업무 확대에 대한

규제완화는 주로 파생금융상품의 매매 또는 투자 자산관리업무 투자자문업무 등을

중심으로 겸영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투자업무의 겸영 확대는 그동안 은행

과 증권사의 업종 간 통합서비스를 확대시키고 업무 및 서비스 측면의 보완관계에 따

른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은행업무와 증권투자업무 간 통합서비스에 대한 유인을 높이는 것으로써

MMDA와 MMF의 대체관계를 들 수 있다 MMDA와 MMF는 은행과 증권사의 대표적

인 단기 판매상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두 상품은 주로 단기수익률의 차이에 따라 자

금이동이 활발한 상품에 해당된다 국내의 경우 두 상품의 상관관계는 2006년 이전에

정(+)의 관계를 보였으나 그 이후 음(-)의 관계가 두드러지는 등 대체적 성격이 강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은 가계의 단기수익률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진 데 따

른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은행의 경우 수신기반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자본시장에서의

증권투자서비스 기반을 확보할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최근 국내 증권사의 주력상품으로 부상하고 있는 CMA의 경우도 보완

제Ⅲ장 은 행 115

통합의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된다 1977년 Merrill Lynch가 처음 CMA를 도입했을

때 Bank One과의 제휴를 통해 지급결제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증권업무와 은행업무

간 보완관계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현재 Merrill Lynch는 자회사인 Merrill Lynch

Bank와 Merrill Lynch Bank amp Trust를 통한 예금계좌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타 대

형은행과 경쟁하고 있다 Smith Barney가 Citibank 및 Master카드사와 제휴하여 통

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업금융(corporate banking CB)과 투자은행(investment banking IB) 업

무의 통합 현상을 들 수 있다 Chase 은행의 경우 기업금융 부문에서 선두였으나 주식

인수업무를 통한 종합기업금융서비스 제공을 위해 JP Morgan을 인수함으로써 CB와

IB의 수익기여도가 전체의 약 25(2005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Citigroup의 경우

에도 Smith Barney를 통한 주식 및 채권인수에 대한 시장지배력 확보를 통해 CB와

IB의 수익이 전체 수익의 약 22를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궁극적으로 은행과

증권투자업무 통합에 대한 유인을 전반적으로 강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대출시장과 CLO 및 CDO 등 증권유동화시장의 보완관계도 들 수 있다 유

럽의 CDO시장은 2001년 약 30조유로에 불과하였으나 2006년에는 약 90조유로로 급

성장세를 시현하고 있다 이러한 CDO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EU의 기업여신도 2001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CDO시장의 활성화는 은행의 기업대출 확대

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은행의 대출업무는 증권시장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은행과 증권업무는 경쟁 및 대체관계 보완관계 등을 통해 자본시장의 발전

을 도모해 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그동안 국내 자본시장에 대한 은행의 역할은

자산이나 자본규모에 비해 수익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이었다 예컨대 은행계

증권사의 자산 및 자본규모는 전체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MampA 또는 위

탁매매업무에 대한 시장점유율은 약 25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규모와 점유율 간

차이는 자본시장에 대한 은행권의 적극적인 역할이 상대적으로 취약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금융시장의 전반적인 환경이 자본시장이나 자산운용시장

을 중심으로 자금흐름이 촉진되고 금융시스템의 구조적 전환이 촉진될 수 있다는 점

에서 은행은 자본시장에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11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자본시장에 한 은행의 역할 확 방향

은행의 자본시장에 대한 역할 확대는 크게 금융투자업무의 시너지 창출 기업금융

에 대한 통합체계 마련 자산관리서비스의 확대 등을 통해 은행의 자산운용 및 자산관

리서비스 역할을 높여 성장엔진으로 활용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은행이나 은

행그룹은 금융투자업무에 대한 시장규모를 확대하는 경영을 함으로써 자본시장을 통

한 수익기반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은행은 투자업무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 자회사 또는 내부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확

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형은행의 경우 투자은행 업무 또는 자기매매 업무의 취

약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자본증대 또는 업무기반의 확대를 위해 금융그룹 차원의 적

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증권투자업무의 규모의 경제 확보는 은행의 여

신 외환 및 파생금융 PB 업무 등의 사업시너지 창출에도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직적 측면에서도 여신업무와 투자은행 업무를 연계할 수 있는 조직의 확대

또는 전략적 제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지주회사의 경우 은행의 기업대출 업무와

IPO 또는 MampA 등 투자은행업무의 시너지를 높일 수 있도록 관련 조직을 강화해야 한

다 중소형 은행의 경우 증권사 또는 자산운용사와의 포괄적 또는 장기제휴 관계를 통

해 기업금융기반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자산관리서비스의 경우 재산보호형 업무와 재산증식형 업무 연계계좌와 CMA 기

능의 복합화 랩어카운트와 재산신탁 또는 PB업무 등을 병행하는 전략을 통해 금융투

자서비스 시장에서의 업무범위(coverage)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재

산보호에 초점을 둔 PB업무와 재산증식에 초점을 둔 WM(wealth management)업무

는 경쟁관계 또는 시장잠식 측면보다는 상품서비스 기반뿐만 아니라 고객기반을 확

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완과 시장창출의 긍정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자산

관리서비스를 통한 금융투자업무 기반 확대는 새로운 투자서비스 시장을 창출하고 관

련 서비스에 대한 역량을 심화시킬 수 있는 기회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특히 은행들은 퇴직연금 시장에 대한 시장지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관련 역량을 조

기에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퇴직연금은 금융자산에 대한 수요 장기자산에 대

한 수요 세제혜택 등으로 인해 자본시장의 핵심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

제Ⅲ장 은 행 117

직까지 국내 퇴직연금시장은 미국 및 영국 등에 비해 미약한 수준에 불과하나 기업금

융 신탁서비스 투자 및 조사업무 포트폴리오 관리업무 등에 있어서 사업시너지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은행의 금융투자업무 확대는 자본시장의 성장기회 통합형 금융시스템으

로의 전환 수익다각화 등의 측면에서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효과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11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9호(200757)

금융구조의 변화와 은행의 역할

李 建 範

〈요 약〉

개인과 기업이 외환 기 이후 변화된 융행태를 유지하고 안 자산 선호에

따라 나타났던 은행 은행상품의 우월성이 사라지며 증권화와 같은 융 신

이 개방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 으로 가시화된다고 할 때 은행은 자산규모

의 상 축소에 따라 역할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은행

들이 1990년 이후 미국 은행들과 같이 융환경 변화에 극 응하여 차

조표 상의 업무 개선은 물론이고 부외(off-balance sheet)거래를 활성화한다면

경제 내에서 은행의 역할은 계속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금융산업은 외환위기 이전과 크게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금

융자금의 흐름도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은행의 위상이 크게 높아진 현재

의 상태가 계속 유지될 것인가 향후 어떠한 금융환경 변화가 예상되고 은행은 어떻

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외환위기 이후 긴 구조조정기를 보내고 안정 성장기에 접어

든 은행들이 향후 장기전략 수립 시에 고려할 점을 살펴보도록 하자

융구조의 변화와 은행

국민경제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금융활동들이 상호 간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

으며 금융활동이 실물활동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데에 자금순환

제Ⅲ장 은 행 119

표가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지난달 발표된 2006년 자금순환동향에 따르면 우

리나라의 금융연관비율(금융자산잔액명목GNI)은 818로 2000년 이후 최대의 상승

폭을 보였는데 미국(973) 일본(1223)에 비하여 낮지만 이들 나라가 8배를 넘어선

시점이 각각 1990년대 후반 초반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전보다는 격차가 줄어들

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금융연관표를 통해 지난 30년간의 기업 및 개인의 금융행태를 살펴볼 때 외환

위기 이후 몇 가지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여전

히 기업이 자금부족부문이고 개인이 자금잉여부문이기는 하지만 경제규모에 대한 기

업부문의 자금부족 비율((조달-운용)GNI)이나 개인부문의 자금여유 비율((운용-조

달)GNI)이 이전에 비하여 크게 하락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추세는 미국에서도 관

찰되는 것으로 미국과 같이 개인이 자금부족부문이 되거나 기업이 자금공급부문이 될

정도에 이르지 않았지만 개인부문이 자금을 공급하고 기업부문은 자금을 사용하는 것

과 같은 전통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개인이나 기업 모두 자금의 공급자이며 동시에 이

용자가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 하나 주목할 것은 외환위기 이후에도 금융부문의 비금융부문에 대한 자금공급에

서 유가증권보다는 대출금의 비중이 크고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미

국에서는 유가증권과 대출금의 비중이 1990년대 중반 역전되어 유가증권의 비중이 높

아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유가증권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은행을 중심으로 한 대출금의 비중이 높다는 것은 이러한 증권화 추세와 다른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은행의 위상은 날로 강화되고 있다 작년을 기준으로 볼 때 총

자산 자기자본 및 직원수에서 외환위기 이후 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이전에 비하여

크게 높아졌다 은행의 수가 점차 줄어 든 것을 고려할 때 상위 은행들이 우리나라 금

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은행 대출은

개인에 대한 대출이 늘어나면서 기업대출의 비중 특히 대기업의 비율이 크게 하락하

였다

외환위기 이후 개인과 기업의 금융행태 변화의 원동력은 무엇이며 정보통신 등 기

술발전이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 향후 금융구조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그리고 위에

12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서 살펴본 은행의 위상 강화 경향은 향후에도 지속 가능한 것일까

융행태 변화와 향후 융구조 변화의 방향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특징적인 재무구조 변화는 부채비율이 이전에 비하여 크게

하락하였으며 자금조달도 내부 외부자금 중 내부자금 의존도가 크게 증대되었으며

투자의 현금흐름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졌다는 점이다 물론 부채비율 200 이하 유

지 등 정책적인 측면도 있지만 외환위기 시 겪었던 기업도산에 따른 파산비용의 인식

도 기업의 부채비율 하락에 일조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업투자가 자체 현금흐름

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과 위험증가에 대비하여 현금보유비율을 높인 것도

기업의 재무행태를 변화시킨 요인이다

한편 개인부문은 경제 내 자금공급자 역할뿐만 아니라 자금수요자로서의 역할도 크

게 강화되었는데 물론 주택대출을 중심으로 부채를 증가시켰지만 이러한 변화는 내구

소비재 교육지출 등 개인의 자금 수요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과 개인의 이러한 금융행태 변화는 경제 내 큰 쇼크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과거

로 회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경우 대기업의 내부자금 조달 비율이 높

은 상태에서 부채비율이 이전의 상태로 급증하기는 어렵다 반면 현금보유비율이 높

은 상태에서 기업부문의 자금 운용 규모 확대는 향후 은행권의 주요 수익원이 될 수

있다 개인의 경우에도 소비의 비가역성 개인부문 부채의 급격한 축소에 따른 위험

등으로 인하여 자금조달이 급격히 변화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러한 기업과 개인부문의 금융행태 변화와는 달리 자금공급에서 현재와 같은

은행의 역할이 지속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외환위기 이후 비은행금융기관의

대폭적인 역할 축소에 따른 자금이동 안전지향의 개인 금융자산 운용 등은 외환위기

와 같은 충격에 대응하고자 하는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환위기의

충격에서 벗어나고 대체적인 금융상품을 제공하는 금융주체가 등장하며 개인 및 기업

의 자산운용에서 위험선호가 다양화될 경우 현재와 같은 은행우위의 상태는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은행의 핵심예금 비중 감소 금융세계화의 진전에 따른

외국 금융기관의 진출 확대 자본시장 육성정책의 시행 등을 감안하면 은행의 대차대

제Ⅲ장 은 행 121

조표상의 규모증대로 나타나는 대출증가 추세가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정보통신기술의 혁신이 결제비용의 절감 후선업무와 같은 비숙련노동의 컴

퓨터로의 대체 등 하드웨어적인 것뿐만 아니라 선진금융과 같이 정보를 습득하고 분

석하는 능력의 향상으로 나타날 경우 증권화(securitization)가 진전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기술의 혁신은 기존 금융업무의 분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데 이는 전문화의 효

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금융업무를 재편할 것이다 즉 투자상품을 상품제조와 판매

로 분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출생성(origination) 위험관리(risk processing) 서비

스(servicing) 자금모집(funding) 등으로 구성되는 대출업무 중 자금모집(funding)

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정보투명성이 제고되고 위험측정이 가능한 모든

대출 대상은 증권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럴 경우 은행은 최종적인 자금공급자는 아니

지만 자금공급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이와 같은 금융환경 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은행의 위상을 지킨

미국 은행들에 대해 살펴보자

미국 은행의 수익구조 변화와 의미

미국에서 1990년대 초반 대공황 이후 최대의 은행위기가 닥쳐 은행의 역할이 크게

줄어들자 은행의 쇠락에 대한 우려가 컸었다 특히 은행의 대차대조표를 통해 공급되

는 자금의 중요성이 크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우려는 심각하게 받아들여

졌다 그러나 10여년이 지난 지금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기업부문 전체의 자금공급에

서 은행의 비중 금융권 수익에서 은행의 비중 GDP에의 기여도 등 은행부문이 경제

에서 기여하는 역할이 줄어들었다는 증거는 없다(FDIC 2004)

한편 은행은 증권화가 어려운 분야에서는 전통적인 강점을 살려서 우월성을 유지하

고 있다 미국에서 은행의 비금융부문에 대한 자금공급의 비중은 줄었지만 기업자금

공급의 비중은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 구성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단기자금대출(short term non-mortgage business loans)의 비중은 줄고 사업부동

산 담보대출(loans collateralized by business real estate)의 비중은 크게 늘어났다

즉 사업부동산 담보대출은 증권화가 어렵고 은행의 우월성을 유지할 수 있는 부문이

12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기업자금 대출에서 은행의 지위를 유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부문에서는 기존의 강점을 살려 경쟁력을 유지하였지만 그 이

외의 분야에서는 금융환경 변화에 대해 은행권이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전체적인 경쟁

력을 유지하였는데 이것은 은행의 수익구조를 살펴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2006년 미국 상업은행 전체의 영업수익 중 비이자이익의 비중은 433이다 1980

년대 후반까지 30를 밑돌던 은행의 비이자이익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초반부터이다 이 시기는 미국 내 증권화가 크게 확대되는 시기이기도 한데

은행은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대차대조표상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손익계

산서에는 나타나는 활동을 강화한 것이다 즉 2001년부터 Call Report 공개요건 강화

때문에 은행 비이자이익의 항목을 세분화해서 살펴볼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재분류

하여 다시 살펴보자 작년 말 비이자이익 항목 중 전통적인 비이자이익(예금계정 서비

스 신탁서비스 등)부분이 약 326 투자은행트레이딩보험업무 등 비은행업무

가 164 신용의 상품화(증권화관련 수익 외부에서 자금조달된 자산에 대한 서비스)

관련 이익이 164 기타 자회사(unconsolidated subsidiary)수익데이타처리유

동성지원서비스(liquidity provision) 등 기타항목이 346이다

즉 미국 은행들의 수익구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은행이 대차대조표상 업무

를 통해 나타나는 상대적 중요성 감소에 대응하여 비은행업무로의 다각화 및 증권화

를 통해 적극적인 대처를 하여 은행 수익을 유지하였다는 것이다

은행의 장기 이고 극 인 응 필요

우리나라의 금융구조에서 개인과 기업이 외환위기 이후 변화된 행태를 유지하고

안전자산 선호에 따라 나타났던 은행 및 은행상품의 우월성이 사라진다고 할 때 그리

고 증권화와 같은 금융혁신이 개방화와 정보통신기술 발전으로 가시화된다고 할 때

은행의 적극적인 변화 노력이 없다면 은행은 자산규모의 상대적 축소에 따라 역할이

축소될 것이다

제Ⅲ장 은 행 123

반면 금융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대차대조표상 영업의 개선은 물론이고 금융환

경 변화에 대응하는 부외(off-balance sheet)거래를 활성화한다면 경제 내에서 은행

의 커다란 역할을 계속 유지할 것이다 최근 은행의 저원가성 핵심예금(core deposit)

이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는 등 경제의 안정화에 따라 은행의 상대적 우월성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더욱이 향후 금융환경은 ldquo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rdquo 등 자

본시장 규율체계의 대폭적 변화 한미 FTA 타결에 따른 금융시장의 개방 규제완화를

명분으로 한 금산분리 원칙에 대한 재고 가능성 등 정책변화에 따른 리스크 상승의 가

능성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정책들의 복합적인 효과가 은행 경영에 유리하다고 단언

하기는 어렵다

금융산업 내 은행의 비중이 매우 커진 현시점에서 은행의 장래를 걱정하는 것이 무

리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은행 경영관행을 고집할 경우 은행의 위상 약화가

예상되는 상황이므로 은행의 장기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

다 금융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경제 내에서 높은 위상을 유지한 미국 은행의 경

험은 은행(banking)이 쇠락(declining)하지 않고 진화(evolving)할 수 있는 것을 보

여주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12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22호(2007528)

기업금융의 활성화를 위해 은행이 나아갈 길

金 炳 淵

〈요 약〉

IMF 융 기 이후 기업 융 축 상의 지속으로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동력

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한편 외국의 은행들은 기업 융 활성

화를 하여 노력해 온 결과 기업 융의 패러다임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그 결과 기업 융시장의 지식집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고 기업고객의 융

니즈를 방 으로 충족시키는 형태로 기업 융서비스가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외국 기업 융시장의 한 발달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기업

융시장의 여건은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고 기업

융이 르네상스를 이룩하기 해서는 먼 우리나라 융시장의 취약 을

조속히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사업조직으로서 융지

주회사를 만들어 본격 인 투자은행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업

융에 한 모든 업무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기업 융의 활성화 필요성

IMF 금융위기 이후 BIS자본비율 준수 기업신용위험 증대 부동산가격 하락 등의

요인이 겹치면서 은행의 기업금융(특히 대기업금융) 기피현상이 일어나게 되었다 그

결과 대기업 대출의 비중은 계속 감소하고 회사채 투자 및 회사채 지급보증도 거의 증

가하지 않음에 따라 은행의 대기업금융은 겨우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으로 위축되었

다 한편 중소기업대출의 경우 신용보증기금의 보증한도 증액 및 부동산담보에 힘입

어 간신히 과거의 활력을 유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외부여건이 바뀔 경우 은행의 중소

제Ⅲ장 은 행 125

기업금융도 한계에 다다를 가능성이 높다

한편 대기업은 IMF 금융위기 이후 IT 및 통신 등 몇개 분야 이외에는 설비투자를

거의 확장시키지 않았고 그것도 외부차입보다는 내부자본에 의존함으로써 기업금융

의 위축을 부채질하였다 우리나라 대기업은 산업구조상 대부분 현금창출능력이 뛰어

난 단계(cash-cow)인 성숙산업에 위치하고 있는 반면 해외자원개발이나 신규사업 및

설비 증설에는 소극적이어서 사실상 외부차입의 필요성이 크게 줄어든 것이 이러한

결과를 초래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업들의 미래 차세대 성장산업에 대한 소극적

인 투자는 향후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동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면에서 큰 우려를 낳

게 하는 요인이다

이와 같은 우리나라의 기업금융 위축은 은행의 기업금융 기피현상과 더불어 기업가

정신의 실종에 모두 연유한다고 할 수 있으므로 기업금융의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해

서는 은행은 기업금융 기피현상을 초래할 수 있는 여러 제도적 및 관행적 요인들을 제

거함과 아울러 기업의 신규투자 및 기업가정신을 고양시키는 환경 조성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기업 융에 있어서 은행이 착하는 딜 마

은행들이 위축된 기업금융을 활성화하고 기업금융의 주도권을 다시 탈환하려고 할

때 일반적으로 다음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여섯 가지 딜레마에 봉착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는 은행과 기업의 조직문화 차이이다 기업들은 도전적으로 사업기회를 추구

하는 정신(entrepreneurship)이 필요한 반면 은행은 신중하게 위험부담을 일정한 수

준으로 줄이려고 하는 신용문화가 필요한데 양자 간에 조화가 어렵다 이러한 신용문

화는 은행이 지원해줄 수 있는 프로젝트의 성격 및 범위를 결정하게 되는데 기업의 입

장에서 볼 때 은행의 서비스는 항상 불만족한 수준에 그치게 된다

두 번째는 기업과 은행의 인센티브 차이에서 비롯된다 기업은 사업추구에 따른 초

과이윤에 관심이 있는 반면 은행은 사업이 잘못되었을 경우의 손실가능성에 주목하게

된다 즉 초과이윤이 있을 경우 은행은 일정 금액의 몫만 챙기고 나머지는 고스란히

12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기업의 몫으로 돌아가게 되는 반면 손실이 있을 경우 때에 따라서 기업과 비슷한 부

담을 하게 되어 어떻게 보면 불평등 계약이 되는 셈이다 그러므로 기업과 은행 간에

는 항상 엇박자가 날 가능성이 높으며 프라이싱에 있어서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 그

러므로 기업의 입장에서 볼 때 상당히 매력 있는 사업의 기회가 있는 프로젝트에서 은

행을 동반자로 삼기가 어렵게 된다

셋째는 은행이 기업금융을 취급하는 데 있어서 언제나 담보부족의 갈증에 시달리게

되는 점이다 이는 전술한 인센티브 차이와 후술하는 정보비대칭성에서 기인하는 채

권보전을 위한 자구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갈증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

는 마땅한 담보를 발견하기 어렵다 그래서 담보가 부족한 경우에는 많은 적격 기업들

이 금융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기 쉬우며 기업의 입장에서는 과도하게 담보에 집착하는

은행을 동반자로 삼는 것을 기피하게 된다

넷째는 기업금융을 취급함에 있어서 신용평가의 어려움이다 기업의 신용평가는 개

인과 달리 각 기업의 독특한 특수성을 충분히 감안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 통계적

방법에 의존해서 신용평가를 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전통적으로 신용평가 시 은행이

크게 의존해온 재무제표는 상당히 후행적인 것으로서 과거의 환경변화가 어떻게 신용

위험으로 발전하였는가 또는 향후의 환경변화가 어떻게 기업의 사업위험에 영향을 미

칠 것인가에 대해서 아무 시사하는 바가 없다 재무제표의 자료에만 크게 의존할 경우

돈이 별로 필요하지 않는 기업만이 좋은 평가를 받게 된다

다섯째는 정보의 비대칭성 극복이다 기업금융이 어려운 점은 기업과 은행 간에

심각한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그것은 양자 간에 사업의 기회 및 위험

에 대한 지식 및 정보의 차이 밀착모니터링의 한계 기업경영의 투명성 부족 인센티

브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정보의 비대칭성은 은행으로 하여금 기업금융에 대

해 과도하게 신중하고 수세적인 자세를 취하게 되며 담보에 많이 의존하는 기업금융

행태를 발전시키게 한다

마지막으로 은행은 지급결제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감독당국에서 규정한 리스크 부

담의 한계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기업금융(특히 중소기업금융)은 가계금융에 비해 보

다 많은 불확실성에 노출되어 있으며 또한 담보나 신용평가면에서 채권보전상 열악한

위치에 놓여 있다 또한 금액규모가 커 편중여신에 대한 제한에도 얽매여 있다 그 결

제Ⅲ장 은 행 127

과 어떤 일정 성격 형태 또는 규모의 기업금융에 대해서는 원활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은행 및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점점 이와 같은 딜레마를 확대시키려는 경향

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은행대출보다는 회사채가 회사채보다는 주식발행이

더욱 매력 있는 금융수단으로 각광을 받게 되어 기업금융시장에서 은행대출의 설자리

가 점점 좁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은행의 기업금융은 기존의 좁은 울타리 영역에서 벗

어나 회사채 및 주식의 영역에까지 나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은행의 기업 융 한계 극복 방안

은행과 기업 간의 문화 및 인센티브 차이는 은행이 기존의 상업은행업무에만 국한

할 경우 극복하기 어려운 과제이므로 그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하기 위해서 은행은 투

자은행업무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증권 및 은행의 분리원칙에 의거 투자은행

업무는 금융지주회사의 우산하에서만 추진할 수 있으므로 기업금융을 활성화하기 위

해서는 금융지주회사를 설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업은행업무와 투자은행업

무 간에 충분한 시너지가 발생하지 않으면 기업금융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어려우므로

소매금융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업금융 플라자를 만들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일반 기업대출업무 회사채 및 주식인수업무 벤처캐피탈업무 기업구조조정업무 벌처

펀드 중소기업 지분금융(equity finance) 기업공제금융업무(business cooperatives)

사모펀드업무 사모사채업무 등 기업금융에 관한 모든 것을 취급하도록 하는 것이 필

요하다 단 각 업무별로 충분한 방화벽(fire-wall)을 만들어 이해상충 문제가 발생하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담보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국은행들이 사용하는 자산담보부대출(asset

based lending)방식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기업의 원재료 재고자산 및

받을채권 등 각종 자산을 담보로 하여 대출하는 방식이다 재고자산의 경우 이를 특별

창고에의 위탁 및 기업물류센터의 통제 등을 통해 재고자산을 기초로 창고증권을 발행

함으로써 이를 담보로 재고금융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받을채권금융의 경우 팩토링

과 같이 소유권을 이전하는 방식이거나 은행을 통하여 채권추심을 하도록 하는 방법

12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또는 양도담보계약 등을 통하여 담보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신용평가의 어려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신용평가모델에 향후 사업전

망 및 사업위험도 고려하는 기업가치평가모델을 접목할 필요가 있다 상장기업에 있

어서 주가의 변동상황에 따라 신용위험을 평가하는 KMV모델은 비록 그것이 블랙박

스모델로 제한적인 신용정보만 제공하는 것이지만 일종의 신용평가모델에 기업가치

평가모델을 접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장에 대한 리서치 기능을 확대함과

아울러 금융서비스의 실제 대상인 고객 지역 및 상품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모니터링 및 정보수집비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기

업경영컨설팅 서비스를 통해 기업경영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으며 순환보직의 제한

기업전담제 모니터링의 강화 장기거래관계의 형성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은행의 지급결제업무 취급에 따른 리스크부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금융지주회사 우산하에서의 투자은행업무를 도입함과 동시에 지주회사 내의 사업에

있어서도 궁극적으로 자금의 조달과 운용을 분리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세계 기업 융의 패러다임 서비스형태의 변화

세계적으로 은행의 기업금융서비스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업금융의 한계를 극복하

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기업금융에 있어서 두 가지의 중요한 패러

다임의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그 하나는 기업금융의 세 축-대출 회사채금융 및 주

식금융(equity financing)-의 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출의 경우 증권

화를 통해 유동화함으로써 회사채의 성격을 강하게 띄게 되었으며 대출지원 시 프로

젝트의 이자뿐만 아니라 그 수익의 일정부분 몫에 참여하는 부분적인 주식금융의 성격

을 띄는 방향으로 상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기업구조조정 및 MampA 시장

에 있어서는 대출금융과 주식금융이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볼 수 있다

다른 하나는 기업금융업이 단순한 자금중개업에서 벗어나 자문서비스 및 컨설팅사

업의 비중을 높이면서 지식산업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업금융이 점차 단순한 신용

위험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기업이 당면하고 있는 사업기회 및 사업위험에 대한 지

제Ⅲ장 은 행 129

식과 더불어 전반적 기업경영관리 및 상거래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활

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패러다임의 변화는 기업금융서비스 제공형태에 있어서 중요한 변화를 초

래하고 있다 기업금융시장에서 기회 및 위험에 대한 지식이 집적됨에 따라 기업금융

서비스는 이들을 활용하여 기업금융니즈를 충족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방향으로 재편되고 있다 그 결과 기업금융서비스는 고객이 원하는 어떠한 형태의 서

비스(ldquoWe will do everything you needrdquo)도 제공하는 즉 全方位的 서비스제공 방식

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는 단순한 자금지원의 영역에서 벗어나 사업재편 규모의 경제 및 범위의 경제

향유 자본 및 부채구조의 재설계 기술 및 RampD 활동지원 HR문제 등 경영의 전 과

정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것도 내부활동의 지원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상

거래활동 및 전략적 활동 등 기업의 외부거래와 관련된 활동까지 그 지원의 범위가 확

대되고 있다

기업의 전략적 활동지원 사항 중 우리에게 생소한 두 가지 서비스만 살펴 보자 한

가지는 ldquo경쟁우위 플랫폼제공 서비스rdquo로서 이는 은행의 기반시설인 네트워크 정보

및 데이타베이스 및 IT 등을 활용하여 중소기업들과 중소금융기관이 대기업 및 대형

금융기관과 경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Platform)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다

른 한가지는 ldquoRolls-Ups 서비스rdquo로서 이는 소형기업들을 한데 모아 새로운 회사를

만들어 공동구매 공동판매 공동 연구조사 브랜드파워 생성 등을 통해서 통합된 기

업가치를 제고하는 방식을 말한다 세계시장에서 한때 우리나라 MP3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았는데 미국 대기업인 애플사의 대량구매를 통한 원가절감전략으로

인해 지배적인 위치를 빼앗긴 점을 생각하면 위의 2가지 서비스가 우리나라에 가능했

다면 상황은 달라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기업 융시장의 취약

위에서 논의한 바대로 선진 외국의 기업금융시장은 현저한 발달을 이루었음에 비추어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여건은 다음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이 아직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13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첫째 우리나라 기업금융시장에서는 사업 및 신용정보의 생성 및 확산이 제대로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는 오랫동안 부동산담보대출 및 정부의 지원에 의존하는 타

성에 의해 사업 및 신용정보 분석에 바탕을 둔 금융이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기 때

문이다

둘째 자금용도 및 상환자원별로 금융지원이 이루어지는 여신관행이 정착되어 있지

못하다 그 결과 대출상품 개발능력이 취약하여 상품이 고객니즈 및 상환능력별로 세

분화 내지 디자인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관행이 대출취급 및 사후관리 과정에서 사

업정보 및 신용정보를 생성하고 확산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셋째 부동산 이외의 담보가 활성화될 수 있는 제도 및 관행이 정착되지 못하고 있

다 외국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자산담보부대출(asset based lending) 등도 아직 우리

나라 금융시장에서 발을 붙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부동산담보 여력이 고갈되고 정

부의 지원이 끊겼을 때에는 기업금융을 확장할 수 있는 여지가 많지 않다

넷째 자본형성 기능 및 기회가 부족하다 새로운 사업기회가 있을 때 서로 자본을

모아 이에 투자하는 사회적 자본형성(capital formation) 기능이 매우 취약하다 IMF

금융위기 이후 벤처캐피탈 PEF 등 자본형성의 제도적 여건이 마련되었으나 사업기

회발굴 및 창출능력이 부족하고 시장의 신뢰를 얻지 못하여 아직 자본형성기능을 제

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풀뿌리 금융기관이 부족한 점도 기업금융시장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다 그 결과 금융서비스에 있어서의 전문화 및 다양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

한 기업의 라이프사이클별로 또는 전문분야별로 전담금융기관이 생성되지 못하고 있

으며 금융산업에 있어서 대형화와 전문화의 상승작용도 일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여섯째 금융기관 간 계열화 및 연계화가 부족하다 계열화 및 연계화가 되어 있을

수록 금융기관 간 분업화 및 상호작용에 의하여 금융시장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계열화 및 연계화는 소형금융기관과 대형금융기관 간 그리고 금융기관과 금융보조기

관 간 자금조달기관과 자금운용기관 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풀뿌리 금융기관의 부

족 이로 인한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금융보조기관(예 신용평가기관 정보수집 및

제공기관 IT업체 상권 및 기술발전추이 조사업체 백-오피스기능 제공업체 MampA

및 기업구조조정 전문업체 채권추심업체 등)의 미발달 자금조달기능 및 운용기능의

미분화 등이 계열화 및 연계화를 저해하는 요소로 지적될 수 있다

제Ⅲ장 은 행 131

우리나라 기업 융의 활성화 방안

우리나라 기업금융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술한 우리나라 기업금융시장의

여러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사업 및 신용정보의 생성 및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서 자금용도 및 상환자원별

대출취급 및 사후관리가 관행으로 정착되어야 하며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밀착경영 시장에 대한 리서치기능 확대 기업경영의 컨설팅기능 확대

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사업위험의 지식 및 정보의 생성을 돕기 위해서

기업매매중개업(business broker) 등을 육성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자산담보부 대출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자금용도별 대출취급관행을 정착시킴

과 아울러 법령 및 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재고자산 및 받을채권을 담보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재고자산 판매대금의 입금 및 받을채권의 대금추

심을 은행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환자원의 외부유출을 막고 자산담보부

대출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풀뿌리 금융기관이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은행의 각 점포를 소은행화하고

점포의 경영을 고객 상품 지역별 밀착경영1)을 하도록 특화함으로써 풀뿌리 금융기

관이 갖는 전문성 및 다양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자본형성기능이 취약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벤처캐피탈 PEF 및 기업의

IPO를 지원하는 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기업의 라이프사이클별로 금융지원을 해줄 수

있도록 각 점포를 특화해서 미국의 벤처캐피탈 파이낸스 컴퍼니(finance company)

및 소은행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위와 같이 우리나라 기업금융시장의 취약성을 보완하는 방안을 강구함과 아울러 다

른 한편으로는 사업조직으로서 금융지주회사를 만들어 본격적인 투자은행업무를 수

행할 수 있도록 하고 기업금융 플라자를 만들어 기업금융에 관한 모든 업무가 원-스

톱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체제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전술한 바

와 같은 전방위적 기업니즈 충족 및 금융지식 집적속도의 가속화를 통해서 우리나라

기업금융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1) 한국금융연구원『주간금융브리프』15권 49호 2006년 12월 16일

13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6호(2007625)

은행산업 경쟁정책관련 법규정 개선방안

李 秉 允

〈요 약〉

일반기업의 합병에 한 경쟁심사 시 공정 는 경쟁제한성 여부와 합병

에 따른 효율성 증 효과를 모두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은행합병의 경우

산법에 따르면 허가 당국인 감 가 은행합병의 실질 경쟁제한성 여부

를 공정 와 의하게 되어 있는 반면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 효과

를 검토해야 하는지 여부 그리고 어느 기 에서 이를 검토해야 하는지에 해

언 하지 않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 효과

분석은 감독기 인 융감독당국이 문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공정

가 은행합병의 경쟁제한성 여부를 단하여 감 에 제시하면 감 가

효율성 증 효과까지 고려하여 합병허가를 하고 여기에 공정 가 이의가 있

을 경우 소송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한편 융회사

불공정거래행 규제와 련하여서는 공정 와 감 간 복규제 가능성이

해소되어야 하며 감 의 경우 규제 근거가 되는 구체 법령이 없는 상태

이므로 이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에서 일반적으로 경쟁은 선(善)이다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

해질수록 기업은 경쟁에서 낙오되지 않기 위해 기술개발을 통해 품질을 개선하고 상

품을 남보다 싸게 팔려고 노력하게 되어 소비자들은 값싸고 품질 좋은 상품을 소비할

수 있게 됨으로써 후생이 증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능력이 떨어지는 기업은 도태되

고 시장에는 항상 더 능력이 있는 기업만 살아남게 됨으로써 경쟁은 자본주의 시장경

제Ⅲ장 은 행 133

제 시스템을 자정(自靜)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경쟁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를 유지

시켜 주고 여기에 활력을 불어넣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어느 나라나 경쟁을 실질적으로 촉진하는 것을 경제정책의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고 있고 이를 담당하는 정부기관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한 법과 제도를 운영하

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이러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경쟁과 관련된 공정위의 정책은 크게 시장지배적 지위남용 금지 기업결합 제한

부당한 공동행위 제한 및 불공정거래행위 금지 등으로 나뉠 수 있으며 이는 모든 산업

의 모든 기업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정위의 경쟁관련정책

은 은행 등 금융회사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은행합병이 늘어남에 따라 은

행에 대한 경쟁정책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이와 관련된

법규정이 제대로 정비되어 있는지 한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이 중 특히

기업결합 제한과 불공정거래행위 금지와 관련된 법규정에는 다소 개선할 점이 있는

것으로 보여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해법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

은행합병 시 경쟁심사 련

한 기업이 어떤 기업과 합병을 하려면 동 기업은 공정위에 경쟁심사를 의뢰해야 하

고 공정위는 두 기업의 결합에 경쟁제한성이 있지는 않은지 면밀히 검토한 후 허가 여

부를 결정하게 된다 lsquo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이하 공정거래법)rsquo은 ldquo일정한 거

래분야에서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rdquo 기업결합을 금지(제7조 제1항)하고 있어 lsquo경

쟁의 실질적 제한 여부rsquo가 기업결합 심사의 가장 핵심적인 판단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동법 제7조 제4항에서는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추

정하는 조건들을 나열하고 있고 보다 더 자세한 사항은 동법 제7조 제5항에 의거하여

lsquo기업결합심사기준rsquo을 만들어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동법 제7조 제2항에 따르면 lsquo당해 기업결합 외의 방법으로는 달성하기 어려

운 효율성 증대효과가 경쟁제한으로 인한 폐해보다 큰 경우rsquo에는 제7조 제1항의 규정

을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업결합 심사의 최종 판단기준은 경쟁제

13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에 따른 폐해와 효율성 증대에 따른 이익을 결합한 전반적인 경쟁효과라고 할 수 있

다 즉 당해 기업결합이 경쟁제한성이 있어도 기업결합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가 더

크다면 이를 허가할 수 있는 것이다 공정위는 이러한 기준으로 경쟁심사를 수행하여

기업결합 허가 여부를 결정하며 만일 기업결합이 불허될 경우 당해 기업은 이에 대해

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하지만 은행합병의 경우에는 일반기업과 조금 다른 허가 절차를 가지고 있다 여타

산업의 다른 기업들과는 달리 은행을 비롯한 금융회사들은 특별히 이들을 감독하는

기관이 따로 존재하며 이에 따라 은행합병의 경우 공정위가 아니라 은행을 감독하는

금융감독위원회(이하 금감위)가 허가권을 가지고 있다 이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마

찬가지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기업결합 시 경쟁제한성 여부를 따지는 기관은 공

정위이므로 금감위는 은행합병을 허가할 때 그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서는 공정위와

협의하게 되어있다 이는 lsquo금융산업의구조개선에관한법률(이하 금산법)rsquo 제4조 제4항

에 명시되어 있다 이에 기초하여 lsquo은행업인가지침rsquo상 은행합병의 인가기준에lsquo합병

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경쟁제한성 검토결과가 적정할 것rsquo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법규정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작은 것부터 언급하자면 법에는

금감위가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 공정위와 lsquo협의rsquo하라고 되어 있는데 lsquo은행업인가지

침rsquo에 따르면 공정위의 경쟁제한성 검토결과가 적정해야 합병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

다 법에서 lsquo협의rsquo하라고 한 뜻은 아마도 공정위가 경쟁전문가이지만 은행합병에 따른

경쟁제한성이나 효율성 등에 대해서는 감독당국인 금감위가 더 전문성이 있을 수 있

으므로 두 기관이 실질적으로 협의하여 결정하라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그런데 lsquo지침rsquo에서는 법에서 제시한 lsquo협의rsquo의 정신은 사라지고 공정위의 결정

을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이 문제를 바로잡으려면 법

에 금감위가 은행합병 심사를 할 때 경쟁제한성과 관련하여서는 공정위의 심사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하든지 아니면 지침에 법에서 제시한 lsquo협의rsquo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다음 문제는 공정위의 경쟁심사와 관련된 것이다 앞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일반기

업에 대해 공정위가 경쟁심사를 할 때에는 lsquo경쟁제한성rsquo 여부와 lsquo효율성 증대rsquo 효과를

동시에 고려하도록 되어 있다 즉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기업결합의 경쟁제한성에

제Ⅲ장 은 행 135

따른 폐해가 있더라도 효율성 증대효과가 더 클 경우 기업결합을 허가해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금산법에는 금감위가 은행합병이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지

여부만을 공정위와 협의하여야 한다고 되어있다 공정거래법에 보면 제7조 제1항에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기업결합은 금지한다고 되어 있지만 제7조 제2항에는 기

업결합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가 더 크면 제7조 제1항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되

어 있다 즉 경쟁의 실질적 제한여부를 검토하는 것은 효율성 증대효과를 검토하는 것

과는 별개의 것이며 공정거래법에 따르면 양자를 모두 검토하여 어느 효과가 더 큰지

헤아려 보아야 한다고 되어있다 따라서 경쟁심사는 경쟁제한성 여부와 효율성 증대

효과를 모두 검토하여야 완결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금산법에서는 은행합

병이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지 여부 즉 경쟁제한성에 대해서만 공정위와 협의하

도록 되어 있어서 은행합병의 효율성 증대효과에 대해서는 누가 검토해야 하는 것인

지 또한 경쟁제한성의 효과와 효율성 증대효과 중 어느 것이 더 큰지에 대한 판단을

누가 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 물론 금산법 제4조 제3항에서 금

감위가 은행합병을 심사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적시함으로써 효율성 증대효과

분석은 금감위가 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공정위의 경쟁심사가

효율성 증대효과 분석까지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법규정이 명확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금산법에 의거하여 은행합병이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지 여부

에 대해 공정위가 판단할 때 일반 기업합병에 대한 경쟁심사처럼 은행합병에 따른 효

율성 증대효과도 함께 검토하는 것이라고 확대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이는 앞

에서 살펴본 것처럼 공정거래법 제7조를 놓고 보았을 때 맞지 않는 해석이다 공정위

가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까지 검토하여 경쟁심사를 완결하려면 이러한 내

용을 포함하여 금산법상의 규정을 좀 더 엄밀하게 수정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법규정을 떠나서 은행경영이나 은행산업에 대한 지식 등 전문성을 놓고 볼 때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는 공정위보다는 직접 감독을 담당하는 금감위가 더

잘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오히려 금산법은 현행대로 유지하여 공정위는

은행합병의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서만 판단하고 그 결과를 금감위에 보내면 금감위

가 은행합병에 따른 효율성 증대효과를 검토하여 경쟁제한성과 효율성 증대효과 중

13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어느 것이 더 큰지 판단 최종 합병허가를 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해 보인다

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은행합병을 허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특이하게

경쟁당국(법무성 반독점국)과 은행감독당국이 각각 독자적으로 은행합병에 대한 경쟁

심사를 하고 경쟁당국이 경쟁심사 결과를 은행감독당국에 제시하면 은행감독당국이

이를 참고하여 은행합병 허가를 하게 된다 이 때 경쟁당국이 경쟁제한성이 높다고 판

단하는데도 은행감독당국이 은행합병을 허가하면 이에 대해 경쟁당국이 소송을 제기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금산법에서는 금감위가 은행합병의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 공정위와 협의하게 되어 있지만 협의 후 공정위가 경쟁제한성이 있다고 판단했

음에도 불구하고 금감위가 합병을 허가했을 때(물론 은행업지침상 합병을 허가하기는

어렵겠지만) 공정위가 취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다 따라서 우리나

라의 경우에도 이러한 경우에 대한 절차를 마련해 두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즉

공정위는 은행합병의 경쟁제한성 여부에 대해서 판단하고 그 결과를 금감위에 주면

금감위가 은행합병의 효율성 증대효과까지 고려하여 합병허가 여부를 결정하고 만일

공정위가 경쟁제한성이 심하다고 보는데도 금감위가 합병을 허가할 경우에는 공정위

가 이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여 최종적으로는 법원이 판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절

차상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불공정거래행 규제 련

다음으로는 불공정거래행위 금지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모든 기업의 불공정

거래행위에 대해서는 공정거래법 제5장에 의거하여 공정위가 규제 및 제재를 하고 있

다 공정거래법 제5장은 불공정거래행위의 내용 및 공정위의 제재 등에 대해 구체적

으로 적시하고 있다 그러나「금융감독기구의설치등에관한법률」 제1조에 따르면 금

감위와 금감원이 lsquo건전한 신용질서와 공정한 금융거래관행을 확립하고 예금자 및 투

자자 등 금융수요자를 보호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에 기여rsquo해야 한다고 되어 있어

이에 근거하여 금융감독당국도 금융회사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해 규제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금융감독기구의설치등에관한법률」에는 제1조의 내용을 구체적으

로 실현할 법조항이 없어 금융감독당국은 각종 규정 및 시행세칙 등에 근거하여 금융

제Ⅲ장 은 행 137

회사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해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두 가지이다 먼저 금융회사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공

정위와 금감위의 중복규제 가능성이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그간 몇 번의 문제 제

기가 있어 왔고 최근에 공정위와 금감위가 상호협의를 통해 규제하기로 하는 등 문제

해결에 진전이 있어 왔지만 아직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떤 식으로든

이러한 중복규제 가능성은 해소되어야 할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금융감독당국에 의

한 금융회사 불공정거래행위 규제의 경우 앞서 지적한 것처럼 법에 선언적 의미의 조

항만 있을 뿐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법조항이 없어 제대로 된 규제를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중복규제 문제와는 별도로 금융감독당국이 소비자보호를 위해 불공

정거래 행위에 대한 규제를 제대로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그 근간이 될 수 있는

법규정을 정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맺는말

외환위기 이후 최근까지 우리나라 은행산업에서는 은행의 숫자가 절반 이하로 줄어

들 정도로 많은 합병이 있어 왔다 그리고 앞으로도 은행 대형화 추세에 따라 합병이

더 일어날 수도 있으며 이미 은행이 많이 대형화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앞으로 일어날

은행합병은 은행산업의 경쟁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은행합병 시 경쟁심사와 관련한 법규정이 명확하게 정비되

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물론 선진국들처럼 은행합병 심사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일도

시급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 이전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법규정부터 명확하게 정비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13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인하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9호(2007716)

은행채에 대한 유가증권 발행공시제도 개선 필요

韓 在 濬

〈요 약〉

정부는 은행채 공모 시 유가증권 발행신고서 제출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증권

거래법 시행령을 입법 고하 다 취지는 발행공시를 통하여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며 융업 간 규제의 형평성을 도모하기 한 것 등이다 그러나 은행

채가 수신업무의 연장선상에서 수시로 발행되고 있는 을 고려해 볼 때 공시

제도의 엄격한 용은 발행 시성 하 추가비용 부담 등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추후 용과정에서 투자자 보호의 취지는 보 하되 수신업무의 특성

자본시장 활성화 측면을 고려하여 련 차를 간소화하는 보완책이 마련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난 7월 3일 자본시장통합법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자본시장통합법은 증권산업과

자본시장을 발전시키는 한편 금융 투자자 및 소비자의 권익 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예

상되고 있다 한편 지난 5월에는 그동안 발행공시가 면제되던 은행채에 대한 발행공

시제도 도입을 주요 골자로 하는 증권거래법 시행령 개정안이 입법예고된 바 있다

은행채 발행이란 은행이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이다 은행은 일반적으

로 대출재원을 불특정 다수로부터의 예금수수로 조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예

금모집만으로 부족한 재원은 CD나 채권 발행을 통하여 조달하기도 한다 실제 은행채

를 통한 수신조달 비중은 2001년 40에 불과하였지만 2007년 3월말 현재 167로

급증하였다

제Ⅲ장 은 행 139

유가증권 발행신고서 제출은 자본시장에서 은행채를 매입하는 투자자에 대한 정보

공시의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은행채 발행에 대한 발행공시제도 적용은 자본시장통

합법이 추구하는 투자자보호 선진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파악될 수 있다

그러나 동 절차의 도입이 은행 수신업무의 적시성 및 채권시장 활성화와 다소 마찰

의 소지가 있다는 우려도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유가증권 발행신고서

제출의 의의와 은행채 및 은행업무의 특수성을 살펴보고 발행공시제도 적용과 관련하

여 보완책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유가증권 발행공시제도

증권거래법은 유가증권을 모집매출하고자 하는 기업의 경우 금감위에 유가증권

발행신고서를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투자자에게 발행기업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공시의 일환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절차간소화 차원에서 유가증권을 계

속반복적으로 발행하는 발행인에 대하여서는 일정기간의 모집매출 예정물량을

일괄하여 사전에 신고하고 실제 발행 시에는 발행금액 가격 등 모집조건을 기재한 추

가서류만 제출하도록 하는 일괄신고서제도도 도입되어 있다 다만 국채 지방채 및

특수법인이 발행하는 유가증권은 동 신고서 제출이 면제되고 있다

한편 은행채는 현재까지는 특수법인이 발행하는 유가증권으로 취급되어 발행신고

의무가 면제되어 왔었는데 앞으로는 여타 금융채와 동일하게 발행공시 의무를 지게

된 것이다 현재 은행채 이외의 금융채가 일괄신고서제도를 통하여 발행되고 있는 점

에 미루어 은행들도 향후 발행공시 의무화가 본격적으로 적용될 경우 일괄신고서제도

를 택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정부가 은행채에 대하여 발행공시제도를 적용하려는 데는 일반적으로 아래

의 세가지 이유가 제시되고 있다 첫째는 은행채에 대한 정보를 투자자에게 제공함으

로써 자본시장의 투자자를 보호하려는 것이다 둘째는 종금사와 여신전문사가 발행하

는 금융채에는 유가증권신고 절차가 적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은행의 금융채(은행채)

만 면제하는 것은 형평성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셋째는 은행채를 통한 과도한 차입이

시중유동성 확대를 초래하고 있어 이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14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은행채 발행증가 원인

최근 3년간 국내은행의 은행채 발행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그 수치는 2003년말에

745조원이던 것이 2007년 3월말에는 1451조원으로 늘어났다 따라서 정부가 투자

자보호를 강화하려는 것은 당연한 현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은행채 발행이 증가한 데는 저금리환경에서의 정기예금 수요 기반 약화 등

으로 수신증가세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대출의 높은 증가세를 따라가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 2006년만을 보더라도 대출은 전년 대비 169 증가한 반면에 예금은

31 증가하는 데 그쳤다 따라서 은행들은 부족한 수신을 은행채 발행으로 충당해

온 것이다 이러한 은행채 발행에 따른 시중유동성 확대의 근본적인 원인은 주택담보

대출이 증가할 수 있었던 저금리환경을 지적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것이다 한편

2007년 중에도 은행예금의 CMA 등으로의 이탈로 은행채 발행이 증가세를 지속할 것

으로 보인다

또한 은행예금 중 단기물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주택담보대출의 만기가 최근 급격히

장기화되고 있는 데 따른 여수신 간의 만기불일치 심화 해소 차원에서도 은행채 발행

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장기대출채권이 늘어날 경우 자산부채관리(ALM)차원에서

는 동 채권을 매각하거나 장기의 부채로 자금조달방법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장기대출채권 매각수단인 MBS발행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기자금 조달수단으로서의 CD나 정기예금은 그 활용에 한계가 있어 은행

채 발행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CD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할인물 발행만이 허용되

고 있어 장기물 발행 유인이 낮을 수밖에 없는 데다 저금리기조하에서 정기예금 수요

기반도 약화되어 있어 은행채가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상한 것으로 보인다

은행업무의 특수성

우리나라의 은행법 제2조는 은행업을 ldquo예금의 수입 유가증권 기타 채무증서의 발

행에 의하여 불특정다수인으로부터 채무를 부담함으로써 조달한 자금을 대출하는 것

을 업으로 행하는 것rd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은행채 발행도 예금의 수취나 CD를

제Ⅲ장 은 행 141

발행하는 것과 같이 수신업무의 연장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1)

한편 은행은 그 업무 수행과정에서 고객의 예금인출 또는 거액 대출 등이 발생할

경우 지급준비금 수준 유지 또는 자금과부족 충당 필요 등으로 수시로 수신을 유치하

여야 한다 단기에 부족한 수신을 유치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특판정기예금의 경우

고금리 제시가 불가피한 데다 한번 상승시킨 예금금리를 추후에 인하하기가 쉽지 않

아 경영수지 악화의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CD나 은행채는 시장금리 수준에서 탄력

적 자금조달이 가능하다는 점과 최근 기관투자가들의 장기물 선호와 맞물려 그 발행

규모가 늘어나고 있다

현재 국내은행들은 1년 미만의 단기자금은 CD로 1sim3년 만기의 장기자금은 은행

채로 조달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이표식 CD가 허용됨에 따라 3년 내외물 CD발행이

많은 반면 우리나라는 이표식이 허용되지 않아 은행채가 선호되는 면이 있다

미국의 투자자 보호와 공시제도 간의 조화 사례

채권시장에서 은행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투자자보호 목적의 공시 강화

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보호목적으로 감독절차가 지나치게

강화 내지 복잡화될 경우 자본시장 활성화에 역행될 소지도 있다 이로 인해 선진국의

경우 투자자보호 관련 규정을 일부 완화해주고 있어 본고에서는 미국의 두 가지 사례

를 소개함으로써 향후 은행채 발행공시제도에 필요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번째는 미국의 Regulation D에서 규정하는 적격투자자(accredited investor) 개

념의 도입이다 미국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회사채 발행에 대하여 발행공시제

도 적용을 면제해 주고 있다 일본 정부도 특정투자가를 대상으로 한 회사채 발행에

대해서는 유사한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적격투자자 범주에는 기관투

자가뿐만 아니라 일반개인도 연간소득이 20만달러 이상인 경우 포함되어 있다 이는

자본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스스로 시장정보를 획득할 능력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투자자의 경우 보호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 엄밀히 말하면 수신 성격의 은행채 발행은 CD와 마찬가지로 지준부과 대상에 포함될 필요가 있으나 현재 은행채는 지준부과 대상에서 빠져 있다

14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에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발행공시제도 적용 면제대상을 모집인 50인 이하 또는

총 발행금액 20억원 이하인 사모발행으로 한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본시장

통합법이 추구하는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미국 일본 등과 같은 적격투자자 개

념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 사례는 미국의 경우 은행채 발행에 대해서는 일반 유가증권 발행과 달리 별

도의 기준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은행이 발행하는 유가증권 관련 공시는

SEC(증권거래위원회)가 아닌 OCC(통화감독청)가 주관하고 있다 이는 미국에서는 은

행에 대한 포괄적인 감독권은 OCC에 증권시장의 감독권은 SEC에 귀속되고 있기 때

문이다 한편 OCC는 유가증권신고 절차는 원칙적으로 SEC에 준하는 수준으로 규제

하고 있으나 비전환사채(non-convertible bond)인 은행채에 대해서는 적격투자자 대

상 발행 등 5가지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모집제안서(offering document)와 부속서류

를 사후제출하는 것으로 유가증권발행 신고절차를 대신하고 있다2) 이에 따라 전국규

모 미국은행들은 수신목적의 은행채 발행과 관련된 유가증권신고절차 의무를 사실상

면제받고 있다

정책제언

자본시장통합법은 자본시장의 경쟁력 강화가 그 최종 목적일 것이다 한편 자본시

장 활성화와 투자자보호는 상호 상충되는 면을 지니고 있다 이상적인 방안은 두 목적

간의 비교평가를 통하여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즉 각 제도 도입 시 사안별로 투자

자와 발행자 간의 정보의 비대칭성 정도 투자자별 보호 필요성을 비교평가하여야

한다

금융기관의 경우 일반회사와 달리 감독당국이 경영현황을 정기적으로 감독공시

하고 있어서 금융채발행과 관련되어 투자자와의 정보비대칭 정도가 적은 상황이다

더구나 채권의 경우 주식과 달리 기관을 대상으로 주로 발행되고 있어 투자자 보호의

2) OCC의 12 CFR section 166조의 5가지 요건 (1) 미 증권거래법에 의거하여 상장된 회사 (2) 적격투자자

(accredited investors) 대상 발행 (3) 발행금액이 미화 25만달러 이상 (4) 투자적격 등급 채권 (5) 채권 발행 시 투자자에게 offering document(발행조건 판매채널 경영현황 포함)와 Call Report(은행 경영 관련 보고서) 제공

제Ⅲ장 은 행 143

실익도 상대적으로 낮다 반면 채권시장은 주식시장보다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하

고 있어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련절차를 간소화해야 할 필요성이 오히려 높다 따라서

발행공시 절차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수신업무의 연장선상에서 수시로 발행되어야 할

금융채 발행의 적시성을 잃게 된다면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향후 은행의 은행채 발행 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현행 일괄신고서제도의

경우 기 승인범위 내의 채권발행에도 건별로 추가서류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매

발행 시마다 이사회 소집 및 기관장의 서명을 요구하고 있어 그 절차가 번잡하다 특

히 은행채의 경우 그 발행이 여타 금융채보다 빈번하여 동 절차를 준수토록 하는 것은

발행절차를 지나치게 번잡하게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국내은행이 발행하는 은행채

가운데 후순위채나 신종자본증권이 아닌 수신 목적의 금융채에 대해서는 관련절차를

보다 간소화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한편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미국과 일본에서 채택되고 있는 적격투자자 개념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채권시장의 발행유통을 촉진시키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도 또 다른 시급한 과제로 판단된다

14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30호(2007723)

자본시장 중심의 기업금융발전과 은행의 리엔지니어링

具 本 星

〈요 약〉

융구조개 을 통해 융시스템의 안정화 건 성이 회복된 데 힘입어

자본시장의 성장 발 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본시장 심으로 기업 융이

환되고 있다 자본시장형 기업 융은 투자기회 확 와 투자자의 참여를 진

할 수 있도록 투자 험을 분산하거나 결합하고 연계할 수 있는 복합 융을

통해 발 된다 이를 비하여 은행은 자본시장형 상품을 극 활용하여 계

융 투자 융업무를 확 하는 략 리엔지니어링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해 상품 리자로서의 생산역량을 강화하고 그룹이나 제휴기 과의 공동마

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기능 형태의 조직 인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한 감독 측면에서는 기업정보의 공유 사모방식의 자 조달에 있어서 업종

간 차이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

자본시장의 성장은 융시스템 발 의 필수단계

대기업 및 수출기업의 수익호조에 따라 국내기업의 자금조달이 은행권으로부터 계

속 이탈되고 있다 2001년 이후 대기업에 대한 부채비율 규제에 따라 회사채 상환이

확대되고 내부자금에 의한 설비투자가 증가하면서 금융기관에 대한 제조업의 차입의

존도가 급격히 낮아져 왔다 이러한 은행권으로부터의 이탈현상은 대기업뿐만 아니라

우량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 우량 자영업자에까지 급속히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성장기업이나 SOHO 기술기업 및 소기업의 경우에도 금융기관에 대한 차입

제Ⅲ장 은 행 145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으며 벤처캐피탈이나 사모펀드 등 비정형 금융회사를 통해 자금

조달을 다양화하고 있다 상품측면에서도 대출형에 비해 자본형복합형(mezzanine)

자금조달에 대한 유인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국내기업의 자금조달 행태

및 유인이 이미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금융시스템으로 상당히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

고 있다고 하겠다

본고는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금융시스템의 성장 및 발전에 따른 은행권의 기업금융

운용방향을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자본시장형 기업 융시스템의 핵심은 복합화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시스템의 성장 및 발전은 투자기회 및 투자자의 참여를 촉진시

킬 수 있는 복합형 신상품(hybrid financing) 개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금융상

품의 복합화는 일반적으로 투자위험의 결합(pooling) 분리(stripping) 및 연계(bundl

-ing)를 의미한다 투자위험의 결합은 다양한 투자자산을 묶음으로써 투자위험을 분

산시키거나 완화하는 형태로서 신용파생상품(CDO 또는 CLO) 자산담보부증권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 분리를 통한 신금융상품은 구조화금융 개발에 주로 활용되며 장

기투자위험을 제거하거나 자금조달 기반을 확대하는 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위험선

호의 차별화에도 활용된다 연계상품은 투자위험의 완화보다는 기업의 자금조달 기회

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여신형 및 자본형 자금조달을 병행하는 형태로서 일반대출과

주식의 병행발행 대출과 후순위사모사채의 동시인수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복합화 방식에 의한 신상품 개발은 기존의 간접금융 형태로 이루어진 자산에

대한 위험의 완화 또는 분산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간접금융과 직접금융시장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증권화는 기존 대출채권의 신용위험을 줄여줄 뿐만 아

니라 신규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투자자 입장에서는 위험

-수익 간 상충관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투자기회가 확대된다는 점에서 자본

시장의 저변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간접형 금융회사는 복합화를 활용하여

기업과의 관계금융을 확대시킬 수 있으므로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으로의 전환에 적극

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14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계 융 진을 한 리엔지니어링 강화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으로의 전환과 복합화에 대비하여 은행은 기업금융의 리엔지

니어링을 추진할 수 있는 여건과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과거에 기업금융의 리엔지니

어링은 여신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대출자산의 매각이나 여신만기의 재조정 등에 중점

을 두었었다 그러나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에 대비한 리엔지니어링은 자본시장의 상품

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업과의 관계금융을 강화하는 데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또

한 복합화에 의한 리엔지니어링은 기업금융서비스의 형태 및 범위를 다양화할 뿐만

아니라 기업금융을 통한 수익기반을 유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업무영역 확보에도 유

리할 것이다

상품 리자조직의 마련 인력의 확충 긴요

은행은 기업금융의 리엔지니어링을 촉진하기 위해 상품관리자(product manager)

조직을 마련하고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상품관리자조직은 여신형 자금조달과 증권형

자금조달에 관하여 영업측면뿐만 아니라 전사적 위험관리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관리

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권한과 인력을 갖춘 조직을 의미한다 특히 상

품관리자조직은 기업의 자금조달 수요 여신전략 및 여신포트폴리오 위험관리를 총괄

하는 종합기업금융서비스를 기획할 뿐만 아니라 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상품관리자조직의 상위 의결기관은 전문은행의 경우 CFO 또는 여신담당 임원

CRO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로 운영될 수 있다 금융그룹의 경우 증권자회사 및 은행

자회사의 투자업무 담당임원이 참여하는 형태로 운영되거나 증권자회사의 투자은행

담당임원 중심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품관리자조직은 기업고객에 대한 종

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계업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은행의 기업금

융과 증권사의 투자금융 업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권한과 역량을 가질 수 있

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품관리자조직에 속한 일선 영업지점에 있는 상위

RM이나 대기업 담당 RM과의 의사소통채널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능적으로 조직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제Ⅲ장 은 행 147

공동제휴 마 에 의한 시 지 창출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은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복합화를 촉진하는 형태로 진행되

어 왔다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중반 이후 Section 20에 의해 허용된 자회사를 통해

인수업무를 확대해 왔고 일본의 경우에도 1992년 금융개혁법이 자회사를 통한 인수

업무를 허용함에 따라 여신업무와 인수업무의 결합이 확대되어 왔다 이러한 결합현

상은 1987년 규제완화를 통해 상업은행의 인수업무를 허용한 캐나다의 경우에도 마찬

가지이다

여신업무와 인수업무의 결합은 이해상충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

보호를 위한 마케팅이나 서비스 측면의 제약이 상당히 많았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여신 및 인수의 결합에 따른 이해상충 문제는 전반적으로 완화되고 있는 것으

로 평가되고 있다 이는 투자자에 의한 감시기능이 확대되고 내부통제시스템에 대한

감독강화 등 제도적 개선에 따른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여신업무와 인수업무의 결합

은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을 낮추고 기업에 대한 정보창출 유인을 높여 관계금융의 확

대와 건전성 제고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복합화를 통해 기업금융서비스가 확대될 수 있도록 이해상충에 대한 적절한

통제장치가 확보된다면 그룹 내 또는 제휴기관 간 공동마케팅이나 공동인수를 적극

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향후 은행의 종합기업금융서비스는 여신본부와 증권자회

사 또는 자회사의 투자금융부서 간에 효율적인 협력체제가 구축될 때 상품 및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은행들이 공동마케팅이나 제휴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상품중심의 기업금융서비스 조직을 부가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은행의 정보생산자 역할은 계속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

한편 정보생산 측면에서 은행은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유

지할 필요가 있다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복합화를 추진할 수 있

14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는 상품개발 기능에 있으나 이러한 기능은 간접금융시장의 여신자산을 활용할 경우

에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글로벌 금융그룹의 기업금융과 투

자금융 간 결합이나 유럽을 중심으로 한 신용파생상품의 급속한 성장은 은행의 중소

기업대출 확대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반면 은행의 기업금

융서비스가 단기운영자금 대출이나 소규모기업에 국한될 경우에 자본시장과의 연계

성 확보도 제한될 소지가 있다 특히 은행이 초기 정보생산에만 주력하거나 투자자로

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서비스를 통한 시너지 창출은

제약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자본시장형 기업금융에 대비한 전략적 리엔지니어링의

성패는 상품공장(product factory)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업고

객 기반을 얼마나 지속적으로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하겠다

규제 감독의 유연성을 높일 필요

기업금융의 복합화 촉진을 위해 규제 및 감독 측면에서도 탄력적으로 접근할 필요

가 있다 신상품 개발을 위한 업종 간 협력 및 연계활동을 강화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

서 조직체계와 상관없이 관련 기업에 대한 정보공유나 제휴마케팅을 위한 정보공유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모형태의 복합상품 개발이 확대될 수 있도록 사모시장에

대한 업종 간 업무영역 또는 규제수준의 차이는 점진적으로 해소할 필요가 있을 것이

다 예컨대 사모방식 자금조달의 경우 자기자본 대비 일정비율 한도 내에서 인수형 업

무를 허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제Ⅲ장 은 행 149

딜로이트컨설팅 코리아 전무(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1호(2007730)

국내은행의 경영진 스톡옵션제도 개선방안

金 愚 珍

〈요 약〉

외국과 다른 국내 융풍토하에서 스톡옵션이 경 진에 한 합한 보상

수단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특히 스톡옵션은 높은 버리지 특성 때문에

행사가격이 지나치게 낮게 설정되어 있거나 경 성과와 무 하게 부여수량이

확정되는 경우 보상수 을 지나치게 높일 수 있다 국내은행이 경쟁우 를 확보

하기 해서는 경 진 보상수 이 로벌 스탠더드까지 지속 으로 개선되어

야 하나 경 진 인센티 제고는 총 보상패키지에서 단기성과 이 차지하는

비 을 높임으로써 우선 으로 해결하고 스톡옵션제도의 범 한 용은

장기 에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구체 으로는 스톡옵션 부여

시 이나 부여방식 변경 사외이사 감사에 한 스톡옵션 부여 제한 스톡

옵션 부여에 한 심사 공시 강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스톡옵션제도는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있는 상황에서 기업 소유자가 아닌 경영자

가 자발적으로 기업 가치를 증대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스톡옵션제도는

자금력이 부족한 기업의 우수인재 유치 소유경영분리 기업의 대리인 비용 축소 등

긍정적 측면에서 기업발전에 기여하였으나 제도 도입 과정에서 자신의 성과와 무관

하게 대규모 스톡옵션을 받아가는 사례도 발생하였다 스톡옵션제도가 오용될 경우

단기 주가부양을 위해 외형위주의 경영에 주력하고 위험도 높은 투자 등 무리한 경영

을 할 소지가 있고 스톡옵션을 부여받기 위해 성과목표 수준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주

가관리 및 회계조작의 유인이 증대된다

15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더욱이 은행의 경우 주가회복은 공적자금 투입에 의한 구조조정 효과에 힘입은 바

크므로 최근의 스톡옵션 행사는 외부적 요인에 크게 기인한다 또한 많은 경영진들

이 성과와 관계없이 단임에 그치고 있어 경영진 재임시기와 스톡옵션 행사시기 간에

시차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본인의 경영성과와 무관하게 퇴임 후 스톡옵션으로 크

게 보상받는 사례가 발생한다 즉 경영진의 장기재임을 전제로 하여 장기성과급의 일

환으로 스톡옵션제도가 운영되어야 하나 장기재임이라는 전제 자체가 성립되지 못함

으로써 근본취지가 퇴색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은행의 스톡옵션제도 관련 이슈를 살펴보고

추가적으로 제도개선이 필요한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행 스톡옵션제도의 문제

대리자 이론(agency theory)에 따르면 CEO의 복지(welfare) 수준과 주주의 부

(wealth)를 연결시켜 주는 보상정책은 CEO의 다른 행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적

사회적 비용과 편익을 적절하게 조정시켜 줌으로써 CEO로 하여금 주주가치에 부합하

는 행동을 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따라서 장기 재임하는 CEO의 경우 스톡옵션

과 경영성과 간 연계가 높을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장기재임 관행이 확립되지

못함에 따라 스톡옵션과 경영성과 간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특히 행사가격이 지

나치게 낮게 설정되어 있거나 경영성과와 무관하게 부여수량이 확정되어 있는 경우

스톡옵션을 통한 보상수준이 지나치게 높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은행의 경우 대부분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을 도입하였으나 목

표치를 쉽게 달성할 수 있도록 설정함에 따라 성과가 탁월하지 못한 경우에도 스톡옵

션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즉 해당 기업이 이미 달성하였거나 현재 충족하고 있는

수준을 목표치로 설정하여 성과연동형식으로 운영하는 사례가 있으며 경영진의 성과

목표치도 경영진의 역량이나 노력보다는 시장 상황이나 여건에 좌우되는 값을 설정하

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나 고정이하여신비율 등 은행의 건

전성지표는 적정 수준으로 통제되어야 할 은행경영의 필수요소인 만큼 경영진의 성과

평가 지표로 활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Ⅲ장 은 행 151

또한 스톡옵션 부여의 적정성을 심사하고 견제해야 할 사외이사 감사 등이 스톡옵

션을 받는 사례도 다수 발생하여 경영진의 보상체계가 주주가치와 부합되지 않는 방

향으로 설계될 가능성이 있다 국내은행의 경우 감사 및 사외이사에 대한 스톡옵션 부

여가 증권사나 보험사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특별한 대주주가 없어 주

주에 의한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지주회사 은행 등의 경우 감시기능 강화가 필요함

을 역설적으로 말해 주고 있다 또한 주주총회에서 스톡옵션 부여의 적정성에 대하여

심도 있는 검토도 이루어지지 않는 등 스톡옵션 부여에 대한 주주의 통제장치가 미흡

하다 미국의 경우 사외이사 및 감사에 대한 스톡옵션 부여를 법으로 제한하고 있지는

않으나 사외이사가 직접 기업가치 상승에 기여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지급되

는 사례는 많지 않다

현재 사업보고서에 스톡옵션 부여 현황이 명시되고 있으나 사업보고서에 기재된

내용만으로는 스톡옵션 행사로 인한 향후 주가 영향을 쉽게 파악하기 곤란하다 또한

스톡옵션 부여 및 행사 내용에 대하여 수시 공시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있으나 공시

내용이 투자자(또는 주주)가 참고할 만한 수준이 되지 못해 시장의 감시기능도 약한

상황이다

제도개선의 기본방향

경영진의 장기재임 풍토가 확립되지 못한 국내 금융여건하에서 스톡옵션의 행사로

본인의 성과와 무관하게 과다한 보상을 받는다면 사회적 비난에 직면할 수 있다 이는

스톡옵션의 본질상 레버리지가 매우 크고 주식가치의 변화분 중에서 경영자의 능력과

무관한 부분을 분리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데 기인한다 따라서 장기성과가 경영진의

인센티브체계에 반영될 수 있도록 단순한 형태의 스톡옵션을 지양하고 스톡옵션의 부

여시기 및 방법 종류 등을 다양화함으로써 지금보다 정교한 스톡옵션이 설계되어야

한다

경영진에게 부여하는 스톡옵션의 경우 무엇보다도 전체 보상 패키지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비중을 제대로 고려해야 한다 기본급과 보너스 형태의 단기성과급 그리고 스

톡옵션으로 구성되는 보상체계의 구성요소 간 균형 감각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비교

15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적 안정적 성장을 추구하는 은행산업의 경우 스톡옵션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을 필요

는 없을 것이다 반면에 은행이라도 특정 사업부문이 실패하여 내부구조개혁을 단행

해야 한다면 경영진에게 많은 규모의 스톡옵션을 부여함으로써 성과향상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개별 금융회사가 처한 환경변수에 따라서 임직원에 대한 보상패키지가 결정되

어야 하고 스톡옵션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사

회 산하의 보상위원회(compensation committee) 역할이 중요하다 보상위원회는 외

부전문가의 조언 등을 바탕으로 경영진의 보상체계를 결정하고 이를 공시할 책임이

있다 공시 과정에서도 법적 기준을 충족시키는 데 그치지 말고 경영진의 보상체계 전

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특히 스톡옵션의 경우 부여근거에 대하여 주주 및 투

자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 필요가 있다 영미식 지배구조를 채택한 선

진 금융회사의 경우 복잡한 수식보다는 단순한 그림과 차트를 활용하여 경영진 보상

체계를 사업보고서에 설명하고 있다

구체 인 개선방안

국내 은행산업에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CEO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어 있지 못하다

스톡옵션은 시장에서 능력이 검증된 CEO에 대하여 영입 이후 과거의 평균 경영실적

이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유인하는 보상방식이다 그동안 부임초기부터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방식이 관행적으로 실시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연임 또는 중임되는 시점부

터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초 선임기간 동안의 높은

경영성과를 바탕으로 스톡옵션 행사가격이 산정될 것이므로 도덕적 해이의 발생가능

성이 매우 낮다

국내 스톡옵션 운영상 문제점 중 하나는 경영진의 단기업적주의 지향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스톡옵션의 성과지급이 주가에 연동됨으로써 지급규모가 주가에

따라 크게 변동되는 불확실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스톡옵션을 부여하더라도 부여 시

점의 주가를 기준으로 일정비율 이상으로 행사가격을 정하거나 행사가격을 정기적으

로 일정비율 상향조정하는 할증스톡옵션(premium stock option)도 고려할 필요가 있

제Ⅲ장 은 행 153

다 또한 스톡옵션의 단점을 줄이면서 스톡옵션 대상자와 주주의 이해관계를 일치시

킬 수 있는 주식보상(stock grant)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

감사와 사외이사에 대한 스톡옵션 부여는 경영진에 대한 스톡옵션 부여 관련 감시

기능을 위축시킬 수 있으므로 가급적 명확하게 경영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지 않는

한 스톡옵션 부여를 자제토록 권고하고 스톡옵션이 아닌 다른 형태의 성과보상 도입

을 고려해야 한다 감사 사외이사와 같이 성과측정이 용이하지 않은 직급에 대해서는

현금 주식부여 방식 등이 더 적합한 보상체계라고 판단된다

스톡옵션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톡옵션 부여대상이 아닌 사외이사로 구성

된 보상위원회에서 스톡옵션 부여의 적정성을 심도 있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는 주

주 추천 전문가로 구성된 스톡옵션 부여 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이의 심사를 거치도

록 하며 심사위원회의 심사결과를 주주총회에 함께 보고토록 하는 방안도 가능할 것

이다 사업보고서 제출 시 스톡옵션 잔여 주식수 및 잔여주식 가중평균 행사가격(고정

형)을 보고하도록 하고 이를 금감원 및 거래소 공시시스템을 통해 공표하도록 유도해

야 한다 스톡옵션 부여사실을 공시할 때 해당 스톡옵션의 공정가치 스톡옵션 피부여

자의 현 직위(대표이사 사외이사 감사 등) 스톡옵션 피부여자별 보수 대비 스톡옵

션 공정가치의 비중 등이 공시되도록 제도개선이 요구된다

15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7호(2007917)

유니버설 은행의 역할에 대한 기대

金 資 峯

〈요 약〉

유니버설 은행은 크게 유럽식 내부겸 과 미국식 외부겸 (지주회사방식)으로

나뉘는데 수익성과 건 성의 측면에서 체계 으로 외부겸 이 더 우월한 결과

를 낳는다 따라서 융 빅뱅을 해서는 증권사 심의 형화와 내부겸

확 보다는 지주회사를 통한 은행과 증권사 간 결합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겸업의 상과 범 등은 융산업 건 성이 훼손되지 않는 가

운데 결합 상 간 험분산효과 여부 등 상호보완성을 분석하고 이에 기 하

여 결정되어야 한다

최근 유니버설 은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자본시장의 발전을 위한 수단으

로서 유니버설 은행의 활성화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유니버설 은행은 은행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증권업

무의 효율화 및 자본시장 빅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금융시장의 상품개발

및 위험관리 능력이 충분하지 않은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유니버설 은행은 시너지효과

를 낳는 등 편익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유니버설 은행의 정의

유니버설 은행은 은행업과 증권업을 동시에 영위하는 은행을 지칭한다 Saunders

제Ⅲ장 은 행 155

amp Walter(1994)1)에 의하면 유니버설 은행이 영위하는 업무범위는 여수신업무 외환

업무 증권인수 매매중개 자산관리 및 보험업 등을 포괄한다 전통적인 유니버설

은행(classic universal bank)은 19세기 중엽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스칸디나비

아국가에서 비롯되었다 이들은 당시에 이미 증권업무와 예금업무를 겸영하였다

Anglo-Saxon의 전통에서는 미국의 1920년대를 제외하고는 은행업과 증권업의 겸영

은 허용되지 않았다 미국에서는 1864년 은행법(National Banking Act of 1864)과

1933년 Glass-Steagall 법에 의하여 은행업과 증권업의 분리 및 금융자본과 산업자

본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9년 Gramm-Leach-Bliley법의 제정으로 자회사 고유업무 범위의 제한

이 없는 가운데 은행업과 증권업의 겸업은 지주회사제도를 통해 가능해졌다 지주회

사는 그 자체가 새로운 유형의 투자은행(new type of universal bank)이 되었다 전통

적인 유니버설 은행은 은행업과 증권업을 동일한 금융기관에서 내부겸영(in-house)

을 통해 제공하는 반면 새로운 유형의 유니버설 은행은 다양한 고유업무를 각기 다른

자회사를 통해 제공한다 특히 전통적인 유형에서는 업무조직은 하나로 결합되지만

업무기능은 방화벽(firewall)에 의해 분리되며 새로운 유형의 업무조직은 서로 다른

법인(legal entity)로 분리되지만 업무기능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다

외국의 사례

유니버설 은행의 형태는 국가별로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이론적으로 가장 완벽한 형

태의 유니버설 은행은 은행 증권 보험 및 기타 금융업을 완전히 통합(full integration)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이러한 예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이론적인

유형에 가장 가깝다고 평가받는 독일의 경우 은행증권업을 내부겸영하는 상업은행

이 보험 모기지은행 등을 자회사로 거느린 형태를 지닌다 독일과 같은 유형을 채택

하고 있는 나라로는 프랑스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이 있다 영국의 경우에는 은행이

증권 보험 등 자회사를 거느리는 방식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지주회사가 은행 증권

보험업 자회사를 거느리는 방식이다

1) Saunders A and Ingo WalterldquoUniversal Banking in the United Statesrdquo Oxford Univ Press 1994

15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국내의 겸업 황

현재 국내 겸업화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체 금융권역 즉 은행업 증권

업 보험업 등 가운데 겸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가 없다2) 또한 2000년 금융지주회

사법이 제정됨으로써 지주회사를 이용한 겸업이 업무 비중의 제한 없이 허용되었다

이는 국내에서도 전통적 유형뿐만 아니라 새로운 유형의 유니버설 은행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물론 국내에서는 여전히 금융기관간 전업주의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대출의 겸영

은 허용하지만 예금의 겸영은 허용하지 않는 것이나 은행의 유가증권 매매업무를 일

부 한정하는 것 등이 바로 그러한 전업주의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2009년 시행예정인 자본시장통합법은 증권사(금융투자회사)로 하여금 지급

결제업무를 겸영하도록 허용함으로써 금융기관간 고유업무 겸영의 범위를 더욱 확대

하였다 지급결제업무의 겸영으로 예금업무겸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증권사의 은행업

내부겸영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전업주의는 사실상 부정된다

이와 같이 겸업이 급속히 확대되는 상황에서 내부겸영과 외부겸영 가운데 어느 방

식이 수익성과 건전성의 측면에서 더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겸업

방식은 금융기관간 경쟁구조 시스템안정성 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내부겸 과 외부겸 의 비교

내부겸영과 외부겸영 즉 유럽식과 미국식의 두 유니버설 은행의 유형은 수익성 및

건전성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2007년 7월 자기자본(tier one capital) 기준으로

두 유형을 대표하는 상위 50개 은행을 각각 선택하여 건전성을 나타내는 자산대비 자

기자본 비율을 보면 유럽식은 379인 데 반해 미국식은 701로 거의 두 배에 이른

다 영업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소득대비 비용비율(cost to income ratio)은 유럽식이

585이며 미국식은 5347이다 ROA의 경우 유럽식은 평균 082인데 미국식은

197로 두 배 이상이다 BIS비율은 유럽식 은행의 경우 115인데 미국식에서는

2) 손상호「금융겸업화의 바람직한 방향」『주간금융브리프』 한국금융연구원 20061

제Ⅲ장 은 행 157

142이다 ROE의 경우 유럽식은 155인데 미국식은 175이다

더미변수 분석을 이용한 추정결과 지주회사방식이 ROA에 미치는 영향의 추정치는

027 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외부겸영방식은 내부겸영방식에 비하여 체계

적으로 더 높은 이익률을 실현시킨다는 것이다

왜 이와 같은 체계적인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가 유니버설 은행의 가장 큰 장점은

범위의 경제이다 유럽식과 미국식은 모두 범위의 경제효과를 창출한다 하지만 그

크기에 있어서는 차이가 존재한다

그 이유는 우선 내부겸영의 경우 업무부문간 상호의존성이 높아 각 부문의 전문성

이 상대적으로 낮다 특히 투자은행업에 대한 혁신성이 외부겸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게 된다 이에 따라 대출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의 약화를 야기하고 투자은행

부문의 증권인수에 대한 인센티브를 약화시키는 역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모니터링

이 약화되는 경우 기업은 예정된 투자계획보다는 다른 목적의 지대(private rents) 추

구 유인을 갖게 되어 이해상충을 야기할 수 있다 결국 유니버설 은행의 경쟁력을 크

게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외부겸영 방식에서는 부문간 독립성이 높고 혁신성과 전문성에 기초한

다양한 금융상품이 제공된다 또한 방화벽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독일식의 경우에

비해 은행업과 증권업이 독립된 법인(자회사)으로 구분되는 조직구성 원리에 의해 업

무장벽과 시너지효과간 상충문제를 야기함이 없이 이해상충의 여지가 보다 명확히 해

소된다 동시에 외부겸영은 지주회사를 통해 하나의 지붕효과(one roof effect)를 발

휘함으로써 외부겸영과 마찬가지의 범위의 경제효과를 실현한다

정책 시사

이러한 분석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무엇일까

우선 최근 국내에서는 자본시장통합법을 계기로 전업주의와 겸업주의(지주회사제도

와 내부겸영이 동시에 나타난 형태)가 혼재된 상황인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이

다 금융산업 건전성 규제원칙이 훼손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가운데 지주회사제도의

장점은 살리고 내부겸영의 문제점을 최소화시키는 방향으로 정리가 될 필요가 있다

15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둘째 내부겸영을 추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하며 겸영하고자

하는 업무영역 간 상호 보완성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은행업과 증권업은 업무

성격에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은행업은 신용을 인수(credit underwriting)하며 증권

업은 위험을 인수(risk underwriting)한다 두 인수업무의 위험에 대한 태도는 상당히

다르므로 두 업무의 단순한 결합은 그 자체가 큰 의미를 갖기는 힘들다 상호보완성

의 크기를 추정함으로써 결합이 위험분산효과를 낳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주회사방식의 상대적 우월성은 자본시장 빅뱅을 위해서는 은행의 역할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증권사들만의 결합은 단순위탁

업무 지급결제 및 예금업무(CMA) 등 retail서비스로의 편중 등 유럽식 내부겸영의 문

제점을 반복할 수 있다 다만 금산분리원칙과 관련 증권자회사 지분에 대한 원칙을 설

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증권자회사의 신규설립이 더 바람직할 수 있

다 또한 증권시장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미국지주회사제도의 경과규정처럼

한시적으로 지주회사의 일정 수준 증권 중개업허용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은행과 증권의 외부겸영방식 결합은 은행의 네트워크에 주목해야 하고 지주

회사는 그 자신 유니버설 은행으로서 위상을 잡아야 한다 1920년대 미국은행들이 증

권업겸영으로 증권서비스 수수료가 기존 증권사에 비해 14로 감소한 것은 바로 네트

워크효과에 따른 것이며 이 효과가 지주회사방식의 성과를 결정한다

제Ⅲ장 은 행 159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0호(20071015)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규제 완화는 필요한가

李 秉 允

〈요 약〉

최근 외국자본의 국내은행 소유가 늘어나면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규제를

완화하자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시장에서 자원배분과 기업구조조정

의 주체인 은행을 그 상인 기업이 소유할 경우 효율 자원배분이 해될

뿐 아니라 기업간 불공정경쟁 이해 계자들간 이해상충 문제까지 발생하

는 등 폐해가 커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미국

등 선진국도 법으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제한하고 있고 세계 100 은행을

조사해 본 결과 산업자본 최 주주 지분이 우리나라에서 한도로 규정하고 있

는 4 미만인 은행이 83나 되었다 즉 실 으로 산업자본이 선진 은행들

의 주인이 되는 사례는 매우 다고 할 수 있다 그 다면 외국자본이나 산업

자본 이외에 우리나라 은행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자본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안으로는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으로 규모가 커질 것으로 기 되는 융자본

을 들 수 있다 재 우리나라 재벌들이 계열기업을 융그룹과 일반기업그룹

으로 분할하면 분리된 융그룹도 은행의 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ldquo비금융주력자는 제15조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금융기관의 의결권있는 발행주

식 총수의 100분의 4(지방금융기관의 경우에는 100분의 15)를 초과하여 금융기관의

주식을 보유할 수 없다rdquo

우리나라 은행법 제16조의 2 제1항의 내용이다 여기서 ldquo금융기관rdquo이란 은행을 지

16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칭하는데 바로 이 규정 때문에 우리나라 기업은 돈이 아무리 많아도 은행주식을 사서

은행의 주인이 될 수 없다

최근 들어 이 법조항을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 제기되고

있는 정도가 아니라 그러한 방향이 당연하고도 바람직한 것인 것처럼 얘기되고 있다

우리 기업이 은행을 소유하지 못하도록 하는 반시장적 규제 때문에 엉뚱하게 외국자

본들이 우리나라 은행을 가져가고 있으니 외국자본에 우리 은행들을 더 빼앗기기 전

에 어서 이 법을 고쳐 ldquo우리나라 사람인rdquo 기업들이 은행을 갖게 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법으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제한하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터인데

단지 대안이 없다는 이유로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해주자고 주장하는

것은 좀 무리가 있어 보인다 이러한 주장을 하기 전에 먼저 왜 이러한 법조항이 생겼

는지 그 이유를 꼼꼼히 따져보고 또 금융이 잘 발달된 선진국들은 어떤 상황인지 자세

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은행 인수 주체로 산업자본 이외에는 전혀 대안이 없

는지도 깊이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들을 따져보고 나서야 과연 산업자본

이 은행을 소유해도 좋은지 아닌지 결론을 맺을 수 있을 것이다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불허 이유

왜 하필 은행일까 우리나라에서 재벌들은 모든 업종에 거의 다 진출해 있다고 해

도 과언이 아니다 자동차 컴퓨터 반도체 의류 백화점 할인점 영화 아파트 보

험회사 증권회사 호텔 패밀리레스토랑 등등 재벌이 진출하지 않은 산업을 찾기가

어렵다 그런데 오직 하나 은행만은 재벌이 진출하지 못하고 있고 아예 재벌이 진출

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막고 있다 도대체 왜 그랬을까

그 첫 번째 이유는 은행이 시장경제시스템에서 자원배분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하기 때문이다 은행은 대출을 해주기 전에 미리 기업의 신용 및 사업전망을 평가하여

가장 생산성이 높은 사업부터 대출해 줌으로써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또 대

출받은 기업에 대해서는 사후에 철저히 감시를 하고 부실 가능성이 보이면 돈을 떼이

기 전에 자금을 회수하는 등 부실기업에 대한 상시적 기업구조조정의 역할도 수행한

다 우리나라가 1997년말 금융위기를 맞게 된 것은 은행이 이와 같은 역할을 제대로

제Ⅲ장 은 행 161

수행하지 않았던 데에도 큰 원인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당시 은행들이 기업에 대

한 평가를 제대로 하지도 않고 부실한 기업에 대규모 대출을 해주고 사후관리도 제대

로 하지 않아 엄청난 부실이 누적되었는데 이것이 금융위기 발발의 한 원인을 제공한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효율적 자원배분과 상시적 기업구조조정의 주체인 은행을 그 대상인

산업자본이 소유하거나 지배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특정 기업이 소유한 은행이 그

기업이나 경쟁기업 또는 잠재적 경쟁자인 수많은 기업에 대한 대출 시 제대로 된 사전

심사나 사후 모니터링을 할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효율적 자원

배분이 저해되어 자원이 낭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지 못하게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은행이라는 회사의 특성

때문이다 은행은 자기 돈보다는 주로 남의 돈으로 사업을 하는 회사다 2005년말 기

준으로 우리나라 제조업의 평균 자기자본비율은 498에 달하는 반면 국제결제은행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 BIS)이 은행의 안정적 경영을 위해 권고하는

자기자본비율 기준은 위험자산 대비 8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은행이 망해도 대주

주의 부담은 제조업에 비해 훨씬 적어 은행은 기본적으로 위험사업을 추구할 가능성

이 높다 그런데 은행이 부실해지면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해쳐 경제전반에 엄청난 악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은행의 주주뿐 아니라 은행고객과 나아가 모든 국민에게 비용

부담을 가져오기 때문에 은행은 오히려 제조업체보다 훨씬 더 안정적으로 경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은행을 소유경영하는 사람은 제조업체를 소유경영하는 사람보다 안

정 경영을 추구하는 성향이 훨씬 더 높아야 하는데 제조업체 등 산업자본은 일반적으

로 높은 위험을 부담하면서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성장을 도모하는 특징

이 있어 이들이 은행을 소유경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지 못하게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중요한 것은 불공정경쟁의 방지이다 기업이 은행을 소유하면 은행을 소유하지 못

한 기업과의 경쟁에서 근본적으로 우위를 점하게 되어 공정경쟁에 문제가 생기게 된

다 은행은 수많은 기업에 대출을 해주면서 기업정보를 얻게 되므로 정보의 집중처라

고 할 수 있다 또 기업이 소유한 은행은 그 기업의 자금조달의 원천이고 적대적 MampA

위협이 있을 때 백기사가 되어줄 수도 있다 이러한 은행을 소유한 기업과 그렇지 않

16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은 기업간의 공정경쟁은 애시 당초 생각하기 어렵다

또한 산업자본이 소유한 은행은 보유자산을 계열기업을 위해 운용함으로써 지배대

주주와 소액주주고객 간 이해상충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금융회사를 매개로 한 계열기업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는 대기업집단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이해상충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다른 나라의 사례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산업자본의 은행 소유는 폐해가 너무 많아 불허하는 것이 바

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렇더라도 소유를 규제하는 것은 자본주의 경제에서

문제가 있으므로 소유는 허용하되 금융감독을 철저히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주

장이 있다 하지만 첨단 금융기법의 등장으로 금융감독을 회피하는 다양한 우회지원

방법이 나오고 있어 대주주의 불공정 행위를 금융감독만으로 규제하는 것은 효과적이

지 않고(ineffective) 또 이러한 모든 우회지원 방법들을 완벽하게 감독하려면 비용

도 많이 들어 효율적이지도 않다(inefficient)고 할 수 있다

하물며 금융감독에 관한 한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고 할 수 있는 미국의 경우

에도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게 한 후 금융감독을 통해 폐해를 방지하는 방식을 사

용하지 않고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법으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원천적으로 규제하

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미국에서 은행을 지배하는 회사는 은행이 아닌 회사

주식을 신규 취득할 수 없고 설립 2년 후에는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이외의 회사 지분

소유도 금지되며 은행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업무 이외의 업무 영위도 금지된다(12

USC sect1843 (a) (1)(2) 12 USC sect1843 (c)(8)) 즉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미국 이외에 다른 나라들의 경우에는 법으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금지하는 나라

도 있고 그렇지 않은 나라도 있다 하지만 실제로 은행들의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대체

로 산업자본이 은행의 주인인 경우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세계 100대 은행의 주

주 현황을 분석해 본 결과 산업자본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우리나라에서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한도인 4 미만인 은행이 83개에 달하였다 즉 대부분 세계 유수 은행들의

제Ⅲ장 은 행 163

경우 산업자본 지분이 미미한 실정이었다 또한 4 이상 은행지분을 가지고 있는 산

업자본들도 대부분 투자회사나 정부계 펀드 등인 경우가 많아 제조업 등을 영위하는

기업이 은행을 소유한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허용 주장 논거

지금까지 알아본 바와 같이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는 폐해가 많아 바람직하지 않고

실제로 선진 은행들의 사례도 극히 미미하여 현실적으로도 잘 일어나지 않는 일이라

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허용하자는 주장이 꾸

준히 나오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만 유독 은산분리를 완화해야 할 뚜렷한 이

유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은산분리 완화를 주장하는 쪽의 논리는 다

소 빈곤해 보인다 우리나라 은행을 자꾸 외국자본이 가지고 가는데 산업자본 이외에

는 국내자본의 대안이 없으니 돈을 많이 쌓아두고 있는 산업자본이 은행을 인수할 수

있게 해주자는 것이 은산분리 완화를 주장하는 쪽 논리의 요지이다 은행을 인수하려

는 주체가 정말 은행을 잘 경영해서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발전 나아가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따지기보다는 그냥 은행을 인수할 돈이 있으니 은행을 주자

는 것은 논리로서는 너무 미약하다

또 우리나라 대기업집단이 세계적인 기업을 많이 만들어 냈으니 은행을 인수하면

분명히 세계적인 은행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하는 주장도 일부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대기업집단은 증권회사나 보험사 등 금융회사를 이미 가지고 있지만 이들 금융회사를

세계적인 기업으로 키우지는 못하였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금융회

사를 재벌의 지배구조 유지라는 목적으로 사용한 것도 한 몫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증권회사나 보험회사는 잘 경영하지 못했지만 은행은 다를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먼저 기존에 가지고 있는 증권회사나 보험회사를 세계적인 금융기업으

로 키워 능력을 검증받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외국자본에 우리나라 은행이 자꾸 넘어가는 것이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물론 은행

을 전문적으로 경영하는 자본이 아닌 외국계 펀드가 은행의 주인이 되는 것은 문제가

16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지속적으로 은행을 경영할 목적으로 들어오는 세계적인

은행자본의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실 안

하지만 역시 국가 경제의 중추인 은행을 외국자본에 완전히 내맡긴다는 것은 무언

가 찜찜하다고 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폐해가 많은 줄 알면서 산업자본에 은행소유의

길을 터주는 것도 국가 백년대계를 생각할 때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선택이다 한번

소유권이 넘어가면 다시는 돌이킬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한번 줘봐서 문제가

생기면 다시 회수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따라서 외국자본도 아니고 산업자본

도 아닌 대안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먼저 생각해 봐야 하는 것은 은행에 꼭 주인을 찾아주어야 하느냐 하는 문제이다

세계적인 민간 상업은행들의 경우 민간 대주주가 완전히 소유하고 주인행세를 하는

곳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주인이 없더라도 경영지배권 시장이 활성화되고 지배구

조가 개선되면 은행경영에 큰 문제가 없는 만큼 굳이 주인을 찾아줘야 한다는 강박관

념을 가지고 주인자격이 없는 주체에게 은행을 넘길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그래도 꼭 은행에 주인을 찾아주어야 하겠다면 산업자본이 들어가지 않은

순수 금융자본의 은행 인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아직은 그 규모가 작지만 자본시장

통합법 시행 등으로 비은행 금융회사의 규모가 커질 경우 순수하게 금융회사로만 이

루어진 금융그룹이 출현할 수 있으며 이들이 은행을 소유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현실적인 대안은 기존의 재벌들이 소유지배구조를 개선하여 금융그룹과 일

반기업그룹으로 그룹내 기업들을 분할한 후 그 중 금융그룹이 은행을 인수하는 방안

이다 기존의 재벌가(家)가 그룹내 모든 기업을 지배하려는 생각만 조금 바꾸면 금융

그룹과 일반기업그룹으로 분리가 가능하고 분리된 금융그룹이 알짜 기업인 은행을 인

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은산분리는 절대불변의 법칙인가 언제쯤 우리는 은산분리 완화를 논할 수 있

을까 주인 없는 은행들이 계속 부실해지고 외국자본이 경영하는 은행은 외국자본이

세계적인 은행자본인데도 계속 문제가 발생하며 재벌계열 금융회사들이 세계적인 금

제Ⅲ장 은 행 165

융회사로 발돋움해 가고 재벌의 지배구조가 개선되어 계열 금융회사를 다른 회사 지

배를 위해 쓸 위험성이 사라지면 그때 가서 은산분리 완화문제를 다시 고민해 봐도

늦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우리나라 금융감독의 수준도 지금보다는 크게 향상

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16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46호(20071126)

은행의 수신구조 변화와 경영방향

具 本 星

〈요 약〉

2006년 하반기 이후 이탈로 인해 은행권의 수신기반이 계속 취약해지

는 한편 시장성 의 비 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신이탈 수신구조의

변화로 인한 자 조달 비용의 상승과 유동성 험의 확 고객기반의 약화에

비하여 은행권은 새로운 경 기조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성장성 지표에

비해 수익성지표의 안정화에 을 둔 경 이 강화되어야 한다 한 시장성

자 조달에 한 리를 강화함으로써 융시장의 변동성 증 에 따른 사후

유동성 험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고객 계 측면에서 고객만족도

신뢰도를 회복할 수 있도록 서비스활동을 강화하고 복합 의 개발도 모색

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수신기반의 약화가 여신 험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도록 상환 험을 감안한 여신정책을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은행수신의 이탈 지속

안전자산 선호에 따른 수신기반의 안정화와 주택담보대출 및 중소기업대출에 의한

자산증가세에 힘입어 국내 은행산업의 경영성과는 글로벌 수준에 못지않는 우수한 수

준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2006년 하반기 이후 증권사의 CMA와 주식형펀드로의 자

금이탈이 가속화 되면서 은행권의 수신기반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수신기반의 약화가 핵심예금의 이탈(deposit disintermediation)에 의한 것이라는 점

에서 경영측면의 취약성도 나타나고 있다

제Ⅲ장 은 행 167

이하에서는 은행권 수신기반의 약화와 구조변화에 따른 은행경영의 취약요인을 살펴

보고 향후 경영위험에 미칠 영향을 평가한 후 은행권의 경영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은행의 단기수신 감소와 시장성 수신의 확

은행의 예금이탈에 따라 만기 6개월 미만 단기자금에서 은행권의 예수금이 차지하

는 비중이 크게 하락하고 있다 2004년 이후 증가세를 보였던 은행권의 예수금은 요

구불 및 저축성예금의 감소로 인해 2007년 상반기까지 2006년말 대비 약 1p 하락하

였다 또한 전체 은행권 수신에서 CD 및 금융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2006년말 241

에서 2007년 상반기 267로 26p 상승하였다 이는 전통적 예수기반인 저축성 예

금에서 단기금융시장이나 채권시장을 통한 시장성 수신으로의 전환 또는 대체가 확대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수의 예금자를 통한 자금조달 비중이 축소되고 비은행중개

기관(non-bank intermediary)을 통한 수신이 확대되는 등 자금조달의 기반이 바뀌

고 있다고 할 것이다

수신기반 약화는 비용상승과 고객 계의 약화를 래

국내은행의 수신구조 변화는 아직까지 구조적인 추세인지 평가하기 어려운 상황이

다 그러나 MMF 또는 CMA 등과 같은 수익형 또는 금리연동형 단기수신상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고 수익률에 민감한 형태가 지속될 경우 구조적으로 정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은행권의 수신이탈이 주식형펀드 또는 해외펀드로 전환된

경우 단기수익률에 대한 기대감에도 기인하고 있어서 수신기반이 자본시장 상황에 따

라 좌우될 수도 있다

국내은행의 수신구조 변화에 따른 효과는 크게 비용과의 관계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비용측면은 불특정 다수로부터의 자금조달이 시장성 자금조달로 전환됨에 따라

자금조달비용의 변동성이 높아질 가능성이다 또한 단기금융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이

확대됨에 따라 자금시장의 상황에 따른 자금조달의 기회도 변화될 수 있다 저축성 예

금의 경우 시장성 예금에 비해 금리민감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예금인출에 대한 유인

16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유동성 확보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시장성 예

금은 만기구조가 일정한 반면 만기에 일시적으로 발행규모가 증대된다는 점에서 발행

비용의 증가 또는 차환발행의 여부에 따라 유동성의 급격한 변동을 초래할 수 있다

이처럼 국내은행권의 수신구조 변화가 지속될 경우 국내은행의 유동성 위험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관계측면의 이슈는 고객이탈 현상에 따른 고객가치의 하락을 들 수 있다 MMF계좌

로의 이동이 연계계좌 또는 스윙(swing)계좌를 통해 이탈할 경우 고객과의 대면이나

접촉이 일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증권사 또는 자산운용사 온라인채널을 통

해 자금이탈이 초래될 경우 은행과 고객간에 형성된 밀착관계는 지속적으로 약화될

수밖에 없다 고객관계의 약화는 중장기적으로 고객유치에 따른 비용을 증대시킬 뿐

만 아니라 고객정보에 대한 접근기회를 제한함으로써 교차판매나 종합금융서비스 등

과 같은 관계형 서비스를 제약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시장성 수신의 경우 은행

과의 관계에 비해 수익률이나 시장상황에 따라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장기

관계의 형성이 제약될 수밖에 없다

앞으로 장기적으로 볼 때 은행의 수신기반 약화는 고객가치를 하락시킴으로써 장기

적으로 수신안정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 결국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수신구조의

변화는 은행권의 자금조달 비용의 상승뿐만 아니라 조달기회의 확보 조달기반의 안

정성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수신구조의 변화와 수신기반의 약화는

은행의 경영방향에 따라 안정성 성장성 수익성 및 건전성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초

래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수익성 리에 을 둔 경 기조

은행권의 수신기반 약화는 안전자산 선호와 저금리에 의한 유동성으로 인해 지난

수년간 수신확보에 대한 유인이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점에서 은행경영에 상당한 어려

움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예수금 기반의 안정화에 힘입어 가계대출 및 중소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높은 자산증가율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점도 은행권의 성장전략

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특히 지준율 및 재할인율의 재조정을 통해 시

제Ⅲ장 은 행 169

장유동성에 대한 적극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은행권의 유동성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반의 변화 기

조를 완화하기 위한 상품 및 서비스 측면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도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수신기반의 약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 시장유동성의 관리 강화 서

비스 개선 등은 은행권의 수익성 유지 또는 확보에 두어야 한다 수익성 중심의 경영

은 자산성장률이나 여신증가율 등 성장성 지표에 비해 순이자마진의 유지 자기자본

이익률(ROE)의 안정화 수익변동성의 축소 부실여신비율의 안정화 등 수익성 지표

를 중시하는 경영기조라 할 수 있다

안정 성장기조가 핵심

성장전략 측면의 경우 은행권의 수신기반 약화에도 불구하고 과다한 성장전략의 추

구는 경영위험을 높일 수 있다 국내은행의 자산성장률은 2000년sim2006년 중 평균

88에 이르렀으나 저축성예금의 성장률도 61를 시현함으로써 안정적인 순이자마

진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신기반의 약화로 자금조달비용이 상승할 경우 여신

성장률이나 이자부자산의 증가율을 적정화할 필요가 있다 만일 단기수신이 감소하는

가운데 이자부자산의 증가율이 급격히 늘어날 경우 순이자마진의 하락을 초래하거나

고위험 자산에 대한 대출을 확대함으로써 건전성을 오히려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수신기반의 약화에 대응한 성장전략은 안정적인 성장기조를 유지하거나 순이자

마진 또는 장기연체율을 고려한 성장률을 유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성장률의

안정화는 장기적으로 건전성의 추가 훼손이나 위험자산 증대에 대한 유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건전성 유지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유동성 기반의 강화가 요

CD 및 단기금융채 등 시장성 수신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예금성 수신에 비

해 자금조달 시장의 상황에 따라 자금조달 기회나 비용이 변동할 여지가 높은 것이 일

반적이다 그동안 국내 금융시장은 자금의 단기화와 기업부문의 현금자산 증대에 힘

17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입어 거액수신이나 단기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이 매우 용이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단기금융시장의 유동성이 위축되거나 대외환경이 변화될 경우 추가 자금조달이나 기

존 자금의 차환발행이 지연될 수도 있다 이처럼 예금성 수신에 비해 시장성 수신의

비중이 증대될수록 은행의 만기별 또는 자금조달 비중이 증대되는 특정시기를 고려하

여 유동성 대책을 마련 선제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즉 시기별 자금조달 수준과

시기를 고려한 중기차원의 유동성 관리가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자금조달

에 대한 중기계획을 재검토하고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ALM관리가 강화

되어야 한다 한편 은행권의 자금조달이 특정 시기에 집중되거나 자금공급기반의 위

축이 전반적으로 확산되는 경우에 대비한 거시건전성(macro-prudence) 측면의 시장

모니터링도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은행권의 시장성 수신기반은 주로 증권사의 MMF 또

는 CMA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금흐름의 변화로 초래될 수 있는 시장충격이나

유동성 위축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고객 심 경 을 다시 강화할 필요

자산성장률의 안정화 또는 수익성 지표의 관리 유동성에 대한 선제적 관리 등은

자산운용 측면의 후속조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기반 약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예

금의 상품매력도와 은행서비스의 경쟁력이 계속 취약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예금의

상품매력도 하락은 주로 투자수익률과 예금금리의 차이가 확대된 데도 원인이 있으

나 은행서비스의 경쟁력 하락은 우량고객이나 상위고객을 중심으로 한 선별적 관리

(cherry-picking)기조에도 부분적으로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고객(retail

customers)의 개발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거나 자본비용 또는 규제비용에 미치는 동태

적 효과를 충분히 감안하지 않았던 점에서 기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은행권의

예수기반이 편리성이나 안전성 선호에 의해 창출될 수 있었으나 실질적인 은행고객

의 충성도는 오히려 약화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은행권은 예금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단

예금상품의 수익률은 원칙적으로 비은행권의 투자상품에 비해 낮을 수밖에 없다는 점

에서 직접적인 수익률 경쟁에 비해 서비스경쟁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고

제Ⅲ장 은 행 171

객서비스의 확충이나 고객만족에 초점을 둔 경영을 강화함으로써 은행에 대한 고객신

뢰도를 회복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다소 미진했던 영업기반을 재점검하

고 고객밀착관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혹은 단기자금의 이탈을 부분적으로 내부화

할 수 있는 예금상품개발도 고려될 수 있다 일정기간 일정금액 이상을 유지하는 예금

에 대해 보장서비스와 이체서비스 환전서비스 스윙서비스 등을 묶어서 제공하는 한

편 필요 시 계좌유지수수료를 부과하는 프리미엄예금(premium deposit) 상품의 도입

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프리미엄예금은 일정 수준의 단기자금을 유치하고 예금에

의한 새로운 고객관계를 형성하는 계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신건 성의 리도 병행될 필요

은행권의 수신기반 약화는 수신금리의 상승을 초래함으로써 여신금리의 인상을 초

래할 수 있다 특히 은행권의 유동성이 축소되거나 유동성 위험이 증대될 경우 여신금

리의 급격한 상승이 초래될 소지도 있다 또한 통화정책 기조의 강화에 따라 시장금리

의 상승압력이 지속될 경우 여신금리의 상승은 불가피하게 진행될 수도 있다 특히 국

내 은행산업의 경우 그동안 풍부한 시장유동성으로 인해 여신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

되어 왔던 점을 감안할 때 여신금리의 상승은 급격한 상환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은행권의 수신기반 약화가 장기화될 경우 여신건전성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초래

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여신위험을 적절히 조절해 나갈 필요가 있다 급격한 대출

회수나 자산축소 현상이 초래되지 않는 한 기업별 신용도나 재무수준 업종별 특성이

나 경기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여신정책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특히 기존 여

신에 대한 여신조건이나 기준의 경우 상환부담을 감안하여 적절히 재조정해 나갈 필

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수신위축으로 인한 부채위험이 여신부문의 자산위험을 증가시

키지 않도록 여신정책을 적절히 조율할 필요가 있다

17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맺음말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은행권의 수신 또는 자금이탈 현상은 자본시장 여건의 급

격한 개선에도 기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식시장이나 이자율 수준의 변동에 따라 완

화될 여지도 있다 그러나 장기금융이나 투자서비스에 의해 촉발된 자금이탈은 장기

간에 걸쳐 구조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으므로 중장기에 걸친 경영개선 노력은 지속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한편 글로벌 금융시장의 유동성 축소는 국내 은행권의 유동성 위축과 맞물려 유동

성 위험을 증폭시킬 소지가 있다 예를 들어 외화자금의 조달기회가 제한되거나 발행

프리미엄의 상승으로 인해 차환발행이 연기되거나 지연될 경우 국내 단기자금시장이

나 채권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유인을 높임으로써 은행권의 금융채발행을 증가시킬 가

능성도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은행권의 수신이탈에 따른 유동성 위험은 대외여

건에 의해서도 심화될 수 있다는 점을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앞으로 은행권의

수신이탈 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경영과제는 대내적 위험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뿐만

아니라 대외적 여건 변화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기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

다 당분간 은행권은 비상경영을 지속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제Ⅲ장 은 행 17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51호(20071231)

소액금융의 성공사례와 국내은행의 진출 시 고려사항

李 淳 豪

〈요 약〉

재 우리나라의 빈곤층은 높은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계속 늘어나고 있어

소득층 지원에 한 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신용 소득층의 자활

을 돕기 한 소액 융에 한 제도권 융기 의 심이 매우 크다 소액 융

기 의 성공사례를 통해서 소액 융의 성공 여부는 상업 원리에 의해 수익

성을 확보하여 지속가능한 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으며 소

액 융이 은행의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재 국내의 몇

개 은행이 소액 융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상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향후 은행

의 소액 융시장 진출 시 어떤 장 이 있으며 어떤 에서 유의하여야 하는

지에 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실질 GDP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실업률 또한 외환위기 이

후 최고조에 달했던 1998년의 7에 비해 현저히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빈곤층은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Alfred Marshall은 자신의 저서『경제원론(Principles

of Economics)』에서 경제학은 인간을 연구하는 학문인데 가난이 인간의 육체적 정

신적 도덕적 질병 등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는 모든 악의 주요한 요인이며 따라서 가

난의 원인을 구명하고 이를 해소하는 것은 경제학의 중요한 연구대상이라고 하였다

가난을 구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나 빈곤층으로 하여금 소규모 사업체를 창

업하여 운영하게 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식되므로 이를 돕기 위한 다양

한 수단 중의 하나로 소액금융(microfinanc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액금

17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융은 방글라데시의 Muhammad Yunus가 설립한 Grameen Bank in Bangladesh의

성공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몇 개의 NGO가 소액신용

(microcredit)을 제공하고 있으나 재원조달 등에 한계가 있어 제도권 금융기관의 소

액금융시장 진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몇 개 은행에서는 이미 소액금융업

을 시작했거나 검토 중에 있다 본고에서는 은행이 소액금융업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진출 시 유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외국의 소액 융 성공사례 성공요인

일반적으로 소액금융은 자활의지가 강하고 창업 아이디어는 있으나 낮은 신용도로

제도권 금융기관으로부터 창업자금을 대출받지 못하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금

융업으로서 한계수준 밖의 저신용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시혜성 지원과는 구분이 되

어야 한다

지난 20여년 동안 많은 소액금융기관(MFI microfinance institution)이 인도네시

아 방글라데시 볼리비아 페루 멕시코 등 저개발국에서 설립되어 소득창출을 위한

저소득층의 창업을 성공적으로 지원하였는데 볼리비아의 BancoSol Bank Rakyat

Indonesia(BRI)의 Unit Desa 프로그램과 Grameen Bank in Bangladesh 등의 성공

사례는 소액금융이 수익을 내면서 지속적으로 성장 가능한 금융업이 될 수 있다는 것

을 보여준다

BancoSol의 자산은 2006년 261 성장하여 164백만달러에 달하고 연체율은

315로 볼리비아 전 은행의 평균 연체율인 86에 비해 현저히 낮으며 대출원금 상

환율은 995를 지속적으로 상회하고 있다 BRI의 소액금융 프로그램인 Unit Desa

는 1996~1997년 동안 250만명에 17억달러를 대출하여 17억달러의 수익을 보았다

Grameen Bank in Bangladesh의 성공사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더라도 너무나 잘

알려져 있다 Grameen Bank의 2005년말 대출잔액은 43억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대출원금 상환율은 99(2005년말) 자기자본이익률(ROE return on equity)이 2004

년말 현재 90를 보이는 등 높은 수익성과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1998년 이후에

는 외부 기부금 등의 도움 없이 예금 등의 자체 자금조달에 의하여 운영되고 있다

제Ⅲ장 은 행 175

위의 성공사례에서 보듯이 소액금융이 저신용 저소득층의 창업을 지원하여 가난문

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대출

원금의 상환율을 100에 가깝게 유지해야 한다는 원칙을 반드시 고수하여 지속가능

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건전성 규제를 받는 은행이 소액금융시장에 지금까지 진출하

지 못한 이유는 대출금 상환을 위한 사후관리 비용 및 소액 다수의 대출 형태에 따

른 고정비용이 큰 이유뿐만 아니라 저신용 저소득층의 상환능력에 대한 믿음이 부족

했던 점도 있다 그런데 전세계를 대상으로 소액금융이 거둔 성공의 일차적 의미는

저신용 저소득층의 상환의지 및 능력이 통념에 비해 훨씬 높다는 점을 입증한 것이

다1) 지금까지의 전 세계 소액금융기관의 성공사례는 소액금융이 은행의 공공성 확보

나 사회적 책임 강화 차원에서 시혜성 지원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새로운 수익원으로

자리잡을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은행의 소액 융업 진출 시 고려사항

은행이 소액금융업을 영위할 경우 장점으로는 우선 은행이 여러 가지의 건전성 규

제를 받고 있어 투명성 수익성 및 효율성을 추구하게 되므로 지속가능성이 확보된다

는 것이다 또한 전국에 걸쳐 지점을 갖고 있는 등 기본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많

은 사람에게 혜택을 줄 수 있으며 선진 금융기법에 대한 know-how가 축적되어 있

으므로 대출 시 사업능력 등의 평가에 있어 유리하다 은행 수신을 사용할 경우 상대

적으로 기부금 등에 의존하는 NGO에 비해 기금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소액금융업에 있어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은행이 소액금융업에 진출하기 위해

서는 다음의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선 소액금융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특정 경

영자의 의지나 비전에 의해 일회적 사안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사업 모델이 될 수

있도록 확정한 후에 진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리 수준은 대출에 따른 비용을 충분히 충당할

정도로 높은 금리를 부과하여야 할 것이다 저신용 저소득층에 대한 대출은 엄격한 사

업성 심사 및 사후관리를 통해 성공확률을 높임으로써 신용위험을 낮출 수는 있으나

1) 박종현ldquo해외의 대안금융 마이크로 파이낸스를 중심으로rdquo시장경제와 사회안전망 포럼 2007

17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관리비용이 높으므로 정부보조가 없을 경우 일반 대출금리보다 높은 금리가 부과되어

야 할 것이다 이 경우 고금리로 인하여 은행의 평판이 나빠지는 위험이 있으므로 은

행이 직접 진출하기보다는 소액금융 전문기관을 자회사로 설립하거나 소액금융 전문

기관에 업무를 위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소액금융은 전통적인 은행업무와는 상이하므로 소액금융 전문가를 우선 확보

하여야 하고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소액금융 담당자의 성과

급을 포함한 급여의 지급체계도 소액금융의 전문성을 고려해서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회계보고 및 건전성 감독에 관한 사항에 소액금융의 특수성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감독당국과 사전 협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맺음말

소액금융은 사회양극화로 인한 저소득층의 자활을 돕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전

세계에서 거둔 많은 성공사례는 소액금융이 수익모델로서 지속가능하다는 점을 보여

준다 소액금융은 대체로 초기단계에서는 정부재정 및 기부금 등으로 자금을 조달하

고 가난구제 등의 공익성에 초점을 맞춘 비영리 단체에 의해 영위되며 점차 시장규모

가 커짐에 따라 재정자립 및 상업적 원리에 의해 영위되는 금융기관의 면모를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은행도 소액금융으로부터 충분히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향후 은행이 소액금융시장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Ⅳ장 비은행 자본시장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79

동국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호(2007122)

회사채시장의 외부성과 발전방안

姜 京 勳

〈요 약〉

우리나라 회사채시장의 여러 가지 문제 은 그동안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

하고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데 그 원인의 하나는 이러한 문제들이 서로 긴

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은 동태 외부성과 정태 네트워

크 외부성 등 채권시장의 외부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 외부성이

존재할 경우 시장실패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정부의 개입이 합리화될 수 있

는데 시장에 여러 종류의 외부성이 존재하고 이 외부성 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경우에 정부의 입장에서는 보다 주도면 한 육성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요즘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이슈는 단연 부동산문제이다 더욱이 올해말 대선을 앞

두고 부동산문제는 경제뿐 아니라 사회정치문제로까지 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러한 상황에서 회사채시장의 발전방안이라는 어느 면에서 고색창연한 주제를 이야기

하는 것은 한가롭게 보일지도 모른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은 주택가격에 무주택

자 등 서민들이 신음하고 이처럼 급등한 주택가격이 급락하여 가계발 금융위기가 초

래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회사채시장 발전의 기초를 다지자

는 주장이 귀에 들어오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러나 긴박한 과제는 긴박한 과제대로 해결하는 한편 아직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

는 시장을 조성하는 일 역시 간과해서는 안된다 더욱이 시중의 풍부한 유동성이 부동

산시장으로 집중된 데에는 자본시장이 원활하게 기능하지 못한 책임도 있다 주식시

장뿐 아니라 회사채시장 특히 고수익채권시장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면 시중의 부동자

18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금을 충분히 흡수하여 부동산문제가 요즘처럼 심각해지지는 않을 수 있었을 것이다

이 외에도 회사채시장의 순기능은 다양하다 잘 발달된 회사채시장이 없을 경우 기

업들은 높은 자금조달비용을 지급해야 하며 설비투자도 단기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회사채시장이 훌륭한 투자수단의 제공처가 되며 효율적인 회사

채시장은 시장에서 종합되는 다양한 정보의 원천으로 기능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와

같이 다양한 순기능을 가지고 있는 회사채시장을 육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어려움을 회사채시장에 존재하는 외부성(externality)과 연관

시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회사채시장의 발전과제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자 한다

회사채시장의 황 문제

2006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전체 채권 발행잔액은 7791조원에 이르렀다 채권종류

별 잔액은 국채가 2579조원(전체의 331)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통

안채 1584조원(203) 금융채 1473조원(189) 특수채 1024조원(131) 회사채

1012조원(130) 등의 순이다

회사채의 경우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중 대규모로 발행되었으나 1999년 대우사

태와 2003년 카드사태를 거치면서 발행이 위축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회사채

가 전체 채권 발행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99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였다 전

체 채권시장에서 회사채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00년 15 수준에서 계속 낮아

져 최근에는 5에도 훨씬 못 미치고 있다

정부는 외환위기 이후 회사채시장의 선진화를 위해 시장의 규제완화 시장하부구조

의 개선 신상품 도입 채권수요기반 확충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채권시장 개선방

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개선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회사

채시장은 여전히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회사채 발행시장의 양극화 현상을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 신용등급이 높은

기업과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 간 회사채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여건의 양극화 현상은

최근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 자금조달의 주요 창구로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1

서 회사채시장의 기능을 크게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회사채 발행유통시장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볼 때 채권수요의 80 이상이

투신사 및 은행에 편중되어 있어 수요기반이 취약하고 시장심도(market depth)가 낮

다 외국인 투자자의 채권보유 비중도 2005년말 062에 불과하여 채권시장 개방을

통한 회사채 수요촉진 효과는 아직까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채권 딜러기능 촉진을 위한 지속적인 제도 개선에도 불구하고 채권딜러들이 시장조

성자(market maker)로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어 채권 발행 및 유통시장 부

진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시장상황의 변화에 따라 수익률과 거래량이

급변하는 등 시장안정성(market stability)이 부족한 것도 지적되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무보증사채의 발행절차도 지나치게 간소화되어 투자자 보호보다는 발행자

편의에 무게가 두어짐에 따라 회사채시장 발전에 장애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회사채시장의 거래가 대부분 장외거래임에도 불구하고 정보전달 등과 관련한

시장조직이 정비되지 않아 거래상대방을 탐색해야 하는 등 시장효율성이 극대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채권수익률 등 회사채 관련 정보의 집중이 미흡하고 정보

의 실시간 공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시장참가자가 시장의 통계를 기초로 투자판

단을 하기 어려우며 축적된 통계자료가 부족하여 체계적인 금리예측도 어려운 실정

이다

신용평가 부문에 있어서도 신용평가의 질적 개선을 위한 내부통제장치 및 평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신용평가회사의 평가 결과에 대

한 시장의 신뢰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신용평가회사의 부실평가에 대한 제재조치의

실효성 확보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회사채시장의 외부성

이처럼 우리나라의 회사채시장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동안 회사채

시장을 육성하려는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제점들이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 것은 이들 문제점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수요기반의 확충을 위해서는 회사채시장의 발전이 필수적인데 투자자의

18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입장에서 보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시장에 투자하고 싶지 않게 된다 또한 회사채

딜러는 정확하게 발행자의 신용위험을 평가하고 회사채의 가격을 산출하기 위해서 많

은 투자를 할 필요가 있는데 만일 회사채 발행물량이 많지 않다면 이와 같은 투자를

할 유인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는 발행자 신용위험 및 회사채 가격설

정 기능이 취약한 딜러를 통하여 회사채를 발행하는 것이 불리한데 이는 투자자들이

이와 같은 딜러를 통해 발행된 회사채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거나 이에 따라 추가적인

위험 프리미엄을 요구하게 되기 때문이다 결국 회사채시장의 수요 공급 중개 등 제

측면의 문제점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회사채시장을 발전시키려는 정부의 입장에서

는 이들을 모두 한꺼번에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봉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ldquo닭이냐 달걀이냐의 문제(chicken or egg problem)rdquo로 설명될

수도 있다 예컨대 회사채 딜러들이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결국 다양한 투자자들이

필요한데 투자자들을 시장으로 모으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가격이 산출되고 다양한

회사채가 거래되는 시장이 존재해야 한다 이와 같은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하는

문제는 채권시장의 외부성에 기인하는데 이러한 외부성은 투자자와 공급자 또는 중개

인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주고 받을 때 더욱 확대된다

여기서 회사채시장에 존재하는 외부성의 동태적 성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회사

채 발행 주관 및 인수 경험이 많은 딜러는 학습효과(learning by doing)를 통하여 보

다 높은 위험측정 및 가격설정 능력을 보유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외부성 이외에 다른 성격의 외부성도 회사채시장에 존재한다 정

태적 성격의 네트워크 외부성이 그것인데 이는 어느 한 소비자의 효용이 그 상품에 대

한 다른 소비자의 소비행위에 따라서 긍정적 영향을 받는 것을 말한다 회사채시장과

관련해서는 투자자들이 회사채가 다양한 것을 더 선호한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

서 시장에 나와 있는 회사채의 종류가 많을수록 그 회사채들의 가치는 상승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외부성은 동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한 시점에 존재하는 회사

채의 종류가 그 회사채들의 가치를 결정할 뿐이다

시장에 외부성이 존재할 경우 경제학 이론에 따르면 시장실패(market failure)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정부의 개입이 합리화될 수 있다 그런데 시장에 여러 종류의 외

부성이 존재하고 이 외부성 간에 상호작용이 있을 경우에 정부의 입장에서는 보다 주

도면밀한 육성책이 필요하게 된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3

회사채시장의 발 방안

회사채시장에 여러 가지 외부성이 존재하고 외부성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날 경우

외부성에 대한 분석은 회사채시장의 문제점 및 이의 해결과 장기적인 발전방안과 관

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회사채시장의 여러 문제들이 서로 연결

되어 있기 때문에 lsquo궁극적인 원인rsquo 등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시사점이 주어질 수 있으

며 발전방안과 관련하여서도 왜 과거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던 과제들이 아직

도 해결되지 않고 있는가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가 제공될 수 있다

회사채시장의 육성에 관한 여러 보고서를 보면 다양한 과제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문제는 이러한 과제들이 오래 전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는 점이다 결국 오랫

동안 제기되어 왔던 과제들이 제대로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사실 자체도 하나의 균형

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이 글은 이와 같은 균형상태-또는 정책의 답보상태

-가 회사채시장의 외부성에 기인하고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물

론 이러한 사실이 회사채시장을 발전시키는 데 뾰족한 묘책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지

만 여러 가지 정책과제들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자 회사채시장을 육성하는 데 필요한 정책과제들은 크

게 인프라 개선 수요기반 확충 증권회사의 인수 및 딜러기능 강화 발행조건절차

의 개선 기업 특히 중소기업의 회사채 발행 지원 등으로 대별될 수 있다 각 카테고

리별로 다양한 추진과제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과제들이 서로 연계되어 있어서

함께 추진될 필요가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그런데 여기서 어떤 과제는 단기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반하여 어떠한 과제

들의 달성에는 긴 시간이 필요한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법제도를 정

비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시간이 별로 소요되지 않을 수 있으나 딜러기능 강화나 수요

기반 확충 등의 과제들은 쉽게 달성되기 어렵다 앞에서의 외부성에 대한 분석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정책과제의 수행 시기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즉 외부성을 창출

하는 과제들은 우선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으며 주로 외부성을 향유하는 부문과 관

련된 과제들은 나중에 시행될 수도 있다

한편 회사채시장의 육성을 위한 과제들과 관련하여 외부성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보

18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다 분명해지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발행절차의 개선 문제를 생각해 보자 회사채 발

행기업의 편의를 위하여 발행절차를 보다 단순화하고 규제를 완화할 경우 회사채 발

행을 늘리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는 도덕적 해이 문제나 역선택 등의 문제를 야기

하기 쉽다 장기적으로는 회사채시장의 기능을 오히려 떨어뜨릴 우려가 있는데 이는

발행과정을 통한 딜러의 경험 축적과 이에 따른 학습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

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회사채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발행절차를 오히려 엄격하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에 대한 단기적인 보완책으로 발행기업에 대한 지원을 보다 강화하

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례는 다른 과제들의 경우에도 비슷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회사채 발

행을 장려하기 위한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되 회사채시장이 효율적으로 작동하

는 데 필요한 제도인프라는 발행자 편의보다는 시장기능의 확충 차원에서 단기적으

로 고통이 따르더라도 오히려 엄격하게 정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회사

채시장의 육성과 관련한 제반 과제들을 1) 회사채 발행 지원 및 수요기반 확충 2) 제

도인프라 정비의 범주로 나누어 2)의 과제들을 포괄적이고 조속히 추진하는 한편 1)

과 관련한 재정적 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이보다 구체적인 정책적 시사점 즉 세부과제별로 왜 제대로 시행이 되지 않고 쉽

게 해결되지 않는지에 대한 해답은 여기서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더욱 세부적이고 현실적인 외부성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5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6호(200725)

대부업제도 개선에 대한 단상

鄭 燦 宇

〈요 약〉

부업은 독자 인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나 고객 융서비스 측면에서

는 서민 융기 과 첩되어 차별성이 크지 않다 따라서 부업제도 개선은

한편으로는 융소비자 보호강화와 부업 양성화를 한 환경조성에 힘쓰되

다른 한편으로는 서민 융기 의 소액신용 출을 활성화함으로써 부시장

을 체하도록 기본방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 형 부업체가 큰 수익

을 내고 있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체계 인 신용평가시스템을 구축하면 과거

와는 달리 소액신용 출이 안정 인 수익원으로 거듭날 가능성이 큰 만큼 이에

한 서민 융기 의 이 바뀔 필요가 있다 한편 서민 융기 의 소액신

용 출이 활성화되면 부업체의 고 리 부과로 인한 문제 이 상당 부분 해소

될 것이므로 리상한 하향조정은 서두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상위 20 가구의 평균소득을 하위 20 가구의 평균소

득으로 나눈 값인 소득 5분위 배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서민들의 생활이 나

아지기보다는 더 힘들어지는 양상이다 그 결과 2000년에 329건에 불과했던 개인파

산 신청건수가 2006년에는 12만건을 넘어섰다 또한 신용도가 낮아서 제도권 금융기

관에서 돈을 빌리기 어려운 계층 소위 금융소외계층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경제력

약화와 이에 따른 금융소외현상은 자연스럽게 대부시장의 성장으로 연결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대부업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금리상한 이상의 고금리와 불법 추심행위로

고통 받는 사례가 빈번해지면서 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치권 일

18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각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부업법을 개편함과 더불어 현재의

금리상한 66를 대폭 낮추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이자제한법을 부활하려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부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부업제도의 개

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시장 황

우선 대부시장을 공급측면에서 보면 2006년말 현재 지방자치단체에 등록된 대부업

체는 16786개사로 전년 동월에 비해 2500개사 이상 증가하였다 이는 2005년 9월

개정 대부업법 시행으로 불법업체에 대한 처벌규정이 강화되고 대부업체의 범위가 넓

어진 결과로 보인다 대부업은 1) 기업대상의 어음할인 또는 담보대출 2) 건설시행사

등에 대한 지분투자 및 단기금융 3) 자동차 등 비부동산 물건을 담보로 한 대출 4)

저신용계층에 대한 후순위 부동산 담보대출 5) 저신용계층에 대한 소액신용대출 등

의 금융서비스를 대부분 1년 이내의 단기로 제공하는 업무를 한다 여기서 서민 등 저

신용계층에 대한 금융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은 3) 4) 그리고 5)이며 이 가운데 4)와

5)의 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위의 금융서비스를 바탕으로 대부업체도 5개군

으로 분류 가능하며 4)와 5)를 주력 상품으로 제공하는 소매대부업체가 대부업제도

의 개선방안의 주 대상이 된다 1)과 2)를 제공하는 대부업체는 양성화 여부와 관계없

이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특정계층을 대상으로 영업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등록업체의 제출 자료를 바탕으로 4)와 5)에 해당하는 소매대부시장 규모를

산정할 경우 수조원대에 불과하나 세금 문제 등으로 인한 허위자료 제출 가능성 음성

업체의 존재 등을 감안하면 최소 10조원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시장의 최근 특

징 중 하나는 업체간 양극화이다 외국계 업체를 중심으로 대형업체는 점유율이 높아

지고 큰 수익을 내고 있는 데 반해 중소형업체는 상대적으로 수익을 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광고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신용이 양호한 고객이

대형업체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수요측면에서는 금융감독원의 설문조사 분석결과 2006년초 기준으로 기존 대출금

상환목적이 41로 용도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계생활 자금목적이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7

36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 서민의 어려운 경제여건이 대부시장 이용의 근본 원

인임을 알 수 있다 1인당 평균 이용액은 950만원으로 2005년의 설문조사에 비해 50

만원 정도 증가하였고 1인당 평균 이용업체수는 21개로 나타났다 한편 이용고객의

40 이상이 2004년 이후의 신규이용자이고 60 이상이 채무불이행자가 아닌 것으로

나타나 제도권 금융기관을 이용하지 못하는 금융소외계층이 대부시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여기에는 대형대부업체를 중심으로 채무불이행자에 대한 신규대출

을 취급하지 않는 대부업계 관행도 일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금리상한을 초

과하는 계약을 체결한 고객이 75에 달하고 불법추심을 경험한 고객도 40에 이르러

대부업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대부업체의 불법영업이 여전함을 알 수 있다

부시장 평가

외환위기 이후 서민층의 경제력 약화와 신용불량자 급증 등으로 제도권 금융시장을

사용할 수 없는 계층이 늘어나면서 대부시장의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또한 제

도권 금융시장을 이용하고 있는 금융소비자의 상당수도 금융회사로부터 자금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한 부분을 메우기 위한 수단으로 대부시장을 동시에 이용하고 있는 것으

로 보인다 한편 대부업의 양성화와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대부업법 시행에도 불구

하고 음성대부업체의 수가 과다하고 이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금

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대부업법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인식수준이 낮은 것도 금리상

한의 실효성을 낮추고 음성대부업체로 인한 피해를 확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

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대부시장의 과도한 성장을 막고 대부업법 제정 취지의 실효

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대부업제도 전반에 걸친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부시장의 차별성

대부업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기에 앞서 금융서비스 고객 그

리고 시장규모 측면에서 제도 금융권과 대부업의 차별성 존재 여부를 먼저 검토할 필

요가 있다 대부업의 차별성이 존재한다면 이를 감안하여 대부업이 독자적인 금융업

18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으로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대부시장의 차별성이 약하거나 존재하더라도 제도 금융권이

금융서비스 측면에서 대부시장을 대체할 수 있다면 정책의 방향은 대부업보다는 해당

제도 금융권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시장규모 측면에서는 서민금융기관의 하나인 신협의 여신규모가 2006년 11월말

잔액기준으로 14조 9000억원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최소 1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

는 소매대부시장은 독자성이 존재한다 금융서비스 측면에서 보면 저신용계층에 대한

부동산 후순위 담보대출과 소액신용대출은 신협 새마을금고 농수협 지역조합 저축

은행 등 서민금융기관도 취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부업체는 서민금융기관과 차별성이

크지 않다 마지막으로 고객측면에서는 서민 영세상공인 저신용 중소기업 등 저신용

계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이 또한 서민금융기관과 차별성이 크지 않다 종합하

면 대부업은 시장규모측면에서는 제도권 금융기관과 차별성이 있으나 고객 및 금융서

비스 측면에서는 서민금융기관과 중첩되어 차별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부업제도 개선을 한 정책방향

대부업의 차별성이 크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여 두 가지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마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는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와 대부업의 양성화를 위한

환경조성에 중점을 두고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단 대부업 양성화 정책이 대부

시장의 과도한 성장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개선방안 마련에 있어 주의를 기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구체적인 감독지침 마련 대형 대부업체에 대한 감독강화 등 대부업에 대

한 감독의 효율성을 높이는 감독체계 구축도 필요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대부시장의 발호를 방지하고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근본적인

방안으로 서민금융기관의 소액신용대출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제도권 금융회사가

신용대출을 취급하지 않는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는 서민금융기관의 소액신용대출이

라는 대부시장의 대체시장이 존재한다 문제는 저축은행은 과거 소액신용대출의 부실

경험으로 소액신용 신규대출이 거의 중단된 상태이고 신협과 새마을금고 농수협 단

위조합도 취급규모가 매우 작다는 데 있다 소액신용대출이 활성화된다면 대부시장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89

규모가 지금보다 훨씬 줄어들 것이고 고금리로 인한 서민들의 피해도 상당 부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적인 지원도 필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소액신용

대출에 대한 서민금융기관의 자세가 변해야 한다

소액신용대출은 서민금융기관의 주 고객층인 서민을 대상으로 한 상품이기 때문에

수요의 지속성이 보장된다 물론 경제력이 낮은 서민층의 신용위험이 높은 것은 사실

이나 신용평가 방식의 개선과 신용도에 따른 금리차별화로 상쇄가 가능하다 저축은

행을 제외한 지역 서민금융기관들은 규모의 영세성으로 독자적인 전산시스템을 구축

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소액신용대출을 취급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이들은 중앙회 전산망을 통해 소액신용대출을 위한 신용평가시스템을 구축하면 된다

금융산업이 위험을 관리함으로써 수익을 일으키는 분야라는 것을 감안하면 신용위험

이 높은 고객을 대상으로 영업을 영위하는 것이 불리한 것만은 아닌 것이다 무엇보다

도 현재는 신용불량자 문제가 완전히 드러난 상황이기 때문에 저축은행을 포함하여

서민금융기관이 소액신용대출을 재개하더라도 과거와는 달리 잠재 신용불량자에 의

한 부실화 가능성이 매우 낮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소액신용대출이 서민금융기관

의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거듭날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일부 외국계 대형대

부업체가 고객층의 평균 신용등급이 서민금융기관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큰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시사한다

리상한 조정에 하여

현재 대부시장은 상품 고객 지역별로 분할되어 있어 정보의 비대칭성이 심하다

또 많은 제도권 금융기관이 대부업체의 신원조회기록만 있어도 해당 고객에 대한 대

출을 거부하는 등 대부시장과 제도권 금융시장이 분리되어 있다 이로 인해 대부업체

는 우량고객에 대해서도 독점력 행사가 가능하여 이를 바탕으로 고금리 부과를 통한

이윤 획득이 가능한 상황이다 이와 같이 대부업체의 이윤 획득이 구조적으로 가능한

상황에서 대부금리에 대한 규제가 없다면 대부시장 이용자가 자신의 신용도에 비해

과도한 고금리를 부담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정부의 금리상한 규제는 정당한 것으

로 보인다

19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그런데 금리상한이 너무 낮으면 대부업체가 영업정지와 벌금 등 위법에 따른 예상

손실을 감안하더라도 금리상한을 위반할 인센티브가 커진다 과거 당 연구원의 방문

조사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인 일부 대형대부업체를 제외하면 대부업체들의 평균 조

달금리가 20 이상이고 영업비용도 대출잔액 대비 167에 달하는데다 연체율도

30에 이르러 현행 금리상한을 높다고 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금리상한을 낮출 경우 양성화되어 있는 대부업체의 음성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등록 대부업체에 의해서도 현재의 금리상한을 벗어나는 고금리 부과가 이루어지

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의 이용자 조사에 따르면 양성 대부업체의 평균

대부금리도 160를 상회한다고 한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면 금리상한을 하향 조정

하는 것보다 금리상한의 실효성을 높이는 것이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보다 시급한

일일 것이다 물론 신용이 충분함에도 대부업체에 의해 60대의 고금리로 대출을 받

는 고객이 상당수에 달한다 한국신용정보에 고객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대부업체 이

용고객의 60는 신용등급 7등급 이상이라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그러나 이들의

비중은 서민금융기관의 소액신용대출이 활성화되면 자연스럽게 낮아질 것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1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9호(2007226)

보험사의 공익성과 보험취약계층

李 碩 晧

〈요 약〉

최근 세계 으로 융회사를 비롯한 기업의 공익성에 한 논의가 확산

되고 기업의 지속 인 성장을 한 장기 경 략 차원에서도 그 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보험사들도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장학 지원

문화사업 지원 사회복지시설 지원 등 각종 사회공헌활동을 극 으로 개

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보험사가 그들이 하고 있는 본연의 업 행 와

직 으로 연 되는 부문에서 사회 책임 공익성을 제고하는 것이야말

로 다른 어느 부문에서보다 선행되어야 할 과제일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보험

사의 경우엔 다른 어떤 기업보다도 이러한 본연의 업행 와 련된 공익

역할 사회 책임이 시된다 할 수 있다 소득층 장애인 등 보험취

약계층에 한 문제를 극 이고 성실하게 개선하려는 보험사의 자발 인

노력 실천이 이에 해당하는 표 과제일 것이다

최근 금융회사들이 지나치게 수익성을 추구하면서 영업행위 과정에서 서민 등 금융

소외 계층을 외면하고 있어 금융의 공익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금융회사

중 특히 보험사의 사회적 책임 및 공익성을 제고하기 위한 과제로서 일반적인 사회공

헌활동이 아닌 본연의 영업행위와 직접 연관된 과제를 장애인 저소득층 등 보험취약

계층에 대한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19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융회사의 공익성 사회 책임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금융회사를 비롯한 기업의 공익성 및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

가 확산되고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장기적 경영전략 차원에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세계적인 마케팅 전문가인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의 Philip Kotler 교수는 ldquo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 기업들은 투자대상에서 제외되

고 국제거래에서 불이익을 당하는 등 세계무대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없으며 세계적

으로 존경받는 일류기업들은 모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충실하게 이행하고 있다rdquo고

말하며 기업의 공익성 및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들

어 은행 보험사를 비롯한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거스를 수 없는 전 세계적 흐름에 부

응하여 사회봉사단 운영 장학금 지원 문화사업 지원 사회복지시설 지원 등 각종 사

회공헌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가고 있어 바람직한 현상으로 여겨진다

은행 보험사 등 금융회사의 공익성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lsquo소극

적 공익성rsquo으로 일반 국민에게 피해를 주지 않음으로써 공익에 기여하는 것인데 건

전경영을 통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종사자의 도덕성 강화 등을 통해 소

비자를 보호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둘째 lsquo중립적 공익성rsquo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새로

운 수익원 창출로 수익성과 공익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으로 경제적 약자에 대한 금

융기능 강화 및 저소득층을 위한 금융상품 개발 등이 대표적 예이다 세 번째는 lsquo적극

적 공익성rsquo인데 공익재단 설립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기부 등 금융회사 수익의 일부

를 사회에 환원하는 것 등이 이에 포함된다

최근 국내에서 보험사를 비롯하여 많은 기업들이 사회봉사단 운영 장학금 지원

문화사업 지원 등의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은 세 번째인 lsquo적극적 공익성rsquo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lsquo적극적 공익성rsquo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lsquo중립적 공익성rsquo이라 생각된다 금융회사가 그들이 영위하고 있는 금융사업 행위와 직

접적 연관성이 있는 부문에서 사회적 책임 및 공익성을 제고하는 것이야말로 그 어느

다른 부문에서보다 선행되어야 할 과제가 아닌가 사료된다 특히 보험사의 경우엔 다

른 어떤 기업보다도 본연의 영업행위와 관련된 사회적 책임 및 공익적 역할이 중시된

다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논의될 장애인 저소득층 등 보험취약계층에 대한 보험사의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3

책임과 역할은 보험사의 이러한 lsquo중립적 공익성rsquo과 관련하여 추구해야 할 대표적인 과

제일 것이다1)

소득층의 보험가입

최근 발간되는 lsquo보험사의 발전방안rsquo을 주제로 하는 보고서나 언론보도의 첫 구절을

보면 lsquo국내 보험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rsquo라는 문구가 공통적

으로 자주 등장한다 그래서 보험사들이 해외진출 신상품 개발 등을 통해 새로운 성

장동력을 찾는 것이 시급하다고들 말한다 실제로 최근 생명보험협회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가구의 생명보험가입률이 거의 90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소득별 가입률로 살펴보면 연간 가구소득이 3600만원 이상인 가구의

가입률이 90~93에 달하고 있는 반면 1200만원 미만인 가구의 가입률은 35에 머

물고 있는 실정인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한편 연간 가구소득 1200만원 미만 및

2400만원~3600만원 미만인 가구의 857가 생명보험 가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저소득층의 경우 보험에 대한 수요 및 욕구는 중산층 및

고소득층과 별반 다르지 않은 반면 주로 경제적 이유로 인해 보험가입률이 저조한 가

운데 각종 위험사고의 발생 시 받는 충격은 훨씬 크고 심각하다는 점에서 정작 보험

이 필요한 계층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 아직까지는 미흡한 면이 많이 있지만 정부

및 민간차원에서 저소득층 및 빈곤층을 위한 각종 지원제도 및 사회공헌활동이 시행

되고 있다 이처럼 저소득층 및 빈곤층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도 중요하지만 이와 아

울러 보험이라는 간접적 수단을 통해 이들이 각종 중대 질병이나 가장의 사망 등에 대

비하여 스스로 미래의 경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또한 효율적인 지

원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국민건강보험

등과 같은 사회보험만으로는 분명히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공익성

1) 재래시장 상인 고위험 직종 종사자 등 다른 보험취약계층도 있지만 본고에서는 대표적 보험취약계층인 저소득층 장애인의 보험가입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19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과 아울러 수익성을 추구해야 하는 민영보험사에게 모든 것을 떠안으라고 할 수도 없

을 것이다

Microinsurance

그렇다면 민영보험사의 역할 정부지원 사회공헌기금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안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국내에서는 생소하지만 중국 인도 인

도네시아 등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국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microinsurance를 한

번쯤 고려해 봄 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microinsurance는 저소득층 및 빈곤층만을 타

깃으로 하여 이들로 하여금 미래에 발생할지 모르는 중대질병 사망 장례 등 각종 위

험에 대처하게 하여주는 보험으로 은행부문에 있어서의 microcredit 또는 대안금융과

대응되는 개념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microinsurance는 사회보장제도를 제대로 갖

추지 못하고 있고 경제수준이 낮은 개발도상국 또는 저개발국에서 주로 시행하고 있

는 제도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도 여전히 저소득층 및 빈곤층의 수가 적지 않고 더

군다나 최근 들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소득 격차가 점차 더 벌어지는 등 사회적

및 경제적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저소득층 및

빈곤층이야말로 실질적으로 보험을 필요로 하는 계층인 점을 감안할 때 한번쯤 도입

을 고려해 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Microinsurance는 여러 가지의 형태가 있을 수 있는데 개인보다는 그룹단위 형태

가 많다 민영보험사가 상품개발 판매채널 등 전반적인 사업을 주관하는 형태가 있는

반면 많은 경우 대안금융을 담당하는 MFI(Microfinance Institution)가 주관 또는

개입하고 있고 이는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 요건으로 여겨지고 있다 무

엇보다도 MFI의 경우 피보험자에 대해 누구보다도 잘 알 것이므로 민영보험사와 MFI

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협조가 잘 유지된다면 가입자의 도덕적 해이도 상당부분 막

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여기에 대안금융에서와 같은 사회공헌기금 등 각종 사회적

기여가 결합된다면 더욱 효율적인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microinsurance가 시행되기 위해선 대안금융기관의 활성화가 전제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5

한편 microinsurance는 저소득층 및 빈곤층을 위한 보험이므로 어떻게 하면 운영

비용 사업비용 수익마진폭 등을 줄여 저소득층 및 빈곤층의 실질적인 보험수요를 충

족할 수 있는 상품을 가능한 한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느냐 하는 것이 사업성공의 관

건일 것이다 수익성의 잣대만을 내세우는 일반적 기업의 자세가 아닌 사회적 책임

및 공익성을 인식하는 보험사의 자세가 요구되는 부분이 바로 여기이며 이러한 공익

성의 중요성에 대한 보험사의 자발적 인식이야말로 microinsurance사업 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열쇠일 것이다

Prudential AIG Allianz 등 주요 선진국 보험사의 경우 개발도상국가 및 저개발

국에서 이러한 microinsurance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는데 물론 수익성도 고려

하겠지만 무엇보다도 보험사의 공익성 차원에서 수행하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을 것

이다 최근 국내의 경우 사회연대은행이 민간기업의 지원을 통해 민영보험사와 저소

득층 자녀들을 위한 보험을 계약하여 시행하고 있는데 lsquo공부방보험rsquo이 그것이다 전국

에 소재한 공부방의 화재 시설소유(관리)자 배상 음식물 배상 가스 배상 공부방 내

활동 중 아동 구내치료비 보상 등을 주 계약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것 또한

microinsurance의 한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 보험가입 문제

우리 사회의 또 하나의 대표적인 보험취약계층으로 장애인을 들 수 있다 최근 한

국장애인재활협회의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노후 보장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다고 응답한 장애인이 139에 지나지 않아 이를 위한 보완 차원에서

라도 장애인 보험가입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 개선책이 시급한 시점이다

최근 몇 년 간 장애인전용보험 도입 가입심사기준 완화 등 장애인의 보험가입에

대한 차별 및 제한을 줄이고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일련의 시도가 있어왔지만 여전

히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보험 모집 및 인수 과정 등에서 합리적 근거가 없는 부당

한 가입 제한 등의 차별 행위가 여전히 존재하여 장애인의 보험가입이 활성화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차별 행위 등과 관련하여

감독당국이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보험사에 대한 행정지도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져

19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있다

지난 2001년 이후 장애인에 대한 보험가입 차별을 개선한다는 취지하에 개발판

매되고 있는 장애인전용보험의 경우 판매실적이 극히 저조하다 보험사측은 장애인전

용보험의 판매실적이 저조한 이유로 단순히 수요가 많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

제로는 수익성을 중시하는 보험사들이 장애인의 보험사고율이 높다는 입증되지 않은

이유로 소극적인 판매 자세를 취하고 있거나 여전히 보험 모집 및 인수 과정 등에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장애인전용보험은

일반 보험상품에 비해 상품의 종류 및 판매회사 수가 적어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은 장

애인의 다양한 보험수요를 충족하기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장애인 가입자에 대한 위험률이 통계적의학적으로 집계연구되어 있지 않은

현 상황에서는 보험사 입장에서도 모든 일반 보험상품에서 비장애인 가입자와 완전히

동일한 심사기준을 적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과도적으로라도 장애

인의 보험가입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기존의 장애인전용보험을 활성화시킬 필요

가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 장애인전용보험에 대한 홍보 및 일선 보험사 임직원에 대

한 교육지도 등을 강화하고 상품의 종류 및 판매회사 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장애인의 보험가입이 실질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는 장애

인전용보험의 확대보다도 장애인의 일반 보험상품 가입 시 차별을 개선하는 것이 보

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 영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처럼 장애인에 대한 보

험가입 차별을 금지하고 위반 시 제재하는 것을 명시하는 관련 법제정이 시급한 것으

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보험취약계층과 관련된 새로운 제도의 도

입 법적제도적 장치의 보완 등보다도 중요한 것은 보험사 스스로가 장애인 저소

득층 등 보험취약계층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이들에 대한 보험인수 시

수익성의 잣대만을 내세우려는 자세에서 탈피하려는 인식의 전환일 것이다 장애인

저소득층 등 보험취약계층에 대한 문제를 적극적이고 성실하게 개선하려는 보험사의

이러한 자발적인 노력이야말로 최근 보험사들 사이에서 가시화되고 있는lsquo적극적 공

익성rsquo형태인 사회공헌활동에 선행되어야 할 과제일 것으로 사료된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7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7호(2007423)

스톡옵션제도의 현황과 향후과제

具 廷 翰

〈요 약〉

스톡옵션은 기업의 경 과 소유의 분리에서 발생하는 경 자와 주주 간의

이해상충 문제를 해결하고 경 자로 하여 자발 으로 기업가치를 증 시키

도록 하기 해 도입된 제도이다 스톡옵션에는 고정부스톡옵션과 성과연동

형 스톡옵션이 있는데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은 주가상승이 경 자의 성과를

정확하게 반 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경 자의 성과지표를 활용하도록 설계

된 스톡옵션이다 경 자는 스톡옵션을 통해 본인의 성과와 상 없는 요인들

에 의해 주가가 상승함에 따라 이익을 향유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단기실

주의 기업경 스톡옵션을 부여 받지 못한 임직원의 상 박탈감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한계 을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해서 개별 회사는

경 자의 성과를 제 로 반 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개발하고 차 스톡옵션

을 부여받는 임직원의 범 를 확 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최근 일부 회사의 경영진에 대한 스톡옵션부여가 과도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

기되면서 스톡옵션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스톡옵션제도는 경영자에게 인

센티브를 제공하여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고 경영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취지에서 도입

되었다 그러나 스톡옵션제도가 경영자의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제공이라는 본래의 의

도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몇 가지 한계

점도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스톡옵션제도의 본래 목적 및 한계점과 이를 극복하

기 위한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19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스톡옵션제도의 목

스톡옵션제도는 기업의 경영과 소유의 분리에서 발생하는 경영자와 주주 간의 이해

상충을 방지하고 경영자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기업가치를 증대시키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만약 스톡옵션과 같은 성과보상시스템이 없다면 주주는 경영자가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여 경영을 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해야 하는 대리인 비용을 지불

해야 한다 그러나 경영자에게 스톡옵션을 부여하게 되면 경영자를 주주화하여 이러

한 모니터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온다 회사의 성장을 통한 주가상승으로

주주들이 얻는 이익을 회사의 임직원들이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주주

와 경영진의 이해관계를 일치시켜 대리인문제를 부분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스톡옵션제도는 대리인 문제의 해소뿐만 아니라 회사 경영능력이 뛰어난 우수한 인

재를 확보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자금력이 부족한 벤처기업의 경

우 주가상승폭이 클 수 있어 스톡옵션을 통해 저비용으로 우수인력을 유치하는 데 효

율적일 수 있다 공격적인 경영을 통해 회사의 성장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는 창업초기

기업의 경우 스톡옵션제도는 효과적일 수 있다

스톡옵션 부여로 회사에 우호적인 임직원을 많이 확보함으로써 적대적 MampA로부터

자사의 경영권 방어가 가능해져 안정적 경영을 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스톡옵션을 부여받은 임직원은 주가상승 시 권리행사를 통해 고수익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회사에 대한 임직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스톡옵션의 종류와 성과측정의 한계

스톡옵션은 크게 고정부스톡옵션과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

부스톡옵션은 부여시점에서 행사가격 행사가능수량 등이 확정되는 것이므로 설계가

단순하여 이해하기 쉽고 관리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정부스톡옵션

을 부여할 경우 경기호조 등에 따른 전반적인 주가상승과 같이 경영자의 실적과 무관

한 주가상승분만큼의 이익을 더 향유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톡옵션 본래의 취

지가 경영자의 장기적인 성과에 연동된 보상제도임에도 불구하고 행사가능시점에서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199

일시에 스톡옵션을 행사할 경우 주식의 장기보유를 유도할 수 없고 주가에도 부정적

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은 경영자의 성과에 연동하여 행사가격 효력발생수량 효력발

생기간 등이 조정되는 스톡옵션을 의미한다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은 고정부스톡옵션

에 비해 경영자의 성과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경영자의 성과와 관련이 없는 주

가상승에 따른 이익향유를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주주의 이익 증대를 단순히 절

대적인 주가상승만으로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주주들이 다른 경쟁기업에 투자

하지 않고 특정 기업에 투자한 점과 그 기회비용을 고려할 때 투자한 기업의 주가상승

이 경쟁기업의 주가상승보다 커야만 경영자의 성과로 인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과

연동형 스톡옵션에는 경쟁사의 주가상승 산업평균 주가상승률 등 다양한 성과지표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에서 성과지표의 설정이 스톡옵션 설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만약 성과지표가 경영자의 장기적인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면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의 장점을 살릴 수 없을 것이다

스톡옵션 부여 황 문제

우리나라는 1996년 증권거래법을 개정하여 스톡옵션을 부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하였고 기타 관련 법규들을 개정하여 1997년 3월부터 스톡옵션제도를 실행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환경이 마련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스톡옵션부여는 2002년 이후 대체적

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2007년 1월부터 3월 21일까지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의

스톡옵션 부여 규모는 총 767만주로 전년 동기의 1287만주에 비해 40 가량 감소하

였다 특히 2006년 이후 일부 대기업이 스톡옵션을 더 이상 부여하지 않음에 따라 급

격한 감소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들어서는 부여주식 수 기준으로 은행의

스톡옵션 부여가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은행의 경우 성과연동형 스

톡옵션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성과지표로 ROE BIS 비율 당기순이익 산업평균 주

가상승률 경쟁사의 주가상승률 등 다양한 성과지표를 활용하고 있으며 스톡옵션 부

여 수량도 근무기간에 연동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주가상승이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는 하나의 지표로 사용될 수는 있으나 스톡옵션을

20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부여받은 경영자의 성과를 정확히 반영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성

과연동형 스톡옵션의 경우 보다 정밀하게 실적에 따라 보상해 줄 수 있지만 성과연동

형 스톡옵션을 부여한다고 하더라도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를 단기에 호전시킬 수 있

다면 단기실적 위주의 경영을 예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스톡옵션은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는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므로 주요 임직

원을 대상으로 부여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므로 경영진과 핵심인력에 대해 스톡옵

션을 부여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러나 회사의 주가상승이 전적으로 스톡옵션을 부

여받은 임직원의 몫이 아닌 만큼 회사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데 기여했다고 느끼지만

스톡옵션을 받지 못한 임직원의 상대적 박탈감이 클 경우 근로의욕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향후과제

스톡옵션제도는 성과보상을 통해 대리인 비용을 줄이고 경영자의 성과에 부합하는

보상을 통해 안정적인 경영을 도모한다는 취지에서 훌륭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

나 스톡옵션이 경영자의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는 데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있고 이로

인해 미국 및 우리나라 일부 기업에서는 적극적으로 스톡옵션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스톡옵션제도가 도입된 근본적인 배경과 취지를 감안할 때 스톡옵션제도를 당

장 폐지해야 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또한 스톡옵션제도보다 더 나은 제도를 고안해내

는 것도 단기간 내에 이루어지기 힘들 것으로 보이므로 스톡옵션제도의 한계점을 보

완하여 보다 완전한 성과보상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성과

보상시스템은 성과에 합당한 보상이 수반되어 경영의 질을 향상시키고 훌륭한 경영자

를 많이 배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준다는 측면에서 그 필요성이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고정부스톡옵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성과연동형 스톡옵션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영자의 장기적인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선결해야 할 과제로 남는다 경영자의 성과는 개별 회사의 특성 업종의 특성 직위

및 업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기업은 스톡옵션을 부여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1

할 임직원의 성과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여 이를 반영한 스톡옵션

을 설계함으로써 스톡옵션이 지니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

이다

마지막으로 스톡옵션이 일부 임직원에 집중하여 부여되는 경향이 있는데 스톡옵션

제도 도입초기에는 최고경영자와 핵심인력에 한정하여 스톡옵션을 부여하더라도 그

범위를 점차 확대하여 스톡옵션을 부여받지 못한 임직원의 상대적 박탈감을 줄여 나

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전체 스톡옵션 부여수량을 고정시킨다 하더라도 스톡옵

션 부여대상을 확대함으로써 임직원의 주인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회사

의 발전에 유익할 것이기 때문이다

20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5호(2007618)

중소기업 육성지원을 위한 어음제도 개선방안

金 東 煥

〈요 약〉

그동안 어음제도 개선을 한 정부의 부단한 노력으로 어음교환 어음결제

비 은 지속 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어음발행 규모

는 은행 출 규모를 크게 상회하고 있고 어음제도 자체는 물론 어음 체수단

에도 지 않은 문제가 남아있다 어음에는 결제기간 장기화 고의부도 연쇄

부도 가능성 등 거래의 공정성과 융시스템의 안정성을 해하는 문제가 있는

반면 신용을 창출하고 기업간 계를 강화하는 등 거래의 효율성을 높이는

순기능도 존재한다 따라서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어음제도 폐지론에 해

서는 신 을 기할 필요가 있다 소기업이 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명실상부

한 성장동력으로 거듭나도록 하기 해서는 어음제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동 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장표어음 사용을 축소함과 아울러 어음

체수단 이용을 확 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안에는 어음

발행 등록제 실시 당좌개설 요건 강화 어음발행인에 한 신용 조사평가

변조 부도에 한 제재 강화 등이 포함된다

문제의 제기

중소기업은 일국 경제의 경쟁력과 성숙도를 반영하는 거울이다 선진국치고 중소기

업 기반이 튼튼하지 않은 나라는 어디에도 없으며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대등한 입장

에서 상호 경쟁협력하지 않는 나라치고 선진국이 되는 경우를 찾아볼 수도 없기 때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3

문이다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중소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자는 구호가 수십년

이어지고 있지만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대기업 등쌀이나 어음제도의 폐해 때문에 기

업하기 어렵다는 푸념이 끊이지 않고 은행이나 대기업은 대차대조표도 믿을 수 없는

데 어떻게 신용대출이나 현금거래를 할 수 있겠는가 언성을 높인다 이러한 분위기에

서는 중소기업에 거는 기대가 너무도 버겁고 중소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

자는 구호도 무색해진다

하지만 어음제도나 대기업이 없는 선진국 역시 한군데도 없음을 감안할 때 현재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의 볼멘소리는 어음제도의 폐해나 대기업의 횡포에 전적으로 기

인하는 것이라 단정하기도 어려운 것이 아닐까 본고에서는 어음제도를 포함한 우리

나라 중소기업금융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육성

하기 위한 어음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소기업 융의 특징과 문제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은 재무정보의 신뢰성이 낮고 비대칭성이 높아 정확한 신용평

가가 곤란하다 그렇기 때문에 은행들은 신용평가에 입각한 신용대출보다 담보보증

대출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담보보증대출은 은행의 신용평가 기회와

능력을 상실시켜 성장가능성 있는 중소기업의 선별을 곤란하게 하고 대기업 위주의

경제구조 즉 경제의 양극화 내지 이중구조를 심화시키는 부작용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이 영위하는 업종들은 경기에 매우 민감한바 은행들은

경기침체기에 자금공급을 크게 줄여 신용경색을 부추기는 경향이 있고 특히 위험회

피 성향이 높은 은행들은 대출의 상당 부분을 단기로 운용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안정

적 자금조달 및 장기 설비투자에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중소기업

-대기업 간 중소기업-중견기업 간 교섭력의 격차는 기업간신용(어음 외상매출채권

등)을 불공정하게 하여 중소기업의 성장을 가로막고 경제의 양극화를 조장하는 중요

한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20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어음제도 이용 황

어음은 중소기업금융 내지 기업간신용의 대표적인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 순기능을

가지고 있는 반면 남발에 따른 연쇄부도나 고의부도 교섭력 격차에 따른 금융비용

전가 등의 부작용도 수반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동안 정부는 어음제도의 부작용을 최

소화하고 어음대체수단의 이용을 장려하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해 왔다 그 결과 일평

균 약속어음 교환규모는 rsquo00년 158조원에서 rsquo06년말 81조원으로 크게 감소하고 중

소기업의 판매대금에서 차지하는 어음결제 비중도 rsquo97년 595에서 rsquo05년 283(현

금성 결제비중 717)로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rsquo06년말 현재

어음발행 잔액은 약 446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바 이는 은행의 중소기

업대출 잔액(rsquo06년말 약 300조원)에 비해 무려 100조원을 상회하는 규모에 해당한다

어음을 발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은행에 당좌예금을 개설해야 하는데 rsquo07년 4월말

현재 당좌개설 업체는 약 14만개에 달하며 이 중 28는 법인사업자 72는 개인사업

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14만개 업체 가운데 약 2만개 업체를 표본 추출하여 매출액

및 신용등급별로 구분해 보면 전체의 36가 연간 30억원 미만의 매출실적을 올리고

있고 전체의 163가 CCC등급 이하의 신용을 취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어

음결제 현황을 금액별로 살펴보면 전체의 96 정도가 1억원 이하의 소액어음으로 구

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어음제도의 순기능을 향수하는 자의 상

당수가 중소기업인 동시에 어음제도의 부작용으로 신음하는 자의 상당수 역시 중소기

업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어음제도와 련된 문제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어음제도가 개선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문제점들은 좀처

럼 시정되지 않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어음제도의 부작용 때문에 등장하여 이용이 권

장되고 있는 어음대체수단에도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우선 어음제도 자체의 문제점을 몇 가지 열거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용력이

약한 기업이 결제능력 이상으로 어음을 남발하거나 고의로 부도를 내는 것에 대한 통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5

제수단이 취약하여 판매중소기업 등 어음소지인의 피해가 크다 어음은 수표와 달리

부도 시 형사처벌 대상이 되지 않고 민사상의 책임만 부담하면 되기 때문이다 둘째

어음 회수기일은 rsquo04년 1359일로부터 rsquo06년 34분기 현재 1203일로 줄곧 단축되고

있기는 하나 여전히 장기에 머무르고 있다 참고로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의 실태조

사(rsquo06 12) 역시 어음제도의 문제점으로 ldquo결제기간 장기화(543)rdquo ldquo고의부도rdquo(258)

ldquo금융비용 전가rdquo(199) 등을 지적하고 있다 셋째 어음은 복수 기업간 배서양도

가 가능하여 연쇄부도의 위험이 상존한다 넷째 결제기간 장기화 연쇄부도는 결제위

험을 확대하여 지급결제시스템의 안전성을 훼손할 수 있다 다섯째 어음발행 통계가

잡히지 않고 있어 결제위험 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한편 어음대체수단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외상매출채권의 경우 법인

세 공제혜택이 있지만 적용대상이 제한되어 어음을 대체하는 효과 역시 제한적이다

둘째 전자어음은 분실도난의 위험이 없고 위변조가 불가능하다는 점 등 많은 장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명거래에 따른 거래노출 우려로 활성화에 제약이 있고 전

자어음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인 인센티브도 부족한 편이다 셋째 매출채권보

험의 경우 가입대상 및 한도가 제한되어 그 효과가 일부 기업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

다 넷째 기업구매 자금대출의 경우 사실상 수혜자는 구매기업이지만 구매기업이 추

심에 응하지 않거나 비협조적일 경우 판매기업에 대금지급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지연

될 가능성이 있다 다섯째 기업구매전용카드나 네트워크론의 경우 구매기업 및 금융

기관의 적극적 참여가 필수적이나 총액한도대출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인센티브가 미

흡하여 제도 확산에 한계가 있다

어음제도의 비용-편익 분석

어음에는 결제기간 장기화 고의부도 및 연쇄부도 가능성 등 거래의 공정성과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어음제도는 폐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어음에는 신용을 창출하고 기업간 관계를 강화하는 등

거래의 효율성을 높이는 순기능도 존재한다 따라서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어음제

도 폐지론에 대해서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는바 이는 어음제도를 폐지하더라도 외

20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상거래가 뿌리 뽑히지 않는다면 어음의 순기능만 사라지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어음제도를 당장 폐지하기보다는 비용과 편익을 비교 형량한 후 문

제점을 개선하는 것이 급선무일 수도 있다

최근 VAR(Vector-Auto Regression) 모델을 이용하여 어음제도가 중소기업 생산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어음사용(교환)이 한 단위(1조원) 증가할 때 단기적

으로 002~003만큼의 생산지수 상승효과가 발생한 반면 장기적으로는 -003~-005

만큼의 생산지수 하락효과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어음사용의 증가에 따른 긍

정적 효과(편익)는 제한적인 데 비해 그 부정적 효과(비용)는 장기적이고 보다 광범위

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여기서 어음사용이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는 단기는 주

로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이 비교적 타이트한 경기변동기에 해당하는데 경기변동기에

는 어음이 구매기업과 납품기업 간 매개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생산활동을

유지 혹은 촉진시켜 주는 효과를 낳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어음발

행 규모는 사회적 최적 수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바 상기 비용-편익 분

석결과는 점진적으로 어음(특히 장표어음) 발행규모를 축소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 주

고 있다

어음제도 개선방안

중소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명실상부한 성장동력으로 거듭나도록 하기 위

해서는 어음제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동 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장표

어음 사용을 축소함과 아울러 어음대체수단 이용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우선 어음제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부적격자의 어음발행이나 고의부

도 등을 억제할 수 있도록 당좌거래 기간을 연장하고 개인사업자(복식부기 의무자)의

경우 사업용계좌 개설은행에서만 당좌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당좌개설 요건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당좌개설 시(또는 정기적으로) 외부 신용조사기관 등에 의해

신용을 조사평가받도록 하여 일정 등급 이상을 유지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장표어음

발행 금액이나 만기 측면에서 우대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는 전자어음을 발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7

행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음용지 교부 시 은행 전체의 사용량 미사용

량을 감안하여 신규용지를 교부토록 함으로써 어음의 남발을 미연에 방지하고 위변

조 부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어음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인터넷뱅킹 등을 이용하여 금융결제원 어

음정보시스템에 어음발행 내역을 등록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격 신용등급 기

업이 발행한 어음을 대상으로 할인어음유동화 제도를 도입하여 선순위채권은 시장에

서 투자자에게 매각하여 어음 양도대금으로 중소기업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은행은

유동화를 통해 신용위험을 경감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미국에서는

외상매출채권을 대상으로 한 팩토링이 활성화되면서 어음 사용빈도가 감소하고 있지

만 어음발행 등록제를 채택하여 어음거래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한편 장표어음 사용을 축소하기 위해서는 현금성 결제수단인 기업구매자금대출 네

트워크론 등 네트워크금융을 활성화 내지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법인

세소득세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 네트워크금융 운용실적 우수업체에 대한 하도급

서면심사 면제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동시에 불공정거래에 관여하는 구매기업이나

금융기관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금융기관 및 정부는 중소기업이 하

청거래선을 다각화하거나 독자적 또는 중소기업 공동으로 국내외 구매판매선을 구

축하고 신제품 개발능력과 기회를 확대하며 지적재산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형태의 네트워크금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세제상 인센티브를 대폭 늘려 전자어음

제도를 활성화하고 매출채권보험의 가입대상을 중소기업 전체로 확대하거나 최고보

험한도를 상향조정하는 것 역시 장표어음 축소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금융결제원으로 하여금 어음 및 어음대체 결제수단에 대한 통계를 통합

관리하도록 하고 어음대체 결제수단에 대한 총괄안내 홈페이지를 구축운영하여 어

음대체수단을 적극 홍보하거나 금융기관 직원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어음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장표어음 사용을 축소하기 위한 방안에

해당한다

20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28호(200779)

저축은행의 IT역량 강화방안

鄭 燦 宇

〈요 약〉

소형 융기 도 선진 IT역량을 갖추지 못하면 도태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서 규모의 세성으로 IT투자 여력이 부족한 소형 축은행은 공동의 통합

산망을 구축함으로써 투자비용을 감하고 원가성 자 을 유치할 수 있

는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형 축은행은 비용부담 외에도 경

략 변화에 한 신속한 응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통합 산망 가입에 극

이지 않으며 여타 미가입 축은행도 시스템에 한 불만 투자비용에

한 착시 상으로 인해 IT통합에 미온 이다 통합시스템을 확 강화하

기 해서는 통합시스템에 한 비 을 명확히 설정하고 동 시스템이 축은

행 체의 공동 결제시스템으로서 첨단 융기법의 도입 보 채 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고객의 니즈가 다양해지면서 금융기법도 복잡화되고 있으며 그 결과 최근 금융기

관의 경쟁력은 IT시스템의 수월성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다 동 부문의 경쟁력

이 뒷받침되지 않는 금융기관은 신상품의 개발과 고객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금융서

비스의 제공이 어려운 상황이 된 것이다 그런데 저축은행 업계의 경우 소수의 대형회

사만이 선진화된 금융기법을 도입할 수 있는 수준의 IT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독자

전산망을 지닌 대부분의 중소형 회사는 규모의 영세성으로 이러한 수준의 IT시스템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리고 앞으로도 선진 IT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대규모 투자를 감

행할 여력을 가진 저축은행의 수는 크게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축은행 업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09

계의 경쟁력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IT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대부분의 저축은행이 규모의 영세성을 지닌 상황에서 저축은

행의 IT역량을 강화하는 현실적인 방안으로서 IT통합의 타당성을 살피고 구체적인 실

행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T통합의 필요성

금융산업의 선진화가 진행되면서 거래시스템의 개선 목적보다는 경영정보의 수집

분석이나 리스크관리 등 경영효율성 측면에서 IT시스템 투자수요가 갈수록 증가하

고 있다 그 결과 소형 금융기관도 선진 IT역량을 갖추지 못하는 경우 경쟁에서 낙후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도래하여 소형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IT시스템 투자가 경영

의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개연성이 커지고 있다 저축은행의 경우에도 중장기적으로

대형 금융기관과 경쟁이 가능한 수준의 선진금융기법에 기반을 둔 경영효율성을 확보

하는 데 필요한 IT시스템 투자는 개별 저축은행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비용이 수

반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은행과는 달리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하여 대규모

전산투자가 어려운 개별 저축은행은 공동의 통합전산망을 구축함으로써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IT통합의 또 다른 장점은 전 저축은행을 하나의 망으로 연결하여 소비자의 편의성

을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이다 2006년말 현재 저축은행 예수금의 90 이상이 정기예

금으로 자금조달에서 보통예금과 같은 저원가성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한 형편

이다 이로 인해 여신금리를 높게 운용할 수밖에 없어 상대적으로 높은 리스크를 부담

하는 것이 불가피한 형편이다 만약 IT통합을 통해 고객의 입장에서 저축은행 업계 전

체를 하나의 기관처럼 인식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는 전국 점포망을 가진

대형 금융기관과 수신시장에서 경쟁하면서 저비용의 결제성 자금을 유치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따라서 지금부터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저축은행 업계 전체의 공동 IT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표준화된 거래시스템을 통해 적어도 소비자 편의성 면

에서는 모든 저축은행을 하나로 연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신용정보

21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시스템 등 표준화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한 정보의 공유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표준 신용리스크 관리시스템의 구축 등 선진화된 금융기법을 도입하고 이에 따른 IT

투자비용의 분담과 기타 인적물적 자원의 공유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IT 통합의 장애요인

1999년 4개사를 대상으로 통합전산망을 처음 개통한 이래 2007년 1월말 현재 중앙

회가 운영 중에 있는 통합금융정보시스템(IFIS)에 가입하고 있는 저축은행은 65개사

로 전체의 59에 불과한 반면 대형 저축은행들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IT시스템을 운

영하고 있는 저축은행은 45개사에 달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IT통합이 순조롭지 않은 데에는 여러 요인이 있다 우선 자체적인 전산

시스템 운영에 큰 어려움이 없는 대형 저축은행은 통합전산망에 가입하는 것보다 개

별 전산망을 운용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들에게는 통합

전산망 가입에 따른 분담금 외에도 기존에 투자된 전산장비에 대한 감가상각이 종료

되지 않은 것이 직접적인 비용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저축은행 고객들

의 경우 인터넷뱅킹이나 텔레뱅킹 등 전자금융에 대한 수요가 활발하지 않은 것도

개별 저축은행의 입장에서 볼 때 통합전산망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기 어려운 요인

이다

또한 비용 측면 외에도 1) 신상품 개발 등 개별 저축은행의 경영전략에 대한 신속한

대응의 어려움 2) 영업전략 및 노하우 등 기밀누설의 가능성 3) 중앙회 소속의 전산

직원 등에 의한 금융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대형 저축은행들이 통합전산망에 적극적으

로 가입하고 있지 않은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통합의 장애요인을 전 저축은행으로 확대해 살펴보면 최근 중앙회가 회원 저축은

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및 경영자면담조사 결과 통합전산시스템이 활성화되

지 않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두 가지로 나타났다 먼저 동 시스템의 효율성이 회원 저

축은행들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 저축은행 중 통합전산시스템의 만족도가 개별 전산시스템과 큰 차이가 없

거나 못하다는 답변이 717를 차지했으며 개별 저축은행의 요구를 충족하는 데에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1

애로가 있다는 답변이 904에 달하였다 또한 통합전산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이라

고 할 수 있는 비용절감에 대해서도 응답 저축은행의 70가 통합에 따른 비용절감 효

과가 미미하거나 없다고 답하였다

또 다른 원인은 개별 저축은행들이 현재 자신이 운영 중인 IT시스템만을 기준으로

통합 IT시스템의 경제적 효과를 판단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저축은

행은 거래처리를 위한 계정계시스템 및 고객데이터 중심의 정보계시스템을 중심으로

IT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즉 선진금융기법 도입을 위해서는 불가

피하게 점차 규모가 커질 것이 자명한 미래의 IT시스템 투자를 기준으로 비용효과를

판단하지 않기 때문에 통합 IT시스템의 장점이 크게 부각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같은 시각의 편중은 IT시스템 통합이 이루어지더라도 운영의 주체인 중앙회가

선진 금융기법 도입이라는 미래의 요구를 적절히 수용하고 적시에 구현할 수 있는 역

량을 갖출 수 있는지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것도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통합 IT시스템 확 방안

저축은행이 여러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통합 IT시스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더욱 심도 있게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통합 IT시스템에 대한

중장기 비전을 명확히 정립하고 통합시스템이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개별 저축은

행에 도움이 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축은행의 양극화가 진행되

면서 개별 저축은행 간 이질감이 확대되는 것을 감안하면 향후 업계의 공감대 형성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따라서 통합 IT시스템을 확대하여 궁극적으로 전 저축은행

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동 시스템이 전 저축은행의 공동 인프라로

서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비전을 명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으로 개별 저축은행 간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주된 업무영역의 범위 또

한 이질성이 커지는 것이 불가피하더라도 서민금융 즉 은행여신의 한계시장으로서의

개인 및 중소기업에 대한 여신은 모든 저축은행의 공통분모로 남게 될 것으로 예상된

다 또한 결제성자금의 수신비중 증대도 향후 개별 저축은행의 주 업무영역에 관계없

이 공통된 주요 과제로 남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은행 등 대형금융기관 수준

21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의 편의성을 갖춘 전자금융서비스에 대한 필요성 또한 공통 이해의 영역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저축은행 업계의 통합 IT시스템이 중장기적으로 서민금융의 표준

인프라로서 기능하는 한편 저축은행 업계의 공동 결제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통합 IT시스템의 확대를 위한 또 하나의 요건이다

한편 리스크 측정 및 분석 등은 중장기적으로 통합 IT시스템이 가장 큰 부가가치

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이다 그리고 고도의 통계적 분석기법에 기초한 신용리스크 관

리시스템과 시장리스크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지관리하기 위한 인적물적자원

의 확보는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에도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통합 IT시스

템이 리스크의 측정 및 분석 등에서 첨단 금융기법의 도입과 보급을 위한 채널로서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것도 동 시스템의 확대를 위해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통합 IT시스템이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고 개별 저축은행에 대한 신뢰성

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의 개발 및 유지보수를 위한 전문

가집단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앙회 소속 혹은 저축은행 공동출자의 서민금융

연구소와 같은 전문가조직을 설립하고 동 조직이 선진금융기법을 연구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통합 IT시스템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IT 통합의 시너

지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4호(2007827)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李 載 演

〈요 약〉

최근 10여년간 가맹 수수료 수 을 둘러싸고 가맹 과 신용카드사 간에

마찰이 지속되어 왔다 그 이 까지 큰 문제없이 유지되어 오던 가맹 수수

료에 해 분쟁이 발생하는 것은 신용카드 활성화 정책에 따라 카드 사용이

크게 확 되었으나 수수료율 조정이 뒤따라가지 못하 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과도한 마 비용 축소를 통해 가맹 수수료율을 인하할 여력

을 확보하는 한편 형가맹 과 소형가맹 간의 수수료율 격차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 한 장기 으로 여 법상의 신용카드 거 수수료 부담

지 조항을 완화하도록 검토할 필요가 있다 사회 비용 축소를 해서는 체

크카드 비 번호방식 직불카드의 활성화도 필요하며 특히 직불카드는 은

행의 핵심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소형 신용카드 가맹점들을 중심으로 가맹점 수수료율이 높다는 불만이 높아

지고 있다 반면 신용카드사들은 누적손실을 감안하거나 평균적인 가맹점 수수료율을

감안할 때 현행 수수료율이 그렇게 높지 않다는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가맹점 수수료

율에 대한 불만은 정치권으로도 확산되어 일부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가맹점간 수수료

차별금지 등을 위한 여전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우

리나라의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체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가맹점 수수료 체계의

개선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21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가맹 수수료 체계 황

우리나라 신용카드의 기본(표준)가맹점 수수료는 1980년대 신용카드업이 국내에 정

착하기 시작한 초창기에 재무부가 업종별로 결정하여 왔으며 그 영향이 현재까지 지

속되고 있다 당시 기본수수료율은 국세청에서 업종별로 부과하는 ldquo소득표준율rdquo ldquo위

험부담rdquo 및 ldquo공익성 및 서민생활 밀접 업종rdquo 등을 고려하여 책정되었다 이에 따라 재

무부는 국민편의 업종 등에는 낮은 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유흥 및 호화사치 업종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수료율을 적용하여 당시 가맹점 기본수수료율이 업종에 따라 3

4 5 수준으로 각각 달랐다

이러한 가맹점 기본수수료율은 1999년까지 그대로 유지되어 오다가 금융위기에 따

른 가맹점의 매출감소 및 중산층 생활안정 필요성 정부의 신용카드 활성화 정책에 따

른 가맹점 반발 완화 등을 위해 수수료율이 25 이상인 업종에 대해 일률적으로 10

씩 인하됨으로써 주요 가맹점 수수료율은 각각 27 36 45가 되었으며 이후

약간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새롭게 나타난 대형할인매장이나 신용카드 활성화 조치 이후 신용카드를 받

기 시작한 종합병원 등과 같은 업종들에 대해서는 신용카드사에 대한 수익기여도 및

반발 완화를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수료율이 적용되었다

신용카드사는 이러한 기본수수료율을 기준으로 가맹점별로 매출액 불량매출발생

률 카드회사에 대한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차등 적용하는 수수료의 슬라이딩제를 마

케팅 차원에서 적용하고 있다

가맹 수수료율 련 주요 이슈

최근 가맹점들이 1980년대 이후 큰 변화없이 유지되어온 가맹점 수수료율에 대해

반발하는 것은 과거에 카드를 받지 않던 상점들이 신용카드의 사실상 결제의무화로

인해 불가피하게 카드를 받게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 신용카드를 받지 않아왔던 상점들은 주로 높은 가맹점 수수료율이 적용되며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5

이윤율이 낮은 소규모 상점인 경우가 많은데 가맹점 수수료율 조정 없이 카드결제를

사실상 의무화하면서 반발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가맹점들이 수수료율이

높을 경우 신용카드를 받지 않을 수 있었으므로 높은 수수료율 수준이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그러나 카드회원에 대한 부가서비스 확대 및 신용카드 활성화조치에 의해 고객의

카드선호가 높아지고 카드결제도 사실상 의무화되어 소규모 상점들도 카드를 받지 않

을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소형가맹점들을 중심으로 높은 가맹점 수수료 및 업

종간 격차가 큰 가맹점 수수료 체계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신용카드사의 입장에서도 영세가맹점의 경우 가맹점 수수료율이 높음에도 불구하

고 가맹점 수수료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으며 건당 거래규모가 낮아 역마

진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아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금리 인하와 대손비율 하락 등으로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여력이 발생하였으

나 협상력이 강한 대형 가맹점에 대한 수수료 및 회원 관련 서비스 수수료가 우선적으

로 인하됨에 따라 소형 가맹점들의 반발이 제기된 것으로 판단된다

대형마트에 대한 수수료율은 신용카드사간 경쟁에 따라 평균가맹점 수수료율(2006

년 기준 233)보다 크게 낮은 15대로 인하되었으며 이로 인해 소형 가맹점 수수료

에 대한 인하 여력이 약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대형마트는 2006년 카드사를 통한 카

드거래 중 취급건수 기준 165 취급거래액 기준 136를 각각 차지할 정도로 거래

규모가 크므로 이들 대형마트를 통한 카드사의 수수료 수익을 고려할 때 낮은 가맹점

수수료율을 적용하여도 높은 수익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맹점 수수료율 책정 시 발생원가를 그대로 적용한다면 대형 가맹점의 경우 거래

건당 규모가 큰 관계로 업무처리 및 관리비용이 낮아 낮은 수수료율 적용이 가능한 반

면 소형 가맹점에는 상당히 높은 수수료율이 책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카드사간

경쟁에 따른 대형마트에 대한 수수료율 인하는 가맹점 간 수수료율 격차를 확대하였

으며 소형 가맹점으로부터 반발을 일으키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신용카드사는 카드네트워크의 유지를 위해 수수료율 책정 시 카드회원과 가맹점의

균형과 함께 중소형 가맹점과 대형 가맹점 간의 균형도 고려하여야 하나 가맹점의 이

탈이 어려운 시장구조 하에서 이를 소홀히 한 것으로 보인다

21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신용카드사는 카드회원의 편의를 위해 소형부터 대형 가맹점까지 다양하게 구성된

가맹점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소형 가맹점이 이탈하지 않도록 대

형 가맹점과 소형 가맹점 간의 수수료율 격차를 너무 크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

므로 소형 가맹점에 대한 수수료율을 낮춰주어야 한다

또한 가맹점이 수수료율 수준에 불만을 가질 경우 가맹점 계약을 해지하면 되나 우

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중소형가맹점들의 가맹점 수수료율에 대한 불만이 높아짐에 따라 가맹점

수수료율에 대한 원가공개를 요구하기에 이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개선방안

먼저 가맹점간 수수료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과당경쟁에 따라 발생하는 과도한 마

케팅 비용을 감축함으로써 인하 여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카드영업비용에서 마케

팅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카드사별로 차이가 있으나 20~40이며 최근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마케팅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회원에게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발생되는 비용으로 항공마일리지 적립비용 포인트 적립비용 외에 회원의

놀이공원 극장 주유소 등의 이용 시 할인제공으로부터 발생되는 비용으로 구성된다

신용카드사들의 마케팅 비용 축소는 카드회원의 과도한 신용카드 선호를 낮출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는 조세투명성 강화를 위해 상점들로 하여금 사실상 신용카드 가맹점가입

및 신용카드 결제를 강제하고 있으나 이를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현재

정부는 일정규모 이상의 사업자에 대해 신용카드 가맹점 가입을 유도하고 미가입 시

에는 세무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사실상 가맹점 가입을 강제하고 있다 또한 여전법 19

조 1항은 가맹점으로 하여금 신용카드 거래를 거절할 수 없으며 3항에서는 가맹점으

로 하여금 가맹점 수수료를 카드회원에게 부담시키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용카드 거절금지 및 부담금지의 경우 다른 나라에서는 비자 매스터 카드 등

신용카드네트워크사의 규정에 의해 금지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중장기적으로 신용카드의 거절 및 부담 금지 조항의 완화를 검토할 필요가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7

있다 이 조항을 완화할 경우 조세투명성 퇴보와 무자료거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간이과세자인 영세가맹점 또는 소액결제에 한하여 실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신용카드 거래로부터 발생되는 거래비용 축소를 위해 체크카드 및 비밀번호방식 직

불카드 이용의 활성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들 카드는 결제 시 지정된 예금계좌로

부터 대금이 즉시 인출됨에 따라 자금조달비용 대손비용 채권회수비용 연체관리비

용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과소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비밀번호방식 직불카드 결제는 체크카드와 달리 금융결제원 직불카드 공동

망을 통해 이루어지며 현재 가맹점 수수료율이 최저 1에서 최고 2 수준이어서 여

타 지급결제수단보다 저렴하다 비밀번호방식의 직불카드는 현재 사용규모가 축소되

고 있으나 이를 활성화할 경우 요구불예금 축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은행들의 저리

자금조달에도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21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신한경제연구소 소장(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1호(20071022)

국내 PEF GP의 현황과 향후과제

林 炳 喆

〈요 약〉

국내 PEF가 앞으로 더 큰 성장세를 보일 수 있을지 여부는 이제부터 향후

수년간 PEF들이 어떠한 성과를 보여 수 있는가에 의해 가름될 것이다 따라

서 PEF의 모든 투자결정을 주도하면서 성과에 결정 인 향을 미치는 GP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요하다 GP들은 자신들의 문성을 높이는 한편 투자성

과를 보여 으로써 LP와의 신뢰를 구축하는 노력을 극 개해야 한다 한편

최근 개인 는 외국법인이 국내 PEF에 GP로 등록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앞

으로 불필요한 논란의 소지를 없애기 해 GP에 한 최소 자격요건을 두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향후 PEF 산업의 발 을 해서는 능력있는 GP들이

다수 출 하여 선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한 GP 솎아내기는 결국 시장

에서 LP들에 의해 주도되어야 할 것이다

올해 말이면 국내에 바이아웃형 사모투자전문회사(이하 PEF Private Equity

Fund) 제도가 도입된 지 만 3년이 된다 국내 PEF의 규모를 살펴보면 2007년 8월말

현재 총 출자약정액이 7조 7000억원을 상회하고 출자이행액도 3조 5000억원에 육

박한다 아직 제도도입 초기인 점을 감안하면 그 간 매우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

고 있다고 평가된다 다만 기업을 인수한 후 인수기업의 가치를 제고하여 되팔음으로

써 투자자산을 회수하는 바이아웃형 PEF의 특성상 국내 PEF가 앞으로 더 큰 성장세

를 보일 수 있을지는 이제부터 2~4년간 PEF들이 어떠한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가에

의해 판가름될 것이다 따라서 PEF의 모든 투자결정을 주도하면서 성과에 결정적인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19

영향을 미치는 무한책임사원(이하 GP General Partners)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

한 때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내 PEF의 현황을 GP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국내 PEF

의 성장을 위해 GP에게 요구되는 과제와 GP의 선별과정에서 유한책임사원(이하 LP

Limited Partners)이 유념해야 할 이슈 등을 간략히 논해 보고자 한다

국내 PEF GP 황

PEF 제도가 도입된 2004년 12월부터 2007년 8월말까지 총 42개의 PEF가 금감위

에 등록되었다 이 중에서 이미 해산된 3개를 제외하면 현재 39개의 PEF가 활동 중이

다 이들 PEF의 GP로 30여개의 기관이 활발히 참여하고 있는데 이들을 세 부류로 대

분해 보면 금융회사 금융회사의 자회사 독립계회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GP로 참여하고 있는 금융회사를 살펴보면 제도도입 초기에는 주로 은행 증권

사 및 자산운용회사를 중심으로 GP참여가 이루어지다가 제도 완화와 함께 창투사 신

기술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 등으로 확대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산업은행 기업은

행 농협 등 은행과 대우증권 우리투자증권 SK증권 등 증권사 그리고 미래에셋맵

스자산운용 서울자산운용 KTB네트워크 솔로몬상호저축은행 등을 들 수 있다 이

들 금융회사들은 조직 내에 PEF 전담부서를 두고 GP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17~18개사의 금융회사가 23~24개 국내 PEF의 GP로 참여하고 있어 전체 국내 PEF

의 약 23 이상의 금융회사가 GP로 참여하고 있는 PEF로 분류된다

다음으로 PEF의 운용을 위해 금융회사에서 분사하여 독립법인으로 설립된 금융회

사의 자회사인 GP를 들 수 있는데 신한PE 우리PE 맥쿼리코리아오퍼튜니티즈운용

등이 이 부류에 속한다 현재 4~5개사가 PEF에 GP로 참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독

립적인 GP가 13~14개의 국내 PEF에 GP로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특정 금융회사 또

는 금융그룹에 속하지 않고 PEF운용을 전문으로 하는 독립회사들이다 HampQ AP

MBK파트너스 보고인베스트먼트 웅진캐피탈 등 10여개사가 현재 활동 중이다

22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PEF의 운용구조와 GP의 요성

PEF의 운용과 관련된 최종 의사결정은 GP가 담당한다 따라서 LP들이 출자한 자

금의 운용을 책임지고 있는 GP의 역할은 PEF의 성과도출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하

다 자금모집 투자대상의 선정 투자방식의 설계 인수기업의 가치 제고 투자회수

전략의 수립 및 이행 등 PEF 투자활동의 각 단계에 있어 GP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산업 전반은 물론 인수대상 기업들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LP들의 입장에서 보면 PEF의 투자활동에 대한 GP의 전문성과 역량은 LP들이 PEF에

대한 투자결정을 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작용한다 미국 등 선진국 PEF

의 경우 LP들이 자신의 돈을 맡길 GP를 선정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은 전문성

과거 투자실적 신뢰성 등에 기초한 GP의 명성(reputation)이라고 알려진다

현재 국내에서 활동 중인 GP들은 국내 PEF산업이 아직 초기에 있는 만큼 자신들의

전문성과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모회사 또는 과거

유사경력 등에 힘입어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국내 PEF들의

투자가 더욱 본격화되고 투자성과의 실현도 점차 가시화되기 시작한다면 국내 PEF

및 GP간의 차별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향후 시장에서 잠재적 LP들의

선호가 일부 GP들로 쏠리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GP로서의 경쟁력 강화를 한 핵심과제

국내 PEF들의 투자집행이 아직 현재 진행형인 상황에서 국내 GP들간의 성과 차별

화를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일 것이다 따라서 성과에 대한 부분은 논외로 한다 하더라

도 GP로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음과 같은 이슈의 중요성은 강조되어야 한다

우선 GP가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경쟁력 요소는 전문성이다 기업을 인수한 후 기

업가치를 높이고 이를 되팔아 투자수익을 추구하는 PEF의 활동영역은 고도의 전문성

을 요구하는 전문분야이다 따라서 PEF는 타 간접투자기구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영

역을 가진 하나의 전문산업으로 인식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PEF의 운

용을 주도하는 GP의 전문성 제고는 아무리 강조되어도 모자랄 것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1

전문성과 더불어 강조되어야 할 또 다른 요소는 연속성이다 PEF의 투자활동은 통

상 5~10년이라는 상당히 긴 기간동안 이루어진다 따라서 GP로 참여하는 기관의 구

성원이 하나의 딜을 처음부터 끝까지 마무리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같은 기간동안 근무

의 연속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물론 GP로서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서도 스태프 멤버들

의 근무의 연속성은 충족되어야 할 전제조건일 것이다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경우

임직원들의 순환 근무가 일반적인 상황인데 GP업무를 수행하는 PEF 담당 부서의 경

우 업무의 특성을 고려하여 순환배치원칙의 적용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GP는 기존 LP는 물론 시장의 잠재 LP들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LP들의 GP에 대한 신뢰는 GP의 전문성과 역량에 대한 믿음 투자활동 과정에

서의 긴밀한 협조와 관계 유지 GP의 투명한 투자집행 등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장

기간에 걸쳐 형성된다 금융회사의 GP 참여가 활발한 우리나라의 경우 LP들의 GP에

대한 신뢰형성과 관련하여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이해상충 방지체제의 중요

성이다 기존에 금융업무를 영위하고 있는 금융회사가 PEF의 GP일 경우 PEF의 투자

활동 과정에서 금융회사의 기존 업무와 이해상충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PEF 담당부서와 타 업무부서와의 이해상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화벽을 설

치하고 GP로서 의사결정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한편 이를 LP들이 확

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GP 련 일부 제도 보완이 필요

최근 시장에서는 기관이 아닌 개인이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국내 PEF의 GP

로 등록하려는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물론 현재 개인이 PEF의 GP가

되는 데에 아무런 법적 제약은 없는 상태이다 다만 PEF 업무의 특성상 개인이 투자

대상의 물색 투자구조의 설계 인수기업의 가치 제고 재매각 등 일련의 투자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전문성을 갖기는 쉽지 않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PEF 투자활

동의 위험을 개인이 감당하고 무한책임을 진다는 것 자체가 무리라고 볼 수도 있다

한편 국내에 법인으로 존속하지 않는 외국계 법인이 국내 PEF의 공동 GP로 등록하

려는 시도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경우에도 현행법에 해외소재 외국기업

22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 국내 PEF에 GP로 참여하는 경우와 관련된 조항이 없어 논란의 소지가 존재한다

다만 국내에 존재하지 않는 외국기업에 대한 감독권행사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국소재 법인의 GP 등록은 현행 PEF 관련 법규의 제정취지에도 부

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행법에 GP의 최소 자격요건규정 등을 두어

불필요한 논란의 소지를 없애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GP 솎아내기를 한 LP의 역할

GP의 전문성과 능력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PEF 산업이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발

전하기 위해서는 능력있는 GP들이 다수 출현하여 산업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어야 한

다 이를 위해서는 시장에서 GP를 솎아내는 작업이 꾸준히 진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의 주체는 결국 LP들이 될 수밖에 없다 제도적으로 GP의 최소 자격요건을 두는

것은 GP 솎아내기의 출발점은 될 수 있지만 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다 따라서 LP들이

자신들의 자금을 맡기는 GP를 선정함에 있어 GP가 쌓아 온 명성(reputation)을 중시

하는 시장의 관행이 정착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관행은 국내 GP들이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면서도 자신들의 전문성을 높이고 LP와의 신뢰를 쌓으려는 노력을 꾸준히 전개

하고자 하는 유인을 제공할 것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2호(20071029)

벤처캐피탈시장의 발전과제

具 廷 翰

〈요 약〉

미래의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주도할 원동력이라는 면에서 벤처기업 육성이

요하다 벤처기업은 자 조달에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으므로 벤처기

업의 육성을 해서는 벤처캐피탈시장의 활성화가 요하다 벤처버블 붕괴

이후 정부의 다양한 노력으로 벤처캐피탈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장

기 으로 자생력을 확보하기 해서는 기 투자가의 시장참여 확 기 기업

에 한 투자 확 MampA 활성화를 통한 투자자 회수수단의 다양화가 선결

되어야 할 것이다 투자자 회수수단의 다양화는 자 선순환구조의 정착

기기업에 한 투자 확 를 유도하기 해 필요하고 기 투자가의 시장참

여 확 를 유도하기 해서는 모태펀드의 심사 선별능력이 좋은 평 을

유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고기술 보유기업과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은 과거 대기업 위주의 경제성장 한계를 극

복하고 미래의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주도할 원동력이라는 점에서 이들 산업의 육성

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업들은 규모의 영세성 낮은 인지도 등으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정부는 여러 가지 조치를 통해 벤처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 보완작업을 추진해 왔으

나 아직 벤처캐피탈시장에서 민간중심의 시장이 형성되었다고 보기 힘들다 현재 벤

처캐피탈시장에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가운데 장기적으로 시장의 효율성 제고 및

시장발전을 위해 민간중심의 자생력을 키우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22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본고는 벤처캐피탈시장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시장발전을 위한 향후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벤처캐피탈시장의 형성과 정부의 역할

정부는 고위험 정보 비대칭으로 인해 은행으로부터 자금조달이 어려운 중소벤처

기업에 대해 지분투자 형식으로 자금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벤처캐피탈의 필요성을 인

식하였고 1986년 5월「중소기업창업지원법」을 제정하여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

자업무를 주도적으로 담당할 창업투자회사의 설립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동년 12월

에는「신기술사업금융지원에관한법률」을 제정하여 신기술 및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신기술사업금융업자를 육성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

였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정부는 지식정보기술의 중요성 고용창출의 필요성 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서 벤처기업의 중요성을 감안하여「벤처기업육성을위한특별조치법」을

제정하였고 적극적인 벤처기업 육성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벤처기업에 대한 지나친

관심과 기대로 벤처기업 투자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벤처버블이 발생하였다

2000년 하반기 벤처버블이 붕괴된 이후 벤처투자가 급속히 축소됨에 따라 2004년

12월 정부는「벤처기업 활성화대책」을 발표하였고 그후 벤처캐피탈시장은 뚜렷한 회

복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2005년 4월 개정된「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에 근

거하여 한국모태펀드가 설립되었고 2009년까지 총 1조원 규모가 정부재정 및 기금을

통해 조성되어 30년간 운용되도록 하였다 모태펀드는 벤처캐피탈 회사가 설립한 투

자조합에 출자하는 재간접펀드(Fund of funds)로서 그 규모나 공공성이 강한 성격상

향후 벤처캐피탈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2006년 들어 정부는 벤처캐피탈시장의 안정적인 성장기반 확충을 위해 시장중심의

벤처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벤처캐피탈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는 등 꾸준히

벤처캐피탈시장을 보완함에 따라 동 시장은 최근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5

벤처캐피탈시장 황

현재 벤처캐피탈은 신기술금융회사와 창업투자회사의 이원화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2000년 벤처캐피탈의 신규투자 규모가 2조원을 상회하였으나 벤처버블 붕괴

이후 벤처캐피탈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면서 신규투자실적은 2004년 7770억원으로 축

소되었다 그러나 2004년 12월 정부의「벤처기업 활성화대책」이후 그 규모는 2005

년 2006년에 각각 9577억원 1조231억원으로 대폭 확대되었다

2006년 창업투자회사의 업력별 신규투자 비중을 살펴보면 창업 3년 이내 기업에

대한 투자비중은 303 3년sim7년 기업에 대한 비중은 508 7년 초과 기업에 대한

비중은 189로 창업초기기업에 대한 투자보다 창업중기기업에 대한 투자비중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말 운영 중인 350개 투자조합에서 납입기준으로 정부 및

지자체가 출자자로서 차지하는 비중은 244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기금과

기관투자가를 합한 비중은 292로 미국 유럽의 50를 상회하는 수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캐피탈의 투자자금 회수시장은 크게 코스닥시장 IPO와 MampA로 나눌 수 있는데

국내 벤처캐피탈의 MampA를 통한 투자자금 회수는 10 정도 수준에 머물러 있어 자금

회수를 위해 대부분 코스닥시장 IPO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의 경우

2006년 건수 기준으로 MampA를 활용한 투자자금 회수 비중이 85 수준으로 우리나라

와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06년 동안 미국에서 벤처캐피탈 지원을 받은 기

업의 평균 IPO 금액은 09억달러이고 동기간 벤처캐피탈 지원을 받은 기업의 평균

MampA 거래금액은 11억달러를 기록하여 규모면에서도 MampA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캐피탈시장에서의 문제

앞서 현황에서 나타났던 벤처캐피탈시장의 문제점은 크게 투자자금 형성단계 투자

단계 투자자금 회수단계로 구분하여 표현할 수 있다

투자자금 형성단계에서는 기관투자가의 비중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관투자가

가 투자조합에 출자를 확대하면 투자조합의 자금운용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로 시장의

22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건전성을 제고할 수 있고 시장에서는 안정적인 투자재원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

으나 현재 국내 금융회사들의 벤처투자 규모는 선진국에 비해 저조한 편이다

투자단계에서의 문제점으로는 투자조합의 짧은 만기로 인해 초기기업에 대한 투자

유인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미국의 경우 투자조합의 평균 존속기간이 10년

정도인 반면 우리나라는 평균 5년 정도이다 초기기업의 경우 투자자금 회수를 위한

IPO까지 상당 기간이 소요됨에 따라 자금회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초기기업에 대한

투자유인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초기기업은 사업의 성공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으

므로 벤처캐피탈이 초기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기피하고자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투자자금 회수단계에서의 문제점은 투자자금 회수수단이 대부분 코스닥시장 IPO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국내 벤처캐피탈의 한정된 투자자금 회수수단은 원활한 자

금회수로 자금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벤처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자금의 선순환 구조

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금 회수수단의 다양화는 시장의 안정적 성장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향후 과제

침체되었던 벤처캐피탈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은 최근의 회복세를 감안

할 때 성공적이었던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서 정부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에 따라 장기적으로 민간 주도의 자생력을 제고하여 시장이 안정적인 단

계로 진입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직접적인 시장개입을 확대하기보

다는 제도관행의 개선을 통해 민간부문의 참여 확대를 도모하고 시장실패가 지속적

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문에서 정부의 역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창업초기기업

에 대한 투자는 리스크가 크고 자금회수의 불확실성이 높아 민간부문의 자발적 시장

참여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시장실패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초

기기업에 대한 벤처캐피탈시장에서 정부의 지속적인 역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투자조합의 평균 만기가 5년으로 짧음에 따라 투자자금 회수를 위해 주된

투자대상이 창업 중기 또는 후기 기업으로 집중될 수 있다 2005년 6월 정부의「벤처

활성화 보완대책」에서 창업 3년 미만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조합에 대해 모태펀드의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7

출자비율을 높이는 등 초기기업 투자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

러나 근본적으로 자금회수에 대한 리스크가 큰 초기기업에 대한 민간부문의 자발적

투자 확대는 한계가 있으므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더불어 투자자금 회수수단의

다양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금년 6월 정부는「제2단계 기업환경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하여 상호저축은행이 일

정 한도 내에서 벤처펀드에 출자 가능하게 하였고 은행보험사도 금감위 승인 후 벤

처펀드의 15 이상 지분을 보유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였다 이에 따라 금융회사

들의 벤처투자가 어느 정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관투자가의 벤처캐피탈시장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제도적 개선과 더불어 향후 모태펀드의 역할이 중

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모태펀드가 심사 및 선별능력에서 좋은 평판을 유지한다면 경

기후퇴기에도 모태펀드의 투자가 시그널로 작용하여 기관투자가의 벤처캐피탈시장

참여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자금 회수수단의 다양화는 벤처캐피탈시장의 자생력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데

이를 위한 방안으로 MampA 활성화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의 높은 경영권 프리미엄

적대적 MampA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이 MampA 활성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와 더불

어 기업들이 기술력을 갖춘 벤처기업에 대한 MampA를 통해 기술을 확보하는 것보다 해

당 기업의 핵심인력을 유치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어 MampA를 저해할 소

지가 있다 따라서 핵심기술에 대한 특허권 강화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이러한 관행

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22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44호(20071112)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주식의 상장과 정책과제

姜 鍾 萬

〈요 약〉

최근 논의되고 있는 거래소 주식의 상장은 세계 인 추세로 거래소의 지배

구조 개선 국제화 성장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 된다 하지만 상장

후 주주이익을 한 과도한 수익성 추구로 거래소의 공익성이 훼손되고 거래

소가 수행하는 매매체결기능과 청산기능 간의 이해상충으로 과도한 사회 비용

이 발생할 수 있다 재 원가를 고려하지 않고 독 으로 결정되는 거래소

수수료가 상장 후 정수 에서 결정되기 해서는 시장효율화 원회 제도의

개선 수수료 체계의 개편 등 수수료 결정과정에 한 근본 인 개선이 필요하

다 한 매매체결기능과 청산기능 간의 이해상충 문제를 해소하고 동북아지역

청산업무의 연계체계 구축에 비하기 해 청산기 을 설립하여 청산기능을

거래소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그리고 자연독 특성이 강한 청산업무와

결제업무의 공익성을 확보하기 해 청산기 과 결제기 의 소유구조는 이용

자 주로 조정하여 리인비용을 최소화하고 이들 기 에 한 융감독 강화

와 함께 외부기 에 의한 경 감시기능 도입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한국증권선물거래소(ldquo거래소rdquo) 주식의 상장 문제가 대두되면서 거래소의 공익

성 확보 및 증권 관련 기관의 적절성 효율성 등에 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자본

시장통합법 제정에 따라 우리나라 증권업은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

다 하지만 증권 관련 인프라가 국제기준에 미흡한 부분이 있고 운영효율성도 낮아

국내 증권시장의 선진화를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29

거래소 주식의 상장과 관련된 공익성 확보방안과 청산기능 결제기능 등 증권 관련 인

프라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거래소 주식의 상장 필요성 문제

증권거래소 선물거래소 코스닥증권시장 등 국내 거래소를 통합할 때 해외 거래소

와 연계를 촉진하고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거래소 소유구조를 회원제에서 주식

회사로 전환하였다 그 다음 주식회사의 제도적 이점을 적극 활용하려면 거래소 주식

의 상장이 필요하고 이는 세계적인 추세에도 부합한다

일반적으로 거래소 주식의 상장은 거래소의 소유지배구조 개선 국제화 및 성장기

반 구축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주식이 상장되면 외부주주 등에 의한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 촉진되어 거래소의 비용효율성 제고에 기여한다 또한 중장기적으로

거래소 수수료의 적정화를 통한 증권거래비용의 최소화와 이용자 편익의 극대화 등을

촉진하여 거래소가 국제 경쟁력이 있는 자본시장 인프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장 이후 기존주주와 달리 거래소 업무와 직접 관련이 없는 소액주주 및

외국인주주의 영향으로 거래소가 주주이익 극대화를 위해 과도하게 수익성을 지향한

다면 증권 관련 인프라로서 거래소의 공익성이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거래소는

법률상 증권매매체결 등에 관한 독점기관이므로 과도한 수익성 지향은 독점이익 발생

을 촉진하게 된다 더구나 독점적 특성을 갖는 증권거래의 청산기능 결제기능 등이

상장 이전에 적절히 조정되지 않는다면 향후 이들 기능에 관한 관련기관 간 분쟁으로

과도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해 거래소는 증권의 매매체결 및 청산업

무를 증권예탁결제원은 결제업무를 독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증권거래량 급증과

증권거래의 국제화 추세에 따라 다자간 차감제도와 청산기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

어 세계적으로 청산기관은 독립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청산기관은 증권거래에서 집중거래상대방(Central Counter Party) 기능과 청산기

능을 수행하고 있다 청산기능은 유가증권 매매거래 이후의 매매확인 차감 등 최종적

으로 인수 및 인도할 증권과 대금을 확정하는 절차로서 매매체결과 결제의 중간과정

23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다 또한 청산기관은 증권거래의 매도자 및 매수자에 대한 거래상대방으로서 결제

이행을 보증하고 증권거래와 관련된 신용위험을 인수한다

따라서 시장의 유동성 확대를 모색하는 거래소의 매매체결기능과 달리 청산기능은

시장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중시하므로 두 기능 간에는 이해상충 문제가 발생하게 된

다 그런데 우리나라 거래소는 매매체결기능과 청산기능을 독점적으로 함께 수행함에

따라 수수료 체계의 불분명성과 두 기능 간의 이해상충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거래소 독 이익의 억제 공익성 확보

현재 거래소 수수료는 재정경제부에 설치된 시장효율화위원회의 심의 후 거래소 이

사회에서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수수료 결정에 관한 공익성은 외견상 어느 정도 확보

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소 협회 등 이해관계기관의 대표자가 시장효율화위원회 위원

의 과반수를 차지하여 이해관계자들의 수수료 결정에 대한 영향력은 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거래소 수수료는 거래소의 주된 수익원으로 수수료 결정은 거래소의 수익 확보와

증권투자자의 증권거래비용 최소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미국 증권거래소의

수수료는 거래주식 수를 기준으로 책정되어 주가등락으로 인한 수수료 수입의 변동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거래소의 수수료는 거래금액을 기준으로 부과되어

주식거래 관련 인프라 구축 및 운용의 실질비용과 관계없이 주가 상승에 따라 수수료

가 증가한다 즉 현재 거래소 수수료는 독점적인 이점을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원가를

고려하지 않으며 거래소의 독점이익 발생을 유발하고 있는 것이다

거래소 주식의 상장 이후에는 수수료 결정에 관한 거래소의 영향력이 증대되어 독

점이익 발생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거래소와 유사하게 독점적 특

성을 갖는 결제기관 수수료에 대한 분석은 증권관련 인프라의 독점이익 발생이 과도

함을 시사하고 있다 2004년 분석에 의하면 유럽 결제기관의 결제비용은 미국의 35

배 내지 9배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사적영리를 추구하는 독점적 민간기관

인 유럽 결제기관들이 공익위주로 운영되는 미국 결제기관에 비해 수익성 확보를 위

하여 높은 결제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31

따라서 거래소 주식의 상장 이후에는 거래소의 공익성 유지와 관련하여 수수료가

적정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도록 시장효율화위원회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거래소의 독점이익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증권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한 실질비용에

근거하여 수수료를 결정하여야 하며 거래주식 수 또는 거래 건수를 기준으로 수수료

를 책정하는 수수료 체계의 근본적인 개편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거래소 주식이 상장되면 거래소 회원이 아닌 일반투자자나 외국인투자자들은

주주로 참여하기 때문에 거래소 지배구조에 근본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일반주주가

거래소의 주요주주가 되는 경우에 거래소 경영진은 주주이익 극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거래소의 독점이익 추구 성향은 강화될 것이다 따라서 거래소의 공익성 확보를 위해

주주구성 변화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독점이익 추구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청산 결제 기능의 개편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관련 법률에 의해 증권의 매매체결기능 및 청산기능은

거래소가 결제기능은 증권예탁결제원이 수행하도록 명시되어 청산기능과 결제기능

에 관한 논쟁은 정리되었다 거래소와 증권예탁결제원 간의 2006년 합의에 따르면 청

산기능은 증권 매매거래의 확인 채무인수 차감 결제증권 및 결제금액의 확정 결제

이행보증 결제불이행 처리 및 결제청구를 의미하며 결제기능은 증권 매매거래에 따

른 증권인도와 대금 지급 및 결제이행과 불이행 결과의 통지 등으로 정의하였다

하지만 거래소는 증권예탁결제원의 대주주이므로 향후 거래소 주식이 상장된 이후

에는 거래소의 증권예탁결제원에 대해 영향력 행사로 분쟁이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

즉 일반주주가 지배하는 거래소가 증권예탁결제원에 대해 부적절한 지배권을 행사하

면 예탁기능의 공익성이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거래소의 증권예탁결제원에 대한 영

향력을 축소시키기 위해 거래소가 보유하고 있는 증권예탁결제원 지분은 사전에 정리

되어야 할 것이다

거래소가 매매체결기능과 청산기능을 모두 수행할 때 발생하는 두 기능 간의 이해

상충 가능성은 상장 이후에 더욱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거래소 주식의 상장과 관련하

23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여 청산기능은 거래소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더구나 동북아지역 거래소간 업무연계

를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증권거래 관련 각국 청산업무의 통합 또는 업

무연계 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거래소 청산기관 결제기관 등 증권관련 인프라의 구축 방법으로는 수직적 구조와

수평적 구조가 있다 수직적 구조에서는 청산기관과 결제기관이 거래소 또는 지주회

사의 자회사로 수평적 구조에서는 거래소 등으로부터 독립된 기관으로 존재한다 독

일 금융당국의 연구에 의하면 수직적 구조는 국제화된 금융시장에서 거래소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 위험을 완화할 수 있으나 거래소 수수료와 청산 및 결제 수수료 결

정과정을 불투명하게 하여 증권거래 관련 시스템의 운영효율성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영국 독일 등 유럽 국가들은 증권의 청산과 결제 기관들을 각각 별도로 설립하여

이들 업무를 분리하고 있다 일본도 청산기관을 설립하여 도쿄 거래소 등 거래소들이

자체적으로 수행하던 주식매매 관련 청산업무를 2003년 1월부터 거래소로부터 분리

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선진국 사례를 감안하여 독립된 청산기관을 설립하여 청

산기능을 거래소로부터 독립시키고 동북아지역 청산업무의 연계체제 구축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산업무와 결제업무는 업무의 특성상 규모의 경제효과가 크므로 자연독점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청산기관과 결제기관의 소유구조를 이용자 위주로 개편함으로써

주주와 경영자 간의 대리인 비용은 최소화하고 업무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긴밀한 상

호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이들 기관의 독점이익 발생을 억제하고 공익성

을 제고하기 위해 금융감독 강화와 함께 외부기관에 의한 경영감시기능 도입도 검토

할 필요가 있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33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9호(20071217)

최근 유동성사정 악화의 교훈과 과제

金 東 煥

〈요 약〉

자산가격 거품의 형성과 붕괴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성 과부족 상은 시장

이 자율조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다만 자본시장에 한

신뢰의 손상이 신용경색으로 확산되는 최근의 융사정을 감안할 때 은행과

융당국은 차 한 시 과제인 유동성 리에 만 을 기해야 하며 비은

행 융회사에 지 결제 업무를 허용하는 문제에 해서도 신 을 기할 필요가

있다 향후 본격 으로 개될 투자의 시 에는 은행으로 하여 자본시장의

주요 이어가 되도록 유도하고 수요 시형 유동성 리 방안을 강구하도록

독려할 필요가 있다 개별 은행 차원에서 해결되지 못한 유동성문제는 앙은

행이 RP거래 상 증권을 확 하는 등의 수단을 통해 처리하면 된다

유동성 문제 발단의 배경

올해 벽두부터 유동성 문제로 시끄럽던 경제가 세밑까지 유동성 문제로 뒤숭숭하

다 부동산버블 논쟁을 불러일으킨 과잉유동성에서 시작하여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유동성 축소 내지 신용경색 심화에 이르기까지 유동성의 과부족으로 인한 여러 가지

부작용이 일파만파로 확산되면서 금융시장을 동요시키고 서민들의 이마에까지 깊은

주름살을 남기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번의 유동성 사태를 세계 대공황의 전조(前兆)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호들갑을 떠는 이들도 간혹 눈에 띄어 연말의 들뜬 분위기를

차분히 가라앉히고 있다

23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기억에 새롭겠지만 올해초 금융당국은 LTVDTI 규제 동일차주에 대한 대출건수

규제를 통해 부동산투기에 쐐기를 박고 금융회사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정책

금리 대신 지급준비율을 인상하여 과잉공급된 유동성을 흡수하되 대출금리 인상을 가

능한 억제하여 소비와 투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전력을 기울임

으로써 과잉유동성 문제로 불거진 부동산버블 논쟁에 종지부를 찍은 바 있다 그 결과

부동산시장은 안정을 되찾았고 부동산으로 몰리던 시중자금은 자연스럽게 주식과 펀

드시장으로 이동하면서 ldquo투자의 시대rdquo의 서막을 올리는 데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연

10 이상의 부동산가격 상승률을 시현하던 미국영국호주 등 선진국의 연이은 정

책금리 인상은 기대했던 부동산시장의 연착륙 대신 서브프라임 사태와 글로벌 신용경

색 현상을 촉발하여 새롭게 열린 투자의 시대에 암울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본고

에서는 유동성 문제 뒤에 가리어진 몇 가지 중요한 이슈들을 살펴보고 향후의 과제에

대해 논한다

시장의 자율조 기능은 실패하고 있나

일 년이 채 지나기도 전에 천당(과잉유동성)과 지옥(신용경색)을 경험하고 있는 작

금의 경제현실을 두고 혹자는 머니게임의 장으로 전락해 버린 자본주의 시장의 한계

와 실패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일부 금융회사의 투자실패가 대규모 외부불경제를 낳

아 글로벌 마켓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는 만큼 각국 재무성 및 중앙은행의 정책 공조를

통한 시장개입이 필요함을 주장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2000년대 IT거

품 붕괴rarr정책금리 인하rarr과잉유동성rarr부동산거품rarr정책금리 인상rarr부동산가격 하락

rarr서브프라임 사태rarr신용경색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가격조정 과정을 시장의 한계나

실패로 규정하기에는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다 오히려 금리인하 등을 통해 실패한 투

자자를 구제하는 방식의 시장개입은 거대 자본가를 보호하고자 하는 중상주의적 사고

(思考)와 다를 바 없을 뿐만 아니라 투자자의 자기책임 원칙을 훼손하고 정상적인 가

격조절 기능을 왜곡하여 오랜 기간 시장을 실패하게 하는 또 다른 원인이 될 수도 있

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35

자산가격 버블 인 우려는 없는가

서브프라임 사태 등의 여파와 부동산투기 근절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정책의지 등

에 힘입어 부동산 투자에 대한 매력은 크게 떨어지고 있다 또한 시중자금이 주식 등

증권으로 대거 편입되어 투자의 시대가 막을 올렸다고는 하나 종전과 같은 투자열풍

이 지속될 모멘텀은 약화되고 있다 자본시장이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는 한 증권은 유

동성을 흡수하는 블랙 홀(black hole)에 지나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

이다 이렇듯 부동산과 증권이 재테크 수단으로서 매력을 상실하고 있는 가운데 글로

벌 신용경색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적어도 당분간 자산가격 버블을 걱정할 필요는 없

어 보인다 오히려 현 단계에서는 버블붕괴와 인플레가 동시에 진행되지 않도록 위기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등장한다 왜냐하면 원유 및 원자재에 대한

투기적 수요로 코스트 푸쉬형 인플레이션이 진전될 가능성이 큰 가운데 신용경색과

버블붕괴로 인해 소비와 투자 등 총수요가 크게 위축될 경우에는 경기가 스태그플레

이션 국면을 거쳐 ldquo잃어버린 10년rdquo 동안 일본이 경험했던 디플레이션 국면으로 급격

히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통법은 정 로 시행되어야 하는가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글로벌 투자은행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떨어지고 주식이나

채권에 대한 투자열이 식어감에 따라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 일정에도 차질이 생기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자본시장통합법은 예정대로 시행될 필

요가 있다 왜냐하면 서브프라임 사태는 진정한 매매(true sale)나 도산격리(bankruptcy

remote) 원칙을 무시한 채 신용파생상품에 의존하는 왜곡된 자산유동화가 결국은 금

융회사의 건전성 및 유동성은 물론 투자자 보호에도 한계가 있음을 교훈으로 남기고

있으며 자본시장통합법의 기본취지는 원칙을 중시하는 포괄주의 규제개혁을 통해 자

본시장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투자자보호를 강화하여 자본시장의 신뢰성을 높임으

로써 자본시장을 한층 업그레이드 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다만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의 손상이 신용경색 현상으로 확산되는 최근의 금융사정

23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을 감안할 때 증권사 등 비은행금융회사에 지급결제 업무를 허용하는 사안에 대해서

는 신중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은행으로부터 비은행금융회사로 이전

되는 예수금은 기업과 산업에 대한 대출재원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예수금이 줄어들

게 되는 은행 역시 그만큼 대출여력을 상실할 것이며 이 때 발생하는 은행-비은행금

융회사간 예수금 유치를 위한 금리인상 경쟁은 이들 금융회사의 경영을 압박하는 소

모전으로 변질되어 신규대출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작금의 신용

경색 현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비은행금융회사에 대한 지급결제

업무 허용은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을 훼손하고 나아가 체계적 위험(systemic risk)을

확산시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체계적 위험이란 하나의 사건(쇼크)이 금융시스템

에 대한 신뢰를 손상시킴으로써 실물경제에 심각한 정도의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

능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은행 심 경제시스템은 여 히 유효한가

최근 신용경색 현상이 심화되고 시장금리가 치솟아 금융시장이 동요하는 것은 유동

성관리에 실패한 은행들이 금융채와 CD를 대량 발행한 데에 기인한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은행들은 수익을 올리는 데에만 급급한 나머지 자금중개와 사회

적 책임투자(SRI) 등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소홀하였다는 비판을 받아 온 터였

다 이와 같은 비판들은 은행중심 경제시스템이 경제의 은행의존도를 높이고 자본시

장의 발전을 저해하여 은행의 자금중개기능 약화가 곧장 실물경제 침체로 이어지고

실물경제 침체가 (은행의 자산건전성 및 수익성을 악화시켜) 또다시 자금중개기능 약

화로 악순환하는 구조적 취약성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자 자본시장통합법을

예정대로 시행해서 금융투자회사를 중심으로 자본시장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당위론

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이와 같은 비판이 은행중심(또는 관계지향형) 경제

시스템이냐 아니면 자본시장중심(또는 시장지향형) 경제시스템이냐 하는 양자택일식

논의로 비약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은행중심 경제시

스템의 장기협력적 특성과 자본시장중심 경제시스템의 단기경쟁적 특성을 동시에

제Ⅳ장 비은행 및 자본시장 237

살리기 위해 자본시장을 확대 발전시키되 은행으로 하여금 자본시장의 주요 플레이어

가 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는 일본으로 하여금 잃어버린

10년의 장기불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했던 힘의 원천이기도 하다

유동성 리는 어떤 방향으로 해야 하는가

주지하다시피 최근 은행들이 금융채와 CD를 대량 발행한 까닭은 증권사의 CMA 등

으로 핵심예금이 빠져나간 가운데 유동성비율 규제로 콜자금 차입이 곤란했기 때문이

다 이와 같은 예금이탈 추세가 앞으로 언제까지 지속될지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국내

외 투자환경(주식 채권 및 펀드시장 상황)에 따라 단기 시중자금의 유출입 규모가 크

게 변동할 것이 분명한 만큼 은행들은 유동성관리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유념해야 할 것은 유동성관리의 초점이 유동성 공급의 과부족 규모를 최소화하는 데

있으며 과부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어디까지나 유동성 수요에 있다는 점이다 다

시 말하여 이는 수요중시형 유동성관리가 필요함을 의미하는바 공급계획에만 초점을

맞춰 자금을 조달하는 것은 쓰지도 못할 실탄을 잔뜩 창고에 쌓아두는 것과 마찬가지

로 유동성관리 비용(기회비용 포함)만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서브프라임 사태로 투자환경이 불투명해졌지만 투자의 시대는 이제부터 시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투자의 시대의 특징은 위험(risk)과 수익(return) 기회가 공존하

고 투자 대상이 되는 자산의 가격이 큰 폭으로 변동하며 그때마다 유동성의 과부족

상태가 반복된다는 점에 있다 그만큼 투자의 시대에는 자산가격의 일일 변동에 일희

일비하지 않는 다소 모험적인 경영마인드가 요구되는 동시에 위험을 철저히 관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전술한 수요중시형 유동성관리는 투자의 시대에 적합한 자산부채

관리(ALM)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수요중시형 유동성관리는 필요한 만큼의

자금이 필요한 시점에 조달될 수 있는 부채구조 수요자의 요구에 즉시 대응하여 원금

이 확실하게 보장되는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산구조를 필수요소로 하기 때문이

다 물론 개별 은행의 수요중시형 유동성관리로 커버되지 않는 유동성의 과부족은 지

급결제시스템의 최종 책임자인 중앙은행이 해결해야 할 몫인바 차제에 중앙은행은

은행이 발행한 금융채를 RP거래의 대상으로 포함하여 시중유동성과 금리를 조절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만하다

23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맺음말

외환위기는 국내 금융회사로 하여금 위험과 수익의 존재와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그 이후의 금융구조조정은 국내 금융회사의 건전성과 수익

성을 개선시키고 금융산업을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국내 금융회사들은

외환위기와 구조조정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지나치게 위험을 회피하려 하

는 보수적 성향이 몸에 배어 단기 안전자산과 소매금융을 선호하는 대신 위험투자와

장기 기업금융을 회피하여 실물산업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

게다가 현재 우리 금융산업은 수익구조나 비즈니스 모델 등의 측면에서는 개선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고 실물산업 역시 성장동력을 잃고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샌드위

치 신세가 되어가고 있다 작금의 유동성 문제는 우리경제가 당면한 이와 같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는바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금융회사와 금융당국의 지혜가 필

요하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1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1호(2007312)

최근 원화의 약세반전에 대한 일고

朴 海 植

〈요 약〉

2000년 이후 원화는 지속 으로 상되었다가 최근 원화환율이 상승세로

반 되면서 이를 세 환으로 해석하려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원화의 약세

반 을 세 환이라기보다는 일시 인 조정의 결과로 해석하는 것이 훨씬

타당하다고 본다 2000년 이후 원화강세를 주도하 던 요인들이 그 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상수지 자가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

로벌 달러화 약세기조가 국면 환까지 이끌어낼 가능성이 낮아 보이며 국

내 외환시장의 달러화 공 우 도 로벌 유동성이 크게 축되지 않는 상태

에서 소폭 감소에 그칠 망이다 따라서 원화는 재의 조정국면을 거치고

나면 다시 완만한 강세로 환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최근 원화환율의 동향

2000년 이후 원화의 대미 달러 환율(연평균 기준)은 2001년을 제외하고는 2006년

까지 7년 간 하락세를 지속하였다 2000년중에 전년대비 498 하락한 원달러 환율

은 이듬해 전년대비 1413 상승하였으나 그 후 하락세로 반전되어 2005년중에는 전

년대비 1046 하락함으로써 최대 낙폭을 기록하였다 2006년중에도 원달러 환율은

하락세를 지속하여 전년대비 675 하락하였다

이러한 원화의 대미 달러 절상기조로 원화가 상대적으로 큰 폭 절상되어 원화가 아

시아 주요 수출경쟁국 통화에 대해서도 절상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원화의 대미 달

24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러 절상폭이 가장 컸던 2005년중에 원화는 일본 엔화 대만 달러화 싱가포르 달러화

태국 바트화 등에 대해서도 각각 1236 673 894 1048 절상되었다 아시

아 주요 수출경쟁국 통화에 대한 원화의 절상추세는 2006년중에도 지속되어 이들 통

화에 대한 절상률이 평균 약 402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2007년에 들어서면서 원화의 절상기조가 주춤하는 모습을 보여 향후 원화

의 약세전환에 대한 기대가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연초 925원대에서 출발한 원달

러 환율은 2월말 현재 935~940원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처럼 원달러 환율이

상승세로 반전된 가운데 엔달러 환율이 하락세를 유지(2007년 2월말 현재 -063)

하자 시장일각에서는 지난해 908나 하락한 원엔 환율이 더 이상 떨어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국 경상수지 자의 지속 여부

지난 수년 간 원화강세를 이끌어 왔던 배경으로는 단연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

자에 따른 글로벌 달러화 약세를 꼽을 수 있다 따라서 미국 경상수지 적자의 지속 여

부는 원화의 향방을 가늠하는 데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1980년대 초

반부터 지속(1991년 제외)되었던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2006년 6월말 GDP 대비

66까지 확대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는 앞으로도 계속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의 근거로는 먼저 미국경제가 감내할 수 있는 경상수지 적자규모가 예상외로 매

우 높을 것이라는 분석을 들 수 있다 일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국내지출이 국내소득을

상회할 때 발생하기 때문에 경상수지 적자의 지속 가능성은 두 변수 간의 차이를 외국

자본이 계속 보전할 수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국제자본시장에서 미 달러화

표시 자산에 대한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 미국 경상수지 적자의 역전이 불가피한 상황

이 발생할 수 있다 과거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의 역전을 경험한 멕시코(1994년) 아

시아 국가(1997년) 등에서도 외국자본의 유입이 크게 감소하면서 경상수지 적자가 역

전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미국에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경우와는 다른 특이한 현상이 발견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3

2002~2005년중 미국이 기록한 246조달러의 누적 경상수지 적자에서 85(021조

달러)만이 순대외부채 증가분에 의해 보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국제경제연구

소(IIE)는 나머지 915(225조달러)를 미국이 해외에서 차입한 자금을 외국에 재투

자하여 얻은 자본이득으로 보전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의 근거로 동 연구소는 미

국이 순채무국으로 전환된 지 1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소득수지 흑자기조를 꾸준

히 유지하고 있는 점을 들고 있다

2001~2005년 기간 중 미국의 해외주식투자는 269조달러 증가(직접투자=121조달

러 기타 주식투자=148조달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경제연구소는 이 중에서 상

당부분이 해외차입자금의 재투자를 통해 외국에서 발생한 자본이득 증가분으로 구성

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미국이 경상수지 적자 보전을 위해 해외에서 차입

한 자금의 외국 재투자를 통해 벌어들인 자본이득이 차입자금을 상회하는 한 현재와

같은 경상수지 적자기조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에도 지금과 같이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

로 보는 또 다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미국의 경우 경상수지 적

자가 조정국면에 들어서게 되면 경제성장이 완만하게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보

다 구체적으로 미국의 GDP 대비 경상수지 적자가 1p 감소할 때 향후 3년 간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연간 015p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이 같은 추정치에 근거

할 때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현재의 절반 수준(GDP 대비 33)으로 축소될 경우

향후 3년 간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연간 05p씩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미국의 경제성장세 둔화는 수입수요 감소를 통해 경상수지 적자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전세계 GDP의 약 13을 차지하는 미국경제의 위축은 세계경제의 성

장세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는 미국의 수출실적이 개선될 수 있는 여

지가 그만큼 줄어듦을 의미하므로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오히려 확대될 수도 있음

을 시사한다 이 경우 글로벌 달러화 약세기조가 보다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어 원화강

세가 현재보다 훨씬 장기화될 수도 있다

1) Freund C and F Warnock Current Account Deficits in Industrial Countries The Bigger They Are The Harder They Fall NBER Working Paper No11823 2005

24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엔캐리 트 이드의 격한 청산 여부

2000년 이후의 원화강세를 주도하였던 또 하나의 대표적 요인으로는 국내 외환시

장의 달러화 공급우위가 있다 지난 수년 간 저금리기조 등에 힘입어 글로벌 유동성이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으로의 자금유입이 크

게 늘어났다 올해에도 대규모 투자자금이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으로 유입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제금융연구소(IIF)는 2007년중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으로의 민

간자본 순유입이 2005년과 2006년에 비해 각각 80와 66 감소한 4687억달러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감소폭에도 불구하고 동 규모는 여전히 2004년의 3488억달

러를 1000억달러 이상 상회하는 높은 수준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캐리 트레이드의 급격한 청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주지하다시피 엔화차입을 통한 캐리 트레이드(엔캐리 트레이드)는 글로벌 유동성 증

가를 촉진시킨 주요수단이 되었다 Bloomberg 통신에 의하면 국제자본시장에 유입된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은 약 3000억~1조달러로 추정된다 따라서 엔캐리 트레이드의

급격한 청산은 글로벌 유동성 위축을 통해 국내 외환시장의 달러화 수급에 지대한 영

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캐리 트레이드의 불

확실성을 들 수 있다 캐리 트레이드의 불확실성은 캐리자금이 유입된 자산시장의 가

격변동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경우 그 상당부분이 주식

시장에 유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세계증시의 가격변동성이 증가하면 엔캐

리 트레이드의 청산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중국의 금융긴축으

로 인해 아시아 주요국의 주가가 동반 폭락한 것을 보고 엔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신호

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하지만 금번 중국발 주가폭락을 계기로 앞으로 엔캐리 트레이드가 대거 청산될 것

으로 보는 시각은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중국정부의 긴축정책에도 불구하고 중국

경제는 견조한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단기금융시장이 미발달된 상

황에서 금융긴축의 실효성이 의심시되고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 및 위안화 저평가 등

은 해외부문으로부터의 통화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금융긴축의 효과를 제약할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5

가능성이 높다 또한 중국정부가 올해의 목표성장률을 작년의 성장률(107)을 훨씬

하회하는 80로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이 역시 큰 의미를 부여하기가 어렵다 작년의

목표성장률도 80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중국의 주식시장은 안

정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부에서는 중국보다는 미국발 세계증시의 불안정성을 우려하기도 한다 이러한 우

려의 배경에는 서브 프라임(sub-prime) 모기지대출의 연체율 급증에 따른 미국주가

의 폭락이 있다 그러나 동 문제가 미국경제 및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규모가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전체 모기지대출 잔액의 7~8) 주로 저소득층에 제공되기 때문에 대규모 소비위축

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캐리 트레이드의 불확실성과 더불어 캐리비용의 상승도 엔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일본의 초저금리에 따른 저렴한 엔화차입비용은 엔캐리 트레이

드가 전세계적으로 성행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특히 엔캐리 트레이드는 2004년부터

크게 확산되었다 일본 중앙은행이 양적완화정책을 실시하였던 사이(2001~2006년)

에 일본금리가 제로금리 수준에 머물러 있었던 반면에 미국은 2004년부터 통화긴축

기조로 선회한 이후 연속적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2007년 2월 일본이 양적완화정책 중단 이후 두 번째로 금리를 인상하면서

캐리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엔캐리 트레이드가 본격적인 청산단계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망은 다소 이른 감이 없지 않다 2005년 엔캐

리 트레이드가 한창 성행할 때에 미일 간 금리차는 400p이었으나 현재는 이보다

높은 475p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향후 일본의 추가 금리인상과 미국의 금리인하가

기대되고 있기는 하나 각각 한차례씩만 실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어서 양국

간 금리차가 400p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종합해 볼 때 엔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은 국제금융시장에서 가장 큰 잠재적 불안요

인임이 분명하다 또한 최근에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은 엔캐리 트레이드 참여자들의

위험선호도를 크게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향후 엔캐리

트레이드가 추가로 확대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그렇다고 해서 캐리 트레이드의 불

확실성과 캐리비용이 기존의 엔캐리 트레이드의 대규모 청산을 일으킬 만큼 증대된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24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맺음말

결론적으로 최근의 원화의 약세반전을 대세전환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고 본다 2000년 이후의 원화강세를 주도하였던 요인들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

다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기조가 깨지기는 힘들어 보이며 글로벌 유동성도 크게 위축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의 일시적 조정국면을 거치고 나면 원화는 다시

강세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다만 원화의 절상폭은 과거에 비해 많이 완화될

전망이다 글로벌 유동성 증대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던 엔캐리 트레이드가 추가로

확대되지 않는 가운데 기존의 엔캐리 트레이드가 일부 청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7

한양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16호(2007416)

한미 FTA로 인한 금융산업의 변화

河 駿 坰

〈요 약〉

한미 FTA로 인해 우리나라 융부문은 부분 인 개방 확 제도의 정비

규제의 투명성 강화 미국 진출 환경 개선 등의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개방 확 는 일부 융부수 서비스업에 국한되므로 그 직 효과는 매우

제한 일 것으로 보인다 제도 정비는 소비자보호를 강화하고 규제 감독의

투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기 되는데 이는 장기 으로 시

장원리의 작동을 진함으로써 국내 융산업에서 경쟁을 심화시킬 것이다

한편 한미 양국 융감독당국 간에 반 신뢰도가 높아지고 양국 간 애로

사항 의채 이 구축됨으로써 우리나라 융회사들의 미국 진출에 보다 유

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우리 융산업에서는 제도의 선진화

에 걸맞은 인력의 문화가 가장 실한 과제로 두될 망인데 미국 진출

을 통한 문인력 양성을 좀 더 극 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미 FTA가 타결되면서 금융부문에서도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이제 FTA

로 인해 금융부문에서 어떠한 변화가 일어날지 차분히 가늠해볼 때이다 이번 FTA를

통해 우리나라 금융부문은 부분적인 개방 확대 제도의 정비 미국 진출 환경 개선 등

의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가 우리 금융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 또 어떠한 대응이 필요한지 알아보자

24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추가 개방분야의 범 는 매우 제한

우선 한미 FTA를 통해 금융부문에서 추가로 개방되는 분야는 보험중개업 및 일부

보험부수 서비스업 등의 국경간거래이다

보험중개업의 경우 비대면 방식을 전제로 국경간거래가 허용되는데 비대면 방식을

유지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거래확대를 기대하기 어렵다 현재에도 허용되고 있는 국

제교역 관련 보험 생명보험 장기 손해보험 등의 비대면 방식 국경간거래의 경우 그

거래규모는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예컨대 생명보험 역외보험료 송금실적은 2005년

34억원으로 국내 생명보험 시장의 01 미만이며 손해보험의 전체 역외보험료 송금

실적은 2005년 1432억원(대부분 수출입 관련)으로 국내 손해보험 시장의 06 수준

에 불과한데 이 중에서도 일부분만이 국경간거래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현

행법에서도 보험중개사는 국내법에 명시된 자격요건을 충족하면 국내에 주재하면서

중개행위를 할 수 있는데 비대면 방식을 유지하는 한 굳이 국경간거래를 통해 거래를

시도할 가능성이 적다

다음으로 보험부수 서비스업 중 위험평가와 컨설팅의 경우에는 현재 명확한 법규정

없이 허용되던 거래를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FTA로 인한 거래규모의

실질적 확대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들 분야에서는 지금까지 명확한 관련 규정이 없

었는데 FTA를 계기로 등록요건이 신설되므로 오히려 규제가 강화되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

보험부수 서비스 중 계리 및 손해사정 서비스의 국경간거래도 사실상 자연인의 국

내 방문이 수반되어야 거래확대가 가능하므로 현재에도 허용되고 있는 상업적 주재를

통한 개방과 큰 차이는 없을 것이다 이들 분야에서는 현재 국내법에서 규정된 자격제

한과 유사한 기준을 부과하는 조건으로 국경간거래가 허용되므로 더더욱 큰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일부 법규제의 정비가 상

다음으로 한미 FTA가 법규제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그간 제도정비가 미비했던

부분을 중심으로 일부 법령과 규정의 정비가 예상된다 이와 관련한 협상타결내용과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49

그 영향을 알아보자

우선 금융정보의 해외 위탁처리가 허용되는데 이는 개인정보보호 등을 위한 금융

감독을 전제로 2년 유예 후 가능해진다 이와 관련해서 금융정보처리 해외위탁과 관

련한 사전 허용기준 및 사후 감독규정이 마련될 예정이다 아울러 한미 양국 감독당국

간 정보교환을 위한 근거가 마련되면서 당국 간 협조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 우체국보험에 대한 감독이 강화됨으로써 우체국보험에 주어진 특혜가 축소되는

데 이에 따라 금감위와 정보통신부와의 협의를 강화하기 위한 절차가 마련될 것이 예

상된다

한편 앞에서 언급한 일부 분야에서의 국경간거래 확대에 따라 국경간거래 공급자의

등록요구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법규 정비가 있을 전망인데 이를 통해 건전성 감독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 신금융상품은 국내법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되고 신상품 승인 요건

이나 기간 등의 측면에서 투명성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는 국내 규제 관행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촉매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임시 세이프가드의 관철은 국내 금융시장의 안

정성과 관련한 우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상의 제도적 변화들은 전반적으로 금융규제가 글로벌 스탠다드에 가까워지고 투

명해지는 데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규제가 투명해지면 시장원리의 작동이 더

욱 원활해지면서 중장기적으로는 금융회사들 사이의 경쟁이 심화될 것이며 미국 금융

회사들의 국내 진출도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융회사들의 미국 진출 확 가능성

한편 한미 FTA로 인한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미국 진출 확대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이 논의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우리 금융부문이 미국에 비해 경쟁력이 약

하므로 수세적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볼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또 미국 주법에 규정

된 미국 주재 외국 금융회사들에 대한 규제와 관련해서는 연방제라는 미국 정치제도

의 특성상 FTA를 통해 이를 우리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바꾸기가 어렵다는 현실적 제

약요소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25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신뢰 증진을 통해 미국 진출에 유리한 환경 조성

그러나 미국의 외국 금융회사들에 대한 규제는 명시적 법규뿐만 아니라 감독당국과

금융회사 간의 신뢰 그리고 그 밖에 외국 금융회사 본국 금융제도의 적절성 등의 부수적

정보에도 많이 의존한다 미국 감독당국이 외국 금융회사들을 모국(home country)에

따라 다르게 분류하고 이에 근거해서 감독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

다 미국 FRB의 경우에도 주요 28개국을 적절한 금융감독이 이루어지는 국가들로 분

류한 후 이 사실을 감독에 반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 28개국에 이미 포함되어 있

지만 한미 FTA로 인해 금융규제가 투명해지면 명문화되지 않는 ldquo신뢰rdquo의 수준이 높

아짐으로써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미국 영업에 보다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미국 진출 애로 해결을 한 정부 간 의채 구축

또 한미 FTA 금융협상에서 미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영업 관련 애로

사항 해결을 위해 양국 정부 간에 정기적 협의채널을 확보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번 FTA 금융협상에서도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애로사항 중 세 가지가 해결의 실

마리를 찾았다고 한다 은행업의 경우 뉴욕주에 진출한 우리나라 은행들에 대한 자산

유지의무비율이 폐지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는데 이는 우리 은행들이 미국에서 영업하

는 데 따르는 자산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미국시장에서 우리 은행들의 위

험도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보험업의 경우에도 미국 측

은 재보험 담보요건을 완화하는 법 개정을 2007년 중에 추진하기로 하였다 증권업과

관련해서는 미국 현지법인 직원 자격요건을 완화하고 자격을 상호 인정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이 밖에도 더 많은 애로사항들이 양국 정부 간에 정기적으로 논의될 것이 예상되는

데 한미 FTA를 통해 설치되는 금융서비스위원회와 보험 실무작업반 회의는 미국 측

의 약속을 모니터링하고 새로운 애로를 해결하는 데 매우 유용한 채널이 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채널을 금융회사들이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이다 협의채널의 유용성은

궁극적으로 금융회사들의 관심 정도에 달려 있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1

제도 선진화에 걸맞은 인력의 문화가 필요

이상에서 한미 FTA로 인한 개방분야 확대의 직접적인 충격은 작을지라도 규제감

독의 투명화와 경쟁심화가 예상된다는 점 그리고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미국 진출 용

이성을 높일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었다는 점 등이 주목할 만하다

금융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와 인력 두 가지가 모두 뒷받침되어야 한다

전문인력의 확보는 국내 금융부문의 변화에 대한 수용능력(absorptive capacity)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면서 동시에 우리나라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이다 따라

서 FTA로 제도의 선진화가 촉진될 것이 기대되는 지금 우리 금융산업에서는 인력의

전문화가 가장 절실한 요구사항으로 대두될 전망이다

미국시장 진출을 통한 문인력 양성을

금융전문인력 양성의 가시적 성과를 위해서는 시장에서의 경쟁을 통한 훈련이 뒷받

침되어야 한다 한미 FTA로 미국 진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더욱 많

은 금융인력을 미국시장에 내보내어 이들로 하여금 전문역량을 쌓도록 훈련시켜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미국 현지법인이나 지점도 단순히 재미교포를 상대로

하는 틈새시장에 안주하거나 연락사무소 역할을 하는 데 머물지 말고 전문인력 양성

의 장을 제공하고 장기적으로는 미국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

다 필요하다면 현지법인을 사서라도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게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

요가 있다

25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6권 21호(2007521)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운용방안

金 秉 德

〈요 약〉

세계 인 유동성 과잉상태에서 각국은 투자 상을 다변화하여 수익률을

극 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민연 도 변하는 자본시장 환경하

에서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험조정 수익률을 제고하기 해 향후 수십

년간 수백조원의 해외투자 자산을 증가시킬 것으로 망된다 우리나라가 아

시아의 융허 로 도약하기 해서는 이 기회를 선진 융 노하우를 국내로

이 시키는 데 있어 략 지렛 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서 국민

연 이 해외 융회사의 인수 는 지분투자를 통해 동 회사를 해외투자의

기지로 이용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략 투자기회

를 극 화하기 해서는 국민연 의 자산운용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자산운용

조직도 독립 인 투자 문회사로 재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전 세계적인 유동성 과잉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막대한 자금으로 무장한 사모투자

펀드(PEF)들은 국제적 MampA시장에서 메가 딜(mega deal)을 성사시키고 있다 고유

가로 엄청난 부를 축적한 산유국가들도 과거에는 오일머니를 선진국 은행 또는 국채

등의 우량자산 중심으로 투자하다가 이제는 헤지펀드 및 사모펀드투자 등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다 중국을 필두로 하는 신흥시장국의 높은

성장과 더불어 국경 없이 드나드는 풍부한 유동성으로 인해 각국의 주식시장은 최고

치를 경신하는 등 글로벌 자본 시장은 행복감(euphoria)에 충만해 있다

국내자본의 해외투자도 과거와는 많이 다른 양상이다 국내 개인부문 유동성의 상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3

당부분이 해외투자로 다변화되고 있다 해외 주식시장 및 부동산시장의 호황으로 해

외 주식형펀드 및 해외 리츠재간접펀드의 수탁고가 꾸준히 증가하여 2007년 4월말

각각 20조원 6조원 내외에 이르고 있다 투자 대상도 단순한 주식투자뿐만 아니라

부동산 인프라 미술품 원자재 곡물 와인 등 수익이 예상되는 곳이라면 세계의 구

석구석까지 대한민국의 자금이 찾아다니고 있다 투자를 업으로 하는 금융회사뿐만이

아니라 개인들도 삼삼오오 짝을 지어 직접 해외의 투자처를 찾아다니는 현상까지 발

생하고 있다 과히 글로벌 자본시장의 전쟁에서 우리 국민도 더 이상 방관자로 남아

있지 않는 상황이다

이러한 전 세계적인 투자의 다변화는 풍부한 유동성에 기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이

다 한편 국내의 공공부문의 자금도 해외투자를 통한 투자 다변화가 필연적이다 본고

에서는 국내 공공부문 중에서 가장 자금 잉여가 많은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해외투자

와 관련된 현황 및 이슈들을 살펴보고 향후 지향해야 할 투자정책의 보완점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국민연 해외투자 증가의 필연성

최근 국민연금법 개정과 관련하여 갹출금 및 급부율을 조정하여 연금재정을 안정화

시키는 법안이 국회에서 활발히 논의되는 반면 한편으로는 국민연금의 자산운용과 관

련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소외된 느낌이다 현행 제도하에서 국민연금의 기금적립금은

2035년에는 17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계되는데 단순 계산으로 연 1p의 자산운용

수익률의 제고는 17조원의 추가수입을 의미하며 매년 1p 수익률이 제고된다고 가정

할 때 복리의 마술에 의해 수십 년 후에는 기금적립금에 수백조원의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국민연금의 자산운용 시스템을 자본시장의 환경변화에 맞게 재조정하는

것이 시급하다

우선 국민연금의 향후 해외부문 증가는 필연적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국내

자본시장 대비 기금적립금의 규모가 과다하여 국내시장에서만으로는 시장중립적인

운용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국내시장과 상관관계가 낮은 다양한 해외투자 대상으

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함으로써 기금 전체의 위험조정 수익률을 제고할 수 있기 때

25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문이다

실제로 기금운용위원회에서 의결된 5년 단위의 국민연금 중기자산배분계획안에서

도 해외투자의 비중을 2006년말 현재 91(해외주식 07 해외채권 84)에서 2011

년 말에는 15 내외까지 증대시키되 특히 해외채권의 비중을 5 이내로 줄이고 해외

주식의 비중은 1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동 중기계획안이 충실히 이행된다면 2011년 말에는 국민연금의 적립금은 350

조원 내외에 이르고 이 중 해외투자는 52조원 내외가 될 전망이다 단순계산으로

2035년에 적립금이 1700조원에 이르고 이 중에서 해외투자의 비중이 20 내외라고

가정할 경우 해외투자 금액은 340조원에 이를 것이다 실로 막대한 금액이다

해외투자 증가와 융허 육성의 지렛

현재 국민연금의 해외투자는 대부분 선진국의 우량채권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해외

주식도 인덱스중심의 수동적(passive)투자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중장기자산

배분 목표대로 해외투자가 증가할 경우 향후 십여 년간 매년 수조원 이상의 외국 주식

매입이 진행될 전망이다 결국 향후 해외주식 투자의 방향도 수동적 투자에서 투자대

상 시장을 신흥국가 등으로 다변화하고 투자방식도 적극적(active)투자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만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필자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확대를 우리나라가 아시아의 금융

허브로 발전하는 데 전략적인 지렛대(strategic leverage)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이다 아시아 금융허브의 선점을 위해 경쟁하고 있는 홍콩 싱가폴 상하이 동경 등

과 우리나라를 비교할 때 언어 지리적 위치 노동 유연성 국민적 개방성 등의 측면

에서 우리나라가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는 요소들은 별로 없다 단지 국민연금을 포함

하여 향후 급속히 고령화되는 국내의 베이비 붐 세대가 축적한 막대한 자산이 국내외

금융시장에 투자될 것이라는 점이 유일한 상대적 강점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이 해외투자를 확대하고 투자대상을 다변화할 때 유수의 국내외

투자은행 자산운용사 등을 이용하게 될 것이다 무릇 모든 계약의 관계는 협상력

(bargaining power)을 보유하는 ldquo갑rdquo측과 이에 가급적 순응하고 요구를 순응하는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5

ldquo을rdquo측 간에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자금을 주고 자산운용을 위탁하는 국민연금이

협상의 주도권을 갖는 ldquo갑rdquo측에 해당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해외 금융회사의 위

탁 또는 자문 서비스를 통해서 막대한 금액을 투자함에 있어서 협상의 주도권을 가진

국민연금이 상대방으로부터 원하는 것을 최대한 확보하려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단순히 투자자산의 수익률 확보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자산운용업 및 금융

산업의 실질적인 노하우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 데 밑거름이 되어야 한다는 것

이다 말하자면 우리보다 선진 기법을 가진 외국 금융회사들을 이용하여 해외투자를

확대하되 이번 기회를 그들의 노하우를 완전히 국내 금융산업으로 이식시킬 수 있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향후 십수년간 막대한 금액을 해외에 투자함에 있어

서 이는 실제로 엄청난 도약의 발판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회를 허비할 경우 우리

나라가 아시아의 금융허브로 도약하는 것은 요원하게 될 것이다

체투자 극 MampA시장에의 참여

30년 정도의 중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좀 더 적극적인 발상을 한다면 향후 수백조

원의 해외투자를 위해서 타 금융회사와의 컨소시엄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적절한 규

모의 해외 투자은행이나 금융회사를 인수하거나 지분 투자하여 동 회사를 국민연금의

해외투자의 전초기지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 세계적으

로 손꼽히는 막대한 자금을 운용해야 하는 입장에서 이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전략

적 사고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대체투자 등의 방법을 통해 국내외적 MampA 시장에

도 적극 참여해야 할 것이다

혹자는 국민연금의 부채측면을 고려하여 기금적립금은 채권위주의 안정적이고 현

금화가 용이한 자산에만 투자해야 한다는 조심스러운 우려를 하기도 한다 물론 모든

국민의 노후 생활자금이니 부채구조를 고려하여 자산운용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

러나 강조하고 싶은 것은 막대한 적립금의 일부분이 분산투자 차원에서 해외투자 및

대체투자로 전환되는 과정이고 동 투자를 실행함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과 기회를 활

용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국민연금의 부채 구조를 고려할 때 다양한 해외자산

및 대체투자자산이 자산 부채 간의 듀레이션 매칭 측면에서 문제가 될 가능성은 크지

25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않다고 판단된다 관건은 취득자산의 질이 문제이지 질 좋은 자산은 다양한 방법으로

유동화가 가능하고 시장에서의 매각도 용이하다 수십년 후에 본격화될 연금의 급부

금 구조에 지레 겁을 먹고 그때까지 투자기회를 최대한 활용치 않는 것은 어설픈 핑계

에 불과하며 결국 탓할 것은 자산운용 주체의 전략적 사고와 노하우 부족이라고밖에

할 수 없다

국민연금이 해외투자와 관련된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산운용 조직의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와 같은 극도로 강조된 비전문가 위주의 기금운용위

원회에서는 전략적 투자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불가능

하다 선진 자산운용위원회를 벤치마크하여 위원수를 10여명 내외로 줄이고 상설화하

되 독립적인 성과평가체제하에서 위원들의 권한범위가 부문별로 명확히 규정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기금운용조직은 독립적 투자전문회사를 설립하여 전액 위탁

운용하는 방안이 민간방식의 투자기법을 활용하여 투자기회를 극대화하는 데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7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4호(2007611)

해외직접투자 및 외국인직접투자 현황과 시사점

李 圭 馥

〈요 약〉

해외직 투자는 외환시장뿐 아니라 실물경제에도 큰 향을 수 있는 요

한 요소로 우리나라는 최근 외환수 조 을 한 해외직 투자 증 를 추구

하고 있는 동시에 국내투자 부진에 한 안으로 외국인 직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 투자나 외국인직 투자 규모는 아직 다른

OECD국가들에 비하여 매우 은 수 인데 특히 안정 인 국제수지 선진기

술이나 경 노하우 습득 등을 하여 외국인직 투자를 진시킬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경제에 정 인 향을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부품 소재 서비

스 산업들을 유치하기 해서는 외국인투자자에 한 우 조치 강화보다 연구

생산 등에 한 집 효과를 극 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과 아울러 신

개발기술이 시장에서 신속하고 정하게 평가되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 한 해외직 투자의 경우 외환수 리 등을 하여 규모

를 늘릴 필요성이 있으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하여 리스크가 높은 지역

이나 산업으로의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한 리스크 리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해외직접투자는 기업의 생산요소 중 자본 경영능력 기술 상표 등을 해외 현지국

으로 이전하여 이것들을 현지의 생산요소인 노동 및 토지와 결합하여 제품을 생산 판

매하는 기업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직접투자의 유출입은 자본의 이동에 의하여 외

환 및 금융시장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투자나 무역의 증감 등을 통하여 실물경제에

25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환위기 이전에는 외국인직접투자(외국인의 국내투자)보다 해외

직접투자(내국인의 해외투자) 규모가 더 컸으나 외환위기 이후 정부의 외국인직접투

자 활성화와 함께 수지가 반전되었다 2006년 이후에는 외환수급 조절 차원에서 해외

직접투자를 촉진하여 다시 해외직접투자 규모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올해에도 외환수급 조절을 위한 해외직접투자 규모 증대

를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동시에 국내투자 부진에 대한 대안으로서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정책들을 시행 중에 있다

이하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와 외국인직접투자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

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외국인직 투자는 감소세인 반면 해외직 투자는 증가세를 기록

한국은행이 집계한 자본수지 내역을 토대로 GDP 대비 해외직접투자와 외국인직접

투자 규모를 살펴보면 외국인직접투자는 1999년 GDP 대비 21를 기록한 이후 전반

적인 감소 추세를 기록하여 2006년에는 04를 기록하였다 반면에 해외직접투자는

199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2002년 GDP 대비 048를 저점으로 늘어나기

시작하여 2006년에는 외국인직접투자 순유입액의 약 2배 정도인 GDP 대비 08까

지 증가하였다

산업자원부에서 집계되는 자료를 토대로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외국

인직접투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으로의 투자가 늘어났으며 최

근 정부의 노력과 함께 소재 부품산업으로의 투자비중이 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규

모는 크지 않은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미주지역보다 유로지역으로부터의 투자가 늘어

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수출입은행에서 집계되는 해외직접투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서비스업보다는 제조업 중심으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와

북미로의 투자가 가장 많으나 최근에는 유럽 중남미 아프리카 등으로의 투자가 늘어

나고 있는 추세이다 규모 면에서는 외국인직접투자가 해외직접투자보다 전반적으로

대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59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GDP 비 직 투자 규모

사실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는 외국인직접투자나 해외직접투자의

규모가 적어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은 상태여서 전반적으로 규모를 우선

확대할 필요가 있다 2003sim2005년 동안 우리나라는 GDP 대비 연평균 06의 해외

직접투자 순유출을 기록하고 GDP 대비 08의 외국인직접투자 순유입을 기록한 데

비해 같은 기간 동안 OECD 국가들은 GDP 대비 연평균 24의 해외직접투자 순유

출과 GDP 대비 18의 외국인직접투자 순유입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

나라의 경우 외국인직접투자의 증대는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아직 성장여력이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인직접투자는 진보된 기술이전 선진 경

영노하우 전수 등을 통하여 국내경제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

으로 예상된다

또한 거시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다른 종류의 해외자본 유입보다 매우 안정적인 자금

의 성격을 가진 외국인직접투자의 규모 확대는 매우 중요하다 여러 나라의 외환 위기

에서 경험하였듯이 주식 채권 등에 대한 투자는 매우 변동성이 높고 투기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어 외환위기의 발생 원인이 되거나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반면에 외국인직접투자는 신흥시장국들 사이에서 변동성이 적

고 안정적인 투자 형태로 선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본흐름(Capital Flows)의 변

동성과 경제성장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자본흐름의 안정은 국내경제의 안정으로 이어져 국내 경제성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주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외국인투자자에 한 우 조치 강화보다는 투자여건 조성에 노력해야

외국인직접투자 유치가 절실하기는 하나 문제는 각국 정부들이 외국인직접투자의

장점을 인식하면서 규제개혁 세제혜택 등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한 우대조치를 강화하

는 등 투자를 유치하려는 경쟁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쟁 속에서 우리나라에게 필요한 양질의 외국인투자를 유치하기

26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내의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1) 세제혜

택 보조금지급 등을 외국인투자에게 제공하는 정책은 외국인직접투자의 규모를 증가

시키기는 하였으나 자국 경제의 생산성이나 효율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노동시장의 유연성 국내 인프라의 질 기업의 경영환경 등

외국인투자자에게 우호적인 국내환경을 이유로 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가 경제의 발

전에 더욱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우리나라는 고부가가치의 부품 소재 산업 등에 관한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

함으로 국내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이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고부가가치의 부품 소

재 서비스산업 및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 등은 여러 기업들이 자유롭게 경쟁하며 제품

의 품질 향상 등을 이룩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에 대한 국내 기업육성 해외 여러 나라로부터의 동시투자 유치 등 연구 및 생산

에 대한 집적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부품 소재 산업의

경우 신개발기술이 올바르게 평가를 받을 수 있고 그에 해당하는 적절한 보상을 얻을

수 있는 시장형성도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즉 지적재산권 보장과 함께 기술거래나

MampA 등의 활성화를 통하여 새로운 기술개발들이 시장에서 신속하고 적정하게 평가

받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험 리를 고려한 해외직 투자 확 필요

한편 우리나라는 현재 주식이나 채권시장에서의 외국인투자자금 유입 급증으로 인

하여 외환시장 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해외투자를 통한 외환수급 및 환율안정을 위한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정부는 해외직접투자의 경우 자원 및 에너지

개발 해외 인프라 금융산업 등을 중심으로 해외직접투자 촉진과 해외 부동산투자 규

제완화 등을 실시할 것을 올해 초 발표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진출하기를 원하는

산업은 선진국뿐 아니라 중국 등 신흥시장국들도 최근 축적된 외환보유고 등을 바탕

으로 활발히 진출하고 있는 업종들로 양질의 투자처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심화됨

1) Does Foreign Direct Investment Help Emerging Economies Anil Kumar Economic Letter FRB Dallas Vol2 No1 January 2007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1

에 따라 가치 있는 기업이나 지역의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자원 및 에너지 개발투자는 좀 더 리스크가 큰 초기단계의 투자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으며 최근 제조업의 경우 이미 투자가 많이 이루어진 중국을 대체하여 동남

아 국가 등으로의 투자가 관심을 끌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최근 해외직접투자는 리

스크가 높은 국가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신흥

성장잠재국으로의 진출은 미시장 개척이나 생산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반면 인프라의 부족 숙련노동자의 부족 정책의 불확실성 등의 리스크를 감안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관심투자대상국가의 정책 투자환경 변화 적정 진출시점 등에 대한 정보

인프라를 강화하여 신속한 정보수집과 이에 따른 적정한 가치측정 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신흥시장국 또는 자원개발 등 리스크가 높은 국가나 산업으로의 진

출과 함께 기술습득 선진 인프라 사용 등을 목적으로 하는 선진국으로의 투자촉진을

통한 리스크 분산 등 투자포트폴리오 조절에 의한 리스크관리 강화 역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6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27호(200772)

국제석유자본의 팽창과 활용방안

宋 在 殷

〈요 약〉

2002년 이후 고유가로 엄청난 자 을 벌어들인 석유수출국들이 오일머니

사용패턴을 소비지출 심에서 해외투자 심으로 바꿈에 따라 오일머니를

활용하기 한 우리의 응 한 건설수주와 같은 기존의 통 방식에서

벗어나 융자본의 활용이라는 에 을 두고 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생겼다 특히 아랍산유국들의 경우 과거에는 미국 등의 은행에 석유자본을

치하거나 우량자산을 구입하는 방식으로 운용하 으나 이번 유가 상승기

에는 투자 다변화를 통해 아시아 경제권에도 상당한 심을 보이고 있다 이

제는 이러한 다변화를 단순한 투자자 유치의 기회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보

다 극 이고 장기 인 안목에서 우리 융기 들이 로벌 융기 으로

발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를 해 말 이시아 등에서 추진되고

있는 이슬람 융허 구축 움직임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

며 다양한 경로로 국제석유자본에 근하기 한 융기 간 정보연구 네

트워크 구축과 정보수집 등에 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단된다

미국 경상수지 적자의 지속적 증가에 따른 국제불균형 심화에 대한 논의 등에 있어

중국 및 아시아 신흥경제국가들의 경상수지 흑자에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작년 한 해에만 총 5700억달러 이상으로 추산되는 석유수출국가들의 경상수지 흑자

는 상대적으로 덜 조명을 받고 있다

하지만 석유수출국가들의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는 현재 국제금융시장 최대의 본원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3

적 자금공급원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아랍산유국

들의 지나친 경상수지 흑자는 작년 IMF회의에서 문제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는 결국 석유수출국가들의 해외순자산 및 외환보유고

의 증가 즉 국제석유자본의 팽창을 의미한다 더욱이 현재의 고유가기조가 상당기간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국제석유자본의 팽창도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과거 고유가 기간과 비교하여 이번 국제석유자본 팽창의 특성을 소개하

고 아랍산유국들의 경우를 중심으로 이의 적절한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오일머니 활용패턴 변화 해외투자 성향 증가

물론 이번 국제석유자본 팽창은 무엇보다 2002년 이후 고유가와 이에 따른 석유수

출액 증가에서 비롯한 것이다 2002년 평균 유가(두바이유 기준)가 배럴 당 26달러일

당시 3000억달러 수준이던 석유수출국가들의 석유수출은 작년 평균 유가가 배럴당

62달러 가까이 상승함에 따라 약 9700억달러까지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지난 5년간 총 1조 4000억달러에 달하는 국제석유자본의 급격한 팽창은 석

유수출 수입 증가만이 아니라 석유수출국가들의 상품 및 서비스 수입 성향이 감소한

것에도 기인한다 2002년 당시 석유수출국가들의 경상수지 흑자가 총 880억달러였던

점을 감안하면 이 기간 석유수출액 대비 경상수지 흑자비율은 29에서 60까지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이는 1990년대에 저유가로 타격을 입었던 석유수출국가들이 그 교훈으로부터 이번

고유가기간에는 소비지출 대신 저축에 신경을 쓰고 있으며 이렇게 저축된 자금이 해

외투자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 이들 국가의 GDP 대비 저축률은 지

난 5년간 11p 증가하였는데 같은 기간 국내투자의 비중은 거의 변하지 않았고 해외

저축을 의미하는 경상수지 흑자의 비중만 상승하였다

26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석유수출국 해외투자 지역 유형 다변화

이번 국제석유자본 팽창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석유자본의 운용 가운데 BIS 회

원은행 및 미국과 독일 금융시장의 거래상대방 자료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이 과

거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는 사실이다 BIS에 따르면 1978sim82년 당시 석유수출국

가들의 총투자가용자금 가운데 이러한 자료에 포착되는 부분은 절반 정도였으며 이

후 저유가기간 동안에는 이들의 투자자금 운용내역 거의 전부가 동일한 자료를 통해

파악 가능하였다 그러나 1999sim2005년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규명할 수 있는 부분은

30정도로 대폭 하락하였다

이러한 공식적인 거래상대방 자료로 파악할 수 없는 투자형태로는 첫째 미국이나

독일 이외의 지역에 대한 투자(BIS 회원은행 예치는 제외) 둘째 역외금융센터를 이

용한 미국이나 독일에 대한 우회 투자 셋째 미국이나 독일에서 투자자 정보를 공개

하지 않는 헤지펀드 및 사모펀드에 대한 투자 등 세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국제

석유자본의 흐름 중 이러한 형태의 투자들이 증가했다는 것은 결국 석유수출국가들의

해외투자가 다양한 지역 및 유형으로 분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석유수출국가들의 해외투자 다변화는 과거 미국과 유럽의 은행 예치 및 우량자산

구입을 중심으로 극히 보수적으로 자금을 운용하던 아랍산유국들이 보다 적극적인 투

자에 나선 데에 따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IIF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걸프협력회의

(GCC)의 해외자산 증가분 5400억달러 가운데 주식투자(383)의 비중이 채권

(326)이나 은행예금(67) 등 다른 자산에 대한 투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아시아에도 적어도 600억달러 글로벌 투자자들에 의한 재투자를 고려하면

이를 훨씬 상회하는 자금이 투자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융산업 로벌화를 한 국제석유자본의 활용

과거 유가상승과 중동경기 활황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 상품수출 및 건설수주에 집

중되어 왔다 물론 아랍산유국들의 수입소비성향이 이전에 비하여 낮아졌다고는 하지

만 비중이나 규모 면에서 석유수출대금의 상당 부분이 수입을 통하여 해외로 환류되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5

고 있는 만큼 이러한 관점은 여전히 유효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아랍산유국들의 저축성향이 증대되고 이를 통해 발생한 투자자금 운용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게 됨에 따라 우리도 이에 대응하여 이러한 자금을 활용하는 방

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에 있어 우리 경제에 필요한 외자공급이 불충분하다

고 할 수 없는 현재 상황에서는 과거의 산업자금 유치활동과는 다른 새로운 방안이 요

구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 국제석유자본에 대한 관점은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글로벌화에 유

용한 금융자본이라는 시각에 기반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랍산유국의 역외금융센터 및 펀드 선택을 주의 깊게 연구하는 한편 궁극적으로

는 글로벌 금융기관처럼 우리나라 금융기관들도 국제석유자본의 운용에 참여할 수 있

는 방안을 찾아보아야 한다 지금 당장 중동의 금융센터에서 글로벌 금융기관들과 직

접 경쟁하는 것은 무리겠지만 이를 염두에 두면서 중동 금융센터는 물론 각종 틈새시

장으로의 진출을 통해 인지도 및 경험을 쌓아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동 석유자

본이 아시아 경제에 진출을 시작한 현재의 상황은 우리나라 금융기관들이 그러한 틈

새시장을 발견하는 데 좋은 기회일 것이다

이러한 중동 금융시장 진출에 대하여 이미 일부 금융기관에서 연구를 시작하고 있

으나 이러한 작업의 초기비용을 생각하면 금융기관 간 정보교환 및 연구 네트워크

구축은 물론 정보수집 등에 대한 정부차원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융기관들의 중동 금융시장 진출은 대규모 금융자본 활용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호황을 보이고 있으나 거품붕괴 위험 역시 존재하는 중동지역 투자를 위한 정보의 수

집분석에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슬람 융에의 참여를 검토할 필요

국제석유자본에 접근하는 구체적인 방안의 하나로는 lsquo이슬람 금융rsquo에의 참여를 들

수 있을 것이다 lsquo이슬람 금융rsquo은 이슬람 율법에 의해 인가받은 금융상품을 개발판

매하는 것으로서 이슬람 투자자들은 이런 상품에 대해 상당히 높은 충성도를 보이고

있으며 그 규모는 총 4500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6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러한 lsquo이슬람 금융rsquo은 원래 선진국 금융기관들에 의하여 개발되어 런던 금융시장

등에서 거래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말레이시아나 바레인 등에서 해당지역 종교적 배

경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이들 국가는 자국 금융시장을 lsquo이슬람 금융허

브rsquo로 육성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중이다

우리나라 금융기관들이 이러한 움직임을 활용하여 lsquo이슬람 금융rsquo에 참여할 수 있다

면 이에 유입되는 중동 석유자본을 직접 운용하는 경험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지도 축적 및 이슬람 친화적 이미지 구축을 통해 향후 중동 금융시장에 직접 진출하

는 데에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인민은행은 이미 이슬람 금융의 감독기구인 lsquo이슬람금융서비스위원회rsquo에 찬조

회원으로 가입하여 자국 은행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일본은행 역시 가입을 서

두르고 있다 또한 일본국제협력은행은 lsquo이슬람 채권rsquo 발행을 통해 말레이시아의 lsquo이

슬람 금융허브rsquo에 참여하기 위하여 미쓰이스미토모은행과 더불어 공동연구를 추진하

고 있다

시기를 놓친다면 미래에도 우리 경제의 중동 석유자본 이용은 글로벌 금융회사들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형태가 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앞서 강조한 금융기관들의 협력 및

정부의 지원 아래 lsquo이슬람 금융rsquo 참여에 대한 신속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

단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7

한양대학교 교수(집필 당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6호(2007910)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의 향후 전망과 시사점

河 駿 坰

〈요 약〉

미국의 서 라임 모기지 부실화 문제는 출구조를 감안할 때 미국의

폭 인 리인하가 없는 한 2008년 하반기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세계

융시장은 주요국 앙은행들의 정책공조로 인해 통제할 수 없을 정도의

기로까지는 가지 않겠지만 험에 한 재평가와 함께 안 자산 선호경향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조정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고수익-고 험 자산에 한 선호가 약화되는 과정을 겪을

가능성이 많지만 서 라임으로 인한 직 피해는 제한 일 것이다 정책

당국은 서 라임 사태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과잉 유동성과 험 리 소홀

이라는 우리 경제의 문제 이 더 커지기 에 이를 방하는 지혜가 필요하

다 서 라임으로 인해 융시장이 지나친 혼란에 빠지는 것은 막아야 하겠

지만 그것이 유동성 리와 건 성 감독을 소홀히 하는 빌미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부실문제가 전세계 금융시장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서도 이미 주가 금리 환율 등 주요 경제변수들이 뉴스에 민감하게 움직이면서 변동

성이 매우 커졌다 이 사태가 앞으로 얼마나 오랫동안 어느 정도의 강도로 지속될 것

인지가 초미의 관심사이다

26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서 라임 사태의 근본 원인은 리와 방만한 출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의 향배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대출

구조와 문제의 증폭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은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이 쉽게 주택을 구입할 수 있도록 보통 대출 시점부터 2년까지는 낮은 고

정금리를 적용하되 2년이 지난 후에는 변동금리로 갈아타게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모기지 브로커들은 저신용자들에게 ldquo만약 2년 후에 원리금을 갚기 어렵게 되면 집을

팔아서 돈을 갚으면 된다 집값이 오를 것이기 때문에 중도상환 수수료를 내더라도 남

는 장사이다rdquo는 식으로 대출을 권유하였고 이에 따라 많은 저신용자들이 내집마련의

꿈을 실현하고 자본이득을 올리기 위해 주택을 구입하게 되었다 이렇게 늘어난 주택

수요는 주택가격을 더욱 올리는 힘으로 작용하였고 이는 다시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급증을 야기하는 거품생성구조가 만들어졌던 것이다

이러한 거품이 지속될 수 있으려면 저금리가 유지되는 가운데 집값이 계속 올라야

한다 실증분석을 해 보면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다른 자산가격의

경우에서처럼 금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주택과 같이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

한 자산의 가격은 금리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2004년 가을부터 2006년

여름까지 17차례에 걸쳐 진행된 미국의 금리인상은 집값 상승추세를 꺾고 모기지 차

입자들의 이자부담을 늘려 거품을 가라앉힘과 동시에 서브프라임의 잠재적 부실을 드

러내게 된 것이다

모기지 리와 서 라임 연체율 사이의 시차 계와 사태의 장기화 가능성

결국 서브프라임 부실문제가 얼마나 지속될 것인지는 이러한 금리인상의 부정적 영

향이 얼마나 오래 갈 것인지에 달려 있다 앞서 살펴본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구조를

감안하면 오늘 부실화되는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2년 전에 대출되었던 것이 대부분이

다 즉 지난 2년 동안에는 낮은 고정금리가 적용되어 왔기 때문에 어떻게든 버틸 수

있었지만 고정금리 기간이 끝나고 실세금리에 연동된 변동금리로 갈아타게 되면서 원

리금 상환부담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진 대출들이 부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69

이렇게 단순하게 계산해도 서브프라임 모기지 금리의 인상과 모기지 연체율의 상승

사이에는 2년 정도의 시차가 있게 된다 즉 오늘 금리를 올리면 오늘 나간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2년 후에 부실화되는 것이다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에서도 모기지

금리와 연체율은 6~9분기 정도의 시차를 갖는다 즉 2007년에 문제가 된 서브프라

임 모기지 부실은 대부분 2005년을 전후해서 나간 대출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2006년에 나갔던 서브프라임 모기지들은 2008년에 부실화될 가능

성이 크다 그러면 2007년에 나간 대출은 어떠한가 올해 초에 미국 금융당국이 문제

를 인식하고 서브프라임 대출지침을 통해 대출조건을 강화하였기 때문에 올해 초 이

후에 나간 모기지의 부실화 가능성은 크게 낮아졌다 따라서 2006년에 이루어진 모기

지의 부실이 드러나게 되는 2008년 하반기까지 문제가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미 연 의 리정책과 서 라임 사태의 향배

그런데 여기서 주의할 것은 오늘 나간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2년 후에 부실화되는

것은 오늘 올린 금리가 2년 후에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더 올라서 변동금

리 전환 시 부담이 대폭 늘어나는 지급충격(payment shock)이 있고 주택경기가 계속

지지부진해서 집을 팔아 원리금과 중도상환 수수료를 내기 곤란한 경우에 발생한다는

점이다 주택경기도 상당 부분 금리의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면 결국 앞으로 서브프라

임 모기지의 부실화 추이는 미국의 금리정책 추이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만약 미 연준이 2001년 가을처럼 금리를 대폭 인하한다면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은 크게 줄어들 것이고 미국의 주택경기도 살아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미 연준이 주택경기를 되살릴 만큼 대폭적으로 금리를 인하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과거에 위험관리를 소홀히 하면서 과잉유동성을 이용하여 고수익을 추구했던

사람들에게 투자실패에 대한 보상을 해주는 것은 도덕적 해이를 부추길 뿐만 아니라

시장경제원리와도 맞지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다소의 조정비용이 따르더라도 지난

수년 간 저금리와 과잉유동성으로 인해 부풀어 오른 거품들을 걷어내는 것은 장기적

으로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시각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연준의 금리 인하는 만약 현실화되더라도 그 폭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27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것은 미국의 주택가격이 과거의 폭등기로 돌아가기보다는 연착륙할 가능성이 크고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문제도 금리 인하로 손쉽게 해결되기보다는 잠재적 부실이 대

부분 드러날 때까지 지속될 것임을 시사한다

서 라임 사태와 세계 융시장의 혼란

그러면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도 2008년 하반기까지 지속될 것인가 금융시장 불안

은 주로 서브프라임 모기지를 담보로 해서 발행된 파생금융상품들에서 비롯된다 헤

지펀드들을 비롯한 많은 투자자들이 이 파생상품들에 투자했다가 손실을 보고 특히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서브프라임 관련 상품을 사들인 투자자들이 파산하면서 상당한

혼란이 발생한 것이다 아울러 일부 펀드에 환매요청이 몰려 국지적인 유동성 위기까

지 발생하면서 세계 금융시장이 불안해진 것이다

그런데 유동성 위기에 대해서는 각국 중앙은행들이 정책공조를 통해 신속히 대응하

고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즉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주어진 금리 하에서 충분히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유동성으로 인한 위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서브프라임 관련 파생상품에 투자한 금융회사나

펀드들의 손실과 간헐적 파산은 수개월 이상 지속될 수 있을지라도 유동성 위기의 연

쇄적인 확산 가능성은 매우 낮다

이러한 모습은 과거 대공황 시기와 크게 대조된다 대공황 시기에는 금본위제가 존속

하고 있었고 주요국 금융당국 사이의 정책공조도 부족했다 그래서 미국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지자 유럽 국가들은 뉴욕에 예치해 놓았던 금을 대거 인출해 갔고 통화량이

줄면서 공황은 더욱 악화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금본위제가 폐기된 지 오래인

데다가 미국 달러가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 각국 금융당국 사이의 협력도

1920년대 말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서브프

라임 사태로 금융위기가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확산되는 상황은 생각하기 어렵다

결국 세계 금융시장도 파국으로 달려가기보다는 지난 수년간의 고위험-고수익 추

구 관행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는 국면을 맞이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금융변수들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위험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지는 방향으로 조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1

서 라임 사태의 시사 - 험 리의 강화

한편 우리나라 금융기관들은 서브프라임 관련 상품에 투자를 많이 하지 않아 직접

적인 손실은 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세계 금융시장이 조정을 겪는 과정에서 우리

금융시장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는 있을 것이다 즉 국내에서도 주가 금리 환

율 등 주요 경제변수들의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고수익-고위험 추구 경향이 약화될 것

이다

그러면 우리나라 주택시장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에서는 주택경기가 하락하더라도

LTV나 DTI 같은 건전성 규제들로 인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같은 일이 벌어질

가능성은 낮다 또 미국에서는 많은 저신용자들이 서브프라임 대출을 받을 수 있었지

만 우리나라의 저신용자들은 아마도 카드사태의 후유증에 시달리느라 주택시장에 뛰

어들 여력이 없었을 것이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 그

렇다고 이를 남의 문제로 돌릴 일은 아니다 과잉 유동성과 위험관리 소홀이라는 우리

경제의 문제점이 더 커지기 전에 서브프라임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문제를 예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서브프라임으로 인해 금융시장이 지나친 혼란에 빠지는 것은 막아

야 하겠지만 그것이 유동성 관리와 건전성 감독을 소홀히 하는 빌미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27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39호(2007108)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과제와 전략

徐 丙 昊

〈요 약〉

최근 경제의 성장 융회사간 경쟁격화에 따른 수익성 약화를 극복하

기 해 국내 융회사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한 국내 기업과

개인 고객들의 해외투자가 증하면서 이들 수요도 해외진출을 독려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선진 융기법과 인사 리 리스크 리 시

스템 등을 습득하고 로벌 투자자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국내 융시장

에서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일도 융회사가 해외진출을 하는 요한 과제

의 하나라고 사료된다 이를 해서는 로벌 투자자들과 선진 융회사들이

집한 융 선진지역으로의 진출을 확 해야 한다 한 업형태에 있어서

는 진출지역의 규제상황과 국내 시장에서의 종합 융그룹화 추세를 감안하

여 이종업종으로의 진출도 고려해야 한다고 단된다 해외진출은 회사의 운

명이 걸린 사안이다 선택에 앞서 정말로 해외진출이 필요한지 그리고

필요하다면 어떠한 장기 비 을 제시할 것인지에 한 신 한 근이 필요

할 것이다

국제화 추세에 부응하여 국내 금융시장을 본격적으로 개방하면서 해외 금융회사들

의 국내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종합 금융회사의 탄생에 일조하는 금융지

주회사법 도입과 자본시장통합법 통과로 국내 금융회사들은 업무장벽을 초월한 무한

경쟁에 돌입하였다 이러한 국내 금융시장의 경쟁 격화는 금융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하고 금융회사들의 경영 효율성 및 투명성을 제고했다는 점에서 긍정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3

적인 역할을 했으나 동시에 국내 금융회사들의 수익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

기도 하였다

최근 국내 금융회사들은 금융시장의 경쟁격화와 국내 경제의 저성장에 직면하여 해

외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포화된 국내시장에서 제로섬(zero-sum) 경쟁으로 수

익성을 약화시키는 것보다 해외로 진출하여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하는 것이 장기적으

로 안정적 성장을 담보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또한 중국과 베트남 등 인근 아시

아 국가들의 경제성장률이 국내 경제성장률을 상회하면서 국내 금융시장보다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시장들을 선점하지 않으면 향후 기회가 없어질 수

도 있다는 위기감도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을 독려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향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 과제

들을 점검하고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 현황을 평가한 후 해외진출을 위한 다양

한 전략들을 간략히 제시하고자 한다

해외진출을 한 과제

국내 금융회사 해외진출의 첫 번째 과제는 신시장 개척을 통한 고객기반 확충과 고

성장 국가들의 금융시장 선점이다 국내 경제의 저성장과 국내 시장의 경쟁격화는 금

융회사들의 이익창출능력을 저하시키고 있으며 따라서 해외진출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엔진을 마련해야 한다

두 번째 과제는 국내 고객들의 수요를 만족시킴으로써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국내 금융회사들의 기업 고객들은 생산비 절감과 현지 마

케팅 등을 목적으로 해외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이 해외에 대규모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대출 회사채 발행 해외 IPO 등 다양한 자금조달 방식을 이용해야 하

며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기업 고객들의 이탈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

다 또한 개인 고객들도 최근 직간접적으로 해외투자를 늘리고 있다 가령 이들을

대상으로 해외펀드를 설정운용하거나 현지 대출을 제공하거나 현지 보험을 판매한

다면 고객 만족도를 높여 국내 시장에서의 지배력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과제는 글로벌 금융회사들의 선진 금융기법을 습득하고 해외 투자자 네트

27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최근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사태로 일부 헤지펀드와 투자

은행들이 부실해질 가능성이 커졌으나 금융시장에서 인수 MampA 중개자문 기업 구

조조정 등 투자은행 업무만큼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는 없다 최근 통과된 자본시장통

합법도 토종 글로벌 투자은행을 육성하기 위해 제정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이

러한 투자환경의 조성에 부응하기 위해서라도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노하우를 습득해

야 한다

해외진출 황과 평가

역사적으로 국내 금융업은 내수산업으로 분류되고 있을 정도로 해외사업 비중이 작

았는데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해외사업 비중이 오히려 더 작아지게 되었다 아직까지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 규모는 극히 미미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통계도 정확하

게 집계되지 않지만 2006년 국내은행의 총수익 중 해외수익의 비중이 32라는 사

실에서 해외진출 규모가 어느 정도 작은지를 유추할 수 있다

1997년 190개에 이르렀던 국내은행의 해외점포 수는 외환위기를 거치며 1998년말

127개로 급감하였으며 신용카드 부실사태를 겪은 2002년말에는 96개까지 감소하였

다 최근 해외진출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점포수를 확충하고 있으나 2006년말 현재

국내은행의 전체 해외점포 수는 111개로서 외환위기 이전의 584에 지나지 않는다

국내 은행은 외환위기 이전부터 외환거래 및 단순대출 업무의 수행을 위해 다수의

국가에 진출하였는데 최근에는 중국시장으로의 진출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

다 가령 2007년 금감위에서 인가한 국내은행의 해외점포를 살펴보면 중국관련 인가

가 지점 1곳 사무소 1곳 현지법인 3곳을 포함하여 6건에 이른다 이는 중국시장의

성장잠재력이 워낙 크고 국내 경제와의 연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 유사성까

지 갖추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부 은행들은 홍콩에 투자은행을 설립

하였는데 이는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에 대비하여 글로벌 투자은행으로 변신하겠다

는 의지의 표명이라고 판단된다

국내 증권사는 중국 동남아 호주 남미 등 다양한 지역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영

업형태 면에서는 아직 해외 IPO나 국제 MampA보다는 자기자본투자(PI)에 집중하고 있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5

다 유가증권 인수업무나 MampA 중개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지에서의 투자자 네

트워크가 필요한데 아직 해외진출의 역사가 짧기 때문에 네트워크 민감도가 비교적

낮은 자기자본투자에 집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자산운용사는 국내 펀드의 해외 판매보다는 주로 국내 고객들에게 판매한 해

외 펀드의 운용을 목적으로 해외진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지역적으로는 싱가포르 베

트남 등 동남아에 편중된 모습이다 이는 선진국의 경우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의 상품

에 비해 경쟁력을 갖추기 힘들 뿐만 아니라 국내 소비자들이 아직 안정적인 선진국 펀

드보다는 고위험고수익의 이들 지역 펀드를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보험사들도 글로벌 보험사들의 거친 도전으로 인하여 국내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지자 해외진출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특히 세계 최대의 보험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시장 진출에 적극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제2금융권에서도 구조조정의 마무리로 대형업체들이 출현하면서 해외진출이

증가하고 있다 저축은행은 국내 PF사업 기회가 줄어들면서 동남아 개발사업에 참여

하고 있으며 대기업 계열 캐피탈회사는 계열사 기반을 활용하여 리스 및 할부금융에

특화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최근 대부분의 국내 금융회사들은 아시아지역의 고성장 개발도상국들을 집중 공략

하고 있는데 이는 신규 수익원을 확보하면서 해당지역으로의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일부 국내 금

융회사들은 중앙아시아와 남미 등 국내 수요는 적지만 자원이 풍부하여 향후 성장가

능성이 높은 곳으로도 진출하고 있다 이들 지역의 경우 문화적 이질감은 있을 수 있

으나 국내 금융회사들이 금융기법의 경쟁우위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

다고 판단된다

대다수의 국내 금융회사들은 해외에서도 국내와 유사한 영업형태를 고수하고 있는

데 이는 상대적으로 비교우위가 있는 부문에 전념함으로써 현지 시장에서의 경쟁력

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동종업종으로 진출한다고 하여 취급상품까지 같

아서는 경쟁력이 없으므로 현지 수요에 맞는 상품을 개발하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한

다고 판단된다

27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해외진출을 한 략

금융회사에는 은행 증권 자산운용 보험 여신금융 등 다수의 상이한 회사들이 포

함되며 같은 업종이라도 회사의 규모나 영업방식 등에 따라 차이점이 크기 때문에 국

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전략을 일반화하여 제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해

외진출의 다양한 진출 과제와 전략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국내 금융회사들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논의하기로 한다

첫째 국내 금융회사들은 해외진출 과제 중 하나인 선진 금융기법 습득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선진국의 글로벌 금융허브 진출을 확대하는 전략도 병행할 필

요가 있다 금융시장의 개방이 점차 확대되면서 국내 금융시장에서도 글로벌 금융회

사들과 경쟁해야 하며 따라서 이들에게 뒤지지 않는 리스크관리 등의 금융기법을 습

득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최근 투자은행의 설립을 촉진하는 자본시장통합법이 통과

되면서 국내 투자은행 시장의 향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

는 글로벌 투자은행들과의 경쟁에 대비하여 글로벌 투자자 네트워크도 확립해야 하는

시점이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투자기법 리스크 관리기법 고객관리 및 인사관리 시스템 등

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금융투자회사들의 본사가 있는 금융 중심지로

진출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며 특히 자금력이 풍부한 해외 투자자 네트워크를 구축

하기 위해서는 런던과 뉴욕 등의 글로벌 금융허브에서 수련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토종 글로벌 투자은행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국내 금융회사들의 조직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글로벌 투자은행을 육성하기 위한 조직문화

가 어떠한 것인지를 깨닫기 위해서라도 그들의 주된 무대에서 현장체험을 해야 한다

고 판단된다

둘째 국내 금융회사들은 진출지역의 규제상황과 국내 시장에서의 종합 금융그룹화

추세를 감안하여 이종업종으로의 해외진출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가령 상업은행의

경우 동종업종으로 진출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우선 각 나라마다 상

업은행 업무는 규제산업이기 때문에 해외자본이 진입하는 데 있어서 규제 사항이 많

다 현지 은행을 인수하려고 해도 지분인수에 제한이 있는 국가들이 많으며 허가절차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7

와 감독규제도 매우 까다롭다 게다가 상업은행 업무의 경우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는 고객 편리성을 충분히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점망을 비롯한 대규모 투

자가 따라야 하기 때문에 재무적으로 부담이 된다 뿐만 아니라 상업은행의 고객 성향

을 정확히 파악하고 신규상품들을 제작판매하기 위해서는 현지인들과의 언어적 문

화적 교감이 필수적이며 따라서 현지화를 위해 긴 시간과 높은 비용을 감수해야 한

다 이는 일부 증권사나 보험사 업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과거 스위스 Credit Suisse은행의 미국 First Boston 투자은행 인수와 최근 미국

Citi은행의 일본 Nikko Cordial 증권사 인수에서 보듯이 이종업종으로의 해외진출로

범위의 경제를 달성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특히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으로 금융권

역간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므로 이종업종의 해외진출을 통해 국내 금융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해외진출에 있어서 금융회사들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 현

재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진출은 시대적 추세인 것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본고

에서도 해외진출의 과제와 전략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해외진출은 대규모 투자를 동

반하는 중대한 결정사항으로서 잘못된 판단으로 금융회사의 운명이 갈릴 수가 있으므

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우선 해외진출이 해당회사에 꼭 필요한지를 객관적으로 검토해 보아야 한다 가령

회사의 규모나 인적자산이 부족하고 해외사업을 통한 뚜렷한 시너지 효과를 찾기 어

렵다면 해외진출보다는 재무적 해외투자가 적합하다 또한 해외진출을 결정한 이후에

도 Citigroup의 장기광역형 HSBC의 중기 센터집중형 Nordea의 단기 지역맹주형

UBS의 유니버설 뱅킹형 BSCH의 소매금융형 Macquarie의 틈새시장형 등 각종 진

출 유형들을 참고로 하여 회사의 장기적 비전을 설정1)해야 진출지역과 영업형태 등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 박동창서병호「국내은행의 해외진출 전략」『KIF Bullets』제37호

27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5호(20071119)

미 달러화 위상의 약화요인과 대응방안

朴 海 植

〈요 약〉

지난 5~6년간 로벌 외환시장에서 미 달러화는 약세기조를 지속해 왔다

그런데 특히 올해 들어 미 달러화의 상 약화에 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이는 올해 발생한 로벌 융불안이 가장 안 한 투자처로 인식되어 왔던 미국

융시장에서 발되면서 미 달러화에 한 신뢰도가 크게 약화되어 달러화

리사이클링 붕괴에 따른 미 달러화의 락 가능성이 과거보다 더 높아졌기

때문으로 본다 이에 더해 수익성을 강조하는 국부펀드가 가세하면서 미 달러

화 자산에 한 수요가 격히 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미 달

러화가 락하게 되면 로벌 융시장이 크게 요동칠 수 있어 국내 융기

기업들의 험 리 강화가 요망된다 정책당국도 외환보유액의 통화다

변화 아시아 통화통합 논의에 한 극 인 참여 등을 통해 미 달러화 가치

락 이에 따른 미 달러화의 상 약화에 꾸 히 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지난 수십년간 전세계 무역 및 금융거래의 기축통화로 군림해 왔던 미 달러화의 위

상이 커다란 위기를 맞고 있다 그동안 미 달러화는 1999년의 유로화 출범 등 많은 난

관에도 불구하고 준비통화결제통화개입통화로서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

서 그 위상을 꿋꿋하게 지켜왔다 그러나 최근 미 달러화가 기축통화로서의 위상을 더

이상 지탱하기 어려울 수도 있음을 예고하는 징후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린스

펀(Greenspan) 前 미 연준(FRB) 의장도 미 달러화 주도의 국제통화체제에 대해 부정

적인 견해를 밝힌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고에서는 미 달러

화 위상의 저하요인들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79

로벌 미 달러화 약세의 지속

지속적인 글로벌 미 달러화의 약세는 기축통화로서의 위상에 가장 큰 타격을 입힌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미 FRB가 7대 교역상대국 통화를 대상으로 무역가중치를 이

용하여 추산하는 미 달러화의 주요 환율지수(major currency index)1)를 보면 미 달

러화는 이미 브레튼우즈체제 붕괴 이후의 최저치(1995년)를 하향 돌파하였다 이로써

2007년 10월 현재 미 달러화는 2000년대 들어 최고치를 기록하였던 2002년 2월대비

약 34(7393)나 하락하였다 교역상대국 통화의 범위를 26개로 확대하여 추산한 미

달러화의 확대환율지수(broad currency index)2)에서도 비슷한 추세가 발견된다 이

에 따르면 미 달러화는 2002년 2월부터 약세로 전환되어 2007년 10월 현재 약 23

하락한 9980을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미 달러화 약세가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됨에 따라 각국 중앙은행의

준비자산에서 미 달러화의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 통화다변화 움직임이 미 달러화 약세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

다 유로화가 출범한 1999년부터 미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되기 직전인 2001년까지 전

세계 외환보유액의 미 달러화 자산 비중은 70대를 꾸준히 유지하였다 그러나 미 달

러화가 약세로 전환된 2002년부터 미 달러화 자산 비중은 하락하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65를 하회하고 있다 반면에 유로화의 비중은 15~16대에서 25를 상회하는 수준으

로 확대되었으며 엔화의 비중도 유로화 비중보다는 낮지만 과거보다 많이 높아졌다

미 달러화는 준비통화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결제통화로서의 기능도 위협받고 있

다 이러한 움직임은 주로 미 달러화로 결제하는 원자재 수출국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가격의 큰 폭 상승에도 불구하고 미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

자 원자재 수출대금을 자국통화로 환산할 경우 원자재 수출을 통한 소득증대효과가

그만큼 크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올해말부터

양자간 무역의 결제통화를 미 달러화에서 자국통화로 변경하기로 합의하였다 원유

1) 미 달러화의 주요 환율지수는 유로화 호주 달러화 영국 파운드화 캐나다 달러화 일본 엔화 스웨덴 크로나화 및 스위스 프랑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국가는 미국 수출의 약 55를 차지한다

2) 미 달러화의 확대환율지수에 포함된 국가들은 미국 수출의 약 90를 차지한다 이들 국가들은 7대 교역상대국에다 한국 중국 인도 동남아 국가 등의 아시아 국가들과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베네주엘라 등의 중남미 국가들의 통화를 더해 구성하고 있다

28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수출국들도 미 달러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수출대금을 유로화로 결제할 것이라고 경

고한 바 있다3)

미 달러화 페그(peg)제를 운용하는 국가들도 글로벌 미 달러화 약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국가들이 페그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글

로벌 미 달러화 약세에 따른 자국통화의 절상압력을 흡수하기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

하게 되는데 이 때에 불태화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통화증발에 따른 물가불

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현상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과잉유동성 문제를 초

래하여 경제체질이 악화될 수 있다4) 따라서 지금과 같이 글로벌 미 달러화 약세가

오랜 기간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미 달러화 페그제를 포기하거나 페그통화를 다른 통

화로 바꾸는 국가가 나온다고 하더라도 놀랄만한 일은 아니라고 본다5)

미 달러화에 한 신뢰도 약화

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부실문제를 계기로 미 달러화에 대한 신뢰도가 약화된 것도

미 달러화의 위상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동안 미 달러화 자산이 안전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각국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

중 많은 부분이 미 국채로 구성되어 있거나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때마다 미 달

러화 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 등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올해 글로벌 금융시장의 가장 큰 불안요인이 되었던 서브프라임 부실문제가 가장 안

전한 투자처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 왔던 미국에서 촉발되면서 안전자산으로서 미 달

러화의 입지가 많이 손상되었다

더욱 심각한 것은 투자자들 사이에 미 달러화 자산이 더 이상 안전자산이 아니라는

인식이 빠르게 확산될 경우 달러화 리사이클링(dollar recycling) 구조가 와해될 수

있다는 데에 있다6) 달러화 리사이클링이란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로 인해 해외로 유

3) 김은지「굿바이 달러패권시대」『Economy21』 2007년 10월 29일

4) 중국이 미 달러화 약세에 따른 위안화 절상압력으로 인해 해외부문에서 유동성이 크게 증가하면서 경기과열 및 자산가격 버블을 경험하고 있는 것은 이를 증명한다

5) 실제로 최근 홍콩 통화당국은 미 달러화에 페그된 통화위원회제도(currency board system)를 유지하기 위해 약 2주간 100억 홍콩 달러(1조 20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외환시장에 투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홍콩 통화당국이 페그통화를 현행 미 달러화에서 중국 위안화로 변경할지도 모른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1

출된 미 달러화가 외국인의 미 달러화 자산 매입을 통해 미국으로 다시 유입되는 구조

를 말한다7) 이 구조하에서 외국인의 미 달러화 자산 매입은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에 따른 미 달러화 절하압력을 상당부분 완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따라서 달러화

리사이클링 구조가 붕괴되면 미 달러화 가치의 추가 하락이 불가피하여 기축통화로서

미 달러화의 위상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

아직도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달러화 리사이클링 구조가 쉽게 붕괴되지는 않을 것으

로 전망한다 이의 근거로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최근에 각국 중앙은행의 미 달러화 자

산 보유비중이 하락하기는 하였으나 그 속도가 완만하다는 점이 지적되곤 한다 또한

신흥시장경제 주도의 견조한 세계경제 성장세가 미 달러화 약세를 동반한다면 미국의

경상수지 불균형이 예상외로 빠르게 해소되어 더 이상 달러화 리사이클링 붕괴에 대

해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2006

년말에 GDP 대비 65를 기록하였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GDP 대비 55로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사태가 국제투자자들의 투자패턴에 몰고 온 변

화를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신용경

색 악화 및 세계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

됨에 따라 국제투자자들의 위험회피성향이 크게 높아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는 국제

투자자금이 위험자산에서 안전자산으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런데 올

해 외국인의 대미 투자패턴을 살펴보면 안전자산으로서 미 달러화 자산의 역할이 많

이 약화되었다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 지난 5월부터 미 유가증권에 대한 외국인의

순매수세가 줄어들기 시작하여 8월에는 아예 순매도세(349억달러)로 돌아섰기 때문

이다 서브프라임 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좀처럼 제거되지 않

고 있어 미 유가증권에 대한 외국인의 이러한 투자패턴 변화는 쉽게 바뀔 것 같지 않

아 보인다

6) 권순우「팍스 달러리움(Pax Dollarium)의 미래 진단과 전망」『SERI 경제 포커스』 제163호 2007년 10월 15일

7)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2000년대 초반에 GDP 대비 3~4 수준에서 2006년 중에 GDP 대비 65 수준으로 높아지는 과정에서 미국의 매년 해외부채 증가분은 4000억~5000억달러에서 9000억달러에 근접하는 수준까지 확대되었다

28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수익성 주의 국부펀드 등장

수익성을 강조하는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8)의 등장도 기축통화로서 미

달러화의 역할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동안 국부펀드는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단기성 투자행태를 보여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수익성 위주의 장기투자를 선호하는

국부펀드가 늘어나고 있다 중동 산유국 중심의 원자재 수출국들은 자원고갈에 따른

미래세대의 소득원천을 보전하기 위해 원자재 수출로 벌어들인 소득으로 별도의 기금

을 설립하여 수익성 위주의 장기투자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아시아지역에서도

국제수지 흑자 증대로 외환보유액이 급증하자 이를 활용한 국부펀드 설립을 통해 안

전성유동성을 강조하는 전통적 운용전략에서 벗어나 수익성 위주로 자산을 운용하

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자본의 흐름이 미 달러화 자산에서 신흥

시장국 통화표시 자산을 포함한 非달러화 자산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재 운용 중이거나 설립예정중인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아직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기 때문에 국부펀드 등장에 따른 대체효과9)가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

한적일 수 있다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추정기관에 따라 상이한데 2007년 상반기 현

재 최저 15조달러에서 최고 34조달러로 추정된다 따라서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대체적으로 PEF(2조달러)와 헤지펀드(14조달러)의 자산규모보다 큰 것으로 파악된

다 그러나 PEF와 헤지펀드를 제외한 다른 기관투자자들의 자산규모와 비교할 때 국

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전세계 은행자

산(635조달러)의 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투자펀드(210조달러) 연기금(179

조달러) 보험사 자산(160조달러)의 15~20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8) 국부펀드는 국가가 보유한 공적기금(public funds)을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투자하여 운용하는 투자수단(investment vehicle)으로서 국가투자기금(state investment fund)을 의미한다 국부펀드는 헤지펀드 PEF

연기금 등과 비교해 수익성을 중시하는 기금운용이나 투자자산 선택 등에서 유사한 점이 있으나 소유권이 민간이 아닌 국가에 있다는 데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국부펀드의 재원조달은 국가가 보유한 국내자산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현존하는 대부분의 국부펀드는 외화자산에 의존하여 재원을 조달한다 국부펀

드는 재원에 따라 상품펀드(commodity fund)와 非상품펀드(non-commoditiy fund)로 구분한다 상품펀드의 재원은 정부소유 국가기관의 원자재수출대금 또는 민간기업의 원자재수출소득에 대한 세금 등 정부의 외화수입으로 구성되며 非상품펀드는 국제수지 흑자 등으로 축적된 외환보유액이나 공적연금기금 재정잉여자금

등에서 조달한 자금을 재원으로 활용한다

9) 국부펀드의 수익성 위주 자산운용에 따른 대체효과는 국부펀드 자금이 안전자산rarr 위험자산 선진국시장 rarr 신흥금융시장 미 달러화 자산 rarr 非달러화 자산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3

그럼에도 국부펀드의 등장이 미 달러화의 위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

는 이유는 국부펀드의 성장잠재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IMF는 각국 경상수지

추세를 바탕으로 2012년에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10조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

다10) Deutsch Bank는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2012년과 2017년에 각각 5조달러와

10조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11) Morgan Stanley는 2012년에 87조달러

2022년에는 전세계 외화보유액을 2배 이상 상회하는 277조달러로 예상하였다12) 이

러한 성장성과 더불어 국부펀드의 非달러화 자산에 대한 투자확대가 민간자금의 군집

행위(herd behavior)를 촉발하게 되면 국부펀드 등장에 따른 대체효과가 더욱 확대되

어 국제자본의 미 달러화 자산에서 非달러화 자산으로의 이동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미 달러화 가치가 급락하고 국제적 위상이 약화되는 것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맺음말

지난 5~6년간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미 달러화가 약세를 지속해왔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올해 들어서 미 달러화의 위상 약화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이는 올해 발

생한 글로벌 금융불안이 그동안 가장 안전하다고 인식되었던 미국 금융시장에서 촉발

되면서 미 달러화 가치의 급락 가능성이 과거보다 높아졌기 때문으로 본다 미국의 대

규모 경상수지 적자를 지탱해 왔던 달러화 리사이클링 구조가 미 달러화에 대한 신뢰

도가 약화되면서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이에 더해 중국투

자공사의 출범 등 수익성을 강조하는 국부펀드가 가세하면서 미 달러화 자산에 대한

수요가 크게 줄어들 수 있다는 염려도 있다

이처럼 미 달러화 가치의 급락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국내 금융기관 및 기업들

은 위험관리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부의 해외투자 활성화 조치로 해외로

유출되는 투자자금이 늘어나고 있는데 미 달러화가 급락하게 되면 글로벌 금융시장

10) Simon JohnsonldquoThe Rise of Sovereign Wealth Fundsrdquo Finance and Development Vol44 No3 IMF

September 2007

11) Deutsch BankldquoSovereign Wealth Funds-State Investments on the Riserdquo September 10 2007

12) 신원섭박용진「세계 국부펀드의 확대 배경과 향후 전망」『해외경제정보』 제2007-70호 한국은행 2007년 10월 2일

28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이 크게 요동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정책당국도 미 달러화 급락 및

그에 따른 위상 추락에 대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 기업들의 결제통화 다변화뿐만 아니

라 외환보유액의 통화다변화 및 아시아 통화통합 논의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등은 정

책당국이 취할 수 있는 위험관리방안이라고 본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5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7호(2007123)

최근 자본수지 동향과 정책과제

李 圭 馥

〈요 약〉

최근 자본수지 동향을 살펴보면 해외투자 활성화로 자본유출이 증가하 음

에도 불구하고 단기외채가 증하며 흑자를 지속해 왔다 한편 외 요인인

미국 서 라임 사태로 인한 신용경색 우려가 가시화될 때마다 안 자산 선

호경향이 나타나며 자본수지는 단기 으로 자를 기록하기도 하 다 이러

한 신용경색 우려에 따른 단기 인 자본유출은 환율의 변동성을 높일 것으로

보이나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큰 충격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오히려

환율 상승은 경상수지 개선에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단기자 유

입에 응하여 실시되었던 장기 해외투자 활성화는 자본유출입 시기상 엇

갈리는 면이 있다는 해외투자의 불확실성은 높아진 반면 국가간 경쟁은

매우 심화된 상태라는 등을 고려할 때 향후 해외투자는 완 의 조 이 필

요할 것으로 보이며 투자결정도 좀 더 신 할 필요가 있다 한 기투자된 부

동산 해외펀드 등에 해서도 리스크 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외환위기 이후 계속적인 경상수지 및 자본수지의 동시 흑자로 인해 외환의 초과공

급 상태가 지속되어 원달러 환율을 크게 하락시켰고 이는 상품수지 흑자폭의 감소

서비스수지 적자폭의 확대 등으로 이어져 경상수지 흑자축소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외환시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해외투자 활성화 방안1) 등으로 외화유

출을 유도하여 환율하락세를 둔화 또는 상승세로 전환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1) 예를 들어 2007년 1월 정부는 외환의 초과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차원에서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해외 간접투자 및 해외 부동산투자 활성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28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단기외채를 중심으로 큰 폭의 자본유입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전반적인 자본수지는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최근 정부 및 한국은행은 여러 가지 단기외

채 억제방안들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단기외채 규모가 커짐에 따라 글로벌 투자자들이 우리나라 경제에 대하여 불안정한

상황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신용경색에 대한 우려 등으로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최근 우리나라 자본수지의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는 한편 정부의

해외투자정책방향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고자 한다

해외투자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단기외채 증에 의한 자본수지 흑자

자본수지는 2006년에 이어 2007년에도 단기차입 증가에 따라 흑자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해외투자 활성화 등으로 인하여 해외직접투자와 해외포트폴리오투자가

크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단기외채 증가를 주원인으로 기타투자수지가 크게 증가

하며 자본수지 흑자가 유지2)되고 있는 상황이다 단기외채의 급증은 원화절상 기대심

리와 외은지점의 적극적인 이윤추구 전략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작년부터 늘어나기 시작한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올해도 정부의 해외투자 활성화 정

책에 힘입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내국인 해외직접투자는

2006년 283억달러(전년대비 659) 2007년(1sim10월) 511억달러(전년동기대비 942)

가 증가하였고 내국인의 해외포트폴리오투자는 2006년 1190억달러(전년대비 1115)

2007년(1sim10월) 2114억달러(전년동기대비 1175)가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2006년부터의 해외부동산 투자요건 완화 올해 해외펀드의 이자소득에 대

한 비과세 등 정부의 해외투자 활성화정책은 매우 유효하였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05년 5억달러에 불과였던 부동산투자는 2006년 15억달러 2007년(9월까지) 23억달

러로 그 규모가 급증하였다3) 또한 해외펀드 설정액도 2006년말 26조원 정도에서

2007년 8월말 58조원으로 크게 늘어났다

2) 2006년 우리나라 자본수지는 1862억달러(기타투자수지는 4768억달러 유입초를 기록)의 유입초를 기록하였으며 2007년 10월까지 자본수지흑자는 652억달러(기타투자수지 3900억달러 유입초)로 집계되었다

3) 신고기준 수출입은행 자료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7

최근 자본수지에 영향을 준 주된 대내적 요인이 해외투자활성화와 단기외채 급증이

었다면 대외적인 요인은 서브프라임 부실사태로 인한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신용경색

을 들 수 있다 신용경색 우려가 가시화될 때마다 안전자산 선호경향이 강화되면서 우

리나라를 비롯한 신흥시장국에서의 자금유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올해 2월 및

8~10월에 우리나라가 자본수지적자를 기록한 것은 주로 이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신용경색으로 인한 단기 인 자 유출은 우려할 수 이 아닐 것

이러한 신용경색으로 인한 단기적인 자금유출 현상은 환율의 변동성을 높일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큰 충격을 가져올 것으로는 예상되지 않는다 우리나

라는 2600억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액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단기외채비율(총외채

대비 단기외채 비중)이나 유동외채비율(유동외채 대비 외환보유액 비중)은 모두 IMF

기준에 따르면 안정수준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4) 현재 외환보유액 수준은 단기외

채를 모두 갚고도 주식 및 채권시장에 들어온 외국인 투자자금의 약 30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단기외채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외은지점 부채는 상당부분 파생상

품의 거래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향후 자금유입과 매치되어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오히려 단기적인 자금유출이 환율의 상승을 가져오는 경우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예

상보다 개선될 가능성도 있다 환율상승은 수출증가율 수출기업의 채산성을 예상보

다 개선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해외소비나 여행 수요를 감축시킬 가능성도 있어 이 경

우 경상수지는 예상보다 나아질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5)

4) 2007년 6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단기외채비율은 530 유동외채비율은 659로 IMF에 따르면 단기외채비율은 60까지가 안정수준이고 유동외채비율은 100까지가 안정수준이다

5) 내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흑자폭이 감소하는 반면 서비스수지 적자폭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어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적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대부분 연구기관들이 예측하고 있다 서비스수지는 북경올림픽 미국 비자면제 등의 환경변화로 인해 적자폭 확대가 예상된다 한편 수출증가율은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2007년보다는 세계경제성장세 둔화와 함께 증가율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수입증가율은 고유가로 인한 원자재 수입금액 증가 내수경기 확대에 의한 소비재와 자본재에 대한 수요 증가 등으로 수출증가율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88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향후 해외투자 정책은 완 을 조 하고 신 을 기할 필요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외화유출에 따른 환율안정 효과 외에도 시장확대에 따른 투자

위험 분산효과 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등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의 국제금융

시장의 불안이 단기간에 끝나기보다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고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한 미국 및 세계성장세의 둔화정도가 아직 불확실한 상

황이므로 단기적으로는 향후 해외투자전략에 대하여 좀 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즉 단기적인 자본수지 흑자규모 축소를 위해서는 단기외채 억제에 집중할 필요가 있

으며 중장기 해외투자는 외화유출보다는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관점에서 완급을 조절

할 필요가 있다 비록 외환보유액이라는 완충장치가 있긴 하나 단기로 유입되는 자금

들을 가지고 장기로 유출되는 자금을 상쇄하는 데에는 시기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

으며 이는 향후 환율의 변동성을 확대시킬 가능성이 높다

특히 국제금융시장의 높은 불확실성 외에 이제 우리나라가 진출하려는 금융 등 전

략적인 산업 및 기업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중국 등 신흥시장국들도 막대한 보유외화

자산을 이용하여 활발히 진출하고 있어 자칫 고평가된 부분에 투자할 위험이 매우 높

은 상황이다 최근에는 국가간 해외직접투자 경쟁이 심화되면서 리스크가 높은 국가

나 산업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투자기업들은 합

리적인 수익성 평가 후 감내할 만한 수준의 리스크 범위 내에서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해외직접투자의 경우에는 국내투자와의 보완관계 등 긍정적인 면까지 고려하

여 전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부동산 해외펀드 등 기투자부분에 한 리스크 리 강화가 필요

한편 국제금융 및 실물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된 상태이기 때문에 최근 활성화 정

책의 영향으로 이제 막 해외에 투자한 기업이나 개인들은 투자여건의 변화를 고려하

여 기투자분에 대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2007년 들어 투자목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89

적 해외부동산취득 한도를 늘리면서 개인 및 중소기업 중심(2007년 상반기 중 주체별

부동산업 투자비중은 중소기업 736 개인 115 대기업 149였음)으로 부동산업

진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진출 국가들의 부동산경기 변화에 대한 리스크 관

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해외펀드 투자가 크게 증가하였는데 아직도 국내

자산운용사들의 해외투자펀드는 특정국가 특정시장 등에 대한 쏠림현상이 높은 편이

다 따라서 투자지역이나 투자대상물 등의 다양화를 통해 투자자들의 위험을 적절히

분산시키는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90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제16권 48호(20071210)

글로벌 국부펀드 운용에 대한 고찰

朴 海 植

〈요 약〉

최근 원자재 수출국 아시아 신흥시장국을 심으로 국부펀드의 설립이

늘어나고 투자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에 한 국제 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부펀드는 높은 성장잠재력을 바탕으로 험자산에 한 수요를 진하여

미 달러화를 비롯한 안 자산 주의 국제자본의 흐름에 지 않은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로벌 융시장이 불안해지고 융

보호주의가 확산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반면에 국부펀드는 미 서

라임 사태로 발된 로벌 신용경색 완화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실제로 다

수의 로벌 융기 들은 국부펀드의 자 을 활용해 악화된 재무건 성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재 로벌 신용경색으

로 해외자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융기 기업들은 국부펀드

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고 정부도 이에 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단된다

최근 원자재 수출국 및 아시아 신흥시장국을 중심으로 국부펀드의 설립이 늘어나고

투자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올해 9월 중국이

2000억달러의 투자자금을 외환보유액으로부터 조달하는 중국투자공사(China Invest

-ment Corporation CIC)를 출범시킨 것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40개 이상의 국부

펀드가 활동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11월에는 UAE의 ADIA(Abu Dhabi Investment

Authority)가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Citigroup의 자본확충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91

을 위해 75억달러를 투자하면서 국부펀드가 글로벌 신용경색을 완화할 수 있는 자금

공급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고에서는 각국의 국부펀드 설립배경 및 현황을 살펴보

고 국부펀드 확대에 따른 예상효과 및 운용상의 주요 쟁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국부펀드의 정의 설립목

국부펀드는 국가가 보유한 공적기금을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투자하여 운용하는 투

자주체로서 국가투자기금을 의미한다 국부펀드는 헤지펀드 PEF 연기금 등과 비교

해 수익성을 중시하는 운용목적이나 투자자산 선택 등에서 유사한 점이 있지만 소유

권이 민간이 아닌 국가에 있다는 데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국부펀드의 재원조달

은 국가가 보유한 국내자산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대부분의 국부펀드는 외

화자산에 의존하여 재원을 조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부펀드는 펀드의 재원에 따라 상품펀드(commodity fund)와 비상품

펀드(non-commoditiy fund)로 분류한다 상품펀드의 재원은 국가기관의 원자재 수

출대금 또는 민간기업의 원자재 수출소득에 대한 세금 등 정부의 외화수입으로 구성

된다 반면에 비상품펀드는 국제수지 흑자 등으로 축적된 외환보유액이나 공적연금기

금 재정잉여자금 등에서 조달한 자금을 재원으로 한다

상품펀드는 다시 설립목적에 따라 안정화기금과 저축기금으로 구분하는데 안정화

기금은 정부재정의 안정적 운용을 목적으로 하는 기금으로 원자재가격의 높은 변동성

에 따른 위험을 보전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즉 원자재가격이 높은 시기에 발생하는

정부의 재정흑자를 안정화기금으로 축적하고 원자재가격이 낮은 시기에는 축적된 자

금을 이용하여 정부의 재정적자를 보전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안정화기금의 자산

운용은 수익성보다는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단기투자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저축기금은 자원의 유한성에 따른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설립된 기금으로 기

금축적을 통해 미래세대의 소득을 보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자재수출을 통해

얻은 소득은 단기적으로 안정화기금을 통해 정부의 안정적 재정운용에 도움이 되나

장기적으로는 그 국가의 자원고갈 위험이 증대되는 것이므로 미래소득의 원천을 위협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원고갈에 따른 미래세대의 소득손실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별

292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도의 기금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1) 저축기금의 자산운용은 설립목적에 따라 안정화기

금과는 달리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단기투자보다는 수익성 위주의 장기투자를 중시

한다

저축기금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상품펀드를 운용하는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정치

적인 이유 등으로 안정화기금의 비중이 저축기금의 비중을 절대적으로 압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기금과 저축기금을 동시에 운용하는 신흥시장국에서는 원자재 수출

대금의 90가 안정화기금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10만이 저축기금으로 유입되는 것

으로 추정되고 있다2) 그러나 상품펀드를 운용하는 국가들 사이에서 저축기금의 필요

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 향후 저축기금의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비상품펀드의 설립은 아시아 신흥시장국을 중심으로 적극 추진되고 있는데 국

제수지 흑자 지속을 배경으로 한 외환보유액의 급증이 주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1996

년말에 2550억달러를 기록하였던 아시아지역의 외환보유액은 2006년말 현재 23조

달러로 1996년말 대비 10배 가량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외환보유액 규모가 외채지

급과 급격한 외화유출에 대비하고도 남을 만큼 과도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실제

로 Greenspan-Guidotti Rule에 따르면 아시아지역을 포함한 신흥시장국의 외환보유

액 중 잉여준비자산은 2000년 3000억달러에서 2006년에는 약 2조달러로 확대되었

다3)4)

이처럼 잉여준비자산이 확대되면서 외환보유액 관리비용이 증대됨에 따라 안전

성유동성을 강조하는 전통적 운용전략에서 벗어나 수익성 위주로 운용하려는 움직

임이 확산되고 있다5) 외환보유액은 외화자산 투자수익률이 국내자산 투자수익률을

1) 특히 원유수출국의 경우 기술발전과 환경오염 우려에 따른 대체에너지 개발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별도기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2) Johnson-Calari J Managing Commodity Revenues and Windfall Profits Investment Income Funds

in J Johnson-Calari and M Rietveld eds Sovereign Wealth Management Central Banking Publications 2007

3) Greenspan-Guidotti Rule에서는 잔존만기 1년 이하의 외채를 초과하는 외환보유액을 잉여준비자산으로 정

의한다

4) Summers L H Opportunities in an Era of Large and Growing Official Wealth in J Johnson-Calari and M Rietveld eds Sovereign Wealth Management Central Banking Publications 2007

5) 일본에서도 외환보유액을 이용한 비상품펀드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인데 Morgan Stanley는 향후 2~3년 내에

비상품펀드가 설립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본의 외환보유액은 9110억달러인데 Greenspan-Guidotti Rule을 적용할 때 잉여준비자산은 7000억달러에 상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Morgan Stanley Why Japan Should Have Its Own Sovereign Wealth Fund July 5 2007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93

하회할 때 기회비용이 발생하는데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외환보유액 운용은 수익률

이 저조하여 기회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외환보유액 규모가 크면 클수록 중앙은행의

시장위험(환위험과 금리위험)에 대한 노출이 확대되어 중앙은행의 재무건전성이 악화

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외환보유액이 완벽하게 불태화(sterilize)되지 않을 경우 물가

및 환율안정 등의 중앙은행의 통화정책목표 달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완벽한 불태화

하에서도 불태화 채권 발행 등의 비용이 발생한다

외환보유액을 재원으로 하는 신흥시장국의 비상품펀드 설립 움직임에는 현재의 국

제수지 흑자기조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인식이 저변에 깔려있는 것으로 판단된

다 일반적으로 신흥시장국은 자본희소(capital scarce)국가이기 때문에 만성적 경상

수지 적자국이며 선진국은 만성적 경상수지 흑자국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신흥시장국

의 경상수지는 1999년 이전까지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였으나 1999년부터 흑자로

반전되어 현재까지도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신흥시장국 정책당국자들은 이러한

경상수지 흑자기조를 국면전환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국부펀드의 성장 망과 향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추정기관에 따라 상이한데 이들을 종합해 보면 2007년 상

반기 현재 최저 15조달러에서 최고 34조달러로 추정된다6) 이는 대체적으로 PEF

(2조달러)나 헤지펀드(14조달러)보다 큰 규모이다 그러나 PEF와 헤지펀드를 제외한

다른 기관투자자들의 자산규모와 비교할 때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아직 미미한 수준

이다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는 전 세계 은행자산(635조달러)의 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투자펀드(210조달러) 연기금(179조달러) 보험사 자산(160조달러)의 15~20

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국부펀드의 자산운용은 개별 펀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한다 노르웨이의 GPFG

(Government Pension Fund-Global)와 같이 연기금 형태의 자산운용전략을 채택하

6) Deutsch Bank는 2007년 상반기 현재 국부펀드가 실제 운용 중인 자산규모는 31조달러 정도이며 향후 설립

예정 중인 국부펀드를 포함하면 34조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IMF와 Morgan Stanley는 현재 운용 또는 설립 예정 중인 국부펀드의 자산규모를 각각 최대 29조달러와 25조달러로 추정하였으며 미 재무부는 15조~25조달러로 추정하였다

294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고 있는 국부펀드가 존재하는 반면에 PEF와 같이 특정 외국기업에 대한 지분을 인수

하여 경영권에 참여하는 국부펀드도 있다7) 국부펀드의 투자대상도 펀드에 따라 다르

기는 하나 대부분의 경우 외환보유액보다 자유로워 국채 회사채 주식 부동산 파생

금융상품 해외직접투자 등 매우 다양하다 이처럼 투자대상범위나 통화에 대한 제약

이 별로 없다는 면에서 국부펀드는 헤지펀드와 비슷하나 장기투자도 실행한다는 점에

서 헤지펀드와 차별된다

한편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아직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

의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은 성장잠재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본다 IMF

Deutsch Bank Morgan Stanley 등은 국부펀드의 자산규모가 2012년에 5조~87조

달러 2017년에 10조~175조달러 2022년에 277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

다 이처럼 높은 성장세를 바탕으로 국부펀드가 수익성 위주로 자산운용을 본격화할

경우 국제자본의 흐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수익성 위주의 자산

운용은 국부펀드 자금이 안전자산 rarr 위험자산 선진국시장 rarr 신흥금융시장 미 달러

화 자산 rarr 非달러화 자산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체효과는 국부펀드의 이

동이 민간자금의 군집행위를 동반할 경우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

려가 있다 국부펀드가 장기투자의 형태를 취하기도 하지만 국가가 소유한 펀드라는

점에서 정치적인 입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장기투자 비중을 크게 확대하기가 현실

적으로 어렵다는 주장이 있다 또한 국부펀드는 자신이 직접 자금을 운용하거나 외부

기관에 위탁하여 운용하는데 수익성을 강조하는 성격상 외부 위탁운용기관이 단기성

투기자금 형태의 헤지펀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국부펀드의 자금운용이 단기투자

에 집중될 경우 글로벌 금융시장의 안정성은 위협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본다

국부펀드의 자금이동과 관련된 루머가 시장참여자들의 심리를 자극하여 글로벌 금

융시장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존재한다 대부분의 국부펀드는

7) 2006년에 싱가포르 정부의 투자회사인 Temasek은 태국 통신기업인 Shin Corp의 지분을 인수한 바 있는데 이를 두고 태국에서는 국내 기간산업에 대한 외국자본의 침투 우려가 제기되었다 2007년 5월 중국정부는 외환보유액의 일부를 이용하여 뉴욕 소재 PEF인 Blackstone 지분의 일부(30억달러 상당)를 인수하였다 같은 해

6월에는 중국의 국유상업은행 중 하나인 중국개발은행(China Development Bank)이 싱가포르의 Temasek과 함께 Barclays의 지분을 인수하였으며 Barclays의 ABN Amro 인수 시 190억달러의 추가지분을 매입하기로 합의하였다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95

자산운용 및 투자정책과 관련된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으며 각국 금융당국의 직접

적인 규제를 받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규제도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

다 이처럼 투명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장참여자들은 국부펀드의 움직임에 대한 작

은 루머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

다8)

국부펀드로 인해 글로벌 금융시장에 보호주의의 물결이 거세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는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데 국부펀드가 상업적 목적이 아니

라 전략적 차원에서 특정 국가의 기간산업에 대한 경영권 확보 기업인수 등에 참여할

경우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논리에 근거한다 주요 선진국들은 외국인직접

투자(FDI)의 유입을 허용하고 있으나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FDI에 대해서는 규제를 하고 있다 국부펀드 소유주의 70~80가 시장개방의 정도가

낮은 개도국인 점을 고려할 때 국부펀드가 비경제적인 이유로 투자를 확대할 경우 선

진국들이 상호주의(reciprocity)에 입각하여 보호주의를 강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9)

국부펀드 운용과 련된 주요쟁

국부펀드 운용과 관련하여 주요쟁점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국

가자산을 손실위험이 높은 수익성 위주로 운용하는 것이 과연 옳은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국부펀드의 투자손실이 국부손실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부펀드가

수익성이 높은 고위험 자산에 투자를 집중하기에는 정치적인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외환보유액을 재원으로 하는 비상품펀드의 경우 불태화 과정에서 외환보유액의 대부

분을 부채발행을 통해 보전(debt-finance)하기 때문에 투자손실이 발생하면 국가재

정이 악화되고 국민의 세금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상품펀드의 경우도 투자수익은 자

8) 국부펀드는 투명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매우 다양한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자들의 부정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9) 국부펀드는 막대한 자금력을 통한 국제금융시장 교란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

어 원자재가격이 하락할 경우 원자재 수출국들은 국부펀드를 이용하여 가격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국부펀드는 미디어 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public opinion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첨단기술 기간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하여 선진 노하우를 쉽게 얻어갈 수도 있다

296 2007년 KIF 금융논단 모음집

원고갈에 따른 기회비용이기 때문에 투자손실이 발생하면 기회비용이 늘어나 국가 전

체 차원에서 비효율성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국부펀드가 장기투자 형태로 운용될 경우 수익성 위주 투자전략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1946~2004년 기간에 미국

을 대상으로 수익성 위주의 투자와 안전성 위주의 투자에 대한 손실확률을 추정한 연

구에 의하면 투자기간이 장기화될수록 수익성 위주 투자의 손실확률이 안전성 위주

투자의 손실확률을 하회한다 예를 들어 투자기간 10년을 기준으로 할 때 채권형(채권

100) 투자의 손실확률은 37로 추정되나 주식형(주식 100) 투자와 혼합형(주식

60 채권 40) 투자의 손실확률은 각각 이보다 낮은 133와 125로 추정된다10)

다음으로 국부펀드를 수익성 위주로 운용할 때 중앙은행이 직접 할 것인지 아니면

별도의 독립기구를 설립하여 위탁운용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도 주요쟁점 중 하나이다

그런데 이와 관련해서는 독립기구를 통해 위탁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우

세하다 이의 배경으로는 중앙은행이 국부펀드를 직접 운용하게 되면 대리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중앙은행이 수익성 위주로 자산을 직접 운용

하면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서는 국민의 이해를 얻기가 어렵고 중앙은행의 신뢰도에

도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공격적인 자산운용을 기피하고 전통적인 자산운용에 집

착하려는 경향이 커질 것이라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운용이 불투명하게 이루어져 왔다는 점도 국부펀

드의 운용을 독립적인 기구에 전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이유로 제시된다 또한 중

앙은행은 안전성유동성 위주의 전통적 자산운용에 익숙한 반면 중앙은행이 수익성

위주의 자산운용경험이 풍부한 금융전문인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중앙은행

의 직접적인 운용을 제약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 문제는 우수한 금융전문인력의 신

규채용을 통해 해결 가능하나 중앙은행이 글로벌 금융기관에 버금가는 경쟁력 있는

보수유인체계를 갖출 수 있을지가 의문시된다

마지막으로 국부펀드의 투명성과 관련된 이슈도 주요쟁점 사항으로 남아있다 특히

10) 또한 손실확률기간 중에 발생하는 투자손실률도 혼합형 투자가 가장 낮고 채권형 투자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투자기간 10년을 기준으로 할 때 혼합형 주식형 채권형 투자의 손실률은 각각 -23 -24

-77로 추정된다 Summers L H Opportunities in an Era of Large and Growing Official Wealth in J Johnson-Calari and M Rietveld eds Sovereign Wealth Management Central Banking Publications 2007

제Ⅴ장 외환 및 국제금융 297

이와 관련된 논의는 중국투자공사의 출범 이후 국제적으로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국제적인 행동규범이 나오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또한

펀드의 투명성은 비단 국부펀드뿐만 아니라 헤지펀드 사모펀드 연기금 등에 모두 걸

려있는 문제로 국부펀드에만 해당하는 어떤 장치를 마련하기는 힘들 것으로 여겨진다

맺음말

이상에서는 국부펀드의 현황 설립배경 잠재위험 운용상의 주요쟁점 등을 정리하

였다 그런데 기존의 문헌에서는 국부펀드의 부정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없

지 않다 앞서 언급한 내용 중 수익성 위주의 자산운용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

안정성 가능성 투명성 부족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금융보호주의 확산 우려 등이 바로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부펀드는 글로벌 신용경색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안이 될 수 있는

순기능도 있으며 실제로 Citigroup 이외에 다수의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국부펀드의

자금을 활용하여 미 서브프라임 MBS 및 CDO 투자에서 입은 손실을 만회하려는 움직

임을 보이고 있다11) 우리나라에서도 글로벌 신용경색의 여파로 국내 금융기관 및 기

업들의 해외자금조달이 어려워지자 금리가 폭등하는 등 금융시장이 크게 동요하고 있

다 따라서 국내 금융기관 및 기업들은 외화자금난 해소를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국

부펀드 자금의 활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도 국내 금융시장의 안정회복을 위

해 이러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11) 일부에서는 미 서브프라임 사태에 따른 글로벌 금융기관들의 자본잠식규모가 2000억달러를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하면서 이로 인해 금융기관들의 여신창출능력이 2조달러 이상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자료판매 코너

총판 정부간행물 판매센타(02-394-0337)

지 역 서 명 화 번 호 치

서 울

본사 직 서 (02) 734 - 6818한국언론재단빌딩

wwwgpcbookscokr

교보문고(본 ) (02) 397 - 3628화문사거리

wwwkyobobookcokr

풍문고(본 ) (02) 399 - 5632종각

wwwypbookscokr

(강남 ) (02) 6282 - 1353 강남고속버스터미

리 로 을 지 (02) 757 - 8991을지로 입구

wwwlibrocokr

서 울 문 고

(반디 앤 루디스)(02) 6002 - 6071 삼성역(무역센터내)

부 산

도 서 (051) 816 - 9500 서면로타리

동 보 서 (051) 803 - 8000 태화백화

주 삼 복 서 (062) 222 - 0258 도청

인터넷서

yes 24 wwwyes24com

알라딘 wwwaladdincokr

코 외에 교보문고 풍문고는 각 지방 분 에서도 매 입니다

손상호(손상호)

약력

) 한국 융연구원

주요논

-

-

-

-

2007년도 KIF 융논단 모음집

2008년 3월 7일 인 쇄

2008년 3월 13일 발 행

발 행 인 이 동 걸

발 행 처 한 국 융 연 구 원 서울시 구 명동 1가 4-1 은행회 5678층

화 3705-6300 FAX 3705-6309

httpwwwkifrekr wmasterkifrekr

등록 제1-1838(1995 1 28)

ISBN 89-503-0375-2 93320 값151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