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12
목표주가 - 현재주가(01/29) 19,650원 Up/Downside - Investment Fundamentals (IFRS개별) (단위: 십억원, 원, 배, %) FYE Dec 2014 2015 2016 2017 2018 매출액 NA NA 10 20 31 (증가율) NA NA NA 100.0 55.0 영업이익 NA NA 1 3 2 (증가율) NA NA NA 200.0 -33.3 순이익 NA NA 1 3 1 EPS NA NA 313 678 315 PER (H/L) NA / NA NA / NA NA/NA NA/NA 130.0/60.7 PBR (H/L) NA / NA NA / NA NA/NA NA/NA 7.8/3.7 EV/EBITDA (H/L) NA / NA NA / NA NA/NA NA/NA 84.9/44.6 영업이익률 NA NA 12.9 16.2 6.2 ROE NA NA 32.5 60.0 8.2 Stock Data 52주 최저/최고 14,350/37,100원 KOSDAQ /KOSPI 688/2,267pt 시가총액 1,005억원 60日-평균거래량 145,048 외국인지분율 0.9% 60日-외국인지분율변동추이 +0.8%p 주요주주 에스에너지 외 2 인 52.0% 주가상승률 1M 3M 12M 절대기준 0.3 -9.6 -52.1 상대기준 -5.3 -13.8 -51.7 에스퓨얼셀 NR 288620 기업분석 | 2020. 01. 30 실적과 성장 [email protected] 02 369 3369 Analyst 유현재 개요 에스퓨얼셀은 GS칼텍스 연료전지 사업 부문이 분사하여 설립된 연료전지 전문 기업이다. 연료전지는 연료 중 수소와 공기 중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청정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저탄소 고효율의 분산발전원이다. 3Q19 매출비중은 건물용 연료전지 87%, 발전용 연료전지 11%, A/S 및 연구용역 2%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용 연료전지는 생산 장비 및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발전용 연료전지는 후지전기의 제품을 유통하고 있다. 투자포인트 정부는 19년 1월 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건물/가정용 연료전지 누적 설치량을 18년 7MW에서 23년 50MW로 확대할 계획이라 발표했다. 19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사업 중 건물용 연료전지 예산은 50억원이지만, 미소진된 예산(약 250억원)이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으로 이관되며, 예산 규모는 대폭 상향된 것으로 파악된다. 20년에는 연료전지 누적 설치량 달성을 위한 보조금 예산이 본격 반영될 전망이다. 23년까지 36MW(약 5,300억원) 시장이 활성화 될 것으로 추정되며,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에스퓨얼셀의 수혜가 기대된다. 의견 20년 실적은 보조금 확대 및 의무설치 비율 상승으로 매출액 697억원(+83.4% YoY), 영업이익 75억원 (+232.3% YoY)를 전망한다. 공공 및 민간 건물의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비율이 지속 상향되고 있으며, 보조금 시장의 예산도 대폭 상향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년 규모의 경제 달성으로 영업이익률은 두 자릿수를 회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0 200 0 50 19/01 19/05 19/08 19/11 에스퓨얼셀(좌) 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Transcript of 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Page 1: 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19/11 (좌) 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2 에스퓨얼셀 DB Financial Investment

목표주가 - 현재주가(01/29) 19,650원 Up/Downside -

Investment Fundamentals (IFRS개별) (단위: 십억원, 원, 배, %)

FYE Dec 2014 2015 2016 2017 2018

매출액 NA NA 10 20 31

(증가율) NA NA NA 100.0 55.0

영업이익 NA NA 1 3 2

(증가율) NA NA NA 200.0 -33.3

순이익 NA NA 1 3 1

EPS NA NA 313 678 315

PER (H/L) NA / NA NA / NA NA/NA NA/NA 130.0/60.7

PBR (H/L) NA / NA NA / NA NA/NA NA/NA 7.8/3.7

EV/EBITDA (H/L) NA / NA NA / NA NA/NA NA/NA 84.9/44.6

영업이익률 NA NA 12.9 16.2 6.2

ROE NA NA 32.5 60.0 8.2

Stock Data 52주 최저/최고 14,350/37,100원

KOSDAQ /KOSPI 688/2,267pt

시가총액 1,005억원

60日-평균거래량 145,048

외국인지분율 0.9%

60日-외국인지분율변동추이 +0.8%p

주요주주 에스에너지 외 2 인 52.0%

주가상승률 1M 3M 12M

절대기준 0.3 -9.6 -52.1

상대기준 -5.3 -13.8 -51.7

에스퓨얼셀 NR 288620 기업분석 |

2020. 01. 30 실적과 성장

[email protected] 02 369 3369 Analyst 유현재

개요

에스퓨얼셀은 GS칼텍스 연료전지 사업 부문이 분사하여 설립된 연료전지 전문 기업이다. 연료전지는

연료 중 수소와 공기 중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청정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저탄소 고효율의

분산발전원이다. 3Q19 매출비중은 건물용 연료전지 87%, 발전용 연료전지 11%, A/S 및 연구용역

2%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용 연료전지는 생산 장비 및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발전용 연료전지는

후지전기의 제품을 유통하고 있다.

투자포인트

정부는 19년 1월 수소경제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건물/가정용 연료전지 누적 설치량을 18년 7MW에서

23년 50MW로 확대할 계획이라 발표했다. 19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사업 중 건물용 연료전지 예산은

50억원이지만, 미소진된 예산(약 250억원)이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으로 이관되며, 예산 규모는 대폭

상향된 것으로 파악된다. 20년에는 연료전지 누적 설치량 달성을 위한 보조금 예산이 본격 반영될

전망이다. 23년까지 36MW(약 5,300억원) 시장이 활성화 될 것으로 추정되며,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에스퓨얼셀의 수혜가 기대된다.

의견

20년 실적은 보조금 확대 및 의무설치 비율 상승으로 매출액 697억원(+83.4% YoY), 영업이익 75억원

(+232.3% YoY)를 전망한다. 공공 및 민간 건물의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비율이 지속 상향되고 있으며,

보조금 시장의 예산도 대폭 상향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년 규모의 경제 달성으로 영업이익률은

두 자릿수를 회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0

200

0

50

19/01 19/05 19/08 19/11

에스퓨얼셀(좌)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Page 2: 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19/11 (좌) 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2 에스퓨얼셀 DB Financial Investment

에스퓨얼셀 2

DB Financial Investment

도표 1. 매출액과 영업이익률 추이 도표 2. 주요 주주 현황 (3Q19 기준)

100

203

315

380

697

12.9

16.2 6.2 5.9

10.8

0

5

10

15

2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2016 2017 2018 2019F 2020F

(%)(억원)매출액(좌) 영업이익률(우)

에스에너지

37.6%

홍성민

12.6%

전희권

1.9%

자기주식

4.2%

기타

43.8%

자료: 에스퓨얼셀, DB금융투자

자료: 에스퓨얼셀, DB금융투자 주: 홍성민(최대주주의 최대주주), 전희권(대표이사)

도표 3. 주요 연혁 도표 4. 매출 비중

일자 내용

2000.11 국내 최초 연료전지 전문회사 설립(CETI)

2003.09 국내 최초 1kW급 건물용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2005.07 회사명 변경(CETI→GS퓨얼셀)

2009.09 국내 최초 서울 소재 아파트에 연료전지 설치/운전

2010.01 1kW급 건물용 연료전지 보급형 모델 출시

2014.03 에스퓨얼셀 주식회사 설립, GS칼텍스 기술라이센스계약 체결

2016.02 국내 최초 연료전지 KS인증 획득

2016.10 후지전기코리아와 발전용 연료전지 발전사업 MoU 체결

2017.02 400kW급 발전용 연료전지 공급 계약 체결(26억원)

2018.03 2,000kW급 발전용 연료전지 공급 계약 체결(150억원)

2018.10 코스닥 시장 상장

2019.08 중국 JV 법인(대련화성신수소에너지과기유한공사) 설립

0%

25%

50%

75%

100%

2018 3Q19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용 연료전지 A/S, 연구용역(%)

2 2

42

11

56 87

자료: 에스퓨얼셀, DB금융투자 자료: 에스퓨얼셀, DB금융투자

도표 5. 에스퓨얼셀의 5~10kW급 연료전지 시스템 도표 6. 연료전지 보조금 시장 예산 추이

0

50

100

150

200

250

300

2014 2015 2016 2017 2018 19(1차) 19(2차)

(억원)주택지원 건물지원

자료: 에스퓨얼셀, DB금융투자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에스퓨얼셀, DB금융투자 주: 19년 2차 예산은 연료전지 주택지원 및 기타 에너지원 미소진 예산이 건물용으로 이관

Page 3: 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19/11 (좌) 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2 에스퓨얼셀 DB Financial Investment

3 실적과 성장

DB Financial Investment

실적과 의견

신재생에너지 보급 사업 예산 중 주택용 연료전지 등 미소진된 예산이 건물용 연료전지 사업으로 이

관되면서, 4Q19 매출액은 전년 대비 70% 증가한 142억원, 영업이익은 13억원(흑자전환 YoY)이 예상

된다. 19년 실적은 매출액 380억원 (+20.7% YoY), 영업이익 23억원(+16.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

다. 일회성 비용을 제외한 19년 영업이익은 3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분석된다. 3Q19 누적 기준 지급

수수료 19억원(+118% YoY) 중 14~19년의 브랜드사용료 9억원이 소급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20년

이후에는 매출액 대비 0.5%를 브랜드사용료로 지급할 예정이므로, 추가적인 비용 부담은 제한적일 전

망이다. 20년 실적은 보조금 확대 및 의무설치 비율 상승으로 매출액 697억원(+83.4% YoY), 영업이익

75억원(+232.3% YoY)를 전망한다.

대련화성과일신에너지유한공사와 설립한 중국JV(대련화성신수소에너지과기유한공사)는 실적 추정에

반영하지 않은 잠재적 매출처이다. 19년 6월 설립한 JV는 11월 에스퓨얼셀과 연료전지 제조기술이전

협약식을 체결하였다. JV는 중국 에너지 기업과 분산 에너지 기술 개발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진행 중

이다. 향후 중국 현지 생산 공장을 구축, 건축(호텔/병원), 광산구역, 발전 등 영역을 확대해 연료전지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도표 7. 에스퓨얼셀 실적 추정 (단위: 억원)

1Q18 2Q18 3Q18 4Q18 1Q19 2Q19 3Q19 4Q19F 2016 2017 2018 2019F 2020F

매출액 56 94 82 84 57 103 68 152 100 203 315 380 697

건물용 56 76 66 130 100 174 176 328 521

발전용 0 25 0 20 0 26 133 45 170

A/S, 연구용역 1 2 2 2 1 4 6 7 6

매출원가 38 67 69 68 35 76 45 150 60 135 242 261 505

원가율 68.3 71.8 84.2 81.1 61.2 73.6 66.4 69.2 60.1 66.7 76.9 68.7 72.4

매출총이익 18 27 13 16 22 27 23 47 40 68 73 119 192

매출총이익율 31.9 28.2 15.6 18.9 38.8 26.5 33.6 30.8 39.9 33.3 23.1 31.3 27.6

판관비 10 12 12 19 17 25 20 35 27 35 53 97 118

급여 2 2 3 4 4 4 5 4 4 10

지급수수료 2 4 3 4 4 8 7 7 9 13

연구개발비 1 3 3 4 1 8 3 8 6 10

판관비율 18.2 12.9 15.0 22.5 29.6 24.7 28.9 22.7 27.0 17.1 16.9 25.4 16.9

영업이익 8 14 1 -3 5 2 3 12 13 33 19 23 75

영업이익율 13.5 15.3 0.6 -3.5 9.1 1.9 4.7 8.1 12.9 16.2 6.2 5.9 10.7

세전이익 7 14 1 -4 4 -1 2 11 12 32 18 16 68

세전이익율 12.3 15.0 1.0 -4.9 6.5 -0.6 2.8 7.2 12.2 15.9 5.6 4.2 9.8

당기순이익 7 11 0 -3 4 -0 2 9 11 28 15 14 58

당기순이익율 12.3 11.3 0.4 -3.4 6.1 -0.4 2.5 6.1 10.5 13.7 4.7 3.7 8.3

자료: DB금융투자

Page 4: 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19/11 (좌) 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2 에스퓨얼셀 DB Financial Investment

에스퓨얼셀 4

DB Financial Investment

시장 1. 보조금 시장

소규모 생산체제에 따른 높은 원가 부담으로 연료전지 산업은 보조금, 의무설치 등 정책 의존도가 높

은 산업이다. 연료전지 생태계의 자립을 위해서는 시장 확대에 따른 규모의 경제 달성이 수반되어야

한다. 19년 1월 산업통상자원부(산자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22년 발전용, 가정/건물용

연료전지 보급량을 18년 대비 각각 5배, 7배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19년 신재생에너

지 보급 사업 중 건물용 연료전지 예산은 50억원이지만, 미소진된 예산(약 250억원)이 건물용 연료전

지 시장으로 이관되며 예산 규모는 대폭 상향된 것으로 파악된다. 19년 주택 및 건물용 신재생에너지

보급 사업 예산 확대로 건물/가정용 연료전지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본격적으로 예산이 반

영될 20년 연료전지 건물지원 예산은 큰 폭의 증가가 예상된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예산은 2017

년 621억원에서 2019년 1,050억원 규모로 증가하였으며, 같은 기간 주택 및 건물용 연료전지 보조금

은 60억원(비중 9.7%)에서 200억원(비중 19.0%)으로 증가하였다.

14~18년 연료전지 보급량 220MW 중 보조금이 지급된 사업은 1.4MW 수준으로 추정된다. 녹색건축

물 인증 등 의무설치 시장의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시장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19년

5월 연료전지 전용 LNG 요금제를 신설하였으며, 19년 이후 신재생에너지 건물지원 사업으로 인한 설

치 분에는 통합모니터링시스템(REMS)를 연계를 의무화하였다. 수집되는 연료전지 운영 데이터를 활용

하여 개선책을 찾을 계획이다. 하지만 REC지급, 잉여 전력 거래/상계 허용 등 여전히 제도적으로 보

완할 점이 많다. 18년 연료전지 누적 보급 용량은 19년 2월 산자부가 발표한 잠정치 기준 314MW(발

전용 307MW, 가정/건물용 7MW)이며, 19년 8월 한국에너지공단이 발표한 잠정치는 349MW이다. 신

규 보급 용량은 전년 대비 300% 증가한 98MW으로 통계가 집계된 2003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였

다(종전 최대치는 2013년 68MW).

도표 8. 신재생에너지 보급 사업 예산 추이 (단위: 억원)

전체 예산 연료전지 예산 보조금/kW(백만원) 보급량(kW)

주택지원 건물지원 주택지원 건물지원 주택지원 건물지원 주택지원 건물지원

2019 700 350 150 50 18.75 18.64 800 268

2018 688 280 39 29 23.39 22.44 167 129

2017 401 220 40 20 22.75 22.00 178 91

2016 418 220 43 20 21.99 21.81 196 92

2015 468 200 49 25 28.42 27.54 172 91

2014 549 225 62 25 31.57 30.01 196 83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DB금융투자

Page 5: 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19/11 (좌) 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2 에스퓨얼셀 DB Financial Investment

5 실적과 성장

DB Financial Investment

시장 2. 공공/민간 신재생에너지 의무설치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신축, 증/개축하는 연면적 1,000m2 이상의 건축물은 예상

에너지 사용량의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하도록 하였으며, 20년 이후 30%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여야 한다. 또한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하고,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제로에너지건축이 20년 단계적으로 시행된다. 적용 대상은 20% 이상의 에너지 자

립률을 충족해야 하며, 등급에 따라 차등 혜택이 적용된다. 국토교통부는 전체 신축건축물 대비 제로

에너지건축 의무화 대상 건축물은 연면적 기준 20년 5%, 25년 76%, 30년 81% 수준으로 전망한다.

의무 적용 대상은 20년 1,000m2 이상 공공건축물을 시작으로 25년 공공 500m2이상/민간 1,000m2

이상, 30년 공공/민간 500m2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민간건축물은 자발적 제로에너지건축 도입을 유도

하기 위해 용적률/고도 등 건축기준 완화, 취득세 15% 감면 등 인센티브를 적용한다. 비중이 높은 30

세대 이상 공동주택의 경우 25년부터 의무화 대상이다.

지자체는 서울시, 부산시, 세종시가 민간건축물에 신재생에너지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서울시는

1,000세대 이상 주거용 건물, 연면적 10만㎡ 이상의 비주거용 건물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의무설

치비율을 설정하였다. 1,000세대 미만, 연면적 10만m2 이하의 건물들은 규모에 따라 연도별 설치비율

의 -0.5~1.0%pt를 충족해야 한다.

도표 9. 공공건물 공급의무비율 도표 10. 민간건축물 신재생에너지 의무설치비율

11 1215

1821

2427

30

0

5

10

15

20

25

30

35

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

(%)공공건물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비율

9 9

11 1112 12

14

45

67

89

10

0

2

4

6

8

10

12

14

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 서울시 비주거서울시 주거

4

56

78

910

23

23

45

6

0

2

4

6

8

10

12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부산시 비주거부산시 주거

자료: 에스퓨얼셀, 한국에너지공단, DB금융투자

도표 11. 제로에너지건축 의무화 세부로드맵 수정안

자료: 국토교통부, DB금융투자

Page 6: 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19/11 (좌) 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2 에스퓨얼셀 DB Financial Investment

에스퓨얼셀 6

DB Financial Investment

도표 13.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연료전지

발전용

가정 ㆍ건물용

수소가스터빈

2018년 2022년 2040년

307.6MW

7MW

1.5GW(1GW)

50MW

15GW 이상(8GW)

2.1GW 이상

'30까지 기술개발 완료 → '35년경 상용 발전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DB금융투자 주: 발전용 괄호 안 수치는 내수 기준

도표 14. 국내 연료전지 시장 규모 전망

2,126 2,611 3,159 3,823 4,6265,597

6,7728,195

9,91511,998

14,517

17,566

21,254

25,718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억원)

자료: 한국기업데이터, FUJI KEIZAI,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TechNavio, DB금융투자

도표 12. 신재생에너지 발전원별 신규 보급 용량 (단위: MW)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YoY

합계 414 451 663 533 681 1,796 1,922 1,869 1,492 2,092 3,533 169%

태양광 276 167 127 79 295 531 926 1,134 909 1,362 2,367 174%

풍력 105 35 33 52 73 92 61 208 187 114 161 142%

수력 6 13 6 97 28 8 14 3 19 6 4 62%

해양 - 1 - 254 - - - - - - -

바이오 9 4 1 24 268 526 576 90 287 487 865 178%

폐기물 10 216 482 7 14 572 308 48 43 90 38 42%

연료전지 8 15 14 20 3 68 36 6 47 33 98 300%

IGCC - - - - - - - 381 - - -

자료: 한국에너지공단, DB금융투자

Page 7: 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19/11 (좌) 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2 에스퓨얼셀 DB Financial Investment

7 실적과 성장

DB Financial Investment

해외 M&A 사례: Cummins의 Hydrogenics 인수

19년 9월 엔진/발전기 제조기업 Cummins가 캐나다의 연료전지 전문기업 Hydrogenics를 주당 15달

러, 인수금액 2.9억달러(약 3,350억원)에 인수하였다. 인수금액은 19년 매출액 컨센서스 50 USDmn 기

준 PSR 5.8배 수준이다. Hydrogenics의 사업분야는 온사이트 수소생산(수전해)와 연료전지 시스템이며,

18년 매출비중은 각각 54%, 46%이다. Hydrogenics는 미국, 캐나다 등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연료전지

사업을 전개해왔으며, 2,000개 이상의 연료전지 시스템과 500개 이상의 수전해장치를 공급한 레퍼런

스가 있다. 연료전지 타입은 에스퓨얼셀과 동일한 PEMFC이며, 국내에서는 14년 코오롱그룹과 JV를

설립한 바 있다.

Cummins는 미국 버스용 엔진 M/S 95%, 대형 트럭용 엔진 M/S 38%이며, 19년 9월에는 현대차와 상

용차 및 데이터 센터 백업전력에 적용되는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공급하는 MoU를 체결하는 등 연료

전지 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Hydrogenics가 추진하고 있는 중국 수소전기버스용 연료전지 공급

프로젝트(1,000대 이상), 독일 Alstom사의 수소열차용 연료전지 프로젝트 등이 Cummins와의 시너지

가 기대된다. Hydrogenics의 기존 최대주주는 19년 1월 2,050만달러에 18.6%의 지분을 매입한 Air

Liquide이며, 자회사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18.6%의 지분은 인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도표 15. Hydrogenics 재무제표 주요 계정 (단위: USDmn)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2020E

Revenue 21 24 32 42 46 36 29 48 34 50 77

YoY(%) 11.1 13.9 33.0 33.8 7.4 -21.3 -19.2 66.0 -29.6 48.7 52.6

OnSite Generation 16 20 27 24 30 24 18 25 18

Power Systems 7 5 4 4 15 12 11 23 16

CoGS 16 18 26 30 34 30 23 36 25 36 55

Gross Income 5 5 5 12 11 6 6 12 9 14 22

GPM(%) 25.9 23.0 16.6 28.4 24.6 16.6 20.7 24.3 25.7 28.5 28.4

SG&A 14 15 17 19 15 14 14 20 19

R&D Costs 3 3 5 3 3 4 4 6 7

Operating Income -9 -9 -12 -7 -4 -8 -8 -8 -10 -7 3

OPM(%) -42.6 -38.9 -38.6 -16.0 -8.4 -23.2 -29.0 -17.3 -30.6 -13.9 3.5

EBITDA -8 -8 -11 -6 -3 -8 -8 -8 -10 -3 5

Net Income Adjusted -8 - -13 -9 -5 -11 -10 -11 -13 -8 1

NPM(%) -21.0 -9.9 -31.9 -34.0 -23.0 -39.4 -15.3 1.2

Total Assets 31 31 42 40 48 59 49 66 50

Cash & Near Cash Items 8 8 13 12 7 23 10 22 8

Inventories 8 9 12 13 15 14 17 15 17

Total Liabilities 16 20 38 34 32 39 39 42 39

Accounts Payable 2 4 5 3 6 4 4 5 4

Net Debt -8 -8 -13 -12 -7 -22 -8 -20 -8

CFO -10 -4 -1 -9 -15 -6 -13 -6 -10

CFI 0 -1 -0 -1 -3 -2 -2 -1 1

CAPEX -0 -1 -0 -1 -1 -2 -3 -4 -1 -1 -2

CFF 8 5 7 9 13 25 2 18 -5

자료: Bloomberg, DB금융투자

Page 8: 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19/11 (좌) 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2 에스퓨얼셀 DB Financial Investment

에스퓨얼셀 8

DB Financial Investment

도표 16. 글로벌 피어 실적 및 벨류에이션 (단위: 10억원, USDmn)

Company 에스퓨얼셀 BLOOM

ENERGY

BALLARD

POWER

SYSTEMS

HYDROGENI

CS

CERES

POWER

HOLDINGS

SFC

ENERGY

PLUG

POWER

POWERCEL

L

FUELCELL

ENERGY AISIN SEIKI

MKT cap 110 1,018 2,412 N/A 822 166 1,196 972 382 9,924

2018 31 742 97 34 9 73 175 7 89 35,281

Sales 2019E 38 933 97 50 27 66 228 7 60 35,166

2020E 70 936 132 77 34 79 289 13 58 36,235

2018 2 -154 -21 -10 -16 2 -69 -7 -45 2,291

OP 2019E 2 -192 -21 -7 -12 3 -55 48 -46 751

2020E 8 -96 -14 3 -8 7 -37 -7 -35 1,354

2018 2 -110 -16 -10 -15 3 -58 -6 -36 4,217

EBITDA 2019E 3 97 -26 -3 -9 2 -13 49 -27 2,966

2020E 8 79 -13 5 -4 7 13 -5 -16 3,714

2018 2 -242 -27 -13 -13 0 -78 -7 -47 1,214

NP 2019E 2 -37 -32 -8 -9 -3 -88 -7 -83 403

2020E 7 -28 -25 1 -6 1 -68 -7 -59 841

2018 76.6 적자 적자 - 적자 적자 적자 적자 적자 11.8

PER 2019E 68.8 적자 적자 적자 적자 적자 적자 20.1 적자 22.2

2020E 16.2 적자 적자 - 적자 78.7 적자 적자 적자 10.6

2018 4.4 - 2.0 7.0 13.4 4.7 - 14.3 1.1 1.2

PBR 2019E 3.5 - 11.5 - 71.9 3.4 - 15.8 0.6 0.7

2020E 2.9 17.3 12.8 - 74.5 3.5 - 17.7 1.3 0.7

2018 4.5 0.7 4.6 2.3 24.6 1.3 1.6 30.2 0.8 0.4

PSR 2019E 2.9 1.1 25.0 - 30.5 2.5 5.2 141.7 6.3 0.3

2020E 1.6 1.1 18.3 - 24.4 2.1 4.1 75.9 6.6 0.3

2018 8.2 -316.5 -13.6 -75.9 -62.0 0.0 -294.6 -39.1 -75.5 10.6

ROE 2019E 4.6 -316.5 -7.6 - -7.9 -7.1 -294.6 129.3 -39.0 3.2

2020E 16.8 -7.1 -6.9 - -3.8 3.2 34.4 - -22.0 7.0

자료: Bloomberg, DB금융투자

Page 9: 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19/11 (좌) 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2 에스퓨얼셀 DB Financial Investment

9 실적과 성장

DB Financial Investment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12월 결산(십억원) 2014 2015 2016 2017 2018 12월 결산(십억원) 2014 2015 2016 2017 2018 유동자산 NA NA 10 17 55 매출액 NA NA 10 20 31 현금및현금성자산 NA NA 0 1 12 매출원가 NA NA 6 14 24 매출채권및기타채권 NA NA 8 13 20 매출총이익 NA NA 4 7 7 재고자산 NA NA 2 3 6 판관비 NA NA 2 3 4 비유동자산 NA NA 0 1 2 영업이익 NA NA 1 3 2 유형자산 NA NA 0 0 0 EBITDA NA NA 1 3 2 무형자산 NA NA 0 0 0 영업외손익 -

2 468262

-2 468262

0 0 0 투자자산 NA NA 0 0 1 금융손익 NA NA 0 0 0 자산총계 NA NA 11 18 56 투자손익 NA NA 0 0 0 유동부채 NA NA 7 10 26 기타영업외손익 NA NA 0 0 0 매입채무및기타채무 NA NA 5 7 21 세전이익 NA NA 1 3 2 단기차입금및단기사채 NA NA 2 2 3 중단사업이익 NA NA 0 0 0 유동성장기부채 NA NA 0 1 1 당기순이익 NA NA 1 3 1 비유동부채 NA NA 0 1 1 지배주주지분순이익 NA NA 1 3 1 사채및장기차입금 NA NA 0 1 0 비지배주주지분순이익 NA NA 0 0 0 부채총계 NA NA 7 12 26 총포괄이익 NA NA 1 3 1 자본금 NA NA 1 1 3 증감률(%YoY) 자본잉여금 NA NA 0 0 20 매출액 NA NA NA 102.1 55.2 이익잉여금 NA NA 2 5 6 영업이익 NA NA NA 152.5 -40.7 비지배주주지분 NA NA 0 0 0 EPS NA NA NA 116.6 -53.5 자본총계 NA NA 3 6 30 주: K-IFRS 회계기준 개정으로 기존의 기타영업수익/비용 항목은 제외됨 현금흐름표 주요 투자지표 12월 결산(십억원) 2014 2015 2016 2017 2018 12월 결산(원, %, 배) 2014 2015 2016 2017 2018 영업활동현금흐름 NA NA 0 -1 2 주당지표(원) 당기순이익 NA NA 1 3 1 EPS NA NA 313 678 315 현금유출이없는비용및수익 NA NA 0 1 1 BPS NA NA 792 1,470 5,246 유형및무형자산상각비 NA NA 0 0 0 DPS NA NA 0 0 50 영업관련자산부채변동 NA NA -2 -4 0 Multiple(배)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감소 NA NA -4 -5 -7 P/E NA NA NA NA 97.3 재고자산의감소 NA NA -1 -2 -3 P/B NA NA NA NA 5.9 매입채무및기타채무의증가 NA NA 3 2 14 EV/EBITDA NA NA NA NA 76.3 투자활동현금흐름 NA NA 0 0 -13 수익성(%) CAPEX NA NA 0 0 0 영업이익률 NA NA 12.9 16.2 6.2 투자자산의순증 NA NA 0 0 0 EBITDA마진 NA NA 14.3 16.9 6.5 재무활동현금흐름 NA NA 1 2 22 순이익률 NA NA 10.5 13.7 4.7 사채및차입금의 증가 NA NA 2 2 0 ROE NA NA 32.5 60.0 8.2 자본금및자본잉여금의증가 NA NA 1 0 22 ROA NA NA 10.1 19.7 4.0 배당금지급 NA NA 0 0 0 ROIC NA NA 10.8 20.9 7.0 기타현금흐름 NA NA 0 0 0 안정성및기타 현금의증가 NA NA 0 1 11 부채비율(%) NA NA 223.5 195.2 87.2 기초현금 NA NA 0 0 1 이자보상배율(배) NA NA 19.6 25.0 10.0 기말현금 NA NA 0 1 12 배당성향(배) NA NA 0.0 0.0 18.5

자료: 에스퓨얼셀, DB금융투자 주: IFRS 개별기준

▌Compliance Notice ▪ 자료 발간일 현재 본 자료를 작성한 조사분석담당자와 그 배우자는 해당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 당사는 자료 발간일 현재 지난 1년간 위 조사분석자료에 언급한 종목들의 IPO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사실이 없습니다. ▪ 당사는 자료 발간일 현재 위 조사분석자료에 언급된 종목의 지분을 1%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당사는 자료 발간일 현재 조사분석자료에 언급된 법인과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호에 따른 계열회사의 관계에 있지 않습니다. ▪ 동 자료내용은 기관투자가 등 제 3자에게 사전 제공된 사실이 없습니다. ▪ 이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 본 조사자료는 고객의 투자참고용으로 작성된 것이며, 당사의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조사자료는 당사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 발행주식수 변동 시 목표주가와 괴리율은 수정주가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1년간 투자의견 비율 (2020-01-02 기준) - 매수(83.7%) 중립(16.3%) 매도(0.0%)

▌기업 투자의견은 향후 12개월간 당사 KOSPI 목표 대비 초과 상승률 기준임 ▪ Buy: 초과 상승률 10%p 이상 ▪ Hold: 초과 상승률 -10~10%p ▪ Underperform: 초과 상승률 -10%p 미만

▌업종 투자의견은 향후 12개월간 당사 KOSPI 목표 대비 초과 상승률 기준임 ▪ Overweight: 초과 상승률 10%p 이상 ▪ Neutral: 초과 상승률 -10~10%p ▪ Underweight: 초과 상승률 -10%p 미만

에스퓨얼셀 현주가 및 목표주가 차트

0

5

10

15

20

25

30

35

40

45

18/1 18/4 18/7 18/10 19/1 19/4 19/7 19/10 20/1

(천원)

최근 2년간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변경

일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일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괴리율(%)

평균 최고/최저 평균 최고/최저

Page 10: 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19/11 (좌) 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2 에스퓨얼셀 DB Financial Investment

에스퓨얼셀 10

DB Financial Investment

Page 11: 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19/11 (좌) 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2 에스퓨얼셀 DB Financial Investment

11 실적과 성장

DB Financial Investment

Research Center 자본/자산시장 DB 장화탁 센터장 02)369-3370 [email protected]

담당 애널리스트 02)369- @db-fi.com

자산전략팀 글로벌크레딧 유승우 팀장 3426 seyoo

Mid-small caps 유현재 선임연구원 3369 Jay.yoo

산업분석1팀 은행/보험 이병건 팀장 3381 pyrrhon72

시클리컬파트

조윤호 수석연구위원 3367 uhno

조선/기계/철강 김홍균 파트장 3102 usckim10

화학/정유/유틸리티 한승재 수석연구원 3921 sjhan

건설/건자재/부동산

연구원 정재헌 연구원 3429 kevinj

주식전략파트 3479 hygkang 주식전략

김선영 연구위원

설태현 수석연구원 3709 thseol

강대승 연구원 3437 bigwin92

퀀트/해외주식

연구원

강현기 파트장

3438 tjs00dud 중국/신흥국

신용분석 이혁재 선임연구원 3435 realsize84

경제 박성우 수석연구원 3441 p3swo

채권전략파트 채권/FX전략 문홍철 파트장 3436 m304050

생활용품/의류

크로스융합파트 유경하 파트장 3353 last88

박현진 수석연구원 hjpark

Mid-small caps 구성진 선임연구원 3428 goo

원자재/스몰캡

3387 kqnam

IT총괄 권성률 팀장 3724 srkwon 산업분석2팀

ICT자동차파트

반도체

어규진 연구위원

3713 kjsyndrome

김평모 수석연구원

3053

pmkim

자동차/운송

3352 serakwon9494

연구원

통신서비스/미디어

3458 ej.shin

권세라 연구원

신은정 선임연구원

헬스케어컨슈머파트

구자용 연구위원 3425 jaykoo

차재헌 파트장 3378 imcjh

황현준 수석연구원

3385

realjun20

제약/바이오

엔터/레저/인터넷/게임

음식료/유통

정승훈 수석연구원 3460 shjung 제약/바이오

연구원 정광명 연구원 3746 Kmc92

남기윤 연구위원 비상장기업

3477

Page 12: 에스퓨얼셀 NR - file.mk.co.krfile.mk.co.kr/imss/write/20200130111220__00.pdf19/01 19/05 19/08 19/11 (좌) KOSPI지수대비(우) (천원) (pt) 2 에스퓨얼셀 DB Financial Investment

에스퓨얼셀 12

DB Financial Inves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