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27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Transcript of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Page 1: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Vol 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기획 검토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술정보본부장금연 부장 (jkylibkerisorkr) (053)714-0231한혜영 수석연구위원 (hyhankerisorkr) (053)714-0374

본 리포트의 내용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공식 의견이 아닌 연구자의 견해임을 안내드립니다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 』 』 』 』 』 』 』 』 』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

발간 취지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는 국내 대학 도서관 및 학술정책 관계자 대상으로 최신의

해외 학술정보 서비스 및 기관의 동향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발간하는 보고서입니다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는 주요 국가의 최신 학술정보화 정책 우수 사례 혹은

대학 등 벤치마킹을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 현장의 신규 사업 발굴 및 학술정보화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합니다

2019년도 985172학술정보 글로벌 동향985173 리포트 발간 계획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rsquo19년~rsquo23년)의 3대 분야인 lsquo교육rsquo lsquo연구rsquo lsquo제도 기반rsquo과 lsquoIT

기반rsquo을 포함하여 4개 분야별 추진과제에 대한 해외 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rsquo19년 3월~10월까지 월 2회 총 16회 발간하며 사서커뮤니티(librarianrisskr) 사이트에

온라인으로 공개합니다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발간 계획

호 수 분야 목표 추진 과제 발간 시기

1호

5913호교육

학생중심의 맞춤형

학습 서비스 및 환경 구축

수업 및 학습 활동 지원 강화3월

579월창의적협력적 학습 환경 구축

3호

71115호연구

연구의 질 제고를 위한

전문적 서비스 강화

해외 학술자료 구독 및 공동 활용 확대

4월

6810월 연구지원 큐레이션 서비스

연구윤리 확립 지원

4호

81216호

제도

기반

대학도서관 진흥을 위한

제도적 지원 강화

대학도서관 위상 제고를 위한 정책 강화4월

6810월대학도서관 평가의 실효성 제고 및 성과 확산

2호

61014호

IT

기반

신기술 기반

서비스 환경 구축

데이터 기반 학술서비스

3월

579월 리포지토리 운영

지능정보기술 기반 서비스

본 리포트에 관한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기대합니다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Vol 2 IT 기반 분야

1 데이터 기반 학술서비스

1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2 지능정보기술 기반 서비스

2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CONTENTS

1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1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라는 중요한 목표 이용자와 결과물에 대한 서비스 지원을 위해

노력해 옴 오픈 사이언스는 새로운 열린 학술 연구 생태계를 대표하는 용어이며 관련 도구는

학술 출판 생애주기 전체를 지원함 데이터 중심의 개방 지향적 정보화 환경에서 도서관은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반에 대한 이해와 지원을 위한 서비스 시대에 대응

해야 함

1 정의

오픈 사이언스는 학술연구의 모든 과정을 개방하여 연구결과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연구 결과를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생태계를 구성하고자 하는 운동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의가 존재함

학술 연구의 과정은 물론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출판물 연구 데이터 소프트웨어 등에

비전문가 전문가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1)

디지털 기술과 새로운 협력도구를 활용하여 학술 연구에 있어서 협력 작업이 가능하게

하여 지식 확산이 가능케 하는 학술 연구 과정의 새로운 접근방법2)

공공의 자금 지원을 받는 연구 결과(최종 결과물 및 과정에서 성취한 연구 자료 전체)의

주요 산출물을 디지털 형식으로 공개적으로 개방하여 누구나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3)

다양한 정의들이 존재하지만 핵심 요소는 연구과정 및 결과에 대한 공유로 볼 수 있음

2 Open Science 등장까지의 흐름까지의 흐름

오픈 사이언스는 갑자기 등장한 운동이나 개념 보다는 정보통신 기술 발전 폐쇄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 구조가 야기한 부작용에 대한 반작용 오픈 데이터(Open Data) 오픈 거버넌트

(Open Government)와 같은 개방 흐름 학술정보와 데이터에 대한 지속적인 개방 요구가

지속되면서 등장한 현상임

1) Woelfle M Olliaro P amp Todd M H (2011) Open science is a research accelerator Nature Chemistry 3(10) 745

2) Innovation O (2016) Open Science Open to the Worldndasha vision for Europe European Comission

3) OECD (2015) Making open science a reality

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전통적인 정보관리 기관인 기억기관(memory institute)들은 기술의 발전과 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왔음

도서관 그 중에서도 대학도서관은 학술연구자 대상 서비스를 해오며 학술정보의 생산부터

최종 출판 출판물의 열람 전 과정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학술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

이용자의 요구 기술발전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음

도서관이 꾸준히 관심을 갖고 개선 노력에 참여하고 해 온 대표적인 것이 프리 프린트(PrePrints)

서비스와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연구 데이터 수집 개방을 위한 DMP(Data Management

Plan)임

우선 프리 프린트와 오픈 액세스에 대한 노력은 학술 연구 결과물에 대한 평가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도 내포하고 있음

이는 대표적인 평가 지표인 저널 영향 평가(Journal Impact Factor)가 연구 논문의 질을

평가하기에 어렵고

다양한 기관에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는 이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순수한 연구

이외에 다양한 부분을 고민하고 그 결과 비정상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과

자연스럽게 저널 구독 가격의 상승으로 연구 결과물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함

프리 프린트 오픈 액세스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수단 중의 하나이자 대표적인

사례로 도서관의 경우 기관 저장소(Institutional repository) 구축을 통해 연구자의

참여를 유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DMP는 연구 진행과정과 연구 완료 후에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기술한 문건을 말함

DMP는 프로젝트 시작 전(자금지원 과제 선택 시 등)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평가함

이에 최근 해외 학술 도서관(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교수middot연구자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연구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실제 DMP 작성 지원 데이터 관리 도구(소프트웨어

등) 지원 및 교육 등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음

위 두 가지를 대표적인 도서관의 노력으로 기술한 이유는 실 이용자인 학술 연구자가 특정

도구를 활용하여 실현해야하고 결과물을 다른 연구자 혹은 일반 이용자에게 웹 등을

기반으로 공개해야한다는 점 등 공통점을 갖고 있기 때문임

실제로 도서관에서는 학술 연구자의 연구성과물 관리를 위한 저장소 개발과 보급 DMP를

위한 교육과 도구 도입 및 관련 서비스 개발까지 수행하고 있음

3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학술 연구자에게는 이런 프로세스와 도구들이 연구를 시작하고 종료할 때 까지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들로 오픈 사이언스를 이런 모든 과정을 일원화하여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이 필요함

3 대표 사례 CoS(Center for Open Science)

CoS는 연구의 개방성 무결성 재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과 관련 서비스 시스템을 보급

하는 비영리 기구로 미래의 새로운 학술 공동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들의 비전은

다음과 같음

모든 학술 콘텐츠는 발견 증거의 축적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를 위해 저장 연결 버전

관리가 되어야 함

학술 서비스 제공자는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제어가 아닌 서비스 품질로 수익을 창출하고

경쟁해야 함

연구 기관은 연구 성과의 공표 출처가 아니라 발견 내용과 발견 과정 모두에 따라 연구자를

평가해야 함

연구비 제공자는 향후 연구비지원 우선순위를 연구결과물을 통해 얻을 수 있음

연구자는 성과물의 공표보다 빨리 입수하는 것을 우선하고 유용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다른 사람이 재사용 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하는 등 다양한 학술적 공헌을 통해 명성 등의

이득을 취할 수 있음

검토자는 연구 생애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피드백을 제공하고 리뷰를 위해 신용과 명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음

사서는 소급 형태가 아니라 연구 생애주기 큐레이터 데이터 관리 전문 지식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함

이용자는 학문적 주장에 대한 리뷰 및 주요 증거에 직접 접근 할 수 있음

모든 이해 관계자는 연구 생애주기가 포함하고 있는 연구의 동기와 그 결과를 공유할 수

있음

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CoS 홈페이지(출처 httpscosio)

CoS는 이런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학술 연구 생애주기 도구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도구와 개략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음

구분 설명

OSF(Open Science

Framework)

연구 과제 프로젝트 전체의 생애주기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공동 연구가 가능한 도구로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공개 DOI 부여 등의 기능과

함께 프로젝트 관리 저장소 관리 버전관리 파일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함

OSF Preprints OSF를 기반으로 프리 프린트 서버이자 서비스

OSF Meetings 공동 회의가 가능한 도구로 다양한 자료 업데이터와 직접 발표 회의자료의 자동

보관 등 기능을 제공함

OSF Institutions 대학과 같은 기관에서 기관 내의 프로젝트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도구

SHARE

CoS와 연구 도서관 협회(ARL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가 공동

개발한 도구

학술저작물 출판 프리프린트 출처관리 등이 가능하며 OSF Preprints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lt표 1gt CoS가 개발 보급하고 있는 오픈 사이언스 도구

OSF의 경우 개별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시작 일정관리 데이터 공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소통 아카이브 구축 출판까지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와 pre-print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음

이는 전통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벗어나 열린 환경에서 연구자가 연구 수행하고 열린

피드백을 수행하고 직접 혹은 pre-print 서비스를 통해서 결과를 공유할 수 있게 함

특히 COS의 preprints 서비스는 학문분야가 아닌 언어 국가별 아카이브로 확대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연구자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를 변화를 주도하고 있음

5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 COS(Center for Open Science)가 개발한 OSF Preprints가 전 세계의 다양한

Pre-print 서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재(2019년 3월) 29개 기관 및 서비스에서

2225371건의 학술 기사에 대한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lt표 2gt CoS Preprints 서비스 참여 현황

참여 현황(참여아키이브 명 (제공 건수))

OSF Preprints(6089) AfricArXiv(36) AgriXiv(110)

Arabixiv(154) arXiv(1317818) bioRxiv(31502)

Cogprints(285) EarthArXiv(681) EcoEvoRxiv(44)

ECSarXiv(38) engrXiv(442) FocUS Archive(38)

Frenxiv(36) INA-Rxiv(6851) LawArXiv(997)

LIS Scholarship Archive (150) MarXiv(345) MediArXiv(5)

MetaArXiv(39) MindRxiv(134) NutriXiv(29)

PaleorXiv(121) PeerJ(3626) Preprintsorg(8603)

PsyArXiv(4111) RePEc(799615) SocArXiv(3382)

SportRxiv(77) Thesis Commons(361)

- 특기할 만한 사항은 언어권별 대륙별 국가별 특화 아카이브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과

전통적인 아카이브인 arXiv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하는 양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임

4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

오픈 사이언스 도구의 핵심은 학술 연구와 관련한 모든 프로세스를 지원해 주는 데 있음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는 협력 개방에 기반한 새로운 학술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줌

대표적인 생애주기는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와 CoS의 OSF의 것임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가 제시하고 있는 모형은 오픈 사이언스 개념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활동 프로세스를 제시하는 쪽에 가깝지만 연구의 시작과 종료까지의 전체

과정을 개방과 공유의 개념을 도입하여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명주기로 해석이

가능함

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2]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의 생애주기(출처 httpswwwfosteropenscienceeucontentwhat-open-science-introduction)

각 생애주기에서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단계 수행내용

가설수립

(Hypothesis) 연구비 지원 기관의 요구사항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사용 권한 명확화

인용을 통한 신뢰도 부여

가공

(Processing)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및 오픈 인터페이스 활용

데이터 및 결과 저장

(Storing data and results)

서비스 인프라 사용

결과에 영구 식별자 부여

결과에 메타데이터 첨부

오픈 라이선스와 함께 메타데이터 발행

장기보존

(Long-term preservation)

자료의 보존 및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

표준 메타데이터 생성

출판 및 배포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오픈 라이선스를 포함한 메타데이터 발행

공개 평가

결과물 데이터 방법 간의 연결고리 보장

기관 저장소 사용

재사용(Reuse) 인용문 명확화

lt표 3gt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별 수행 내용

lt표 3gt에서 보는 것처럼 오픈 사이언스 지원을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이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함

7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한 유용한 도구에서 모든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현재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면 연구자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음

OSF는 학술 연구자에게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임

또한 OSF 생애주기는 외부의 다양한 생태계와 연동하여 운영됨으로써 다양한 학자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이 가능함

[그림 3] OSF의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출처 httpscosio)

OSF는 특정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출판 목적의 글쓰기 외에 개인 연구자 개인 연구자 간의

온라인 기반 저작활동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OSF가 갖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음

개인 연구자의 아이디어 발굴부터 출판까지 모든 과정을 포괄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의 다양한 외부 서비스 저장소와의 연결을 지원

데이터 큐레이션 부분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지원

모든 정보자원에 대한 버저닝 지원

Pre-Print Post-Print에 대한 DOI 부여 기능을 지원

OSF 생애주기 단계별로 연계를 갖고 있는 주요 서비스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Develop Idea

ZOTERO 무료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Standalone 버전과 웹 브라우저 MS-Office와 연동

Mendeley

논문 관리 공유 서지 관리 프로그램

문헌정보 관리 PDF 문서 읽기와 메모 달기 문서 관리 공유 기능

지원

Windows MAC OS X 리눅스 MS Word 리브레오피스

iOS 안드로이드 지원

Design Study DMP Tool 프로젝트 시작 전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 작성을 도화주는 도구

Acquire Material

Evernote

ChromeFireFox 아이폰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윈도우 OS

X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녹음 파일 첨부 사진 저장 저장한 메모에 대한 위치 정보 추가

태그에 따른 메모 분류 키워드에 따른 메모 검색 텍스트 이미지

및 링크를 포함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스크랩하는

클리핑 기능

PsychoPy 신경 과학 심리학 및 정신 물리학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으로 Python에서 작성 가능

Collect Data

Galaxy Project

생물학 분야 연구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재현을 지원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이용자는 쉽게 매개 변수를 지정하고 도구

및 워크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OpenSesame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그래픽 기반 오픈 소스 실험 도구

Psychophysics 반응 시간 작업 설문지 등 다양한 실험 설계

가능

플러그인 프레임 워크 및 Python 스크립팅을 사용하면 시선 추적기

응답 상자 및 병렬 포트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사용 가능

Analyze Data

웹 기반 저장장치 Google Drive One Drive DropBox 등 다양한 외부 저장장치

JASP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지원하는 오픈 소스 통계 처리 프로그램

Bitbucket

Git 코드 관리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팀단위 업무

수행 시 프로젝트 계획 코드 공동작성 테스트 및 배포 일괄 처리

가능

Interpret Findings TeX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많은 분야에서 논문 책자

발표 슬라이드 등 다양한 문서 작성을 위해 사용되며 수식 표현

하는 데 있어 강력함

Write Report

Dataverse

Project 오픈 소스 연구 데이터 저장소 소프트웨어

zenodo CERN이 후원하는 오픈 사이언스 지원 도구

NeuroVault 의학 분야의 MRI 및 PET 연구에서 생산한 통계자료 지도 등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

DRYAD 연구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고 학술문헌과 통합 가능한 디지털

저장소 서비스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

9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Publish Report

OJS 저널 관리 및 퍼블리싱 시스템

Ubiquity press 동료 평가를 거친 학술 저널 서적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

Search and

DiscoveryVIVO

오픈 소스 학술 연구 지원 온톨로지

학술 활동의 기록 편집 검색 탐색 및 시각화 지원

연구자의 학술 기록 연구 발견 전문가 찾기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영향 평가 지원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계속)

5 OSF 저작도구 서비스 화면

OSF는 저작도구이자 공유 개방 출판 도구로 학술 저작물 생산부터 출판 아카이브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함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 화면은 아래와 같음

신규 프로젝트 연구과제 등 생성 전체 프로젝트 현황 보기

위키기반 저작도구 프로젝트 전체 복사 활용 현황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2: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기획 검토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술정보본부장금연 부장 (jkylibkerisorkr) (053)714-0231한혜영 수석연구위원 (hyhankerisorkr) (053)714-0374

본 리포트의 내용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공식 의견이 아닌 연구자의 견해임을 안내드립니다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 』 』 』 』 』 』 』 』 』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

발간 취지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는 국내 대학 도서관 및 학술정책 관계자 대상으로 최신의

해외 학술정보 서비스 및 기관의 동향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발간하는 보고서입니다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는 주요 국가의 최신 학술정보화 정책 우수 사례 혹은

대학 등 벤치마킹을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 현장의 신규 사업 발굴 및 학술정보화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합니다

2019년도 985172학술정보 글로벌 동향985173 리포트 발간 계획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rsquo19년~rsquo23년)의 3대 분야인 lsquo교육rsquo lsquo연구rsquo lsquo제도 기반rsquo과 lsquoIT

기반rsquo을 포함하여 4개 분야별 추진과제에 대한 해외 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rsquo19년 3월~10월까지 월 2회 총 16회 발간하며 사서커뮤니티(librarianrisskr) 사이트에

온라인으로 공개합니다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발간 계획

호 수 분야 목표 추진 과제 발간 시기

1호

5913호교육

학생중심의 맞춤형

학습 서비스 및 환경 구축

수업 및 학습 활동 지원 강화3월

579월창의적협력적 학습 환경 구축

3호

71115호연구

연구의 질 제고를 위한

전문적 서비스 강화

해외 학술자료 구독 및 공동 활용 확대

4월

6810월 연구지원 큐레이션 서비스

연구윤리 확립 지원

4호

81216호

제도

기반

대학도서관 진흥을 위한

제도적 지원 강화

대학도서관 위상 제고를 위한 정책 강화4월

6810월대학도서관 평가의 실효성 제고 및 성과 확산

2호

61014호

IT

기반

신기술 기반

서비스 환경 구축

데이터 기반 학술서비스

3월

579월 리포지토리 운영

지능정보기술 기반 서비스

본 리포트에 관한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기대합니다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Vol 2 IT 기반 분야

1 데이터 기반 학술서비스

1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2 지능정보기술 기반 서비스

2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CONTENTS

1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1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라는 중요한 목표 이용자와 결과물에 대한 서비스 지원을 위해

노력해 옴 오픈 사이언스는 새로운 열린 학술 연구 생태계를 대표하는 용어이며 관련 도구는

학술 출판 생애주기 전체를 지원함 데이터 중심의 개방 지향적 정보화 환경에서 도서관은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반에 대한 이해와 지원을 위한 서비스 시대에 대응

해야 함

1 정의

오픈 사이언스는 학술연구의 모든 과정을 개방하여 연구결과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연구 결과를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생태계를 구성하고자 하는 운동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의가 존재함

학술 연구의 과정은 물론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출판물 연구 데이터 소프트웨어 등에

비전문가 전문가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1)

디지털 기술과 새로운 협력도구를 활용하여 학술 연구에 있어서 협력 작업이 가능하게

하여 지식 확산이 가능케 하는 학술 연구 과정의 새로운 접근방법2)

공공의 자금 지원을 받는 연구 결과(최종 결과물 및 과정에서 성취한 연구 자료 전체)의

주요 산출물을 디지털 형식으로 공개적으로 개방하여 누구나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3)

다양한 정의들이 존재하지만 핵심 요소는 연구과정 및 결과에 대한 공유로 볼 수 있음

2 Open Science 등장까지의 흐름까지의 흐름

오픈 사이언스는 갑자기 등장한 운동이나 개념 보다는 정보통신 기술 발전 폐쇄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 구조가 야기한 부작용에 대한 반작용 오픈 데이터(Open Data) 오픈 거버넌트

(Open Government)와 같은 개방 흐름 학술정보와 데이터에 대한 지속적인 개방 요구가

지속되면서 등장한 현상임

1) Woelfle M Olliaro P amp Todd M H (2011) Open science is a research accelerator Nature Chemistry 3(10) 745

2) Innovation O (2016) Open Science Open to the Worldndasha vision for Europe European Comission

3) OECD (2015) Making open science a reality

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전통적인 정보관리 기관인 기억기관(memory institute)들은 기술의 발전과 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왔음

도서관 그 중에서도 대학도서관은 학술연구자 대상 서비스를 해오며 학술정보의 생산부터

최종 출판 출판물의 열람 전 과정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학술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

이용자의 요구 기술발전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음

도서관이 꾸준히 관심을 갖고 개선 노력에 참여하고 해 온 대표적인 것이 프리 프린트(PrePrints)

서비스와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연구 데이터 수집 개방을 위한 DMP(Data Management

Plan)임

우선 프리 프린트와 오픈 액세스에 대한 노력은 학술 연구 결과물에 대한 평가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도 내포하고 있음

이는 대표적인 평가 지표인 저널 영향 평가(Journal Impact Factor)가 연구 논문의 질을

평가하기에 어렵고

다양한 기관에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는 이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순수한 연구

이외에 다양한 부분을 고민하고 그 결과 비정상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과

자연스럽게 저널 구독 가격의 상승으로 연구 결과물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함

프리 프린트 오픈 액세스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수단 중의 하나이자 대표적인

사례로 도서관의 경우 기관 저장소(Institutional repository) 구축을 통해 연구자의

참여를 유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DMP는 연구 진행과정과 연구 완료 후에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기술한 문건을 말함

DMP는 프로젝트 시작 전(자금지원 과제 선택 시 등)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평가함

이에 최근 해외 학술 도서관(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교수middot연구자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연구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실제 DMP 작성 지원 데이터 관리 도구(소프트웨어

등) 지원 및 교육 등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음

위 두 가지를 대표적인 도서관의 노력으로 기술한 이유는 실 이용자인 학술 연구자가 특정

도구를 활용하여 실현해야하고 결과물을 다른 연구자 혹은 일반 이용자에게 웹 등을

기반으로 공개해야한다는 점 등 공통점을 갖고 있기 때문임

실제로 도서관에서는 학술 연구자의 연구성과물 관리를 위한 저장소 개발과 보급 DMP를

위한 교육과 도구 도입 및 관련 서비스 개발까지 수행하고 있음

3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학술 연구자에게는 이런 프로세스와 도구들이 연구를 시작하고 종료할 때 까지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들로 오픈 사이언스를 이런 모든 과정을 일원화하여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이 필요함

3 대표 사례 CoS(Center for Open Science)

CoS는 연구의 개방성 무결성 재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과 관련 서비스 시스템을 보급

하는 비영리 기구로 미래의 새로운 학술 공동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들의 비전은

다음과 같음

모든 학술 콘텐츠는 발견 증거의 축적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를 위해 저장 연결 버전

관리가 되어야 함

학술 서비스 제공자는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제어가 아닌 서비스 품질로 수익을 창출하고

경쟁해야 함

연구 기관은 연구 성과의 공표 출처가 아니라 발견 내용과 발견 과정 모두에 따라 연구자를

평가해야 함

연구비 제공자는 향후 연구비지원 우선순위를 연구결과물을 통해 얻을 수 있음

연구자는 성과물의 공표보다 빨리 입수하는 것을 우선하고 유용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다른 사람이 재사용 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하는 등 다양한 학술적 공헌을 통해 명성 등의

이득을 취할 수 있음

검토자는 연구 생애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피드백을 제공하고 리뷰를 위해 신용과 명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음

사서는 소급 형태가 아니라 연구 생애주기 큐레이터 데이터 관리 전문 지식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함

이용자는 학문적 주장에 대한 리뷰 및 주요 증거에 직접 접근 할 수 있음

모든 이해 관계자는 연구 생애주기가 포함하고 있는 연구의 동기와 그 결과를 공유할 수

있음

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CoS 홈페이지(출처 httpscosio)

CoS는 이런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학술 연구 생애주기 도구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도구와 개략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음

구분 설명

OSF(Open Science

Framework)

연구 과제 프로젝트 전체의 생애주기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공동 연구가 가능한 도구로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공개 DOI 부여 등의 기능과

함께 프로젝트 관리 저장소 관리 버전관리 파일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함

OSF Preprints OSF를 기반으로 프리 프린트 서버이자 서비스

OSF Meetings 공동 회의가 가능한 도구로 다양한 자료 업데이터와 직접 발표 회의자료의 자동

보관 등 기능을 제공함

OSF Institutions 대학과 같은 기관에서 기관 내의 프로젝트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도구

SHARE

CoS와 연구 도서관 협회(ARL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가 공동

개발한 도구

학술저작물 출판 프리프린트 출처관리 등이 가능하며 OSF Preprints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lt표 1gt CoS가 개발 보급하고 있는 오픈 사이언스 도구

OSF의 경우 개별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시작 일정관리 데이터 공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소통 아카이브 구축 출판까지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와 pre-print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음

이는 전통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벗어나 열린 환경에서 연구자가 연구 수행하고 열린

피드백을 수행하고 직접 혹은 pre-print 서비스를 통해서 결과를 공유할 수 있게 함

특히 COS의 preprints 서비스는 학문분야가 아닌 언어 국가별 아카이브로 확대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연구자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를 변화를 주도하고 있음

5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 COS(Center for Open Science)가 개발한 OSF Preprints가 전 세계의 다양한

Pre-print 서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재(2019년 3월) 29개 기관 및 서비스에서

2225371건의 학술 기사에 대한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lt표 2gt CoS Preprints 서비스 참여 현황

참여 현황(참여아키이브 명 (제공 건수))

OSF Preprints(6089) AfricArXiv(36) AgriXiv(110)

Arabixiv(154) arXiv(1317818) bioRxiv(31502)

Cogprints(285) EarthArXiv(681) EcoEvoRxiv(44)

ECSarXiv(38) engrXiv(442) FocUS Archive(38)

Frenxiv(36) INA-Rxiv(6851) LawArXiv(997)

LIS Scholarship Archive (150) MarXiv(345) MediArXiv(5)

MetaArXiv(39) MindRxiv(134) NutriXiv(29)

PaleorXiv(121) PeerJ(3626) Preprintsorg(8603)

PsyArXiv(4111) RePEc(799615) SocArXiv(3382)

SportRxiv(77) Thesis Commons(361)

- 특기할 만한 사항은 언어권별 대륙별 국가별 특화 아카이브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과

전통적인 아카이브인 arXiv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하는 양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임

4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

오픈 사이언스 도구의 핵심은 학술 연구와 관련한 모든 프로세스를 지원해 주는 데 있음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는 협력 개방에 기반한 새로운 학술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줌

대표적인 생애주기는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와 CoS의 OSF의 것임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가 제시하고 있는 모형은 오픈 사이언스 개념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활동 프로세스를 제시하는 쪽에 가깝지만 연구의 시작과 종료까지의 전체

과정을 개방과 공유의 개념을 도입하여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명주기로 해석이

가능함

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2]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의 생애주기(출처 httpswwwfosteropenscienceeucontentwhat-open-science-introduction)

각 생애주기에서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단계 수행내용

가설수립

(Hypothesis) 연구비 지원 기관의 요구사항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사용 권한 명확화

인용을 통한 신뢰도 부여

가공

(Processing)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및 오픈 인터페이스 활용

데이터 및 결과 저장

(Storing data and results)

서비스 인프라 사용

결과에 영구 식별자 부여

결과에 메타데이터 첨부

오픈 라이선스와 함께 메타데이터 발행

장기보존

(Long-term preservation)

자료의 보존 및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

표준 메타데이터 생성

출판 및 배포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오픈 라이선스를 포함한 메타데이터 발행

공개 평가

결과물 데이터 방법 간의 연결고리 보장

기관 저장소 사용

재사용(Reuse) 인용문 명확화

lt표 3gt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별 수행 내용

lt표 3gt에서 보는 것처럼 오픈 사이언스 지원을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이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함

7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한 유용한 도구에서 모든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현재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면 연구자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음

OSF는 학술 연구자에게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임

또한 OSF 생애주기는 외부의 다양한 생태계와 연동하여 운영됨으로써 다양한 학자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이 가능함

[그림 3] OSF의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출처 httpscosio)

OSF는 특정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출판 목적의 글쓰기 외에 개인 연구자 개인 연구자 간의

온라인 기반 저작활동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OSF가 갖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음

개인 연구자의 아이디어 발굴부터 출판까지 모든 과정을 포괄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의 다양한 외부 서비스 저장소와의 연결을 지원

데이터 큐레이션 부분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지원

모든 정보자원에 대한 버저닝 지원

Pre-Print Post-Print에 대한 DOI 부여 기능을 지원

OSF 생애주기 단계별로 연계를 갖고 있는 주요 서비스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Develop Idea

ZOTERO 무료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Standalone 버전과 웹 브라우저 MS-Office와 연동

Mendeley

논문 관리 공유 서지 관리 프로그램

문헌정보 관리 PDF 문서 읽기와 메모 달기 문서 관리 공유 기능

지원

Windows MAC OS X 리눅스 MS Word 리브레오피스

iOS 안드로이드 지원

Design Study DMP Tool 프로젝트 시작 전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 작성을 도화주는 도구

Acquire Material

Evernote

ChromeFireFox 아이폰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윈도우 OS

X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녹음 파일 첨부 사진 저장 저장한 메모에 대한 위치 정보 추가

태그에 따른 메모 분류 키워드에 따른 메모 검색 텍스트 이미지

및 링크를 포함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스크랩하는

클리핑 기능

PsychoPy 신경 과학 심리학 및 정신 물리학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으로 Python에서 작성 가능

Collect Data

Galaxy Project

생물학 분야 연구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재현을 지원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이용자는 쉽게 매개 변수를 지정하고 도구

및 워크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OpenSesame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그래픽 기반 오픈 소스 실험 도구

Psychophysics 반응 시간 작업 설문지 등 다양한 실험 설계

가능

플러그인 프레임 워크 및 Python 스크립팅을 사용하면 시선 추적기

응답 상자 및 병렬 포트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사용 가능

Analyze Data

웹 기반 저장장치 Google Drive One Drive DropBox 등 다양한 외부 저장장치

JASP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지원하는 오픈 소스 통계 처리 프로그램

Bitbucket

Git 코드 관리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팀단위 업무

수행 시 프로젝트 계획 코드 공동작성 테스트 및 배포 일괄 처리

가능

Interpret Findings TeX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많은 분야에서 논문 책자

발표 슬라이드 등 다양한 문서 작성을 위해 사용되며 수식 표현

하는 데 있어 강력함

Write Report

Dataverse

Project 오픈 소스 연구 데이터 저장소 소프트웨어

zenodo CERN이 후원하는 오픈 사이언스 지원 도구

NeuroVault 의학 분야의 MRI 및 PET 연구에서 생산한 통계자료 지도 등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

DRYAD 연구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고 학술문헌과 통합 가능한 디지털

저장소 서비스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

9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Publish Report

OJS 저널 관리 및 퍼블리싱 시스템

Ubiquity press 동료 평가를 거친 학술 저널 서적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

Search and

DiscoveryVIVO

오픈 소스 학술 연구 지원 온톨로지

학술 활동의 기록 편집 검색 탐색 및 시각화 지원

연구자의 학술 기록 연구 발견 전문가 찾기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영향 평가 지원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계속)

5 OSF 저작도구 서비스 화면

OSF는 저작도구이자 공유 개방 출판 도구로 학술 저작물 생산부터 출판 아카이브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함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 화면은 아래와 같음

신규 프로젝트 연구과제 등 생성 전체 프로젝트 현황 보기

위키기반 저작도구 프로젝트 전체 복사 활용 현황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3: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글로벌 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동향』 』 』 』 』 』 』 』 』 』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리포트 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안내『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

발간 취지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는 국내 대학 도서관 및 학술정책 관계자 대상으로 최신의

해외 학술정보 서비스 및 기관의 동향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발간하는 보고서입니다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는 주요 국가의 최신 학술정보화 정책 우수 사례 혹은

대학 등 벤치마킹을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 현장의 신규 사업 발굴 및 학술정보화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합니다

2019년도 985172학술정보 글로벌 동향985173 리포트 발간 계획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rsquo19년~rsquo23년)의 3대 분야인 lsquo교육rsquo lsquo연구rsquo lsquo제도 기반rsquo과 lsquoIT

기반rsquo을 포함하여 4개 분야별 추진과제에 대한 해외 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rsquo19년 3월~10월까지 월 2회 총 16회 발간하며 사서커뮤니티(librarianrisskr) 사이트에

온라인으로 공개합니다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발간 계획

호 수 분야 목표 추진 과제 발간 시기

1호

5913호교육

학생중심의 맞춤형

학습 서비스 및 환경 구축

수업 및 학습 활동 지원 강화3월

579월창의적협력적 학습 환경 구축

3호

71115호연구

연구의 질 제고를 위한

전문적 서비스 강화

해외 학술자료 구독 및 공동 활용 확대

4월

6810월 연구지원 큐레이션 서비스

연구윤리 확립 지원

4호

81216호

제도

기반

대학도서관 진흥을 위한

제도적 지원 강화

대학도서관 위상 제고를 위한 정책 강화4월

6810월대학도서관 평가의 실효성 제고 및 성과 확산

2호

61014호

IT

기반

신기술 기반

서비스 환경 구축

데이터 기반 학술서비스

3월

579월 리포지토리 운영

지능정보기술 기반 서비스

본 리포트에 관한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기대합니다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Vol 2 IT 기반 분야

1 데이터 기반 학술서비스

1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2 지능정보기술 기반 서비스

2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CONTENTS

1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1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라는 중요한 목표 이용자와 결과물에 대한 서비스 지원을 위해

노력해 옴 오픈 사이언스는 새로운 열린 학술 연구 생태계를 대표하는 용어이며 관련 도구는

학술 출판 생애주기 전체를 지원함 데이터 중심의 개방 지향적 정보화 환경에서 도서관은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반에 대한 이해와 지원을 위한 서비스 시대에 대응

해야 함

1 정의

오픈 사이언스는 학술연구의 모든 과정을 개방하여 연구결과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연구 결과를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생태계를 구성하고자 하는 운동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의가 존재함

학술 연구의 과정은 물론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출판물 연구 데이터 소프트웨어 등에

비전문가 전문가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1)

디지털 기술과 새로운 협력도구를 활용하여 학술 연구에 있어서 협력 작업이 가능하게

하여 지식 확산이 가능케 하는 학술 연구 과정의 새로운 접근방법2)

공공의 자금 지원을 받는 연구 결과(최종 결과물 및 과정에서 성취한 연구 자료 전체)의

주요 산출물을 디지털 형식으로 공개적으로 개방하여 누구나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3)

다양한 정의들이 존재하지만 핵심 요소는 연구과정 및 결과에 대한 공유로 볼 수 있음

2 Open Science 등장까지의 흐름까지의 흐름

오픈 사이언스는 갑자기 등장한 운동이나 개념 보다는 정보통신 기술 발전 폐쇄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 구조가 야기한 부작용에 대한 반작용 오픈 데이터(Open Data) 오픈 거버넌트

(Open Government)와 같은 개방 흐름 학술정보와 데이터에 대한 지속적인 개방 요구가

지속되면서 등장한 현상임

1) Woelfle M Olliaro P amp Todd M H (2011) Open science is a research accelerator Nature Chemistry 3(10) 745

2) Innovation O (2016) Open Science Open to the Worldndasha vision for Europe European Comission

3) OECD (2015) Making open science a reality

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전통적인 정보관리 기관인 기억기관(memory institute)들은 기술의 발전과 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왔음

도서관 그 중에서도 대학도서관은 학술연구자 대상 서비스를 해오며 학술정보의 생산부터

최종 출판 출판물의 열람 전 과정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학술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

이용자의 요구 기술발전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음

도서관이 꾸준히 관심을 갖고 개선 노력에 참여하고 해 온 대표적인 것이 프리 프린트(PrePrints)

서비스와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연구 데이터 수집 개방을 위한 DMP(Data Management

Plan)임

우선 프리 프린트와 오픈 액세스에 대한 노력은 학술 연구 결과물에 대한 평가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도 내포하고 있음

이는 대표적인 평가 지표인 저널 영향 평가(Journal Impact Factor)가 연구 논문의 질을

평가하기에 어렵고

다양한 기관에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는 이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순수한 연구

이외에 다양한 부분을 고민하고 그 결과 비정상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과

자연스럽게 저널 구독 가격의 상승으로 연구 결과물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함

프리 프린트 오픈 액세스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수단 중의 하나이자 대표적인

사례로 도서관의 경우 기관 저장소(Institutional repository) 구축을 통해 연구자의

참여를 유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DMP는 연구 진행과정과 연구 완료 후에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기술한 문건을 말함

DMP는 프로젝트 시작 전(자금지원 과제 선택 시 등)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평가함

이에 최근 해외 학술 도서관(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교수middot연구자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연구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실제 DMP 작성 지원 데이터 관리 도구(소프트웨어

등) 지원 및 교육 등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음

위 두 가지를 대표적인 도서관의 노력으로 기술한 이유는 실 이용자인 학술 연구자가 특정

도구를 활용하여 실현해야하고 결과물을 다른 연구자 혹은 일반 이용자에게 웹 등을

기반으로 공개해야한다는 점 등 공통점을 갖고 있기 때문임

실제로 도서관에서는 학술 연구자의 연구성과물 관리를 위한 저장소 개발과 보급 DMP를

위한 교육과 도구 도입 및 관련 서비스 개발까지 수행하고 있음

3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학술 연구자에게는 이런 프로세스와 도구들이 연구를 시작하고 종료할 때 까지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들로 오픈 사이언스를 이런 모든 과정을 일원화하여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이 필요함

3 대표 사례 CoS(Center for Open Science)

CoS는 연구의 개방성 무결성 재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과 관련 서비스 시스템을 보급

하는 비영리 기구로 미래의 새로운 학술 공동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들의 비전은

다음과 같음

모든 학술 콘텐츠는 발견 증거의 축적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를 위해 저장 연결 버전

관리가 되어야 함

학술 서비스 제공자는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제어가 아닌 서비스 품질로 수익을 창출하고

경쟁해야 함

연구 기관은 연구 성과의 공표 출처가 아니라 발견 내용과 발견 과정 모두에 따라 연구자를

평가해야 함

연구비 제공자는 향후 연구비지원 우선순위를 연구결과물을 통해 얻을 수 있음

연구자는 성과물의 공표보다 빨리 입수하는 것을 우선하고 유용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다른 사람이 재사용 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하는 등 다양한 학술적 공헌을 통해 명성 등의

이득을 취할 수 있음

검토자는 연구 생애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피드백을 제공하고 리뷰를 위해 신용과 명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음

사서는 소급 형태가 아니라 연구 생애주기 큐레이터 데이터 관리 전문 지식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함

이용자는 학문적 주장에 대한 리뷰 및 주요 증거에 직접 접근 할 수 있음

모든 이해 관계자는 연구 생애주기가 포함하고 있는 연구의 동기와 그 결과를 공유할 수

있음

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CoS 홈페이지(출처 httpscosio)

CoS는 이런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학술 연구 생애주기 도구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도구와 개략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음

구분 설명

OSF(Open Science

Framework)

연구 과제 프로젝트 전체의 생애주기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공동 연구가 가능한 도구로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공개 DOI 부여 등의 기능과

함께 프로젝트 관리 저장소 관리 버전관리 파일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함

OSF Preprints OSF를 기반으로 프리 프린트 서버이자 서비스

OSF Meetings 공동 회의가 가능한 도구로 다양한 자료 업데이터와 직접 발표 회의자료의 자동

보관 등 기능을 제공함

OSF Institutions 대학과 같은 기관에서 기관 내의 프로젝트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도구

SHARE

CoS와 연구 도서관 협회(ARL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가 공동

개발한 도구

학술저작물 출판 프리프린트 출처관리 등이 가능하며 OSF Preprints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lt표 1gt CoS가 개발 보급하고 있는 오픈 사이언스 도구

OSF의 경우 개별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시작 일정관리 데이터 공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소통 아카이브 구축 출판까지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와 pre-print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음

이는 전통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벗어나 열린 환경에서 연구자가 연구 수행하고 열린

피드백을 수행하고 직접 혹은 pre-print 서비스를 통해서 결과를 공유할 수 있게 함

특히 COS의 preprints 서비스는 학문분야가 아닌 언어 국가별 아카이브로 확대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연구자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를 변화를 주도하고 있음

5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 COS(Center for Open Science)가 개발한 OSF Preprints가 전 세계의 다양한

Pre-print 서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재(2019년 3월) 29개 기관 및 서비스에서

2225371건의 학술 기사에 대한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lt표 2gt CoS Preprints 서비스 참여 현황

참여 현황(참여아키이브 명 (제공 건수))

OSF Preprints(6089) AfricArXiv(36) AgriXiv(110)

Arabixiv(154) arXiv(1317818) bioRxiv(31502)

Cogprints(285) EarthArXiv(681) EcoEvoRxiv(44)

ECSarXiv(38) engrXiv(442) FocUS Archive(38)

Frenxiv(36) INA-Rxiv(6851) LawArXiv(997)

LIS Scholarship Archive (150) MarXiv(345) MediArXiv(5)

MetaArXiv(39) MindRxiv(134) NutriXiv(29)

PaleorXiv(121) PeerJ(3626) Preprintsorg(8603)

PsyArXiv(4111) RePEc(799615) SocArXiv(3382)

SportRxiv(77) Thesis Commons(361)

- 특기할 만한 사항은 언어권별 대륙별 국가별 특화 아카이브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과

전통적인 아카이브인 arXiv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하는 양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임

4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

오픈 사이언스 도구의 핵심은 학술 연구와 관련한 모든 프로세스를 지원해 주는 데 있음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는 협력 개방에 기반한 새로운 학술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줌

대표적인 생애주기는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와 CoS의 OSF의 것임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가 제시하고 있는 모형은 오픈 사이언스 개념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활동 프로세스를 제시하는 쪽에 가깝지만 연구의 시작과 종료까지의 전체

과정을 개방과 공유의 개념을 도입하여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명주기로 해석이

가능함

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2]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의 생애주기(출처 httpswwwfosteropenscienceeucontentwhat-open-science-introduction)

각 생애주기에서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단계 수행내용

가설수립

(Hypothesis) 연구비 지원 기관의 요구사항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사용 권한 명확화

인용을 통한 신뢰도 부여

가공

(Processing)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및 오픈 인터페이스 활용

데이터 및 결과 저장

(Storing data and results)

서비스 인프라 사용

결과에 영구 식별자 부여

결과에 메타데이터 첨부

오픈 라이선스와 함께 메타데이터 발행

장기보존

(Long-term preservation)

자료의 보존 및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

표준 메타데이터 생성

출판 및 배포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오픈 라이선스를 포함한 메타데이터 발행

공개 평가

결과물 데이터 방법 간의 연결고리 보장

기관 저장소 사용

재사용(Reuse) 인용문 명확화

lt표 3gt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별 수행 내용

lt표 3gt에서 보는 것처럼 오픈 사이언스 지원을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이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함

7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한 유용한 도구에서 모든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현재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면 연구자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음

OSF는 학술 연구자에게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임

또한 OSF 생애주기는 외부의 다양한 생태계와 연동하여 운영됨으로써 다양한 학자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이 가능함

[그림 3] OSF의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출처 httpscosio)

OSF는 특정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출판 목적의 글쓰기 외에 개인 연구자 개인 연구자 간의

온라인 기반 저작활동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OSF가 갖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음

개인 연구자의 아이디어 발굴부터 출판까지 모든 과정을 포괄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의 다양한 외부 서비스 저장소와의 연결을 지원

데이터 큐레이션 부분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지원

모든 정보자원에 대한 버저닝 지원

Pre-Print Post-Print에 대한 DOI 부여 기능을 지원

OSF 생애주기 단계별로 연계를 갖고 있는 주요 서비스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Develop Idea

ZOTERO 무료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Standalone 버전과 웹 브라우저 MS-Office와 연동

Mendeley

논문 관리 공유 서지 관리 프로그램

문헌정보 관리 PDF 문서 읽기와 메모 달기 문서 관리 공유 기능

지원

Windows MAC OS X 리눅스 MS Word 리브레오피스

iOS 안드로이드 지원

Design Study DMP Tool 프로젝트 시작 전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 작성을 도화주는 도구

Acquire Material

Evernote

ChromeFireFox 아이폰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윈도우 OS

X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녹음 파일 첨부 사진 저장 저장한 메모에 대한 위치 정보 추가

태그에 따른 메모 분류 키워드에 따른 메모 검색 텍스트 이미지

및 링크를 포함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스크랩하는

클리핑 기능

PsychoPy 신경 과학 심리학 및 정신 물리학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으로 Python에서 작성 가능

Collect Data

Galaxy Project

생물학 분야 연구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재현을 지원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이용자는 쉽게 매개 변수를 지정하고 도구

및 워크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OpenSesame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그래픽 기반 오픈 소스 실험 도구

Psychophysics 반응 시간 작업 설문지 등 다양한 실험 설계

가능

플러그인 프레임 워크 및 Python 스크립팅을 사용하면 시선 추적기

응답 상자 및 병렬 포트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사용 가능

Analyze Data

웹 기반 저장장치 Google Drive One Drive DropBox 등 다양한 외부 저장장치

JASP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지원하는 오픈 소스 통계 처리 프로그램

Bitbucket

Git 코드 관리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팀단위 업무

수행 시 프로젝트 계획 코드 공동작성 테스트 및 배포 일괄 처리

가능

Interpret Findings TeX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많은 분야에서 논문 책자

발표 슬라이드 등 다양한 문서 작성을 위해 사용되며 수식 표현

하는 데 있어 강력함

Write Report

Dataverse

Project 오픈 소스 연구 데이터 저장소 소프트웨어

zenodo CERN이 후원하는 오픈 사이언스 지원 도구

NeuroVault 의학 분야의 MRI 및 PET 연구에서 생산한 통계자료 지도 등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

DRYAD 연구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고 학술문헌과 통합 가능한 디지털

저장소 서비스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

9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Publish Report

OJS 저널 관리 및 퍼블리싱 시스템

Ubiquity press 동료 평가를 거친 학술 저널 서적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

Search and

DiscoveryVIVO

오픈 소스 학술 연구 지원 온톨로지

학술 활동의 기록 편집 검색 탐색 및 시각화 지원

연구자의 학술 기록 연구 발견 전문가 찾기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영향 평가 지원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계속)

5 OSF 저작도구 서비스 화면

OSF는 저작도구이자 공유 개방 출판 도구로 학술 저작물 생산부터 출판 아카이브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함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 화면은 아래와 같음

신규 프로젝트 연구과제 등 생성 전체 프로젝트 현황 보기

위키기반 저작도구 프로젝트 전체 복사 활용 현황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4: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Vol 2 IT 기반 분야

1 데이터 기반 학술서비스

1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2 지능정보기술 기반 서비스

2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

CONTENTS

1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1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라는 중요한 목표 이용자와 결과물에 대한 서비스 지원을 위해

노력해 옴 오픈 사이언스는 새로운 열린 학술 연구 생태계를 대표하는 용어이며 관련 도구는

학술 출판 생애주기 전체를 지원함 데이터 중심의 개방 지향적 정보화 환경에서 도서관은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반에 대한 이해와 지원을 위한 서비스 시대에 대응

해야 함

1 정의

오픈 사이언스는 학술연구의 모든 과정을 개방하여 연구결과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연구 결과를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생태계를 구성하고자 하는 운동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의가 존재함

학술 연구의 과정은 물론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출판물 연구 데이터 소프트웨어 등에

비전문가 전문가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1)

디지털 기술과 새로운 협력도구를 활용하여 학술 연구에 있어서 협력 작업이 가능하게

하여 지식 확산이 가능케 하는 학술 연구 과정의 새로운 접근방법2)

공공의 자금 지원을 받는 연구 결과(최종 결과물 및 과정에서 성취한 연구 자료 전체)의

주요 산출물을 디지털 형식으로 공개적으로 개방하여 누구나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3)

다양한 정의들이 존재하지만 핵심 요소는 연구과정 및 결과에 대한 공유로 볼 수 있음

2 Open Science 등장까지의 흐름까지의 흐름

오픈 사이언스는 갑자기 등장한 운동이나 개념 보다는 정보통신 기술 발전 폐쇄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 구조가 야기한 부작용에 대한 반작용 오픈 데이터(Open Data) 오픈 거버넌트

(Open Government)와 같은 개방 흐름 학술정보와 데이터에 대한 지속적인 개방 요구가

지속되면서 등장한 현상임

1) Woelfle M Olliaro P amp Todd M H (2011) Open science is a research accelerator Nature Chemistry 3(10) 745

2) Innovation O (2016) Open Science Open to the Worldndasha vision for Europe European Comission

3) OECD (2015) Making open science a reality

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전통적인 정보관리 기관인 기억기관(memory institute)들은 기술의 발전과 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왔음

도서관 그 중에서도 대학도서관은 학술연구자 대상 서비스를 해오며 학술정보의 생산부터

최종 출판 출판물의 열람 전 과정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학술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

이용자의 요구 기술발전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음

도서관이 꾸준히 관심을 갖고 개선 노력에 참여하고 해 온 대표적인 것이 프리 프린트(PrePrints)

서비스와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연구 데이터 수집 개방을 위한 DMP(Data Management

Plan)임

우선 프리 프린트와 오픈 액세스에 대한 노력은 학술 연구 결과물에 대한 평가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도 내포하고 있음

이는 대표적인 평가 지표인 저널 영향 평가(Journal Impact Factor)가 연구 논문의 질을

평가하기에 어렵고

다양한 기관에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는 이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순수한 연구

이외에 다양한 부분을 고민하고 그 결과 비정상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과

자연스럽게 저널 구독 가격의 상승으로 연구 결과물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함

프리 프린트 오픈 액세스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수단 중의 하나이자 대표적인

사례로 도서관의 경우 기관 저장소(Institutional repository) 구축을 통해 연구자의

참여를 유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DMP는 연구 진행과정과 연구 완료 후에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기술한 문건을 말함

DMP는 프로젝트 시작 전(자금지원 과제 선택 시 등)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평가함

이에 최근 해외 학술 도서관(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교수middot연구자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연구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실제 DMP 작성 지원 데이터 관리 도구(소프트웨어

등) 지원 및 교육 등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음

위 두 가지를 대표적인 도서관의 노력으로 기술한 이유는 실 이용자인 학술 연구자가 특정

도구를 활용하여 실현해야하고 결과물을 다른 연구자 혹은 일반 이용자에게 웹 등을

기반으로 공개해야한다는 점 등 공통점을 갖고 있기 때문임

실제로 도서관에서는 학술 연구자의 연구성과물 관리를 위한 저장소 개발과 보급 DMP를

위한 교육과 도구 도입 및 관련 서비스 개발까지 수행하고 있음

3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학술 연구자에게는 이런 프로세스와 도구들이 연구를 시작하고 종료할 때 까지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들로 오픈 사이언스를 이런 모든 과정을 일원화하여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이 필요함

3 대표 사례 CoS(Center for Open Science)

CoS는 연구의 개방성 무결성 재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과 관련 서비스 시스템을 보급

하는 비영리 기구로 미래의 새로운 학술 공동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들의 비전은

다음과 같음

모든 학술 콘텐츠는 발견 증거의 축적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를 위해 저장 연결 버전

관리가 되어야 함

학술 서비스 제공자는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제어가 아닌 서비스 품질로 수익을 창출하고

경쟁해야 함

연구 기관은 연구 성과의 공표 출처가 아니라 발견 내용과 발견 과정 모두에 따라 연구자를

평가해야 함

연구비 제공자는 향후 연구비지원 우선순위를 연구결과물을 통해 얻을 수 있음

연구자는 성과물의 공표보다 빨리 입수하는 것을 우선하고 유용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다른 사람이 재사용 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하는 등 다양한 학술적 공헌을 통해 명성 등의

이득을 취할 수 있음

검토자는 연구 생애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피드백을 제공하고 리뷰를 위해 신용과 명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음

사서는 소급 형태가 아니라 연구 생애주기 큐레이터 데이터 관리 전문 지식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함

이용자는 학문적 주장에 대한 리뷰 및 주요 증거에 직접 접근 할 수 있음

모든 이해 관계자는 연구 생애주기가 포함하고 있는 연구의 동기와 그 결과를 공유할 수

있음

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CoS 홈페이지(출처 httpscosio)

CoS는 이런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학술 연구 생애주기 도구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도구와 개략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음

구분 설명

OSF(Open Science

Framework)

연구 과제 프로젝트 전체의 생애주기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공동 연구가 가능한 도구로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공개 DOI 부여 등의 기능과

함께 프로젝트 관리 저장소 관리 버전관리 파일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함

OSF Preprints OSF를 기반으로 프리 프린트 서버이자 서비스

OSF Meetings 공동 회의가 가능한 도구로 다양한 자료 업데이터와 직접 발표 회의자료의 자동

보관 등 기능을 제공함

OSF Institutions 대학과 같은 기관에서 기관 내의 프로젝트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도구

SHARE

CoS와 연구 도서관 협회(ARL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가 공동

개발한 도구

학술저작물 출판 프리프린트 출처관리 등이 가능하며 OSF Preprints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lt표 1gt CoS가 개발 보급하고 있는 오픈 사이언스 도구

OSF의 경우 개별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시작 일정관리 데이터 공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소통 아카이브 구축 출판까지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와 pre-print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음

이는 전통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벗어나 열린 환경에서 연구자가 연구 수행하고 열린

피드백을 수행하고 직접 혹은 pre-print 서비스를 통해서 결과를 공유할 수 있게 함

특히 COS의 preprints 서비스는 학문분야가 아닌 언어 국가별 아카이브로 확대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연구자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를 변화를 주도하고 있음

5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 COS(Center for Open Science)가 개발한 OSF Preprints가 전 세계의 다양한

Pre-print 서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재(2019년 3월) 29개 기관 및 서비스에서

2225371건의 학술 기사에 대한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lt표 2gt CoS Preprints 서비스 참여 현황

참여 현황(참여아키이브 명 (제공 건수))

OSF Preprints(6089) AfricArXiv(36) AgriXiv(110)

Arabixiv(154) arXiv(1317818) bioRxiv(31502)

Cogprints(285) EarthArXiv(681) EcoEvoRxiv(44)

ECSarXiv(38) engrXiv(442) FocUS Archive(38)

Frenxiv(36) INA-Rxiv(6851) LawArXiv(997)

LIS Scholarship Archive (150) MarXiv(345) MediArXiv(5)

MetaArXiv(39) MindRxiv(134) NutriXiv(29)

PaleorXiv(121) PeerJ(3626) Preprintsorg(8603)

PsyArXiv(4111) RePEc(799615) SocArXiv(3382)

SportRxiv(77) Thesis Commons(361)

- 특기할 만한 사항은 언어권별 대륙별 국가별 특화 아카이브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과

전통적인 아카이브인 arXiv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하는 양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임

4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

오픈 사이언스 도구의 핵심은 학술 연구와 관련한 모든 프로세스를 지원해 주는 데 있음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는 협력 개방에 기반한 새로운 학술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줌

대표적인 생애주기는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와 CoS의 OSF의 것임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가 제시하고 있는 모형은 오픈 사이언스 개념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활동 프로세스를 제시하는 쪽에 가깝지만 연구의 시작과 종료까지의 전체

과정을 개방과 공유의 개념을 도입하여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명주기로 해석이

가능함

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2]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의 생애주기(출처 httpswwwfosteropenscienceeucontentwhat-open-science-introduction)

각 생애주기에서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단계 수행내용

가설수립

(Hypothesis) 연구비 지원 기관의 요구사항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사용 권한 명확화

인용을 통한 신뢰도 부여

가공

(Processing)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및 오픈 인터페이스 활용

데이터 및 결과 저장

(Storing data and results)

서비스 인프라 사용

결과에 영구 식별자 부여

결과에 메타데이터 첨부

오픈 라이선스와 함께 메타데이터 발행

장기보존

(Long-term preservation)

자료의 보존 및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

표준 메타데이터 생성

출판 및 배포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오픈 라이선스를 포함한 메타데이터 발행

공개 평가

결과물 데이터 방법 간의 연결고리 보장

기관 저장소 사용

재사용(Reuse) 인용문 명확화

lt표 3gt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별 수행 내용

lt표 3gt에서 보는 것처럼 오픈 사이언스 지원을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이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함

7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한 유용한 도구에서 모든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현재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면 연구자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음

OSF는 학술 연구자에게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임

또한 OSF 생애주기는 외부의 다양한 생태계와 연동하여 운영됨으로써 다양한 학자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이 가능함

[그림 3] OSF의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출처 httpscosio)

OSF는 특정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출판 목적의 글쓰기 외에 개인 연구자 개인 연구자 간의

온라인 기반 저작활동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OSF가 갖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음

개인 연구자의 아이디어 발굴부터 출판까지 모든 과정을 포괄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의 다양한 외부 서비스 저장소와의 연결을 지원

데이터 큐레이션 부분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지원

모든 정보자원에 대한 버저닝 지원

Pre-Print Post-Print에 대한 DOI 부여 기능을 지원

OSF 생애주기 단계별로 연계를 갖고 있는 주요 서비스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Develop Idea

ZOTERO 무료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Standalone 버전과 웹 브라우저 MS-Office와 연동

Mendeley

논문 관리 공유 서지 관리 프로그램

문헌정보 관리 PDF 문서 읽기와 메모 달기 문서 관리 공유 기능

지원

Windows MAC OS X 리눅스 MS Word 리브레오피스

iOS 안드로이드 지원

Design Study DMP Tool 프로젝트 시작 전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 작성을 도화주는 도구

Acquire Material

Evernote

ChromeFireFox 아이폰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윈도우 OS

X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녹음 파일 첨부 사진 저장 저장한 메모에 대한 위치 정보 추가

태그에 따른 메모 분류 키워드에 따른 메모 검색 텍스트 이미지

및 링크를 포함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스크랩하는

클리핑 기능

PsychoPy 신경 과학 심리학 및 정신 물리학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으로 Python에서 작성 가능

Collect Data

Galaxy Project

생물학 분야 연구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재현을 지원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이용자는 쉽게 매개 변수를 지정하고 도구

및 워크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OpenSesame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그래픽 기반 오픈 소스 실험 도구

Psychophysics 반응 시간 작업 설문지 등 다양한 실험 설계

가능

플러그인 프레임 워크 및 Python 스크립팅을 사용하면 시선 추적기

응답 상자 및 병렬 포트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사용 가능

Analyze Data

웹 기반 저장장치 Google Drive One Drive DropBox 등 다양한 외부 저장장치

JASP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지원하는 오픈 소스 통계 처리 프로그램

Bitbucket

Git 코드 관리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팀단위 업무

수행 시 프로젝트 계획 코드 공동작성 테스트 및 배포 일괄 처리

가능

Interpret Findings TeX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많은 분야에서 논문 책자

발표 슬라이드 등 다양한 문서 작성을 위해 사용되며 수식 표현

하는 데 있어 강력함

Write Report

Dataverse

Project 오픈 소스 연구 데이터 저장소 소프트웨어

zenodo CERN이 후원하는 오픈 사이언스 지원 도구

NeuroVault 의학 분야의 MRI 및 PET 연구에서 생산한 통계자료 지도 등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

DRYAD 연구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고 학술문헌과 통합 가능한 디지털

저장소 서비스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

9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Publish Report

OJS 저널 관리 및 퍼블리싱 시스템

Ubiquity press 동료 평가를 거친 학술 저널 서적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

Search and

DiscoveryVIVO

오픈 소스 학술 연구 지원 온톨로지

학술 활동의 기록 편집 검색 탐색 및 시각화 지원

연구자의 학술 기록 연구 발견 전문가 찾기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영향 평가 지원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계속)

5 OSF 저작도구 서비스 화면

OSF는 저작도구이자 공유 개방 출판 도구로 학술 저작물 생산부터 출판 아카이브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함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 화면은 아래와 같음

신규 프로젝트 연구과제 등 생성 전체 프로젝트 현황 보기

위키기반 저작도구 프로젝트 전체 복사 활용 현황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5: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1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1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라는 중요한 목표 이용자와 결과물에 대한 서비스 지원을 위해

노력해 옴 오픈 사이언스는 새로운 열린 학술 연구 생태계를 대표하는 용어이며 관련 도구는

학술 출판 생애주기 전체를 지원함 데이터 중심의 개방 지향적 정보화 환경에서 도서관은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반에 대한 이해와 지원을 위한 서비스 시대에 대응

해야 함

1 정의

오픈 사이언스는 학술연구의 모든 과정을 개방하여 연구결과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연구 결과를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생태계를 구성하고자 하는 운동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의가 존재함

학술 연구의 과정은 물론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출판물 연구 데이터 소프트웨어 등에

비전문가 전문가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1)

디지털 기술과 새로운 협력도구를 활용하여 학술 연구에 있어서 협력 작업이 가능하게

하여 지식 확산이 가능케 하는 학술 연구 과정의 새로운 접근방법2)

공공의 자금 지원을 받는 연구 결과(최종 결과물 및 과정에서 성취한 연구 자료 전체)의

주요 산출물을 디지털 형식으로 공개적으로 개방하여 누구나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3)

다양한 정의들이 존재하지만 핵심 요소는 연구과정 및 결과에 대한 공유로 볼 수 있음

2 Open Science 등장까지의 흐름까지의 흐름

오픈 사이언스는 갑자기 등장한 운동이나 개념 보다는 정보통신 기술 발전 폐쇄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 구조가 야기한 부작용에 대한 반작용 오픈 데이터(Open Data) 오픈 거버넌트

(Open Government)와 같은 개방 흐름 학술정보와 데이터에 대한 지속적인 개방 요구가

지속되면서 등장한 현상임

1) Woelfle M Olliaro P amp Todd M H (2011) Open science is a research accelerator Nature Chemistry 3(10) 745

2) Innovation O (2016) Open Science Open to the Worldndasha vision for Europe European Comission

3) OECD (2015) Making open science a reality

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전통적인 정보관리 기관인 기억기관(memory institute)들은 기술의 발전과 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왔음

도서관 그 중에서도 대학도서관은 학술연구자 대상 서비스를 해오며 학술정보의 생산부터

최종 출판 출판물의 열람 전 과정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학술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

이용자의 요구 기술발전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음

도서관이 꾸준히 관심을 갖고 개선 노력에 참여하고 해 온 대표적인 것이 프리 프린트(PrePrints)

서비스와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연구 데이터 수집 개방을 위한 DMP(Data Management

Plan)임

우선 프리 프린트와 오픈 액세스에 대한 노력은 학술 연구 결과물에 대한 평가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도 내포하고 있음

이는 대표적인 평가 지표인 저널 영향 평가(Journal Impact Factor)가 연구 논문의 질을

평가하기에 어렵고

다양한 기관에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는 이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순수한 연구

이외에 다양한 부분을 고민하고 그 결과 비정상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과

자연스럽게 저널 구독 가격의 상승으로 연구 결과물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함

프리 프린트 오픈 액세스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수단 중의 하나이자 대표적인

사례로 도서관의 경우 기관 저장소(Institutional repository) 구축을 통해 연구자의

참여를 유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DMP는 연구 진행과정과 연구 완료 후에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기술한 문건을 말함

DMP는 프로젝트 시작 전(자금지원 과제 선택 시 등)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평가함

이에 최근 해외 학술 도서관(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교수middot연구자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연구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실제 DMP 작성 지원 데이터 관리 도구(소프트웨어

등) 지원 및 교육 등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음

위 두 가지를 대표적인 도서관의 노력으로 기술한 이유는 실 이용자인 학술 연구자가 특정

도구를 활용하여 실현해야하고 결과물을 다른 연구자 혹은 일반 이용자에게 웹 등을

기반으로 공개해야한다는 점 등 공통점을 갖고 있기 때문임

실제로 도서관에서는 학술 연구자의 연구성과물 관리를 위한 저장소 개발과 보급 DMP를

위한 교육과 도구 도입 및 관련 서비스 개발까지 수행하고 있음

3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학술 연구자에게는 이런 프로세스와 도구들이 연구를 시작하고 종료할 때 까지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들로 오픈 사이언스를 이런 모든 과정을 일원화하여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이 필요함

3 대표 사례 CoS(Center for Open Science)

CoS는 연구의 개방성 무결성 재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과 관련 서비스 시스템을 보급

하는 비영리 기구로 미래의 새로운 학술 공동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들의 비전은

다음과 같음

모든 학술 콘텐츠는 발견 증거의 축적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를 위해 저장 연결 버전

관리가 되어야 함

학술 서비스 제공자는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제어가 아닌 서비스 품질로 수익을 창출하고

경쟁해야 함

연구 기관은 연구 성과의 공표 출처가 아니라 발견 내용과 발견 과정 모두에 따라 연구자를

평가해야 함

연구비 제공자는 향후 연구비지원 우선순위를 연구결과물을 통해 얻을 수 있음

연구자는 성과물의 공표보다 빨리 입수하는 것을 우선하고 유용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다른 사람이 재사용 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하는 등 다양한 학술적 공헌을 통해 명성 등의

이득을 취할 수 있음

검토자는 연구 생애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피드백을 제공하고 리뷰를 위해 신용과 명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음

사서는 소급 형태가 아니라 연구 생애주기 큐레이터 데이터 관리 전문 지식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함

이용자는 학문적 주장에 대한 리뷰 및 주요 증거에 직접 접근 할 수 있음

모든 이해 관계자는 연구 생애주기가 포함하고 있는 연구의 동기와 그 결과를 공유할 수

있음

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CoS 홈페이지(출처 httpscosio)

CoS는 이런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학술 연구 생애주기 도구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도구와 개략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음

구분 설명

OSF(Open Science

Framework)

연구 과제 프로젝트 전체의 생애주기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공동 연구가 가능한 도구로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공개 DOI 부여 등의 기능과

함께 프로젝트 관리 저장소 관리 버전관리 파일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함

OSF Preprints OSF를 기반으로 프리 프린트 서버이자 서비스

OSF Meetings 공동 회의가 가능한 도구로 다양한 자료 업데이터와 직접 발표 회의자료의 자동

보관 등 기능을 제공함

OSF Institutions 대학과 같은 기관에서 기관 내의 프로젝트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도구

SHARE

CoS와 연구 도서관 협회(ARL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가 공동

개발한 도구

학술저작물 출판 프리프린트 출처관리 등이 가능하며 OSF Preprints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lt표 1gt CoS가 개발 보급하고 있는 오픈 사이언스 도구

OSF의 경우 개별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시작 일정관리 데이터 공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소통 아카이브 구축 출판까지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와 pre-print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음

이는 전통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벗어나 열린 환경에서 연구자가 연구 수행하고 열린

피드백을 수행하고 직접 혹은 pre-print 서비스를 통해서 결과를 공유할 수 있게 함

특히 COS의 preprints 서비스는 학문분야가 아닌 언어 국가별 아카이브로 확대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연구자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를 변화를 주도하고 있음

5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 COS(Center for Open Science)가 개발한 OSF Preprints가 전 세계의 다양한

Pre-print 서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재(2019년 3월) 29개 기관 및 서비스에서

2225371건의 학술 기사에 대한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lt표 2gt CoS Preprints 서비스 참여 현황

참여 현황(참여아키이브 명 (제공 건수))

OSF Preprints(6089) AfricArXiv(36) AgriXiv(110)

Arabixiv(154) arXiv(1317818) bioRxiv(31502)

Cogprints(285) EarthArXiv(681) EcoEvoRxiv(44)

ECSarXiv(38) engrXiv(442) FocUS Archive(38)

Frenxiv(36) INA-Rxiv(6851) LawArXiv(997)

LIS Scholarship Archive (150) MarXiv(345) MediArXiv(5)

MetaArXiv(39) MindRxiv(134) NutriXiv(29)

PaleorXiv(121) PeerJ(3626) Preprintsorg(8603)

PsyArXiv(4111) RePEc(799615) SocArXiv(3382)

SportRxiv(77) Thesis Commons(361)

- 특기할 만한 사항은 언어권별 대륙별 국가별 특화 아카이브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과

전통적인 아카이브인 arXiv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하는 양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임

4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

오픈 사이언스 도구의 핵심은 학술 연구와 관련한 모든 프로세스를 지원해 주는 데 있음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는 협력 개방에 기반한 새로운 학술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줌

대표적인 생애주기는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와 CoS의 OSF의 것임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가 제시하고 있는 모형은 오픈 사이언스 개념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활동 프로세스를 제시하는 쪽에 가깝지만 연구의 시작과 종료까지의 전체

과정을 개방과 공유의 개념을 도입하여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명주기로 해석이

가능함

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2]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의 생애주기(출처 httpswwwfosteropenscienceeucontentwhat-open-science-introduction)

각 생애주기에서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단계 수행내용

가설수립

(Hypothesis) 연구비 지원 기관의 요구사항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사용 권한 명확화

인용을 통한 신뢰도 부여

가공

(Processing)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및 오픈 인터페이스 활용

데이터 및 결과 저장

(Storing data and results)

서비스 인프라 사용

결과에 영구 식별자 부여

결과에 메타데이터 첨부

오픈 라이선스와 함께 메타데이터 발행

장기보존

(Long-term preservation)

자료의 보존 및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

표준 메타데이터 생성

출판 및 배포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오픈 라이선스를 포함한 메타데이터 발행

공개 평가

결과물 데이터 방법 간의 연결고리 보장

기관 저장소 사용

재사용(Reuse) 인용문 명확화

lt표 3gt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별 수행 내용

lt표 3gt에서 보는 것처럼 오픈 사이언스 지원을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이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함

7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한 유용한 도구에서 모든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현재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면 연구자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음

OSF는 학술 연구자에게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임

또한 OSF 생애주기는 외부의 다양한 생태계와 연동하여 운영됨으로써 다양한 학자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이 가능함

[그림 3] OSF의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출처 httpscosio)

OSF는 특정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출판 목적의 글쓰기 외에 개인 연구자 개인 연구자 간의

온라인 기반 저작활동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OSF가 갖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음

개인 연구자의 아이디어 발굴부터 출판까지 모든 과정을 포괄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의 다양한 외부 서비스 저장소와의 연결을 지원

데이터 큐레이션 부분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지원

모든 정보자원에 대한 버저닝 지원

Pre-Print Post-Print에 대한 DOI 부여 기능을 지원

OSF 생애주기 단계별로 연계를 갖고 있는 주요 서비스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Develop Idea

ZOTERO 무료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Standalone 버전과 웹 브라우저 MS-Office와 연동

Mendeley

논문 관리 공유 서지 관리 프로그램

문헌정보 관리 PDF 문서 읽기와 메모 달기 문서 관리 공유 기능

지원

Windows MAC OS X 리눅스 MS Word 리브레오피스

iOS 안드로이드 지원

Design Study DMP Tool 프로젝트 시작 전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 작성을 도화주는 도구

Acquire Material

Evernote

ChromeFireFox 아이폰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윈도우 OS

X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녹음 파일 첨부 사진 저장 저장한 메모에 대한 위치 정보 추가

태그에 따른 메모 분류 키워드에 따른 메모 검색 텍스트 이미지

및 링크를 포함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스크랩하는

클리핑 기능

PsychoPy 신경 과학 심리학 및 정신 물리학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으로 Python에서 작성 가능

Collect Data

Galaxy Project

생물학 분야 연구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재현을 지원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이용자는 쉽게 매개 변수를 지정하고 도구

및 워크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OpenSesame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그래픽 기반 오픈 소스 실험 도구

Psychophysics 반응 시간 작업 설문지 등 다양한 실험 설계

가능

플러그인 프레임 워크 및 Python 스크립팅을 사용하면 시선 추적기

응답 상자 및 병렬 포트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사용 가능

Analyze Data

웹 기반 저장장치 Google Drive One Drive DropBox 등 다양한 외부 저장장치

JASP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지원하는 오픈 소스 통계 처리 프로그램

Bitbucket

Git 코드 관리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팀단위 업무

수행 시 프로젝트 계획 코드 공동작성 테스트 및 배포 일괄 처리

가능

Interpret Findings TeX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많은 분야에서 논문 책자

발표 슬라이드 등 다양한 문서 작성을 위해 사용되며 수식 표현

하는 데 있어 강력함

Write Report

Dataverse

Project 오픈 소스 연구 데이터 저장소 소프트웨어

zenodo CERN이 후원하는 오픈 사이언스 지원 도구

NeuroVault 의학 분야의 MRI 및 PET 연구에서 생산한 통계자료 지도 등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

DRYAD 연구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고 학술문헌과 통합 가능한 디지털

저장소 서비스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

9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Publish Report

OJS 저널 관리 및 퍼블리싱 시스템

Ubiquity press 동료 평가를 거친 학술 저널 서적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

Search and

DiscoveryVIVO

오픈 소스 학술 연구 지원 온톨로지

학술 활동의 기록 편집 검색 탐색 및 시각화 지원

연구자의 학술 기록 연구 발견 전문가 찾기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영향 평가 지원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계속)

5 OSF 저작도구 서비스 화면

OSF는 저작도구이자 공유 개방 출판 도구로 학술 저작물 생산부터 출판 아카이브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함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 화면은 아래와 같음

신규 프로젝트 연구과제 등 생성 전체 프로젝트 현황 보기

위키기반 저작도구 프로젝트 전체 복사 활용 현황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6: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전통적인 정보관리 기관인 기억기관(memory institute)들은 기술의 발전과 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왔음

도서관 그 중에서도 대학도서관은 학술연구자 대상 서비스를 해오며 학술정보의 생산부터

최종 출판 출판물의 열람 전 과정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학술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

이용자의 요구 기술발전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음

도서관이 꾸준히 관심을 갖고 개선 노력에 참여하고 해 온 대표적인 것이 프리 프린트(PrePrints)

서비스와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연구 데이터 수집 개방을 위한 DMP(Data Management

Plan)임

우선 프리 프린트와 오픈 액세스에 대한 노력은 학술 연구 결과물에 대한 평가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도 내포하고 있음

이는 대표적인 평가 지표인 저널 영향 평가(Journal Impact Factor)가 연구 논문의 질을

평가하기에 어렵고

다양한 기관에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는 이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순수한 연구

이외에 다양한 부분을 고민하고 그 결과 비정상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과

자연스럽게 저널 구독 가격의 상승으로 연구 결과물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함

프리 프린트 오픈 액세스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수단 중의 하나이자 대표적인

사례로 도서관의 경우 기관 저장소(Institutional repository) 구축을 통해 연구자의

참여를 유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DMP는 연구 진행과정과 연구 완료 후에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기술한 문건을 말함

DMP는 프로젝트 시작 전(자금지원 과제 선택 시 등)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평가함

이에 최근 해외 학술 도서관(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교수middot연구자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연구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실제 DMP 작성 지원 데이터 관리 도구(소프트웨어

등) 지원 및 교육 등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음

위 두 가지를 대표적인 도서관의 노력으로 기술한 이유는 실 이용자인 학술 연구자가 특정

도구를 활용하여 실현해야하고 결과물을 다른 연구자 혹은 일반 이용자에게 웹 등을

기반으로 공개해야한다는 점 등 공통점을 갖고 있기 때문임

실제로 도서관에서는 학술 연구자의 연구성과물 관리를 위한 저장소 개발과 보급 DMP를

위한 교육과 도구 도입 및 관련 서비스 개발까지 수행하고 있음

3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학술 연구자에게는 이런 프로세스와 도구들이 연구를 시작하고 종료할 때 까지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들로 오픈 사이언스를 이런 모든 과정을 일원화하여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이 필요함

3 대표 사례 CoS(Center for Open Science)

CoS는 연구의 개방성 무결성 재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과 관련 서비스 시스템을 보급

하는 비영리 기구로 미래의 새로운 학술 공동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들의 비전은

다음과 같음

모든 학술 콘텐츠는 발견 증거의 축적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를 위해 저장 연결 버전

관리가 되어야 함

학술 서비스 제공자는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제어가 아닌 서비스 품질로 수익을 창출하고

경쟁해야 함

연구 기관은 연구 성과의 공표 출처가 아니라 발견 내용과 발견 과정 모두에 따라 연구자를

평가해야 함

연구비 제공자는 향후 연구비지원 우선순위를 연구결과물을 통해 얻을 수 있음

연구자는 성과물의 공표보다 빨리 입수하는 것을 우선하고 유용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다른 사람이 재사용 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하는 등 다양한 학술적 공헌을 통해 명성 등의

이득을 취할 수 있음

검토자는 연구 생애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피드백을 제공하고 리뷰를 위해 신용과 명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음

사서는 소급 형태가 아니라 연구 생애주기 큐레이터 데이터 관리 전문 지식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함

이용자는 학문적 주장에 대한 리뷰 및 주요 증거에 직접 접근 할 수 있음

모든 이해 관계자는 연구 생애주기가 포함하고 있는 연구의 동기와 그 결과를 공유할 수

있음

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CoS 홈페이지(출처 httpscosio)

CoS는 이런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학술 연구 생애주기 도구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도구와 개략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음

구분 설명

OSF(Open Science

Framework)

연구 과제 프로젝트 전체의 생애주기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공동 연구가 가능한 도구로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공개 DOI 부여 등의 기능과

함께 프로젝트 관리 저장소 관리 버전관리 파일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함

OSF Preprints OSF를 기반으로 프리 프린트 서버이자 서비스

OSF Meetings 공동 회의가 가능한 도구로 다양한 자료 업데이터와 직접 발표 회의자료의 자동

보관 등 기능을 제공함

OSF Institutions 대학과 같은 기관에서 기관 내의 프로젝트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도구

SHARE

CoS와 연구 도서관 협회(ARL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가 공동

개발한 도구

학술저작물 출판 프리프린트 출처관리 등이 가능하며 OSF Preprints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lt표 1gt CoS가 개발 보급하고 있는 오픈 사이언스 도구

OSF의 경우 개별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시작 일정관리 데이터 공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소통 아카이브 구축 출판까지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와 pre-print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음

이는 전통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벗어나 열린 환경에서 연구자가 연구 수행하고 열린

피드백을 수행하고 직접 혹은 pre-print 서비스를 통해서 결과를 공유할 수 있게 함

특히 COS의 preprints 서비스는 학문분야가 아닌 언어 국가별 아카이브로 확대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연구자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를 변화를 주도하고 있음

5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 COS(Center for Open Science)가 개발한 OSF Preprints가 전 세계의 다양한

Pre-print 서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재(2019년 3월) 29개 기관 및 서비스에서

2225371건의 학술 기사에 대한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lt표 2gt CoS Preprints 서비스 참여 현황

참여 현황(참여아키이브 명 (제공 건수))

OSF Preprints(6089) AfricArXiv(36) AgriXiv(110)

Arabixiv(154) arXiv(1317818) bioRxiv(31502)

Cogprints(285) EarthArXiv(681) EcoEvoRxiv(44)

ECSarXiv(38) engrXiv(442) FocUS Archive(38)

Frenxiv(36) INA-Rxiv(6851) LawArXiv(997)

LIS Scholarship Archive (150) MarXiv(345) MediArXiv(5)

MetaArXiv(39) MindRxiv(134) NutriXiv(29)

PaleorXiv(121) PeerJ(3626) Preprintsorg(8603)

PsyArXiv(4111) RePEc(799615) SocArXiv(3382)

SportRxiv(77) Thesis Commons(361)

- 특기할 만한 사항은 언어권별 대륙별 국가별 특화 아카이브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과

전통적인 아카이브인 arXiv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하는 양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임

4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

오픈 사이언스 도구의 핵심은 학술 연구와 관련한 모든 프로세스를 지원해 주는 데 있음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는 협력 개방에 기반한 새로운 학술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줌

대표적인 생애주기는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와 CoS의 OSF의 것임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가 제시하고 있는 모형은 오픈 사이언스 개념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활동 프로세스를 제시하는 쪽에 가깝지만 연구의 시작과 종료까지의 전체

과정을 개방과 공유의 개념을 도입하여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명주기로 해석이

가능함

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2]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의 생애주기(출처 httpswwwfosteropenscienceeucontentwhat-open-science-introduction)

각 생애주기에서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단계 수행내용

가설수립

(Hypothesis) 연구비 지원 기관의 요구사항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사용 권한 명확화

인용을 통한 신뢰도 부여

가공

(Processing)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및 오픈 인터페이스 활용

데이터 및 결과 저장

(Storing data and results)

서비스 인프라 사용

결과에 영구 식별자 부여

결과에 메타데이터 첨부

오픈 라이선스와 함께 메타데이터 발행

장기보존

(Long-term preservation)

자료의 보존 및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

표준 메타데이터 생성

출판 및 배포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오픈 라이선스를 포함한 메타데이터 발행

공개 평가

결과물 데이터 방법 간의 연결고리 보장

기관 저장소 사용

재사용(Reuse) 인용문 명확화

lt표 3gt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별 수행 내용

lt표 3gt에서 보는 것처럼 오픈 사이언스 지원을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이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함

7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한 유용한 도구에서 모든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현재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면 연구자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음

OSF는 학술 연구자에게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임

또한 OSF 생애주기는 외부의 다양한 생태계와 연동하여 운영됨으로써 다양한 학자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이 가능함

[그림 3] OSF의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출처 httpscosio)

OSF는 특정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출판 목적의 글쓰기 외에 개인 연구자 개인 연구자 간의

온라인 기반 저작활동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OSF가 갖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음

개인 연구자의 아이디어 발굴부터 출판까지 모든 과정을 포괄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의 다양한 외부 서비스 저장소와의 연결을 지원

데이터 큐레이션 부분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지원

모든 정보자원에 대한 버저닝 지원

Pre-Print Post-Print에 대한 DOI 부여 기능을 지원

OSF 생애주기 단계별로 연계를 갖고 있는 주요 서비스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Develop Idea

ZOTERO 무료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Standalone 버전과 웹 브라우저 MS-Office와 연동

Mendeley

논문 관리 공유 서지 관리 프로그램

문헌정보 관리 PDF 문서 읽기와 메모 달기 문서 관리 공유 기능

지원

Windows MAC OS X 리눅스 MS Word 리브레오피스

iOS 안드로이드 지원

Design Study DMP Tool 프로젝트 시작 전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 작성을 도화주는 도구

Acquire Material

Evernote

ChromeFireFox 아이폰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윈도우 OS

X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녹음 파일 첨부 사진 저장 저장한 메모에 대한 위치 정보 추가

태그에 따른 메모 분류 키워드에 따른 메모 검색 텍스트 이미지

및 링크를 포함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스크랩하는

클리핑 기능

PsychoPy 신경 과학 심리학 및 정신 물리학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으로 Python에서 작성 가능

Collect Data

Galaxy Project

생물학 분야 연구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재현을 지원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이용자는 쉽게 매개 변수를 지정하고 도구

및 워크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OpenSesame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그래픽 기반 오픈 소스 실험 도구

Psychophysics 반응 시간 작업 설문지 등 다양한 실험 설계

가능

플러그인 프레임 워크 및 Python 스크립팅을 사용하면 시선 추적기

응답 상자 및 병렬 포트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사용 가능

Analyze Data

웹 기반 저장장치 Google Drive One Drive DropBox 등 다양한 외부 저장장치

JASP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지원하는 오픈 소스 통계 처리 프로그램

Bitbucket

Git 코드 관리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팀단위 업무

수행 시 프로젝트 계획 코드 공동작성 테스트 및 배포 일괄 처리

가능

Interpret Findings TeX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많은 분야에서 논문 책자

발표 슬라이드 등 다양한 문서 작성을 위해 사용되며 수식 표현

하는 데 있어 강력함

Write Report

Dataverse

Project 오픈 소스 연구 데이터 저장소 소프트웨어

zenodo CERN이 후원하는 오픈 사이언스 지원 도구

NeuroVault 의학 분야의 MRI 및 PET 연구에서 생산한 통계자료 지도 등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

DRYAD 연구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고 학술문헌과 통합 가능한 디지털

저장소 서비스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

9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Publish Report

OJS 저널 관리 및 퍼블리싱 시스템

Ubiquity press 동료 평가를 거친 학술 저널 서적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

Search and

DiscoveryVIVO

오픈 소스 학술 연구 지원 온톨로지

학술 활동의 기록 편집 검색 탐색 및 시각화 지원

연구자의 학술 기록 연구 발견 전문가 찾기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영향 평가 지원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계속)

5 OSF 저작도구 서비스 화면

OSF는 저작도구이자 공유 개방 출판 도구로 학술 저작물 생산부터 출판 아카이브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함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 화면은 아래와 같음

신규 프로젝트 연구과제 등 생성 전체 프로젝트 현황 보기

위키기반 저작도구 프로젝트 전체 복사 활용 현황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7: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3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학술 연구자에게는 이런 프로세스와 도구들이 연구를 시작하고 종료할 때 까지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들로 오픈 사이언스를 이런 모든 과정을 일원화하여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이 필요함

3 대표 사례 CoS(Center for Open Science)

CoS는 연구의 개방성 무결성 재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과 관련 서비스 시스템을 보급

하는 비영리 기구로 미래의 새로운 학술 공동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들의 비전은

다음과 같음

모든 학술 콘텐츠는 발견 증거의 축적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를 위해 저장 연결 버전

관리가 되어야 함

학술 서비스 제공자는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제어가 아닌 서비스 품질로 수익을 창출하고

경쟁해야 함

연구 기관은 연구 성과의 공표 출처가 아니라 발견 내용과 발견 과정 모두에 따라 연구자를

평가해야 함

연구비 제공자는 향후 연구비지원 우선순위를 연구결과물을 통해 얻을 수 있음

연구자는 성과물의 공표보다 빨리 입수하는 것을 우선하고 유용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다른 사람이 재사용 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하는 등 다양한 학술적 공헌을 통해 명성 등의

이득을 취할 수 있음

검토자는 연구 생애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피드백을 제공하고 리뷰를 위해 신용과 명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음

사서는 소급 형태가 아니라 연구 생애주기 큐레이터 데이터 관리 전문 지식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함

이용자는 학문적 주장에 대한 리뷰 및 주요 증거에 직접 접근 할 수 있음

모든 이해 관계자는 연구 생애주기가 포함하고 있는 연구의 동기와 그 결과를 공유할 수

있음

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CoS 홈페이지(출처 httpscosio)

CoS는 이런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학술 연구 생애주기 도구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도구와 개략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음

구분 설명

OSF(Open Science

Framework)

연구 과제 프로젝트 전체의 생애주기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공동 연구가 가능한 도구로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공개 DOI 부여 등의 기능과

함께 프로젝트 관리 저장소 관리 버전관리 파일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함

OSF Preprints OSF를 기반으로 프리 프린트 서버이자 서비스

OSF Meetings 공동 회의가 가능한 도구로 다양한 자료 업데이터와 직접 발표 회의자료의 자동

보관 등 기능을 제공함

OSF Institutions 대학과 같은 기관에서 기관 내의 프로젝트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도구

SHARE

CoS와 연구 도서관 협회(ARL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가 공동

개발한 도구

학술저작물 출판 프리프린트 출처관리 등이 가능하며 OSF Preprints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lt표 1gt CoS가 개발 보급하고 있는 오픈 사이언스 도구

OSF의 경우 개별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시작 일정관리 데이터 공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소통 아카이브 구축 출판까지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와 pre-print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음

이는 전통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벗어나 열린 환경에서 연구자가 연구 수행하고 열린

피드백을 수행하고 직접 혹은 pre-print 서비스를 통해서 결과를 공유할 수 있게 함

특히 COS의 preprints 서비스는 학문분야가 아닌 언어 국가별 아카이브로 확대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연구자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를 변화를 주도하고 있음

5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 COS(Center for Open Science)가 개발한 OSF Preprints가 전 세계의 다양한

Pre-print 서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재(2019년 3월) 29개 기관 및 서비스에서

2225371건의 학술 기사에 대한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lt표 2gt CoS Preprints 서비스 참여 현황

참여 현황(참여아키이브 명 (제공 건수))

OSF Preprints(6089) AfricArXiv(36) AgriXiv(110)

Arabixiv(154) arXiv(1317818) bioRxiv(31502)

Cogprints(285) EarthArXiv(681) EcoEvoRxiv(44)

ECSarXiv(38) engrXiv(442) FocUS Archive(38)

Frenxiv(36) INA-Rxiv(6851) LawArXiv(997)

LIS Scholarship Archive (150) MarXiv(345) MediArXiv(5)

MetaArXiv(39) MindRxiv(134) NutriXiv(29)

PaleorXiv(121) PeerJ(3626) Preprintsorg(8603)

PsyArXiv(4111) RePEc(799615) SocArXiv(3382)

SportRxiv(77) Thesis Commons(361)

- 특기할 만한 사항은 언어권별 대륙별 국가별 특화 아카이브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과

전통적인 아카이브인 arXiv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하는 양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임

4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

오픈 사이언스 도구의 핵심은 학술 연구와 관련한 모든 프로세스를 지원해 주는 데 있음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는 협력 개방에 기반한 새로운 학술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줌

대표적인 생애주기는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와 CoS의 OSF의 것임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가 제시하고 있는 모형은 오픈 사이언스 개념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활동 프로세스를 제시하는 쪽에 가깝지만 연구의 시작과 종료까지의 전체

과정을 개방과 공유의 개념을 도입하여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명주기로 해석이

가능함

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2]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의 생애주기(출처 httpswwwfosteropenscienceeucontentwhat-open-science-introduction)

각 생애주기에서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단계 수행내용

가설수립

(Hypothesis) 연구비 지원 기관의 요구사항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사용 권한 명확화

인용을 통한 신뢰도 부여

가공

(Processing)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및 오픈 인터페이스 활용

데이터 및 결과 저장

(Storing data and results)

서비스 인프라 사용

결과에 영구 식별자 부여

결과에 메타데이터 첨부

오픈 라이선스와 함께 메타데이터 발행

장기보존

(Long-term preservation)

자료의 보존 및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

표준 메타데이터 생성

출판 및 배포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오픈 라이선스를 포함한 메타데이터 발행

공개 평가

결과물 데이터 방법 간의 연결고리 보장

기관 저장소 사용

재사용(Reuse) 인용문 명확화

lt표 3gt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별 수행 내용

lt표 3gt에서 보는 것처럼 오픈 사이언스 지원을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이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함

7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한 유용한 도구에서 모든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현재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면 연구자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음

OSF는 학술 연구자에게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임

또한 OSF 생애주기는 외부의 다양한 생태계와 연동하여 운영됨으로써 다양한 학자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이 가능함

[그림 3] OSF의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출처 httpscosio)

OSF는 특정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출판 목적의 글쓰기 외에 개인 연구자 개인 연구자 간의

온라인 기반 저작활동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OSF가 갖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음

개인 연구자의 아이디어 발굴부터 출판까지 모든 과정을 포괄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의 다양한 외부 서비스 저장소와의 연결을 지원

데이터 큐레이션 부분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지원

모든 정보자원에 대한 버저닝 지원

Pre-Print Post-Print에 대한 DOI 부여 기능을 지원

OSF 생애주기 단계별로 연계를 갖고 있는 주요 서비스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Develop Idea

ZOTERO 무료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Standalone 버전과 웹 브라우저 MS-Office와 연동

Mendeley

논문 관리 공유 서지 관리 프로그램

문헌정보 관리 PDF 문서 읽기와 메모 달기 문서 관리 공유 기능

지원

Windows MAC OS X 리눅스 MS Word 리브레오피스

iOS 안드로이드 지원

Design Study DMP Tool 프로젝트 시작 전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 작성을 도화주는 도구

Acquire Material

Evernote

ChromeFireFox 아이폰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윈도우 OS

X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녹음 파일 첨부 사진 저장 저장한 메모에 대한 위치 정보 추가

태그에 따른 메모 분류 키워드에 따른 메모 검색 텍스트 이미지

및 링크를 포함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스크랩하는

클리핑 기능

PsychoPy 신경 과학 심리학 및 정신 물리학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으로 Python에서 작성 가능

Collect Data

Galaxy Project

생물학 분야 연구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재현을 지원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이용자는 쉽게 매개 변수를 지정하고 도구

및 워크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OpenSesame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그래픽 기반 오픈 소스 실험 도구

Psychophysics 반응 시간 작업 설문지 등 다양한 실험 설계

가능

플러그인 프레임 워크 및 Python 스크립팅을 사용하면 시선 추적기

응답 상자 및 병렬 포트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사용 가능

Analyze Data

웹 기반 저장장치 Google Drive One Drive DropBox 등 다양한 외부 저장장치

JASP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지원하는 오픈 소스 통계 처리 프로그램

Bitbucket

Git 코드 관리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팀단위 업무

수행 시 프로젝트 계획 코드 공동작성 테스트 및 배포 일괄 처리

가능

Interpret Findings TeX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많은 분야에서 논문 책자

발표 슬라이드 등 다양한 문서 작성을 위해 사용되며 수식 표현

하는 데 있어 강력함

Write Report

Dataverse

Project 오픈 소스 연구 데이터 저장소 소프트웨어

zenodo CERN이 후원하는 오픈 사이언스 지원 도구

NeuroVault 의학 분야의 MRI 및 PET 연구에서 생산한 통계자료 지도 등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

DRYAD 연구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고 학술문헌과 통합 가능한 디지털

저장소 서비스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

9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Publish Report

OJS 저널 관리 및 퍼블리싱 시스템

Ubiquity press 동료 평가를 거친 학술 저널 서적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

Search and

DiscoveryVIVO

오픈 소스 학술 연구 지원 온톨로지

학술 활동의 기록 편집 검색 탐색 및 시각화 지원

연구자의 학술 기록 연구 발견 전문가 찾기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영향 평가 지원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계속)

5 OSF 저작도구 서비스 화면

OSF는 저작도구이자 공유 개방 출판 도구로 학술 저작물 생산부터 출판 아카이브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함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 화면은 아래와 같음

신규 프로젝트 연구과제 등 생성 전체 프로젝트 현황 보기

위키기반 저작도구 프로젝트 전체 복사 활용 현황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8: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CoS 홈페이지(출처 httpscosio)

CoS는 이런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학술 연구 생애주기 도구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도구와 개략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음

구분 설명

OSF(Open Science

Framework)

연구 과제 프로젝트 전체의 생애주기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공동 연구가 가능한 도구로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공개 DOI 부여 등의 기능과

함께 프로젝트 관리 저장소 관리 버전관리 파일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함

OSF Preprints OSF를 기반으로 프리 프린트 서버이자 서비스

OSF Meetings 공동 회의가 가능한 도구로 다양한 자료 업데이터와 직접 발표 회의자료의 자동

보관 등 기능을 제공함

OSF Institutions 대학과 같은 기관에서 기관 내의 프로젝트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도구

SHARE

CoS와 연구 도서관 협회(ARL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가 공동

개발한 도구

학술저작물 출판 프리프린트 출처관리 등이 가능하며 OSF Preprints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lt표 1gt CoS가 개발 보급하고 있는 오픈 사이언스 도구

OSF의 경우 개별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시작 일정관리 데이터 공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소통 아카이브 구축 출판까지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와 pre-print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음

이는 전통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벗어나 열린 환경에서 연구자가 연구 수행하고 열린

피드백을 수행하고 직접 혹은 pre-print 서비스를 통해서 결과를 공유할 수 있게 함

특히 COS의 preprints 서비스는 학문분야가 아닌 언어 국가별 아카이브로 확대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연구자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를 변화를 주도하고 있음

5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 COS(Center for Open Science)가 개발한 OSF Preprints가 전 세계의 다양한

Pre-print 서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재(2019년 3월) 29개 기관 및 서비스에서

2225371건의 학술 기사에 대한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lt표 2gt CoS Preprints 서비스 참여 현황

참여 현황(참여아키이브 명 (제공 건수))

OSF Preprints(6089) AfricArXiv(36) AgriXiv(110)

Arabixiv(154) arXiv(1317818) bioRxiv(31502)

Cogprints(285) EarthArXiv(681) EcoEvoRxiv(44)

ECSarXiv(38) engrXiv(442) FocUS Archive(38)

Frenxiv(36) INA-Rxiv(6851) LawArXiv(997)

LIS Scholarship Archive (150) MarXiv(345) MediArXiv(5)

MetaArXiv(39) MindRxiv(134) NutriXiv(29)

PaleorXiv(121) PeerJ(3626) Preprintsorg(8603)

PsyArXiv(4111) RePEc(799615) SocArXiv(3382)

SportRxiv(77) Thesis Commons(361)

- 특기할 만한 사항은 언어권별 대륙별 국가별 특화 아카이브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과

전통적인 아카이브인 arXiv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하는 양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임

4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

오픈 사이언스 도구의 핵심은 학술 연구와 관련한 모든 프로세스를 지원해 주는 데 있음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는 협력 개방에 기반한 새로운 학술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줌

대표적인 생애주기는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와 CoS의 OSF의 것임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가 제시하고 있는 모형은 오픈 사이언스 개념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활동 프로세스를 제시하는 쪽에 가깝지만 연구의 시작과 종료까지의 전체

과정을 개방과 공유의 개념을 도입하여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명주기로 해석이

가능함

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2]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의 생애주기(출처 httpswwwfosteropenscienceeucontentwhat-open-science-introduction)

각 생애주기에서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단계 수행내용

가설수립

(Hypothesis) 연구비 지원 기관의 요구사항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사용 권한 명확화

인용을 통한 신뢰도 부여

가공

(Processing)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및 오픈 인터페이스 활용

데이터 및 결과 저장

(Storing data and results)

서비스 인프라 사용

결과에 영구 식별자 부여

결과에 메타데이터 첨부

오픈 라이선스와 함께 메타데이터 발행

장기보존

(Long-term preservation)

자료의 보존 및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

표준 메타데이터 생성

출판 및 배포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오픈 라이선스를 포함한 메타데이터 발행

공개 평가

결과물 데이터 방법 간의 연결고리 보장

기관 저장소 사용

재사용(Reuse) 인용문 명확화

lt표 3gt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별 수행 내용

lt표 3gt에서 보는 것처럼 오픈 사이언스 지원을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이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함

7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한 유용한 도구에서 모든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현재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면 연구자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음

OSF는 학술 연구자에게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임

또한 OSF 생애주기는 외부의 다양한 생태계와 연동하여 운영됨으로써 다양한 학자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이 가능함

[그림 3] OSF의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출처 httpscosio)

OSF는 특정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출판 목적의 글쓰기 외에 개인 연구자 개인 연구자 간의

온라인 기반 저작활동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OSF가 갖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음

개인 연구자의 아이디어 발굴부터 출판까지 모든 과정을 포괄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의 다양한 외부 서비스 저장소와의 연결을 지원

데이터 큐레이션 부분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지원

모든 정보자원에 대한 버저닝 지원

Pre-Print Post-Print에 대한 DOI 부여 기능을 지원

OSF 생애주기 단계별로 연계를 갖고 있는 주요 서비스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Develop Idea

ZOTERO 무료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Standalone 버전과 웹 브라우저 MS-Office와 연동

Mendeley

논문 관리 공유 서지 관리 프로그램

문헌정보 관리 PDF 문서 읽기와 메모 달기 문서 관리 공유 기능

지원

Windows MAC OS X 리눅스 MS Word 리브레오피스

iOS 안드로이드 지원

Design Study DMP Tool 프로젝트 시작 전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 작성을 도화주는 도구

Acquire Material

Evernote

ChromeFireFox 아이폰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윈도우 OS

X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녹음 파일 첨부 사진 저장 저장한 메모에 대한 위치 정보 추가

태그에 따른 메모 분류 키워드에 따른 메모 검색 텍스트 이미지

및 링크를 포함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스크랩하는

클리핑 기능

PsychoPy 신경 과학 심리학 및 정신 물리학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으로 Python에서 작성 가능

Collect Data

Galaxy Project

생물학 분야 연구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재현을 지원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이용자는 쉽게 매개 변수를 지정하고 도구

및 워크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OpenSesame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그래픽 기반 오픈 소스 실험 도구

Psychophysics 반응 시간 작업 설문지 등 다양한 실험 설계

가능

플러그인 프레임 워크 및 Python 스크립팅을 사용하면 시선 추적기

응답 상자 및 병렬 포트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사용 가능

Analyze Data

웹 기반 저장장치 Google Drive One Drive DropBox 등 다양한 외부 저장장치

JASP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지원하는 오픈 소스 통계 처리 프로그램

Bitbucket

Git 코드 관리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팀단위 업무

수행 시 프로젝트 계획 코드 공동작성 테스트 및 배포 일괄 처리

가능

Interpret Findings TeX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많은 분야에서 논문 책자

발표 슬라이드 등 다양한 문서 작성을 위해 사용되며 수식 표현

하는 데 있어 강력함

Write Report

Dataverse

Project 오픈 소스 연구 데이터 저장소 소프트웨어

zenodo CERN이 후원하는 오픈 사이언스 지원 도구

NeuroVault 의학 분야의 MRI 및 PET 연구에서 생산한 통계자료 지도 등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

DRYAD 연구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고 학술문헌과 통합 가능한 디지털

저장소 서비스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

9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Publish Report

OJS 저널 관리 및 퍼블리싱 시스템

Ubiquity press 동료 평가를 거친 학술 저널 서적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

Search and

DiscoveryVIVO

오픈 소스 학술 연구 지원 온톨로지

학술 활동의 기록 편집 검색 탐색 및 시각화 지원

연구자의 학술 기록 연구 발견 전문가 찾기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영향 평가 지원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계속)

5 OSF 저작도구 서비스 화면

OSF는 저작도구이자 공유 개방 출판 도구로 학술 저작물 생산부터 출판 아카이브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함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 화면은 아래와 같음

신규 프로젝트 연구과제 등 생성 전체 프로젝트 현황 보기

위키기반 저작도구 프로젝트 전체 복사 활용 현황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9: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5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 COS(Center for Open Science)가 개발한 OSF Preprints가 전 세계의 다양한

Pre-print 서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재(2019년 3월) 29개 기관 및 서비스에서

2225371건의 학술 기사에 대한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lt표 2gt CoS Preprints 서비스 참여 현황

참여 현황(참여아키이브 명 (제공 건수))

OSF Preprints(6089) AfricArXiv(36) AgriXiv(110)

Arabixiv(154) arXiv(1317818) bioRxiv(31502)

Cogprints(285) EarthArXiv(681) EcoEvoRxiv(44)

ECSarXiv(38) engrXiv(442) FocUS Archive(38)

Frenxiv(36) INA-Rxiv(6851) LawArXiv(997)

LIS Scholarship Archive (150) MarXiv(345) MediArXiv(5)

MetaArXiv(39) MindRxiv(134) NutriXiv(29)

PaleorXiv(121) PeerJ(3626) Preprintsorg(8603)

PsyArXiv(4111) RePEc(799615) SocArXiv(3382)

SportRxiv(77) Thesis Commons(361)

- 특기할 만한 사항은 언어권별 대륙별 국가별 특화 아카이브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과

전통적인 아카이브인 arXiv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하는 양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임

4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

오픈 사이언스 도구의 핵심은 학술 연구와 관련한 모든 프로세스를 지원해 주는 데 있음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는 협력 개방에 기반한 새로운 학술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줌

대표적인 생애주기는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와 CoS의 OSF의 것임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가 제시하고 있는 모형은 오픈 사이언스 개념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활동 프로세스를 제시하는 쪽에 가깝지만 연구의 시작과 종료까지의 전체

과정을 개방과 공유의 개념을 도입하여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명주기로 해석이

가능함

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2]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의 생애주기(출처 httpswwwfosteropenscienceeucontentwhat-open-science-introduction)

각 생애주기에서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단계 수행내용

가설수립

(Hypothesis) 연구비 지원 기관의 요구사항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사용 권한 명확화

인용을 통한 신뢰도 부여

가공

(Processing)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및 오픈 인터페이스 활용

데이터 및 결과 저장

(Storing data and results)

서비스 인프라 사용

결과에 영구 식별자 부여

결과에 메타데이터 첨부

오픈 라이선스와 함께 메타데이터 발행

장기보존

(Long-term preservation)

자료의 보존 및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

표준 메타데이터 생성

출판 및 배포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오픈 라이선스를 포함한 메타데이터 발행

공개 평가

결과물 데이터 방법 간의 연결고리 보장

기관 저장소 사용

재사용(Reuse) 인용문 명확화

lt표 3gt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별 수행 내용

lt표 3gt에서 보는 것처럼 오픈 사이언스 지원을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이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함

7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한 유용한 도구에서 모든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현재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면 연구자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음

OSF는 학술 연구자에게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임

또한 OSF 생애주기는 외부의 다양한 생태계와 연동하여 운영됨으로써 다양한 학자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이 가능함

[그림 3] OSF의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출처 httpscosio)

OSF는 특정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출판 목적의 글쓰기 외에 개인 연구자 개인 연구자 간의

온라인 기반 저작활동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OSF가 갖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음

개인 연구자의 아이디어 발굴부터 출판까지 모든 과정을 포괄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의 다양한 외부 서비스 저장소와의 연결을 지원

데이터 큐레이션 부분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지원

모든 정보자원에 대한 버저닝 지원

Pre-Print Post-Print에 대한 DOI 부여 기능을 지원

OSF 생애주기 단계별로 연계를 갖고 있는 주요 서비스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Develop Idea

ZOTERO 무료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Standalone 버전과 웹 브라우저 MS-Office와 연동

Mendeley

논문 관리 공유 서지 관리 프로그램

문헌정보 관리 PDF 문서 읽기와 메모 달기 문서 관리 공유 기능

지원

Windows MAC OS X 리눅스 MS Word 리브레오피스

iOS 안드로이드 지원

Design Study DMP Tool 프로젝트 시작 전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 작성을 도화주는 도구

Acquire Material

Evernote

ChromeFireFox 아이폰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윈도우 OS

X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녹음 파일 첨부 사진 저장 저장한 메모에 대한 위치 정보 추가

태그에 따른 메모 분류 키워드에 따른 메모 검색 텍스트 이미지

및 링크를 포함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스크랩하는

클리핑 기능

PsychoPy 신경 과학 심리학 및 정신 물리학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으로 Python에서 작성 가능

Collect Data

Galaxy Project

생물학 분야 연구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재현을 지원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이용자는 쉽게 매개 변수를 지정하고 도구

및 워크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OpenSesame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그래픽 기반 오픈 소스 실험 도구

Psychophysics 반응 시간 작업 설문지 등 다양한 실험 설계

가능

플러그인 프레임 워크 및 Python 스크립팅을 사용하면 시선 추적기

응답 상자 및 병렬 포트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사용 가능

Analyze Data

웹 기반 저장장치 Google Drive One Drive DropBox 등 다양한 외부 저장장치

JASP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지원하는 오픈 소스 통계 처리 프로그램

Bitbucket

Git 코드 관리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팀단위 업무

수행 시 프로젝트 계획 코드 공동작성 테스트 및 배포 일괄 처리

가능

Interpret Findings TeX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많은 분야에서 논문 책자

발표 슬라이드 등 다양한 문서 작성을 위해 사용되며 수식 표현

하는 데 있어 강력함

Write Report

Dataverse

Project 오픈 소스 연구 데이터 저장소 소프트웨어

zenodo CERN이 후원하는 오픈 사이언스 지원 도구

NeuroVault 의학 분야의 MRI 및 PET 연구에서 생산한 통계자료 지도 등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

DRYAD 연구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고 학술문헌과 통합 가능한 디지털

저장소 서비스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

9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Publish Report

OJS 저널 관리 및 퍼블리싱 시스템

Ubiquity press 동료 평가를 거친 학술 저널 서적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

Search and

DiscoveryVIVO

오픈 소스 학술 연구 지원 온톨로지

학술 활동의 기록 편집 검색 탐색 및 시각화 지원

연구자의 학술 기록 연구 발견 전문가 찾기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영향 평가 지원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계속)

5 OSF 저작도구 서비스 화면

OSF는 저작도구이자 공유 개방 출판 도구로 학술 저작물 생산부터 출판 아카이브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함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 화면은 아래와 같음

신규 프로젝트 연구과제 등 생성 전체 프로젝트 현황 보기

위키기반 저작도구 프로젝트 전체 복사 활용 현황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10: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2] Open Science and Research Initiative의 생애주기(출처 httpswwwfosteropenscienceeucontentwhat-open-science-introduction)

각 생애주기에서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단계 수행내용

가설수립

(Hypothesis) 연구비 지원 기관의 요구사항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사용 권한 명확화

인용을 통한 신뢰도 부여

가공

(Processing)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및 오픈 인터페이스 활용

데이터 및 결과 저장

(Storing data and results)

서비스 인프라 사용

결과에 영구 식별자 부여

결과에 메타데이터 첨부

오픈 라이선스와 함께 메타데이터 발행

장기보존

(Long-term preservation)

자료의 보존 및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

표준 메타데이터 생성

출판 및 배포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오픈 라이선스를 포함한 메타데이터 발행

공개 평가

결과물 데이터 방법 간의 연결고리 보장

기관 저장소 사용

재사용(Reuse) 인용문 명확화

lt표 3gt 오픈 사이언스 생애주기별 수행 내용

lt표 3gt에서 보는 것처럼 오픈 사이언스 지원을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이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함

7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한 유용한 도구에서 모든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현재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면 연구자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음

OSF는 학술 연구자에게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임

또한 OSF 생애주기는 외부의 다양한 생태계와 연동하여 운영됨으로써 다양한 학자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이 가능함

[그림 3] OSF의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출처 httpscosio)

OSF는 특정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출판 목적의 글쓰기 외에 개인 연구자 개인 연구자 간의

온라인 기반 저작활동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OSF가 갖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음

개인 연구자의 아이디어 발굴부터 출판까지 모든 과정을 포괄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의 다양한 외부 서비스 저장소와의 연결을 지원

데이터 큐레이션 부분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지원

모든 정보자원에 대한 버저닝 지원

Pre-Print Post-Print에 대한 DOI 부여 기능을 지원

OSF 생애주기 단계별로 연계를 갖고 있는 주요 서비스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Develop Idea

ZOTERO 무료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Standalone 버전과 웹 브라우저 MS-Office와 연동

Mendeley

논문 관리 공유 서지 관리 프로그램

문헌정보 관리 PDF 문서 읽기와 메모 달기 문서 관리 공유 기능

지원

Windows MAC OS X 리눅스 MS Word 리브레오피스

iOS 안드로이드 지원

Design Study DMP Tool 프로젝트 시작 전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 작성을 도화주는 도구

Acquire Material

Evernote

ChromeFireFox 아이폰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윈도우 OS

X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녹음 파일 첨부 사진 저장 저장한 메모에 대한 위치 정보 추가

태그에 따른 메모 분류 키워드에 따른 메모 검색 텍스트 이미지

및 링크를 포함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스크랩하는

클리핑 기능

PsychoPy 신경 과학 심리학 및 정신 물리학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으로 Python에서 작성 가능

Collect Data

Galaxy Project

생물학 분야 연구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재현을 지원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이용자는 쉽게 매개 변수를 지정하고 도구

및 워크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OpenSesame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그래픽 기반 오픈 소스 실험 도구

Psychophysics 반응 시간 작업 설문지 등 다양한 실험 설계

가능

플러그인 프레임 워크 및 Python 스크립팅을 사용하면 시선 추적기

응답 상자 및 병렬 포트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사용 가능

Analyze Data

웹 기반 저장장치 Google Drive One Drive DropBox 등 다양한 외부 저장장치

JASP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지원하는 오픈 소스 통계 처리 프로그램

Bitbucket

Git 코드 관리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팀단위 업무

수행 시 프로젝트 계획 코드 공동작성 테스트 및 배포 일괄 처리

가능

Interpret Findings TeX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많은 분야에서 논문 책자

발표 슬라이드 등 다양한 문서 작성을 위해 사용되며 수식 표현

하는 데 있어 강력함

Write Report

Dataverse

Project 오픈 소스 연구 데이터 저장소 소프트웨어

zenodo CERN이 후원하는 오픈 사이언스 지원 도구

NeuroVault 의학 분야의 MRI 및 PET 연구에서 생산한 통계자료 지도 등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

DRYAD 연구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고 학술문헌과 통합 가능한 디지털

저장소 서비스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

9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Publish Report

OJS 저널 관리 및 퍼블리싱 시스템

Ubiquity press 동료 평가를 거친 학술 저널 서적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

Search and

DiscoveryVIVO

오픈 소스 학술 연구 지원 온톨로지

학술 활동의 기록 편집 검색 탐색 및 시각화 지원

연구자의 학술 기록 연구 발견 전문가 찾기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영향 평가 지원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계속)

5 OSF 저작도구 서비스 화면

OSF는 저작도구이자 공유 개방 출판 도구로 학술 저작물 생산부터 출판 아카이브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함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 화면은 아래와 같음

신규 프로젝트 연구과제 등 생성 전체 프로젝트 현황 보기

위키기반 저작도구 프로젝트 전체 복사 활용 현황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11: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7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한 유용한 도구에서 모든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현재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와의

연계가 가능하다면 연구자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음

OSF는 학술 연구자에게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임

또한 OSF 생애주기는 외부의 다양한 생태계와 연동하여 운영됨으로써 다양한 학자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이 가능함

[그림 3] OSF의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출처 httpscosio)

OSF는 특정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출판 목적의 글쓰기 외에 개인 연구자 개인 연구자 간의

온라인 기반 저작활동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OSF가 갖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음

개인 연구자의 아이디어 발굴부터 출판까지 모든 과정을 포괄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의 다양한 외부 서비스 저장소와의 연결을 지원

데이터 큐레이션 부분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지원

모든 정보자원에 대한 버저닝 지원

Pre-Print Post-Print에 대한 DOI 부여 기능을 지원

OSF 생애주기 단계별로 연계를 갖고 있는 주요 서비스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Develop Idea

ZOTERO 무료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Standalone 버전과 웹 브라우저 MS-Office와 연동

Mendeley

논문 관리 공유 서지 관리 프로그램

문헌정보 관리 PDF 문서 읽기와 메모 달기 문서 관리 공유 기능

지원

Windows MAC OS X 리눅스 MS Word 리브레오피스

iOS 안드로이드 지원

Design Study DMP Tool 프로젝트 시작 전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 작성을 도화주는 도구

Acquire Material

Evernote

ChromeFireFox 아이폰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윈도우 OS

X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녹음 파일 첨부 사진 저장 저장한 메모에 대한 위치 정보 추가

태그에 따른 메모 분류 키워드에 따른 메모 검색 텍스트 이미지

및 링크를 포함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스크랩하는

클리핑 기능

PsychoPy 신경 과학 심리학 및 정신 물리학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으로 Python에서 작성 가능

Collect Data

Galaxy Project

생물학 분야 연구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재현을 지원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이용자는 쉽게 매개 변수를 지정하고 도구

및 워크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OpenSesame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그래픽 기반 오픈 소스 실험 도구

Psychophysics 반응 시간 작업 설문지 등 다양한 실험 설계

가능

플러그인 프레임 워크 및 Python 스크립팅을 사용하면 시선 추적기

응답 상자 및 병렬 포트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사용 가능

Analyze Data

웹 기반 저장장치 Google Drive One Drive DropBox 등 다양한 외부 저장장치

JASP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지원하는 오픈 소스 통계 처리 프로그램

Bitbucket

Git 코드 관리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팀단위 업무

수행 시 프로젝트 계획 코드 공동작성 테스트 및 배포 일괄 처리

가능

Interpret Findings TeX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많은 분야에서 논문 책자

발표 슬라이드 등 다양한 문서 작성을 위해 사용되며 수식 표현

하는 데 있어 강력함

Write Report

Dataverse

Project 오픈 소스 연구 데이터 저장소 소프트웨어

zenodo CERN이 후원하는 오픈 사이언스 지원 도구

NeuroVault 의학 분야의 MRI 및 PET 연구에서 생산한 통계자료 지도 등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

DRYAD 연구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고 학술문헌과 통합 가능한 디지털

저장소 서비스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

9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Publish Report

OJS 저널 관리 및 퍼블리싱 시스템

Ubiquity press 동료 평가를 거친 학술 저널 서적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

Search and

DiscoveryVIVO

오픈 소스 학술 연구 지원 온톨로지

학술 활동의 기록 편집 검색 탐색 및 시각화 지원

연구자의 학술 기록 연구 발견 전문가 찾기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영향 평가 지원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계속)

5 OSF 저작도구 서비스 화면

OSF는 저작도구이자 공유 개방 출판 도구로 학술 저작물 생산부터 출판 아카이브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함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 화면은 아래와 같음

신규 프로젝트 연구과제 등 생성 전체 프로젝트 현황 보기

위키기반 저작도구 프로젝트 전체 복사 활용 현황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12: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Develop Idea

ZOTERO 무료 서지관리 소프트웨어

Standalone 버전과 웹 브라우저 MS-Office와 연동

Mendeley

논문 관리 공유 서지 관리 프로그램

문헌정보 관리 PDF 문서 읽기와 메모 달기 문서 관리 공유 기능

지원

Windows MAC OS X 리눅스 MS Word 리브레오피스

iOS 안드로이드 지원

Design Study DMP Tool 프로젝트 시작 전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 작성을 도화주는 도구

Acquire Material

Evernote

ChromeFireFox 아이폰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윈도우 OS

X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녹음 파일 첨부 사진 저장 저장한 메모에 대한 위치 정보 추가

태그에 따른 메모 분류 키워드에 따른 메모 검색 텍스트 이미지

및 링크를 포함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스크랩하는

클리핑 기능

PsychoPy 신경 과학 심리학 및 정신 물리학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으로 Python에서 작성 가능

Collect Data

Galaxy Project

생물학 분야 연구 데이터에 대한 접근 재현을 지원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이용자는 쉽게 매개 변수를 지정하고 도구

및 워크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OpenSesame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그래픽 기반 오픈 소스 실험 도구

Psychophysics 반응 시간 작업 설문지 등 다양한 실험 설계

가능

플러그인 프레임 워크 및 Python 스크립팅을 사용하면 시선 추적기

응답 상자 및 병렬 포트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사용 가능

Analyze Data

웹 기반 저장장치 Google Drive One Drive DropBox 등 다양한 외부 저장장치

JASP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지원하는 오픈 소스 통계 처리 프로그램

Bitbucket

Git 코드 관리보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팀단위 업무

수행 시 프로젝트 계획 코드 공동작성 테스트 및 배포 일괄 처리

가능

Interpret Findings TeX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많은 분야에서 논문 책자

발표 슬라이드 등 다양한 문서 작성을 위해 사용되며 수식 표현

하는 데 있어 강력함

Write Report

Dataverse

Project 오픈 소스 연구 데이터 저장소 소프트웨어

zenodo CERN이 후원하는 오픈 사이언스 지원 도구

NeuroVault 의학 분야의 MRI 및 PET 연구에서 생산한 통계자료 지도 등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저장소

DRYAD 연구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고 학술문헌과 통합 가능한 디지털

저장소 서비스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

9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Publish Report

OJS 저널 관리 및 퍼블리싱 시스템

Ubiquity press 동료 평가를 거친 학술 저널 서적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

Search and

DiscoveryVIVO

오픈 소스 학술 연구 지원 온톨로지

학술 활동의 기록 편집 검색 탐색 및 시각화 지원

연구자의 학술 기록 연구 발견 전문가 찾기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영향 평가 지원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계속)

5 OSF 저작도구 서비스 화면

OSF는 저작도구이자 공유 개방 출판 도구로 학술 저작물 생산부터 출판 아카이브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함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 화면은 아래와 같음

신규 프로젝트 연구과제 등 생성 전체 프로젝트 현황 보기

위키기반 저작도구 프로젝트 전체 복사 활용 현황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13: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9

Vol2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IT 기반 분야

단계 관련 서비스 관련서비스 내용

Publish Report

OJS 저널 관리 및 퍼블리싱 시스템

Ubiquity press 동료 평가를 거친 학술 저널 서적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출판

서비스

Search and

DiscoveryVIVO

오픈 소스 학술 연구 지원 온톨로지

학술 활동의 기록 편집 검색 탐색 및 시각화 지원

연구자의 학술 기록 연구 발견 전문가 찾기 네트워크 분석 및

연구 영향 평가 지원

lt표 4gt OSF 생애주기와 관련 서비스(계속)

5 OSF 저작도구 서비스 화면

OSF는 저작도구이자 공유 개방 출판 도구로 학술 저작물 생산부터 출판 아카이브까지 모든

활동을 지원함

핵심적인 기능과 서비스 화면은 아래와 같음

신규 프로젝트 연구과제 등 생성 전체 프로젝트 현황 보기

위키기반 저작도구 프로젝트 전체 복사 활용 현황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14: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1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공동저작자 관리 외부저장소 서비스 연계

프로젝트 환경설정 라이선스 부여

[그림 4] OSF 핵심 기능과 서비스 화면 예시(계속)

6 결론 및 제언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 연구자 학술 정보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중요한 원인은 정보기술의 발전임

현재의 정보화 환경은 lsquo정보rsquo 보다는 lsquo데이터rsqu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닫힌 소통 구조 보다는

열린 즉 개방 환경에 중점을 두고 있음

오픈 사이언스 도구는 학술 연구자가 선행 연구 검색 선행 연구자 검색 연구 아이디어 발굴

아이디어 공표 공동 연구자 모집 데이터 관리 이력관리 DOI부여 프리 프린트 서비스 정식

출판 검색 등 모든 연구 활동이 투명하고 일원화 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지금까지 도서관의 노력이 이런 전체 활동 중의 일부(예 프리 프린트 데이터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학술 활동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15: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11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글로벌 동향

2

1999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확산되어 2020년까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500억 개에 달할

전망임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음

현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는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

1 사물인터넷 개요

1) 정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 Auto ID 센터 소장으로 근무하던 캐빈 애쉬턴(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3년 8월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 등재

사전적 의미는lsquo일상의 사물들이 탑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연결 네트워크 형태rsquo라고 정의

센서가 부착된 사물들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의 정보를

스스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활용하는 시스템을 의미

초기 모니터링과 제어 중심의 연결 IoT에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5G LPWAN(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등의 발전으로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2) 핵심 요소 및 전망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센서디바이스에는 각종 스마트 센서(압력 온도 습도 이미지 가스 바이오 센서

등)와 IoT 디바이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부분이 있고 플랫폼

으로는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플랫폼 연결 플랫폼 등이 있음4)

4)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16: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12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1] 사물인터넷 핵심 요소

현재 사물인터넷은 성장초기를 지나 확산기로 인공지능(AI)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시장) 2018년 7255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연 평균 128 성장하면서 1조

1933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국내 시장) 2015년 3조 30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17조 1000억 원 규모로 연평균

328 성장을 예상

- 향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기계 통신장비 단말기) 및 개체(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 IoT 인프라의 급격한 확대 전망

- 사물인터넷 시장은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5)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 국가별 서비스 동향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사물인터넷을 국가 혁신기술(Desruptive Civil Technology) 중

하나로 선정 공공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개발 추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DOT NIST and NSF가 협력하는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NITRD) 프로그램과 같은 부처 간 협력 프로

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5) IDC 201810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17: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13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중국) 사물인터넷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선정 사물인터넷 산업투자기금(50억 위안)

조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 중국의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2015년에 약 80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인 1660억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6)

(일본) 2011년 8월 「IT 융합에 의한 신사업 창출 전략」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디지털화middot

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에서 사물인터넷 시대로의 3가지 비전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관련 연구 개발에 투자를 집중7)

(유럽) 유럽의 디지털 단일 시장 전략(Digital Single Market Strategy for Europe)은 IoT의

잠재적 가능성에 필수적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연구과

혁신 촉진을 위해 HORIZON 2020 연구개발 기금에서 사물인터넷 RampBD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8)

2) 기업별 서비스 동향

(Samsung) IoT 전략연구조직 신설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축의 기반이 될 개방형플랫폼

(Artik) 출시하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려는 전략 수립

(Google)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스마트홈 업체인 네스트랩 32억 달러에 인수

(사물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참여) 안드로이드 OS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IoT 생태계 구축

예정

(Alibaba) 2017년 IoT 분야 투자에 초점을 둔 OS 전략을 발표하고 기존 윤OS(YunOS)를

알리OS(AliOS)로 리브랜딩 2018년 사물인터넷 로드맵을 발표하고 알리클라우드를 통한

사물인터넷 인프라 조성

(Panasonic) 기술표준 선점 후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IoT 특허 50여건 무상

공개하고 인공지능(AI) 스마트 홈으로 사업 영역 확대

(IBM) 독일 뮌헨에 「왓슨 IoT 글로벌 본부」 설립 IoT 사업에 30억 달러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발표(아시아 미국 유럽 내 8개 IoT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특허 준비

6) IoT in the News lthttpharborresearchcomiot-in-the-news-china-invests-heavily-in-the-iotgt

7) 일본 경제산업성(2011)

8)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Advanc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Europe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18: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14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3) 최신 사물인터넷 기업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패션

구글과 패션 기업 HampM의 협업으로 Coded Couture라는 팀을 만들고 lsquo데이터 드레스rsquo

라는 개인 맞춤형 AI 디자인 드레스를 출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레스 고객의 날씨

지역 움직임 취향 데이터를 축적하여 고객에서 맞는 옷을 디자인해 주는 서비스 개발9)

조조슈트(ZOZOSUIT)는 일본의 패션 쇼핑몰 lsquo조조타운rsquo을 운영하는 스타트 투데이가

출시한 센서 내장 슈트로 입는 순간 신체 치수를 정확히 재어 개인별 신체 사이즈 데이터

저장 조조타운 쇼핑몰에서 배송비만 지불하고 신청하면 무료로 받을 수 있음10)

[그림 2] Coded Couture의 데이터 드레스

[그림 3] 스타트 투데이의 조조슈트(ZOZOSUIT)

사물인터넷과 만나는 쇼핑

Amazon Go의 무인 매장 기술과 경쟁하는 Caper의 스마트 쇼핑 카트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중량센서 위치센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를 탑재하고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아서

체크인과 체크아웃 개념을 도입하여 쇼핑이 가능

9) httpswwwcnbccom20170208google-and-hm-create-personalized-coded-couture-dress-based-on-smartphone-app-datahtml

10) ZOZO 사이트 2018년 5월 1일자 기사 lthttpscorpzozocomennews20180501-3849gt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19: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15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해당 상품이 떨어졌을 때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쇼핑몰에서 자동 주문하는 아마존의 대시

버튼을 발전시켜 다른 모든 IoT 물건들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IoT 버튼 개발

[그림 4] Caper의 디지털 카트

[그림 5] 아마존 IoT 버튼

3 글로벌 사물인터넷 도서관 동향

1) 사물인터넷과 도서관

도서관 분야에 있어서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용어나 기술이 아니며 이미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서관 개념에서 많이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와

RFID NFC 등도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한 요소임

사물인터넷은 도서관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도서관 이용자에게 풍부한 경험과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 내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기존의 도서서관 RFID나 바코드 서비스들과 다른 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고 실시간

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개인화middot맞춤화하여

이용자가 갖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20: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16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그림 6] 사물인터넷 도서관 적용 분야

도서관 출입과 자료 활용 모바일 출입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여 도서관 출입과 시설물

배정을 받게 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 추천하는 자료와 정보들을 특정 장소에 접근 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받고 도서관 시설 안내도 받을 수 있음

장서관리 도서관의 장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장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책을 대여하고 연체 기간이나 희망도서 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음

이용자 교육 도서관 자원과 서비스 안내를 도서관 시설별로 설치된 비콘을 활용하여 셀프

투어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추천 서비스 도서관 이용자들의 출입 대출 검색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 하고 다음 방문 시 새로운 콘텐츠들이 도착하면 실시간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 주제 서가별 이용자별 다양한 추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

위치기반 서비스 도서관 자원이나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하고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위치를 파악하여 열람 좌석 배정이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도서관 시설물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

관제 서비스 센서를 활용하여 도서관 내 시설물이나 공간의 전기나 공조 시설 장비들을

통제하여 전기료를 절약하고 실내 환경들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환경을 제공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21: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17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2) 사물인터넷 글로벌 도서관 사례

비콘 기반 도서관 알림 및 북 추천 서비스 사례

뉴욕 소재 Fayetteville Free Library(FFL)은 BluuBeam의 비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접근할 경우 도서관 행사 안내 및 공지사항을 제공 BluuBeam사는

미국 내 다수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용자 위치 기반의 PUSH 서비스를 제공

Capira Technologies는 도서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서 대출 정보 반납 기록 같은 개인

맞춤형 알림 정보 및 북 추천 서비스를 이용자가 지정된 영역에 접근할 경우 제공하고

있음 현재 뉴저지 Somerset County Library와 뉴욕 Half Hollow Hills Community

Library에서 서비스 이용

[그림 7] BluuBeam의 도서관 알림 서비스 사례

[그림 8] Capira의 도서 추천 알림 서비스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22: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18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비콘 기반 도서관 투어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사례

오클라호마 대학 도서관은 Aruba Network의 비콘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도서관 건물 안내와 전시 행사 스터디 공간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Regis 대학 도서관의 Virtual Library Tour는 BKON Connect의 Phynet 웹 브라우저를

통해 Beacon 기반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를 제공 Dayton Memorial 도서관내 5개의

비콘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접근 시 공간 안내

[그림 9] Aruba Network의 도서관 안내 서비스

[그림 10] BKON Connect의 도서관 투어 서비스

유럽 최초로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과 대학 도서관에서 도서관 투어 앱을 통한 위치 기반

인터랙티브 투어 서비스 제공 학생들은 도서관 내 시설 이용 및 공간 안내 정보를 앱을

통해 특정 지역에서 제공 받음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23: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19

Vol2 IT 기반 분야

데이터 기

반 학

술서비스

지능정보기술 기

반 서

비스

[그림 11] 델프트 공대 도서관 인터랙티브 도서관 투어 서비스 사례

일본의 사바에 도서관에서도 2개 층 약 131개 비콘을 설치하여 책의 위치 안내와 실내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사례

미국의 그랜드 밸리 주립 대학의 Mary Idema Pew University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공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교내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시범 운영

영국의 에든버러 대학 도서관에서는 Cad-Capture Data 서비스사의 OccupEye 센서를

통해 지하 열람실 공간의 온도와 움직임을 파악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대시보드에

공간 점유율 정보를 제공

[그림 12] 도서관 공간 점유 모니터링 서비스 예시 사례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24: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20

2019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4 시사점

현재 사물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5G) 인프라를 기반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져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산업과 서비스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측

사물인터넷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역시 단순 모니터링과 제어 PUSH 수준의 서비스에서

도서관 내 사물과 사람에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소통 뿐만 아니라 지능형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

이제 도서관도 연구 수준의 서비스 단계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조사 및 작성 | 총괄 성균관대학교 지식관리연구소장 고영만 교수

관심 연구 분야

김성훈 박사 연구데이터관리 온톨로지 빅데이터기반 서비스 godwawmgskkuedu

박진호 박사 메타데이터 시맨틱 웹 오픈 데이터 jinhoparklisgmailcom

손태익 성균관대 도서관 팀장

사물인터넷 지능형 도서관 서비스 블록체인 staeikskkuedu

성명은 원고 순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

Page 25: Vol. 2.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 RISSlibrarian.riss.kr/upload/webzine/2019_report_vol2.pdf · 2019. 4. 23. ·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 리포트 안내학술정보

2019 학술정보 글로벌 동향2019 3 Vol 2

발 행 2019년 3월

발 행 인 한 석 수

발 행 처 (wwwkerisorkr)

주 소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전화 053-714-0114팩스 053-714-0198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lt비매품gt

이 저작물은 ldquo공공누리rdquo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교육학술정보화 전문기관

ldquo

rdq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