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 - Child Studies · 강란혜 (2011). 가족의역기능적 의사소통과...

6
- 1 -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남녀 청소년의 낙관성이 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서해인, 신나나 주제어: 부모 - 자녀간 의사소통, 낙관성, 갈등대처방식 표 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낙관성 갈등대처방식에서의 성차 남학생 (n = 161) 여학생 (n = 176) 변인 M (SD) M (SD) t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아버지-자녀 개방형 3.32 (0.75) 3.39 (0.83) -0.72 폐쇄형 2.89 (0.59) 2.64 (0.60) 3.87*** 어머니-자녀 개방형 3.55 (0.73) 3.68 (0.77) -1.56 폐쇄형 2.87 (0.57) 2.67 (0.59) 3.21** 낙관성 성향적 낙관성 3.40 (0.58) 3.51 (0.57) -1.81 해석양식적 낙관성 1.55 (4.22) 3.17 (3.95) -3.65*** 갈등대처방식 통합 3.54 (0.56) 3.55 (0.64) -0.07 양보 3.58 (0.56) 3.67 (0.59) -1.38 타협 3.54 (0.57) 3.67 (0.53) -2.15* 지배 2.75 (0.71) 2.53 (0.75) 2.83** 회피 3.36 (0.58) 3.28 (0.65) 1.21 Note. N = 337. * p < .05. ** p < .01. *** p < .001.

Transcript of 의사소통, - Child Studies · 강란혜 (2011). 가족의역기능적 의사소통과...

Page 1: 의사소통, - Child Studies · 강란혜 (2011). 가족의역기능적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능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총신대논총, 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 1 -

○○

○○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남녀 청소년의 낙관성이 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서해인, 신나나

주제어: 부모 - 자녀간 의사소통, 낙관성, 갈등대처방식

표 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낙관성 및 갈등대처방식에서의 성차남학생

(n = 161)여학생

(n = 176)

변인 M (SD) M (SD) t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아버지-자녀

개방형 3.32 (0.75) 3.39 (0.83) -0.72

폐쇄형 2.89 (0.59) 2.64 (0.60) 3.87***

어머니-자녀

개방형 3.55 (0.73) 3.68 (0.77) -1.56

폐쇄형 2.87 (0.57) 2.67 (0.59) 3.21**

낙관성

성향적 낙관성 3.40 (0.58) 3.51 (0.57) -1.81

해석양식적 낙관성 1.55 (4.22) 3.17 (3.95) -3.65***

갈등대처방식

통합 3.54 (0.56) 3.55 (0.64) -0.07

양보 3.58 (0.56) 3.67 (0.59) -1.38

타협 3.54 (0.57) 3.67 (0.53) -2.15*

지배 2.75 (0.71) 2.53 (0.75) 2.83**

회피 3.36 (0.58) 3.28 (0.65) 1.21

Note. N = 337.*p < .05. **p < .01. ***p < .001.

Page 2: 의사소통, - Child Studies · 강란혜 (2011). 가족의역기능적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능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총신대논총, 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3 -

표 2

변인 간 상관관계 및 평균, 표준편차 1 2 3 4 5 6 7 8 9 10 1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1. 개방형(부) — 2. 폐쇄형(부) -.50*** — 3. 개방형(모) .78*** -.41*** — 4. 폐쇄형(모) -.44*** .86*** -.51*** —낙관성

5. 성향적 낙관성 .21*** -.24*** .29*** -.26*** — 6. 해석양식적 낙관성 .28*** -.25*** .28*** -.23*** .35*** —갈등대처방식

7. 통합 .14** .06 .19*** .01 -.03 -.02 — 8. 양보 .24*** -.09 .27*** -.09 .27*** .20*** .41*** — 9. 타협 .15** -.00 .22*** -.03 .18*** .10 .41*** .75*** — 10. 지배 -.05 .22*** -.05 .22*** -.03 -.04 -.21*** -.05 .03 — 11.회피 -.06 .24*** -.06 .24*** -.23*** -.23*** .49*** .06 .19*** -.04 —M 3.36 2.76 3.62 2.76 3.46 2.39 3.54 3.63 3.61 2.64 3.31SD 0.80 0.61 0.75 0.59 0.57 4.16 0.69 0.58 0.55 0.74 0.62Note. N = 337.**p < .01. ***p < .001.

그림 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낙관성이 갈등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p < .05. ***p < .001.

Page 3: 의사소통, - Child Studies · 강란혜 (2011). 가족의역기능적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능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총신대논총, 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3 -

표 3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낙관성이 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인과적 효과분석

경로

부트스트래핑

SMC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부-자녀간 의사소통 → 갈등대처방식 -.050 .062 .012 .159모-자녀간 의사소통 →갈등대처방식 .157 .136* .293*낙관성 → 갈등대처방식 .321* .321*부-자녀간 의사소통 → 낙관성 .192 .192 .352모-자녀간 의사소통 → 낙관성 .423* .423*Note. N = 337. *p < .05.

표 4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낙관성이 갈등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에서의 성차

모형 χ2 df χ2/df NFI TLI CFIRMSEA

(LO90~HI90)A 65.097 38 1.713 .957 .964 .981 .046

(.026 ~ .065)B 78.197 43 1.819 .948 .959 .976 .049

(.031 ~ .067)C 83.063 48 1.730 .945 .963 .976 .047

(.029 ~ .063)D 92.156 51 1.807 .939 .960 .971 .049

(.033 ~ .065)모형 A:B χ2 값의 차이검증 χB

2 - χA2 = 13.100 dfB - dfA = 5 p = .022 < .05

모형 B:C χ2 값의 차이검증 χC2- χB

2 = 4.866 dfC - dfB = 5 p = .432 > .05

모형 C:D χ2 값의 차이검증 χD2- χC

2 = 9.093 dfD - dfC = 3 p = .028 < .05

Note. N = 337. A = 비제약모형; B = 측정제약모형; C = 구조제약모형; D = 구조공분산제약모형.

Page 4: 의사소통, - Child Studies · 강란혜 (2011). 가족의역기능적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능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총신대논총, 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 - 5 -

그림 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남자 청소년의 낙관성이 갈등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p < .05. **p < .01. ***p < .001.

그림 3.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여자 청소년의 낙관성이 갈등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p < .05. **p < .01. ***p < .001.

Page 5: 의사소통, - Child Studies · 강란혜 (2011). 가족의역기능적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능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총신대논총, 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 - 5 -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남녀 청소년의 낙관성이 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서해인, 신나나

주제어: 부모 - 자녀간 의사소통, 낙관성, 갈등대처방식

강란혜 (2011). 가족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능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총신대논총, 31, 293-316.

강미란 (2010).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또래관계 및 갈등해결 전략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A60237383에서 인출

고윤주, 이은해, Mendelson, M. J. (2001). 친구에 대한 만족감을 예언하는 친구의 지원, 갈등 해결 방식 및 친구 관계망간의 구조 모델.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3), 25-42.

김경숙, 남현우 (2010). 청소년비행 예측요인의 종단적 변화: 유대, 모델링, 발달시기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2), 279-308.

김영미 (2009). 성별에 따라 대인관계 질에 미치는 부, 모의 양육태도와 애착 비교 연구(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613275에서 인출

김영미, 심희옥 (2000). 부모와의 의사소통, 교사와의 관계 및 교내외 활동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1(4), 159-175.

김옥숙 (2012). 청소년의 희망적 사고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2910916에서 인출

김정수 (2008). 청소년의 낙관성과 비관성이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처와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청소년학연구, 15(1), 271-299.

김지현 (2002). 부모와의 애착안정성 및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0203890에서 인출

김해숙 (2012).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문제해결양식과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191080에서 인출

남민숙 (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0360581에서 인출

남정홍 (2001). 아버지-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의 관계(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8242729에서 인출

노현숙 (2006). 낙관성과 스트레스지각이 갈등해결양식 및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006136에서 인출

도금혜 (2008).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의사소통 유형 및 아동의 성취동기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4), 139-155.

민유정 (2008).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아동의 사회성 및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석사학위논문). http://

www.riss.kr/link?id=T11477891에서 인출민하영 (1992). 청소년 비행 정도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

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3(1), 112-124.

박영숙 (2009). 학교생활 스트레스, 부모와의 갈등, 친구와의 갈등이 청소년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스트레스연구, 17(4), 389-398.

박은미 (2011). 친구간 갈등해결전략, 부모와의 의사소통유형과 친구관계의 질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2485825에서 인출

박현순, 황혜원 (2006). 가족갈등과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보호요인의 탐색. 한국가족복지학, 18, 179-201.

배선영, 이은해 (2001). 아동의 친구관계 질과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생활과학논집, 15, 80-88.

서경연 (2008). 청소년의 공감 수준과 공격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갈등해결 양식의 매개효과(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437377에서 인출

서윤주, 신현숙 (2010).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의 성향적 낙관성,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7(3), 295-313.

성지원 (2015). 대학생의 가족 간 의사소통과 갈등해결전략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668758에서 인출

소미강 (2008).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381092에서 인출

송지준 (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신봉호 (2008). Satir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중학교 여학생의 대인갈등 대처 양식에 미치는 효과. 상담평가연구, 1(1), 19-35.

신수현 (2013). 지각된 부모의 과보호가 남자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 발달경로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150093에서 인출

신영미 (2010). 낙관성 훈련이 한 부모, 조손가정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930368에서 인출

신윤성 (201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남녀 청소년의 목표지향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2648125에서 인출

신윤희 (2010).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내외통제성이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2009253에서 인출

신현숙 (2005). 청소년의 낙관성 및 비관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서 대처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2(3), 165-192.

안나영, 유영달 (2013). 청소년이 지각한 부, 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우울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5), 3201-3215.

안윤미 (2012).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Page 6: 의사소통, - Child Studies · 강란혜 (2011). 가족의역기능적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능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총신대논총, 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 - 6 -

낙관성 및 행복감의 관계(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2869055에서 인출

양현아, 박영애 (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방식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아동의 행동문제와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3(6), 847-860.

오윤숙 (2013).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지각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280841에서 인출

유경미 (2013).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자원 및 대처능력에 관한 연구: 빗속의사람 그림검사를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9(4), 97-120.

유혜영 (2014).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자녀의 성격 5요인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548975에서 인출

윤미애, 오윤자 (2005). 아버지-자녀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14(1), 115-129.

윤차선 (2002). 낙관성 훈련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8516439에서 인출

이나경 (2014).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378298에서 인출

이미영, 심재철 (2010). 청소년의 갈등해결 방식과 대인매체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4(3), 276-300.

이선이, 김현주, 이여봉 (2006).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의 교환관계 분석. 한국인구학, 29(1), 97-131.

이선화, 김희화 (2012). 부모의 낙관성과 청소년의 낙관성 간의 관계에 대한 부모의 성취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3(4), 51-68.

이영화, 지연경, 도현심 (2012).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남녀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6), 149-168.

이은주 (2004). 청소년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갈등과 자아개념(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9899939에서 인출

이은희 (2008).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대인관계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1559191에서 인출

이지연, 임성문 (2006). 성인애착과 대학생의 우울과의 관계: 낙관성과 비관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7(4), 969-984.

이지영 (2010).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스트레스연구, 18(3), 219-227.이희선, 선우현정 (201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청소년

자아탄력성,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청소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49(6), 109-122.

임정화, 전종설 (2012). 부, 모의 양육태도 및 의사소통이 남, 여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8), 169-190.

임주희, 최연실 (2006).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부모갈등, 부모관련 스트레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영향. 아동학회지, 27(4), 233-246.

장암미 (2014). 부모, 교사 및 또래의 심리적 환경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545359에서 인출

장영수, 박영숙 (2008).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자아탄력성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16(3), 271-280.

장해순, 강태완 (2005).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3(2), 104-130.

정선영 (2001).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7914941에서 인출

지효숙 (2007). 아버지-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자녀와의 친밀도 관계 연구. 부산교육학연구, 20(1), 153-170.

차정화, 전영주 (2002). 이성교제 커플의 원가족 건강성과 친밀감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1), 39-57.

채경선, 황현주 (2014).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효학연구, 20, 159-190.

최창욱, 김진호 (2004). 청소년의 갈등해결유형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Leadership life skills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40), 509-539.

하양명, 김희정 (2011). 부모의 낙관성이 자녀의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강화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2), 283-307.

한창훈, 조영아 (2014).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12), 205-231.

허나예 (201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대인관계 성향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3(2), 59-74.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