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식정신의학:폐경주변기 및 -...

8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 Volume 42, No 1 January, 2003 46 KISEP Review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42, No 1 생식정신의학:폐경주변기 폐경기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Reproductive PsychiatryPerimenopause and Menopause Jin-SookCheon,M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si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san, Korea The most troublesome symptoms of perimenopause and menopause are hot flushes, insomnia, depression, sexual dysfunction and cognitive decline. The suggested mechanism is the hormonal changes of estrogen, progesterone and androgen as well as neuromodulating effect of estrogen, which enhances activity of 5-HT and norepinephrine, inhibiting monoamine oxidase and dopamine. Though testosterone deficiency is not analogous to female menopause, male climacteric has become a clinical issue in current psychiatry. KEYWORDSMenopause·Hot flushes·Depression·Estrogen·Neuromodulation·Male climacteric. 폐경은 대개 정상적인 인생의 단계이나 어떤 여성에서 는 수술이나 조기 난소기능부전으로 일찍 폐경이 되기도 한다. 폐경은 대개 40~55세 사이에 나타나며, 여성의 84%는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폐경기 증상을 경험하며, 이들 중 절반은 병적인 것으로 진단된다. 1) 여성의 생식주 기는 Fig. 1과 같다. 2) 즉, 월경이 처음 시작되는 초경(me- narche)에서 폐경(menopause)까지를 폐경전기(premen- opause), 폐경기 직전 및 무월경이 있은 지 1년 동안의 시기를 폐경주변기(perimenopause), 그리고 폐경 이후 의 시기를 폐경후기(postmenopause)로 칭한다. 폐경기 란 난소 기능이 중지된 후 월경이 완전히 중단된 시기를 말하며, 실제적으로 무월경이 나타난 지 1년 후를 일컫는 다. 갱년기(climacteric)란 난소 기능이 하강하는 기간을 기술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며, 폐경이행기 (menopausal transition)란 폐경 전에 호르몬이 이전되 는 시기이고, 또한 40세 전에 자연적으로 폐경이 나타난 경우를 조기폐경(premature ovarian failure)이라고 부 른다. 3) 폐경주변기의 호르몬 변화(perimenopausal tran- sition)는 Fig. 2와 같다. 4) 즉, 폐경주변기에 estradiol과 estrone의 농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나 정상범위 내에서 유지되며, 난포(follicle)의 성장과 발달이 멈추기 6개 월~1년 전까지는 약간 증가된다. 폐경후 1~3년에는 난 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이하 FSH) 이 10~20 증가하고, 황체호르몬(luteinizing hormone, 이하 LH)은 3 증가하며, 그 이후에는 약간 감소한다. 이 시기에 FSH와 LH의 증가는 난소부전(ovarian failure) 의 근거이다. LH는 혈액에서 빨리 청소되므로 LH 보다 FSH 농도가 더 높다. Perimenopausal transition의 평균 시작 연령은 46세이고, 여성의 95%가 39세에서 51세에 나타나며, 평균 5년간 지속되고, 여성의 95%가 2년에서 8년간 나타난다. 폐경기 증상 Estrogen 결핍에 관계된 증상은 단기효과와 장기효과 로 나눌 수 있다. 단기효과에는 무월경, 홍조(hot flushes), 접수일자:2002년 4월 8일 / 심사완료:2002년 12월 1일 Address for correspondence Jin-Sook Cheon, M.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sin University Gos- pel Hospital, 34 Amnam-dong, Seo-gu, Busan 602-702, Korea Tel:+82.51-990-5070, Fax:+82.51-241-5069 E-mail:[email protected] 본 논문의 요지는 2001년 10월 25~26일 개최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심포지움에서 구연되었음.

Transcript of 생식정신의학:폐경주변기 및 -...

Page 1: 생식정신의학:폐경주변기 및 - journal.kisep.comjournal.kisep.com/pdf/002/2003/0022003005.pdf · phic vaginitis), 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opathy)을,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ume 42, No 1 January, 2003 46

KISEP Review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42, No 1

생식정신의학:폐경주변기 및 폐경기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전 진 숙

Reproductive Psychiatry:Perimenopause and Menopause

Jin-Sook Cheon, M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si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san, Korea

The most troublesome symptoms of perimenopause and menopause are hot flushes, insomnia, depression, sexual dysfunction and cognitive decline.

The suggested mechanism is the hormonal changes of estrogen, progesterone and androgen as well as neuromodulating effect of estrogen, which enhances activity of 5-HT and norepinephrine, inhibiting monoamine oxidase and dopamine.

Though testosterone deficiency is not analogous to female menopause, male climacteric has become a clinical issue in current psychiatry. KEY WORDS:Menopause·Hot flushes·Depression·Estrogen·Neuromodulation·Male climacteric.

서 론

폐경은 대개 정상적인 인생의 단계이나 어떤 여성에서

는 수술이나 조기 난소기능부전으로 일찍 폐경이 되기도

한다. 폐경은 대개 40~55세 사이에 나타나며, 여성의

84%는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폐경기 증상을 경험하며,

이들 중 절반은 병적인 것으로 진단된다.1) 여성의 생식주

기는 Fig. 1과 같다.2) 즉, 월경이 처음 시작되는 초경(me-narche)에서 폐경(menopause)까지를 폐경전기(premen-opause), 폐경기 직전 및 무월경이 있은 지 1년 동안의

시기를 폐경주변기(perimenopause), 그리고 폐경 이후

의 시기를 폐경후기(postmenopause)로 칭한다. 폐경기

란 난소 기능이 중지된 후 월경이 완전히 중단된 시기를

말하며, 실제적으로 무월경이 나타난 지 1년 후를 일컫는

다. 갱년기(climacteric)란 난소 기능이 하강하는 기간을

기술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며, 폐경이행기

(menopausal transition)란 폐경 전에 호르몬이 이전되

는 시기이고, 또한 40세 전에 자연적으로 폐경이 나타난

경우를 조기폐경(premature ovarian failure)이라고 부

른다.3) 폐경주변기의 호르몬 변화(perimenopausal tran-sition)는 Fig. 2와 같다.4) 즉, 폐경주변기에 estradiol과

estrone의 농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나 정상범위 내에서

유지되며, 난포(follicle)의 성장과 발달이 멈추기 6개

월~1년 전까지는 약간 증가된다. 폐경후 1~3년에는 난

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이하 FSH)

이 10~20배 증가하고, 황체호르몬(luteinizing hormone,

이하 LH)은 3배 증가하며, 그 이후에는 약간 감소한다.

이 시기에 FSH와 LH의 증가는 난소부전(ovarian failure)

의 근거이다. LH는 혈액에서 빨리 청소되므로 LH 보다

FSH 농도가 더 높다. Perimenopausal transition의 평균

시작 연령은 46세이고, 여성의 95%가 39세에서 51세에

나타나며, 평균 5년간 지속되고, 여성의 95%가 2년에서

8년간 나타난다.

폐경기 증상

Estrogen 결핍에 관계된 증상은 단기효과와 장기효과

로 나눌 수 있다. 단기효과에는 무월경, 홍조(hot flushes),

접수일자:2002년 4월 8일 / 심사완료:2002년 12월 1일

Address for correspondence

Jin-Sook Cheon, M.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34 Amnam-dong, Seo-gu, Busan 602-702, Korea

Tel:+82.51-990-5070, Fax:+82.51-241-5069

E-mail:[email protected]

본 논문의 요지는 2001년 10월 25~26일 개최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움에서 구연되었음.

Page 2: 생식정신의학:폐경주변기 및 - journal.kisep.comjournal.kisep.com/pdf/002/2003/0022003005.pdf · phic vaginitis), 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opathy)을,

J.S. Cheon 폐경주변기 및 폐경기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ume 42, No 1 January, 2003 47

수면장애, 감정의 불안정이 포함되며, 장기효과에는 질 및

요도변화, 중추신경계, 심혈관질환, 골다공증(osteopo-rosis)이 포함된다. 폐경주변기 증상을 혈관운동(vaso-motor), 근골격(musculoskeletal), 정서와 행동(emo-tional and behavioral) 증상 등 세부분으로 나누기도 한

다. 혈관운동 증상으로 홍조, 야간 발한(night sweats)을,

근골격계 증상으로 피부와 유방위축, 위축성질염(atro-phic vaginitis), 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opathy)을, 정서 및 행동증상으로는 기분변동, 불면

증, 과민성, 긴장감, 에너지와 욕구감소, 성욕감퇴, 두통과

불쾌감을 들 수 있다.5) 또한 폐경주변기 증상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기도 한다. 즉,“일차성 신체증상과 이차성 기

분증상”,“일차성 기분증상과 이차성 신체증상” 및“저

급증상(low-grade symptomatology)”으로서,6) 첫 번째

군에 속하는 증상은 홍조, 밤의 발한, 수면문제, 질건조나

쓰림이며, 두 번째군에 속하는 증상은 과민성, 기억문제,

불안, 우울, 적응하기 힘듬이다. 이 중에서 가장 괴로움을

주는 신체증상은 홍조이다. 이는 폐경전기 여성의 10~

25%에서도 나타나며, 폐경후에는 많아져서 홍조가 없는

경우는 15~25%이며, 매일 홍조가 나타나는 여성도 15~

20%나 되며, 평균 1~2년간 지속되고, 25% 가량은 5년

이상 지속된다. 폐경 외에 홍조의 다른 원인을 반드시 감

별해야하며, 이에는 정신신체증상, 스트레스, 갑상선질환,

유암종(carcinoid), 갈색세포종(pheochromocytoma), 백

혈병, 암이 포함된다. 혈관운동 증상의 심한 정도는 갱년기

뼈 상실율의 지표이며, 전반적인 행복감을 저하시킨다.7)

편측 난소를 살린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도 비슷한 연령

의 정상적인 갱년기 여성보다는 중등도 이상의 혈관운동

증상, 질건조증, 비전형적 증상들을 다 많이 경험한다.8)

폐경주변기 우울증상의 빈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해

서,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이고, 주요우울증의 위험을

증가시키지는 않는다는 설도 있으며,9) 임상 역치 이하의

우울증상(subsyndromal depressive symptoms)도 많

다. 정신과적 진단기준에 맞는 폐경과 연관된 기분장애의

Fig. 1. Reproductive life cycle.2)

Perimenopause

Menarche Menopause

Premenopause

0 10 20 30 40 50 60 70 80 Age (years)

Postmenopause

Fig. 2. The perimenopausal transition.4)

Ages 42-57 Depressed, anxious, disturbed sleep, decreased concentration

Fully assess/especially note 1. Somatic symptoms, menstrual pattern 2. Past psychiatric history, including reprodution-related history 3. Current psychosocial issues 4. TSH

Vasomotor symptoms? Yes No

FSH

E2 FSH

E2

1. Consider psychiatric d/o

2. Consider repeat FSH, E2 in 3 months

3. Consider standard psychiatric treatment

1. Consider psychiatric d/o

2. Consider standard psychiatric treatment

1. Perimenopause (does not rule out psychiatric comorbidity)

2. Educate re menopause, HRT

3. Refer to gyencologist

4. Offer psychotherapy: group, individual

HRT

Symptoms remit

Symptoms remit

No further psychiatric treatment

needed

Begin psychiatric treatment

No further psychiatric treatment

needed

Yes Yes No No

Yes No

Yes Yes No No

Fig. 3. Psychiatric evaluation of the middle-aged depressed wo-man:special considerations.15) TSH:thyroid-stimulating horm-one, FSH:follicle-stimulating hormone, d/o:disorder, E2:es-tradiol, HRT:hormone replacement therapy.

(Mean circulating hormone levels)

100

FSH & LH IU/L

090

080

070

060

050 200

040 160

030 120

020 180

010 140

010 140

Estradiol

Estrone

FSH

LH

44 46 48 50 52 54 56 58 Age (years)

Menopause

Estradiol Estrone Pg/mL

Page 3: 생식정신의학:폐경주변기 및 - journal.kisep.comjournal.kisep.com/pdf/002/2003/0022003005.pdf · phic vaginitis), 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opathy)을,

폐경주변기 및 폐경기 J.S. Che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ume 42, No 1 January, 2003 48

유병률은 지역사회에서 15% 미만, 병원에서 30%를 넘

는다. 폐경주변기 우울증상의 위험인자는 다음과 같다. 홍

조가 있는 경우엔 우울증상이 4.6배 더 많이 나타나고,

장기적인 폐경주변기, 우울증 등의 정신과적 기왕력14)이

있으면 4~9배 우울증의 위험이 높아지며, 기분장애에 대

한 가족력, 불건강, 무직이나 결혼의 붕괴 등 사회적 스트

레스,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에 우울증의 위험이 크다. 폐

경주변기 우울증상의 평가에는 기분과 폐경주변기의 시간

적 경과, 우울증후군의 식별, 홍조와 수면의 평가가 포함

되어야 하며, FSH와 estradiol 농도는 반드시 필요한 것

은 아니다. 중년기의 우울한 여성에 대한 정신과적 평가

는 Fig. 3과 같은 순서로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15)

폐경후 여성에서 에스트로겐은 인지기능에 좋은 효과를

보이며, 인지기능 하강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

졌으며,16) 에스트로겐 보충요법은 치매가 없는 폐경후 여

성에서 인지기능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17) 특히 에

스트로겐 보충요법은 치매가 없는 폐경후 여성에서 언어

성 기억에 선택적으로 유익한 효과를 보인다.18) 에스트로

겐의 인지기능에 대한 효과는 여러 근거에서 유추해 볼

수 있다. 에스트로겐은 폐경후기 여성에서 인지기능을 향

상시키며,19) 호르몬보충요법은 폐경주변기 여성에서 치매

의 발생과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위험을 감소시키고,20-22)

에스트로겐 치료는 알쯔하이머형 치매 증상의 심한 정도

를 호전시킨다.19,23) 그러나 4~16주간 단기적인 에스트

로겐 치료는 대부분의 여성에서 알쯔하이머 치매의 증상

을 호전시키지 않았다.23)

폐경주변기 여성에서 성기능부전의 원인으로서는 요로

생식기의 변화, 만성적인 건강문제, 신체적 적합성의 결여

(poor physical fitness), 우울증, 불만족스런 페경전기의

성기능, 배우자의 성기능부전을 들 수 있다.15)

기 전

폐경기 증상의 기전으로서는 호르몬의 변화와 생식선호

르몬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등이 제시되고 있다. 즉,

폐경주변기에 estradiol, FSH, progesterone, inhibin의

농도에 변화가 오며, 생식선 스테로이드(gonadal steroids)

는 기분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거나, 감수성

에 변화를 일으키고,24) 또한 스테로이드 수용체는 봉선

핵, 편도 및 해마에서 작용함으로써 중추신경계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 즉, 폐경주변기에 난소의 난포는 빠른 속

도로 상실되며 이는 FSH의 증가와 inhibin의 감소와 상

관되고, FSH와 inhibin의 역상관성은 inhibin이 난소의

난포 능력의 예민한 지표이며, FSH 측정은 inhibin에 대

한 임상적 평가와 같다.4) Fig. 425)와 같이 생식선 스테로

이드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콜레스테롤에서 테스토스

테론, 테스토스테론에서 estradiol이 형성되어 여성호르

몬과 남성호르몬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

Fig. 4. Synthetic pathways for steroid hormones.25) Circled nu-mbers identify synthetic enzy-mes: 1: cytochrome P450 (CYP) 11A (cholesterol desmo-lase), 2:3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3:CYP21 (21-hydroxylase), 4:CYP11B2 (11β-hydroxylase, 18-hydroxylase, 18-oxidase), 5:CYP17 (17α-hy-droxylase, 17, 20-lyase), 6:17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or oxidoreductase), 7:aro-matase, 8:5α-reductase, 9:CYP11B1 (11β-hydroxylase).

O

Cholesterol

HO

HO

CH3 C=O

② Pregnenolone Progesterone 11-Deoxycorticosterone Corticosterone 18-Hydroxycorticosterone Aldosterone

CH3 C=O

O

CH3 C=O

OH

17-Hydroxypregnenolone 17-Hydroxyprogesterone 11-Deoxycortisol Cortisol HO ②

③ ④ ④ ④

HO

CH2OH C=O

H O=C

O

CH3 C=O

OH

③ ⑨ O

CH2OH C=O

OH

O

HO

⑤ ⑤

⑥ ⑦

O

O O ⑥ ⑧

OH OH

O H Dehydroepiandrosterone Androstenedione Testosterone Dihydrotestosterone OH

HO Estrone Estradiol

HO

Page 4: 생식정신의학:폐경주변기 및 - journal.kisep.comjournal.kisep.com/pdf/002/2003/0022003005.pdf · phic vaginitis), 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opathy)을,

J.S. Cheon 폐경주변기 및 폐경기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ume 42, No 1 January, 2003 49

다.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축을 통한 여성호르몬의 조

절은 Fig. 5와 같다.26) 또한 생식선스테로이드는 시상하

부-뇌하수체-부신축의 조절에도 관여한다(Fig. 6). 즉,

생식선 스테로이드는 glucocorticoid 수용체, 뇌 CRH(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계, 또는 CRH에 대한

뇌하수체 반응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시상하부-뇌하수

체-부신(hypothalamic-pituitary-adrenal, 이하 HPA)

축 되먹이 기전에 관여한다.27)

에스트로겐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영향은 다음과 같

다.28) 첫째,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후구(olfactory bulb),

편도, 해마, 피질, 배측봉선(dorsal raphe), 중뇌(mid-brain), 중심회백질(central gray matter) 및 소뇌에 분

포한다. 에스트로겐 치료는 언어적 정보의 저장시에 하두

정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비언어적 정보의 저장시에는 감소시키며, 회상(retrieval)

과제시에 우측상전두회(right superior frontal gyrus)의

활성을 증가시키므로, 폐경후 여성에서 치료용량의 에스

트로겐은 기억기능의 수행에 관계된 뇌부위의 활성을 변

화시킨다.29) 둘째, 에스트로겐은 아세틸콜린, 세로토닌,

노아드레날린, gamma-aminobutyric acid(GABA), 내

재적 아편, 도파민, glutamate 및 단가아민산화효소제 등

신경전달물질의 생성과 조절에 관여한다. 폐경주변기 우

울증은 에스트로겐에 의한 세로토닌 기능의 조절과 연관

된다.30,31) 만성적인 에스트로겐 투여는 혈액내 prolactin

농도를 증가시키고, 이는 선조체 도파민 수용체의 밀도를

증가시킨다.32) 폐경후 여성에서 노에피네프린 농도는 유

의하게 증가하며,33) 폐경후 여성의 기분과 행동변화는 증

가된 imidazoline과 α2 adrenergic receptor 결합 부위

에 연관된다.34) 내재적인 아편양(endogenous opioid) 활

성은 혈중 생식선 스테로이드의 농도와 관계되며, 폐경후

여성에서 없어진 내재적 아편양 활성은 에스트로겐 또는

에스트로겐과 progestin을 같이 투여함으로써 복구될 수

있다.35) Progesterone 대사물은 benzodiazepine과 유사

한 생리 및 행동 효과를 나타내는 대뇌피질의 주요 억제

적 신경전달물질인 GABA의 작용을 증진시키고, estra-diol은 glutamate계를 통해서 신경흥분 효과를 나타낸

다.36) 셋째, 에스트로겐은 항산화효과, apoptosis의 조절,

뇌혈류의 증가 및 항염증효과로 신경보호(neuroprote-ctive) 효과를 지닌다. 에스트로겐은 치매가 있는 폐경후

여성에서 인지퇴행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다.37) 배양된 해

마 신경단위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으로 전처치시

glutamate 독성, 당결핍, FeSO4 독성, amyloid[beta]-

peptide 독성에 대해서 보호되었으며, 따라서 에스트로

겐과 프로게스테론과 같은 스테로이드는 항산화작용이 있

고, 테스토스테론과는 달리 흥분독성, 대사성, 산화성 손

상에 대한 신경단위의 취약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다.38) 마지막으로, 에스트로겐은 신경세포의 재생과 성장

에 관여한다. Seeman39)도 에스트로겐은 신경퇴행, 성장,

독에 대한 소지에 대해서 신경보호 작용이 있으며, 에스

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주기적 변동은 스트레스에 대

한 반응을 항진시킨다고 말하였다.

치 료

먼저“저급증상”에 대해서는 월경전증후군에서와 마찬

가지로 생활양식 관리법(lifestyle management techni-ques)을 권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6) 즉, 폐경기 증상에

GABA VIP, NE, EP Aspartate

Stress sensory stimuli

Dopamine, serotonin, CRH, OT

Hypothalamus

GnRH

Pituitary

FSH LH

Ovary Estrogens Progesterone

Fig. 5. Ovarian axis.26)

“Stress”

Intrinsic circadian rhythm

Hypothalamus (CRH)

+

+

-

-

Anterior pituitary (ACTH;β-LPH/β-end)

Adrenal cortex (cortisol)

Ovary (estrogen/

progesterone)

Fig. 6. Overview of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function.27) ACTH:adrenocorticopropic hormone, β-LPH/β-end:β-lipotropin and β-endorphin, CRH: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Page 5: 생식정신의학:폐경주변기 및 - journal.kisep.comjournal.kisep.com/pdf/002/2003/0022003005.pdf · phic vaginitis), 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opathy)을,

폐경주변기 및 폐경기 J.S. Che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ume 42, No 1 January, 2003 50

대한 기록을 매일 하고, 식사조절로서 소금, 초콜렛, 카페

인과 술을 멀리하고, 복합탄수화물을 소량으로 자주 섭취

하며, 비타민과 미네랄을 섭취하고, 규칙적인 유산소운동

을 하며, 스트레스 관리, 이완요법, 관계요법, 자조그룹,

책자를 통한 교육 등이 도움이 된다.

다음으로“일차성 신체증상과 이차성 기분증상”군에 대

해서는 에스트로겐 보충요법이 원칙이다. 그러나 에스트

로겐 보충요법의 잠재적인 건강에 대한 위험은 유방암,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ncer), 담낭질환, 혈전성정맥

염(thrombophlebitis), 혈전성정맥염의 기왕력, 고혈압이

며, 부작용으로는 질출혈, 유방통, 기분변화, 체중증가 또

는 수분저류가 있다. 에스트로겐보충요법이 해당되는 경

우는 폐경, 홍조, 질위축, 요로증상, 골다공증의 고위험군

(가족력, 흡연자, 저체중, 방사선상 근거), 심혈관질환의

고위험군(심근경색의 과거력, 협심증, 고혈압, 가족력, 흡

연자)이다. 에스트로겐보충요법의 절대적 금기 사항은 임

신, 미확인된 자궁출혈, 활동성 혈전성정맥염, 현재의 당

낭질환, 간질환이며, 상대적 금기 사항은 유방암의 기왕

력, 반복적인 혈전성정맥염 또는 혈전색전성 질환의 기왕

력이다. 한국에서 1년간 에스트로겐보충요법을 받은 폐

경기 여성의 22.6%에서 유방사진상 유방암에 대한 위험

지표인 유방음영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40) 또 Rodriguez

등41)도 폐경후 여성에서 에스트로겐의 사용은 자궁내막암

및 유방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Schairer

등42)은 estrogen-progestin 복합요법도 유방암의 위험

을 증가시킨다고 말하였다. 폐경후기 경구 호르몬 요법에

대한 속발적 프로그램(sequential program)은 다음과 같

다. 즉, 매일 에스트로겐(0.625 mg conjugated estrogens,

또는 1.25 mg estropipate, 또는 1.0 mg micronized

estradiol)을 투여하고, 매달마다 2주동안 매일 proge-stin(0.7 mg norethindrone, 또는 200 mg micronized

progesterone, 또는 5 mg medroxyprogesterone ace-tate)을 투여하며, 매일 calcium(식사와 함께 500 mg)

과 vitamin D(겨울에 400 IU 및 70세 넘은 여성에게

800 IU)를 복합 투여한다. 한편 progesterone의 기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이는 에스트로겐의 효과를 상쇄시

킨다는 의견도 있으나, 프로게스테론은 에스트라디올의

자궁내막을 자극시키는 효과를 보호하는데 필요하며, cy-clic medroxyprogesterone의 기분에 대한 효과는 의견

이 분분하나, 자연산 progesterone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다. Chouinard 등43)은 프로게스테론이 세로토닌의 재

흡수를 억제하고 대사를 감소시켜 중추신경계에서 세로

토닌 활성을 증가시키므로, 만성적인 에스트로겐 투여는

또한 표적 기관에서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를 증가시키고

중추신경계에서 프로게스테론 활성을 항진시키므로, 기

분의 조절 역시 프로게스테론을 통해서 매개될 수 있다고

말하였다. 이 밖에 ginkgo biloba, quon don, 인삼, 비타

민 E, 아마(flax)와 콩(soy)에서 얻은 비스테로이드 형

태의 phytoestrogens도 흔히 사용되고 있는 비호르몬

제제이다.44) 또한 홍조에 대한 대체요법으로서 Table 1

과 같은 치료제가 제시되었다.45) Melis 등46)은 항도파민계

약물인 veralipride와 domperidone이 주관적인 홍조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으며, Wheatley47)

는 adrenergic β-차단제인 timolol을 4주간 투여시 혈

관운동 증상의 유의한 호전을 볼 수 있었다.

“일차성 기분증상 및 이차성 신체증상”군에서 폐경기

주변 우울증상의 치료에 호르몬보충요법은 금기사항이 없

고 홍조가 심한 폐경기 여성에서 효과가 있고, 치료반응

이 빠르다는 보고도 있으나, 폐경기주변의 주요우울증 또

는 소우울증의 치료에는 항우울제가 일차선의 치료대책

이다. 호르몬 보충요법에 부가적인 mirtazapine 투여에

효과가 있으며, 홍조가 있는 경우에 호르몬 보충요법을

부가한다. de Novaes Soares 등48)은 1-[beta]-estra-diol을 12주 투여한 결과 폐경주변기 여성의 68%에서

우울증이 호전되었다고 보고하였으나, 호르몬 보충요법의

효과에 대해서는 상반된 결과가 보고 되기도 하였고, 홍

조를 억제하는 효과는 분명치 않다. 향정신성약물을 선택

할 때에는 환자가 약에 잘 견딜 수 있고, 부작용이 적으며,

반감기가 짧고 빨리 배설되며, 약물간 상호작용의 위험이

낮은 것이 좋다.

남성갱년기

남성은 연령이 증가해도 여성에서의 폐경기와 같은 급

격한 생식선의 중단을 경험하지는 않지만 남성에서도 노

화와 더불어 남성호르몬이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테스토

스테론치는 50대부터 감소하기 시작해서 80세에 이르면

Table 1. Alternative treatments for hot flushes45)

Clonidine, Bromocriptine, Naloxone, Bellergal, Veralipride, Methyldopa, Venlafaxine, Vitamin E, Megestrol acetate, Medroxyprogesterone acetate Tibolone:a steroid related to 19-nortestosterone Natural therapies:Ginseng, Agnus castus, Red sage, Black cohosh, Beth root, Phytoestrogens (legumes, soybeans)

Dehydroepiandrosterone (DHEA)

Page 6: 생식정신의학:폐경주변기 및 - journal.kisep.comjournal.kisep.com/pdf/002/2003/0022003005.pdf · phic vaginitis), 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opathy)을,

J.S. Cheon 폐경주변기 및 폐경기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ume 42, No 1 January, 2003 51

청장년층의 60% 수준으로 하강한다.49) 남성호르몬의 저

하와 관계된 증상을 남성갱년기(male climacteric), 남성

폐경(male menopause), andropause, viropause, 테스

토스테론저하증후군(low testosterone syndrome) 등으

로 부르기도 하나, 최근 국제남성학회에서는 PADAM

(partial androgen deficiency syndrome in aging male)

또는 PEDAM(partial endocrine deficiency syndrome

in aging male)으로 명명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모든 남성에게서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개인차도

심하다.

남성에서 노화로 인한 호르몬 변화에 관계된 신체적 및

신경정신과적 증상으로 생식기능, 성기능, 인지기능, 기분

및 근골격계 기능의 변화를 들 수 있다. 테스토스테론 결

핍 임상양상은 우울증, 불안증, 과민함, 불면증, 허약함,

성욕감퇴, 발기불능, 기억력 감퇴, 근육 및 골격괴의 감소,

음모 감소 등을 포함한다.50) Wolf 등51)은 건강한 노인남

자에게 테스토스테론을 1회 주사하여 언어적 유창성이 저

하되고, 공간인지(spatial cognition)와 기억에 대한 효과

면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나, 테스토스테론 치료는 정상적

으로 estradiol치를 증가시킨다고 말하였다. 그러나 Smith

등52)은 공간인지검사에 대한 수행력은 남성에서 테스토스

테론 농도와 역상관성이 있다고 말하였다. 상기한 증상 외

에도 피로감, 집중력 저하, 산발적 통증, 혈관운동 불안정

증상(가슴 두근거림, 홍조 및 발한) 등도 흔히 나타난다.53)

Androgen은 뇌회로의 조직이나 계획에서 중요한 역할

을 하며, 이는 후속적으로 생식선 스테로이드에 의해서

활성화되고, 안드로겐은 성, 공격성, 인지, 정서, 성격의

조절에 관계된다.25) 남성갱년기 증상의 기전으로서는 여

성에서와 마찬가지로 노화에 따른 호르몬의 변화가 일차

적이며, 고환축(Fig. 7)은 hypothalamic-pituitary-te-sticular axis를 통해서 호르몬의 조절에 관계된다.54) 또

한 테스토스테론은 세로토닌, 도파민, 아세틸콜린, GABA

(gamma-aminobutyric acid), 노에피네프린, vasopre-ssin, oxytocin, neurokinin, cholecystokinin 등의 신경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55)

남성갱년기 증상의 치료 역시 남성호르몬보충요법(an-drogen replacement therapy)이 중심이 된다. 이 요법

의 절대적 금기사항은 전립선암, 유방암, polycythemia,

심한 심폐질환, 전립선암의 가족력이며, 상대적 금기사항

은 수면무호흡증, 당뇨병, 전립선비대이다.49,53) Shaney-felt 등56)도 남성호르몬보충요법을 받은 남성에서 전립선

암의 위험이 2배나 높다고 보고하였다.

결 론

폐경주변기 및 폐경기에 나타나는 임상증상 중에서 가

장 괴로움을 주는 것은 홍조, 불면증, 우울증, 성기능장애

및 인지기능 저하이다.

이러한 현상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안드로겐과

같은 내분비계 변화, 그리고 세로토닌과 노에피네프린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단가아민산화효소와 도파민은 억제시

키는 에스트로겐의 신경조절 효과에 기인되는 것으로 알

려졌다.

한편 테스토스테론 결핍은 여성의 폐경과 상등하는 것

은 아니지만, 남성갱년기도 최근에 이르러 정신의학에서

관심을 끄는 임상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Fig. 7. Hypothalamic-pituitary-testicular axis.54) GnRH:gonado-tropin-releaing hormone, LH:luteinizing hormone, FSH:follicle-stimulating hormone, T:testosterone, DHT:dihydrotestosterone,ABP:androgen-binding protein, E2:estradiol, +:positive influ-ence, -:negative influence.

Sperm

Leydig cell

Testicle

T +

+ +

Seminiferous tubule

Sertoli cell ABP

FSH LH

T E2

Inhibin T

DHT E2

-

- +

?

Pituitary

GnRH

- Hypothalamus

Page 7: 생식정신의학:폐경주변기 및 - journal.kisep.comjournal.kisep.com/pdf/002/2003/0022003005.pdf · phic vaginitis), 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opathy)을,

폐경주변기 및 폐경기 J.S. Che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ume 42, No 1 January, 2003 52

중심 단어:폐경기·홍조·우울증·에스트로겐·신경조

절·남성갱년기.

REFERENCES

1) 전진숙. 여성우울증의 신경생물학. 노인정신의학 1999;3:129-139. 2) Joffe H. Mood disorders in the perimenopause: the estrogen connection.

Advances in Women’s Mental health: A Decade of Progress, Annual Meeting of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May 14; Chicago, U.S.A.: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3) Hurd WW. Menopause. In: Berek JS, Adashi EY, Hillard PA, editors. Novak’s Gynecology. 12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1996. p.981-1011.

4) Speroff L, Glass RH, Kase NG. Menopause and the perimenopausal transition. In: Clinical Gynecologic Endocrinology and Infertility. 6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1999a. p.642-724.

5) Seiden AM. Overview: research on the psychology of women. I. gen-der differences and sexual and reproductive life. Am J Psychiatry 1976; 133:995-1007.

6) Steiner M, Yonkers K. Mood disorders associated with the menopause. In: Depression in Women. London: Martin Dunitz;1998. p.48-59.

7) Oldenhave A, Jaszmann LJB, Haspels AA, Everaerd WThAM. Im-pact of climacteric on well-being: a survey based on 5213 women 39 to 60 years old. Am J Obstet Gynecol 1993b;168:772-778.

8) Oldenhave A, Jaszmann LJB, Everaerd WThAM, Haspels AA. Hy-sterectomized women with ovarian conservation report more severe climacteric complaints than do normal climacteric women of similar age. Am J Obstet Gynecol 1993a;168:765-771.

9) Winokur G. Depression in the menopause. Am J Psychiatry 1973; 130:92-93.

10) Notman M. Midlife concerns of women: implications of the menopause. Am J Psychiatry 1979;136:1270-1274.

11) Brown RP, Sweeney J, Loutsch E, Kocsis J, Frances A. Involutional melancholia revisited. Am J Psychiatry 1984;141:24-28.

12) Gitlin MJ, Pasnau RO. Psychiatric syndromes linked to reproductive function in women: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Am J Psychiatry 1989;146:1413-1422.

13) Schmidt PJ, Rubinow DR. Menopause-related affective disorders: a justification for further study. Am J Psychiatry 1991;148:844-852.

14) Becker D, Lomranz J, Pines A, Shmotkin D, Nitza E, BennAmitay G, Mester R. Psychological distress around menopause. Psychosomatics 2001;42:252-257.

15) Burt VK, Hendrick VC. Perimenopause and menopause. In: Concise Guide to Women’s Mental Health.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1997. p.103-115.

16) Yaffe K, Krueger K, Sarkar S, Grady D, Barrett-Connor E, Cox DA, Nickelsen T. Cognitive function in postmenopausal women treated with raloxifene. N Engl J Med 2001;344:1207-1213.

17) Jacobs DM, Tang M-X, Stern Y, Sano M, Marder K, Bell KL, Scho-field P, Dooneief G, Gurland B, Mayeux R. Cognitive function in non-demented older women who took estrogen after menopause. Neuro-logy 1998;50:368-373.

18) Maki PM, Zonderman AB, Resnick SM. Enhanced verbal memory in nondemented elderly women receiving hormone-replacement therapy. Am J Psychiatry 2001;158:227-233.

19) Yaffe K, Sawaya G, Lieberburg I, Grady D. Estrogen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and dementia. JAMA 1998;279:688-695.

20) Waring SC, Rocca WA, Petersen RC, O’Brien PC, Tangalos EG, Kokmen E. Postmenopausal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and risk of AD: a population-based study. Neurology 1999;52:965-970.

21) Geerlings MI, Ruitenberg A, Witteman JC, van Swieten JC, Hofman A, van Duijn CM, Breteler MMB, Launer LJ. Reproductive period and risk of dementia in postmenopausal women. JAMA 2001;285: 1475-1481.

22) LeBlanc ES, Janowsky J, Chan BKS, Nelson H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cogni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01;285:1489-1499.

23) Henderson VW, Paganini-Hill A, Miller BL, Elble RJ, Reyes PF, Shoupe D, McCleary CA, Klein RA, Hake AM, Farlow MR. Estrogen from Alzheimer’s disease in women: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Neurology 2000;54:295-301.

24) DeBattista C, Smith DL, Schatzberg AF. Modulation of monoamine neurotransmitters by estrogen: clnical implications. In: Leibenluft E, editor. Review of Psychiatry. vol 18. Gender Differences in Mood and Anxiety Disorders, From Bench to Bedsid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1999. p.137-160.

25) Rubinow DR, Schmidt PJ. Androgens, brain, and behavior. Am J Psy-chiatry 1996;153:974-984.

26) Rubinow DR. Effects of gonadal steroids on brain & behavior. Ad-vances in Women’s Mental Health: A Decade of Progress, Annual Meeting of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May 14; Chicago, U.S.A.: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27) Young E, Korszun A. Women, stress, and depression: sex differences in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regulation. In: Leibenluft E, editor. Review of Psychiatry. vol 18. Gender Differences in Mood and Anxiety Disorders, From Bench to Bedsid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1999. p.31-52.

28) 김진홍. 알츠하이머 질환과 에스트로젠. 대한폐경회지 2000;6: 3-11.

29) Shaywitz SE, Shaywitz BA, Pugh KR, Fulbright RK, Skudlarski P, Mencl WE, Constable RT, Naftolin F, Palter SF, Marchione KE, Katz L, Shankweiler DP, Fletcher JM, Lacadie C, Keltz M, Gore JC. Eff-ects of estrogen on brain activation patterns in postmenopausal women during working memory tasks. JAMA 1999;281:1197-1202.

30) Joffe H, Cohen LS. Estrogen, serotonin, and mood disturbance: where is the therapeutic bridge? Biol Psychiatry 1998;44:798-811.

31) Rubinow DR, Schmidt PJ, Roca CA. Estrogen-serotonin interactions: implications for affective regulation. Biol Psychiatry 1998;44:839-850.

32) Di Paolo T, Poyet P, Labrie F. Effect of prolactin and estradiol on rat striatal dopamine receptors. Life Sci 1982;31:2921-2929.

33) Bassi F, Mannelli M, De Feo ML, Magini A, Jasonni VM. The adrenal secretion in postmenopausal women. In: Fioretti P, Flamigni C, Ja-sonni VM, Melis GB, editors. Postmenopausal Hormonal Therapy: Benefits and Risks. New York:Raven Press;1987. p.21-27.

34) Piletz JE, Halbreich U. Imidazoline and α2 A-adrenoceptor binding sites in postmenopausal women before and after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Biol Psychiatry 2000;48:932-939.

35) Fioretti p, Paoletti AM, Gambacciani M, Mais V, Cagnacci A, Grimaldi E, Manetti P, Strigini F, Antinori D, Melis GB. Neuroendocrine eff-ects of opioids in postmenopausal women. In: Fioretti P, Flamigni C, Jasonni VM, Melis GB, editors. Postmenopausal Hormonal Therapy: Benefits and Risks. New York: Raven Press;1987. p.1-8.

36) Smith MJ, Keel JC, Greenberg BD, Adams LF, Schmidt PJ, Rubinow DA, Wassermann EM. Menstrual cycle effects on cortical excitability. Neurology 1999;53:2069-2072.

37) Costa MM, Reus VI, Wolkowitz OM, Manfredi F, Lieberman M.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and cognitive decline in memory-im-paired post-menopausal women. Biol Psychiatry 1999;46:182-188.

38) Goodman Y, Bruce AJ, Cheng B, Mattson MP. Estrogens attenuate and corticosterone exacerbates excitotoxicity, oxidative injury, and amyloid [beta]-peptide toxicity in hippocampal neurons. J Neuro-chem 1996;66:1836-1844.

39) Seeman MV. Psychopathology in women and men: focus on female hormones. Am J Psychiatry 1997;154:1641-1647.

40) 지병철, 김형석. 호르몬 대체요법 후 유방 실질의 음영 증가.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1;44:867-871.

41) Rodriquez C, Patel AV, Calle EE, Jacob EJ, Thun MJ.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and ovarian cancer mortality in a large prospective study of US women. JAMA 2001;285:1460-1465.

42) Schairer C, Lubin J, Troisi R, Sturgeon S, Brinton L, Hoover R. Men-opausal estrogen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therapy and breast cancer risk. JAMA 2000;283:485-491.

43) Chouinard G, Steinberg S, Steiner W. Estrogen-progesterone combi-nation: another mood stabilizer? Am J Psychiatry 1987;144:826.

44) Greenberg DB. Book Reviews: A Clinician’s Guide to Menopause. Psychosomatics 1998;39:76-77.

45) Speroff L, Glass RH, Kase NG. Postmenopausal hormone therapy.

Page 8: 생식정신의학:폐경주변기 및 - journal.kisep.comjournal.kisep.com/pdf/002/2003/0022003005.pdf · phic vaginitis), 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opathy)을,

J.S. Cheon 폐경주변기 및 폐경기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ume 42, No 1 January, 2003 53

In: Clinical Gynecologic Endocrinology and Infertility. 6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1999b. p.642-724.

46) Melis GB, Cagnacci A, Gambacciani M, Grimaldi E, Strigini F, Zichella L, Tesseri E, Bonamici E, Fiorretti P. Dopaminergic system and postmenopausal hot flushes: effects of domperidone treatment and dopamine infusion. In: Fioretti P, Flamigni C, Jasonni VM, Melis GB, editors. Postmenopausal Hormonal Therapy: Benefits and Risks. New York: Raven Press;1987. p.55-65.

47) Wheatley D. Trial of an adrenergic beta-blocker in the menopause. Psychosomatics 1984;25:208-211.

48) de Novaes Soares C, Almeida OP, Joffe H, Cohen LS. Efficacy of es-tradiol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ve disorders in perimenopausal women: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Arch Gen Psychiatry 2001;58:529-553.

49) 김수웅. 노인 남성에서 남성호르몬 대체요법. 대한남성의학회지 2001;19:5-16.

50) Sternbach H. Age-associated testosterone decline in men: clinical

issues for psychiatry. Am J Psychiatry 1998;155:1310-1318. 51) Wolf OT, Preut R, Hellhammer DH, Kudielka BM, Schümeyer TH,

Kirschbaum C. Testosterone and cognition in elderly men: a single testosterone injection blocks the practice effect in verbal fluency, but has no effect on spatial or verbal memory. Biol Psychiatry 2000;47: 650-654.

52) Smith MJ, Schmidt PJ, Rubinow DR. Cognitive effects of testosterone supplementation. Am J Psychiatry 2000;157:307-308.

53) 정경우. PADAM: practical approach. 대한남성과학회지 2001;19: 1-4.

54) Braunstein GD. The testes. In: Greenspan FS, Forsham PH, editors. Basic & Clinical Endocrinology. Los Altos: Lange;1986. p.351-384.

55) Yates WR. Testosterone in psychiatry: risks and benefits. Arch Gen Psychiatry 2000;57:155-156.

56) Shaneyfelt T, Husein R, Bubley G, Mantzoros CS. Hormone predi-ctors of prostate cancer: a meta-analysis. J Clin Oncol 2000;18:847-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