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15
도입 1

Transcript of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age 1: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도입

제1부

Page 2: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H a n d b o o k o f P l a y T h e r a p y

Page 3: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서양의 전통에서 놀이치료 분야는 심리치료의 초기 선구자들이 아동의 정신건강 요구에 성인 심

리치료 접근을 응용하고 적용했을 때 시작되었다. 초기에 놀이는 관계를 형성하고, 의사소통

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아동의 자연스러운 방법이라고 여겼다.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는 놀이를 아동이 좋아하는 자유연상의 한 형태로 보았고, 그래서 놀이가 아동 마음의 내적 작동에

대한 창문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D’Angelo & Koocher, 2011; Ellenberger, 1981). 헤르미온 훅 헬

무트(Hermione Hug-Hellmuth, 1921)는 놀이치료라는 용어를 사용한 최초의 연구논문을 썼다. 안

나 프로이트(Anna Freud, 1936/1966)와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 1932)은 정신분석 접근법을 아

동에게 확대해서 적용하는 데 집중했고, 각자는 아동과의 작업에서 놀이의 역할에 관한 글을 썼다

(Donaldson, 1996). 치료에서 놀이는 아동과의 상호작용에서 발달적으로 적절하고 심리치료 진행의

중요한 부분으로 보인다(Carmichael, 2006; O’Connor, 2000). 그러나 초기에 놀이는 분석과 별개의

양식이 아닌 치료 과정의 원활한 부분으로 보지 않았다. 도널드 위니콧(Donald Winnicott, 1971)은 다

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심리치료는 두 영역이 중첩될 때, 즉 내담자의 놀이 영역과 치료사의 놀이 영역이 중첩될 때 발생

한다. 심리치료는 함께 놀이하는 두 사람이 있어야 한다. 노는 것이 가능하지 않아서 내담자가 놀

이를 할 수 없는 상태에서 놀이를 할 수 있는 상태로 향하도록 치료사가 이끄는 작업을 하는 곳이

어야 한다. (p. 53)

이렇게 처음 시작한 이후로 성인 심리치료의 수많은 임상 모델(행동적, 내담자 중심, 인지적, 게

슈탈트)이 초기 분석 모델의 가정에 의거하고 도전하면서 발달하기 시작했다(Prochaska & Norcross,

2010). 이들 모델의 대부분은 아동에게 사용하려고 개정되고 자신의 어린 내담자와 관계를 맺고, 평가

하고, 의사소통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놀이를 활용했다(Carmichael, 2006; Kottman,

2011; Landreth, 2012; O’Connor, 2000). 놀이치료의 역사 전반에 걸쳐서, 놀이치료는 다양한 아동

정신건강전문가가 실천해 오고 있는데, 규율을 개정하고, 역사적 시기에 따라 구분이 되는 아동의 요

놀이치료 분야의 소개JOHN W. SEYMOUR

1

Page 4: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4 제1부 도입

구에 반응하면서, 자신의 처치 장면에서 응용해 가면서, 각자는 자신의 렌즈를 통해 그것을 적용해 왔

다. 놀이치료는 광범위한 심리치료 영역에서 구별되는 전문 영역이라고, 그렇게 크게 보고 있지는 않

지만, 아동의 발달적, 정서적, 인지적, 관계적 능력에 좀 더 잘 맞추어진 형식으로 아동에게 심리치료

를 확대하는 특별한 방법이다.

심리치료와 놀이치료의 어려움

정신건강전문가들은 다양한 심리치료 모델을 꾸준히 개발해 왔고, 1970년대에는 적용가능성, 효과

성, 으뜸에 대해 대립되는 주장을 하면서 거의 100여 개의 모델(Saltzman & Norcross, 1990)이 있었다.

심리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는, 일정한 유형의 심리치료가 거의 또는 전혀 이득이 없는 것으로 나

타난 연구에서부터 심리치료의 많은 유형들이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것까지 광범위했다(Prochaska &

Norcross, 2010; Saltzman & Norcross, 1990). 동시에 아동발달 연구가 1950년대 이후부터 증가해 왔

으며 아동심리치료 관행과 통합되고 있었다. 행동 모델이 좀 더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행동 모델이

임상 실행의 심리 교육적 접근을 좀 더 강조하게 되면서 그때까지 심리치료 분야의 특징이었던 관계

적 과정 및 역동적 과정은 덜 강조했다. 모델들의 이러한 급증과 주장들은 연구자들과 임상가들 간에

더 많은 대화, 통합된 모델의 개발, 치료 결과에 대한 책임, 좀 더 연구에 기반을 둔 규범적 심리치료

적응의 개발을 요구하게 만들었다(Duncan, Miller, Wampold, & Hubble, 2010; Norcross, VandenBos,

& Freedheim, 2011; Wampold, 2001).

1960년대를 거쳐 1980년대(심지어 오늘날에도)에 학문적 배경이 다양한 아동 정신건강전문가들이

모든 범위의 기존 심리치료 모델들을 사용해서 놀이치료를 계속 실행하고 있었다. 다학문적 실행의

이러한 결합과 치료 모델의 다양성은 풍성한 놀이치료 전통을 만들어내었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속

성들이 놀이치료가 아동심리치료의 한 형태로써 놀이치료의 사용과 효과성에 도전하는 경쟁적인 경

향에 대한 통일된 반응을 제공하는 분야라고 보기 어렵게 만들었다. 이 시기에 놀이치료의 적극적 옹

호자 Louise Guerney와 Charles Schaefer는 놀이치료 분야가 직면한 어려움에 대해 반향을 일으켰다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b, 2010d). 놀이치료 분야에서 출판된 책 또는 논문이 거의 없었고,

훈련 기회가 제한되었으며, 놀이치료 분야를 육성하고 있다고 분명하게 확인된 전문가 집단도 없었

다. Guerney는 이것을 ‘놀이치료의 암흑기’라고 묘사하였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b).

놀이치료 분야의 출현

이러한 도전 중의 하나는 놀이치료 분야를 활성화할 기구를 만들자는 Charles Schaefer의 제안에서

나왔다. 1982년, 그는 공동 설립자로 Kevin O’Connor를 끌어들여서 놀이치료협회(Association for

Play Therapy, APT)를 만들었고, 처음으로 정보의 교환, 훈련의 확립, 연구자·교육자·임상가들

의 협력 네트워크의 결성을 위한 놀이치료 전문가 집단을 끌어 모았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d). O’Connor는 협회의 첫 소식지 발간에 앞장섰고, Schaefer는 처음 몇 번의 전국 회의를 조정했

Page 5: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제1장 놀이치료 분야의 소개 5

다. Schaefer 및 O’Connor 와 함께 초기 임원에는 Louise Guerney, Eleanor Irwin, Ann Jernberg, Garry

Landreth, Henry Maier, Borislave Madich, Eileen Nickerson이 있었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4). 2년 뒤에 협회 사무실이 캘리포니아로 이사해서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에

둥지를 틀었는데, 이곳은 O’Connor가 교수로 있던 곳이다. APT는 날로 발전하면서 창립자들의 비전

을 실현시키기 시작했다.

강력한 전문가 조직으로 발전

놀이치료 임상가, 강사, 연구자들의 인적 네트워크의 초기 집단은 훨씬 더 큰 조직의 힘과 자원이 필

요했다. 놀이치료사들의 기반이 더 넓어져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해서, 임원 이사회는 1988년에

Lessie Perry를 초대 회원 캠페인 의장에 지명했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c). 1991년, 협회는

놀이치료 연구와 공공의식 캠페인에 필요한 기금을 위한 캠페인 기금 모금의 놀이치료 재단을 시작했

다. 1992년, 지역을 기반으로 놀이치료사들의 훈련과 연결망을 만들자는 요구에 부응하려는 노력 끝

에 최초로 오리건 주와 텍사스 주에 지부가 설립되었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4).

협회는 1984년에 제1차 연례 회의를 개최했는데, 놀이치료의 새로운 연구 주제에 헌신한 50명 이

상의 정신건강전문가들이 진행했다. 처음 세 번의 연례 회의는 뉴욕에서 열렸다. 제4차 연례 회의는

Garry Landreth의 주도하에 노스텍사스대학교에서 진행되었다. 그 후로 연례 회의는 조직의 범위와

그 사명을 확대하기 위해 미국과 캐나다의 여러 지역을 돌아가면서 개최되었다. 1993년, 애틀랜타에

서 열린 제10차 회의에는 1,100명 이상이 참석했는데, 전체 회원은 3,000명이었다. 제10차 회의에서

는 놀이치료 분야에서 지난 10년간의 발전과 앞으로 닥칠 도전과제에 대해 자신들이 파악한 것을 제

시하는 몇몇 지도자들의 포럼이 있었다(Berner, Duke, Guillory, & Oe, 1994). John Allan이 확인한 성

장의 기회에는 자격 있는 놀이치료 슈퍼바이저의 필요성, 학교·기관·병원 등에 시설이 잘된 놀이

치료실을 여는 것, 놀이치료와 가족치료 간에 더 많은 협력, 더 많은 놀이치료 연구 등이 있다. Kevin

O’Connor는 기본 놀이치료 과정을 더 많이 확인하고 종합적인 이론 모델의 개발의 필요성으로 연구

의 과제를 확장했다. Charles Schaefer는 특정 유형의 놀이치료가 특정 장애에 이득이 되는지를 판단하

는 연구를 요구했다. 이러한 주제들은 그 이후에 협회의 임무가 되었고 현재의 많은 프로그램과 기획

에 반영되었다.

그 무렵 Phillips와 Landreth(1995, 1998)는 놀이치료를 실행하는 정신건강전문가들, 즉 협회 회원

및 유관 분야와 유관 기관을 통해 확인된 기타 전문가들에 대해 집중적인 조사를 했다. 이 사람들 중

에서 자신의 이론적 배경을 절충적이라고 보고한 놀이치료사들이 가장 많았고, 내담자 중심 배경이라

고 보고한 사람들이 그 뒤를 이었다. 조사한 사람들의 대부분은 대학에 있는 대학원 과정보다는 보수

교육을 통해 놀이치료 훈련을 받았다고 보고하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훈련의 대부분이 보수교육이

었고, 최소한의 아동발달 훈련이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Phillips와 Landreth는 놀이치료 분야를 잘 정

의하는 데 필요한 연구 그리고 좋은 실행, 이 모두를 지원하도록 대학원에서 놀이치료와 아동발달을

교육하는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새로운 임상가들이 최선의 표준 실행을 준수하는지를

입증하기 위해 놀이치료 슈퍼비전과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Kevin O’Connor는 1998년까지 협회 상임이사였고 협회가 초기의 인적 네트워크 집단에서 다양한

Page 6: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6 제1부 도입

측면의 전문가 조직이 되도록 이끌었다. 협회는 전일제 전문협회 관리자가 필요한 수준으로 발전했

고, 1999년에 William Burns가 상임이사(후에 협회장 겸 CEO 역임)로 지명되었다.

협회는 창립 이후 내내 캘리포니아 주 프레즈노에 사무실이 있었고, 현재의 사무실은 클로비스 근

처이다. 1990년대부터 세 명의 직원, Kathryn Lebby, Diane Leon, Carol Munoz Guerrero가 일하고 있

다. 협회는 이사를 임명제에서 회원 선출 이사회로 전환하였고, 이사회 의장은 이사들 자신이 선출했

다. 초창기 20년은 새로운 리더십을 함양하고, 조직의 관리 방식을 개편하고, 협회의 임무를 점진적으

로 발전시키기 위한 보다 안정적인 재정 기금을 만드는 데에서 진전을 이루었다.

협회가 20주년 기념일이 되면서, Ryan, Gomory와 Lacasse(2002)가 회원들을 조사했는데, 이제 막

4,000명이 넘는 시점이었다. 조사 결과에 기초해서 보수교육의 질을 강화하고 놀이치료에서 임상 훈

련 및 더 많은 대학원 수준의 수업을 개발하도록 장려해야 한다는 새로운 요구가 있었다. 놀이치료 서

비스가 광범위한 내담자에게 제공되고 있다고 해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놀이치료사들은 백인 여성 또

는 유럽계 미국 여성일 것이고, 제공받는 인구에 비해 인구통계학적으로 적은 수이다. 협회는 보다 다

양한 회원을 모집하려는 노력을 지원하고, 문화적으로 이해하는 훈련을 지원하고, 놀이치료 서비스

접근을 개선하라고 권고했다.

Burns(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3)는 협회와 함께한 세월을 이야기하면서, 자신이 특히 자부

심을 느낀 두 가지 업적을 언급했다. 하나는 2005년에 리더십 아카데미의 시작이었다. 아카데미는 온

라인 학습 플랫폼을 이용해서 현재 그리고 미래의 협회 리더들에게 조직의 임무와 관리 모델을 훈련

하고 있다. 이후 아카데미는 매년 사람들을 졸업시켰고, 협회와 놀이치료 분야의 서비스에 좀 더 잘

무장된 200명 이상의 지도자를 배출했다. 또 하나의 업적은 2006년에 협회 소식지를 총 천연색, 계간

지 놀이치료(Play Therapy)로 바꾼 것이었다. 새로운 잡지는 조직의 중요한 계획 및 놀이치료에서 현재

의 관심사와 동향에 관한 기사가 강조되도록 구성되었다.

세월이 흐르면서 다른 변화들도 일어났다. 1982년에 처음 50명이었던 회원이 꾸준히 증가하여 이

글을 쓰는 시점(K. Lebby와의 개인적인 대화, 2014. 7. 27.)에는 6,074명이 되었다. 회원들이 많아진

것뿐만 아니라 회원이 활동하는 지리적 범위도 미국을 넘어서 캐나다와 전 세계 20여 개 이상의 나라

로 확대되었다. William Burns는 2014년 3월에 협회장 겸 CEO 자리에서 물러난 뒤, 1992년에 협회에

서 처음 고용한 첫 번째 직원 Katheryn Lebby가 협회장 겸 CEO로 임명되었다.

놀이치료 실천과 연구를 위한 강력한 토대 확립

놀이치료 분야의 초창기 리더들과 협회 회원의 증가는 인적 네트워크 구축과 조직 구성에 대한 관심

으로부터 놀이치료의 강력한 이론적·기술적 연구의 기반을 확립해서 놀이치료를 발전시키는 작업으

로 관심을 돌리게 되었다. 이론, 실천, 연구에 대한 대화를 자극하도록 전문 서적들이 개정되었다. 대

학원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고, 더 나은 훈련 및 슈퍼비전 기회도 개발되었다. 다른 분야의 정신건강

전문가뿐만 아니라 이러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도 있는 일반 회원들이 놀이치료 전문 영역을 규정하

는 데 도움이 되도록 놀이치료사 및 슈퍼바이저 자격인정 과정이 구축되었다. 1985년에 Roger Phillips

는 당시의 놀이치료 연구 현황에 대한 검토에서 “놀랍게도 실험적 연구에서 나온 놀이치료에 대해서

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p. 752)고 말했다. 놀이치료에 관해 작성된 것의 대부분은 연구적 관점보

Page 7: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제1장 놀이치료 분야의 소개 7

다는 임상적 관점이다. 출간물의 대부분은 입증되지도 않았고 치료적인 결과에 관한 놀이의 구체적인

영향을 철저하게 연구했다기보다는 특정한 치료 모델을 소개하기 위해 제시해 왔다. 연구를 하려면,

놀이 및 놀이의 치료적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놀이치료가 경험에 기반을 둔 결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조작적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놀이치료 정의하기

놀이가 아동과의 임상 작업에 처음 결합되고 그리 오래 지나지 않아서 놀이의 여러 가지 정의, 심리치

료의 정의, 심리치료에서의 놀이에 대한 정의가 만들어졌다. 많은 사람들은 다양한 형태의 놀이가 이

득이 있으며 아동의 웰빙(well-being)을 촉진하는 상호작용으로 놀이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무엇이 놀이를 치료적으로 만드는가? 놀이치료란 무엇인가? 협회가 초기에 시도한 것 중 하나

는 포괄적인 이론, 철저한 연구, 다른 전문가 및 대중에게 현장을 홍보하는 통합된 노력의 기초가 되

는 놀이치료의 조작적 정의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많은 검토와 논의 후에 이사회는 1997년에 아래에

제시된 정의를 채택했다.

놀이치료는 내담자가 최적의 성장과 발달을 달성하도록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방지하거나 해결하

도록 돕기 위해, 훈련된 놀이치료사가 놀이의 치료적 힘을 사용하면서 대인관계 과정을 확립하는

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새로운 세대가 놀이치료 핸드북(Handbook of Play Therapy; Schaefer &

O’Connor, 1983)과 함께 시작되었는데, 이 책에는 협회의 초기 회원들의 글이 다수 들어 있었

다. 두 번째 책(O’Connor & Schaefer, 1994)은 이 분야의 최근 추세에 관해 개정되어서 뒤를 이었

다. 전문가 간행물에 대한 새로운 강조에 대해 첫 10년은 John Allan(1988), Eliana Gil(1991), Garry

Landreth(1991)와 같은 저자들의 책이 포함되었다.

새로운 놀이치료 연구의 필요성에 대응하여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가 1992년 그 당시

상임이사 Kevin O’Connor와 게스트 편집장인 Cynthia K. Bromberg의 지시 아래 놀이치료협회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제1의 주제에 이어 저널은 반년마다 출판되었으며, 2009년에는 분기별로 발행되었

다. 협회는 저널의 배포를 위해 미국심리학회와 계약을 맺고 있고, 저널에는 모든 주제의 전자 파일이

있어서 전 세계의 연구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놀이치료에 특정한 대학원 교육의 개발

Garry Landreth는 1980년 덴턴에 있는 노스텍사스대학교에 놀이치료센터를 설립했다. 이 센터는 세계

에서 가장 규모가 큰 놀이치료 훈련 프로그램이 되었으며, 석사 및 박사 수준의 대학원생 훈련 그리고

전문가를 위해 보수교육을 제공하며 지속적인 놀이치료 연구 및 훈련의 장소가 되었다. 센터에는 실

습과 연구를 위한 놀이치료 자료가 있는 종합 도서관 그리고 매년 열리는 여름 놀이치료 기관 및 가을

놀이치료 컨퍼런스(Landreth, 2012)를 후원한다. 센터를 설립할 당시, 미국에 있는 대략 40개 대학이

최소한 몇몇 놀이치료 교과 과정이 있었다고 보고했다. 2013년 12월, 177개 대학이 임상실습 경험의

Page 8: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8 제1부 도입

기회를 늘릴 뿐만 아니라 교과목도 개설했다고 보고했다(Burns, 2014).

2009년, 협회는 놀이치료 종사자 및 연구자들의 훈련을 계속 장려하기 위해 놀이치료 교육 인정 센

터의 기준을 채택하였다. 노스텍사스대학교의 놀이치료센터에서 설정한 사례를 모델로 했는데, 이 기

준의 목적은 새로운 출판물, 동료 심사를 거친 간행물을 제작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종사자 및 연구

원의 훈련을 장려하고 전문가 공동체와 일반 대중 사이에서 놀이치료 분야의 발전된 연구들을 창출하

려는 것이었다. 놀이치료센터는 2009년 6월에 최초로 승인된 센터가 되었으며, 이 글을 쓰는 시점에

는 놀이치료 이론, 연구, 실습을 지원하는 승인 센터가 미국 전역에 23개로 늘었다(K. Lebby, 2014년

7월 27일).

자격 인증과 실습의 표준 확립

1990년대 초, Diane Frey(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a)와 기타 지도자들은 놀이치료를 수행하는

모든 분야의 정신건강전문가가 갖추어야 할 핵심 지식과 기술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놀이치

료사를 위한 자격 인증 과정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등록은 내담자를 보다 잘 보호하고 현장의 전문가

들과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높은 수준의 놀이치료 훈련 및 실습을 격려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간

주되었다. 1993년, 등록 놀이치료사(Registered Play Therapist, RPT) 및 등록 놀이치료사-슈퍼바이저

(Registered Play Therapist-Supervisor, RPT-S) 자격증이 처음 발급되었으며, 2013년 말에는 전 세계에

1,184명의 RPT와 1,785명의 RPT-S가 배출되었다.

협회는 놀이치료사가 고품질의 보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승인된 놀이치료 연수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사람(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a)의 기준을 수립했다. 매년 승인된 제공자들이 전국에서

수천 시간의 연수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2001년, 협회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나 고

품질의 훈련을 이용할 수 있는 최초의 웹 기반 보수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협회의 E-러닝 센터가

2008년에 시작되어서, 새내기 놀이치료사 및 경험 있는 놀이치료사를 위한 광범위한 비접촉식 보수

교육 시간을 제공하고 있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4).

놀이치료사는 심리학자, 상담사, 가족치료사, 사회복지사, 임상 간호 종사자 등으로 구성된 다학제

집단이다. 이러한 각 정신건강 분야는 자체적인 실행 기준, 윤리 강령, 라이선스 규정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지침, 규정, 윤리 강령을 보충하기 위해 놀이치료협회(Association of Play Therapy)는 놀이치료

현장의 구체적인 지침을 개발했다. 이러한 것들은 놀이치료 그리고/또는 아동과의 임상 작업에서 보

다 보편적인 상황을 다룬다. 2003년에 개발된 자발적인 놀이치료 임상 지침은 2009년과 2012년에 놀

이치료 모범 사례(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2c)로 갱신되었다. 또한 협회의 ‘접촉에 관한 서류:

임상, 전문성, 윤리적 문제’(Paper on Touch:Clinical, Professional, and Ethical Issues;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2b)는 놀이치료에서 치료적 접촉의 사용에 관한 구체적인 쟁점을 다룬다.

연구 기반 확립하기

심리치료의 가치에 관한 역사적 논쟁은 주로 특정 이론 모델의 타당성에 관한 종사자와 연구자들 사

이의 내부적 논쟁이었다. 요즈음의 논쟁에는 특정 내담자의 결과 및 특정 문제에 강조를 두고 제3자

지불, 보건 정책 지도자, 소비자와 같은 더 많은 이해 당사자가 관련되어 있다. 의학 분야에서의 경

Page 9: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제1장 놀이치료 분야의 소개 9

험적 연구 방법에서 개발된 놀이치료 연구(Norcross, Beutler, & Levant, 2006)는 증거 중심의 실행

을 지향하는 이러한 추세를 따라 가는데, 즉 놀이치료의 다양한 모델들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에서

치료적 관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로, 내담자에게 제공되는 치료적 접근의 매칭으로, 범놀이치료 모

델들 전반의 놀이치료의 치료적 기제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동했다(Drewes, 2011a, 2011b). Baggerly

와 Bratton(2010)은 협회의 초기 지도자들이 놀이치료 연구의 실질적인 체제를 확립하기 시작한 이

후에 행해진 놀이치료에서 통제된 결과 연구의 진행을 간략히 설명했다. 이전의 연구들에 대한 메타

분석 연구는 놀이치료가 여러 가지 호소 문제들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냈다(Bratton

& Ray, 2000; Bratton, Ray, Rhine, & Jones, 2005; LeBlanc & Ritchie, 2001; Ray, Rhine, & Jones,

2001). 협회 기금 모금의 파트너인 놀이치료재단은 수년간 연구 포럼을 후원했으며, 몇 년 전에는 증

거 중심의 기준을 충족시킬 것이라고 기대되는 놀이치료 연구 프로젝트 여러 개에 대해 상당한 재정

적 지원을 했다. Reddy, Files-Hall, Schaefer(2005)와 Drewes(2009)가 편집한 책은 놀이치료 연구자들

의 사례를 제시하였는데, 놀이치료 관행의 증거 기반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여야 한다는 요구

에 부응하는 내용이다.

놀이치료 실습 및 미래로 나아가는 연구

Kazdin(2009)은 아동심리치료에 관한 연구 논문들이 많이 있지만 절차와 결과에 대한 경험적 이해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2010년 인터뷰에서 Charles Schaefer는 놀이치료 연구가 여전히 ‘유아

기’라고 규정하고(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d), 다른 형태의 심리치료에서 증거 중심을 만들기

위해 행하고 있는 연구의 유형과 손쉽게 비교할 수 있는, 잘 설계되고 잘 통제된 연구를 요구했다. 오늘

날 놀이치료의 증거 중심 실행을 알리려면, 치료 기제와 치료 결과 및 효과에 관한 보다 엄격한 연구여

야 한다는 구체적인 요구가 있다. D’Angelo와 Koocher(2011)는 기존의 놀이치료 연구들의 검토에서 지

난 10년 동안 놀이치료에 관한 출판물이 극적으로 증가했으며 좀 더 이론-특정적 접근에서 ‘보다 실용

적이고 절충적인 놀이치료로, 좀 더 지시적 처치와 자주 혼합한 것으로’ 이동한다고 언급했다(p. 442).

2010년,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는 놀이치료 연구의 현황에 관한 최신 정보를 제공했

다. 놀이치료 연구의 양과 질은 25년 전 Phillips(1985)의 검토 이후에 확실히 개선되었다(Baggerly &

Bratton, 2010). Urquiza(2010)는 연구와 관련하여 놀이치료 영역 내에서의 분야를 설명했다. 현장에

있는 일부 사람들은 정신건강의 더 큰 현장 그리고 서비스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고 결과를 기대하는

이해 당사자들에게 놀이치료의 가치를 경험적으로 보여주는 지속적인 노력을 장려하고 있다. 의료 모

델 연구 유형의 사용과 심리치료 연구에 그러한 방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는 사람들

도 있다. 이러한 집단은 연구 방법론이 다르지만, 치료사가 그들 작업에서 알고 있으며 의도적이고 자

신의 일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진다는, 즉 양쪽 모두 공통된 목표가 있다는 것이다. Urquiza는 놀이치

료 연구 노력을 추진하는 데 앞서서 도움이 되는 많은 제언을 했는데, 즉 사용하려는 개입 유형과 다

루려는 문제의 유형을 검증하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것, 쉽게 따라해 볼 수 있는 실시요강

이 있는 처치를 만들어내는 것, 제공된 처치와 관찰된 결과 사이의 관련 가능성의 범위를 더 잘 포착

Page 10: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10 제1부 도입

하기 위해 피험자의 사전 및 사후 개입 평가를 더 잘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는 또한 경험적으로 지

원되는 연구 단계의 진행의 개요를 설명했는데, 놀이치료 연구가 예비 연구에서 증거 중심 기준에 의

해 경험적으로 ‘잘 설정’되거나 ‘효과적일 수 있는’ 특정의 놀이치료 접근을 보여줄 수 있는 결과가 있

는 무작위 대조 연구로 이동하는 것이다.

2010년에 Phillips는 1987년에 수행한 놀이치료 연구의 리뷰를 업데이트했다. 그때 이후로 연구 및

출판물의 급증을 인정하면서 그는 “PT[놀이치료]의 대부분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증거가 여

전히 존재하지 않는다.”(p. 13)고 결론을 내렸다. 그는 문제의 일부는 놀이와 놀이치료를 조작적으로

정의하지 못하는 놀이치료사의 무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관찰 결과를 제시했는데, 회기에서 행한 것

이 정말로 놀이치료이고 이러한 행동의 결과가 놀이치료라고 말하는 것의 진짜 결과가 영향을 미쳤

기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놀이치료를 정의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는 ‘치료 기

제의 문제’(p. 22)에 관해 초점을 맞춘 연구가 더 많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Phillips의 결론과는 달리,

Baggerly와 Bratton(2010)은 최근의 놀이치료 연구를 검토하고 상당히 긍정적인 결론을 내렸는데, 그

들은 놀이치료 연구자들이 “증거 중심 치료로서 놀이치료를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연구가 충분

히 엄격하게 수행되는 데에서 꾸준하게 진전이 있었다.”고 언급한다(p. 36).

놀이치료 연구와 대인관계 신경생물학

D’Angelo와 Koocher(2011)는 현재의 놀이치료 연구 및 실행에 아동발달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영향

을 미치고 있음을 관찰했다. 놀이에 관한 초기의 정신분석학적 견해는 상상력이 그 개인을 대신하여

개인의 내부 활동이라고 보는 19세기 관점에 뿌리를 두고 있다. 자연스러운 놀이의 역할에 대한 최근

의 연구는 그러한 견해를 확대하고 도전해 왔다. 현재 정의되어 있는 자연스러운 놀이는 개인적인 상

상력 및 자기표현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의 연결 및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경험적인 의미를 만드

는 것에 관한 것이다. 놀이는 상호작용적이며 아동발달과 아동 환경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 Sutton-

Smith(2008)는 자연스러운 놀이가 진짜 갈등에 대한 개인적인 반응을 조절하는 아동의 첫 번째 시도

라고 설명했으며, 놀이는 계속해서 아동의 주요한 활동이 되고 평생을 두고 갈등을 다룬다(Brown,

2009; Russ, 2004). 전반적인 인간 발달의 맥락에서 볼 때 놀이는 공감적이 되고, 우정을 키우며, 파

트너 관계에서 친밀한 관계를 맺고, 열정적으로 성인의 직업을 추구하는 인간 능력의 전조이다(Slade

& Wolf, 1994). Eberle(2014)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놀이는 여전히 우리의 근육을 강하게 하고, 사회

적 기술을 우리에게 가르치고, 우리의 정적 정서를 단련시켜서 깊게 하고, 좀 더 놀려는 태세를 취하

게 해서 균형 상태를 허용하는 기쁨에 의해 움직이는 아주 오래되고, 자발적이고, ‘불시에 나타나는

(emergent)’ 과정이다(p. 231).

Schore(2012)와 Siegel(2012)은 인간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환경과 상호작용할 때 뇌와 신체의 상호작

용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는 영상 기술의 발전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

발달에서 놀이의 역할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놀이가 치료적 관계를 중재하는 방법에 대해

그리고 치료사와 내담자 사이의 작업에서 기저에 있는 치료적 메커니즘의 근원에 대해 알게 해준다.

몇 년 전, Bateson(1972)은 “치료 진행과 놀이 현상 간에는 실제로 아주 많은 유사점이 있다.”(p. 191)

는 것을 관찰했다. 놀이치료에서 미래의 치료적 접근은 치료 동맹을 개념화하고 새로운 놀이 개입을

Page 11: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제1장 놀이치료 분야의 소개 11

개발하는 데에서 놀이의 이러한 발달적 이해를 통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Russ, 2004).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서 Perry와 동료들(Barfield, Dobson, Gaskill, & Perry, 2012; Perry, 2006;

Perry & Hanbrick, 2008; Perry, Pollard, Blakley, Baker, & Vigilante, 1995)은 치료의 신경 순차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뇌 발달의 순서에 맞추어 배열된 치료적 개입(놀이 개입을 포함하여) 제공의 점

진적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개입은 뇌간 기능의 개선을 목표로 한 것에서 전두엽 피질의 고차적 기능

의 개선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이동한다. 초기의 치료적 개입은 감각 통합과 자기 조절에 더 많이 집

중해야 하며, 이후의 개입은 보다 복잡한 정서적·인지적·관계적 작업에 맞추어져야 한다.

놀이치료 통합과 놀이의 치료적 힘

심리치료의 광범위한 영역과 마찬가지로, 놀이치료 영역은 모델에 특정한 처치에서 좀 더 통합되

고 처방적인 모델로 점차적으로 이동하고 있다(Drewes, 2011a, 2011b; Drewes, Bratton, & Schaefer,

2011; Schaefer & Drewes, 2010, 2011, 2014). 이 모델은 아동의 요구를 평가하는 다중양식 방법에 좀

더 초점을 맞추는데, 대부분의 아동치료 모델에서는 일반적인 치료 기제와 치료적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하는 요소에 대해 알고 있는 것에 기초해서 이러한 요구를 개입과 연결시킨다. O’Connor(1991)

는 놀이치료의 첫 번째 통합 모델 중 하나인 환경 체계 놀이치료를 개발했다. 또한 통합적인 이론적

접근을 사용해서(Drewes, 2011a, 2011b) 정신분석치료, 아동중심치료, 발달치료, 인지행동치료, 치

료놀이1, 현실치료(Glasser, 1975)의 여러 요소를 놀이치료 평가와 처치의 종합적인 모델로 결합했다

(O’Connor, 1991, 2000, 2001, 2011; O’Connor & Ammen, 1997, 2013).

Schaefer는 놀이치료의 공통 요인과 특정한 내담자 및 조건을 위한 놀이치료 개입에 맞추어 재단하

는 처방적 방법에 중점을 둔 통합적 놀이치료를 제안하고 있다(Drewes, 2011a, 2011b). Schaefer(1993)

는 놀이의 치료적 힘(The Therapeutic Powers of Play)에서 처음에는 모든 놀이치료 모델에 공통적인 14

가지 변화 메커니즘을 확인했고 최근에는 놀이의 치료적 힘:변화의 20가지 핵심적 힘(The Therapeutic

Powers of Play:20 Core Agents of Change)에서 20개 항목으로 확장했다(Schaefer & Drewes, 2014).

Kazdin(2009)은 아동치료의 치료 과정에 관한 연구의 검토에서, 초점이 치료적 변화의 기제에 있어야

하고 그래서 치료적 힘이 어떻게, 왜 작용하는지에 집중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놀이의 이러한 치료적

힘을 설명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 것을 관찰했다. Schaefer는 이것이 앞으로 놀이치료 연구의 유

망한 방안 중 하나라고 보고 있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d).

심리치료의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통합적 및 공통 요인 연구는 또한 치료적 관계의 중요성과 치료

사와 내담자의 관계가 그 자체로, 어떻게 치료적인지를 더 잘 이해할 필요성 역시 강화한다(Duncan et

al., 2010). 놀이는 처음에는 치료적 관계를 발전시키고 강화시키는 방법으로 아동심리치료에 통합되

었다(Carmichael, 2006; O’Connor, 2000). Ginott(1959), Guerney(2001), Landreth(2012) 및 기타 여러

사람(Cochran, Nordling, & Cochran, 2010; VanFleet, Sywulak, Sniscak, & Guerney, 2010; Wilson &

Ryan, 2006)은 놀이치료에서의 치료적 관계의 역동성에 대해 우리가 많이 알게 했다. 치료적 관계에

1 치료놀이는 치료놀이기관(The Theraplay Institute)의 등록된 서비스 마크이다.

Page 12: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12 제1부 도입

대한 이러한 강조는 대인관계 신경생물학의 최근 연구에 의해 강화되고 있다. Schore(2012)는 심리치

료 작업이 “치료사가 내담자를 위해 하는 것 또는 내담자에게 말하는 것(좌뇌 초점)에 의한다고 정의

하지 않는다. 오히려 핵심 메커니즘은 내담자와 함께하는 방법이고, 특히 정서적으로 스트레스의 순

간(우뇌 초점)에 더욱 그러하다.”(p. 44)고 제안한다.

놀이치료와 특수 인구집단

놀이치료는 개별 내담자의 역동과 어린 아동의 세계를 초월하여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 부모와 기

타 가족 구성원들이 치료회기에 포함되기 시작했다. 놀이치료의 비언어적이고 경험적인 측면은 청소

년에서부터 이후의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의 내담자가 치료적 적용에 포함되기 시작했다.

놀이치료에 부모 및 가족의 참여

Louise Guerney는 자신과 배우자/동료 연구자인 Bernard Guerney가 그들이 하는 놀이치료 작업에서

부모를 포함시키기 시작했을 때 “부모는 변화의 대리인으로 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b). Landreth는 Guerney의 부모놀이치료 개발에 대해 “지난 50년 동안의 놀이치료

에서 가장 의미 있는 발전”이라고 말한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2a). Landreth가 보는 것과

같이, 부모의 참여는 세대 간 과정, 즉 사회적 수준에서 문제를 소개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치료실을

훨씬 넘어서는 방식으로 아동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놀이치료 결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는 부모의

참여가 놀이치료의 성공에서 핵심 요소 중 하나라고 지적한다(Bratton et al., 2005; LeBlanc & Ritchie,

2001).

일생주기를 통한 놀이치료

Frey(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a), Landreth(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2a),

Schaefer(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d) 모두는 미래의 놀이치료에는 모든 연령의 내담자가 포함

된다고 지적한다. 자연스러운 놀이에 대한 현대의 연구는 정서적 균형과 중요한 다른 사람들과의 관

계를 유지하기 위해 일생주기 전반을 통해 놀이의 기능을 강조한다. 놀이치료사는 청소년, 성인, 고령

자와의 놀이의 치료적 힘을 적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다.

놀이치료에서 문화적 역량

O’Connor(1991, 2000)와 이후에 O’Connor와 Ammen(1997, 2013)은 놀이치료 관행의 모든 측면에서

다양성 문제를 고려해야 하는 중요성에 대해 자신들의 책에서 전체 장(chapter)을 할애했다. O’Connor

는 학술지 Professional Psychology:Research and Practice(2005)에 주제에 관한 종합적인 글을 썼다. Gil과

Drewes(2005)는 놀이실에서 문화와 다양성에 대한 대화를 자극하기 위해 놀이치료에서 문화적 차원

에 관한 최초의 주요 저서를 편집했다. 그 뒤에 놀이치료협회는 놀이와 놀이치료에서 다양성의 인식,

통합, 보존을 정책으로 채택했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4). 협회의 최근 전국 회의 중 하나

는 회의 주제의 특징을 다양성으로 하고 있으며, 협회의 많은 지부도 유사한 시도를 하고 있다. 협회

가 승인한 모든 보수교육 제안서에는 이제 다양성 문제가 주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세부 사항이 포

Page 13: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제1장 놀이치료 분야의 소개 13

함되어야 한다.

지금이 놀이치료의 미래이다

자연스러운 놀이와 대인관계 신경생물학에서의 최근 연구는 놀이의 경험과 놀이치료 모두를 이해하

는 방법에 대한 참신한 시각을 놀이치료 분야에 제시했다. 그러나 새로운 진리가 매우 오래된 진리이

기도 하다. 즉 놀이는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 우리의 세계, 우리 자신과 연결되는 방식의 통합된 부분

이다. 놀이는 우리가 삶의 도전에 대해 연습하고, 그리고 그러한 도전을 한 후에 다시 상쾌해지는 방

법이다. 놀이의 치료적 힘은 삶과 회복에 대한 치료적 힘이다.

참고문헌

Allan, J. (1988). Inscapes of the child’s world. Dallas, TX: Spring.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A definition of play therapy. The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Newsletter, 16(1), 7.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a). History speaks: Frey interview. Retrieved from http://youtu.be/6cxO0UQZFuo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b). History speaks: Guerney interview.

Retrieved from http://www.youtube.com/watch?v=ZU6Yhta_igc&feature=share&list=PLBABA1DBEEF2AC85E&index=3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c). History speaks: Perry interview.

Retrieved from http://www.youtube.com/watch?v=CjodXCi1xUI&list=PLBABA1DBEEF2AC85E&feature=share&index=2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0d). History speaks: Schaefer interview. Retrieved from

http://www.youtube.com/watch?v=uWSUkUsWeZI&list =PLBABA1DBEEF2AC85E&feature=share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2a). History speaks: Landreth interview.

Retrieved from http://www.youtube.com/watch?v=SOYhs593-kE&list=PLBABA1DBEEF2AC85E&feature=share&index=6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2b). Paper on touch: Clinical, professional, and ethical issues. Retrieved from http://www.a4pt.org/

download.cfm?ID=28052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2c). Play therapy best practices. Retrieved from http://www.a4pt.org/download.cfm?ID=28051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3). History speaks: Burns interview.

Retrieved from http://www.youtube.com/watch?v=PT8hJi1_JPQ&feature=share&list=UU0DXBcxC-d63IZDtMzzFotA&index=2Association for Play Therapy. (2014). Historical milestones. Retrieved from http://www.a4pt.org/ps.index.cfm?ID=2385Baggerly, J. N., & Bratton, S. C. (2010). Building a firm foundation in play therapy research: Response to Phillip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9, 26-38.Barfield, S., Dobson, C., Gaskill, R., & Perry, B. D. (2012). Neurosequential Model of Therapeutics in a therapeutic preschool:

Implications for work with children with complex neuropsychiatric problem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21, 30-44.Bateson, G. (1972). A theory of play and fantasy. In G. Bateson (Ed.), Steps to an ecology of mind (pp. 177-193). New York, NY:

Chandler.Berner, J. B., Duke, A. V., Guillory, N. S., & Oe, E. N. (1994).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A decade in retrospect.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3, 63-71.Bratton, S. C., & Ray, D. (2000). What the research shows about play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9, 47-88.Bratton, S. C., Ray, D., Rhine, T., & Jones, L. (2005). The efficacy of play therapy with children: A meta-analytic review of treatment

outcome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6, 376-390.Brown, S. (2009). Play: How it shapes the brain, opens the imagination, and invigorates the soul. New York, NY: Avery/Penguin.Burns,W. M. (2014, February). APT annual growth report by CEO. Retrieved from http://www.a4pt.org/download.cfm?ID=31007Carmichael, K. D. (2006). Play therapy: An Introduction.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Cochran, N. H., Nordling,W. J., & Cochran, J. L. (2010). Child-centered play therapy: A practical guide to develop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children. Hoboken, NJ: Wiley.D’Angelo, E. J., & Koocher, G. P. (2011). Psychotherapy patients: Children. In J. C. Norcross, G. R. VandenBos, & D. K. Freedheim

(Eds.), History of psychotherapy: Continuity and change (2nd ed., pp. 430-448).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onaldson, G. (1996). Between practice and theory: Melanie Klein, Anna Freud, and the development of child analysis. Journal of the History of the Behavioral Sciences, 32, 160-176.

Page 14: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14 제1부 도입

Drewes, A. A. (2009). Blending play therapy wit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Evidence-based and other effective treatments and techniques. Hoboken, NJ: Wiley.

Drewes, A. A. (2011a). Integrating play therapy theories into practice. In A. A. Drewes, S. C. Bratton, & C. E. Schaefer (Eds.), Integrative play therapy (pp. 21-35). Hoboken, NJ: Wiley.

Drewes, A. A. (2011b). Integrative play therapy. In C. E. Schaefer (Ed.), Foundations of play therapy (2nd ed., pp. 349-364). Hoboken, NJ: Wiley.

Drewes, A. A., Bratton, S. C., & Schaefer, C. E. (Eds.). (2011). Integrative play therapy. Hoboken, NJ: Wiley.Duncan, B. L., Miller, S. D.,Wampold, B. E., & Hubble, M. A. (Eds.). (2010). The heart and soul of change: Delivering what works in

therapy (2nd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Eberle, S. G. (2014). The elements of play: Toward a philosophy and a definition of play. American Journal of Play, 6, 214-233.Ellenberger, H. F. (1981). The discovery of the unconscious: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dynamic psychiatry. New York, NY: Basic Books.Freud, A. (1966). The ego and the mechanisms of defense (Rev. ed.). New York, NY: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36)Gil, E. (1991). The healing power of play. New York, NY: Guilford Press.Gil, E., & Drewes, A. A. (Eds.). (2005). Cultural issues in play therapy. New York, NY: Guilford Press.Ginott, H. (1959).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rapeutic intervention in child treatment.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3, 160-166.Glasser,W. (1975). Reality therapy. New York, NY: Harper & Row.Guerney, L. (1991). Parents as partners in treating behavior problem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

11, 74-90.Guerney, L. (2001). Child-centered play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0, 13-32.Hug-Hellmuth, H. (1921). On the technique of child-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2, 287-305.Kazdin, A. E. (2009). Understanding how and why psychotherapy leads to change. Psychotherapy Research, 19, 418-428.Klein, M. (1932). The psycho-analysis of children. London, England: Hogarth Press.Kottman, T. (2011). Play therapy: Basics and beyond (2nd ed.). Alexandria, VA: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Landreth, G. L. (1991). Play therapy: The art of relationship.Muncie, IN: Accelerated Development.Landreth, G. L. (2012). Play therapy: The art of relationship (3rd ed.). New York, NY: Taylor & Francis.LeBlanc, M., & Ritchie, M. (2001). A meta-analysis of play therapy outcomes. Counselling Psychology Quarterly, 14, 149-163.Norcross, J. C., Beutler, L. E., & Levant, R. F. (Eds.). (2006). Evidence-based practices in mental health: Debate and dialogue on the

fundamental questions.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Norcross, J. C., VandenBos, G. R., & Freedheim, D. K. (Eds.). (2011). History of psychotherapy: Continuity and change (2nd

ed.).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O’Connor, K. J. (1991). Play therapy primer: An integration of theories and techniques. New York, NY: Wiley.O’Connor, K. J. (2000). Play therapy primer (2nd ed.). New York, NY: Wiley.O’Connor, K. J. (2001). Ecosystemic play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0, 33-44.O’Connor, K. J. (2005). Addressing diversity issues in play therapy.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6(5), 566-573.O’Connor, K. J. (2011). Ecosystemic play therapy. In C. E. Schaefer (Ed.), Foundations of play therapy (2nd ed., pp. 253-272).

Hoboken, NJ:Wiley.O’Connor, K. J., & Ammen, S. (1997). Play therapy treatment planning and interventions: The ecosystemic approach. Philadelphia, PA:

Elsevier.O’Connor, K. J., & Ammen, S. (2013). Play therapy treatment planning and interventions: The ecosystemic model and workbook (2nd

ed.). Waltham, PA: Elsevier.O’Connor, K. J., & Schaefer, C. E. (1994). Handbook of play therapy: Volume two: Advances and innovations. New York, NY:Wiley.Perry, B. D. (2006). The neurosequential model of therapeutics: Applying principles of neuroscience to clinical work with traumatized

and maltreated children. In N. B.Webb (Ed.),Working with traumatized youth in child welfare (pp. 27-52). New York, NY: Guilford Press.

Perry, B. D., & Hanbrick, E. P. (2008). The neurosequential model of therapeutics. Reclaiming Children and Youth, 17, 38-43.Perry, B. D., Pollard, R. A., Blakley, T. L., Baker,W. L., & Vigilante, D. (1995). Childhood trauma, the neurobiology of adaptation, and

“use-dependent” development of the brain: How “states” become “traits.”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16, 271-291.Phillips, R. D. (1985). Whistling in the dark? A review of play therapy research. Psychotherapy, 22, 752-760.Phillips, R. D. (2010). How firm is our foundation? Current play therapy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9, 13-25.Phillips, R. D., & Landreth, G. L. (1995). Play therapists on play therapy: I. A report of methods, demographics, and professional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4, 1-26.Phillips, R. D., & Landreth, G. L. (1998). Play therapists on play therapy: II. Clinical issues in play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6, 1-24.Prochaska, J. O., & Norcross, J. C. (2010). Systems of psychotherapy: A transtheoretical analysis (7th ed.). Belmont, CA: Brooks/Cole.Ray, D., Bratton, S. C., Rhine, T., & Jones, L. (2001). The effectiveness of play therapy: Responding to the cri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0, 85-108.

Page 15: Handbook of Play Therapy이론 모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ssociation for Play Therapy, 1997) 놀이치료의 새로운 간행물 놀이치료에서 출판물의

제1장 놀이치료 분야의 소개 15

Reddy, L. A., Files-Hall, T. M., & Schaefer, C. E. (Eds.). (2005). Empirically based play interventions for childre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uss, S.W. (2004). Play in child development and psychotherapy: Toward empirically supported practice. Mahwah, NJ: Erlbaum.Ryan, S. D., Gomory, T., & Lacasse, J. R. (2002).Who are we? Examining the results of the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membership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1, 11-41.Saltzman, N., & Norcross, J. C. (1990). Therapy wars: Contention and convergence in differing clinical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 Bass.Schaefer, C. E. (Ed.). (1993). The therapeutic powers of play. Northvale, NJ: Jason Aronson.Schaefer, C. E., & Drewes, A. A. (2010). The therapeutic powers of play and play therapy. In A. A. Drewes & C. E. Schaefer (Eds.),

School-based play therapy (2nd ed., pp. 3-16). Hoboken, NJ: Wiley.Schaefer, C. E., & Drewes, A. A. (2011). The therapeutic powers of play and play therapy. In C. E. Schaefer (Ed.), Foundations of play

therapy (2nd ed., pp. 15-26). Hoboken, NJ: Wiley.Schaefer, C. E., & Drewes A. A. (Eds.). (2014). The therapeutic powers of play: 20 core agents of change (2nd ed.). Hoboken, NJ: Wiley.Schaefer, C. E., & O’Connor, K. J. (Eds.). (1983). Handbook of play therapy. New York, NY: Wiley.Schore, A. N. (2012). The science of the art of psychotherapy. New York, NY:W.W. Norton.Siegel, D. J. (2012). The developing mind: How relationships and the brain interact to shape who we are (2nd ed.). New York, NY:

Guilford Press.Slade, A., & Wolf, D. E. (Eds.). (1994). Children at play: Clinical and developmental approaches to meaning and representation.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Sutton-Smith, B. (2008). Play theory: A personal journey and new thoughts. American Journal of Play, 1, 82-125.Urquiza, A. J. (2010). The future of play therapy: Elevating credibility through play therapy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9, 4-12.VanFleet, R., Sywulak, A. E., Sniscak, C. C., & Guerney, L. F. (Eds.). (2010). Child-centered play therapy. New York, NY: Guilford

Press.Wampold, B. (2001). The great psychotherapy debate:Models, methods, and findings.Mahwah, NJ: Erlbaum.Wilson, K., & Ryan, V. (2006). Play therapy, second edition: A non-directive approach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St. Louis, MO:

Elsevier.Winnicott, D.W. (1971). Playing and reality. London, England: Tavist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