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70

Transcript of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Page 1: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Page 2: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Contents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Specialist 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Specialist Report

Ⅰ. 환경분야 CCS 정책․기술의 현황 및 미래 ························· 1

- 고려대학교 윤성택 교수

Ⅱ. 셰일가스 개발과 환경 ·························································· 9

- ERG 대표이사 나경원 박사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국외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환경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동향 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Report국외 환경 동향 Report

Ⅲ. [일본]하수도 사업에서의 에너지 기본계획 ························ 23

(스마트플랜 2014)

- 東京都 下水道局Ⅳ. 전세계적으로 유동하는 기후변화 대응기금 ··················· 33

- UNEP 한국위원회

Ⅴ.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 41

(환경상품 시장동향과 유망품목)

- 출처 : KOTRA

Page 3: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Page 4: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Ⅰ. 환경분야 CCS 정책․기술의 현황 및 미래

윤 성 택 고려대학교 교수

ʼ97~ʼ05 환경부 먹는물자문위원․관리 위원회 위원(먹는 샘물 분과위원)

ʼ02~ʼ04 환경관리공단 환경기술평가심의위원

ʼ02~ 과기부 선도기초과학연구실사업 주관 연구책임자

ʼ03, ʼ04 Marquis Who‘sWho in Science and Engineering (7th & 8th ed.) 등재

ʼ03~ʼ05 캐나다 University of Calgary 방문연구교수(visiting scholar)

ʼ04~ʼ06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학부장

ʼ06~ 중앙지하수관리위원회 위원(건설교통부)

ʼ14~ 환경부 CCS 연구단 연구단장

Page 5: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Page 6: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3

환경분야 CCS 정책·기술의 현황과 미래

환경분야 CCS 정책·기술의 현황과 미래

고려대학교 교수 윤성택

1. CCS기술의 위상과 중요성

지구촌에서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기후변화의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하다. 2010년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에너지기술전망

(ETP)”에 따르면, 2050년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57 Gt CO2로 전망되고 있으며, 2050년도

지구 온도 상승을 2℃ 이하로 억제하기 위한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미

2010년 전세계 탄소시장의 규모는 1,419억불에 도달하였으며, 유럽연합에서는 2005년부터 발전

업종을 중심으로 배출권거래제가 본격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2년 5월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안”이 통과되어 내년부터 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대량 감축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 기술의 역할이 부각되었다. CCS기술은 CO2 대량 배출원에

서 발생되는 CO2를 흡수제, 흡착제, 분리막, 순산소연소 등을 이용하여 포집(capture)하고,

포집된 CO2를 수송(transportation)하여 지중에 저장(storage; 장기 모니터링 및 환경영향평가

포함)하거나 화학소재 및 연료화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utilization)하는 일련의 종합기술이다.

CCS는 화석에너지 기반의 산업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범지구적 기후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인정되고 있으며, 전세계 온실가스 감축량의 약 19%를 담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미국, EU, 호주, 캐나다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비용 저감과 안전성을 확보하여

CCS기술 상용화를 달성하기 위한 대규모 실증사업 등 차세대 혁신기술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EU에서는 2020년까지 CO2 배출 zero 발전소 6~12개에 대한 CCS 실증을

추진하고 있다.

Page 7: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2014-2015년은 전세계적으로 CCS기술에 있어 중요한 시기가 될 전망이다. 현재 세계에서

가동 중이거나 건설 중인 대규모 CCS 프로젝트는 22개에 이르며, 이는 2010년에 비해 두 배로

증가한 것이다. 발전 분야에서는 세계 최초로 2014년 10월 캐나다 Saskatchewan의 Boundary

Dam 발전소에서는 대규모 CCS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으며, 미국에서는 역시 전력 분야 CCS

프로젝트로서 미시시피의의 Kemper County 에너지시설이 2015년부터, 그리고 텍사스의 Petra

Nova 프로젝트가 2016년부터 운영될 계획이다. 철강 분야에서는 세계 최초의 대규모 CCS

프로젝트로서 아랍에미리트연합의 아부다비 프로젝트가 건설 중에 있다. 추가하여 14개의 대규모

CCS 프로젝트(이 중 9개는 전력 분야)가 계획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2015년에 투자 결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고려되고 있는 잠재적 CCS 프로젝트는 매우

많은데, 이들은 2020년까지 정책적 및 재정적 지원에 의해 다수가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규모 CCS 전력프로젝트가 실현됨에 따라, 어떻게 하면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저비용 기술로서 CCS를 널리 보급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즉, CCS의

도전적이고 모험적인 ‘실험적’ 특성에 대해 논쟁을 벌일 시기는 이미 지나 이미 상업화에 근접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중국을 제외한 비OECD 국가에서의 대규모 CCS 프로젝트 진행이 여전히

미비하다는 점, 그리고 고도의 탄소집약적 산업(예: 시멘트, 철강, 화학공업) 분야에서 CCS기술

개발 및 적용이 더디다는 점은 아쉬운 실정이다.

3. 국내의 CCS 추진 현황

국내의 경우, 2009년 ‘녹색성장위원회’에서는 2020년까지 BAU 대비 -30%, 2005년 배출

기준 -4%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축하겠다는 국가 차원의 목표를 발표하였고, 중요한 감축

수단으로서 CCS 도입 강화를 포함하였다. 이에 따라, 2020년까지 CCS 플랜트 상용화와 국제

기술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한 CCS 기술 개발 추진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이러한 기반 위에

‘CO2 저장 핵심 요소 및 시스템 기술 확립을 통하여 CCS 기술을 완성함’을 목표로 하는 ‘Korea

Page 8: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5

환경분야 CCS 정책·기술의 현황과 미래

CCS 2020' 사업이 착수되었고 기타 실증 및 상업 저장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국가CCS종합추진

계획”에 의거한 부처간 역할분담에 따라 중점사업이 본격 추진 중인데, 0.5 MW급 포집 실증을

완료하고 10 MW급 포집 실증을 추진 중(미래부)이며, 건식포집공정과 저장실증부지와의 연계

추진(지경부), 해양저장부지의 확보 추진(해양부), 지중저장 환경관리기술개발(환경부) 등이

있다.

하지만, 저장 분야는 여전히 상대적으로 투자가 미진한 상황이다. 2012년도 기준 예산투자

현황을 살펴보면, 미래부 주관 “Korea CCS 2020사업”의 경우 포집:저장의 비율이 72%:28%,

지경부 주관 “에너지자원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의 경우 포집:저장 비율은 85%:15%인 상황이다.

따라서 포집-저장 연계 실증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투자 비율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지중 저장에 필요한 혁신기술의 개발 및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최근 저장

분야에서는 정부부처별 역할 분담에 의거하여 저장지 탐색, 주입기술의 향상, 환경관리기술의

확보, 법제 마련 등을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4. CCS 환경관리의 개념 및 법제도 제정의 필요성

기술적 측면에서 CCS는 크게 포집(및 압축), 운송과 저장의 3단계로 구성되며, 이들 단계는

반드시 상호 연계되어 운영되어야 한다.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은 육상 혹은 해저 약 750∼1,000 m

심도에 존재하는 ‘적합한’ 지층 중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저장하는 기술이며, 이때 주입된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상태로 존재하여 거동이 매우 느리며 주변 지층 또는 지하 유체(지하수)와

반응하면서 용해 내지 광물화된다. 심부 지층에 주입된 이산화탄소는 '구조 및 층서 포획', '잔류

포획', '용해 및 광물 포획'을 통해 안정적으로 저장된다. 주입 초기에는 물리적으로 구조 및

층서 포획이 우세한 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변의 암석-지하수와 반응하면서 용해 및 광물

포획이 우세해진다. 광물포획이 증가할수록 이산화탄소 저장의 안전성은 급격히 증가하며, 따라서

안정한 포획이 일어날 수 있는 적정 지층의 탐색이 매우 중요하다. 이산화탄소 저장은 저장부지

탐사‧선정, 저장소 인허가, 주입, 저장소 운영 및 폐쇄 등의 단계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각

단계별로 적절한 환경위해성 및 환경안정성 평가가 수반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저장소 폐쇄

후에도 지속적인 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사후관리가 필요하다. CO2 포집 시 불순물이 함께

Page 9: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6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포집되는 경우에는 CO2 운송 및 저장 과정에서 환경위해 요인이 발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2005년 IPCC에서는 CO₂지중저장에 대한 위해성 평가에 있어 잠재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화학물질(chemicals of potential concern, COPCs)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에서 가장 큰 불확실성과 위해성은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누출이다. 지중에

주입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면 저장 효율성이 떨어져 사업의 존립을 위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주변 환경과 생태계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CCS 사업의 상용화를 위해 필수적인

사회적 수용성의 제고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안정적인 지중 저장에 실패하여 저장 사이트로부터

누출된 이산화탄소는 물(지하수)에 용해되어 pH를 낮추고 지질 매체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오염물질을 용탈시킴으로써 음용 가능한 지하수의 수질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산화탄소의

누출은 다양한 과정에서 예상되지만, 일반적으로 불투수성인 덮개암(cap rock)을 통한 느린

속도의 누출, 수송 파이프 혹은 주입정의 파손에 의한 누출, 지질구조인 단층과 균열 등을 통한

누출 등으로 발생한다.

장기적인 지중저장 안전성과 환경 안전성 평가를 위해서는 주입된 이산화탄소가 장기간

지표로 누출되지 않고 어떠한 형태로 저장(포획)되는가를 파악하고,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인자들을 규명하는 것이 반드시 요구된다. 특히, 지구화학 및 지구물리 모니터링과 평가, 즉

MMV(Measurement, Monitoring and Verification) 또는 MVA(Monitoring, Mitigation,

Verification and Accounting) 과정을 통하여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거동을 정확히 파악하고

잠재적인 누출 경로를 평가함이 필요하다. 이는 처분 부지의 위해성과 안전성을 평가함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를 통해 안전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나아가, 지중저장의 전 과정(저장 부지 선정에서부터

저장 후 사후 관리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출 위험성에 대한 예측과 잠재적 누출 가능성

및 경로 등에 관한 사전․사후 평가는 지중저장 관련 환경관리 지침 및 규정의 수립에 있어서

핵심 고려사항이 된다.

지중저장 환경관리의 중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미국, 유럽연합 등 선진국에서는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이 국제적·국가적 법체계 하에서 안전하고도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법령 체계의

정비를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환경보호청(EPA)에서는 지중처리 안전관리를 위한

지중처리 관련 규칙인 “UIC Class VI Rule”을 제안하였고, EU에서는 환경관리 지침인 “CCS

Directive”를 발표함으로써 지중저장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험 평가 및 관리

Page 10: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7

환경분야 CCS 정책·기술의 현황과 미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미국과 EU 모두 저장 부지 선정에서의 배경치(baseline) 설정으로부터

이산화탄소 주입 중과 주입 종료 이후에 이르는 전과정에 걸쳐 위 규정의 적용을 받도록 하고

있다.

미 환경청의 경우에는 1974년 처음 제정된 “안전한 음용수법(The Safe Drinking Water

Act; SDWA)”의 하위 규정에 지중저장의 환경영향 및 모니터링에 관한 문제를 포함함으로써,

‘음용 가능한 지하수(Underground Source of Drinking Water; USDW)’를 보호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EPA의 UIC 프로그램은 ‘안전 음용수법(SDWA)’의 부속 규정인데, 유해하거나 2차적으로

유해성이 나타날 수 있는 물질을 지하에 주입 처리하는 것 환경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일찍이

마련되었다. 즉, 음용 가능한 지하수(USDW)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음용수 공급원(음용 가능한 지하수)의 질을 악화시키지 않고 음용수 공급원에 오염물질이

추가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오염물질이 음용수 공급원에 도달하지 않도록 원천적으로

보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지하 주입 관정은 음용수 공급원으로 주입 물질의 유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고안되어야 하며, 일단 주입이 시작되면 주입 물질이 주입 지역(주입 지층)으로부터

음용수 공급원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적정 기준을 설정하여 이행하여야 한다. 최근 UIC 프로그램에

새롭게 추가된 Class VI 관정에 관한 규정은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을 위한 관정이 음용 가능한

지하수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적절하게 배치 및 건설, 시험, 감시, 폐쇄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규정은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에 의한 지하수의

오염 관리를 일차적 목표로 하지만, 동시에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의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이산화탄소 감축을 통해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도구로서도 의미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 발표된 “국가CCS종합추진계획”에는 지중저장과 관련한 전주기

환경관리 방안 마련이 포함되었지만, 구체적인 환경관리 추진 체계와 관련 법·규정의 마련은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예정된 국내 지중저장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지역 주민이나

환경단체와의 마찰을 줄이고 CCS 상용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라도 지중저장의 환경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와 책임 등에 대한 제도적 틀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Page 11: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8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5. CCS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

CCS를 확대 보급하고 투자자로 하여금 CCS에 투자토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정책 예측의

가능성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CCS를 장려하는 한편 강력하고도 지속적인

탄소배출 감축정책이 시행되어야 한다. 또한, 적정 저장지의 탐색, 특히 가용저장량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CCS 보급이 지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이산화탄소 저장지의

탐사와 저장능력 평가를 장려하는 정책과 프로그램이 시급히 시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2025-2030년 및 그 이후에 대폭 중가하게 될 비OECD 국가의 대규모 CCS 프로젝트들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향후 10년 동안 지식의 공유, 저장능력 개발, 정책과 법률 체계 시행 등에 선도국을

중심으로 모두가 노력해야 하며, 철강 및 시멘트산업과 같은 산업분야에서도 CO2 배출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기술로서 CCS를 널리 보급하고 장려하기 위한 정책을 개발하는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

아울러, 지중저장된 이산화탄소의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절차에서의 환경관리

규정을 마련하여 적용토록 해야 한다. 즉, 지하 지층 내에서의 이산화탄소의 거동 파악 및 누출

예방을 위해서는 부지 선정에서부터 주입 중 및 주입 후 폐쇄에 이르는 전 단계에 걸쳐 모니터링

및 평가를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중저장이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의 인·허가 및 환경 관리 규정이 마련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누출 최소화를

위한 법제도는 환경안전성의 확보 차원뿐 아니라 CCS의 목표 달성과 상업성 확보를 보장하는

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Page 12: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Ⅱ. 셰일가스 개발과 환경

나 경 원 ERG 대표이사

공학박사

Page 13: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Page 14: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11

셰일가스 개발과 환경

셰일가스 개발과 환경

ERG 대표이사 나경원 박사

셰일가스의 개요

셰일(Shale)은 점토 성분이 풍부한 진흙퇴적암층에서 미세한 진흙이 퇴적된 후 탈수되어

생성된 퇴적암 지층이다. 셰일층에는 높은 유기물 함량으로 인해 천연가스 및 원유가 치밀한

셰일층에 이동하지 못하고 갇혀져 있다. 셰일가스는 셰일층에 퇴적된 유기물이 열분해 또는

박테리아에 의해 생분해되어 생성된 탄화수소가 미세 공극 내에 남아있거나 유기물 및 광물입자에

흡착상태로 존재하는 천연가스를 의미한다. 기존의 원유나 천연가스가 일정 구역에 고여있는

것과 달리 셰일가스는 담요처럼 넓게 분포되어 있다. 엄밀하게 셰일층에서 천연가스의 생산

비중이 높으면 셰일가스(Shale Gas), 원유의 생산 비중이 높으면 셰일오일(Shale Oil)로 구분해야

하나, 원유와 가스가 동시에 생산되기도 하고, 편의상 명칭의 구분 없이 셰일가스로 통칭하여

부르고 있다.

셰일가스는 비전통 유가스전(Unconventional Oil and Gas, 또는 비재래자원, 비재래유가스전,

비전통자원으로 칭하기도 함) 중 하나이다. 석유공학에서는 비재래 유가스전을 “원유 자체의

점도가 매우 높거나 저류층이 치밀하여 기존의 석유개발 기술로는 생산이 불가능한 탄화수소자원”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시추 후 즉각적인 생산이 가능한 일반적인 석유인 전통유가스

(Conventional Oil and Gas)와는 달리 추가적인 개발, 생산, 가공 등 별도의 기술이 필요한

자원을 지칭한다. 이러한 비재래 유가스전은 전통 유가스전 개발때부터 풍부한 매장량과 분포

특성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에는 주목을 받지 못했다. 1880년도부터 셰일층의 존재를

알고 있었으나 지층의 깊이, 지층의 특성 등 채굴 기술의 경제성 대비 가격 경쟁력이 부족하여

개발되지 않았다. 1990년 이후 전통유가스의 고갈 해소를 위한 대안 자원으로 주목을 받기

Page 15: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12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시작하였고, 채굴 기술의 발전, 수평 시추법(Horizontal Drilling), 수압파쇄 공법(Hydraulic

Fracturing)과 같은 경제적인 채굴 신기술 적용으로 인하여, 2000년대 이후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었다. 기존의 유가스가 중동이나 러시아 등에 집중적으로 매장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비전통유가스전은 전 세계에 고르게 많은 양이 매장되어 있음이 확인되고

있으며, 특히 에너지 수요가 높은 중국과 미국에 많은 양이 매장되어 있다(표 1).

<그림1> 전통 유가스전 개발과 비재래 유가스전(셰일가스) 비교

<표 1> 전통가스 및 셰일가스 매장량 분포

국가명전통가스 셰일가스

확인매장량(백만톤) 비중(%) 가채매장량(백만톤) 비중(%)미국/캐나다 7,753 6 23,736 16

중 국 2,291 2 23,216 15

남 미 5,621 4 41,122 27

아프리카 10,729 8 8,120 5

유 럽 18,859 14 12,451 8

중 동 59,571 43 20,884 14

러시아 24,360 17 5,976 4

기 타 9,406 6 14,429 10

합 계 138,590 100 149,934 100

* 자료: (BP, ‘13)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EIA, ‘13) Technically recoverable shale oil and shale gas resources

Page 16: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13

셰일가스 개발과 환경

셰일가스 혁명의 시대

이제 셰일가스는 주요 에너지 자원이었던 석탄, 석유의 시대를 이어, 제3의 에너지 자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더 나아가 ‘셰일가스 혁명’이라는 말이 통용되고 있을 정도로 셰일가스는 에너지

가격의 변화뿐만 아니라, 셰일가스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셰일가스는 새로운 에너지 자원의 발견이 아닌 개발 기술의 진화를 통하여 기존에 존재했던

‘셰일가스’라는 천연가스 에너지원을 경제적인 비용으로 확보할 수 있는 ‘기술 혁명’이라 할

수 있다. 핵심적인 셰일가스 개발 기술로는 시추 기술과 수압파쇄 기술이 있다. 시추 기술은

셰일가스가 위치하고 있는 지층까지 약 2 km 수직으로 시추를 하고, 셰일가스 층이 넓게 분포되어

있는 특성을 고려하여 2 km 깊이에서 수평으로 약 2 km 시추하는 기술이다. 수압파쇄 기술은

촘촘한 셰일층에서 자원을 원활하게 채취하기 위해 약 30,000 톤의 대량의 물과 화학약품,

모래 등을 셰일층까지 고압으로 주입하여 셰일층을 파쇄하는 기술이다(그림 3). 이러한 기술들은

점차 발전하여, 2007년에 비해 2013년 전반기까지 개발 비용, 개발 시간은 각각 21%, 66%

줄어들었고, 생산량은 8배 이상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그림 4). 개발 기술 발전과 생산 향상

기술의 발전이 풍부한 매장량의 셰일가스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림 3> 수평시추와 수압파쇄

Page 17: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1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그림 4> 생산 기술과 생산량 변화 (미국 Fyetteville Shale, Southwestern Energy)

셰일가스 혁명은 에너지자원 가격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미국 천연가스 가격 하락과

세계 에너지원 가격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의 서부텍사스 원유 (West Texas

Intermediate: 미국 원유 가격의 지표)와 천연가스부산물 (NGL, Natural Gas Liquids:

Propane/Ethane 등의 총칭)과 비교해서 미국 내 천연가스 가격(HH: Henry Hub 천연가스

가격지표)이 2008년 리먼 사태를 제외하고 하락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림 5). 2014년

6월부터 최근까지 국제원유가 하락을 주도하고 있는 사우디의 물량 공세 및 가격 인하는 북미의

셰일가스 개발을 견제하기 위한 전략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렇듯 셰일가스는 기존 석유 개발

시장 및 세계 에너지 시장을 흐름을 뒤흔들고 있는 에너지자원이다.

<그림 5> 미국의 원유, 천연가스, 천연가스 부산물 변화 (EIA)

Page 18: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15

셰일가스 개발과 환경

셰일가스 개발과 환경

셰일가스는 기존의 석유 및 석탄에 비하여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 배출량에 있어 친환경적이며,

개발 가능한 자원량 측면에서도 굉장히 매력적인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붐에도 셰일가스

개발이 가장 활발한 미국에서는 셰일가스 개발 시 대수층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셰일가스는 생산과정에서 수압파쇄 물질의 지층 유입에 의한 수질오염,

다량의 용수사용으로 인한 수자원 고갈, 메탄가스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누수로 인한 대기오염,

대규모 채굴 과정에 토양 오염, 가스전 폭발, 수압파쇄에 따른 지반 환경 영향 등의 우려가

있다. 가장 이슈화 되는 부분은 수압파쇄 과정에서 대량의 수자원이 사용되고, 2주 간 주입한

물의 10-30%인 3,000 톤 이상의 환류수가(Flowback Fluids)가 지층으로 유입되며, 장기간

동안 셰일가스원과 함께 지속적으로 폐수가 생산된다(Produced water). 지층으로 유입 및 생산되는

폐수에는 화학물질, 용존고화물(Total dissolved solids), 중금속, 유기물, 박테리아 등을 함유

하고 있다. (표 2) 발생 가능한 환경문제를 수질, 대기, 토양, 기타 환경분야로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MaterialAV.Concentrate

(mg/ℓ)Material

AV.Concentrate(mg/ℓ)

Aluminum 1.13 Magnesium 2,100Arsenic 0.09 Manganese 1.89Barium 1,450 Mercury 0.295Benzene 0.479 Naphthalene 0.113Beryllium 422 Nickel 0.03

Boron 2.06 Nitrogen 13.4Bromide 607 Phenol 0.459Cadmium 0.025 Potassium 1,270Calcium 4,241 Scale Inhibitor 744Chloride 56,900 Selenium 1.06

Chromium 0.539 Sodium 54,800Cobalt 0.489 Strontium 1,115Copper 0.0245 Sulfate 64

Ethyl Benzene 0.053 Surfactants 0.21Fluoride 392 Toluene 0.833

Iron 63 Xylenes 0.444Lead 0.035 COD 20,000TDS 63,800 TOC 449

<표 2> 환류수의 주요 성분과 농도 (출처: Chesapeake Energy)>

Page 19: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16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1. 수질 오염: 지표수, 함수층과 지하수 등의 오염으로 구분하여 살펴 볼 수 있다. 지표수

오염은 수압 파쇄에 사용된 물 회수 시, 파쇄 공정에 사용된 화학약품과 세일층에 존재하던

유류오염원, 파쇄된 암석 및 중금속, 천연방사성물질에 의해 오염 가능성이 있다. 함수층과

지하수 오염은 셰일층 균열 유지에 따른 수압파쇄 용액의 이동에 따른 오염, 파쇄 후 회수되는

용액 이동에 따른 오염, 시추 및 시추관 균열에 의해 오염 가능하며, 유류 오염원, 메탄, 화학물질,

중금속, 천연방사성물질 등이 오염원이 될 수 있다.

2. 토양 오염: 지표면 및 지층의 오염으로 구분하여 살펴 볼 수 있다. 지표면 오염은 오염원의

직접적인 확산에 의해 유류원, 수압파쇄수 내 화학물질, 천연방사성물질, 중금속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지층 오염에서는 대수층, 지하수 오염원의 지층 내로의 확산과 시추관의 균열, 수압파쇄에

의한 오염 등이 있으며, 유류원, 화학물질, 중금속, 천연방사성물질 등이 오염원이 될 수 있다.

3. 대기 오염: 천연가스인 주 성분인 고농축 메탄가스의 확산(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에 비해

온실가스 지수가 21배 높다), 유류계 화합물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확산, 퇴적 지층의 특성

성분인 황화수소(H2S)의 발생, 대규모 장비 및 기기 사용에 의한 배기가스 등에 의한 오염이

예상된다.

4. 기타: 수자원 고갈, 소음⦁진동, 소규모 지진, 지반 침식, 폭발, 자연환경 파괴 등을 들

수 있다. 미국의 마르셸러스 셰일 개발 공정에는 대량의 물이 수압파쇄에 사용되어 셰일가스

개발 시 필요한 수자원 확보에 관한 문제가 제기된 적이 있다. 1공 개발 시 약 30,000 톤의

물이 사용되는 데, 이 물의 양은 우리나라 2,000가구가 1개월 동안 소비하는 양이다. 소음⦁진동은

생산 시설의 개발 공사, 시추, 수압파쇄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소규모 지진은 수압파쇄에

의한 암석 충격으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셰일층 및 지층 파쇄와 균열에 의한 침식 현상이

발생 가능하며, 유⦁가스전의 유류 특성과 고농축 메탄의 발생으로 폭발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셰일가스 개발의 붐에 의한 무분별한 개발 시설의 확장으로 자연 환경이 훼손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또한, 셰일가스 개발과 운영에서 환경 오염원이 발생할 수 있는 예상 경로를 지상, 함수층

주변, 함수층 이하로 구분하면, 지상에서는 생산정, 수압파쇄 회수 수자원 필드, 지상 유⦁가스

저장 및 수송 장치 등으로 나열할 수 있고, 함수층 주변에서는 시추와 시추관, 수압파쇄 공정,

함수층 오염원의 유입으로 불 수 있다. (그림 6)

Page 20: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17

셰일가스 개발과 환경

이러한 환경적 위험요소를 줄이기 위해서 수압파쇄에 사용되는 용수를 친환경적으로 개발하거나,

생산에 사용된 폐수를 정화하여 순환 사용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 외 주요한 대비방안으로

는 수압파쇄기술의 안정성 강화, 장공 및 다중 경사시추 기술, 수자원 재처리, 친환경적 화학제

개발 및 환경관리, 모니터링 기술 등이 있다.

<그림 6> 셰일가스 환경오염원 발생 경로 모식도

셰일가스 환경 시장 및 기술 현황

셰일가스 개발 환경시장은 환경규제 강화 및 지역민원 증가에 따라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적용 기술이 다양하고, 기술 개발 니즈가 비교적 높다다. 셰일가스의 환경 기술은 준비 단계부터

완결까지 全과정에 걸쳐 다양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Page 21: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18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그림 6> 셰일가스 全과정 별 환경관리 기술의 정리

셰일가스 환경관리 비용은 개발비용의 7-10%로서(EIA, 2012), 2020년 시장 규모가 130억$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셰일가스 수처리 산업 시장(장비, 서비스, 부대 비용)은

2012년 10억$부터 연 28% 성장하여 2020년에는 90억$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Lux research,

2012)하고 있으며, American Water Intelligence, Global Water Intelligence의 2012년도

보고서에 의하면 셰일가스에 적용되는 수처리 기술 장비 시장은 2012년도에 51.7백만$에서

2017년도에는 139.4백만$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글로벌 수처리 기업이나 서비스기업들이 셰일가스 오염원

관리(수처리 등)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에 있다. Veolia社는 화학처리, 여과, 이온교환,

역삼투공정 등으로 구성된 OPUS공정 상용화, Halliburton社는 전기화학적 수처리공정인

CleanWaveTM공법 및 고도산화공법 상용화, Siemens社, Geopure社는 역삼투공정, Ecosphere

社는 고도산화(오존, 초음파, 자외선) 및 역삼투공정, GE Water社, Fountain Quail社, Aquatech

社, Total Separation Solutions社 및 Intevras社는 증류공정, Latitude solution社는 전기정화

공정 운영 중에 있다. 최근에는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고 운전비용을 절감하며 운영시간을 단축한

복합 산화처리공정, 마이크로버블공정 등의 기술이 활성화 되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DOE, Department of Energy) 등에서는 셰일가스 오염원 관리 및 용수 재이용을

Page 22: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19

셰일가스 개발과 환경

위한 저에너지․저비용 처리기술 등의 프로젝트가 활발히 수행 중이며, 최근에는 대기 오염 물질의

완전 연소 기술, 다오염원 동시 모니터링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다. 현재 범세계적으로 셰일가스

및 비전통유·가스 개발 확대 움직임과 환경 규제 강화가 동시에 진행됨에 따라 환경 기술 및

친환경 개발 기술 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현재 적용 중이거나 개발 중인

셰일가스 환경 기술들은 신기술 성격보다는 이미 기존에 구축된 환경 기술들을 셰일가스 특성에

맞추어 공정 개선이나 성능 향상 성격이므로, 국내 환경기술도 충분히 접근이 가능한 분야이다.

<그림 7> GE社의 이동형 셰일가스 수처리 시스템>

셰일가스 환경 시장 진출을 위한 공단의 역할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셰일가스 환경 사업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기술 검증과 실적(Track

record)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유가스 산업은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산업이므로 기술 검증 없이 신규 기업 또는 신규 기술이 진출하기에는

진입장벽이 높다. 특히 북미의 셰일가스 환경 시장은 가장 활성화 되었으나, 우수 기업들과의

경쟁이 예상되고, 미국의 유가스 산업 시장 구조의 특성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셰일가스

환경 사업 중, 수처리 사업은 GE社, Veloria社 등의 글로벌 수처리 대기업이 진출해 있으며,

수처리 대기업 외에도 Schlumberger社, Halliburton社 등과 같은 유가스 엔지니어링 전문

Page 23: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20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서비스 대기업이 관련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Schlumberger社는 세계 1위의 유가스 엔지니어링

전문 회사로 시가총액 1,264억$ 규모이고, Halliburton社 세계 2위의 유가스 엔지니어링 회사로

시간 총액 450억$인 규모인 기업들로 채굴, 수압파쇄, 환경 서비스 등 토탈 엔지니어링 서비스

제공 기업들이다. 따라서 북미 시장은 글로벌 기업, 전문 엔지니어링 서비스 기업 등과의 기술,

가격 경쟁을 극복해야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기술 검증과 실적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북미

현장에 적용해야 함으로 북미 테스트베드나 셰일가스전을 확보해야 한다.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

공사 등의 공기업이나 국내 대기업들이 북미에 셰일가스전을 확보하고 있으나, 국내 공기업과

대기업이 보유한 셰일가스전은 대부분이 단순 지분 투자 자산이므로 관련 기술 적용과 선정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테스트베드나 셰일가스 현장 확보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진입 장벽이

높은 북미 시장보다는 진입 장벽이 낮은 국가를 선정하여 접근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동남아시아 국가 중 인도네시아는 전통유가스, 셰일가스, 셰일가스와 같은 비전통유가스전인

석탄층메탄가스 등의 다양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얀마는 전통유가스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국가들은 대표적인 해외 공적개발원조사업(ODA)의 대상 국가이기도 하다.

이 국가들은 다양한 자원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나, 환경 기술이 미흡하고, 아직 환경 관리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았으며, 글로벌 환경 기업이나 엔지니어링 서비스 기업들은 거리상의 제약으로

아직 진출을 유보하고 있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세계 2위의 습지 보유국이자 다양한 생물종을

보유한 국가로 UN의 주요 환경 관리 대상 국가이며, 미얀마는 유가스전 난개발로 주요 하천과

강이 오염되어 식수 확보와 쌀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환경 보호에 대한 요구가 높다.

이미 환경공단이나 코이카에서는 ODA 사업의 일환으로 동남아나 아프리카 등에 환경 기술

ODA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ODA 사업과 자원개발 사업 분야로 연계한다면, 동남아시아

국가의 전통유가스전 또는 비전통유가스전 개발 환경 기술과 자원개발 환경 사업 진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자원개발에 특화된 관련 기술 및 미래 기술들을 검증하고, 실적을

확보한다면 북미 시장 진출의 자격은 물론 중국이나 남미 등의 차기 셰일가스 및 비전통유가스전

국가에 환경 시장을 진출할 수 있는 자격도 확보할 수 있다. 환경 기술 외에도 자원개발 환경

관리 체계 사업이나, 자원개발 환경 표준화 사업으로 확장할 경우에는 환경 공기업으로서의

국제 이미지 제고에도 이바지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ODA 환경 사업 의 진출 보상을 자원

인수계약으로 연계할 경우에는 국가의 안정적인 자원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다.

Page 24: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21

셰일가스 개발과 환경

따라서 해외 환경부처와 업무 제휴 및 해외 환경 ODA 사업의 강점이 있는 한국환경공단은

각 기관의 상호 협력으로 단순 ODA 사업이 아닌 자원개발-환경 패키지 사업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활발한 셰일가스 시장 및 셰일가스 환경 시장에 진출의 기회를 주도할 필요가

있다.

Page 25: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Page 26: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Ⅲ. 하수도사업에서의 에너지 기본계획

(스마트플랜 2014)

- 출처 : 東京都 下水道局

Page 27: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Page 28: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25

하수도사업에서의 에너지 기본계획

[일본] 하수도 사업에서의 에너지 기본 계획

(스마트 플랜 2014)

원문의 주요목차

1. 스마트 플랜 2014의 개요

2. 하수도 관련 에너지 상황

3. 향후의 신재생 에너지의 대응 내용

4. 스마트 플랜 2014의 실시

1. 책정 배경

도쿄의 하수도는 수도 도쿄의 시민 1,300만 명의 생활과 도시 활동을 지탱하는 중요한

도시 인프라

도쿄도는 총 약 1.6만 km의 하수도관, 20개소의 물 재생 센터, 87개소의 펌프장 등

방대한 시설을 관리하고 있음

- 이러한 시설을 365일 24시간 쉬지 않고 가동시킴으로써, 생활환경의 개선 및 침수의

방제, 공공 용수의 수질 보전을 도모하고, 쾌적한 도시 조성에 공헌하고 있음

하지만, 이러한 양질의 하수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하수도 시설을 계속적으로 운전함

으로써 대량의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음

- 사용 내역을 보면, 도쿄도의 연간 전력 사용량(약 860억 kWh)의 1% 이상에 해당하는

약 9.8억 kWh의 전력, 또는 도시가스 환산으로는 약 0.2억 ㎥의 연료로, 이는 각각

일반 가정 약 27만 세대의 전력 사용량, 약 5.2만 세대의 도시가스 사용량에 해당

Page 29: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26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이와 같이, 도쿄도의 수도 사업은 도내 최대의 에너지 소비자로 에너지 사용량 저감에

큰 책무를 지고 있어, 지금까지 시설 및 설비의 재구축 시에 신재생 에너지의 활용이나

에너지 절약의 대응을 적극적으로 실시해 에너지의 효율화를 도모하고자 하고 있음

한편,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으로 발전소가 재해를 입어 계획 정전,

하절기의 전기 사용 제한이 실시되었음

- 또, 유통망이 혼란으로 연료 공급이 정체하여 비상시의 전력 확보에 지장을 초래하였으며,

원자력 발전소의 정지로 전기 요금이 대폭 상승해 하수도 경영에도 큰 영향을 미침

-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도쿄도는 에너지 대책의 큰 전환을 촉구되고 있음

향후에도 침수 대책의 충실 강화나 합류식 하수도(sewerage of combined system)의

개선, 고도 처리의 도입 확대 등의 대응을 적극적으로 진행시켜 나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들 사업 실시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게다가 6년 후인 2020년 도쿄 올림픽·패럴림픽의 개최와 관련해, 노후화된 하수도관에

기인하는 도로 함몰의 미연 방지, 워터프론트(waterfront) 환경의 향상, 하절기의 호우로의

대응 등을 적극적으로 진행시켜 나갈 필요가 있음

상기와 같은 상황을 근거로, 신재생 에너지의 활용 및 개별 시설 및 설비로의 에너지

절약의 대응, 수처리부터 슬러지 처리까지의 시설 전체로의 종합적인 운전 관리나 광역적

시점에서의 에너지 관리를 적극적으로 진행해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며,

또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하수도 기능의 위기 관리 대응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대응을 확실히 실시해, 하수도 서비스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기

위해, 하수도 사업 최초의 에너지 기본계획인 "스마트 플랜 2014"를 책정

Page 30: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27

하수도사업에서의 에너지 기본계획

2 책정 방침

수도 도쿄의 주민 생활 및 도시 활동을 지하에서 지탱하는 하수도의 기능을 안정적이고

영속적으로 발전시키고 하수도 서비스의 충실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하수도 사업에서의

에너지 기본계획인 "스마트 플랜 2014"를 책정

Page 31: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28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본 플랜에 근거해, 신재생 에너지 활용의 확대, 에너지 절약의 한층 더 추진, 또 수처리부터

슬러지 처리까지의 일련의 처리 공정을 통한 에너지의 최적화나, 보다 광역적인 시점에서

복수 시설간에 운전 관리의 효율화 등을 도모하는 "에너지 스마트 매니지먼트"를 도입

또, 비상용 발전 설비의 확충 및 분산형 전원의 도입 등 에너지 위기관리 대응도 강화

이러한 대응에 의해, 하수도 사업에서의 에너지 활용의 고도화 및 에너지 관리의 최적화를

도모

3. 4개의 대응 방침

대응 방침1 : 신재생 에너지 활용의 확대

- 태양광 발전 및 미이용의 슬러지 소각시의 저온 폐열(low temperature waste heat)을

활용한 새로운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를 보다 한층 활용해, 하수도 사업에서 가능한

한 스스로 에너지를 확보

대응 방침2 : 에너지 절약의 한층 더 추진

- 새로운 고도 처리 기술 및 에너지 자립형 소각 시스템의 개발·도입 등을 진행하여,

에너지 절약을 한층 더 추진하고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

대응 방침3 : 에너지 스마트 매니지먼트의 도입

- 수처리부터 슬러지 처리까지의 시설 전체로의 처리 공정을 통한 에너지의 최적화나,

보다 광역적인 시점에서 복수의 시설간에 운전 관리의 효율화 등을 도모하는 에너지

스마트 매니지먼트를 도입해, 에너지 이용의 스마트화를 도모

대응 방침4 : 에너지 위기 관리 대응의 강화

- 비상용 발전 설비의 확충 및 분산형 전원의 도입, 비상용 발전 설비의 운전에 필요한

연료의 시설간 융통 등으로 에너지 위기 관리 대응의 강화를 도모해, 어떠한 경우에도

하수도 기능을 유지

Page 32: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29

하수도사업에서의 에너지 기본계획

4. 스마트 플랜 2014의 목표

목표

- 총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신재생 에너지 등의 비율을 2024년까지 20% 이상으로 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

계획 기간

- 2014년∼2024년

에너지 저감의 개념

- 하수도 사업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는 침수 대책, 합류식 하수도의 개선 등의 사업의

추진으로 증가가 전망

- 따라서, 신재생 에너지 활용의 확대 및 에너지 절약의 한층 더 추진을 통해, 에너지

구입량을 저감하는 것이 하수도 사업에서 중요

- 본 플랜에서는 에너지 구입량에 신재생 에너지량과 에너지 절약량을 합한 양을 총에너지

사용량으로 상정하고, 총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신재생 에너지 등(신재생 에너지량+에너지

절약량)의 비율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

5. 향후의 총에너지 사용량의 전망과 신재생 에너지 등의 대응

2013년의 총에너지 사용량은 4,620 TJ이며, 이 중에서 신재생 에너지량은 230 TJ(총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비율은 5%)

2024년의 에너지 구입량은 4,930 TJ까지 증가할 전망

신재생 에너지 활용의 확대 및 에너지 절약의 한층 더 추진을 통해, 2013년을 기준으로

2024년의 에너지 구입량을 4,060 TJ까지 저감하고, 총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신재생

에너지 등의 비율 20% 이상을 목표로 설정

Page 33: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30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향후 총에너지 사용량 전망>

※ ( )숫자는 재생가능 에너지량과 에너지절약량을 합한 량

<새로운 대응에 따른 향후 총에너지 사용량 전망>

Page 34: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31

하수도사업에서의 에너지 기본계획

6. 신재생 에너지 등의 향후 주요 대응

태양광 발전 및 하수가 가지는 열에너지의 이용 등 지금까지도 실시해 온 신재생 에너지의

확대뿐만 아니라 미이용의 슬러지 소각시의 저온 폐열을 활용한 새로운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를 보다 한층 활용하여, 2024년의 신재생 에너지량을 350 TJ로 확대

- 태양광 발전의 확대 도입

- 슬러지 소각시의 저온 폐열을 활용한 새로운 발전

- 에너지 자립형 소각 시스템의 개발·도입

- 하수가 가지는 열에너지의 이용 확대

- 태양열을 이용한 열 공급 설비의 도입

-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

- 소수력 발전의 확대 도입

- 슬러지 탄화로(carbonizing furnace)의 이용

- 소화 가스(digestion gas) 발전의 이용

- 폐열 회수 증기 발전의 이용

또, 새로운 고도 처리 기술의 도입 및 에너지 자립형 소각 시스템의 개발·도입 등을 진행하여

2024년의 에너지 절약량을 750TJ까지 확대

- 새로운 고도 처리 기술의 도입

- 에너지 자립형 소각 시스템의 개발·도입

- 제2세대형 소각 시스템의 도입

- 준(準) 고도 처리의 도입

- 산기 장치(air diffuser)의 개선

- 통기(aeration) 시스템의 최적화

- 에너지 절약형 농축기·탈수기의 도입

Page 35: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Page 36: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Ⅳ. 전세계적으로 유동하는 기후변화 대응기금

- 출처 : UNEP 한국위원회

Page 37: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Page 38: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35

전세계적으로 유동하는 기후변화 대응기금

전세계적으로 유동하는 기후변화 대응기금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기금을 포함한 공적 다자간 기후변화 기금은 동기간 동안 적은

부분을 차지했으나, 녹색기후기금(GCF) 출연금의 약정규모는 최근 거의 100억 달러를 기록했다.

기금은 지구온도 상승폭을 섭씨 2℃ 이하로 제한하는 국제적 합의 목표를 달성하고, 급격한

기후변화로부터 인류와 지구를 구하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2014년 12월 3일 리마) 3일 페루 리마에서 진행 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의 부대행사인

‘지방정부 기후 로드맵 리마 회의’에서 발표된 랜드마크 평가에 따르면, 앞으로 천억 달러규모의

기후재원이 매년 전 세계적으로 공급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의 기술보고서와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재정상설위원회의 요약 및 권장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본 평가 보고서는, 국제 지원을 통한 배출 감축과 국가적 적응을 위한 금전적 지원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는 첫 번째 보고서다.

Page 39: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36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보고서는 2011~2012년 연평균기준으로 지구전체의 기후재원 흐름이 최소 340억에서 최대

650억 미화 달러 (혹은 그 이상)가 조성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 개발도상국에 대한 선진국의 지원은 공공 기관을 통한 재원이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다자개발은행(MDBs), 기후관련 공적개발원조(ODA)와 기타공식재원(OOF) 등에서 매년

350~500억 미화 달러가 조성된다.

* 기후변화협약기금(6억 미화 달러)을 포함하는 공적 다자간 기후변화기금을 통한 재원은

같은 기간 동안 적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약 100억 달러에 달하는 녹색기후기금에 대한

최근의 공약은 포함하지 않았다.

평가에 따르면 기후재원 정의의 복잡성, 수많은 정부 및 기업의 재원경로, 그리고 정보의

격차와 제한(특히 적응과 에너지 효율성에 관한) 때문에 실제 전세계 집계액은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불확실한 세계 전체 기후 흐름에 대한 자료와 함께, 하위 흐름에 따라

상이한 신뢰도 수준을 갖는 특성이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대부분의 자료가 지급금보다는 금융

서약과 이에 관한 안건의 의미를 반영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이 평가는 재정상설위원회가 개발도상국에 대한 국제적 지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기후재원

흐름의 투명성과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여한 중요한 부문이다.

뿐만 아니라, 재정상설위원회가 당사국총회에 전하는 권고사항들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기후재원의 정의를 위해 노력하고 더 나은 측정, 보고 및 검증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을 통해서 기후재원흐름 정보의 투명성과 정확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기후변화에 대한 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배출 감축활동과 관련된 기후재원 영향의

이해도를 높여야 할 필요성 또한 언급하고 있다.

기후 재정 흐름에 관한 2014 비엔날레 평가 및 개요는 당사국총회의 위임에 따른 재정상설위원

회에 의해 작성되었다. 2014년 보고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기후재원 흐름조사 단체에

의해서 준비되었다.

크리스티나 피구에레스(Christiana Figueres) 기후변화협약(UNFCCC)의 사무총장은 “기금은

지구온도 상승폭을 섭씨 2℃ 이하로 제한하는 국제적 합의 목표를 달성하고 급격한 기후 변화로부터

인류와 지구를 구하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Page 40: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37

전세계적으로 유동하는 기후변화 대응기금

“공공 및 민간으로부터 발생하는 재원의 규모와, 추가재원의 규모 및 용도, 개도국과 지역

사회로의 자금 조달액 등을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다. 그러나 우리가 국제적 변화를 위해

적절한 자금조달을 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 이라고 더했다.

피구에레스 사무총장은 또한, “재정상설위원회와 이 중요한 평가에 기여한 수많은 전문가분들과

기관에 감사 하다. 이것은 미래평가에 대한 기준과 토대를 제공할 것이며, 더 중요한 점은 미래의

기후행동이 개선되고 집중 될 수 있다는 점”이라며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다이앤 블랙 레인(Diann Black Layne)과 스테판 슈웨거(Stefan Schwager) 재정상설위원회

공동의장은 “이 평가보고서는 재정상설위원회 업무의 이정표를 나타내며, 이는 협약 당사국에게

협약의 목적을 포함하여 기후재원흐름의 윤곽을 제공하고, 그것이 기후행동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정보도구“라고 말했다.

또한 그들은, “앞으로 재정상설위원회는 데이터 수집 및 수집기구와의 협력 등을 통해 기후재원

흐름에 대한 정보 개선에 더욱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재정 흐름에 관한 2014 비엔날레 평가 및 개요에 관한 더 많은 정보와 수치는 아래와 같다.

* 국제동향: 2011/2012 기후 자금 대부분은 가정에서 조성되어 소비됐다. 선진국의 경우

기후행동을 위해 사용되는 80퍼센트의 자금이 자국 내에서 조성됐다.

* 개발도상국에서는 이와 동일한 패턴으로 71 퍼센트가 천연 자원으로부터 얻어진다.

* 전체 국제 기후 자금의 약 95 퍼센트는 탄소배출의 완화와 감소에 소요되고 5퍼센트는

적응에 사용된다.

* 화석연료 및 화력발전의 투자와 석유와 가스에 대한 전세계 보조금은 기후변화 대응

기금의 두 배에 달한다.

* 선진국에서부터 개발도상국까지의 흐름 : 개발도상국의 다자개발은행(MDBs)과 공적개발

원조(ODA)부터 다자간 기후 기금(협약 및 교토의정서의 재정 체계를 위한 운영 독립체가

관리하는 기금을 포함한)에 이르기 까지, 기후변화 기금 조성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이

사용되었다.

* 예를 들어, 매년 MDB에서 대략 150~230억 달러의 자금이 조성된다. GEF를 통한 기금을

포함하여 다자간 기후 기금은 대략 15억 달러이며, 이에는 UNFCCC 기금 연간 6억

달러도 포함된다.

Page 41: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38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 비엔날레 보고서(2011-2012)에 따르면 다자간 기후 기금과 완화를 위한 MDB 지원,

기타 목표(6~41 퍼센트)를 통하여, 2010~2012년 재원의 48~78 퍼센트가 빠르게 조성되

었다고 보고되었다.

* 이와 마찬가지로, 적응을 위한 재원은 11~24 퍼센트다.

불확실한 적응 투자

적응에 대한 투자 평가는 물 공급 시스템에 대한 투자와 같이 더 큰 프로젝트의 일부를

형성 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더 어렵다.

한편, 단체의 적응과 정부지원의 적응 행동(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은 드물게 보고되거나

제공되며 이에 대한 명확한 규정 또한 없다.

그로 인해, 선진국에서부터 개발도상국으로의 재원흐름에 대해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기후 재정 흐름에 관한 비엔날레(격년) 평가와 개요는 UNFCCC 웹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 자세한 정보는:

Nick Nuttall, UNFCCC Spokesperson: +49 228 815 1400 (phone), +49 152 0168

4831 (mobile), nnuttall(at)unfccc.int

John Hay, Communications Officer: +49 228 815 1404(phone), +49 172 258 6944

(mobile) jhay(at)unfccc.int

UNFCCC에 관해서

196개 당사국이 있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은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가입되어 있으며

1997 교토 의정서의 모체 조약이다. 교토 의정서는 UNFCCC의 192개의 당사국에 의하여 승인되었다.

교토 의정서의 첫 번째 공약 기간 동안, 고도의 산업화 된 국가들과 시장 경제로의 전환 과정에

있는 국가들을 포함한 37개의 당사국들은 법적으로 탄소배출 제한 및 감축 서약들을 결합했다.

2012년 도하에서는, 교토 의정서의 회의를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가 교토 의정서를 개정하였는데,

Page 42: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39

전세계적으로 유동하는 기후변화 대응기금

이를 통해 의정서의 두 번째 공약 기간이 설정되었다. 이 두 협약들의 궁극적 목표는 기후

시스템에 인류가 미칠 위험한 영향을 방지하며 대기층에 존재하는 온실가스 농도를 안정화

시키는 것이다.

Page 43: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Page 44: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Ⅴ.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환경상품 시장동향과 유망품목)

- 출처 : KOTRA

Page 45: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Page 46: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43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01 세계 환경시장 동향

(전체 규모) 세계 환경시장 규모는 2004년 6,578억달러 → 2013년 9,236억달러 → 2020년

1조 870억달러로 성장할 전망

글로벌 환경시장은 2020년까지 연평균 3%대 성장을 기록하여 매년 1조달러의 거대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

(지역별) 2013년 기준, 미국(3,280억달러)과 서유럽(2,657억달러)이 전체 환경시장의

64%를 차지6)

미국, EU,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노르웨이, 스위스, 싱가포르, 대만,

홍콩, 우리나라 등 주요국이 세계 환경상품 교역량의 약 86%를 점유

미국, 서유럽 등 선진국이 주도하던 세계 환경시장에서 신흥국 시장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음.

- 아시아는 2013년 기준 22%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

등 신흥국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중동 및 아프리카 시장은 규모가 미미하나, 성장률은 미국의 약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됨.

(분야별) 2013년 기준, 수처리, 폐기물관리, 신재생에너지 순으로 큰 시장을 형성

(수처리) 중국을 위시한 아시아 국가에서는 폐수처리가 최우선 환경정책

- 인도는 고질적인 물 부족과 낙후된 상하수도 시설 개선을 위해 첸나이시 상수도와

폐수처리 시설 설비 개선에 15억루피(약300억원)를 투자

Page 47: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4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폐기물 관리) 산업화가 활발한 신흥국 중심으로 폐기물 관리 분야의 공공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 중

- 브라질의 폐기물 수거, 운반, 재활용 처리 및 폐기물 에너지 전환을 관리하는 쓰레기처리

PPP(민관협력프로젝트) 규모는 700억헤알(약 270억달러에 해당)에 달해, 관련 장비의

대규모 수요증대가 예상됨.

- 러시아는‘2030 환경발전계획(2012년)' 및‘2012-2020 환경 프로그램 (2012년)'의 법제화를

통해 민간 기업의 자사 제품 폐기 처리 의무를 강화하고 생활 쓰레기 재활용 추진

(신재생에너지) 풍력과 태양광은 화력을 대신할 신재생에너지로 주목받으며 주정부․자치도

차원의 정책시행에 따라 추진에 탄력을 받고 있으며, 지난 10년간(2004년~2013년)

연평균 18.2%의 고성장률을 보임.

- 풍력발전은 영국, 독일, 네덜란드 등 서유럽을 필두로 하여, 중국, 미국, 멕시코 등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어 발전하고 있음.

- 영국은 태양광발전에 대한 정부 보조금 지급으로 인해 한때 주춤했던 태양광산업의

재부상을 위해 도약 중

(대기오염 관리) 중국을 위시한 아시아 국가들과 중남미 신흥국 에서는 대기정화를

위해 국가적 차원의 정책 시행

- 중국의 환경정책 목표 우선순위는 대기정화로, 중금속 오염지역 처리프로젝트에 7,600억

위안 투자, 베이징 시는 향후 5년간 대기오염 개선사업에 약 1조 위안 투입 예정

<지역별/부문별 환경시장 규모>

Page 48: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45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02 우리나라 환경시장 동향

우리나라의 환경상품 수출 규모는 200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

(수출) 한국의 환경상품 수출은 2004년 76억달러에서, 2013년 416억달러로 증가, 연평균

2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급성장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환경상품 수출액 비중은 꾸준한

증가 추세(2002년 3.7% → 2008년 4.9% → 2013년 6.9%)

- 전체 수출량의 56.7%(236억달러)를 중국으로 수출, 그 뒤를 이어 멕시코, 홍콩, 미국,

베트남이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국임.

(수입) 대일 수입 비중(25%)이 가장 높으며, 그 뒤로 중국, 미국, 독일순으로 수입

- 일본과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약 47.7%를 차지

한국의 환경상품 수출 상위 10대 품목 중 미국과는 4개, 일본과는 6개, 중국과는 7개가

중복되며 치열한 경쟁 중

LCD는 우리나라 환경상품 중 수출 1위 품목으로, 2013년 기준 수출 249억달러, 전체

환경상품 수출시장의 67%의 점유율을 차지

Page 49: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46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 컴퓨터 모니터, TV 액정 등의 보급률 확대에 따라 LCD디스플레이 갱신 수요가 높은

것에서 기인

LED는 2013년 기준 수출액 약 38억달러로 우리나라 수출 2위, 수입 1위를 차지(수입액

약 33억달러)하는 품목

- 전 세계적 백열전구 퇴출정책 시행에 따라 LED 시장은 대규모로 급성장 중

한국의 수출 상위 품목 중 각각 5위와 10위에 해당하는 가열 ․냉각기와 오존처리기는

미중일의 수출 상위 품목에 미포함되는 품목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경쟁우위 품목

- 폐수처리를 위한 소독기, 오존 처리기의 부분품 수출이 증가한 데에 따른 것으로 보임.

공기청정기, 정수기 등 전기·가전 제품류와 계측·계량기, 변압기 등 측정장비 등 기계류의

수출이 두드러짐.

공기청정기 및 제습기는 전체 수출액 중 약 29억달러를 차지해, 수출 규모로는 3위를 차지

- 미국과 서유럽에서는 최근 알레르기 환자 급증, 조루 인플루엔자 등의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개인 위생 강화로 공기청정기 수요 증대

Page 50: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47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 신흥국 중심으로 대기오염이 확산이 심화되면서 산업용 뿐 아니라, 일반 가정용 정수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동유럽, 남미 지역 에서 폐기물처리에 처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쓰레기를 가열․증발시킬 수 있는 산업용과 일반 가정용 증기보일러 수요가 꾸준히 증가

대기 및 폐수 오염도를 측정하는 환경 측정 장비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계측․계량기,

변압기 등은 꾸준히 우리나라의 수출 상위 품목을 유지하고 있음.

대형 환경 프로젝트 수주, FTA 체결에 따른 관세절감 효과는 우리 기업의 세계 환경시장

진출 창구로 작용할 것

멕시코, 브라질 등 남미 지역과 러시아 등에서 공개 입찰을 통한 대규모 환경 프로젝트

수주가 활발히 진행 중

- 현지 업체와의 기술 제휴 등을 통한 협력 또는 입찰을 통한 프로젝트 수주를 따내는

것이 유리

FTA 기체결국인 미국, EU, ASEAN 등과는 이미 무관세인 품목이 많아 수출시 관세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음.

03 지역별 시장동향

1 북 미

가. 주요국 동향

1) 미국

지속가능 성장과 사전 환경보호를 강조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선진환경 시장

EBI 조사에 따르면 미국은 세계 최대의 환경시장으로 전체 환경시장의 36%를 점유하고 있음.

- 향후 미국 환경시장이 2020년까지 연평균 2.7%의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

Page 51: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48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이 중, 신재생 에너지 시장 규모는 2011년 2,430억달러에서 2020년 1조 달러를 육박할

것으로 전망

- 오바마 정부의‘그린뉴딜’정책에 따라, 2025년까지 전체 에너지 공급의 25%를 신재생

에너지로 공급, 2013년까지 전체 에너지의 20%를 풍력 에너지로 전환

- 2020년까지 신재생 자원을 활용한 전력 생산을 전체 전력생산의 20%로 확대, 청정에너지

전력 생산량을 2015년 24%에서 2035년 84%로 증대

Page 52: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49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미국은 신규 환경사업 추진보다는 노후 시설 교체 및 유지보수 분야가 더욱 발달

정부 차원의 신재생에너지산업 위한 지원정책을 시행 중에 있으며, 기존에 운영 중인

수력 발전소의 보수 및 전력 용량 확장을 계획 중

- 재생에너지 사업은 인프라가 확충되더라도 수차례에 걸친 보수 및 개선이 필요할

것이며, 우리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여지도 충분함.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욕 대폭 상승

McKinsey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의 약 65%가 친환경적인 제품에 추가적인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고 구매 전 친환경 상품의 여부를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으로 조사됨.

- 환경제품 수요는 매년 오르고 있는 추세이며 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 들의 인식이

강해지고 있음.

- 유기농 식품, 친환경 주방세제 및 화장품에 이르기까지 친환경 소비재에 대한 구매욕이

미래에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

2) 캐나다

캐나다는 전 세계 7번째로 큰 환경시장으로, 국민 일인당 에너지 소비량 세계 최고 수준

캐나다 태양광협회의 Solar Vision 2025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캐나다 태양광

발전 규모는 2009년보다 100~150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

캐나다는 미국, 브라질에 이어 세계 3위의 수력에너지 공급국

- 캐나다 에너지위원회에 의하면 수력발전시설은 현 수준인 75GW에서 2035년 87GW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

- 다수의 주정부(BC, 매니토바, 퀘벡, 유콘 등)에서는 수력 발전으로부터 90% 이상의

전력을 공급받고 있음.

Page 53: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50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나. 유망분야 및 품목

미국은 풍력·태양광 발전 부품에서부터 LED, 공기청정기, 친환경 소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상품이 유망한 거대 환경시장

(풍력발전) 대규모 프로젝트 또는 정부조달 성격의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

- 미국은 오바마 정부의 ‘기후변화 액션플랜’에 따른 세액공제 및 현금 지원으로 풍력발전

건설이 활발히 진행 중

-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2013년 기준 전년 대비 11.7% 증가한 46억

9,100만 달러 기록

(LED) LED의 전 세계적 수요 증가의 흐름에 따라 북미 지역에서도 LED 수요는 활발할

것으로 전망

- LED 시장 수요는 건설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미국 건설경기가 되살아남에

따라 LED 관련 신기술 개발과 프로젝트 발주도 활발해 질 것으로 전망

(여과기) 시장조사기관 The Freedonia Group, Inc.에 따르면 미국 물 여과 장치 수요는

2017년까지 매년 5.8% 증가하는 추세

- 이 중, 가정용 물 여과 장치 수요는 2017년까지 매년 6.7% 증가해, 16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친환경 소비재) 소독과 청결을 강조한 청소용 세제 및 천연 화장품 등 친환경․유기농

식품 등 소비재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

- 최근 조류독감 및 각종 전염병 확산에 따른 알레르기, 바이러스의 확산 으로 친환경

위생용품의 수요가 급증

Page 54: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51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캐나다 정부의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시행으로, 풍력 및 수력 발전기·전동기의

높은 수요 예상

(변압기·변환기, 증기원동기) 기존 석탄발전소를 점진적으로 폐쇄하며, 천연가스와

신재생에너지를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소 건설을 적극 추진 중

- 캐나다에서는 전체 전력생산의 15%를 차지하는 원자력 발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풍력발전이 대체산업으로 주목받음

- 2013년 기준 23개의 신규 풍력발전 프로젝트가 설치, 전 세계 신규 설치용량의 5위 기록

- 전동기, 발전기 등 풍력발전 관련 완제품 시장은 지난 5년간 연 평균 2%의 꾸준한

성장률을 보여, 현지 수요의 54%를 수입하고 있음.

(폐수처리) 캐나다의 폐수처리시설 설비 시장은 환경설비 시장의 25%를 차지하는 가장

큰 시장

(폐기물 관리) 캐나다 내 쓰레기 발생량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로 폐기물 처리 시장은

연 평균 3%의 성장률을 보임

다. 경쟁 동향

미국 환경시장은 고도의 기술과 고품질이 요구되는 산업은 선진국이, 저가 시장은 중국산

제품이 선점하고 있는 상황

세계 최대의 환경시장으로 수요가 포화된 시장이나, 외국 유명 브랜드와 미국의 고품질

로컬 브랜드가 과점하고 있어 경쟁 구도가 고착화

- 우리나라는 서유럽·일본보다는 높은 기술력, 중국보다는 가격 우위에 서야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여짐.

캐나다 환경시장은 미국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은 편

캐나다 통계청에 의하면, 캐나다의 변압기․변환기 및 증기원동기 시장은 미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79%)가 여전히 높은 편, 캐나다 폐기물관리 시장은 미국계 기업이 50%

이상을 잠식

Page 55: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52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라. 진출전략

품질에 대한 객관적 증거가 뒷받침되어야 함.

독일, 이탈리아, 스웨덴 및 미국과 같은 선진 공업국들과 경쟁할 수 있는 고기술 및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노력이 필수적

- 한국산보다 가격 경쟁력이 높은 중국산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품질 우위에 있다는 Lab

Test 결과(가령, 밝기를 유지하며 5만 시간 지속)를 바이어에게 제시하는 것이 중요

확실한 타깃을 공략하라.

미국 내 증가하고 있는 히스패닉․아시안계 공략

- 2012년 기준, 미국 내 히스패닉 인구는 5,300만 명으로 2000년 대비 50.2% 증가,

아시아계 인구는 약 1,820만 명으로 2000년 대비 50.1%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의

구매력은 과거 10년간 108% 가량 증가

아토피 유아용 천연 화장품, 바쁜 워킹맘을 위한 자동 제어기능을 장착한 식기세척기 등

북미지역 소비 트렌드에 발맞춘 똑똑한 환경 제품으로 북미 소비자의 지갑을 열수 있음.

지속적인 AS 제공과 인증 취득 여부가 경쟁력을 가르는 관건

품질, 가격 및 인증 보유여부가 주요 제품 구매 시 주요 고려대상이며, 현지 내 서비스

센터 운영 및 환경인증 획득 업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함.

- 소비자들은 통관 및 판매상 필수인증이 아니라도 환경 라벨링이 부착된 상품에 대한

강한 신뢰를 보임.

2 유 럽

가. 주요국 동향

EU 차원에서 환경정책 목표를 정하고, 개별 회원국은 목표 도달을 위한 개별적 환경정책을

추진 중

Page 56: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53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배출권거래제도(ETS : EU Emission Trading System) 제정을 통해 회원국별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 총량 목표를 설정하여 EU로 수출․ 수입되는 제품에 EU 규정을 따르도록

강제

- 유럽에서 소비되는 총 에너지 중 신재생 에너지 비율을 2005년 5.8%에서 2020년

20%까지 늘리기로 결정

EU기금(2014~2020) 지원에 따른 중대형 인프라 프로젝트 진출 기회 증가

- 유럽 의회는 2014~2020년간 총 1,809억 유로의 예산을 동유럽 인프라 개선에 투입할

예정

- LED제품, 의료기기, 발전설비, IT기기 등등 기존 한국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프로젝트

진출 기회 확대

EU의 에너지 소비 규제 강화에 따른 관련 품목 수요 증가

- 2014.7.1일 이후 EU 내 컴퓨터 및 서버 관련 에코 디자인 지침 적용

- 2015.1.1일 이후 전기 조명, 램프, TV, 냉장고, 진공청소기, 식기세척기, 세탁기,

에어컨 등의 제품을 온라인 유통 시, EU 에너지 레이블 표기 의무화

독일, 영국, 네덜란드 등 서유럽 국가들이 거대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주도

(독일) 환경기술이 일찍부터 발달해, 유럽 최대의 풍력발전과 세계 선두적인 폐수처리

산업을 보유

- 함부르크는 북독일 해상에 2030년까지 2만 5,000MW의 풍력 발전단지 조성 지원계획

- 독일 폐수처리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5.2%로 성장할 전망

(영국) 세계에서 독보적인 태양광 유망시장으로, 영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으로 영국에

대한 유럽 태양광 기업들의 투자가 증대되고 있음.

- 2008년 탄소배출에 대한 법적 구속력을 가진 ‘기후변화법’ 제정하여, 2020년까지

1990년 대비 26%, 2050년까지 80%의 Co2 감축 의무화

(네덜란드) 풍력 중심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박차, 전체 에너지 소비 중 신재생에너지원

비중이 4.5%를 차지

Page 57: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5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폴란드, 헝가리 등 중동부 유럽에서는 EU 2020 계획목표 달성을 위한 환경 기준에 따라,

폐기물 처리 및 매립·수처리 등의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할 전망

(폴란드) EU 기금 최대의 수혜국가로, 폴란드 내 쓰레기 발생의 73% 이상이 매립되어

EU 평균(38%)을 크게 상회, 폐기물 관련 프로젝트 적극 시행

-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저탄소 에너지원 개발 및 쓰레기 매립 감축이 폴란드 녹색

산업의 양대 핵심이라 할 수 있음.

- 에너지 절감 정책의 일환으로, 백색인증제도(White Certificates), 에너지 라벨 부착

의무화, 에너지 절감 주택에 보조금 지급, 환경보호 펀드 70억 즈워티 인상결정

(헝가리) EU의 환경규제 조치로 2020년까지 에너지 효율화 비율 20% 목표치 달성을

위한 수질관리, 신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폐기물 처리 산업 분야에 집중

(불가리아) 폐기물 처리 및 하수처리 분야의 의무 이행사항으로 관련 정책이 빠르게

시행 중

- 노후 쓰레기 매립지 200 여개를 폐쇄 처리해야 하는 의무와 함께 일정 개수 이상의

소각장 신설 계획 중

- 인구 1만 명 이상 거주 도시에는 폐수처리 시설 건설이 의무화되어 있어 지자체별

하수처리 프로젝트 시행 중

러시아는 생활환경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대도시 중심으로 환경시장의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음.

큰 국토면적과 산업화 진행에 따라 생활쓰레기(산업쓰레기 제외)만 연간 400Kg이

배출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재활용 비율은 유럽의 5~7%에 불과하여 폐기물 및 재활용

분야의 발전 잠재력이 큼.

- 폐기물처리(25억달러) 및 수처리(10억달러) 시설 관련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Page 58: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55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나. 유망분야 및 품목

화력, 원자력 발전을 대체할 신재생에너지 산업과 관련 부품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풍력발전 터빈·소형풍력발전기) EU는 2011년 9.6GW를 추가 설치하여 총 94GW의

누적설치용량 기록

- EU 내 최대시장은 독일, 영국이 2위, 다음으로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등이 주요

시장을 이룸.

(천연가스·전기자동차) 독일, 네덜란드, 프랑스 등 유럽에서는 친환경 전기 자동차가

2016년 기준 185만 대 이상의 규모로 성장할 전망

Page 59: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56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 충전소도 향후 5년 이내에 폭발적으로 성장할 전망

- 러시아는‘천연가스 차량 도입 프로그램 2013~2020'을 도입하여 2020년까지 공공차량

50%, 화물 운송차량 30%, 농업용 장비 20%, 개인 차량 10%를 천연가스 차량으로

대체하는 것을 추진 중

(바이오매스·우드펠릿 보일러) EU는 2025년 세계 최대의 우드펠릿 보일러 생산지이자,

소비지역으로 부상할 전망

- 특히 오스트리아 정부의 유류세 인상정책의 영향으로 연간 판매량이 1만대 수준을

넘을 것으로 예상

환경오염 관리를 위한 폐수처리, 폐기물 관리는 중동부 유럽 국가들의 숙제

(정수기ㆍ여과기) 동유럽, 러시아 등 산업화가 진행 중인 지역에서는 폐수․하수처리

해결이 급선무가 되면서 산업용뿐 아니라, 가정용 정수기와 여과기 수요도 증가할

전망

- 러시아 정부는‘Federal Special Purpose Program ‘‘Clean Water‘‘ for 2011-2017'라는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러시아 지역개발부가 주체가 되어 프로그램을 추진 중

(증기보일러ㆍ가열 응축기) 폴란드, 체코 및 헝가리는 EU기금 최대 수혜국으로서,

폐기물 응축․증발을 위한 산업용 증기보일러 및 가열․응축기 등 관련 부품 수요가 증대

- 러시아 정부는 2016년부터 분리수거 및 쓰레기 배출에 대한 세금 부과가 시행됨에

따라, 민간 기업의 자사 제품 폐기 처리 의무를 강화하고 가정용 생활 쓰레기 재활용을

추진 중

친환경 및 웰빙 제품이 유럽의 환경 트렌드

‘재생‘과 ‘웰빙‘은 유럽 환경 트렌드 중 하나로, 동 제품에 대한 수요는 연평균 약 9%대로

성장하며,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임.

- 프랑스 친환경 천연 화장품 시장은 2012년 기준으로 3억 3천만 유로로, 연평균 10%

이상 성장, 2015년 5억 유로의 규모 예상

- 독일은 2012년 기준 유럽 친환경시장 매출액의 30%를 점유

Page 60: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57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밀폐용 유리용기, 식기 세척기 등 주방용 친환경 제품 인기몰이 중

(밀페형 유리용기) 프랑스, 독일 등에서는 플라스틱 용기보다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위생적이고 깔끔한 밀폐형 유리용기 수요가 꾸준히 증가

(식기 세척기) 유럽에서는 더 적은 물과 세제, 전기를 사용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친환경 식기 세척기를 필수 주방용 가전제품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음.

- 더불어, 화학 성분을 넣지 않은 식기 세척기용 친환경 세제 또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다. 경쟁 동향

서유럽은 수요과 공급이 포화되어 경쟁이 고착화 된 데에 반해, 중동부 유럽은 시장 규모가

작아 품질 대비 가격 경쟁이 매우 탄력적인 시장

서유럽은 미국 및 독일, 네덜란드 등 서유럽의 유명 다국적 기업들이 고가 시장을

선점

- 한국 제품에 대한 저조한 인지도와 유럽 역내국 제조사와의 경쟁 심화

- 고품질과 가격경쟁력 이외에도 AS 형태, 제품 지불 방식 등 부가적 서비스의 차이가

경쟁력을 가르는 관건이 될 수 있음.

중동부 유럽은 환경시장 초기 발전 단계로 가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 하므로, 높은

품질과 적정한 가격경쟁력을 우선 확보하는 것이 중요

라. 진출 전략

다품종 소량 주문, 빠른 납기, 지속적인 AS 등 지리적 불리함을 극복할 수 있는 대책

마련 필요

한국 상품이 고품질 및 상당한 가격 경쟁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긴 딜리버리 시간

때문에 한국산 제품을 우선 구매하지 않는 경향 있음

Page 61: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58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 원거리 납품기한 애로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 물류창고 설치를 통해 배송지연 문제를

해결하거나, 이를 상쇄시킬 수 있을 만큼의 가격 책정을 다시하는 전략이 필요함.

원활한 입찰(업체등록 등) 및 경쟁력 확보(물류비용, AS), 언어장벽 해소 등을 위해

궁극적으로 현지 법인설립 등 현지화 경영이 요구됨.

환경규제 마크 및 인증 취득 여부가 경쟁력 확보의 관건

최근 전기·전자 제품, 기계, 자동차*에 대한 환경 규제들이 강화되는 추세로, CE(안전통합

인증마크), EuP(에너지 사용제품 환경디자인), WEEE(폐가전 처리지침) 등이 대표적인

EU 인증에 속함.

* 자동차 배기가스에 대한 EURO 6 규제(2014년부터 시행)

3 중 국

가. 시장 동향

중국 정부는 ‘환경보호 12․5규획‘(2011.12월)을 통해 총 600조원(3.4조억위안)을 환경산업에

투자하는 거대 프로젝트 시행

에너지 절감과 오염물 배출 감소 목표 및 감독관리 강화, 신재생에너지 개발 의지

강조

- ‘12.5규획’첫 3년 간 중국 정부의 환경보호에 대한 투입은 매년 2,000 억위안 이상

증가해 규획 기간 전체 투입은 5조 위안을 초과할 것

수처리, 대기정화, 폐기물 산업, 풍력산업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대규모의 국가 프로젝트

진행 중

(수처리) 2015년 시행되는 엄격한 신환경보호법(위법일수에 따라 벌금 누적)으로, 기업

들의 환경보호 설비 교체가 가속화되면서 수처리 및 정화장비의 수요가 급증할 전망

(대기오염 관리) 2013년 중국의 스모그 지수는 역대 최고로 탈황․탈질 처리 기준 강화를

위해 이산화황 8%, 질소산화물 10% 감소를 의무화함.

Page 62: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59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 중국 내 공기청정기 보급률은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초기수준에 불과 하여 잠재력이

매우 큼.

(폐기물 처리) 생활․고체 폐기물 무해화 처리 시설 확대를 위해 2015년 36개 중점도시에

생활폐기물 무해화 처리율 90%를 목표로 연간 2,000억 위안을 투자 중

(풍력발전) 중국은 전 세계 풍력시장의 3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최대의 풍력 자원

보유국으로, 풍력 에너지 산업의 규모와 빠른 성장으로 세계 풍력산업을 주도하고

있음.

정부조달법, 입찰법 등 환경 관련 법규가 많고, 외국기업에 불리한 입찰방식은 장벽으로

작용될 수 있음.

중국의 환경산업은 정치·경제 체제 개혁의 미완성으로 산업 주체가 정부와 기업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임.

- 자국기업에게 유리한 입찰방식으로, 외국기업 혹은 개별기업의 진출이 쉽지 않음.

나. 유망분야 및 품목

고체 페기물 시장 중 생활쓰레기 소각 및 바이오처리 기술 등 기술이 차기 부상산업으로

주목받으며, 수은제거, 생태복원, 고체폐기물, 오수처리 분야도 유망할 것으로 기대

대기오염, 수처리 분야가 중국 환경정책의 우선순위가 되면서, 다양한 환경 상품들에서

대규모의 수요가 존재

(파쇄기·원심분리기) 2015년까지 매년 오폐수처리장 100여개가 증설됨에 따라 폐수처리,

원심분리기 부품 등의 수요가 확대될 전망

(공기청정기) 중국 정부의 환경목표 1순위는 대기정화로, 공기청정기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는 중국인 수가 급증

(음식물 건조기) 음식물 처리에 대한 고민으로 음식물 탈수기 및 건조기를 사용하는

가구 수가 베이징, 상하이를 중심으로 출현하기 시작

Page 63: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60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풍력, 태양광 발전과 같은 굵직한 국가 프로젝트 시행에 따라 풍력·태양광 발전 터빈의

수요 증가가 기대됨.

(풍력발전·소형 풍력발전 터빈) 2012년 일본, 우리나라, 대만 등으로부터 중소형 풍력

발전기 세트의 수입이 전년 대비 126% 증가하는 등 수입액 급증과 함께 관련 기술도

세계적 수준에 도달하여 관련 산업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대될 것

친환경 뷰티산업, 유기농 식품, 주방용품까지 생활 곳곳에서 친환경 지향 소비가 증가

(친환경 화장품) 알로에 젤, 달팽이 점액 추출물 등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 천연 마스크팩,

선케어 제품 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중국 여심을 흔들며, 친환경 뷰티시장도 열풍

(유기농 식품) 멜라민 분유, 인조계란 등 식품 안정성에 대한 불신이 커, 가격이 조금

비싸더라도 안전이 보장된 녹색식품마크 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음.

(무화학 주방용품) 화학성분을 첨가하지 않은 세제, 비누, 도마와 같은 주방용품에

대한 중국 주부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관련 제품의 수요 급증

다. 경쟁 동향

중국에는 미국, 독일, 일본, 캐나다, 네덜란드 등 서유럽 선진 국가 또는 다국적 기업들이

고가시장을 이루고, 중국 자국 제품들이 저가시장을 선점하는 상황

우리나라는 폐수처리, 토양복원, 중금속처리,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등의 기술이 이미

비교적 성숙했으며, 미국과 유럽제품에 비해 저렴한 가격 경쟁력으로 중국시장 선점 가능

라. 진출 전략

경쟁이 포화되지 않은 내륙지방·중소도시의 사업수요가 확대될 전망 이므로, 동 지역에

대한 진출을 노려볼만 함.

대도시의 환경관련 산업은 어느 정도 성숙돼 있기에 오히려 농촌과 3 4선 도시의

성장가능성이 더 큼.

Page 64: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61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4 동남아시아

가. 주요국 동향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태국, 필리핀 등 선발 국가들과 최근 녹색성장 전략을

발표한 베트남이 주를 이루고 있음.

(말레이시아) 환경에 대한 정부 차원의 관심이 높아, 환경 관련 법률이 일찍부터 발달하여,

태양광, LED, 수처리 부문 발달함.

- 말레이시아의 물 산업 시장규모는 2012년 4억달러에서 2016년 6억 달러로 전망

- 말레이시아는 신흥국가 중 폐수처리 허브가 되겠다는 비전을 담은 Greater Kuala

Lumpur/Kalng Valley 비전에 따라 쿠알라룸푸르를 관통하는 클랑강을 정화하는

거대 프로젝트 추진

(인도) 극심한 수질 및 대기오염으로 인한 수처리, 폐기물관리,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수요가 증대될 전망

- 인도는 신재생에너지 세계 6위 투자국으로, 극심한 전력난 해결을 위해 태양광, 풍력,

지열, 수력 발전소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오폐수처리 분야와 대기오염 분야는 각각 26%, 2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연간

6~8% 성장률 기록

(싱가포르) 수처리, 폐기물 처리 산업이 대표적이며, 최근 지속발전 가능한 도시정책의

일환으로 그린빌딩 산업을 집중 육성 중

- 현재 58% 수준인 쓰레기 재활용률을 2020년까지 65% 수준으로 증대

- 수처리 기술을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지정하여 해외로부터 대규모 수 처리 프로젝트

수주를 진행 중

(베트남) 2012년 8월, 2050년까지를 목표로 하는 녹색국가 전략 발표

- 2011년~2020년까지 2010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목표 설정

Page 65: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62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 온실가스 배출량의 8~10% 감소, GDP 대비 에너지소비 연간 1~1.5%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음.

나. 유망분야 및 품목

동남아시아는 급속한 산업화·도시화 진행에 따라 대기오염 및 폐기물 관리 부품의 수요가 급증

(공기청정기) 인도, 인도네시아 등 산업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국가들에서는

중산층을 중심으로 공기청정기 보급이 확대되고 있음.

- 단순 공기청정기의 기능에서 가습·향온 등 부가기능이 첨가된 제품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는 추세

(정수기·여과기) 극심한 식수 문제 해결을 위해 베트남 및 인도의 대 도시를 중심으로

정수기·여과기(기체 및 액체류 모두)의 수요가 현격히 증가하고 있음.

(증기보일러) 화력 보일러를 대체할 가정용 증기보일러와 폐기물 처리를 위한 산업용

탈수 증기보일러의 수요가 동시에 증가하는 추세

- 대기오염 및 폐수오염 문제가 해결되기까지는 당분간 이러한 수요 증가는 지속될

전망

(환경측정·분석기기) 대기오염이 심각한 동남아 지역에서는 대기 및 수질오염도 측정을

위한 가스·매연용 분석기기의 수요도 증가하는 움직임을 보임.

인도네시아, 라오스 등 한류 열풍이 거센 지역에서는 한국산 한방 화장품·천연 마스크팩

등 친환경 뷰티 산업도 큰 열풍

다. 경쟁 동향

동남아 국가들은 선진국에 비해 환경시장의 잠재력이 크나, 외국기업의 진출이 어려움

자국기업에게 유리한 입찰조건은 외국기업, 특히 중소기업에게는 무역 장벽으로 작용될

수 있음.

Page 66: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63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선진국 및 다국적 기업들의 선점이 두드러져, 우호적인 가격 경쟁력과 품질을 보유하지

않고서는 신규 진출이 쉽지 않음.

라. 진출 전략

현지 투자와 상품 차별화 전략으로 시장을 공략해야 함.

수주 물량을 미리 확보하고 초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다른 국내 기업 및 현지 기업과

합작하는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좋음.

- 생활소비재는 중국산 저가 제품의 진출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가격보다 품질가치로

승부해야 하며 소비자가 가격 차이를 크게 인지하지 않도록 용량을 다변화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임.

- 중국산 대비 고품질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점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

한류바람 타고 친환경 소비재 홍보 효과 높아

한국 드라마, 영화 열풍이 한창인 인도네시아, 라오스 등에서는 우리나라 여성 모델에

대한 동경과 부러움으로 한방 및 천연성분 화장품이 인기

- 우리나라에 대한 이해도 및 선호도 제고로 친환경 소비재 판매 이익을 배가시킬 수

있으므로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가 효과적

5 중남미

가. 주요국 동향

중남미 환경시장은 2000년 약 10억달러에서 2010년 약 30억달러로 증가하였으며, 2000년

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약 9.3%의 성장률로 성장할 전망

멕시코와 브라질에서는 수력, 바이오매스, 태양광 등 정부의 적극적인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추진 중

Page 67: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6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멕시코) 멕시코 정부의 에너지 개혁(2013년 8월) 및 2014년~2018년 까지 역사상

최대 규모(약5,900억달러)의 인프라 투자계획 발표(2014년 4월)

- 에너지 부문 생산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해, 헌법을 개정하여 천연가스 처리, 석유

정제, 운송, 저장, 분배 등의 사업에 민간투자를 허용

- 에너지, 도시 발전 및 거주지, 교통·통신, 수도시설, 관광, 보건 분야 인프라 투자

진행 예정

(브라질) 브라질 에너지원의 85.4%는 수력․바이오매스 등 신재생에너지로, 전체 전력의

3/4가 수력발전을 통해 공급

- 2013년부터 매년 500~800MW 수준의 태양광 발전소 건설 추진

나. 유망분야 및 품목

주정부 차원의 대규모 태양광·풍력 프로젝트와 함께 발전터빈의 수요도 더불어 증가할 전망

(발전세트·변환기) 풍부한 일조량과 멕시코 정부의 적극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 정책으로

태양광, 풍력발전세트 및 발전 변환기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

폐기물 매립지 메탄가스 활용 프로젝트 유망

폐기물 매립지의 메탄가스를 가공하여 바이오가스로 변환 후 연료로 사용하는 프로젝트가

브라질 내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음.

(분쇄기·파쇄기) 폐기물 관리 시장이 발달한 브라질에서는 폐기물소각 처리에 필요한

분쇄기·파쇄기의 수요 증대

다. 경쟁 동향

중남미 환경시장은 대규모 입찰 프로젝트 형식이 많은데, 소수의 외국 기업들이 대부분을

수주하고 있는 상황

정부 및 관련 부처가 입찰 과정에 개입하는 사례가 많아, 입찰정보의 사전 입수가

프로젝트 수주 성공의 관건

Page 68: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65

글로벌 지역별 시장동향

라. 진출 전략

주로 주정부 차원의 큰 프로젝트성 산업이 많으므로, 개별 기업 진출 보다는 정부 및

현지 기업과의 프로젝트 연계형 진출이 가능성 있음.

정부 유관 부처와의 밀접한 관계 유지 및 모니터링을 위해 중장기적으로 현지 공동투자

및 생산거점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멕시코 정부 프로젝트 입찰시, 외국기업이 참가하기 위해서는 FTA 조건 충족에 유의해야

하며, 현지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공동 참여가 현실적임.

Page 69: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환경분야 정책․기술 동향보고

발 행 일 ㅣ 2014년 12월 29일

발 행 기 관 ㅣ 한국환경공단

담 당 부 서 ㅣ 기획조정처 미래사업팀

(404-708) 인천광역시 서구 환경로 42(경서동 종합환경연구단지)

Page 70: ContentsContentswebbook.me.go.kr/DLi-File/096/010/001/5591639.pdf · 2015-10-30 · 4 29th Dec. 2014, Vol.1, No.1 환경 정책·기술 동향 보고 2. 해외의 CCS 추진 현황

한국환경공단 기획조정처 미래사업팀

29th dec. 2014, Vol.1, No.1