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 General Studies...

12
설계과정에서 아이디어의 표현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요구되는 학생들의 말하기와 글쓰기 능력 및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표현능력의 습득을 저학년 단계의 커뮤니케이션 영역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저학 년에서 학습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형태의 표현능력과 건축기본도법의 이해 및 작성능력을 포함하며 1학년 1학기부터 2학년 2학기 동안 필수과목으로 개설된 ‘건축조형’, ‘기초설계’, ‘표현기법’, ‘건축CAD’ 과목들을 통해 학습되며, 디지털 표현 및 설계 능력은 선택과목으로 3학년 1학기 ‘디지털 건축설계 1’, 3 학년 2학기 ‘디지털건축설계 2’ 를 통해 중점적으로 학습된다. 이러한 기초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설 계스튜디오 교육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의 전개와 의사소통 및 비평과 토론과정의 기본이 된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구성 및 개설시기 학년이 올라갈수록 저학년에서 습득한 표현위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설계제반 요소의 통합적인 학습 과 복잡한 수준의 설계를 다루면서 점차적으로 건축 관련 전문분야들 간의 이해 조정과 협의 및 설득 수 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 확대된다. 4, 5학년 과정에 개설된 ‘건축통합시스템’과 ‘건축실무’ 및 ‘건축기 획’ 과목은 설계상의 기술적 요소와 사회적 법적 제한사항 내에서 여러 이해관계의 상충적인 내용을 조정 하고 다양한 협력관계 속에서 최적안을 도출해 내는 이해조정자로서 건축가의 역할을 학습하게 된다. 이 러한 역할의 인지와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스튜디오 설계가 심화될수록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에서 상시적으로 요구된다. 졸업설계에 해당하는 ‘건축설계7’ 의 선수과목으로 지정된 ‘건축졸업주제연구’ 과목을 졸업설계 주제연구과정으로 설정하여 결과물로 주제 의 선정과 배경, 현상의 분석과 새로운 제안을 보고서의 형태로 작성하게 되며 ‘건축설계7’에서 전체 설계 과정을 포함한 완결된 형태의 표현과 체계적인 의사전달의 완성을 목표로 한다. 1학년 1학기 건축조형 1학년 2학기 기초설계 2학년 1학기 표현기법 2학년 2학기 건축CAD 3학년 1학기 디지털건축설계1 3학년 2학기 디지털건축설계2 이론교과목은 설계교과목에서 설정한 단계별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을 위주로 스튜디오 프로젝트의 선행적 이론학습과 스튜디오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개인 별 설계사례의 활용 및 심화학습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설계교과목과 이 론교과목의 내용적 연속성과 연계를 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적맥락 영역의 과목은 각 스튜디오 단계별로 설정된 설계주제의 이론적 학습과 사례연구를 통한 선행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설시기 및 교과내 용이 설정되었다. ‘건축설계4’(3학년 2학기 개설)의 설계주제인 집합주거설계 에 앞서 3학년 1학기 과목인 ‘주거학’ 과목을 수강함으로써 주거공간의 역사 및 현대주거의 의의와 개념, 각종 현대 주거문제, 주거관련 법규, 주거 건축의 구조와 시공 등에 대한 학습을 선행하게 하였고 교과내용상 같은 학기에 개설 되는 ‘대지 및 조경계획’ 과목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또한 4학년 1학기 설 계주제인 증개축과 인테리어 특화스튜디오에 앞서 ‘인테리어디자인’(2008년 신설과목) 과목을 3학년 2학기에 필수교과목으로 이수케 하여 인테리어 디자 인의 기초이론학습과 사례를 위주로 한 실내장식요소의 계획 및 재료별 사용 방법에 대한 학습을 하게 한다. ‘건축설계6’(도시설계 스튜디오)에 앞서 ‘도시 설계’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졸업설계 스튜디오인 ‘건축설계7’에 앞서 졸업 주제연구과정인 ‘건축졸업주제연구’(2006년 이후교과과정부터 적용)를 통해 졸업주제의 이론적, 설계방법론적 틀을 먼저 구성하게 하고 있다. EA General Studies 일반과목 건축졸업주제연구 대지및조경계획 40 41

Transcript of EA General Studies...

Page 1: EA General Studies 일반과목ea.ewha.ac.kr/ckeditor_assets/attachments/72/ea_barch...인테리어디자인 의 기초이론 및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고찰한다. 실내디자인의

설계과정에서 아이디어의 표현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요구되는 학생들의 말하기와 글쓰기 능력 및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표현능력의 습득을 저학년 단계의 커뮤니케이션 영역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저학

년에서 학습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형태의 표현능력과 건축기본도법의 이해 및 작성능력을 포함하며

1학년 1학기부터 2학년 2학기 동안 필수과목으로 개설된 ‘건축조형’, ‘기초설계’, ‘표현기법’, ‘건축CAD’

과목들을 통해 학습되며, 디지털 표현 및 설계 능력은 선택과목으로 3학년 1학기 ‘디지털 건축설계 1’, 3

학년 2학기 ‘디지털건축설계 2’ 를 통해 중점적으로 학습된다. 이러한 기초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설

계스튜디오 교육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의 전개와 의사소통 및 비평과 토론과정의 기본이 된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구성 및 개설시기

학년이 올라갈수록 저학년에서 습득한 표현위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설계제반 요소의 통합적인 학습

과 복잡한 수준의 설계를 다루면서 점차적으로 건축 관련 전문분야들 간의 이해 조정과 협의 및 설득 수

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 확대된다. 4, 5학년 과정에 개설된 ‘건축통합시스템’과 ‘건축실무’ 및 ‘건축기

획’ 과목은 설계상의 기술적 요소와 사회적 법적 제한사항 내에서 여러 이해관계의 상충적인 내용을 조정

하고 다양한 협력관계 속에서 최적안을 도출해 내는 이해조정자로서 건축가의 역할을 학습하게 된다. 이

러한 역할의 인지와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스튜디오 설계가 심화될수록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에서 상시적으로 요구된다. 졸업설계에 해당하는 ‘건축설계7’

의 선수과목으로 지정된 ‘건축졸업주제연구’ 과목을 졸업설계 주제연구과정으로 설정하여 결과물로 주제

의 선정과 배경, 현상의 분석과 새로운 제안을 보고서의 형태로 작성하게 되며 ‘건축설계7’에서 전체 설계

과정을 포함한 완결된 형태의 표현과 체계적인 의사전달의 완성을 목표로 한다.

1학년 1학기

건축조형

1학년 2학기

기초설계

2학년 1학기

표현기법

2학년 2학기

건축CAD

3학년 1학기

디지털건축설계1

3학년 2학기

디지털건축설계2

이론교과목은 설계교과목에서 설정한 단계별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을 위주로

스튜디오 프로젝트의 선행적 이론학습과 스튜디오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개인

별 설계사례의 활용 및 심화학습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설계교과목과 이

론교과목의 내용적 연속성과 연계를 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적맥락 영역의 과목은 각 스튜디오 단계별로 설정된 설계주제의 이론적

학습과 사례연구를 통한 선행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설시기 및 교과내

용이 설정되었다. ‘건축설계4’(3학년 2학기 개설)의 설계주제인 집합주거설계

에 앞서 3학년 1학기 과목인 ‘주거학’ 과목을 수강함으로써 주거공간의 역사

및 현대주거의 의의와 개념, 각종 현대 주거문제, 주거관련 법규, 주거 건축의

구조와 시공 등에 대한 학습을 선행하게 하였고 교과내용상 같은 학기에 개설

되는 ‘대지 및 조경계획’ 과목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또한 4학년 1학기 설

계주제인 증개축과 인테리어 특화스튜디오에 앞서 ‘인테리어디자인’(2008년

신설과목) 과목을 3학년 2학기에 필수교과목으로 이수케 하여 인테리어 디자

인의 기초이론학습과 사례를 위주로 한 실내장식요소의 계획 및 재료별 사용

방법에 대한 학습을 하게 한다. ‘건축설계6’(도시설계 스튜디오)에 앞서 ‘도시

설계’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졸업설계 스튜디오인 ‘건축설계7’에 앞서 졸업

주제연구과정인 ‘건축졸업주제연구’(2006년 이후교과과정부터 적용)를 통해

졸업주제의 이론적, 설계방법론적 틀을 먼저 구성하게 하고 있다.

EA General Studies일반과목

건축졸업주제연구

대지및조경계획

40 41

Page 2: EA General Studies 일반과목ea.ewha.ac.kr/ckeditor_assets/attachments/72/ea_barch...인테리어디자인 의 기초이론 및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고찰한다. 실내디자인의

■ 건축개론 (Introduction to Architecture)

이 과목은 건축학부의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건축을 구성하는 제 분야에 대한 개론적 소개를 통해,

향후 전공결정 및 수학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을 지향한다. 건축학과 건축공학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전

공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와 함께 사례 조사를 통해 각 전공의 세부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아울러 각

분야별 실무에 대한 소개로 건축학과 건축공학을 전공하면서 갖춰야 하는 다양한 지식과 경험의 틀을 제

공하고자 한다.

■ 서양건축사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이 과목에서는 고대에서 바로크에 이르는 서양건축의 역사를 배운다. 서양건축사를 구성하는 대표 양

식사조에 대한 개괄적 내용과 대표건축가 및 대표작을 배운다. 정치문화사와 건축미학 등 사상적 배경이

건축에 투영되어 영향을 끼친 메커니즘 분석에 주요 초점을 맞추며 주요 작품의 상징적 가치, 외관의 의

장요소, 평면의 계획 및 구조 등을 중심으로 한 작품분석을 다루며, 건축가들의 전기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조사를 통해 역사적 시대상황 속의 건축가와 건축에 대해 공부하는 시간을 갖는다.

■ 근대건축사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이 과목은 20세기 전반부 모더니즘 건축에 대해 다룬다. 모더니즘 건축은 다른 시기의 건축과 마찬가

지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그중 특히 예술과의 상호 관련성이 두드러지게 나

타났다. 따라서 이 과목에서는 당대의 예술과 건축이라는 두 가지 초점으로 접근을 하여, 건축적 지식 획

득과 이해를 돕는 동시에 건축에서는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동기나 요소들을 예술을 통해 간접적

으로 파악하여 당대의 예술과 건축에 대한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 현대건축 (Contemporary Architecture)

이 수업에서는 2차 대전 이후의 20세기 현대건축에 대해 다루게 된다. 현대건축은 많은 양식사조가 나

타나면서 매우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데, 이를 10년 단위로 끊어 각 시대를 대표하는 사조에 대해

공부한다. 1950년대의 모색 전환기, 1960년대의 자유정신, 1970년대의 합리주의, 1980년대의 신주관주

의, 1990년대의 네오-모더니즘 등이 각 시대를 대표하는 큰 흐름이며 그 아래 세부 양식사조에 대해 배

운다. 1950년대의 뉴 브루털리즘에 나타난 현대건축의 단초적 현상들, 1960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의 기

본 개념과 팝 건축, 1970년대의 뉴욕 파이브, 후기 모더니즘, 하이테크 건축 등, 1980년대 해체주의, 신표

현주의, 네오 바로크 등, 1990년대의 네오-코르뷔지안 건축, 네오 데 스테일, 신구성주의 등이 이 과목의

주요 강의 내용이다.

EA Course Description교과목개요

문화적맥락 영역 (Cultural Context Area)

문화적맥락은 역사적 선례의 학습을 통한 건축의 사회적, 문화적인 배경의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이해를

위하여 ‘서양건축사’, ‘근대건축사’, ‘현대건축’ 및 ‘한국건축사’를 개설하고 있다. 도시설계의 개념과 실제

설계기법을 학습하고 사례별로 실천적 적용방법을 학습을 하는 ‘대지 및 조경계획’ 과 ‘도시설계’을 두고

있으며 도시공간의 역사와 형태구조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구성이론을 학습하는 ‘건축과 도시’과목을 두

고 있다. 또한 주거공간에 집중해서 주거계획의 이론과 사례를 학습하는 ‘주거학’이 개설되어 있으며, 건

축공간과 인간행태와의 상호관계에 대한 학습을 위해 ‘공간구성과 분석’이 개설되어 있다.

기술과목의 경우 기본적인 건축시스템의 이해와 학습이 이루어진 후 실제 스튜디오 설계에 적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3학년 2학기까지 대부분의 기술과목을 이수하게 한다. 특히, 2012학년도부터는 건축

구조시스템, 건축환경시스템, 건축시공시스템 등 건축 디자인에의 적용에 보다 초점을 둔 건축학 전공내

기술과목들이 신설되었다. 4학년 1학기에 개설되는 ‘건축통합시스템’에서는 ‘건축설계3’에서 수행한 프

로젝트를 대상으로 구조, 시공, 환경조절을 통합적으로 설계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설계교

과목의 경우 교과내용이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프로그램기획과 시스템중심 그리고 실무중심의 주제가

비중있게 다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제도와 정책’, ‘건축실무’, ‘건축기획’이 4학년 이후 단계에서

개설되고 있다.

42 43

Page 3: EA General Studies 일반과목ea.ewha.ac.kr/ckeditor_assets/attachments/72/ea_barch...인테리어디자인 의 기초이론 및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고찰한다. 실내디자인의

■ 주거학 (Housing)

주거의 의의와 개념 및 주거공간의 역사, 오늘날의 주거문제, 주거관련 법규, 주거 건축의 구조와 시공

등 주거를 중심으로 한 건축 전반의 기초적 지식을 습득한다. 주거의 근원적인 기능과 유형에 대한 탐구

를 통해 오늘날의 주거를 다시 보고 미래의 주거를 준비하는 탐구과정을 다룬다. 특히 오늘날 주거의 일

반적 양상이 된 공동주택 계획과 설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 및 사례를 탐구한다.

■ 인테리어 디자인 (Interior Design)

사회, 문화, 경제의 발전과 가치관 및 주생활 양식의 변천의 이해에 따른 새로운 인테리어 디자인 요소

를 제안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인테리어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디자인이 성립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디자인의 요소, 원리에서부터 실내 장식 요소의 계획까지 체계적으로 살펴본다. 인테리어디자인

의 기초이론 및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고찰한다. 실내디자인의 실제에서 이해되어야 하는 각종 재료의 특

성과 제반설비의 기본 원리를 익히고, 디자인 개념을 바탕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료, 마감 및 디테일을 설

계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익힌다.

■ 지속가능건축 (Sustainable Architecture)

본 교과목에서는 전통 주거건축의 형성과 발달을 포괄적으로 학습 및 관찰함으로써 건축의 문화적 지

속성(cultural continuity)에 관한 일반 지식을 습득하고, 개방형 주거건축의 설계 방법론의 이해와 한국 아

파트에의 적용을 통하여 건축의 사회적 지속성(social continuity)에 관한 학술 및 실용적 지식을 습득한다.

‘전통과 혁신’, ‘원형과 변형’, ‘지속과 변혁’의 대립 개념 속에서 지속가능 건축을 위한 구체적 사례들을 고

찰하고, 설계에서 이러한 개념을 반영할 수 있도록 디자인 방법을 모색한다. 또한 부가적으로 건축의 생태

적 지속가능성과 하이테크 건축에서의 환경친화적 요소의 도입을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근

대화 이후 건축이 안고 있는 문제와 나아가려는 기술의 진행 방향에 대한 구체적 지식을 습득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 건축론세미나 (Seminar on Architectural Theory and Design)

고급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 세미나 형식의 수업으로서, 유수 건축가들의 건축이론과 건축작

품, 그리고 양자의 상호관계에 대해 학습한다. 선행연구사례와 방법론에 대한 강의, 강독과 더불어 학생들

은 세미나 주재 및 토론, 선택주제에 대한 독립연구를 수행한다.

■ 공간구성과 분석 (Space Composition and Analysis)

공간개념이 건축디자인 담론의 중심으로 등장하게 되는 근대건축운동의 전후 과정을 면밀히 고찰하

고, 건축디자인에서 공간구성과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들을 살펴보며, 이들과 연계되는 이론적 담론

들에 대해 학습한다. 건축평면의 공간구성을 분석하는 실습 과제를 통해서 건축 디자인과정에서 건축평

면의 역할과 효용성을 학습한다. 또한 주요 건축가들의 기존 건축물들을 선별하여 면밀히 조사 분석해 봄

으로써, 학생들은 건축 유형의 역사와 이론 및 디자인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건축설계과정

에서 공간구성 방법의 사실적 이해를 체계적으로 확립하는 것이 이 과목의 기본 목표이다.

■ 한국건축사 (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한민족이 한반도를 중심으로 생활하며 지어온 건축물에 관하여 원시시대부터 근대 이전 즉 서양의 근

대 건축술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기 시작한 일제강점기 이전까지의 기간을 시대별로 심도 있게 살펴

봄으로써 한국 전통건축 발달의 포괄적 이해와 더불어 이에 관한 전문 지식을 습득한다. 한국 전통건축의

사실적 이해를 체계적으로 확립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한국 건축의 전통성 논쟁에 대한 본질을 비판

적 관점에서 생각해 보는 기회를 제공받게 되며, 이를 통하여 학생 개개인이 한국 전통건축에 관하여 자

기 나름대로 진리 정립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이 과목의 궁극적 목표이다.

■ 대지 및 조경계획 (Site and Landscape Planning)

이 교과목에서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대지를 분

석하고 계획하기 위한 기초적인 이론과 기술을 배운다. 대지의 자연적/사회적/문화적/역사적 여건 분석,

밀도계획, 동선계획, 건물의 배치, 공공영역의 설계, 생태환경 계획, 조경설계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을 배

운다. 이를 바탕으로 건축설계 4와 연계된 구체적인 실습과제에서 외부 공간 계획 및 대지조성 계획을 진

행한다. 큰 스케일의 대지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을 통하여 건축설계를 보다 큰 도시와 지역의 관점에서

이해하며, 나아가 공공성과 장소성이 고려된 설계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건축, 토목, 조경, 도시

계획 등 관련 전문 분야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한 통합적 설계능력을 키우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단계의

수업이다.

■ 도시설계 (Seminar in Urban Design)

이 교과목에서는 도시설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선례를 배우고 간단한 실습을 통하여 적용해본다. 도

시분석을 위한 주요 이론 및 관점들, 도시 설계의 과정 및 관련 제도를 학습하고, 비평적 논의를 위하여 선

례를 활용하며, 이를 토대로 간단한 도시설계 실습 과제를 팀으로 진행한다. 도시 안의 역사적, 사회적, 지

역적, 정책적 상관관계 및 상호영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체계적인 도시탐색 능력을 함양하고, 이를 토

대로 지속가능한 개발과 보존을 위하여 비평적 시각으로 도시의 형성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 건축과 도시 (Architecture and City)

이 교과목에서는 건축, 도시, 조경, 사회, 문화, 경제 등의 소통의 관계에 주목하고 공간을 통해 어떻게

사회가 변화될 수 있는 지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을 기반으로 생활공간적 공공성, 사회적 공공성, 문화적

공공성을 어떻게 진작시킬 수 있는 지를 탐구한다. 기존의 자본중심의 하향식 개발과 성장의 패러다임에

서 커뮤니티중심의 수평적 발전과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바뀌고 있는 새로운 도시건축의 패러다임을 다양

한 선례와 현장 조사를 통하여 학습한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여 디자인의 사회적 가치, 도시

공공성, 도시재생, 주민참여디자인과 마을만들기 등의 영역에서 도시건축을 통하여 새로운 대안적 가치

를 제안하고자 한다.

44 45

Page 4: EA General Studies 일반과목ea.ewha.ac.kr/ckeditor_assets/attachments/72/ea_barch...인테리어디자인 의 기초이론 및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고찰한다. 실내디자인의

을 배운다. 또한, Digital Fabrication의 기본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공간상의 결과물을 물리적

으로 재현해내는 과정을 경험한다.

■ 디지털건축 2 (Digital Architecture 2)

본 교과목은 Parametric 디자인을 기반으로 디지털 실험 장비를 활용하여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여 건

축 tectonics에 대한 보다 심화된 학습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형태 및 구조, 기능 및 재료 등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이 통합된 performance 기반의 디자인 prototype을 개발한다. 이러한 prototype은 파

라메트릭 알고리즘을 통한 디지털 공간의 실험과 다양한 fabrication 기법을 통한 물리적 실험를 통해 wall

panel, pavilion 등 건축 공간적 요소로 발전된다. 학생들은 개별적인 건축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고, Full-

Scale Mock-up과 Assemblage Detail 을 통해 구축 원리에 기반을 둔 tectonic적 의미에 대해 학습한다.

■ 건축설계1 (Architectural Design 1)

주택을 사례조사하고 도면 및 모형 연구를 통해 그 상호관계를 이해한 후, 2개의 소규모 건축프로젝트

를 수행한다. 첫 번째 프로젝트는 연면적 200㎡ 내외의 작가작업실 겸 거주공간 디자인이며 두 번째 프로

젝트로 연면적 400㎡ 내외의 소형상업시설을 디자인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건축설계개념이 공간으로 전

환되는 과정을 탐구하고 건축적 구성요소가 공간생성논리와 구축논리로 체계화되는 과정을 학습한다. 또

한 건축공간과 사용자간의 행태상관성이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위한 건축공간을 디자인한다. 디자인과

정에서 다이어그램 및 도면의 작도와 모형스터디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창의적으로 적용

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 건축설계2 (Architectural Design 2)

문화시설의 건축적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통해 사회문화적 배경과 건축공간의 상관성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시대 사회의 문화예술 활동에 필요한 복합문화시설을 설계한다. 문화시설이 갖는 특수

한 건축형식의 설계를 위해 경사진 대지에 1500㎡미만의 복합적인 문화시설을 계획하고 이에 대한 구조

및 구축형식을 연구, 발전시킨다. 사회문화 프로그램과 공간과의 관계, 환경과 형태의 관계를 이해하고

대지의 자연적 조건들을 창의적으로 분석하고 설계에 반영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나아가 개별 건축물의

디자인을 넘어 사회문화건축담론에 대한 사고를 확장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건축설계3 (Architectural Design 3)

연면적 5,000㎡ 내외의 교육시설 설계를 통하여 대지의 지형적/환경적 요인과 프로그램의 관계를 이해

하고 건축 및 외부공간을 종합적으로 디자인한다. 먼저 교육시설에 대한 사례조사 및 분석을 바탕으로 프

로그램과 사회문화, 그리고 건축공간의 상관성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적, 지리적, 역사적 문맥(Context)에

맞는 교육 및 연계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구성하기위한 다양한 구축방법(Tectonics)에 대

설계 영역 (Design Area)

■ 건축졸업주제연구 (Architectural Issues and Theories)

본 교과목은 ‘건축설계7’ 졸업설계의 선수과목으로 졸업설계에 앞서 학생개개인이 수행하고자 하는

졸업설계의 주제를 이론적으로 연구, 제안하고 이를 공간 프로그래밍과 더불어 구체적 설계방법의 계획

수립을 목표로 한다.

■ 건축조형 (Space, Form, and Structure)

건축설계의 기본이 되는 조형적 구성원리를 이해함과 함께 조형의식과 건축물 구축의 근간이 되는 기하

원리를 탐구하고 응용한다. 또한 조형형식과 구축, 구조의 상관성을 이해하고 이에 입각한 조형제작물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이론적 측면에서 건축물 구성의 기본요소 및 건축조형의식의 변천과정을 이해한다.

■ 기초설계 (Introduction to Architectural Deisgn)

본 교과목은 Pre-studio 과목으로 설계스튜디오를 시작하기 전 건축공간의 기본적인 개념과 기초적인

건축도면의 이해 및 작성방법, 모형의 제작 등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네 단계로 나뉘진 과정을 통해, 건축

도면의 의미는 건물의 사실적 묘사가 아니라 건축적 사고의 전개 및 표현수단임을 배우며, 설계초기의 개

념의 설정과 이의 발전 그리고 건축공간의 구축을 경험하며, 기능적, 심미적 이해를 바탕으로 어떻게 공간

을 사고하고 구축하며 이를 표현할 것인가에 강의의 초점을 두고 있다.

■ 표현기법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1: Architectural Drawing)

3차원 건축 형태의 다양한 표현 기법에 대하여 이론 및 기교적 기술을 배우고 실습한다. 스케치, 정투

영법, 투시도법, 콜라쥬, 사진, 비디오 등을 포함한 다양한 표현기법을 경험하고, 학생들은 디자인을 탐구

하고 표현하는 개인 고유의 표현기법의 개발을 시도한다.

■ 건축CAD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2: Media of Representation)

본 교과목은 건축설계 전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형태재현도구로서의 디지털툴의 사용능력

과 효과적인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본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CAD를 사용한

Digital Drafting과 3D Modelling 및 Rendering 기법을 학습한 후 실제 건축물을 대상으로 representaion하는

실습을 한다. 또한 본 수업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형식의 파일들을 이용하여 패널 혹은 책자 등의 형식으

로 완성하는 실습을 하게 된다.

■ 디지털건축 1 (Digital Architecture 1)

본 교과목은 다양한 디지털 모델링 툴을 활용한 디지털 건축 디자인의 이해와 표현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학습을 목표로 한다. 단순히 재현을 위한 디지털 툴의 사용을 지양하고 기하학적 구축원리에 근거하

여 형태의 구축과 이를 변형시키는 도구로서의 디지털 도구를 실습하게 된다. 더 나아가 Parametric Tool

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이러한 형태적 결과를 기하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체계적으로 조직화해가는 과정

커뮤니케이션 영역 (Communication Area)

46 47

Page 5: EA General Studies 일반과목ea.ewha.ac.kr/ckeditor_assets/attachments/72/ea_barch...인테리어디자인 의 기초이론 및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고찰한다. 실내디자인의

■ 건축설계8 (Architectural Design 8)

본 교과목은 설계스튜디오의 마지막 단계로서 설계담당교수별로 주제를 설정하되 건축담론의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건축적, 도시적 실험을 설계주제로 한다. 아울러 건축과 타 분야 간의 적극적

인 접목을 통한 새로운 시도를 통해 건축가로서의 새로운 사회적 역할과 건축을 통한 사회적 소통을 동시

에 모색한다.

■ 해외교류스튜디오 (Foreign Exchange Studio)

본 교과목은 방학중 해외 건축학교육프로그램과 공동으로 진행되는 스튜디오 교과목을 개설하고 상호

학생교류와 공동 스튜디오지도를 통해 학생들의 해외경쟁력강화와 국제적 수준의 설계실습교육을 목표

로 한다.

■ 구조의 이해 (Understanding of Structures)

건축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 구조개념을 소개하고, 건축물의 구

성법 및 축조법의 기본적 기술을 내용으로 하며 지반과 기초, 구체의 재료, 구성, 시공법상의 각종 구조와

건축성능상의 방화, 방습, 방음구조, 굴호 및 수장 구조 등을 다룬다. 각종 구조재료의 역학적 특성과 구조

물에 작용하는 하중 및 건축구조설계를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필요조건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그리고 현

재 완공되었거나 시공 중인 각종 건축구조물의 구조형식 등에 대하여 강의함으로써 건축에서의 구조원리

를 이해하도록 한다.

■ 건축구조시스템 (Structural System in Architecture)

본 수업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구조요소를 이해하며, 이에 대한 구성방법, 구축의 방식 등을 습득하고

그에 관한 역학적 관계 등을 기술적, 체감적으로 이해하는 하는 것과 함께 공간의 쓰임새와 조형적, 공법

적 상황 등을 감안하여 적합한 구조시스템을 이해하고 디자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구조역학 (Structural Mechanics)

구조역학 교과목에서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힘과 변형을 이해하고, 구조해석을 수행하기 위한 수학적

방법들을 익힌다. 특히,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는 하중의 형태를 구분하고, 힘의 흐름을 파

악하여 부재력도로 표현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변형을 구하는 다양한 방법을 익혀 정정 구조물에 적용해

본다. 또한 부정정 구조물에서의 부재력도를 구하는 방법들을 다룸으로써 연속보나 프레임 등의 구조물

에서도 힘의 흐름을 파악하도록 한다.

■ 건축환경시스템 (Environmental System in Architecture)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건축 열환경 인자 및 이에 대한 자연형 조절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쾌적하고

에너지 절약적인 건물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기술영역 (Engineering Area)

해 연구하여 최종 설계안으로 발전시킨다. 마지막으로 내/외부공간의 무장애설계(Barrier-free Design)을

설계에 적용하고 주요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을 심화발전시킨다. 건축디자인의 내용적 측면과 더불어 컴퓨

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건축적 재현(Representation)방법을 탐구하고 개념의 창의적 전달방법을 습득한다.

■ 건축설계4 (Architectural Design 4)

동시대 거주문화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집합주거공간의 단지설계, 건축설계 및 인테리어설계의 통

합적 설계능력을 발전시키는 과정이다. 집합주거공간 및 관련시설들의 성격 및 관계를 체계화하고 이를

프로그래밍(연면적 5,000㎡-10,000㎡)으로 조직한다. 이를 바탕으로 단지계획, 단위공간의 구성 및 조합

논리를 탐구하고 설계한다. 또한 프로그램과 공간의 시스템적 접근과 구축형식을 탐구하고 디자인한다.

동시에 거주단위공간에 대한 인테리어스페이스를 디자인하고 전체공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하여

일관성 있는 건축프로젝트를 완성한다.

■ 건축설계5 (Architectural Design 5)

본 교과목은 증개축 과제를 통한 인테리어 특화과정이다. 기존 건축물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구조적,

경제적 가치판단을 기반으로 공간성격 및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기존건축물의 외부공간 및 외장개선, 용

도변경, 내부공간의 변경 및 확장 등을 통하여 증축과 개축과정에서 요구되는 설계기술을 습득한다. 아울

러 증개축을 통해 새로 조성되는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설계과정을 통해 구조와 내외장 그리고 이에대한

좀더 디테일한 측면을 탐구한다.

■ 건축설계6 (Architectural Design 6)

도시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영역의 도시 컨텍스트와 건축물의 상관성 인식을 목적으로 공공영역 디자

인 사례조사 및 도시읽기를 바탕으로 공공성 영역 및 해당 시설을 디자인한다. 도시의 역사, 정치, 경제, 사

회, 문화적맥락과 물리적 환경의 상관성을 이해하며 그 속에서 건축이 만나면서 발생하는 건축 혹은 도시

의 위상과 그 관계성들을 탐구한다. 또한 구체적인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도시환경의 스케일과 형

태 상관성을 분석하며, 구체적인 영역을 사이트로 정하고 거리 혹은 공간영역 안에서 행해지는 행위를

지원할 수 있는 공공성의 영역 및 해당 시설을 디자인한다. 이는 소정의 건축시설을 포함하여야 하며, 건

축물과 외부 공공공간의 상관성에 대한 입장을 드러내어야한다.

■ 건축설계7 (Architectural Design 7)

광범위한 개념의 도시 및 건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지계획, 도시적 맥락 속의 건축물, 새로운 건

축적 유형 및 원형(Typology&Prototype) 등 다양한 디자인방법론을 탐구하는 졸업설계 스튜디오이다. 4

학년 2학기의 ‘건축졸업주제연구’ 강의에서 발전된 건축적 개념, 프로그램 및 대지분석을 바탕으로 사회

문화환경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건축디자인으로 완성한다. 건축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방법론을 제시하고, 단일 건축물 혹은 단지계획의 통합설계를 완성

하여 건축가로서 종합설계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체 디자인 프로세스에서의 성과물 그리

고 최종 결과물들을 종합하여 졸업 전시회에 출품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8 49

Page 6: EA General Studies 일반과목ea.ewha.ac.kr/ckeditor_assets/attachments/72/ea_barch...인테리어디자인 의 기초이론 및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고찰한다. 실내디자인의

■ 건축통합시스템 (Total Building System in Architecture)

건물의 건설과정에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재료, 설비, 방재, 구조, 환경시스템 등을 평가, 선정 후

통합함으로써 설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건물이 작동하여야 하는 물리적 기능에는 순리가 있어 이

순리를 전체적으로 이해한다면 유용한 건축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이에 건물의 사용자가 건강을 유지하

고 삶을 충족시키기 위해 인간이 필요로 하는 조건들과 외부 환경적인 조건들의 비교를 통해 두 가지의

조건들을 건물이 어떻게 만족시켜 주는가를 이해함으로써 이에 부합되는 시스템을 선정하고 이를 건물에

반영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가진 건물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실무영역 (Practice Area)

■ 건축제도와 정책 (Architectural Regulations and Policy)

건축행위는 건축가 개인의 예술 창작 행위이기 이전에 한 지역 내의 경제 산업활동인 것이며, 더 기본적

으로는 사람들이 들어가 사는 거주공간을 짓는 행위이다. 따라서 건축 행위는 공공의 복리를 준수하기 위

한 목적 하에 최소한도의 제한을 받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건축법규이다. 이 과목은 이와 관련된 기본 내

용을 습득함을 목적으로 한다. 법령의 일반적 체계 및 특성을 공부하고 건축 설계, 시공, 감리, 유지관리 과

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건축관련 법령의 이론적 바탕과 실무 사례를 탐구함으로써 프로젝트의 모든

과정에서 건축사의 역할과 건축사의 법적 책임을 이해하고 건축 전문 인력으로서 지녀야 할 소양과 실무

능력을 함양 시키고자 한다.

■ 건축기획 (Pre-design Process)

사회 변화에 따른 건축에 대한 요구조건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건축

기획분야를 다룬다. 특히 건축과 경제의 관계, 삶에 대한 가치 변화 수용, 다분야간 접근방식 등을 이해하

고 수용하는 방안에 대해 강의한다. 건축기획의 정의, 프로세스, 의사결정 방법 등과 함께 건축행위의 윤

리와 공공성 부분을 다룬다. 본 강의는 실무지향적인 접근방식으로 진행한다.

■ 건축실무 (Architectural Practice)

건축실무에 적용되는 사무소조직, 사업계획, 마케팅, 협상, 재정관리 등의 기본원칙 및 건축도서의 체계

와 그 작성을 인지함과 함께,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계약, 설계, 행정, 감리, 건물의 준공 및 사후평가에 이

르기까지의 건축가의 실무적 역할을 이해한다.

■ 건축실무인턴십 (Architectural Internship)

건축 설계실무의 경험을 쌓기 위해 본 프로그램에서 승인한 설계사무실에 파견되어 최소 4주이상의

실무실습을 수행한다. 교과과정을 통해 익힌 이론 및 설계지식이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되는 방식을 현장

학습을 통해 경험하고 학습한다. 인턴십 실무실습일지 및 인턴십 보고서를 제출한다.

■ 건축설비 (Mechanical Equipment for Buildings)

건축설비 교과목은 HVAC 시스템과 건물에서 열전달, 습공기선도 등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HVAC 시스

템의 일반 분야에 대한 공학적 설계 방법을 다룬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지속가능한 건축설계를 위한 기

본적인 설비 설계 방안을 포함한다.

- 건물에서의 열전달 기본 개념, 습공기선도 및 HVAC 시스템 설계 방법

- 건물에서 부하 산정 방법

- 건물에서 HVAC 시스템의 개념

- 건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 기술

- HVAC 시스템 사례 조사

- 지속가능한 건축물 설계 배경 및 HVAC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절약 기술

■ 친환경건축계획 및 사례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Planning and Case Study)

건축에서의 생태적 원리를 이해하고, 친환경건축물 구현을 위해 적용가능한 건축/설비기술을 습득한

다.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고찰하고 친환경건축물의 구체적 사례들을 연구 분석함으로써, 친

환경건축물의 제반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건축시공시스템 (Construction System in Architecture)

본 수업은 건물재료의 물리적 특성과 재료의 사용, 생성, 적용을 방법론적으로 탐구하고, 건축시공의

각종 공법 및 공정과 시공관리(CM)의 영역까지 포괄하며 건축프로젝트의 상황과 설계의도에 따른 적정

한 시공 방식과 체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그 능력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 건축재료 및 시공2 (Build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2)

본 교과목은 마감공사와 관련된 전반적 공사수행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요 마감공종에서 활용되

는 주요자재의 특성, 시공법, 관리계획, 공사품질관리 및 공사수행 시 주의사항 등에 대한 지식전달을 목

적으로 한다.

■ 원가공정통합관리 (Integrated Cost and Schedule Management)

건설 프로젝트는 각 프로젝트마다 고유의 특징이 있으며(uncertainty), 수많은 단위작업(activity)으로 구

성되어 있다. 이 같은 건설 프로젝트의 공사관리는 시공계획서에 의해 관리되며, 실제 공정관리를 통하여

일정/비용/품질/안전관리가 이루어진다. 프로젝트는 정해진 시간과 비용 내에서 주어진 목표를 수행하는

것이 관건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참여주체는 소요 비용 및 기간에 큰 관심을 갖게 된다. 건축적산이란 건

설공사의 시공 목적물 완성에 소요되는 각공종별 물량을 산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견적이란 수량과 단가

의 곱으로 소요공사비를 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적산과 견적은, 공사의 계획부터 수주 및 완료시점까지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본 강의는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투입물량 산출 및 공정표 작성

능력 배양에 그 목표가 있다.

50 51

Page 7: EA General Studies 일반과목ea.ewha.ac.kr/ckeditor_assets/attachments/72/ea_barch...인테리어디자인 의 기초이론 및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고찰한다. 실내디자인의

movement of the 1950s; the basic concepts/ideas of postmodernism and pop architecture in the 1960s; New

York 5, post-modernism, high-tech architecture etc in the 1970s; Deconstructivism, Neo-Expressionism, Neo-

Baroque in the 1980s; and Neo-Corbusian Architectgure, Neo De Stijl, Constructivism etc. of the 1990s.

■ 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In this class, students take an in-depth chronological look at the Korean architecture, from the primitive times

to before modern times, that is, 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when modern Western architecture began to

influence Korean architecture. In the process of systematically establishing a realistic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student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think on the essence of the debate on the tradi-

tionality of Korean architecture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is opportunity will provide each student a chance

to establish her own view o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is the ultimate aim of this class.

■ Site and Landscape Planning

This course teaches the basic theories and skills to analyze land and design a plan to create a sustainable

physical environment in which humans and nature can co-exist. Basic theories on analyzing the natural,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elements of land, map out density, map out traffic, arrange buildings, plan public zones,

plan ecosystems and design landscapes. Based on these teachings, students will carry out outdoor space and

landscape formation plans through specific practical tasks in link to the Architectural Design 4 course. The ob-

jective of the course is to understand architectural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a big city and region through a

comprehensive plan on a large-scale land and to draw a design plan encompassing public character and sense

of place. This is a basic-level course that teaches integrated design skills in close collaboration with related ex-

pert fields such as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and city planning.

■ Seminar in Urban Design

This is a practical course in which students learn diverse theories and case studies on city planning through

basic tasks. Students will learn major theories and perspectives for urbanism analysis as well as the process

and related systems for city planning. There will be critiques and discussions on existing cases and students will

form teams to implement their findings through basic practical tasks on city planning. By comprehensively un-

derstanding the historical, social, regional and political co-relations and the interactions of these elements within

a city, students will be able to acquire the ability to methodically explore a city and contribute to city formation and

development with a critical perspective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 Architecture and City

This course focuses on the aspect of communication and relations in architecture, city, landscape, society,

culture and economy. Examining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how society can be changed through

space, students will explore ways to enhance the public characters of living space, society and culture. Students

will study through diverse case studies and field trips the new paradigm shift of urbansim from the previous para-

digm of capital-based and top-down development and growth to a new paradigm of communication-based and

■ Introduction to Architecture

This first year class aims to give a theoretical introduction of the diverse discipline of architecture while

helping students with future decisions on majors and with their studies with equal emphasis on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The class covers general introductions to the two majors and case studies to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the detail of each discipine. It will also provide introduction the practical work

in each field to provide diverse knowledge and experience needed to major in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This class aims to learn about the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Baroque pe-

riod. Students will gain general knowledge of representative style of the periods, architects and his/hers major

works which form the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We focus on analyzing the mechanism that influences

how political•cultural history, architectural aesthetics and other ideological backgrounds are projected into ar-

chitecture. We will also comprehensively study architects and architecture within their historical backgrounds,

analyzing architectural works centered around the symbolic value, the design elements of the exterior, the

planning and structure and learning the lives of the architect.

■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This class deals with modern architecture in the first-half of the 20th century. Like architecture from other

areas, modern architecture is influenced by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and shows an

especially prominent correlation to the arts. Therefore, this class will approach the subject from the two focal

points of art and architecture and help students acquire architectural knowledge and understand its back-

ground thoughts, while simultaneously enable them to grasp the idea and thoughts of motifs and elements that

did not appear directly in the architecture. The studies thereby strengthen general and comprehensive under-

standing of the arts and architecture of the times.

■ Contemporary Architecture

This class deals with contemporary architecture after World War II. Contemporary architecture unfolded in

many complex aspects with the appearance of various architectural style trends, and students study the trends

representing each generation in 10-year’s time span. We will learn about the major trends that represented

each era such as the New Brutalism in the 1950s, L’Esprit Nouveau in the 1960s, Rationalism in the 1970s,

Neo-Subjectivism in the 1980s, Neomodernism in the 1990s as well as sub-categorical style trends. The

class’s main contents consists of the preliminary phenomena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the New Brutalism

교과목개요

EA Course Description

Cultural Context Area

52 53

Page 8: EA General Studies 일반과목ea.ewha.ac.kr/ckeditor_assets/attachments/72/ea_barch...인테리어디자인 의 기초이론 및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고찰한다. 실내디자인의

■ Space Composition and Analysis

Students will study in-depth the before and after process of the modern architecture movement in which

the concept of space appears as the center of the architecture design discussion. They will also review the

tools used to create and analyze space in architectural design and learn about related theoretical discussions.

Through practical tasks of analyzing the space structure of an architectural plan, students study the role and utility

of an architectural plan i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Also, by selecting and analyzing existing buildings

by major architects, students will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theories and design education pro-

cess of archtectural types. The basic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methodically establish a practical understand-

ing of the space composition method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 Architectural Issues and Theories

This is a course preceding Architecture Design 7 course required for the graduation design project and it

teaches students to theoretically approach and present their themes for the graduation design project. The

objective of the course is for students to establish their plans for a specific design method alongside space pro-

gramming.

■ Space, Form, and Structure

This course teaches the principles of design composition that form the basi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ents

will explore the geometric principles and apply them to the exercise of form-making projects with respect to its

function and buildability. ie, Students will build project structure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

among form, function and structure. Students will also learn the theoretical aspect of the design elements and

changes in the thoughts of architectural form finding.

■ Foundation Studio

This is a pre-studio course to acquire the basic concepts of architectural space, through an exercise of

architectural drawings and physical model making. Through a four-step process, students learn how the signifi-

cance of an architectural plan is not in realistic imitation but in delivering and expressing architectural thoughts.

Students will also learn to establish the concept at the initial stages of design, develop the concept and experi-

ence the construction of an architectural space. The course focuses on how to think, construct and express

space based on functional and aesthetic understanding.

■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1: Architectural Drawing

Students learn and practice theories and technical skills of various representation methods of 3D architecture

forms. Students will learn various representation techniques such as sketching, orthographic projection, per-

spective drawing method, collage and photography. Students will explore design and attempt to develop their

own representation method through this class.

Communication Area

level development and sustainable growth. The course aims to teach students to present new alternative values

in face of this paradigm shift through urbanism in the fields of the social value of design, public character of the

city, residents-involved design and community planning.

■ Housing

This course teaches basic knowledge on architecture centered on housing such as the significance and

concept of housing and the history of residential space, today’s housing problems, housing-related regulations,

and structure and constructing of housing buildings. Students will study about the fundamental functions and

types of housing to review today’s housing and plan for the future of housing. In particular, the course will explore

various theories and cases of planning and designing multi-unit housing which have become a general norm in

today’s housing.

■ Interior Design

Students will acquire skills to present new interior design element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in society, culture, economic development, values and housing styles. The cours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rior design and methodically reviews the process by which the design is established from the

elements and principles to the planning of the decorative elements of interior design.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theories of interior design and various design case studies. They will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the

basic principles of the facilities necessary in actual interior design. They will study the methodology of applying

materials, finishes and details in the planning of a building based on the concept of design.

■ Sustainable Architecture

Students will acquire general knowledge about the cultural continuity of architecture by comprehensively

studying and observ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also acquire

academic and practical knowledge on the social continuity of architecture by understanding the design methods

of an open-form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applying it to conventional Korean apartment buildings. Students

will learn about specific cases of sustainable architecture within conflicting concepts such as ‘tradition and in-

novation,’ ‘prototypes and modifications,’ and ‘sustainability and transformation’ and study design methods that

reflect such concepts. Also, students will additionally be able to build the foundation to detailed knowledge of the

challenges architecture faces since modernization and the direction technology is progressing towards by learn-

ing about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of architecture and the application of eco-friendly elements to high-tech

architecture through studying real cases.

■ Seminar on Architectural Theory and Design

This is a course in the form of a seminar aiming to reinforce the students’ high-level communication skills.

Students will study the architectural theories and works of influential architects and the co-relation between the

two. Along with lectures and readings on case studies and methodology, students will carry out discussions on

the seminar themes and an independent study on a theme of choice.

54 55

Page 9: EA General Studies 일반과목ea.ewha.ac.kr/ckeditor_assets/attachments/72/ea_barch...인테리어디자인 의 기초이론 및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고찰한다. 실내디자인의

■ Architectural Design 2

Students will design a multi-purpose cultural facility used for culture and arts activities of a contemporary

society based on their case studies and analysis of cultural faciliti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the architectural space. Students will be required to design a cultural

facility which is a special building type. The multipurpose cultural facility will be designed on an inclined land no

bigger than 1500㎡ to cope with site-specific constraints, and students are required to research and develop

the building tectonics. This course will teach students the skill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

cultural programs and spac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and building form. Also, they will

practice their skills to creatively analyze the site constraints and apply the site context to their design. Further-

more, the students will learn to expand their minds beyond the scope of designing an individual building to the

level of a social-cultural architecture discussion.

■ Architectural Design 3

Students will design an educational facilities including outdoor spaces with a total floor area of 5,000㎡.

They will comprehensively design a building and outdoor space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ographical/environmental factors of the land and the program. First, students will analyze case

studie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program, society and culture and archi-

tectural space. They will define an educational program and associated sub-programs according to the social,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ontext and learn about the various tectonics to rationally integrate the program into

a final design proposal. Finally, students will develop an the indoor/outdoor space by applying a barrier-free

design into their design. They will study, in addition to the contents of architectural design, the architectural rep-

resentation using computer programs and creative methods to deliver concepts.

■ Architectural Design 4

This course teaches students to develop comprehensive design skills encompassing site plan for a com-

munal residential zone, architecture design and interior desig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mporary

housing culture. Students will defin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of communal housing space and re-

lated facilities and design a housing project on a land area between 5,000㎡ to 10,000㎡. Through this project,

they will explore and apply the composition and combination logic of unit plan and block plan and they will explore

the diverse communal housing with systematic approach of program and space together with its structural ar-

rangement. At the same time, students will design the interior space for the residential unit space and coordinate

the overall spatial arrangement to complete a comprehensive housing design.

■ Architectural Design 5

This course focuses on building extension and refurbishments of existing building including its interior design.

Students will def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ogram of an existing building in view of historical, cultural, structural

and economic value judgments and propose a remodeling design based on the judgement. Students will learn

the design skills required for building extension and refurbishment by renovating the indoor/outdoor space of se-

■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2: Media of Representation

This course covers practical application of digital tools for the formal representation and effec-

tive communication required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technique of digital drafting using CAD, 3D modelling and image production through rendering

process and how to apply them to represent a building. And the course will exercise in production of

presentation material in format of panel and booklet dealing with various digital file formats.

■ Digital Architecture 1

This course focuses on understandings and applications of digital architectural design, using various digital

modelling tools. Beyond using digital tools just as a tool for form-making or its representation, students will learn

about construction of forms and its deformation based on geometrical methods. And then students will under-

stand parametric design process by reinterpreting geometries and organizing algorithms of them. Furthermore,

students will learn about notions of digital fabrication and experience the fabrication process which materialize

their own works.

■ Digital Architecture 2

This course teaches architectural tectonics through design research using various design softwares and

digital fabrication machines. Students will develop a performance-based design prototype which integrates

diverse design elements such as form and structure, function and materials. This prototype will be developed

into architectural or spatial components such as wall panels or pavilion through parametric design algorithms and

various fabrication experiments. Towards the end, students will proceed research on architectural designs using

their own prototypes and understand notions of tectonics through full-scale mock-up and assemblage details.

■ Architectural Design 1

Students will conduct two small-scale architecture projects after research case studies on housing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 between floor plan and model. The first project will be designing a working studio

doubling as a residential space with a total floor area of 200㎡ and the second project will be designing a small

commercial facility with a total floor area of 400㎡. Through these projects, students will explore the process of an

architectural design concept and intent transforming into a spactial elements through formal, fuctional and tec-

tonic reasoning. Also, students learn to design an architectural space for the user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rchitectural space and the user.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relation-

ship between the diagrams or floor plans and models and learn to apply this creatively in their designs.

Design Area

56 57

Page 10: EA General Studies 일반과목ea.ewha.ac.kr/ckeditor_assets/attachments/72/ea_barch...인테리어디자인 의 기초이론 및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고찰한다. 실내디자인의

■ Understanding of Structures

This course introduces the basic concepts of structure for architectural design and engineering, and deals

with the basic principle of structural systems covering various structural requirements to meet with building fuc-

tions. This course also covers the structural behaviour of construction materials,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loading and etc., to be considered in structural design. By studying various existing structural systems,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structural principles in architecture.

■ Structural System in Architecture

This course teach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elements comprising a building, acquire composi-

tion and building methods and to understand the dynamics involved from a techn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

The objective of the course is to understand and design a suitable structural system reflecting the usage of

space as well as the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 Structural Mechanics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forces applied to structures and the deformations as well as the

mathematical methods to conduct structural analysis. In particular, students learn to identify the different forms of

load appl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tructure, read the flow of force and draw member force, find the deforma-

tion of structures. By studying methods to find member force in deformed structures, students will also read the

flow of force in structures such as continuous beams and frames.

■ Environmental System in Architecture

By studying the factors of building heat environment that affects humans and passive envrionemntal design,

students will learn how to plan comfortable and energy-saving buildings.

■ Mechanical Equipment for Buildings

This course teaches the engineering design methods in the general field of HVAC system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such as HVAC system and heat transfer in buildings and psychrometrics. It includes the following

basic facilities planning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 Basic concept of heat transfer in buildings, psychrometrics and HVAC system design methods

- Load estimation methods for buildings

- The concept of HVAC system in buildings

- Energy-saving design technologies for buildings

- HVAC system case studies

- Backgrounds of designing a sustainable building and energy- saving technologies in a HVAC system

Engineering Arealected building and reprogramming of its use. In addition, students will execute the interior design of main space

in detail respect of structures and finishing materials.

■ Architectural Design 6

This course aims to learn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urban context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After

case study of public realm, students will design public space with relevant facilities in special emphasis on the

publicness on the selected area. Students will learn the relations among the historical,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city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how the introduction of architecture within

these contexts can influence the status of the architecture or the city. Also, students will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scale and form of the built environment through specific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y will design

a specific area including programmed facilities in view of publicness which can facilitate diverse indoor/outdoor

behavioral patterns of the public.

■ Architectural Design 7

This is a graduation design studio exploring various design issues and methods related to site planning and/

or building design and proposal on new architectural typology and prototypes,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extensive context of city and built environment. On the basis of outcome of the Architectural Issues and Theo-

ries class, which is pre-requisite of this course, students will develop their own thoughts into graduation project,

in format of completed architectural design encompassing relevant research/analysis of site and various con-

text, proposal of concept, detailed programing and built form. Students are required to present a concrete design

method showing new possibilities in architecture and complete a comprehensive design. The objective is to cul-

tivate comprehensive design skills as an architect. and as a rule, students are required to submit their final works

to the graduation exhibition.

■ Architectural Design 8

This course is the last level of design studio exercising various architectural/urban experiments based on

contemporary architectural discourses and social phenomena selected by studio tutors respectively. Students

will explore new possibilities of architect’s roles and participation through proposals and linking architecture with

other disciplinary fields are usually recommended. Projects will be conducted in teams and through teamwork,

students will learn to take on various roles as a team member, coordinator and collaborator with shared objec-

tives.

■ Foreign Exchange Studio

This course is short-term studio class co-conducted with foreign architecture programs abroad during sum-

mer/winter vacation with the aim of promoting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llaborations. It gives opportunity for

students to expose themselves to the global context and facilitate international networking.

58 59

Page 11: EA General Studies 일반과목ea.ewha.ac.kr/ckeditor_assets/attachments/72/ea_barch...인테리어디자인 의 기초이론 및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고찰한다. 실내디자인의

Practice Area

■ Architectural Regulations and Policy

Architecture is an economic industrial activity within a region, and more basically is an act of building a living

space for people. Architecture is therefore subject to a minimum of restrictions in order to comply with the wel-

fare of the public : architectural regulation. The aim of this class is to cover the rudimentary knowledge related to

architectural regulation. We will study the general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w and look into the theoreti-

cal foundation and practice cases of architecture-related law necessary in the stages of architectural design,

construction, construction supervision and maintenance. By doing this, students are to understand the role and

the legal responsibilities of the architect during every stage of the project and to cultivate knowledge and practical

ability as a professional architecture expert.

■ Pre-design Process

This course deals with the field of architectural project planning which is necessary to meet the requirement

for project execution and the changes in socio-economic environments at the pre-design phase. In particular,

the course includes lectures on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economy and acquiring

multi-disciplinary methods. It deals with the definition, process and decision-making method of architecture

planning as well as the ethics and public character of the act of building. This course is implemented with a field-

oriented approach.

■ Architectural Practice

Students are to learn basic principles of architectural practice such as office organization, project manage-

ment, marketing, negotiating and finance management and also of the system of construction documents. They

will understand the role of the architect from the start of the project, ranging from contracts, design, administra-

tion, construction supervision, completion of the building to post evaluation.

■ Architectural Internship

Students are assigned to architecture firms approved by the program for a minimum of 4 weeks of training in

order to experience the architectural practice. Through the internship, students experience and learn the ways in

which theories and design knowledge are applied in actual projects. Students must turn in an internship log and

an internship report.

■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Planning and Case Study

Students will understand ecological principles in architecture and learn of Building Mechanical Engineerings

they can apply to create eco-friendly buildings. They will study eco-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in Ko-

rea and abroad and analyze specific cases of such buildings to understand and apply the techniques related to

eco-friendly buildings.

■ Construction System in Architecture

This class investigat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building materials and their use, production and applica-

tion in a methodological way. Students will understand construction project conditions including various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and processes as well as construction management (CM), and cultivate the ability to set

the appropriate means of construction and system according to those conditions and design intentions.

■ Build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2

The course aims to deliver knowledg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ish materials, construction methods,

management plan, construction quality control and caveats during construction using the knowledge of general

construction work related to building finishing work as a foundation.

■ Integrated Cost and Schedule Management

Construction projects each have their own uncertainties and are composed of countless activities. Construc-

tion management of building projects are managed by construction plans, while schedule/cost/quality/safety

managements are done by process management. Because it is crucial that the project realizes its aim within the

fixed time and cost, the participants take a keen interest in the projected cost and term. Quantity takeoff means

to calculate the supply cost for each activity needed to complete the object of construction, while the cost es-

timate is the multiplication of the quantity and the unit price which becomes the calculation for the construction

expenses. Quantity takeoff and cost estimate must be done with precision and efficiency from the planning of

the construction to the contract and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This class aims to cultivate skills in calculating

supplies and writing construction schedule needed for construction projects.

■ Total Building System in Architecture

This class will enable you to select and evaluate materials, safety systems, structure, and environmental

system and other considerations that are essential to the building process and put them together in order to

integrate them into design. Understanding the overall physical law will make useful architectural design possible.

Accordingly, we can compare the conditions needed by human beings to maintain their health and meet the

demands of living with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to understand how the building fulfills both conditions.

From that, we select a system that corresponds to those conditions and apply it to the building, designing a safe

and pleasant building.

60 61

Page 12: EA General Studies 일반과목ea.ewha.ac.kr/ckeditor_assets/attachments/72/ea_barch...인테리어디자인 의 기초이론 및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고찰한다. 실내디자인의

■ 선

택과

목과

학생

수행

평가

(SPC

) 항

목 E

lect

ives a

nd S

tude

nt’s

Perfo

rman

ce C

riter

ia

학 년

교 과

명커

뮤니

케이

션문

화적

맥락

설 계

술실

12

34

56

78

9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2학

년서

양건

축사

■■

구조

역학

■■

3학

디지

털건

축 1

■■

디지

털건

축 2

■■

건축

재료

및시

공 2

■■

해외

건축

과어

버니

즘■

■■

4학

지속

가능

건축

■■

도시

설계

■■

■■

■■

현대

건축

■■

건축

론세

미나

■■

건축

실무

인턴

십■

해외

교류

스튜

디오

■■

5학

공간

구성

과분

석■

■■

친환

경계

획및

사례

■■

■■

건축

과도

시■

■■

■■

건축

기획

■■

■■

■ 필

수과

목과

학생

수행

평가

(SPC

) 항

목 R

equi

site

Cour

se a

nd S

tude

nt’s

Perfo

rman

ce C

riter

ia

학 년

교 과

명커

뮤니

케이

션문

화적

맥락

설 계

술실

12

34

56

78

9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1학

건축

개론

■■

건축

조형

■■

건축

설계

■■

2학

표현

기법

건축

CAD

■■

건축

설계

1■

■■

건축

설계

2■

■■

구조

의 이

해■

건축

구조

시스

템■

근대

건축

사■

■■

3학

한국

건축

사■

■■

주거

학■

■■

■■

인테

리어

디자

인■

■■

대지

및조

경계

획■

■■

■■

건축

설계

3■

■■

■■

건축

설계

4■

■■

■■

건축

환경

시스

템■

■■

건축

시공

시스

템■

■■

4학

건축

졸업

주제

연구

■■

■■

건축

설계

5■

■■

■■

건축

설계

6■

■■

■■

■■

건축

통합

시스

템■

■■

■■

건축

제도

와정

책■

■■

■■

■■

5학

건축

설계

7■

■■

■■

건축

설계

8

건축

실무

■■

■■

■■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